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793A -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793A
KR20210030793A KR1020190112419A KR20190112419A KR20210030793A KR 20210030793 A KR20210030793 A KR 20210030793A KR 1020190112419 A KR1020190112419 A KR 1020190112419A KR 20190112419 A KR20190112419 A KR 20190112419A KR 20210030793 A KR20210030793 A KR 20210030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area
augmented reality
companion
monster
companion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6973B1 (ko
Inventor
김용희
Original Assignee
김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희 filed Critical 김용희
Priority to KR1020190112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973B1/ko
Publication of KR20210030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9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enabling or updating specific game elements, e.g. unlocking hidden features, items, levels or v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63F13/798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for assessing skills or for ranking players, e.g. for generating a hall of f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2Strategy games; Role-play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9Involving elements of the real world in the game world, e.g. measurement in live races, real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반려동물이 포함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촬영부, 상기 이미지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 촬영 장소로부터 반경 일정 범위 이내를 베이스 영역으로 설정하는 베이스 영역 설정부, 상기 베이스 영역 설정부에서 설정된 베이스 영역 내에 몬스터 객체를 증강현실 화면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몬스터가 표시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증강 현실 표시된 몬스터와의 전투 미션을 제공하는 미션 제공부 및 상기 제공된 전투 미션의 성취여부에 따라 보상하는 보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에 의해 반려견과의 산책 활동에 증강현실 게임을 통한 미션을 부여하여 흥미를 고조시킴으로써 반려견과 사용자 모두의 건강상태를 증진시킬 수 있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ame with pet using augment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려동물 산책시에 영역을 설정하여 증강현실 표시된 몬스터 객체에 대한 미션을 수행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가 성숙해 갈수록 점점 더 자신이 키우는 동물에 대해 가족과 같은 유대 관계를 느끼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어, 이제는 애완동물을 넘어 반려동물로 사랑받는 동물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2018년 반려동물 시장규모는 2조6510억원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2012년 9000억원에 비해 3배 가까이 커진 것이다. 그리고 오는 2027년까지 현재의 2배인 6조55억원까지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잡은지 오래되었다.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화하였으며 기능의 발전으로 인하여 게임기의 역할도 수행하게 되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게임 컨텐츠는 지속적으로 개발되었으며,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발전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와 증강현실을 이용한 게임 컨텐츠가 개발 가능하게 되었다.
위치 기반 서비스(LBS ; Location Based Service)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증강현실이란 사용자의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로써 예를 들어 스마트폰 카메라로 주변을 비추면 인근에 있는 상점의 위치,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입체영상으로 표기되는 것을 의미한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은 일반적으로 가상 환경 및 가상 현실에서 파생한 용어로서, 실제 환경에 컴퓨터 그래픽 영상을 삽입하여 실세계 영상과 가상의 영상을 혼합한 것을 의미한다. 실세계 정보에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지 않는 정보도 있고 때로는 사용자가 필요로 한 정보가 부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컴퓨터로 만든 가상 환경을 이용하면 필요로 하지 않는 정보를 단순하게 하거나 보이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즉, 증강현실 시스템은 실세계와 가상 세계를 결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사용자와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을 게임에 적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증강현실에 기반한 게임을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KR 10-1266418 B1 KR 10-2013-0014665 A KR 10-2018-0114393 A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반려견과의 산책 활동에 증강현실 게임을 통한 미션을 부여하여 흥미를 고조시킴으로써 반려견과 사용자 모두의 건강상태를 증진시킬 수 있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반려견에게 발생될 수 있는 질병원인체를 게임몬스터로 제공함으로써 게임을 즐기면서 동시에 반려견의 건강 관련 의학상식을 학습할 수 있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는 사용자의 반려동물이 포함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촬영부, 상기 이미지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 촬영 장소로부터 반경 일정 범위 이내를 베이스 영역으로 설정하는 베이스 영역 설정부, 상기 베이스 영역 설정부에서 설정된 베이스 영역 내에 몬스터 객체를 증강현실 화면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몬스터가 표시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증강 현실 표시된 몬스터와의 전투 미션을 제공하는 미션 제공부 및 상기 제공된 전투 미션의 성취여부에 따라 보상하는 보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한편,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에서 수행되는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 방법은 이미지 촬영부가 사용자의 반려동물이 포함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베이스 영역 설정부가 이미지 촬영 장소로부터 반경 일정 범위 이내를 베이스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미션 제공부가 상기 설정된 베이스 영역 내에 몬스터 객체를 증강현실 화면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몬스터가 표시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증강 현실 표시된 몬스터와의 전투 미션을 제공하는 단계 및 보상부가 상기 제공된 전투 미션의 성취여부에 따라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견과의 산책 활동에 증강현실 게임을 통한 미션을 부여하여 흥미를 고조시킴으로써 반려견과 사용자 모두의 건강상태를 증진시킬 수 있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반려견에게 발생될 수 있는 질병원인체를 게임몬스터로 제공함으로써 게임을 즐기면서 동시에 반려견의 건강 관련 의학상식을 학습할 수 있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반려견과 함께 산책하는 모습을 실시간 촬영하여 인증함으로써 베이스 영역을 확보케 하여 반려인이 혼자 산책하는 것을 지양하고 애완동물과 함께 산책하는 것을 장려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영역을 표시한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몬스터 구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투 진행 화면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몬스터와 전투 보상으로 획득되는 몬스터 카드 화면의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에에 있어서 반려 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는 반려견과 함께 산책을 하다보면 매일 동일한 동선과 풍경이 반복됨에 따라 매너리즘을 느낄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반려인과 반려견 모두에게 산책 시간이 매일 새롭고 즐거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는 반려인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증강현실 게임과 산책 시간을 접목시켜 반려인과 반려견이 함께 미션을 수행하면서 산책을 즐겁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는 반려견이 본능에 충실하게 참여가능한 게임을 제공한다. 일예로 산책 중 소변으로 영역을 표시하는 행위와, 반려견의 이동 동선이 게임 진행의 중요 요소로 작용한다.
반려견이 자신의 영역에 침범한 몬스터를 사냥하러 가도록 반려인이 동행함으로써 산책에 의미를 부여하여 흥미를 고조시킬 수 있다. 즉, 반려인들에게 반려견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놀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반려견이 자신의 영역에 침범한 몬스터를 잡고, 몬스터를 잡으면 획득할 수 있는 포인트를 모아 반려동물 용품이나 간식을 구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케팅을 통해 반려견 용품에 대한 광고 효과를 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는 몬스터 객체를 반려견이 걸릴 수 있는 질병 원인체로 구현한다. 즉 반려견에게 유해한 질병 원인체로 도감을 채우면서 반려인이 반려견에게 발생할 수 있는 질병 원인체를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반려인이 반려견에 대한 건강 지식을 습득할 수 있고, 백신접종, 구충제, 위생관리 등 질병 예방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인지하여 반려견의 건강을 보다 잘 돌볼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이나, 반려동물이 이용할 수 있는 용품이나 간식을 몬스터 객체로 제공하여 몬스터를 사냥함과 동시에 반려동물 용품이나 간식을 마치 실제로 획득하는 것과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때, 반려동물 용품이나 간식이 몬스터 객체로 제공되는 경우 일예로 정해진 수 이상으로 반려동물 용품이나 간식 형태의 몬스터 객체를 사냥한 경우에 실제로 해당 품목을 구입할 수 있는 쿠폰을 지급하거나, 제휴 쇼핑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다.
반려동물 용품이나 간식 형태의 몬스터 객체 사냥에 성공한 경우에 해당 반려동물 용품이나 간식의 광고 동영상이 자동으로 출력된다. 광고 동영상은 수 초동안 플레이되고 사라지도록 구현된다. 또한 광고 동영상은 반려인이 지속적으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화면에 시선을 고정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청각적 효과에 더 중점을 두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는 GPS 기술을 적용하여 반려견 및 반려인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라 하겠다. 특히 반려견과 반려인이 교감할 수 있게 하는 도구의 하나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10)는 반려인이 소지하고 산책시에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장치로 구현된다.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10)는 반려견이 자신의 영역에 침범한 나쁜 몬스터를 잡아서 자신의 사료나 간식을 획득할 수 있다.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10)는 IP 할당된 단말기로서 인터넷등을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 (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형태의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 에서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는 이미지 촬영부(100), 베이스 영역 설정부(110), 미션 제공부(120), 및 보상부(130)를 포함한다.
이미지 촬영부(100)는 사용자의 반려동물이 포함된 이미지를 촬영한다. 이미지 촬영부(100)는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10)에서 실행되는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전용 앱 실행을 통해 카메라로 촬영된 반려 동물이 포함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 촬영부(100)는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들 중 반려동물이 마킹하는 사진을 인공지능 방식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는 반려인의 반려견인지 여부를 인공지능 방식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반려견에 목줄이나 입마개, 반려인이 소지하는 배변 봉투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실제 산책중인지 여부를 확인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이미지 촬영부(100)는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전용 앱 실행시에 실시간 카메라로 촬영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반려인이 자신의 반려견과 산책중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이때 실제 반려인이 소지하는 반려견의 마킹사진인지 진위 여부는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전용 앱을 실행중인 다른 플레이어의 반려동물 동반 게임 출석체크시 사진 검증으로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플레이어의 반려동물 사진이 실제 마킹 사진인지 5장의 사진 검증을 마치면 출석체크가 완료될 수 있다.
즉 반려인이 자신의 반려견이 마킹중인 사진을 찍어서 올리면 다른 플레이어의 출석체크시에 검증 사진 리스트에 올라가고, 다른 플레이어에의한 검증이 완료되면 영역이 완성된다. 다시 말해 다른 사용자가 실제 반려견의 마킹 사진 혹은 산책중 촬영한 사진인지 여부를 검증해줄 수 있다. 첫 사용자는 영역 만들기 FREE PASS 3회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반려인은 한번 산책을 하더라도 이동하면서 여러 장소에서 반려견이 마킹중인 사진 혹은 자신의 반려견과 산책을 인증할 수 있는 사진을 찍어서 업로드할 수 있다. 이 같이 반려견과 함께 산책하는 모습을 실시간 촬영하여 인증함으로써 베이스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베이스 영역 설정부(110)는 이미지 촬영부(100)에서 촬영된 이미지 촬영 장소로부터 반경 일정 범위 이내를 베이스(base) 영역으로 설정한다.
즉 반려견과 산책하면서 서로 다른 장소에서 반려견의 마킹 사진 혹은 산책 사진을 업로드할 경우에 베이스 영역이 다수개 설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영역을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2와 같이 반려견의 마킹 사진을 촬영한 위치를 GPS로 인식하고, 촬영 위치(현재위치)에서 반경 250미터 이내의 영역을 베이스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영역으로 설정되는 반경값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양상에 있어서, 몬스터 객체는 반려 동물에게 발생할 수 있는 질병, 침투 가능한 바이러스, 건강을 위협하는 세균, 기생충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반려동물이나, 반려동물이 이용할 수 있는 용품이나 간식을 몬스터 객체로 제공하여 몬스터를 사냥함과 동시에 반려동물 용품이나 간식을 마치 실제로 획득하는 것과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때 몬스터 종류와 위치, 수는 일예로 1시간 간격으로 무작위로 바뀌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정 주기마다 그 종류와 수, 위치가 갱신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에서 알 수 있듯이, 베이스 영역으로 설정된 범위에서는 많은 수의 몬스터가 출몰한다. 베이스 영역 내의 몬스터들은 모두 증강현실로 표시된다. 즉 베이스 영역 내에 출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몬스터들은 지도상에서 그 위치를 한번에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 영역을 많이 확보할 수록 몬스터의 사냥이 용이해진다. 그런데 베이스 영역은 반려견의 동작, 반려인과의 동반 산책에 의해 설정, 추가되기 때문에 반려인은 혼자 산책하기보다는 강아지와 함께 산책하면서 베이스 영역을 만들어 몬스터를 더 많이 사냥할 수 있다.
즉, 반려인은 반려견의 마킹 사진, 반려견과의 산책 모습 사진을 인증하여 베이스 영역을 지속적으로 확보하는 경우, 베이스 영역 내에서 보다 많은 수의 몬스터들을 발견하여 사냥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반려인으로 하여금 베이스 영역 확보에 대해 동기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는 반려인이 혼자 산책 하는 것을 지양하고 애완동물과 함께 산책하는 것을 장려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베이스 영역 설정부(110)는 사용자마다 레벨에 따라 베이스 영역의 개수 및 규모를 차등있게 허여한다. 플레이어(사용자)마다 하루에 만들수 베이스 영역의 수와 반지름이 차등 부여된다. 즉 플레이어마다 미션 수행 여부에 따라 레벨을 부여하고, 레벨에 따라 하루에 허용되는 베이스 영역의 수와 반지름이 차등 부여된다.
베이스 영역의 넓이는 누적되어 합산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영역의 누적합에 의해 랭킹이 정해진다. 동의 최대 베이스 영역 확보한 플레이어는 동장, 동장중 최대 베이스 영역을 확보한 플레이어는 시장, 시장들 중 가장 넓은 영역의 베이스 영역을 확보한 플레이어는 대통령 계급이 된다. 특히 반려동물에 동장 강아지, 시장 강아지, 대통령 강아지와 같은 계급 신분을 부여하여 게임의 성취도를 높이고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또는 베이스 영역의 넓이에 따라 메달을 부여하거나 트로피 등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베이스 영역 확대에 대한 보상을 지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반려동물 용품이나 간식이 몬스터 객체로 제공되는 경우 그 보상으로 실제 그 반려동물 용품이나 간식이 부여될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해진 수 이상으로 반려동물 용품이나 간식형태의 몬스터 객체를 사냥한 경우에 실제로 해당 품목을 구입할 수 있는 쿠폰을 지급하거나, 제휴 쇼핑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영역 설정부(110)에서 설정된 베이스 영역은 예를 들어 24시간, 또는 48시간 동안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베이스 영역을 생성해야하기 때문에 지루하지 않은 게임을 제공하고, 게임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베이스 영역 설정부(110)는 상기 베이스 영역을 소정의 유지시간동안 유지시키고, 보상으로 부여되는 아이템 사용시에 베이스 영역 유지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베이스 영역 유지시간을 연장시켜서 모니터 객체의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베이스 영역 유지시간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아이템을 확보하거나 반려 동물과의 산책 시간을 늘려야하는 것이다.
일 양상에 있어서, 베이스 영역의 유지 시간은 한정적이지만 각 사용자별로 베이스 영역 설정부(110)에서 설정된 베이스 영역의 이력 정보는 지속적으로 축적하여 저장 관리된다. 비록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베이스 영역은 사라지더라도 이전에 생성, 축적된 베이스 영역 넓이를 파악하여 더 넓은 베이스 영역을 확보한 사용자의 랭킹 순위가 높아질 수 있다. 이때 베이스 영역의 이력 정보의 축적 기간은 수일에서 수년까지 설정 가능하다.
축적된 베이스 영역의 넓이를 파악하는 경우에 베이스 영역간에 중복되는 영역의 넓이는 차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즉 근접한 지역에서 베이스 영역을 설정하여 베이스 영역간 중복 영역이 생기는 것보다는 서로 겹치지 않게 산책 경로를 넓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특히 베이스 영역은 반려견의 동작에 의해 설정, 추가되기 때문에 반려인은 혼자 산책하기보다는 강아지와 함께 산책하면서 베이스 영역을 더 만들어 몬스터를 더 많이 사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용자들이 소지하는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에서 축적된 베이스 영역 설정 이력 정보들을 취합할 수 있다. 그리고 취합된 정보에 기반하여 반려견의 산책 경로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동반 게임에 참여하여 베이스 영역을 설정하는 반려 동물의 개략적인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베이스 영역의 설정 이력 데이터가 축적되면 축적된 정보에 기반하여 그 동네에서 반려견, 반려인들이 산책 빈도가 높은 산책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축적된 베이스 영역 설정 이력 데이터는 산업 마케팅에 활용 가능하다. 즉, 베이스 영역 설정 빈도가 높은 지역은 반려견과 산책이 용이한 지역, 산책 선호도가 높은 지역이므로 동물병원이나 애견용품점의 입점 여부시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미션 제공부(120)는 베이스 영역 설정부(110)에서 설정된 베이스 영역 내에 몬스터 객체를 증강현실 화면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몬스터가 표시된 위치에 도달하면 증강 현실 표시된 몬스터와의 전투 미션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에 있어서 미션 제공부(120)는 상기 설정된 베이스 영역 이외의 지역에서는 사용자가 몬스터 객체에 기준거리 이하로 근접하면 상기 몬스터 객체를 증강현실 화면으로 표시한다.
베이스 영역안에 출현한 몬스터들은 도 3에서와 같이 플레이어가 지도상에서한번에 확인할 수 있지만, 베이스 영역 밖의 몬스터는 플레이어와의 거리가 예를 들어 10m또는 5m이하인 경우에만 표시된다. 즉 반려동물과 산책을 수행하여 베이스 영역을 넓게 확보할 수록 몬스터의 사냥이 쉬워지는 것이다. 베이스 영역 외의 지역에서 몬스터가 표시되는 플레이어와의 근접 거리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미션 제공부(120)는 플레이어가 증강현실 표시된 몬스터의 위치로부터 반경 10m 혹은 15m 이내에 진입하면 약 20초 내지 30초 정도 자동으로 전투를 발생시킨다. 전투시간은 다양하게 변경, 설정가능하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몬스터 구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미션 제공부(120)는 도 4에서와 같이 플레이어가 몬스터로부터 반경 15m이내 즉 몬스터 구역인 지름 30m이내 영역 내에 진입할 시에 자동으로 전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투 진행 화면의 예시도이다. 산책시에 반려인은 지속적으로 사용자 단말에 집중하기에 어렵다. 다른 행인이나 차량, 이물질 등을 살펴야 하며 반려동물에도 지속적으로 주의 집중해야한다. 따라서 미션 제공부(120)는 화면을 보지 않고 이어폰을 꽂으면 소리를 듣는것 만으로도 전투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효과음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에서와 같이 반려견이 몬스터와 전투를 진행하고 몬스터를 물리치면 도 6에서와 같이 강아지 간식 쿠폰과 같은 보상을 확보할 수 있다. 몬스터 레벨이 높을수록 몬스터 도망 확률이 더 낮을 수 있다. 즉, 레벨이 높은 몬스터는 전투에서 플레이어 강아지가 이길 확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몬스터와 전투 중에는 플레이어 강아지의 체력이 소진된다. 따라서 몬스터와 전투중에 체력이 바닥나거나 몬스터 구역에서 벗어날 경우에는 도망친 것으로 간주되며 패배로 처리될 수 있다. 몬스터와 전투를 진행한 후에는 소정의 시간이 지나고 플레이어 강아지의 체력이 자동으로 회복된다.
보상부(130)는 미션 제공부(120)에서 제공된 전투 미션의 성취여부에 따라 보상을 한다.
플레이어 강아지가 몬스터와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몬스터 사냥에 성공하면, 사냥에 성공한 몬스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몬스터 카드를 부여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몬스터와 전투 보상으로 획득되는 몬스터 카드 화면의 예시도이다.
플레이어 강아지가 몬스터와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몬스터 사냥에 성공하면, 도 7에서와 같이 사냥에 성공한 몬스터의 정보를 포함하는 몬스터 카드를 획득할 수 있다.
몬스터 객체는 반려 동물에게 발생할 수 있는 질병, 침투 가능한 바이러스, 건강을 위협하는 세균, 기생충, 반려동물 간식, 반려동물 용품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몬스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몬스터 카드를 획득함으로써, 반려인이 반려견에 대한 건강 지식을 습득할 수 있고, 백신접종, 구충제, 위생관리 등 질병 예방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인지하여 반려견의 건강을 보다 잘 돌볼 수 있다.
몬스터 카드로 몬스터 도감을 채울 수 있다. 몬스터 도감은 반려동물에게 발병할 수 있는 질병 원인체에 대한 설명과 사진을 포함함으로써 반려동물을 키우는 반려인들에게 교육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레이어 즉 반려인은 몬스터 사냥에 성공하면, 그에 따른 경험치와 포인트를 획득한다. 경험치를 통해서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 강아지의 레벨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포인트를 적립하여 제휴 쇼핑몰에서 사용가능한 쿠폰으로 바꾸거나,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다.
플레이어의 레벨이 올라갈 수록 승률도 올라가고 전체 랭킹 순위도 상승될 수 있다. 또한 일정 레벨에 도달하면 플레이어 강아지는 칭호를 얻을 수 있다. 예를들어 애견, 서당개, 변견, 맹견, 충견, 전견, 수견, 엽견, 군견, 명견과 같은 칭호를 레벨별로 부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상부(130)는 도감에 채워넣은 몬스터 카드수나, 출석횟수, 사냥 성공한 몬스터 객체의 수에 따라 배지를 부여하거나 포인트를 지급하여 보상해줄 수 있다.
이때 보상부(130)는 강아지 용품 교환권, 간식 교환권이나, 이벤트 참여 기회, 포인트를 부여할수 있다.
예를 들어 보상부(130)는 반려동물 용품이나 간식이 몬스터 객체로 제공되는 경우 일예로 정해진 수 이상으로 반려동물 용품이나 간식형태의 몬스터 객체를 사냥한 경우에 실제로 해당 품목을 구입할 수 있는 쿠폰을 지급하거나, 제휴 쇼핑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아지 용품 사업처나 간식 사업처의 광고 효과를 제공하여 광고 수익을 낼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에서 이미지 촬영부가 사용자의 반려동물이 포함된 이미지를 촬영한다(S2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 촬영부는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들 중 반려동물이 마킹하는 사진을 인공지능 방식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는 반려인의 반려견인지 여부를 인공지능 방식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반려견에 목줄이나 입마개, 반려인이 소지하는 배변봉투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실제 산책중인지 여부를 확인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이미지 촬영부(100)는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전용 앱 실행시에 실시간 카메라로 촬영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반려인이 자신의 반려견과 산책중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이 같이 반려견과 함께 산책하는 모습을 실시간 촬영하여 인증함으로써 베이스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실제 반려인이 소지하는 반려견의 마킹사진인지 진위여부는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전용 앱을 실행중인 다른 플레이어의 반려동물 동반 게임 출석체크시 사진 검증으로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플레이어의 반려동물 사진이 실제 마킹 사진인지 5장의 사진 검증을 마치면 출석체크가 완료될 수 있다.
즉 반려인이 자신의 반려견이 마킹중인 사진을 찍어서 올리면 다른 플레이어의 출석체크시에 검증 사진 리스트에 올라가고, 다른 플레이어에의한 검증이 완료되면 영역이 완성된다. 다시말해 다른 사용자가 실제 반려견의 마킹 사진 혹은 산책중 촬영한 사진인지 여부를 검증해줄 수 있다. 첫 사용자는 영역 만들기 FREE PASS 3회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베이스 영역 설정부가 이미지 촬영 장소로부터 반경 일정 범위 이내를 베이스 영역으로 설정한다(S210).
이때 베이스 영역 설정부는 사용자마다 레벨에 따라 베이스 영역의 개수 및 규모를 차등있게 허여한다.
플레이어(사용자)마다 하루에 만들수 베이스 영역의 수와 반지름이 차등 부여된다. 즉 플레이어마다 미션 수행 여부에 따라 레벨을 부여하고, 레벨에 따라 하루에 허용되는 베이스 영역의 수와 반지름이 차등 부여된다.
베이스 영역의 넓이는 누적되어 합산될 수 있다. 비록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베이스 영역은 사라지더라도 이전에 생성, 축적된 베이스 영역 넓이를 파악하여 더 넓은 베이스 영역을 확보한 사용자의 랭킹 순위가 높아질 수 있다. 동의 최대 베이스 영역 확보한 플레이어는 동장, 동장중 최대 베이스 영역을 확보한 플레이어는 시장, 시장들 중 가장 넓은 영역의 베이스 영역을 확보한 플레이어는 대통령이된다. 특히 반려동물에 동장 강아지, 시장 강아지, 대통령 강아지와 같은 신분을 부여하여 게임의 성취도를 높이고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또는 베이스 영역의 넓이에 따라 메달을 부여하거나 트로피 등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베이스 영역 확대에 대한 보상을 지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 영역 설정부는 베이스 영역을 소정의 유지시간동안 유지시키고, 보상으로 부여되는 아이템 사용시에 베이스 영역 유지시간을 연장시킨다.
이때 베이스 영역 설정부(110)에서 설정된 베이스 영역은 예를 들어 24시간, 또는 48시간 동안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베이스 영역을 생성해야하기 때문에 지루하지 않은 게임을 제공하고, 게임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베이스 영역으로 설정된 범위에서는 많은 수의 몬스터가 출몰한다. 베이스 영역 내의 몬스터객체 들은 모두 증강현실로 표시된다. 즉 플레이어가 베이스 영역 내에 진입할 경우에(S220), 베이스 영역 내에 출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몬스터들은 지도상에서 그 위치를 한번에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S230).
일 양상에 있어서, 몬스터 객체는 상기 반려 동물에게 발생할 수 있는 질병, 침투 가능한 바이러스, 건강을 위협하는 세균, 기생충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반려동물이 이용할 수 있는 용품이나 간식을 몬스터 객체로 제공하여 몬스터를 사냥함과 동시에 반려동물 용품이나 간식을 마치 실제로 획득하는 것과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그런데 베이스 영역은 반려견의 동작, 반려인과의 동반 산책에 의해 설정, 추가되기 때문에 반려인은 혼자 산책하기보다는 강아지와 함께 산책하면서 베이스 영역을 만들어 몬스터를 더 많이 사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려견과의 산책을 유도하고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즉, 반려인은 반려견의 마킹 사진, 반려견과의 산책 모습 사진을 인증하여 베이스 영역을 지속적으로 확보하는 경우, 베이스 영역 내에서 보다 많은 수의 몬스터들을 발견하여 사냥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반려인으로 하여금 베이스 영역 확보에 대해 동기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는 반려인이 혼자 산책 하는 것을 지양하고 애완동물과 함께 산책하는 것을 장려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양상에 있어서 미션 제공부는 설정된 베이스 영역 이외의 지역에서는 사용자가 몬스터 객체에 기준거리 이하로 근접하면(S222) 몬스터 객체를 증강현실 화면으로 표시한다(S224).
베이스 영역안에 출현한 몬스터들은 플레이어가 지도상에서 한번에 확인할 수 있지만, 베이스 영역 밖의 몬스터는 플레이어와의 거리가 예를들어 10m또는 5m이하인 경우에만 표시된다. 즉 반려동물과 산책을 수행하여 베이스 영역을 넓게 확보할 수록 몬스터의 사냥이 쉬워지는 것이다.
이후에 미션 제공부는 설정된 베이스 영역 내에 몬스터 객체를 증강현실 화면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증강현실 몬스터가 표시된 위치에 도달하면(S240) 증강 현실 표시된 몬스터와의 전투 미션을 제공한다(S250).
미션 제공부는 설정된 베이스 영역 이외의 지역에서는 사용자가 몬스터 객체에 기준거리 이하로 근접하면 상기 몬스터 객체를 증강현실 화면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미션 제공부는 플레이어가 증강현실 표시된 몬스터의 위치로부터 반경 10m 혹은 15m 이내에 진입하면 약 20초 내지 30초 정도 자동으로 전투를 발생시킨다.
산책시에 반려인은 지속적으로 사용자 단말에 집중하기에 어렵다. 다른 행인이나 차량, 이물질 등을 살펴야 하며 반려동물에도 지속적으로 주의 집중해야한다. 따라서 미션 제공부는 화면을 보지 않고 이어폰을 꽂으면 소리를 듣는것 만으로도 전투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효과음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에 보상부가 제공된 전투 미션의 성취여부에 따라 보상한다(S260).
플레이어 강아지가 몬스터와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몬스터 사냥에 성공하면, 사냥에 성공한 몬스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몬스터 카드를 부여한다.
몬스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몬스터 카드를 획득함으로써, 반려인이 반려견에 대한 건강 지식을 습득할 수 있고, 백신접종, 구충제, 위생관리 등 질병 예방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인지하여 반려견의 건강을 보다 잘 돌볼 수 있다.
몬스터 카드로 몬스터 도감을 채울 수 있다. 몬스터 도감은 반려동물에게 발병할 수 있는 질병 원인체에 대한 설명과 사진을 포함함으로써 반려동물을 키우는 반려인들에게 교육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레이어 즉 반려인은 몬스터 사냥에 성공하면, 그에 따른 경험치와 포인트를 획득한다. 경험치를 통해서 게임 내에서 플레이어 강아지의 레벨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포인트를 적립하여 제휴 쇼핑몰에서 사용가능한 쿠폰으로 바꾸거나,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다.
플레이어의 레벨이 올라갈 수록 승률도 올라가고 전체 랭킹 순위도 상승될 수 있다. 또한 일정 레벨에 도달하면 플레이어 강아지는 칭호를 얻을 수 있다. 예를들어 애견, 서당개, 변견, 맹견, 충견, 전견, 수견, 엽견, 군견, 명견과 같은 칭호를 레벨별로 부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상부는 도감에 채워넣은 몬스터 카드수나, 출석횟수, 사냥 성공한 몬스터 객체의 수에 따라 배지를 부여하거나 포인트를 지급하여 보상해줄 수 있다.
이때 보상부는 반려동물 용품이나 간식이 몬스터 객체로 제공되는 경우 일예로 정해진 수 이상으로 반려동물 용품이나 간식형태의 몬스터 객체를 사냥한 경우에 실제로 해당 품목을 구입할 수 있는 쿠폰을 지급하거나, 제휴 쇼핑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다.
즉 강아지 용품 교환권, 간식 교환권이나, 포인트, 이벤트 참여 기회를 부여할수 있다. 이에 따라 강아지 용품 사업처나 간식 사업처의 광고 효과를 제공하여 광고 수익을 낼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반려동물 동반 게임제공장치
100 : 이미지 촬영부 110 : 베이스 영역 설정부
120 : 미션 제공부 130 : 보상부

Claims (7)

  1. 사용자의 반려동물이 포함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촬영부;
    상기 이미지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 촬영 장소로부터 반경 일정 범위 이내를 베이스 영역으로 설정하는 베이스 영역 설정부;
    상기 베이스 영역 설정부에서 설정된 베이스 영역 내에 몬스터 객체를 증강현실 화면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몬스터가 표시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증강 현실 표시된 몬스터와의 전투 미션을 제공하는 미션 제공부; 및
    상기 제공된 전투 미션의 성취여부에 따라 보상하는 보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 제공부는 상기 설정된 베이스 영역 이외의 지역에서는 사용자가 몬스터 객체에 기준거리 이하로 근접하면 상기 몬스터 객체를 증강현실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몬스터 객체는 상기 반려 동물에게 발생할 수 있는 질병, 침투 가능한 바이러스, 건강을 위협하는 세균, 기생충, 반려동물 간식, 반려동물 용품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영역 설정부는,
    사용자마다 레벨에 따라 베이스 영역의 개수 및 규모를 차등있게 허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영역 설정부는,
    상기 베이스 영역을 소정의 유지시간동안 유지시키고, 보상으로 부여되는 아이템 사용시에 베이스 영역 유지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6.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에서 수행되는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촬영부가 사용자의 반려동물이 포함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베이스 영역 설정부가 이미지 촬영 장소로부터 반경 일정 범위 이내를 베이스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미션 제공부가 상기 설정된 베이스 영역 내에 몬스터 객체를 증강현실 화면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몬스터가 표시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증강 현실 표시된 몬스터와의 전투 미션을 제공하는 단계; 및
    보상부가 상기 제공된 전투 미션의 성취여부에 따라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 제공부가 상기 설정된 베이스 영역 이외의 지역에서는 사용자가 몬스터 객체에 기준거리 이하로 근접하면 상기 몬스터 객체를 증강현실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방법.
KR1020190112419A 2019-09-10 2019-09-10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및 방법 KR102256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419A KR102256973B1 (ko) 2019-09-10 2019-09-10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419A KR102256973B1 (ko) 2019-09-10 2019-09-10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793A true KR20210030793A (ko) 2021-03-18
KR102256973B1 KR102256973B1 (ko) 2021-05-27

Family

ID=75232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419A KR102256973B1 (ko) 2019-09-10 2019-09-10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9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989B1 (ko) * 2022-08-10 2022-12-27 유기석 이미지 정보와 촬영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애완견을 관리하는 애완견 관리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4665A (ko) 2011-07-31 2013-02-08 민경환 위치 기반 서비스와 증강현실을 결합한 여행용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101266418B1 (ko) 2010-12-21 2013-05-22 박경호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
KR20180114393A (ko) 2017-04-10 2018-10-18 신인모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 게임 서비스 방법
JP2018200519A (ja) * 2017-05-26 2018-12-20 株式会社テクテック 拡張現実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418B1 (ko) 2010-12-21 2013-05-22 박경호 증강현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동물위치추적시스템
KR20130014665A (ko) 2011-07-31 2013-02-08 민경환 위치 기반 서비스와 증강현실을 결합한 여행용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4393A (ko) 2017-04-10 2018-10-18 신인모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 게임 서비스 방법
JP2018200519A (ja) * 2017-05-26 2018-12-20 株式会社テクテック 拡張現実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한 동물원 관광 어플리케이션 ‘AniSearch’ 구현",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Vol. 19 No 10(2018.10.)* *
"책상 위에 대장균이? ‘식중독 잡GO’해보니", 인터넷 중앙일보 뉴스 기사(2017.05.0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989B1 (ko) * 2022-08-10 2022-12-27 유기석 이미지 정보와 촬영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애완견을 관리하는 애완견 관리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973B1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ch et al. To catch them all—the (un) intended consequences of Pokémon GO on mobility, consumption, and wellbeing
JP6905154B2 (ja) 並行現実ゲーム内の活動を用いたプレイヤーの現実世界位置の検証
Prandi et al. From gamification to pervasive game in mapping urban accessibility
US20150106628A1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captured image data and privacy data
TWI666608B (zh) Service providing system,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data construction method
AU2006335151A1 (en) Genius adaptive design
US1022960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physical figures to evidence real-world activity and facilitate development in real and virtual spaces
Apperley et al. Haptic ambience: Ambient play, the haptic effect and co-presence in Pokémon GO
Talasila et al. Crowdsensing in the wild with aliens and micropayments
JP2018057456A (ja) 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Shum et al. Seeing, moving, catching, accumulating: Pokémon GO, and the legal subject
Wang et al. Ubiquitous Pokémon Go: human–environment relationships and the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game
US20200078666A1 (en) Location-based messaging system
Laureyssens et al. ZWERM: a modular component network approach for an urban participation game
Bhattacharya et al. The pandemic as a catalyst for reimagining the foundations of location-based games
KR102256973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반려동물 동반 게임 제공장치 및 방법
Laato et al. How location-based games incentivize moving about: A study in the context of nature-going
Keenan Technocreep: the surrender of privacy and the capitalization of intimacy
US20210205715A1 (en) Contextual ads for esports fans
Russell et al. Privacy in gaming
Kasapakis et al. Pervasive games field trials: recruitment of eligible participants through preliminary game phases
JP7187092B1 (ja) ハッシュタグシステム、ハッシュタグ付与方法、ハッシュタグ付与プログラム
KR20180114393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 게임 서비스 방법
Simões et al. Gamification as a key enabling technology for image sensing and content tagging
Reis et al. Casual games with a pervasive twi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