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1322A -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1322A
KR20210031322A KR1020190113115A KR20190113115A KR20210031322A KR 20210031322 A KR20210031322 A KR 20210031322A KR 1020190113115 A KR1020190113115 A KR 1020190113115A KR 20190113115 A KR20190113115 A KR 20190113115A KR 20210031322 A KR20210031322 A KR 20210031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meth
repeating unit
adhesive composition
acrylic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수
조현주
서성종
한혜수
양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113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1322A/ko
Publication of KR20210031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32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2C2-(meth)acrylate, e.g. 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3C3-(meth)acrylate, e.g. (iso)prop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5C5-(meth)acrylate, e.g. pen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6C6-(meth)acrylate, e.g. (cyclo)hexyl (meth)acrylate or phen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7C7-(meth)acrylate, e.g. heptyl (meth)acrylate or benz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9C9-(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1C10or C11-(Meth)acrylate, e.g. isodecyl (meth)acrylate, isobornyl (meth)acrylate or 2-naph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2C12-(meth)acrylate, e.g. laur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45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수한 접착 물성을 구현할 수 있고, 박리 시 잔사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의류 용 라벨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ACRYLIC EMULSION PRESSURE SNSITIVE ADHESIVE COMPOSITION}
본 발명은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점착제(Pressure-Sensitive Adhesive, PSA)는 작은 압력으로 피착제에 접착하는 성질을 가진 물질이다. 접착제와는 다른 점탄성적인 물질로 초기 점착력, 점착력, 응집력의 기본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인쇄, 화학, 의약품, 가전 제품, 자동차, 문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라벨 혹은 라벨 스티커라 불리는 점착 라벨은 제품의 상표, 광고는 물론 인쇄, 화학, 의약품, 화장품, 식품 산업, 가전제품, 자동차, 문구 등 거의 전 산업 분야에 사용된다. 점착 라벨로 사용되는, 피착물은, 아트지, 모조지, 미라지, 금은지, 감열지, 크라프드지, 형광지, 멸균지, 인화지 등의 종이류, 또는 PET, PVC, PE, PP, PS, PI 등의 고분자 필름 류가 주로 사용되며, 보통 표면에 일정한 인쇄를 거쳐 최종 제품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점착 라벨에 사용되는 점착제는 용도에 따라 점착력의 강도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영구형(permanent) 점착제는 표준 피착물을 사용하여 180 도 박리 강도 기준으로 약 8 N/in 이상의 강한 점착력을 보이지만, 종이를 피착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박리 시, 피착물이 파괴될 수 있다.
반면, 박리형(removable) 점착제는 표준 피착물을 사용하여 180도 박리 강도 기준으로 약 5 내지 8 N/in의 점착력을 나타낸다. 이는, 필요에 따라 박리가 가능한 수준의 점착력으로, 대개 일시적으로 라벨을 붙이는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의 경우, 점착력(tack 물성)을 향상시키면 shear resistance가 감소하고, 피착체에 점착제가 묻어나는, 이른바 잔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우수한 점착력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잔사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점착제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명세서는, 우수한 점착력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점착 이후 제거 시, 잔사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는, (A) (A1)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 유래 제1 반복 단위; (A2) 히드록시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 유래 제2 반복 단위; (A3) 불포화 카르복실 산 계 단량체 유래 제3 반복 단위; 및 (A4) 비닐 계 단량체 유래 제 4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유화 중합체 입자 (A); 및 (B) 알루미늄 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드록시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는 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불포화 카르복실 산 계 단량체는 아크릴 산(acrylic acid), 푸마르 산(fumaric acid), 말레 산(maleic acid), 이타콘 산(itaconic acid), 시트라콘 산(citraconic acid), 메사콘 산(mesaconic acid), 글루타콘 산(glutaconic acid), 및 알릴말론 산(allylmalo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닐 계 단량체는, 비닐 에터 계 단량체, 비닐 에스터 계 단량체, 비닐 아미드 계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 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루미늄 계 경화제는, 분자 내에 히드록시 기 및 카르복시 기를 모두 포함하는 유기 산의 알루미늄 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알루미늄 계 경화제는, 상기 유화 중합체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랑부로 포함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화 중합체는, 유화 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A1)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 유래 제1 반복 단위 약 60 내지 약 90 wt%; (A2) 히드록시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 유래 제2 반복 단위 약 5 내지 약 20 wt%; (A3) 불포화 카르복실 산 계 단량체 유래 제3 반복 단위 약 0.1 내지 약 10 wt%; 및 (A4) 비닐 계 단량체 유래 제 4 반복 단위 약 0.1 내지 약 10 wt%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A1)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 유래 제1 반복 단위 약 70 내지 약 85 wt%; (A2) 히드록시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 유래 제2 반복 단위 약 10 내지 약 20 wt%; (A3) 불포화 카르복실 산 계 단량체 유래 제3 반복 단위 약 0.1 내지 약 5 wt%; 및 (A4) 비닐 계 단량체 유래 제 4 반복 단위 약 0.1 내지 약 5 w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반복 단위는, 알킬 기의 탄소 수가 6 내지 10인 장쇄형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 및 및 알킬 기의 탄소 수가 1 또는 2인 단쇄형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반복 단위는, 알킬 기의 탄소 수가 6 내지 10인 장쇄형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킬 기의 탄소 수가 1 또는 2인 단쇄형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 약 5 내지 약 20 중량부, 또는 약 7 내지 약 1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화 중합체는, 내부 가교제에 의해 형성된 가교 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내부 가교제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X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Y는, 산소 원자, 또는 -NR2-이고, R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Z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한편 본 명세서는,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는,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제1항에 따른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 부재를 제공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 부재는, 접착력이 약 4N/in 이상, 혹은 약 5N/in 이상일 수 있으며, 그 상한은 약 10N/in 이하, 혹은 약 9N/in 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 부재는 잔사율이 약 1%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0.5%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 요소, 이들의 조합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 층 또는 요소가 각 층들 또는 요소들의 "상에" 또는 "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각 층 또는 요소가 직접 각 층들 또는 요소들의 위에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거나, 다른 층 또는 요소가 각 층 사이, 대상체, 기재 상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A1)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 유래 제1 반복 단위; (A2) 히드록시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 유래 제2 반복 단위; (A3) 불포화 카르복실 산 계 단량체 유래 제3 반복 단위; 및 (A4) 비닐 계 단량체 유래 제 4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유화 중합체 입자 (A); 및 (B) 알루미늄 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 등의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라텍스 입자의 에멀젼을 포함하는,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에서, 특정 단량체를 조합하고, 라텍스 입자의 외부 경화제로 알루미늄계 경화제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력이 우수하면서도, 박리 시 잔사가 발생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은, 특정 단량체의 유화 중합체, 즉, 라텍스 입자를 포함하며, 각 단량체는, 라텍스 입자 내에서,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위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단량체
먼저, 상기 라텍스 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유화 중합에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제1 단량체로 일컬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라텍스 입자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로부터 유래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제1 반복 단위라 할 수 있다.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텍스 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유화 중합에는, 상술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외에 히드록시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제2단량체로 일컬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라텍스 입자는 히드록시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로부터 유래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제2 반복 단위라 할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는, 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텍스 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유화 중합에는, 불포화 카르복실 산 계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제3단량체로 일컬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라텍스 입자는 불포화 카르복실 산 계 단량체로부터 유래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제3 반복 단위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불포화 카르복실 산 계 단량체는 아크릴 산(acrylic acid), 푸마르 산(fumaric acid), 말레 산(maleic acid), 이타콘 산(itaconic acid), 시트라콘 산(citraconic acid), 메사콘 산(mesaconic acid), 글루타콘 산(glutaconic acid), 및 알릴말론 산(allylmalo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텍스 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유화 중합에는, 비닐 계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제4단량체로 일컬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라텍스 입자는 비닐 계 단량체로부터 유래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제4 반복 단위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닐 계 단량체는, 비닐 에터 계 단량체, 비닐 에스터 계 단량체, 비닐 아미드 계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 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 에터 계 단량체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에틸 비닐 에테르, 프로필 비닐 에테르, 부틸 비닐 에테르, 펜틸 비닐 에테르, 헥실 비닐 에테르, 및 2-에틸헥실 비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에틸 비닐 에테르나, 2-에틸헥실 비닐 에테르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비닐 에스터 계 단량체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비닐 부티레이트, 비닐 발레레이트, 비닐 카프로에이트, 비닐 헵틸레이트, 비닐 카프릴레이트, 비닐 페라르고네이트, 비닐 라우레이트, 비닐 스테아레이트, 비닐 벤조에이트, 비닐 피발레이트, 비닐 네오노나노에이트, 비닐 네오데카노에이트, 비닐 네오운데카노에이트, 및 비닐-2-에틸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비닐 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비닐 아미드 계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수 1 내지 10의 알킬, 탄소 수 6 내지 20의 아릴, 탄소 수 7 내지 20의 아릴알킬, 또는, 탄소 수 7 내지 20의 알킬아릴이고, R3는, 단 결합, 탄소 수 1 내지 10의 알킬렌, 탄소 수 6 내지 20의 아릴렌, 탄소 수 7 내지 20의 아릴알킬렌, 또는, 탄소 수 7 내지 20의 알킬아릴렌이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R3는, 단 결합, 메틸렌,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비닐 메틸 아세트아미드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방향족 비닐 계 단량체는, 스티렌, 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부틸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비닐벤조산메틸, 비닐나프탈렌, 클로로메틸스티렌, 및 디비닐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스티렌, 디비닐벤젠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화 중합체는, 유화 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A1)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 유래 제1 반복 단위 약 60 내지 약 90 wt%; (A2) 히드록시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 유래 제2 반복 단위 약 5 내지 약 20 wt%; (A3) 불포화 카르복실 산 계 단량체 유래 제3 반복 단위 약 0.1 내지 약 10 wt%; 및 (A4) 비닐 계 단량체 유래 제 4 반복 단위 약 0.1 내지 약 10 wt%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A1)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 유래 제1 반복 단위 약 70 내지 약 85 wt%; (A2) 히드록시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 유래 제2 반복 단위 약 10 내지 약 20 wt%; (A3) 불포화 카르복실 산 계 단량체 유래 제3 반복 단위 약 0.1 내지 약 5 wt%; 및 (A4) 비닐 계 단량체 유래 제 4 반복 단위 약 0.1 내지 약 5 w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함량 범위로 인하여, 우수한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으면서도, 박리 시 잔사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반복 단위는, 알킬 기의 탄소 수가 6 내지 10인 장쇄형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 및 및 알킬 기의 탄소 수가 1 또는 2인 단쇄형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쇄형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는,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쇄형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에서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반복 단위는, 알킬 기의 탄소 수가 6 내지 10인 장쇄형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킬 기의 탄소 수가 1 또는 2인 단쇄형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 약 5 내지 약 20 중량부, 또는 약 7 내지 약 1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등의 장쇄형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중합체의 주 사슬을 형성하며, 유화 중합체 입자의 분자량을 증가시키는 단량체로 작용할 수 있고, 특히,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등은, 중합된 라텍스 입자가 분지쇄 구조를 가질 수 있게 하여, 이에 따라 제조되는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이 더 우수한 접착력을 구현할 수 있게 해준다.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단쇄형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및 코팅 물성에 변화를 주어,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에 경도를 증가시켜, 박리 시 잔사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유화 중합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화 중합체, 즉 라텍스 입자는, 상술한 단량체 성분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중합 개시제,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중합용 조성물을 유화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화 중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중합 온도 및 중합 시간은 경우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 온도는 약 50 ℃ 내지 약 200 ℃ 일 수 있고, 중합 시간은 약 0.5 시간 내지 약 20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유화 중합 시 사용 가능한 중합 개시제로는, 무기 또는 유기 과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포타슘 퍼설페이트, 소듐 퍼설페이트, 암모늄 퍼설페이트 등을 포함하는 수용성 중합 개시제와, 큐멘 하이드로퍼옥시드, 벤조일 퍼옥시드 등을 포함하는 유용성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 개시제와 함께 과산화물의 반응 개시를 촉진시키기 위해 활성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활성화제로는 소듐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황산 제1 철, 및 덱스트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약 0.1 내지 약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 외에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타 첨가제를 특별한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합 반응에서 pH를 조절하고, 중합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전해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소듐 히드록시드,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소듐 카보네이트, 소듐 포스페이트, 소듐 설페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유화 중합은, 구체적으로 하기 단계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유화제를 용매에 분산시켜, 유화액을 제조하는, 제1 단계;
각 단량체 성분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및 유화제 등을 혼합하여, 프리 에멀젼을 제조하는, 제2 단계;
중합 개시제 존재 하에, 상기 제1단계의 유화액 및 상기 제2단계의 프리 에멀젼을 혼합하고, 유화 중합을 진행하는 제3 단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술한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제1 단계로,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화액을 제조한다. 이는, 하기 프리 에멀젼(pre-emulsion) 제조 과정과 별도이다. 유화제는, 음이온성 유화제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음이온성 유화제, 양이온성 유화제 및 상술한 비이온성 유화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화제 성분 및 물 등의 용매를 혼합하여, 유화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화액 제조 과정에서, 수 나노미터 크기의 마이셀 초기 입자(micelle)가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계로, 상술한 단량체 혼합물을 포함하는, 프리 에멀젼을 제조하는 과정으로, 상술한 각 단량체, 유화제 등을 물에 혼합하여 프리 에멀젼을 제조한다.
이 때 역시, 유화제로는, 음이온성 유화제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음이온성 유화제 및 상술한 비이온성 유화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프리 에멀젼 내에는, 나노 사이즈의 라텍스 입자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유화제는, 유화액 제조 단계, 및 프리 에멀젼 제조 단계 중 어느 한 단계 이상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단계로, 위에서 준비된 상기 유화액에 중합 개시제를 투입한 후, 상기 프리 에멀젼 및 중합 개시제를 균등한 비율로 소정의 시간 동안 연속 투입한다.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유화액에 투입되는 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약 0 내지 약 1 중량부일 수 있고, 상기 프리 에멀젼과 함께 투입되는 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약 0.1 내지 약 2 중량부일 수 있으며, 상기 연속 투입하는 시간은, 약 3시간 내지 약 7시간일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서, 프리 에멀젼 내 부유 모노머 또는 중합체들이 상기 유화액에서 생성된 초기 입자들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의 결과물들은, 이후, 추가 중합 개시제의 존재 하에, 가온 중합하는 과정을 거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나머지 단량체 들의 중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중합 개시제는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약 0.1 내지 약 10 중량부가 더 투입될 수 있고, 상기 가온 중합은, 약 75 내지 약 85 ℃의 온도에서, 약 40 분 내지 약 80 분 정도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유화액 제조 과정과 프리 에멀젼 제조 과정으로 이원화 되어 있고, 이후, 유화액에 프리 에멀젼을 혼합하는 단순한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어, 종래의 고고형분, 저점도의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들에 비해 공정 안정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프리 에멀젼 제조 과정에서는, 내부 가교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내부 가교제들은, 각 단량체들이 가지고 있던 불포화 결합에 의해 중합체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각 단량체 사이를 연결하는 가교 결합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가교 결합에 의해 아크릴계 중합체 내부에서의 응집력이 상승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은, 우수한 점착력과 점착 내구성(shear)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내부 가교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X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Y는, 산소 원자, 또는 -NR2-이고, R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Z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그리고, 이러한 내부 가교제들은, 상술한 단량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05 내지 약 0.5 중량부, 또는 약 0.05 내지 약 0.2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합 단계 이후, pH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계 에멀젼 수지의 pH의 조절은 당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알칼리성 물질인 1가 금속 또는 2가 금속의 수산화물, 염화물, 탄산염 등의 무기물, 암모니아 또는 유기 아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유화제
그리고, 상기 유화 중합에 사용되는 유화제는, 음이온성 유화제, 양이온성 유화제, 및 비이온성 유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화제는, 친수성(hydrophilic) 기와 소수성(hydrophobic) 기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물질로, 유화 중합 과정에서, 미셀(micelle) 구조를 형성하고, 미셀 구조 내부에서 각 단량체의 중합이 일어날 수 있게 한다.
유화 중합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화제는, 음이온성 유화제, 양이온성 유화제, 및 비이온성 유화제 등으로 나뉠 수 있는데, 유화 중합에서의 중합 안정성 측면에서 2종 이상을 서로 섞어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알킬 아릴 에테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알킬 아민,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알킬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이온성 유화제는, 소듐 알킬 디페닐 에테르 디설포네이트,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아릴 에테르 설페이트, 소듐 알킬 설페이트, 소듐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및 디알킬 소듐 설포석시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음이온 유화제와 비이온 유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보다 효과적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유화제의 종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유화제는, 예를 들어, 상기 라텍스 입자의 제조에 사용되는 단량체 성분 총 100 중량부에 대해, 약 0.1 내지 약 10 중량부, 또는, 약 1 내지 약 5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유화제의 양이 너무 많은 경우, 라텍스 입자의 입경이 작아지게 되어, 점,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유화제가 지나치게 적게 사용되는 경우, 유화 중합 반응에서 중합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생성되는 라텍스 입자의 안정성 역시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용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합용 조성물은, 상술한 유화제나 단량체 성분 외에, 물 등의 수성 용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성 용매는, 라텍스 입자의 안정성 및 점도 조절 측면에서, 상기 라텍스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해, 약 10 내지 약 1,00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총 고형분 함량(total solid content, TSC)이 약 10 내지 약 60 중량%로 조절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용매가 지나치게 적게 사용되는 경우,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에서 점도가 상승하고, 유화 중합 시, 라텍스 입자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용매가 지나치게 많이 사용되는 경우, 점도 저하로 인하여, 코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경화제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아크릴 계 점착제 조성물은, 상술한 유화 중합체 입자 외에 알루미늄 계 경화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알루미늄 계 경화제는, 분자 내에 히드록시 기 및 카르복시 기를 모두 포함하는 유기 산의 알루미늄 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루미늄 계 경화제는, Al(-O-(C=O)-R-OH)3의 형태로 표시되며, 상기 R은 단결합, 혹은 탄소 수 1 내지 5의 알킬렌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 계 경화제는, 수 분산이 가능하며, 경화 속도가 느린 특징이 있으며, 아크릴 계 에멀젼, 즉 상술한 단량체의 유화 중합체에 응집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이 사용되는 접착 부재 등에 있어서, 박리 시 잔사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계 경화제는, 상기 유화 중합체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랑부, 또는 약 0.1 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2 중량부 이상, 또는 약 1.0 중량부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약 0.7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수 있다.
경화제가 지나치게 많이 사용되는 경우,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박리 시 잔사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라텍스 입자의 경시 변화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경화제가 지나치게 적게 사용되는 경우, 박리 시 잔사 감소 개선의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접착 부재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 시트 등의 접착 부재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인테리어 재료, 광고용 필름, 또는 의류용 라벨의 점착용 필름이나 시트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계 점착제 조성물이, 박리 시 잔사 개선 효과가 큰 것을 고려하면, 의류용 라벨 등에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 혹은 양면 상에 형성되는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상술한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는, 아트지, 모조지, 미라지, 금은지, 감열지, 크라프드지, 형광지, 멸균지, 인화지 등의 종이류, 또는 PET, PVC, PE, PP, PS, PI 등의 고분자 필름 류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접착 부재는, FINAT 테스트 방법 No. 2 기준에 따라 측정된, 90 degree 박리 강도 값이 약 4 N/in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10 N/in, 또는 약 5 내지 약 9 N/in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 부재는, FINAT 테스트 방법 No. 2 기준에 따른 90 degree 박리 이후, 잔사율 값이 약 1% 미만, 또는 약 0.5% 미만으로, 저잔사 특성을 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은, 우수한 접착력을 구현할 수 있는 동시에, 박리 시 잔사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박리 이후에도 접착 대상의 표면을 손상시키거나 접착되었던 표면에 잔사를 거의 남기지 않아, 특히 의류용 라벨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유화 중합체 입자의 제조
온도 계, 교반기, 적하 깔때기, 질소가스 도입관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3 L 용량의 유리 반응기에 물 220 g과 26 중량% 농도의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아릴에테르 설페이트 10 g을 넣고 교반하였다. 반응기 내부를 질소로 치환한 다음, 질소 분위기 하에서 85 ℃로 승온시키고 이를 60 분 동안 유지하였다.
이와 별도로, 2 L 비이커에, 하기 조성 비에 따른 단량체와 내부 가교제를 투입한 후, 30 분 동안 교반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단량체 혼합물 총 중량: 약 1126 g)
여기에, 26 중량% 농도의 소듐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설페이트 35 g, 45 중량% 농도의 소듐 알킬디페닐옥사이드 디설포네이트 용액 10 g, NaOH 2.2 g, 50 중량 % 농도의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용액 8.8g, 물 44.8g으로 이루어진 용액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백탁의 프리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상기 유리 반응기에 30 중량% 농도의 과황산 암모늄 5.6 g을 투입하고 10 분 동안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상기 유리 반응기에 상기 프리 에멀젼과, 3 중량% 농도의 과황산 암모늄 150g을 5.5 시간 동안 균등하게 연속 투입하면서, 85 ℃에서 중합을 진행하고, 투입이 완료된 후, 1 시간 동안 같은 온도에서 교반을 진행하였다.
이를 상온으로 냉각하고, 5 중량% 농도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pH를 5~7로 조절하여, 유화 중합체 입자를 제조하였다. (고형분 함량: 약 56%)
조성 비(총 합: 100):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5.4;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8; 비닐 아세테이트 12; 스티렌 2;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 아크릴산 0.5; 내부 가교제(Solvay 사 Sipomer WAM II) 0.1
실시예 1
상기에서 제조된 유화 중합체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5 중량부의 알루미늄 계 경화제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약 30분간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알루미늄 계 경화제: Al3+(-O-(C=O)-CH2-OH)3)
실시예 2
상기에서 제조된 유화 중합체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3 중량부의 알루미늄 계 경화제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약 30분간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알루미늄 계 경화제: Al3+(-O-(C=O)-CH2-OH)3)
비교예 1
알루미늄 계 경화제를 첨가하지 않고, 상기에서 제조된 유화 중합체 입자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접착 부재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지에 20 ㎛ 두께로 코팅하고, 120 ℃에서 1 분 간 건조한 후, PE 필름에 라미네이션하여 접착 부재로 제조하였다.
점착 물성 측정
90 degree 박리 강도 측정-SUS 상온 1일
상기에서 제조된 시편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에이징한 후, FINAT 테스트 방법 중 FTM 2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150mm(길이)×25.4mm(폭, 1 inch) 크기의 시편을 준비하고, 스테인리스 스틸(SUS304) 표면에 부착한 후, 2 kg 롤러로 300mm/min의 속도로 2 회 왕복하여 압착하였다.
20분 동안 상온에서 숙성시킨 후, 5초 동안 300 mm/min의 속도로 박리하면서 박리 강도 값을 측정하였다.
측정 시편을 5 개 준비하여 측정한 후 평균 값을 구하였다.
(측정장비: TA Texture Analyzer, 제조 사: Stable Micro Systems; 측정 조건: 23℃ 습도 50%)
잔사율 측정
상기 박리 강도 테스트를 진행하여, 박리 후에 전체 면적 중 점착 대상 기재(SUS304)에 점착제가 묻어 있는 부분의 비율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잔사율을 측정하였다.
측정 시편을 5 개 준비하여 측정한 후 평균 값을 구하였다.
90 degree 박리 강도 측정-SUS 노화 1일
상기에서 제조된 시편을 온도 약 50 ℃ 및 습도 약 90 RH% 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에이징한 후, FINAT 테스트 방법 중 FTM 2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150mm(길이)×25.4mm(폭, 1 inch) 크기의 시편을 준비하고, 스테인리스 스틸(SUS304) 표면에 부착한 후, 2 kg 롤러로 300mm/min의 속도로 2 회 왕복하여 압착하였다.
20분 동안 상온에서 숙성시킨 후, 5초 동안 300 mm/min의 속도로 박리하면서 박리 강도 값을 측정하였다.
측정 시편을 5 개 준비하여 측정한 후 평균 값을 구하였다.
(측정장비: TA Texture Analyzer, 제조 사: Stable Micro Systems; 측정 조건: 23℃ 습도 50%)
잔사율 측정
상기 박리 강도 테스트를 진행하여, 박리 후에 전체 면적 중 점착 대상 기재(SUS304)에 점착제가 묻어 있는 부분의 비율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잔사율을 측정하였다.
측정 시편을 5 개 준비하여 측정한 후 평균 값을 구하였다.
90 degree 박리 강도 측정-의류 노화 1일
의류는 면 48% 폴리에스터 52% 소재의 혼방 의류용 천을 사용하였다.
150mm(길이)×25.4mm(폭, 1 inch) 크기의 시편을 준비하고, 해당 천에 상기에서 제조한 시편을 1kg 롤러로 3번 왕복하여 합지 한 후 5kg 추로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60℃ 및 95% 항온 항습 챔버에 1일 보관한 후 20분 동안 상온에서 숙성시킨 후, 5초 동안 300 mm/min의 속도로 박리하면서 박리 강도 값을 측정하였다.
측정 시편을 5 개 준비하여 측정한 후 평균 값을 구하였다.
(측정장비: TA Texture Analyzer, 제조 사: Stable Micro Systems; 측정 조건: 23℃ 습도 50%)
잔사율 측정
상기 박리 강도 테스트를 진행하여, 박리 후에 전체 면적 중 점착 대상 기재(의류용 천)에 점착제가 묻어 있는 부분의 비율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잔사율을 측정하였다.
측정 시편을 5 개 준비하여 측정한 후 평균 값을 구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SUS 상온 1일 SUS 노화 1일 의류 노화 1일
박리 강도
(N/in)
잔사율
(%)
박리 강도
(N/in)
잔사율
(%)
박리 강도
(N/in)
잔사율
(%)
실시예 1 5.1 0 0.5 0 1.5 3
실시예 2 5.3 0 0.4 0 2 10
비교예 1 4.9 95 4.2 90 2.6 50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은, 충분한 박리 강도 값을 가지면서, 상온, 혹은 고온 다습한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박리 시 잔사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의류용 천에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역시, 박리 시 잔사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원 실시예에 따른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은, 일상 생활의 다양한 분야, 특히 의류용 라벨지 등에서 점, 접착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Claims (13)

  1. (A)
    (A1)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 유래 제1 반복 단위;
    (A2) 히드록시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 유래 제2 반복 단위;
    (A3) 불포화 카르복실 산 계 단량체 유래 제3 반복 단위; 및
    (A4) 비닐 계 단량체 유래 제 4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유화 중합체 입자 (A); 및
    (B) 알루미늄 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는 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카르복실 산 계 단량체는 아크릴 산(acrylic acid), 푸마르 산(fumaric acid), 말레 산(maleic acid), 이타콘 산(itaconic acid), 시트라콘 산(citraconic acid), 메사콘 산(mesaconic acid), 글루타콘 산(glutaconic acid), 및 알릴말론 산(allylmalo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계 단량체는,
    비닐 에터 계 단량체, 비닐 에스터 계 단량체, 비닐 아미드 계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 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계 경화제는, 분자 내에 히드록시 기 및 카르복시 기를 모두 포함하는 유기 산의 알루미늄 염을 포함하는,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계 경화제는, 상기 유화 중합체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랑부로 포함되는,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 중합체는, 유화 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A1)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 유래 제1 반복 단위 60 내지 90 wt%;
    (A2) 히드록시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계 단량체 유래 제2 반복 단위 5 내지 20 wt%;
    (A3) 불포화 카르복실 산 계 단량체 유래 제3 반복 단위 0.1 내지 10 wt%; 및
    (A4) 비닐 계 단량체 유래 제 4 반복 단위 0.1 내지 10 wt%를 포함하는,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복 단위는, 알킬 기의 탄소 수가 6 내지 10인 장쇄형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 및 및 알킬 기의 탄소 수가 1 또는 2인 단쇄형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복 단위는, 알킬 기의 탄소 수가 6 내지 10인 장쇄형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킬 기의 탄소 수가 1 또는 2인 단쇄형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 중합체는, 내부 가교제에 의해 형성된 가교 결합을 더 포함하는,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가교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X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Y는, 산소 원자, 또는 -NR2-이고, R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Z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13.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는,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제1항에 따른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 부재.
KR1020190113115A 2019-09-11 2019-09-11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KR202100313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115A KR20210031322A (ko) 2019-09-11 2019-09-11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115A KR20210031322A (ko) 2019-09-11 2019-09-11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322A true KR20210031322A (ko) 2021-03-19

Family

ID=75262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115A KR20210031322A (ko) 2019-09-11 2019-09-11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13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642B1 (ko) * 2023-04-06 2023-09-21 주식회사 다성피앤에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642B1 (ko) * 2023-04-06 2023-09-21 주식회사 다성피앤에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513212A (ja) 剥離のための水性(メタ)アクリルラテックスポリマー
KR102262503B1 (ko)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의 제조 방법
KR102470448B1 (ko) 의류용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31322A (ko)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CN114846105A (zh) 丙烯酸类乳液压敏粘合剂组合物
KR20210031321A (ko)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EP4006117B1 (en) Acrylic emuls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20210031320A (ko)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CN111684035B (zh) 丙烯酸乳液压敏粘合剂组合物
EP3722387B1 (en) Acrylic emuls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20210145494A (ko)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부재
KR20210148722A (ko)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KR20210089101A (ko)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KR102291556B1 (ko)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KR20200077337A (ko)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KR20210080098A (ko)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KR20210072621A (ko)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KR102497140B1 (ko)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EP3998319A1 (en) Acrylic emulsion adhesive composition
KR101675996B1 (ko)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65078A (ko)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JP2012121988A (ja) 水分散型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KR20210145495A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EP3901231A1 (en) Acrylic emuls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20210023259A (ko)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