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159B1 - 다중용기 - Google Patents

다중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159B1
KR101545159B1 KR1020130066311A KR20130066311A KR101545159B1 KR 101545159 B1 KR101545159 B1 KR 101545159B1 KR 1020130066311 A KR1020130066311 A KR 1020130066311A KR 20130066311 A KR20130066311 A KR 20130066311A KR 101545159 B1 KR101545159 B1 KR 101545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ump
cover
main body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422A (ko
Inventor
유창경
황민아
Original Assignee
유창경
황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창경, 황민아 filed Critical 유창경
Priority to KR1020130066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159B1/ko
Publication of KR20140144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loosely interengaged by integral complementary sh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4Level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separate interfitting hinge elements fixed to the container and the lid respective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46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다중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종류의 액체가 하나의 수용부 또는 하나로 집합된 수용부 내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에 각각 수용되고 각각 토출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종류의 액체를 각각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수단을 커버하는 보호커버가 수용부에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토출이 방지되는 동시에 보호커버의 분실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용기{MULTI-CONTAINER}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액체를 수용하고, 개별적으로 토출할 수 있는 다중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는 샴푸, 바디클렌저, 스킨이나 로션 등으로 칭해지는 화장수 등 다양한 액체 상태의 물질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액체 상태의 물질들은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용기에 각각 수용된 상태로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여행객, 탐험가, 영외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군인 등 일정 시간 이상 거주지 외의 지역에서 활동을 하게 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다종의 액체 상태의 물질이 각각 수용된 복수의 용기를 모두 휴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복수의 용기가 가방이나 배낭 내에서 분산되어 필요한 액체 상태의 물질을 찾을 때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용기를 함께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파우치 등을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에 대한 개선책의 일환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45107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칭함)에는 용기 내의 수용공간이 복수의 칸막이로 구획된 용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 1에 개시된 용기는 복수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토출되도록 하기 위한 펌프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가방이나 배낭에 수용되었을 경우 함께 수용된 다른 물품에 의해 펌프가 가압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이 가방이나 배낭 내에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45107호(발명의 명칭: 다용도 용기, 공개일: 2001년 6월 5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로 다른 종류의 액체가 하나의 용기에 별도로 수용되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용기에 수용된 액체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이유로 용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격벽으로 구획된 복수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밀폐캡과,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에 각각 수용된 액체가 상기 수용부 외부로 각각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밀폐캡에 각각 결합된 복수의 토출수단과,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토출수단을 커버하거나 노출되도록 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다중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격벽으로 구획된 복수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상측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을 각각 밀폐하는 복수의 밀폐캡과,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에 각각 수용된 액체가 상기 수용부 외부로 각각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밀폐캡에 각각 결합된 복수의 토출수단과,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토출수단을 커버하거나 노출되도록 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다중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중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커버는 일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을 갖고 상기 개방된 일면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토출수단을 내부에 수용하는 형상으로 커버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외주면 중 일부가 상기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타측 방향을 향하여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연결부와, 상기 탄성연결부의 단부에 연결되고 링 형상을 갖는 커버링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버링이 상기 수용부를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커버링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본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본체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계량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링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걸림홈 또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링의 내주면에 접하는 상기 커버링홈의 표면에는 상기 복수의 걸림홈 또는 상기 걸림돌기에 상응하는 형상의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측이 각각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각각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한 변을 공유하고 소정의 각도를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평판형 접합면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수용부와, 상기 복수의 수용부의 개방된 상측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상기 수용공간을 각각 밀폐하는 복수의 밀폐캡과, 복수의 상기 수용공간에 각각 수용된 액체가 상기 수용부 외부로 각각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밀폐캡에 각각 결합된 복수의 토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수용부가 상기 접합면들이 서로 접하며 집합되도록 결합시키고 결합된 상기 복수의 수용부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토출수단을 커버하거나 노출되도록 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소정의 각도들의 합은 360도를 이루어 상기 복수의 수용부가 결합되었을 때 복수의 상기 변이 서로 접하는 다중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커버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커버는 일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을 갖고 상기 개방된 일면이 상기 밀폐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외주면 중 일부가 상기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타측 방향을 향하여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연결부와, 상기 탄성연결부의 단부에 연결되고 링 형상을 갖는 커버링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 중 상기 접합면을 제외한 면에는 상기 복수의 수용부가 집합되었을 때 상기 커버링이 상기 복수의 수용부를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커버링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본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본체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계량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링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걸림홈 또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링의 내주면에 접하는 상기 커버링홈의 표면에는 상기 복수의 걸림홈 또는 상기 걸림돌기에 상응하는 형상의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중용기에는 복수의 상기 접합면에 각각 하나 이상 배치된 복수의 접합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합수단은 상기 접합면에 결합된 영구자석이거나, 상기 접합면에 형성된 결합돌기 및 결합홈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중용기에는 집합된 상기 복수의 수용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수용부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결합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중용기에 있어서, 상기 밀폐캡의 저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상측 내로 삽입되는 밀폐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수단은 압출식 펌프, 기포발생식 펌프 및 스프레이식 펌프 중 어느 하나인 다중용기.
상기 압출식 펌프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저면까지 연장되고 하단부에 흡입공이 형성된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상단부가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밀폐캡에 결합된 펌프본체와, 상기 펌프본체의 상측에 하단부가 길이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펌프본체와 연결된 중공부가 형성된 넥과, 상기 넥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일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토출관을 갖는 펌프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관은 상기 넥의 회전에 따른 상기 펌프헤드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밀폐캡의 가장자리 부분보다 더 돌출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중용기는, 상기 넥에 결합된 피니언과, 상기 밀폐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에 치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결합된 회전손잡이를 구비하는 헤드정렬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정렬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펌프헤드가 향하는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종류의 액체가 하나의 수용부 또는 하나로 집합된 수용부 내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에 각각 수용되고 각각 토출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종류의 액체를 각각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토출수단을 커버하는 보호커버가 수용부에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토출이 방지되고 보호커버의 분실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커버가 수용부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토출하고자 하는 종류의 액체를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는 동시에 정량의 토출을 요할 때 보호커버가 계량용기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 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의 분해시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밀폐캡본체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변형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부가될 수 있는 헤드정렬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헤드정렬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4 밀폐캡본체의 저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의 분해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의 분해시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100)에는 수용부(110), 밀폐캡(120),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 및 보호커버(170)가 포함된다.
수용부(110)에는 상측이 개방된 용기 형상의 수용부본체(111)가 포함되며, 수용부본체(111)의 내부에 형성된 격벽(112)에 의해 수용부본체(111) 내부의 공간이 복수의 수용공간(113a, 113b, 113c, 113d)으로 구획된다.
복수의 수용공간(113a, 113b, 113c, 113d)을 편의상 제1 수용공간(113a), 제2 수용공간(113b), 제3 수용공간(113c), 제4 수용공간(113d)이라 칭하기로 하며,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을 제1 토출수단(130), 제2 토출수단(140), 제3 토출수단(150) 및 제4 토출수단(160)이라 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형성된 수용공간의 수는 내부에 수용시키고자 하는 액체의 종류 또는 소모량 등의 조건에 따라 격벽이나 수용부본체 등의 형상이 변경되어 가감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여 토출수단의 수 또한 가감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형성된 수용공간(113a, 113b, 113c, 113d)의 수와 이에 상응하는 토출수단(130, 140, 150, 160) 등의 수가 넷인 것은 하나의 예시임을 밝힌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액체'로 지칭되는 것은, 일명 '거품치약'이라고도 칭해지는 물 없이 양치질을 할 수 있도록 거품상태로 토출되도록 하여 사용되는 액체 상태의 치약, 물 없이 두발을 세정할 수 있는 샴푸 및 물 없이 신체를 세정할 수 있는 바디클렌저와 같은 세제, 로션이나 자외선 차단제와 같은 액상의 화장품, 액상의 구강복용제 등과 같이, 장기간 실외에서 활동을 할 경우 생활에 필요하거나 특정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액상 물질을 말한다.
수용부본체(111)는 횡단면의 형상이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다중용기(100)의 휴대성 및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수용부본체(111)의 상단부에는 밀폐캡(12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결합부(115)가 형성된다. 밀폐캡(120)에는 밀폐캡본체(121)가 포함되며, 밀폐캡본체(121)는 캡결합부(115)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밀폐캡본체의 저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밀폐캡(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밀폐캡본체(121)는 수용부본체(111) 상측에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캡결합부(11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복수의 수용공간(113a, 113b, 113c, 113d) 내에 액체가 각각 수용되어 있을 경우, 밀폐캡본체(121)가 캡결합부(115)에 결합되면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될 수 있다.
다만, 액체가 모두 소모되는 등의 이유로 수용공간(113a, 113b, 113c, 113d)에 액체를 공급하여야 할 경우에는 캡결합부(115)로부터 밀폐캡본체(121)를 분리하여 수용공간(113a, 113b, 113c, 113d)의 상측이 개방되도록 한 후 수용공간(113a, 113b, 113c, 113d) 내로 액체가 각각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밀폐캡본체(121)의 저면에는 캡결합부(115)의 외주면을 커버하는 결합리브(122) 및 복수의 수용공간(113a, 113b, 113c, 113d)의 개방된 상측 내로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밀폐리브(123a, 123b, 123c, 123d)가 각각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캡결합부(115)의 외주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고, 결합리브(122)의 내주면에는 이에 상응하는 형상을 걸림홈 또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림돌기 및 걸림홈에 의해 수용부본체(111)에 결합된 밀폐캡본체(121)가 작은 충격이나 흔들림 등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밀폐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밀폐리브(123a, 123b, 123c, 123d)의 외추면에도 도시되지 않은 걸림홈이나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여기에 접하는 격벽(112)의 상단부 내면에도 이에 상응하는 형상의 걸림돌기나 걸림홈이 형성되어 밀폐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밀폐캡본체(12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용공간(113a, 113b, 113c, 113d)의 배치에 각각 상응하는 위치에 토출수단결합공(124a, 124b, 124c, 124d)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토출수단결합공(124a, 124b, 124c, 124d)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이 각각 결합된다.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은 복수의 수용공간(113a, 113b, 113c, 113d)에 각각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우선 제1 토출수단(130)을 살펴보면, 제1 토출수단(130)에는 펌프헤드(131), 펌프본체(132), 넥(133), 흡입관(136)이 포함된다.
펌프헤드(131)는 제1 토출수단결합공(124a)에 결합된다. 흡입관(136)의 상단부는 펌프본체(132)의 하측에 연결되고, 흡입관(136)은 밀폐캡본체(121)가 캡결합부(115)에 결합되었을 때 흡입공(137)이 제1 수용공간(113a)의 저면에 이르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흡입관(136)의 하단부에는 흡입공(137)이 형성된다.
넥(133)은 펌프본체(132)의 상측에 결합된다. 넥(133)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는데, 넥(133)의 중공부는 흡입관(136) 내에 형성된 중공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넥(133)은 그 길이방향을 중심축으로 펌프본체(13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넥(133)의 상단부에는 펌프헤드(131)가 결합된다. 펌프헤드(131)의 일측방향으로는 토출관(134)이 형성되며, 토출관(134)의 단부에는 토출구(135)가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펌프본체(132) 내에는 넥(133)을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하나 이상의 스틸볼 또는 합성수지볼 등에 의한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펌프헤드(131)를 하방향으로 누르면 펌프본체(132) 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있던 액체가 넥(133)의 중공부 및 토출관(134)을 거쳐 토출구(135)를 통하여 토출되는데, 이때 상술한 체크밸브에 의해 액체가 흡입관(136)을 통하여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사용자가 펌프헤드(131)에 가하던 힘을 해제하면 넥(133)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술한 체크밸브에 의해 토출구(135)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펌프본체(132) 내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되고, 흡입공(137)을 통하여 제1 수용공간(113a) 내에 있던 유체가 흡입관(136)을 거쳐 펌프본체(132) 내로 유입된다.
사용자가 펌프헤드(131)를 다시 누르면 위의 과정이 반복되면서 제1 수용공간(113a) 내의 액체가 토출구(135)를 통하여 토출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으로 압출식 펌프가 사용된 것을 예시한 것으로, 압출식 펌프는 앞에서 설명한 제1 토출수단(130)와 같은 구조 및 작동방식을 갖는다.
이러한 압출식 펌프는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제2 내지 제4 토출수단(140, 150, 160)에 대한 설명은 제1 토출수단(13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하며,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으로는 필요에 따라 다른 방식의 토출수단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보호커버(170)에는 커버본체(171), 탄성연결부(173) 및 커버링(174)가 포함된다. 참고로, 커버본체(171), 탄성연결부(173) 및 커버링(174)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조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는데, 보호커버(170)는 전체적으로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본체(171)는 일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본체(171)의 외주면 중 일부분에는 개방된 일면 방향으로부터 타측 방향을 향하여 한 쌍의 절개부(172)가 형성되며, 이 절개부(172)에 의해 스트랩 형상의 탄성연결부(173)가 형성된다.
커버링(174)은 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커버링(174)의 일측에는 탄성연결부(173)의 단부가 연결된다.
수용부본체(111)의 외주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홈(116)이 형성되는데, 커버링(174)은 여기에 안착된다. 이때, 커버링(174)의 내주면은 이에 접하는 커버링홈(116)의 표면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즉, 커버링(174)은 커버링홈(116)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연결부(173)에 의해 커버링(174)에 연결된 커버본체(171)는 수용부본체(111)의 길이방향 중심을 중심축으로 하여 수용부본체(1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위와 같은 결합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100)는 아래와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액체를 선택하여 수용부(110)에 구비된 복수의 수용공간(113a, 113b, 113c, 113d)에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액체를 주입할 수 있고, 사용량이 많은 액체는 복수의 수용공간(113a, 113b, 113c, 113d) 중 둘 이상에 주입할 수도 있다.
이후, 밀폐캡(120)을 수용부(110)에 결합시켜 수용부(110) 상측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시키는 동시에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이 복수의 수용공간(113a, 113b, 113c, 113d)에 각각 연결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액체가 있을 경우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 중 해당되는 것을 선택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선택한 액체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다중용기(100)를 휴대하고자 한다면, 커버본체(171)가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을 커버하며 밀폐캡본체(121)와 결합되도록 한 후 도시되지 않은 여행가방이나 배낭 등에 다중용기(100)를 수용시킬 수 있다.
커버본체(171)가 밀폐캡본체(121)에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이 커버본체(171)에 의해 커버되어 있으므로, 도시되지 않은 여행가방이나 배낭 등이 운반되는 과정에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수용부(110) 내에 수용된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다시 수용부(110)에 수용된 액체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커버본체(171)를 밀폐캡본체(121)로부터 분리시켜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밀폐캡본체(121)는 탄성연결부(173)에 의해 수용부본체(1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밀폐캡본체(121)의 분실이 방지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 중 작동시키고자 하는 것이 개방된 밀폐캡본체(121)와 근접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과 밀폐캡본체(121)가 접촉되어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다. 이럴 경우에는 밀폐캡본체(121)를 수용부본체(111)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밀폐캡본체(121)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 중 선택된 것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링홈(116)에 안착된 커버링(174)이 지나치게 원활하게 회전되는 경우에는 수용부(110)의 기울어짐에 따라 커버본체(171)가 임의로 회전되어 불편이 초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링(174)의 내주면 및 이에 접하는 커버링홈(116)의 표면 사이에는 적절한 마찰력이 작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커버링(174)의 내주면 및 커버링홈(116)의 표면에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변형예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버링(174)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걸림돌기(117)가 형성되고, 커버링홈(116)의 표면에는 복수의 걸림홈(118)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걸림돌기(117) 및 걸림홈(118)은 서로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링(174)이 커버링홈(116)에 안착되면 걸림돌기(117) 및 걸림홈(118)가 서로 간섭된다. 따라서, 커버본체(171)가 수용부본체(111)를 중심으로 회전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힘을 가하여야 하므로, 커버본체(171)가 임의로 회전되어 발생될 수 있는 불편이 방지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된 바와는 달리, 커버링(174)의 내주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커버링홈(116)의 표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수용부(110)에 수용된 액체가 물 없이 사용하는 샴푸 또는 바디클렌저일 경우에는 한 손으로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 중 해당되는 것을 작동시켜 토출되는 해당 액체를 다른 손의 손바닥으로 받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일 수 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토출관(134)의 길이가 지나치게 짧은 경우에는 액체를 받는 손이 밀폐캡본체(121)의 가장자리 부분에 접촉되어 토출관(134) 단부의 토출구(135)에 충분히 근접되지 못할 수 있다. 이럴 경우에는 수용부(110)를 기울인 후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 중 선택된 것을 작동시켜야 하므로 사용에 불편이 초래될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출관(134)이 적절한 길이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부가될 수 있는 헤드정렬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 및 도 6에는 도 4에 도시된 헤드정렬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토출수단(130)에 구비된 토출관(134)이 밀폐캡본체(121)의 반경방향을 향할 때 토출구(135)가 형성된 토출관(134)의 단부가 밀폐캡본체(121)의 가장자리 부분보다 더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수용공간(113a) 내에 수용된 액체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수용부본체(111)를 평평한 바닥에 놓은 후 한 손으로 펌프헤드(131)를 가압하고 다른 손의 손바닥은 토출관(134)의 단부에 근접시킴으로써 토출되는 액체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나머지 수용공간(113b, 113c, 113d)에 수용된 액체를 사용할 경우에도 위와 같이 해당 토출수단(140, 150, 160) 중 선택된 것의 펌프헤드(141, 151, 161)를 회전시켜 그 토출관(144, 154, 164)의 단부가 밀폐캡본체(121)의 가장자리 부분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토출관(134, 144, 154, 164)의 단부가 밀폐캡본체(121)의 가장자리 부분보다 돌출된 상태일 때에는 커버본체(171)를 밀폐캡본체(121)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토출관(134, 144, 154, 164)의 단부가 밀폐캡본체(121)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즉, 밀폐캡본체(121)로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을 원활하게 커버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100)에는 헤드정렬수단(18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헤드정렬수단(180)에는 회전손잡이(181), 구동기어(182), 회전지지축(183), 피니언(184a, 184b, 184c, 184d)가 포함될 수 있다.
회전지지축(183)은 밀폐캡본체(121)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고, 구동기어(182)는 회전지지축(18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구동기어(182)는 회전지지축(183)에 의해 밀폐캡본체(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에 각각 구비된 넥(133, 143, 153, 163)에는 복수의 피니언(184a, 184b, 184c, 184d)이 각각 결합된다. 이때, 복수의 피니언(184a, 184b, 184c, 184d) 및 구동기어(182)는 서로 치합된다.
구동기어(182)에는 회전손잡이(181)가 결합되는데, 회전손잡이(181)를 회전시키면 구동기어(182)가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손잡이(181)를 이용하여 구동기어(182)를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토출관(134, 144, 154, 164)의 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캡본체(121)의 가장자리 부분보다 돌출되도록 복수의 펌프헤드(131, 141, 151, 161)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일 때에는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액체의 토출을 마치고 커버본체(171)로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을 커버하고자 할 때에는 회전손잡이(181)로 구동기어(182)를 회전시켜 이에 치합된 복수의 피니언(184a, 184b, 184c, 184d)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펌프헤드(131, 141, 151, 161)가 향하는 방향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정렬수단(180)을 이용하여 복수의 토출관(134, 144, 154, 164)이 밀폐캡본체(121)의 가장자리 부분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커버본체(171)로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이 용이하게 커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수용부(110)에 수용된 액체 중 정량을 복용해야 하는 약물이나, 정량을 사용해야 하는 세제 등이 포함된 경우, 그 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계량컵 등 별도의 계량수단을 휴대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본체(171)의 외주면에 계량눈금(175)을 형성할 경우, 커버본체(171)를 계량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커버본체(171)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부본체(111)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량을 정확히 측정해야 하는 액체를 토출할 때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 중 해당되는 것에 커버본체(171)가 근접되도록 회전시키고, 토출되는 액체가 커버본체(171) 내로 수용되도록 하면 계량눈금(175)을 이용하여 그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본체(171)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경우, 커버본체(171) 내에 수용되는 액체의 양을 측정하기 용이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본체(111)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경우, 복수의 수용공간(113a, 113b, 113c, 113d)에 각각 수용된 액체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 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수용공간(113a, 113b, 113c, 113d) 내에 수용된 액체가 자외선 등에 의해 변질될 가능성이 높은 물질일 경우에는, 수용부본체(111)에 자외선 차단효과를 갖는 필름 등을 코팅하거나, 자외선 차단효과가 있는 물질이 혼합된 소재로 수용부본체(111)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물질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부본체(111)는 야외에서 사용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탄성을 갖는 소재 또는 내충격성이 높은 소재 등으로 제조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중 파손될 가능성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200)에는 수용부(210), 복수의 밀폐캡(220a, 220b, 220c, 220d), 복수의 토출수단(230, 240, 250, 260) 및 보호커버(270)가 포함된다.
수용부(210)에는 상측이 개방된 용기 형상의 수용부본체(211)가 포함되며, 수용부본체(211)의 내부에 형성된 격벽(212)에 의해 수용부본체(211) 내부의 공간이 복수의 수용공간(213d, 나머지는 도시되지 않음)으로 구획된다.
여기서, 수용부본체(211), 격벽(212) 및 복수의 수용공간(213d, 나머지는 도시되지 않음)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수용부본체(111), 격벽(112) 및 복수의 수용공간(113a, 113b, 113c, 113d)와 그 구조와 작동이 동일하므로, 수용부(210)에 대한 설명은 앞의 수용부(110)에 대한 설명을 갈음하기로 한다.
보호커버(270)에는 커버본체(271), 탄성연결부(273) 및 커버링(274)이 포함되며, 커버본체(271)에는 절개부(272)가 형성된다. 이들은 도 1을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한 커버본체(171), 절개부(172), 탄성연결부(173) 및 커버링(174)과 각각 그 구조와 작동이 동일하므로, 보호커버(270)에 대한 설명도 앞의 보호커버(17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복수의 토출수단(230, 240, 250, 260) 중 제2 내지 제4 토출수단(240, 250, 260)은 앞에서 설명한 복수의 토출수단(도 1의 130, 140, 150, 160)과 그 구조 및 작동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200)에 구비된 제1 토출수단(230)은 수용부본체(211)에 수용된 액체를 에어로졸 상태로 분사하는 스프레이식 펌프가 적용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넓은 면적에 분사될 필요가 있는 액상의 진통소염제, 안료 등을 이용할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레이식 펌프는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하고자 하는 액체가 앞에서 언급한 액상 치약인 경우에는 외부로 토출될 때 공기를 혼합하여 거품이 발생된 상태로 이용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복수의 토출수단(230, 240, 250, 260) 중 해당되는 것의 내부에는 액체가 토출될 때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메쉬를 통과하며 공기와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거품이 발생되도록 하는 기포발생식 펌프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포발생식 펌프의 예로는 일본등록실용공고 제2,572,386호(고안의 명칭: 거품발생펌프용기, 등록일 1998년 5월 20일)를 들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구조의 기포발생식 펌프가 널리 활용되고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밀폐캡(220a, 220b, 220c, 220d)은 수용부본체(211)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213d, 나머지는 도시되지 않음)의 상측을 각각 밀폐하며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제4 밀폐캡(220d)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제4 밀폐캡본체의 저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4 밀폐캡(220d)에는 부채꼴 형상의 제4 밀폐캡 본체(221d)가 포함되고, 제4 밀폐캡 본체(221d)에는 제4 펌프 결합공(224d)이 형성된다. 제4 펌프 결합공(224d)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토출수단(260)이 결합된다.
제4 토출수단의 저면에는 결합리브(222d) 및 제4 밀폐리브(223d)가 각각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결합리브(222d)는 제4 밀폐캡(220d)이 제4 수용공간(213d)을 커버하여 밀폐되도록 할 때 수용부본체(211) 상측의 캡결합부(216)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결합리브(222d)의 내주면에는 걸림돌기나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캡결합부(215)의 외주면에는 이에 상응하는 걸림홈이나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밀폐리브(223d)는 제4 밀폐캡(220d)이 수용부본체(211)와 결합될 때 제4 수용공간(213d)의 상측에 삽입되어 제4 수용공간(213d)이 밀폐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밀폐캡(220a, 220b, 220c, 220d)은 앞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밀폐캡(120)이 수용부본체(211)에 형성된 수용공간(213d, 나머지는 도시되지 않음)의 수에 상응하는 수로 분할되어 형성된 것이다.
이는 복수의 수용공간(213d, 나머지는 도시되지 않음) 내에 액체를 주입하고자 할 경우, 복수의 밀폐캡(213d, 나머지는 도시되지 않음) 중 해당되는 것만 수용부본체(211)로부터 분리하면 되므로, 밀폐캡(213d, 나머지는 도시되지 않음)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해지고, 액체의 주입과정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액체가 혼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200)의 커버링(274) 내주면에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걸림돌기(1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링(274)의 내주면에 접하는 커버링홈(216)의 표면에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걸림돌기(118)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200) 및 아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도 9의 300)에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헤드정렬수단(180)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밀폐캡(220a, 220b, 220c, 220d)에 각각 회전지지축(183 참조)의 일부분에 해당되는 부분이 형성되도록 하면, 수용부본체(211)에 복수의 밀폐캡(220a, 220b, 220c, 220d)이 모두 결합되었을 때 그 중심부에 도 4의 회전지지축(183 참조)과 같은 회전지지축(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여기에 구동기어(182 참조)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밀폐캡(220a, 220b, 220c, 220d)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여야 할 경우가 발생될 경우에는 구동기어(182 참조)를 회전지지축(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회전지지축(도시되지 않음)은 도 4에 도시된 회전지지축(183 참조)과 같이 그 단부에 탄성변형이 가능한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손잡이(181 참조)를 견인하면 회전지지축(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구동기어(182 탐조)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구동기어(182 참조)의 축공(도시되지 않음)에 상술한 걸림턱에 상응하는 걸림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300)에는 복수의 수용부(310a, 310b, 310c, 310d), 밀폐캡(도시되지 않음), 복수의 토출수단(도시되지 않음), 보호커버(370) 및 보조결합수단(390)이 포함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300)의 밀폐캡(도시되지 않음)는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도 7의 200)의 밀폐캡(220a, 220b, 220c, 220d)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복수의 토출수단(도시되지 않음)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복수의 토출수단(130, 140, 150, 160) 또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복수의 토출수단(230, 240, 250, 260) 등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보호커버(370)에는 커버본체(371), 탄성연결부(373) 및 커버링(374)이 포함되며, 커버본체(371)에는 절개부(372)가 형성된다. 이들은 도 1을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한 커버본체(171), 절개부(172), 탄성연결부(173) 및 커버링(174)과 각각 그 구조와 작동이 동일하므로, 보호커버(370)에 대한 설명은 앞의 보호커버(17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복수의 수용부(310a, 310b, 310c, 310d) 내에는 각각 상측이 개방된 복수의 수용공간(313a, 313b, 313c, 313d)이 각각 형성된다.
우선, 제1 수용부(310a)를 살펴 보면, 제1 수용부(310a)에는 제1 수용부본체(311) 및 접합수단(391, 392)이 포함되고, 제1 수용부본체(311)의 내부에는 제1 수용공간(313a)이 형성된다. 제1 수용부본체(311)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평판형 접합면(317)이 각각 형성된다.
제1 수용부본체(311)의 외주면 중 한 쌍의 평판형 접합면(317)을 제외한 면에는 캡결합부(315), 커버링홈(316) 및 고정링홈(319)이 각각 형성된다.
한 쌍의 평판형 접합면(317)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한 변을 서로 공유하며, 한 쌍의 평판형 접합면(317) 사이에는 소정의 각도가 형성된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나머지 수용부(310b, 310c, 310d) 또한 제1 수용부(310a)와 동일하거나 대동소이한 구성을 가지므로, 나머지 수용부(310b, 310c, 310d)에 대한 설명은 제1 수용부(310a)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복수의 수용부(310a, 310b, 310c, 310d)는 각각에 형성된 접합면(317, 일부는 도시되지 않음)들이 서로 접하며 집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310a) 및 제2 수용부(310b)가 서로 결합된 바와 같이, 제3 수용부(310c) 및 제4 수용부(310d)도 서로 집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앞에서 언급한 소정의 각도, 즉 복수의 접합면들(317, 일부는 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형성된 각도들의 합이 360도가 될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용부(310a, 310b, 310c, 310d)가 서로 집합되어 결합되었을 때 접합면들(317, 일부는 도시되지 않음)이 서로 면접촉을 하게 되거나, 앞에서 언급한 한 쌍의 접합면이 공유하는 변이 서로 접하게 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수용부(310a, 310b, 310c, 310d)는 서로 결합됨으로써 도 1을 참하여 설명한 수용부(110)와 거의 같은 형상을 갖게 될 수 있다. 환언하자면, 복수의 수용부(310a, 310b, 310c, 310d)는 도 1에 도시된 수용부(110)가 복수의 수용공간(313a, 313b, 313c, 313d)의 수에 상응하는 수로 분할된 것과 같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앞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복수의 수용공간(313a, 313b, 313c, 313d)의 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기에 적용될 복수의 밀폐캡(도시되지 않음)의 수 또한 변경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접합면(317)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각도 또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수용부(310a, 310b, 310c, 310d)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밀폐캡(220a, 220b, 220c, 220d) 및 토출수단(230, 240, 250, 260)이 각각 적용될 경우, 복수의 수용부(310a, 310b, 310c, 310d)는 개별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 따라 필요한 물질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수용부(310a, 310b, 310c, 310d)에 이미 수용된 액체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것을 선택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보병은 여러 수용부(도시되지 않음) 중 세제, 치약, 자외선차단제 등이 수용된 것들을 조합하여 다중용기(300)를 형성할 수 있고, 위생병은 그 외에 진통소염제 또는 항생제 등이 수용된 것들을 조합하여 다중용기(300)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다중용기(300)를 활용하는 목적에 맞는 액체가 수용된 복수의 수용부(310a, 310b, 310c, 310d)를 선택하여 이들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접합면(317)에 배치된 접합수단(391, 392)으로는 서로 상응하는 형상의 돌기와 홈, 영구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접합수단(391, 392)으로 돌기와 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수용부본체(311)에 형성된 한 쌍의 접합면(371)중 한 면에는 돌기를 형성하고 다른 면에는 돌기에 상응하는 위치에 상응하는 형상의 홈을 형성하며, 제2 내지 제4 수용부(310b, 310c, 310d)에도 상술한 돌기 및 홈에 상응하는 돌기 및 홈을 형성하면 복수의 수용부(310a, 310b, 310c, 310d)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동시에 약간의 힘을 가하여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접합수단(391, 392)으로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수용부본체(311)에 형성된 한 쌍의 접합면(371) 중 한 면에는 N극이 노출되도록 영구자석을 결합시키고 다른 면에는 상응하는 위치에 S극이 노출되도록 영구자석을 결합시키며, 제2 내지 제4 수용부(310b, 310c, 310d) 또한 마찬가지 방법으로 영구자석이 배치되도록 하면 복수의 수용부(310a, 310b, 310c, 310d)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수용부(310a, 310b, 310c, 310d)는 별도의 접합수단(391, 392) 등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합수단(391, 392)에 의해 복수의 수용부(310a, 310b, 310c, 310d)가 집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다중용기(30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서로 접합된 복수의 수용부(310a, 310b, 310c, 310d)에 커버고정링(374)을 결합시키면, 복수의 수용부(310a, 310b, 310c, 310d)는 견고하게 서로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시된 고정링홈(319)과 같이 보조결합수단(390)이 서로 집합되어 결합된 복수의 수용부(310a, 310b, 310c, 310d)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수용부(310a, 310b, 310c, 310d) 사이의 결합이 더욱 보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이와 같이 개별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수용부(310a, 310b, 310c, 310d)는 액상의 상처치료제와 같이 오염에 취약한 약물이 사용될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높은 위생성을 요하는 물질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복수의 수용부(310a, 310b, 310c, 310d) 중 해당되는 것은 위생적인 시설 내에서 해당 액체를 주입한 후 토출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결합된 밀폐캡(도시되지 않음)을 결합시키고 접착제 등으로 완전히 밀봉하여 일회용으로 제조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용기(300)의 커버링(374) 내주면에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걸림돌기(1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링(374)의 내주면에 접하는 커버링홈(316)의 표면에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걸림돌기(118)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중용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다중용기 110: 수용부
111: 수용부본체 112: 격벽
113a, 113b, 113c, 113d: 수용공간
115: 캡결합부 116: 커버링홈
117: 걸림돌기 118: 걸림홈
120: 밀폐캡 121: 밀폐캡본체
122: 결합리브
123a, 123b, 123c, 123d: 밀폐리브
124a, 124b, 124c, 124d: 토출수단결합공
130, 140, 150, 160: 토출수단
170: 보호커버 171: 커버본체
172: 절개부 173: 탄성연결부
174: 커버링 180: 헤드정렬수단
181: 회전손잡이 182: 구동기어
183: 회전지지축
184a, 184b, 184c, 184d: 피니언

Claims (11)

  1. 상측이 각각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각각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한 변을 공유하고 소정의 각도를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평판형 접합면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수용부;
    상기 복수의 수용부의 개방된 상측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상기 수용공간을 각각 밀폐하는 복수의 밀폐캡;
    복수의 상기 수용공간에 각각 수용된 액체가 상기 수용부 외부로 각각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밀폐캡에 각각 결합된 복수의 토출수단; 및
    상기 복수의 수용부가 상기 접합면들이 서로 접하며 집합되도록 결합시키고, 결합된 상기 복수의 수용부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토출수단을 커버하거나 노출되도록 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커버는,
    일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을 갖고, 상기 개방된 일면이 상기 밀폐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외주면 중 일부가 상기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타측 방향을 향하여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연결부; 및
    상기 탄성연결부의 단부에 연결되고, 링 형상을 갖는 커버링;을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소정의 각도들의 합은 360도를 이루어, 상기 복수의 수용부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복수의 수용부 중 인접한 것들의 복수의 상기 접합면이 서로 접하거나 복수의 상기 변이 서로 접하고,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 중 상기 접합면을 제외한 면에는 상기 복수의 수용부가 집합되었을 때 상기 커버링이 상기 복수의 수용부를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커버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수단은 압출식 펌프, 기포발생식 펌프 및 스프레이식 펌프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압출식 펌프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저면까지 연장되고, 하단부에 흡입공이 형성된 흡입관;
    상기 흡입관의 상단부가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밀폐캡에 결합된 펌프본체;
    상기 펌프본체의 상측에 하단부가 길이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펌프본체와 연결된 중공부가 형성된 넥; 및
    상기 넥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일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토출관을 갖는 펌프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관은 상기 넥의 회전에 따른 상기 펌프헤드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밀폐캡의 가장자리 부분보다 더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넥에 결합된 피니언;
    상기 밀폐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에 치합된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결합된 회전손잡이;를 구비하는 헤드정렬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정렬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기 펌프헤드가 향하는 방향이 조절되는
    다중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본체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계량눈금이 형성된 다중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걸림홈 또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링의 내주면에 접하는 상기 커버링홈의 표면에는 상기 복수의 걸림홈 또는 상기 걸림돌기에 상응하는 형상의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이 형성된 다중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접합면에 각각 하나 이상 배치된 복수의 접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중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수단은 상기 접합면에 결합된 영구자석이거나, 상기 접합면에 형성된 결합돌기 및 결합홈인 다중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집합된 상기 복수의 수용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수용부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중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캡의 저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상측 내로 삽입되는 밀폐리브가 돌출 형성된 다중용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30066311A 2013-06-11 2013-06-11 다중용기 KR101545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311A KR101545159B1 (ko) 2013-06-11 2013-06-11 다중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311A KR101545159B1 (ko) 2013-06-11 2013-06-11 다중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422A KR20140144422A (ko) 2014-12-19
KR101545159B1 true KR101545159B1 (ko) 2015-08-24

Family

ID=5267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311A KR101545159B1 (ko) 2013-06-11 2013-06-11 다중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1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618B1 (ko) * 2016-08-23 2018-10-18 김준 분리 공간을 갖는 펌핑 용기
KR200489476Y1 (ko) * 2017-09-22 2019-06-24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품 케이스
KR101998100B1 (ko) * 2017-11-24 2019-07-09 한순민 화장품 용기
CN108146788A (zh) * 2017-12-07 2018-06-12 安徽理工大学 一种圆筒形分隔器
KR102042435B1 (ko) * 2018-11-26 2019-11-27 장기욱 가루약 분배저장용 약포장기
KR102156725B1 (ko) * 2019-01-14 2020-09-17 주식회사 엠테크놀러지 멀티포트를 갖는 에어 콤프레서의 저장 탱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551Y1 (ko) 2000-04-26 2000-09-01 옥승찬 음료용기의 구조
JP3088221B2 (ja) * 1993-08-05 2000-09-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積層型感光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221B2 (ja) * 1993-08-05 2000-09-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積層型感光体の製造方法
KR200195551Y1 (ko) 2000-04-26 2000-09-01 옥승찬 음료용기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422A (ko) 2014-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159B1 (ko) 다중용기
US10858170B2 (en) Dual dispensing cosmetic container
RU2504316C1 (ru) Система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KR101670774B1 (ko) 복수 개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캡슐형 용기
US9878339B2 (en) Applicator head and dispenser for a preferably pasty medium
KR200471795Y1 (ko) 복수의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펌프 용기
US20120282010A1 (en) Liquid, fluid, and lotion container and applicator
KR101392980B1 (ko) 퍼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내용물 토출장치
JP5702973B2 (ja) フレキシブルなアプリケータ容器
US20070059090A1 (en) Metered dispensing device
US20160025541A1 (en) Dispensing devices for dispensing precise doses of liquid
US7008132B1 (en) Surgical scrub appliance
ES2776400T3 (es) Dispositivo aplicador de fluidos
KR20120034864A (ko) 회전개폐형 브러쉬 튜브용기
KR200475887Y1 (ko) 액상 립스틱 용기
US6267270B1 (en) Liquid dispenser, especially for dispensing liquid medicaments
KR200444062Y1 (ko) 염색제 용기
KR101963136B1 (ko)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
KR200445143Y1 (ko) 염색제 용기
CN214058482U (zh) 一种盖组件和容器
CN219008684U (zh) 旋动式双剂包装瓶
KR102478862B1 (ko) 수납부가 포함된 팔찌
TW201438965A (zh) 多腔室容器(三)
US202300257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solid and liquid materials
WO2017099738A1 (en) Nail cleaning and sanitiz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