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239A -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 - Google Patents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239A
KR20210032239A KR1020190113758A KR20190113758A KR20210032239A KR 20210032239 A KR20210032239 A KR 20210032239A KR 1020190113758 A KR1020190113758 A KR 1020190113758A KR 20190113758 A KR20190113758 A KR 20190113758A KR 20210032239 A KR20210032239 A KR 20210032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ipe
tube
accommodating
formul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6054B1 (ko
Inventor
김남근
김현중
정회원
정재연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13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054B1/ko
Publication of KR20210032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1/30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5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는,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가 격벽에 의해 분리된 컨테이너; 단면이 원 형태이고 한 갈래인 통관과, 상기 통관의 하방으로, 단면이 반원 형태이고 두 갈래로 나뉘며 상기 제1, 2 수용부에 각각 내장되는 제1, 2 관이 형성되는 Y자분출관; 상기 컨테이너 내부를 밀폐하고, 상기 통관이 상기 컨테이너 입구로 돌출 및 가이드되도록 형성되는 패킹부재; 및 펌프가 수평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펌프 상단에 연결되는 분출노즈헤드와 상기 펌프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통관에 인입되는 연결관이 서로 연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컨테이너 입구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뚜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의 자유단에는 반원형태의 폐쇄막이 형성되어, 상기 분출노즈헤드를 회전시키면 상기 폐쇄막에 의해 상기 제1 관 또는 상기 제2 관 중 어느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연통되거나 상기 제1, 2 관의 각각 일부만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관의 자유단에는 반원형태의 폐쇄막이 형성되어, 분출노즈헤드를 회전시키면 서로 연동하는 연결관 의해 제1 관 또는 제2 관 중 어느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연통되거나, 제1, 2 관의 각각 일부만 연통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DUAL-COMPONENT PRODUCT CONTAINER}
본 발명은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용기에 두 가지 제형의 액체를 담되, 간단한 동작으로 각각 따로 사용도 가능하고 둘 다 동시에 사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일반가정이나 헬스장 등의 욕실에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목욕에 필요한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바디워시, 바디클렌저, 샤워젤 등과 같은 목욕용품을 욕실 내의 적당한 위치에 비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목욕용품은 각기 다른 보관 용기에 보관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욕용품을 각기 다른 보관 용기에 보관할 경우에는 다수의 보관 용기가 필요하며, 이러한 용기를 놓을 자리도 많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다수의 보관 용기가 욕실 내에 분산된 상태로 위치되기 때문에 사용성이 떨어지고, 심미감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6075호(등록일: 2002.05.07.)에는 이중 노즐이 구성된 샴푸 린스 겸용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두피와 모발을 세정하는 샴푸와 모발에 영양공급과 윤기를 주고, 부드럽게 해주어 정전기를 방지하는 린스를 보관 및 사용하는 용기(1)를, 한 용기(1)로 샴푸와 린스를 섞이지 않게 함께 분리,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이중 노즐이 구성된 샴푸 린스 겸용 용기에는 분활면(5)으로 인해 내부가 좌/우로 분리되어 한 쪽엔 샴푸를 다른 한 쪽엔 린스를 섞이지 않게 분리, 보관할 수 있으며, 스프링(7)이 내장된 샴푸 분출파이프(4)와 결합된 샴푸 분출노즐(3)과 뚜껑(6)과 뚜껑(6)과 결합될 홈(8), 스프링(7)이 내장된 린스 분출파이프(4)와 결합된 린스 분출노즐(3)과 뚜껑(6)과 뚜껑(6)이 결합될 홈(8)이 각각 이중으로 구성되거나, 스프링(7)이 내장된 샴푸 분출파이프(4)와 결합된 샴푸 분출노즐(3)과 스프링(7)이 내장된 린스 분출파이프(4)와 결합된 린스 분출노즐(3)이 하나의 뚜껑(6)과 뚜껑(6)이 결합될 홈(8)이 하나로 구성되어 샴푸 후 바로 린스의 사용을 유도하여, 샴푸와 린스의 고유 기능을 유지시켜 두피와 모발을 건강하게 관리할 수 있고, 폐용기를 줄일 수 있는 이중 노즐이 구성된 것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은, 한 용기로 샴푸와 린스를 섞이지 않고, 동시에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샴푸 후 바로 린스의 사용을 유도하여, 샴푸와 린스의 고유기능을 유지시켜 두피와 모발을 건강하게 관리할 수 있고, 조립과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하며, 반영구적이며, 제조 원가와 폐용기 쓰레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하나의 용기에 샴푸와 린스를 동시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뚜껑 및 분출노즐과 같은 샴푸 용기와 린스 용기의 모든 구조물이 그대로 이중으로 사용됨으로, 두개의 용기를 하나로 묶은 것 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하나의 용기에 두 가지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고, 간단한 동작으로 하나의 분출노즐로 두 가지 내용물을 각각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두 가지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6075호(등록일: 2002.05.07.)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용기에 제1 제형과 제2 제형을 분리시켜 함께 보관하고, 단순 동작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제형만 골라 사용하거나, 제1 제형과 제2 제형을 원하는 비율로 분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가 격벽에 의해 분리된 컨테이너; 단면이 원 형태이고 한 갈래인 통관과, 상기 통관의 하방으로, 단면이 반원 형태이고 두 갈래로 나뉘며 상기 제1, 2 수용부에 각각 내장되는 제1, 2 관이 형성되는 Y자분출관; 상기 컨테이너 내부를 밀폐하고, 상기 통관이 상기 컨테이너 입구로 돌출 및 가이드되도록 형성되는 패킹부재; 및 펌프가 수평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펌프 상단에 연결되는 분출노즐헤드와 상기 펌프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통관에 인입되는 연결관이 서로 연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컨테이너 입구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뚜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의 자유단에는 반원형태의 폐쇄막이 형성되어, 상기 분출노즐헤드를 회전시키면 상기 폐쇄막에 의해 상기 제1 관 또는 상기 제2 관 중 어느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연통되거나 상기 제1, 2 관의 각각 일부만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 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연결관과 상기 통관이 결합되는 수단으로, 상기 연결관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 돌기; 및 기 제1 돌기와 맞물리고 상기 통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나선형의 상기 제1, 2 돌기가 완전히 결합했을 때, 추가로 원형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상기 제1, 2 돌기가 각각 폐곡선을 그리면서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2 관이 나뉘는 가상의 수평면에 상기 폐쇄막이 안정된 안착 및 폐쇄를 하도록, 상기 통관 내부 지름을 따라 단차진 단턱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격벽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 낮은 곳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하부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배출구와 대응하는 막음돌기가 형성되고, 실리콘재로 성형되며 상기 컨테이너 측면에 상기 바닥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뚜껑부재의 상면에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45도씩 표시선이 인쇄되어, 상기 분출노즐헤드를 회전시키면 상기 폐쇄막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관의 자유단에는 반원형태의 폐쇄막이 형성되어, 분출노즐헤드를 회전시키면 서로 연동하는 연결관 의해 제1 관 또는 제2 관 중 어느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연통되거나, 제1, 2 관의 각각 일부만 연통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뚜껑부재의 상면에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45도씩 표시선이 인쇄되어 있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제형만은 물론, 제1 제형과 제2 제형의 비율을 1:1, 1:3, 3:1 등으로 조절하는 가이드를 해주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처음에는 나선형으로 시작되고 나중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1, 2 돌기의 맞물림 결합에 의해 분출노즐헤드가 360도 이상 회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사진 컨테이너의 바닥에 설치된 하부배출구 및 받침부재에 의하여, 컨테이너의 내용물을 거의 소진하고 남은 잔존물도 간단한 조작으로 완전히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특히, 컨테이너의 내부 청소가 용이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 전체구성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의 연결관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도 1에 따른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의 분출노즐헤드가 회전에 따라 폐쇄막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 받침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 일부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 전체구성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의 연결관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5는 도 1에 따른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의 분출노즐헤드가 회전함에 따라 폐쇄막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 받침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 일부 측단면도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 앞쪽), 후(배, 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100)는, 하나의 용기에 두 가지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고, 간단한 동작으로 하나의 분출구로 두 가지 내용물을 각각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두 가지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100)는, 하나의 용기에 두 가지 제형의 액체를 담되, 간단한 동작으로 각각 따로 사용도 가능하고 둘 다 동시에 사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컨테이너(110), Y자분출관(120), 패킹부재(130), 뚜껑부재(1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가지의 내용물, 즉, 제1 제형(10)과 제2 제형(20)을 분리해서 담을 수 있는 것으로, 제1 수용부(111)와 제2 수용부(112)가 격벽(113)에 의해 분리되어 형성된다.
제1 수용부(111)에는 제1 제형(10)이 담기고, 제2 수용부(112)에는 제2 제형(20)이 담기게 된다.
여기서 제1, 2 제형(10, 20)은, 샴푸와 린스일 수 있으며, 로션과 에멀션일 수도 있고, 각각 따로 써도 무방하고, 섞어 써도 무방한 것이다.
컨테이너(110)의 단면 형상에 특별한 한정은 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컨테이너(110)의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가운데에 격벽(113)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컨테이너(110)의 상단부에는 단면이 원형이고 연장 돌출형성된 입구가 형성된다. 이 입구 높이의 절반 이상되는 높이까지 격벽(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수용부(111)와 제2 수용부(112)를 확실히 분리하기 위함이다. 후술할 패킹부재(130)가 이러한 완벽한 분리를 돕는다.
Y자분출관(120)은, 제1 제형(10)과 제2 제형(20)을 각각 유입 및 분출하는 통로로, 윗부분에는 단면이 원 형태이고 한 갈래인 통관(123)으로 형성되고, 통관(123)의 하방으로 단면이 반원 형태이고 두 갈래로 나뉘며 제1, 2 수용부(111, 112)에 각각 내장되는 제1, 2 관(121, 122)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2관(121, 122)의 단면은, 중심각이 180도인 부채꼴, 즉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만약,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3 제형을 담을 제3 수용부가 필요하다면, 통관(123)의 하단부에서는 하방으로 세갈래로 나뉘어져 제3 관을 추가로 마련하면 된다. 즉, 3개의 관 단면이 중심각이 120도인 부채꼴 모양을 하게 된다.
한편, 제1, 2 관(121, 122)의 하단은, 빨대의 하단처럼 어느 한쪽이 먼저 바닥면에 닿고 반대쪽은 바닥면에서 소정 길이 떨어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흡입량을 늘리고, 단부 전체가 바닥에 닿아서 유입 및 분출 통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통관(123)의 내벽에는 단부에 가깝게 나선형의 제2 돌기(124)가 형성되는데, 이는 뒤에서 연결관(141)을 설명할 때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패킹부재(130)는, 컨테이너(110) 내부를 밀폐하고, 격벽(113)에 의해 제1 수용부(111)와 제2 수용부(112)가 완전히 분리되도록 하는 것으로, 통관(123)이 컨테이너(110) 입구로 돌출 및 가이드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관(123)의 외부지름을 내부지름으로 갖는 속이 빈 원기둥 형태의 제1 가이드돌기(131)가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다. 이로써, 제1 가이드돌기(131)에 의해 통관(123)의 위치를 유동 없이 고정해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테이너(110) 입구와 패킹부재(130) 사이에 강한 결합력을 갖고, 제1, 2 제형이 컨테이너(110)의 입구 밖으로 세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입구의 내부지름을 외부지름으로 갖는 속이 빈 원기둥 형태의 제2 가이드돌기(132)가 패킹부재(13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지만, 격벽(113)이 끼워지도록 하기위해, 통관(123)이 지나는 자리를 제외한 두 줄의 제3 가이드돌기가 패킹부재(130)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두 줄로 이루어진 제3 가이드돌기 사이에 격벽(113)이 끼워지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패킹부재(130)는 고무재나 실리콘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격벽(113)과 패킹부재(130)에 의해 제1 수용부(111)와 제2 수용부(112)가 완전히 분리된다.
뚜껑부재(140)는, 컨테이너(110)의 입구를 덮는것으로, 펌프가 수평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펌프 상단에 연결되는 분출노즐헤드(145)와, 펌프 하단에 연결되고 통관(123)에 인입되는 연결관(141)이 서로 연동되도록 형성된다. 즉, 분출노즐헤드(145)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연결관(141)도 오른쪽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펌프'는, 제1, 2 제형(10, 20)의 유입 및 분출을 위한 것으로, 통상의 펌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통상의 펌프장치는 유입관과 분출관과 이들을 연결하는 몸체와 몸체 내부의 탄성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에 의해 분출구 쪽 헤드를 누르면 수용된 내용물이 유입관을 따라 올라와서 분출관을 통해 분출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분출노즐헤드(145)가 수평 회전 할 때, 연결관(141)도 같은 방향으로 수평 회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연결관(141)에서 수직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되고 이 레일에 체결되는 돌기가 분출노즐헤드(145)와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분출노즐헤드(145)와 연결관(141)이 서로 연동되도록 이루어지는 한 예일 뿐, 방법과 수단에 한정은 없다.
이러한 연결관(141)은, Y자분출관(120)과 연결되는 것으로, 제1, 2 제형(10, 20)의 이동통로(144)가 끊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연결관(141)의 자유단에는 반원형태의 폐쇄막(143)이 형성되는데, 이는 연결관(141)과 연동되는 분출노즐헤드(145)의 회전에 따라, 제1 관(121) 또는 제2 관(122)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제1, 2 제형(10, 20) 중 하나만 분출하거나, 제1, 2 관(121, 122)의 일부만 폐쇄하여 제1, 2 제형(10, 20)을 혼합하여 분출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분출노즐헤드(145)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분출노즐헤드(145)와 연동되는 연결관(141)의 폐쇄막(143)도 일정 각도 회전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를 구분하기 위해, 뚜껑부재(140)의 상면에, 중심점을 기준으로 45도씩 표시선(146)을 인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관(141)이 통관(123)에 인입되어 고정되는 수단으로, 연결관(141)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 돌기(142)와, 통관(123)의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 돌기(124)가 서로 맞물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나선형의 제1, 2 돌기(124, 142)가 완전히 결합했을 때, 추가로 원형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제1, 2 돌기가 각각 폐곡선을 그리면서 360도 이상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한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1 돌기(142)와 제2 돌기(124)의 궤적에서 서로 상충되는 돌기부분은, 원래 돌기의 높이를 반 이하로 줄여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2 돌기(124, 142)가 각각 폐곡선을 그리면서 360도 이상 회전할 수 있을 때에는, 폐쇄막(143)이 제1, 2관(121, 122)이 나뉘어지는 가상의 수평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제1, 2관(121, 122)이 나뉘어지는 상단에 폐쇄막(143)이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폐쇄막(143)은 탄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결관(141)과 통관(123)은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2 관(121, 122)이 나뉘는 가상의 수평면에, 폐쇄막(143)이 안정된 안착 및 폐쇄를 하도록, 통관(123) 내부 지름을 따라 단차진 단턱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확대도 참조)
또한, 도 4의 왼쪽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막(143)은 제1, 2 관(121, 122)이 나뉘는 상단에 접한 채 회전하고, 폐쇄막(143)의 하측단부 영역에는 유량에 영향이 없도록 살짝 도드라진 날개부(143')에 의해, 마찰력을 증가토록 하여 의도치 않은 제1 제형(10) 또는 제2 제형(20)의 유출을 미연에 방지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10)는, 격벽(113)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바닥부(114)와 바닥부(114)의 가장 낮은 곳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하부배출구(11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생긴 컨테이너(110)를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세워놓고, 하부배출구(115)를 선택적으로 막기 위한 받침부재(150)를 컨테이너(110)의 측면에 억지끼움 결합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로써, 컨테이너(110)의 가장 낮은 부분에 모인 제1 제형(10) 또는 제2 제형(20)을 거의 소진하여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컨테이너(110)의 입구와 하부배출구(115)를 개방한 후 용이하게 내부 청소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111)를 개폐하는 막음돌기(151a)과 제2 수용부(112)를 개폐하는 막음돌기(151b)가 각각 따로 받침부재(150)에 형성됨으로써, 가령 제1 제형(10)을 제2 제형(20)보다 먼저 소진하면, 패킹부재(130)를 개방하여 충전할 수도 있지만, 컨테이너(110)를 뒤집은 후에 받침부재(150)를 열어 제1 수용부(111)에 제1 제형(10)을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100)의 작동상태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출노즐헤드(145)의 분출구가 도면 상 오른쪽으로, 표시선(146c)에 위치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막(143)은 제1 관(121)을 폐쇄한다. 펌핑 시, 제2 제형(20)이 제2 관(122)을 타고 분출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출노즐헤드(145)의 분출구가 도면 상 아래쪽으로, 표시선(146e)에 위치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막(143)은 제1 관(121)의 반과 제2 관(122)의 반을 폐쇄한다. 펌핑 시, 제1, 2 제형(10, 20)이 제1, 2관(121, 122)을 타고 분출된다.
여기서, 도 4의 제2 관(122)에서 제2 제형(20)이 나오는 총량이 30이라면, 도 5의 제1, 2관(121, 122)에서 제1, 2 제형(10, 20)이 각각 15씩 나오게 된다.
만약,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분출노즐헤드(145)의 분출구가 도면부호 '146d'인 표시선(146d)에 위치하면, 유량은 단면적에 비례하므로, 제1 관(121)에서 제1 제형(10)이 10만큼, 제2 관(122)에서 제2 제형(20)이 20만큼 나오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2 수용부(111, 112)에 내장되어 있는 제1, 2 제형(10, 20)을 각각 따로 펌핑하여 쓸 수도 있지만, 폐쇄막(143)을 어디에 위치하게 하느냐에 따라 제1 제형(10)과 제2 제형(20)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로션(기름짐)과 에멀션(더 기름짐)이 각각 제1, 2 수용부(111, 112)에 내장되어 있고, 사용자의 순간순간의 피부 컨디션에 따라 혹은 계절 등에 따라, 로션과 에멀션을 비를 1:1로 할지, 1:3으로 할지를 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다른 목욕용품이나 양념장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100)는, 연결관(141)의 자유단에는 반원형태의 폐쇄막(143)이 형성되어, 분출노즐헤드(145)를 회전시키면 서로 연동하는 연결관(141) 의해 제1 관(121) 또는 제2 관(122) 중 어느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연통되거나, 제1, 2 관(121, 122)의 각각 일부만 연통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뚜껑부재(140)의 상면에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45도씩 표시선(146)이 인쇄되어 있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제형만은 물론, 제1 제형(10)과 제2 제형(20)의 비율을 1:1, 1:3, 3:1 등으로 조절하는 가이드를 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처음에는 나선형으로 시작되고 나중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1, 2 돌기(142, 124)의 맞물림 결합에 의해 분출노즐헤드(145)가 360도 이상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사진 컨테이너(110)의 바닥에 설치된 하부배출구(115) 및 받침부재(150)에 의하여, 컨테이너(110)의 내용물을 거의 소진하고 남은 잔존물도 간단한 조작으로 완전히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특히, 컨테이너(110)의 내부 청소가 용이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서, 형상, 모양, 규격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
110 : 컨테이너 111 : 제1 수용부
112 : 제2 수용부 113 : 격벽
114 : 바닥부 115 : 하부배출구
120 : Y자분출관 121 : 제1 관
122 : 제2 관 123 : 통관
124 : 제2 돌기 130 : 패킹부재
131 : 제1 가이드돌기 132 : 제2 가이드돌기
140 : 뚜껑부재 141 : 연결관
142 : 제1 돌기 143 : 폐쇄막
144 : 이동통로 145 : 분출노즐헤드
146 : 표시선 150 : 받침부재
151 : 막음돌기
10 : 제1 제형 20 : 제2 제형

Claims (5)

  1.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가 격벽에 의해 분리된 컨테이너;
    단면이 원 형태이고 한 갈래인 통관과, 상기 통관의 하방으로, 단면이 반원 형태이고 두 갈래로 나뉘며 상기 제1, 2 수용부에 각각 내장되는 제1, 2 관이 형성되는 Y자분출관;
    상기 컨테이너 내부를 밀폐하고, 상기 통관이 상기 컨테이너 입구로 돌출 및 가이드되도록 형성되는 패킹부재; 및
    펌프가 수평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펌프 상단에 연결되는 분출노즐헤드와 상기 펌프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통관에 인입되는 연결관이 서로 연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컨테이너 입구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뚜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의 자유단에는 반원형태의 폐쇄막이 형성되어, 상기 분출노즈헤드를 회전시키면 상기 폐쇄막에 의해 상기 제1 관 또는 상기 제2 관 중 어느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연통되거나 상기 제1, 2 관의 각각 일부만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과 상기 통관이 결합되는 수단으로,
    상기 연결관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 돌기; 및
    상기 제1 돌기와 맞물리고 상기 통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나선형의 상기 제1, 2 돌기가 완전히 결합했을 때, 추가로 원형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상기 제1, 2 돌기가 각각 폐곡선을 그리면서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관이 나뉘는 가상의 수평면에 상기 폐쇄막이 안정된 안착 및 폐쇄를 하도록, 상기 통관 내부 지름을 따라 단차진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격벽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 낮은 곳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하부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배출구와 대응하는 막음돌기가 형성되고, 실리콘재로 성형되며 상기 컨테이너 측면에 상기 바닥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뚜껑부재의 상면에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45도씩 표시선이 인쇄되어, 상기 분출노즈헤드를 회전시키면 상기 폐쇄막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
KR1020190113758A 2019-09-16 2019-09-16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 KR102286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758A KR102286054B1 (ko) 2019-09-16 2019-09-16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758A KR102286054B1 (ko) 2019-09-16 2019-09-16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239A true KR20210032239A (ko) 2021-03-24
KR102286054B1 KR102286054B1 (ko) 2021-08-03

Family

ID=7525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758A KR102286054B1 (ko) 2019-09-16 2019-09-16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0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9125A (ja) * 1995-02-28 1996-09-10 Sanyo Electric Co Ltd イオン水噴霧器
KR100276075B1 (ko) 1997-08-26 2000-12-15 이계철 격자도움수직결합형파장가변광필터
KR20120007393U (ko) * 2011-04-18 2012-10-26 박연희 펌프식 용기
KR101925914B1 (ko) * 2017-06-19 2018-12-06 김건무 다중통합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9125A (ja) * 1995-02-28 1996-09-10 Sanyo Electric Co Ltd イオン水噴霧器
KR100276075B1 (ko) 1997-08-26 2000-12-15 이계철 격자도움수직결합형파장가변광필터
KR20120007393U (ko) * 2011-04-18 2012-10-26 박연희 펌프식 용기
KR101925914B1 (ko) * 2017-06-19 2018-12-06 김건무 다중통합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054B1 (ko) 202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8719B2 (en) Containers and methods for isolating liquids prior to dispensing
US8550303B2 (en) Multi-chambered container
US20110036867A1 (en) Secure dispensing system for multiple consumables
US20100006606A1 (en) Pumping device with collapsible nozzle
KR101837358B1 (ko) 내용물 선택배출형 펌핑용기
KR101545159B1 (ko) 다중용기
KR20160031684A (ko) 여러 가지 형태의 브러쉬가 내장되어 사용자가 선택 사용할 수 있는 화장용 브러쉬
JP7082207B2 (ja) 複式ポンプ分注システム
CN106536362B (zh) 可释放地密封连接通道的插塞和混合两个组分的方法
KR20210032239A (ko) 두 가지 제형을 수용하는 용기
WO2020175774A1 (ko) 화장품 용기
KR20150017237A (ko) 분리형 화장품 용기
FR2981555A1 (fr) Tete de distribution pour un recipient,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procede associes
KR20120007739U (ko) 덮개 탈착형 원터치 캡
US7651012B2 (en) Toothpaste dispenser, toothpaste dispensing system and kit
CN112974029B (zh) 分配头
KR102637887B1 (ko) 복수의 용액이 배출되는 분무용기
KR20120109137A (ko) 회전 개폐수단을 갖는 퍼프 일체형 리퀴드 화장품 용기
KR20230021916A (ko)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KR20140122942A (ko)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액체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