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582A - Steel Reinforcing Coupler - Google Patents

Steel Reinforcing Coup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582A
KR20210033582A KR1020190114762A KR20190114762A KR20210033582A KR 20210033582 A KR20210033582 A KR 20210033582A KR 1020190114762 A KR1020190114762 A KR 1020190114762A KR 20190114762 A KR20190114762 A KR 20190114762A KR 20210033582 A KR20210033582 A KR 20210033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pieces
coupler
rib
guid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7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64586B1 (en
Inventor
김봉수
Original Assignee
김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수 filed Critical 김봉수
Priority to KR1020190114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586B1/en
Publication of KR20210033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5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5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reinforcing bar coupler which is capable of quickly connecting reinforcing bars. The reinforcing bar coupler comprises: a coupler housing which includes a first opening into which a first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nd a second opening into which a second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nd which is divided into a central region formed in a column shape having at least one of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 oval cross-sectional shape, and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a first tapered region having a diameter which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ral region toward the first opening, and a second tapered region having a diameter which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ral region to the second opening, wherein a hollow part is formed in the coupler housing, and a separator is installed in the hollow part so that the hollow part is divided into a first accommodation region and a second accommodation region; a plurality of first piece members each having an outer surface disposed adjacent to and/or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first tapered region inside the hollow part and an internal surface with a first concave-convex part on which a no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is caught and supported; a plurality of second piece members each having an outer surface disposed adjacent to and/or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tapered region inside the hollow part and an internal surface with a second concave-convex part having a plurality of concave parts on which a node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is caught and supported; and a first return spring and a second return spring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reg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region, respectively, and configured to provide elastic force by supporting the plurality of first piece member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 members, respectively.

Description

철근 커플러{Steel Reinforcing Coupler}Steel Reinforcing Coupler

본 발명은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속하게 철근을 연결할 수 있는 원터치 방식의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coup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inforcing bar coupler of a one-touch method capable of quickly connecting reinforcing bars.

각종 건설현장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한 철근을 연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철근을 이중으로 겹친상태에서 철사 등으로 묶어서 고정하였으나, 이러한 철근 고정방식은 작업자가 철사를 다수회 철근 외주로 권취한 다음 묶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철근의 중심이 수직이 되지 않고 삐뚤어질 뿐 아니라 철사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쉽게 끊어지면서 연결상태가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connect reinforcing bars for use in concrete structures in various construction sites, conventionally, reinforcing bars were double-lapped and fixed with wires, etc., but this reinforcing bar fixing method requires the worker to wind the wire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inforcing bar many times and then tie it. The work is cumbersome,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bar is not vertical and is crooked, and the strength of the wire is weak,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nection state is disconnected while being easily disconnect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철근을 철사가 아닌 다른 수단으로 쉽고 단단하게 연결하기 위한 철근 이음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inforcing bar joint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easily and firmly connect reinforcing bars by means other than wires.

그런데, 종래에 개발된 철근 이음장치들의 대부분은 철근을 하우징 내부에 삽입한 후 하우징을 나사로 돌려서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구조적으로 복합하며 철근의 연결 작업이 어려워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most of the reinforcing bar joints developed in the past are a method of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 into the housing and then rotating the housing with a screw. It is structurally complex and requires a lot of time, effort, and cost to work because it is difficult to connect the reinforcing bars. there is a problem.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9-0031075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3107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신속하게 철근을 연결할 수 있는 원터치 방식의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ne-touch rebar coupler capable of quickly connecting reinforcing bars.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철근 삽입시 편체가 철근의 마디와 리브에 밀착하여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는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ing bar coupler capable of reinforcing the binding force when the pie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nodes and ribs of the reinforcing bar when reinforcing bar is insert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일측단에 제1 철근이 삽입되는 제1 개구부와, 타측단에 제2 철근이 삽입되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되고, 원,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갖는 기둥 형태로 형성된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에서 상기 제1 개구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제1 테이퍼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에서 상기 제2 개구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제2 테이퍼 영역으로 구분되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분리대가 설치되어 상기 중공부가 제1 수납영역 및 제2 수납영역으로 구분된 커플러 하우징, 외측면이 상기 중공부의 내측에서 상기 제1 테이퍼 영역에 인접 및/또는 접촉하여 배치되고, 내측면에 상기 제1 철근의 마디가 걸리면서 지지되는 제1 요철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 편체, 외측면이 상기 중공부의 내측에서 상기 제2 테이퍼 영역에 인접 및/또는 접촉하여 배치되고, 내측면에 상기 제2 철근의 마디가 걸리면서 지지되는 복수의 오목부분이 형성된 제2 요철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편체, 및 상기 제1 수납영역 및 상기 제2 수납영역 각각에 수납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편체 및 상기 복수의 제2 편체 각각을 지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리턴 스프링 및 제2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철근 커플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first opening in which the first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t one end, and a second opening in which the second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t the other end, and circles, ovals, and polygons A central region formed in the form of a pillar having at least one cross-sectional shape, a first tapered region gradually decreasing in diameter from the central region to the first opening, and a first tapered region gradually decreasing in diameter from the central region to the second opening. Divided into a second tapered area whose diameter is reduced, a hollow part is formed therein, a separator is installed in the hollow part, and the coupler housing is divided into a first receiving area and a second receiving area, and an outer surface of the hollow part is A plurality of first pieces including a first concave-convex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and/or in contact with the first tapered region from the inner side and supported while the joint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is caught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from the inside of the hollow portion A plurality of second pieces including a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and/or in contact with the second tapered reg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support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nodes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the first A reinforced coupler, which is accommodated in each of the storage area and the second storage area, and includes a first return spring and a second return spring that support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prov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편체 각각은, 상기 커플러 하우징 내로 삽입된 상기 제1 철근의 마디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 철근 가이드부, 상기 제1 철근의 리브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 리브 가이드부 및 인접한 다른 제1 편체와 함께 상기 제1 철근의 리브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측단부에 마련된 제1 부분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편체 각각은, 상기 커플러 하우징 내로 삽입된 상기 제2 철근의 마디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2 철근 가이드부, 상기 제2 철근의 리브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2 리브 가이드부 및 인접한 다른 제2 편체와 함께 상기 제2 철근의 리브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측단부에 마련된 제2 부분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includes a first reinforcing bar guide part for guiding a no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inserted into the coupler housing in an axial direction, and a rib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in an axi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of a first partial guide portion provided at a side end portion so as to guide a rib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in an axial direction together with a first rib guide portion and an adjacent first piece body, and the plurality of pieces Each of the 2 pieces includes a second reinforcing bar guide part for guiding the node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inserted into the coupler housing in the axial direction, a second rib guide part for guiding the rib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in the axial direction, and an adjacent second reinforcing ba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econd partial guide portions provided at the side end portions so as to guide the ribs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together with the two pieces in the axial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철근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철근이 상기 복수의 제1 편체 사이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철근의 마디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편체 각각의 일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철근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철근이 상기 복수의 제2 편체 사이에 삽입될 때 상기 제2 철근의 마디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2 편체 각각의 일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inforcing bar guide unit includes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reinforcing bars so that the nodes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are smoothly inserted when the first reinforcing bar is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It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guide portion,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reinforcing bars so that the nodes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are smoothly inserted when the second reinforcing bar is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Can be formed i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요철부에서 축방향으로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제1 철근의 리브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요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리브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요철부에서 축방향으로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제2 철근의 리브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요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ib guide portion is formed as a groove set to correspond to the rib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from the first uneven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second rib guide portion , It may be formed as a concave groove set to correspond to the rib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 요철부의 복수의 돌출부에서 상기 제1 철근의 리브에 대응되는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설정된 경사 또는 깊이를 만드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리브 가이드부는, 상기 제2 개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2 요철부의 복수의 돌출부에서 상기 제2 철근의 리브에 대응되는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설정된 경사 또는 깊이를 만드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ib guide portion may have a slope or depth set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ib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from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of the first uneven portion as the distance from the first opening increases.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rib guide portion, as a distance from the second opening, increases a set inclination or depth by removing some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ribs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from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of the second uneven portion. It can be formed into an inclined surface to mak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제1 편체 각각의 측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제1 요철부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형성되고, 인접한 다른 상기 제1 편체의 제1 부분 가이드부와 함께 상기 제1 철근의 리브를 가이드하며, 상기 제2 부분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제2 편체 각각의 측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제2 요철부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형성되고, 인접한 다른 상기 제2 편체의 제2 부분 가이드부와 함께 상기 제2 철근의 리브를 가이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rtial guide portion is formed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uneven portion in an axial direction from a side end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and Guides the ribs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together with the first partial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partial guide portion is formed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uneven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side end porti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The rib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may be guided together with the second partial guide part of the second adjacent second pie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편체 및/또는 상기 복수의 제2 편체의 외측면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편체 및/또는 상기 복수의 제2 편체는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링이 삽입되는 링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철근 커플러는, 상기 커플러 하우징의 상기 제1 개구부 및/또는 상기 제2 개구부에 결합되는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커플러 하우징에 삽입 가능한 철근의 직경을 구분하도록 철근의 직경에 따라 설정된 색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and/or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ring that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pieces to provide elastic force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pieces One piece and/or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may include a ring insertion groove formed on an outer surface and into which the elastic ring is insert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ed coupler comprises the first of the coupler housing. It further includes a cap coupled to the first opening and/or the second opening, and the cap may be made of a color set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to distinguish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able into the coupler housing.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일측단에 철근이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원,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갖는 기둥 형태로 형성된 몸체 영역과, 상기 몸체 영역에서 상기 개구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영역으로 구분되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타측단에 하기 리턴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형성된 커플러 하우징, 외측면이 상기 중공부의 내측에서 상기 테이퍼 영역에 인접 및/또는 접촉하여 배치되고, 내측면에 상기 철근의 마디가 걸리면서 지지되는 요철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편체, 및 상기 중공부에 수납되고, 상기 복수의 편체를 지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철근 커플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region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at least one of a circle, an oval, and a polygon, and the body is formed with an opening in which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at one end The coupler housing is divided into a tapered area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area to the opening, and a hollow part is formed therein, and a supporter supporting the following return spring is formed at the other end, and the outer surface is the tapered area from the inside of the hollow part. A plurality of pieces arranged adjacent to and/or in contact with, and including an uneven portion supported by the joint of the reinforcing bar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nd a return spring accommodated in the hollow portion and supporting the plurality of pieces of elastic force Containing, it provides a reinforced coupl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 하우징은 상기 몸체 영역과 상기 지지대가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지지대가 접촉하는 면과의 접합 면적을 확장시키는 접합 확장면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er housing may include a bonding expansion surface extending a bonding area between the body region and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at a corner portion where the support is connec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터치 방식으로 신속하게 철근을 연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connect reinforcing bars in a one-touch mann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철근 삽입시 편체가 철근의 마디와 리브에 밀착하여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the flat body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nodes and ribs of the reinforcing bar to enhance the binding for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철근들 중 최초 또는 최후의 철근에 철근 커플러가 결합되어 철근을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inforcing bar coupler may be coupled to the first or last reinforcing bar amo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connected in series to fix the reinforcing bar at a set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철근 커플러 각각의 지지대를 접합하여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철근들을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nect reinforcing bars having different diameters by joining the supports of each of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 couplers.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커플러 하우징의 (a) 정면, (b) 부분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제1 편체의 (a) 정면, (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복수의 제1 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제1 편체의 수직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1 편체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복수의 제1 편체의 수직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제1 편체 및 제2 편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턴 스프링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은 도 13의 제1 리턴스프링의 (a) 정면, (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 하우징의 내부를 투영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의 커플러 하우징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캡이 결합된 커플러 하우징의 내부를 투영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inforced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a) front view and (b) partial cross-section of the coupler housing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structure of a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structure of a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a) front and (b) cross section of the first piece of FIG. 1.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first pieces of FIG. 3.
7 and 8 are views showing a vertical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first piece of FIG. 6.
9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a plurality of first pie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ertical cross section of a plurality of first pieces of FIG. 9.
11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first piece and a second piece of a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form of a return sp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howing (a) front and (b) cross-sections of the first return spring of FIG. 13.
15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nside of a coupler housing is proj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oupler housing of FIG. 1.
17 and 18 are views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nside of a coupler housing to which a cap is coupled is proj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bond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the middle. "Including the cas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inforced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100)는 원터치 방식으로 제1 철근(10) 및 제2 철근(20)을 연결하기 위하여, 커플러 하우징(110), 복수의 제1 편체(120), 복수의 제2 편체(130), 제1 리턴 스프링(140) 및 제2 리턴 스프링(15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reinforcing bar coupl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n a one-touch method, a coupler housing 110, a plurality of It may include one piece 120, a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a first return spring 140, and a second return spring 150.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은 도 2를 더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측단에 상기 제1 철근(10)이 삽입되는 제1 개구부(102)와, 타측단에 상기 제2 철근(20)이 삽입되는 제2 개구부(104)가 형성되고, 원,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갖는 기둥 형태로 형성된 중앙 영역(112)과, 상기 중앙 영역(112)에서 상기 제1 개구부(102)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제1 테이퍼 영역(114)과, 상기 중앙 영역(112)에서 상기 제2 개구부(104)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제2 테이퍼 영역(116)으로 구분되어 내부에 중공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은 상기 중공부(118)에 분리대(162)가 설치되어 상기 중공부(118)가 제1 수납영역(164) 및 제2 수납영역(166)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은 상기 중앙 영역(112), 상기 제1 테이퍼 영역(114) 및 상기 제2 테이퍼 영역(116)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는 실시 형태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구성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정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가 3개로 구성될 경우 가장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coupler housing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further, a first opening 102 into which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is inserted at one end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at the other end. A second opening 104 is formed, a central region 112 formed in the shape of a pillar having at least one cross-sectional shape of a circle, an ellipse, and a polygon, and from the central region 112 to the first opening 102 It is divided into a first tapered area 114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and a second tapered area 116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ral area 112 to the second opening 104 and is hollow inside. A portion 118 may be formed. In addition, in the coupler housing 110, a separator 162 is installed in the hollow portion 118 so that the hollow portion 118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torage area 164 and a second storage area 166. . In the coupler housing 110, the central region 112, the first tapered region 114, and the second tapered region 116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may includ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may be composed of two as shown in FIG. 3, or may be composed of three as shown in FIG. 4,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numbers according to settings. However, when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are composed of three, it can be most stably used.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 각각은 도 5를 더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측면이 상기 중공부(118)의 내측에서 상기 제1 테이퍼 영역(114)에 인접 및/또는 접촉하여 배치되고, 내측면에 상기 제1 철근(10)의 마디(12)가 걸리면서 지지되는 복수의 오목부(122)와 복수의 돌출부(124)가 형성된 제1 요철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is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nd an outer surface thereof is disposed adjacent to and/or in contact with the first tapered region 114 from the inside of the hollow part 118,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122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24 may be formed to be supported while the joint 12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is caught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nd a first concave-convex portion 121 may be formed.

또한, 도 6 내지 도 12를 더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 각각은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 내로 삽입된 상기 제1 철근(10)의 마디(12)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 철근 가이드부(125), 상기 제1 철근(10)의 리브(14)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 리브 가이드부(126) 및 인접한 다른 제1 편체(120)와 함께 상기 제1 철근(10)의 리브(14)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측단부에 마련된 제1 부분 가이드부(12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6 to 12,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guides the nodes 12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10 inserted into the coupler housing 110 in the axial direction. The first reinforcing bar together with the first reinforcing bar guide part 125, the first rib guide part 126 for guiding the rib 14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in the axial direction, and another adjacent first piece 120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partial guide portions 127 provided at the side ends to guide the rib 14 of (10)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제1 철근 가이드부(125)는 상기 제1 철근(10)이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 사이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철근(10)의 마디(12)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 각각의 일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철근 가이드부(125)는 상기 제1 철근(10)의 마디(12)와의 충돌 및/또는 마찰을 줄이기 위한 형상, 예컨대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 각각의 일측단에 가까울수록 두께가 얇아져서 설정된 경사 각도를 만드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einforcing bar guide part 125 is configured to smoothly insert the node 12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when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is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It may be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At this time, the first reinforcing bar guide part 125 is a shape for reducing collision and/or friction with the node 12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for example, close to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As the thickness becomes thinner, it can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hat creates a set inclination angle.

상기 제1 리브 가이드부(126)는 상기 제1 요철부(121)에서 축방향으로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리브 가이드부(126)는 상기 제1 철근(10)의 리브(14)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요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리브 가이드부(126)은 상기 제1 개구부(102)로부터 멀어질수록 설정된 경사 또는 깊이를 만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리브 가이드부(126)은 상기 제1 테이퍼 영역(114)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1 요철부(121)의 복수의 돌출부(124)에서 상기 제1 철근(10)의 리브(14)에 대응되는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설정된 경사 또는 깊이를 만드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리브 가이드부(126)는 상기 제1 철근(10)의 리브(14)에 밀착되어 상기 제1 편체(120)와 상기 제1 철근(10)을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The first rib guide portion 126 may be formed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from the first uneven portion 121 in the ax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first rib guide part 126 may be formed as a groove set to correspond to the rib 14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In this case, the first rib guide part 126 may be formed to create a set inclination or depth as the distance from the first opening 102 increases. For example, the first rib guide portion 126 is a rib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i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24 of the first uneven portion 121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irst tapered region 114. It may be formed as a slope to create a set slope or depth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corresponding to (14). The first rib guide portion 126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ib 14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to reinforce a bi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piece 120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또한, 상기 제1 리브 가이드부(126)은 상기 제1 개구부(102)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 철근(10)의 리브(14)가 걸리는 상기 제1 요철부(121)의 돌출부(124) 측단부를 두껍게 만들어 상기 제1 철근(10)의 리브(14)를 강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리브 가이드부(126)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철근(10)의 리브(14)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ib guide portion 126 is a protrusion 124 of the first uneven portion 121 to which the rib 14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is caught as the distance from the first opening 102 increases. By making the side end thick, the rib 14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may be strongly supported. That is, the first rib guide portion 126 is formed in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support force for the rib 14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may be improved.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 각각은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 내에 상기 제1 철근(10)이 삽입될 경우, 상기 제1 철근(10)의 리브(14)를 따라 상기 제1 리브 가이드부(126)가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 철근(10)에 밀착하여 체결 또는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 각각은 상기 제1 철근(10)이 회전할 경우, 상기 제1 철근(10)의 리브(14)에 접촉된 상기 제1 리브 가이드부(126)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When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is inserted into the coupler housing 110,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is provided with the first rib guide part along the ribs 14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The 126 may slid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to be fastened or assembled. 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rib guide portion 126 of the rib 14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when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rotates. Can be rotated by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 각각은 상기 제1 철근(10)의 리브(14)를 만나 상기 제1 리브 가이드부(126)이 슬라이딩하고, 외측면이 상기 중공부(118)의 상기 제1 테이퍼 영역(114)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 개구부(102)에 접근하면서 압축응력을 받아 상기 제1 철근(10)의 마디(12)가 상기 제1 요철부(121)의 오목부(122)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는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 내측에서 쐐기형태로 상기 제1 철근(10)을 압착할 수 있다.For example,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meets the rib 14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so that the first rib guide portion 126 slides, and the outer surface thereof is the hollow portion 118 ) By sliding along the first tapered region 114 to approach the first opening 102 and receiving a compressive stress so that the joint 12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is It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concave portion (122). Through this,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may press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in a wedge shape inside the coupler housing 110.

상기 제1 부분 가이드부(127)는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 각각의 측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제1 요철부(121)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부분 가이드부(127)는 인접한 다른 제1 편체(120)의 제1 부분 가이드부(127)와 함께 상기 제1 철근(10)의 리브(14)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부분 가이드부(127)는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 내에 상기 제1 철근(10)이 삽입될 때 상기 제1 리브 가이드부(126)를 대신하여 상기 제1 철근(10)의 리브(14)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부분 가이드부(127)는 상기 제1 리브 가이드부(126)를 도와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가 제1 철근(10)에 빠르게 압착하도록 만들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의 회전 각도를 감소시키고, 철근 커플러와 철근의 연결 시간(조립 시간)을 줄일 수 있다.The first partial guide portion 127 may be formed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uneven portion 121 in the axial direction from side end porti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Here, the first partial guide part 127 may guide the rib 14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together with the first partial guide part 127 of another adjacent first piece 120. When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is inserted into the coupler housing 110, the first partial guide part 127 replaces the first rib guide part 126 with a rib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14) can be guided. Through this, the first partial guide part 127 helps the first rib guide part 126 to rapidly compress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otation angle of the piece body 120 and reduce the connection time (assembly time) between the reinforcing bar coupler and the reinforcing bar.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는 실시 형태에 따른 상기 제1 리브 가이드부(126)와 상기 제1 부분 가이드부(127)가 복합적으로 상기 제1 철근(10)의 리브(14)를 가이드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are combined with the first rib guide portion 126 and the first partial guide portion 127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o guide the rib 14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can do.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가 2개 또는 짝수로 구성된 경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상기 제1 리브 가이드부(126)가 상기 제1 철근(10)의 리브(14)를 가이드하거나, 일측에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1 부분 가이드부(127)가 타측에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1 부분 가이드부(127)와 함께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상태로 제1 철근(10)의 리브(14)를 가이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are composed of two or an even number, a pair of the first rib guide portions 126 facing each other is the rib 14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Or a pair of first partial guide portions 127 adjacent to each other on one side and a pair of first partial guide portions 127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other side,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 ( The rib 14 of 10) can be guided.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가 3개 또는 홀수로 구성된 경우, 일측에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1 부분 가이드부(127)가 상기 제1 리브 가이드부(126)와 함께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제1 철근(10)의 리브(14)를 가이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are composed of three or an odd number, a pair of the first partial guide portions 127 adjacent to each other on one side face each other together with the first rib guide portion 126. Thus, the rib 14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may be guided in the disposed state.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 각각은 외측면이 상기 중공부(118)의 내측에서 상기 제2 테이퍼 영역(116)에 인접 및/또는 접촉하여 배치되고, 내측면에 상기 제2 철근(20)의 마디(22)가 걸리면서 지지되는 복수의 오목부(132)와 복수의 돌출부(134)가 형성된 제2 요철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has an outer surface disposed adjacent to and/or in contact with the second tapered region 116 on the inner side of the hollow portion 118,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thereof. )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132 and a second uneven portion 131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134 are formed while being supported while the node 22 is caught.

또한,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 각각은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 내로 삽입된 상기 제2 철근(20)의 마디(22)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2 철근 가이드부(135), 상기 제2 철근(20)의 리브(24)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2 리브 가이드부(136) 및 인접한 다른 제2 편체(130)와 함께 상기 제2 철근(20)의 리브(24)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측단부에 마련된 제2 부분 가이드부(13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is a second reinforcing bar guide portion 135 for guiding the node 22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nserted into the coupler housing 110 in the axial direction, the The rib 24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s axially coupled with the second rib guide part 136 for guiding the rib 24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n the axial direction and another adjacent second piece 130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econd partial guide portions 137 provided at the side ends to guide in the direction.

상기 제2 철근 가이드부(135)는 상기 제2 철근(20)이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 사이에 삽입될 때 상기 제2 철근(20)의 마디(22)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 각각의 일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철근 가이드부(135)는 상기 제2 철근(20)의 마디(22)와의 충돌 및/또는 마찰을 줄이기 위한 형상, 예컨대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 각각의 일측단에 가까울수록 두께가 얇아져서 설정된 경사 각도를 만드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reinforcing bar guide part 135 is so that the node 22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s smoothly inserted when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s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It may be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At this time, the second reinforcing bar guide part 135 has a shape for reducing collision and/or friction with the node 22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for example, close to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As the thickness becomes thinner, it can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hat creates a set inclination angle.

상기 제2 리브 가이드부(136)는 상기 제2 요철부(131)에서 축방향으로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리브 가이드부(136)는 상기 제2 철근(20)의 리브(24)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요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리브 가이드부(136)은 상기 제2 개구부(104)로부터 멀어질수록 설정된 경사 또는 깊이를 만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리브 가이드부(136)은 상기 제2 테이퍼 영역(116)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2 요철부(131)의 복수의 돌출부(134)에서 상기 제2 철근(20)의 리브(24)에 대응되는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설정된 경사 또는 깊이를 만드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리브 가이드부(136)는 상기 제2 철근(20)의 리브(24)에 밀착되어 상기 제2 편체(130)와 상기 제2 철근(20)을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The second rib guide part 136 may be formed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from the second uneven part 131 in the ax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second rib guide portion 136 may be formed as a groove set to correspond to the rib 24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n this case, the second rib guide part 136 may be formed to create a set inclination or depth as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opening 104 increases. For example, the second rib guide portion 136 is a rib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34 of the second uneven portion 131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econd tapered region 116. It may be formed as a slope to create a set slope or depth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corresponding to (24). The second rib guide portion 136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ib 24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to strengthen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second piece 13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또한, 상기 제2 리브 가이드부(136)은 상기 제2 개구부(104)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2 철근(20)의 리브(24)가 걸리는 상기 제2 요철부(131)의 돌출부(134) 측단부를 두껍게 만들어 상기 제2 철근(20)의 리브(24)를 강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리브 가이드부(136)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철근(20)의 리브(24)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rib guide portion 136 is a protrusion 134 of the second uneven portion 131 to which the rib 24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s caught as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opening 104 increases. By making the side end portion thick, the rib 24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may be strongly supported. That is, the second rib guide portion 136 is formed in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for the rib 24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may be improved.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 각각은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 내에 상기 제2 철근(20)이 삽입될 경우, 상기 제2 철근의 리브(24)를 따라 상기 제2 리브 가이드부(136)가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2 철근(20)에 밀착하여 체결 또는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 각각은 상기 제2 철근(20)이 회전할 경우, 상기 제2 철근(20)의 리브(24)에 접촉된 상기 제2 리브 가이드부(136)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s inserted into the coupler housing 110,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is provided with the second rib guide part 136 along the ribs 24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May slid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to be fastened or assembled. 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is attached to the second rib guide part 136 in contact with the rib 24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when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rotates. Can be rotated by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 각각은 상기 제2 철근(20)의 리브(24)를 만나 상기 제2 리브 가이드부(136)이 슬라이딩하고, 외측면이 상기 중공부(118)의 상기 제2 테이퍼 영역(116)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2 개구부(104)에 접근하면서 압축응력을 받아 상기 제2 철근(20)의 마디(22)가 상기 제2 요철부(131)의 오목부(132)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는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 내측에서 쐐기형태로 상기 제2 철근(20)을 압착할 수 있다.For example,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meets the rib 24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so that the second rib guide portion 136 slides, and the outer surface thereof is the hollow portion 118 ) Sliding along the second tapered region 116 to approach the second opening 104 and receiving a compressive stress, so that the node 22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s It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concave portion 132. Through this,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may press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n the form of a wedge inside the coupler housing 110.

상기 제2 부분 가이드부(137)는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 각각의 측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제2 요철부(131)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부분 가이드부(137)는 인접한 다른 제2 편체(130)의 제2 부분 가이드부(137)와 함께 상기 제2 철근(20)의 리브(24)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부분 가이드부(137)는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 내에 상기 제2 철근(20)이 삽입될 때 상기 제2 리브 가이드부(136)를 대신하여 상기 제2 철근(20)의 리브(24)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 부분 가이드부(137)는 상기 제2 리브 가이드부(136)를 도와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가 제2 철근(20)에 빠르게 압착하도록 만들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의 회전 각도를 감소시키고, 철근 커플러와 철근의 연결 시간(조립 시간)을 줄일 수 있다.The second partial guide portion 137 may be formed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uneven portion 131 in an axial direction from side end porti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Here, the second partial guide portion 137 may guide the rib 24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together with the second partial guide portion 137 of another adjacent second piece 130. The second partial guide part 137 replaces the second rib guide part 136 when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s inserted into the coupler housing 110, and the rib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24) can be guided. Through this, the second partial guide part 137 helps the second rib guide part 136 to quickly compress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otation angle of the piece 130 and reduce the connection time (assembly time) between the reinforcing bar coupler and the reinforcing bar.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는 실시 형태에 따른 상기 제2 리브 가이드부(136)와 상기 제2 부분 가이드부(137)가 복합적으로 상기 제2 철근(20)의 리브(24)를 가이드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are combined with the second rib guide portion 136 and the second partial guide portion 137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o guide the rib 24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can do.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가 2개 또는 짝수로 구성된 경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상기 제2 리브 가이드부(136)가 상기 제2 철근(20)의 리브(24)를 가이드하거나, 일측에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2 부분 가이드부(137)가 타측에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2 부분 가이드부(137)와 함께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상태로 제2 철근(20)의 리브(24)를 가이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are composed of two or an even number, a pair of the second rib guide portions 136 facing each other is a rib 24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A second reinforcing bar in a state in which a pair of second partial guide portions 137 adjacent to each other on one side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ogether with a pair of second partial guide portions 137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other side ( The rib 24 of 20) can be guided.

또한,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가 3개 또는 홀수로 구성된 경우, 일측에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2 부분 가이드부(137)가 상기 제2 리브 가이드부(136)와 함께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제2 철근(20)의 리브(24)를 가이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are composed of three or an odd number, a pair of the second partial guide portions 137 adjacent to each other on one side face each other together with the second rib guide portion 136. Thus, it is possible to guide the rib 24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n the disposed state.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100)는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와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 각각의 구성 개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는 2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는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100)는 서로 다른 형태의 철근을 원터치 방식으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As such, the reinforced coupler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t different numbers of configurations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may be composed of two,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may be composed of three. Through this, the reinforcing bar coupl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smoothly connect different types of reinforcing bars in a one-touch mann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100)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 각각의 외측면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 편체(12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링(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 각각의 외측면에는 상기 탄성링(180)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링삽입홈(128)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ed coupl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as shown in Figs. )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ring 180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ner side. In addition, a ring insertion groove 128 into which the elastic ring 180 is inserted and installed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탄성링(180)은 전체가 이어진 원형 링으로서, 고무 및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단부가 개방된 C자형의 링으로 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탄성링(180)은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 각각의 링삽입홈(128)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의 외면에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링(180)은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의 내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가 자동으로 오므려지면서 제1 철근(10)의 외면에 압착될 수 있게 만들 수 있다.The elastic ring 180 is a circular ring that is entirely connected, and may be made of a resin including at least one of rubber and silicone, and may be made of a metal having a C-shaped ring with an open end. The elastic ring 180 may be inserted into the ring insertion groove 128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to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The elastic ring 180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inner side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so that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are automatically closed and compres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Can be made.

이러한 상기 탄성링(180)은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와 마찬가지로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의 외면에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는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편의상 상기 탄성링(180)의 결합 구조와 기능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Like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the elastic rings 180 may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Here, since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for convenience,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coupling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elastic ring 180 are omitted.

상기 제1 리턴 스프링(140)은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와 상기 분리대(16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수납영역(164)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리턴 스프링(140)은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에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를 상기 제1 개구부(102) 쪽으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를 상기 제1 테이퍼 영역(114)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리턴 스프링(140)은 압축코일 스프링, 고탄성 판형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5, the first return spring 140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and the separator 162 to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storage area 164. I can. In addition, the first return spring 140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in the axial direction to push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toward the first opening 102, thereby The first piece 120 of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tapered region 114. The first return spring 140 may use an elastic member including a compression coil spring, a high elastic plate spring, or the like.

상기 제2 리턴 스프링(150)은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와 상기 분리대(16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수납영역(166)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리턴 스프링(150)은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에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를 상기 제1 개구부(102) 쪽으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를 상기 제2 테이퍼 영역(116)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리턴 스프링(150)은 압축코일 스프링, 고탄성 판형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또 한편,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영역(112)의 외면에 구름 방지면(11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름 방지면(113)은 상기 중앙 영역(112)의 외면에서 일부 평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 영역(112)을 단면 기준으로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구름 방지면(113)은 불필요한 구름을 방지하여 상기 철근 커플러(100)의 망실이나, 상기 철근 커플러(100)가 작업자의 발에 밟혀 작업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The second return spring 1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and the separator 162 to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storage area 166. In addition, the second return spring 150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in an axial direction to push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toward the first opening 102, thereby The second piece 130 of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tapered region 116. The second return spring 150 may use an elastic member including a compression coil spring, a high elastic plate spring,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upler housing 110 has the central region 112 as shown in FIG. 16. )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ing prevention surface 113 may be formed. Here, the anti-clouding surface 113 may form a partial plan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ral region 112 and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based on the central region 112 in cross section. The rolling prevention surface 113 may prevent unnecessary clouds, thereby solving a problem that a loss of the reinforced coupler 100 or a problem in which the reinforced coupler 100 is stepped on a worker's foot impedes workability.

또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100)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의 상기 제1 개구부(102) 및/또는 상기 제2 개구부(104)에 결합되는 제1 캡(192) 및/또는 제2 캡(194)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ed coupl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opening 102 and/or the second opening 104 of the coupler housing 110 as shown in FIGS. 17 and 18. )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ap 192 and/or a second cap 194 coupled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캡(192) 및/또는 상기 제2 캡(194) 각각은 일부분이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의 상기 제1 개구부(102) 및/또는 상기 제2 개구부(104)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부분적으로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 및/또는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192)은 외력에 의해 탈거 가능하도록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 꼭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192)은 탄성력을 갖는 물질, 예컨대 고분자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cap 192 and/or the second cap 194 is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102 and/or the second opening 104 of the coupler housing 110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and/or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may be partially contacted and fixed. In addition, the cap 192 may include a top portion formed to be gripped so as to be removable by an external force. In addition, the cap 19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for example, a polymer resin.

이러한, 상기 제1 캡(192) 및/또는 상기 제2 캡(194) 각각은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 내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캡(192) 및/또는 상기 제2 캡(194) 각각은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의 제조시 상기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 및/또는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를 눌러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의 구배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cap 192 and/or the second cap 194 may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er housing 110.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cap 192 and/or the second cap 194 is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and/or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 130) to effectively form a gradient of the coupler housing 110.

예를 들면,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의 제조할 때,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의 가압하여 상기 제1 테이퍼 영역(114) 및/또는 상기 제2 테이퍼 영역(116)을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 및/또는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에 압력이 작용하면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 및/또는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가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의 제조시 상기 제1 캡(192) 및/또는 상기 제2 캡(194) 각각은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 및/또는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를 누르면서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을 가압하면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 및/또는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의 파손없이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의 상기 제1 테이퍼 영역(114) 및/또는 상기 제2 테이퍼 영역(116)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캡(192) 및/또는 상기 제2 캡(194)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 및/또는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를 고르게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제1 편체(120) 및/또는 상기 복수의 제2 편체(130)의 위치를 고정시켜줄 수 있다.또한, 상기 제1 캡(192) 및/또는 상기 제2 캡(194) 각각은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에 삽입 가능한 철근의 직경을 구분할 수 있도록 철근의 직경에 따라 설정된 색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에 삽입 가능한 철근의 직경이 약 10파이, 약 15파이, 약 20파이, 약 25파이일 경우, 상기 제1 캡(192) 및/또는 상기 제2 캡(194) 각각은 삽입 가능한 철근의 직경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적색(약 10파이), 녹색(약 15파이), 청색(약 20파이), 황색(약 25파이)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캡(192) 및/또는 상기 제2 캡(194) 각각은 작업자가 색상만으로 삽입 가능한 철근의 직경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철근과 다른 철근을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하여 결합성이 용이하고, 철근의 연결이 용이해짐에 따라 작업시간이 감사하며,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upler housing 110 is manufactured, the first tapered region 114 and/or the second tapered region 116 are formed by pressing the coupler housing 110, wherein the plurality of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rst piece 120 and/or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and/or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may be damag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each of the first cap 192 and/or the second cap 194 is used when the coupler housing 110 is manufactured. When the coupler housing 110 is pressed while pressing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the coupler housing 110 may be formed without damage to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120 and/or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The first tapered region 114 and/or the second tapered region 116 may be formed. In this case, each of the first caps 192 and/or the second caps 194 is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The positions of the first piece 120 and/or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130 may be fixed.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cap 192 and/or the second cap 194 is the coupler housing It may be made in a color set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to distinguish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that can be inserted into (110). For example, when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able into the coupler housing 110 is about 10 pi, about 15 pi, about 20 pi, or about 25 pi, the first cap 192 and/or the second cap ( 194) Each can be made in red (about 10 pi), green (about 15 pi), blue (about 20 pi), yellow (about 25 pi) so that the diameter of the insertable reinforcing bar can be easily identified. Each of the first cap 192 and/or the second cap 194 can easily check the diameter of a reinforcing bar that can be inserted by an operator only by col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touch reinforcing bars and other reinforcing bars are one-touch. By connecting in a way, it is easy to combine, and as the connection of reinforcing bars becomes easy, the working time is audited, and accordingly, the cost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철근 삽입시 편체가 철근의 마디와 리브에 밀착하여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the flat body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nodes and ribs of the reinforcing bar to enhance the binding for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또는 인장응력에 대하여 철근의 기계적 강도보다 우수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어서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철근을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onding force superior to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 against compressive or tensile stress, so that the reinforcing bar can be connected more safely and firm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철근뿐만 아니라 다른 강관의 연결 부분에도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widely applied not only to reinforcing bars but also to connecting parts of other steel pipes.

이하에서는,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and 20.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200)는 커플러 하우징(210), 복수의 편체(220) 및 리턴 스프링(2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a reinforced coupl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upler housing 210, a plurality of pieces 220, and a return spring 240.

상기 커플러 하우징(210)은 일측단에 철근이 삽입되는 개구부(202)와, 원,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갖는 기둥 형태로 형성된 몸체 영역(212)과, 상기 몸체 영역(212)에서 상기 개구부(202)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영역(214)으로 구분되어 내부에 중공부(218)가 형성되고, 타측단에 상기 리턴 스프링(240)을 지지하는 지지대(262)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er housing 210 includes an opening 202 into which a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t one end, a body region 212 formed in a column shape having at least one cross-sectional shape of a circle, an ellipse, and a polygon, and the body region 212 The opening 202 is divided into a tapered region 214 that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and a hollow part 218 is formed therein, and a support 262 supporting the return spring 240 at the other end is provided. Can be formed.

또한, 상기 커플러 하우징(210)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 영역(212)의 외면에 구름 방지면(31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름 방지면(310)은 상기 몸체 영역(212)의 외면에서 일부 평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 영역(212)을 단면 기준으로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구름 방지면(310)은 불필요한 구름을 방지하여 상기 철근 커플러(200)의 망실이나, 상기 철근 커플러(200)가 작업자의 발에 밟혀 작업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er housing 210 may have a rolling prevention surface 31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region 212 as shown in FIG. 20. Here, the rolling prevention surface 310 may form a partial plan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region 212 and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based on the body region 212 in cross section. The rolling prevention surface 310 may prevent unnecessary clouds, thereby solving a problem that a loss of the reinforced coupler 200 or a problem in which the reinforced coupler 200 is stepped on a worker's foot impedes workability.

또한, 상기 커플러 하우징(210)은 상기 몸체 영역(212)과 상기 지지대(262)가 연결되는 부분에 접합 확장면(32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er housing 210 may include a bonding expansion surface 320 at a portion where the body region 212 and the support 262 are connected.

상기 접합 확장면(320)은 상기 몸체 영역(212)과 상기 지지대(262)가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서 모따기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접합 확장면(320)은 상기 지지대(262)가 접촉하는 면과의 접합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접합 확장면(320)은 상기 지지대(262)를 접합 대상면에 접촉시킨 후 용접할 때 접합 면적을 확장시켜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bonding expansion surface 320 may be formed through a chamfer at a corner portion where the body region 212 and the support 262 are connected. The bonding expansion surface 320 may expand a bonding area with a surface that the support 262 contacts. Through this, the bonding expansion surface 320 may increase bonding strength by expanding a bonding area when welding after contacting the support 262 with the bonding target surface.

상기 복수의 편체(220) 각각은 외측면이 상기 중공부(218)의 내측에서 상기 테이퍼 영역(214)에 인접 및/또는 접촉하여 배치되고, 내측면에 철근의 마디가 걸리면서 지지되는 복수의 오목부(222)와 복수의 돌출부(224)가 형성된 요철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pieces 220 is disposed with an outer surface adjacent to and/or in contact with the tapered region 214 from the inside of the hollow part 218, and a plurality of concave supported while a node of a reinforcing bar is caught on the inner surface. A portion 222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224 may include an uneven portion 221 formed thereon.

상기 복수의 편체(220) 각각은 상기 커플러 하우징(210) 내로 삽입된 상기 철근의 마디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철근 가이드부(225), 상기 철근의 리브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리브 가이드부(226) 및 인접한 다른 편체(220)와 함께 상기 철근의 리브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측단부에 마련된 부분 가이드부(22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pieces 220 is a reinforcing bar guide part 225 for guiding the nodes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ed into the coupler housing 210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rib guide part 226 for guiding the ribs of the reinforcing bar in the axial direction. ) And at least one of a partial guide portion 227 provided at a side end portion so as to guide the rib of the reinforcing bar along with the other adjacent piece 220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철근 가이드부(225)는 상기 철근이 상기 복수의 편체(220) 사이에 삽입될 때 상기 철근의 마디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편체(220) 각각의 일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철근 가이드부(225)는 상기 철근의 마디와의 충돌 및/또는 마찰을 줄이기 위한 형상, 예컨대 상기 복수의 편체(220) 각각의 일측단에 가까울수록 두께가 얇아져서 설정된 경사 각도를 만드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bar guide part 225 may be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knitted bodies 220 so that the nodes of the reinforcing bar are smoothly inserted when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knitted bodies 220.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bar guide part 225 has a shape for reducing collision and/or friction with the nodes of the reinforcing bar, for example, the closer to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ieces 220, the thinner the inclined surface to create a set inclination angle. It can be formed as

상기 리브 가이드부(226)는 상기 요철부(221)에서 축방향으로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 가이드부(226)는 상기 철근의 리브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요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브 가이드부(226)은 상기 개구부(202)로부터 멀어질수록 설정된 경사 또는 깊이를 만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리브 가이드부(226)은 상기 테이퍼 영역(214)과 평행하도록 상기 요철부(221)의 복수의 돌출부(224)에서 상기 철근의 리브에 대응되는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설정된 경사 또는 깊이를 만드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리브 가이드부(226)는 상기 철근의 리브에 밀착되어 상기 편체(220)와 상기 철근을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The rib guide part 226 may be formed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from the uneven part 221 in the ax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rib guide portion 226 may be formed as a groove set to correspond to the rib of the reinforcing bar. In this case, the rib guide part 226 may be formed to create a set inclination or depth as the distance from the opening 202 increases. For example, the rib guide portion 226 may be inclined or configured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ib of the reinforcing bar from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24 of the uneven portion 221 so as to be parallel to the tapered region 214. It can be formed with a slope that creates depth. The rib guide part 226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ib of the reinforcing bar to enhance a binding force between the knitted body 220 and the reinforcing bar.

또한, 상기 리브 가이드부(226)은 상기 개구부(202)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철근의 리브가 걸리는 상기 요철부(221)의 돌출부(224) 측단부를 두껍게 만들어 상기 철근의 리브를 강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리브 가이드부(226)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철근의 리브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ib guide portion 226 may strongly support the rib of the reinforcing bar by making the side end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224 of the uneven portion 221 to which the rib of the reinforcing bar engages thicker as the distance from the opening 202 increases. . That is, the rib guide portion 226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o improv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reinforcing bar with respect to the rib.

상기 복수의 편체(220) 각각은 상기 커플러 하우징(210) 내에 상기 철근이 삽입될 경우, 상기 철근의 리브를 따라 상기 리브 가이드부(226)가 슬라이딩하여 상기 철근에 밀착하여 체결 또는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편체(220) 각각은 상기 철근이 회전할 경우, 상기 철근의 리브에 접촉된 상기 리브 가이드부(226)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When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nto the coupler housing 210, each of the plurality of pieces 220 may be fastened or assemb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inforcing bar by sliding the rib guide part 226 along the rib of the reinforcing bar. . In this case, each of the plurality of pieces 220 may be rotated by the rib guide part 226 in contact with the rib of the reinforcing bar when the reinforcing bar rotates.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편체(220) 각각은 상기 철근의 리브를 만나 상기 리브 가이드부(226)이 슬라이딩하고, 외측면이 상기 중공부(218)의 상기 테이퍼 영역(214)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개구부(202)에 접근하면서 압축응력을 받아 상기 철근의 마디가 상기 요철부(221)의 오목부(222)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의 편체(220)는 상기 커플러 하우징(210) 내측에서 쐐기형태로 상기 철근을 압착할 수 있다.For example, each of the plurality of pieces 220 meets the rib of the reinforcing bar and the rib guide portion 226 slides, and the outer surface slides along the tapered region 214 of the hollow portion 218. While approaching the opening 202, compressive stress is received, so that the joint of the reinforcing bar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concave portion 222 of the uneven portion 221. Through this, the plurality of pieces 220 may press the reinforcing bar in the form of a wedge inside the coupler housing 210.

상기 부분 가이드부(227)는 상기 복수의 편체(220) 각각의 측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요철부(221)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분 가이드부(227)는 인접한 다른 편체(220)의 부분 가이드부(227)와 함께 상기 철근의 리브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부분 가이드부(227)는 상기 커플러 하우징(210) 내에 상기 철근이 삽입될 때 상기 리브 가이드부(226)를 대신하여 상기 철근의 리브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부분 가이드부(227)는 상기 리브 가이드부(226)를 도와 상기 복수의 편체(220)가 철근에 빠르게 압착하도록 만들어서 상기 복수의 편체(220)의 회전 각도를 감소시키고, 철근 커플러와 철근의 연결 시간(조립 시간)을 줄일 수 있다.The partial guide portion 227 may be formed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of the uneven portion 221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side end porti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ieces 220. Here, the partial guide part 227 may guide the rib of the reinforcing bar together with the partial guide part 227 of the other adjacent piece 220. The partial guide part 227 may guide the rib of the reinforcing bar instead of the rib guide part 226 when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nto the coupler housing 210. Through this, the partial guide part 227 helps the rib guide part 226 to quickly compress the plurality of pieces 220 to the reinforcing bar, thereby reduc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plurality of pieces 220, and the reinforcing bar coupler The connection time (assembly time) of the and rebar can be reduced.

상기 복수의 편체(220)는 실시 형태에 따른 상기 리브 가이드부(226)와 상기 부분 가이드부(227)가 복합적으로 상기 철근의 리브를 가이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복수의 편체(220)는 실시 형태에 따라 2개, 3개, 4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3개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다.The plurality of pieces 220 may be combined with the rib guide portion 226 and the partial guide portion 227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o guide the rib of the reinforcing bar. Particularly, the plurality of pieces 220 may be composed of two, three, four, etc.,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nd it is most stable to be composed of three.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편체(220)가 2개 또는 짝수로 구성된 경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상기 리브 가이드부(226)가 상기 철근의 리브를 가이드하거나, 일측에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부분 가이드부(227)가 타측에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부분 가이드부(227)와 함께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상태로 철근의 리브를 가이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lurality of pieces 220 are composed of two or an even number, a pair of rib guide portions 226 facing each other guides the ribs of the reinforcing bar, or a pair of adjacent ones of the reinforcing bars The partial guide portion 227 may guide the rib of the reinforcing bar in a state in which the partial guide portions 227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ogether with the pair of the partial guide portions 227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복수의 편체(220)가 3개 또는 홀수로 구성된 경우, 일측에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부분 가이드부(227)가 상기 리브 가이드부(226)와 함께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상태로 상기 철근의 리브를 가이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pieces 220 are composed of three or an odd number, a pair of the partial guide portions 227 adjacent to each other at one side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ogether with the rib guide portion 226. You can guide the ribs of the reinforcing bar.

상기 리턴 스프링(240)은 상기 복수의 편체(220)와 상기 지지대(26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영역(264)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턴 스프링(240)은 상기 복수의 편체(220)에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복수의 편체(220)를 상기 개구부(202) 쪽으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복수의 편체(220)를 상기 테이퍼 영역(214)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리턴 스프링(240)은 압축코일 스프링, 고탄성 판형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The return spring 2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pieces 220 and the support 262 to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area 264. In addition, the return spring 240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plurality of pieces 220 in the axial direction and pushes the plurality of pieces 220 toward the opening 202 to thereby taper the plurality of pieces 220 into the taper. I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gion 214. The return spring 240 may use an elastic member including a compression coil spring, a high elastic plate spring, or the like.

상기 지지대(262)는 상기 리턴 스프링(240)을 지지하고, 접합 대상면에 접촉되어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대(262)는 H빔, 벽면, 타 지지대(262) 등에 접합되어 상기 철근이 삽입된 상기 커플러 하우징(210)을 고정시킬 수 있다.The support 262 supports the return spring 240 and may be bonded by contacting a bonding target surface. For example, the support 262 may be bonded to an H-beam, a wall surface, another support 262, and the like to fix the coupler housing 210 into which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200)는 상기 복수의 편체(220) 각각의 외측면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편체(22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링(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편체(220) 각각의 외측면에는 상기 탄성링(280)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링삽입홈(228)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ed coupl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ieces 22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inn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piece 220 (280). )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a ring insertion groove 228 into which the elastic ring 280 is inserted and installed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ieces 22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탄성링(280)은 전체가 이어진 원형 링으로서, 고무 및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단부가 개방된 C자형의 링으로 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탄성링(280)은 상기 복수의 편체(220) 각각의 링삽입홈(228)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편체(220)의 외면에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링(280)은 상기 복수의 편체(220)의 내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복수의 편체(220)가 자동으로 오므려지면서 철근의 외면에 압착될 수 있게 만들 수 있다.The elastic ring 280 is a circular ring that is entirely connected, and may be made of a resin including at least one of rubber and silicone, and may be made of a metal having a C-shaped ring with an open end. The elastic ring 280 may be inserted into the ring insertion groove 228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ieces 220 to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ieces 220. The elastic ring 280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inner side of the plurality of pieces 220 so that the plurality of pieces 220 may be automatically closed and compres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또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플러(100)와 마찬가지로 상기 커플러 하우징(210)의 상기 개구부(202)에 결합되는 캡(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ed coupl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p coupled to the opening 202 of the coupler housing 210, similar to the reinforced coupl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etry) may further be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상기 캡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편의상 상기 캡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cap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ap is omitted here for convenien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철근들 중 최초 또는 최후의 철근에 철근 커플러가 결합되어 철근을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inforcing bar coupler may be coupled to the first or last reinforcing bar amo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connected in series to fix the reinforcing bar at a set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철근 커플러 각각의 지지대를 접합하여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철근들을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nect reinforcing bars having different diameters by joining the supports of each of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 couplers.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other specific forms can be easily modified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20: 제1 및 제2 철근
12, 22: 마디
14, 24: 리브
100: 철근 커플러
110: 커플러 하우징
120, 130: 제1 및 제2 편체
140, 150: 제1 및 제2 리턴 스프링
10, 20: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12, 22: node
14, 24: rib
100: rebar coupler
110: coupler housing
120, 130: first and second pieces
140, 150: first and second return springs

Claims (17)

일측단에 제1 철근이 삽입되는 제1 개구부와, 타측단에 제2 철근이 삽입되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되고, 원,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갖는 기둥 형태로 형성된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에서 상기 제1 개구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제1 테이퍼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에서 상기 제2 개구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제2 테이퍼 영역으로 구분되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분리대가 설치되어 상기 중공부가 제1 수납영역 및 제2 수납영역으로 구분된 커플러 하우징;
외측면이 상기 중공부의 내측에서 상기 제1 테이퍼 영역에 인접 및/또는 접촉하여 배치되고, 내측면에 상기 제1 철근의 마디가 걸리면서 지지되는 제1 요철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 편체;
외측면이 상기 중공부의 내측에서 상기 제2 테이퍼 영역에 인접 및/또는 접촉하여 배치되고, 내측면에 상기 제2 철근의 마디가 걸리면서 지지되는 복수의 오목부분이 형성된 제2 요철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편체; 및
상기 제1 수납영역 및 상기 제2 수납영역 각각에 수납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편체 및 상기 복수의 제2 편체 각각을 지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리턴 스프링 및 제2 리턴 스프링;
을 포함하는, 철근 커플러.
A first opening into which a first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t one end, and a second opening into which a second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t the other end is formed, and a central region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 having at least one cross-sectional shape of a circle, an ellipse, and a polygon; and , A first tapered region gradually decreasing in diameter from the central region to the first opening, and a second tapered region gradually decreasing in diameter from the central region to the second opening. A coupler housing formed, wherein a separator is installed in the hollow portion so that the hollow portion is divided into a first storage area and a second storage area;
A plurality of first pieces having an outer surface disposed adjacent to and/or in contact with the first tapered region from an inner side of the hollow portion, and including a first uneven portion supported while a joint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is caught on the inner surface;
A plurality of outer surfaces including a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and/or in contact with the second tapered region from the inside of the hollow portion,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supported while the nodes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are caught on the inner surface. The second piece; And
A first return spring and a second return spring hous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torage areas and supporting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Containing, reinforced coup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편체 각각은,
상기 커플러 하우징 내로 삽입된 상기 제1 철근의 마디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 철근 가이드부, 상기 제1 철근의 리브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 리브 가이드부 및 인접한 다른 제1 편체와 함께 상기 제1 철근의 리브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측단부에 마련된 제1 부분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편체 각각은,
상기 커플러 하우징 내로 삽입된 상기 제2 철근의 마디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2 철근 가이드부, 상기 제2 철근의 리브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2 리브 가이드부 및 인접한 다른 제2 편체와 함께 상기 제2 철근의 리브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측단부에 마련된 제2 부분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The first reinforcing bar guide part for guiding the no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inserted into the coupler housing in the axial direction, the first rib guide part for guiding the rib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adjacent first piece together with th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partial guide portion provided at the side end to guide the rib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in the axial direc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The second reinforcing bar guide part for guiding the node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inserted into the coupler housing in the axial direction, the second rib guide part for guiding the rib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adjacent second piece together with the A rebar coupl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partial guide portions provided at the side ends to guide the ribs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in the axial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철근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철근이 상기 복수의 제1 편체 사이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철근의 마디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편체 각각의 일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철근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철근이 상기 복수의 제2 편체 사이에 삽입될 때 상기 제2 철근의 마디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2 편체 각각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reinforcing bar guide part,
When the first reinforcing bar is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it is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so that the nodes of the first bar are smoothly inserted,
The second reinforcing bar guide part,
When the second reinforcing bar is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the reinforcing bar coupler is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so that the nodes of the second bar are smoothly inser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요철부에서 축방향으로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제1 철근의 리브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요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리브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요철부에서 축방향으로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제2 철근의 리브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요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rib guide part,
A portion of the first uneven portion is removed in the axial direction to form a groove set to correspond to the rib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The second rib guide part,
A reinforcing bar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to a groove set to correspond to a rib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second concave-convex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 요철부의 복수의 돌출부에서 상기 제1 철근의 리브에 대응되는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설정된 경사 또는 깊이를 만드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리브 가이드부는,
상기 제2 개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2 요철부의 복수의 돌출부에서 상기 제2 철근의 리브에 대응되는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설정된 경사 또는 깊이를 만드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rib guide part,
The further away from the first opening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hat creates a set inclination or depth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ib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from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of the first uneven portion,
The second rib guide part,
A reinforcing bar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d bar coupler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o create a set inclination or depth by removing some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ribs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from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of the second uneven portion as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opening increa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제1 편체 각각의 측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제1 요철부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형성되고, 인접한 다른 상기 제1 편체의 제1 부분 가이드부와 함께 상기 제1 철근의 리브를 가이드하며,
상기 제2 부분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제2 편체 각각의 측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제2 요철부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형성되고, 인접한 다른 상기 제2 편체의 제2 부분 가이드부와 함께 상기 제2 철근의 리브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partial guide part,
It is formed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uneven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side end porti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and guides the rib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together with the first partial guide portion of the other adjacent first piece, ,
The second partial guide part,
Formed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uneven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side end porti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and guiding the rib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together with the second partial guide portion of the other adjacent second piece Characterized in that, reinforced coup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편체 및/또는 상기 복수의 제2 편체의 외측면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편체 및/또는 상기 복수의 제2 편체는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링이 삽입되는 링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ring elastical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and/or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radially inward,
The plurality of first pieces and/or the plurality of second pieces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and include a ring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elastic ring is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커플러는,
상기 커플러 하우징의 상기 제1 개구부 및/또는 상기 제2 개구부에 결합되는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커플러 하우징에 삽입 가능한 철근의 직경을 구분하도록 철근의 직경에 따라 설정된 색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reinforcing bar coupler,
Further comprising a cap coupled to the first opening and/or the second opening of the coupler housing,
The cap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color set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to distinguish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er housing, reinforced coupler.
일측단에 철근이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원,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갖는 기둥 형태로 형성된 몸체 영역과, 상기 몸체 영역에서 상기 개구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영역으로 구분되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타측단에 하기 리턴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형성된 커플러 하우징;
외측면이 상기 중공부의 내측에서 상기 테이퍼 영역에 인접 및/또는 접촉하여 배치되고, 내측면에 상기 철근의 마디가 걸리면서 지지되는 요철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편체; 및
상기 중공부에 수납되고, 상기 복수의 편체를 지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
을 포함하는, 철근 커플러.
An opening into which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s formed at one end, a body region formed in a column shape having at least one cross-sectional shape of a circle, an ellipse, and a polygon, and a tapered region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body region to the opening. A coupler housing that is divided and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therein, and ha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following return spring at the other end thereof;
A plurality of pieces having an outer surface disposed adjacent to and/or in contact with the tapered region on the inside of the hollow portion, and including an uneven portion supported while the joint of the reinforcing bar is caught on the inner surface; And
A return spring accommodated in the hollow portion and supporting the plurality of piece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Containing, reinforced coupl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편체 각각은,
상기 커플러 하우징 내로 삽입된 상기 철근의 마디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철근 가이드부, 상기 철근의 리브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리브 가이드부 및 인접한 다른 편체와 함께 상기 철근의 리브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측단부에 마련된 부분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9,
Each of the plurality of pieces,
A reinforcing bar guide part for guiding the node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ed into the coupler housing in the axial direction, a rib guide part for guiding the rib of the reinforcing bar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rib of the reinforcing bar together with another adjacent piece body can be guided in the axial direc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partial guide portion provided on the side end to be, reinforced coupl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가이드부는,
상기 철근이 상기 복수의 편체 사이에 삽입될 때 상기 철근의 마디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편체 각각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inforcing bar guide part,
When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knitted bodies, the reinforcing bar coupler is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knitted bodies so that the nodes of the reinforcing bar are smoothly insert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가이드부는,
상기 요철부에서 축방향으로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철근의 리브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요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10,
The rib guide part,
A reinforcing bar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o a recess set to correspond to a rib of the reinforcing bar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uneven por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가이드부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요철부의 복수의 돌출부에서 상기 철근의 리브에 대응되는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설정된 경사 또는 깊이를 만드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12,
The rib guide part,
A rebar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d coupler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hat creates a set inclination or depth by removing some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ribs of the reinforcing bar from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of the uneven portion as the distance from the opening increas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편체 각각의 측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요철부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형성되고, 인접한 다른 상기 편체의 부분 가이드부와 함께 상기 철근의 리브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10,
The partial guide part,
A rebar coupler formed by removing a partial region of the uneven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side end porti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knitted bodies, and guiding the ribs of the reinforcing bar together with the partial guide portions of the other adjacent knitted bodi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편체의 외측면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편체는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링이 삽입되는 링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ring elastical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iece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radially inward,
The plurality of pieces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ing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elastic ring is inserted, reinforced coupl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 하우징은 상기 몸체 영역과 상기 지지대가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지지대가 접촉하는 면과의 접합 면적을 확장시키는 접합 확장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9,
The coupler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region and the support at a corner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joint expansion surface for expanding a joint area with a contact surface of the support, reinforced coupl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커플러는,
상기 커플러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커플러 하우징에 삽입 가능한 철근의 직경을 구분하도록 철근의 직경에 따라 설정된 색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9,
The reinforcing bar coupler,
Further comprising a cap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coupler housing,
The cap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color set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to distinguish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er housing, reinforced coupler.
KR1020190114762A 2019-09-18 2019-09-18 Steel Reinforcing Coupler KR1022645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762A KR102264586B1 (en) 2019-09-18 2019-09-18 Steel Reinforcing Coup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762A KR102264586B1 (en) 2019-09-18 2019-09-18 Steel Reinforcing Coup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582A true KR20210033582A (en) 2021-03-29
KR102264586B1 KR102264586B1 (en) 2021-06-15

Family

ID=75250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762A KR102264586B1 (en) 2019-09-18 2019-09-18 Steel Reinforcing Coup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58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619B1 (en) * 2006-01-25 2008-01-03 김용근 Reinforcing bar coupler
KR101036591B1 (en) * 2009-04-03 2011-05-24 김병섭 Reinforcing bar coupler
JP2017160691A (en) * 2016-03-10 2017-09-14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Core-extraction marking method of deck plate of applying reinforcement and marking member used for this marking method
KR101806073B1 (en) * 2017-05-14 2017-12-14 (주) 유니플로 One-Touch Type Coupler
KR20180047830A (en) * 2016-11-01 2018-05-10 주식회사 씨케이인터스틸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KR20190031075A (en) 2017-09-15 2019-03-25 양현민 bar coupler for concrete construction
KR20190088366A (en) * 2018-01-18 2019-07-26 신건우 One-touch type reinforcing bar fasten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619B1 (en) * 2006-01-25 2008-01-03 김용근 Reinforcing bar coupler
KR101036591B1 (en) * 2009-04-03 2011-05-24 김병섭 Reinforcing bar coupler
JP2017160691A (en) * 2016-03-10 2017-09-14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Core-extraction marking method of deck plate of applying reinforcement and marking member used for this marking method
KR20180047830A (en) * 2016-11-01 2018-05-10 주식회사 씨케이인터스틸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KR101806073B1 (en) * 2017-05-14 2017-12-14 (주) 유니플로 One-Touch Type Coupler
KR20190031075A (en) 2017-09-15 2019-03-25 양현민 bar coupler for concrete construction
KR20190088366A (en) * 2018-01-18 2019-07-26 신건우 One-touch type reinforcing bar fasten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586B1 (en)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076B1 (en) A rebar coupler
KR101951882B1 (en) One-touch quick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
KR101780411B1 (en) A pressure device for prevent separate of pipe
KR102047934B1 (en) Pipe connecting structure
US20220282810A1 (en) Coupling assembly for connecting pip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938269B1 (en) Rebar coupler of one-touch type
US20220163147A1 (en) Coupling assembly for connecting pip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H07197789A (en) Joint for coupling two member and seaming method of concrete segment by using said joint
KR102101699B1 (en) Coupling for steel reinforcement connecting
KR20210033582A (en) Steel Reinforcing Coupler
JP6214258B2 (en) Prefabricated concrete pillar
KR101498662B1 (en) Reinforced seams coupling
JP2009256968A (en) Non-welded steel pipe joint
JP2019090301A (en) Shield segment joint member
KR102149032B1 (en) One-touch quick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
KR200407864Y1 (en) Flange pipe joint without welding
KR102401533B1 (en) One-touch steel rod coupler
KR101890678B1 (en) Reinforcing bar connecting apparatus
KR102503767B1 (en) Pipe connecting structure and phc pile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985400B1 (en) One-touch Coupler for Reinforcement
JP2003027893A (en) Fitting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upling segments together
JP7413006B2 (en) Synthetic resin flange pipe fittings
KR102062152B1 (en) One-touch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KR20140122692A (en) A jointing structure of round pipe
CN113186905A (en) Precast concrete connecting piece and precast concrete p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