KR20210036431A -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431A
KR20210036431A KR1020190117843A KR20190117843A KR20210036431A KR 20210036431 A KR20210036431 A KR 20210036431A KR 1020190117843 A KR1020190117843 A KR 1020190117843A KR 20190117843 A KR20190117843 A KR 20190117843A KR 20210036431 A KR20210036431 A KR 20210036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bar
code
virtual currency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호
박대진
Original Assignee
최성호
박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호, 박대진 filed Critical 최성호
Priority to KR1020190117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6431A/ko
Publication of KR20210036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52Quantum cryptograph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이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구매자 단말기로 QR(바)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QR(바)코드를 저장하였다가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QR(바)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QR(바)코드를 QR(바)코드조회기가 읽어 들여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에 조회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포인트와 코인 교환 앱에 대한 로그-인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앱에 의한 로그-인의 신호를 받은 스마트 단말이 Coin의 소지자가 Point의 소지자에게 Coin의 거래를 요청하였는지 여부 및 Point의 소지자가 Coin의 소지자에게 Point의 거래를 요청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40)이다.

Description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BANK JOIN METHOD FOR RELAYING FINANCIAL TRANSACTION WITH QR(Bar) CORD}
본 발명은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QR(바)코드에 의한 금융거래 인증 방법으로서, QR(바)코드에 의하여 포인트와 코인을 거래할 수 있는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마트 단말에 적용되는 금융거래 인증 방법에 따른 스마트 단말 내의 가상화폐 거래서버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 내의 가상화폐 거래서버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종래 발명의 도 1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서버의 구성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상화폐거래서버(3100a)는 가상화폐거래소를 운영하기 위한 장치로, 각 거래소 마다 서로 다른 서버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결제서버(4500a)와 연동하고, 결제수단인 지문코인적립카드(6500)에 의한 결제요청 발생 시 결제서버(4500a)로부터 결제요청금액을 확인하여 해당 결제요청금액을 지문코인적립카드(6500)의 결제계좌(3200a)로 지급하고, 해당 결제요청금액만큼의 가상화폐를 사용자가 보유한 가상화폐에서 차감할 수 있다.
다만, 가상화폐거래서버(3100a)는 차감한 가상화폐를 판매하기 전에 가상화폐거래서버(3100a)에서 관리하는 예치계좌의 예치금으로 결제계좌(3200a)로 선지급하거나, 결제요청 시 차감된 가상화폐를 판매한 금액으로 지급하거나, 미리 설정된 날짜에 결제요청금액들에 대한 총액을 정산해서 일괄 지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종래 특허등록 제10-1813256호에 나타난 바와 같은 이와 유사한 시스템으로 구현된 가상화폐거래서버(3100a)는 결제요청정보 확인부(3101), 가상화폐 환산부(3102), 가상화폐 차감부(3103), 결제요청금액 지급부(3104), 결제요청금액 정산부(3105), 가상화폐 판매한도 제한부(3106), 수수료 자동 결제부(3107) 및 포인트 관리부(310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요청정보 확인부(3101)는, 지문코인적립카드(6500)에 의한 결제요청 발생 시 결제서버(4500a)로부터 지문코인적립카드(6500)의 식별정보, 결제계좌 및 결제요청금액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점(5000a)에서 10,000원치의 물건 구매하기 위해 지문코인적립카드(6500)을 이용하는 경우, 지문코인적립카드(6500)의 식별정보, 지문코인적립카드(6500)의 결제계좌번호와 10,000원의 결제요청금액에 대한 정보가 결제서버(4500a)에서 결제요청정보 확인부(3101)로 전송되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가상화폐 환산부(3102)는 가상화폐의 시세에 따라 결제요청금액을 가상화폐로 환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요청시점에서 1 비트코인 당 한화가격으로 5,000원이고, 결제요청금액이 10,000원이며, 사용자가 현재 10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결제요청금액은 시세에 따라 약 2 비트코인으로 환산될 수 있다.
상기 가상화폐 차감부(3103)은 가상화폐 환산부(3102)를 통해 환산된 가상화폐만큼 사용자가 보유한 가상화폐의 일정 부분을 차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10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고, 결제요청금액이 시세에 따라 약 2 비트코인으로 환산될 경우, 10 비트코인에서 약 2 비트코인이 차감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전자지갑에는 약 8 비트코인의 가상화폐가 남을 수 있다. 이때, 결정요청금액에 따른 수수료가 부가될 수 있는데, 해당 수수료는 가상화폐로 환산되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가상화폐에서 자동으로 차감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수수료 자동 결제부(3107)를 통해 후술한다.
상기 결제요청금액 지급부(3104)는 가상화폐 차감부(3103)를 통해 차감된 가상화폐를 제3자에게 판매하기 전에 가상화폐거래서버(3100a)에서 가지고 있는 예치계좌의 예치금으로 해당 결제요청금액을 사용자의 결제계좌(3200a)로 선지급할 수 있다.
상기 결제요청금액 정산부(3105)는 가상화폐 차감부(3103)를 통해 차감된 가상화폐를 제3자에게 판매하고, 해당 가상화폐를 판매한 금액을 예치계좌로 다시 입금시켜 결제계좌(3200a)로 지급된 금액을 회수함으로써 정산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가상화폐 판매한도 제한부(3106)는, 신용카드 및 모바일 결제수단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결제 시, 결제요청금액에 대한 실시간 총액을 가상화폐 환산부(3102)를 통해 가상화폐로 환산하고, 환산된 가상화폐만큼 사용자가 보유한 가상화폐를 판매하지 못하도록 가상화폐 판매 한도를 일시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수수료 자동 결제부(3107)는 결제요청금액에 따른 일정한 수수료를 가상화폐 차감부(3103)를 통해 가상화폐로 차감하여 납부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수율이 결제요청금액의 1%라고 하면, 10,000원의 결제요청금액이 발생할 경우 100원을 수수료로 받는 것이 아니라, 시세에 따라 100원에 해당하는 가상화폐만큼을 사용자로부터 차감함으로써 수수료가 자동적으로 결제될 수 있다.
상기 포인트 관리부(3108)는, 결제요청금액 정산부(3105)를 통한 정산 완료시 사용자에게 결제요청금액에 대한 일정 비율로 포인트를 지급하고, 해당 포인트가 일정치 이상 적립되면 시세에 따라 가상화폐로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요청금액 1,000원 당 1 포인트를 지급한다고 가정하고, 적립된 총 포인트가 10,000 포인트가 되면 포인트를 현금으로 환산하고, 환산된 현금을 다시 시세에 따라 가상화폐로 환산하여 10,000 포인트에 해당하는 가상화폐를 사용자의 전자지갑에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화폐거래서버(3100a)는 가상화폐거래소마다 각기 다른 서버로서 운영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어떠한 가상화폐거래소를 이용하는지에 따라 어떠한 가상화폐거래소에 충전되어 있는 가상화폐가 차감되는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가상화폐거래소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 해당 거래소에서 어떠한 가상화폐를 보유하고 있는지에 따라 어떠한 가상화폐가 차감되는지도 결정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른 결제수단 이용 시 선지급 결제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오프라인 상점(5000a)에서 직불카드 또는 체크카드와 같은 지문코인적립카드(6500)로 결제 시 결제서버(4500a)는 가상화폐거래서버(3100a)로 결제정보를 전달한다. 여기서 결제정보는 결제수단 식별정보, 결제요청금액정보, 결제계좌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가상화폐거래서버(3100a)는 결제서버(4500a)에서 수신한 결제정보 중 결제요청금액을 확인하고, 해당 결제요청 금액만큼 가상화폐로 환산하며, 환산된 가상화폐만큼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가상화폐에서 일부를 차감함과 동시에, 예치계좌에서 결제요청금액만큼을 결제계좌(3200a)로 선지급할 수 있다. 이때, 차감된 가상계좌는 즉시 판매하여 정산할 수 있으나, 도 8에 도시된 선지급 방식의 경우 판매 금액을 결제요청금액으로 사용하지 않고 즉, 차감한 가상화폐를 판매한 후 그 판매한 금액을 결제계좌(3200a)로 입금하는 것이 아니라, 예금계좌에 미리 예치된 금액에서 결제요청금액만큼을 결제계좌(3200a)로 우선적으로 송금한다.
이후, 결제계좌(3200a)는 입금된 결제요청금액을 결제서버(4500a)로 전달하면, 결제 승인 완료될 수 있다. 이때, 가상화폐거래서버(3100a)는 결제요청금액에 따른 일정 비율로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그러나, QR코드에 의한 금융거래 인증을 할 수 있도록, QR코드에 의하여 포인트와 코인을 거래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필요하게 되어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을 연구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QR코드에 의한 금융거래 인증을 할 수 있도록, QR코드에 의하여 포인트와 코인을 거래할 수 있는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을 연구함에 있다.
본 발명은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이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구매자 단말기로 QR(바)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QR(바)코드를 저장하였다가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QR(바)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QR(바)코드를 QR(바)코드조회기가 읽어 들여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에 조회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포인트와 코인 교환 앱에 대한 로그-인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앱에 의한 로그-인의 신호를 받은 스마트 단말이 Coin의 소지자가 Point의 소지자에게 Coin의 거래를 요청하였는지 여부 및 Point의 소지자가 Coin의 소지자에게 Point의 거래를 요청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40);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Coin소지자가 상기 Coin전송 및 인증신호입력단계를 수행할 경우에 입력된 인증신호가 일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신호일치여부판단단계(S3007); 상기 인증신호일치여부판단단계(S3007)에서 양자 인증신호가 일치될 경우에는 Coin전송을 완료시킨 후, 판매대금이 지불되도록 하는 Coin전송완료 및 판매대금지불완료단계(S3009); 그 후, Coin전송완료 및 판매대금지불완료단계(S3009)가 수행되어 종료되는 거래종료단계(S301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이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구매자 단말기로 QR(바)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QR(바)코드를 저장하였다가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QR(바)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QR(바)코드를 QR(바)코드조회기가 읽어 들여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에 조회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포인트와 코인 교환 앱에 대한 로그-인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앱에 의한 로그-인의 신호를 받은 스마트 단말이 Coin의 소지자가 Point의 소지자에게 Coin의 거래를 요청하였는지 여부 및 Point의 소지자가 Coin의 소지자에게 Point의 거래를 요청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40); 상기 지문인식모듈을 형성한 스마트 단말에서 Coin-Point 중계거래용 앱을 실행하도록 하는 Coin-Point 중계거래용 앱을 실행하는 단계(S3001); 상기 스마트 단말에서 Coin소지자가 Point소지자에게 거래를 요청하는 코인의 판매수량 및 가격을 입력하도록 하는 코인 판매수량 및 가격입력단계(S3002); 상기 코인 거래를 원하는 Point소지자가 Coin소지자의 은행에 지정된 계좌로 대금을 조건부로 입력하는 Point소지자 코인대금(조건부)입금단계(S3003); 상기 스마트 단말에서 Point소지자 코인대금입금단계(S3003)에서 입금된 금액이 Coin소지자가 제시한 금액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매대금일치여부판단단계(S3004);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판매대금일치여부판단단계(S3004)에서 판매대금의 입금이 일치되는 경우에는 수증자 스마트 단말로 Coin을 전송한 후, 전송결제 사실을 인증 신호로 입력하도록 하는 Coin전송 및 인증신호입력단계(S3006);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Coin소지자가 상기 Coin전송 및 인증신호입력단계(S3006)를 수행할 경우에 입력된 인증신호가 일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신호일치여부판단단계(S3007); 상기 인증신호일치여부판단단계(S3007)에서 양자 인증신호가 일치될 경우에는 Coin전송을 완료시킨 후, 판매대금이 지불되도록 하는 Coin전송완료 및 판매대금지불완료단계(S3009); 그 후, Coin전송완료 및 판매대금지불완료단계(S3009)가 수행되어 종료되는 거래종료단계(S301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이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구매자 단말기로 QR(바)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QR(바)코드를 저장하였다가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QR(바)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QR(바)코드를 QR(바)코드조회기가 읽어 들여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에 조회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포인트와 코인 교환 앱에 대한 로그-인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앱에 의한 로그-인의 신호를 받은 스마트 단말이 Coin의 소지자가 Point의 소지자에게 Coin의 거래를 요청하였는지 여부 및 Point의 소지자가 Coin의 소지자에게 Point의 거래를 요청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40); 상기 지문인식모듈을 형성한 스마트 단말에서 Coin-Point 중계거래용 앱을 실행하도록 하는 Coin-Point 중계거래용 앱을 실행하는 단계(S4001); 상기 스마트 단말에서 Point소지자가 Coin소지자에게 거래를 요청하는 코인의 판매수량 및 가격을 입력하도록 하는 코인 판매수량 및 가격입력단계(S4002); 상기 코인 거래를 원하는 Coin소지자가 Point소지자의 은행에 지정된 계좌로 코인을 조건부로 입력하는 Coin소지자 코인(조건부)전송단계(S4003); 상기 스마트 단말에서 Coin소지자 코인(조건부)전송단계(S4003)에서 전송된 코인이 Point소지자가 제시한 수량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코인수량일치여부판단단계(S4004);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코인수량일치여부판단단계(S4004)에서 코인의 수량이 일치되는 경우에는 수증자 단말기로 Coin을 전송한 후, 전송결제 사실을 인증 신호로 입력하도록 하는 Coin전송 및 인증신호입력단계(S4006);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Coin소지자가 상기 Coin전송 및 인증신호입력단계(S4006)를 수행할 경우에 입력된 인증신호가 일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신호일치여부판단단계(S4007); 상기 인증신호일치여부판단단계(S4007)에서 양자 인증신호가 일치될 경우에는 Coin전송을 완료시킨 후 판매대금이 지불되도록 하는 Coin전송완료 및 판매대금지불완료단계(S4009); 그 후, Coin전송완료 및 판매대금지불완료단계(S4009)가 수행되어 종료되는 거래종료단계(S401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폐를 QR/BAR 코드의 인증정보와 매칭시키는 메인콘트롤러(CPU)(340)는 암호화된 가상화폐(315)와, 암호화된 QR/BAR 코드의 알고리즘(415C)과, QR/BAR 코드 인식기를 포함하는 증여자단말기(300C)와, QR/BAR 코드 인식기를 포함하는 수증자단말기(400C)와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암호화된 가상화폐(315)의 전자적 암호 소스(가상화폐가 형성된 "화일명" 또는 가상화폐의 "노드"를 포함한다)와 QR/BAR 코드의 알고리즘(415)의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416)를 매칭시키는 변환장치(500)와, 증여자의 가상화폐를 수증자의 가상화폐로 변환시키는 증여자-수증자 QR/BAR 코드 변환장치(60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폐의 기본단위인 제1화일(315a)(암호화된 화폐의 기본단위)에서 제공되는 전자적 암호 소스(316)(가상화폐가 형성된 "화일명" 또는 가상화폐의 "노드"를 포함한다)가 총괄 매칭 프로그램(340a)에서 변환되고, QR/BAR 코드 알고리즘(415C)에서 제공되는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416)가 총괄 매칭 프로그램(340a)에서 변환되어, 이들은 매칭 프로그램(344)에 의하여 융합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송의 기본단위로 되어 거래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통신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QR(바)코드를 이용하여 로그-인되게함으로써, 타인이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보안성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고, 무선통신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QR(바)코드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결제함으로써, 통신사업자와 신용카드사업자의 업무를 일원화시켜 신용카드의 제작, 신용카드 사용금액 결제통지서의 송부등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지문카드와 스마트 단말의 구성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 내의 가상화폐 거래서버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에 대한 QR(Bar)코드 적용시의 사용상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매자(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및 결제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결제서비스가입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의 결제수단제공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선행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QR코드 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는 선행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QR코드 생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QR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온라인 은행이나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발생되는 포인트(Point)와 가상화폐의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코인(Coin)을 별도의 중계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Coin소지자가 Point소지자에게 거래를 요청하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Point소지자가 Coin소지자에게 거래를 요청하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에 탑재된 DB부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14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증여자 단말기에 저장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4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 중 수증자 인지용 URL이 증여자 단말기에 탑재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상에 표시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4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 중 증여자 단말기에 탑재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 상에서 증여자를 선정하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증여자 지정안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4d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 중 수증자 단말기에 탑재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 상에 수증자 인지용 URL이 표시되는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4e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 중 증여자 단말기에 탑재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 상에 수증자가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지급받은 것을 표시하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지급확인 안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4f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 중 수증자 단말기에 탑재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 상에 수증자의 전자지갑으로 증여자가 보낸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가 누적저장된 것을 안내하는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누적저장 안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상화폐를 QR/BAR코드인증정보와 매칭시키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도 15의 또 다른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도 15의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증자(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및 결제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9는 도 18에서의 결제서비스가입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0은 도 18에서의 결제수단제공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용어 '코인' 또는 'Coin'은 '가상화폐'와 동일하며, 혼용되어 사용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발명은 종래 기술을 바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를 본 발명의 필수구성요소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에 대한 QR(Bar)코드 적용시의 사용상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에서 QR코드에 의한 금융거래 인증 방법은 상당한 수준으로 발달이 되어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앱 구동 QR(Bar)코드(1000)를 단말제어 장치가 설치된 스마트 단말(20)에 텃치할 경우에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작동되게 된다.
상기 스마트폰 어플의 기능으로는 1) 현금 결제, 2) 체크카드 및 직불카드 기능, 3) 전자선불화폐, 4) 교통카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전 회원은 실시간 코인을 교환할 수 있고, 가맹점에서 결제가 가능하며, 본인 소유의 포인트와 코인을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체계를 구성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포인트와 코인(이하, '가상화폐'와 동일하다)의 교환에 방법에 적용되는 QR코드의 적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매자(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및 결제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의 결제서비스가입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6은 도 4에서의 결제수단제공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구매자(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및 결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이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구매자(무선통신)단말기로 QR(바)코드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구매자(무선통신)단말기가 상기 QR(바)코드를 저장하였다가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QR(바)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무선통신)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QR(바)코드를 QR(바)코드조회기가 읽어 들여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에 조회하여 서비스 및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통신사업자와 구매 및 판매 사업자의 업무를 일원화시켜 보안을 유지하면서 앱을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하여, 타인의 불법 사용을 금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매자(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및 결제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구매자단말기(30)와, QR(바)코드조회기(120)및,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을 포함하며, 상기 구매자단말기(30)과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은 무선통신망(140)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QR(바)코드조회기(120)와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있다.
상기 결제방법은 QR(바)코드에 의한 금융거래결제방법을 말한다(이하, 같다)
본 발명의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은 무선통신망(140), 바람직하게는 SMS망(Shot Message Service network)을 통해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구매자 단말기(30)로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고유 QR(바)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QR(바)코드조회기(120)로부터 입력된 QR(바)코드를 바탕으로 통신 서비스 또는 결제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으로, 통신 서비스 및 결제관리 시스템의 서버(131)와 이에 연결된 통신서비스 데이터베이스(133) 또는 결제서비스 데이터베이스(13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의 서버(131)에는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을 운용하기 위한 운용프로그램이 포함되며, 상기 통신서비스 데이터베이스(133)에는 무선통신서비스 가입자를 관리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결제서비스 데이터베이스(135)에는 결제서비스 가입자를 관리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구매자 단말기(30)은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으로부터 전송된 QR(바)코드를 수신하여 지정된 메모리에 저장하고, 결제모드 선택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QR(바)코드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QR(바)코드조회기(120)는 상기와 같이 구매자단말기(30)의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된 QR(바)코드를 읽어 들여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30)에 조회 및 결제요청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구매자(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및 결제방법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결제서비스가입단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서비스가입신청단계로서, 무선통신서비스 가입자가 결제서비스 가입을 신청한다.(S311) 이때, 상기 무선통신서비스 가입자는 구매자(무선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신용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개인정보를 작성하여 결제서비스 가입을 신청한다.
이어서, 구매자단말기등록여부판단단계로서, 미리 등록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이 결제서비스 가입 신청자의 구매자단말기(30)이 미리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결제서비스 가입 절차를 종료한다.(S312, S313)
그리고, 결제서비스가입자파일생성단계로서, 상기 구매자단말기(30)이 미리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결제서비스가입 신청자가 입력한 작성한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결제관리 데이터베이스(135)에 결제서비스 가입자 파일을 생성한다.(S314)
그 다음, QR(바)코드생성 및 송신단계로서, QR(바)코드 정보를 생성하여 SMS망(140)을 통해 구매자단말기(30)로 전송한다.(S315, S316)
다음은 결제수단제공단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바)코드정보 수신 및 저장단계로서, 상기 구매자단말기(30)가 상기 SMS망(140)을 통해 QR(바)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S321, S322)
이어서, 비밀번호입력단계로서, 결제서비스 가입자가 구매자단말기(30)를 조작하여 결제(QR코드사용)모드를 선택하면 구매자단말기(30)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S323)
그리고, 비밀번호입력단계로서, 결제서비스 가입자가 구매자단말기(30)를 조작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한다.(S324~S325)
이때, 상기 비밀번호는 결제서비스 가입자가 구매자단말기(30)에 미리 등록시켜 놓은 것으로, 만약 비밀번호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구매자단말기(30)는 QR(바)코드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경고표시를 한다.(S327)
그리고, QR(바)코드정보디스플레이단계로서,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되면 상기 구매자단말기(30)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QR(바)코드 정보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S326)
여기서, 금융거래시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금융결제를 할 경우에 상기 QR(바)코드에 의하여 간편결제를 할 수 있다.(S331)
그 다음, QR(바)코드조회단계로서, 상기 QR(바)코드정보디스플레이단계에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QR(바)코드 정보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되면, 구매자단말기(30) 내에 있는 QR(바)코드조회기(120)가 디스플레이된 QR(바)코드 정보를 판독하여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에 QR(바)코드를 조회시킨다.(S328)
다음은, 통신서비스 및 결제방법실행단계로서,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이 상기 QR(바)코드를 입력받아 결제서비스 데이터베이스(135)에 저장된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정보를 조회하여 조회결과, 그 일치여부를 상기 QR(바)코드조회기(120)로 전송하면, 상기 QR(바)코드조회기(120)는 그 일치 여부에 따라 통신서비스 및 결제방법을 실행한다.(S329)(S330)
여기서, 통신서비스는 본 발명의 포인트와 코인의 교환 앱에 대한 로그-인이 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어서, 상기 QR(바)코드조회기(20)가 상기 조회결과를 수신하여 불일치시에는 경고표시를 한다.(S327)
상기 앱에 의한 로그-인의 신호를 받은 스마트 단말이 Coin의 소지자가 Point의 소지자에게 Coin의 거래를 요청하였는지 여부 및 Point의 소지자가 Coin의 소지자에게 Point의 거래를 요청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40);으로 작동되어 진다.
또한, 비밀번호입력단계로서, 결제서비스 가입자가 구매자단말기(30)를 조작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비밀번호입력단계(S324~S325)에서, 상기 비밀번호 대신에 생체정보인 지문/지정맥 또는 홍채/얼굴정보에 의하여 인증절차를 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QR(바)코드정보 수신 및 저장단계(S321, S322) 후에 이어서, 결제서비스 가입자가 구매자단말기(30)를 조작하여 결제(QR코드사용)모드를 선택하면 구매자단말기(30)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비밀번호입력단계(S323)(S324); 그리고,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되면 상기 구매자단말기(30)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QR(바)코드 정보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QR(바)코드정보디스플레이단계(S325)(S326); 로 이루어진 것이다.
우선, 여기 QR코드 생성방법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도 7은 선행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QR코드 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8은 선행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QR코드 생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QR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QR코드를 스마트폰에서의 생성 방법을 공개특허 제10-2012-0105600호에 따른 도 7~8을 통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먼저 서비스 제공사(10aa)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인터넷망, 와이파이망 및 이동통신망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직접 다운 로딩하고, 다운 로딩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애플리케이션활성화단계(S10)를 행한다.
상기 제10단계(S1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 로딩한 후 사용자가 스마트폰(20aa)을 통해 고객인증정보(사용자 데이터 인가)를 제공하는 고객인증정보제공단계(S20)를 행한다.
상기 제20단계(S20)를 통해 제공한 사용자 정보를 통해 서비스 제공사(10aa)에서는 고객인증정보를 토대로 리워드 서비스용 카드번호를 생성하는 리워드 서비스용 카드번호생성단계(S30)를 행한다.
상기 제30단계(S30)를 통해 회사에서는 카드번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20aa)으로 카드번호를 전송하는 카드번호전송단계(S40)를 행한다.
상기 제40단계(S40)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20aa)에서 전송하는 본인인증 데이터와 회사에서 전송하는 카드번호 데이터는 노출 및 해킹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상호 합의한 방식대로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카드번호를 받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카드등록용 팝업창(미도시)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팝업창에는 사용자 이름, 주민번호를 입력하고, 약관(개인정보수집동의서, 서비스 이용약관)에 동의한 후 발급 버튼을 눌러 데이터를 회사에 인가하고, 이때 사용자 카드번호 발급을 취소하기 위해서는 팝업창에 있는 취소를 눌러 카드발급을 취소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를 인가하면, 회사에서는 사용자 데이터를 기준으로 카드번호를 생성하여 스마트폰(20aa)으로 다운 로딩한다.
상기 제40단계(S40)를 통해 다운 로딩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QR코드를 생성하는 QR코드생성단계(S50)를 행한다.
상기 제50단계(S50)를 통해 QR코드의 생성은 스마트폰(20aa)에서 수신받은 암호화된 카드번호를 애플리케이션의 바코드생성프로그램에 저장되고, 저장한 카드번호를 토대로 QR코드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폰(20aa)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QR코드를 스마트폰에 저장하는 QR코드스마트폰저장단계(S60)를 행한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통해 생성한 QR코드는 일반적으로 리워드 서비스용 카드로 사용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30aa는 가맹점, 40aa는 2D바코드 스캐너 또는 QR코드 리드기, 5aa는 부가가치 통신망, 60aa는 통신망이다.
다음은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신규로 신규 회원가입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신규회원가입 방법은 원하는 신규 발급 회사의 명칭을 선택하면, 회사의 요청에 따라 미리 정해놓은 가입 양식에 본인 인증(이름, 주민번호, 휴대폰번호, 주소 등)을 위한 기재 칸과 약관 등을 명시해 서비스 제공사(10aa)의 서비스에 대한 약관 인증 칸으로 구분된 팝업창이 오픈 된다.
상기 사용자는 해당하는 칸에 정보를 입력하고, 약관에 동의란에 체크를 하여 상호가 결정하는 방식으로 입력한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회사에 전송하게 되고, 전송한 내용을 토대로 전용 카드 번호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스마트폰(20aa)에서 전송하는 본인인증 데이터와 회사에서 전송하는 카드번호 데이터는 노출 및 해킹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상호 합의한 방식대로 암호화하여 전송을 하게 된다.
데이터 전송은 통상 사용자가 설정한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게 되며 이는 WI-FI망 또는 3G, 4G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사업자에서 규정하는 통신 방식을 적용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에서 수신받은 암호화된 카드 번호는 바코드생성프로그램에 들어가 카드 번호를 QR코드 이미지로 생성시키는 작업을 행한다.
기존에 선택한 회사 이미지(카드 발급사의 기준에 의함)와 함께 바코드 이미지가 위치하며, 생성된 이미지는 애플리케이션에 내 메뉴에 자동 저장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QR코드의 생성방법이 있었지만, 스마트 폰에서 활용되는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에서의 보안을 유지하는 방법은 개발이 되지 않았고, 통상의 앱이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이 나타났던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39457호(2013.12.23. 공개,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5600호(2012.09.26. 공개, 스마트 어프리케이션을 활용한 큐알코드 생성시스템 및 그 활용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다음은 가상화폐거래소에서 대상으로 하는 "코인"과 온라인 은행이나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보상받는 "포인트"와의 거래를 실행하는 Coin-Point 중계거래소(50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온라인 은행이나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발생되는 포인트(Point)와 가상화폐의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코인(Coin)을 별도의 중계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Coin소지자가 Point소지자에게 거래를 요청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Point소지자가 Coin소지자에게 거래를 요청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거래시스템(3000) 및 온라인 은행 및 전자상거래 시스템(4000)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첫째, 가상화폐 거래시스템(3000)에 대하여 플로차트로 설명한다.
앞으로, 본 발명에서는 가상화폐를 "코인" 또는 "Coin"이라 칭한다.
도 9의 상단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의 거래는 증여자가 수증자에게 가상화폐를 거래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증여자 단말기(300)는 증여하고자 하는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금액정보 및 증여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3100)로 전송하며, 상기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3100)에서는 수증자 단말기(400)으로부터 신상정보 확인 등이 행해지고, 증여자의 전자지갑정보에 저장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서 수증자에게 증여하고자 하는 금액만큼 차감하고, 그 차감된 금액만큼 수증자의 전자지갑정보에 저장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 누적시킨 후 이를 토대로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블록체인 보유서버(도면 미도시)들에게 전파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가상화폐가 교환 또는 거래토록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교환"이라는 개념에 "거래"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사에서는 Coin을 발행하고, 제휴은행으로 예로서, Bank에서 상기 Coin을 보관관리하게 되어 법규에서 정하는 기능을 각각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발생된 가상화폐거래시스템(3000)의 "코인"을 Coin-Point 중계거래소(5000)와 교환 또는 거래될 수 있도록 Coin관리시스템(3500)과 연동시켜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위하여 상표등록출원으로 ALL IT BLUE COIN, ALL IT SILVER COIN, ALL IT GOLD COIN, ALL IT DIA COIN 및 ALL IT POINT를 출원하여 후술되는 코인과 포인트의 교환 또는 거래시에 등급별로 상표명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상화폐 거래방법에 대하여는 도 12~19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둘째, 온라인 은행 및 전자상거래 시스템(4000)에 대하여 플로차트로 설명한다.
앞으로, 본 발명에서는 거래에 의하여 발생되어 보상받은 수익을 "포인트" 또는 "Point"이라 칭한다.
도 9의 하단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은행 및 전자상거래 시스템(4000)은 인터넷(I)을 통해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4100)과 하나 이상의 구매자PC단말(4300a) 및 구매자모바일단말(4300b), 가맹점 단말부(4400)와 연결된다.
상기 온라인 은행 및 전자상거래 시스템(4000)은 인터넷(I)을 통해 온라인 쇼핑몰(4100) 및 구매자단말과 연결되어 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상품을 구매시 구매자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Point로 구매할 수 있는 상품창을 동시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구매자PC단말(4300a) 및 구매자모바일단말(4300b)은 인터넷(I)을 통해 상기 온라인 은행 및 전자상거래 시스템(4000)에 연결되고, 상기 온라인 은행 및 전자상거래 시스템(400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HTML(Hyper Text Marker Language) 문서 등의 웹페이지를 가져와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통상의 웹브라우저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구매자PC단말(4300a) 및 구매자모바일단말(4300b)은 Allit-Pay적립카드를 사용하게 되며, 상기 카드와 제휴되는 타사의 카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구매자가 사용한 만큼의 일정 배분되는 Point가 수익보상으로 적립이되는 것이다.
상기 구매자PC단말(4300a)은 개인용 컴퓨터(PC)로 구현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인터넷에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는 노트북, PDA, 스마트폰 등 통신 가능이 있는 모든 장치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지정 가맹점 단말부(4400)는 Point의 적립을 위해 사전에 지정된 복수의 지정점 단말들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상권으로 그룹핑된 지정 가맹점 단말부(4400)를 제1가맹점 단말부(4400a), 제2가맹점 단말부(4400b), 제3가맹점 단말부(4400c), ---(중략)--- , 제n가맹점 단말부(4400n)으로 도시한다.
또한, 상기 지정 가맹점 단말부(4400)는 Allit-Pay적립카드를 사용하게 되며, 상기 카드와 제휴되는 타사의 카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구매자가 사용한 만큼의 일정 배분되는 Point가 수익보상으로 적립이되는 것이다.
상기 이때, 적립된 Point와 후술되는 Coin을 교환 또는 거래할 수 있도록 하여 수요자의 편익을 도모하게 되어 있다.
즉, 여기서 발생된 온라인 은행 및 전자상거래 시스템(4000)의 "포인트"를 Coin-Point 중계거래소(5000)와 거래될 수 있도록 수익보상포인트관리시스템(4500)과 연동시켜 시스템을 구축한다.
도면 부호 6000은 "Allit Pay 프로세스"를 표현하고 있고, 후술되는 올아이티 뱅크와 올아이티페이와 연계되어 업무의 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는 라인을 체계화시킬 수 있는 조작망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올아이티 뱅크와 올아이티페이에 대하여는 도 20~27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셋째, 도 9의 중간에 도시된 올아이티코인 및 올아이티포인트의 중계거래소(50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가상화폐의 거래에 의하여 발생된 가상화폐거래시스템(3000)의 "코인"을 Coin-Point 중계거래소(5000)와 거래될 수 있도록 Coin관리시스템(3500)과 연동시켜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은행 등의 사용실적에 따라 보상받은 온라인 은행 및 전자상거래 시스템(4000)의 "포인트"를 Coin-Point 중계거래소(5000)와 거래될 수 있도록 수익보상포인트관리시스템(4500)과 연동시켜 시스템을 구축한다.
여기서, 상기 "코인"과 상기 "포인트"와 교환 내지는 거래가 가능하게함으로써, 실질적인 코인의 가치가 인정될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코인'의 국제화 추세에 걸맞는 체계로 개편이 이루어지면서, 코인의 발행이 남발되어 경제질서를 혼란스럽게 하는 행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즉, "코인"이 경제적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부실기업이나 무자격자인 개인이 함부로 "코인"을 발행하여 경제질서를 어지럽게 하는 행위가 근절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Coin소지자가 Point소지자에게 거래를 요청하는 플로우차트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상화폐거래시스템(3000)에 보관된 Coin의 소지자가 온라인 은행 및 전자상거래 시스템(4000)에서 보상받은 Point의 소지자에게 Coin의 교환 또는 거래를 요청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온시켜 시작하는 시작단계(S3000);
상기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서 Coin-Point 중계거래용 앱을 실행하도록 하는 Coin-Point 중계거래용 앱을 실행하는 단계(S3001);
상기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서 Coin소지자가 Point소지자에게 거래를 요청하는 코인의 판매수량 및 가격을 입력하도록 하는 코인 판매수량 및 가격입력단계(S3002);
상기 코인 거래를 원하는 Point소지자가 Coin소지자의 은행계좌로 대금을 조건부로 입력하는 Point소지자 코인대금(조건부)입금단계(S3003);
상기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서 Point소지자 코인대금입금단계(S3003)에서 입금된 금액이 Coin소지자가 제시한 금액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매대금일치여부판단단계(S3004);
만약 양자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판매대금을 입금하도록 구매자에게 통보되는 재입금통보단계(S3005);
상기 판매대금일치여부판단단계(S3004)에서 판매대금의 입금이 일치되는 경우에는 수증자 단말기로 Coin을 전송하면서, 전송결제를 인증(생체정보) 신호로 입력하도록 하는 Coin전송 및 인증(생체정보)신호입력단계(S3006);
여기서, 인증신호라 함은 패스워드, 비밀번호, OTP회신번호 등 숫자로 된 신호는 물론 엔터신호까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전송키를 누르고 마지막 엔터를 치는 신호까지를 말한다. 이하, 같다.
상기 Coin소지자가 상기 Coin전송 및 인증(생체정보)신호입력단계(S3006)를 수행할 경우에 입력된 인증신호(생체정보)가 일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신호(생체정보)일치여부판단단계(S3007);
만약 양자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판매대금을 반송하도록 조치하는 판매대금반송조치단계(S3008);
상기 인증신호(생체정보)일치여부판단단계(S3007)에서 양자 일치될 경우에는 Coin전송을 완료시키면서 판매대금이 지불되도록 최종승인되는 Coin전송완료 및 판매대금지불완료단계(S3009);
그 후, Coin전송완료 및 판매대금지불완료단계(S3009)가 수행되어 종료되는 거래종료단계(S3010)를 수행한다.
여기서, 생체정보라 함은 지문 또는/및 지정맥정보, 홍채정보, 얼굴정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Coin소지자가 Point소지자에게 거래를 요청하는 방법을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도 11은 본 발명의 Point소지자가 Coin소지자에게 거래를 요청하는 플로우차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온라인 은행 및 전자상거래 시스템(4000)에서 보상받은 Point의 소지자가 가상화폐거래시스템(3000)에 보관된 Coin의 소지자에게 Coin의 교환 또는 거래를 요청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온시켜 시작하는 시작단계(S4000);
상기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서 Coin-Point 중계거래용 앱을 실행하도록 하는 Coin-Point 중계거래용 앱을 실행하는 단계(S4001);
상기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서 Point소지자가 Coin소지자에게 거래를 요청하는 코인의 판매수량 및 가격을 입력하도록 하는 코인 판매수량 및 가격입력단계(S4002);
상기 코인 거래를 원하는 Coin소지자가 Point소지자의 은행계좌로 코인을 조건부로 입력하는 Coin소지자 코인(조건부)전송단계(S4003);
상기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서 Coin소지자 코인(조건부)전송단계(S4003)에서 전송된 코인이 Point소지자가 제시한 수량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코인수량일치여부판단단계(S4004);
만약 양자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코인을 전송하도록 증여자에게 통보되는 재전송통보단계(S4005);
상기 코인수량일치여부판단단계(S4004)에서 코인의 수량이 일치되는 경우에는 수증자 단말기로 Coin을 전송하면서, 전송결제를 인증(생체정보) 신호로 입력하도록 하는 Coin전송 및 인증(생체정보)신호입력단계(S4006);
여기서, 인증신호라 함은 패스워드, 비밀번호, OTP회신번호 등 숫자로 된 신호는 물론 엔터신호까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전송키를 누르고 마지막 엔터를 치는 신호까지를 말한다. 이하, 같다.
상기 Coin소지자가 상기 Coin전송 및 인증(생체정보)신호입력단계(S4006)를 수행할 경우에 입력된 인증신호(생체정보)가 일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신호(생체정보)일치여부판단단계(S4007);
만약 양자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코인을 반송하도록 조치하는 코인반송조치단계(S4008);
상기 인증신호(생체정보)일치여부판단단계(S4007)에서 양자 일치될 경우에는 Coin전송을 완료시키면서 판매대금이 지불되도록 최종승인되는 Coin전송완료 및 판매대금지불완료단계(S4009);
그 후, Coin전송완료 및 판매대금지불완료단계(S4009)가 수행되어 종료되는 거래종료단계(S4010)를 수행한다.
여기서, 생체정보 신호라 함은 지문 또는/및 지정맥정보, 홍채정보, 얼굴정보를 포함하여, 이를 디지털 또는 패턴화시켜 보안정보로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포인트의 경우 1Point를 1원으로 계산하여 각종 산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Point소지자가 Coin소지자에게 거래를 요청하는 방법을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다음은 도 9에 나타난 가상화폐거래시스템에 대하여 도 12 내지 도 19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나타낸 전체구성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에 탑재된 DB부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며, 도 14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증여자 단말기에 저장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 중 수증자 인지용 URL이 증여자 단말기에 탑재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상에 표시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 중 증여자 단말기에 탑재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 상에서 증여자를 선정하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증여자 지정안내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d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 중 수증자 단말기에 탑재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 상에 수증자 인지용 URL이 표시되는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e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 중 증여자 단말기에 탑재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 상에 수증자가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지급받은 것을 표시하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지급확인 안내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f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 중 수증자 단말기에 탑재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 상에 수증자의 전자지갑으로 증여자가 보낸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가 누적저장된 것을 안내하는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누적저장 안내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12와 관련된 종래기술일지라도 본 발명의 근간을 이루는 기술적 내용인 증여자 단말기(300)와 수증자 단말기(4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증여자 단말기(300)는 증여하고자 하는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금액정보 및 증여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하며, 상기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수증자 인지용 URL(A)을 전해주고자 하는 수증자를 지정하여 전송할 수 있게 안내하는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이 탑재된 단말부재이다.
여기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응용프로그램으로서, 증여자 단말기(300)를 통해 앱스토어 접속하여 다운로드받거나 앞에서 언급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에 직접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앱(310) 대신에 하이브리드 웹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하이브리드 웹을 활성화시켜 여기서 접속하거나 정보들을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증여자 단말기(300)는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을 운영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증여자 단말기(300)를 제어하거나 또는 동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같은 정보입력부, 후술되는 증여자의 신상정보 등의 데이터 혹은 전용프로그램인 상기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이 저장되는 정보저장부, 후술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510)과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가 출력되는 정보출력부(301) 및 증여자 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본 발명을 명확하게 한정하기 위해 정보출력부(301)에만 도면부호를 명기하며, 이는 후술되는 수증자 단말기(400)에도 정보출력부(401)에만 도면부호를 명기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증여자 단말기(300)에는 팜탑(palmtops),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MP), 또는 UMPC(Ultra-mobile PC) 및 MID(Mobile Internet Device) 등 다양한 단말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되는 수증자 단말기(400)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상기 수증자 단말기(400)는 증여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전송된 수증자 인지용 URL(A)을 클릭 시 자동으로 실행되어,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증여받는 수증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이 탑재된 단말부재이다.
여기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 및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은 동일한 앱으로써, 명확하게 구분하고자 증여자측 및 수증자측이라는 접두사를 첨부하였다.
그리고, 상기 증여자 단말기(300) 및 수증자 단말기(400)에서는 수증자가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주고자 하는 증여자의 선택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인스턴트 메신저(IM) 기반으로 제공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증여자 단말기(300)에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탑재되고, 수증자 단말기(400)에는,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탑재되어진다.
이처럼, 탑재되어지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 및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는 동일한 인스턴트 메신저이며, 명확하게 구분하고자 여기에서도, 증여자측 및 수증자측이라는 접두사를 첨부하였다.
이를 통해, 증여자 단말기(300)의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상기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에 증여자가 지정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를 식별하는 선택 IM 식별정보를 취합하여 전송하고,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전송되면, 증여자가 지정한 상기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자동실행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자동실행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상기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는 증여자가 수증자 인지용 URL(A)의 전달을 요청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수증자 계정을 지정하면, 그 수증자 계정에 해당하는 상기 수증자 단말기(400)로 전송되도록 프로그래밍화 되어진다.
또한,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는 상기 전송된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수증자 단말기(400)의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은 수증자가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표시된 상기 수증자 인지용 URL(A)을 클릭하면, 자동실행되어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되도록 프로그래밍화 되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 15,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상화폐를 QR/BAR코드인증정보와 매칭시키는 블록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도 15의 또 다른 블록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도 15의 순서도이다.
도 15에서의 본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상화폐를 생체인증정보와 매칭시키는 블록도에 나타난 메인콘트롤러(CPU)(34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암호화된 가상화폐(315)와, 전술한 바와 같은 암호화된 QR/BAR코드의 알고리즘(415C)과, QR/BAR코드인식기를 포함하는 증여자단말기(300C)와, QR/BAR코드인식기를 포함하는 수증자단말기(400C)와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암호화된 가상화폐(315)의 전자적 암호 소스(가상화폐가 형성된 "화일명" 또는 가상화폐의 "노드"를 포함한다)와 QR/BAR코드의 알고리즘(415C)의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를 매칭시키는 변환장치(500)와, 증여자의 가상화폐를 수증자의 가상화폐로 변환시키는 증여자-수증자 QR/BAR코드변환장치(600C)로 이루어져 있다.
도 16에서의 본 발명의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을 이용하여 당사자간에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도 15의 또 다른 블록도에서의 총괄 매칭 프로그램(340a)과 연계되는 가상화폐의 기본단위인 제1화일(315a)(암호화된 화폐의 기본단위)에서 제공되는 전자적 암호 소스(316)가 총괄 매칭 프로그램(340a)에서 변환되고, QR/BAR코드알고리즘(415C)에서 제공되는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416)가 총괄 매칭 프로그램(340a)에서 변환되어, 이들은 매칭 프로그램(344)에 의하여 융합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송의 기본단위로 되어 거래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315b, 315c는 상기 가상화폐의 기본단위인 제1화일에 이어지는 가상화폐의 제2, 3화일의 갯수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신호 변환 방법은 QR/BAR코드의 각각 구분되는 픽셀 패턴의 유무에 따라 정해지는 2진 데이터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신호정보가 변환 장치에 의하여 서로 융합되어 새로운 신호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물론 다량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일괄 결제 방식의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7에서는 종래 전송방식에 나타난 수순과 동일한 사항을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필수구성요소로 그대로 설명한다.
부호 표시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기술적 내용의 부호는 동일하게 사용된다.
먼저, 증여자 단말기(300)는 증여자의 선택에 따라 탑재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을 실행(S110)하면, 그 실행된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은 저장관리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을 증여자 단말기(300)의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 표시(S120)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모든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상화폐의 전자적 암호 소스(가상화폐가 형성된 "화일명" 또는 가상화폐의 "노드"를 포함한다)와 QR/BAR코드의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와 매칭되어 있는지 여부를 QR/BAR코드 인증수단에 의하여 요구하게 되며, 여기서는 가상화폐와 QR/BAR코드 인증정보와 매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130a)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거래를 종료토록 하고,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는 정보출력부를 통해 표시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 화면상의 금액 표시난, 인스턴트 메신저 선택난 및 텍스트 입력난에 입력양식에 맞게 입력한 상태에서 전송메뉴가 클릭되면,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 화면에 입력된 디지털 가상화폐의 금액정보, 선택 IM 식별정보와 저장관리되는 증여자의 신상정보를 취합하여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S130)한다.
이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증여자 단말기(300)로부터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증여자용 거래요청신호에 포함된 증여자의 신상정보를 회원목록정보 DB(211)와 매칭하여, 회원임을 확인한 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증여받는 수증자를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수증자 인지용 URL(A)을 생성하고 이를, 증여자 단말기(300)로 전송(S140)한다.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는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전송되면, 선택 IM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자동실행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자동실행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삽입 표시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이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S150)한다.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해 증여자가 수증자 인지용 URL(A)의 전달을 요청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수증자 계정을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증여자 지정안내화면을 통해 지정하면, 그 수증자 계정에 해당하는 수증자 단말기(400)로 수증자 인지용 URL(A)을 전송(S160)한다.
이후, 수증자 단말기(400)는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해 전송된 수증자 인지용 URL(A)이 삽입표시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URL 표시 안내화면이 정보출력부(401)를 통해 출력(S170)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수증자 단말기(400)는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표시된 수증자 인지용 URL(A)이 클릭되면, 이와 연동하여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이 자동실행(S180)되어진다.
수증자 단말기(400)는 자동실행된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을 통해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증여받는 수증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 전송(S190)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수증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 신호가 전송되면, 그 수증자 인증용 신상내역신호에 포함된 수증자의 신상정보를 회원목록정보 DB(211)와 매칭하여, 수증자가 회원임을 확인한 후 전자지갑 목록정보 DB(212)에서 증여자의 전자지갑정보에 저장된 블록체인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서 수증자에게 증여하고자 하는 금액만큼 차감하고, 그 차감된 금액만큼 수증자의 전자지갑정보에 저장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금액정보에 누적시킨 후 이를 토대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지정된 블록체인보유서버(100)들에게 전송(S200)한다.
이때,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가상화폐의 전자적 암호 소스(가상화폐가 형성된 "화일명" 또는 가상화폐의 "노드"를 포함한다)와 QR/BAR코드의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와 매칭된 가상화폐의 증여자를 QR/BAR코드의 인증신호에 의하여 수증자로 변환하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의 정보를 변환시키는 증여자-수증자의 QR/BAR코드 인증정보 변환단계(S210a)를 수행한다.
이후, 지정된 개개의 블록체인 보유서버(100)는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가 전송되면, 그 전송된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를 검증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를 인증하고, 그 인증에 따라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용 트랜잭션정보를 기록(S210)함으로써, 거래의 인증을 수행한다.
이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는 증여자 단말기(300)로 수증자에게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를 지급하였다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증여자 단말기(300)는 증여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310)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면, 선택 IM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자동실행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자동실행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메시지가 삽입 표시된 증여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지급확인 안내화면이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더불어, 수증자 단말기(400)는 수증자측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거래용 앱(410)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가상화폐 거래안내서버(200)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면,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가 자동실행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그 자동실행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에 메시지가 삽입 표시된 수증자측 인스턴트 메신저용 누적저장 안내화면이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 다른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의 거래 방법으로,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진 전송기록들을 모아서 암호화시킨 블록체인(Blockchain) 구조로 화폐의 발행 주체가 없는 암호화화폐(Crypto-Currency)인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의 거래 방법에 있어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컴퓨터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의 거래를 인증해주면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을 채굴하여 획득하는 단계;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의 거래를 위하여 채굴 및 구매하여 획득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을 컴퓨터에 탑재된 프로그램의 실행시켜 거래할 때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탑재한 회원 서버 또는 회원 컴퓨터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 상에 회원의 거래소 웹지갑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회원 서버 또는 회원 컴퓨터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거래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 거래 내역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B)를 구비한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를 통해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 거래를 위한 거래소 일반지갑의 주소를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생성하는 단계; 및 회원 서버 또는 회원 컴퓨터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을 거래하기 위하여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저장된 회원의 거래소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을 전송하기 전에 본인 인증을 위하여 QR/BAR코드 인증수단에 의하여 증여자측의 생체인증을 요구하게 되며, 여기서는 QR/BAR코드 인증을 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이때, 가상화폐의 전자적 암호 소스(가상화폐가 형성된 "화일명" 또는 가상화폐의 "노드"를 포함한다)와 QR/BAR코EM의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와 매칭되어 있는지 여부를 QR/BAR코드 인증수단에 의하여 요구하게 되며, 여기서는 가상화폐와 QR/BAR코드 인증정보와 매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회원 서버 또는 회원 컴퓨터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 거래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생성시킨 회원의 거래소 웹지갑 주소에서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생성된 거래소 일반지갑 주소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을 전송하는 단계;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탑재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상태에서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생성된 회원 자신의 거래소 웹지갑 주소에서 거래소 서버에 생성된 거래소 일반지갑 주소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의 전송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의 전송이 이루어졌음이 확인될 경우에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저장된 회원의 거래소 주소로 실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이 아닌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탑재된 데이터베이스 상의 수치 변경으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을 입금 처리하는 단계; 및 암호화화폐 거래소 서버에 탑재된 데이터베이스 상의 수치 변경으로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의 거래가 완료된 경우에 회원의 데이터베이스에 입금 처리하지 않고 선입금된 부분과 상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트코인(가상화폐와 동일 개념) 거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필요시에 가상화폐의 전자적 암호 소스(가상화폐가 형성된 "화일명" 또는 가상화폐의 "노드"를 포함한다)와 QR/BAR코드의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와 매칭된 가상화폐의 증여자를 QR/BAR코드의 인증신호에 의하여 수증자로 변환하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의 정보를 변환시키는 증여자-수증자의 QR/BAR코EM 인증정보 변환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시스템이나 방법에 적용되는 QR코드의 적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증자(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및 결제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19는 도 18에서의 결제서비스가입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20는 도 18에서의 결제수단제공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수증자(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및 결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이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수증자(무선통신)단말기로 QR(BAR)코드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수증자(무선통신)단말기가 상기 QR(BAR)코드를 저장하였다가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QR(BAR)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수증자(무선통신)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QR(BAR)코드를 QR(BAR)코드조회기가 읽어 들여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에 조회하여 서비스 및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통신사업자와 구매 및 판매 사업자의 업무를 일원화시켜 보안을 유지하면서 앱을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하여, 타인의 불법 사용을 금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증자(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및 결제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수증자단말기(30)와, QR(BAR)코드조회기(120)및,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을 포함하며, 상기 수증자단말기(30)과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은 무선통신망(140)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QR(BAR)코드조회기(120)와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있다.
상기 결제방법은 QR(BAR)코드에 의한 금융거래결제방법을 말한다(이하, 같다)
본 발명의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은 무선통신망(140), 바람직하게는 SMS망(Shot Message Service network)을 통해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수증자 단말기(30)로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고유 QR(BAR)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QR(BAR)코드조회기(120)로부터 입력된 QR(BAR)코드를 바탕으로 통신 서비스 또는 결제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으로, 통신 서비스 및 결제관리 시스템의 서버(131)와 이에 연결된 통신서비스 데이터베이스(133) 또는 결제서비스 데이터베이스(13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의 서버(131)에는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을 운용하기 위한 운용프로그램이 포함되며, 상기 통신서비스 데이터베이스(133)에는 무선통신서비스 가입자를 관리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결제서비스 데이터베이스(135)에는 결제서비스 가입자를 관리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수증자 단말기(30)은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으로부터 전송된 QR(BAR)코드를 수신하여 지정된 메모리에 저장하고, 결제모드 선택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QR(BAR)코드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QR(BAR)코드조회기(120)는 상기와 같이 수증자단말기(30)의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된 QR(BAR)코드를 읽어 들여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30)에 조회 및 결제요청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증자(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및 결제방법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서비스가입신청단계로서, 수증자단말기(30)는 무선통신서비스 가입자의 결제서비스 가입 신청요청에 따라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으로 무선통신서비스 가입을 신청한다.(S311) 이때, 상기 무선통신서비스 가입자는 수증자(무선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신용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개인정보를 작성하여 결제서비스 가입을 신청한다.
이어서, 수증자단말기등록여부판단단계로서,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이 결제서비스 가입 신청자의 수증자단말기(30)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결제서비스 가입 절차를 종료한다.(S312, S313)
그리고, 결제서비스가입자파일생성단계로서,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은 상기 수증자단말기(30)이 미리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결제서비스가입 신청자에 의해 상기 수증자단말기(30)에 작성된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결제관리 데이터베이스(135)에 결제서비스 가입자 파일을 생성한다.(S314)
그 다음, QR(BAR)코드생성 및 송신단계로서,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은 QR(BAR)코드 정보를 생성하여 SMS망(140)을 통해 수증자단말기(30)로 전송한다.(S315, S316)
다음은 결제수단제공단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BAR)코드정보 수신 및 저장단계로서, 상기 수증자단말기(30)가 상기 SMS망(140)을 통해 QR(BAR)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S321, S322)
이어서, 비밀번호입력단계로서, 증자단말기(30)는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조작에 의해 QR사용(결제)모드를 선택하면 수증자단말기(30)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S323)
그리고, 비밀번호입력단계로서, 결제서비스 가입자가 수증자단말기(30)를 조작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한다.(S324~S325)
이때, 상기 비밀번호는 결제서비스 가입자가 수증자단말기(30)에 미리 등록시켜 놓은 것으로, 만약 비밀번호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수증자단말기(30)는 QR(BAR)코드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경고표시를 한다.(S327)
그리고, QR(BAR)코드정보디스플레이단계로서,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되면 상기 수증자단말기(30)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QR(BAR)코드 정보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S326)
여기서, 금융거래시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금융결제를 할 경우에 상기 QR(BAR)코드에 의하여 간편결제를 할 수 있다.(S331)
그 다음, QR(BAR)코드조회단계로서, 상기 QR(BAR)코드정보디스플레이단계에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QR(BAR)코드 정보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되면, 수증자단말기(30) 내에 있는 QR(BAR)코드조회기(120)가 디스플레이된 QR(BAR)코드 정보를 판독하여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에 QR(BAR)코드를 조회시킬 수 있다.
다음은, 통신서비스 및 결제방법실행단계로서,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130)이 증여자 단말기에서 가상화폐거래절차에 있어서 증여자의 QR(BAR)코드를 수증자 보유의 QR(BAR)코드로 변경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수증자단말기로부터 수증되었다는 의사표시로 변경승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인증하는 절차를 밟게 된다.(S328, S329)
이후, 증여자 단말기는 증여자 보유의 QR(BAR)코드를 수증자 보유의 QR(BAR)코드로 변경완료하는 단계(S330)를 거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300 : 증여자 단말기
400 : 수증자 단말기
3000 : 가상화폐거래시스템
3500 : Coin 관리시스템
4000 : 온라인 은행 및 저자상거래시스템
4500 : 수익 Point 관리시스템
5000 : Coin-Point 중계거래소
6000 : Allit Pay 프로세스

Claims (5)

  1.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이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구매자 단말기로 QR(바)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QR(바)코드를 저장하였다가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QR(바)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QR(바)코드를 QR(바)코드조회기가 읽어 들여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에 조회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포인트와 코인(이하, '가상화폐'와 동일하다) 교환 앱에 대한 로그-인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앱에 의한 로그-인의 신호를 받은 스마트 단말이 Coin의 소지자가 Point의 소지자에게 Coin의 거래를 요청하였는지 여부 및 Point의 소지자가 Coin의 소지자에게 Point의 거래를 요청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40);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Coin소지자가 상기 Coin전송 및 인증신호입력단계를 수행할 경우에 입력된 인증신호가 일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신호일치여부판단단계(S3007);
    상기 인증신호일치여부판단단계(S3007)에서 양자 인증신호가 일치될 경우에는 Coin전송을 완료시킨 후, 판매대금이 지불되도록 하는 Coin전송완료 및 판매대금지불완료단계(S3009);
    그 후, Coin전송완료 및 판매대금지불완료단계(S3009)가 수행되어 종료되는 거래종료단계(S301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
  2.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이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구매자 단말기로 QR(바)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QR(바)코드를 저장하였다가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QR(바)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QR(바)코드를 QR(바)코드조회기가 읽어 들여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에 조회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포인트와 코인 교환 앱에 대한 로그-인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앱에 의한 로그-인의 신호를 받은 스마트 단말이 Coin의 소지자가 Point의 소지자에게 Coin의 거래를 요청하였는지 여부 및 Point의 소지자가 Coin의 소지자에게 Point의 거래를 요청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40);
    상기 지문인식모듈을 형성한 스마트 단말에서 Coin-Point 중계거래용 앱을 실행하도록 하는 Coin-Point 중계거래용 앱을 실행하는 단계(S3001);
    상기 스마트 단말에서 Coin소지자가 Point소지자에게 거래를 요청하는 코인의 판매수량 및 가격을 입력하도록 하는 코인 판매수량 및 가격입력단계(S3002);
    상기 코인 거래를 원하는 Point소지자가 Coin소지자의 은행에 지정된 계좌로 대금을 조건부로 입력하는 Point소지자 코인대금(조건부)입금단계(S3003);
    상기 스마트 단말에서 Point소지자 코인대금입금단계(S3003)에서 입금된 금액이 Coin소지자가 제시한 금액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매대금일치여부판단단계(S3004);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판매대금일치여부판단단계(S3004)에서 판매대금의 입금이 일치되는 경우에는 수증자 스마트 단말로 Coin을 전송한 후, 전송결제 사실을 인증 신호로 입력하도록 하는 Coin전송 및 인증신호입력단계(S3006);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Coin소지자가 상기 Coin전송 및 인증신호입력단계(S3006)를 수행할 경우에 입력된 인증신호가 일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신호일치여부판단단계(S3007);
    상기 인증신호일치여부판단단계(S3007)에서 양자 인증신호가 일치될 경우에는 Coin전송을 완료시킨 후, 판매대금이 지불되도록 하는 Coin전송완료 및 판매대금지불완료단계(S3009);
    그 후, Coin전송완료 및 판매대금지불완료단계(S3009)가 수행되어 종료되는 거래종료단계(S301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
  3.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이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구매자 단말기로 QR(바)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QR(바)코드를 저장하였다가 결제서비스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QR(바)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QR(바)코드를 QR(바)코드조회기가 읽어 들여 상기 통신관리 및 결제관리시스템에 조회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기가 포인트와 코인 교환 앱에 대한 로그-인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앱에 의한 로그-인의 신호를 받은 스마트 단말이 Coin의 소지자가 Point의 소지자에게 Coin의 거래를 요청하였는지 여부 및 Point의 소지자가 Coin의 소지자에게 Point의 거래를 요청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40);
    상기 지문인식모듈을 형성한 스마트 단말에서 Coin-Point 중계거래용 앱을 실행하도록 하는 Coin-Point 중계거래용 앱을 실행하는 단계(S4001);
    상기 스마트 단말에서 Point소지자가 Coin소지자에게 거래를 요청하는 코인의 판매수량 및 가격을 입력하도록 하는 코인 판매수량 및 가격입력단계(S4002);
    상기 코인 거래를 원하는 Coin소지자가 Point소지자의 은행에 지정된 계좌로 코인을 조건부로 입력하는 Coin소지자 코인(조건부)전송단계(S4003);
    상기 스마트 단말에서 Coin소지자 코인(조건부)전송단계(S4003)에서 전송된 코인이 Point소지자가 제시한 수량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코인수량일치여부판단단계(S4004);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코인수량일치여부판단단계(S4004)에서 코인의 수량이 일치되는 경우에는 수증자 단말기로 Coin을 전송한 후, 전송결제 사실을 인증 신호로 입력하도록 하는 Coin전송 및 인증신호입력단계(S4006);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Coin소지자가 상기 Coin전송 및 인증신호입력단계(S4006)를 수행할 경우에 입력된 인증신호가 일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신호일치여부판단단계(S4007);
    상기 인증신호일치여부판단단계(S4007)에서 양자 인증신호가 일치될 경우에는 Coin전송을 완료시킨 후 판매대금이 지불되도록 하는 Coin전송완료 및 판매대금지불완료단계(S4009);
    그 후, Coin전송완료 및 판매대금지불완료단계(S4009)가 수행되어 종료되는 거래종료단계(S401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폐를 QR/BAR 코드의 인증정보와 매칭시키는 메인콘트롤러(CPU)(340)는 암호화된 가상화폐(315)와, 암호화된 QR/BAR 코드의 알고리즘(415C)과, QR/BAR 코드 인식기를 포함하는 증여자단말기(300C)와, QR/BAR 코드 인식기를 포함하는 수증자단말기(400C)와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암호화된 가상화폐(315)의 전자적 암호 소스(가상화폐가 형성된 "화일명" 또는 가상화폐의 "노드"를 포함한다)와 QR/BAR 코드의 알고리즘(415)의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416)를 매칭시키는 변환장치(500)와, 증여자의 가상화폐를 수증자의 가상화폐로 변환시키는 증여자-수증자 QR/BAR 코드 변환장치(60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폐의 기본단위인 제1화일(315a)(암호화된 화폐의 기본단위)에서 제공되는 전자적 암호 소스(316)(가상화폐가 형성된 "화일명" 또는 가상화폐의 "노드"를 포함한다)가 총괄 매칭 프로그램(340a)에서 변환되고, QR/BAR 코드 알고리즘(415C)에서 제공되는 전자적 알고리즘 소스(416)가 총괄 매칭 프로그램(340a)에서 변환되어, 이들은 매칭 프로그램(344)에 의하여 융합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송의 기본단위로 되어 거래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
KR1020190117843A 2019-09-25 2019-09-25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 KR20210036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843A KR20210036431A (ko) 2019-09-25 2019-09-25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843A KR20210036431A (ko) 2019-09-25 2019-09-25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431A true KR20210036431A (ko) 2021-04-05

Family

ID=75462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843A KR20210036431A (ko) 2019-09-25 2019-09-25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64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379401B (zh) 电子支付的安全处理
KR101517515B1 (ko) Qr 코드를 이용한 즉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A3096307C (en) Secure payment system
US8301500B2 (en) Ghosting payment account data in a mobile telephone payment transaction system
KR102033244B1 (ko) 암호화 화폐 결제 시스템 및 암호화 화폐 결제방법
KR20200138828A (ko) 전자 지갑을 통한 결제 시스템
CN101354770A (zh) 会员名称与银行卡绑定的电子商务系统和方法
RU2740734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ля упрощения защищенных электронных транзакций
KR20140099814A (ko) Qr 코드를 이용한 즉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35260A (ko) 개인 선불결제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052911B1 (ko) 은행과 연계된 쇼핑몰과 연동되는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
KR102143639B1 (ko) 은행과 연계된 코인-포인트 중계거래용 앱의 금 거래 운영방법
KR20170013584A (ko) 스마트 터치페이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152164B1 (ko) 모바일 상품권 즉시 발행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76316A (ko) 모바일 가상머신 상품권 유통관리시스템 및 가상머신상품권을 이용한 결제방법
KR20080048645A (ko) 은행의 에스크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16740A (ko) 광고시청 보상용 포인트 또는 코인을 지급하는 앱에 의한 생산자(판매자)와 매칭하는 방법
KR101941275B1 (ko) 앱 구동 지문카드에 연동되는 선순환 마케팅 방법
KR20210036431A (ko) QR(Bar)코드 인증에 의한 가상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
KR102050643B1 (ko) 사업자 번호 및 각종 번호 인식 방식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캐쉬페이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9672A (ko) 코인-포인트 중계거래용 앱에서 금을 담보로 한 보장성 보험을 이용한 금 거래 운영방법
KR101246035B1 (ko) 앱신용카드를 이용한 상거래 시스템과 방법
KR102184358B1 (ko) 은행과 연계된 쇼핑몰과 연동되는 가상화폐를 보장성 보험으로 거래할 수 있는 금융 거래 중계 처리방법
KR20060124375A (ko) 거래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102231880B1 (ko) 물품 판매 이익 분배 마케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