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5504A - 의료영상과 청진정보가 결합된 환자 상태정보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영상과 청진정보가 결합된 환자 상태정보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5504A
KR20210035504A KR1020190117359A KR20190117359A KR20210035504A KR 20210035504 A KR20210035504 A KR 20210035504A KR 1020190117359 A KR1020190117359 A KR 1020190117359A KR 20190117359 A KR20190117359 A KR 20190117359A KR 20210035504 A KR20210035504 A KR 20210035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mage
sensor
sound
patient
stat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욱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17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5504A/ko
Publication of KR20210035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94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using additional data, e.g. patient information, image labeling, acquisition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5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adapted to display user selection data, e.g. graphical user interface, icons or men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Abstract

본 발명은 의사의 진료 정확성을 높이고 원격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각적 정보와 청각적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는 의료영상과 청진정보가 결합된 환자 상태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의료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환자의 인체 내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을 준비하는 영상촬영단계; (B) 하나 또는 복수의 환자 신체 부위에 청음센서를 직간접적으로 부착하고, 상기 의료영상에 청음센서의 부착위치를 특정하는 센서위치특정단계; (C) 부착된 각각의 청음센서 별로 구분하여 감지음을 저장하는 감지음획득단계; (D) 각각의 청음센서가 특정된 위치에 소정의 마크가 표시된 의료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 및 (E) 사용자에 의해 특정 마크가 선택되면 그에 대응되는 청음센서로부터 저장된 감지음을 출력하는 감지음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과 청진정보가 결합된 환자 상태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영상과 청진정보가 결합된 환자 상태정보 제공방법{Method combined with medical photography and stethoscopic record for supplying patient status information}
본 발명은 의사의 진료 정확성을 높이고 원격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각적 정보와 청각적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의료영상과 청진정보가 결합된 환자 상태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x선, CT, PET, MRI 또는 fMRI 등 다양한 장비를 이용하여 인체 내부의 구조와 상태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의료영상들을 얻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흉부 또는 복부 의료영상은 단순히 촬영 시점의 환자 흉부나 복부 장기의 구조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시각적 이미지 정보만을 제공한다.
한편, 청진기(聽診器)는 환자의 몸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들어서 질병의 진단을 하는 데 사용하는 의료 기기이다. 내과에서 내장의 질병 여부를 진단할 때 주로 쓰인다.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시각적인 정보 이외에 호흡음, 심장 박동음, 장음 등을 동시에 고려하여 진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의사는 사전에 촬영된 환자의 x선 사진과 같은 의료영상을 보면서 청진기를 사용하여 환자 장기의 음을 들으면서 판단을 하게 된다. 그러나 병원의 업무절차나 의사의 스케줄에 따라서 의료영상의 촬영과 청진기를 이용한 의사의 검진이 시간적으로 분리되는 현상이 생길 수밖에 있다. 시간 경과에 따라 환자의 병증은 어느 정도 양호하게 되거나 악화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환자 장기의 구조와 상태에 관한 시각적 정보(의료영상)와 청진기에 의한 청각적 정보 사이에 시간적 불일치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불일치는 종종 환자 상태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어렵게 한다.
한편, 환자의 시각적 정보와 청각적 정보를 동시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의사가 반드시 현장(환자와 의료영상 장비가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
이와 별개로, 실제 의사마다 청진하는 부위와 순서에 크고 작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청진음 정보의 객관화'가 쉽지 않은데, 이는 많은 경험으로 축적된 이 분야 지식이 개인화되어 지식의 객관화와 전승이 원활하지 못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등록특허 10-1492286(응급 환자용 의료 장치)는 각종 모니터링 장치, 기관천자장치와 심폐소생술용 장치 등이 설치된 응급 환자용 의복에 관한 것이다(도 1 참조). 그러나 이 선행기술은 환자의 신체 내부의 시각적 정보와 청각적 정보의 결합에 대한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10-1492286
본 발명은 환자의 흉부 또는 복부 등의 의료영상을 촬영할 때 동시에 신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음을 녹음한 정보를 함께 의사에게 제공하여 진료의 정확성을 높이고 나아가 원격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의료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환자의 인체 내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을 준비하는 영상촬영단계; (B) 하나 또는 복수의 환자 신체 부위에 청음센서를 직간접적으로 부착하고, 상기 의료영상에 청음센서의 부착위치를 특정하는 센서위치특정단계; (C) 부착된 각각의 청음센서 별로 구분하여 감지음을 저장하는 감지음획득단계; (D) 각각의 청음센서가 특정된 위치에 소정의 마크가 표시된 의료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 및 (E) 사용자에 의해 특정 마크가 선택되면 그에 대응되는 청음센서로부터 저장된 감지음을 출력하는 감지음출력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영상과 청진정보가 결합된 환자 상태정보 제공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의사가 환자 흉부/복부 장기의 상태와 구조에 대한 시각정보와, 그 상태(시점)에서의 호흡음, 심장음, 장음 등 청각정보를 동시에 확인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환자 흉부/복부 장기에 대한 시각정보와 청각정보가 결합된 결합정보는 디지털화되어 임의의 곳으로 전송될 수 있으므로, 원격진료도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응급환자용 의복의 예시적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의료영상의 일예인 x선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서 청음센서가 환자의 피부에 직접 부착된 예 및 간접 부착을 위해 청음센서가 부착된 조끼를 보여주는 예.
도 4는 본 발명에서 청음센서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하여 청음센서 부착 후 x선 촬영을 하는 예를 보여주는 사진.
도 5는 원본 의료영상과 청음센서의 위치가 마크로 표시된 의료영상의 예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또한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 도면부호가 병기되어 있는 경우, 이는 설명 위한 예시적인 것일 뿐 도면부호로 구성요소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은 환자의 흉부/복부의 의료영상과 환자 신체 소정의 부위에 부착된 청음센서 정보(감지음, 청진음)를 융합하여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준비단계, 센서위치특정단계, 감지음획득단계, 디스플레이단계 및 감지음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각 단계는 디스플레이장치, 입출력장치, 저장장치, 제어장치 등을 가지는 소정의 단말기를 매개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정보의 입출력, 상기 각 장치 및 장치들 사이에서의 데이터교환과 저장, 계산, 제어, 디스플레이 등은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영상촬영단계(A)는, 의료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환자의 인체 내부를 촬영하여 이미지 자료(의료영상)를 얻는 단계이다. 이때 의료영상 장비는 X선, CT, PET, MRI 또는 fMRI 장비일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X선 장비에 의한 X선 사진을 의료영상의 일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렇게 얻어진 의료영상에는 촬영 당시 환자의 장기를 포함하는 흉부/복부 내부의 구조적, 형태적 정보가 담기게 된다(도 2 참조).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세위치특정단계(B)는, 하나 또는 복수의 환자 신체 부위에 청음센서를 직간접적으로 부착하고, 상기 의료영상에 청음센서의 부착위치를 특정하는 단계이다. '청음센서의 부착위치를 특정'한다는 것은 각각의 청음센서가 부착된 위치에 대응되는 의료영상에서의 위치를 결정한다는 의미이다.
청음센서는 하나만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지만 청진효율을 위해서는 환자의 전면(배 쪽)과 후면(등 쪽)에 각각 복수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음센서 개수와 부착위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청진위치를 반영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청음센서는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환자의 피부에 직접 부착할 수도 있고(도 3의 (A)), 조끼와 같은 의류에 청음센서를 부착하고 이 조끼(이하 '센서조끼'라 함)를 환자에게 착용하게 하는 간접 부착식(도 3의 (B))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알려진 다양한 유무선 진동센서, 음향센서 등을 청음센서로 활용할 수 있는데, 청음센서와 이것과 유무선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하고 저장하고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 단말기 등에 관한 기술은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고 본 발명의 핵심적 사항이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렇게 하나 또는 복수개의 청음센서가 환자에게 직간접적으로 부착되는데, 실제 부착되는 신체상의 위치를, 상기 촬영된 의료영상의 대응되는 위치와 매칭(특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예시하자면, 환자에게 청음센서를 부착한 후 X선 사진 또는 일반 사진을 촬영(센서착용사진)한 후 상기 의료영상과 동일배율로 한 다음 의료영상과 센서착용사진을 겹쳐서 각 청음센서의 위치를 의료영상에 특정한다. 이렇게 특정된 청음센서의 위치는 디스플레이단계에서 소정의 마크로 표시된다.
청음센서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하여 환자에게 센서조끼를 착용케 하고 재차 X선 사진 촬영을 하는 모식 상태 및 이에 의해 얻어진 청음센서가 표시된 x선 사진의 예를 도 4와 도 5에 각각 도시하였다.
한편, 청음센서 부착위치가 정형화된다면 굳이 청음센서가 부착된 환자의 사진을 촬영하고 가공하는 과정 필요 없이 자동으로 의료영상에서 청음센서 부착위치를 특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지음획득단계(C)는, 부착된 각각의 청음센서 별로 구분하여 감지음을 저장하는 과정이다. 이에 의해 각각의 감지음은 하기 각각의 위치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다.
감지음을 저장하는 시간적 범위는 통상 실제 청진기로 청음하는 정도를 기준으로 적절하게 정할 수 있다.
감지음획득단계는 선세위치특정단계에 앞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D)는, 센서위치특정단계에서 특정된 각각의 청음센서 위치를 원본 의료영상에 마크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이다. 마크는 반투명하거나 점멸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원본 의료영상과, 청음센서의 위치가 마크로 표시된 의료영상(이하 '마크영상'이라 함)의 예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면에서는 구별이 용이하도록 각 마크를 번호로 표시하였다.
만일 청음센서가 환자의 전면과 후면에 모두 부착된 경우 마크영상이 전면에 해당하는지 후면에 해당하는지 소정의 구분수단이 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신호에 따라 전면 또는 후면의 마크영상이 교차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지음출력단계(E)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마크영상에서 청음하고자 하는 위치의 특정 마크를 '선택'하면 그에 대응되는 청음센서에서 획득하여 저장된 감지음을 출력하는 단계이다.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마크에 커서가 닿거나, 커서가 닿아서 클릭되거나, 번호로 표시된 경우 자판의 해당 번호를 클릭하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단계에서는 원본 의료영상과 마크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마크영상에서 특정 위치의 청음을 들으면서 동시에 원본 의료영상을 시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다르게는, 마크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 마크가 선택되는 동안 마크영상이 원본 의료영상으로 치환(=전체 마크가 사라짐)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정리하여 다시 설명한다.
먼저 통상의 방법에 따라 X선, CT, PET, MRI 또는 fMRI 등의 의료장비를 이용하여 환자 흉부/복부 내부 사진(의료영상)을 얻는다. 이어서 환자 신체의 소정의 부위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청음센서를 직접 부착하거나, 청음센서가 부착된 조끼를 착용케 한 다음 X선 사진이나 일반사진을 촬영(센서착용사진)한다. 센서착용사진을 참조하여 원본 의료영상에 청음센서가 부착된 위치를 결정한다. 환자로 하여금 수회 호흡하도록 하는데, 이때 청음센서 별로 녹음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사용자가 소정 단말기(예를 들면 전용 컴퓨터)에서 소정의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면, 청음센서가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마크가 오버랩된 의료영상(마크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청음하고자 하는 위치의 마크를 선택하면 그 위치에 해당하는 청음센서에서 녹음된 음향정보가 스피커로 전달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일련의 단계를 통해 사용자(의사)는 환자의 흉/복부 내부 구조와 형태 정보(의료영상)와 이때의 장기 운동상태 정보(청진음)를 동시에 확보하게 되어 환자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서의 정보(의료영상 및 그에 상응하는 청진음)는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원격진료에도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A) 의료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환자의 인체 내부를 촬영하여 의료영상을 준비하는 영상촬영단계;
    (B) 하나 또는 복수의 환자 신체 부위에 청음센서를 직간접적으로 부착하고, 상기 의료영상에 청음센서의 부착위치를 특정하는 센서위치특정단계;
    (C) 부착된 각각의 청음센서 별로 구분하여 감지음을 저장하는 감지음획득단계;
    (D) 각각의 청음센서가 특정된 위치에 소정의 마크가 표시된 의료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 및
    (E) 사용자에 의해 특정 마크가 선택되면 그에 대응되는 청음센서로부터 저장된 감지음을 출력하는 감지음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과 청진정보가 결합된 환자 상태정보 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환자에게 하나 또는 복수개의 부위에 청음센서가 부착된 조끼를 착용하게 하고 촬영한 사진에 의해 청음센서의 위치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과 청진정보가 결합된 환자 상태정보 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청음센서 부착위치를 정형화함으로써 청음센서의 위치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과 청진정보가 결합된 환자 상태정보 제공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청음센서는 환자의 전면과 후면에 부착되며,
    상기 단계(D)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신호에 따라 전면의 마크가 표시되거나 후면의 마크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과 청진정보가 결합된 환자 상태정보 제공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에서,
    원본 의료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과 청진정보가 결합된 환자 상태정보 제공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마크가 사라지거나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과 청진정보가 결합된 환자 상태정보 제공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영상 장비는,
    X선, CT, PET, MRI 또는 fMRI 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과 청진정보가 결합된 환자 상태정보 제공방법.
KR1020190117359A 2019-09-24 2019-09-24 의료영상과 청진정보가 결합된 환자 상태정보 제공방법 KR202100355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359A KR20210035504A (ko) 2019-09-24 2019-09-24 의료영상과 청진정보가 결합된 환자 상태정보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359A KR20210035504A (ko) 2019-09-24 2019-09-24 의료영상과 청진정보가 결합된 환자 상태정보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504A true KR20210035504A (ko) 2021-04-01

Family

ID=7544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359A KR20210035504A (ko) 2019-09-24 2019-09-24 의료영상과 청진정보가 결합된 환자 상태정보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550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286B1 (ko) 2007-03-23 2015-02-11 웨스트라이히+파트너 게엠베하 응급 환자용 의료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286B1 (ko) 2007-03-23 2015-02-11 웨스트라이히+파트너 게엠베하 응급 환자용 의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7185B2 (ja) 生理学的モニタ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JP6987893B2 (ja) 診断試験をリアルタイムの治療に統合する汎用デバイスおよび方法
WO2013089072A1 (ja)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情報管理システム、聴診器、情報管理プログラム、測定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90203986A1 (en) Medical data collection device
JP2008514371A (ja) 呼吸と医療手順を同期させるための患者に視覚的指示を与える技術
JP7143692B2 (ja) 体動検出装置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CN112566545A (zh) 生理信息测量装置和生理信息系统
JP2015000174A (ja) 生体情報監視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生体情報監視システム
US2018008502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cg-like waveform
US20230329648A1 (en) Medical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medical system
JP7416299B2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
KR20210035504A (ko) 의료영상과 청진정보가 결합된 환자 상태정보 제공방법
JP4427171B2 (ja) 医用画像表示装置
US20190156935A1 (en) Patient monitor and physiolog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20230270402A1 (en) Image based lung auscult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US202201515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pulmonary health
US11083403B1 (en) Pulmonary health assessment system
JP2013165754A (ja) 医用画像診断装置
GB2611556A (en) Augmented reality ultrasound-control system for enabling remote direction of a user of ultrasound equipment by experienced practitioner
JP2023114481A (ja) 聴診システム
JP2021178111A (ja) 動態画像解析装置、動態画像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