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377A -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377A
KR20210033377A KR1020190115045A KR20190115045A KR20210033377A KR 20210033377 A KR20210033377 A KR 20210033377A KR 1020190115045 A KR1020190115045 A KR 1020190115045A KR 20190115045 A KR20190115045 A KR 20190115045A KR 20210033377 A KR20210033377 A KR 20210033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disposed
lens
terminal
liquid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5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3377A/ko
Priority to CN202080072914.2A priority patent/CN114556164B/zh
Priority to PCT/KR2020/012449 priority patent/WO2021054701A1/ko
Priority to US17/753,951 priority patent/US20230350273A1/en
Publication of KR20210033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03B3/12Power-operated focusing adapted for remote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홀더;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에 배치되는 가변렌즈부; 및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홀더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단자는 상기 홀더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렌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렌즈부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홀더와 오버랩되지 않는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입니다.

Description

카메라 장치{Camera device}
본 실시예는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가 있다. 한편, 최근의 카메라 장치에는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촬영자의 손떨림에 의해 영상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류 인가에 따라 렌즈의 형상이 변형되어 오토 포커스 기능 또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액체렌즈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액체렌즈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서 액체렌즈를 통전하기 위한 도전 패턴 구조가 요구된다.
본 실시예는 액체렌즈와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패턴 구조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액체렌즈의 전극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도전 패턴의 설계 자유도가 높은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홀더;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에 배치되는 가변렌즈부; 및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홀더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단자는 상기 홀더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렌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렌즈부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홀더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가변렌즈부는 액체렌즈, 폴리머 렌즈, 액정 렌즈, VCM(voice coil motor) 액츄에이터, SMA(shape memory alloy) 액츄에이터 및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액츄에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렌즈부는 액체렌즈 홀더와, 상기 액체렌즈 홀더 내에 배치되는 액체렌즈와, 상기 액체렌즈 홀더에 배치되는 제1연결단자와, 상기 액체렌즈의 단자와 상기 제1연결단자를 연결하는 제2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액체렌즈 홀더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연결단자와 연결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액체렌즈 홀더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단자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은 전도성 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단자와 상기 제2연결단자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고 전도성 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액체렌즈 홀더는 상기 액체렌즈 홀더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의 제1영역의 일부는 상기 액체렌즈 홀더의 상기 홈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렌즈 홀더의 상기 홈에는 전도성 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제1연결단자와 상기 제2연결단자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액체렌즈 홀더의 상기 홈은 내측으로 오픈되어 내벽을 갖는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제2연결단자는 상기 액체렌즈 홀더의 상기 단차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단자는 복수의 홀더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홀더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상기 격벽의 상면은 상기 가변렌즈부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장치는 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렌즈 홀더에 결합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렌즈부는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액체렌즈 홀더의 상기 내벽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단자는 상기 액체렌즈 홀더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액체렌즈 홀더의 상기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단자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광축의 방향으로 상기 가변렌즈부와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가변렌즈부는 양측방으로 상기 렌즈 홀더보다 돌출되고, 상기 가변렌즈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축의 방향으로 상기 홀더와 오버랩되고 상기 홀더와 이격되어 상기 홀더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홀더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의 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단자는 상기 제1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홈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단자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커버와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액체렌즈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액체렌즈의 전극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액체렌즈의 전극의 수와 대응하는 도전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에서 커버를 생략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C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 중 일부를 분해한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에서 가변렌즈부를 생략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4의 (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액체렌즈 홀더와 제1연결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4의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액체렌즈 홀더와 제1연결단자를 도시하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15의 (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액체렌즈 홀더와 제1연결단자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5의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액체렌즈 홀더와 제1연결단자를 도시하는 저면도이고, 도 15의 (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액체렌즈 홀더와 제1연결단자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6의 (a)는 도 15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에 액체렌즈를 배치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6의 (b)는 도 15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에 액체렌즈를 배치한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에 제2연결단자를 배치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판 스프링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가변렌즈부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광학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광학기기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광학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
광학기기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광학기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는 카메라 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본체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체의 일면에 디스플레이부 및 카메라 장치가 배치되고 본체의 타면(일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에 카메라 장치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광학기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본체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카메라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광학기기는 카메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본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본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본체의 일면 및 본체의 타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에서 커버를 생략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C-C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2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도이고, 도 9는 도 2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2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 중 일부를 분해한 분해도이고,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에서 가변렌즈부를 생략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4의 (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액체렌즈 홀더와 제1연결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4의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액체렌즈 홀더와 제1연결단자를 도시하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15의 (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액체렌즈 홀더와 제1연결단자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5의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액체렌즈 홀더와 제1연결단자를 도시하는 저면도이고, 도 15의 (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액체렌즈 홀더와 제1연결단자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16의 (a)는 도 15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에 액체렌즈를 배치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6의 (b)는 도 15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에 액체렌즈를 배치한 상태의 저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카메라 장치의 일부 구성에 제2연결단자를 배치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판 스프링의 평면도이고,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가변렌즈부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카메라 장치는 기판(1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기판(10)은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의 상면에는 이미지 센서와 센서 베이스(40)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10)은 단자(11)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의 단자(11)는 통전부재를 통해 홀더단자(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기판(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기판(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기판(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이미지 센서는 기판(10)에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 센서는 기판(10)에 플립 칩(flip chip) 기술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220)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의 광축과 렌즈(220)의 광축은 얼라인먼트(alignment) 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센서의 유효화상 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커넥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0)는 기판(10)과 연결기판(3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20)는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포트(port)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센서 베이스(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베이스(40)는 홀더(100)와 기판(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 베이스(40)에는 필터(5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50)가 배치되는 센서 베이스(40)의 부분에는 필터(50)를 통과하는 광이 이미지 센서에 입사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필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50)는 적외선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적외선을 반사할 수 있다. 또는, 적외선 필터는 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렌즈 모듈(200)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센서 베이스(40)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홀더(10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00)는 기판(10)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00)는 센서 베이스(40)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00)는 센서 베이스(4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00)는 센서 베이스(40)에 결합될 수 있다. 홀더(100)는 렌즈 모듈(200)과 결합될 수 있다. 홀더(100)는 커버(8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100)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100)는 홈(110)을 포함할 수 있다. 홈(110)은 에폭시가 수용되는 에폭시 탱크(tank)일 수 있다. 홈(110)은 홀더(100)의 상면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홈(110)은 홀더(100)의 내면과 이격될 수 있다. 홈(110)은 홀더(100)의 외면과 이격될 수 있다. 홀더(100)의 홈(110)에는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홀더(100)의 홈(110)에 배치된 접착제는 가변렌즈부(300)를 홀더(100)에 접착할 수 있다.
홀더(100)는 단차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120)는 홀더(1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단차부(120)는 홀더(100)의 외주에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120)에는 커버(800)의 측판(820)이 배치될 수 있다. 단차부(120)는 커버(800)의 측판(820)과 광축에 평행한 방향(수직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홀더(100)는 홈(130)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100)의 홈(130)은 홀더(100)의 측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홀더(100)의 홈(130)의 바닥면에는 홀더단자(400)가 배치될 수 있다. 홀더(100)의 홈(130)은 홀더(100)의 홈(130)의 바닥면과 커버(800)의 측판(820) 사이에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홈(130)은 홀더(100)의 측면으로부터 홀더단자(400)의 측면까지 함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홈(130)은 홀더단자(4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홀더(100)는 홀(140)을 포함할 수 있다. 홀(140)은 홀더(100)를 광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홀일 수 있다. 홀(140)에는 렌즈 모듈(200)이 배치될 수 있다.
홀더(100)는 격벽(150)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150)은 홀더(1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격벽(150)은 복수의 홀더단자(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150)은 Ag 에폭시가 수용되는 에폭시 탱크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격벽(150) 사이에는 에폭시 탱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에폭시 탱크는 홀더(100)의 상면으로부터 격벽(150)이 돌출되어 형성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는, 에폭시 탱크는 홀더(100)의 상면의 일부가 함몰되는 홈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격벽(150) 사이에는 에폭시가 수용되는 공간인 에폭시 탱크가 형성되고 이 부분을 홈이라 할 수 있다. 격벽(150) 사이에는 통전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격벽(150) 사이에는 Ag 에폭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홀더(100)의 격벽(150)의 상면은 가변렌즈부(300)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홀더(100)의 격벽(150)의 상면은 홀더(100)의 최상단에 해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홀더(100)의 모든 영역은 가변렌즈부(3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홀더(100)와 가변렌즈부(300)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수평방향)으로 서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홀더(100)는 홈(180)을 포함할 수 있다. 홈(180)은 홀더(10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홈(180)에는 홀더(100)에 렌즈 모듈(200)을 접착하는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홈(180)은 복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홈(180)은 4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4개의 홈은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렌즈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홀더(100)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적어도 일부가 홀더(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홀더(100)와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렌즈 홀더(21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홀더(210)는 렌즈 배럴일 수 있다. 렌즈 홀더(210)는 홀더(100)와 결합될 수 있다. 렌즈 홀더(210)는 홀더(100)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홀더(210)는 내부에 렌즈를 수용할 수 있다. 렌즈 홀더(210)의 내주면은 렌즈(220)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 홀더(210)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 홀더(210)는 홀(211)을 포함할 수 있다. 홀(211)은 렌즈 홀더(2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홀(211)은 접착제를 주입하기 위한 접착제 주입홀일 수 있다. 홀(211)에는 접착제가 주입될 수 있다. 홀(211)에는 가변렌즈부(300)를 렌즈 홀더(210)에 접착하는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 홀더(210)는 홀(212)을 포함할 수 있다. 홀(212)은 가변렌즈부(300)가 배치되는 가변렌즈 수용홀일 수 있다. 홀(212)에는 가변렌즈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홀(212)은 가변렌즈부(300)의 높이보다 소정의 크기만큼 큰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홀(212)은 렌즈 모듈(200)을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렌즈 모듈(200)의 홀(212)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렌즈 홀더(210)의 홀(211)과 홀(212)은 서로를 구분하기 위해 '제1홀'과 '제2홀'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렌즈(22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220)는 렌즈 홀더(2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220)는 고체렌즈(220)일 수 있다. 렌즈(220)는 플라스틱 렌즈일 수 있다. 렌즈(220)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220)는 상부 렌즈(221)와 하부 렌즈(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렌즈(221)는 액체렌즈(3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렌즈(222)는 액체렌즈(3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렌즈(221)와 하부 렌즈(222) 각각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렌즈(221)는 3매 또는 2매의 렌즈를 포함하고 하부 렌즈(222)는 2매 또는 3매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부 렌즈(221)와 하부 렌즈(22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4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부 렌즈(221)의 렌즈 매수와 하부 렌즈(222)의 렌즈 매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에 렌즈(220), 상부 렌즈(221) 및 하부 렌즈(222)를 도시하였으나 해당 도면부호가 도면에서 지칭하는 바는 렌즈가 아닌 렌즈가 수용되는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가변렌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렌즈 홀더(210)에 배치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렌즈 모듈(200)과 결합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렌즈 홀더(210)와 결합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렌즈 홀더(210)에 배치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홀더(100)와 이격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렌즈(220) 및 이미지 센서와 얼라인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렌즈 모듈(200)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복수의 렌즈(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렌즈부(300)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수평방향)으로 홀더(100)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특징을 통해 렌즈 홀더(210)가 홀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가변렌즈부(300)를 렌즈 홀더(210)의 홀(212)에 광축(도 10의 OA 참조)에 수직인 방향으로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다(도 10의 A 참조). 즉,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홀더(210)에 렌즈 홀더(210)를 먼저 결합하고 가변렌즈부(300)를 후에 결합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를 가변렌즈부(300)는 양측방으로 렌즈 홀더(210)보다 돌출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의 적어도 일부는 광축의 방향으로 홀더(100)와 오버랩될 수 있다. 이때, 가변렌즈부(300)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홀더(100)와 이격되어 홀더(1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가변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렌즈는 초점 가변렌즈일 수 있다. 가변렌즈는 초점(focus)이 조절되는 렌즈일 수 있다. 초점은 렌즈의 이동 및/또는 렌즈의 형상 변화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액체렌즈(310), 폴리머 렌즈, 액정 렌즈, VCM(voice coil motor) 액츄에이터, SMA(shape memory alloy) 액츄에이터 및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액츄에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한 종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렌즈(310) 및 두 종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렌즈(3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종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렌즈(310)는 액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멤브레인을 조절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트와 코일의 전자기력에 의해 멤브레인을 가압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두 종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렌즈(310)는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체렌즈(310)에 인가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가 형성하는 계면을 조절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폴리머 렌즈는 고분자 물질을 피에조 등의 구동부를 통해 조절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액정 렌즈는 전자기력에 의해 액정을 제어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VCM 액츄에이터는 고체 렌즈 또는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를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의 전자기력을 통해 이동시켜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SMA 액츄에이터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고체 렌즈 또는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를 이동시켜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MEMS 액츄에이터는 고체 렌즈 또는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를 전압 인가시 발생되는 정전기력을 통해 이동시켜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액체렌즈(31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렌즈 모듈(200)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액체렌즈 홀더(3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복수의 렌즈(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상부 렌즈(221)와 하부 렌즈(2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렌즈 모듈(200)의 홀(212)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전압에 대응하여 초점 거리가 조정되는 액체렌즈(310)는 단자를 통해서 동작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액체렌즈(310)의 단자는 개별단자와 공통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단자는 액체렌즈(310)의 4개의 코너에 배치되는 4개의 개별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단자는 액체렌즈(3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개별단자는 상부단자로 호칭될 수 있다. 공통단자는 액체렌즈(310)의 4개의 코너에 배치되는 4개의 공통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단자는 액체렌즈(3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공통단자는 하부단자로 호칭될 수 있다. 개별단자와 공통단자를 통해서 동작 전압이 인가되면 렌즈영역에 배치된 도전성 액체와 비도전성 액체의 계면이 변형될 수 있다.
액체렌즈(310)의 일측은 개별단자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액체렌즈(310)의 다른 일측은 공통단자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체렌즈(310)의 개별단자는 개별 전극이고 공통단자는 공통 전극일 수 있다. 또는, 액체렌즈(310)의 개별단자는 공통 전극이고 공통단자는 개별 전극일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개별단자와 공통단자에 인가되는 전류 및/또는 전압에 의해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 사이에 형성되는 계면이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AF 기능 및 OIS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행될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보았을 때 렌즈 홀더(210)에 가려져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즉, 액체렌즈(310)는 렌즈 홀더(2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없을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는 렌즈 홀더(2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만, 변형례로 액체렌즈(310)가 렌즈 홀더(210)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위에서 보았을 때 액체렌즈(310)의 일부가 노출되어 보일 수 있다.
액체렌즈(310)는 고체렌즈(220)와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체렌즈(310)와 고체렌즈(220) 사이 및/또는 액체렌즈 홀더(320)와 렌즈 홀더(210) 사이의 공간에 에폭시가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액체렌즈(310)와 고체렌즈(220) 사이의 액티브 얼라인(active align)이 수행될 수 있다.
액체렌즈(310)와 고체렌즈(220) 사이의 액티브 얼라인은 아래의 단계들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액체렌즈(310)를 고체렌즈(220)에 배치하고 액체렌즈(310)와 고체렌즈(220)의 어셈블리를 마스터 센서 위에 배치할 수 있다. 이후, 가상의 격자 무늬 상에서 액체렌즈(310)를 이동시키며 액체렌즈(310)에 복수의 코드에 할당된 전압을 인가하면서 마스터 센서에서 감지되는 광량이 가장 큰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 광량이 가장 큰 지점이 결정되면 액체렌즈(310)를 해당 지점에 위치시켜 액체렌즈(310)를 고체렌즈(220)에 접착하는 에폭시를 자외선을 통해 가경화할 수 있다. 이후, 열을 통해 에폭시를 본경화하여 액체렌즈(310)를 고체렌즈(220)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액체렌즈(310)를 고체렌즈(220)에 고정하여 형성된 렌즈 유닛을 이미지 센서에 대하여 액티브 얼라인할 수 있다. 렌즈 유닛을 가상의 격자 무의 상에서 이동시키며 액체렌즈(310)에 복수의 코드에 할당된 전압을 인가하면서 이미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광량이 가장 큰 지점을 결정하고 해당 지점에 렌즈 유닛을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액체렌즈(310)와 고체렌즈(220)의 결합과 마찬가지로 에폭시를 이용한 가경화와 본경화를 통해 렌즈 유닛이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위에서는 액체렌즈(310)를 고체렌즈(220)와 먼저 액티브 얼라인하고 액체렌즈(310)와 고체렌즈(220)의 조립체를 이미지 센서와 액티브 얼라인하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고체렌즈(220)와 이미지 센서를 먼저 액티브 얼라인하고 이후 액체렌즈(310)를 액티브 얼라인할 수도 있고, 액체렌즈(310)와 이미지 센서를 먼저 액티브 얼라인하고 고체렌즈(220)를 액티브 얼라인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홀더(100)에 렌즈 모듈(200)을 먼저 결합하고 가변렌즈부(300)를 후조립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고체렌즈(220)와 이미지 센서를 먼저 얼라인한 후 액체렌즈(310)를 얼라인할 수 있다.
가변렌즈부(300)는 액체렌즈 홀더(32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는 가변렌즈 홀더일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는 액체렌즈(310)와 결합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의 하면은 홀더(100)의 상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의 내부에는 액체렌즈(310)가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에는 제1연결단자(500)가 MID(molded interconnection device) 방식 또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액체렌즈 홀더(320)에 별도의 단자로 형성된 제1연결단자(500)가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는 홈(321)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의 홈(321)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단자(500)의 제1영역(410)의 일부는 액체렌즈 홀더(320)의 홈(321)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액체렌즈 홀더(320)의 홈(321)에는 전도성 부재가 배치되어 제1연결단자(500)와 제2연결단자(600)를 연결할 수 있다. 홈(321)은 내측으로 오픈될 수 있다. 홈(321)은 외측으로 오픈될 수 있다. 홈(321)은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렌즈 홀더(320)의 하면에서 제1연결단자(500)가 배치된 부분을 넘어서 연장될 수 있다. 홈(321)은 복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홈(321)은 제1연결단자(500)가 배치되는 부분마다 형성될 수 있다. 홈(321)은 제1연결단자(500)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에도 형성될 수 있다. 홈(321)은 제1연결단자(50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의 홈(321)은 내측으로 오픈되어 내벽(322)을 갖는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는 내벽(3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연결단자(600)는 액체렌즈 홀더(320)의 상기 내벽(32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의 내벽(322)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는 격벽(323)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323)은 복수의 제1연결단자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격벽(323)은 복수의 제1연결단자 각각이 배치되는 위치를 독립적인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연결단자에 접촉되는 통전부재가 흘러 서로 다른 복수의 제1연결단자를 연결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는 홀(324)을 포함할 수 있다. 홀(324)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공홀일 수 있다. 홀(324)은 액체렌즈 홀더(320)를 광축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홀더단자(40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단자(400)는 홀더(100)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는 홀더(100)에 인서트(insert)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는 홀더(100)에 MID(molded interconnection device) 방식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는 홀더(100)의 홈(110)의 바닥면의 일부에 노출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는 제1 및 제2연결단자(500, 600)와 기판(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홀더단자(400)는 복수의 홀더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단자(400)는 10개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단자(400)의 개수는 액체렌즈(310)의 단자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다. 또는, 홀더단자(400)의 개수는 액체렌즈(310)의 개별단자의 개수보다 한 개 더 많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홀더단자(400)의 개수와 패턴 형상은 액체렌즈(310)의 단자의 개수를 고려해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는 제1단자(4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단자(401)는 액체렌즈(310)의 개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단자(401)는 액체렌즈(310)의 개별단자, 제1연결단자(500)의 제1단자(501), 제2연결단자(600) 및 기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는 제2단자(4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단자(402)는 액체렌즈(310)의 공통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단자(402)는 액체렌즈(310)의 공통단자, 제1연결단자(500)의 제2단자(502), 제2연결단자(600) 및 기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는 제1영역(410)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단자(400)의 제1영역(410)은 홀더(1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의 제1영역(410)은 가변렌즈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의 제1영역(410)의 상면에는 전도성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전도성 부재는 Ag 에폭시일 수 있다. 홀더단자(400)의 제1영역(410)과 제1연결단자(500)의 제2영역(520)은 전도성 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는, 홀더단자(400)의 제1영역과 제1연결단자(500)의 제2영역(520)은 솔더(solder)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의 제1영역(410)은 광축의 방향으로 가변렌즈부(300)와 오버랩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의 제1영역(410)은 위에서 보았을 때 가변렌즈부(300)의 외측 단부보다 내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는 제2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단자(400)의 제2영역(420)은 제1영역(410)과 연결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의 제2영역(420)은 홀더(100)의 홈(130)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의 제2영역(420)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커버(800)와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홀더단자(400)와 커버(800) 사이의 단락(쇼트)가 방지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의 제2영역(420)과 커버(800) 사이에는 절연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홀더단자(400)의 제2영역(420)은 제1부분(4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421)은 홀더단자(400)의 제2영역(420)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폭이 넓을 수 있다. 제1부분(42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제조 과정 또는 테스트 과정에서 포고 핀(pogo pin)이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제1연결단자(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는 MID 단자일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는 액체렌즈 홀더(320)의 표면에 MID(Molded Interconnection Device)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는 액체렌즈 홀더(3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는 액체렌즈 홀더(320)의 표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는 가변렌즈부(300)와 별도의 구성일 수 있고 또는 제1연결단자(500)는 가변렌즈부(300)의 일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체렌즈 홀더(320)의 상하, 내외측 모두에 MID 패턴이 설계가 가능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는 제1단자(5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의 제1단자(501)는 액체렌즈(310)의 개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는 제2단자(5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의 제2단자(502)는 액체렌즈(310)의 공통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는 복수의 제1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는 액체렌즈(310)의 4개의 개별단자 및 공통단자와 대응하는 5개의 제1연결단자(50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1연결단자(500)는 추가의 제1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는 11개의 제1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는 제1영역(5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의 제1영역(510)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의 제1영역(510)은 제2연결단자(6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단자(501)와 제2단자(502) 각각은 제1영역(5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단자(501)의 제1영역(510)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단자(502)의 제1영역(510)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는 제2영역(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의 제2영역(520)은 제1연결단자(500)의 제1영역(510)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의 제2영역(520)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영역(520)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의 제2영역(520)은 액체렌즈(310)를 렌즈 모듈(200) 및/또는 이미지 센서와 얼라인(align)하는 과정에서 액체렌즈(310)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해 포고 핀(pogo pin)이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연결단자(500)의 제1단자(501)는 제3영역(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영역(530)은 제1영역(51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단자(501)의 제1영역(510)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1단자(501)의 제3영역(530)은 액체렌즈 홀더(32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영역(530)은 홀더단자(400)의 제1영역(410)과 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3영역(530)은 홀더단자(400)의 제1영역(410)과 대향할 수 있다. 제3영역(530)과 홀더단자(400)의 제1영역(410) 사이에는 통전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제3영역(530)은 홀더단자(400)와의 통전을 위한 부분으로 액체렌즈 홀더(320)의 하면에 제1영역(510)이 배치되는 제2단자(502)의 경우 제1영역(510)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별도의 영역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제2단자(502)의 제1영역(410)과 제2영역(420)을 연결하며 홀더단자(400)와 대향하는 부분이 제3영역(530)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액체렌즈 홀더(320)의 홈(321)은 제3영역(530)에 대응하는 부분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액체렌즈 홀더(320)는 액체렌즈 홀더(320)의 하면에 형성되어 바닥면에 제1연결단자(500)의 제1단자(501)의 제3영역(530)이 배치되는 홈(321)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제2연결단자(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단자(600)는 액체렌즈 홀더(3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연결단자(600)는 제1연결단자(500)와 액체렌즈(3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연결단자(600)는 액체렌즈(310)의 단자와 제1연결단자(50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연결단자(600)는 액체렌즈(310), 제1연결단자(500) 및 홀더단자(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연결단자(600)는 통전부재를 통해 액체렌즈(310)의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단자(600)는 제1연결단자(50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또는, 제2연결단자(600)는 제1연결단자(500)와 통전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단자(600)는 홀더단자(400)와 통전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단자(600)는 복수의 제2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연결단자 각각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2연결단자 각각은 수평방향으로만 연장될 뿐 수평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는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2연결단자 각각은 벤딩(bending) 또는 절곡된 부분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제2연결단자(600)는 액체렌즈 홀더(320)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액체렌즈 홀더(320)의 홈(32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연결단자(600)는 액체렌즈 홀더(320)보다 광축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단자(500)와 제2연결단자(600)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고 전도성 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단자(600)는 가변렌즈부(300)와 별도의 구성일 수 있고 또는 제2연결단자(600)는 가변렌즈부(300)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제2연결단자(600)는 액체렌즈(310)의 개별단자와 연결되는 제1단자와, 액체렌즈(310)의 공통단자와 연결되는 제2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단자(600)는 액체렌즈(310)의 단자와 연결되는 제1영역과, 제1연결단자(500)와 연결되는 제2영역과,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연결하는 제3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단자(600)는 홈(6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단자(600)의 홈(610)은 제2연결단자(600)의 측방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홈(610)은 제2연결단자(600)의 측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홈(610)에 의해 제2연결단자(600)에 도포되는 통전부재와의 접촉 면적이 확대되어 통전부재가 제2연결단자(60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제조 과정에서 도 18의 형태의 판 스프링(60)을 사용할 수 있다. 판 스프링(60)은 바디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판 스프링(60)은 제2연결단자(600)를 포함할 수 있다. 판 스프링(60)은 바디부(61)와 제2연결단자(600)를 연결하는 레그(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조 과정에서 레그(62)를 절단하여 제2연결단자(600)를 액체렌즈(310)와 액체렌즈 홀더(320)의 제1연결단자(500) 사이의 통전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2연결단자(600)가 형성된 액체렌즈 홀더(320)가 준비되고, 그 위에 판 스프링(60)이 배치될 수 있다. 이후, 통전부재(700)를 통해 제2연결단자(600)를 제1연결단자(500)에 고정하고 레그(62)를 절단할 수 있다. 이후, 액체렌즈 홀더(320)의 홀(324)에 액체렌즈(310)를 아래에서 삽입하고 액체렌즈(310)를 액체렌즈 홀더(320)에 열경화 에폭시로 고정할 수 있다. 이후, 제2연결단자(600)를 액체렌즈(310)의 개별단자에 통전부재(700)를 통해 고정할 수 있다. 이후, 가변렌즈부(300)를 돌려 액체렌즈(310)의 공통단자와 제1연결단자(500)를 연결하는 제2연결단자(600)를 결합시켜 가변렌즈부(300)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커버(8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800)는 홀더(100)를 덮을 수 있다. 커버(800)는 홀더(100)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800)는 홀더(100)의 단차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800)의 측판(820)의 내면은 홀더(100)의 측면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커버(800)는 렌즈 모듈(200)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커버(800)는 카메라 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800)는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커버(800)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커버(800)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800)는 금속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800)는 기판(10)의 그라운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800)는 그라운드될 수 있다. 커버(800)는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커버(800)는 'EMI 쉴드캔'으로 호칭될 수 있다.
커버(800)는 상판(810)과 측판(8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800)는 홀을 포함하는 상판(810)과, 상판(810)의 외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판(82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통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전부재는 Ag 에폭시(epoxy)를 포함할 수 있다. 통전부재는 전도성일 수 있다. 통전부재는 홀더(100)에 형성되는 에폭시 탱크에 배치될 수 있다. 통전부재는 단자 간의 결합을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통전부재는 점성을 가질 수 있다. 통전부재는 액체렌즈(310)의 단자와 제2연결단자(600)를 연결할 수 있다. 통전부재는 제2연결단자(600)와 제1연결단자(500)를 연결할 수 있다. 통전부재는 제1연결단자(500)와 홀더단자(400)를 연결할 수 있다. 통전부재는 홀더단자(400)와 기판(10)의 단자를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홀더(100)의 사출면 표면에 전자회로 패턴을 연결한 MID(Molded Interconnect Device) Type과 판 스프링을 Ag 에폭시(epoxy) 로 연결하는 형태의 MID 홀더 설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MID 타입(Type)으로 액체렌즈(310)의 전극이 늘어나도 패턴 설계 자유도가 높은 장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는 홀더(100)의 내측 벽, 외측 벽을 통해 MID 패턴 설계가 가능하여, 반대편 전극, 떨어져 있는 전극 간 연결 구조 설계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는 인서트(Insert) 금형 구조에 비해 단순한 금형 형태로 홀더(100)의 사이즈 축소에 용이한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체렌즈(310)와의 연결을 위해 판 스프링(60) 타입 설계가 적용될 수 있다. 판 스프링(60)을 제1연결단자(500)와 Ag 에폭시로 부착하고, 액체렌즈(310)를 삽입하고, 액체렌즈 홀더(320)의 내벽과 액체렌즈(310)의 외벽 사이를 열경화 에폭시(Thermal epoxy)로 고정할 수 있다. 이후, 반대편 액체렌즈(310)의 전극과 제1연결단자(500) 간 Ag 에폭시가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렌즈부(300)와 홀더(100) 사이의 연결구조는 제1연결단자(500) 중 액체렌즈 홀더(320)의 측면과 하면에 배치되는 부분과 홀더단자(400)를 Ag 에폭시로 부착함에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액체렌즈(310)의 사이즈 증가, 전극 증가 시 설계 자유도가 높아져 고객 요구 형상에 맞는 디자인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비대칭 구조, 사이즈 축소와 같은 고객 요구 사항이 반영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5)

  1. 홀더;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에 배치되는 가변렌즈부; 및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홀더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단자는 상기 홀더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렌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렌즈부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홀더와 오버랩되지 않는 카메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렌즈부는 액체렌즈, 폴리머 렌즈, 액정 렌즈, VCM(voice coil motor) 액츄에이터, SMA(shape memory alloy) 액츄에이터 및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액츄에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렌즈부는 액체렌즈 홀더와, 상기 액체렌즈 홀더 내에 배치되는 액체렌즈와, 상기 액체렌즈 홀더에 배치되는 제1연결단자와, 상기 액체렌즈의 단자와 상기 제1연결단자를 연결하는 제2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자는 상기 액체렌즈 홀더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연결단자와 연결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액체렌즈 홀더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단자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1연결단자의 상기 제2영역은 전도성 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카메라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자와 상기 제2연결단자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고 전도성 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카메라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렌즈 홀더는 상기 액체렌즈 홀더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단자의 제1영역의 일부는 상기 액체렌즈 홀더의 상기 홈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렌즈 홀더의 상기 홈에는 전도성 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제1연결단자와 상기 제2연결단자를 연결하는 카메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렌즈 홀더의 상기 홈은 내측으로 오픈되어 내벽을 갖는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제2연결단자는 상기 액체렌즈 홀더의 상기 단차 내에 배치되는 카메라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단자는 복수의 홀더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홀더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상기 격벽의 상면은 상기 가변렌즈부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카메라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렌즈 홀더에 결합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가변렌즈부는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렌즈 홀더의 상기 내벽은 경사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단자는 상기 액체렌즈 홀더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액체렌즈 홀더의 상기 홈에 배치되는 카메라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단자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광축의 방향으로 상기 가변렌즈부와 오버랩되는 카메라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렌즈부는 양측방으로 상기 렌즈 홀더보다 돌출되고,
    상기 가변렌즈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축의 방향으로 상기 홀더와 오버랩되고 상기 홀더와 이격되어 상기 홀더의 위에 배치되는 카메라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의 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단자는 상기 제1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홈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단자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커버와 이격되는 카메라 장치.
KR1020190115045A 2019-09-18 2019-09-18 카메라 장치 KR20210033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045A KR20210033377A (ko) 2019-09-18 2019-09-18 카메라 장치
CN202080072914.2A CN114556164B (zh) 2019-09-18 2020-09-15 相机装置
PCT/KR2020/012449 WO2021054701A1 (ko) 2019-09-18 2020-09-15 카메라 장치
US17/753,951 US20230350273A1 (en) 2019-09-18 2020-09-15 Camera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045A KR20210033377A (ko) 2019-09-18 2019-09-18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377A true KR20210033377A (ko) 2021-03-26

Family

ID=7525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045A KR20210033377A (ko) 2019-09-18 2019-09-18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33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448042A (zh) 透镜驱动装置以及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和光学设备
US20230358996A1 (en)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20190001299A (ko) 카메라 모듈
CN112369008B (zh) 相机装置和光学仪器
CN117826509A (zh) 透镜驱动装置、摄像装置模块以及光学设备
KR102642007B1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102642008B1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EP3719568A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20230033012A (ko) 렌즈 구동 장치, 듀얼 카메라 모듈
US20220179164A1 (en) Lens barrel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KR20210033377A (ko) 카메라 장치
US20230350273A1 (en) Camera device
US20220196888A1 (en) Camera module
US20220113456A1 (en) Camera module
CN115268182B (zh) 透镜驱动装置及相机模块
US20220357487A1 (en) Camera device
KR20200144330A (ko) 카메라 장치
KR20200144331A (ko) 카메라 장치
KR20200144329A (ko) 카메라 장치
KR20200082210A (ko) 카메라장치
KR102608429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20210033378A (ko) 카메라 장치
CN113260919B (zh) 相机装置
KR102669072B1 (ko)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KR20190117217A (ko)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