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748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748A
KR20210034748A KR1020190116355A KR20190116355A KR20210034748A KR 20210034748 A KR20210034748 A KR 20210034748A KR 1020190116355 A KR1020190116355 A KR 1020190116355A KR 20190116355 A KR20190116355 A KR 20190116355A KR 20210034748 A KR20210034748 A KR 20210034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pixel
opening
adjacent
display area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희
배인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6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4748A/ko
Priority to US16/850,338 priority patent/US11417714B2/en
Priority to CN202010804705.4A priority patent/CN112542487A/zh
Publication of KR20210034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1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the areas of the RGB subpixels being different
    • H01L27/3218
    • H01L27/3246
    • H01L51/5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10K59/1315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compris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lowering the resistan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 상에 부화소; 상기 부화소의 영역을 정의하는 화소정의막;을 포함하고, 상기 부화소는 상기 비표시영역에 인접하도록 상기 표시영역 상에 배치되는 인접부화소와 상기 표시영역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부화소를 포함하고, 서로 동일한 색을 구현하는 상기 인접부화소 및 상기 내부부화소의 평면상 모양이 상이한,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 기기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동용 전자 기기로는 모바일 폰과 같은 소형 전자 기기 이외에도 최근 들어 태블릿 PC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형 전자 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과 같은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최근,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기타 부품들이 소형화됨에 따라, 표시 장치가 전자 기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평평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부릴 수 있는 구조도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표시 장치가 차량 등에 배치되는 경우 표시 장치에서 외광 반사 등으로 인하여 눈부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광 반사를 최소화하면서 빛 번짐을 제거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 상에 부화소; 상기 부화소의 영역을 정의하는 화소정의막;을 포함하고, 상기 부화소는 상기 비표시영역에 인접하도록 상기 표시영역 상에 배치되는 인접부화소와 상기 표시영역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부화소를 포함하고, 서로 동일한 색을 구현하는 상기 인접부화소 및 상기 내부부화소의 평면상 모양이 상이한,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은 상기 표시영역 및 상기 비표시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화소는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는 서로 상이한 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정사각형 형태이고, 상기 제2부화소는 상기 제1부화소의 제1변 및 제2변을 각각 바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부화소는 상기 제1부화소의 제1변 및 제2변을 각각 바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부화소와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의 평면상 면적은 상기 제2부화소의 평면상 면적 및 상기 제3부화소의 평면상 면적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는 제1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며, 상기 제2부화소의 장변 또는 상기 제3부화소의 장변은 상기 제1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제1부화소의 중심을 연결한 임의의 직선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은 흑색물질 또는 흡광도(optical density, OD)가 1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접부화소 및 상기 내부부화소의 평면상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접부화소 및 상기 내부부화소의 평면상 면적은 동일하고, 동일한 중앙부화소와 각각 인접하고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기 인접부화소 및 상기 내부부화소는, 상기 인접부화소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중앙부화소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는 상기 내부부화소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중앙부화소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영역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부화소; 상기 부화소의 영역을 정의하는 복수개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화소정의막;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비표시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표시영역 상에 배치되는 인접개구부와, 상기 표시영역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개구부를 포함하고, 동일한 색을 구현하는 상기 부화소의 영역을 정의하는 상기 인접개구부의 평면 상의 형상 및 내부개구부의 평면 상의 형상은 서로 상이한,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은 상기 표시영역 및 상기 비표시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제1개구부, 제2개구부, 및 제3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개구부는 정사각형 형태이며, 상기 제2개구부는 상기 제1개구부의 제1변 및 제2변을 각각 바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개구부는 상기 제1개구부의 제1변 및 제2변을 각각 바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개구부와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는 제1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며, 상기 제2개구부의 장변 또는 상기 제3개구부의 장변은 상기 제1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제1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한 임의의 직선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의 면적은 상기 제2개구부의 면적 및 상기 제3개구부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은 흑색물질 또는 흡광도(optical density, OD)가 1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접개구부 및 상기 내부개구부의 평면상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접개구부 및 상기 내부개구부의 평면상 면적은 동일하고, 상기 인접개구부 및 상기 내부개구부는 동일한 중앙개구부와 각각 인접하고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인접개구부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중앙개구부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는 상기 내부개구부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중앙개구부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가 차량 등에 배치되는 경우 표시 장치에서 외광 반사를 최소화하면서 빛 번짐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부화소 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X1부분을 확대하여 표시 장치의 제1 부화소, 제2 부화소 및 제3 부화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X2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b는 도 1의 X3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X4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화소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부화소 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X1부분을 확대하여 표시 장치의 제1 부화소, 제2 부화소 및 제3 부화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20)는 기판(21) 상에서 표시영역(DA)과 표시영역(DA)의 외곽에 비표시영역(NDA)이 정의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발광부가 배치되고, 비표시영역에는 전원 배선(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표시영역에는 패드부(C)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표시영역(DA)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영역(DA)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원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표시영역(DA)은 비정형의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영역(DA)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 장치(20)는 디스플레이 기판(D) 및 박막 봉지층(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기판(D)은 기판(21), 박막 트랜지스터(TFT), 패시베이션막(27) 및 화소 전극(28-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기판(D)은 기판(21), 박막 트랜지스터(TFT), 패시베이션막(27), 화소 전극(28-1) 및 중간층(28-2) 중 일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판(21)은 플라스틱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SUS, Ti과 같은 금속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판(21)은 폴리이미드(Polyimide)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판(21)이 폴리이미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21)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고,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덮도록 패시베이션막(27)이 형성되며, 이 패시베이션막(27) 상에 유기 발광 소자(28)가 형성될 수 있다.
기판(21)의 상면에는 유기화합물 및/또는 무기화합물로 이루어진 버퍼층(22)이 더 형성되는 데, SiOx(x≥1), SiNx(x≥1)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버퍼층(22)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된 활성층(23)이 형성된 후, 활성층(23)이 게이트 절연층(24)에 의해 매립된다. 활성층(23)은 소스 영역(23-1)과 드레인 영역(23-3)을 갖고, 그 사이에 채널 영역(23-2)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활성층(23)은 다양한 물질을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층(23)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결정질 실리콘과 같은 무기 반도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활성층(23)은 산화물 반도체를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활성층(23)은 유기 반도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활성층(23)이 비정질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활성층(23)은 버퍼층(22) 상에 비정질 실리콘막을 형성한 후, 이를 결정화하여 다결정질 실리콘막으로 형성하고, 이 다결정질 실리콘막을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23)은 구동 TFT(미도시), 스위칭 TFT(미도시) 등 TFT 종류에 따라, 그 소스 영역(23-1) 및 드레인 영역(23-3)이 불순물에 의해 도핑 된다.
게이트 절연층(24)의 상면에는 활성층(23)과 대응되는 게이트 전극(25)과 이를 매립하는 층간 절연층(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층간 절연층(26)과 게이트 절연층(24)에 콘택홀(H1)을 형성한 후, 층간 절연층(26) 상에 소스 전극(27-1) 및 드레인 전극(27-2)을 각각 소스 영역(23-1) 및 드레인 영역(23-3)에 콘택되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부로는 패시베이션막(27)이 형성되고, 이 패시베이션막(27) 상부에 유기 발광 소자(28, OLED)의 화소 전극(28-1)이 형성된다. 이 화소 전극(28-1)은 패시베이션막(27)에 형성된 비아 홀(H2)에 의해 TFT의 드레인 전극(27-2)에 콘택된다. 상기 패시베이션막(27)은 무기물 및/또는 유기물, 단층 또는 2개 층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하부 막의 굴곡에 관계없이 상면이 평탄하게 되도록 평탄화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반면, 하부에 위치한 막의 굴곡을 따라 굴곡이 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패시베이션막(27)은, 공진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투명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시베이션막(27) 상에 화소 전극(28-1)을 형성한 후에는 이 화소 전극(28-1) 및 패시베이션막(27)을 덮도록 화소정의막(29)이 유기물 및/또는 무기물에 의해 형성되고, 화소 전극(28-1)이 노출되도록 개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화소정의막(29)은 흑색 물질 또는 흡광도(optical density, OD)가 1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흑색 물질 또는 흡광도(optical density, OD)가 1인 물질이 포함된 화소정의막(29)은 표시 장치(20)의 외광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상기 화소 전극(28-1) 상에 중간층(28-2) 및 대향 전극(28-3)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대향 전극(28-3)은 표시 영역(DA)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대향 전극(28-3)은 중간층(28-2), 화소정의막(29)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향 전극(28-3)이 중간층(28-2), 화소정의막(29) 상에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화소 전극(28-1)은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대향 전극(28-3)은 캐소오드 전극의 기능을 하는 데, 물론, 이들 화소 전극(28-1)과 대향 전극(28-3)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화소 전극(28-1)과 대향 전극(28-3)은 상기 중간층(28-2)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중간층(28-2)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가해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이 이뤄지도록 한다.
중간층(28-2)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인 다른 예로서, 중간층(28-2)은 유기 발광층(organic emission layer)을 구비하고, 그 외에 정공 주입층(HIL: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중간층(28-2)이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고, 기타 다양한 기능층(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중간층(28-2)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중간층(28-2)은 표시 영역(DA)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중간층(28-2)은 표시 영역(DA) 내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단위 화소는 복수의 부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부화소는 다양한 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하나의 부화소는 하나의 색을 갖는 빛이 발광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의 부화소는 화소정의막(29)의 개구부(OP)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화소 전극(28-1)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부화소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은 화소정의막(29)의 개구부의 크기를 조절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화소 전극(28-1) 부분의 면적을 조절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부화소는 하나의 색을 갖는 빛이 발광하는 영역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복수의 부화소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부화소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부화소는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의 빛을 방출하는 부화소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부화소는 적색, 노란색 및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부화소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부화소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상이한 색을 방출하는 부화소를 구비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부화소가 청색, 적색 및 녹색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부화소는 제1 부화소(F1), 제2 부화소(F2), 및 제3 부화소(F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부화소(F1), 제2 부화소(F2), 또는 제3 부화소(F3) 중 하나는 정사각형일 수 있으며, 제1 부화소(F1), 제2 부화소(F2) 또는 제3 부화소(F3) 중 다른 두개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부화소(F1)가 정사각형이며, 제2 부화소(F2) 및 제3 부화소(F3)가 직사각형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1 부화소(F1), 제2 부화소(F2) 또는 제3 부화소(F3) 중 하나는 청색 빛을 방출하고, 제1 부화소(F1), 제2 부화소(F2) 또는 제3 부화소(F3) 중 다른 하나는 녹색의 빛을 방출하며, 제1 부화소(F1), 제2 부화소(F2) 또는 제3 부화소(F3) 중 또 다른 하나는 적색의 빛을 방출한다. 이러한 경우 제1 부화소(F1), 제2 부화소(F2) 및 제3 부화소(F3) 각각의 형상에 따라 청색, 적색 또는 녹색 중 하나의 빛은 정사각형일 수 있으며, 청색, 녹색 또는 적색 중 나머지 빛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부화소(F1)는 청색의 빛을 방출하고, 제2 부화소(F2)는 녹색의 빛을 방출하며, 제3 부화소(F3)는 적색의 빛을 방출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1 부화소(F1), 제2 부화소(F2) 및 제3 부화소(F3) 각각의 면적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부화소의 개구율을 조절 가능하므로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작동이 가능한 표시 장치(20)의 구현이 가능하다.
제1 부화소(F1), 제2 부화소(F2), 및 제3 부화소(F3)는 각각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부화소(F1)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1 부화소(F1) 중 일부는 제1 방향(예를 들면, 도 1의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 중 하나)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1 부화소(F1) 중 다른 일부는 제2 방향(예를 들면, 도 1의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 중 다른 하나)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제1 부화소(F1) 중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부화소(F1)의 중심은 하나의 직선 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직선은 제1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1 부화소(F1) 중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부화소(F1)의 중심은 하나의 직선 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직선은 제2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 제1 부화소(F1)의 제1 변(S1)과 다른 제2 변(S2)은 서로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1 부화소(F1)의 제1 변(S1)과 제2 변(S2)은 서로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 변(S1)과 제2 변(S2)은 각각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상이한 방향으로 틸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제1 부화소(F1)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을 기준으로 마름모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각 제1 부화소(F1)의 각 꼭지점에 인접하는 두변(S1,S2)이 형성하는 각도가 90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제1 부화소(F1)의 제1 변(S1) 또는 제2 변(S2)에는 하나의 제2 부화소(F2) 및 하나의 제3 부화소(F3)가 제1 부화소(F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부화소(F2) 및 제3 부화소(F3)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하나에 대해서 틸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2 부화소(F2) 및 제3 부화소(F3)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하나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하도록 틸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화소(F2) 및 제3 부화소(F3) 중 적어도 하나의 단변 및 장변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1 부화소(F1)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부화소(F2)와 제3 부화소(F3)는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제2 부화소(F2) 및 제3 부화소(F3) 중 적어도 하나의 면적은 제1 부화소(F1)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제1 부화소(F1)를 마주보는 제2 부화소(F2)와 제3 부화소(F3)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부화소(F2)와 제3 부화소(F3)가 마주보는 제1 부화소(F1)의 일변(예를 들면, 제1 변(S1) 또는 제2 변(S2)) 또는 이러한 제1 부화소(F1)의 일변의 연장선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로 인접하는 제2 부화소(F2)의 적어도 일부와 제3 부화소(F3)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변(S1) 또는 제2 변(S2) 중 하나의 길이 범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제1 부화소(F1)와 마주보는 제2 부화소(F2) 및 제3 부화소(F3) 중 적어도 하나의 단변 또는 장변은 제1 변(S1) 또는 제2 변(S2)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서 제1 변(S1) 및 제2 변(S2)을 각각 마주보는 서로 다른 제2 부화소(F2)의 단변의 연장선은 서로 교차하거나 제1 변(S1) 및 제2 변(S2)을 각각 마주보는 서로 다른 제2 부화소(F2)의 장변의 연장선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변(S1) 및 제2 변(S2)을 각각 마주보는 각 제3 부화소(F3)의 단변의 연장선은 서로 교차하거나 제1 변(S1) 및 제2 변(S2)을 각각 마주보는 각 제3 부화소(F3)의 장변의 연장선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변(S1)을 마주보는 제2 부화소(F2)의 단변의 연장선과 및 제2 변(S2)을 마주보는 제3 부화소(F3)의 단변의 연장선은 서로 교차하거나 제1 변(S1)을 마주보는 제2 부화소(F2)의 장변의 연장선과 제2 변(S2)을 마주보는 제3 부화소(F3)의 장변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변(S1)을 마주보는 제2 부화소(F2)의 장변의 연장선은 제2 변(S2)을 마주보는 제3 부화소(F3)의 단변의 연장선과 서로 교차하거나 단 제1 변(S1)을 마주보는 제2 부화소(F2)의 단변의 연장선은 제2 변(S2)을 마주보는 제3 부화소(F3)의 장변의 연장선과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개의 제2 부화소(F2)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 부화소(F2)의 일부의 중심은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 부화소(F2)의 일부의 중심은 일직선 상에 배치되고,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 부화소(F2)의 다른 일부의 중심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중 다른 하나의 방향을 따라 서펜타인(Serpetine,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 부화소(F2) 중 일부의 중심은 직선으로 배열되고,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 부화소(F2) 중 다른 일부의 중심은 서펜타인 형태로 배열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제3 부화소(F3)도 제2 부화소(F2)와 유사하게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3 부화소(F3)도 제2 부화소(F2)와 유사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제3 부화소(F3) 중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3 부화소(F3) 중 일부의 중심은 직선으로 배열되고, 복수개의 제3 부화소(F3) 중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3 부화소(F3) 중 다른 일부의 중심은 서펜타인 형태로 배열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하나의 제1 부화소(F1)의 제1 변(S1)을 마주보는 제2 부화소(F2) 또는 제3 부화소(F3) 중 하나는 제1 부화소(F1)의 제2 변(S2)을 마주보는 제2 부화소(F2) 또는 제3 부화소(F3) 중 하나와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부화소(F1)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또는 인접하는 두개의 부화소의 중심을 지나면서 제1 방향과 평행한 임의의 직선)에 대해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변(S1)을 마주보는 제2 부화소(F2)는 제2 변(S2)을 마주보는 제3 부화소(F3)와 상기의 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또한, 제1 변(S1)을 마주보는 제3 부화소(F3)는 제2 변(S2)을 마주보는 제2 부화소(F2)와 상기의 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이 때, 서로 인접하는 제2 부화소(F2)의 중심 사이의 거리와 서로 인접하는 제3 부화소(F3)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변(S1)을 마주보는 제2 부화소(F2) 및 제3 부화소(F3) 각각은 제2 변(S2)을 마주보는 제2 부화소(F2) 및 제3 부화소(F3)와 상기의 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이 때,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제2 부화소(F2) 또는 한쌍의 제3 부화소(F3) 중 하나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제2 부화소(F2) 또는 한쌍의 제3 부화소(F3) 중 다른 하나의 중심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제2 부화소(F2)는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제3 부화소(F3) 사이에 배치되거나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제3 부화소(F3)는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제2 부화소(F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부화소(F2)는 제3 부화소(F3)와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부화소(F1)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에 대해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경우 제1 부화소(F1)의 테두리로부터 제2 부화소(F2)까지의 최단거리인 제1 거리(d1)와 제1 부화소(F1)의 테두리로부터 제3 부화소(F3)까지의 최단거리인 제2 거리(d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최단거리는 제1 변(S1) 또는 제2 변(S2) 중 하나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제1 변(S1) 또는 제2 변(S2)으로부터 제2 부화소(F2)의 일변 또는 제3 부화소(F3)의 일변까지 측정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는 최단거리는 제1 변(S1) 또는 제2 변(S2) 중 하나의 연장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2 부화소(F2)의 일변 또는 제3 부화소(F3)의 일변까지 측정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최단거리는 제1 변(S1)을 마주보는 제2 부화소(F2) 및 제3 부화소(F3)에 대해서 제1 변(S1) 또는 제1 변(S1)의 연장선에서 측정한 거리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다른 실시예로서 최단거리는 제1 부화소(F1)의 중심으로부터 제2 부화소(F2)의 중심까지의 거리 또는 제1 부화소(F1)의 중심으로부터 제3 부화소(F3)의 중심까지의 거리로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최단거리는 제1 부화소(F1)의 제1 변(S1) 또는 제1 변(S1)의 연장선으로부터 제2 부화소(F2)의 중심까지의 거리 또는 제3 부화소(F3)의 중심까지의 거리로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박막 봉지층(E)의 상기 유기층은 고분자로 형성되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설포네이트,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릴레이트, 헥사메틸디실록산, 아크릴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등)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의 상기 무기층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을 포함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층은 SiNx, Al2O3, SiO2, TiO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 중 외부로 노출된 최상층은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한 투습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무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유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무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 및 적어도 2개의 유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박막 봉지층(E)은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무기층, 제1 유기층, 제2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무기층, 제1 유기층, 제2 무기층, 제2 유기층, 제3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무기층, 제1 유기층, 제2 무기층, 상기 제2 유기층, 제3 무기층, 제3 유기층, 제4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와 제1 무기층 사이에 LiF를 포함하는 할로겐화 금속층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할로겐화 금속층은 제1 무기층을 스퍼터링 방식으로 형성할 때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유기층은 제2 무기층 보다 면적이 좁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유기층도 제3 무기층 보다 면적이 좁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무기층이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무기층은 표시 장치(20)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서로 직접 접촉하도록 증착될 수 있으며, 유기층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20)는 차량 등과 같이 사용자를 이동시키는 장치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표시 장치(20)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 대해서 사용자 눈이 바라보는 시선 방향과 0도가 아닌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상기 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20)는 사용자의 눈이 표시 장치(20)를 바라보는 시선 방향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이 90도를 형성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 장치(20)를 바라보는 시선 방향과 제1 방향이 90도를 형성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표시 장치(20)를 바라보는 경우 화소정의막(29)의 경사진 부분과 시선 방향에 수직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화소정의막(29)의 경사진 부분을 통하여 외부의 광이 반사되어 사용자의 눈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는 도 1의 X2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b는 도 1의 X3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부화소(F1)는 제1인접부화소(OF1) 및 제1내부부화소(IF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인접부화소(OF1) 및 제1내부부화소(IF1)의 평면상 모양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영역(DA) 상 제1인접부화소(OF1) 및 제1내부부화소(IF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인접부화소(OF1)는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하도록 표시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인접부화소(OF1)는 비표시영역(NDA)과 표시영역(DA)의 경계와 인접한 표시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인접부화소(OF1)는 표시영역(DA)의 테두리와 인접하여 표시영역(DA)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인접부화소(OF1)가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하도록 표시영역(DA) 상에 배치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인접부화소(OF1)는 다각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인접부화소(OF1)는 오각형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인접부화소(OF1)의 꼭지점(ST) 중 하나가 모따기 되어 오각형 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서, 제1인접부화소(OF1)는 육각형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1인접부화소(OF1)의 모양은 오각형 또는 육각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인접부화소(OF1)는 제1상부부화소(OF1-1), 제1우측부화소(OF1-2), 제1교차부화소(OF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상부부화소(OF1-1)는 표시영역(DA)의 테두리와 평행한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상부부화소(OF1-1)는 제2 방향과 평행한 모서리(S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상부부화소(OF1-1)는 표시영역의 상부 테두리(U1)와 평행한 모서리(S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상부부화소(OF1-1)는 표시영역의 상부 테두리(U1)와 평행한 모서리(S3)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상부부화소(OF1-1)의 꼭지점 중 모따기된 꼭지점은 비표시영역(NDA)과 중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상부부화소(OF1-1)가 표시영역의 상부 테두리(U1)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제1상부부화소(OF1-1)의 꼭지점 중 모따기 된 제1꼭지점(ST1)이 비표시영역(NDA)과 중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상부부화소(OF1-1)는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하도록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상부부화소(OF1-1)는 표시영역의 상부 테두리(U1)와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상부부화소(OF1-1)는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하도록 제2 방향과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우측부화소(OF1-2)는 제1상부부화소(OF1-1)와 유사하게 표시영역(DA)의 테두리와 평행한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우측부화소(OF1-2)는 표시영역(DA)의 우측 테두리(U2)와 평행한 모서리(S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우측부화소(OF1-2)의 꼭지점 중 모따기된 꼭지점은 비표시영역(NDA)과 중첩되는 부분일 수 있다. 특히, 제1우측부화소(OF1-2)의 꼭지점 중 모따기된 제2꼭지점(ST2)이 비표시영역(NDA)과 중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우측부화소(OF1-2)는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하도록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우측부화소(OF1-2)는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하도록 표시영역의 우측 테두리(U2)와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20)는 제1교차부화소(OF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교차부화소(OF1-3)는 표시영역(DA)의 테두리와 평행한 모서리를 적어도 2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교차부화소(OF1-3)는 제2 방향과 평행한 모서리 및 제1 방향과 평행한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교차부화소(OF1-3)는 표시영역의 상부 테두리(U1)와 평행한 모서리(S3) 및 표시영역의 우측 테두리(U2)와 평행한 모서리(S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내부부화소(IF1)는 표시영역(D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내부부화소(IF1)는 제1인접부화소(OF1)가 아닌 제1 부화소(F1)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인접부화소(OF1)는 제1내부부화소(IF1)를 둘러쌓으면서 배치될 수 있다.
화소정의막(29)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부화소의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소정의막(29)은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정의막(29)은 제1인접부화소(OF1) 및 제1내부부화소(IF1)의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제1인접부화소(OF1)는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바, 제1인접부화소(OF1)의 영역을 정의하기 위해 화소정의막(29)은 비표시영역(N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서로 동일한 색을 구현하는 제1인접부화소(OF1) 및 제1내부부화소(IF1)의 평면상 모양은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제1상부부화소(OF1-1), 제1우측부화소(OF1-2), 및 제1교차부화소(OF1-3)는 제1내부부화소(IF1)와 평면상 모양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상부부화소(OF1-1), 제1우측부화소(OF1-2)는 평면상 모양은 오각형일 수 있다. 제1내부부화소(IF1)의 평면상 모양은 정사각형일 수 있으므로, 제1상부부화소(OF1-1) 및 제1우측부화소와 제1내부부화소(IF1)의 평면상 모양은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교차부화소(OF1-3)의 평면상 모양은 육각형일 수 있다. 제1내부부화소(IF1)의 평면상 모양은 정사각형일 수 있으므로, 제1교차부화소(OF1-3)의 평면상 모양과 상이할 수 있다.
도면 상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부화소(F2)는 제1 부화소(F1)와 유사하게 제2인접부화소 및 제2내부부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인접부화소는 제1인접부화소(OF1)와 유사하게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하도록 표시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인접부화소는 제1상부부화소(OF1-1)와 유사하게 표시영역(DA)의 하부 테두리와 평행한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인접부화소는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하도록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내부부화소는 제1내부부화소(IF1)와 유사하게 표시영역(D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부화소(F3)는 제1 부화소(F1) 또는 제2 부화소(F2)와 유사하게 제3인접부화소(OF3) 및 제3내부부화소(IF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인접부화소(OF3)는 제1인접부화소(OF1)와 유사하게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하도록 표시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인접부화소(OF3)는 제1우측부화소(OF1-2)와 유사하게 표시영역(DA)의 좌측 테두리(U3) 또는 하부 테두리와 평행한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인접부화소(OF3)의 꼭지점 중 모따기된 제3꼭지점(ST3)은 비표시영역(NDA)과 중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3인접부화소(OF3)는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하도록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내부부화소(IF3)는 제1내부부화소(IF1)와 유사하게 표시영역(D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표시영역(DA) 상에 제1 부화소(F1)에 대응하도록 제1개구부(OP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개구부(OP1)는 제1인접개구부(OOP1) 및 제1내부개구부(IO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인접개구부(OOP1) 및 제1내부개구부(IOP1)의 평면상 모양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영역(DA) 상 제1인접개구부(OOP1) 및 제1내부개구부(IOP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인접개구부(OOP1)는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하도록 표시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인접개구부(OOP1)는 비표시영역(NDA)과 표시영역(DA)의 경계와 인접한 표시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인접개구부(OOP1)는 표시영역(DA)의 테두리와 인접하여 표시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인접개구부(OOP1)가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하도록 표시영역(DA) 상에 배치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인접개구부(OOP1)는 다각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인접개구부(OOP1)는 오각형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인접개구부(OOP1)는 육각형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1인접개구부(OOP1)의 모양은 오각형 또는 육각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인접개구부(OOP1)는 제1상부개구부(OOP1-1), 제1우측개구부(OOP1-2), 제1교차개구부(OOP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상부개구부(OOP1-1)는 표시영역(DA)의 테두리와 평행한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상부개구부(OOP1-1)는 제2 방향과 평행한 모서리(S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상부개구부(OOP1-1)는 표시영역의 상부 테두리(U1)와 평행한 모서리(S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상부개구부(OOP1-1는 표시영역의 상부 테두리(U1)와 평행한 모서리(S3)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상부개구부(OOP1-1)는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하도록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상부개구부(OOP1-1)는 표시영역의 상부 테두리(U1)와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상부개구부(OOP1-1)는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하도록 제2 방향과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우측개구부(OOP1-2)도 제1상부개구부(OOP1-1)와 유사하게 표시영역(DA)의 테두리와 평행한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우측개구부(OOP1-2)는 표시영역(DA)의 우측 테두리(U2)와 평행한 모서리(S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우측개구부(OOP1-2)는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하도록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우측개구부(OOP1-2)는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하도록 표시영역의 우측 테두리(U2)와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20)는 제1교차개구부(OOP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교차개구부(OOP1-3)는 표시영역(DA)의 테두리와 평행한 모서리를 적어도 2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교차개구부(OOP1-3)는 제2 방향과 평행한 모서리 및 제1 방향과 평행한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교차개구부(OOP1-3)는 표시영역의 상부 테두리(U1)와 평행한 모서리(S3) 및 표시영역의 우측 테두리(U2)와 평행한 모서리(S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내부개구부(IOP1)는 표시영역(D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내부개구부(IOP1)는 제1인접개구부(OOP1)가 아닌 제1개구부(OP1)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인접개구부(OOP1)는 제1내부개구부(IOP1)를 둘러쌓으면서 배치될 수 있다.
서로 동일한 색을 구현하는 제1 부화소(F1)의 영역을 정의하는 제1인접개구부(OOP1) 및 제1내부개구부(IOP1)의 평면상 형상은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제1상부개구부(OOP1-1), 제1우측개구부(OOP1-2), 및 제1교차개구부(OOP1-3)는 제1내부개구부(IOP1)와 평면상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상부개구부(OOP1-1), 제1우측개구부(OOP1-2)는 평면상 형상은 오각형일 수 있다. 제1내부개구부(IOP1)의 평면상 형상은 정사각형일 수 있으므로, 제1상부개구부(OOP1-1) 및 제1우측개구부(OOP1-2)와 제1내부개구부(IOP1)의 평면상 형상은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교차개구부(OOP1-3)의 평면상 형상은 육각형일 수 있다. 제1내부개구부(IOP1)의 평면상 모양은 정사각형일 수 있으므로 제1교차개구부(OOP1-3)의 평면상 형상과 상이할 수 있다.
도면상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개구부(OP2)는 제1개구부(OP1)와 유사하게 제2인접개구부 및 제2내부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인접개구부는 제1인접개구부(OOP1)와 유사하게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하도록 표시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인접개구부는 제1상부개구부(OOP1-1)와 유사하게 표시영역(DA)의 하부테두리와 평행한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인접개구부는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하도록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내부개구부는 제1내부개구부(IOP1)와 유사하게 표시영역(D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개구부(OP3)는 제1개구부(OP1) 또는 제2개구부(OP2)와 유사하게 제3인접개구부(OOP3) 및 제3내부개구부(IO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인접개구부(OOP3)는 제1인접개구부(OOP1)와 유사하게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하도록 표시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인접개구부(OOP3)는 제1상부개구부(OOP1-1) 또는 제1우측개구부(OOP1-2)와 유사하게 표시영역(DA)의 좌측 테두리(U3) 또는 하부 테두리와 평행한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인접개구부(OOP3)는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하도록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내부개구부(IOP3)는 제1내부개구부(IOP1)와 유사하게 표시영역(D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표시 장치(20)를 바라보는 경우 비표시영역(NDA)과 인접한 표시영역(DA)에 배치된 부화소들에 의한 빛 번짐을 제거할 수 있다.
만일, 도 5a 및 도 5b와 같이, 부화소(F)들이 틸팅된 채, 제1인접부화소(OF1)들 및 제1내부부화소(IF1)들이 평면상 모양이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영역(DA)이 톱니모양(TH)으로 비표시영역(NDA)과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표시영역 상부 테두리(U1) 및 표시영역 우측 테두리(U2)는 제1인접부화소(OF1)와 중첩될 수 있다. 표시영역 좌측 테두리(U3)는 제3인접부화소(OF3)와 중첩될 수 있다. 표시영역 하부 테두리(U4)는 제2인접부화소 및 제3인접부화소(OF3)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될 수 있다. 표시영역(DA) 상부 테두리(U1) 및 표시영역 우측 테두리(U2)는 제1인접부화소(OF1)로 인하여 청색 발광이 있을 수 있다. 표시영역 좌측 테두리(U3)는 제3인접부화소(OF3)로 인하여 적색 발광이 있을 수 있다. 표시영역 하부 테두리(U4)는 제2인접부화소 또는 제3인접부화소(OF3)로 인하여 적색 발광 또는 녹색 발광 또는 노란색 발광 중 적어도 하나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서로 동일한 색을 구현하는 인접부화소 및 내부부화소의 평면상 모양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색을 구현하는 부화소(F)들의 영역을 정의하는 인접개구부의 평면상의 형상 및 내부개구부의 평면 상의 형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에 인접한 표시영역(DA)에 배치된 인접부화소(OF)의 평면상 모양을 달리하면서, 빛 번짐을 제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화소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3 및 도 4b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부재를 의미하는 바, 이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상부부화소(OF1-1') 및 제1내부부화소(IF1)의 평면상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상부부화소(OF1-1')의 면적(OS1)은 제1내부부화소(IF1)의 면적(IS1)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우측부화소의 면적은 제1내부부화소(IF1)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교차부화소의 면적은 제1내부부화소(IF1)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상부부화소(OF1-1')의 면적(OS1)이 제1내부부화소(IF1)의 면적(IS1)과 동일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상부부화소(OF1-1') 및 상기 제1내부부화소(IF1)와 각각 인접하고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중앙부화소(CF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상부부화소(OF1-1')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1중앙부화소(CF1)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L1)는 상기 제1내부부화소(IF1)의 태두리로부터 상기 제1중앙부화소(CF1)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L2)와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제1상부부화소(OF1-1')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1중앙부화소(CF1)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L1)는 상기 제1내부부화소(IF1)의 태두리로부터 상기 제1중앙부화소(CF1)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L2)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와 유사하게 제2인접부화소 및 제2내부부화소의 평면상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인접부화소 및 제2내부부화소와 각각 인접하고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중앙부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인접부화소의 테두리로부터 제2중앙부화소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는 제2내부부화소의 테두리로부터 제2중앙부화소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제2인접부화소의 테두리로부터 제2중앙부화소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는 제2내부부화소의 테두리로부터 제2중앙부화소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제3인접부화소(OF3') 및 제3내부부화소(IF3)의 평면상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3인접부화소(OF3') 및 제3내부부화소(IF3)와 각각 인접하고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3중앙부화소(CF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인접부화소(OF3')의 테두리로부터 제3중앙부화소(CF3)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L3)는 제3내부부화소(IF3)의 테두리로부터 제3중앙부화소(CF3)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L4)와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제3인접부화소(OF3')의 테두리로부터 제3중앙부화소(CF3)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L3)는 제3내부부화소(IF3)의 테두리로부터 제3중앙부화소(CF3)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L4)보다 짧을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제1상부개구부(OOP1-1') 및 제1내부개구부(IOP1)의 평면상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상부개구부(OOP1-1')의 면적(OS1)은 제1내부개구부(IOP1)의 면적(IS1)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우측개구부의 면적은 제1내부개구부(IOP1)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교차개구부의 면적은 제1내부개구부(IOP1)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상부개구부(OOP1-1')의 면적(OS1)이 제1내부개구부(IOP1)의 면적(IS1)과 동일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상부개구부(OOP1-1') 및 상기 제1내부개구부(IOP1)와 각각 인접하고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중앙개구부(CO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상부개구부(OOP1-1')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1중앙개구부(COP1)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L1)는 상기 제1내부개구부(IOP1)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1중앙개구부(COP1)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L2)와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제1상부개구부(OOP1-1')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1중앙개구부(COP1)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L1)는 상기 제1내부개구부(IOP1)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1중앙개구부(COP1)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L2)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와 유사하게 제2인접개구부 및 제2내부개구부의 평면상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인접개구부 및 제2내부개구부와 각각 인접하고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중앙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인접개구부의 테두리로부터 제2중앙개구부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는 제2내부개구부의 테두리로부터 제2중앙개구부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제2인접개구부의 테두리로부터 제2중앙개구부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는 제2내부개구부의 테두리로부터 제2중앙개구부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제3인접개구부(OOP3') 및 제3내부개구부(IOP3)의 평면상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3인접개구부(OOP3') 및 제3내부개구부(IOP3)와 각각 인접하고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3중앙개구부(CO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인접개구부(OOP3')의 테두리로부터 제3중앙개구부(COP3)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L3)는 제3내부개구부(IOP3)의 테두리로부터 제3중앙개구부(COP3)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L4)와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제3인접개구부(OOP3')의 테두리로부터 제3중앙개구부(COP3)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L3)는 제3내부개구부(IOP3)의 테두리로부터 제3중앙개구부(COP3)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L4)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인접부화소(OF) 및 내부부화소(IF)의 평면상 면적이 동일하다면, 비표시영역과 인접하는 표시영역에서 발광이 균일하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불균일로 인한 휘도, 색상차 발생 가능성이 적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3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부재를 의미하는바, 이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각 부화소 사이에는 스페이서(P)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페이서(P)는 화소정의막(29) 상에 배치되거나, 화소정의막(29)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P)는 화소정의막(29)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스페이서(P)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P)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개 구비되며, 복수개의 스페이서(P)는 화소정의막(29)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스페이서(P)는 서로 인접하는 부화소 사이의 공간에 하나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스페이서(P)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페이서(P)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20)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 기판(2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경우 마스크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마스크 시트가 화소정의막(29)의 개구 내부로 진입하거나 화소정의막(29)에 밀착함으로서 기판(21)에 증착물질을 증착 시 각 마스크 조립체가 기판의 일부를 손상시키거나 파손시키는 찍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스페이서(P)는 마스크 조립체를 기판(21)에 밀착 시 화소정의막(29)의 개구영역의 끝단과 각 마스크 조립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 표시 장치
21: 기판
22: 버퍼층
24: 게이트절연층
26: 층간절연층
27: 패시베이션막
29: 화소정의막
CF1: 제1중앙부화소
COP1: 제1중앙개구부
F1, F2, F3: 제1 부화소, 제2 부화소, 제3 부화소
IF1, IF2, IF3: 제1내부개구부, 제2내부개구부, 제3내부개구부
OF1, OF2, OF3: 제1인접부화소, 제2인접부화소, 제3인접부화소
OF1-1,OF1-2,OF1-3: 제1상부개구부, 제1우측개구부, 제1교차개구부
OP1, OP2, OP3: 제1개구부, 제2개구부, 제3개구부
P : 스페이서

Claims (20)

  1.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 상에 부화소;
    상기 부화소의 영역을 정의하는 화소정의막;을 포함하고,
    상기 부화소는 상기 비표시영역에 인접하도록 상기 표시영역 상에 배치되는 인접부화소와 상기 표시영역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부화소를 포함하고,
    서로 동일한 색을 구현하는 상기 인접부화소 및 상기 내부부화소의 평면상 모양이 상이한,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은 상기 표시영역 및 상기 비표시영역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소는 제1부화소, 제2부화소, 및 제3부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화소, 상기 제2부화소, 및 상기 제3부화소는 서로 상이한 색의 빛을 발광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정사각형 형태이고,
    상기 제2부화소는 상기 제1부화소의 제1변 및 제2변을 각각 바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부화소는 상기 제1부화소의 제1변 및 제2변을 각각 바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부화소와 이격된,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의 평면상 면적은 상기 제2부화소의 평면상 면적 및 상기 제3부화소의 평면상 면적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큰 표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화소는 제1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며,
    상기 제2부화소의 장변 또는 상기 제3부화소의 장변은 상기 제1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제1부화소의 중심을 연결한 임의의 직선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은 흑색물질 또는 흡광도(optical density, OD)가 1인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부화소 및 상기 내부부화소의 평면상 면적은 동일한, 표시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부화소 및 상기 내부부화소의 평면상 면적은 동일하고,
    동일한 중앙부화소와 각각 인접하고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기 인접부화소 및 상기 내부부화소는,
    상기 인접부화소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중앙부화소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는 상기 내부부화소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중앙부화소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와 상이한, 표시 장치.
  11.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영역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부화소;
    상기 부화소의 영역을 정의하는 복수개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화소정의막;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비표시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표시영역 상에 배치되는 인접개구부와, 상기 표시영역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개구부를 포함하고,
    동일한 색을 구현하는 상기 부화소의 영역을 정의하는 상기 인접개구부의 평면 상의 형상 및 내부개구부의 평면 상의 형상은 서로 상이한,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은 상기 표시영역 및 상기 비표시영역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제1개구부, 제2개구부, 및 제3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개구부는 정사각형 형태이며,
    상기 제2개구부는 상기 제1개구부의 제1변 및 제2변을 각각 바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개구부는 상기 제1개구부의 제1변 및 제2변을 각각 바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개구부와 이격된,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는 제1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되며,
    상기 제2개구부의 장변 또는 상기 제3개구부의 장변은 상기 제1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제1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한 임의의 직선에 대해서 45도를 형성하는,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의 면적은 상기 제2개구부의 면적 및 상기 제3개구부의 면적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큰, 표시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은 흑색물질 또는 흡광도(optical density, OD)가 1인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개구부 및 상기 내부개구부의 평면상 면적은 동일한, 표시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개구부 및 상기 내부개구부의 평면상 면적은 동일하고,
    상기 인접개구부 및 상기 내부개구부는 동일한 중앙개구부와 각각 인접하고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인접개구부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중앙개구부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는 상기 내부개구부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중앙개구부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와 상이한, 표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개구부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중앙개구부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는 상기 내부개구부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중앙개구부의 테두리까지 최단 거리보다 짧은, 표시 장치.
KR1020190116355A 2019-09-20 2019-09-20 표시 장치 KR20210034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355A KR20210034748A (ko) 2019-09-20 2019-09-20 표시 장치
US16/850,338 US11417714B2 (en) 2019-09-20 2020-04-16 Display apparatus
CN202010804705.4A CN112542487A (zh) 2019-09-20 2020-08-12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355A KR20210034748A (ko) 2019-09-20 2019-09-20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748A true KR20210034748A (ko) 2021-03-31

Family

ID=74881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355A KR20210034748A (ko) 2019-09-20 2019-09-20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17714B2 (ko)
KR (1) KR20210034748A (ko)
CN (1) CN1125424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589A (ko) 2019-03-04 2020-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210018588A (ko) * 2019-08-05 2021-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557635B2 (en) * 2019-12-10 2023-01-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mask assembly,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CN115362489A (zh) * 2020-03-31 2022-11-18 株式会社日本显示器 显示装置及显示系统
KR20220010681A (ko) * 2020-07-17 2022-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79758A (ko) * 2020-12-04 2022-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7624A (ko) * 2013-12-10 2015-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369368B1 (ko) 2015-09-30 2022-03-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처리 회로 및 그를 가지는 표시 장치
WO2018008570A1 (ja) * 2016-07-08 2018-01-1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パネル
KR20180013577A (ko) 2016-07-29 2018-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101834792B1 (ko) 2016-08-31 2018-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6921509B2 (ja) * 2016-11-30 2021-08-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US10720606B2 (en) * 2016-12-26 2020-07-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pixel including a first region in which a pixel circuit is disposed
KR102451365B1 (ko) 2017-07-19 2022-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942565B (zh) * 2017-11-30 2021-03-26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显示面板及其显示装置
KR20200091059A (ko) * 2019-01-21 2020-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1487796B (zh) * 2019-01-28 2023-08-11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17714B2 (en) 2022-08-16
US20210091151A1 (en) 2021-03-25
CN112542487A (zh)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4748A (ko) 표시 장치
JP6143056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US9431469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US11362150B2 (en) Display device having lens corresponding to pixel, and electronic apparatus
JP5524104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US889597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22550492A (ja) 表示基板及び表示装置
JP2016173460A (ja) 表示装置
CN109599417B (zh) 电致发光显示装置
US11552274B2 (en) Display device having pixel electrode and color filter,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230015554A1 (en) Display substr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display apparatus
KR10254721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20210175299A1 (en) Display device, mask assembly,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20220328795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210138211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US20220045160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10078129A (ko) 표시 장치
KR20200106589A (ko)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200081626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4078926A (zh) 显示面板及包括其的显示设备
US999147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218158982U (zh) 触控结构、触控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US11342538B2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having reflection transmission por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230017392A (ko) 표시 장치
JP7047811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