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631A - 현관용 냉장고 - Google Patents

현관용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631A
KR20210032631A KR1020190113857A KR20190113857A KR20210032631A KR 20210032631 A KR20210032631 A KR 20210032631A KR 1020190113857 A KR1020190113857 A KR 1020190113857A KR 20190113857 A KR20190113857 A KR 20190113857A KR 20210032631 A KR20210032631 A KR 20210032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flange
cabinet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오민규
이득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3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2631A/ko
Publication of KR20210032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는, 현관 도어 또는 벽면에 형성되는 장착홀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물품의 보관을 위한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외에 노출되는 실외측 도어;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내에 노출되는 실내측 도어; 상기 캐비닛의 하부와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 및 상기 장착홀에 끼워지고, 상기 캐비닛의 외주면을 감싸는 완충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관용 냉장고 {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
본 발명은 현관용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품을 소정의 장소에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가 활성화 되고 있다. 특히, 상기 물품이 신선식품일 경우, 식품이 상하거나 식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배달 차량에 냉장고 또는 온장고를 구비하여 식품을 저장하고 배달한다.
식품은 냉각 또는 보온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포장재에 담겨져 배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포장재는 스티로폼과 같은 환경오염 물질로 구성되어, 최근 사용량을 절감하고자 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된다.
한편, 배달시간에 사용자가 가정에 있는 경우에는,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여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으나, 사용자가 가정에 없는 경우 또는 배달시간이 너무 이르거나 늦게 되면,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여 식품을 전달받기가 어렵다.
따라서,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지 않더라도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고, 식품이 사용자에게 최종 전달될 때까지 상하거나 식지 않아야 하는 필요성이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소정 장소의 입구(현관)에 냉장고를 설치하여 배달원은 상기 냉장고에 식품을 보관하여 신선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는 편한 시간에 냉장고에 접근하여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는 제품이 소개되고 있다.
아래의 선행 기술에는 현관 도어에 장착되는 현관용 냉장고가 개시된다.
현관 도어에 장착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두께는 현관 도어의 두께보다 두껍고, 현관 도어의 전면(실외에 노출되는 면으로 정의)으로부터 현관용 냉장고가 돌출되는 양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관용 냉장고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서는, 현관 도어의 전면과 후면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동일하게 설계되어, 현관용 냉장고의 무게 중심이 현관 도어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현관용 냉장고의 실외측 도어가 현관 도어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양이 클수록 파손의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가능하면 현관용 냉장고의 실외측 도어의 전면과 현관 도어의 전면은 동일 면에 가깝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이유 때문에, 현관 도어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길이가 현관 도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길이보다 길어지게 된다. 그 결과, 현관용 냉장고의 하중에 의한 비틀림 모멘트가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후단에 작용하게 된다.
현관용 냉장고의 후단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에 의하여 현관 도어가 비틀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현관용 냉장고의 캐비닛이 변형되어 아래로 처지는 형상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현관용 냉장고의 내부에 저장된 물품의 하중이 더해지면, 편심 하중에 의한 현관용 냉장고의 비틀림 현상이 가중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현관 도어의 개폐 과정에서, 현관 도어가 외력에 의하여 강하게 닫히는 경우, 실내외 압력차에 의하여 강하게 닫히는 경우, 또는 외력에 의하여 강하게 개방되어 외벽에 부딪히는 경우에, 도어에 발생하는 충격이 현관용 냉장고로 그대로 전달되어, 현관용 냉장고가 파손되거나 현관 도어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현관 도어에 현관용 냉장고가 견고하게 장착되지 아니하면, 현관 도어의 개폐 과정에서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 도어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선행 기술 :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3394호(2011년03월31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는, 현관 도어 또는 벽면에 형성되는 장착홀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물품의 보관을 위한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외에 노출되는 실외측 도어;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내에 노출되는 실내측 도어; 상기 캐비닛의 하부와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 및 상기 장착홀에 끼워지고, 상기 캐비닛의 외주면을 감싸는 완충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의하면, 편심 하중에 의하여 현관용 냉장고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에 의하여 현관용 냉장고의 형상 변형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비틀림 모멘트에 의하여 현관 도어의 비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완충 플랜지가 현관용 냉장고의 외주며에 둘러지므로, 현관 도어에 발생하는 충격이 현관용 냉장고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케이스와 완충 플랜지가 다수의 체결 부재에 의하여 편심 보강 부재에 체결 견고하게 결합되고, 편심 보강 부재와 완충 플랜지가 현관 도어의 배면에 다수의 체결 부재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 도어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현관용 냉장고의 장착 부위를 보여주는 현관 도어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3의 8-8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캐비닛을 구성하는 인너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캐비닛을 구성하는 아우터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편심 보강 부재의 전면 사시도.
도 12는 상기 편심 보강 부재의 배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지지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완충 플랜지의 배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플랜지 커버의 배면 사시도.
도 16은 상기 플랜지 커버의 전면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는, 주택의 현관 도어(1) 또는 현관 벽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현관 도어(1)의 손잡이(2)로부터 이격되는 지점, 일례로 현관 도어(1)의 중앙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 및 물품을 배송하는 택배 기사의 사용 편의성을 위해서 현관 도어의 하단으로부터 2m 이내의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현관 도어의 하단으로부터 1.5m ~ 1.7m 범위의 높이에 상기 현관용 냉장고(10)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전면은 실외(O)에 노출되고, 후면은 실내(I)에 노출된다. 즉,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실외(O)에 노출되는 면이 전면으로 정의되고, 실내(I)에 노출되는 면이 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는 현관용 냉장고의 장착 부위를 보여주는 현관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를 현관 도어(1)에 장착하기 위해서, 현관 도어(1)에는 장착홀(1a)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1a)은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를 전후 방향 종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홀(1a)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상기 현관 도어(1)의 배면에는 안착홈(1b)dl 소정 깊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안착홈(1b)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체결홀들(1c)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8은 도 3의 8-8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는, 내부에 저장실(111)이 형성되고, 전후면이 모두 개방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캐비닛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실외측 도어(20)와,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캐비닛의 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실내측 도어(22)와, 상기 저장실(111)의 하측에 배치되는 냉기 공급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저장실(111)을 정의하는 인너 케이스(11)와, 상기 인너 케이스(11)의 외부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11)를 감싸는 아우터 케이스(12), 및 상기 인너 케이스(11)와 아우터 케이스(12)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2) 사이에 배치되는 편심 보강 부재(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심 보강 부재(13)는, 상기 인너 케이스(11)와 아우터 케이스(12) 사이에 배치되어,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캐비닛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편심 보강 부재(13)는 상기 캐비닛의 일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바닥에는 냉기 흡입을 위한 흡입홀(후술함)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흡입홀에는 석션 플레이트(2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1)의 바닥부에는 장착 플레이트(14)가 결합되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14)의 중앙에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가 결합된다.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의 상부 절반은 상기 저장실(111)에 노출되고, 하부 절반은 상기 인너 케이스(11)의 바닥부와 아우터 케이스(12)의 바닥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노출된다.
또한, 상기 실내측 도어(12)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인너 실러(21)가 둘러지고, 상기 실외측 도어(20)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아우터 실러(19)가 둘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상기 현관 도어(1)의 장착홀(1a)에 고정되어, 상기 현관 도어(1)의 비틀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강 부재로 기능하는 지지 프레임(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6)은 상기 편심 보강 부재(13)의 전단부 외주면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현관 도어(1)의 개폐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완충 플랜지(17) 및 플랜지 커버(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는, 열전 소자가 적용된 냉기 공급 수단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반 냉각 사이클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열전 소자는, 전류가 공급되면 일 면은 온도가 떨어지는 흡열면으로 작용하고, 반대면은 온도가 증가하는 발열면으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 열전 소자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면 상기 흡열면과 발열면이 바뀌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는, 상기 열전 소자(31)와, 상기 열전 소자(31)의 흡열면에 부착되는 콜드 싱크(32)와, 상기 콜드 싱크(32)의 전방(또는 상측)에 배치되는 흡열팬(33)과, 상기 열전 소자(31)의 발열면에 부착되는 히트 싱크(34)와, 상기 히트 싱크(34)의 후방(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방열팬(35)과, 상기 콜드 싱크(32)와 히트 싱크(34) 간의 열전달을 방지하는 단열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35)는, 상기 열전 소자(31)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단열재(35)의 전면에는 상기 콜드 싱크(32)가 접촉하고, 상기 단열재(35)의 후면에는 상기 히트 싱크(34)가 접촉한다.
또한, 상기 콜드 싱크(32)와 히트 싱크(34)는, 상기 열전 소자(31)의 흡열면 또는 발열면에 직접 부착되는 열전도체와, 상기 열전도체의 표면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열교환 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열팬(33)은 상기 캐비닛(11)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열팬(36)은 상기 석션 플레이트(23)의 직상방에 놓인다.
상기 콜드 싱크(32)는 상기 인너 케이스(11)의 바닥부에 노출되어 상기 저장실(111)을 냉각시키고, 상기 히트 싱크(34)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14)의 하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팬(35)은 상기 석션 플레이트(23)를 통하여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히트 싱크(34)와 열교환한 뒤 다시 실내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14)의 저면에는 가이드 덕트(15)가 장착되어, 상기 히트 싱크(34)와 열교환한 실내 공기의 배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열팬(33)은 저장실(111) 내부 공기를 흡입한 다음 상기 콜드 싱크(32)의 중심으로 배출하여, 상기 콜드 싱크(32)와 저장실(111) 내부 공기가 열교환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저장실(111) 내부 공기는 외부 온도보다 낮아지고, 상기 콜드 싱크(32)로 흡수된 열은 상기 열전 소자(31)를 통하여 상기 히트 싱크(34)로 전도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캐비닛을 구성하는 인너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의 인너 케이스(11)는, 전면과 후면이 개구되는 육면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너 케이스(11)는, 바닥부(112)와, 좌측면부(113)와, 우측면부(114), 및 상면부(1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너 케이스(11)의 전단에는 전면 플랜지(116)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후면 플랜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112)와, 좌우 측면부(113,114), 및 상면부(115)는 케이스 바디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전면 플랜지(116)와 후면 플랜지(117)는 상기 케이스 바디의 연장 방향(또는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112)에는 냉기 공급 장치 수용부(118)가 형성되며, 상기 냉기 공급 장치 수용부(118)는, 상기 바닥부(112)가 하측으로 소정 깊이 단차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냉기 공급 장치 수용부(118)의 바닥에는 개구부(118a)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18a)를 통해서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의 상측 절반 정도가 상기 냉기 공급 장치 수용부(118)에 노출된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의 상단부, 즉 상기 흡열팬(33)의 상면은 상기 바닥부(112)와 적어도 동일한 높이를 이루거나, 상기 바닥부(112)보다 낮은 위치에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12)에는 상기 냉기 공급 장치 수용부(118)의 상면을 덮는 커버 플레이트(미도시)가 놓일 수 있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며에는 보관 물품을 적재하는 트레이(미도시)가 놓일 수 있다.
저장실(111) 냉기가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의 콜드 싱크(32)와 열교환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트레이의 바닥에는 다수의 연통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플랜지(116)의 상단부 중앙 및 하단부 중앙 중 적어도 일측에는 체결홀(116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캐비닛을 구성하는 아우터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캐비닛을 구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2)는, 전후면이 개구되는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우터 케이스(12)는, 바닥부(121)와, 좌측면부(122)와, 우측면부(123), 및 상면부(124)를 포함하며,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닥부(121)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는 배기홀(127)이 형성될 수 있고, 중앙에는 석션홀(1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석션홀(126)에 상기 석션 플레이트(23)가 장착된다.
상기 좌측면부(122)와 우측면부(123)는 상기 바닥부(121)의 양 단부에서 라운드지게 절곡된 후 상측으로 소정 높이 연장되며, 상기 상면부(124)는 상기 좌측면부(122)의 상단과 우측면부(123)의 상단을 연결한다. 상기 상면부(124)의 좌우측 가장자리는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전단부 가장자리에는 체결 플랜지(125)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 플랜지(125)를 따라 다수의 체결홀들(12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플랜지(125)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912)의 전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2) 사이에는 발포 단열재가 충진되어 캐비닛을 완성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지지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가 현관 도어(1)의 장착홀(1a)에 장착되면,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현관 도어(1)의 비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현관 도어(1)의 비틀림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6)이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 프레임(16)은 후술하게 될 편심 보강 부재(13)의 전방측 외주면에 둘러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16)은 상기 현관 도어(1)의 상기 장착홀(1a)에 끼워져서 상기 장착홀(1a)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지지 프레임(16)은, 상기 장착홀(1a)의 전후 방향 폭 또는 현관 도어(1)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사각형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바디(161)와, 상기 프레임 바디(161)의 후단에서 상기 프레임 바디(16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엉 연장되는 후단 절곡부(16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단 절곡부(163)는, 상기 프레임 바딕(161)의 좌우 측면부와 상면부의 후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1 부분(163a)과, 상기 프레임 바디(161)의 바닥부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163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163a)의 폭은 상기 프레임 바디(161)의 좌측면부와 상면부 및 우측면부를 따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부분(163b)의 상하 방향 폭은 상기 제 1 부분(163a)의 폭보다 더 길게 설게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부분(163b)은 상기 프레임 바디(161)의 바닥부 후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현관 도어(1)의 후면에 함몰되는 안착홈(1b)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단 절곡부(163)에는 다수의 체결홀들(164)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16)은, 상기 프레임 바디(161)의 전단부에서 절곡되는 전단 절곡부(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단 절곡부(162)는 상기 후단 절곡부(163)의 절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후단 절곡부(163)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단 절곡부(162)는 상기 프레임 바디(161)의 전면부 중앙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후단 절곡부(162)는 상기 프레임 바디(161)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편심 보강 부재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편심 보강 부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와 함께 상기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편심 보강 부재(13)는 상기 인너 케이스(11)와 아우터 케이스(12)의 사이에 놓여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캐비닛의 구성 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편심 보강 부재(13)는, 상기 캐비닛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에 의하여 캐비닛이 비틀리는 현상을 최소화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편심 보강 부재(13)는, 도어 밀착판(138)을 기준으로 실내 노출부(13a)와 매립부(13b)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밀착판(138)은 상기 실내 노출부(13a)와 매립부(13b)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16)의 후단에 형성된 후단 절곡부(163)와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지지 프레임(16)은 상기 편심 보강 부재(13)의 매립부(13b)에 끼워져서, 상기 도어 밀착판(138)의 전면에 상기 후단 절곡부(163)의 배면이 밀착된다. 상기 도어 밀착판(138)에도 다수의 체결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체결홀들은 상기 후단 절곡부(163)에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홀들(164)과 정렬되어, 체결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전단부에서 절곡 연장되는 상기 체결 플랜지(125)는 상기 도어 밀착판(138)의 배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후단 절곡부(163)와 상기 도어 밀착판(138)을 관통하는 체결부가, 상기 체결 플랜지(125)에 형성된 체결홀들(125a)을 관통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와 편신 보강 부재(13) 및 상기 지지 프레임(16)이 한 몸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내 노출부(13a)는, 상기 현관 도어(1)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인너 케이스(11)의 상면 및 좌우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실내 노출부(13a)의 외주면은, 실질적으로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내 노출부(13a)는, 좌측면부(131)와 상면부(133) 및 우측면부(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현관 도어(1)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실내 노출부(13a)의 연장 길이는 상기 인너 케이스(11) 또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연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133)에는 다수의 관통홀들(133a)이 형성되어, 상기 인너 케이스(11)와 아우터 케이스(12) 사이에 주입되는 발포 단열재가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 내부로 주입되는 발포 단열재가 상기 다수의 관통홀들(133a)에 채워져서 상기 캐비닛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립부(13b)는, 바닥부(134)와, 좌측면부(135)와, 우측면부(136), 및 상면부(13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내 노출부(13a)는 바닥부가 개구되는 반면, 상기 매립부(13b)는 바닥부를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매립부(13b)에는 바닥부(134)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현관 도어(1)에 장착홀(1a)에 장착된 상태에서 캐비닛의 형상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부(137) 중앙에는 체결홀(137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137a)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는 상기 인너 케이스(11)의 체결홀(116a)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편심 부강 부재(13)의 도어 밀착판(138)과 지지 프레임(16)의 후단 절곡부(163)를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 부재들이 현관 도어(1)에 삽입됨으로써, 현관용 냉장고(10)가 현관 도어(1)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완충 플랜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가 현관 도어(1)에 장착된 상태에서, 현관 도어(1)를 열고 닫을 때 발생하는 충격이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로 그대로 전달된다.
현관 도어(1)를 강제로 세게 닫거나, 창문을 개방하였을 때 발생하는 실내외 압력차에 의하여 현관 도어(1)가 저절로 강하게 닫히거나, 현관 도어(1)를 세게 열어서 도어 핸들이 외벽에 부딪힐 때, 현관 도어(1)에 강한 충격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충격은 현관용 냉장고(10)로 전달되어, 캐비닛의 파손이나 저장실(111)에 보관된 음식물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관 도어(1)에 발생하는 충격이 현관용 냉장고(1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완충 플랜지(17)가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완충 플랜지(17)는, 상기 현관 도어(1)의 장착홀(1a) 내주면에 끼워지도록, 사각형 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 플랜지(17)는 상기 지지 프레임(16)을 감싸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완충 플랜지(17)는 충격 흡수를 위하여 고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완충 플랜지(17)는 상기 지지 프레임(16)을 구성하는 상기 프레임 바디(161)의 폭에 대응하는 폭과,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메인 플렌지(171)와, 상기 메인 플랜지(171)의 전단부에서 절곡 연장되는 에지 플랜지(17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 플랜지(171)의 외주면은 상기 장착홀(1a)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메인 플랜지(171)의 내주면은 상기 프레임 바디(161)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에지 플랜지(172)의 배면은 상기 현관 도어(1)의 전면에 밀착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플랜지 커버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16은 상기 플랜지 커버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커버(18)는, 상기 현관 도어(1)의 배면에 함몰된 상기 안착홈(1b)의 가장자리에 둘러지도록 제공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케이스(12)의 체결 플랜지(125)와, 지지 프레임(16)의 후단 절곡부(163)는, 체결 부재(S)에 의하여 상기 편심 보강 부재(13)의 도어 밀착판(138)에 결합된다.
상기 플랜지 커버(18)는 상기 체결 부재(S)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폐 커버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랜지 커버(18)는 상기 체결 부재(S)의 헤드 부분을 완전히 덮도록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상기 현관 도어(1)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 커버(18)의 전면에는 상기 체결 부재(S)의 헤드 부분을 수용하는 헤드 수용홈(181)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 커버(18)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완충 플랜지(17)와 동일한 고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1)

  1. 현관 도어 또는 벽면에 형성되는 장착홀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물품의 보관을 위한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외에 노출되는 실외측 도어;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내에 노출되는 실내측 도어;
    상기 캐비닛의 하부와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 및
    상기 장착홀에 끼워지고, 상기 캐비닛의 외주면을 감싸는 완충 플랜지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플랜지는 상기 캐비닛의 외주면을 감싸는 메인 플랜지와,
    상기 메인 플랜지의 전단에서 절곡되는 에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에지 플랜지는 상기 현관 도어의 전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현관 도어의 배면에 밀착되는 플랜지 커버를 더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커버 중 적어도 하나는 고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저장실을 정의하는 인너 케이스와,
    상기 인너 케이스를 감싸고, 전단부에 체결 플랜지가 절곡 연장되는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인너 케이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편심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플랜지는 상기 편심 보강 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보강 부재는,
    상기 현관 도어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실내 노출부와,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는 매립부, 및
    상기 실내 노출부와 상기 매립부를 구획하는 도어 밀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플랜지는 상기 매립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무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매립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프레임 바디와,
    상기 프레임 바디의 후단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도어 밀착판에 밀착되는 후단 절곡부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랜지의 내주면은 상기 프레임 바디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랜지와, 상기 도어 밀착판 및 상기 후단 절곡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현관 도어의 배면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의 헤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플랜지 커버는 상기 체결 부재를 덮은 상태로 상기 현관 도어의 배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 장치는,
    흡열면과 발열면을 형성하는 열전 소자와,
    상기 흡열면에 접촉하는 콜드 싱크와,
    콜드 싱크의 상측에 놓이는 흡열팬과,
    상기 발열면에 접촉하는 히트 싱크와,
    상기 히트 싱크의 하측에 놓이는 방열팬과,
    상기 콜드 싱크와 히트 싱크 사이에 배치되어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KR1020190113857A 2019-09-17 2019-09-17 현관용 냉장고 KR202100326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857A KR20210032631A (ko) 2019-09-17 2019-09-17 현관용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857A KR20210032631A (ko) 2019-09-17 2019-09-17 현관용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631A true KR20210032631A (ko) 2021-03-25

Family

ID=75222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857A KR20210032631A (ko) 2019-09-17 2019-09-17 현관용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263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394A (ko) 2009-09-25 2011-03-31 조영택 현관문 및 대문에 부착되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394A (ko) 2009-09-25 2011-03-31 조영택 현관문 및 대문에 부착되는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1805B1 (en) Refrigerator
RU2443950C2 (ru) Холодильник
KR102462679B1 (ko) 냉장고
EP3699525B1 (en) Entrance refrigerator
KR20210032631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32627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32630A (ko) 현관용 냉장고
CN111609652B (zh) 入口冰箱及冰箱
KR20210032628A (ko) 현관용 냉장고
US6014868A (en) Refrigerator with improved cold air supply structure
JP5603620B2 (ja) 冷却貯蔵庫
CN108204700B (zh) 冰箱
JP6744383B2 (ja) 冷蔵庫
EP3699532A1 (en) Entrance refrigerator
CN113063260B (zh) 玄关用冰箱
CN209893740U (zh) 冰箱
CN106595179B (zh) 具有顶部透明展示区的风冷式制冷设备
JP3600579B2 (ja) 冷蔵庫
US20040226314A1 (en) Under-counter refrigerator
JP2020125903A (ja) 冷蔵庫
EP3699531A1 (en) Entrance refrigerator
KR20210009837A (ko) 현관용 냉장고
CN113063254A (zh) 玄关用冰箱
JP2021173511A (ja) 冷却貯蔵庫
JP3083393B2 (ja) 高湿度冷蔵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