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828A - 어버트먼트 - Google Patents

어버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828A
KR20210032828A KR1020190114336A KR20190114336A KR20210032828A KR 20210032828 A KR20210032828 A KR 20210032828A KR 1020190114336 A KR1020190114336 A KR 1020190114336A KR 20190114336 A KR20190114336 A KR 20190114336A KR 20210032828 A KR20210032828 A KR 20210032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abutment
hexa
groove
tap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스트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스트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스트롱
Priority to KR1020190114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2828A/ko
Publication of KR20210032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픽스쳐와 마찰결합을 높일 수 있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는 보철결합부와, 잇몸결합부 및 픽스쳐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픽스쳐결합부는 픽스쳐의 테이퍼부에 형합하여 삽입되는 테이퍼부재와 상기 픽스쳐에 헥사홈에 삽입되는 헥사부재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픽스쳐결합부의 상기 테이퍼부재는 상기 헥사홈에 삽입되어 상기 헥사홈에 형성된 경사면과 마찰결합할 수 있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결합부의 헥사부재는 단면이 상기 픽스쳐결합부의 테이퍼부재의 단부의 단면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버트먼트의 픽스쳐결합부는 테이퍼부재가 픽스쳐의 홈의 헥사부에 삽입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래서 어버트먼트가 픽스쳐에 삽입되면 테이퍼부재가 픽스쳐 홈의 헥사부에 마찰결합을 하여 픽스쳐와 어버트먼트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준다.

Description

어버트먼트{Abutmen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픽스쳐와 마찰결합을 높일 수 있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로 구성되며, 어버트먼트는 픽스쳐에 삽입되어 잇몸 및 보철물이 결합되는 부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종래의 픽스쳐(1) 및 어버트먼트(5)의 개념도이다. 어버트먼트(5)는 보철결합부(6)와, 잇몸결합부(7) 및 픽스쳐결합부(8)로 구성된다. 어버트먼트(5)의 픽스쳐결합부(8)가 픽스쳐(1)의 홈(2)에 삽입되면 스크류(미도시)를 사용하여 어버트먼트(5)와 픽스쳐(1)를 결합시킨다. 이때 픽스쳐결합부(8)는 어버트먼트테이퍼부재(8a)와 어버트먼트헥사부재(8b)로 구성된다. 어버트먼트테이퍼부재(8a)는 픽스쳐(1)와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경사져서 형성되며, 어버트먼트헥사부재(8b)는 어버트먼트테이퍼부재(8a)의 단부에서 어버트먼트(5)의 방향을 지시하기 위하여 단면이 6각형(또는 8각형이나 다른 다각형 등도 가능함)으로 형성된다. 어버트먼트테이퍼부재(8a)가 먼저 가공되고 어버트먼트테이퍼부재(8a)의 단부에서 어버트먼트헥사부재(8b)가 가공되기 때문에 어버트먼트헥사부재(8b)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테이퍼부재(8a)의 단부에 내접하게 된다. 즉 어버트먼트헥사부재(8b)의 6각형의 단면이 어버트먼트테이퍼부재(8a)의 단부의 원형 단면에 내접한다.
픽스쳐(1) 내부에는 어버트먼트(5)의 픽스쳐결합부(8)가 삽입되기 위하여 홈(2)이 형성되며, 홈(2)은 픽스쳐결합부(8)의 어버트먼트테이퍼부재(8a)와 형합하는 픽스쳐테이퍼부(2a)와 어버트먼트헥사부재(8b)가 삽입되기 위한 픽스쳐헥사부(2b)로 구성된다.
홈(2) 가공시 먼저 원형단면의 픽스쳐테이퍼부(2a)를 드릴링과 보링 등으로 가공한 후 6각형의 헥사 단면 가진 공구로 브로우칭을 하여 픽스쳐헥사부(2b)를 가공한다. 이때 픽스쳐헥사부(2b)의 6각형 단면의 가공이 어렵기 때문에 테이퍼 가공을 픽스쳐테이퍼부(2a)까지만 하는 것이 아니라 픽스쳐헥사부(2b)의 깊이까지 가공한 후 6각형의 헥사 단면을 브로우칭하여 픽스쳐헥사부(2b)를 가공한다. 그래서 픽스쳐헥사부(2b)는 원뿔형의 홈에 6각 기둥의 홈이 결합된 형태이다. 픽스쳐헥사부(2b)에 테이퍼 가공된 원형의 단면은 6각형의 헥사 단면의 외접하는 원에서부터 그 반경이 줄어들기 때문에 픽스쳐헥사부(2b)의 단면은 6각형이 아니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의 깊이에 따라 변형된다. 그래서 픽스쳐 내부에 형성된 픽스쳐헥사부(2b)의 내부에는 헥사부에 외접하는 원에서부터 내접하는 원까지의 테이퍼진 경사부위에 브로우칭에 의해 가공이 안 된 부분이 남게 되어 픽스쳐헥사부(2b)에는 어버트먼트와 체결이 안되는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이 부분을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체결 했을 때 결합이 일어나지 않는 의미에서 미체결테이퍼부(2c)라 명명한다. 미체결테이퍼부(2c)는 테이퍼 가공된 원형의 단면이 6각형의 헥사 단면보다 크기 때문에 발생된다.
픽스쳐결합부(8)를 픽스쳐(1)의 홈(2)에 삽입하면 어버트먼트헥사부재(8b)와 픽스쳐헥사부(2b) 사이에 빈 공간(9)이 발생된다. 이는 픽스쳐헥사부(2b)의 미체결테이퍼부(2c)의 단면이 6각형의 어버트먼트헥사부재(8b)의 단면보다 크기 때문이다.
등록실용 제20-0395580호(등록일자 2005년 09월 05일) 등록특허 제10-1151081호(등록일자 2012년 05월 22일)
따라서 종래의 임플란트의 경우 어버트먼트(5)의 어버트먼트헥사부재(8b)와 픽스쳐(1) 홈(2)의 픽스쳐헥사부(2b)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된다. 그래서 어버트먼트(5)와 픽스쳐(1)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픽스쳐와 어버트먼트 사이의 빈 공간을 줄이고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어버트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는 보철결합부와, 잇몸결합부 및 픽스쳐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픽스쳐결합부는 픽스쳐의 테이퍼부에 형합하여 삽입되는 테이퍼부재와 상기 픽스쳐에 헥사홈에 삽입되는 헥사부재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픽스쳐결합부의 상기 테이퍼부재는 상기 헥사홈에 삽입되어 상기 헥사홈에 형성된 경사면과 마찰결합할 수 있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결합부의 헥사부재는 단면이 상기 픽스쳐결합부의 테이퍼부재의 단부의 단면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버트먼트의 픽스쳐결합부는 테이퍼부재가 픽스쳐의 홈의 헥사부에 삽입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래서 어버트먼트가 픽스쳐에 삽입되면 테이퍼부재가 픽스쳐 홈의 헥사부에 존재하는 테이퍼부와 마찰결합을 하여 픽스쳐와 어버트먼트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와 픽스쳐의 분리 개념도,
도 2는 도 1의 A-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결합도,
도 4는 도 3의 B-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어버트먼트의 테이퍼부재의 단부에서 헥사부재와 테어퍼부재의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어버트먼트와 픽스쳐의 분리 개념도,
도 7은 도 6의 C-C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실시예의 결합도,
도 9는 도 8의 D-D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0은 도 6의 실시예의 어버트먼트의 테이퍼부재의 단부에서 헥사부재와 테이퍼부재의 단면도,
도 11은 도 6의 픽스쳐의 헥사부의 깊이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25)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어버트먼트(25)는 보철결합부(6)와, 잇몸결합부(7) 및 픽스쳐결합부(28)를 구비한다. 보철결합부(6) 및 잇몸결합부(7)는 도 6에 도시된 종래의 어버트먼트(5)와 동일하다.
픽스쳐결합부(28)는 픽스쳐(1)의 홈(2)에 삽입된다. 여기서 픽스쳐(1)의 홈(2)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픽스쳐테이퍼부(2a)와 픽스쳐헥사부(2b)로 구성된다. 그리고 픽스쳐테이퍼부(2a)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픽스쳐헥사부(2b)는 그 단면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6각형의 변화된다.
본 실시예의 픽스쳐결합부(28)는 어버트먼트테이퍼부재(28a)와 어버트먼트헥사부재(28b)를 구비한다. 어버트먼트테이퍼부재(28a)는 픽스쳐(1)의 픽스쳐테이퍼부(2a)에 형합하여 삽입되도록 테이퍼진다. 이때 어버트먼트테이퍼부재(28a)는 픽스쳐(1) 홈(2)의 픽스쳐헥사부(2b)까지 삽입되도록 연장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테이퍼부재(28b)는 픽스쳐헥사부(2b)의 미체결테이퍼부(2c)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래서 어버트먼트테이퍼부재(28a)는 픽스쳐(1)의 픽스쳐헥사부(2b)에 삽입되어 픽스쳐헥사부(2b)에 형성된 미체결테이퍼부(2c)와도 형합하여 마찰결합을 한다.
어버트먼트헥사부재(28b)는 픽스쳐(1)의 픽스쳐헥사부(2b)에 삽입될 수 있도록 6각형의 헥사 단면으로 형성되며 테이퍼부재(28b)의 단부에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어버트먼트테이퍼부재(8a)의 단부에서 어버트먼트헥사부재(8b)의 단면을 비교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헥사부재(8b)는 어버트먼트테이퍼부재(8a)의 단면의 원에 내접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테이퍼부재(28b)의 단부에서 어버트먼트헥사부재(28b)의 단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부재(28b)의 단면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는 테이퍼부재(28b)가 픽스쳐(1) 홈(2)의 픽스쳐헥사부(2b)까지 삽입되도록 연장되기 때문에 테이퍼부재(28b)의 단부의 단면의 직경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의 어버트먼트(25)를 픽스쳐(1)에 삽입하면 테이퍼부재(28b)가 픽스쳐헥사부(2b)까지 삽입된다. 그래서 테이퍼부재(28b)는 픽스쳐헥사부(2b)에 미체체결테이퍼부(2c)와 형합하여 맞닿으므로 스크류를 결합시키면 테이퍼부재(28b)는 픽스쳐헥사부(2b)의 미체결테이퍼부(2c)와 마찰 결합을 한다. 따라서 어버트먼트(25)와 픽스쳐(1)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1 : 픽스쳐 2 : 홈
2a : 테이퍼부 2b : 헥사부
2c : 미체결테이퍼부 5 : 어버트먼트
6 : 보철결합부 7 : 잇몸결합부
8 : 픽스쳐결합부 8a : 테이퍼부재
8b : 헥사부재 25 : 어버트먼트
28 : 픽스쳐결합부 28a : 테이퍼부재
28b : 헥사부재

Claims (2)

  1. 보철결합부와, 잇몸결합부와, 픽스쳐의 테이퍼부에 형합하여 삽입되는 테이퍼부재와 상기 픽스쳐에 헥사홈에 삽입되는 헥사부재를 구비하는 픽스쳐결합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결합부의 상기 테이퍼부재는 상기 헥사홈에 삽입되어 상기 헥사홈에 형성된 경사면과 마찰결합할 수 있도록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결합부의 헥사부재는 단면이 상기 픽스쳐결합부의 테이퍼부재의 단부의 단면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KR1020190114336A 2019-09-17 2019-09-17 어버트먼트 KR20210032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336A KR20210032828A (ko) 2019-09-17 2019-09-17 어버트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336A KR20210032828A (ko) 2019-09-17 2019-09-17 어버트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828A true KR20210032828A (ko) 2021-03-25

Family

ID=75222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336A KR20210032828A (ko) 2019-09-17 2019-09-17 어버트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282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580Y1 (ko) 2005-06-22 2005-09-13 주식회사 덴티움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151081B1 (ko) 2010-05-31 2012-06-01 박면옥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580Y1 (ko) 2005-06-22 2005-09-13 주식회사 덴티움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151081B1 (ko) 2010-05-31 2012-06-01 박면옥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32215C (en) Screw and drive element with chamfer
US9962241B2 (en) Endosseous single tooth implant
JP3969487B2 (ja) セルフタッピンインサート、インサート組立体、及びインサート取付け方法
US9889600B2 (en) Hydraulic expansion chuck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n expansion chuck
EP1245849A3 (en) Self-aligning splined male shaft head and engagement method
US10531937B2 (en) Dental implant system with positive abutment screw locking and retrieval mechanism
US6409439B1 (en) Convertible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US1992474A (en) Internal wrench
US5375893A (en) Threaded members
KR20210032828A (ko) 어버트먼트
ATE367507T1 (de) Gewindeverbindung
KR20040027311A (ko) 의치 어태치먼트용 키퍼
JP2003314520A (ja) 平行ピン
US4067587A (en) Drill chucks
US3520565A (en) Connecting of tapered spigots and sockets
JP2006150514A (ja) 傘歯車用チャック
KR101628629B1 (ko) 싱킹 및 착탈 가능한 탄성 결합 임플란트 시스템
CN114846248A (zh) 螺杆驱动装置
KR20170002262A (ko) 고정안정성 증대용 결합면을 갖는 고정구 세트
KR20180136742A (ko) 스크루볼트
RU129981U1 (ru) 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буров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CN107407313A (zh) 紧固元件和方法
KR200308259Y1 (ko)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CN112894264A (zh) 棘轮改良结构
JP2021081000A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046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302

Effective date: 2022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