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412A - 말초신경장애, 또는 말초신경장애 혹은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따른 동통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 Google Patents

말초신경장애, 또는 말초신경장애 혹은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따른 동통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412A
KR20210032412A KR1020217003576A KR20217003576A KR20210032412A KR 20210032412 A KR20210032412 A KR 20210032412A KR 1020217003576 A KR1020217003576 A KR 1020217003576A KR 20217003576 A KR20217003576 A KR 20217003576A KR 20210032412 A KR20210032412 A KR 20210032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amino acid
acid sequence
set forth
sequence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야토 이시다
히로카즈 이시다
엠. 조셉 팔름보
아쓰시 사사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타나베 파마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타나베 파마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미쓰비시 타나베 파마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32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2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growth factors ; against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66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receptors for 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5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신규한 말초신경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및 말초신경장애 또는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의한 동통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RGM 저해 물질을 포함하는, 말초신경장애, 또는 말초신경장애 혹은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의한 동통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말초신경장애, 또는 말초신경장애 혹은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따른 동통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본 발명은, RGMa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초신경장애, 또는 말초신경장애 혹은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따른 동통의 예방 또는 치료제 및 그것을 사용하는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성상세포(Astrocyte)는, 중추 신경계에 존재하는 글리어 세포(glia cell)의 하나이며, (1) 구조면에서 뉴런의 네트워크를 지지하는 기능, (2) 물질수송을 통하여 성상세포 주변의 다양한 조건을 조절하는 기능, (3) 전(前)시냅스, 후(後)시냅스, 글리어 세포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통하여, 3개의 세포에서 발휘하는 1개의 시냅스 기능, (4) 세포외 이온의 농도조절, (5) 에너지면에서의 완충작용, 및 (6) 올리고덴드로사이트의 수초(myelin sheath) 형성 활성의 증진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각종 뇌질환에서의 이상과 같은 성상세포의 기능이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노화에 따른 성상세포의 기능 저하에 의한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인지장애 등의 신경변성 질환, 뇌혈관질환, 및 정신성 질환과의 관련성이 주목받고 있다(비특허문헌 1∼3).
말초신경장애는, 말초신경의 정상적인 전도에 장애가 있는 병의 용태이다. 말초신경장애에서 장애가 있는 신경의 종류는 운동신경, 감각신경, 자율신경에 미친다. 말초신경장애는, 임상학적으로, 단신경장애(단발신경병증; 단일 신경의 장애), 다발단신경장애(다발성 단발신경병증; 상이한 영역에 있는 2개 이상의 신경의 장애), 또는 다발신경장애(다발신경병증; 좌우 대칭으로 생기는 광범위한 신경장애)으로 분류되고, 병리학적으로는, 축색이 중심에 침범된 축색장애, 또는 수초가 변성탈락한 수초장애로 분류된다. 말초신경장애는, 운동신경, 감각신경, 및 자율신경에 대하여 장애를 초래한다. 그 결과, 동통, 지각 이상, 마비, 저림, 근력저하, 발한 이상, 또는 배뇨 장애 등의 증상을 초래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악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말초신경장애의 주원인으로서는, 변형 등의 신체적 요인에 의한 손상, 압박, 혈행장애, 유전적 요인, 대사 이상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당뇨병성 신경장애는 다발신경장애와 단신경장애를 포함하고, 다발신경장애는 말초신경계인 감각신경, 운동신경 및 자율신경장애를 포함한다.
말초신경장애에 대한 치료약으로서 메틸비타민 B12(메틸코발아민)이 임상에서 사용되지만(비특허문헌 4), 임상적으로 유효한 증례는 극히 드물다. 또한, 신경장애에 따른 운동 마비는, 일상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만, 유효한 치료 방법이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RGM(repulsive guidance molecule)은, 당초, 시각계의 축색유도분자로서 동정된 막단백질이다 (비특허문헌 5 참조). RGM패밀리에는, RGMa, RGMb 및 RGMc로 불리우는 3종류의 멤버가 포함되고(비특허문헌 6), 적어도 RGMa와 RGMb는 동일한 시그널 전달 기구로 기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7 참조). RGMc은 철 대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발휘한다.
그 후의 연구에 의해, RGM은, 제노파스 및 닭 배아에서의 축색유도 및 라미나 형성, 및 마우스 배아에서의 두부신경관의 폐쇄 제어 등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비특허문헌 8 참조). 특허문헌 1에는 항RGM중화항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축색재생촉진제가 개시되어 있다.
RGMa가 발생 단계의 기능에 더하여, 성인 인간 및 래트(rat)의 중추 신경계 손상 후에 재발현하는 것, 래트에 있어서 RGMa 저해가 척수손상 후의 축색성장을 항진(亢進)하고, 기능회복을 촉진하므로(비특허문헌 9 참조), RGMa는 중추 신경계 손상 후의 축색재생 저해제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RGMa를 중화하는 구체적인 항체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예를 들면, 5F9, 8D1), 특허문헌 3(예를 들면, AE12-1, AE12-1Y), 특허문헌 4(예를 들면, r116A3, r70E4, r116A3C, rH116A3)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항RGMa항체가 시신경척수염에 대하여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10 참조).
이와 같이 중추 신경계 손상에서는 RGMa의 역할이 밝혀져 있지만, 말초신경장애, 또는 말초신경장애 혹은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따른 동통증상에 있어서는 RGMa의 관여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국제공개 WO2005/087268호 국제공개 WO2009/106356호 국제공개 WO2013/112922호 국제공개 WO2016/175236호
Dallerac G et al., Prog Neurobiol.144: 48-67(2016) Gerkau NJ et al., J Neurosci Res.2017 Feb 2. Alam Q et al., Curr Pharm Des.22: 541-8(2016) Yamazaki et al. Neurosci Lett, 170: 195-197.(1994) Stahl, B., Muller, B., von Boxberg, Y., Cox, E.C.& Bonhoeffer, F.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 putative axonal guidance molecule of the chickvisual system. Neuron 5, 735-743(1990) Mueller et al.,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361: 1513-29, 2006 Liu, X., Hashimoto, M., Horii, H., Yamaguchi, A., Naito, K. and Yamashita, T. Repulsive guidance molecule b inhibits neurite growth and is increased after spinal cord injury. Biochem. Biophys. Res. Commun.382, 795-800(2009) Yamashita, T., Mueller, B.K.& Hata, K. Neogenin and repulsive guidance molecule signaling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urr. Opin. Neurobiol.17, 29-34(2007) Hata, K. et al. RGMa inhibition promotes axonal growth and recovery after spinal cord injury. J. Cell Biol.173, 47-58(2006) Harada K. et al., Inhibition of RGMa alleviates symptoms in a rat model of neuromyelitis optica. Scientific Reports 8: 341-9(2018)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말초신경장애, 또는 말초신경장애 혹은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따른 동통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銳意)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RGMa 저해 물질이, 말초신경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제가 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RGMa 저해 물질이, 말초신경장애뿐만 아니라, 성상세포의 장애 또는 기능 저하를 개선함으로써, 동통증상에 대하여 효과를 나타내므로, 말초신경장애 또는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따른 동통증상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제가 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각 발명에 관한 것이다.
1. RGM 저해 물질을 포함하는, 말초신경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제.
2. RGM 저해 물질이 RGMa 저해 물질인, 항 1에 기재된 제.
3. RGMa 저해 물질이 항RGMa 중화항체 또는 그의 플래그먼트인, 항 2에 기재된 제.
4. 항RGMa 중화항체가 인간화 항체인, 항 3에 기재된 제.
5. 항RGMa 중화항체가 서열번호 16, 서열번호 36, 서열번호 37, 서열번호 38 및 서열번호 39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인식하는 항체인, 항 3 또는 4에 기재된 제.
6. 항RGMa 중화항체가, 하기 (a1)∼(l1):
(a1) 서열번호 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7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8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1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b1) 서열번호 1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1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1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1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1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SFG를 아미노산 서열에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c1) 서열번호 17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18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1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2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2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d1) 서열번호 2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2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2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27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28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e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3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f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3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g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4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h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4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i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4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j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4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k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4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및
(l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4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로부터 선택되는 항체인, 항 3∼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
7. 말초신경장애가, 당뇨병성 신경장애, 교액성 신경장애(수근관증후군, 팔꿈치부 척골신경장애, 비골신경마비 또는 족근관증후군),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증(familial amyloidotic polyneuropathy), 중독성 신경병증, 암성 신경병증, 면역 매개 신경병증(길랭·바레 증후군(GBS) 또는 만성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CIDP)), 교원병에 따른 신경병증, 크로우-후카세증후군(POEMS증후군), 유전성 신경병증(Charcor-Marie-Tooth병), 대상포진 후 신경통, AIDS 또는 라임병에 의한 말초신경장애, 요독증, 다소성 운동신경병증 및 혈관염성 신경병증으로부터 선택되는, 항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
8. 말초신경장애가, 당뇨병성 신경장애인 항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
9. 당뇨병성 신경장애가, 유통성 당뇨병성 신경장애, 및/또는 무증후성 당뇨병성 신경장애인, 항 8에 기재된 제.
10. 말초신경장애 또는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의한 동통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항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
11. 말초신경장애 또는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이, 당뇨병성 신경장애, 교액성 신경장애(수근관증후군, 팔꿈치부 척골신경장애, 비골신경마비 또는 족근관증후군),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증, 중독성 신경병증, 암성 신경병증, 면역 매개 신경병증(길랭·바레 증후군(GBS) 또는 만성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CIDP)), 교원병에 따른 신경병증, 크로우-후카세증후군(POEMS증후군), 유전성 신경병증(Charcor-Marie-Tooth병), 대상포진 후 신경통, AIDS 또는 라임병에 의한 말초신경장애, 요독증, 다소성 운동신경병증, 혈관염성 신경병증, 시신경척수염 및 알렉산더병으로부터 선택되는, 항 10에 기재된 제.
12. 말초신경장애 또는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이, 당뇨병성 신경장애 또는 시신경척수염인 항 11에 기재된 제.
13. 말초신경장애 또는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이, 당뇨병성 신경장애인 항 11에 기재된 제.
14. 말초신경장애 또는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이, 시신경척수염인 항 11에 기재된 제.
15. 치료를 요하는 포유동물에 대하여 유효량의 RGMa 저해 물질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말초신경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6. 말초신경장애가 당뇨병성 신경장애인, 항 15에 기재된 방법.
본 발명에 의해, 말초신경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말초신경장애 또는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따른 동통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래트 스트렙토조신(STZ) 유발 당뇨병성 신경장애 모델의 기계적 통각과민에 대한 r116A3 반복 투여에 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래트 STZ 유발 당뇨병성 신경장애 모델의 운동신경 전도 속도 저하에 대한 r116A3 반복 투여에 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래트 STZ 유발 당뇨병성 신경장애 모델의 척수 글리어 세포 섬유성 산성 단백질(GFAP) 면역염색 양성면적율에 대한 r116A3 반복 투여에 의한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래트 STZ 유발 당뇨병성 신경장애 모델의 척수 Iba1 면역염색 양성면적율에 대한 r116A3 반복 투여에 의한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 중 별도로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되고 있는 과학용어 및 기술용어는 당업자가 통상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용어의 의미 및 범위는 명확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잠재적으로 의미가 명확하지 않을 경우에는 본 명세서 중에 부여되어 있는 정의가 사전 또는 외부의 정의보다 우선한다. 또한, 별도의 기술이 없는 한, 단수형의 용어는 복수를 포함하고, 복수형의 용어는 단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또는」의 사용은 별도의 기술이 없는 한 「및/또는」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되어 있는 세포 및 조직 배양, 분자생물학, 면역학, 미생물학, 유전학, 단백질 및 핵산화학, 및 하이브리다이제이션과 관련하여 사용되고 있는 명명법 및 이들 기술은 당업계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기술은, 별도의 지시가 없는 한, 통상 당업계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각종 일반문헌 및 본 명세서 중에 인용, 검토되고 있는 보다 구체적인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관용방법에 따라 실시된다. 효소반응 및 정제기술은 당업계에 통상 실시되고 있거나, 또는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조업자의 사양서에 따라 실시된다.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되어 있는 분석화학, 합성유기화학, 및 의화학 및 의약으로서의 화학과 관련하여 사용되고 있는 명명법 및 이들의 실험 수순 및 기술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통상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화학합성, 화학분석, 의약품, 처방, 딜리버리 및 환자의 치료를 위해서는 표준기술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하에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어를 설명한다.
[중화]
본원에 있어서 중화란 원하는 표적에 결합하고, 또한, 그 표적의 어떤 기능을 저해할 수 있는 작용을 일컫는다. 예를 들면, RGMa 저해 물질은, RGMa로의 결합의 결과, RGMa의 생물활성이 저해되는 물질을 일컫는다.
[에피토프]
본원에 있어서 에피토프란, 면역 글로불린 또는 T세포수용체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폴리펩티드 결정기를 포함한다. 어떤 실시형태에서는, 에피토프는 분자의 화학적으로 활성인 표면기(예를 들면, 아미노산, 당측쇄, 포스포릴 또는 술포닐)를 포함하고, 어떤 실시형태에서는 특정한 3차원 구조특성 및/또는 특정한 전하특성을 가질 수 있다. 에피토프는 항체에 의해 결합되는 항원의 영역이다.
[단리된]
본원에 있어서 단리된 RGMa 저해 물질(예를 들면, 항체 등) 등의 「단리된」이란, 동정되고, 또한, 분리된, 및/또는, 자연상태에서의 성분으로부터 회수된 의미이다. 자연상태에서의 불순물은, 그 항체의 진단적 또는 치료적 사용을 방해할 수있는 물질이며, 효소, 호르몬 및 그 외의 단백질성의 또는 비단백질성의 용질을 예로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RGMa 저해 물질 등을 단리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정제 공정에 의해 정제하면 되고, 적어도 하나의 정제 공정에 의해 정제된 RGMa 저해 물질을 「단리된 RGMa 저해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항체]
본원에 있어서 항체란, 광의로는 면역 글로불린(Ig) 분자의 실질적으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특징을 유지하고 있는 2개의 중쇄(H쇄)과 2개의 경쇄(L쇄)의 4개의 폴리펩티드쇄로 이루어지는 Ig분자를 나타낸다.
[인간 항체]
본원에 있어서 「인간 항체」란, 경쇄, 중쇄 모두 인간 면역 글로불린 유래의 항체를 일컫는다. 인간 항체는, 중쇄의 정상영역의 상이에 따라, γ쇄의 중쇄를 가지는 IgG(IgG1, IgG2, IgG3 및 IgG4를 포함함), μ쇄의 중쇄를 가지는 IgM, α쇄의 중쇄를 가지는 IgA(IgA1, IgA2를 포함함), δ쇄의 중쇄를 가지는 IgD, 또는 ε쇄의 중쇄를 가지는 IgE를 포함한다. 또한 원칙적으로 경쇄는, κ쇄와 λ쇄의 어느 한쪽을 포함한다.
[인간화 항체]
본원에 있어서 「인간화 항체」는, 비인간 동물유래 항체의 상보성 결정 영역과, 인간 항체 유래의 프레임워크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가변영역, 및 인간 항체유래의 정상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항체를 일컫는다.
[키메라 항체]
본원에 있어서 「키메라 항체」란, 경쇄, 중쇄, 또는 그 양쪽이, 비인간 유래의 가변영역과, 인간 유래의 정상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항체를 일컫는다.
[단일특이성(monospecific) 항체]
본원에 있어서 「단일특이성 항체」란, 단일한 항원특이성을 가지는, 단일의 독립된 항원인식 부위를 함께 가지고 있는 항체이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RGMa를 인식하는 단일특이성 항체를 RGMa단일특이성 항체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다중특이성(multispecific) 항체]
본원에 있어서 「다중특이성 항체」란, 2개 이상의 상이한 항원특이성을 가지는 2개 이상의 독립된 항원인식 부위를 함께 가지고 있는 항체이며, 2개의 항원특이성을 가지는 2중특이성 항체, 3개의 항원특이성을 가지는 3중특이성 항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보성 결정영역(CDR)]
「상보성 결정영역(CDR)」이란 면역 글로불린 분자의 가변영역 중, 항원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영역을 일컬으며, 초가변영역으로도 불리우며, 면역 글로불린 분자마다 특히 아미노산 서열의 변화가 큰 부분을 일컫는다. CDR에는 경쇄 및 중쇄 각각에 3개의 CDR이 있다. 경쇄에 포함되는 3개의 CDR을 각각 LCDR1, LCDR2 및 LCDR3, 및 중쇄에 포함되는 3개의 CDR을 HCDR1, HCDR2 및 HCDR3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면역 글로불린 분자의 CDR은 카밧(Kabat)의 넘버링 시스템(Kabat 등, 1987,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IH, USA)에 따라 결정된다.
[유효량]
「유효량」이란, 장애 또는 그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중증도 및/또는 기간을 경감 또는 개선시키고, 장애의 진행을 예방하고, 장애를 후퇴시키고, 장애와 관련된 1개 이상의 증상의 재발, 발생, 발증 또는 진행을 예방하고, 장애를 검출하고, 혹은 별도의 치료(예를 들면, 예방약 또는 치료약) 중 1개 이상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강화 또는 향상시키기에 충분한 예방 또는 치료제의 양을 나타낸다.
[아미노산 서열의 퍼센트(%) 동일성]
가변영역 등의 후보 폴리펩티드 배열의 아미노산 서열의, 참조 폴리펩티드 서열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한 「퍼센트(%) 동일성」이란, 서열을 정렬시키고, 최대의 %동일성을 얻기 위해 필요하다면 간극(間隙)을 도입하고, 어떠한 보존적 치환도 서열 동일성의 일부로 여기지 않기로 한 후의, 특정한 참조 폴리펩티드 서열의 아미노산잔기와 동일한 후보 서열 중의 아미노산잔기의 %로서 정의된다. %동일성을 측정하는 목적을 위한 얼라인먼트(alignment)는, 당업자의 기량의 범위에 있는 다양한 방법, 예를 들면, BLAST, BLAST-2, ALIGN, 또는 Megalign(DNASTAR) 소프트웨어와 같은 공적으로 입수 가능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으로써 달성 가능하다. 당업자라면, 비교되는 서열의 완전길이에 대하여 최대의 얼라인먼트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임의의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서열을 얼라인먼트하기 위하여 적절한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의 목적을 위해서는, %동일성값은, 페어와이즈얼라인먼트에 있어서, 서열 비교 컴퓨터 프로그램 BLAST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진다.
아미노산 서열 비교에 BLAST가 사용되는 상황에서는,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 A의,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 B와의 %동일성은 하기와 같이 계산된다:
분률X/Y의 100배
여기서, X는 서열 얼라인먼트 프로그램 BLAST의 A 및 B의 프로그램 얼라인먼트에 의해 동일한 것으로 일치한 스코어의 아미노산잔기의 수이며, Y는 B의 전체 아미노산잔기 수이다. 아미노산 서열 A의 길이가 아미노산 서열 B의 길이와 상이한 경우, A의 B에 대한 %동일성은, B의 A에 대한 %동일성과는 상이한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여기서의 모든 %동일성값은, 바로 위의 단락에 나타낸 바와 같이 BLAST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RGM 저해 물질, 특히 RGMa 저해 물질이 신규한 용도인 말초신경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예를 들면, RGMa 저해 물질의 당뇨병성 신경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RGMa 저해 물질의 말초신경장애 또는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의한 동통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치료를 요하는 포유동물에 대하여, 유효량의 RGMa 저해 물질을 포함하는 예방 또는 치료제를 투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말초신경장애, 예를 들면, 당뇨병성 신경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RGM 저해 물질>
본 발명의 RGM 저해 물질로서는, 후술하는 말초신경장애, 또는 말초신경장애 혹은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의한 동통증상을 유도하거나 또는 상기 질환 또는 증상으로부터의 회복을 저해하는 RGM의 활성(이하, 간단히 「RGM활성」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저해하는 물질 또는 RGM의 발현을 저해하는 물질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여기서, RGM은, RGMa, RGMb 및 RGMc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RGMa이다.
RGMa는 중추 신경계에서의 신경돌기 성장 저해 단백질로서 동정되며, 인간RGMa 단백질은 서열번호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450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전구 단백질로서 생합성된다. N 말단에 존재하는 시그널 펩티드 Met1∼Pro47(N 말단측으로부터 1번째의 메티오닌 잔기로부터 47번째의 프롤린 잔기까지의 펩티드를 지칭하고, 이후 동일하게 기재함)이 제거되고, Asp168과 Pro169 사이의 펩티드 결합이 절단되어 N 말단 도메인이 생성되고, 또한 Pro169보다 C 말단측의 플래그먼트의 C 말단 펩티드 Ala425∼Cys450이 제거되고 또한, C 말단이 된 Ala424의 C 말단 카르복실기에 GPI 앵커가 부가되어, C 말단측 도메인이 생성된다. 또한, 상기 N 말단측 도메인(Cys48∼Asp168)과 C 말단측 도메인(Pro169∼Ala424)이 디술피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성숙 단백질로서, GPI앵커를 통하여 세포막 상에 발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RGMa는, 어떤 동물 유래의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인간RGMa이다. 인간의 RGMa의 전구 단백질은 서열목록의 서열번호 1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마우스의 RGMa의 전구 단백질은 서열목록의 서열번호 2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 래트의 RGMa의 전구 단백질은 서열목록의 서열번호 3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지만, C 말단 펩티드가 제거되므로, 성숙 단백질로서는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이 된다. RGMa 유전자로서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4에 나타내지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지는 인간RGMa 유전자 등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생물유래의 RGM유전자의 염기서열은 공지의 데이터베이스(GenBank 등)로부터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RGMa 저해 물질이란, 말초신경장애 또는 말초신경장애 혹은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의한 동통증상을 유도하거나 또는 상기 질환 또는 증상으로부터의 회복을 저해하는 RGMa의 활성(이하,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간단히 「RGMa 활성」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저해(중화)하는 물질 또는 RGMa의 발현을 저해하는 물질 중 어느 하나라도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의 RGMa 저해 물질은, 실시예 1에 기재된 평가 방법, 즉 래트 STZ 유발 당뇨병성 신경장애 모델을 사용한 동통 및 신경전도 장애에 대한 개선 효과를 평가하는 것 등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RGMa 저해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RGMa에 결합하여 직접적으로 RGMa 활성을 저해하거나, 혹은 RGMa와 수용체의 결합을 저해하여 간접적으로 RGMa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저분자화합물, 항RGMa 중화항체, 그의 기능 개변 항체, 그의 콘쥬게이트 항체 또는 이들의 플래그먼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RGMa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RGMa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도 RGMa 저해 물질이며, 구체적으로는, RGMa 유전자의 siRNA(short interfering RNA), shRNA(short hairpin RNA), 안티센스올리고뉴클레오티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RGMa 저해 물질 중, 바람직하게는 항RGMa 중화항체, 그의 기능 개변 항체, 그의 콘쥬게이트 항체, 이들의 플래그먼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항RGMa 중화항체 또는 그의 플래그먼트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항RGMa 중화항체이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RGMa 저해 물질로서, RGMa에 직접 작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RGMa가 말초신경장애, 예를 들면, 당뇨병성 신경장애의 증상을 유도하는 시그널 전달계 중, 어느 하나의 관련 분자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항RGMa 중화항체는, RGMa에 결합하여, 본 발명의 RGMa 활성을 중화하는 항체이면 되고, 폴리클로날 항체라도 되고 모노클로날 항체라도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모노클로날 항체이다. 또한, 본 발명의 RGMa 중화항체는 RGMa 단일특이성 항체라도 되고 RGMa 및 다른 항원을 복수 인식하는 다중특이성 항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RGMa 단일특이성 항체이다.
또한, 구체적인 에피토프로서는, 인간RGMa에 있어서, 서열번호 16(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번호 47-69), 서열번호 36(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번호 298-311), 서열번호 37(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번호 322-335), 서열번호 38(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번호 349-359), 서열번호 39(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번호 367-377) 중, 1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서열번호 36 및 37의 조합이 보다 바람직하고, 서열번호 36, 37 및 39의 조합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RGMa 중화항체는, RGMa 단백질 또는 그의 부분 단편(예를 들면, 상기한 에피토프 단편)을 항원으로 하고, 해당 항원을 마우스 등의 포유동물에게 면역하여 얻어지는 폴리클로날 항체나 모노클로날 항체,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키메라 항체 및 인간화 항체, 및 인간 항체 발생 트랜스제닉 동물 등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인간 항체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항체를 의약으로서 인간에게 투여하는 경우에는, 부작용의 관점에서, 인간화 항체 또는 인간 항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RGMa 중화항체로서, 구체적으로는, 하기 (a1)∼(l2)의 항체를 예로 들 수 있고, 각각 제조 방법은 특허문헌 2-4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a1) 서열번호 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7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8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1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상기 항RGMa 중화항체는, 또한 서열번호 36, 37 및 39을 에피토프로 하는 항체도 포함함),
(b1) 서열번호 1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1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1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1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1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SFG를 아미노산 서열에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상기 항RGMa 중화항체는, 또한 서열번호 36, 37 및 38을 에피토프로 하는 항체도 포함함),
(c1) 서열번호 17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18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1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2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2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d1) 서열번호 2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2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2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27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28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e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3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상기 항RGMa 중화항체는, 또한 서열번호 16을 에피토프로 하는 항체도 포함함),
(f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3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상기 항RGMa 중화항체는, 또한 서열번호 16을 에피토프로 하는 항체도 포함함),
(g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4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상기 항RGMa 중화항체는, 또한 서열번호 16을 에피토프로 하는 항체도 포함함),
(h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4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상기 항RGMa 중화항체는, 또한 서열번호 16을 에피토프로 하는 항체도 포함함),
(i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4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상기 항RGMa 중화항체는, 또한 서열번호 16을 에피토프로 하는 항체도 포함함),
(j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4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상기 항RGMa 중화항체는, 또한 서열번호 16을 에피토프로 하는 항체도 포함함),
(k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4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상기 항RGMa 중화항체는, 또한 서열번호 16을 에피토프로 하는 항체도 포함함), 및
(l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4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상기 항RGMa 중화항체는, 또한 서열번호 16을 에피토프로 하는 항체도 포함함)
로부터 선택되는 항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a2)∼(l2),
(a2) 서열번호 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1,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2 및 서열번호 7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8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1, 서열번호 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2 및 서열번호 1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상기 항RGMa 중화항체는, 또한 서열번호 36, 37 및 39을 에피토프로 하는 항체도 포함함),
(b2) 서열번호 1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1, 서열번호 1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2 및 서열번호 1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1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1, 서열번호 1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2 및 SFG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상기 항RGMa 중화항체는, 또한 서열번호 36, 37 및 38을 에피토프로 하는 항체도 포함함),
(c2) 서열번호 17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1, 서열번호 18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2 및 서열번호 1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1, 서열번호 2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2 및 서열번호 2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d2) 서열번호 2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1, 서열번호 2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2 및 서열번호 2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1, 서열번호 27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2 및 서열번호 28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e2)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2 및 서열번호 3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상기 항RGMa 중화항체는, 또한 서열번호 16을 에피토프로 하는 항체도 포함함),
(f2)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2 및 서열번호 3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상기 항RGMa 중화항체는, 또한 서열번호 16을 에피토프로 하는 항체도 포함함),
(g2)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2 및 서열번호 4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상기 항RGMa 중화항체는, 또한 서열번호 16을 에피토프로 하는 항체도 포함함),
(h2)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2 및 서열번호 4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상기 항RGMa 중화항체는, 또한 서열번호 16을 에피토프로 하는 항체도 포함함),
(i2)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2 및 서열번호 4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상기 항RGMa 중화항체는, 또한 서열번호 16을 에피토프로 하는 항체도 포함함),
(j2)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2 및 서열번호 4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상기 항RGMa 중화항체는, 또한 서열번호 16을 에피토프로 하는 항체도 포함함),
(k2)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2 및 서열번호 4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상기 항RGMa 중화항체는, 또한 서열번호 16을 에피토프로 하는 항체도 포함함), 및
(l2)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2 및 서열번호 4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상기 항RGMa 중화항체는, 또한 서열번호 16을 에피토프로 하는 항체도 포함함),
로부터 선택되는 항체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중, 특히 바람직하게는 (a2)에 기재된 항체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항RGMa 중화항체의 제조 방법은, 기존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항원은 그대로 면역에 사용해도 되고, 캐리어 단백질과의 복합체로 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항원과 캐리어 단백질의 복합체의 조제에는 글루타르알데히드, 카르보디이미드, 말레이미드 활성 에스테르 등의 축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캐리어 단백질은 소혈청 알부민, 사이로글로불린, 헤모시아닌, KLH 등이 예시된다.
면역되는 포유동물로서는, 마우스, 래트, 햄스터, 모르모트, 토끼, 고양이, 개, 돼지, 염소, 말 혹은 소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접종 방법은 피하, 근육내 혹은 복강내의 투여를 예로 들 수 있다. 투여 시에는 항원은 완전 프로인드 아쥬반트나 불완전 프로인드 아쥬반트와 혼화해서 투여해도 되며, 투여는 통상 2∼5 주마다 1회씩 행해진다. 면역된 동물의 비장 혹은 림프절로부터 얻어진 항체생산세포는 골수종(미엘로마) 세포와 세포 융합시키고, 하이브리도마로서 단리된다. 골수종 세포로서는 포유동물 유래, 예를 들면, 마우스, 래트, 인간 등의 유래의 것이 사용된다.
폴리클로날 항체는,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은 항원을, 필요에 따라 프로인드 아쥬반트(Freund's Adjuvant)와 함께, 상기와 같은 포유동물에게 면역함으로써 해당 면역 감작 동물로부터 얻은 혈청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모노클로날 항체는, 예를 들면,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John Wiley & Sons(1987)), 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Ed.Harlow and David Lane,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1988)에 기재된 방법을 채용하여 얻을 수 있고, 모노클로날 항체를 분비하는 「하이브리도마」의 조제는, 쾰러 및 밀 슈타인 등의 방법(네이처(Nature), 256, 495, 1975) 및 그에 준하는 수식 방법에 따라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노클로날 항체는 하기와 같이 하여 취득할 수 있다. 즉, 전술한 항원을 면역원으로 하고, 해당 면역원을, 필요에 따라 프로인드 아쥬반트(Freund's Adjuvant)와 함께, 상기와 같은 포유동물의 피하, 근육내, 정맥내, 풋패드내 혹은 복강내에 1∼수 회 주사를 놓거나 혹은 이식함으로써 면역 감작을 실시한다. 통상, 초회 면역으로부터 약 1∼14 일마다 1∼4 회 면역을 행하고, 최종 면역으로부터 약 1∼5 일 후에 면역 감작된 해당 포유동물로부터 항체생산세포가 취득된다.
하이브리도마는, 상기 항체생산세포와,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마우스, 래트 또는 인간 유래의 자기항체생산능이 없는 미엘로마 세포를, 필요에 따라 융합 촉진제를 사용하여 세포융합시킴으로써 조제된다.
세포융합에 사용되는 미엘로마 세포로서는, 예를 들면, 마우스 유래 미엘로마 P3/X63-AG8.653(653), P3/NSI/1-Ag4-1(NS-1), P3/X63-Ag8.U1(P3U1), SP2/0-Ag14(Sp2/O, Sp2), PAI, F0 혹은 BW5147, 래트 유래 미엘로마 210RCY3-Ag.2.3., 인간 유래 미엘로마 U-266AR1, GM1500-6TG-A1-2, UC729-6, CEM-AGR, D1R11 혹은 CEM-T15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융합 촉진제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통상적으로는, 20∼50 % 정도의 농도의 폴리에틸렌글리콜(평균분자량 1000∼4000)을 사용하여 20∼40 ℃, 바람직하게는 30∼37 ℃의 온도 하, 항체생산 세포수와 골수종 세포수의 비는 통상 1:1∼10:1 정도로 하고, 약 1∼10 분 정도 반응시킴으로써 세포융합을 실시할 수 있다.
모노클로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클론의 스크리닝은, 하이브리도마를, 예를 들면,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중에서 배양하고, 웰의 배양 상청액의 면역항원에 대한 반응성을 ELISA 등의 면역화학적방법에 의해 측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항체발생 하이브리도마의 스크리닝에 있어서는, RGMa 단백질과의 결합어세이에 더하여, 해당 항체가 본 발명의 RGMa 활성을 저해하는지의 평가도 행한다. 이 스크리닝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항RGMa 중화항체를 선택할 수 있다.
목적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를 포함하는 웰로부터 또한, 한계희석법에 의해 클로닝을 행하여, 클론을 얻을 수 있다. 하이브리도마의 선별, 육종은, 통상, HAT(히포크산틴(hypoxanthine), 아미노프테린(aminopterin), 티미딘)를 첨가하고, 10∼20 % 우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동물세포용 배지에서 행해진다.
하이브리도마로부터의 모노클로날 항체의 제조는, 하이브리도마를 인비트로에서 배양하거나, 또는 마우스, 래트 등의 포유동물의 복수(腹水) 중 등의 인비보에서 증식시키고, 얻어진 배양 상청액, 또는 포유동물의 복수로부터 단리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인비트로에서 배양하는 경우에는, 배양하는 세포종의 특성 및 배양 방법 등의 다양한 조건에 맞추어서, 하이브리도마를 증식, 유지 및 보존시키고, 배양 상청액 중에 모노클로날 항체를 생산시키기에 적합한 영양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영양 배지는, 공지의 영양 배지 또는 기본 배지로부터 조제되는 영양 배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기본 배지로서는, 예를 들면, Ham'F12 배지, MCDB15 3배지 혹은 저칼슘 MEM 배지 등의 저칼슘 배지 및 MCDB104 배지, MEM 배지, D-MEM 배지, RPMI1640 배지, ASF104 배지 혹은 RD 배지 등의 고칼슘 배지 등이 있고, 해당 기본 배지는, 목적에 따라, 예를 들면, 혈청, 호르몬, 사이토카인 및/또는 다양한 무기 혹은 유기 물질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모노클로날 항체의 단리, 정제는, 전술한 배양 상청액 혹은 복수를, 포화 황산 암모늄, 유글로불린 침전법, 카프로산법, 카프릴산법,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DEAE 또는 DE52 등), 항이뮤노글로불린 컬럼 혹은 프로테인 A 컬럼 등의 어피니티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제공하는 것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노클로날 항체의 정제는 면역 글로불린의 정제법으로서 기지(旣知)의 방법을 사용하면 되고, 예를 들면, 상기 제조법은, 유안분획법, PEG분획법, 에탄올분획법, 음이온 교환체의 이용, 나아가서는 RGMa 단백질을 사용하는 어피니티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모노클로날 항체는 파지(phage) 디스플레이법에 의해 취득할 수도 있다. 파지 디스플레이법에서는, 임의의 파지 항체 라이브러리로부터 선별한 파지를, 목적하는 면역원을 사용하여 스크리닝을 행하고, 면역원에 대한 원하는 결합성을 가지는 파지를 선택한다. 다음으로, 파지 내에 포함되는 항체 대응 서열을 단리 또는 서열 결정하고, 단리된 서열 또는 결정된 서열 정보에 기초하여,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도메인을 코딩하는 핵산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구축한다. 그리고, 이러한 발현 벡터를 트랜스펙션된 세포주를 배양함으로써, 모노클로날 항체를 생산시킬 수 있다. 파지 항체 라이브러리로서,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결합성을 가지는 인간 항체를 생성할 수 있다.
항RGM항체 또는 그의 플래그먼트를 코딩하는 핵산분자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먼저, 하이브리도마 등의 세포로부터, 시판하고 있는 RNA 추출 키트를 사용하여 전체 RNA를 조제하고, 랜덤 프라이머 등을 사용하여, 역전사 효소에 의해 cDNA를 합성한다. 다음으로, 기지의 인간 항체 중쇄유전자, 경쇄유전자의 가변영역에 있어서, 각각 보존되어 있는 서열의 올리고 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에 사용한 PCR법에 의해, 항체를 코딩하는 cDNA를 증폭시킨다. 정상영역을 코딩하는 서열에 대해서는, 기지의 서열을 PCR법으로 증폭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DNA의 염기서열은, 서열결정용 플라스미드에 도입하는 등에 의해,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혹은, 가변영역 또는 그 일부의 서열을 화학합성하고, 정상영역을 포함하는 배열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모노클로날 항체를 코딩하는 DNA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핵산분자는 중쇄과 경쇄의 정상영역과 가변영역의 모두를 코딩하는 것이라도 되지만, 중쇄과 경쇄의 가변영역만을 코딩하는 것이라도 된다. 정상영역과 가변영역의 전부를 코딩하는 경우의 중쇄 및 경쇄의 정상영역의 염기서열은, Nucleic Acids Research vol.14, p1779, 1986,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257, p1516, 1982 및 Cell vol.22, p197, 1980에 기재된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 개변 항체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제된다. 예를 들면, Fc 수용체의 하나인 FcRn으로의 결합을 향상시킨 Fc 영역의 변이체를 사용함으로써, 혈중 반감기의 연장을 도모할 수 있다(하시구치(橋口) 슈헤이(周平) 등, 생화학, 2010, Vol.82(8), p710). 이들 기능 개변항체는, 유전자공학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콘쥬게이트 항체로서는, 항RGMa 중화항체에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등의 비펩티드성 폴리머, 방사성 물질, 독소, 저분자화합물, 사이토카인, 성장인자(TGF-β, NGF, Neurotrophin 등), 알부민, 효소, 다른 항체 등의 본원의 항RGMa 중화항체 이외의 기능분자를 화학적 또는 유전자 공학적으로 결합한 항RGMa 중화항체를 예로 들 수 있다.
기능분자로서 PEG를 결합하는 경우, PEG는 비한정적으로 분자량 2000∼100000 Da,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50000 Da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직쇄형이라도 되고, 브랜치(branch)형인 것이라도 된다. PEG는, 예를 들면, NHS 활성기를 사용함으로써, RGMa 저해 물질의 아미노산 N 말단 아미노기 등에 결합할 수 있다.
기능분자로서 방사성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131I, 125I, 90Y, 64Cu, 99Tc, 77Lu 또는 211A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방사성 물질은, 클로라민T법 등에 의해 RGMa 저해 물질에 직접 결합시킬 수 있다.
기능분자로서 독소를 사용하는 경우, 세균독소(예를 들면, 디프테리아 독소), 식물독소(예를 들면, 리신), 저분자독소(예를 들면, 겔다나마이신), 메이탄시노이드, 및 칼리키아마이신 등이 사용된다.
기능분자로서 저분자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다우노마이신, 독소루비신, 메트록렉세이트, 마이토마이신, 네오카르치노스타틴, 빈데신 및 FITC 등의 형광색소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기능분자로서 효소를 사용하는 경우, 루시페라제(예를 들면, 반딧불 루시페라아제 및 세균 루시페라아제; 미국특허 제4737456호), 말산 데하이드로게나제, 우레아제(Urease), 퍼옥시다아제(예를 들면, 호스래디시 퍼옥시다아제(HRPO)), 알칼리성 포스파타아제, β-갈락토시다아제, 글루코아밀라아제, 라이소자임, 사카라이드옥시다제(예를 들면, 글루코오스 옥시다아제, 갈락토오스 옥시다제, 및 글루코오스-6-포스페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 복소환식 옥시다제)(예를 들면, 우리카아제 및 크산틴옥시다제 등), 락토퍼옥시다아제, 마이크로퍼옥시다아제 등이 사용된다.
독소, 저분자화합물 또는 효소를 화학적으로 결합할 때 사용하는 링커로서는, 2가 라디칼(예를 들면, 알킬렌, 아릴렌, 헤테로아릴렌), -(CR2)nO(CR2)n-(R은 임의의 치환기, n은 양의 정수)로 표시되는 링커나 알콕시의 반복 단위(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옥시, PEG, 폴리메틸렌옥시 등) 및 알킬아미노의 반복 단위(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아미노, JeffamineTM), 및 2산 에스테르 및 아미드(숙시네이트, 숙신아미드, 디글리콜레이트, 말로네이트 및 카프로아미드 등을 예로 들 수 있음)를 예로 들 수 있다. 기능분자를 결합시키는 화학적 수식 방법은 이 분야에 있어서 이미 확립되어 있다(D.J.King., Applications and Engineering of Monoclonal antibodies., 1998 T.J. International Ltd, Monoclonal Antibody-Based Therapy of Cancer., 1998 Marcel Dekker Inc; Chari et al., Cancer Res., 1992 Vol152: 127; Liu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996 Vol 93: 8681).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항체의 「플래그먼트」란, 전술한 바와 같은 항체의, 항원결합성을 가지는 일부분의 영역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F(ab')2, Fab', Fab, Fv(variable fragment ofantibody), 디술피드 결합 Fv, 단일가닥 항체(scFv), 및 이들의 중합체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또한 플래그먼트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등의 비펩티드성 폴리머, 방사성 물질, 독소, 저분자화합물, 사이토카인, 성장 인자(TGF-β, NGF, Neurotrophin 등), 알부민, 효소, 다른 항체 등의 본원의 항RGMa 중화항체 이외의 기능분자를 화학적 또는 유전자 공학적으로 결합하고 있는 콘쥬게이트 플래그먼트가 포함된다.
「F(ab')2」 및 「Fab」는, 이뮤노글로불린을, 단백질 분해효소인 펩신 혹은 파파인 등으로 처리함으로써 제조되고, 힌지 영역 중의 2개의 중쇄 사이에 존재하는 디술피드 결합의 전후에서 소화되어 생성되는 항체 플래그먼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IgG를 파파인으로 처리하면, 힌지 영역 중의 2개의 중쇄 사이에 존재하는 디술피드 결합의 상류에서 절단되어 VL(경쇄가변영역)과 CL(경쇄정상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경쇄, 및 VH(중쇄가변영역)과 CHγ1(중쇄정상영역 중의 γ1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중쇄 플래그먼트가 C 말단 영역에서 디술피드 결합에 의해 결합한 상동인 2개의 항체 플래그먼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들 2개의 상동인 항체 플래그먼트를 각각 Fab라고 한다. 또한 IgG를 펩신으로 처리하면, 힌지 영역 중의 2개의 중쇄 사이에 존재하는 디술피드 결합의 하류에서 절단되어 상기 2개의 Fab가 힌지 영역에서 연결된 것보다 약간 큰 항체 플래그먼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 항체 플래그먼트를 F(ab')2라고 한다.
본 발명의 항RGMa 중화항체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키메라 항체를 예로 들 수 있다. 「키메라 항체」로서는, 가변영역이, 비인간 동물(마우스, 래트, 햄스터, 닭 등)의 이뮤노글로불린 유래의 가변영역이며, 정상영역이 인간 이뮤노글로불린 유래의 정상영역인, 키메라 항체가 예시된다. 예를 들면, 항원을 마우스에 면역하고, 그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의 유전자로 항원과 결합하는 가변영역을 잘라내어, 인간 골수 유래의 항체 정상영역과 결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인간이뮤노글로불린유래의 정상영역은, IgG(IgG1, IgG2, IgG3, IgG4), IgM, IgA(IgA1, IgA2), IgD 및 IgE 등의 아이소타입 의해 각각 고유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지만, 본 발명에서의 재조합 키메라 항체의 정상영역은 어느 아이소타입에 속하는 인간 이뮤노글로불린의 정상영역으로 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인간 IgG의 정상영역이다. 이와 같이 제작한 키메라 항체의 유전자를 사용하여 발현 벡터를 제작할 수 있다. 해당 발현 벡로 숙주 세포를 형질 전환함으로써 키메라 항체 발생 형질 전환 세포를 얻고, 해당 형질 전환 세포를 배양함으로써 배양 상청액 중에서 원하는 키메라화 항체를 얻는다.
본 발명의 항RGMa 중화항체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인간화 항체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인간화 항체」는, 마우스 등의 비인간 동물항체의 항원 결합 부위(CDR; 상보성 결정영역)의 DNA 서열만을 인간 항체유전자에 이식(CDR그래프팅)한 항체이다. 예를 들면, 일본특표 평4-506458호 공보 및 일본특허 2912618호 명세서 등에 기재된 방법을 참조하여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CDR의 일부 또는 전부가 비인간 포유동물(마우스, 래트, 햄스터 등)의 모노클로날 항체에 유래하는 CDR이며, 그 가변영역의 프레임워크 영역이 인간 이뮤노글로불린 유래의 가변영역의 프레임워크 영역이며, 또한 그 정상영역이 인간 이뮤노글로불린 유래의 정상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화 항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인간화 항체는,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제조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에 유래하는 재조합 인간화 항체는, 일본특표 평4-506458호 공보 및 일본공개특허 소62-296890호 공보 등을 참조하여, 유전자 공학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즉,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로부터, 마우스 중쇄 CDR 부분의 DNA와 마우스 경쇄 CDR 부분의 DNA를 단리하고, 인간 이뮤노글로불린 유전자로부터 인간 중쇄 CDR 이외의 전체 영역의 인간 중쇄유전자와, 인간 경쇄 CDR 이외의 전체 영역의 인간 경쇄유전자를 단리한다.
단리한 마우스 중쇄 CDR 부분의 DNA를 이식한 인간 중쇄유전자를 발현 가능하도록 적당한 발현 벡터에 도입하고, 동일하게 마우스 경쇄 CDR 부분의 DNA를 이식한 인간 경쇄유전자를 발현 가능한 적당한 또 하나의 발현 벡터에 도입한다. 또는, 마우스의 CDR을 이식한 인간의 중쇄 및 경쇄 유전자를 동일한 발현 벡터에 발현 가능하도록 도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발현 벡터로 숙주 세포를 형질 전환함으로써 인간화 항체발생 형질전환 세포를 얻고, 해당 형질전환 세포를 배양함으로써 배양 상청액 중으로부터 원하는 인간화 항체를 얻는다.
본 발명의 항RGMa 중화항체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인간 항체를 예로 들 수 있다. 「인간 항체」란, 이뮤노글로불린을 구성하는 중쇄의 가변영역 및 중쇄의 정상영역 및 경쇄의 가변영역 및 경쇄의 정상영역을 포함하는 모든 영역이 인간 이뮤노글로불린을 코딩하는 유전자에 유래하는 이뮤노글로불린이 되어 있는 항체로서, 인간 항체 유전자를 마우스에 도입하여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적어도 인간 이뮤노글로불린 유전자를 마우스 등의 인간 이외의 포유동물의 유전자 위치 중에 도입하는 것에 의해 제작된 트랜스제닉 동물을, 항원으로 면역 감작함으로써, 전술한 폴리클로날 항체 혹은 모노클로날 항체의 제작법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간 항체를 생산하는 트랜스제닉 마우스는, Nature Genetics, Vol.7, p.13-21, 1994; Nature Genetics, Vol.15, p.146-156, 1997; 일본특표 평4-504365호 공보; 일본특표 평7-509137호 공보; 국제공개 WO94/25585호 팜플렛; Nature, Vol.368, p.856-859, 1994; 및 일본특표 평6-500233호 공보 등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HuMab(등록상표) 마우스(Medarex, Princeton NJ), KMTM 마우스(Kirin Pharma Company, Japan), KM(FCγRIIb-KO) 마우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항RGMa 중화항체로서 구체적으로는, 중쇄가변영역에 특정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을 가지고, 경쇄가변영역에 특정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CDR을 가지는 것(전술한 (a1)∼(l2)의 항체)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RGMa와의 결합능을 가지고, RGMa의 활성을 저해(중화)하는 본 발명의 항체 특성이 유지되는 한, 항RGMa 중화항체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1개 또는 수개의 아미노산(1∼20 개, 1∼10 개, 1∼5 개, 1∼3 개 또는 1∼2 개)의 치환, 결실, 부가 또는 삽입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치환, 결실, 부가는 CDR에 도입되어도 되지만, CDR 이외의 영역에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아미노산 치환은 본 발명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존적 치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치환, 결실 등이 포함된 본 발명의 항체 아미노산 서열은, 예를 들면, 아미노산 서열 개변 후의 중쇄가변영역이 개변 전의 아미노산 서열과 90%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95%, 96%, 97%, 98%, 99% 이상)의 %동일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이며, 아미노산 서열 개변 후의 경쇄가변영역이 개변 전의 아미노산 서열과 90%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95%, 96%, 97%, 98%, 99% 이상)의 %동일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이다.
siRNA는, 표적이 되는 유전자(본 발명에 있어서는 RGMa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짧은 2중가닥 RNA이다. 본 발명의 RGMa 활성을 저해하는 siRNA로서 기능하는 한에 있어서, 염기서열이나 길이(염기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약 30염 기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9∼27 염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1∼25 염기이다. shRNA는, 단일가닥 RNA이며 부분적으로 회문형의 염기서열을 포함함으로써, 분자 내에서 2중가닥 구조를 가지고, 3' 말단에 돌출부를 가지는 짧은 헤어핀 구조로 이루어지는 약 20염기쌍 이상의 분자를 일컫는다. 이러한 shRNA는, 세포 내에 도입된후, 세포 내에서 약 20염기(대표적으로는, 예를 들면, 21염기, 22염기, 23염기)의 길이로 분해되고, siRNA와 마찬가지로 표적이 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siRNA 및 shRNA는, RGMa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형태라도 된다.
siRNA 또는 shRNA는, 인공적으로 화학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T7RNA 폴리머라아제 및 T7 프로모터를 사용하여, 주형 DNA로부터 안티센스 및 센스의 RNA를 인비트로에서 합성할 수 있다.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RGMa 유전자의 DNA 서열 중의 연속하는 5로부터 100의 길이의 염기서열에 대하여 상보적인, 또는 하이브리다이즈하는 뉴클레오티드이면 되고, DNA 또는 RNA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또한, 기능에 지장이 없는 한 수식된 것이라도 된다.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합성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시판하고 있는 DNA 합성장치에 의해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서열은 통상의 선택 방법을 사용하여 선택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의 siRNA 또는 shRNA로서는, 기능성 RGMa의 발현 저해를 평가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말초신경장애는, 당뇨병성 신경장애, 교액성 신경장애(수근관증후군, 팔꿈치부 척골신경장애, 비골신경마비 또는 족근관증후군 등),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증, 중독성 신경병증, 암성 신경병증, 면역 매개 신경병증(길랭·바레 증후군(GBS) 또는 만성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CIDP)), 교원병에 따른 신경병증, 크로우-후카세증후군(POEMS증후군), 유전성 신경병증(Charcor-Marie-Tooth병), 대상포진 후 신경통, AIDS 또는 라임병에 의한 말초신경장애, 요독증, 다소성 운동신경병증 또는 혈관염성 신경병증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으로서는, 성상세포장애 혹은 기능 저하가 인정되는 질환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시신경척수염, 알렉산더병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 중, 말초신경장애로서, 바람직하게는 당뇨병성 신경장애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시신경척수염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말초신경장애 또는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의한 동통증상으로서는, 말초신경이 손상을 입거나, 또는 중추 신경계에 있어서 성상세포가 장애를 입거나, 혹은 기능 저하함으로써 발증하는 증상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동통증상을 야기하는 말초신경장애 또는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으로서는, 전술한 말초신경장애 또는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과 동일한 의미이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동통증상 중, 말초신경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서는 후술하는 실시예 1(1-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RGMa 저해 물질, 예를 들면, 항RGMa항체에 의해, 신경전도 속도가 개선되고 있으므로, RGMa 저해 물질은 말초신경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 시사되고, 또한 동통도 억제하므로 RGMa 저해 물질은 말초신경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의한 동통에 대하여, 진통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시사된다.
또한,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의한 동통증상은, 성상세포의 장애 또는 기능 저하에 의해, 중추에서의 글루타민산 트랜스포터의 발현이 저하되고, 그 결과, 글루타민산의 작용이 증강되고, 신경이 과민화 또는 흥분함으로써 발증하는 것이, 1개의 작용 기전으로서 여겨진다(예를 들면, Neuron 67, 834-846, Sep.9, 2010). 상기 동통증상은, 성상세포장애에 의해, 상기 질환의 발증에 따른 저림감, 통증 또는 감각둔마(感覺鈍痲) 등의 증상이 인정된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실시예 1(1-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래트 STZ 유발 당뇨병성 신경장애 모델에서는, 말초신경장애와 성상세포장애가 일어나며, 그 결과, 동통이 발증하고, RGMa 저해 물질, 예를 들면, 항RGMa 중화항체가 상기 동통에 대하여 진통효과가 인정된다. 한편, RGMa 저해 물질, 예를 들면, 항RGMa 중화항체에 의해, 미크로글리아의 감소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지만, 성상세포의 감소에 대한 억제 효과가 인정되므로, RGMa 저해 물질, 예를 들면, 항RGMa 중화항체는 성상세포장애 또는 기능 저하가 인정되는 질환에 의한 동통에 대하여, 진통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시사된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실험 결과로부터, RGMa 저해 물질, 바람직하게는, 항RGMa 중화항체가, 이와 같은 말초신경장애 또는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 중 한쪽 또는 양쪽에 의한 동통증상에 효과를 나타낸 것을 기대할 수있다. 그리고, 비특허문헌 10에서는, 시신경척수염에서의 성상세포장애에 관한 실험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험 모델에서는 통증의 평가를 할 수 없는 동물 모델이므로, 상기 문헌으로부터는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과 동통증상의 관계는 불분명했다. 이 때문에,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과 동통증상의 관계는, 본 출원의 실시예 1에 의해 얻어진 신규한 지견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당뇨병성 신경장애는, 당뇨병환자에게 가장 많은 합병증의 하나이며, 혈당 콘트롤의 불량, 장기간의 당뇨병환병 기간, 고혈압, 지질이상 등의 공지의 리스크 팩터에 의해 야기되지만, 그 발증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도 특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당뇨병성 신경장애는, 원위성(遠位性) 대칭성의 다발신경장애와 국소성의 단신경장애로 나누어지고, 특히 전자(前者)는, 당뇨병성 신경장애의 중핵(中核)증상으로 여겨지며, 감각신경장애, 운동신경장애, 자율 신경 장애가 포함된다.
당뇨병성 신경장애의 진단으로서는, 특이적인 증상이나 검사는 존재하지 않으며, 환자로부터 신경증상의 청진을 조심스럽게 행하는 동시에, 통각, 진동각, 압촉각, 건(腱)반사 검사등의 신경학적 검사를 실시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당뇨병성 신경장애의 주된 증상으로서는, 크게 감각신경장애, 운동신경장애, 자율신경장애를 에로 들 수 있다. 감각신경장애에는, 통각이상이 현저한 유통성 신경장애와, 자발적 감각이상이 없는 무증후성 신경장애가 존재한다. 감각신경장애는, 발증 조기에 하지 말단에, 저림감, 통증을 인정되고, 그 후 증상이 진행되면, 감각둔마가 현저하게 된다. 또한, 증상이 진행되면, 하지뿐만 아니라 상지말단에도 저림감, 통증, 감각둔마 등의 증상이 출현한다. 감각신경장애는 환자의 QOL 저하로 이어질 뿐만아니라, 증상이 진행되어, 감각둔마가 출현하면, 족괴저나 샤르코관절로 이어질 리스크가 높아져, 사지의 절단이나 생명 예후의 악화로 이어질 우려도 생긴다. 이 때문에, 당뇨병성 신경장애는 발증 조기부터의 치료 개입이 중요하다. 한편, 운동신경장애에서는, 특히 하지의 근력저하 및 근위축, 다리의 변형과 같은 증상이 인정된다. 통상, 일상생활동작에 영향이 나타나는 정도로는 두드러지지 않지만, 이들 증상은 장애가 진행되면, 밸런스의 유지나, 언덕길이나 계단의 오르내림, 속보와 같은 부하가 걸리는 보행에 대한 영향이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당뇨병성 신경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제는, 상기 검사에 의해 찾아내지는 증상의 개선 또는 상기 증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당뇨병성 신경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제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되는 당뇨병성 신경장애로서는, 상기 증상을 나타내는 것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유통성 당뇨병성 신경장애, 및 무증후성 당뇨병성 신경장애를 예로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통성 당뇨병성 신경장애를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치료」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의 질환의 임의의 치료를 포함하고, 질환증상을 저해하는, 즉 그 진행을 저지 또는 질병 또는 증상을 소멸시키는 것, 및 질환증상을 경감하는 것, 즉 질병 또는 증상의 후퇴, 또는 증상의 진행 지연을 야기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치료는, 혈당저하 등에 의한 당뇨병의 치료에 기초하여, 당뇨병성 신경장애를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당뇨병성 신경장애를 직접 치료하는 것이다. 따른 실시형태에서는, 치료는 치료 상의 신경재생적 또는 신경보호적인, 국소 또는 전신의 치료이다.
또한, 「예방」은,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 있어서, 상기 질환의 발증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말초신경장애의 예방 혹은 치료제, 또는 말초신경장애 혹은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의한 동통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제는, 통상, 전신적 또는 국소적으로, 경구 또는 비경구의 형태로 투여된다.
본 발명에서의 말초신경장애의 예방 혹은 치료제, 또는 말초신경장애 혹은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의한 동통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제는, RGMa 저해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첨가제를 적절하게 배합한 의약조성물로서 제제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제(錠劑), 피복 정제, 환제, 산제(散劑), 과립제, 캡슐제, 액제, 현탁제, 유제 등의 경구제; 주사제, 수액, 좌제, 연고, 패치제 등의 비경구제로 할 수 있다. 담체 또는 첨가제의 배합 비율에 대해서는, 의약품 분야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범위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배합할 수 있는 담체 또는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물, 생리식염수, 그 외의 수성용매, 수성 또는 유성 기제(基劑) 등의 각종 담체; 부형제(賦形劑), 결합제, pH조정제, 붕괴제, 흡수촉진제, 활택제, 착색제, 교미제(矯味劑), 향료 등의 각종 첨가제를 예로 들 수 있다.
RGMa 저해 물질이 항RGMa 중화항체, 그의 기능 개변항체, 그의 콘쥬게이트 항체 또는 이들의 플래그먼트인 경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제제화된 주사제 또는 수액으로 하고, 비경구 투여경로, 예를 들면, 정맥내, 근육내, 피부내, 복강내, 피하 또는 국소에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RGMa 중화항체를 포함하는 주사제 또는 수액은, 용액, 현탁액 또는 유탁액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용제로서, 예를 들면, 주사용 증류수, 생리식염수, 포도당 용액 및 등장액(예를 들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글리세린, 만니톨, 소르비톨, 붕산, 붕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용액)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주사제 또는 수액은, 안정제, 용해 보조제, 현탁화제, 유화제, 무통화제, 완충제, 보존제, 방부제, pH조정제 등을 포함해도 된다.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부민, 글로불린, 젤라틴, 만니톨, 글루코오스, 덱스트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아스코르브산, 아황산수소 나트륨, 티오황산 나트륨, EDTA나트륨, 시트르산 나트륨,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해 보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코올(예를 들면, 에탄올 등), 폴리알코올(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비이온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폴리소르베이트 80(등록상표), HCO-50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현탁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 알루미늄,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라우릴황산 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라비안 고무, 알긴산 나트륨, 트라간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무통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질알코올, 클로로부탄올, 소르비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완충제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완충액, 아세트산완충액, 붕산완충액, 탄산완충액, 시트르산완충액, 트리스완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옥시벤조산 메틸, 파라옥시벤조산 에틸, 파라옥시벤조산 프로필, 파라옥시벤조산 부틸, 클로로부탄올, 벤질알코올, 염화벤잘코늄, 데하이드로아세트산 나트륨, 에데트산 나트륨, 붕산, 붕사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벤잘코늄, 파라옥시벤조산, 클로로부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pH조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수산화나트륨, 인산, 아세트산등을 사용할 수 있다.
RGMa 저해 물질이 핵산(siRNA, shRNA,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항RGMa 중화항체 및 그의 플래그먼트를 코딩하는 핵산 분자 등)인 경우, 비바이러스 벡터 또는 바이러스 벡터의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비바이러스 벡터 형태인 경우, 리포솜(ribosome)을 사용하여 핵산분자를 도입하는 방법(리포솜법, HVJ-리포솜법, 양전하 리포솜법, 리포펙션법, 리포펙트아민법 등), 마이크로인젝션법, 유전자총(Gene Gun)으로 캐리어(금속입자)과 함께 핵산분자를 세포에 이입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하여 생체에 투여하는 경우에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할 수 있다. 무독화한 레트로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아데노 수반 바이러스, 헤르페스바이러스, 백시니어바이러스, 폭스바이러스, 폴리오바이러스, 신드비스바이러스, 센다이바이러스, SV40 등의 DNA 바이러스 또는 RNA 바이러스에, siRNA 또는 shRNA를 발현하는 DNA를 도입하고, 세포 또는 조직에 이 재조합 바이러스를 감염시킴으로써, 세포 또는 조직 내에 유전자를 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을 수 있는 제제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 예를 들면, 인간이나 다른 포유동물(예를 들면, 래트, 마우스, 토끼, 양, 돼지, 소, 고양이, 개, 원숭이 등)에 대하여, 그 유효량을 투여함으로써, 말초신경장애, 예를 들면, 당뇨병성 신경장애 또는, 말초신경장애 혹은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의한 동통증상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투여량은, 목적, 질환의 중증도,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기왕력, 유효성분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된다. 예를 들면, 유효성분이 항RGMa 중화항체인 경우, 약 65∼70 kg의 체중을 가지는 평균적인 인간을 대상으로 한 경우, 1일당 0.02mg∼4000mg 정도가 바람직하고, 0.1mg∼200mg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1일당의 총투여량은, 단일 투여량이라도 되고 분할 투여량이라도 된다.
본 발명의 말초신경장애의 예방 혹은 치료제, 또는 말초신경장애 혹은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서의 동통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제는, 기존의 동통치료 약과 병용 혹은 합제화(合劑化)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병용하는 약제로서는, 동통치료약, 당뇨병약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동통치료약으로서, 예를 들면, 3환계 항우울증약(아미트리프틸린, 이미프라민 등), α2δ 리간드((예를 들면, 프레가발린 등), Na 채널 블로커(멕실레틴 등), 항간질약(가바펜틴, 카르바마제핀 등),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약(에팔레스타트 등), 세로토닌·노르아드레날린 재도입 저해약(SNRI, 예를 들면 듀록세틴)과 병용 혹은 합제화할 수 있다.
항당뇨병약으로서, 술포닐우레아계 항당뇨병약, 비구아니드계 항당뇨병약, 인슐린 저항성 개선약(피오글리타존 등), α 글루코시다아제 저해약, DPP-4 저해약, SGLT-2 저해약, GLP-1 아날로그, 인슐린 아날로그 등과 병용 혹은 합제화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래트 STZ 유발 당뇨병성 신경장애 모델의 동통 및 운동신경 전도장애에 대하다 항RGMa 중화항체의 효과 검토
이 래트 STZ 유발 당뇨병성 신경장애 모델은, 말초신경장애, 특히 당뇨병성 신경장애에서의 말초신경의 장애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는 모델이다. 또한, 본 모델은, 말초신경장애, 특히, 당뇨병성 신경장애의 동통증상에 대한 효과와 함께,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의한 동통증상에 대한 효과도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이다.
(1-1) 래트 STZ 유발 당뇨병성 신경장애 모델의 제작
실험에는 SD계 수컷 래트를 사용했다. 0.75mM 시트르산완충액(pH 4.5)으로 30% 농도로 용해한 STZ(스트렙토조신)(60 mg/kg)을 래트 미정맥 내에 투여하고, 3주일 후, 혈당값이 300 mg/dl 이상에 도달한 것을 STZ 실험군(당뇨병군)으로서 사용했다. 정상군에는 실험군과 동일 주령(週齡)의 STZ 비투여 래트를 사용했다.
(1-2) 행동적 동통평가
von Frey 자극시험은 up-down법(Chaplan, S.R., Bach, F.W., Pogrel, J.W., Chung, J.M., Yaksh, T.L., Quantitative assessment of tactile allodynia in the rat paw, J. Neurosci. Methods, 53, 55-63(1994)을 참조)을 사용하여 뒷다리를 들어올리는 50% 도피반응 임계값(g)을 구하여 기계적 통각과민을 평가했다.
(1-3) 운동신경 전도속도(MNCV)의 측정
래트를 이소플루란 가스로 지속 흡입 마취하고 복위(復位)로 고정하고, 체온제어장치(ATB-1100, 니혼코덴공업(日本光電工業)가부시키가이샤)에 의해 체온(직장온도)을 일정(37.5∼38.5℃)로 유지하고, MNCV를 측정했다.
우좌골신경의 좌골결절 부위를 근원위자극점(S1), 우경골신경의 족관절부위를 원근위자극점(S2)으로 하고, 각각에 바늘전극(-극)을 삽입했다. 또한, 부관전극(+극)은 S1으로부터 척수 측으로 약 1cm의 부위에 삽입했다. 한편, 기록용의 도출전극(-극) 및 기준전극(+극)은 각각 오른쪽 족저근 부위에 얕게 삽입했다. 그리고, 기준전극(+극)은, -극보다 말초 측에 설치했다. 유발전위기록장치[뉴로팩μ(형식번호: MEB-9102, 니혼코덴공업가부시키가이샤)]를 사용하여 S1, S2 각각에 단일 직사각형 펄스(자극빈도: 1Hz, 지속시간: 0.1msec, 전류: supramaximal, 자극횟수: 1회)의 전기자극을 가하고, 기록전극에서 얻어진 활동전위의 변화를 기록했다. S1 자극, S2 자극 각각에 대하여 자극 시로부터 활동전위의 상승까지의 응답대기시간 t1, t2(msec) 및 S1, S2 사이의 거리 d(mm)를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 MNCV를 산출했다.
MNCV=d/t1-t2)
(1-4) 군분류 및 항RGMa 중화항체의 투여
STZ 투여 3주 후, 혈당값이 300 mg/dL 이하인 동물을 군분류 대상으로부터 제외하고, 체중, 50% 도피 임계값 및 MNCV의 평균값과 분산이 각 군에서 균질화하도록 군분류했다. STZ/콘트롤 항체투여군, STZ/항RGMa 중화 항체투여군, 정상/콘트롤 항체투여군, 모두 10마리로 구성했다.
항RGMa 중화항체 또는 콘트롤 항체(마우스 IgG)를 10 mg/kg의 용량으로 미정맥 내 투여하고, STZ 투여 3주째로부터 주 1회, 합계 4회 실시했다.
항RGMa 중화항체로서는, 문헌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한 r116A3(특허문헌 4를 참조)를 사용했다.
(1-5) GFAP, Iba1 면역염색의 병리조직학적 평가
피험물질 초회투여로부터 28일 후(STZ 투여로부터 51일 후)에, 생리식염수를 관류(灌流)하고 방혈(放血)하여 안락사시키고, 10vol% 중성완충 포르말린으로 관류고정했다. 그 후, 척수를 채취하고, 10vol% 중성완충 포르말린에 침지 고정했다.
GFAP(성상세포의 염색) 및 Iba1(미크로글리아의 염색)의 면역염색을 실시하고, GFAP 및 Iba1의 발현을 광학현미경 하에서 병리조직학적으로 평가했다.
슬라이드 표본을 버츄얼슬라이드스캐너 Aperio(Aperio AT2, Leica Microsystems)로 촬영(배율 20배)한 후, 표본전체의 화상을 100%로 extract하고, JPEG화상으로 변환했다. 화상해석소프트웨어 Image-Pro premier(ver.9.3.2, Media Cybernetics)를 사용하여, 회백질부분의 전각(前角)(배각), 후각(등각)을 Area of Interest(AOI)로 둘러싸고, 각 영역에서의 면역염색 양성면적을 추출하여 측정(사이즈>1mm2)한 후, 각 영역의 전체면적당의 염색 양성 면적율을 산출했다. 얻어진 결과는, 개체값 및 평균값±표준 오차로 나타내고, 각 면적율에 대하여, 비당뇨병군과 당뇨병군 사이 및 당뇨병군과 당뇨병+피험물질투여군 사이에서 Student's t 검정을 실시했다.
(1-6) 결과
기계적 통각과민에 대한 항RGMa 중화항체 반복 투여의 효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당뇨병 야기에 의해 저하된 50% 도피반응 임계값은 항RGMa 중화항체 투여 후 1주부터 유의한 개선이 관찰되었다. 개선 효과는 주가 경과할수록 강해지고, 적어도 최종평가시점의 4주까지 개선 효과는 지속되었다.
운동신경 전도장애에 대한 항RGMa 중화항체 반복 투여의 효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당뇨병 야기에 의해 저하된 운동신경 전도속도에 대해서도 항RGMa 중화항체는 개선 작용을 나타내고, 투여 개시 후 4주에서 유의한 개선이 관찰되었다.
GFAP 양성 면적율의 산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전각에 있어서는, 비당뇨병군과 비교하여 당뇨병군에서 유의한 감소가 인정되고, 전각 및 후각에 있어서는, 당뇨병군과 비교하여 당뇨병+피험물질 투여군에서 유의한 증가가 인정되었다.
Iba1 양성 면적율의 산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전각 및 후각에 있어서, 비당뇨병군과 비교하여 당뇨병군에서 유의한 감소가 인정되었다.
<서열목록의 설명>
서열번호 1: 인간RGMa 전구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2: 마우스RGMa 전구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3: 래트RGMa 전구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4: 인간RGMa 유전자의 DNA 서열
서열번호 5: 항RGMa 중화항체 r116A3의 LCDR1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6: 항RGMa 중화항체 r116A3의 LCDR2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7: 항RGMa 중화항체 r116A3의 LCDR3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8: 항RGMa 중화항체 r116A3의 HCDR1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9: 항RGMa 중화항체 r116A3의 HCDR2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0: 항RGMa 중화항체 r116A3의 HCDR3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1: 항RGMa 중화항체 r70E의 LCDR1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2: 항RGMa 중화항체 r70E의 LCDR2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3: 항RGMa 중화항체 r70E의 LCDR3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4: 항RGMa 중화항체 r70E의 HCDR1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5: 항RGMa 중화항체 r70E의 HCDR2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6: 인간RGMa의 에피토프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7: 항RGMa 중화항체 5F9의 LCDR1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8: 항RGMa 중화항체 5F9의 LCDR2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9: 항RGMa 중화항체 5F9의 LCDR3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20: 항RGMa 중화항체 5F9의 HCDR1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21: 항RGMa 중화항체 5F9의 HCDR2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22: 항RGMa 중화항체 5F9의 HCDR3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23: 항RGMa 중화항체 8D1의 LCDR1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24: 항RGMa 중화항체 8D1의 LCDR2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25: 항RGMa 중화항체 8D1의 LCDR3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26: 항RGMa 중화항체 8D1의 HCDR1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27: 항RGMa 중화항체 8D1의 HCDR2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28: 항RGMa 중화항체 8D1의 HCDR3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29: 항RGMa 중화항체 AE12-1의 LCDR1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30: 항RGMa 중화항체 AE12-1의 LCDR2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31: 항RGMa 중화항체 AE12-1의 LCDR3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32: 항RGMa 중화항체 AE12-1의 HCDR1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33: 항RGMa 중화항체 AE12-1의 HCDR2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34: 항RGMa 중화항체 AE12-1의 HCDR3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35: 항RGMa 중화항체 AE12-1Y의 LCDR3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36: 인간RGMa의 에피토프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37: 인간RGMa의 에피토프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38: 인간RGMa의 에피토프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39: 인간RGMa의 에피토프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40: 항RGMa 중화항체 AE12-1F의 LCDR3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41: 항RGMa 중화항체 AE12-1H의 LCDR3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42: 항RGMa 중화항체 AE12-1L의 LCDR3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43: 항RGMa 중화항체 AE12-1V의 LCDR3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44: 항RGMa 중화항체 AE12-1I의 LCDR3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45: 항RGMa 중화항체 AE12-1K의 LCDR3의 아미노산 서열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말초신경장애의 예방 혹은 치료, 또는 말초신경장애 혹은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따른 동통증상의 예방 혹은 치료에 유용하며, 의약품산업에 있어서 높은 사용 가치를 가진다.
SEQUENCE LISTING <110> Mitsubishi Tanabe Pharma Corporation <120> PREVENTION OR TREATMENT METHOD FOR PERIPHERAL NEUROPATHY OR PAIN ACCOMPANYING DISEASE IN WHICH PERIPHERAL NEUROPATHY OR ASTROCYTE DISORDER IS RECOGNIZED <130> A19007-18289 <150> US 62/696,052 <151> 2018-07-10 <160> 45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45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Met Gln Pro Pro Arg Glu Arg Leu Val Val Thr Gly Arg Ala Gly Trp 1 5 10 15 Met Gly Met Gly Arg Gly Ala Gly Arg Ser Ala Leu Gly Phe Trp Pro 20 25 30 Thr Leu Ala Phe Leu Leu Cys Ser Phe Pro Ala Ala Thr Ser Pro Cys 35 40 45 Lys Ile Leu Lys Cys Asn Ser Glu Phe Trp Ser Ala Thr Ser Gly Ser 50 55 60 His Ala Pro Ala Ser Asp Asp Thr Pro Glu Phe Cys Ala Ala Leu Arg 65 70 75 80 Ser Tyr Ala Leu Cys Thr Arg Arg Thr Ala Arg Thr Cys Arg Gly Asp 85 90 95 Leu Ala Tyr His Ser Ala Val His Gly Ile Glu Asp Leu Met Ser Gln 100 105 110 His Asn Cys Ser Lys Asp Gly Pro Thr Ser Gln Pro Arg Leu Arg Thr 115 120 125 Leu Pro Pro Ala Gly Asp Ser Gln Glu Arg Ser Asp Ser Pro Glu Ile 130 135 140 Cys His Tyr Glu Lys Ser Phe His Lys His Ser Ala Thr Pro Asn Tyr 145 150 155 160 Thr His Cys Gly Leu Phe Gly Asp Pro His Leu Arg Thr Phe Thr Asp 165 170 175 Arg Phe Gln Thr Cys Lys Val Gln Gly Ala Trp Pro Leu Ile Asp Asn 180 185 190 Asn Tyr Leu Asn Val Gln Val Thr Asn Thr Pro Val Leu Pro Gly Ser 195 200 205 Ala Ala Thr Ala Thr Ser Lys Leu Thr Ile Ile Phe Lys Asn Phe Gln 210 215 220 Glu Cys Val Asp Gln Lys Val Tyr Gln Ala Glu Met Asp Glu Leu Pro 225 230 235 240 Ala Ala Phe Val Asp Gly Ser Lys Asn Gly Gly Asp Lys His Gly Ala 245 250 255 Asn Ser Leu Lys Ile Thr Glu Lys Val Ser Gly Gln His Val Glu Ile 260 265 270 Gln Ala Lys Tyr Ile Gly Thr Thr Ile Val Val Arg Gln Val Gly Arg 275 280 285 Tyr Leu Thr Phe Ala Val Arg Met Pro Glu Glu Val Val Asn Ala Val 290 295 300 Glu Asp Trp Asp Ser Gln Gly Leu Tyr Leu Cys Leu Arg Gly Cys Pro 305 310 315 320 Leu Asn Gln Gln Ile Asp Phe Gln Ala Phe His Thr Asn Ala Glu Gly 325 330 335 Thr Gly Ala Arg Arg Leu Ala Ala Ala Ser Pro Ala Pro Thr Ala Pro 340 345 350 Glu Thr Phe Pro Tyr Glu Thr Ala Val Ala Lys Cys Lys Glu Lys Leu 355 360 365 Pro Val Glu Asp Leu Tyr Tyr Gln Ala Cys Val Phe Asp Leu Leu Thr 370 375 380 Thr Gly Asp Val Asn Phe Thr Leu Ala Ala Tyr Tyr Ala Leu Glu Asp 385 390 395 400 Val Lys Met Leu His Ser Asn Lys Asp Lys Leu His Leu Tyr Glu Arg 405 410 415 Thr Arg Asp Leu Pro Gly Arg Ala Ala Ala Gly Leu Pro Leu Ala Pro 420 425 430 Arg Pro Leu Leu Gly Ala Leu Val Pro Leu Leu Ala Leu Leu Pro Val 435 440 445 Phe Cys 450 <210> 2 <211> 454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2 Met Gln Pro Pro Arg Glu Arg Leu Val Val Thr Gly Arg Ala Gly Trp 1 5 10 15 Met Gly Met Gly Arg Gly Ala Gly Arg Ser Ala Leu Gly Leu Trp Pro 20 25 30 Thr Leu Ala Phe Leu Leu Cys Ser Phe Pro Ala Ala Ile Ser Pro Cys 35 40 45 Lys Ile Leu Lys Cys Asn Ser Glu Phe Trp Ser Ala Thr Ser Ser Gly 50 55 60 Ser His Ala Pro Ala Ser Asp Asp Val Pro Glu Phe Cys Ala Ala Leu 65 70 75 80 Arg Thr Tyr Ala Leu Cys Thr Arg Arg Thr Ala Arg Thr Cys Arg Gly 85 90 95 Asp Leu Ala Tyr His Ser Ala Val His Gly Ile Glu Asp Leu Met Ser 100 105 110 Gln His Asn Cys Ser Lys Asp Gly Pro Thr Ser Gln Pro Arg Val Arg 115 120 125 Thr Leu Pro Pro Ala Gly Asp Ser Gln Glu Arg Ser Asp Ser Pro Glu 130 135 140 Ile Cys His Tyr Glu Lys Ser Phe His Lys His Ser Ala Ala Pro Asn 145 150 155 160 Tyr Thr His Cys Gly Leu Phe Gly Asp Pro His Leu Arg Thr Phe Thr 165 170 175 Asp His Phe Gln Thr Cys Lys Val Gln Gly Ala Trp Pro Leu Ile Asp 180 185 190 Asn Asn Tyr Leu Asn Val Gln Val Thr Asn Thr Pro Val Leu Pro Gly 195 200 205 Ser Ala Ala Thr Ala Thr Ser Lys Leu Thr Ile Ile Phe Lys Asn Phe 210 215 220 Gln Glu Cys Val Asp Gln Lys Val Tyr Gln Ala Glu Met Asp Glu Leu 225 230 235 240 Pro Ser Ala Phe Ala Asp Gly Ser Lys Asn Gly Gly Asp Lys His Gly 245 250 255 Ala Asn Ser Leu Lys Ile Thr Glu Lys Val Ser Gly Gln His Val Glu 260 265 270 Ile Gln Ala Lys Tyr Ile Gly Thr Thr Ile Val Val Arg Gln Val Gly 275 280 285 Arg Tyr Leu Thr Phe Ala Val Arg Met Pro Glu Glu Val Val Asn Ala 290 295 300 Val Glu Asp Arg Asp Ser Gln Gly Leu Tyr Leu Cys Leu Arg Gly Cys 305 310 315 320 Pro Leu Asn Gln Gln Ile Asp Phe Gln Ala Phe Arg Ala Asn Ala Glu 325 330 335 Ser Pro Arg Arg Pro Ala Ala Ala Ser Pro Ser Pro Val Val Pro Glu 340 345 350 Thr Phe Pro Tyr Glu Thr Ala Val Ala Lys Cys Lys Glu Lys Leu Pro 355 360 365 Val Glu Asp Leu Tyr Tyr Gln Ala Cys Val Phe Asp Leu Leu Thr Thr 370 375 380 Gly Asp Val Asn Phe Thr Leu Ala Ala Tyr Tyr Ala Leu Glu Asp Gly 385 390 395 400 Lys Met Leu His Ser Asn Lys Asp Lys Leu His Leu Phe Glu Arg Thr 405 410 415 Arg Glu Leu Pro Gly Ala Val Ala Ala Ala Ala Ala Ala Ala Thr Thr 420 425 430 Phe Pro Leu Ala Pro Gln Ile Leu Leu Gly Thr Ile Pro Leu Leu Val 435 440 445 Leu Leu Pro Val Leu Trp 450 <210> 3 <211> 449 <212> PRT <213> Rattus norvegicus <400> 3 Met Gln Pro Pro Arg Glu Arg Leu Val Val Thr Gly Arg Ala Gly Trp 1 5 10 15 Met Gly Met Gly Arg Gly Ala Gly Arg Ser Ala Leu Gly Leu Trp Pro 20 25 30 Thr Leu Ala Phe Leu Leu Cys Ser Phe Pro Ala Ala Ile Ser Pro Cys 35 40 45 Lys Ile Leu Lys Cys Asn Ser Glu Phe Trp Ser Ala Thr Ser Ser Gly 50 55 60 Ser His Ala Pro Ala Ser Asp Asp Val Pro Glu Phe Cys Ala Ala Leu 65 70 75 80 Arg Thr Tyr Ala Leu Cys Thr Arg Arg Thr Ala Arg Thr Cys Arg Gly 85 90 95 Asp Leu Ala Tyr His Ser Ala Val His Gly Ile Glu Asp Leu Met Ser 100 105 110 Gln His Asn Cys Ser Lys Asp Gly Pro Thr Ser Gln Pro Arg Val Arg 115 120 125 Thr Leu Pro Pro Ala Gly Asp Ser Gln Glu Arg Ser Asp Ser Pro Glu 130 135 140 Ile Cys His Tyr Glu Lys Ser Phe His Lys His Ser Ala Ala Pro Asn 145 150 155 160 Tyr Thr His Cys Gly Leu Phe Gly Asp Pro His Leu Arg Thr Phe Thr 165 170 175 Asp His Phe Gln Thr Cys Lys Val Gln Gly Ala Trp Pro Leu Ile Asp 180 185 190 Asn Asn Tyr Leu Asn Val Gln Val Thr Asn Thr Pro Val Leu Pro Gly 195 200 205 Ser Ala Ala Thr Ala Thr Ser Lys Leu Thr Ile Ile Phe Lys Asn Phe 210 215 220 Gln Glu Cys Val Asp Gln Lys Val Tyr Gln Ala Glu Met Asp Glu Leu 225 230 235 240 Pro Ser Ala Phe Ala Asp Gly Ser Lys Asn Gly Gly Asp Lys His Gly 245 250 255 Ala Asn Ser Leu Lys Ile Thr Glu Lys Val Ser Gly Gln His Val Glu 260 265 270 Ile Gln Ala Lys Tyr Ile Gly Thr Thr Ile Val Val Arg Gln Val Gly 275 280 285 Arg Tyr Leu Thr Phe Ala Val Arg Met Pro Glu Glu Val Val Asn Ala 290 295 300 Val Glu Asp Arg Asp Ser Gln Gly Leu Tyr Leu Cys Leu Arg Gly Cys 305 310 315 320 Pro Leu Asn Gln Gln Ile Asp Phe Gln Ala Phe Arg Ala Asn Ala Glu 325 330 335 Ser Pro Arg Arg Pro Ala Ala Ala Ser Pro Ser Pro Val Val Pro Glu 340 345 350 Thr Phe Pro Tyr Glu Thr Ala Val Ala Lys Cys Lys Glu Lys Leu Pro 355 360 365 Val Glu Asp Leu Tyr Tyr Gln Ala Cys Val Phe Asp Leu Leu Thr Thr 370 375 380 Gly Asp Val Asn Phe Thr Leu Ala Ala Tyr Tyr Ala Leu Glu Asp Gly 385 390 395 400 Lys Met Leu His Ser Asn Lys Asp Lys Leu His Leu Phe Glu Arg Thr 405 410 415 Arg Glu Leu Pro Gly Ala Val Ala Ala Ala Ala Phe Pro Leu Ala Pro 420 425 430 Glu Met Leu Pro Gly Thr Val Thr Leu Leu Val Leu Leu Pro Leu Phe 435 440 445 Trp <210> 4 <211> 1353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4 atgcagccgc caagggagag gctagtggta acaggccgag ctggatggat gggtatgggg 60 agaggggcag gacgttcagc cctgggattc tggccgaccc tcgccttcct tctctgcagc 120 ttccccgcag ccacctcccc gtgcaagatc ctcaagtgca actctgagtt ctggagcgcc 180 acgtcgggca gccacgcccc agcctcagac gacacccccg agttctgtgc agccttgcgc 240 agctacgccc tgtgcacgcg gcggacggcc cgcacctgcc ggggtgacct ggcctaccac 300 tcggccgtcc atggcataga ggacctcatg agccagcaca actgctccaa ggatggcccc 360 acctcgcagc cacgcctgcg cacgctccca ccggccggag acagccagga gcgctcggac 420 agccccgaga tctgccatta cgagaagagc tttcacaagc actcggccac ccccaactac 480 acgcactgtg gcctcttcgg ggacccacac ctcaggactt tcaccgaccg cttccagacc 540 tgcaaggtgc agggcgcctg gccgctcatc gacaataatt acctgaacgt gcaggtcacc 600 aacacgcctg tgctgcccgg ctcagcggcc actgccacca gcaagctcac catcatcttc 660 aagaacttcc aggagtgtgt ggaccagaag gtgtaccagg ctgagatgga cgagctcccg 720 gccgccttcg tggatggctc taagaacggt ggggacaagc acggggccaa cagcctgaag 780 atcactgaga aggtgtcagg ccagcacgtg gagatccagg ccaagtacat cggcaccacc 840 atcgtggtgc gccaggtggg ccgctacctg acctttgccg tccgcatgcc agaggaagtg 900 gtcaatgctg tggaggactg ggacagccag ggtctctacc tctgcctgcg gggctgcccc 960 ctcaaccagc agatcgactt ccaggccttc cacaccaatg ctgagggcac cggtgcccgc 1020 aggctggcag ccgccagccc tgcacccaca gcccccgaga ccttcccata cgagacagcc 1080 gtggccaagt gcaaggagaa gctgccggtg gaggacctgt actaccaggc ctgcgtcttc 1140 gacctcctca ccacgggcga cgtgaacttc acactggccg cctactacgc gttggaggat 1200 gtcaagatgc tccactccaa caaagacaaa ctgcacctgt atgagaggac tcgggacctg 1260 ccaggcaggg cggctgcggg gctgcccctg gccccccggc ccctcctggg cgccctcgtc 1320 ccgctcctgg ccctgctccc tgtgttctgc tag 1353 <210> 5 <211> 11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5 Arg Ala Ser Gln Asp Ile Ser Ser Tyr Leu Asn 1 5 10 <210> 6 <211> 7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6 Tyr Thr Ser Arg Leu His Ser 1 5 <210> 7 <211> 7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7 Gln Gln Leu Asn Thr Leu Pro 1 5 <210> 8 <211> 5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8 Asp Ala Trp Met Asp 1 5 <210> 9 <211> 19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9 Glu Ile Arg Ser Lys Ala Asn Asn His Ala Thr Tyr Tyr Ala Glu Ser 1 5 10 15 Val Lys Gly <210> 10 <211> 5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0 Arg Asp Gly Ala Tyr 1 5 <210> 11 <211> 16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1 Arg Ser Ser Gln Ser Leu Val His Ser Asn Gly Asn Thr Tyr Leu His 1 5 10 15 <210> 12 <211> 7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2 Lys Val Ser Asn Arg Phe Ser 1 5 <210> 13 <211> 7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3 Ser Gln Ser Thr His Val Pro 1 5 <210> 14 <211> 6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4 Thr Ser Tyr Tyr Trp Asn 1 5 <210> 15 <211> 16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5 Tyr Ile Ser Tyr Asp Gly Thr Asn Asn Tyr Asn Pro Ser Leu Lys Asn 1 5 10 15 <210> 16 <211> 23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6 Pro Cys Lys Ile Leu Lys Cys Asn Ser Glu Phe Trp Ser Ala Thr Ser 1 5 10 15 Gly Ser His Ala Pro Ala Ser 20 <210> 17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17 Arg Ser Ser Gln Ser Leu Glu Tyr Ser Asp Gly Tyr Thr Phe Leu Glu 1 5 10 15 <210> 1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18 Glu Val Ser Asn Arg Phe Ser 1 5 <210> 19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19 Phe Gln Ala Thr His Asp Pro Leu Thr 1 5 <210> 20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0 Asn Tyr Gly Met Asn 1 5 <210> 21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1 Met Ile Tyr Tyr Asp Ser Ser Glu Lys His Tyr Ala Asp Ser Val Lys 1 5 10 15 Gly <210> 22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2 Gly Thr Thr Pro Asp Tyr 1 5 <210> 23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3 Gln Ala Ser Gln Asp Ile Asp Asn Tyr Leu Ala 1 5 10 <210> 2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4 Gly Ala Thr Asn Leu Ala Asp 1 5 <210> 25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5 Leu Gln Gly Tyr Ile Pro Pro Arg Thr 1 5 <210> 26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6 Ser Tyr Val Met His 1 5 <210> 27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7 Tyr Ile Ile Pro Tyr Asn Asp Asn Thr Lys Tyr Asn Glu Lys Phe Lys 1 5 10 15 Gly <210> 28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8 Ala Arg Arg Asn Glu Tyr Tyr Gly Ser Ser Phe Phe Asp Tyr 1 5 10 <210> 29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29 Thr Gly Thr Ser Ser Ser Val Gly Asp Ser Ile Tyr Val Ser 1 5 10 <210> 30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30 Asp Val Thr Lys Arg Pro Ser 1 5 <210> 31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31 Cys Ser Tyr Ala Gly Thr Asp Thr Leu 1 5 <210> 32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32 Ser His Gly Ile Ser 1 5 <210> 33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33 Trp Ile Ser Pro Tyr Ser Gly Asn Thr Asn Tyr Ala Gln Lys Leu Gln 1 5 10 15 Gly <210> 34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34 Val Gly Ser Gly Pro Tyr Tyr Tyr Met Asp Val 1 5 10 <210> 35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35 Tyr Ser Tyr Ala Gly Thr Asp Thr Leu 1 5 <210> 36 <211> 14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6 Glu Glu Val Val Asn Ala Val Glu Asp Trp Asp Ser Gln Gly 1 5 10 <210> 37 <211> 14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7 Asn Gln Gln Ile Asp Phe Gln Ala Phe His Thr Asn Ala Glu 1 5 10 <210> 38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8 Pro Thr Ala Pro Glu Thr Phe Pro Tyr Glu Thr 1 5 10 <210> 39 <211> 1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9 Lys Leu Pro Val Glu Asp Leu Tyr Tyr Gln Ala 1 5 10 <210> 40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40 Phe Ser Tyr Ala Gly Thr Asp Thr Leu 1 5 <210> 41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41 His Ser Tyr Ala Gly Thr Asp Thr Leu 1 5 <210> 42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42 Leu Ser Tyr Ala Gly Thr Asp Thr Leu 1 5 <210> 43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43 Val Ser Tyr Ala Gly Thr Asp Thr Leu 1 5 <210> 44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44 Ile Ser Tyr Ala Gly Thr Asp Thr Leu 1 5 <210> 45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escription of Artificial Sequence: Synthetic peptide <400> 45 Lys Ser Tyr Ala Gly Thr Asp Thr Leu 1 5

Claims (16)

  1. RGM 저해 물질을 포함하는, 말초신경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제.
  2. 제1항에 있어서,
    RGM 저해 물질이 RGMa 저해 물질인, 제(劑).
  3. 제2항에 있어서,
    RGMa 저해 물질이 항RGMa 중화항체 또는 그의 플래그먼트인, 제.
  4. 제3항에 있어서,
    항RGMa 중화항체가 인간화 항체인, 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항RGMa 중화항체가 서열번호 16, 서열번호 36, 서열번호 37, 서열번호 38 및 서열번호 39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인식하는 항체인, 제.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RGMa 중화항체가, 하기 (a1)∼(l1)
    (a1) 서열번호 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7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8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1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b1) 서열번호 1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1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1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1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1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SFG를 아미노산 서열에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c1) 서열번호 17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18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1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2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2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d1) 서열번호 2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2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2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27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28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e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3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f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3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g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4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h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4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i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4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j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4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k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4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및
    (l1) 서열번호 29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0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4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를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3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를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항RGMa 중화항체
    로부터 선택되는 항체인, 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말초신경장애가, 당뇨병성 신경장애, 교액성(絞扼性) 신경장애(수근관증후군, 팔꿈치부 척골신경장애, 비골신경마비 또는 족근관증후군),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증(familial amyloidotic polyneuropathy), 중독성 신경병증, 암성 신경병증, 면역 매개 신경병증(길랭·바레 증후군(GBS) 또는 만성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CIDP)), 교원병에 따른 신경병증, 크로우-후카세증후군(POEMS증후군), 유전성 신경병증(Charcor-Marie-Tooth병), 대상포진 후 신경통, AIDS 또는 라임병에 의한 말초신경장애, 요독증, 다소성 운동신경병증 및 혈관염성 신경병증으로부터 선택되는, 제.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말초신경장애가, 당뇨병성 신경장애인, 제.
  9. 제8항에 있어서,
    당뇨병성 신경장애가, 유통성(有痛性) 당뇨병성 신경장애, 및/또는 무증후성 당뇨병성 신경장애인, 제.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말초신경장애 또는 성상세포(astrocyte)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의한 동통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
  11. 제10항에 있어서,
    말초신경장애 또는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이, 당뇨병성 신경장애, 교액성 신경장애(수근관증후군, 팔꿈치부 척골신경장애, 비골신경마비 또는 족근관증후군),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증, 중독성 신경병증, 암성 신경병증, 면역 매개 신경병증(길랭·바레 증후군(GBS) 또는 만성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CIDP)), 교원병에 따른 신경병증, 크로우-후카세증후군(POEMS증후군), 유전성 신경병증(Charcor-Marie-Tooth병), 대상포진 후 신경통, AIDS 또는 라임병에 의한 말초신경장애, 요독증, 다소성 운동신경병증, 혈관염성 신경병증, 시신경척수염 및 알렉산더병으로부터 선택되는, 제.
  12. 제11항에 있어서,
    말초신경장애 또는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이, 당뇨병성 신경장애 또는 시신경척수염인, 제.
  13. 제11항에 있어서,
    말초신경장애 또는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이, 당뇨병성 신경장애인, 제.
  14. 제11항에 있어서,
    말초신경장애 또는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이, 시신경척수염인, 제.
  15. 치료를 요하는 포유동물에 대하여 유효량의 RGMa 저해 물질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말초신경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말초신경장애가 당뇨병성 신경장애인, 방법.
KR1020217003576A 2018-07-10 2019-07-10 말초신경장애, 또는 말초신경장애 혹은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따른 동통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KR202100324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96052P 2018-07-10 2018-07-10
US62/696,052 2018-07-10
PCT/JP2019/027370 WO2020013238A1 (ja) 2018-07-10 2019-07-10 末梢神経障害又は末梢神経障害若しくはアストロサイト障害が認められる疾患に伴う疼痛の予防又は治療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412A true KR20210032412A (ko) 2021-03-24

Family

ID=6914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576A KR20210032412A (ko) 2018-07-10 2019-07-10 말초신경장애, 또는 말초신경장애 혹은 성상세포장애가 인정되는 질환에 따른 동통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210269516A1 (ko)
EP (1) EP3821908A4 (ko)
JP (2) JP7449859B2 (ko)
KR (1) KR20210032412A (ko)
CN (4) CN117919419A (ko)
AR (1) AR115722A1 (ko)
AU (2) AU2019301336B2 (ko)
BR (1) BR112021000300A2 (ko)
CA (1) CA3106074A1 (ko)
IL (1) IL280018A (ko)
MX (1) MX2021000324A (ko)
PH (1) PH12021550055A1 (ko)
SG (1) SG11202100235YA (ko)
TW (1) TW202019481A (ko)
WO (1) WO20200132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1458A1 (en) * 2021-11-08 2023-05-11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is and/or treating demyelinating neuropath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7268A1 (ja) 2004-03-11 2005-09-22 Bioclues, Inc 軸索再生促進剤
WO2009106356A1 (en) 2008-02-29 2009-09-03 Abbott Gmbh & Co. Kg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the rgm a protein and uses thereof
WO2013112922A1 (en) 2012-01-27 2013-08-01 AbbVie Deutschland GmbH & Co. KG Composition and method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s associated with neurite degeneration
WO2016175236A1 (ja) 2015-04-28 2016-11-03 田辺三菱製薬株式会社 RGMa結合タンパク質及びその使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7456A (en) 1985-05-09 1988-04-12 Syntex (U.S.A.) Inc. Reducing interference in ligand-receptor binding assays
GB8607679D0 (en) 1986-03-27 1986-04-30 Winter G P Recombinant dna product
GB8928874D0 (en) 1989-12-21 1990-02-28 Celltech Ltd Humanised antibodies
DK0463151T3 (da) 1990-01-12 1996-07-01 Cell Genesys Inc Frembringelse af xenogene antistoffer
DE69133476T2 (de) 1990-08-29 2006-01-05 GenPharm International, Inc., Palo Alto Transgene Mäuse fähig zur Produktion heterologer Antikörper
NZ255101A (en) 1992-07-24 1997-08-22 Cell Genesys Inc A yeast artificial chromosome (yac) vector containing an hprt minigene expressible in murine stem cells and genetically modified rodent therefor
AU6819494A (en) 1993-04-26 1994-11-21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capable of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AU2002231736A1 (en) * 2000-12-22 2002-07-08 Max-Planck-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Use of repulsive guidance molecule (rgm) and its modulators
CN102656190A (zh) * 2009-12-08 2012-09-05 雅培股份有限两合公司 用于在视网膜神经纤维层变性治疗中使用的针对rgm a蛋白质的单克隆抗体
US9125894B2 (en) * 2010-10-06 2015-09-08 Massachusetts Eye & Ear Infirmary Methods for promoting reinnervation of auditory hair cells
US20170349653A1 (en) * 2016-06-01 2017-12-07 Abbvie Inc. Methods for treating spinal cord injury and pa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7268A1 (ja) 2004-03-11 2005-09-22 Bioclues, Inc 軸索再生促進剤
WO2009106356A1 (en) 2008-02-29 2009-09-03 Abbott Gmbh & Co. Kg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the rgm a protein and uses thereof
WO2013112922A1 (en) 2012-01-27 2013-08-01 AbbVie Deutschland GmbH & Co. KG Composition and method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s associated with neurite degeneration
WO2016175236A1 (ja) 2015-04-28 2016-11-03 田辺三菱製薬株式会社 RGMa結合タンパク質及びその使用

Non-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lam Q et al., Curr Pharm Des.22: 541-8(2016)
Dallerac G et al., Prog Neurobiol.144: 48-67(2016)
Gerkau NJ et al., J Neurosci Res.2017 Feb 2.
Harada K. et al., Inhibition of RGMa alleviates symptoms in a rat model of neuromyelitis optica. Scientific Reports 8: 341-9(2018)
Hata, K. et al. RGMa inhibition promotes axonal growth and recovery after spinal cord injury. J. Cell Biol.173, 47-58(2006)
Liu, X., Hashimoto, M., Horii, H., Yamaguchi, A., Naito, K. and Yamashita, T. Repulsive guidance molecule b inhibits neurite growth and is increased after spinal cord injury. Biochem. Biophys. Res. Commun.382, 795-800(2009)
Mueller et al.,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361: 1513-29, 2006
Stahl, B., Muller, B., von Boxberg, Y., Cox, E.C.& Bonhoeffer, F.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 putative axonal guidance molecule of the chickvisual system. Neuron 5, 735-743(1990)
Yamashita, T., Mueller, B.K.& Hata, K. Neogenin and repulsive guidance molecule signaling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urr. Opin. Neurobiol.17, 29-34(2007)
Yamazaki et al. Neurosci Lett, 170: 195-197.(199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1000324A (es) 2021-03-25
JP2024026683A (ja) 2024-02-28
CN117919418A (zh) 2024-04-26
AU2023200728A1 (en) 2023-03-16
AU2019301336A1 (en) 2021-02-11
JPWO2020013238A1 (ja) 2021-07-15
PH12021550055A1 (en) 2021-11-08
US20210269516A1 (en) 2021-09-02
AR115722A1 (es) 2021-02-17
EP3821908A4 (en) 2022-03-30
CN112533635A (zh) 2021-03-19
CN117919420A (zh) 2024-04-26
EP3821908A1 (en) 2021-05-19
IL280018A (en) 2021-03-01
SG11202100235YA (en) 2021-02-25
JP7449859B2 (ja) 2024-03-14
BR112021000300A2 (pt) 2021-04-06
TW202019481A (zh) 2020-06-01
CA3106074A1 (en) 2020-01-16
AU2019301336B2 (en) 2022-11-24
WO2020013238A1 (ja) 2020-01-16
CN117919419A (zh) 2024-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5721B2 (ja) RGMa結合タンパク質及びその使用
JP2024026683A (ja) 末梢神経障害又は末梢神経障害若しくはアストロサイト障害が認められる疾患に伴う疼痛の予防又は治療方法
US11117977B2 (en) Anti-fibulin-3 antibodies and uses thereof
US20230090965A1 (en)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for dementia
WO2021145432A1 (ja) 糖尿病性自律神経障害の予防又は治療剤
CN114980929B (zh) 糖尿病性自主神经障碍的预防或治疗剂
JP4214249B2 (ja) Fc受容体γ鎖活性化物質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EP4082574A1 (en) Ag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cute-phase neuromyelitis optica
WO2024101345A1 (ja) 異常タンパク質の凝集体蓄積が関与する疾患の予防又は治療剤
RU2809500C2 (ru) СВЯЗЫВАЮЩИЙ RGMa БЕЛОК И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