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331A - 약액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약액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331A
KR20210032331A KR1020210027265A KR20210027265A KR20210032331A KR 20210032331 A KR20210032331 A KR 20210032331A KR 1020210027265 A KR1020210027265 A KR 1020210027265A KR 20210027265 A KR20210027265 A KR 20210027265A KR 20210032331 A KR20210032331 A KR 20210032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chemical solution
unit
adjustment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7599B1 (ko
Inventor
김기운
Original Assignee
김기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1375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97401B1/ko
Application filed by 김기운 filed Critical 김기운
Priority to KR1020210027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599B1/ko
Publication of KR20210032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 A61M2005/1405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 A61M2005/1406Minimizing backflow along the delivery catheter tr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는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약액이 추가적으로 주입되는 약액 주입 장치에 있어서,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로 약액이 공급되고, 공급된 약액이 조작에 의해 외부로 주입되도록 구비된 주입몸체부; 상기 주입몸체부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된 약액이 기설정된 주입량으로 저장하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주입부; 상기 주입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에 연결되어 저장되는 약액의 주입량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주입몸체부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누름 작동에 의해 상기 주입부의 주입 작동 부분과 상기 조절부가 이동하면서 약액이 주입되도록 작동되는 누름작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액 주입 장치 {Chemical Liquid Infusion Device}
본 발명은 약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에게 공급되는 약액의 공급로에 위치하여 약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추가적으로 약액을 주입하는 주입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저장량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에 의해 짧은 시간에 많은 약액이 추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약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는 위장으로 음식을 섭취하여 소화하는 기능이 저하되어 있어 포도당 등과 같은 필요한 양분을 환자의 혈관으로 주입하게 된다. 또한, 질병의 치료를 위한 항암제나 항생제, 진통제 등과 같은 각종 약액 역시 환자의 혈관으로 주입되게 된다. 이때, 환자의 혈관으로 주입되는 양분이나 약액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정확한 약액의 공급량과 기설정된 유속으로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암이나 백혈병 등의 중증 환자에게 투여되는 항생제는 일반적인 약액과는 달리 약의 특성상 미세한 양이 항상 일정하게 투여되어야 한다. 또한 수술 후 지속적으로 통증이 따르는 환자에게 통증을 가라앉히기 위해 투여되는 진통제도 적절한 양으로 일정한 시간주기로 투여되어야 한다.
상술된 진통제는 환자의 통증을 완화시키는 약제로 환자가 통증을 느낄 때마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간호사가 시간대별로 정해진 투여량에 따라 투여하여야 하나, 의료진이 상시 대기하기 어렵고, 통증이 간헐적으로 지속되는 경우에는 환자의 상태에 따른 시간대별 추가 약액 투입량을 제한하면서 직접 조작에 의해 약액을 추가 투입하는 약액 주입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통증 자가 조절(patient-controlled analgesia)의 처방을 받은 환자들은 환자의 조작에 의해 일시적으로 저장된 약액이 공급함에 있어 약액이 공급되는 공급로에 연결되어 약액이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에 공급로로 추가 공급하는 저장공급부와 바이패스되어 공급로로 약액을 공급시키는 바이패스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저장공급부는 환자가 누름 조작에 의해 저장된 약액이 추가적으로 공급로에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추가적으로 약액을 공급하기 위해서 조작되는 저장공급부는 공급되는 유속에 따라 시간대별 저장량이 달라짐에 따라 환자가 시간대별 적정량의 약액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시간주기에 따라 조작되는데, 약액이 저장공급부로 공급되는 유속이 달라지게 되면 시간주기에 따른 추가 약액의 량이 달라져 동일한 주기에서도 약액의 추가량의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이렇게, 처방된 약액량과 다른 추가량으로 추가하게 되면 중증환자의 경우에는 쇼크가 발생되거나, 일시적인 혈압 상승, 혈관 벽의 손상 등의 이상 증상이 발생되어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약액의 저장되어 환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추가공급수단은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탄성 재질의 백형태로 구비되어 저장용량이 정해져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초과되는 약액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시간 주기를 항상 확인하고, 시간이 지나게 되면 오류가 발생되어 위험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추가공급수단은 기설정된 용량으로 한정되어 있고, 추가공급수단에 저장되는 약액은 시간 주기별로 공급량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야 함에 따라 환자가 직접 조작 시에는 의사가 권고한 약액보다 많은 량이 투여되어 위험성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환자의 질환 종류와 상태에 따라 약액의 추가량의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그 차이에 따라서 하나의 용량으로 제시되어 있는 추가공급수단을 교체하여야 함에 따라 교체가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에 조작에 의해 추가적으로 약액이 주입되는 주입 수단의 주입량을 조작에 의해 물리적으로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추가 약액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안정성이 향상되는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는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약액이 추가적으로 주입되는 약액 주입 장치에 있어서,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로 약액이 공급되고, 공급된 약액이 조작에 의해 외부로 주입되도록 구비된 주입몸체부; 상기 주입몸체부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된 약액이 기설정된 주입량으로 저장하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주입부; 상기 주입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에 연결되어 저장되는 약액의 주입량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주입몸체부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누름 작동에 의해 상기 주입부의 주입 작동 부분과 상기 조절부가 이동하면서 약액이 주입되도록 작동되는 누름작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입몸체부는,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주입부와 상기 조절부가 위치하고, 일측에 상기 누름작동부가 설치되는 주입공간을 가지는 주입몸체; 상기 주입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공간 내부에 상기 조절부가 상기 누름작동부의 작동으로 일측과 타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하는 레일형태로 돌출된 슬라이딩레일; 상기 주입몸체의 타측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약액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공급되는 공급밸브;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와 공급밸브에 각각 연결되어 약액이 공급되는 관 형태의 공급관; 상기 주입몸체의 타측의 다른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에서 주입되는 약액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주입되는 속도를 제어하면서 제어하는 주입제어부; 및 상기 주입제어부와 약액이 주입되는 위치에 각각 연결되어 약액이 주입되는 주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입제어부는, 상기 주입몸체의 타측의 다른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관에 연결되어 내부에 약액의 주입량에 따라 체적이 변화되는 벌룬 형태로 약액을 일차적으로 보관하는 튜브공간을 형성하여 기설정된 주입 속도를 유지하면서 약액을 주입하는 제어튜브; 상기 제어튜브의 상기 주입부 방향에서 내부로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와 상기 주입관으로 연결되어 주입되는 약액을 상기 튜브공간에 공급하도록 구비된 제어공급관; 상기 제어튜브의 내부에서 약액이 주입되는 방향의 상기 주입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공간에 공급되어 기설정된 압력이 되면 상기 주입관으로 상기 튜브공간 내에 약액이 공급되도록 설치된 제어배출관; 및 상기 주입관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튜브의 상기 주입부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튜브공간 내에 보관된 약액이 상기 주입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주입부는, 상기 주입몸체부의 내부에 상기 주입몸체부의 약액 공급부분과 약액 주입부분에 각각 연결되어 내부에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되어 공급된 약액이 저장하다가 주입되는 실린더 공간을 가지는 실린더몸체; 상기 실린더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공간의 내부에서 공급되는 약액의 주입량을 제한하면서 타측으로 이동하면 가압에 의해 주입하도록 구비되고, 바깥 둘레에는 밀폐를 위해 상기 실린더공간에 접촉되는 피스톤패킹이 구비된 피스톤몸체; 상기 피스톤몸체의 일측면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몸체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에는 상기 피스톤몸체의 주입량 조절을 위해 약액의 공급량에 따라 일측으로 이동을 정지시키는 위치를 조절하는 상기 조절부가 삽입 고정되는 로드지지홈이 형성되며, 일측끝이 상기 누름작동부에 삽입되어 누름 작동 시 일측으로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피스톤몸체를 주입위치로 이동시키는 피스톤로드; 및 상기 실린더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공간의 폐쇄된 타측에 위치하여 내부에 상기 주입몸체부의 약액이 공급되는 부분과 연결되어 약액이 공급되는 공급유로와 상기 주입몸체부의 약액이 주입되는 부분과 연결되어 약액이 주입되는 주입유로가 형성된 유통관;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피스톤로드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기 누름작동부에 삽입된 위치가 탄성 지지되어 누름 작동 시 끼임을 방지하면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 피스톤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주입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의 한쪽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주입부에 약액이 공급되면 공급량에 따라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고, 양측면으로 상기 누름작동부에 가이드되도록 삽입되는 조절가이드홈을 가지는 조절몸체; 상기 조절몸체의 일측에 상기 주입부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몸체와 상기 주입부가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조절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주입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비된 주입고정체; 상기 조절몸체의 타측에 한쪽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약액의 공급에 따라 상기 주입부의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주입고정체로 고정된 상기 주입부와 함께 이동되다가 걸림에 의해 상기 주입부를 정지하여 주입량을 조절하는 조절지지돌기; 상기 조절몸체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 방향으로 기어 치형이 구비되어 회전력을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는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고, 양측으로 상기 주입몸체부와 상기 누름작동부가 삽입되어 이동을 가이드하는 홈 형태의 레일지지홈을 가지는 랙기어체; 상기 랙기어체의 상기 조절몸체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랙기어체와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랙기어체가 정지 위치에 조절되면 약액의 공급으로 상기 주입부와 함께 이동되는 상기 조절몸체의 상기 조절지지돌기가 걸림되어 주입량을 조절하는 걸림조절체; 상기 랙기어체의 한쪽 방향의 치차 결합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기 랙기어체를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 피니언기어체; 및 상기 피니언기어체의 상기 주입몸체부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몸체부의 바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조절몸체를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주입부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작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작동부는, 상기 주입몸체부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몸체부에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내부에 상기 조절부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되어 누름 시 타측으로 상기 조절부를 가압하는 누름공간을 가지는 누름몸체; 상기 누름몸체의 한쪽 측면에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된 한쪽 측면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상기 조절부가 삽입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을 지지하면서 상기 누름몸체 타측 가압 시 가이드하도록 조절지지공간을 가지는 조절지지체; 및 상기 조절지지체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부가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 시 가이드되도록 삽입되는 돌기 형태로 유동이 방지되는 조절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절지지체의 한쪽 측면으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된 한쪽 측면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상기 랙기어체가 삽입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을 지지하는 랙기어지지공간을 가지는 랙기어지지체; 및 상기 랙기어지지체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랙기어체의 양측에 형성된 레일지지홈에 삽입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 시 지지하면서 상기 누름몸체 타측 가압 시 가이드하도록 삽입되는 레일 형태로 유동이 방지되는 랙기어슬라이딩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는 환자에 조작에 의해 추가적으로 약액이 주입되는 주입 수단의 주입량을 조작에 의해 물리적으로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추가 약액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약액 주입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약액 주입 장치에 조절부의 회전 작동에 따라 랙기어체의 위치를 조절하여 약액의 주입량에 따라 걸림조절체가 위치하도록 조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약액 주입 장치에 주입부로 약액을 공급하여 피스톤몸체를 상승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약액 주입 장치에 주입부가 약액의 공급에 의해 조절지지돌기가 걸림조절체에 걸림되면서 주입량이 조절된 상태에서 피스톤몸체가 정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약액 주입 장치에서 누름작동부를 작동시켜 주입부 내부에 일시 저장된 약액을 외부로 주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약액 주입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00)는 환자의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작에 의해 주입량을 조절한 상태에서 환자가 누름 작동으로 추가적으로 약액을 공급하는 것으로 조절량 이상으로 추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이런, 약액 주입 장치(100)는 주입몸체부(110), 주입부(120), 조절부(130), 및 누름작동부(140)를 포함한다.
주입몸체부(110)는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로 약액이 공급되고, 공급된 약액이 조작에 의해 외부로 주입되도록 구비된다.
이런, 주입몸체부(110)는 주입몸체(111), 슬라이딩레일(113), 공급밸브(114), 공급관(115), 주입제어부(116), 및 주입관(117)을 포함한다.
주입몸체(111)는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주입부(120)와 조절부(130)가 위치하고, 일측에 누름작동부(140)가 설치되는 주입공간(112)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슬라이딩레일(113)은 주입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주입공간(112) 내부에 조절부(130)가 누름작동부(140)의 작동으로 일측과 타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하는 레일형태로 돌출된다.
공급밸브(114)는 주입몸체(111)의 타측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약액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공급관(115)은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와 공급밸브(114)에 각각 연결되어 약액이 공급되는 관 형태로 구비된다.
주입제어부(116)는 주입몸체(111)의 타측의 다른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주입부(120)에서 주입되는 약액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주입되는 속도를 제어하면서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주입관(117)은 주입제어부(116)와 약액이 주입되는 위치에 각각 연결되어 약액이 주입되도록 구비된다.
이런, 주입제어부(116)는 제어튜브(116a), 제어공급관(116c), 제어배출관(116d), 및 역류방지체(116e)를 포함한다.
제어튜브(116a)는 주입몸체(111)의 타측의 다른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주입부(120)와 주입관(117)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약액의 주입량에 따라 체적이 변화되는 벌룬 형태로 약액을 일차적으로 보관하는 튜브공간(116b)을 형성하여 기설정된 주입 속도를 유지하면서 약액을 주입하도록 구비된다.
제어공급관(116c)은 제어튜브(116a)의 주입부 방향에서 내부로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주입부(120)와 주입관(117)으로 연결되어 주입되는 약액을 튜브공간(116b)에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제어배출관(116d)은 제어튜브(116a)의 내부에서 약액이 주입되는 방향의 주입관(117)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튜브공간(116b)에 공급되어 기설정된 압력이 되면 주입관(117)으로 튜브공간 내에 약액이 공급되도록 설치된다.
역류방지체(116e)는 주입관(117)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어튜브(116a)의 주입부 방향에 위치하여 튜브공간(116b) 내에 보관된 약액이 주입부(12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즉, 주입관(117)을 통해서 주입되는 약액은 제어공급관(116c)을 통해서 튜브공간(116b) 내에 공급되면 팽창되고, 기설정된 체적으로 팽창되면 압축되면서 주입관(117)으로 배출된다. 주입관(117)으로 배출되는 약액은 약액을 공급하는 위치로 연결된 주입관(117)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제어튜브(116a)의 압축 시 주입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역류방지체(116e)가 설치된다.
이렇게, 제어튜브(116a)를 통해서 약액을 주입하게 되면 튜브의 체적 변화율에 따라 주입되는 속도를 제어하는 벌룬 형태로 구비되어 약액의 주입되는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주입부(120)는 주입몸체부(110)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된 약액이 기설정된 주입량으로 저장하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추가적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이런, 주입부(120)는 실린더몸체(121), 피스톤몸체(123), 피스톤로드(125), 유통관(127), 및 피스톤탄성체(128)를 포함한다.
실린더몸체(121)는 주입몸체(111)의 내부에 공급관(115)과 주입관(117)에 각각 연결되어 내부에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되어 공급된 약액이 저장하다가 주입되는 실린더공간(122)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피스톤몸체(123)는 실린더몸체(1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실린더공간(122)의 내부에서 공급되는 약액의 주입량을 제한하면서 타측으로 이동하면 가압에 의해 주입하도록 구비되고, 바깥 둘레에는 밀폐를 위해 실린더공간(122)에 접촉되는 피스톤패킹(124)이 구비된다.
피스톤로드(125)는 피스톤몸체(123)의 일측면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실린더몸체(121)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에는 피스톤몸체(123)의 주입량 조절을 위해 약액의 공급량에 따라 일측으로 이동을 정지시키는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130)가 삽입 고정되는 로드지지홈(126)이 형성되며, 일측끝이 누름작동부(140)에 삽입되어 누름 작동 시 일측으로 함께 이동되면서 피스톤몸체(123)를 주입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유통관(127)은 실린더몸체(121)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실린더공간(122)의 폐쇄된 타측에 위치하여 내부에 공급관(115)이 연결되어 약액이 공급되는 공급유로(127a)와 실린더몸체(121)의 내부에 저장된 약액을 주입하는 주입관(117)과 연결된 주입유로(127b)가 형성된다.
실린더몸체(121)의 내부에 위치한 피스톤몸체(123)의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실린더공간(122)의 약액 저장량이 달라지고, 약액 저장량의 차이에 따라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조절부(130)의 작동으로 피스톤몸체(123)의 일측과 타측의 위치를 조절하면 누름 작동에 의해 공급되는 추가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피스톤탄성체(128)는 피스톤로드(125)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피스톤로드(125)의 누름작동부(140)에 삽입된 위치가 탄성 지지되어 누름 작동 시 끼임을 방지하면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조절부(130)는 주입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주입부(120)에 연결되어 저장되는 약액의 주입량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조절부(130)는 조절몸체(131), 주입고정체(133), 조절지지돌기(134), 랙기어체(135), 피니언기어체(138), 및 작동체(139)를 포함한다.
조절몸체(131)는 주입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실린더몸체(121)의 한쪽 측면에 위치하여 실린더공간(122)에 약액이 공급되면 공급량에 따라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고, 양측면으로 누름작동부(140)에 가이드되도록 삽입되는 조절가이드홈(132)을 가진다.
주입고정체(133)는 조절몸체(131)의 일측에 피스톤로드(125)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조절몸체(131)와 피스톤로드(125)가 함께 이동되도록 조절몸체(131)에서 돌출되어 로드지지홈(126)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조절지지돌기(134)는 조절몸체(131)의 타측에 한쪽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약액의 공급에 따라 피스톤로드(125)가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주입고정체(133)로 고정된 주입몸체와 함께 이동되다가 걸림에 의해 피스톤몸체(123)를 정지하여 주입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랙기어체(135)는 조절몸체(131)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 방향으로 기어 치형이 구비되어 회전력을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는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고, 양측으로 슬라이딩레일(113)와 누름작동부(140)가 삽입되어 이동을 가이드하는 홈 형태의 레일지지홈(136)을 가진다.
걸림조절체(137)는 랙기어체(135)의 조절몸체(131)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랙기어체(135)와 함께 이동되면서 랙기어체(135)가 정지 위치에 조절되면 약액의 공급으로 피스톤로드(125)와 함께 이동되는 조절몸체(131)의 조절지지돌기(134)가 걸림되어 주입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즉, 랙기어체(135)의 이동에 의해 걸림조절체(137)가 약액의 주입량에 따라 피스톤몸체(123)가 정지된 위치를 조절하여 이동한 후에 실린더공간(122)으로 약액이 주입되면 피스톤몸체(123)가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피스톤로드(125)에 주입고정체(133)로 고정된 조절몸체(131)가 함께 이동된다.
이렇게, 조절몸체(131)가 일측으로 이동되면 돌출된 조절지지돌기(134)가 함께 이동되면서 걸림조절체(137)에 걸림되면 피스톤로드(125)가 정지되면서 피스톤몸체(123)가 함께 정지되면서 확보된 실린더공간(122)에 약액의 공급량이 제한되면서 누름작동부(140)의 작동에 의해 주입되는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피니언기어체(138)는 랙기어체(135)의 한쪽 방향의 치차 결합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랙기어체(135)를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작동체(139)는 피니언기어체(138)의 주입몸체(111)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주입몸체(111)의 바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회전 조작에 의해 걸림조절체(137)와 함께 이동되는 랙기어체(135)를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하여 약액 주입에 따라 피스톤몸체(123)가 이동되는 위치를 걸림에 의해 정지시켜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입몸체(111)의 바깥으로 노출된 작동체(139)를 사용자가 회전하게 되면 피니언기어체(138)가 함께 회전되면서 치차 결합된 랙기어체(135)가 회전방향에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직선운동을 이동된다. 랙기어체(135)가 이동되면 걸림조절체(137)가 실린더공간(122) 내에 피스톤몸체(123)의 위치에 따라 약액이 주입되는 주입량이 결정되는 위치에 도달한다.
이렇게, 걸림조절체(137)가 설정된 약액의 주입량에 따른 높이에 위치하게 된 후에 약액을 실린더공간(122)에 주입하면 약액에 의해 피스톤몸체(123)가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피스톤몸체(123)의 이동으로 피스톤로드(125)에 고정된 조절몸체(131)가 이동하면서 약액이 설정된 주입량이 되면 조절지지돌기(134)가 걸림조절체(137)에 걸림되면서 피스톤몸체(123)가 정지되어 주입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누름작동부(140)는 주입몸체부(110)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주입부(120)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누름 작동에 의해 주입부(120)의 주입 작동 부분과 조절부(130)가 이동하면서 약액이 주입되도록 작동되도록 구비된다.
누름작동부(140)는 누름몸체(141), 조절지지체(143), 조절가이드돌기(145), 랙기어지지체(146), 및 랙기어슬라이딩레일(148)를 포함한다.
누름몸체(141)는 주입몸체(111)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주입몸체(111)에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내부에 피스톤로드(125)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되어 누름 시 타측으로 피스톤로드(125)를 가압하는 누름공간(142)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조절지지체(143)는 누름몸체(141)의 한쪽 측면에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된 한쪽 측면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조절몸체(131)가 삽입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을 지지하는 조절지지공간(144)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조절가이드돌기(145)는 조절지지공간(144)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조절몸체(131)의 조절가이드홈(132)에 각각 삽입되어 조절몸체(131)가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을 지지하면서 누름몸체(141) 타측 가압 시 유동이 방지하기 위해서 가이드되도록 구비된다.
랙기어지지체(146)는 조절지지체(143)의 한쪽 측면으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된 한쪽 측면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랙기어체(135)가 삽입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을 지지하는 랙기어지지공간(147)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랙기어슬라이딩레일(148)은 랙기어지지체(146)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랙기어체(135)의 양측에 형성된 레일지지홈(136)에 삽입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을 지지하면서 누름몸체(141) 타측 가압 시 삽입되어 레일 형태로 유동이 방지되기 위해서 가이드하도록 구비된다.
즉, 랙기어체(135)는 치차결합된 피니언기어체(138)의 회전을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는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면서 양측에 형성된 레일지지홈(136)에 랙기어슬라이딩레일(148)과 슬라이딩레일(113)이 삽입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는 범위에서 가이드하여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약액 주입 장치에 조절부의 회전 작동에 따라 랙기어체의 위치를 조절하여 약액의 주입량에 따라 걸림조절체가 위치하도록 조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약액의 주입량을 설정하고, 설정된 주입량을 고려하여 작동체(139)를 회전하면 피니언기어체(138)가 회전되면서 랙기어체(135)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조절몸체(131)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조절체(137)를 실린더공간(122) 내에 설정된 주입량이 제어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도 4는 도 3의 약액 주입 장치에 주입부로 약액을 공급하여 피스톤몸체를 상승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조절체(137)를 설정된 위치로 이동한 후에 공급관(115)을 통해서 실린더공간(122)으로 주입하게 되면 실린더공간(122)에 약액이 차면서 피스톤몸체(123)가 일측으로 이동되고, 피스톤몸체(123)에 고정된 조절몸체(131)가 일측으로 함께 이동되면서 조절지지돌기(134)가 걸림조절체(137)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는 도 4의 약액 주입 장치에 주입부가 약액의 공급에 의해 조절지지돌기가 걸림조절체에 걸림되면서 주입량이 조절된 상태에서 피스톤몸체가 정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이렇게, 걸림조절체(137) 방향으로 조절지지돌기(134)가 이동하다가 걸림되면 조절몸체(131)가 정지되고, 조절몸체(131)와 주입고정체(133)로 고정되어 있는 피스톤로드(125)와 피스톤몸체(123)가 설정된 주입량을 제한하도록 정지하여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걸림조절체(137)의 조절 위치에 따라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작동체(139)의 회전 작동으로 걸림조절체(137) 위치를 조절하게 되면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약액 주입 장치에서 누름작동부를 작동시켜 주입부 내부에 일시 저장된 약액을 외부로 주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액의 주입량이 설정된 상태에서 누름몸체(141)를 타측으로 누름 작동하게 되면 피스톤탄성체(128)로 탄성지지된 피스톤로드(125)가 하강되면서 실린더공간(122)에 주입량이 조절된 약액이 주입관(117)을 통해서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로 주입되도록 작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액의 주입량이 설정된 상태에서 누름몸체(141)를 타측으로 누름 작동하게 되면 피스톤탄성체(128)로 탄성지지된 피스톤로드(135)가 하강되면서 실린더공간(132)에 주입량이 조절된 약액이 주입관(117)을 통해서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로 주입되도록 작동된다.
주입관(117)으로 주입된 약액은 제어공급관(116c)을 통해서 제어튜브(116a) 내 튜브공간(116b)에 유입되어 제어튜브(116a)가 팽창된다. 제어튜브(116a)의 기설정된 팽창량을 초과하면 압축되면서 제어배출관(116d)으로 배출되어 주입관(117)으로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로 주입된다.
이때, 제어튜브(116a)의 실린더공간(152) 측에 제어튜브(116a) 팽창 시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체(116e)가 설치되어 주입량 제어 시에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입 장치 110 : 주입몸체부
111 : 주입몸체 112 : 주입공간
113 : 슬라이딩레일 114 : 공급밸브
115 : 공급관 116 : 주입제어부
116a : 제어튜브 116b : 튜브공간
116c : 제어공급관 116d : 제어배출관
116e : 역류방지체 117 : 주입관
120 : 주입부
121 : 실린더몸체 122 : 실린더공간
123 : 피스톤몸체 124 : 피스톤패킹
125 : 피스톤로드 126 : 로드지지홈
127 : 유통관 127a : 공급유로
127b : 주입유로 128 : 피스톤탄성체
130 : 조절부 131 : 조절몸체
132 : 조절가이드홈 133 : 주입고정체
134 : 조절지지돌기 135 : 랙기어체
136 : 레일지지홈 137 : 걸림조절체
138 : 피니언기어체 139 : 작동체
140 : 누름작동부 141 : 누름몸체
142 : 누름공간 143 : 조절지지체
144 : 조절지지공간 145 : 조절가이드돌기
146 : 랙기어지지체 147 : 랙기어지지공간
148 : 랙기어슬라이딩레일

Claims (6)

  1.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약액이 추가적으로 주입되는 약액 주입 장치에 있어서,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 역류가 방지되는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약액이 주입되어 조절되면서 누름 작동으로 주입되도록 수납되는 주입공간을 가지는 주입몸체와, 상기 주입몸체의 타측 다른쪽 방향에 연결되어 주입속도가 조절된 약액을 주입하는 주입관을 포함하는 주입몸체부;
    상기 주입몸체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관과 상기 주입관에 각각 연결되어 공급된 약액이 기설정된 주입량으로 저장하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주입부;
    상기 주입몸체의 타측의 다른쪽 방향에 상기 주입관과 연결되어 체적 변화로 기설정된 주입속도를 유지하는 벌륜형태로 구비된 제어튜브와, 상기 제어튜브의 상기 주입부 방향에서 내부로 상기 튜브공간으로 제어공급관을 통해서 공급하고, 상기 제어튜브 내부에서 상기 주입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튜브공간 내부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이 되면 제어배출관을 통해서 상기 주입관으로 배출되며, 상기 주입관 상에 상기 주입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체를 포함하는 주입제어부;
    상기 주입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에 연결되어 저장되는 약액의 주입량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주입몸체부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누름 작동에 의해 상기 주입부의 주입 작동 부분과 상기 조절부가 이동하면서 약액이 주입되도록 작동되는 누름작동부;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주입몸체부의 내부에 상기 주입몸체부의 약액 공급부분과 약액 주입부분에 각각 연결되어 내부에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되어 공급된 약액이 저장하다가 주입되는 실린더 공간을 가지는 실린더몸체;
    상기 실린더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공간의 내부에서 공급되는 약액의 주입량을 제한하면서 타측으로 이동하면 가압에 의해 주입하도록 구비되고, 바깥 둘레에는 밀폐를 위해 상기 실린더공간에 접촉되는 피스톤패킹이 구비된 피스톤몸체;
    상기 피스톤몸체의 일측면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몸체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에는 상기 피스톤몸체의 주입량 조절을 위해 약액의 공급량에 따라 일측으로 이동을 정지시키는 위치를 조절하는 상기 조절부가 삽입 고정되는 로드지지홈이 형성되며, 일측끝이 상기 누름작동부에 삽입되어 누름 작동 시 일측으로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피스톤몸체를 주입위치로 이동시키는 피스톤로드; 및
    상기 실린더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공간의 폐쇄된 타측에 위치하여 내부에 상기 주입몸체부의 약액이 공급되는 부분과 연결되어 약액이 공급되는 공급유로와 상기 주입몸체부의 약액이 주입되는 부분과 연결되어 약액이 주입되는 주입유로가 형성된 유통관;을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기 누름작동부에 삽입된 위치가 탄성 지지되어 누름 작동 시 끼임을 방지하면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 피스톤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주입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의 한쪽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주입부에 약액이 공급되면 공급량에 따라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고, 양측면으로 상기 누름작동부에 가이드되도록 삽입되는 조절가이드홈을 가지는 조절몸체;
    상기 조절몸체의 일측에 상기 주입부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몸체와 상기 주입부가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조절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주입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비된 주입고정체;
    상기 조절몸체의 타측에 한쪽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약액의 공급에 따라 상기 주입부의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주입고정체로 고정된 상기 주입부와 함께 이동되다가 걸림에 의해 상기 주입부를 정지하여 주입량을 조절하는 조절지지돌기;
    상기 조절몸체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 방향으로 기어 치형이 구비되어 회전력을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는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고, 양측으로 상기 주입몸체부와 상기 누름작동부가 삽입되어 이동을 가이드하는 홈 형태의 레일지지홈을 가지는 랙기어체;
    상기 랙기어체의 상기 조절몸체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랙기어체와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랙기어체가 정지 위치에 조절되면 약액의 공급으로 상기 주입부와 함께 이동되는 상기 조절몸체의 상기 조절지지돌기가 걸림되어 주입량을 조절하는 걸림조절체;
    상기 랙기어체의 한쪽 방향의 치차 결합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기 랙기어체를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 피니언기어체; 및
    상기 피니언기어체의 상기 주입몸체부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몸체부의 바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조절몸체를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주입부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작동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작동부는,
    상기 주입몸체부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몸체부에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내부에 상기 조절부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되어 누름 시 타측으로 상기 조절부를 가압하는 누름공간을 가지는 누름몸체;
    상기 누름몸체의 한쪽 측면에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된 한쪽 측면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상기 조절부가 삽입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을 지지하면서 상기 누름몸체 타측 가압 시 가이드하도록 조절지지공간을 가지는 조절지지체; 및
    상기 조절지지체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부가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 시 가이드되도록 삽입되는 돌기 형태로 유동이 방지되는 조절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지지체의 한쪽 측면으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된 한쪽 측면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상기 조절부의 이동을 지지하는 부분이 삽입되는 랙기어지지공간을 가지는 랙기어지지체; 및
    상기 조절부의 내부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부의 이동을 지지하는 부분의 양측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몸체 타측을 가압을 위해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 시 가이드하도록 삽입되는 레일 형태로 구비된 랙기어슬라이딩레일;을 더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0210027265A 2019-09-16 2021-03-02 약액 주입 장치 KR102367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265A KR102367599B1 (ko) 2019-09-16 2021-03-02 약액 주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753A KR102297401B1 (ko) 2019-09-16 2019-09-16 약액 주입 장치
KR1020210027265A KR102367599B1 (ko) 2019-09-16 2021-03-02 약액 주입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753A Division KR102297401B1 (ko) 2019-09-16 2019-09-16 약액 주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331A true KR20210032331A (ko) 2021-03-24
KR102367599B1 KR102367599B1 (ko) 2022-02-24

Family

ID=80474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265A KR102367599B1 (ko) 2019-09-16 2021-03-02 약액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5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739A (ja) * 2000-08-23 2002-02-26 Daiken Iki Kk 薬液のワンショット注入器および薬液注入装置
KR20050099951A (ko) * 2005-09-26 2005-10-17 이영규 외부 주입포트가 구비된 약물주입기
JP2007313372A (ja) * 2001-12-13 2007-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医療用投与器具
JP2012511392A (ja) * 2008-12-09 2012-05-24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高圧注射用薬物送達器材のための多行程送達ポンピング機構
KR20190010978A (ko) * 2017-07-24 2019-02-01 김기운 약액이 추가 주입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20190041987A (ko) * 2019-04-12 2019-04-23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739A (ja) * 2000-08-23 2002-02-26 Daiken Iki Kk 薬液のワンショット注入器および薬液注入装置
JP2007313372A (ja) * 2001-12-13 2007-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医療用投与器具
KR20050099951A (ko) * 2005-09-26 2005-10-17 이영규 외부 주입포트가 구비된 약물주입기
JP2012511392A (ja) * 2008-12-09 2012-05-24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高圧注射用薬物送達器材のための多行程送達ポンピング機構
KR20190010978A (ko) * 2017-07-24 2019-02-01 김기운 약액이 추가 주입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20190041987A (ko) * 2019-04-12 2019-04-23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599B1 (ko)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8540C2 (ru) Управляемое пациентом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жидкого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EP2991721B1 (en) Fluid path set bolus control device
CN107073211B (zh) 具有可选择的流动通道和密封部的注射器
EP3151907B1 (en) Tubing assembly
EA036104B1 (ru) Приводные механизмы для помп подачи лекарства
US7975721B2 (en) Fluid valve systems
US11090437B2 (en) Device for therapeutic delivery of medical fluid
JP6724929B2 (ja) 薬液投与装置
US10881800B2 (en) Device for dispensing a fluid
JP6222562B2 (ja) 薬液注入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薬液注入システム
KR102022766B1 (ko) 약액 주입 장치
KR101739368B1 (ko) 멀티형 유량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KR20180094267A (ko) 자가통증 조절용 약물 투여장치
KR20210032331A (ko) 약액 주입 장치
KR20210032236A (ko) 약액 주입 장치
KR20220071455A (ko) 약액 주입 장치
KR20070027675A (ko) 약액 정량주입 밸브
WO2009058124A1 (en) Fluid valve systems
US20210369951A1 (en) Syringe infusion devices and systems for delivery of active agents
KR20210032237A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101798429B1 (ko) 약제 주입 장치
KR102196122B1 (ko) 환자 제어식 약물 투여 장치
US20110245779A1 (en) Fluid Valve Systems
KR20240074238A (ko) 공급량이 조절되는 약액 주입장치
KR20210032330A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