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258A -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258A
KR20210036258A KR1020200113326A KR20200113326A KR20210036258A KR 20210036258 A KR20210036258 A KR 20210036258A KR 1020200113326 A KR1020200113326 A KR 1020200113326A KR 20200113326 A KR20200113326 A KR 20200113326A KR 20210036258 A KR20210036258 A KR 20210036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response information
communication channel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득
박용민
전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21544932A priority Critical patent/JP7136412B2/ja
Priority to EP20870249.8A priority patent/EP3996336A4/en
Priority to US17/439,364 priority patent/US20220158255A1/en
Priority to PCT/KR2020/013028 priority patent/WO2021060900A1/ko
Priority to CN202080032035.7A priority patent/CN113748556A/zh
Publication of KR20210036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3Management of data rate on the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0Routing based on monitoring res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6Charger exchanging data with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5Detection of state of health [SO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43Bus networks involving priority mechanisms
    • H04L12/40163Bus networks involving priority mechanisms by assigning priority to messages according to a message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04L43/0894Packet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83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팩에 대한 하나 이상의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정보 제공 요청에 포함된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배터리 셀 또는 상기 배터리 팩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측정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한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응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 및 복수의 통신 채널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 채널을 선택하며, 선택된 통신 채널의 종류 및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에 기반하여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되는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 패킷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선택된 통신 채널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본 출원은 2019년 09월 25일자로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19-0118316 및 2019년 10월 10일자로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19-0125479에 대한 우선권주장출원으로서,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응답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배터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배터리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배터리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배터리는 니켈 계열의 배터리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이러한 배터리가 구비된 장치에는 다양한 ECU(Electronic Control Unit)들이 포함되고, ECU들은 서로 통신하며 정보를 제공하거나, 다른 ECU로부터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차량을 예로 들면, 차량에서는 다양한 기능과 제어가 증가하고, 특히, 배터리가 구비된 전기 자동차가 실용화되면서, ECU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량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ECU들 간의 데이터 통신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통신 규격 및 기술 등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변경하여 데이터양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의 수신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통신속도를 개선하여 CAN 버스의 트래픽 부하를 개선할 수 있는 발명이 개시되었다.
다만, 특허문헌 1은 데이터 길이가 8 바이트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측에서 고속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수신 모드를 변경하는 구성만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은 수신 모드 변경만을 통해 트래픽 부하를 개선하고 있기 때문에, 배터리 셀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전기차와 같은 장치에서는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송신 측에서는 배터리 셀에 대한 단일 정보를 각각 전송해야 하기에, 데이터 전송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KR 10-1573637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통신 채널을 유동적으로 선택함으로써, 복수의 응답 정보의 송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팩에 대한 하나 이상의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정보 제공 요청에 포함된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배터리 셀 또는 상기 배터리 팩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측정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한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응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 및 복수의 통신 채널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 채널을 선택하며, 선택된 통신 채널의 종류 및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에 기반하여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되는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 패킷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선택된 통신 채널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에 기반하여 상기 메시지 패킷에 요구되는 패킷 데이터양을 산출하고, 산출된 패킷 데이터양에 대한 패킷 크기 정보, 패킷 식별 정보, 및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가 포함되도록 상기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킷 식별 정보는,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메시지 패킷은, 상기 패킷 크기 정보가 기록되는 패킷 크기 정보 영역, 상기 패킷 식별 정보가 기록되는 패킷 식별 정보 영역, 및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가 기록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킷 크기 정보 영역, 상기 패킷 식별 정보 영역, 및 상기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양에 기반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양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 정보의 개수가 복수인 경우, 상기 데이터 영역에 복수의 응답 정보의 개수에 대응되는 구분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복수의 응답 정보 각각을 구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은,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응답 정보의 최대 데이터양이 소정의 제1 기준량 이하로 설정된 제1 통신 채널; 및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응답 정보의 최대 데이터양이 상기 소정의 제1 기준량보다 큰 소정의 제2 기준량 이하로 설정된 제2 통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상기 소정의 제1 기준량 이하이면,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상기 소정의 제1 기준량을 초과하고, 상기 소정의 제2 기준량 이하이면,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채널 및 상기 제2 통신 채널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제1 통신 채널 및 상기 제2 통신 채널 각각이 상기 응답 정보의 전송하는데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전송 예상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전송 예상 시간이 짧은 통신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상기 소정의 제1 기준량을 초과하지만 상기 제1 통신 채널이 선택된 경우, 하나의 메시지 패킷 및 복수의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의 데이터 패킷의 순번을 설정하며,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설정된 순번에 기반하여 상기 생성된 메시지 패킷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설정된 순번 정보가 기록되는 순번 영역 및 상기 응답 정보가 기록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청 정보는, 상기 배터리 셀에 대한 상기 전압, 상기 전류, 및 상기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터리 상태 정보이거나, 상기 배터리 팩에 대한 상기 전압, 상기 전류, 및 상기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배터리 팩 진단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배터리 관리 방법은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팩에 대한 하나 이상의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정보 제공 요청 수신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포함된 요청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배터리 셀 또는 상기 배터리 팩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 상기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응답 정보를 생성하는 응답 정보 생성 단계;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 및 복수의 통신 채널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 채널을 선택하는 통신 채널 선택 단계; 선택된 통신 채널의 종류 및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에 기반하여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되는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는 메시지 패킷 생성 단계; 및 생성된 메시지 패킷을 상기 선택된 통신 채널로 출력시키는 패킷 출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송신되어야 할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에 따라 통신 채널이 유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응답 정보에 대한 송신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뿐만 아니라 복수의 통신 채널 각각의 상태에 따라 통신 채널이 유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예시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가 생성할 수 있는 메시지 패킷의 예시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가 통신 BUS에 연결된 예시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출력될 수 있는 메시지 패킷의 예시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출력될 수 있는 메시지 패킷의 다른 예시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출력될 수 있는 메시지 패킷의 예시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를 나머지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그러한 용어들에 의해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제어부와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1)의 예시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팩(1)은 배터리 셀(10)과 배터리 관리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셀(10)은, 음극 단자와 양극 단자를 구비하며, 물리적으로 분리 가능한 하나의 독립된 셀을 의미한다. 일 예로, 파우치형 리튬 폴리머 셀 하나가 배터리 셀(10)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팩(1)은 둘 이상의 배터리 셀(10)이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터리 팩(1)에 하나의 배터리 셀(10)이 포함된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측정부(110), 통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10)는 배터리 셀(10) 또는 배터리 팩(1)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정부(110)는 배터리 셀(10) 또는 배터리 팩(1)의 전압, 전류, 및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개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측정부(110)는 온도 측정 유닛(111), 전압 측정 유닛(112), 및 전류 측정 유닛(113)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측정 유닛(11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온도 센서일 수 있다.
예컨대, 도 2를 참조하면, 온도 측정 유닛(111)은 제1 센싱 라인(SL1)을 통해서 배터리 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온도 측정 유닛(111)은 제1 센싱 라인(SL1)을 통해서 배터리 셀(1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측정 유닛(111)은 배터리 팩(1)의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전압 측정 유닛(112)은 배터리 셀(10)의 양극 전위 및 음극 전위를 측정하고, 측정한 양극 전위와 음극 전위 간의 전위차를 산출하여 배터리 셀(10)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측정 유닛(112)은 배터리 팩(1)의 양극 단자(P+)와 배터리 팩(1)의 음극 단자(P-) 간의 전위차를 산출하여 배터리 팩(1)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를 참조하면, 전압 측정 유닛(112)은 제2 센싱 라인(SL2)을 통해서 배터리 셀(10)의 양극 단자와 연결되고, 제2 센싱 라인(SL2)을 통해서 배터리 셀(10)의 양극 전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압 측정 유닛(112)은 제3 센싱 라인(SL3)을 통해서 배터리 셀(10)의 음극 단자와 연결되고, 제3 센싱 라인(SL3)을 통해서 배터리 셀(10)의 음극 전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압 측정 유닛(112)은 배터리 셀(10)의 양극 전위와 음극 전위 간의 차이를 산출하여, 배터리 셀(10)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전류 측정 유닛(113)은 배터리 셀(10) 또는 배터리 팩(1)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류 측정 유닛(113)은 배터리 셀(10)의 충방전 경로 상에 배치된 전류 측정 소자(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류 측정 소자(A)를 통해서 충방전 경로를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충방전 경로란 배터리 팩(1)의 양극 단자(P+), 배터리 셀(10), 및 배터리 팩(1)의 음극 단자(P-)를 연결하는 대전류 경로일 수 있다.
예컨대,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셀(10)의 음극 단자와 배터리 팩(1)의 음극 단자(P-) 사이에 전류 측정 소자(A)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류 측정 소자(A)는 전류계 또는 션트 저항일 수 있다. 전류 측정 유닛(113)은 제4 센싱 라인(SL4)을 통해서 전류 측정 소자(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류 측정 유닛(113)은 제4 센싱 라인(SL4)에 연결된 전류 측정 소자(A)를 통해서 충방전 경로를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전류 측정 소자(A)가 배터리 셀(10)의 음극 단자와 배터리 팩(1)의 음극 단자(P-)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전류 측정 소자(A)는 배터리 셀(10)의 충방전 경로 상이라면 제한 없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의 실시예에서, 전류 측정 소자(A)는 배터리 셀(10)의 양극 단자와 배터리 팩(1)의 양극 단자(P+)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전류 측정 유닛(113)은 제4 센싱 라인(SL4)을 통해서 전류 측정 소자(A)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측정부(110)로부터 측정된 측정 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측정부(110) 및 통신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부(130)는 측정부(110) 및 통신부(120)와 유선 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측정부(110)로부터 배터리 셀(10)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측정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배터리 셀(10) 또는 배터리 팩(1)에 대한 하나 이상의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배터리 관리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배터리 셀(10) 또는 배터리 팩(1)에 대한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20)를 통해서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청 정보는, 상기 배터리 셀(10)에 대한 상기 전압, 상기 전류, 및 상기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배터리 상태 정보이거나, 상기 배터리 팩(1)에 대한 상기 전압, 상기 전류, 및 상기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배터리 팩 진단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상태 정보는 배터리 셀(10)의 전압, 전류, 온도, SOC(State of Charge) 및 SOH(State of Health)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팩 진단 정보란, 배터리 팩(1) 자체에 대한 진단 정보이거나, 배터리 팩(1)에 구비된 구성요소들 각각에 대한 진단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팩 진단 정보에는 전압, 전류, 및 온도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한 배터리 팩(1)의 진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20)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정보 제공 요청의 요청 정보는 배터리 상태 정보로서, 배터리 셀(10)의 전압 정보 및 전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통신부(120)는 외부로부터 배터리 셀(10)의 전압 정보 및 전류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측정부(110)는 상기 통신부(120)가 수신한 정보 제공 요청에 포함된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배터리 셀(10) 또는 상기 배터리 팩(1)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측정부(110)로부터 수신한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응답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응답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제어부(130)는,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 및 복수의 통신 채널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통신 채널이란, 제어부(130)가 생성한 응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여러 통신 채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가 연결되어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채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일정 데이터양 이상이거나,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일부가 이미 점유되어 사용되고 있는 지에 대한 여부 등을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통신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통신 채널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채널 및 CAN FD(Controller Area Network with Flexible Data rate)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AN 채널은 CAN 통신을 위한 채널이고, CAN FD 채널은 CAN FD 통신을 위한 채널일 수 있다.
또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은 요청 정보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은 요청 정보에 따라 2 Byte 또는 3 Byte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 및 개수를 고려하여,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선택된 통신 채널의 종류 및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에 기반하여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되는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CAN 통신 및 CAN FD 통신 모두, 별도의 호스트 장치 없이, ECU 등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 설계된 통신 규격이다. 따라서, CAN 통신과 CAN FD는 별개의 통신 규격으로서, CAN 통신과 CAN FD 통신에서 사용되는 패킷의 구조도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가 복수의 통신 채널 중 CAN 채널을 선택했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30)는 CAN 채널에 대응되는 패킷 구조를 갖는 메시지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30)가 복수의 통신 채널 중 CAN FD 채널을 선택했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30)는 CAN FD 채널에 대응되는 패킷 구조를 갖는 메시지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생성된 메시지 패킷을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서 상기 선택된 통신 채널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가 선택한 통신 채널의 종류와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에 대응되도록 생성한 메시지 패킷은, 선택된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될 패킷일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선택한 통신 채널의 종류에 대응되는 패킷 구조를 갖도록 메시지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통신부(120)에게 패킷 전송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로부터 패킷 전송 명령을 수신한 통신부(120)는, 제어부(130)가 선택한 통신 채널에 제어부(130)가 생성한 메시지 패킷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가 CAN FD 채널을 선택하였고, CAN FD 채널에 대응되는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였다고 가정한다. 통신부(120)는 제어부(130)로부터 패킷 전송 명령을 수신하면, CAN FD 채널에 상기 생성된 메시지 패킷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통신 채널의 상태 및 응답 정보에 기반하여, 적절한 통신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배터리 셀(10)의 상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복수의 통신 채널 각각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채널을 통해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배터리 관리 장치는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최적의 통신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다양한 응답 정보의 송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배터리 관리 장치(100)에 구비된 제어부(130)는 본 발명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제어 로직들을 실행하기 위해 당업계에 알려진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로직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기 제어부(130)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램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부(1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제어부(13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제어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응답 정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요청 정보에 배터리 상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응답 정보에 대해 설명한다.
예컨대, 통신부(120)가 수신한 정보 제공 요청에 배터리 셀(10)의 전압 요청 정보, 전류 요청 정보, 및 온도 요청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제어부(130)는 측정부(110)로부터 수신한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배터리 셀(10)에 대한 배터리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상태 정보에는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되는 전압 정보, 전류 정보, 및 온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된 배터리 셀(10)의 전압 정보, 전류 정보, 및 온도 정보가 응답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측정부(110)로부터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상기 측정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측정부(110)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를 해석 및 판독하여, 배터리 셀(10)의 전압 정보, 전류 정보, 및 온도 정보에 대응되는 디지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부(120)가 수신한 정보 제공 요청에 배터리 셀(10)의 SOC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배터리 셀(10)의 SOC는 측정부(110)에 의해 직접적으로 측정될 수 없기 때문에, 제어부(130)는 측정부(110)로부터 수신한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배터리 셀(10)의 SOC를 추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배터리 셀(10)의 전압 및 온도에 기반하여 배터리 셀(10)의 SOC를 추정하거나, 충방전 시간에 따른 전류량을 적산하여 배터리 셀(10)의 SOC를 추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추정한 배터리 셀(10)의 SOC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통신부(120)가 수신한 정보 제공 요청에 배터리 셀(10)의 SOH가 포함된 경우에도, 제어부(130)는 측정부(110)로부터 수신한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배터리 셀(10)의 SOH를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추정한 배터리 셀(10)의 SOH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요청 정보에 배터리 팩 진단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응답 정보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130)는 측정부(110)로부터 수신한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팩(1)에 대응되는 진단 코드(Diagnostic Trouble Code, DTC)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진단 코드는 기설정된 진단 테이블을 참조하여 생성되는 것으로서, 기호, 알파벳 등의 문자 및/또는 숫자로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셀(10)의 전압에 대한 진단 코드는 배터리 셀(10)의 전압에 대한 진단 테이블을 참조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생성된 진단 코드에 기반하여 상기 배터리 팩(1)의 상태 변동에 관한 상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 정보란, 제어부(130)가 생성한 진단 코드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는 상기 배터리 팩(1)의 상태 변동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태 정보란, 측정부(110)에 의해서 측정된 결과에 기반하여 판단된 배터리 팩(1)의 상태가 결함 패턴인지, 정상 패턴인지 또는 치유 패턴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생성된 진단 코드 및/또는 결정된 상태 정보가 포함된 응답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응답 정보에는 진단 코드 및 상태 정보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된 응답 정보에는, 배터리 팩(1)에 구비된 배터리 셀(10)의 현재 전압이 고전압이라는 진단 코드와, 배터리 셀(10)의 전압이 계속 증가하여 배터리 팩(1)의 결함이 증가되고 있는 결함 패턴이라는 상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부(110)는,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되는 배터리 팩(1)의 상태를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 회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팩(1)의 상태는, 배터리 팩(1)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측정부(110)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설정된 사이클마다 배터리 팩(1)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팩(1)이 차량에 구비된 경우, 측정부(110)는 드라이빙 사이클(Driving cycle)마다 배터리 팩(1)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측정부(110)는 3회 이상 배터리 팩(1)의 상태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복수 회 측정된 배터리 팩(1)의 상태 각각에 대해서 진단 코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측정부(110)가 배터리 팩(1)의 상태를 측정할 때마다, 측정된 배터리 팩(1)의 상태에 대한 진단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시점, 제2 시점 및 제3 시점은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선택된 시점이라고 가정한다. 측정부(110)는 제1 시점, 제2 시점 및 제3 시점에서 배터리 셀(10)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시점에서 측정된 배터리 셀(10)의 전압에 기반한 제1 진단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2 시점에서 측정된 배터리 셀(10)의 전압에 기반한 제2 진단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3 시점에서 측정된 배터리 셀(10)의 전압에 기반한 제3 진단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생성된 복수의 진단 코드의 변동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앞선 실시예와 같이 제어부(130)가 시간의 순서에 따라 배터리 셀(10)의 전압에 대한 제1 진단 코드, 제2 진단 코드 및 제3 진단 코드를 생성하였다고 가정한다. 제어부(130)는 제1 진단 코드, 제2 진단 코드 및 제3 진단 코드를 변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시간의 순서에 따라 배터리 셀(10)의 전압이 증가하고 있는지 또는 감소하고 있는지에 대한 전압 변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분석한 복수의 진단 코드의 패턴에 기반하여, 배터리 팩(1)의 상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배터리 팩(1)의 상태 정보를 결함 패턴, 치유 패턴 및 정상 패턴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배터리 팩(1)의 상태 정보를 완전 결함 패턴, 결함 진행 패턴, 정상 패턴, 치유 진행 패턴 및 완전 치유 패턴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완전 결함 패턴은 배터리 팩(1)의 구성요소 일부 또는 전부가 완전히 고장난 상태로서, 시간이 흐르더라도 정상 상태로 회복될 가능성이 없는 패턴일 수 있다.
결함 진행 패턴은 배터리 팩(1)의 구성요소 일부 또는 전부의 결함이 진행되는 패턴으로서, 배터리 팩(1)의 상태 정보가 완전 결함 패턴으로 결정되기 전의 상태일 수 있다.
정상 패턴은 배터리 팩(1)의 모든 구성요소가 정상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패턴일 수 있다.
치유 진행 패턴은 배터리 팩(1)의 구성요소 일부 또는 전부가 결함 상태에서 점차 정상 상태로 변동되는 패턴일 수 있다.
완전 치유 패턴은 배터리 팩(1)의 구성요소 일부 또는 전부가 결함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완전히 회복된 패턴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배터리 팩(1)의 진단 코드에 따른 현재 상태뿐만 아니라, 복수 회 측정된 배터리 팩(1)의 상태 정보에 기반한 상태 변동 패턴 정보가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팩(1)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응답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기준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생성된 복수의 진단 코드에 따른 배터리 팩(1)의 상태 변동 정도를 수치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준 테이블에는 생성된 진단 코드에 따라 배터리 팩(1)의 상태 변동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는 복수의 기준 범위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생성한 진단 코드를 상기 기준 테이블에 대입하여, 배터리 팩(1)의 상태 변동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다.
예컨대, 기준 테이블을 참조하여 수치화된 배터리 팩(1)의 상태 변동 정도는 -128 내지 127에 속할 수 있다. 여기서, 수치화된 상태 변동 정도가 0이면 배터리 팩(1)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수치화된 상태 변동 정도가 127에 가까울수록 배터리 팩(1)의 상태는 결함 정도가 증가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수치화된 상태 변동 정도가 -128에 가까울수록 배터리 팩(1)의 상태는 결함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회복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치화된 상태 변동 정보에 대한 증감 패턴을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팩(1)의 수치화된 상태 변동 정보가, 제1 시점에서 0이고, 제2 시점에서 50이고, 제3 시점에서 127이라고 가정한다. 제어부(130)는 제1 시점, 제2 시점 및 제3 시점에서의 수치화된 상태 변동 정보의 크기 변화에 기반하여, 배터리 팩(1)의 수치화된 상태 변동 정보의 증감 패턴을 증가 패턴으로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앞선 실시예와 같이 제어부(130)가 상기 증감 패턴을 증가 패턴으로 분석한 경우, 제어부(130)는 배터리 팩(1)의 결함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3 시점에서의 수치화된 상태 변동 정보가 127인 경우, 제어부(130)는 배터리 팩(1)의 상태가 완전 결함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배터리 팩(1)의 상태 정보를 완전 결함 패턴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터리 팩(1)의 수치화된 상태 변동 정보가, 제1 시점, 제2 시점 및 제3 시점 모두에서 0인 경우, 제어부(130)는 배터리 팩(1)의 상태가 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배터리 팩(1)의 상태 정보를 정상 패턴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배터리 팩(1)의 수치화된 상태 변동 정보가, 제1 시점에서 0이고, 제2 시점에서 50이고, 제3 시점에서 -30이라고 가정한다. 제어부(130)는 배터리 팩(1)의 수치화된 상태 변동 정보의 증감 패턴을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패턴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배터리 팩(1)의 상태 정보를 치유 진행 패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정리하면, 수치화된 상태 변동 정보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면, 제어부(130)는 배터리 팩(1)의 상태 정보를 완전 결함 패턴 또는 결함 진행 패턴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수치화된 상태 변동 정보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면, 제어부(130)는 배터리 팩(1)의 상태 정보를 완전 치유 패턴 또는 치유 진행 패턴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수치화된 상태 변동 정보가 0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면, 제어부(130)는 배터리 팩(1)의 상태 정보를 정상 패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수치화된 상태 변동 정보가 최대값(예컨대, 127)이면, 제어부(130)는 배터리 팩(1)의 상태 정보를 완전 결함 패턴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수치화된 상태 변동 정보가 최소값(예컨대 -128)이면, 제어부(130)는 배터리 팩(1)의 상태 정보를 완전 치유 패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생성한 진단 코드와 결정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정보를 통신부(120)를 통해서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배터리 팩(1)에 대한 진단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요청 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팩 진단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한 진단 코드 및 결정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정보를 통신부(120)를 통해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배터리 팩(1)에 대한 결함 진행 정도 또는 치유 진행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배터리 관리 장치(100)가 생성한 배터리 팩(1)에 대한 응답 정보에 기반하여, 다음 시점에서의 배터리 팩(1)의 상태가 추정 또는 예상될 수 있으므로, 배터리 팩(1)의 관리가 보다 수월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되는 메시지 패킷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에 기반하여 상기 메시지 패킷에 요구되는 패킷 데이터양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란 응답 정보에 대한 데이터 크기일 수 있다. 예컨대, 응답 정보마다 고정된 데이터 크기가 요구될 수 있다.
만약, 정보 제공 요청에 포함된 요청 정보가 배터리 셀(10)의 전압 정보, 전류 정보 및 온도 정보이고,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된 응답 정보 각각의 데이터 크기가 2 Byte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정보 제공 요청에 포함된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응답 정보의 총 데이터양은 6 Byte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정보 제공 요청에 포함된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응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응답 정보의 총 데이터양에 기반하여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기 전에 메시지 패킷에 요구되는 패킷 데이터양을 미리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기 전에 미리 패킷 데이터양을 산출하여, 메시지 패킷에 필요한 메모리를 할당한 후, 메시지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산출된 패킷 데이터양에 대한 패킷 크기 정보, 패킷 식별 정보, 및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가 포함되도록 상기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패킷 데이터양은 메시지 패킷의 총 데이터양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킷 식별 정보는,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일 수 있다. 즉, 패킷 식별 정보란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되는 서비스 ID(Identification)일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20)가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경우, 응답 정보에 대응되는 패킷 식별 정보는 0x22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측은 메시지 패킷에 포함된 패킷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메시지 패킷의 최종 수신처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관리 장치(100), 특히, 통신부(120)에게 요청 정보에 대한 정보 제공 요청을 송신한 외부 장치는, 통신부(120)를 통해 출력된 메시지 패킷을 수신하고, 메시지 패킷에 포함된 패킷 식별 정보가 0x22이면, 해당 메시지 패킷이 자신이 요청한 정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장치는 해당 메시지 패킷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에 기반하여 통신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증가될수록, 메시지 패킷의 총 데이터양 또한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기 전에,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을 파악하고, 통신 채널을 선택하며, 통신 채널의 종류 및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에 대응되는 메시지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에 대응되는 통신 채널이 선택되고, 이에 대응되는 메시지 패킷이 생성되기 때문에, 응답 정보 전송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패킷은, 상기 패킷 크기 정보가 기록되는 패킷 크기 정보 영역, 상기 패킷 식별 정보가 기록되는 패킷 식별 정보 영역, 및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가 기록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가 생성할 수 있는 메시지 패킷의 예시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기본적으로 메시지 패킷은 패킷 크기 정보 영역, 패킷 식별 정보 영역, 및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8 Byte 크기의 패킷일 수 있다. 여기서, 패킷 크기 정보 영역이란, 메시지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 총량에 대한 DLC(Data Length Code)가 기록되는 영역일 수 있다.
패킷 크기 정보 영역은 메시지 패킷의 총 데이터양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이다. 예컨대, 패킷 크기 정보 영역의 크기는 1 Byte 또는 2 Byte로 할당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패킷 크기 정보 영역의 크기가 2 Byte로 고정 할당된 것으로 설명한다.
패킷 크기 정보 영역의 크기는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130)는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을 먼저 산출한 후, 패킷 크기 정보 영역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패킷 식별 정보 영역은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이다. 그리고, 데이터 영역은 응답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이다. 예컨대, 앞선 실시예와 같이, 정보 제공 요청에 요청 정보가 포함된 경우, 패킷 식별 정보 영역에는 0x22 라는 패킷 식별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즉, 패킷 식별 정보 영역은 데이터양이 고정 할당된 영역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패킷 식별 정보 영역의 데이터양은 1 Byte 또는 2 Byte로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의 실시예에서, 패킷 식별 정보 영역에 1 Byte가 할당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의 실시예와 달리, 패킷 식별 정보 영역에 2 Byte가 할당될 수도 있다.
데이터 영역에는 응답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데이터양은 제어부(130)가 생성한 응답 정보의 총 데이터양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패킷 크기 정보 영역, 상기 패킷 식별 정보 영역, 및 상기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양에 기반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양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응답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생성한 응답 정보의 총 데이터양에 기반하여,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양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양 및 패킷 식별 정보 영역의 데이터양을 합산하고, 패킷 크기 정보 영역에 기록될 패킷 크기 정보의 데이터양을 더 합산하여, 메시지 패킷에 요구되는 패킷 데이터양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의 실시예에서, 패킷 크기 정보 영역의 데이터양이 2 Byte이고, 패킷 식별 정보 영역의 데이터양이 1 Byte이고,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양이 5 Byte라고 가정한다. 제어부(130)는 각각의 영역의 데이터양을 모두 합산하여, 패킷 데이터양을 8 Byte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응답 정보의 개수가 복수인 경우, 상기 데이터 영역에 상기 복수의 응답 정보의 개수에 대응되는 구분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복수의 응답 정보 각각을 구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분 정보는, 복수의 응답 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더미 데이터일 수 있다. 수신 측이 수신한 메시지 패킷에서 복수의 응답 정보 각각을 용이하게 획득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부(130)는 데이터 영역에 복수의 응답 정보의 개수에 대응되는 구분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즉, 구분 정보는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 정보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구분 식별자일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가 생성한 응답 정보가 배터리 셀(10)의 전압 정보 및 SOC 정보이고,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은 각각 2 Byte라고 가정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영역 5 Byte 중 4 Byte가 응답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4번 Byte 및 5번 Byte에 배터리 셀(10)의 전압 정보를 기록하고, 6번 Byte에 구분 정보를 기록하며, 7번 Byte 및 8번 Byte에 배터리 셀(10)의 SOC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복수의 응답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 패킷을 송신해야 하는 상황에서, 수신 측이 복수의 응답 정보 각각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메시지 패킷에 구분 정보를 더 포함시킴으로써, 응답 정보가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은, 제1 통신 채널 및 제2 통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채널은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응답 정보의 최대 데이터양이 소정의 제1 기준량 이하로 설정된 통신 채널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통신 채널은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응답 정보의 최대 데이터양이 상기 소정의 제1 기준량보다 큰 소정의 제2 기준량 이하로 설정된 통신 채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통신 채널은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메시지 패킷의 총 데이터양이 제2 통신 채널이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메시지 패킷의 총 데이터양 보다 적게 설정된 채널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통신 채널은 CAN 채널이고, 제2 통신 채널은 CAN FD 채널일 수 있다. CAN FD 채널은 CAN 채널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된 통신 규격으로, 최대로 포함할 수 있는 데이터양이 CAN 채널보다 큰 통신 채널이다. 예컨대, CAN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패킷에 포함될 수 있는 데이터양이 최대 8 Byte라면, CAN FD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패킷에 포함될 수 있는 데이터양은 최대 64 Byte일 수 있다. 또한, 응답 정보는 CAN 통신 및 CAN FD 통신에서의 DID(Data Identifier)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20)는 제1 통신 채널 및 제2 통신 채널 모두에 연결되고, 양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가 통신 BUS(400)에 연결된 예시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통신 BUS(400)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가 통신 BUS(4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통신부(120)는 통신 BUS(400)를 통해서,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메시지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BUS(400)에는 복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ECU는 차량에 포함된 ECU일 수 있다. ECU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ECU에는 ACU(Airbag Control Unit), BCM(Body Control Module), ECU(Engine Control Unit), PCM(Powertrain Control Module),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ABS(Anti-lock Braking System),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HPCU(Hybrid Power Control Unit),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및 MCU(Motor Control Uni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차량에 포함된 ECU 중에서 BMS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통신 BUS(400)에 제1 ECU(200) 및 제2 ECU(300)가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통신 BUS(400)에는 상술한 복수의 ECU가 모두 병렬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4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복수의 ECU 및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통신 BUS(400)에 병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통신 채널은 복수의 단말(ECU 및 배터리 관리 장치(100)) 각각을 일 대 일로 연결하는 Point-To-Point 방식의 채널이 아니라, 하나의 통신 BUS(400)에 복수의 단말이 병렬적으로 연결되는 Multi Master 방식의 채널일 수 있다.
통신 BUS(400)에는 제1 통신 채널에 대응되는 메시지 패킷 및 제2 통신 채널에 대응되는 메시지 패킷이 모두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통신 채널에 대응되는 메시지 패킷은 제1 통신 채널에 연결이 가능한 ECU에서 수신할 수 있으며, 제2 통신 채널에 대응되는 메시지 패킷은 제2 통신 채널에 연결이 가능한 ECU에서 수신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제1 통신 채널 및 제2 통신 채널에 모두 연결 가능하므로, 제1 통신 채널에 대응되는 메시지 패킷 및 제2 통시 채널에 대응되는 메시지 패킷을 모두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20)를 통하여 제1 통신 채널 및 제2 통신 채널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 및 복수의 통신 채널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에 가장 적절한 통신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상기 소정의 제1 기준량 이하이면,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의 실시예에서, 소정의 제1 기준량은 4 Byte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4 Byte 이하이면, 생성된 응답 정보는 도 3의 메시지 패킷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130)는 제1 통신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생성한 응답 정보가 도 3에 도시된 하나의 메시지 패킷에 포함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상기 소정의 제1 기준량을 초과하고, 상기 소정의 제2 기준량 이하이면,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통신 채널은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제1 기준량 이상 제2 기준량 이하인 채널일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가 생성한 하나의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2 Byte이고, 응답 정보의 개수가 3개 이상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은 제1 기준량인 4Byte를 초과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메시지 패킷에는 제어부(130)가 생성한 응답 정보가 모두 포함될 수 없기 때문에, 제어부(130)는 2개의 메시지 패킷을 생성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제1 기준량을 초과할 경우, 제어부(130)는 제2 통신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출력될 수 있는 메시지 패킷의 예시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출력될 수 있는 메시지 패킷의 최대 데이터양은 64 Byte일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20)가 수신한 요청 정보에 배터리 상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된 하나의 응답 정보의 크기가 2 Byte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출력될 수 있는 메시지 패킷에는 최대 20개의 응답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부(120)가 수신한 요청 정보에 배터리 팩 진단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된 하나의 응답 정보의 크기가 3 Byte일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실시예와 달리,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출력될 수 있는 메시지 패킷에는 최대 15개의 응답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제어부(130)가, 도 3에 도시된 메시지 패킷의 구성을 이용하여 각각의 크기가 2 Byte인 20개의 응답 정보에 대한 메시지 패킷을 생성한다고 하면, 총 10개의 메시지 패킷이 생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20개의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통신부(120)를 통해서 메시지 패킷을 10번 출력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생성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을 먼저 확인하고, 확인한 데이터양이 제1 기준량을 초과하면 메시지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 채널을 제2 통신 채널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앞선 실시예와 같이 제어부(130)가 생성한 응답 정보가 20개인 경우, 생성된 20개의 응답 정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메시지 패킷에 모두 기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시지 패킷의 데이터 영역에 20개의 응답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복수의 응답 정보 사이에 구분 정보를 포함시켜서, 수신 측에서 각각의 응답 정보를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에 기반하여, 유동적으로 적절한 통신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응답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배터리 관리 장치(100)가 차량에 구비된 경우, 차량 운행 중에는 응답 정보가 실시간으로 빠르게 전송되어야 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메시지 패킷의 구성을 이용하여 복수의 응답 정보를 전송하려면, 복수의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고 전송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생성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에 기반하여, 통신 채널을 유동적으로 선택함으로써, 복수의 응답 정보를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 통신 채널 및 상기 제2 통신 채널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생성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에만 기반하여 통신 채널을 선택하지 않고, 복수의 통신 채널 각각의 상태를 먼저 확인한 후, 응답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통신 BUS(400)에는 배터리 관리 장치(100)뿐만 아니라 제1 ECU(200) 및 제2 ECU(300)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제1 통신 채널 및 제2 통신 채널 각각의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제1 통신 채널 및 제2 통신 채널 중에서 현재 다른 ECU에 의해 사용 중인 통신 채널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제1 통신 채널 및 상기 제2 통신 채널 각각이 상기 응답 정보의 전송하는데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전송 예상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통신 채널은 연결된 다른 ECU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지만, 제2 통신 채널은 연결된 다른 ECU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통신 채널을 이용한 응답 정보의 전송 예상 시간이 제2 통신 채널을 이용한 응답 정보의 전송 예상 시간보다 짧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상기 전송 예상 시간이 짧은 통신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뿐만 아니라 복수의 통신 채널 각각의 상태를 모두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응답 정보가 수신 측으로 가장 빠르게 전송될 수 있는 통신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제어부(130)가 생성한 응답 정보의 개수가 20개라고 가정한다. 제어부(130)는 생성한 20개의 응답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제1 통신 채널을 이용할 경우에는 도 3의 메시지 패킷을 10개 생성해야 하지만, 제2 통신 채널을 이용할 경우에는 도 5의 메시지 패킷을 1개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제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10개의 메시지 패킷을 전송할 때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전송 예상 시간과, 제2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1개의 메시지 패킷을 전송할 때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전송 예상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제1 통신 채널은 연결된 다른 ECU들이 사용하고 있지 않아서, 제어부(130)가 통신부(120)를 통해 10개의 메시지 패킷을 즉시 출력할 수 있지만, 제2 통신 채널은 연결된 다른 ECU들이 사용하고 있고, 제2 통신 채널의 버퍼에도 전송되어야 할 복수의 메시지 패킷이 저장되어 있다면, 제어부(130)는 제1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생성한 10개의 메시지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생성한 응답 정보의 데이터 양 및 복수의 통신 채널 각각의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응답 정보를 최단 시간 내에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복수의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응답 정보를 수신 측에게 가장 빠르게 제공할 수 있는 통신 채널을 유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출력될 수 있는 메시지 패킷의 다른 예시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제2 통신 채널에 대한 메시지 패킷의 다른 예시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패킷 식별 정보 영역에 2 Byte가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응답 정보 각각의 크기는 3 Byte일 수 있다. 데이터 영역에서 복수의 응답 정보 사이에는 1 Byte 크기의 구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데이터 영역에 15개의 응답 정보와 15개의 구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5의 실시예에서 응답 정보는 배터리 상태 정보이고, 도 6의 실시예에서 응답 정보는 배터리 팩 진단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도 3의 메시지 패킷 구조를 이용하여 도 6의 15개의 응답 정보를 송신하고자 할 경우에는, 총 15개의 메시지 패킷이 생성되어야 하고,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서 총 15번의 메시지 패킷 출력을 명령해야 한다. 이 경우, 도 6의 메시지 패킷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복수의 메시지 패킷을 송신하는데 소요되는 통신 시간이 현저하게 많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송신해야 할 데이터양을 고려하여 통신 채널을 선택하기 때문에, 통신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상기 소정의 제1 기준량을 초과하지만 상기 제1 통신 채널이 선택된 경우, 하나의 메시지 패킷 및 복수의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부(130)는,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소정의 제1 기준량을 초과하면, 응답 정보의 전송 효율을 위하여 제2 통신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통신 채널은 도 5에 도시된 메시지 패킷이 전송될 수 있는 채널이므로, 제어부(130)는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소정의 제1 기준량을 초과하면, 제2 통신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30)는,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소정의 제1 기준량을 초과하지만, 제2 통신 채널이 이미 다른 ECU에 의해 사용 중이어서 제2 통신 채널을 이용할 때의 전송 예상 시간이 제1 통신 채널을 이용할 때의 전송 예상 시간 보다 큰 경우에는, 응답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채널로 제1 통신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수신 측에게 응답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의 메시지 패킷과 복수의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 패킷은, 도 3에 도시된 메시지 패킷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패킷은, 제어부(130)가 생성한 복수의 응답 정보 중 상기 메시지 패킷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되지 못한 응답 정보가 저장되는 패킷일 수 있다. 메시지 패킷과 데이터 패킷에 대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출력될 수 있는 메시지 패킷의 예시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메시지 패킷과 데이터 패킷의 가장 큰 차이는, 데이터 패킷에는 메시지 패킷에 포함된 패킷 크기 정보 영역 및 패킷 식별 정보 영역이 포함되지 않는 점이다. 즉, 데이터 패킷은 메시지 패킷에 포함되지 못한 응답 정보를 보다 많이 포함하기 위하여, 패킷 크기 정보 영역 및 패킷 식별 정보 영역을 생략한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도 7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30)가 18개의 응답 정보를 생성하였고, 각각의 응답 정보의 크기는 2 Byte라고 가정한다. 앞서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시지 패킷의 데이터 영역에는 구분 정보를 포함하여 최대 2개의 응답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나머지 16개의 응답 정보는 데이터 패킷에 저장될 수 없다.
이 경우, 제어부(130)가 도 3의 메시지 패킷을 이용하면, 나머지 16개의 응답 정보를 위해서 8개의 메시지 패킷을 더 생성해야 한다. 반면, 제어부(130)가 도 7의 데이터 패킷을 이용하면, 상기 나머지 16개의 응답 정보를 위해서 7개의 데이터 패킷을 더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생성한 응답 정보의 크기가 제1 기준량을 초과하였지만, 복수의 통신 채널을 확인한 결과에 기반하여 제1 통신 채널을 선택한 경우라면, 생성한 응답 정보의 신속한 전송을 위하여 하나의 메시지 패킷과 복수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생성된 복수의 데이터 패킷의 순번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생성한 복수의 데이터 패킷의 플로우 컨트롤을 위하여 복수의 데이터 패킷 각각에 순번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데이터 패킷에 순번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수신 측에게 순차적으로 복수의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순서에 따라 판독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이유로, 복수의 데이터 패킷의 전송 순서가 뒤바뀐 경우, 수신 측은 제어부(130)가 생성한 응답 정보를 정확하게 판독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생성한 복수의 데이터 패킷에 순번을 설정하고, 설정한 순번을 데이터 패킷의 순번 영역에 기록할 수 있다. 수신 측은 메시지 패킷 및 복수의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 복수의 데이터 패킷 각각에 포함된 순번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응답 정보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도 7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패킷의 시작 영역에는 순번 정보가 기록되는 순번 영역이 포함되고, 순번 영역 다음으로는 응답 정보가 기록되는 데이터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순번 정보가 21인 데이터 패킷과 순번 정보가 22인 데이터 패킷이 수신 측에 전송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수신 측은 순번 정보가 21인 데이터 패킷의 8번 Byte와 순번 정보가 22인 데이터 패킷의 2번 Byte에 기록된 데이터를 연결하여 제7 상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데이터 패킷에 순번 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상황에서, 복수의 데이터 패킷의 수신 순서가 변경되었다면, 수신 측은 제7 상태 정보를 정확하게 판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복수의 응답 정보에 대한 정확한 전송을 위하여, 복수의 데이터 패킷 각각에 순번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상기 통신부(120)를 제어하여, 설정된 순번에 따라 상기 생성된 메시지 패킷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제어하여 제1 통신 채널을 통해서, 메시지 패킷을 먼저 출력시킨 후, 설정한 순번에 따라 복수의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패킷과 복수의 데이터 패킷은 출력된 순차에 따라 수신 측에 도달할 수 있으며, 통신 과정에서의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설정된 순번에 따라 수신 측은 제어부(130)가 생성한 응답 정보를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BMS는, 상술한 배터리 관리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배터리 관리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는, 종래 BMS에 포함된 구성의 기능을 보완하거나 추가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관리 장치(100)의 측정부(110), 통신부(120) 및 제어부(130)는 BMS의 구성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BMS는 배터리 관리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 외에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의 밸런싱을 수행하기 위한 밸런싱부 및 배터리 셀의 절연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절연저항 측정부 등을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배터리 관리 방법의 각 단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관리 방법은 정보 제공 요청 수신 단계(S100), 측정 단계(S200), 응답 정보 생성 단계(S300), 통신 채널 선택 단계(S400), 메시지 패킷 생성 단계(S500), 및 패킷 출력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요청 수신 단계(S100)는 배터리 셀(10)에 대한 하나 이상의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통신부(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배터리 관리 장치(100) 및 하나 이상의 ECU가 연결된 통신 BUS(4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20)는 통신 BUS(40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ECU로부터 요청 정보에 대한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 정보란 상기 배터리 셀(10)에 대한 상기 전압, 상기 전류, 및 상기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배터리 상태 정보이거나, 상기 배터리 팩(1)에 대한 상기 전압, 상기 전류, 및 상기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상태 정보에 기반한 상기 배터리 팩 진단 정보일 수 있다.
측정 단계(S200)는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포함된 요청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배터리 셀(10)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단계로서, 측정부(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측정부(110)는 온도 측정 유닛(111), 전압 측정 유닛(112), 및 전류 측정 유닛(113)을 이용하여, 배터리 셀(10)의 온도,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 제공 요청 수신 단계(S100)에서 통신부(120)가 수신한 정보 제공 요청에, 배터리 셀(10)에 대한 전압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측정부(110)는 전압 측정 유닛(112)을 이용하여 배터리 셀(10)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응답 정보 생성 단계(S300)는 상기 측정 단계(S200)에서 측정된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응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제어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측정부(110)가 측정한 배터리 셀(10)의 온도, 전압, 및 전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부(120)가 수신한 정보 제공 요청에 포함된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응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 채널 선택 단계(S400)는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 및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복수의 통신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로서, 제어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복수의 통신 채널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생성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과 통신부(120)가 연결 가능한 복수의 통신 채널 각각의 상태를 고려하여, 생성한 응답 정보를 수신 측에 제공하기 위한 통신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앞서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생성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소정의 제1 기준량 이하이면,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제1 통신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생성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소정의 제1 기준량을 초과하고, 소정의 제2 기준량 이하이면,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제2 통신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메시지 패킷 생성 단계(S500)는 선택된 통신 채널의 종류 및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에 기반하여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되는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제어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선택한 통신 채널의 종류와 생성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을 모두 고려하여, 선택한 통신 채널을 통해 출력시킬 메시지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소정의 제1 기준량이 4 Byte이고, 소정의 제2 기준량이 64 Byte인 것으로 가정한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제1 통신 채널이 선택되고,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4 Byte 이하이면, 제어부(130)는 최대 8 Byte의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는 메시지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제2 통신 채널이 선택되고,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4 Byte를 초과하면, 제어부(130)는 최대 64 Byte의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는 메시지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7을 참조하면,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4 Byte를 초과하더라도, 복수의 통신 채널 각각의 상태를 고려하여 제1 통신 채널이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최대 8 Byte의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는 메시지 패킷과 더불어 순번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패킷 출력 단계(S600)는 생성된 메시지 패킷을 상기 선택된 통신 채널로 출력시키는 단계로서, 제어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생성한 메시지 패킷이 선택한 통신 채널로 출력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된 메시지 패킷은 제어부(130)에 의해 선택된 통신 채널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생성한 메시지 패킷과 복수의 데이터 패킷이 선택한 통신 채널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된 메시지 패킷과 복수의 데이터 패킷은 제어부(130)에 의해 선택된 통신 채널로 출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 배터리 팩
10: 배터리 셀
100: 배터리 관리 장치
110: 측정부
120: 통신부
130: 제어부
200: 제1 ECU
300: 제2 ECU
400: 통신 BUS
A: 전류계
SL1 내지 SL4: 제1 내지 제4 센싱 라인

Claims (11)

  1.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팩에 대한 하나 이상의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정보 제공 요청에 포함된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배터리 셀 또는 상기 배터리 팩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측정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한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응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 및 복수의 통신 채널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 채널을 선택하며, 선택된 통신 채널의 종류 및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에 기반하여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되는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 패킷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선택된 통신 채널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에 기반하여 상기 메시지 패킷에 요구되는 패킷 데이터양을 산출하고, 산출된 패킷 데이터양에 대한 패킷 크기 정보, 패킷 식별 정보, 및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가 포함되도록 상기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패킷 식별 정보는,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패킷은,
    상기 패킷 크기 정보가 기록되는 패킷 크기 정보 영역, 상기 패킷 식별 정보가 기록되는 패킷 식별 정보 영역, 및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가 기록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킷 크기 정보 영역, 상기 패킷 식별 정보 영역, 및 상기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양에 기반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양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 정보의 개수가 복수인 경우, 상기 데이터 영역에 복수의 응답 정보의 개수에 대응되는 구분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복수의 응답 정보 각각을 구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은,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응답 정보의 최대 데이터양이 소정의 제1 기준량 이하로 설정된 제1 통신 채널; 및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응답 정보의 최대 데이터양이 상기 소정의 제1 기준량보다 큰 소정의 제2 기준량 이하로 설정된 제2 통신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상기 소정의 제1 기준량 이하이면,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상기 소정의 제1 기준량을 초과하고, 상기 소정의 제2 기준량 이하이면,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 상기 제2 통신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채널 및 상기 제2 통신 채널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제1 통신 채널 및 상기 제2 통신 채널 각각이 상기 응답 정보의 전송하는데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전송 예상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전송 예상 시간이 짧은 통신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이 상기 소정의 제1 기준량을 초과하지만 상기 제1 통신 채널이 선택된 경우,
    하나의 메시지 패킷 및 복수의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의 데이터 패킷의 순번을 설정하며,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설정된 순번에 기반하여 상기 생성된 메시지 패킷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설정된 순번 정보가 기록되는 순번 영역 및 상기 응답 정보가 기록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정보는,
    상기 배터리 셀에 대한 상기 전압, 상기 전류, 및 상기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배터리 상태 정보이거나, 상기 배터리 팩에 대한 상기 전압, 상기 전류, 및 상기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배터리 팩 진단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11.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팩에 대한 하나 이상의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정보 제공 요청 수신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포함된 요청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배터리 셀 또는 상기 배터리 팩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
    상기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응답 정보를 생성하는 응답 정보 생성 단계;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 및 복수의 통신 채널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통신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 채널을 선택하는 통신 채널 선택 단계;
    선택된 통신 채널의 종류 및 상기 생성된 응답 정보의 데이터양에 기반하여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대응되는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는 메시지 패킷 생성 단계; 및
    생성된 메시지 패킷을 상기 선택된 통신 채널로 출력시키는 패킷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방법.
KR1020200113326A 2019-09-25 2020-09-04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10036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544932A JP7136412B2 (ja) 2019-09-25 2020-09-25 バッテリー管理装置及び方法
EP20870249.8A EP3996336A4 (en) 2019-09-25 2020-09-25 APPARATUS AND METHOD FOR BATTERY MANAGEMENT
US17/439,364 US20220158255A1 (en) 2019-09-25 2020-09-25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PCT/KR2020/013028 WO2021060900A1 (ko) 2019-09-25 2020-09-25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CN202080032035.7A CN113748556A (zh) 2019-09-25 2020-09-25 电池管理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316 2019-09-25
KR20190118316 2019-09-25
KR20190125479 2019-10-10
KR1020190125479 2019-10-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258A true KR20210036258A (ko) 2021-04-02

Family

ID=7546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326A KR20210036258A (ko) 2019-09-25 2020-09-04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36258A (ko)
CN (1) CN11374855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45339A (zh) * 2022-04-07 2022-07-12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多包报文数据的传输方法、传输装置和传输系统
CN115065573A (zh) * 2022-05-20 2022-09-16 杭州高特电子设备股份有限公司 基于can总线分时复用的电池管理系统通信方法
WO2022215962A1 (ko) * 2021-04-08 2022-10-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23013968A1 (ko) * 2021-08-04 2023-02-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정보 요청 장치 및 방법
WO2023075312A1 (ko) * 2021-11-01 2023-05-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정보 압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637B1 (ko) 2014-11-03 2015-1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데이터량 증대로 통신속도 개선을 위한 can 통신 방법 및 데이터 프레임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896B1 (ko) * 2004-12-15 2011-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상태 제어장치와 제어 방법
US20120173900A1 (en) * 2010-11-03 2012-07-05 Broadcom Corporation Providing power over ethernet within a vehicular communication network
KR101596759B1 (ko) * 2014-11-26 2016-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이더넷 통신망에서의 시간 동기화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7188793A (ja) * 2016-04-06 2017-10-12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通信制御用コントローラ及び通信制御用システム
JP6916983B2 (ja) * 2016-11-01 2021-08-1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両用のバッテリ監視システム
KR20190046477A (ko) * 2017-10-26 2019-05-07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게이트웨이에서의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게이트웨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637B1 (ko) 2014-11-03 2015-1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데이터량 증대로 통신속도 개선을 위한 can 통신 방법 및 데이터 프레임 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5962A1 (ko) * 2021-04-08 2022-10-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23013968A1 (ko) * 2021-08-04 2023-02-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정보 요청 장치 및 방법
WO2023075312A1 (ko) * 2021-11-01 2023-05-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정보 압축 장치 및 방법
CN114745339A (zh) * 2022-04-07 2022-07-12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多包报文数据的传输方法、传输装置和传输系统
CN114745339B (zh) * 2022-04-07 2023-10-20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多包报文数据的传输方法、传输装置和传输系统
CN115065573A (zh) * 2022-05-20 2022-09-16 杭州高特电子设备股份有限公司 基于can总线分时复用的电池管理系统通信方法
CN115065573B (zh) * 2022-05-20 2023-09-15 杭州高特电子设备股份有限公司 基于can总线分时复用的电池管理系统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48556A (zh)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6258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059076B1 (ko) 스위치 부품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JP4186916B2 (ja) 組電池管理装置
EP2538234A2 (en) Battery monitoring apparatus
US998794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battery management system
US20220158255A1 (en)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CN107634277A (zh) 一种基于无线通讯电芯的汽车云端电池管理系统
KR102421368B1 (ko) 전류 센서 에러 진단 장치 및 방법
US11888646B2 (en)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20220392278A1 (en) Diagnosis information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diagno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N207199787U (zh) 一种基于无线通讯电芯的汽车云端电池管理系统
US20220263328A1 (en)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and Battery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10058717A (ko) 멀티 배터리 팩에 포함된 스위치부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US20220407812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118155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failure of switch unit included in multi battery pack
US20240069107A1 (en) Battery information requesting apparatus and method
US120009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urn-on operation of switch units included in parallel multi-battery pack
US202201465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urn-on operation of switch units included in parallel multi-battery pack
KR20220015756A (ko)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9916A (ko) 배터리 상태 추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배터리 시스템
JP2024503298A (ja) バッテリー情報圧縮装置及び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