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1974A - Beverage supply device and beverage supply method - Google Patents

Beverage supply device and beverage supply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1974A
KR20210031974A KR1020217005093A KR20217005093A KR20210031974A KR 20210031974 A KR20210031974 A KR 20210031974A KR 1020217005093 A KR1020217005093 A KR 1020217005093A KR 20217005093 A KR20217005093 A KR 20217005093A KR 20210031974 A KR20210031974 A KR 20210031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supply
container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0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3326B1 (en
Inventor
유스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31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9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3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의 유무에 관계없이, 음료 종별, 음료 용량, 음료 생성 및 공급의 상태를, 고객, 구입 대기 고객, 점원, 제삼자를 포함한 주위에 널리 통지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문에, 용기(C)의 음료 종별 및 음료 용량을 검출하는 음료 정보 검출 센서인 음료 종별 센서(31) 및 용기 사이즈 센서(32)와, 음료 종별 및 음료 용량의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개시를 지시하는 확인 버튼(10a)을 적어도 표시하는 표시 조작부(10)와, 확인 버튼(10a)을 누름으로써 음료 종별 및 음료 용량의 음료를 생성하여 용기(C)에 공급하는 제어를 행하는 음료 공급 제어부(51)와, 확인 버튼(10a)의 표시 개시로부터 확인 버튼(10a)의 누름 조작이 없고, 일정 시간 경과한 경우, 음료 공급 제어부(51)에 의한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을 시작하게 하는 지시를 행하는 음료 공급 개시 제어부(52)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ndication, beverage type, beverage capacity, beverage production and supply status, a beverage supply device and beverage supply that can widely notify the surroundings, including customers, customers waiting to purchase, store clerks, and third parties. It aims to provide a method. For this reason, the beverage type sensor 31 and the container size sensor 32, which are beverage information detection sensors for detecting the beverage type and beverage capacity of the container C, and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beverages of the beverage type and beverage capacity are initiated. A display operation unit 10 that displays at least an instructing confirmation button 10a, and a beverage suppl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oduction of beverages having a beverage type and a beverage capacity by pressing the confirmation button 10a and supplying them to the container C ( 51) and when there is no push operation of the confirmation button 10a from the start of display of the confirmation button 10a, and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the beverage supply control unit 51 issues an instruction to start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beverages. A beverage supply start control unit 52 is provided.

Description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방법Beverage supply device and beverage supply method

본 발명은, 표시 조작부에 대한 조작이 없어도 음료를 공급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supply device and a beverage supply method capable of supplying beverages even without manipulation of a display operation unit.

종래,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는, 커피 머신 등의 음료 공급 판매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음료 공급 판매 장치는, 이용자에 의해 음료가 선택된 경우에, 예컨대 커피 원두 그라인딩 및 드리핑의 추출 처리 등을 행하여 음료를 생성하고, 용기인 컵에 대하여 음료를 공급하는 것이다.Conventionally, beverage supply and sale devices such as coffee machines are installed in stores such as convenience stores. When a beverage is selected by a user, the beverage supply and sale apparatus generates beverage by performing, for example, an extraction process of coffee bean grinding and dripping, and supplies beverage to a cup serving as a container.

이러한 음료 공급 판매 장치에서는, 이용자가 POS 레지스터로 컵의 사이즈 지정 및 음료종을 주문하여 정산을 행한 컵을 음료 공급 판매 장치에 세팅하고, 음료의 메뉴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컵에 음료가 공급된다.In such a beverage supply and sales apparatus, a beverage is supplied to the cup by a user designating the size of a cup and ordering a beverage type with a POS register, and setting the settled cup in the beverage supply and sales apparatus, and selecting a menu button of the beverage.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이용자의 주문에 따라 정보 코드가 준비되고, 점원이 그 정보 코드를 컵에 부착한 것을 이용자가 수취하여, 그 컵을 음료 토출 장치의 받침 접시에 세팅하면, 자동으로 음료 용기에 접착된 정보 코드를 코드 판독부가 판독하고, 그 판독 결과에 따라, 판매 가능한 음료 메뉴를 터치 패널에 표시하며, 이용자가 표시된 음료 메뉴 중에서 원하는 음료를 선택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an information code is prepared according to the user's order, and when the user receives the information code attached to the cup by the clerk and sets the cup on the saucer of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the beverage is automatically It is described that the code reader reads the information code adhered to the container, displays a drink menu that can be sold on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read result, and the user selects a desired beverage from the displayed beverage menu.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7-771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7-7715

그런데, 표시 조작부가 전부 터치 패널식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고, 음료의 공급 개시를 지시하는 확인 버튼을 가진, 음료 공급 장치가 있다. 이 음료 공급 장치로 음료를 구입하고자 하는 고객이, 터치 패널의 조작을 모르는 경우, 아무리 시간이 경과하여도 음료를 구입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다른 고객으로부터의 불만이 발생하거나, 판매 손실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표시 조작부가 고장난 경우도, 확인 버튼을 누를 수 없기 때문에, 아무리 시간이 경과하여도 음료를 구입할 수 없게 된다.By the way, there is a beverage supplying device in which the display operation unit is entirely composed of a touch panel type liquid crystal display or the like, and has a confirmation button for instructing the supply of beverage to start. If a customer who wants to purchase a beverage with this beverage supplying device does not know the operation of the touch panel, he cannot purchase the beverage no matter how long it elapses.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complaints from other customers occur or sales loss occurs. In addition, even when the display operation unit is broken, the confirmation button cannot be pressed, so that no matter how long the time elapses, the beverage cannot be purchased.

본 발명은, 상기한 것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표시 조작부에 대한 조작이 없어도 음료를 공급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supply device and a beverage supply method capable of supplying a beverage without an operation on the display operation unit.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음료를 생성하는 음료 생성부를 구비하고, 배치되는 용기에 대하여 상기 음료 생성부로부터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용기의 음료 정보를 검출하는 음료 정보 검출 센서와, 상기 음료 정보의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개시를 지시하는 확인 버튼을 적어도 표시하는 표시 조작부와, 상기 확인 버튼을 누름으로써 상기 음료 정보의 음료를 생성하여 상기 용기에 공급하는 제어를 행하는 음료 공급 제어부와, 상기 확인 버튼의 표시 개시로부터 상기 확인 버튼의 누름 조작이 없고, 일정 시간 경과한 경우, 상기 음료 공급 제어부에 의한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을 시작하게 하는 지시를 행하는 음료 공급 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chieve the object, the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verag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beverage, and supplies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generation unit to a container to be disposed, a beverage supply device As, a beverage informa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bever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a display operation unit for at least displaying a confirmation button for instructing the start of generation and supply of beverage of the beverage information, and the beverage information by pressing the confirmation button. A beverage supply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generate and supply a beverage to the container, and when there is no operation of pressing the confirmation button from the start of display of the confirmation button, and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the beverage supply control unit generates and supplies beverage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everage supply start control unit for giving an instruction to st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음료를 생성하는 음료 생성부를 구비하고, 배치되는 용기에 대하여 상기 음료 생성부로부터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용기의 음료 정보를 검출하는 음료 정보 검출 센서와, 각종 정보의 표시 및 조작을 행하는 표시 조작부와, 상기 표시 조작부에 대한 조작을 바탕으로 상기 음료 정보의 음료를 생성하여 상기 용기에 공급하는 제어를 행하는 음료 공급 제어부와, 상기 표시 조작부에 대한 조작이 없는 상태가 일정 시간 경과한 경우, 상기 음료 공급 제어부에 의한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을 시작하게 하는 지시를 행하는 음료 공급 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verage supply device comprising a beverag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beverage, and supplying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generation unit to a container to be disposed, and detecting bever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An information detection sensor, a display operation unit for displaying and opera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 beverage suppl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generate and supply a beverage of the beverage information to the container based on an operation on the display operation unit, and the display operation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everage supply start control unit for giving an instruction to start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the beverage by the beverage supply control unit when the state in which there is no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 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조작부가 정상 동작하고 있는 경우,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개시까지의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카운트다운 화면을 상기 표시 조작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the beverage supply start control unit is a countdown screen indicating the remaining time until the start of generation and supply of beverages when the display operation unit is operating normally.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peration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방법은, 음료를 생성하는 음료 생성부를 구비하고, 배치되는 용기에 대하여 상기 음료 생성부로부터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방법으로서, 상기 용기의 음료 정보를 검출하는 음료 정보 검출 단계와, 상기 음료 정보의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개시를 지시하는 확인 버튼을 적어도 표시하는 표시 조작 단계와, 상기 확인 버튼을 누름으로써 상기 음료 정보의 음료를 생성하여 상기 용기에 공급하는 제어를 행하는 음료 공급 제어 단계와, 상기 확인 버튼의 표시 개시로부터 상기 확인 버튼의 누름 조작이 없고, 일정 시간 경과한 경우, 상기 음료 공급 제어 단계에 의한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을 시작하게 하는 지시를 행하는 음료 공급 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everage suppl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verage supply method comprising a beverag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beverage and supplying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generation unit to a container to be disposed, the beverage supplying method for detecting bever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A display operation step of at least displaying an information detection step, a confirmation button indicating the start of generation and supply of beverages of the beverage information, and a control of generating and supplying a beverage of the beverage information to the container by pressing the confirmation button Beverage supply control step of performing a beverage supply control step, and when there is no push operation of the confirmation button from the start of display of the confirmation button, and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 beverage that issues an instruction to start production and supply of beverage by the beverage supply control step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ly start control step.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방법은, 음료를 생성하는 음료 생성부를 구비하고, 배치되는 용기에 대하여 상기 음료 생성부로부터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방법으로서, 상기 용기의 음료 정보를 검출하는 음료 정보 검출 단계와, 각종 정보의 표시 및 조작을 행하는 표시 조작 단계와, 상기 표시 조작 단계에서의 조작을 바탕으로 상기 음료 정보의 음료를 생성하여 상기 용기에 공급하는 제어를 행하는 음료 공급 제어 단계와, 상기 표시 조작 단계에서의 조작이 없는 상태가 일정 시간 경과한 경우, 상기 음료 공급 제어 단계에 의한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을 시작하게 하는 지시를 행하는 음료 공급 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everage suppl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verage supply method comprising a beverag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beverage and supplying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generation unit to a container to be disposed, the beverage supplying method for detecting bever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An information detection step, a display operation step for displaying and manipula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a beverage supply control step for performing control of generating and supplying a beverage of the beverage information to the container based on the operation in the display operation step; and And a beverage supply start control step of giving an instruction to start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beverages by the beverage supply control step when the state in which there is no operation in the display operation step has elap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방법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 개시 제어 단계는, 상기 표시 조작 단계가 정상 동작하고 있는 경우,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개시까지의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카운트다운 화면을 표시 조작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beverage suppl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the beverage supply start control step is a count indicating the remaining time until the beverage production and supply start when the display operation step is operating normally.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own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peration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조작부에 대한 조작이 없어도 음료를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verages can be supplied without any manipulation of the display operation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음료 공급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 공급 장치의 제어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에 의한 음료 공급 제어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표시 조작부의 표시 화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ystem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shown in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procedure by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2.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operation unit shown in FIG. 2.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전체 구성><Overall com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음료 공급 장치(1)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 공급 장치(1)의 제어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또한, 여기서 예시하는 음료 공급 장치(1)는,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 설치되는 커피 머신이며, 예컨대 커피 원두 그라인딩 및 드리핑의 추출 처리를 행하여, 예컨대 컵 등의 용기(C)에 커피 등의 음료를 공급하는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beverage suppl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ystem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1 shown in FIG. 1. In addition, the beverage supply device 1 illustrated here is, for example, a coffee machine installed in a store such as a convenience store. For example, coffee beans are subjected to an extraction process of grinding and dripping, and beverages such as coffee are placed in a container C such as a cup. Is to supply.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공급 장치(1)는, 본체 캐비닛(2) 및 전면 도어(3)를 갖는다. 본체 캐비닛(2)은, 전면이 개구된 대략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 본체 캐비닛(2)의 내부에는, 음료(예컨대 커피)를 생성하는 음료 생성부(44)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beverage supply device 1 has a main body cabinet 2 and a front door 3. The main body cabinet 2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ith an open front surface.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cabinet 2, a beverage generating unit 44 for producing beverage (for example, coffee) is installed.

전면 도어(3)는, 본체 캐비닛(2)의 전면의 개구를 폐색하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는 도어체이다. 이 전면 도어(3)는, 본체 캐비닛(2)의 전방측 일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도시하지 않은 축부의 중심축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 캐비닛(2)의 전면의 개구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ront door 3 is a door body having a size sufficient to close the front opening of the main cabinet 2. This front door 3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swing around a central axis of an unillustrated shaft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one edge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cabinet 2, and the front side of the main cabinet 2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전면 도어(3)는, 전면이 접객면을 구성하고, 표시 조작부(10) 및 개폐 도어(4)가 설치된다. 표시 조작부(10)는, 예컨대 터치 패널로 구성되며, 각종 정보를 표시함과 더불어, 각종 조작 입력이 가능하다. 표시 조작부(10)에는,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개시를 지시하는 확인 버튼(10a)이 표시된다.In the front door 3, the front surface constitutes a reception surface, and a display operation unit 10 and an opening/closing door 4 are provided. The display operation unit 10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touch panel, and display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allows various operation inputs. On the display operation unit 10, a confirmation button 10a for instructing the start of production and supply of beverages is displayed.

개폐 도어(4)는, 표시 조작부(10)의 하방측에 설치되고, 개폐 도어(4)의 깊이 방향으로는 음료 공급 공간(EA)이 형성된다. 음료 공급 공간(EA)에는, 노즐(5) 및 스테이지(6)를 갖는다. 노즐(5)은, 음료 생성부(44)에서 생성된 음료를 아래쪽을 향해 토출하는 것이다. 스테이지(6)는, 노즐(5)의 아래쪽 영역에 설치된다. 이 스테이지(6)는, 용기(C)를 배치시키는 것으로, 원호형의 스토퍼(7)가 설치된다. 즉, 음료 공급 공간(EA)은, 용기(C)가 배치되는 배치 영역이기도 하다.The opening/closing door 4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operation unit 10, and a beverage supply space EA is formed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opening/closing door 4. A nozzle 5 and a stage 6 are provided in the beverage supply space EA. The nozzle 5 discharges the beverage produced by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44 downward. The stage 6 is install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nozzle 5. This stage 6 arranges the container C, and an arc-shaped stopper 7 is provided. That is, the beverage supply space EA is also an arrangement area in which the container C is arranged.

개폐 도어(4)는, 예컨대 투명한 수지 등의 투광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며, 음료 공급 공간(EA)의 입구측을 덮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이 개폐 도어(4)는, 좌측 단부가 전면 도어(3)에 피봇 지지되고,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한 것이다. 즉, 개폐 도어(4)는, 음료 공급 공간(EA)에 근접 이격되는 양태로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하며, 음료 공급 공간(EA)에 근접하는 양태로 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음료 공급 공간(EA)의 입구측을 폐쇄시킬 수 있고, 음료 공급 공간(EA)으로부터 이격되는 양태로 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음료 공급 공간(EA)의 입구측을 개방시킬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4 is made of, for example,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a transparent resin, and has a size sufficient to cover the entrance side of the beverage supply space EA. This opening/closing door 4 has its left end pivotally supported by the front door 3, and is capable of swinging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That is, the opening/closing door 4 is capable of swinging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in a manner that is closely spaced apart from the beverage supply space EA, and when it swings backward in a manner close to the beverage supply space EA, the beverage supply space ( The inlet side of EA) can be closed, and the inlet side of the beverage supply space EA can be opened when it swings forward in a manner separated from the beverage supply space EA.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공급 장치(1)는, 표시 조작부(10), 용기 검출부(20), 정보 판독부(30), 도어 개폐 검출부(41), 도어 개폐 록 기구(42), 기억부(43), 음료 생성부(44) 및 제어부(50)를 갖는다.As shown in Fig. 2, the beverage supply device 1 includes a display operation unit 10, a container detection unit 20, an information reading unit 30, a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41, a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42, It has a storage unit 43, a beverage generating unit 44, and a control unit 50.

표시 조작부(10)는, 터치 패널 등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로서, 각종 정보의 표시 및 조작 입력을 행한다. 표시 조작부(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확인 버튼(10a)을 갖는다.The display operation unit 10 is an input/output interface such as a touch panel, and performs display and operation input of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operation unit 10 has a confirmation button 10a.

용기 검출부(20)는, 예컨대 광센서 등의 용기 검출 센서(21)를 가지며, 음료 공급 공간(EA)에 있어서의 용기(C)의 배치 유무, 즉 스테이지(6)에 용기(C)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The container detection unit 20 has, for example, a container detection sensor 21 such as an optical sensor, and whether or not the container C is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space EA, that is, the container C is disposed on the stage 6 It is to detect whether or not.

정보 판독부(30)는, 음료 공급 공간(EA)에 설치되고, 음료 종별 센서(31), 용기 사이즈 센서(32)를 갖는다. 용기 사이즈 센서(32)는, 아이스 용량 대 센서 및 핫 용량 대 센서를 갖는다.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 is provided in the beverage supply space EA, and has a beverage type sensor 31 and a container size sensor 32. The container size sensor 32 has an ice volume versus sensor and a hot volume versus sensor.

음료 종별 센서(31)는, 음료 공급 공간(EA)의 측면에 설치되고, 용기 검출 센서(21)의 상부에서, 모든 사이즈의 용기(C)를 검출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지향된다. 음료 종별 센서(31)는, 용기(C)의 색을 판독하여, 음료 종별을 판정한다. 예컨대, 음료 종별 센서(31)는, 용기(C)의 색이 백색 혹은 갈색인 경우, 핫 커피라고 판정하고, 그 이외의 색인 경우, 아이스 커피라고 판정한다. 또한, 음료 종별 센서(31)는, 용기(C)의 색이 아니라, 용기(C)의 반사율 등으로 용기(C)의 재질을 검출하여, 이 검출 결과로부터 음료 종별을 판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용기(C)의 색의 판독에 의한 음료 종별의 판정에는, 기억부(43)에 기억된 음료 판정 정보(D1)를 이용하여 판정한다. 또한, 음료 종별 센서(31)는, 용기(C)의 색의 검출과 용기(C)의 재질의 검출 중 어느 한쪽만이 아니라, 적절하게 조합한 센서로 하여도 좋다.The beverage type sensor 31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everage supply space EA, and is directed from the top of the container detection sensor 21 in a direction in which containers C of all sizes can be detected. The beverage type sensor 31 reads the color of the container C and determines the beverage type. For example, when the color of the container C is white or brown, the beverage type sensor 31 determines that it is hot coffee, and when the color of the container C is other than that, it determines that it is iced coffee. Further, the beverage type sensor 31 may detect the material of the container C based on the reflectance of the container C, not the color of the container C, and determine the type of the beverage from the detection result.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of the beverage type by reading the color of the container C is performed using the beverage determination information D1 stored in the storage unit 43. Further, the beverage type sensor 31 may be an appropriately combined sensor, not only one of the detection of the color of the container C and the detection of the material of the container C.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 사이즈 센서(32)는, 아이스 용량 대 센서 및 핫 용량 대 센서를 가지며, 용기(C)의 사이즈를 검출한다. 예컨대, 용기(C)의 사이즈로서, 큰 순으로, 아이스 L(large) 사이즈, 핫 L(large) 사이즈, 아이스 R(레귤러) 사이즈, 핫 R(레귤러) 사이즈가 있는 경우, 아이스 용량 대 센서는, 음료 공급 공간(EA)의 측면에 설치되고, 아이스 L 사이즈 센서로서, 아이스 L 사이즈만을 검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며, 핫 용량 대 센서는, 음료 공급 공간(EA)의 측면에 설치되고, 핫 L 사이즈 센서로서, 핫 L 사이즈만을 검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size sensor 32 has an ice volume versus sensor and a hot volume versus sensor, and detects the size of the container C. For example, as the size of the container C, if there is an ice L (large) size, a hot L (large) size, an ice R (regular) size, and a hot R (regular) size in order of magnitude, ice volume versus sensor is , I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everage supply space (EA), as an ice L size sensor, is arranged in a position that can detect only the ice L size, and the hot capacity vs. sensor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everage supply space (EA), As a hot L size sensor, it is placed in a position capable of detecting only the hot L size.

음료 종별 센서(31) 및 용기 사이즈 센서(32)는, 용기(C)의 음료 종별과 음료 용량을 판별하는 음료 정보 검출부로서 기능한다. 음료 정보 검출부의 기능은, 예컨대, 음료 종별 센서(31)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아이스 커피인지 핫 커피인지를 판별하여, 아이스 커피로서, 아이스 용량 대 센서가 용기(C)를 검출한 경우, 아이스 커피의 라지 사이즈라고 판정하고, 아이스 용량 대 센서가 용기(C)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 아이스 커피의 레귤러 사이즈라고 판정한다. 또한, 음료 종별이 핫 커피인 경우, 핫 용량 대 센서가 용기(C)를 검출한 경우, 핫 커피의 라지 사이즈라고 판정하고, 핫 용량 대 센서가 용기(C)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 핫 커피의 레귤러 사이즈라고 판정한다.The beverage type sensor 31 and the container size sensor 32 function as a beverage information detec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beverage type and beverage capacity of the container C. The function of the beverage information detection unit is, for example, by determining whether it is ice coffee or hot coffe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beverage type sensor 31, and when the ice capacity vs. the sensor detects the container C as ice coffee, ice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 large size of coffee, and if the ice volume vs. sensor does not detect the container C,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 regular size of iced coffee. In addition, when the beverage type is hot coffee, when the hot volume vs. sensor detects the container (C), it is determined as a large size of hot coffee, and when the hot volume vs. sensor does not detect the container (C), hot coffee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 regular size of.

도어 개폐 검출부(41)는, 음료 공급 공간(EA)의 입구 근방에 설치되고, 예컨대 광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도어 개폐 검출부(41)는, 개폐 도어(4)에 의한 입구의 개폐를 검출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 도어(4)가 닫힘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41 is provided near the entrance of the beverage supply space EA, and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n optical sensor.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41 detects opening/closing of the entrance by the opening/closing door 4, and more specifically, detects whether the opening/closing door 4 is closed.

도어 개폐 록 기구(42)는, 음료 공급 공간(EA)의 입구 근방에 설치된다. 도어 개폐 록 기구(42)는, 개폐 도어(4)가 닫힘으로 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록을 행함과 더불어, 개폐 도어(4)의 열림을 허용하는 록 해제를 행한다.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42 is provided near the entrance of the beverage supply space EA.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42 locks to keep the opening/closing door 4 in a closed state, and releases a lock allowing the opening/closing door 4 to be opened.

기억부(43)는, 하드디스크 장치나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기억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음료 판정 정보(D1)를 기억한다.The storage unit 43 is a storage device including a hard disk device, a nonvolatile memory, or the like, and stores at least beverage determination information D1.

음료 생성부(44)는, 음료 종별 센서(31) 및 용기 사이즈 센서(32)에 의해 검출한 음료 종별 및 음료 용량의 음료를 생성하여 용기(C)에 공급한다. 음료 생성부(44)는, 예컨대 커피 원두 그라인딩 및 드리핑의 추출 처리 등을 행하여 음료를 생성하고, 용기(C)에 대하여 음료를 공급한다. The beverage generation unit 44 generates beverages of the beverage type and beverage capacity detected by the beverage type sensor 31 and the container size sensor 32 and supplies them to the container C.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44 produces a beverage by performing, for example, an extraction process of coffee bean grinding and dripping, and supplies the beverage to the container C.

제어부(50)는, 음료 공급 장치(1)의 전체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이며, 음료 공급 제어부(51) 및 음료 공급 개시 제어부(52)를 갖는다. 실제로는, 음료 공급 제어부(51) 및 음료 공급 개시 제어부(52)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불휘발성 메모리나 자기 디스크 장치 등의 기억 장치에 기억시켜 두고, 이들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로드하여,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실행함으로써,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게 된다.The control unit 50 is a control unit that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1, and includes a beverage supply control unit 51 and a beverage supply start control unit 52. In practice, programs corresponding to the beverage supply control unit 51 and the beverage supply start control unit 52 are stored in a storage device such as a nonvolatile memory or a magnetic disk device, and these programs are loaded into the memory, and CPU (Central Processing) Unit)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process.

음료 공급 제어부(51)는, 음료 종별 센서(31) 및 용기 사이즈 센서(32)가 검출한 음료 종별 및 음료 용량의 음료를, 음료 생성부(44)가 생성하게 하여, 용기(C)에 공급하는 제어를 행한다.The beverage supply control unit 51 causes the beverage generation unit 44 to generate beverages of the beverage type and beverage capacity detected by the beverage type sensor 31 and the container size sensor 32, and supply them to the container C. Control.

음료 공급 개시 제어부(52)는, 확인 버튼(10a)의 표시 개시로부터 확인 버튼(10a)의 누름 조작이 없고, 일정 시간 경과한 경우, 음료 공급 제어부(51)에 의한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을 시작하게 하는 지시를 행한다. 또한, 음료 공급 개시 제어부(52)는, 표시 조작부(10)가 정상 동작하고 있는 경우,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개시까지의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카운트다운 화면을 표시 조작부(10)에 표시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The beverage supply start control unit 52 starts generation and supply of the beverage by the beverage supply control unit 51 when there is no press operation of the confirmation button 10a from the start of display of the confirmation button 10a, and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Give instructions to make it happen.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operation unit 10 is operating normally, the beverage supply start control unit 52 performs a process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operation unit 10 a countdown screen indicating the remaining time until the start of production and supply of beverages. Do.

<음료 공급 제어 처리><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in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50)에 의한 음료 공급 제어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는, 용기 검출부(20)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용기(C)가 음료 공급 공간(EA)의 스테이지(6)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10). 용기(C)가 스테이지(6)에 없는 경우(단계 S110, No), 본 판정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용기(C)가 스테이지(6)에 있는 경우(단계 S110, Yes)에는, 또한, 도어 개폐 검출부(41)의 검지 결과를 바탕으로 개폐 도어(4)가 닫힘인지 여부를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20). 개폐 도어(4)가 닫힘이 아닌 경우(단계 S120, No)에는, 단계 S120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3 is a flowchart showing a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procedure by the control unit 50 shown in FIG. 2.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unit 5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ntainer C is in the stage 6 of the beverage supply space EA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container detection unit 20 (step S110). ). If the container C is not in the stage 6 (step S110, No), this determination process is repe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ainer C is in the stage 6 (step S110, Yes), it is further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open/close door 4 is clos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41. (Step S120).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4 is not closed (step S120, No),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step S120 is repeated.

한편, 개폐 도어(4)가 닫힘인 경우(단계 S120, Yes), 음료 종별 센서(31) 및 용기 사이즈 센서(32)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음료 종별과 음료 용량을 결정한다(단계 S130).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n/close door 4 is closed (step S120, Yes), the beverage type and the beverage capacity are determin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beverage type sensor 31 and the container size sensor 32 (step S130).

그 후, 제어부(50)는, 표시 조작부(10)에 대하여, 전술한 단계 S120에서 판정한 음료 종별 및 음료 용량의 표시와, 확인 버튼(10a)의 터치를 안내하는 안내 표시를 행한다(단계 S140). 또한, 제어부(50)는, 확인 버튼(10a)이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50). 확인 버튼(10a)이 터치된 경우(단계 S150, Yes), 제어부(50)는, 도어 개폐 록 기구(42)를 이용하여 개폐 도어(4)를 닫힘 상태로 록한다(단계 S160). 그 후, 제어부(50)는, 음료 공급 제어부(51)를 통해 음료 생성부(44)에 대하여 음료의 생성 및 공급 처리를 행하게 한다(단계 S170).Thereafter, the control unit 50 performs a guide display for guiding the display operation unit 10 to display the beverage type and beverage capacity determin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S120 and the touch of the confirmation button 10a (step S140). ). Further, the control unit 5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nfirmation button 10a has been touched (step S150). When the confirmation button 10a is touched (step S150, Yes), the control unit 50 locks the opening/closing door 4 to the closed state by using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42 (step S160). After that, the control unit 50 causes the beverage generation unit 44 to generate and supply beverages through the beverage supply control unit 51 (step S170).

그리고, 제어부(50)는, 음료 생성부(44)에 의한 음료 공급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80). 음료 공급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단계 S180, No)에는, 제어부(50)는, 단계 S170으로 되돌아가 음료의 생성 및 공급 처리를 속행한다. 한편, 음료 공급이 종료된 경우(단계 S180, Yes)에는, 제어부(50)는, 도어 개폐 록 기구(42)에 의한 개폐 도어(4)의 닫힘 상태의 록을 해제하고(단계 S190), 본 처리를 종료한다.Then, the control unit 5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beverage supply by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44 has ended (step S180). When the beverage supply is not finished (step S180, No), the control unit 50 returns to step S170 to continue the beverage generation and supply process. On the other hand, when the beverage supply is terminated (step S180, Yes), the control unit 50 releases the lock of the closed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4 by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42 (step S190), and End processing.

한편, 확인 버튼(10a)이 터치되지 않는 경우(단계 S150, No), 또한, 확인 버튼(10a)의 표시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00).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단계 S200, No)에는, 단계 S150으로 이행하여, 확인 버튼(10a)의 터치가 있었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firmation button 10a is not touched (step S150, No), it is further determined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display of the confirmation button 10a (step S200). When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not elapsed (step S200, No), the flow advances to step S150, and a determination is made as to whether or not the confirmation button 10a has been touched.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단계 S200, Yes)에는, 또한 표시 조작부(10)의 화면 조작이 불가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10). 화면 조작이 불가가 아닌 경우(단계 S210, No),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개시까지의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카운트다운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220). 그리고, 카운트다운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30). 카운트다운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단계 S230, No)에는, 단계 S220으로 이행하여 카운트다운 화면의 표시를 속행한다. 한편, 카운트다운이 종료된 경우(단계 S230, Yes)에는, 단계 S170으로 이행하여,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을 시작한다.When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step S200, Yes), it is further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creen operation of the display operation unit 10 is in an impossible state (step S210). If the screen operation is not impossible (step S210, No), a countdown screen indicating the remaining time until the start of production and supply of beverages is displayed (step S220).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ountdown has ended (step S230). If the countdown has not been completed (step S230, No),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20 and the display of the countdown screen continu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untdown has ended (step S230, Ye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70 to start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beverages.

한편, 화면 조작이 불가인 경우(단계 S210, Yes), 단계 S170으로 이행하여,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을 시작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screen operation is impossible (step S210, Ye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70, and the generation and supply of beverages are started.

또한, 단계 S200에서는, 확인 버튼(10a)의 표시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표시 조작부(10)에 대한 조작이 없는 상태가 일정 시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다.Further, in step S200, it is determined wheth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from the display of the confirmation button 10a, bu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whether or not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operation on the display operation unit 10 has elapsed for a certain time. You may want to judge.

<표시 조작부의 표시 화면예><Example of display screen on the display control panel>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표시 조작부(10)의 표시 화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음료로서, 핫 커피의 레귤러 사이즈를 구입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a)에서는, 우선, 음료 종별과 음료 용량을 나타내는 표시와, 추출 개시라고 표시된 확인 버튼(10a)의 표시와, 확인 버튼(10a)의 누름을 안내하는 안내 표시를 포함하는 음료 생성 개시 화면(P0)이 표시된다. 도 4의 (a)에서는, 확인 버튼(10a)이 눌려지기 때문에, 음료 공급 제어부(51)는, 핫 커피의 레귤러 사이즈의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을 시작함과 더불어, 추출중 화면(P11)을 표시한다.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operation unit 10 shown in FIG. 2. 4 shows a case of purchasing a regular size of hot coffee as a beverage. In Figure 4 (a), first, beverage generation including a display indicating the type of beverage and the amount of beverage, a display of the confirmation button 10a marked to start extraction, and a guide display guiding the pressing of the confirmation button 10a. The start screen P0 is displayed. In Fig. 4A, since the confirmation button 10a is pressed, the beverage supply control unit 51 starts generating and supplying a regular-sized beverage of hot coffee, and displays a screen P11 during extraction. Indicate.

도 4의 (b)는 표시 조작부(10)의 화면 표시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이 경우, 화면 표시가 불가 상태이기 때문에, 일정 시간 경과 후,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이 자동적으로 시작된다.4B shows a case in which a failure occurs in the screen display of the display operation unit 10, and in this case, since the screen display is in an impossible stat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beverages are automatically started. .

도 4의 (c)는 표시 조작부(10)의 화면 표시는 정상 상태이지만, 고객이 확인 버튼(10a)을 일정 시간 내에 누르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화면 표시는 정상이기 때문에, 카운트다운 화면(P12)을 표시하고, 카운트다운이 종료되면,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을 자동적으로 시작한다.4C shows a case where the screen display of the display operation unit 10 is in a normal state, but the customer does not press the confirmation button 10a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 this case, since the screen display is normal, the countdown screen P12 is displayed, and when the countdown ends,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beverages are automatically star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조작부(10)에 대한 조작이 없어도 음료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고객으로부터의 불만의 발생을 억지함과 더불어, 판매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beverages can be supplied even without an operation on the display operation unit 10, the occurrence of complaints from other customers can be suppressed and sales loss can be reduced.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 및 변형례에서 나타낸 각 구성은 기능 개략적인 것이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도시가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즉, 각 장치 및 구성 요소의 분산·통합의 형태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전부 또는 일부를 각종 사용 상황 등에 따라, 임의의 단위로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산·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configuration show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is a functional schematic, and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physically illustrated. That is, the form of dispersion and integration of each device and component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 and all or part of it may be functionally or physically distributed and integrated in arbitrary units according to various usage conditions and the like.

1: 음료 공급 장치 2: 본체 캐비닛
3: 전면 도어 4: 개폐 도어
5: 노즐 6: 스테이지
7: 스토퍼 10: 표시 조작부
10a: 확인 버튼 20: 용기 검출부
21: 용기 검출 센서 30: 정보 판독부
31: 음료 종별 센서 32: 용기 사이즈 센서
41: 도어 개폐 검출부 42: 도어 개폐 록 기구
43: 기억부 44: 음료 생성부
50: 제어부 51: 음료 공급 제어부
52: 음료 공급 개시 제어부 C: 용기
D1: 음료 판정 정보 EA: 음료 공급 공간
P0: 음료 생성 개시 화면 P11: 추출중 화면
P12: 카운트다운 화면
1: beverage supply unit 2: main body cabinet
3: front door 4: opening and closing door
5: nozzle 6: stage
7: stopper 10: display control panel
10a: confirmation button 20: container detection unit
21: container detection sensor 30: information reading unit
31: beverage type sensor 32: container size sensor
41: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42: door open/close lock mechanism
43: storage unit 44: beverage generation unit
50: control unit 51: beverage supply control unit
52: beverage supply start control unit C: container
D1: Beverage judgment information EA: Beverage supply space
P0: Beverage creation start screen P11: Brewing screen
P12: Countdown screen

Claims (6)

음료를 생성하는 음료 생성부를 구비하고, 배치되는 용기에 대하여 상기 음료 생성부로부터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용기의 음료 정보를 검출하는 음료 정보 검출 센서와,
상기 음료 정보의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개시를 지시하는 확인 버튼을 적어도 표시하는 표시 조작부와,
상기 확인 버튼을 누름으로써 상기 음료 정보의 음료를 생성하여 상기 용기에 공급하는 제어를 행하는 음료 공급 제어부와,
상기 확인 버튼의 표시 개시로부터 상기 확인 버튼의 누름 조작이 없고, 일정 시간 경과한 경우, 상기 음료 공급 제어부에 의한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을 시작하게 하는 지시를 행하는 음료 공급 개시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A beverage supply device comprising a beverag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beverage, and supplying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to a container to be disposed,
A beverage information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bever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A display operation unit for at least displaying a confirmation button for instructing the start of generation and supply of beverages of the beverage information;
A beverage suppl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oduction of beverages of the beverage information and supplying them to the container by pressing the confirmation button;
When there is no push operation of the confirmation button from the start of the display of the confirmation button, and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beverage supply start control unit issues an instruction to start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the beverage by the beverage supply control unit
Beverage supply device comprising a.
음료를 생성하는 음료 생성부를 구비하고, 배치되는 용기에 대하여 상기 음료 생성부로부터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용기의 음료 정보를 검출하는 음료 정보 검출 센서와,
각종 정보의 표시 및 조작을 행하는 표시 조작부와,
상기 표시 조작부에 대한 조작을 바탕으로 상기 음료 정보의 음료를 생성하여 상기 용기에 공급하는 제어를 행하는 음료 공급 제어부와,
상기 표시 조작부에 대한 조작이 없는 상태가 일정 시간 경과한 경우, 상기 음료 공급 제어부에 의한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을 시작하게 하는 지시를 행하는 음료 공급 개시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A beverage supply device comprising a beverag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beverage, and supplying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to a container to be disposed,
A beverage information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bever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A display operation unit for displaying and opera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 beverage suppl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generate a beverage of the beverage information and supply it to the container based on an operation on the display operation unit;
A beverage supply start control unit that issues an instruction to start generation and supply of a beverage by the beverage supply control unit when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in the state in which there is no operation on the display operation unit
Beverage supply device comprising 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 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조작부가 정상 동작하고 있는 경우,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개시까지의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카운트다운 화면을 상기 표시 조작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everage supply start control unit, when the display operation unit is operating normally, displays a countdown screen indicating a remaining time until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beverages is started on the display operation unit.
음료를 생성하는 음료 생성부를 구비하고, 배치되는 용기에 대하여 상기 음료 생성부로부터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방법으로서,
상기 용기의 음료 정보를 검출하는 음료 정보 검출 단계와,
상기 음료 정보의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개시를 지시하는 확인 버튼을 적어도 표시하는 표시 조작 단계와,
상기 확인 버튼을 누름으로써 상기 음료 정보의 음료를 생성하여 상기 용기에 공급하는 제어를 행하는 음료 공급 제어 단계와,
상기 확인 버튼의 표시 개시로부터 상기 확인 버튼의 누름 조작이 없고, 일정 시간 경과하는 경우, 상기 음료 공급 제어 단계에 의한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을 시작하게 하는 지시를 행하는 음료 공급 개시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방법.
A beverage supply method comprising a beverag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beverage, and supplying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generation unit to a container to be disposed,
Beverage information detection step of detecting bever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A display operation step of at least displaying a confirmation button instructing the start of generation and supply of beverages of the beverage information;
A beverage supply control step of performing control of generating a beverage of the beverage information and supplying it to the container by pressing the confirmation button;
When there is no push operation of the confirmation button from the start of the display of the confirmation button, and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 beverage supply start control step of giving an instruction to start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beverage by the beverage supply control step
Beverage supply method comprising a.
음료를 생성하는 음료 생성부를 구비하고, 배치되는 용기에 대하여 상기 음료 생성부로부터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방법으로서,
상기 용기의 음료 정보를 검출하는 음료 정보 검출 단계와,
각종 정보의 표시 및 조작을 행하는 표시 조작 단계와,
상기 표시 조작 단계에서의 조작을 바탕으로 상기 음료 정보의 음료를 생성하여 상기 용기에 공급하는 제어를 행하는 음료 공급 제어 단계와,
상기 표시 조작 단계에서의 조작이 없는 상태가 일정 시간 경과한 경우, 상기 음료 공급 제어 단계에 의한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을 시작하게 하는 지시를 행하는 음료 공급 개시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방법.
A beverage supply method comprising a beverag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beverage, and supplying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to a container to be disposed,
Beverage information detection step of detecting bever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A display operation step for displaying and opera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A beverage supply control step of generating and supplying a beverage of the beverage information to the container based on an operation in the display manipulation step;
Beverage supply start control step of giving an instruction to start generation and supply of beverage by the beverage supply control step when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in the state in which there is no operation in the display operation step
Beverage supply method comprising a.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 개시 제어 단계는, 상기 표시 조작 단계가 정상 동작하고 있는 경우,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개시까지의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카운트다운 화면을 표시 조작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In the beverage supply start control step, when the display operation step is in normal operation, a countdown screen indicating a remaining time until a beverage production and supply star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peration unit.
KR1020217005093A 2018-09-14 2019-08-22 Beverage supply device and beverage supply method KR10254332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73035 2018-09-14
JP2018173035A JP6673417B2 (en) 2018-09-14 2018-09-14 Beverage supply device and beverage supply method
PCT/JP2019/032911 WO2020054352A1 (en) 2018-09-14 2019-08-22 Beverage supply device and beverage supply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974A true KR20210031974A (en) 2021-03-23
KR102543326B1 KR102543326B1 (en) 2023-06-13

Family

ID=6977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093A KR102543326B1 (en) 2018-09-14 2019-08-22 Beverage supply device and beverage supply metho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73417B2 (en)
KR (1) KR102543326B1 (en)
CN (1) CN112638819B (en)
WO (1) WO2020054352A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6219A (en) * 2000-01-12 2001-09-28 Fujitsu Lt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2002234596A (en) * 2001-02-06 2002-08-20 Fuji Electric Co Ltd Beverage dispenser
JP2016038624A (en) * 2014-08-05 2016-03-22 富士電機株式会社 Method for preparing beverage in cup
JP2017007715A (en) 2015-06-24 2017-01-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Beverage dispenser
JP2017159941A (en) * 2016-03-10 2017-09-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Beverage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5763A (en) * 1995-12-27 1997-07-15 Sanyo Electric Co Ltd Automatic vending machine
JP4703457B2 (en) * 2006-03-28 2011-06-15 三洋電機株式会社 Beverage supply equipment
CN104545454A (en) * 2013-10-29 2015-04-29 新宝基电器(深圳)有限公司 Beverage machine
CN107074521B (en) * 2014-10-31 2019-07-0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Beverage supply device
JP6413690B2 (en) * 2014-11-19 2018-10-3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Trading device
CN206482458U (en) * 2016-11-25 2017-09-12 郑州跃龙电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touch water intake system in Drinking fountain
WO2019054081A1 (en) * 2017-09-12 2019-03-21 富士電機株式会社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and beverage dispensing method
JP2019070869A (en) * 2017-10-05 2019-05-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Beverage dispenser system, beverage dispenser method and beverage dispenser progra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6219A (en) * 2000-01-12 2001-09-28 Fujitsu Lt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2002234596A (en) * 2001-02-06 2002-08-20 Fuji Electric Co Ltd Beverage dispenser
JP2016038624A (en) * 2014-08-05 2016-03-22 富士電機株式会社 Method for preparing beverage in cup
JP2017007715A (en) 2015-06-24 2017-01-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Beverage dispenser
JP2017159941A (en) * 2016-03-10 2017-09-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Beverage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73417B2 (en) 2020-03-25
CN112638819B (en) 2023-06-27
CN112638819A (en) 2021-04-09
WO2020054352A1 (en) 2020-03-19
JP2020045118A (en) 2020-03-26
KR102543326B1 (en) 202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9902B1 (en) Machine for dispensing beverages
KR102312793B1 (en) Beverage dispensing device and beverage dispensing method
US20210045572A1 (en) Beverage server
JP6709988B2 (en) Beverage supply device
KR102543326B1 (en) Beverage supply device and beverage supply method
JP7087645B2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JP7210954B2 (en) BEVERAGE SUPPLY DEVICE AND MOVIE PLAYBACK CONTROL METHOD
JP7255171B2 (en) Beverage supply device and beverage supply method
JP7205124B2 (en) Beverage supply device and sensor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US20210094816A1 (en) Beverage supplying apparatus
WO2019216103A1 (en) Beverage supply device
JP7192242B2 (en) beverage dispenser
JP2020045160A (en) Beverage feeder and beverage feeding method
JP2020045122A (en) Beverage supply device and screen transition control method
JP7424398B2 (en) beverage dispensing equipment
JP7484128B2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JP5526830B2 (en) vending machine
JP7268361B2 (en) beverage dispenser
JP4736200B2 (en) Cup vending machine
JP5359099B2 (en) POS terminal device
JP2019195362A (en) Beverage supply device
JP2006127139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JPH0370274B2 (en)
JPH02141892A (en) Controller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KR20100027729A (en) Vending machine using personal cup and method for processing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