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585A - 전주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주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585A
KR20210033585A KR1020190114777A KR20190114777A KR20210033585A KR 20210033585 A KR20210033585 A KR 20210033585A KR 1020190114777 A KR1020190114777 A KR 1020190114777A KR 20190114777 A KR20190114777 A KR 20190114777A KR 20210033585 A KR20210033585 A KR 20210033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electric pole
location information
pole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관
김기성
조태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14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3585A/ko
Publication of KR20210033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5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주 관리 시스템은, 입력에 기반하여 전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전주의 위치 정보를 제1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전자 장치와, 상기 전주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주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지도 상에 상기 전주의 위치를 출력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주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NDIS(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주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TELEGRAPH POL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주는 전선을 가설하기 위한 지지물로서, 전력선을 지지하고 배전선로용 기기(예: 변압기 개폐기 등)을 설치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전주는 도로변의 국공유지 또는 사유지 등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주의 설치 위치에 따라 해당 토지 관리기관에 점용로를 납부하여 운영되거나 납부되거나 별도의 사용료 없이 무상으로 운영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36280호(2017.04.03, 전주 관리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갖는 휴대단말)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전주가 설치될 시, 정확한 측량 등의 절차 없이 육안 등에 의한 단순 확인 절차를 통해 전주를 설치함에 따라, 별도의 현장조사가 선행되지 않는 한 정확한 전주의 위치를 확인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추가적인 현장조사를 수행하지 않고, 전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방안(solution)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추가적인 현장조사를 수행하지 않고, 전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전주 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주 관리 시스템은, 입력에 기반하여 전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전주의 위치 정보를 제1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전자 장치와, 상기 전주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주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지도 상에 상기 전주의 위치를 출력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주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NDIS(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주를 설치할 시, 전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NDIS(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전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추가적인 현장조사를 수행하지 않고, NDIS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전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주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전주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전주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전주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전주위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NDIS를 갱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주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주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주 관리 시스템은, 전자 장치(100), 제1 외부 전자 장치(170),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1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주 관리 시스템은, 전자 장치(100)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180)만 포함하거나 또는 제1 외부 전자 장치(170)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180) 이외에 추가적인 외부 전자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장치(140), 제1 통신 회로(150), 및 제2 통신 회로(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전주가 설치될 시, 전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며, 전주로부터 지정된 거리 내에 설치되거나 또는 전주에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운영 체제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인스트럭션(instruction) 또는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입출력 장치(140)를 통해 전주의 위치 정보 획득을 요청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1 통신 회로(150)를 통해 전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입출력 장치(140)를 통해 전주의 위치 정보 획득을 요청하는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제1 통신 회로(150)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주로부터 지정된 거리 내에 설치되거나 또는 전주에 부착되므로,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전주의 위치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주의 위치 정보 획득이 성공하거나 실패한 경우, 입출력 장치(140)를 통해 전주의 위치 정보 획득의 성공 여부를 안내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통신 회로(150)를 통해 획득된 전주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전주의 위치를 재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전주의 위치 정보가 획득된 경우, 전주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전주를 포함하는 일정 크기의 지도를 메모리(130)로부터 로드하거나 또는 제2 통신 회로(160)를 통해 획득하고, 전주의 위치가 지도의 도로 상에 위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것에 응답하여, 제2 통신 회로(160)를 통해 전주의 위치 정를 제1 외부 전자 장치(170)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180)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통신 회로(150)는 전주의 위치(또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통신 회로(15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와 같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2 통신 회로(16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170)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18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통신 회로(16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17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WiFi(wireless fidelity), LiFi(light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라디오 프리퀀시(RF)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통신 회로(160)는 제2 외부 전자 장치(18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외부 전자 장치(17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노트북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170)는 WiFi(wireless fidelity), LiFi(light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라디오 프리퀀시(RF)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외부 전자 장치(17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주위 위치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전주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를 획득하고, 전주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상에 전주의 위치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전자 장치(17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주의 위치 정보가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다양한 형태의 지도를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다양한 형태의 지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다양한 형태의 지도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선택된 지도를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지도 상에 전주의 위치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외부 전자 장치(17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주의 위치 정보가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다양한 형태의 지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다양한 형태의 지도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선택된 입력에 대응하는 지도를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지도 상에 전주의 위치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외부 전자 장치(17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주의 위치 정보가 수신된 경우, NDIS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될 수 있도록 전주의 위치 정보를 제2 외부 전자 장치(18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2 외부 전자 장치(180)는 NDIS를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2 외부 전자 장치(180)는 전자 장치(100) 또는 제1 외부 전자 장치(170)로부터 전주의 위치 정보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전주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NDIS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외부 전자 장치(180)는 수신된 전주의 위치 정보를 NDIS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외부 전자 장치(180)에 저장된 NDIS 데이터베이스는, 전주의 위치 정보(예: 주소 정보 또는 좌표 정보), 지목 정보, 또는 점용 위치 정보(예: 국공유지 또는 사유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에에 따르면, 제2 외부 전자 장치(180)는 NDIS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된 경우, NDIS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내역을 생성하고, 생성된 NDIS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내역을 출력 및/또는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전주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동작 2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입력에 기반하여 전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입출력 장치(140)를 통해 전주의 위치 정보획득을 요청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1 통신 회로(150)를 통해 위치 측정을 위한 위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전주의 위치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입출력 장치(140)를 통해 전주의 위치 정보 획득을 요청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2 통신 회로(160)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인접한 3개 이상의 기지국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 장치(100)와 인접한 3개 이상의 기지국들의 위치 정보 및 각각의 기지국과 전자 장치(100)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고, 삼각측량법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전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전주의 위치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기지국들과 전자 장치(100) 간의 거리는, 신호의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RSSI)) 또는 신호의 비행시간(time of flight(TOF))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동작 203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전주의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2 통신 회로(160)를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170)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18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로 전주의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17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주의 위치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1 외부 전자 장치(170)의 사용자가 전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주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상에 전주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외부 전자 장치(18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주의 위치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전주의 위치 정보를 NDIS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전주가 설치될 시, 전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전주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NDIS(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될 수 있도록 전주의 위치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함으로써, 전주의 위치 확인을 위해 추가적인 현장조사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전주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전주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301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제1 외부 전자 장치(170))의 프로세서는 통신 회로를 통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주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외부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주의 위치 정보가 수신된 경우, NDIS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될 수 있도록, 통신 회로를 통해 전주의 위치 정보를 제2 외부 전자 장치(18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외부 전자 장치(170)의 통신 회로는, WiFi(wireless fidelity), LiFi(light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라디오 프리퀀시(RF)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법을 지원할 수 있다.
동작 303에서, 프로세서는 수신된 전주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전주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전주의 위치 정보가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다른 통신 회로를 통해 전주의 위치를 포함하고, 다양한 형태를 갖는 지도를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전주의 위치 정보가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지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다양한 형태의 지도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수신된 경우, 다른 통신 회로를 통해 전주의 위치를 포함하고, 입력에 의해 선택된 형태의 지도를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의 지도는, 예를 들어, 도 4의 (a) 내지 (d)와 같이, 기본 배경을 나타내는 모형도(a), 국가공간정보포털의 지적을 나태나는 모형도(b), 위성사진을 나타내는 모형도(c), 및/또는 NDIS 설비를 나타내는 모형도(d)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동작 305에서, 프로세서는 전주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획득한 것에 응답하여, 전주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상에 전주의 위치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다양한 형태의 지도 중 선택된 지도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표시된 지도 상에 전주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외부 전자 장치(170)는 전주가 설치될 시, 전자 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전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제공함으로써, 제1 외부 전자 장치(170)의 사용자에게 전주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2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전주위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NDIS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01에서, 제2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제2 외부 전자 장치(180))의 프로세서는 통신 회로를 통해 전자 장치(100) 또는 제1 외부 전자 장치(170)로부터 전주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는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등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법을 지원할 수 있다.
동작 503에서, 프로세서는 수신된 전주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NDIS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수신된 전주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전주의 위치 정보(예: 주소 정보 또는 좌표 정보), 지목 정보, 또는 점용 위치 정보(예: 국공유지 또는 사유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NDIS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함으로써, NDIS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동작 505에서, 프로세서는 NDIS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 것에 응답하여, NDIS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지정된 시간 마다 NDIS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된 전주의 주소 정보, 지목 정보, 및 점용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NDIS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 507에서, 프로세서는 NDIS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내역을 생성한 것에 응답하여, 출력 장치를 통해 NDIS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내역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외부 전자 장치(180)는 전주의 위치 정보가 획득되면, 전주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NDIS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함으로써, 제2 외부 전자 장치(180)의 사용자(또는 관리자)가 전주의 위치 확인을 위해 추가적인 현장조사 없이, 전주의 위치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NDIS 데이터베이스에 전주의 주소 정보, 지목 정보, 및 점용위치 정보가 포함됨에 따라, 제2 외부 전자 장치(180)의 사용자가 주소 검색을 통해 전주가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00: 전자 장치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40: 입출력 장치
150: 제1 통신 회로
160: 제2 통신 회로
170: 제1 외부 전자 장치
180: 제2 외부 전자 장치

Claims (9)

  1. 입력에 기반하여 전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전주의 위치 정보를 제1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전자 장치;
    상기 전주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주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지도 상에 상기 전주의 위치를 출력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주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NDIS(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전주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전주가 설치될 시, 상기 전주와 지정된 거리 내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전주에 부착되는 전주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전주가 설치될 시,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전주의 위치 정보로 사용하는 전주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전주가 설치될 시, 상기 전자 장치와 인접한 3개 이상의 기지국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3개 이상의 기지국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상기 3개 이상의 기지국 각각과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거리 정보에 기반한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전주의 위치 정보로 사용하는 전주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3개 이상의 기지국 각각과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3개 이상의 기지국 각각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획득된 신호의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RSSI)) 및 신호의 비행시간(time of flight(TOF)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및
    상기 신호의 세기 및 상기 신호의 비행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3개 이상의 기지국 각각과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전주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전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전주의 위치 정보가 획득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를 통해 상기 전주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로드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전주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획득하고,
    상기 전주의 위치가 상기 지도의 도로 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전주의 위치를 재측정하는 전주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전주의 위치 정보가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주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전주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NDIS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전주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주의 주소 정보, 상기 전주의 지목 정보, 및 상기 전주의 점용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전주의 위치 정보, 상기 전주의 주소 정보, 상기 전주의 지목 정보, 및 상기 전주의 점용 위치 정보를 상기 NDIS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는 전주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NDIS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NDIS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내역을 생성하고, 및
    상기 NDIS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내역을 출력하는 전주 관리 시스템.
KR1020190114777A 2019-09-18 2019-09-18 전주 관리 시스템 KR202100335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777A KR20210033585A (ko) 2019-09-18 2019-09-18 전주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777A KR20210033585A (ko) 2019-09-18 2019-09-18 전주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585A true KR20210033585A (ko) 2021-03-29

Family

ID=75250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777A KR20210033585A (ko) 2019-09-18 2019-09-18 전주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35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850B1 (ko) * 2022-03-28 2023-03-14 주식회사 삼화기술단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전신주의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850B1 (ko) * 2022-03-28 2023-03-14 주식회사 삼화기술단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전신주의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0310B2 (en) Method of position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N110062365B (zh) 定位方法和通信设备
KR20090076171A (ko) 위치 추정 방법 및 그 기기
US9078232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haracterizing and affecting mobile device location accuracy and/or uncertainty
CN105424031A (zh) 一种室内导航系统及方法
KR20150060840A (ko) 더 신속한 최초 위치결정 시간을 위한 기술들
CN103064980A (zh) 基于移动终端及gps查询景点信息的方法和系统
US201500554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wi-fi access point for position determnation
CN105451329B (zh) 一种定位方法及电子设备
JP6611117B2 (ja) 電子装置、位置特定プログラムおよび位置特定方法
CN105376716A (zh) 位置获取方法及装置
US20200341164A1 (en) Metal Detector
EP3078981A1 (en) In-band pseudolite wireless positioning method, system and device
CN112312306A (zh) 一种定位方法及装置
EP3460502A1 (en) Controlling radio fingerprint observation report collection
EP3373025A1 (en) System for creating radio wave state map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33585A (ko) 전주 관리 시스템
US20140364143A1 (en) Providing location assistance information using data from smart meters
US20200186968A1 (en) Service provision device,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KR20190020940A (ko) 외부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Juhari et al. IIum bus on campus monitoring system
CN109982348A (zh) 投诉地点识别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2005061842A (ja) 計測端末、サービス装置、及び要求端末
CN110365738B (zh) 基于Hybird架构的定位方法、装置及存储介质
Jeong et al. Paradigm Shift and the State of the Art of LBS in the Advent of Smartph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