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222A -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222A
KR20210036222A KR1020190118444A KR20190118444A KR20210036222A KR 20210036222 A KR20210036222 A KR 20210036222A KR 1020190118444 A KR1020190118444 A KR 1020190118444A KR 20190118444 A KR20190118444 A KR 20190118444A KR 20210036222 A KR20210036222 A KR 20210036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portable terminal
pad
groov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6904B1 (ko
Inventor
이광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하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하기
Priority to KR1020190118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904B1/ko
Publication of KR20210036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4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with resilient means to eliminate extraneous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패드부; 상기 삽입부에 양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홈부에 놓여지며, 중앙부분이 구부러지거나 펼쳐져 상기 양 단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이 펼쳐진 경우, 상기 스트랩은 상기 패드부에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의 뒷면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되며 스트랩의 구부러짐 여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거치대 또는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무선충전이 가능하며 손가락을 걸었을 때 자판 입력에 불편함이 없고 외적 미관이 손상되지 않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MULTIPURPOSE HOLDER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 등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 무선충전이 가능하며 외적 미관이 손상되지 않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가 간편하면서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많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휴대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는 본래 이동통신 기능 이외의 TV, 영화감상, 카메라 등의 부가 기능을 추가하여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를 통해 데이터를 보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사용자가 잘 볼 수 있도록 적절한 각도로 유지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들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벽과 같은 곳에 기대어 세워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들고 있으면 어깨와 손목에 무리가 가게 되므로 장시간 그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며, 벽에 기대어 세우는 것은 장소에 제한을 받으므로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위와 같은 휴대 단말기를 어느 장소에서도 장시간 세울 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가 많이 개시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9629호는 다용도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스트랩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키는 발명이다. 본 등록특허는 한쪽 단부에 대해 반대쪽 단부가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이동함에 따라 중앙 부위가 구부러지거나 펼쳐지도록 동작하며, 반대쪽 단부에 스토퍼가 형성된 스트랩; 한쪽 면에 상기 스트랩을 배치한 상태로 한쪽 가장자리에 상기 스트랩의 한쪽 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스트랩이 펼쳐진 상태에서 반대쪽 가장자리에 상기 스트랩의 반대쪽 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스트랩이 배치되어 동작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패드; 및 상기 스트랩의 일부를 덮은 상태로 양쪽 단부가 상기 패드의 한쪽 면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랩의 동작을 안내하며, 상기 스트랩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를 걸어서 상기 스트랩의 근접 이동을 제한하는 스트랩 가이드; 상기 패드의 한쪽 가장자리에 인접한 출입구를 통해 카드를 수납하도록 상기 패드의 반대쪽 면에 형성되며, 상기 출입구가 상기 패드의 한쪽 가장자리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카드 포켓; 상기 스트랩의 반대쪽 단부가 이동하는 궤적을 따라 상기 패드에 절개되어 상기 카드 포켓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홀; 및 상기 가이드홀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카드 포켓 내의 카드 가장자리를 걸어서 상기 스트랩 가이드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카드 포켓으로부터 카드를 인출시키도록 상기 스트랩의 반대쪽 단부에 형성된 푸싱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의 한쪽 단부는 상기 패드의 한쪽 가장자리를 관통해서 상기 카드 포켓의 출입구 주변으로 인출된 상태로 상기 패드에 고정되고, 상기 카드 포켓의 출입구 주변을 향한 면에 돌출턱이 형성되며; 상기 패드는 2장의 패드용 시트 부재들 사이에 상기 패드용 시트 부재들과 함께 상기 돌출 영역을 형성하는 크기와 두께를 갖는 속부재를 배치한 상태로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스트랩 가이드는 상기 스트랩과 인접한 상기 패드용 시트 부재가 고리 형태로 부분 절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와 유사한 발명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581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9354호 등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발명들은 스트랩이 패드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휴대 단말기에 위 발명을 부착한 상태에서 스트랩을 펼치더라도 돌출 배치에 의해 휴대 단말기를 놓으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진다.
최근 휴대 단말기를 직접 전원에 연결하여 충전하는 것이 아니라 휴대 단말기를 충전기 상에 놓거나 거치시켜 충전하는 무선 충전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발명은 돌출된 스트랩 및 스트랩 상의 기타 구성에 의해 평평하지 않아 충전기 상에 기울어진 상태로 놓여지게 되므로 무선충전이 되지 않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발명들은 스트랩이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구부러지거나 펼쳐져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스트랩을 구부려 거치대 또는 손가락 걸이부를 형성하는 경우 이 거치대(손가락 걸이부)의 위치가 패드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치우쳐지게 된다. 사용자가 손가락 걸이부에 손가락을 걸어 휴대 단말기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하게 되는데, 손가락 걸이부에 손가락이 고정됨으로써 손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 때 일측으로 치우쳐진 거치대(손가락 걸이부)의 위치에 의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 상의 자판을 누르는데 불편함이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962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581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935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887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2074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의 뒷면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되며 스트랩의 구부러짐 여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거치대 또는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스트랩이 펼쳐진 경우 전체적으로 평평한 형상이 되도록 하여 무선충전도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는, 스트랩의 중앙부분이 구부러짐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어서 사용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자판을 입력시 최적의 손 위치가 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는, 외적 미관이 손상되지 않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는,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패드부; 상기 삽입부에 양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홈부에 놓여지며, 중앙부분이 구부러지거나 펼쳐져 상기 양 단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이 구부러진 경우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트랩이 펼쳐진 경우 상기 스트랩은 상기 패드부에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삽입부의 측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걸림홈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제1걸림홈부와 제2걸림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의 측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이 펼쳐진 경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걸림홈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트랩이 구부러진 경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2걸림홈부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에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부는 상기 돌기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 단부의 하면에는 제1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의 상기 삽입부 영역에는 제2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트랩은 투명의 연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드부의 타면에 결합되어 카드를 수납하도록 하는 카드 포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의 뒷면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되며 스트랩의 구부러짐 여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거치대 또는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가 제공된다.
또한, 스트랩이 펼쳐진 경우 전체적으로 평평한 형상이 되도록 하여 무선충전이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트랩의 중앙부분이 구부러짐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어서 사용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자판을 입력시 최적의 손 위치가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홈부를 제외한 일면의 영역이 모두 평평하여 패드에 디자인을 형성하여도 외적 미관이 손상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트랩의 돌기부의 함몰부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이동할 때 간섭이 최소화되어 이동이 용이하며, 또한 구부러졌을 때 그 형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랩과 패드의 요철에 의해 구부러졌을 때 그 형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A-A`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스트랩의 중앙 부위가 구부러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스트랩의 중앙 부위가 구부러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스트랩의 작동 관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사용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카드 포켓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요부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뒷면 또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되며 스트랩의 구부러짐 여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거치대 또는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무선충전이 가능하며 손가락을 걸었을 때 자판 입력에 불편함이 없고 외적 미관이 손상되지 않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1000)는, 패드부(100)와, 스트랩(200) 및 카드 포켓(300)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A-A`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평면도이다. 도 2의 (b)와 도 4의 점선은 패드부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패드부(1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1000)의 베이스가 되는 구성이다. 후술하는 카드 포켓(300)은 제조시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바, 카드 포켓(300)이 없는 경우 패드부(100)는 휴대 단말기(10)의 뒷면 또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20)의 뒷면에 접착된다. 카드 포켓(300)이 형성되는 경우 패드부(100)의 타면에는 카드 포켓(300)이 결합된다.
패드부(100)는 스트랩(200)이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가죽이나 천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패드부(100)는 대략 판형으로 마련되며 일면에는 내측(두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부(110)가 형성된다. 홈부(110)의 폭은 스트랩(200)의 폭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거나 홈부(110)의 폭이 스트랩(200)의 폭보다 미세하게 큰 것이 바람직하며 홈부(110)의 길이는 스트랩(20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홈부(110)는 패드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홈부(110)의 양 단부에는 삽입부(120)가 형성된다. 삽입부(120)는 스트랩(200)의 양 단부가 삽입되는 영역이다. 삽입부(120)는 홈부(110)의 양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따라서 홈부(110)와 삽입부(120)는 서로 연통된다.
패드부(100)는 홈부(110)를 제외한 영역은 평평하게 마련되며 따라서 삽입부(120)는 패드부(100)의 두께방향을 따른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빈 공간이다.
스트랩(200)의 양 단부가 패드부(100)에 삽입되며 스트랩(200)의 중앙부는 홈부(110)에 놓여진다. 즉 스트랩(200)의 중앙부만 외부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랩(200)이 펼쳐져 있을 때 스트랩(200)은 패드부(100)에 수용된다. 여기서 수용된다는 의미는 스트랩(200)의 양단부는 삽입부(120)에 삽입되며 중앙부는 홈부(110)에 놓여진 상태로서, 스트랩(200)이 패드부(100) 외부로 돌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홈부(110)를 제외한 패드부(100)의 영역이 평평하므로 스트랩(200)이 펼쳐졌을 때 전체적으로 평평해진다.
일반적으로 무선충전은 자기유도 방식과 자기공명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두 방식의 차이점은 크게 단말기와 충전기 간 접촉 여부이다. 대부분의 휴대 단말기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무선 충전기는 자기유도 방식이다. 자기유도 방식은 전력 송신부 코일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면 이 자기장이 수신부의 2차 코일에 유도돼 전류를 공급하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한 기술이다. 코일이 근접거리에 위치해야 가능하다. 자기유도 방식은 전력 전송 효율이 90% 이상으로 매우 높은 장점이 있지만, 수 cm 이상 떨어지거나 송신코일과 수신코일의 중심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으면 전력이 거의 전송되지 않을 정도로 효율이 급격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통상의 무선충전기는 자기유도 방식이다.
따라서, 통상의 무선충전기를 이용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와 무선충전기가 반드시 접촉되어야할 필요는 없지만, 이격거리가 짧아야 하며 휴대 단말기와 무선충전기가 정렬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패드부(100)의 홈부(110)를 제외한 영역이 평평하고 스트랩(200)이 펼쳐지면 스트랩(200)이 패드부(100)에 수용되므로, 스트랩(200)을 펼친 상태에서 무선 충전기에 휴대 단말기를 올려놓으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여 휴대 단말기와 무선충전기가 정렬되며, 따라서 무선충전에 방해가 되지 않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스트랩의 중앙 부위가 구부러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스트랩의 중앙 부위가 구부러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패드부의 스트랩의 작동 관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사용예시도이다.
스트랩(200)은 거치대 또는 손가락 걸이부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사용자가 스트랩(200)의 노출된 부분을 당기거나 밀어 스트랩(200)의 중앙부위가 구부러지거나 펼쳐지게 되며, 스트랩(200)의 양 단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을 한다.
스트랩(200)은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된다. 예시로 고무, 우레탄, 실리콘, 가죽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의 연질재질로 마련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트랩(200)의 측면에는 돌기부(21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부(210)는 4개가 형성된다.
한편 패드부(100)에는 걸림홈부(121)가 더 형성된다. 걸림홈부(121)는 삽입부(120)의 측부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걸림홈부(121)는 돌기부(21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걸림홈부(121)는 제1걸림홈부(121a)와 제2걸림홈부(121b)를 포함한다. 제1걸림홈부(121a)와 제2걸림홈부(121b)는 각 삽입부(120)에 한 쌍으로 마련되며, 패드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즉, 제1걸림홈부(121a)와 제2걸림홈부(121b)는 스트랩(200)의 단부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이격된다.
스트랩(200)이 펼쳐진 경우 돌기부(210)는 제1걸림홈부(121a)에 삽입되며, 스트랩(200)이 구부러진 경우 돌기부(210)는 제2걸림홈부(121b)에 삽입되어 그 형태가 유지된다. 돌기부(210)가 제2걸림홈부(121b)에 삽입됨으로써 스트랩(200)이 더이상 구부러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되며, 또한 구부러진 스트랩(200)이 소정 크기 이하의 힘에 의해서는 펼쳐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돌기부(210)에는 함몰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함몰부(211)는 스트랩(200)이 펼쳐지는 방향 쪽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반대 방향에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달리 걸림홈부(121)는 돌기부(2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스트랩(200)이 구부러져 볼록한 고리 모양의 공간이 되어 거치대 또는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는데, 스트랩(200)의 중앙부분이 구부러짐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 걸이부에 손가락을 걸어 휴대 단말기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할 때, 휴대 단말기의 자판을 입력시 최적의 손 위치가 된다.
즉 선행기술의 경우 스트랩이 일단부는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구부러지거나 펼쳐지는 등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스트랩을 구부려 거치대 또는 손가락 걸이부를 형성하는 경우 이 손가락 걸이부의 위치가 패드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치우쳐지게 된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의 보호케이스에 부착하는 방향에 따라 손가락 걸이부가 너무 아래에 위치하거나 너무 위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 상의 자판을 누르는데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스트랩(200)이 구부러지는 위치가 중앙 부분이므로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에 부착하는 방향과 관계없이 손가락을 걸어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때 휴대 단말기의 자판을 입력시 최적의 손 위치가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100)는 홈부(110)를 제외하고는 평평하게 마련되며, 스트랩(200)은 투명의 연질 재질로 마련된다. 홈부(110)를 포함하여 패드부(100) 전체에 디자인을 형성할 때 홈부(110)를 제외한 영역에는 어떠한 구성도 없으므로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홈부(110)에도 투명 재질의 스트랩(200)이 놓여지므로 스트랩(200)이 구부러지거나 펼쳐지는 작동 하에서도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외적 미관이 손상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돌기부(210)에 함몰부(211)가 형성되며 돌기부(210)는 연질 재질로 마련되므로, 홈부(110)와 삽입부(120)를 따라 스트랩(200)이 이동할 때 돌기부(210)가 압축되어(함몰부(211)에 의해 접혀져) 간섭이 최소화되어 이동되며, 돌기부(210)가 걸림홈부(121)에 위치되면 압축된 돌기부(210)가 복원되어 스트랩(200)의 이동이 보다 제한되며 스트랩(200)의 형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랩(200)의 중앙부분을 누르면 함몰부(211)에 의해 돌기부(210)가 압축되어 간섭이 최소화되면서 스트랩(200)이 펼쳐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카드 포켓 설명도이다.
카드 포켓(300)은 거치대와 손가락 걸이부 기능에 더하여 신용카드 등의 카드를 넣어서 보관/휴대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드 포켓(300)은 패드부(100)의 타면에 재봉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드 포켓(300)은 일단은 개방되어 카드를 넣고 뺄 수 있도록 되며, 타단은 패드부(100)에 결합된다. 또한 카드 포켓(300)의 길이는 패드부(100)의 길이보다 짧게 마련된다. 또한, 카드 포켓(300)의 하단부에는 재봉되지 않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카드를 손쉽게 뺄 수 있도록 한다.
카드 포켓(300)이 패드부(100)에 결합된 경우, 카드 포켓(300)의 일면에는 양면 테이프, 접착물질 또는 접착 시트 등이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10) 또는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20)에 접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의 요부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2000)는, 패드부(400)와, 스트랩(500) 및 카드 포켓(3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패드부(400)와 스트랩(500)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패드부(400)도 일부를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의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패드부(400)는 대략 판형으로 마련되며 일면에는 내측 또는 두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부(110)가 형성된다. 홈부(110)의 폭은 스트랩(400)의 폭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거나 홈부(110)의 폭이 스트랩(400)의 폭보다 미세하게 큰 것이 바람직하며 홈부(110)의 길이는 스트랩(40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홈부(110)의 양 단부에는 삽입부(120)가 형성된다. 삽입부(120)는 스트랩(200)의 양 단부가 삽입되는 영역이다. 삽입부(120)는 홈부(110)의 양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따라서 홈부(110)와 삽입부(120)는 서로 연통된다.
패드부(400)는 홈부(110)를 제외한 영역은 평평하게 마련되며 따라서 삽입부(120)는 패드부(400)의 두께방향을 따른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빈 공간이다.
스트랩(500)의 양 단부가 패드부(400)에 삽입되며 스트랩(500)의 중앙부는 홈부(110)에 놓여진다. 즉 스트랩(500)의 중앙부만 외부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랩(500)이 펼쳐져 있을 때 스트랩(500)은 패드부(400)에 수용된다. 여기서 수용된다는 의미는 스트랩(500)의 양단부는 삽입부(120)에 삽입되며 중앙부는 홈부(110)에 놓여진 상태로서, 스트랩(500)이 패드부(400) 외부로 돌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홈부(110)를 제외한 패드부(400)의 영역이 평평하므로 스트랩(500)이 펼쳐졌을 때 전체적으로 평평해진다. 이에 따른 무선충전 효과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달리 스트랩(500)의 삽입부(120)가 형성된 영역에 제2요철(430)이 형성된다. 즉, 삽입부(120)의 하면은 제2요철(4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스트랩(500)은 거치대 또는 손가락 걸이부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사용자가 스트랩(500)의 노출된 부분을 당기거나 밀어 스트랩(500)의 중앙부위가 구부러지거나 펼쳐지게 되며, 스트랩(500)의 양 단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을 한다.
스트랩(500)은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된다. 예시로 고무, 우레탄, 실리콘, 가죽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의 연질재질로 마련된다.
스트랩(500)의 양 단부의 하면에는 제1요철(510)이 형성된다. 제1요철(510)과 제2요철(430)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철부와 요부는 소정의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요철(510)과 제2요철(430)에 의해 스트랩(500)이 구부러졌을 때 그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예시로, 제1요철(510)과 제2요철(430)의 경사에 의해 구부러질 때의 스트랩(500)의 이동은 비교적 쉽게 될 수 있으며, 구부러진 후에는 경사에 의해 역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스트랩(500)은 연질 재질로 마련되므로 펼쳐질 때에는 보다 강한 힘을 가하면 제1요철(510)과 제2요철(430)에 불구하고도 스트랩(500)의 양단부가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의 뒷면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되며 스트랩의 구부러짐 여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거치대 또는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무선충전이 가능하며 손가락을 걸었을 때 자판 입력에 불편함이 없고 외적 미관이 손상되지 않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100 : 패드부
200 : 스트랩 300 : 카드 포켓

Claims (7)

  1.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패드부;
    상기 삽입부에 양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홈부에 놓여지며, 중앙부분이 구부러지거나 펼쳐져 상기 양 단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이 구부러진 경우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트랩이 펼쳐진 경우 상기 스트랩은 상기 패드부에 수용되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삽입부의 측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걸림홈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제1걸림홈부와 제2걸림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의 측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이 펼쳐진 경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걸림홈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트랩이 구부러진 경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2걸림홈부에 삽입되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에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부는 상기 돌기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단부의 하면에는 제1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의 상기 삽입부 영역에는 제2요철이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투명의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타면에 결합되어 카드를 수납하도록 하는 카드 포켓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KR1020190118444A 2019-09-25 2019-09-25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KR102306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444A KR102306904B1 (ko) 2019-09-25 2019-09-25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444A KR102306904B1 (ko) 2019-09-25 2019-09-25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222A true KR20210036222A (ko) 2021-04-02
KR102306904B1 KR102306904B1 (ko) 2021-09-29

Family

ID=75466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444A KR102306904B1 (ko) 2019-09-25 2019-09-25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904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133U (ja) * 2012-03-28 2012-06-14 輝生 今井 携帯通信端末の保護カバー
KR101159815B1 (ko) * 2012-03-29 2012-06-26 정종우 휴대폰 케이스
US20140152034A1 (en) * 2012-12-01 2014-06-05 Kevin Alan Tussy Device case with strap
KR20160092074A (ko) 2015-01-26 2016-08-04 주식회사 하이맥 카드 삽입형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705819B1 (ko) 2016-06-30 2017-02-10 여창기 매직 푸시
KR101838874B1 (ko) 2015-02-10 2018-03-15 박진우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JP2018085108A (ja) * 2016-11-14 2018-05-31 きよみ 山代 携帯端末機器用把持具
KR101939354B1 (ko) 2017-02-20 2019-01-16 여창기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979629B1 (ko) 2018-12-19 2019-05-17 여창기 다용도 홀더
KR101989189B1 (ko) * 2017-09-15 2019-06-14 장대규 휴대기기용 액세서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133B2 (ja) * 1992-07-29 2001-06-11 株式会社東芝 アナログ値記憶回路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133U (ja) * 2012-03-28 2012-06-14 輝生 今井 携帯通信端末の保護カバー
KR101159815B1 (ko) * 2012-03-29 2012-06-26 정종우 휴대폰 케이스
US20140152034A1 (en) * 2012-12-01 2014-06-05 Kevin Alan Tussy Device case with strap
KR20160092074A (ko) 2015-01-26 2016-08-04 주식회사 하이맥 카드 삽입형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838874B1 (ko) 2015-02-10 2018-03-15 박진우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705819B1 (ko) 2016-06-30 2017-02-10 여창기 매직 푸시
JP2018085108A (ja) * 2016-11-14 2018-05-31 きよみ 山代 携帯端末機器用把持具
KR101939354B1 (ko) 2017-02-20 2019-01-16 여창기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989189B1 (ko) * 2017-09-15 2019-06-14 장대규 휴대기기용 액세서리
KR101979629B1 (ko) 2018-12-19 2019-05-17 여창기 다용도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904B1 (ko)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4837B1 (en) Magnetically configurable strap accessory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10610004B1 (en) Multipurpose holder
US9894192B2 (en)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
KR200466058Y1 (ko)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US11004066B2 (en) Components for enhancing or augmenting wearable accessories by adding electronics thereto
US10892625B1 (en) Cases and folios for carrying and charging accessories
US10394297B1 (en) Changing station for wearable computer band
KR200470332Y1 (ko) 모바일 기기 케이스
US20130313252A1 (en) Protective shell
US9203250B2 (en) Snap-fit separable mobile backup power supply
KR101281064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50003379U (ko) 핸드폰용 흡착식 거치대
KR101280783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US11375056B2 (en) Magnetically configurable strap accessory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20170133138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
KR20210036222A (ko)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KR200491591Y1 (ko) 접이식 휴대폰 거치대
KR102151793B1 (ko) 보조배터리 고정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946952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50004611U (ko) Nfc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52288Y1 (ko) 핸드폰 거치대
KR102135207B1 (ko)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
KR102200869B1 (ko) 스마트폰 거치대
KR10103410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받침장치
KR20160003288U (ko) 휴대폰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