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389A - 무탈피 전선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무탈피 전선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33389A KR20210033389A KR1020190172158A KR20190172158A KR20210033389A KR 20210033389 A KR20210033389 A KR 20210033389A KR 1020190172158 A KR1020190172158 A KR 1020190172158A KR 20190172158 A KR20190172158 A KR 20190172158A KR 20210033389 A KR20210033389 A KR 202100333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receiving part
- main body
- wire receiving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0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 H01R4/2407—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having saw-tooth projectio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가 제안되며,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향 개방된 내부공간에 제1 전선이 실장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전선수용부 및 제2 전선이 실장되도록 하기 위한 제2 전선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 중앙에 터미널 장착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터미널 장착부에 장착되는 터미널; 및 상기 본체와의 결합 시에 상기 본체의 밑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도록 설계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가 상기 터미널이 장착된 본체 측으로 가압되어 체결되면, 상기 본체의 제1 전선수용부 및 제2 전선수용부 각각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3 전선수용부 및 제4 전선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그 밑면이 서로 마주보는 변을 갖는 다각형 형태이며, 상기 밑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측벽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 각각이 상기 터미널 측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제1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 말단에 형성된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탈피 전선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본체에 전선 접속용 터미널을 설치하고, 상기 터미널 상에 한 쌍의 전선을 배치한 상태에서 별도의 커버로 상기 각각의 전선을 가압하여 터미널의 커터에 의해 피복이 절개되면서 피복 내부의 심선과 터미널의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무탈피 전선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전선을 분리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전선과 연결하거나 전선의 끝단을 소정의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주로 연결하고자 하는 전선들의 피복을 벗긴 후 노출된 심선들을 꼬아서 서로 연결하는 방법이 보편적이다.
그리고, 서로 다른 전선을 연결할 경우에는 절연 테이프로 테이핑하여 다른 연결부와의 접촉이나, 또는, 외부물체 및 외부의 습기로부터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연결작업은 상당히 번거롭고 연결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되어 있는 전선 간의 축 방향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도 매우 약해서 전선 간의 접속이 축 방향으로 쉽게 분리 및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다양한 선행기술에서 전선의 피복을 벗기지 않고 커넥터에 장착할 때 피복의 일부를 절단하기 위한 칼날을 구비한 터미널에 의하여 피복내의 심선과 절단과 동시에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전선 커넥터 조립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가 제안되며,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향 개방된 내부공간에 제1 전선이 실장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전선수용부 및 제2 전선이 실장되도록 하기 위한 제2 전선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 중앙에 터미널 장착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터미널 장착부에 장착되는 터미널; 및 상기 본체와의 결합 시에 상기 본체의 밑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도록 설계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가 상기 터미널이 장착된 본체 측으로 가압되어 체결되면, 상기 본체의 제1 전선수용부 및 제2 전선수용부 각각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3 전선수용부 및 제4 전선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그 밑면이 서로 마주보는 변을 갖는 다각형 형태이며, 상기 밑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측벽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 각각이 상기 터미널 측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제1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 말단에 형성된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제3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의 크기는 상기 제1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제3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의 측벽의 높이는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제3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의 측벽 사이의 폭은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제1 전선수용부, 상기 제2 전선수용부, 상기 제3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는 직선부분 및 곡선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제1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는 상기 터미널 장착부에 의해 두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에 대응하는 제3 개구 및 제4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제1 개구의 단면의 중심과 상기 제2 개구의 단면의 중심은 하나의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터미널은: 각각 상단부에 하향 경사진 커팅부가 마련된 중앙직립편; 상기 중앙직립편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된 한 쌍의 외측직립편; 상기 제1 전선 또는 상기 제2 전선이 하방 진입되는 통로인 전선진입부와 그와 연통된 하부에 위치되어 피복이 절개된 상기 제1 전선 또는 상기 제2 전선 내부의 심선이 진입된 후 상기 중앙직립편 및 상기 외측직립편과 접속되도록 하는 공간이며, 상기 전선진입부의 중앙에서 상기 중앙 직립편 측으로 경사진 하부에 위치하는 심선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외측직립편 커팅부의 하부로는, 상기 제1 전선 또는 상기 제2 전선의 피복이 절개되는 동시에 상기 심선이 안정적으로 상기 직립편들 사이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직립부가 상기 한 쌍의 외측 직립편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중앙직립편의 커팅부 하부와 상기 한 쌍의 외측 직립편 직립부의 하부로는, 상기 심선을 상기 중앙 직립편의 중앙 하부에 인접하는 상기 심선접속부까지 안내하는 경사부가 마련되며, 상기 중앙 직립편의 경사부 하부에는, 상기 심선접속부에 해당되는 부위가 심선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오목하게 라운드진 오목부가 마련되며, 상기 오목부에 대응되는 외측직립편의 일측이 상기 오목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심선을 오목부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돌출부가 상기 한 쌍의 외측 직립편의 경사부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과제 해결방법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과 터미널 간의 결합 인장력이 확보되어 전선이 터미널로부터 분리 또는 이탈될 가능성이 희박해지고,
본체와 커버가 결합되면, 두 개의 전선이 하나의 직선 상에 위치하게 되어 마치 하나의 전선처럼 보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에 터미널이 부착된 후, 두 전선이 삽입된 모습을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에 터미널이 부착된 후, 두 전선이 삽입된 후 본체와 커버가 결합되고 난 후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에 부착되는 터미널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에 터미널이 부착된 후, 두 전선이 삽입된 모습을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에 터미널이 부착된 후, 두 전선이 삽입된 후 본체와 커버가 결합되고 난 후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에 부착되는 터미널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1)의 정면 사시도이다. 상기 커넥터는 본체(10), 상기 본체와 맞물려 결합되는 커버(20), 그리고 상기 본체 및 상기 커버를 연결하고 있는 브리지(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터미널 장착부(13)에 부착 또는 결합되어 두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그 밑면이 다각형 형태이고, 서로 마주보는 변이 평행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여러 다각형 중 팔각형 형태의 밑면을 갖는 본체(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밑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측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의 밑면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본체(10)를 그 밑면을 제외한 대부분을 둘러싸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일정한 간격 또는 유격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향 개방된 내부공간에 제1 전선이 실장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전선수용부(11) 및 제2 전선이 실장되도록 하기 위한 제2 전선수용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통해 두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본체에 장착 또는 고정되는 터미널(미도시)의 전선진입부 각각에 두 전선을 올려놓은 뒤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그 힘을 통해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가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두 전선이 상기 터미널의 심선접속부로 밀려 내려가 안착되면서 상기 제1 전선수용부(11)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12)에 실장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제1 전선(110) 및 상기 제2 전선(120)이 상기 제1 및 제2 전선수용부(11, 12) 각각에 실장되었을 때의 예상 모습을 나타낸다.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이 상기 커넥터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습이 도 5에 도시된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내부 공간 중앙에 터미널이 장착될 수 있는 터미널 장착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 각각이 상기 터미널 측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제1 전선수용부(11)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12) 말단에 형성된 제1 개구(18) 및 제2 개구(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18) 및 상기 제2 개구(19)는 서로 마주보는 측벽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개구(18)의 단면의 중심 및 상기 제2 개구(19)의 단면의 중심이 하나의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개구들의 배치 구조 또는 위치 등은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가 결합한 후에,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이 하나의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의 배치 구조 또는 위치 등은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가 서로 체결되고 나면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이 마치 하나의 전선인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20)는 상기 본체와 결합 또는 체결된 후에 상기 제1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11, 12) 각각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3 전선수용부(21) 및 제4 전선수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가 결합 또는 체결되고 나면, 상기 제1 전선수용부(11) 및 상기 제3 전선 수용부(21)가 형성하는 공간에 상기 제1 전선이 수용 또는 안착되며, 상기 제2 전선수용부(12)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22)가 형성하는 공간에 상기 제2 전선이 수용 또는 안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전선수용부(11)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12)에는 각각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전선고정부(14, 15, 16, 1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전선수용부(21)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22)에는 각각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전선고정부(23, 2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선수용부(11)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12)의 크기는 상기 제3 전선수용부(21)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22)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상기 제3 전선수용부(21)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22)의 크기는 상기 제1 전선수용부(11)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12)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을 상기 터미널 측으로 좀더 잘 밀어주기 위한 구조적인 고려에 따른 것이다. 다시 말하면, 앞서 설명한 전선수용부들은 홈 또는 채널의 형태를 가지며, 특히 상기 홈 또는 채널의 단면이 원호의 형태인 경우, 상기 제1 전선수용부(11)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12)의 홈 또는 채널의 단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3 전선수용부(21)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22)의 홈 또는 채널의 단면의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제1 전선수용부(11) 및 제2 전선수용부(12)는 터미널 장착부(13)에 의해 두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선수용부(11)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12)는 곡선부분(11-1, 12-1)과 직선부분(11-2, 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곡선부분과 상기 직선부분이 터미널 장착부(13)에 의해 분할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렇게 분할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터미널 장착부에 의해 두 부분으로 분할된 상기 제1 전선수용부(11)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12)의 일 부분은 곡선부분 및 직선부분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선수용부의 형상에 따라서, 각 전선수용부에 형성된 전선고정부에 의해 각 전선이 고정되긴 하겠지만, 상기 전선들이 실제로는 휘어지면서 안착될 것이다. 이는 상기 전선들이 터미널과 수직방향으로 접촉하는 대신, 어느 정도 기울기를 갖은 채 접촉하므로, 이는 상기 전선들과 상기 터미널 간의 결합력, 또는 인장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1)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선 커넥터에서 조금더 변형된 모습을 보여준다. 커버(20)의 제3 전선수용부(21) 및 제4 전선수용부(22)의 측벽(21-1, 21-2, 21-3, 21-4¸22-1, 22-2, 22-3, 22-4)의 높이가 인입되는 전선(즉,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의 직경보다 크게(또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20)의 제3 전선수용부(21) 및 제4 전선수용부(22)의 측벽(21-1, 21-2, 21-3, 21-4¸22-1, 22-2, 22-3, 22-4) 사이의 폭이 인입되는 전선(즉,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의 직경보다 작게(또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2개의 전선을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1)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에, 제1 및 제2 전선을 상기 커버의 전선수용부(21, 22)에 먼저 삽입한 후에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그 힘을 통해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가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두 전선이 터미널(40)의 심선접속부로 밀려 내려가 안착되면서 상기 커넥터에 실장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 전선이 상기 커버의 전선수용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를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전선들이 이탈되어 터미널에 정확하게 인입되지 않는 등 접속 불량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 전선수용부(21, 22)의 측벽의 높이 및/또는 폭(또는 간격)을 위에서 언급한대로 크게 또는 작게하여, 상기 전선들이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의 결합 이전에도, 상기 커버의 전선수용부(21, 22)에 고정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 (하우징)에 부착되는 터미널(40)을 도시한다.
상기 터미널은 각각 상단부에 하향 경사진 커팅부(411)가 마련된 중앙직립편(410), 상기 중앙직립편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된 한 쌍의 외측직립편(421), 상기 제1 전선 또는 상기 제2 전선이 하방 진입되는 통로인 전선진입부(440)와 그와 연통된 하부에 위치되어 피복이 절개된 상기 제1 전선 또는 상기 제2 전선 내부의 심선이 진입된 후 상기 중앙직립편 및 상기 외측직립편과 접속되도록 하는 공간이며, 상기 전선진입부의 중앙에서 상기 중앙 직립편 측으로 경사진 하부에 위치하는 심선접속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외측직립편 커팅부(421)의 하부로는, 상기 제1 전선 또는 상기 제2 전선의 피복이 절개되는 동시에 상기 심선이 안정적으로 상기 직립편들 사이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직립부(424)가 상기 한 쌍의 외측 직립편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중앙직립편의 커팅부 하부와 상기 한 쌍의 외측 직립편 직립부의 하부로는, 상기 심선을 상기 중앙 직립편의 중앙 하부에 인접하는 상기 심선접속부까지 안내하는 경사부(423)가 마련되며, 상기 중앙 직립편의 경사부 하부에는, 상기 심선접속부에 해당되는 부위가 심선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오목하게 라운드진 오목부(412)가 마련되며, 상기 오목부에 대응되는 외측직립편의 일측이 상기 오목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심선을 오목부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돌출부(422))가 상기 한 쌍의 외측 직립편의 경사부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1: 전선 커넥터
10: 본체
20: 커버
30: 브리지
11, 12: 전선수용부
13: 터미널 장착부
14, 15, 16, 17: 전선고정부
18, 19: 개구
10: 본체
20: 커버
30: 브리지
11, 12: 전선수용부
13: 터미널 장착부
14, 15, 16, 17: 전선고정부
18, 19: 개구
Claims (9)
- 두 개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향 개방된 내부공간에 제1 전선이 실장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전선수용부 및 제2 전선이 실장되도록 하기 위한 제2 전선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 중앙에 터미널 장착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터미널 장착부에 장착되는 터미널; 및
상기 본체와의 결합 시에 상기 본체의 밑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도록 설계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가 상기 터미널이 장착된 본체 측으로 가압되어 체결되면, 상기 본체의 제1 전선수용부 및 제2 전선수용부 각각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3 전선수용부 및 제4 전선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그 밑면이 서로 마주보는 변을 갖는 다각형 형태이며, 상기 밑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측벽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 각각이 상기 터미널 측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제1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 말단에 형성된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의 크기는 상기 제1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의 측벽의 높이는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의 측벽 사이의 폭은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수용부, 상기 제2 전선수용부, 상기 제3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4 전선수용부는 직선부분 및 곡선부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수용부 및 상기 제2 전선수용부는 상기 터미널 장착부에 의해 두 부분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에 대응하는 제3 개구 및 제4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단면의 중심과 상기 제2 개구의 단면의 중심은 하나의 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각각 상단부에 하향 경사진 커팅부가 마련된 중앙직립편;
상기 중앙직립편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된 한 쌍의 외측직립편;
상기 제1 전선 또는 상기 제2 전선이 하방 진입되는 통로인 전선진입부와 그와 연통된 하부에 위치되어 피복이 절개된 상기 제1 전선 또는 상기 제2 전선 내부의 심선이 진입된 후 상기 중앙직립편 및 상기 외측직립편과 접속되도록 하는 공간이며, 상기 전선진입부의 중앙에서 상기 중앙 직립편 측으로 경사진 하부에 위치하는 심선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외측직립편 커팅부의 하부로는, 상기 제1 전선 또는 상기 제2 전선의 피복이 절개되는 동시에 상기 심선이 안정적으로 상기 직립편들 사이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직립부가 상기 한 쌍의 외측 직립편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중앙직립편의 커팅부 하부와 상기 한 쌍의 외측 직립편 직립부의 하부로는, 상기 심선을 상기 중앙 직립편의 중앙 하부에 인접하는 상기 심선접속부까지 안내하는 경사부가 마련되며,
상기 중앙 직립편의 경사부 하부에는, 상기 심선접속부에 해당되는 부위가 심선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오목하게 라운드진 오목부가 마련되며,
상기 오목부에 대응되는 외측직립편의 일측이 상기 오목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심선을 오목부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돌출부가 상기 한 쌍의 외측 직립편의 경사부 하단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0/016954 WO2021125608A1 (ko) | 2019-09-18 | 2020-11-26 | 무탈피 전선 커넥터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9/706,085 | 2019-09-18 | ||
US201929706085 | 2019-09-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3389A true KR20210033389A (ko) | 2021-03-26 |
KR102313952B1 KR102313952B1 (ko) | 2021-10-18 |
Family
ID=7525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2158A KR102313952B1 (ko) | 2019-09-18 | 2019-12-20 | 무탈피 전선 커넥터 조립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3952B1 (ko) |
WO (1) | WO2021125608A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51126A (ja) * | 1993-06-08 | 1994-12-22 | Yazaki Corp | ワイヤーハーネス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長さ調節方法 |
JP2010153081A (ja) * | 2008-12-24 | 2010-07-08 | Yazaki Corp | 照明ユニット |
KR101084600B1 (ko) * | 2010-06-29 | 2011-11-17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아이디씨 방식을 이용한 스플라이스 조인트 장치 |
KR101099002B1 (ko) * | 2011-03-08 | 2011-12-29 | 주식회사 조우테크 | 전선 이음 커넥터 |
KR101887884B1 (ko) * | 2017-05-29 | 2018-09-06 | 유옥자 |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
KR20190040947A (ko) * | 2019-04-09 | 2019-04-19 | ㈜알파오 | 무탈피 전선이음 커넥터 |
-
2019
- 2019-12-20 KR KR1020190172158A patent/KR10231395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11-26 WO PCT/KR2020/016954 patent/WO202112560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51126A (ja) * | 1993-06-08 | 1994-12-22 | Yazaki Corp | ワイヤーハーネス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長さ調節方法 |
JP2010153081A (ja) * | 2008-12-24 | 2010-07-08 | Yazaki Corp | 照明ユニット |
KR101084600B1 (ko) * | 2010-06-29 | 2011-11-17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아이디씨 방식을 이용한 스플라이스 조인트 장치 |
KR101099002B1 (ko) * | 2011-03-08 | 2011-12-29 | 주식회사 조우테크 | 전선 이음 커넥터 |
KR101887884B1 (ko) * | 2017-05-29 | 2018-09-06 | 유옥자 |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
KR20190040947A (ko) * | 2019-04-09 | 2019-04-19 | ㈜알파오 | 무탈피 전선이음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125608A1 (ko) | 2021-06-24 |
KR102313952B1 (ko) | 2021-1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936128A (en) | Solderless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 |
CN100470931C (zh) | 压力接合连接器 | |
US7651375B2 (en) | Cable assembly having outer cover robustly supported | |
US7651381B2 (en) | Contact terminal and electric connector using the same | |
CA1241715A (en) | Solderless electrical connector | |
JP4142745B2 (ja) | パッチコードコネクタ | |
KR20120105383A (ko) | 와이어-투-와이어 커넥터 | |
US6439920B1 (en) | Electronic connector plug for high speed transmission | |
JPH09204943A (ja) | モジュラープラグ用ガイドプレート | |
KR880002191B1 (ko) | 전기 코넥터 | |
CN108933336B (zh) | 免剥皮电线连接器用端子 | |
US20020039848A1 (en) | Wire management member and electric cable connector with wire management member | |
KR102264931B1 (ko) | 모듈형 통신 커넥터 | |
KR102422570B1 (ko) | 실드 커넥터 및 그 접속방법 | |
KR20110138558A (ko) |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 |
US6409544B1 (en) | Network data transmission cable connector | |
WO2005045998A2 (en) | Quick wire connect angle plug | |
US20110117772A1 (en) | Electrical jumper with retaining arrangements | |
KR960002131B1 (ko) | 접속 장치 | |
US20110250795A1 (en) |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terminating means | |
JP2009519572A (ja) | プラグ | |
KR20210033389A (ko) | 무탈피 전선 커넥터 조립체 | |
US6875046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twisted pair strain relief | |
KR102027142B1 (ko) | 무탈피 전선이음 커넥터 | |
US6261117B1 (en) | Device for connecting at least two sheathed conductive wir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