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049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049A
KR20210032049A KR1020190113272A KR20190113272A KR20210032049A KR 20210032049 A KR20210032049 A KR 20210032049A KR 1020190113272 A KR1020190113272 A KR 1020190113272A KR 20190113272 A KR20190113272 A KR 20190113272A KR 20210032049 A KR20210032049 A KR 20210032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door
air conditioning
passa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철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3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2049A/ko
Publication of KR20210032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14Details of seals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21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공조케이스의 공기통로에 구비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공조케이스의 내부 공기통로가 분리벽에 의해 상부통로와 하부통로로 구획되고, 상부통로에는 상부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통로에는 하부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되며, 각각의 슬라이딩 도어 양끝에는 래크가 구비되고, 공조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 도어 뒷면에 구비되는 도어 샤프트 및, 도어 샤프트에는 래크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이동시키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부 슬라이딩 도어 및 하부 슬라이딩 도어에는 상기 공조케이스와의 접촉부에서 가압장치로 도어 샤프트 중앙부에 도어 샤프트 돌기부를 구비하고 슬라이딩 도어 중앙 끝단에 돌기부와 접촉하는 슬라이딩 도어 접촉부를 구비하여 도어 중앙부의 면 접촉력을 향상시켜, 슬라이딩 도어 중앙을 통한 바람 누기 및 바람 누기에 의한 소음 발생을 개선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개폐식 도어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공조케이스 사이에 벌어진 틈새의 밀봉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차량의 내부로 조화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조장치(HVAC: Heating, Ventilating, Air Conditioning system)가 구비되어 차량의 내부로 냉풍, 온풍을 공급하거나 상기 냉풍과 온풍을 혼합하여 공급함으로써, 차량의 실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공조장치는 상기 공조장치의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실내로 바로 조화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거나, 차량의 바닥을 향하여 조화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기유입구(21,22)와 공기토출구(23,24,25,26,27)를 갖는 공조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유입구에는 송풍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토출구는 디프로스트 벤트(23), 페이스 벤트(24), 전석 플로어 벤트(25), 콘솔 벤트(26) 및 후석 플로어 벤트(27)로 구성된다. 각 벤트에는 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도어(28)가 구비된다.
공조케이스의 공기통로에는 증발기(30) 및 히터코어(31)가 순차로 구비된다. 히터코어(31)의 하류에는 전열히터(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공조케이스의 공기통로는 격벽(40)에 의해 상부통로(21)와 하부통로(22)로 구획된다. 상부통로(21)에는 외기가 유입되어 유동하며, 하부통로(22)에는 내기가 유입되어 유동한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상부통로(21) 또는 하부통로(22)에 내기와 외기가 함께 유입될 수 있다.
증발기(30)와 히터코어(31) 사이에는 템프도어(49)가 구비되며, 템프도어(49)는 상부통로(21)에 배치되는 제1 템프도어(46)와 하부통로(22)에 배치되는 제2 템프도어(48)로 구성된다. 현재 이층류 공조장치는 상부 및 하부 그리고 좌우로 나누어지기 때문에 4개의 템프도어(49)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공조케이스(20)의 공기통로는 상부 냉풍통로(P1)와 상부 온풍통로(P2)와 하부 온풍통로(P3) 및 하부 냉풍통로(P4)로 구성되며, 증발기(3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4개의 통로(P1 내지 P4) 중 적어도 하나의 통로로 유동한다.
도 2에는 상기 템프도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템프도어(49)와 연결된 도어 샤프트(50)는 상기 템프도어(49) 양끝의 래크(52)와 매칭 되는 두개의 피니언(51)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도어 샤프트(50)가 회전하면 상기 래크(52)와 피니언(51)이 서로 맞물려 작동하여 템프도어(49)를 이동시킨다. 즉, 상기 템프도어(49)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증발기(30)를 통과한 공기를 정해진 비율로 히터코어(31)로 보내도록 하여 공기의 온도를 조절한다. 또 벤트 모드와 플로어 모드 중 하나로 송풍되도록 한다.
그러나 템프도어(49)가 공조케이스(110)와 면접촉하여 씰링(sealing)하는 경우 접촉위치에서 템프도어(49)의 중앙 부분은 도어 샤프트(50)가 밀어주지 않아 템프도어(49)와 공조케이스(110)간 미세틈새(도2의 빨간색 점선)를 통해 바람이 샐 우려가 있으며, 바람이 새는 양이 많은 경우 템프도어(49)가 풍압으로 인해 떨리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도어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1내지 도 2의 공조장치의 템프도어(49)를 예를 들었으나, 도어는 그 밖의 다른 구조일 수 있다. 아울러, 후술할 본 발명 또한 모든 슬라이딩 도어 구조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 슬라이딩 도어라고 명칭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슬라이딩 도어와 공조케이스의 씰링 위치에서 씰링력을 향상시켜 미세틈새로 바람이 새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른 풍압으로 인해 슬라이딩 도어가 떨리면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통로에 구비되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공조케이스의 내부 공기통로가 분리벽에 의해 상부통로와 하부통로로 구획되고, 상부통로에는 상부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통로에는 하부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되며, 각각의 슬라이딩 도어 양끝에는 래크가 구비되고, 공조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 도어 뒷면에 구비되는 도어 샤프트, 도어 샤프트 양 측면에 설치된 래크와 연결되어 상기 각가의 슬라이딩 도어를 이동시키는 피니언을 포함한다. 상부 슬라이딩 도어 및 하부 슬라이딩 도어에는 상기 공조케이스와의 접촉면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상기 공조케이스 사이 틈새를 밀봉한다.
상기에서, 슬라이딩 도어는 평판형 슬라이딩 형식으로 이루어져 상기 도어 샤프트와 상기 래크에 의해 위아래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가압수단은 상기 도어 샤프트의 중앙에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 도어 끝단에 접촉부를 구비하여 슬라이딩 도어 중앙 면접촉력을 향상시킨다.
상기에서, 돌기부와 접촉부는 삼각 형상 및 바람직하게는 직각 삼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길이와 피니언의 끝단 길이가 같거나 슬라이딩 도어의 길이가 피니언 길이의 정수배에 해당하여, 도어 샤프트의 돌기부와 슬라이딩 도어의 접촉부가 슬라이딩 도어의 끝단부에서 접촉하여 슬라이딩 도어 중앙 부분의 씰링력을 향상시킨다.
상기에서, 래크와 피니언의 기어비가 1대1에 해다하여 도어 샤프트 돌기부와 슬라이딩 도어의 접촉부가 슬라이딩 도어의 끝단부에서 접촉하여 슬라이딩 도어 중앙부분의 씰링력을 향상시킨다.
상기에서, 도어 샤프트 돌기부는 샤프트 고정면과 도어 접촉면으로 이루어지고, 슬라이딩 도어 접촉부는 도어 고정면과 샤프트 접촉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도어 샤프트 돌기부와 상기 슬라이딩 도어 접촉부는 각각 상기 도어 샤프트와 슬라이딩 도어로 부터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 도어의 중간부분에는 접촉부가 구비되고 슬라이딩 도어를 이동시키는 도어 샤프트의 중심부에 구비된 돌기부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 접촉부를 밀면서 슬라이딩 도어의 중앙 부분의 씰링력을 향상시켜 미세틈새로 바람이 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풍압으로 인해 슬라이딩 도어가 떨리면서 발생시키는 소음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도어 샤프트 및 이와 연결된 슬라이딩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샤프트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샤프트가 작동하여 슬라이딩 도어가 열려 공기이동통로가 도시된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샤프트 및 이와 연결된 슬라이딩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샤프트의 돌기부와 슬라이딩 도어의 접촉부가 접촉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샤프트의 돌기부와 슬라이딩 도어의 접촉부의 접촉으로 인해 슬라이딩 도어와 공조케이스 사이의 틈새가 씰링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에 해당하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샤프트의 중앙부에 구비된 돌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끝단 중앙부에 구비된 접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어 샤프트의 돌기부와 슬라이딩 도어의 접촉부가 접촉할 수 있도록 기어의 회전수와 슬라이딩 도어의 길이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10)를 구비한다.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출구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된다. 공기토출구는 차량 전석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전석 공기토출구와 차량 후석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후석 공기토출구로 구성된다. 전석 공기토출구는 디프로스트 벤트(111), 페이스 벤트(112) 및 전석 플로어 벤트(113)로 구성되며, 후석 공기토출구는 콘솔 벤트(114) 및 후석 플로어 벤트(115)로 구성된다.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에는 냉각용 열교환기 및 가열용 열교환기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순차로 구비된다. 냉각용 열교환기는 증발기(102)로 구성되며, 가열용 열교환기는 히터코어(103)로 구성된다.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는 수평 분리벽(140)에 의해 상부통로(151)와 하부통로(152)로 구획된다. 블로어 유닛의 내기통로로 유입된 공기는 공조케이스(110)의 하부통로(152)로 유동하며, 블로어 유닛의 외기통로로 유입된 공기는 공조케이스(110)의 상부통로(151)로 유동한다. 수평 분리벽(140)은 증발기(102)의 상류, 증발기(102)와 히터코어(103)의 사이 및 전열히터(104)의 하류에 대략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통로(151)와 하부통로(152)로가 상하로 구획된다.
상세하게는, 상부통로(151)는 제1 수직 분리벽(191)에 의해 차량 폭 방향으로 상부 좌측통로(181)와 상부 우측통로(182)로 구획된다. 즉, 제1 수직 분리벽(191)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부통로(151)를 차량 폭 방향으로 2등분 한다. 하부통로(152)는 제2 수직 분리벽(192)에 의해 차량 폭 방향으로 하부 좌측통로(183) 및 하부 우측통로(185)로 구획된다. 즉, 제2 분리벽(192)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부통로(152)를 차량 폭 방향으로 2등분 한다.
상부통로(151)에는 상부 슬라이딩 도어(161)가 구비되고, 하부통로(152)에는 하부 슬라이딩 도어(162)가 구비된다. 상부 슬라이딩 도어(161)는 증발기(102)와 히터코어(103) 사이에 구비되어, 히터코어(103)를 통과하는 공기와 바이패스 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하부 슬라이딩 도어(162)는 증발기(102)와 히터코어(103) 사이에 구비되어, 히터코어(103)를 통과하는 공기와 바이패스 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상부통로(151)에는 히터코어(103)를 바이패스 하는 상부 냉풍통로와 히터코어(103)를 통과하는 상부 온풍통로가 형성되며, 하부통로(152)에는 히터코어(103)를 통과하는 하부 온풍통로와 히터코어(103)를 바이패스 하는 하부 냉풍통로가 형성된다. 상부 냉풍통로, 상부 온풍통로, 하부 온풍통로 및 하부 냉풍통로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순차로 형성된다.
상부 슬라이딩 도어(161)는 상부 좌측통로(181)의 개도를 조절하는 상부 좌측 슬라이딩 도어(1611)와, 상부 우측통로(182)의 개도를 조절하는 상부 우측 슬라이딩 도어(1612)로 구성된다. 하부 슬라이딩 도어(162)는 하부 좌측통로(183)의 개도를 조절하는 하부 좌측 슬라이딩 도어(1621)와, 하부 우측통로(185)의 개도를 조절하는 하부 우측 슬라이딩 도어(1623)로 구성된다.
상부 좌측통로(181)와 상부 우측통로(182) 중 하나를 유동하는 공기는 차량 전방의 운전석의 전석 디프로스트 벤트(111) 또는 전석 페이스 벤트(112)로 토출되고, 다른 하나를 유동하는 공기는 차량 전방의 조수석의 전석 디프로스트 벤트(111) 또는 전석 페이스 벤트(112)로 토출된다. 또한, 하부 좌측통로(183) 및 하부 우측통로(185)를 유동하는 공기는 차량 전방의 전석 플로어 벤트(113)로 토출되거나 상부통로(151)와 연통하여 전석 공기 토출구로 토출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센터통로(184)를 유동하는 공기는 차량 후방의 후석 페이스 벤트(114) 또는 후석 플로어 벤트(115)로 토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샤프트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샤프트가 작동하여 슬라이딩 도어가 열려 공기이동통로가 도시된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이다.
도 5내지 6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도어(163)는 평판형 슬라이딩 도어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슬라이딩 도어(163)의 양 측면에는 래크(202)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도어(163) 뒷면에는 도어 샤프트(200)가 구비되어 있는데 공조케이스(110)의 측면에 설치된 액츄레이터(300)가 도어 샤프트(200)를 직접 구동한다. 도어 샤프트(200)의 양측면에 구비된 피니언(201)이 래크(202)와 맞물려, 도어 샤프트(200)가 회전할 경우 슬라이딩 도어(163)를 위 아래로 이동시켜, 블로어 유닛(미도시)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의 개도를 조절한다. 이 경우 슬라이딩 도어(163)와 공조케이스(110)가 접촉하는 면 접촉부에서 슬라이딩 도어(163)의 중앙 부분은 도어 샤프트(200)에서 직접적으로 밀어주지 않아 상대적으로 낮은 씰링력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163)와 공조케이스(110)간 미세틈새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미세틈새를 통해 바람이 샐 우려가 있으며, 바람의 새는 양이 많을 경우 풍압으로 인해 슬라이딩 도어(163)가 심하게 떨리면서 소음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163) 중앙부에 가압 장치를 갖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샤프트 및 이와 연결된 슬라이딩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샤프트의 도어 샤프트 삼각 돌기와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 도어 삼각 돌기가 접촉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샤프트의 삼각 돌기와 슬라이딩 도어의 삼각 돌기의 접촉으로 인해 슬라이딩 도어와 공조케이스가 씰링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에 해당하며,
도 7내지 9을 참고하면, 도어 샤프트(200)의 중앙부에 도어 샤프트 돌기(203)를 구비하고 슬라이딩 도어(163) 끝단에 슬라이딩 도어 돌기(204)를 구비하여 슬라이딩 도어 중앙 면접촉력을 향상키는 도어 중앙부의 가압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도어 샤프트(200)의 양 측면에 부착된 피니언 기어(201)가 슬라이딩 도어(163) 일면에 구비된 래크(202)와 맞물려 돌아가면서 슬라이딩 도어(163)를 이동시키며 공조케이스(110) 사이에서 개구를 형성한다. 슬라이딩 도어(163)와 공조케이스(110)는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데, 슬라이딩 도어(163)와 공조케이스(110)의 면 접촉 영역에서 도어 샤프트(200) 중앙의 도어 샤프트 돌기(203)가 슬라이딩 도어(163)의 슬라이딩 도어 돌기(204)를 밀어 수직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163) 중앙에 평소보다 더 많은 힘이 전달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163) 끝단 중앙부 및 이와 맞닿는 공조케이스(110)사이 틈새가 밀봉되어 공기의 누기를 차단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샤프트의 중앙부에 구비된 도어 샤프트 돌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끝단 중앙부에 구비된 슬라이딩 도어 접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0 내지 11을 참고하면, 도어 샤프트(200)의 중앙부에 구비된 돌기부(203)는 샤프트 고정면(2031)과 도어 접촉면(2032)으로 이루어지며 슬라이딩 도어 끝단 중앙부에 구비된 접촉부(204)는 샤프트 접촉면(2041)과 도어 고정면(2042)으로 이루어진다.
샤프트 고정면(2031)은 도어 샤프트(200)와 결합되어 있으며 도어 접촉면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 접촉부(204)의 샤프트 접촉면(2041)과 슬라이딩 도어(163)의 끝단에서 접촉하여 도어 중앙부의 씰링력을 향상시킨다.
특히 슬라이딩 도어 돌기부(204)와 도어 샤프트 접촉부(203)는 삼각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른 모양에 비해 부품에 소모되는 재료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양 측면의 피니언(201)에서 발생하는 씰링력을 가장 효율적으로 도어 중앙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 고정면(2031)은 원주면의 일부 형상을 이루어 도어 샤프트(200)와 접지 및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생긴다. 상기 돌기부(204)는 바람직하게는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하여 도어 중앙의 면접촉력을 향상시켜야 할 시점, 즉 공조케이스(110)와 접촉하는 경우 외에는 상기 접촉부(203)와 서로 마주하여 구속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또한 돌기부(204)와 접촉부(203)는 각각 슬라이딩 도어(163)와 도어 샤프트(200)로 부터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 및 관리가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도어 샤프트의 돌기부와 슬라이딩 도어의 접촉부가 접촉할 수 있도록 기어의 회전수와 슬라이딩 도어의 길이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도어 샤프트 돌기부(203)가 아래방향, 즉 슬라이딩 도어(163)를 마주보고 있는 경우를 회전각이 0인 경우로 상정한다.
슬라이딩 도어(163)의 길이와 피니언(201)의 원주길이가 같아 피니언(201)이 래크(202)와 맞물려 1회전(2п=360°)하는 동안 슬라이딩 도어(163) 끝단에 도달한다. 따라서 면접촉력을 향상시켜야 할 시점, 즉 공조케이스(110)와 접촉하는 경우 외에는 서로 마주하지 않으며 슬라이딩 도어(163) 끝단에서 도어 샤프트(200)에 부착된 돌기부(203)가 접촉부(204)와 접촉한다. 또한 슬라이딩 도어(163)의 길이가 피니언(201)의 원주길이에 해당하여 돌기부(203)와 접촉부(204)가 슬라이딩 도어(163) 끝단부에서 접촉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래크(202)와 피니언(201)의 기어비가 1대1에 해당하여 돌기부(203)와 접촉부(204)가 슬라이딩 도어(163) 끝단에서 접촉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2: 증발기 103: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 111: 전석 디프로스트 벤트
112: 전석 페이스 벤트 113: 전석 플로어 벤트
114: 후석 페이스 벤트 115: 후석 플로어 벤트
140: 수평 분리벽 191: 제1 수직 분리벽
192: 제2 수직 분리벽
161: 상부 슬라이딩 도어 1611: 상부 좌측 슬라이딩 도어
1612: 상부 우측 슬라이딩 도어 162: 하부 슬라이딩 도어
1621: 하부 좌측 슬라이딩 도어 1623: 하부 우측 슬라이딩 도어
163: 슬라이딩 도어 151: 상부통로
181: 상부 좌측통로 182: 상부 우측통로
152: 하부통로 183: 하부 좌측통로
185: 하부 우측통로 200: 도어 샤프트
201: 피니언 202: 래크
203: 돌기부 2031: 샤프트 고정면
2032: 도어 접촉면 204: 접촉부
2041: 샤프트 접촉면 2042: 도어 고정면
300: 액츄레이터

Claims (9)

  1. 래크가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래크와 맞물리는 피니언을 구비한 도어 샤프트 및
    공조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샤프트를 구동시키는 액츄레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상기 공조케이스 사이의 접촉면 들뜸을 방지하는 가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상기 도어 샤프트와 상기 래크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한 평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도어 샤프트 중앙에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와 맞닿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중앙 끝단에 접촉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및 상기 접촉부는 전체적으로 삼각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접촉부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끝단부에서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길이와 상기 피니언의 원주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접촉부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끝단부에서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길이가 상기 피니언 원주길이의 정수배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접촉부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끝단부에서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래크와 상기 피니언의 기어비가 1대1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도어 샤프트와 결합되는 샤프트 고정면과 상기 슬라이딩도어와 접촉하는 도어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결합되는 도어 고정면과 상기 도어 샤프트와 접촉하는 샤프트 접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접촉부는 각각 상기 도어 샤프트와 상기 슬라이딩 도어로 부터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90113272A 2019-09-16 2019-09-16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032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272A KR20210032049A (ko) 2019-09-16 2019-09-16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272A KR20210032049A (ko) 2019-09-16 2019-09-16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049A true KR20210032049A (ko) 2021-03-24

Family

ID=75257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272A KR20210032049A (ko) 2019-09-16 2019-09-16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20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050B1 (ko) 2층 공기유동시스템을 갖는 공조 유니트
KR100294482B1 (ko) 공기조화장치의케이스와이를이용한공기조화장치
KR10159524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07055499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having two layer air flow installed therein
JP3750255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H10230734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7003868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1943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40054917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257547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3133069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01173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26950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1003204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0570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03411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4049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6755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668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4487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4008910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11505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3194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1012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50103799A (ko) 이층 공기유동형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도어 씰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