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829A -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829A
KR20210030829A KR1020190112485A KR20190112485A KR20210030829A KR 20210030829 A KR20210030829 A KR 20210030829A KR 1020190112485 A KR1020190112485 A KR 1020190112485A KR 20190112485 A KR20190112485 A KR 20190112485A KR 20210030829 A KR20210030829 A KR 20210030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oor
fan
purification system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산
김보경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12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0829A/ko
Publication of KR20210030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8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6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8Rad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2Carbon mon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실내의 공기 환경을 분석하여 공기 순환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각 방의 공기 질을 균일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방이 구비된 실내 공간에, 각 공간마다 구비되는 공기상태 측정센서; 상기 실내 공간의 일측에 구비되는 공기청정장치; 상기 실내 공간 내부에서 각 방 사이를 이동하도록 이동수단을 구비한 에어서큘레이터; 상기 방의 벽면 또는 천장에 구비되는 환풍기 및; 상기 공기상태 측정센서, 공기청정장치, 에어서큘레이터 및 환풍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상태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공기질 악화 성분 농도가 소정의 수치 이상인 위치(이하 "정화 장소")의 공기질 악화 성분 농도가 소정의 수치 이상일 경우, 정화 장소로부터 실내 공간 바깥으로 공기를 배출시키고, 상기 정화 장소의 공기질 악화 성분 농도가 소정의 수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실내 공간 바깥으로부터 들어오는 공기를 공기청정장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실내의 공기 환경을 분석하여 공기 순환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각 방의 공기 질을 균일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학교 또는 공공기관의 건축물이나 주거용/상업용 건축물은 환경법 개정 이전에 지어진 건축물들이 많기 때문에 환기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환기장치가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공기 청정 기능이 없어 최근 급격히 증가한 미세먼지를 처리할 수 없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환기장치와는 별도로 공기청정기를 설치한다.
공기청정기는 제품별로 처리 가능한 용량이 정해져 있어서 통상적인 사용방법으로는 각 방(실)마다 구비해야 하며, 필터도 주기적으로 교체해야만 본래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공기청정기는 가격이 높아 일반 가정집에서 각 방마다 공기청정기를 구매하여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한 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피/무게가 큰 공기청정기를 각 방마다 이동시키며 사용하는 것에 대한 불편함이 크고, 한 위치에서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기청정기로부터 이격된 방은 공기 정화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한계가 있다.
한편, 공공기관이나 회사 건물 등 공용 건물 등에서는 자체적인 비용으로 각 방마다 공기청정기를 구비할 수는 있으나, 이 경우 각각의 공기청정기의 필터를 모두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함으로 인한 추가비용 소모 및 인력 낭비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등록특허 제10-0669026호에는, 공기흡입구 및 공기배출구를 갖는 공기정화장치 본체와, 상기 공기정화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장치 및 필터장치를 구비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실내의 공기를 상기 공기정화장치 본체 쪽으로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정화장치 본체에서 분리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류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단일한 방에서 공기청정기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정도의 효과에 그치고 있으며, 여러 방을 한 대의 공기청정기로 관리할 수는 없어 새로운 공기 정화 시스템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공기 청정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 대의 공기청정기로도 여러개의 방의 공기 질을 관리할 수 있는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공기 청정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개의 방이 구비된 실내 공간에, 각 방마다 구비되는 공기상태 측정센서; 상기 실내 공간의 일측에 구비되는 공기청정장치; 상기 실내 공간 내부에서 각 방 사이를 이동하도록 이동수단을 구비한 에어서큘레이터; 상기 방의 벽면 또는 천장에 구비되는 환풍기 및; 상기 공기상태 측정센서, 공기청정장치, 에어서큘레이터 및 환풍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상태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공기질 악화 성분 농도가 소정의 수치 이상인 위치(이하 "정화 장소")의 공기질 악화 성분 농도가 소정의 수치 이상일 경우, 정화 장소로부터 실내 공간 바깥으로 공기를 배출시키고, 상기 정화 장소의 공기질 악화 성분 농도가 소정의 수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실내 공간 바깥으로부터 들어오는 공기를 공기청정장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환풍기는 필터 온오프 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환풍기가 공기 배출 모드일 때는 필터를 오프 시키고, 상기 환풍기가 공기 흡입 모드일 때는 필터를 온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의 입구에는 유로 형성 팬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공기청정장치로부터 방 내부 방향으로 또는 방 내부로부터 공기청정장치 방향으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공기청정장치는 몸체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를 정화한 뒤, 몸체 상부로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고; 상기 에어서큘레이터에는 팬 각도 조절 장치 및 팬 높이 조절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질 악화 성분은, 공기 중 미세먼지, 질산화물(NOx), 황산화물(SOx),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라돈 및 석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한대 또는 소수의 공기청정장치 만으로도 복수개의 방의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환기 모드 및 순환 모드를 적절히 조절하여 빠른 시간 내에 모든 방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오염이 심한 방을 특정하여 우선적으로 공기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아울러, 공기 유로를 공기청정장치에 집중시켜 더 많은 양의 공기를 정화시키거나, 공기 유로를 공기청정장치로부터 확산시켜 복수개의 방에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의 환기 단계에서 공기 유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의 순환 단계에서 공기 유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필터 온오프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 (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방이 구비된 실내 공간에, 각 방마다 구비되는 공기상태 측정센서; 상기 실내 공간의 일측에 구비되는 공기청정장치; 상기 실내 공간 내부에서 각 방 사이를 이동하도록 이동수단을 구비한 에어서큘레이터; 상기 방의 벽면 또는 천장에 구비되는 환풍기 및; 상기 공기상태 측정센서, 공기청정장치, 에어서큘레이터 및 환풍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상태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공기질 악화 성분 농도가 소정의 수치 이상인 위치(이하 "정화 장소")의 공기질 악화 성분 농도가 소정의 수치 이상일 경우, 정화 장소로부터 실내 공간 바깥으로 공기를 배출시키고, 상기 정화 장소의 공기질 악화 성분 농도가 소정의 수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실내 공간 바깥(실외, 건물 바깥)으로부터 들어오는 공기를 공기청정장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환풍기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실내로 외기의 흡입 및 실외로 내기의 배출이 모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특정한 방(R1)의 공기질이 악화된 상태에서 공기 정화 시스템이 작동하는 형태가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정화 장소(R1)의 공기를 외부(O)로 배출함과 동시에, 공기질이 상대적으로 좋은 방에서는 공기청정장치 방향으로 또는 정화 장소 방향으로 공기를 이송시키도록 환풍기가 역회전(실외로부터 공기의 유입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에어서큘레이터의 하부에 옴니휠(Omni wheels or Poly wheels) 및 옴니휠 회전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옴니휠 이외의 일반 휠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옴니휠은, 바퀴의 원주 주위에 바퀴 회전 방향에 수직인 작은 디스크(롤러, 보조바퀴)가 있는 바퀴를 의미하며, 휠을 최대한의 힘으로 구동하더라도 측면 방향 힘에 의한 반력(마찰)으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지 않고 측면 방향 힘을 흘려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옴니휠을 구비함으로써, 각 모터의 회전축이 수직이 아니더라도 서로 간섭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으며, 전후좌우, 사선, 360도 등 다양한 방향으로의 동작 및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에어서큘레이터 몸체 하부의 네 방향에 각각 옴니휠이 결합되는 경우,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 옴니휠을 회전시키고 다른 두 옴니휠을 고정(정지)시키게 되면, 정지 상태 옴니휠의 보조바퀴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회전 상태 옴니휠의 회전 방향으로 에어서큘레이터가 이동할 수 있다. 이외에도 에어서큘레이터를 회전시키거나(팬이 향하는 방향을 변경) 측방향 이동(팬이 향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등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설명을 통해 다양한 동작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므로, 옴니휠 자체에 대해서 더 상세히 기재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어부에는 실내 공간의 구조(도면)가 입력될 수 있다. 에어서큘레이터, 환풍기, 공기청정기 및 공기상태 측정센서 중 하나 이상에는 GPS가 구비될 수 있다.
실내 공간의 도면(벽이나 기타 구조물의 형상을 포함하는 도면일 수 있다.)을 기준으로, 에어서큘레이터, 환풍기, 공기청정기 및 공기상태 측정센서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여, 에어서큘레이터를 어떤 위치로 이동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면 상에 에어서큘레이터 이동 시 충돌 가능한 장애물이 도시되어 있으므로, 에어서큘레이터의 충돌로 인한 파손/고장/전복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에어서큘레이터에는 적외선센서 등을 포함한 충돌방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면 등에 입력되어있지 않은 구조물/가구/가전제품/물체 등과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서큘레이터 자체적으로 충돌 방지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에어서큘레이터에는 카메라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는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에어서큘레이터 진행방향에 있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충돌을 방지하고, 기타 구조물로부터 방해받지 않으면서 진행할 수 있는 방향을 탐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카메라로 촬영된 건물 내벽이나 기타 구조물 등의 형상을 기준으로 에어서큘레이터의 현재 위치 값을 인식할 수 있다. 최근 개발된 GPS들은 측정오차가 개선되어 정확도가 높은 편이나, 본 발명의 특성상 실내에 GPS신호가 잘 수신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GPS 측정 오차에도 불구하고 에어서큘레이터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에어서큘레이터 이동 구조 및 충돌방지구조 등의 구성은, 공기청정장치에도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특정한 정화 장소의 공기 질이 매우 낮은 경우에는, 공기정화장치를 직접 이동시킴으로써 빠르게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환풍기는 필터 온오프 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환풍기가 공기 배출 모드일 때는 필터를 오프 시키고, 상기 환풍기가 공기 흡입 모드일 때는 필터를 온 시킬 수 있다.
도 1의 상황에서, 외기가 도입되는 환풍기에서는 공기의 유입 전에 공기를 필터링함으로써 실내 공기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정화 장소(R1)로부터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때, 필터를 오프시켜 배출 공기 유량(또는 속도)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2에는, 특정한 방(R1)의 공기질이 이전보다 개선된 상태에서 공기 정화 시스템이 작동하는 형태가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단계에서 1차적으로 환기를 통한 공기질 개선 작업을 진행한 뒤, 정화 장소에 아직 남아있는 공기질 악화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 1과는 반대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먼저, 정화 장소(R1)에 구비된 환풍기를 역회전시켜 환풍기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를 유입시킨다. 이후 정화 장소 내부의 공기를 공기정화장치의 흡기구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정화장소 이외의 방에서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 공간에 압력구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내부 공기 유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 각 방의 공기 농도에 따라, 공기를 공기정화장치로 집중시켜 필터링 되는 공기의 양을 크게 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온오프 장치는 건물 외벽의 바깥쪽에 설치될 수 있다. 필터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연결하여, 흡기 시에는 환풍기가 필터에 완전히 가로막히도록 하고, 배기 시에는 환풍기가 외기와 직접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필터는 헤파필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의 입구에는 유로 형성 팬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공기청정장치로부터 방 내부 방향으로 또는 방 내부로부터 공기청정장치 방향으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 형성 팬은, 공기가 의도한 방향대로 흘러갈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유로 형성 팬의 작동을 통해, 공기를 특정한 어느 방으로 집중시키거나, 특정한 어느 방으로부터 확산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공기청정장치는 몸체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를 정화한 뒤, 몸체 상부로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고; 상기 에어서큘레이터에는 팬 각도 조절 장치 및 팬 높이 조절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장치의 흡기구, 에어서큘레이터의 팬, 유로 형성 팬 및 환풍기에는 고도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풍기 및 에어서큘레이터 등의 팬 회전축 중심과 공기청정장치의 흡기구를 이은 가상의 선이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각 장치의 고도 값과, 환풍기, 에어서큘레이터 및 공기청정장치의 현재위치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직선이 구성되도록 에어서큘레이터의 팬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질 악화 성분은, 공기 중 미세먼지, 질산화물(NOx), 황산화물(SOx),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라돈 및 석면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 및 중금속은 오염된 실외 대기, 실내 바닥의 먼지, 생활활동 등으로부터 발생하며, 규폐증, 진폐증 및 탄폐증 등을 유발한다.
석면은 단열재, 절연재, 석면타일 및 석면 브레이크 등으로부터 발생하며, 피부질환, 호흡기질환, 석면증 및 폐암 등을 유발한다.
담배연기는 담배, 궐련 및 파이프 담배 등으로부터 발생하며, 두통, 피로감 및 중추신경에 영향을 끼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연소가스(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등)는 각종 난로, 연료 연소, 가스렌지 등으로부터 발생하며, 만성 폐질환을 유발하며 중추신경에 영향을 끼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라돈은 흙, 바위, 지하수 및 콘크리트 등으로부터 발생하며, 폐암을 유발한다.
포름알데히드는 각종합판, 보드, 가구, 단열재, 접착제, 담배연기, 화장품, 옷감 등으로부터 발생하며, 눈, 코, 목 자극 증상, 기침, 설사, 어지러움, 구토, 피부질환, 비염, 정서불안증 등을 유발한다.
미생물성 오염물질(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등)은 가습기, 냉방장치, 냉장고, 애완동물 등으로부터 발생하며, 알레르기성 질환, 호흡기질환 등을 유발한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페인트, 접착제, 스프레이, 연소과정, 세탁소, 의복, 방향제, 건축자재 왁스 등으로부터 발생하며, 피로감, 정신착란, 두통, 구토, 현기증, 중추신경 억제작용 등을 유발한다.
상기와 같은 오염물질을 종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다양한 산업환경/지역환경에 적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R : 방 S : 공기상태 측정센서
O : 실외 W : 건물외벽
1 : 공기청정장치 2 : 에어서큘레이터
3 : 환풍기 4 : 유로 형성 팬
5 : 필터

Claims (5)

  1. 복수개의 방이 구비된 실내 공간에, 각 방마다 구비되는 공기상태 측정센서;
    상기 실내 공간의 일측에 구비되는 공기청정장치;
    상기 실내 공간 내부에서 각 방 사이를 이동하도록 이동수단을 구비한 에어서큘레이터;
    상기 방의 벽면 또는 천장에 구비되는 환풍기 및;
    상기 공기상태 측정센서, 공기청정장치, 에어서큘레이터 및 환풍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상태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공기질 악화 성분 농도가 소정의 수치 이상인 위치(이하 "정화 장소")의 공기질 악화 성분 농도가 소정의 수치 이상일 경우, 정화 장소로부터 실내 공간 바깥으로 공기를 배출시키고,
    상기 정화 장소의 공기질 악화 성분 농도가 소정의 수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실내 공간 바깥으로부터 들어오는 공기를 공기청정장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기는 필터 온오프 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환풍기가 공기 배출 모드일 때는 필터를 오프 시키고,
    상기 환풍기가 공기 흡입 모드일 때는 필터를 온 시키는,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의 입구에는 유로 형성 팬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공기청정장치로부터 방 내부 방향으로 또는 방 내부로부터 공기청정장치 방향으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장치는 몸체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를 정화한 뒤, 몸체 상부로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고;
    상기 에어서큘레이터에는 팬 각도 조절 장치 및 팬 높이 조절 장치가 구비되는;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악화 성분은,
    공기 중 미세먼지, 질산화물(NOx), 황산화물(SOx),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라돈 및 석면을 포함하는;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KR1020190112485A 2019-09-10 2019-09-10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KR20210030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485A KR20210030829A (ko) 2019-09-10 2019-09-10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485A KR20210030829A (ko) 2019-09-10 2019-09-10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829A true KR20210030829A (ko) 2021-03-18

Family

ID=7523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485A KR20210030829A (ko) 2019-09-10 2019-09-10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08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8522B2 (en) Ventilation system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HVAC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process thereof
WO2018018989A1 (zh) 一种双循环式新风系统和新风机
TWI545297B (zh) 空氣清淨機
US20150140919A1 (en) Techniques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CN205002259U (zh) 一种空气净化器机器人
KR100776602B1 (ko) 공기 순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4522472A (ja) 高機能空気浄化装置および方法
KR102159458B1 (ko)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CN107638781A (zh) 带有自检装置的废气净化系统
KR20120040895A (ko) 배기기능을 갖춘 실내공기 순환장치
KR102259561B1 (ko)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KR101990836B1 (ko) 분리 환기형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KR20210030829A (ko)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KR102307537B1 (ko) 외부공기의 유입이 방지되는 공기 청정시스템
CN205261737U (zh) 一种空气净化器
CN205461787U (zh) 一种具有检测功能的废气循环处理装置
JP6482885B2 (ja) 建物の空調換気システム
JP7187926B2 (ja) 換気装置及び換気システム
KR20150139066A (ko) 실내 공기 정화장치
CN205894430U (zh) 一种可净化空气的吊顶
KR20200082835A (ko) 지하 주차장용 환기 시스템
JP7453820B2 (ja) 空気浄化システム
CN204165145U (zh) 一种具有多重功效的嵌入式空气净化器
CN109489173B (zh) 换气系统
CN207975764U (zh) 一种实验室新风净化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