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907A - 자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자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907A
KR20210030907A KR1020207037724A KR20207037724A KR20210030907A KR 20210030907 A KR20210030907 A KR 20210030907A KR 1020207037724 A KR1020207037724 A KR 1020207037724A KR 20207037724 A KR20207037724 A KR 20207037724A KR 20210030907 A KR20210030907 A KR 20210030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connector portion
connector
magnetic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6883B1 (ko
Inventor
하오 인
롤란드 안토노풀로스
장-뤽 프린젤리
쉐칭 짱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1003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01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reverse polarity correcting or protec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0)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는 재충전 가능한 전원; 재충전 가능한 전력 공급원을 재충전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충전 유닛(103); 및 전기 커넥터를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는 제1 커넥터 부분(40) 및 제1 커넥터 부분(40)에 해제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2 커넥터 부분(50)을 포함한다. 제1 커넥터 부분(40)은 복수의 전기 접점; 및 제1 자기 요소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 부분(50)은 복수의 전기 접점 및 제2 자기 요소(59)를 포함하며, 여기서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는 연장 위치와 함몰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하고 연장 위치로 복귀하도록 편향되는 탄성 접점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40, 50) 중 하나를 포함하며 충전 유닛(103)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40, 50)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40, 50)은 제1 연결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커넥터 부분(50)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은 연장 위치에 있으며; 제1 커넥터 부분(40)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과 접촉하게 배열되며; 제1 및 제2 자기 요소는 서로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지며, 제1 및 제2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을 연장 위치로부터 함몰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 요구되는 힘보다 더 크다.

Description

자기 커넥터
본 발명은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충전 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분무기를 포함하며, 분무기는 사용자가 흡입하기 위한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분무하도록 작동된다. 통상적으로,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또한 분무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분무기는 전기 히터일 수 있다.
일부 시스템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담배의 주름지고 크림핑된 시트와 같은,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장치는, 통상적으로 물품이 장치 내에 수용될 때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도록 배열되는 분무기를 포함한다. 물품은 종래의 궐련과 유사한 로드 형태로 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함께 감싸져 있는 필터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시스템에서, 장치는 분무기 및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카트리지는 종종 카토마이저(cartomiser)로 지칭된다. 카토마이저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유형의 분무기는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침지된 세장형 심지 둘레에 권선된 히터 와이어의 코일을 포함한다.
일부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기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한 충전 유닛을 포함한다. 충전 유닛은 하우징, 하우징에 수용된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 및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충전 유닛은 휴대용이며 장치의 작동 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장치가 반송될 수 있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충전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속도 및 용이성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 유닛의 임의의 배향에서 그리고 사용자의 정상적인 운동에 의해 야기된 진동 동안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는 충전 유닛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의 전기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 유닛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추가로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며 재충전 가능한 전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재충전 가능 전력 공급원을 재충전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충전 유닛, 및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이 제공된다. 전기 커넥터는 제1 커넥터 부분 및 제1 커넥터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전기 연결 가능한 제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한다. 제1 커넥터 부분은 복수의 전기 접점; 및 제1 자기 요소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 부분은 복수의 전기 접점 및 제2 자기 요소를 포함하고, 여기서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는 연장 위치와 함몰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하고 연장 위치로 복귀하도록 편향되는 탄성 접점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1 커넥터 부분과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를 포함하며 충전 유닛은 제1 커넥터 부분과 제2 커넥터 부분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제1 연결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커넥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은 연장 위치에 있고; 제1 커넥터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과 접촉하게 배열되고; 제1 및 제2 자기 요소는 서로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지고, 제1 및 제2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을 연장 위치로부터 함몰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데 요구되는 힘보다 더 크다.
제2 커넥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은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연장 위치와 함몰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의 이동 길이를 따라 다양한 위치에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연장 위치와 함몰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의 이동 길이는 임의의 적합한 거리일 수 있다. 연장 위치와 함몰 위치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의 이동 길이는 적어도 0.1 mm, 적어도 0.2 mm 또는 적어도 0.3 mm일 수 있다. 연장 위치와 함몰 위치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의 이동 길이는 약 0.1 mm 내지 약 1.5 mm, 약 0.2 mm 내지 약 1 mm 또는 약 0.3 mm 내지 약 0.7 mm일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은 연장 위치로 복귀하도록 편향된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이 제1 커넥터 부분에 의해 연장 위치로부터 함몰 위치 쪽으로 눌러질 때,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은 연장 위치의 방향으로 제1 부분에 편향력을 가한다. 제1 및 제2 자기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의 편향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을 연장 위치로부터 함몰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 요구되는 힘보다 더 크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자기 인력의 힘은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의 편향력을 극복하고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함께 흡인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자기 인력에 의해 서로를 향해 흡인되는 경향이 있고 제2 커넥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은 제1 커넥터 부분에 의해 연장 위치로부터 함몰 위치를 향해 눌려진다.
유리하게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충전 유닛을 전기적 맞물림 상태로 이동시킬 때,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연결 위치에서 맞물릴 때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이 연장 위치로부터 함몰 위치를 향하여 눌림에 따라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의 편향력으로부터 저항을 경험하지 않게 하는 정도이다. 즉, 제1 연결 위치에서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사용자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의 편향력을 숨기거나 차폐할 만큼 충분히 크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임의의 적합한 크기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적어도 0.1 뉴턴, 적어도 0.15 뉴턴 또는 적어도 0.2 뉴턴, 적어도 0.5 뉴턴, 적어도 1 뉴턴 또는 적어도 1.5 뉴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적어도 0.15 뉴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약 0.1 뉴턴 내지 약 10 뉴턴, 약 0.5 뉴턴 내지 약 5 뉴턴, 또는 약 1.5 뉴턴 내지 약 4.0 뉴턴일 수 있다.
몇몇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제2 연결 위치에 추가로 위치될 수 있고, 제1 커넥터 부분의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커넥터 부분의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및 제2 자기 요소는 서로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지고; 제2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은 함몰 위치에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2 연결 위치에 위치될 때, 함몰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은 제1 커넥터 부분에 편향력을 가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2 연결 위치에 위치될 때,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제1 커넥터 부분 상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에 의해 가해지는 편향력보다 더 크다. 자기 인력의 이러한 힘은 제2 커넥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의 편향력이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제2 연결 위치로부터 밀어낼 수 없도록 보장한다.
몇몇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2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중량보다 더 크다. 자기 인력의 이러한 힘은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시스템의 배향에 관계없이 제2 연결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제1 및 제2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맞물릴 때,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전기적 맞물림 상태로 제1 및 제2 커넥터가 함께 흡입되게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에 대한 어느 정도의 자기-정렬 및 자기-체결을 제공하여, 전기적 체결을 용이하게 한다. 이는 사용자가 장치와 충전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속도와 용이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분리하는 데 요구되는 힘을 증가시킨다. 유리하게는, 이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예를 들어 운송 동안 진동과 회전을 통해,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억제하거나 방지한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2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임의의 적합한 크기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2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적어도 0.5 뉴턴, 적어도 1 뉴턴, 적어도 1.5 뉴턴, 적어도 2 뉴턴, 적어도 3 뉴턴 또는 적어도 4 뉴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2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적어도 1 뉴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2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약 0.5 뉴턴 내지 약 10 뉴턴, 약 1 뉴턴 내지 약 5 뉴턴, 또는 약 1.5 뉴턴 내지 약 4 뉴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2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약 1.5 뉴턴 내지 약 4 뉴턴일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 중 하나 이상을 형성할 수 있다. 몇몇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 중 하나 이상은 제1 자기 요소를 포함한다. 자기 요소가 전기 접점 중 하나를 형성하지 않은 구현예에서, 자기 요소는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영구 자석을 포함한다. 몇몇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자기 요소는 영구 자석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자기 요소'는 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요소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자성 재료'는 상자성(paramagnetic) 및 강자성(ferromagnetic) 재료 모두를 포함하는, 자기장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재료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자화 가능 재료(magnetisable material)은 상자성 재료이기 때문에, 외부 자기장의 존재 시, 단지 자화된 채로 남아있게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자화 가능 재료는 외부 자기장 존재 시 자화되고, 외부 자기장이 제거된 후에 자화된 채로 잔류하는 재료일 수 있다(예를 들어, 강자성 재료).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자성 재료"는 자화 가능 재료뿐만 아니라, 이미 자화된 재료의 종류 둘 모두를 포괄한다.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네오디뮴, 철 및 붕소와 같은, 네오디뮴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네오디뮴 자석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강자성 스테인리스 스틸, 예컨대 SS430 스테인리스 스틸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기 접점' 또는 '전기적인 맞물림'은 전류가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사이에서 흐를 수 있게 하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상호작용해서 사용자의 입을 거쳐서 사용자의 폐 속으로 직접 흡입될 수 있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휘발성 화합물의 방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전기 히터와 같은 분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물품을 지칭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가열 즉시 방출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상류', '하류', '근위(proximal)' 및 '원위(distal)'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충전 유닛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부분의 상대 위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길이방향'은 하류, 근위 또는 마우스 단부와 대향하는 상류 또는 원위 단부 사이의 방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고, 용어 '가로방향'은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길이'는 구성요소, 에어로졸 발생 장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충전 유닛의 원위 또는 상류 단부와 근위 또는 하류 단부 사이의 최대 길이방향 치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직경'은 구성요소, 에어로졸 발생 장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충전 유닛의 최대 가로방향 치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가로방향 단면'은 구성요소, 에어로졸 발생 장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충전 유닛 각각의 주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구성요소, 에어로졸 발생 장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충전 유닛의 단면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제1 및 제2 자기 요소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자기 요소는 실질적으로 원형, 타원형 또는 정사각형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자기 요소는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자기 요소는 상이한 형상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자기 요소는 실질적으로 환형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자기 요소는 자기 요소의 환형 몸체, 링 또는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 요소의 환형 몸체, 링 또는 튜브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데, 이는 커넥터 부분의 하나 이상의 전기 접점을 장치 또는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에 연결하기 위해 전기 커넥터가 통과할 수 있는 중심 통로를 환형체 또는 튜브가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자기 요소는 제1 커넥터 부분의 임의의 적합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제1 자기 요소는 실질적으로 제1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 뒤에 배열된 자기 요소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 중 하나 이상은 제1 자기 요소 위에 놓일 수 있다. 제1 자기 요소는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 사이에 또는 그 주위에 배열된 자기 요소의 하나 이상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 중 하나 이상은 제1 자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자기 요소는 제2 커넥터 부분의 임의의 적합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제2 자기 요소는 실질적으로 충전 유닛의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 뒤에 배열된 자기 요소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 중 하나 이상은 제2 자기 요소 위에 놓일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 중 하나 이상은 제2 자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자기 요소는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 사이에 또는 그 주위에 배열된 자기 요소의 하나 이상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2 자기 요소는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의 대향 측부에 배열된 자기 요소의 2개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어서,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이 자기 요소의 2개의 몸체 사이에 배열된다. 자기 요소의 2개의 몸체는 실질적으로 아치형일 수 있고, 제1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점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은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전기 접점일 수 있다. 전기 접점은 핀 접점일 수 있다. 핀 접점은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통상적으로 표면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거나 돌출될 수 있다. 핀 접점(pin contact)은 탄성 핀 접점 또는 '포고 핀(pogo pin)' 접점일 수 있다. 즉, 핀 접점은 탄성 또는 스프링 장착 접점일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핀 접점이다. 전기 접점은 플레이트 접점일 수 있다. 플레이트 접점은 실질적으로 평면 위나 내부, 또는 표면 위나 표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전기 접점은 인쇄 회로 보드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모든 전기 접점은 동일한 유형의 전기 접점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전기 접점은 상이한 유형의 전기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은 하나의 유형의 전기 접점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은 다른 유형의 전기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은 플레이트 전기 접점이다. 즉, 통상적으로 제1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은 실질적으로 제1 커넥터 부분의 평면 위나 내부 또는 표면을 따라 연장된다. 몇몇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은 하나 이상의 표면을 포함하며, 제1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 중 각각의 하나는 실질적으로 제1 커넥터 부분의 하나 이상의 표면 위에 또는 그를 따라 연장된다. 몇몇 구현예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또는 그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은 상이한 평면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은 임의의 적합한 배열로 배열될 수 있다. 몇몇 특정 구현예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은 실질적으로 원형 면을 포함하며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점은 원형 면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된다. 몇몇 특정 구현예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및 제3 전기 접점은 제1 커넥터 부분 주위에 배열된다. 통상적으로,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및 제3 전기 접점은 제1 전기 접점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된다. 몇몇 구현예에서, 제2 및 제3 전기 접점은 동일한 거리만큼 제1 전기 접점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제3 전기 접점은 제2 전기 접점보다 제1 전기 접점으로부터 더 이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분의 복수의 전기 접점은 제1 커넥터 부분의 축을 중심으로 원형 대칭일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분의 복수의 전기 접점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복수의 전기 접점은 제1 커넥터 부분의 축을 중심으로 제2 커넥터 부분에 대한 제1 커넥터 부분의 임의의 배향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점은 실질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및 제3 전기 접점은 실질적으로 환형이다. 즉, 제2 및 제3 전기 접점 각각은 제1 전기 접점을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및 제3 전기 접점은 제1 전기 접점을 둘러싸고 있는 동심원 링을 형성할 수 있다.
몇몇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은 핀 전기 접점이다. 즉, 통상적으로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은, 통상적으로, 평면 또는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제2 커넥터 부분의 평면 또는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2 커넥터 부분은 하나 이상의 표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커넥터 부분의 각각의 전기 접점은 제2 커넥터 부분의 하나 이상의 표면 중 하나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몇몇 구현예에서, 제2 전기 커넥터 부분의 모든 전기 접점은 탄성 접점이다. 탄성 접점은, 유리하게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맞물리고 사용자의 운동에 의해 야기되는 진동과 작은 운동에 노출될 때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사이의 신뢰성 있는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몇몇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전기 커넥터 부분은 면 및 실질적으로 면의 중심에 배열된 오목부를 포함하며, 오목부는 폐쇄 단부 면에 있는 개방 단부, 및 개방 단부와 폐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벽을 가진다.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제1 접점은 오목부의 폐쇄 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제2 접점은 오목부의 측벽에 배열되고 제1 전기 접점을 실질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제3 접점은 면에 배열되고 제 1 전기 접점을 실질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몇몇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2 커넥터 부분은 면 및 실질적으로 면의 중심에 배열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돌출부는 단부 면 및 면과 돌출부의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벽을 가진다.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제1 접점은 돌출부의 단부 면에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제2 접점은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제3 접점은 면에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제3 접점은 탄성 핀 접점일 수 있다.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제1 접점도 또한 탄성 핀 접점일 수 있다.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제2 접점은 탄성 접점일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은 면의 대향 측부에 배열된 제3 전기 접점 쌍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3 전기 접점 각각은 탄성 핀 접점일 수 있다.
이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제2 커넥터 부분의 돌출부를 제1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 내로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되는 경우:
돌출부의 단부 면에서, 제2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점은, 오목부의 폐쇄 단부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체결될 수 있고;
돌출부의 측벽에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점은, 오목부의 측벽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체결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평면형 면에서, 제2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점은 실질적으로 평면형 면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와 돌출부는 원형 원통형일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오목부 및 돌출부의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이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2 커넥터 부분에 대해 상대적인 제1 커넥터 부분의 각 위치에 관계없이 전기적으로 체결되게 할 수 있다.
돌출부의 측벽에 배열되는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점은, 오목부의 측벽 상에서의 제1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점과의 신뢰성 있는 전기적 체결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마찰 또는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제1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 내부에 밀접하게 끼워질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점과 오목부는, 돌출부가 오목부 내에 수용되고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으로 체결될 때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점이 오목부 내에 스냅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목부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 및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오목부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오목부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오목부의 직경은 면의 직경보다 작다. 오목부의 직경은 면의 직경의 75% 이하일 수 있고 또는 면의 직경의 약 50% 이하일 수 있다.
돌출부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 및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의 직경은 면의 직경보다 작다. 돌출부의 직경은 면의 직경의 75% 이하일 수 있거나, 면의 직경의 약 50% 이하일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돌출부의 단부 면과 측벽 사이의 교차점은 경사지거나, 기울어져 있거나 또는 챔퍼링되어 제1 커넥터 부분의 오목부 내에 돌출부가 위치를 잡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은 전기 접점이 장착되는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본체에 고정되는 별도의 부분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근위 단부 및 근위 단부에 대향하는 원위 단부를 가질 수 있다. 근위 단부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흡인하여 장치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단부일 수 있다. 따라서, 근위 단부는 또한 마우스 단부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에서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 면에서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에 제1 또는 제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원위 단부 면에 제1 또는 제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적어도 원위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은 공동의 원위 단부에 제1 또는 제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가 충전 유닛의 공동의 원위 단부에 수용될 때 제2 연결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몇몇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장치의 원위 단부에 제1 또는 제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고; 충전 유닛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적어도 원위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다른 하나는 공동의 원위 단부에 배열되고,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가 충전 유닛의 공동의 원위 단부에 수용될 때 제2 연결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접점이 제1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 유닛의 공동 사이의 마찰력과 연장 위치와 함몰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을 작동시키는 데 요구되는 편향력의 조합보다 더 클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1 커넥터 부분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를 가지며, 충전 유닛은 제1 커넥터 부분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다른 하나를 갖는다. 몇몇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1 커넥터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충전 유닛은 제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이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을 포함하므로, 충전 유닛에 제2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을 손상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장치가 원위 단부 면에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제1 자기 요소는 장치 내의 커넥터 부분의 근위에 배열될 수 있다. 장치가 원위 단부 면에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는 몇몇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자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이 공동을 포함하고 충전 유닛의 커넥터 부분이 공동의 폐쇄 단부에 배열되는 경우, 제1 및 제2 자기 요소는 자기 요소의 자기 북-남 극성이 공동의 길이방향 축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자기 보유 수단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공동 내로 끌어당기는 것을 돕고 전기적 체결 상태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중 하나는 영구 자석을 포함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제1 자기 요소 및 제2 자기 요소 중 하나는 복수의 영구 자석을 포함한다. 몇몇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2 자기 요소는 복수의 영구 자석을 포함한다.
몇몇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자기 요소 및 제2 자기 요소 중 하나는 제1 영구 자석 및 제2 영구 자석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영구 자석은 커넥터 부분에서 이격될 수 있다. 이들 구현예 중 몇몇 구현예에서, 제1 영구 자석의 자기 북-남-극성은 제2 영구 자석의 자기 북-남-극성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몇몇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영구 자석의 자기 북-남-극성은 제2 영구 자석의 자기 북-남-극성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 커넥터 부분과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및 제2 연결 위치에 배열되고 제1 및 제2 영구 자석이 다른 커넥터 부분의 자기 요소를 통해 자기 회로에서 자기 연결될 때 자기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자기 회로"는 자기장 선이 하나의 자기 요소로부터 다른 자기 요소로 통과하도록 2개의 영구 자석 사이의 자기 연결을 지칭한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및 제2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자기장 선은 다른 커넥터 부분의 자기 요소를 통해 제1 영구 자석으로부터 제2 영구 자석으로 통과할 수 있다.
몇몇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2 커넥터 부분은 제1 및 제2 영구 자석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자석의 자기 북-남 극성의 "방향"에 대한 언급은 자석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 선의 방향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자석의 일부분의 "자기 극성(magnetic polarity)"에 대한 언급은 자석의 북극 또는 남극과 같은 자기 극을 지칭한다.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중 하나가 복수의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각각의 영구 자석은 2개의 대향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의 각각의 단부는 자기 북-남-극성을 가질 수 있다. 단부 중 제1 단부에서 자기 북-남-극성의 방향은 몸체의 대향 단부에서 자기 북-남-극성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몸체는 2개의 대향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각 단부에서 자기 북-남 극성은 몸체의 길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영구 자석이 제2 커넥터에 제공되는 경우, 각각의 영구 자석의 각각의 단부에서 자기 북-남 극성의 방향은 연장 위치와 함몰 위치 사이의 탄성 접점의 이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복수의 영구 자석의 각각의 몸체는 상부 측면 및 상부 측면 반대측의 하부 측면을 가질 수 있고, 상부 및 하부 측면은 2개의 대향 단부 사이에서 몸체의 길이가 연장된다. 단부 중 제1 단부에 있는 상부 측면은 제1 자기 극성을 가질 수 있고, 단부 중 제1 단부에 있는 하부 측면은 제1 자기 극성과 반대인 제2 자기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단부 중 제1 단부에 있는 자기 북-남 극성은 몸체의 길이에 수직인 제1 방향을 가진다. 제1 단부에 대향하는 단부 중 제2 단부에 있는 상부 측면은 단부 중 제1 단부에 있는 상부 측면에 대해 반대 극성인 제2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단부 중 제2 단부에 있는 하부 측면은 단부 중 제2 단부에 있는 상부 측면에 대해 반대 극성인 제1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단부 중 제2 단부에 있는 자기 북-남 극성은 몸체의 길이에 수직이고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을 가진다.
몇몇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2 커넥터는 2개의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제2 자기 요소를 포함한다. 각각의 영구 자석은 두 개의 대향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몸체를 가진다. 각각의 영구 자석은 제1 방향을 갖는 자기 북-남 극성을 갖는 제1 단부 및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을 갖는 자기 북-남 극성을 갖는 제2 단부를 가진다. 2개의 영구 자석은 각각의 영구 자석이 다른 영구 자석으로부터의 자기 반발력을 경험하도록 제2 커넥터 부분에 배열될 수 있다.
영구 자석의 각각은 제1 단부에 있는 제1 단부 면 및 제2 단부에 있는 제2 단부 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단부 면과 제2 단부 면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들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자기 요소는 실질적으로 아치형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단부 면은 실질적으로 평면 상에 놓일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2개의 아치형 영구 자석은 제2 커넥터 부분에 배열될 수 있어서: 제1 영구 자석의 제1 단부 면은 제2 영구 자석의 제2 단부 면과 직접 대향하고; 제1 영구 자석의 제2 단부 면은 제2 영구 자석의 제1 단부 면과 직접 대향한다. 제1 및 제2 영구 자석이 아치형인 경우, 제1 및 제2 영구 자석은 실질적으로 환형 자기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2개의 영구 자석은 갭이 영구 자석의 대향 면 사이에 제공되도록 이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영구 자석은 제2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을 실질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제 1 영구 자석의 제 1 단부 면은 제 2 영구 자석의 제 2 단부 면의 자기 북-남 극성과 동일한 방향으로 지향된 자기 북-남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제 1 영구 자석의 제 2 단부 면은 제 2 영구 자석의 제 1 단부 면의 자기 북-남-극성과 동일한 방향으로 지향된 자기 북-남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영구 자석의 제1 단부 면과 제2 영구 자석의 제2 단부 면은 서로 자기적으로 반발하도록 배열된다. 유사하게, 제1 영구 자석의 제2 단부 면과 제2 영구 자석의 제1 단부 면은 서로 자기적으로 반발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은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및 제2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커넥터 부분의 제1 자기 요소와 제2 커넥터 부분의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배열을 설명하면, 제1 영구 자석의 제1 단부 면은 제2 영구 자석의 제2 단부 면과 대향하고, 제1 영구 자석의 제2 단부 면은 제2 영구 자석의 제1 단부 면과 대향한다. 제1 영구 자석의 제1 단부 면은 제2 영구 자석의 제2 단부 면을 자기적으로 반발시키고, 제1 영구 자석의 제2 단부 면은 제2 영구 자석의 제1 단부 면을 자기적으로 반발시킨다. 제1 영구 자석의 제1 단부 면의 상부 측면 및 제2 영구 자석의 제2 단부 면의 상부 측면은 동일한 자기 극성을 가진다. 제1 영구 자석의 제1 단부 면의 하부 측면 및 제2 영구 자석의 제2 단부 면의 하부 측면은 제1 영구 자석의 제1 단부 면의 상부 측면 및 제2 영구 자석의 제2 단부 면의 상부 측면의 자기 극성과 반대인, 동일한 자기 극성을 가진다. 제1 영구 자석의 제2 단부 면의 상부 측면 및 제2 영구 자석의 제1 단부 면의 상부 측면은 제1 자기 요소의 제1 단부 면의 상부 측면 및 제2 자기 요소의 제2 단부 면의 상부 측면의 극성과 반대인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제1 영구 자석의 제2 단부 면의 하부 측면 및 제2 영구 자석의 제1 단부 면의 하부 측면은 제1 영구 자석의 제2 단부 면의 상부 측면 및 제2 영구 자석의 제1 단부 면의 상부 측면의 극성과 반대인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제1 및 제2 영구 자석은 제2 커넥터 부분의 하우징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의 하우징은 제1 및 제2 자기 요소의 분리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커넥터 부분의 하우징은 제1 및 제2 영구 자석 사이의 자기 반발력이 영구 자석을 푸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영구 자석은 자기적으로 끌어당기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는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전력을 전달하거나, 운반하거나, 또는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제1 전기 접점은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는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는 충전 유닛의 적어도 하나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충전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는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제2 전기 접점은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충전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는 또한 접지 커넥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제3 전기 접점은 접지 연결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전력을 전달하고 충전 유닛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장치로 및 장치로부터 충전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장치가 단일 전기 커넥터 부분만을 포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전기 커넥터 부분을 갖는 장치와 비교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크기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는 배터리 또는 커패시터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는 리튬 이온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한번 이상의 사용자 경험을 전달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경험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흡인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분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고, 사용자가 장치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일련의 퍼프를 포함한다. 통상적인 사용자 경험을 구성하는 퍼프의 수는 임의의 적합한 수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퍼프의 수는 2회 내지 20회의 퍼프일 수 있고, 4회 내지 12회의 퍼프일 수 있고, 약 6회 또는 7회의 퍼프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임의의 적합한 수의 사용자 경험을 전달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1, 2, 3, 4, 5 또는 6회의 사용자 경험을 전달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충전 유닛은 전기 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는 배터리 및 커패시터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전기 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는 리튬 이온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 사이에서 전력이 전달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는 복수의 사용자 경험을 전달하기에 충분한 충전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제공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는, 예컨대 1회 내지 20회의 사용자 경험, 5회 내지 15회의 사용자 경험 및 약 10회의 사용자 경험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수의 사용자 경험을 전달하기에 충분한 충전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제공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를 충전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주 전기 전력 공급부와 같은 외부 전기 전력 공급부에 연결하지 않고,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 유닛 둘 모두를 소지하여 연장된 시간 동안, 예컨대 1일 또는 1주에 걸쳐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는 재충전 가능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보다 큰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보다 물리적으로 더 클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핸드헬드 장치일 수 있다. 즉,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자의 손에 들기에 적합한 임의의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통상의 궐련 또는 엽궐련과 비슷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휴대용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충전 유닛 또한 휴대용일 수 있다. 충전 유닛은 임의의 적합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충전 유닛은 궐련의 종래의 패킷과 유사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휴대용 충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가 충전 유닛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소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작동 수명을 희생시키지 않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가 더 작고 더 가볍게 만들어질 수 있게 하며, 이는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가 고갈될 때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용 충전 유닛으로부터 충전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는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전달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충전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 데이터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충전 유닛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사용 데이터는, 예를 들어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의 충전 상태, 장치의 사용 횟수, 분무기의 사용 횟수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하나 이상의 제1 전기 접점은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 사이에서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하나 이상의 제2 전기 커넥터는 충전 유닛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그리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충전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의 하나 이상의 제3 전기 접점은 접지 연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전기 접점은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접점은 구리 또는 금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전기 접점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 것이고, 다른 구현예에서 전기 접점은 상이한 재료로 제조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각각의 전기 접점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거나 격리된다. 각각의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의 전기적 분리 또는 격리는 인접한 전기 접점 사이에 배열되는 전기 절연 재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전기적 분리 또는 격리는 인접한 전기 접점을 이격시켜서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기 전도성'은 1x10-4 Ωm 이하의 전기 비저항을 갖는 재료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기 절연'은 1x104 Ωm 이상의 전기 비저항을 갖는 재료를 지칭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임의의 적합한 크기 및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형, 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마름모꼴, 사다리꼴,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몇몇 특정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가로방향 단면을 갖는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원형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장치는 그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회전 대칭을 가질 수 있다. 장치는 그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하나보다 큰 순서의 회전 대칭을 가질 수 있다. 장치는 그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축대칭일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원통형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임의의 적합한 직경 및 임의의 적합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세장형일 수 있다. 몇몇 특정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종래의 궐련 또는 엽궐련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 직경 및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약 30 mm 내지 약 150 mm 또는 약 50 mm 내지 약 120 mm 또는 약 90 mm 내지 10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약 5 mm 내지 약 30 mm 또는 약 10 mm 내지 약 20 mm 또는 약 15 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카트리지, 분무기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근위 단부에서 카트리지, 분무기,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카트리지, 분무기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분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분무기를 포함하는 경우,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분무기 또는 분무기와 물품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조합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가 카트리지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는 경우, 분무기는 공동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장치는 장치의 원위 단부에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장치의 원위 단부 면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마우스 단부에 대향하는, 장치의 원위 단부에 있는 면은,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의 원위 단부 면은 실질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원형의 원통형일 수 있다. 하우징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재료의 예는 금속, 합금, 플라스틱 또는 이들 재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 또는 식품이나 약제학적 적용에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재료는 가볍고 비-취성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 전기 전력 공급부는 하우징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카트리지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분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분무기는 전기 히터일 수 있다. 장치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또는 카트리지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는 경우, 분무기는 공동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전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회로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 체결 상태에 있을 때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의 전력의 전달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 회로는 하나 이상의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충전 유닛으로 데이터 전달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 회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은 임의의 적합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충전 유닛은 임의의 적합한 형상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유닛은 실질적으로 원형, 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마름모꼴, 사다리꼴,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몇몇 특정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가로방향 단면을 갖는다.
충전 유닛은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충전 유닛은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충전 유닛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직육면체일 수 있다.
충전 유닛은 임의의 적합한 직경 및 임의의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종래의 궐련 팩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 직경 및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충전 유닛은 약 50 mm 내지 약 20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충전 유닛은 약 10 mm 내지 약 150 mm, 또는 약 50 mm 내지 약 100 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충전 유닛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공동을 가질 수 있다.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전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충전 유닛의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충전 유닛의 공동은 임의의 적합한 형상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동은 실질적으로 원형, 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마름모꼴, 사다리꼴,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충전 유닛의 공동은 공동에 수신될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로방향 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몇몇 특정 구현예에서, 공동은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충전 유닛의 공동은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공동은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원형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공동은 실질적으로 원형의 원통형일 수 있다. 공동은 그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축대칭일 수 있다.
충전 유닛의 공동은 임의의 적합한 직경 및 임의의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충전 유닛의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약간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충전 유닛의 공동은 세장형일 수 있다.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어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가 충전 유닛의 공동 내에 수신될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근위 또는 하류 단부가 공동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충전 유닛의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약간 큰 길이를 가질 수 있어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가 충전 유닛의 공동 내에 수용되게 된다. 유리하게는, 이는 장치가 공동 내에 완전히 둘러싸이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충전 유닛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는 충전 유닛의 공동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커넥터 부분을 실질적으로 차폐하거나 보호할 수 있다. 공동은 개방 단부를 가질 수 있다. 개방 단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공동 내에 삽입되고 공동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공동은 또한 개방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폐쇄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는 충전 유닛의 공동의 폐쇄 단부에서 배열될 수 있다.
몇몇 특정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에 있는 단부면에서 배열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다른 하나는 충전 유닛의 공동의 폐쇄 단부에 있는 단부 면에서 배열될 수 있다. 이들 특정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원위 단부를 충전 유닛의 공동의 개방 단부 내에 삽입하고, 장치의 원위 단부면에 배열되는 커넥터 부분을 충전 유닛의 공동의 폐쇄 단부 면에 배열되는 커넥터 부분과 접촉하게 하여 전기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충전 유닛의 공동이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원통형인 경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공동 내에서 그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이들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장치가 충전 유닛의 공동에 대하여 임의의 각 위치에서 공동 내에 삽입될 수 있게 하고,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파괴하지 않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공동에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충전 유닛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직육면체일 수 있다. 하우징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재료의 예는 금속, 합금, 플라스틱 또는 이들 재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 또는 식품이나 약제학적 적용에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재료는 가볍고 비-취성이다.
충전 유닛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는 경우, 하우징은 공동을 정의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은 공동의 개방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수단, 예컨대 하우징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이 전기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경우, 전기 전력 공급부는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다. 충전 유닛은 충전 유닛의 전기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해, 충전 유닛을 주 전기 전력 공급부와 같은 외부 전기 전력 공급부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유닛은 전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회로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전기적 체결 상태에 있을 때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의 전력의 전달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 회로는 하나 이상의 충전 유닛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충전 유닛으로 데이터 전달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 회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이외의 전기 시스템용 전기 커넥터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는 휴대용 전기 장치 및 충전 유닛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특히 적합할 수 있으며, 휴대용 전기 장치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를 포함하고 충전 유닛은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제1 커넥터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1 커넥터 부분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제1 커넥터 부분은 복수의 전기 접점; 및 제1 자기 요소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 부분은 복수의 전기 접점 및 제2 자기 요소를 포함하고, 여기서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는 연장 위치와 함몰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하고 연장 위치로 복귀하도록 편향되는 탄성 접점이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제1 연결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커넥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은 연장 위치에 있고; 제1 커넥터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과 접촉하게 배열되고; 제1 및 제2 자기 요소는 서로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지고,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을 연장 위치로부터 함몰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 요구되는 힘보다 더 크다.
제1 양태에 관해서 전술된 임의의 특징은 제2 양태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가로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제1 커넥터 부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제1 커넥터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제2 커넥터 부분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제2 커넥터 부분은 도 1의 제1 커넥터 부분과 호환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제2 커넥터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시스템은 도 3 및 도 4의 제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는 충전 유닛에 수용된 도 1 및 도 2의 제1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도 6은 도 3 및 도 4의 제2 커넥터 부분과 호환 가능한 자기 보유 구조물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자기 보유 구조물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도 6 및 도 7의 자기 보유 수단을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3 및 도 4의 제2 커넥터 부분과 호환 가능한 자기 보유 구조물의 다른 구현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의 배열의 자석 중 하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도 9 및 도 10의 자기 보유 수단을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2는 제1 연결 위치에 있는 도 11의 전기 커넥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제2 연결 위치에 있는 도 11의 전기 커넥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3 및 도 4의 제2 커넥터 부분과 호환 가능한 자기 보유 구조물의 다른 구현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5는 도 12의 배열의 자석 중 하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제1 커넥터 부분(4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제1 커넥터 부분(40)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도시되지 않음)의 원위 단부 면에 배열된다. 제1 커넥터 부분(40)은 3개의 전기 접점, 즉 제1 전기 접점(43), 제2 전기 접점(44) 및 제3 전기 접점(45)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 부분(40)은 면의 중심에 위치된 오목부(48)를 갖는 원형 평면형 면(46)을 포함한다. 오목부(48)는 원형 원통형이며, 면(46)에 있는 개방 단부, 대향된 폐쇄 단부 및 개방 단부와 폐쇄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관형 측벽을 가진다. 오목부의 폐쇄 단부 면은 원형이고 면(46)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 놓여 있다. 원형 면(46)은 약 10 mm의 직경을 가지고, 오목부(48)는 약 4 mm의 직경 및 약 4 mm의 깊이를 갖는다.
제1 전기 접점(43)은 원형이며 실질적으로 오목부(48)의 폐쇄 단부 면에 걸쳐 연장된다. 제1 전기 접점(43)의 외측 에지는 오목부(48)의 측벽에 의해 정의되므로, 제1 전기 접점의 직경은 오목부의 직경과 동일하다. 제2 전기 접점(44)은 관형이며 실질적으로 오목부(48)의 관형 측벽에 걸쳐 연장된다. 제2 전기 접점(44)은 약 0.1 mm의 두께를 가져서, 오목부(48)에 제2 전기 접점(44)를 위치시키는 것이 오목부(48)의 직경을 상당히 감소시키지 않는다. 제2 전기 접점(44)은 약 3.8 mm의 폭을 가지고, 제2 전기 접점(44)가 오목부(48)의 폐쇄 단부 면에 연장되지 않도록 오목부(48)에 위치된다. 이러한 위치설정은 제2 전기 접점(44)가 제1 전기 접점(44)와 접촉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제3 전기 접점(45)은 환형이고 실질적으로 면(46)에 걸쳐 연장된다. 제3 전기 접점(45)은 약 8 mm의 외경 및 약 4.6 mm의 내경을 갖고 있어, 제3 전기 접점(45)가 제2 전기 접점(44)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제1, 제2 및 제3 전기 접점(43, 44, 45)는 모두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제1 및 제3 전기 접점(43, 45)은 상이한 평행 평면에 놓이고, 제2 전기 접점(44)은 제1 및 제3 전기 접점(43, 45)의 평면에 수직인 원통형 표면에서 연장된다.
이 구현예에서, 제1 전기 접점은 구리 합금으로 형성되고, 제2 전기 접점은 SS304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되며, 제3 전기 접점(45)는 SS430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된다.
제1 커넥터 부분(40)의 전기 접점(43, 44, 45)의 배열의 장점은 전기 접점이 제1 전기 접점(43)의 평면에 수직인 제1 접점(43)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원형 회전 대칭을 가진다는 점이다. 이는 제1 커넥터 부분(43)이 축을 중심으로 임의의 회전 배향에서 제2 커넥터 부분에 연결될 수 있게 하고 동일한 배열의 접점을 제2 커넥터 부분에 제공할 수 있게 한다. 그 때문에, 제1 커넥터 부분(43)은 제1 커넥터 부분(43)의 축을 중심으로 제2 커넥터 부분에 대한 제1 커넥터 부분(43)의 임의의 배향에서 제2 커넥터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제2 커넥터 부분(5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제2 커넥터 부분(50)은 충전 유닛의 공동의 폐쇄 단부 면에서 배열된다(도시되지 않음). 제2 커넥터 부분(50)은 4개의 전기 접점, 즉 제1 전기 접점(53), 제2 전기 접점(54) 및 2개의 제3 전기 접점(55)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 부분(50)은 면의 중심에 위치된 돌출부(58)를 갖는 원형 평면형 면(56)을 포함한다. 돌출부(58)는 면(56)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면(56)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돌출부(58)는 원형 원통형이며 단부 면 및 면(56)과 돌출부(58)의 단부 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관형 측벽을 포함한다. 돌출부(58)의 단부 면은 원형이고 면(56)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 놓인다. 돌출부는 제1 커넥터 부분(40)의 오목부(48)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약 3 mm의 높이를 가지며, 약 3.3 mm의 오목부(48)보다 약간 작은 최대 직경을 갖고 있어, 제2 커넥터 부분(50)의 돌출부(58)가 제1 커넥터 부분(40)의 오목부(48) 내부에 밀착해서 끼워질 수 있다. 돌출부(58)의 직경 또는 폭은 돌출부의 단부 면 쪽으로 감소하여, 돌출부(58)의 단부면과 측벽 사이의 경계면이 기울어져 있어서 제1 커넥터 부분(40)의 오목부(48) 내에 돌출부(58)를 위치시키는 것을 더 쉽게 만든다.
제1 전기 접점(53)는 탄성 핀 접점, 또는 돌출부(58)의 단부 면에 배열된 '포고 핀' 접점이다. 제1 전기 접점(53)는 돌출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부(58)의 단부 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2 전기 접점(54)는 돌출부(58)의 측벽에 배열되는 리프 스프링(leaf spring)이다. 제2 전기 접점(54)은 측벽에 수직인 방향으로 그리고 평면(56)과 평행한 방향으로 약 0.3 mm의 최대 거리만큼 돌출부(58)의 측벽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2개의 제3 전기 접점(55)는 제1 전기 접점(53)과 유사한 포고 핀 접점이다. 2개의 제3 전기 접점(55)은 면(56)에 수직인 방향으로 그리고 제1 전기 접점(53)에 평행한 방향으로 면(56)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2개의 제3 전기 접점(55)은 반대 방향으로 제1 전기 접점(53)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서, 제1 전기 접점(53) 및 2개의 제3 전기 접점(55)이 일렬로 배열된다. 2개의 제3 전기 접점(55)은 접점의 중심 축으로부터 측정된 약 2.75 mm의 동일한 거리만큼 제1 전기 접점(53)로부터 이격된다. 제2 커넥터 부분(50)의 제3 전기 접점(54)와 제1 전기 접점(53) 사이의 거리는 돌출부(58)의 직경보다 크다.
이 구현예에서, 포고 핀 접점(53, 55)는 황동으로 형성되고, 리프 스프링 접점(54)는 SS301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된다.
포고 핀 접점(53, 55)는 통상적으로 그들이 압축되지 않을 때 연장되는 제2 커넥터 부분(50)의 면 위로 약 1 mm 연장되고, 그들이 완전히 압축될 때 연장하는 면 위로 약 0.5 mm 연장된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40, 50)은 자기 보유 수단을 포함한다. 자기 보유 수단은 강자성 금속의 링 또는 밴드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부분(40)의 제3 전기 접점(45) 형태인 제1 자기 요소를 포함한다. 자기 보유 수단은 제2 커넥터 부분(50)의 전기 접점의 대향 측부에 배열된 강자성 요소의 한 쌍의 아치형 몸체를 포함하는 제2 자기 요소(59)을 더 포함한다. 제2 자기 요소(59)는 제2 커넥터 부분(50)의 전기 접점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제1 커넥터 부분(40)의 제3 전기 접점(45)(즉, 제1 자기 요소)은 강자성 스테인리스 스틸, 예컨대 SS430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고, 제2 자기 요소(59)은 영구 자석을 형성하도록 자화되는 네오디뮴(neodymium), 철 및 붕소의 합금으로 형성된다.
제1 커넥터 부분(40)이 제1 커넥터 부분(50)의 근방으로 이동될 때,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은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함께 끌어당겨서, 제2 커넥터 부분(50)의 포고 핀 접점(53, 55)을 압축하고 각각의 커넥터 부분의 전기 접점을 전기적으로 맞물리게 한다. 자기 보유 수단은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을 전기적 체결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1 자기 요소 및 제2 자기 요소는 대안적인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상이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자기 요소는 제1 커넥터 부분(40)의 전기 접점 뒤에 배열되어서, 제3 전기 접점(45) 아래에서 오목부(48)를 둘러싸는 강자성 재료의 링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1 자기 요소는 자화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자기 요소는 자화되지 않은 자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자기 요소는 자화된 자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0) 내의 제자리에 있는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40, 50)을 도시한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0)은 원위 단부 면에서 배열되는 제1 커넥터 부분(40)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0)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104)을 포함하는 충전 유닛(103)를 더 포함한다. 공동(104)은 폐쇄 단부 면에서 제2 커넥터 부분(50)을 포함한다. 충전 유닛(103)는 하우징 내에 수용된 배터리(105) 및 전기 회로(106)를 더 포함한다. 하우징은 원형으로 원통형인 공동(104)을 정의한다.
제1 커넥터 부분(40) 및 제2 커넥터 부분(50)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의 원위 단부를 충전 유닛(103)의 공동(104) 내에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체결되게 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는 원형 원통형이고 충전 유닛(103)의 공동(104)이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갖는 원형 원통형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1)의 원위 단부를 공동(104) 내에 삽입하는 것은 제1 커넥터 부분(40)의 면(46)을 제2 커넥터 부분(50)의 면(56)과 정렬시킨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40, 50)의 면(46 및 56)을 정렬시키면 또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40, 50)의 오목부(48) 및 돌출부(58), 제1 전기 접점(43, 53), 제2 전기 접점(44, 54) 및 제3 전기 접점(45, 55)를 각각 정렬시킨다. 따라서, 제1 커넥터 부분(40)이 제2 커넥터 부분(50)과 접촉하게 되면, 돌출부(58)는 오목부(48) 내에 수용되고, 제1 전기 접점(43, 53)는 전기적으로 체결되고, 제2 전기 접점(44, 54)는 전기적으로 체결되고 제3 전기 접점(45, 55)는 전기적으로 체결된다.
도 6, 도 7 및 도 8은 시스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201)가 시스템의 충전 유닛의 공동(204) 내에 수용될 때, 본 발명의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사이에서 전기적 맞물림을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자기 보유 수단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자기 보유 수단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201)의 원위 단부에 있는 제1 자기 요소(210) 및 공동(204)의 폐쇄 단부에 있는 제2 자기 요소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201)는 원위 단부 면에서 제1 커넥터 부분(24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제1 자기 요소(210)는 제1 커넥터 부분(240)의 제3 전기 접점을 형성하지 않는다. 제1 자기 요소(210)는 장치(201) 내의 제1 커넥터 부분(250)에 근접 배열된 강자성 재료의 링을 포함한다. 링은 제1 커넥터 부분(250)의 오목부(258)를 둘러싸며 제1 커넥터 부분(240)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충전 유닛의 공동(204)은 폐쇄 단부 면에서 제2 커넥터 부분(250)을 포함한다. 제2 자기 요소(220)는 도 6 및 도 7에 상세히 도시된 관형 자기 구조물을 포함한다. 제2 자기 요소(220)는 제2 커넥터 부분(250) 아래에 배열되고 제2 커넥터 부분(250)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도 6 및 도 7은 제2 자기 요소(22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제2 자기 요소(220)는 일반적으로, 방해받지 않는 원통형 통로(204)가 링(222, 223)을 통해 제공되도록 정렬되는 강자성 재료의 두 개의 링(222, 223)을 포함한다. 링(222, 223)는 원통형 통로의 축을 따라 이격되고 2개의 영구 자석(225, 226)에 의해 분리된다.
2개의 영구 자석(225, 226)은 서로 동일하다. 영구 자석 각각은 링(222, 223)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을 갖는 반원호를 포함한다. 영구 자석(225, 226)은 중심 통로의 대향 측부 상에서, 원통형 통로(224)를 일반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열된다. 영구 자석(225, 226)의 자기 북-남 극성은 문자 'N' 및 'S'에 의해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지향된다.
각각의 자석(225, 226)은 대향 단부 및 대향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몸체를 가진다. 각각의 자석(225, 226)의 몸체는 아치형 상부 측면 및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대향 아치형 하부 측면을 가진다. 각각의 자석(225, 226)은 상부 및 하부 측면 중 하나에 있는 단일 자기 북극 및 상부 및 하부 측면 중 대향하는 하나에 있는 단일 자기 남극을 가진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자석(225, 226)의 자기 북극은 상단 링(222)에 인접한 자석의 상부 측면에 배열되고, 자석(225, 226)의 자기 남극은 하단 링(223)에 인접한 하부 측면에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제2 자기 요소(220)는 일반적으로 관형 영구 자석을 형성한다.
제2 자기 요소(220)는 공동(204)의 폐쇄 단부에서 제2 커넥터 부분(250) 아래의 충전 유닛 내에 배열된다. 제2 자기 요소(220)를 통하는 중심 통로(223)는 제2 커넥터 부분(250)의 돌출부(258)와 정렬되고, 돌출부(258) 상에 배열되는 제2 커넥터 부분(250)의 제1 및 제2 전기 접점을 충전 유닛의 전기 회로에 전기 커넥터가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제2 자기 요소(220)의 자기 북-남 극성은 공동(204)의 길이방향 축과 일반적으로 정렬된다. 제1 커넥터 부분(240)이 공동 내로 그리고 제2 커넥터 부분(250)에 매우 근접하게 이동될 때, 제2 자기 요소(22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의 제1 자기 요소(210)를 자화시키고, 제1 자기 요소(210)와 제2 자기 요소(220) 사이의 자기 인력은 폐쇄 단부에서 제2 커넥터 부분(250) 및 제2 자기 요소(220) 쪽으로 공동(204)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끌어당긴다. 이러한 작용은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240, 250)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240, 250)이 전기적으로 맞물릴 때, 제1 및 제2 자기 요소(210, 220) 사이의 자기 인력은 전기적 맞물림 상태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240, 250)을 함께 해제 가능하게 유지한다. 즉,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은 공동(204)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240, 250)의 분리에 저항한다. 그 때문에,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240, 250)을 분리하기 위해 추가적인 힘이 필요하다.
도 9, 도 10 및 도 11은 시스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201')가 시스템의 충전 유닛의 공동(204') 내에 수용될 때, 본 발명의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240', 250') 사이의 전기적 맞물림을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자기 보유 수단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다. 자기 보유 수단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201')의 원위 단부에 있는 제1 자기 요소(210') 및 공동(204')의 폐쇄 단부에 있는 제2 자기 요소(220')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201')는 원위 단부 면에서 제1 커넥터 부분(24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제1 커넥터 부분(240')의 제3 전기 접점은 제1 자기 요소(210')를 포함하며, 그 때문에 제1 자기 요소(210')는 제1 커넥터 부분(240')의 오목부를 둘러싸는 강자성 재료의 링을 포함한다.
충전 유닛의 공동(204')은 공동의 폐쇄 단부 면에서 제2 커넥터 부분(250')을 포함한다. 제2 자기 요소(22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2개의 아치형 영구 자석(225', 226')을 포함한다. 2개의 영구 자석(225', 226')은 아치형이며 제1 커넥터 부분(210')의 제3 전기 접점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다. 영구 자석(225' 및 226')은 제2 커넥터 부분(250')의 대향 측부에 배열되고, 제2 커넥터 부분(250')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영구 자석(225', 226')은 원통형 통로(224') 주위로 측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일반적으로 대향 측부 상에 원통형 통로(224')를 둘러싸도록 배열된다. 영구 자석(225', 226'); 상기 자석(225' 226')이 제2 커넥터 부분(250')의 제3 전기 접점의 대향 측부에 배열되도록 측방향으로 이격되며, 제3 전기 접점이 사이에 배열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 자석(225', 226')은 제2 커넥터 부분(250')의 표면 위로 연장된다. 영구 자석(225', 226')의 아치형 상부 표면은, 포고 핀 접점이 압축된 위치에 있을 때, 제3 전기 접점 포고 핀의 상단 바로 아래의 위치에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장치(201')의 제1 자기 요소(210')는 장치(201')가 공동(204') 내에 배열되고 제1 커넥터 부분(240')이 제2 커넥터 부분(250')과 접촉할 때, 충전 유닛의 공동(204')의 제2 자기 요소(220')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각각의 자석(225', 226')은 상부 및 하부 측면 중 하나에 있는 단일 자기 북극 및 상부 및 하부 측면 중 반대쪽 하나에 있는 단일 자기 남극을 가진다. 자석(225')에 대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자석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아치형 자석의 반대쪽 단부 면을 보면 자석의 양 단부 면은 동일한 방향으로 지향된 자기 북-남 극성을 가진다.
영구 자석(225', 226')의 자기 북-남 극성은 문자 'N' 및 'S'에 의해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반대 방향으로 지향된다. 자석(225')의 자기 북극 및 자석(226')의 자기 남극은 제2 커넥터 부분(250')의 표면으로부터 자석을 통해 중심 통로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자석(225')의 자기 북극 및 자석(226')의 자기 남극은 장치(201')가 공동(204') 내에 배열되고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240', 250')이 맞물릴 때 제1 자기 요소(210')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영구 자석(225'), 제1 자기 요소(210') 및 영구 자석(226')은 자기 회로를 형성한다.
제1 자기 요소(210')와 제2 자기 요소(220') 사이의 자기 인력은 폐쇄 단부에서 제2 커넥터 부분(250') 및 제2 자기 요소(220') 쪽으로 공동(204')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끌어당긴다. 이러한 작용은, 이전의 구현예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240', 250')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도 12는 제1 연결 위치에 있는 제1 커넥터 부분(240') 및 제2 커넥터 부분(250')을 도시한다. 제1 연결 위치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240', 250')은 전기적으로 맞물림 상태이다. 즉, 제1 연결 위치에서, 커넥터 부분의 제1 전기 접점이 맞물리고, 커넥터 부분의 제2 전기 접점이 맞물리고, 커넥터 부분의 제3 전기 접점이 맞물린다. 제1 연결 위치에서, 제2 커넥터 부분의 제1 탄성 핀 접점(도시되지 않음) 및 제3 탄성 핀 접점은 그들의 연장 위치에 있다. 제1 연결 위치에서, 제1 자기 요소(210')와 제2 자기 요소(220') 사이로부터의 자기 인력의 힘은 제2 커넥터 부분의 제1 및 제2 탄성 핀 접점을 누르는 데 요구되는 힘 및 장치와 충전 유닛 사이의 마찰력보다 더 크다. 그 때문에,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240', 250')은 자기 인력의 힘에 의해 함께 끌어당겨진다. 제1 연결 위치를 통해 장치를 충전 유닛의 공동 내로 이동시키는 사용자는 제1 커넥터 부분이 탄성 핀 접점과 맞닿을 때 제1 연결 위치에서 추가 저항을 겪지 않는데, 이는 제1 및 제2 자기 요소(210', 220')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이 탄성 핀 접점에 의해 장치에 가해지는 편향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240', 250')이 제1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자기 요소 및 제2 자기 요소(210', 220')는 약 0.5mm만큼 분리된다.
도 13은 제2 연결 위치에 있는 제1 커넥터 부분(240') 및 제2 커넥터 부분(250')을 도시한다. 제2 연결 위치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240', 250')은 또한 전기적으로 맞물림 상태이다. 제2 연결 위치에서, 제2 커넥터 부분의 제1 탄성 핀 접점(도시되지 않음) 및 제3 탄성 핀 접점은 그들의 함몰 위치에 있다. 제2 연결 위치에서, 제1 자기 요소(210')와 제2 자기 요소(220')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제2 커넥터 부분(250')의 탄성 핀 접점에 의해 제1 커넥터 부분(240')에 가해지는 편향력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중량의 조합보다 더 크며, 따라서 충전 유닛과 장치가 거꾸로 뒤집힐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자기 인력의 힘에 의해 제2 연결 위치에 유지될 것이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작은 갭이 제2 연결 위치에서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에 제공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자기 요소는 제2 연결 위치에서 직접 접촉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4 및 도 15는 전술한 도 9, 도 10 및 도 11의 자기 보유 수단의 제2 자기 요소에 대한 대안적인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구현예의 제2 자기 요소(220")는 도 9 및 도 10의 영구 자석(225', 226')과 동일한 2개의 아치형 영구 자석(225", 226")을 포함한다. 영구 자석(225", 226")은 자기 북-남 극성의 배열에서 자석(225', 226')과 상이하다.
자석(225", 226") 각각의 상부 및 하부 측면 중 각각의 하나는 자기 북극 및 자기 남극을 가진다. 각각의 자석(225", 226")에 대해서, 상부 측면의 자기 북극은 대향 단부에서 하측 측면의 자기 북극에 배열된다. 유사하게, 상부 측면의 자기 남극은 대향 단부에서 하부 측면의 자기 남극에 배열된다. 다른 방식으로, 각각의 자석(225", 226")의 각각의 단부 면은 반대 방향으로 자기 북-남 극성을 가진다. 자석(225")에 대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배열에서 정면에서 각각의 자석을 보고 아치형 자석의 양 단부 표면을 볼 때, 단부 표면은 대향 방향으로 지향된 자기 북-남 극성을 가진다. 즉, 자기 북극은 자석의 대각선으로 대향하는 모서리에 배열되고, 자기 남극은 자석의 대각선으로 대향하는 모서리에 배열된다.
영구 자석(225", 226")은 도 11에 도시된 구현예에 대해 전술된 자석(225', 226')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2 커넥터 부분(도시되지 않음)의 주위에 배열된다. 자석(225", 226")이 제2 커넥터 부분 주위에 배열될 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225")의 자기 북극은 제2 자석(226")의 자기 북극에 인접 배열되고 자석(225")의 자기 남극은 자석(226")의 자기 남극에 인접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제1 자기 요소가 자석(225", 226")의 아치형 상부 표면에 인접 배열될 때, 자석(225", 226") 및 제1 자기 요소는 도 9, 도 10 및 도 11의 구현예에 관하여 전술된 회로에 대한 대안적인 자기 회로를 형성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2 자기 요소의 영구 자석은 대향 방향으로 지향된 자기 북-남 극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나 초과의 영구 자석을 포함한 제2 자기 요소를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자석의 자기 북-남 극성은 대안적인 배열로 지향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1 자기 요소는 하나 이상의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 또는 측면과 관련하여 기술된 특징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 또는 양태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으로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고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재충전 가능한 전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상기 재충전 가능한 전원을 재충전하기 위해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충전 유닛; 및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제1 커넥터 부분 및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은,
    복수의 전기 접점; 및
    제1 자기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은,
    복수의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가 연장 위치와 함몰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하고, 상기 연장 위치로 복귀하도록 편향되는 탄성 접점인, 복수의 전기 접점; 및
    제2 자기 요소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제1 연결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은 상기 연장 위치에 있고;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과 접촉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1 및 제2 자기 요소는 서로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지며,
    상기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을 상기 연장 위치로부터 상기 함몰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 요구되는 힘보다 더 큰,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상기 제1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적어도 0.15 뉴턴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상기 제1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약 0.2 뉴턴 내지 약 10 뉴턴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위치와 상기 함몰 위치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의 이동 길이는 약 0.3 mm 내지 약 0.7 mm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상기 제2 연결 위치에 추가로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자기 요소는 서로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지며;
    상기 제2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은 상기 함몰 위치에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상기 제2 연결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함몰 위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은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에 편향력을 가하며;
    상기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에 의해 가해지는 편향력보다 더 큰,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상기 제2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1 뉴턴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상기 제2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약 1.5 뉴턴 내지 약 4 뉴턴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자기 요소로부터 형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 요소는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은,
    면 및 실질적으로 상기 면의 중심에 배열되는 오목부로서, 상기 오목부는 폐쇄 단부, 상기 면에서의 개방 단부, 및 상기 개방 단부와 상기 폐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벽을 갖는, 상기 면 및 오목부;
    상기 오목부의 상기 폐쇄 단부에 배열되는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제1 접점;
    상기 오목부의 상기 측벽에 배열되고, 상기 제1 전기 접점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제2 접점; 및
    상기 면에 배열되고 상기 제1 전기 접점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제3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은,
    면 및 상기 면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되는 돌출부로서, 상기 돌출부는 단부 면 및 상기 면과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벽을 갖는, 상기 면 및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면에 배열되는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제1 접점;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배열되는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제2 접점; 및
    상기 면에 배열되고 탄성 핀 접점인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 중 제3 접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이 상기 제2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중량보다 더 큰,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장치의 원위 단부에 있는 상기 제1 또는 제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 유닛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적어도 원위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공동의 원위 단부에 배열되며;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상기 원위 단부가 상기 충전 유닛의 공동의 상기 원위 단부에 수용될 때 상기 제2 연결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점이 상기 제1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사이의 자기 인력의 힘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상기 충전 유닛의 공동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연장 위치와 상기 함몰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접점을 작동시키는 데 요구되는 편향력의 조합보다 더 큰,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 유닛은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기 요소 중 하나는 제1 영구 자석 및 상기 제1 영구 자석으로부터 이격된 제2 영구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영구 자석의 자기 북-남-극성은 상기 제2 영구 자석의 자기 북-남-극성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상기 제2 자기 요소는 2개의 영구 자석을 포함하며, 각각의 영구 자석은,
    2개의 대향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몸체;
    제1 방향을 갖는 자기 북-남 극성을 갖는 제1 단부; 및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을 갖는 자기 북-남 극성을 갖는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2개의 영구 자석은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에 배열되어서 각각의 영구 자석이 다른 영구 자석으로부터의 자기 반발력을 경험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은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축을 중심으로 원형 대칭이며,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 및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의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은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커넥터 부분에 대한 상기 제1 커넥터 부분의 임의의 배향에서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1020207037724A 2018-07-19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102666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96246 WO2020014917A1 (en) 2018-07-19 2018-07-19 Magnetic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907A true KR20210030907A (ko) 2021-03-18
KR102666883B1 KR102666883B1 (ko) 2024-05-20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13830A (zh) 2020-04-01
US20210251302A1 (en) 2021-08-19
EP3823475A4 (en) 2022-03-02
EP3823475A1 (en) 2021-05-26
AR115809A1 (es) 2021-03-03
RU2764289C1 (ru) 2022-01-17
WO2020014917A1 (en) 2020-01-23
CN112351696A (zh) 2021-02-09
PH12020552027A1 (en) 2021-06-07
JP2024038445A (ja) 2024-03-19
BR112020026782A2 (pt) 2021-03-30
JP2022501010A (ja) 2022-01-06
JP7463302B2 (ja) 2024-04-08
IL278842A (en) 2021-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83181B2 (ja) 電気コネクターを備えた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CN110536613B (zh) 具有容器的气溶胶生成系统
JP2024038445A (ja) 磁気コネクター
KR102666883B1 (ko)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JP2023548875A (ja) 改善された電気コネクターを備えた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TWI834689B (zh) 氣溶膠生成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