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474A - 안테나 및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안테나 및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474A
KR20210030474A KR1020217005997A KR20217005997A KR20210030474A KR 20210030474 A KR20210030474 A KR 20210030474A KR 1020217005997 A KR1020217005997 A KR 1020217005997A KR 20217005997 A KR20217005997 A KR 20217005997A KR 20210030474 A KR20210030474 A KR 20210030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mobile terminal
side frame
conductive
rea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펭웬 첸
지아오 리앙
앤티 카릴레이넨
구오종 마
동싱 투
주나스 크로게러스
즐라톨주브 밀로사블예비치
콘스탄틴 소콜로프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30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10Resonant slot antennas
    • H01Q13/18Resonant slot antennas the slot being backed by, or formed in boundary wall of, a resonant cavity ; Open cavity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05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variable reactance for tuning the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안테나 및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안테나는 전도성 지지체와 급전부를 포함한다. 전도성 지지체는 모두가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고 공동(cavity)을 연합하여 둘러싸는 제1 부분, 제2 부분,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부분과 제3 부분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각각 제2 부분의 머리 단부와 꼬리 단부에 연결되고, 제4 부분과 제2 부분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2 부분은 디스플레이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3 부분은 이동 단말기의 측면 프레임의 일부이고, 제4 부분은 이동 단말기의 후면 커버의 외측 또는 내측에 위치하거나, 후면 커버의 일부이다. 전도성 지지체에는 갭이 제공되고, 갭은 제4 부분과 제1 부분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제4 부분 내에 배치된다. 급전부는 전자기파 신호를 급전하고 전도성 지지체를 여기시켜 전류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안테나는 공동 및 갭의 구성에 의해 전자기파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안테나는 간격 환경에 대해 낮은 요구사항을 가지며, 안테나 방사 기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및 이동 단말기
본 출원은 이동 단말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는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의 발전에 따라, 단말기 제품은 다수의 기능을 가진 작은 크기로 배열되는 경향이 있으며 단말기 제품의 내부 공간이 제한된다. 일 예로서 휴대폰이 사용된다. 화면이 점점 커짐에 따라, 안테나 공간은 줄어든다. 4G 표준에는 MIMO 안테나에 대한 요구사항이 지정되어 있다. 그러나, 5G 표준이 점진적으로 발표됨에 따라, 새로운 주파수 대역 N77(3.3GHz ~ 4.2GHz), N78(3.3GHz ~ 3.8GHz) 및 N79(4.4GHz ~ 5GHz)가 5G 표준에 추가된다. MIMO 안테나와 새로운 5G 주파수 대역은 더 많은 안테나 레이아웃 요구사항을 부과하므로, 휴대폰의 안테나 레이아웃 공간에 대한 추가 탐색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낮은 간격 환경 요구사항(low clearance environment requirement)을 가지면서 방사 기능을 충족할 수 있는 안테나를 제공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에서 제한된 공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가 당업계에서 시급한 요구사항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의 측면 프레임 내부의 제한된 공간에 적용될 수 있고, 낮은 간격 환경 요구사항을 가지며, 안테나 방사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는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측면 프레임 및 후면 커버를 포함하고, 측면 프레임은 디스플레이와 후면 커버 사이에 연결되고, 안테나는 전도성 지지체(conductive support)와 급전부(feeding part)를 포함한다. 전도성 지지체는 모두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고 공동(cavity)을 연합하여 둘러싸는 제1 부분, 제2 부분,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부분과 제3 부분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각각 제2 부분의 머리 단부와 꼬리 단부에 연결되고, 제4 부분과 제2 부분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2 부분은 디스플레이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3 부분은 측면 프레임의 일부이며, 제4 부분은 후면 커버의 외측에 위치하거나 후면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거나, 또는 후면 커버의 일부이다. 전도성 지지체에는 갭이 제공되고, 이 갭은 전자기파 신호를 방사하도록 구성되며, 갭은 제4 부분과 제1 부분 사이에 형성되거나, 제4 부분과 제3 부분 사이에 형성되거나, 제4 부분 내에 배치된다. 급전부는 전도성 지지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기파 신호를 공급하고 전도성 지지체를 여기시켜 전류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갭에 강한 전기장이 형성된다. 갭을 통해 분산형 커패시터가 형성되고, 전도성 지지체를 이용하여 전류 루프 인덕터가 형성되어 공진 모드를 형성하여 이동 단말기 외부로 전자기파 신호를 방사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안테나는 전도성 지지체를 사용하여 공동을 형성하고 이 공동은 갭을 통해 외부 신호와 통신한다. "외부 신호와 통신하는"이란 전자기파 신호가 갭을 통해 외부로 방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갭을 통해 공동과 단말기 외부 사이에 전자기파 방사 경로가 형성된다. 급전부는 전도성 지지체에 급전하고, 그 전도성 지지체를 여기시켜 전류 흐름을 생성하고, 갭에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고, 갭을 통해 전자기파 신호가 방사된다. 급전부와 전도성 지지체는 전류 루프를 형성하고, 전류 루프는 자극을 형성하며, 근접장 결합의 형태로, 전도성 지지체가 여기되어 전류 루프의 방향과 반대되는 전류를 생성한다. 또한, 갭에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고 갭을 통해 분산형 커패시터가 형성되는데 이는 용량성 부하에 해당한다. 갭에 의해 형성된 분산형 커패시터와 전도성 지지체에 의해 형성된 전류 루프의 인덕터는 이에 상응하게 LC 공진 공동을 형성하여 안테나의 공진 모드를 형성함으로써 전자기파 신호를 방사한다. 전도성 지지체로 둘러싸인 공동은 환경에 대한 낮은 간격 요구사항을 갖기 때문에, 안테나는 이동 단말기에서 좋지 않은 간격 여건을 갖는 위치에 적용될 수 있어(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중간 영역에 위치함), 이에 따라 안테나 레이아웃 공간이 확장되고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레이아웃 공간이 더욱 유연해질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이동 단말기는 중간 프레임을 포함하고, 중간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를 장착하도록 구성되고, 제2 부분은 중간 프레임의 일부이며, 공동은 중간 프레임, 측면 프레임 및 제4 부분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구현은 전면 장착 스택 형 아키텍처(front-mounted stacked architecture)의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디스플레이가 중간 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고 중간 프레임과 후면 커버 사이에 회로 기판과 배터리가 설치되고, 안테나가 배터리, 중간 프레임, 측면 프레임 및 후면 커버로 둘러싸인다.
특정 구현에서, 후면 커버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전도성 재료로 제조되고, 제4 부분은 후면 커버의 내부 표면에 배치된 전도성 층이다. 제4 부분은 냉간 주입 기법(cold injection technique), 레이저 직접 몰딩 기법 또는 인쇄 직접 몰딩 기법을 사용하여 후면 커버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전도성 층이며, 제4 부분은 대안적으로 후면 커버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 전도성 필름 또는 FPC 가요성 보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면 커버의 내부 표면에 금속 필름이 부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금속 필름의 크기와 형태를 조절하여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낮추기 위해 제4 부분과 제3 부분 사이의 접합부(joint)에 노치가 형성된다. 노치는 제1 노치 및 제2 노치를 포함하고, 제4 부분은 제3 부분에 연결된 연결 부분(connecting part) 및 제3 부분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주요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노치 및 제2 노치는 연결 부분의 양측에 대칭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제4 부분은 T자형이다. 주요 부분과 제1 부분 사이에는 전자기파를 방사하도록 구성된 갭이 형성되며, 주요 부분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후면 커버는 비전도성 재료로 제조되고, 제4 부분은 후면 커버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기능성 층이고, 이 기능성 층은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터치에 사용되는 터치 층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막대 모양의 디스플레이가 기능성 층으로서, 측면 프레임 근처에 있고 후면 커버의 표면에 있는 가장자리 위치에 배치된다. 기능성 층, 측면 프레임, 중간 프레임 및 제1 부분은 연합하여 안테나의 공진 공동(즉, 전술한 공동)을 형성한다. 물론, 기능성 층은 대안적으로 터치 층일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는 터치 층에서 사람의 손에 의해 수행되는 터치 동작에 의해 제어된다. 그것은 볼륨 조절을 위한 터치 키, 밝기 조절을 위한 터치 표면, 프로그램 시작 또는 종료를 위한 터치 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두 가지 구현에서 후면 커버는 비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전도성 지지체의 제4 부분의 배치를 구현하기 위해, 전도성 층 또는 전도성 기능을 갖는 기능성 층이 후면 커버의 내부 표면 또는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전술한 두 가지 구현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구현에서, 후면 커버는 서로 인접한 전도성 영역과 비전도성 영역을 포함하고, 제4 부분은 전도성 영역에 형성되고, 전자기파 신호는 비전도성 영역을 통해 방사된다. 이 구현에서, 후면 커버는 통합 몰딩 방식으로 형성되어 전도성 영역과 비전도성 영역을 형성한다. 전도성 영역은 후면 커버의 가장자리 위치에 배치되고, 비전도성 영역과 측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다.
본 출원에서 급전부의 구성은 급전부가 공동 내에 배치되기도 하고 급전부가 공동 외부에 배치되기도 하는 상이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일 구현에서, 급전부는 공동 내로 연장되고, 급전부와 전도성 지지체는 연합하여 공동 내에 전류 루프를 형성한다.
특정 구현에서, 급전부는 제2 부분을 지나 공동 내로 연장하고, 급전부는 제2 부분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급전부는 동축 라인일 수 있다. 제2 부분에는 쓰루 홀이 배치되어, 동축 라인은 쓰루 홀을 지나 공동 내로 연장되고, 동축 라인의 외부 도체와 제2 부분은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급전부의 일단은 제2 부분에 연결되고, 급전부의 타단은 제3 부분에 연결되어, 급전부,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 및 제3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연합하여 전류 루프를 형성한다. 급전부는 L자형 또는 C자형과 같이 구부러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급전부의 일단은 제2 부분에 연결되고, 급전부의 타단은 제4 부분에 연결되어, 급전부, 제4 부분의 적어도 일부, 제3 부분,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연합하여 전류 루프를 형성한다. 급전부는 직선 형상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급전부는 공동 외부에 위치하고, 급전부는 이동 단말기의 측면 프레임에 고정 연결되며, 급전부는 제4 부분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는데, 즉, 제4 부분이 위치하는 평면 상으로의 급전부의 수직 투영은 제1 부분의 측면 상에 있을 수 있다. 급전부는 제4 부분에 인접할 수 있거나, 제4 부분과 이격될 수 있는데, 즉, 제4 부분이 위치하는 평면 상으로의 급전부의 수직 투영은 제4 부분과 중첩되지 않는다. 확실히, 급전부와 제4 부분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는 영역이 있으며, 여기서 급전부는, 제2 부분과 마주하는, 제4 부분의 측면에 위치하며, 급전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4 부분으로 덮여 있다. 전도성 지지체는 급전부의 급전을 통해 여기되어 전류 루프를 형성한다.
급전부는 가요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급전 회로는 가요성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며, 가요성 회로는 측면 프레임에 고정 연결되어, 급전 회로가 전도성 지지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다른 구현에서, 급전부는 대안적으로 동축 라인 또는 다른 급전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면 프레임의 내부 표면은 고정 보스(fixed boss)에 연결되고, 가요성 회로 기판은 고정 보스에 고정 연결된다.
구현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중간 프레임을 포함하고, 중간 프레임은 후면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4 부분은 중간 프레임의 일부이고, 공동은 제2 부분, 측면 프레임 및 중간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이고, 쓰루 홀이 중간 프레임에 배치되어 갭을 형성한다. 이 구현은 후면 장착형 스택 아키텍처의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중간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사이에는 배터리 및 회로 기판과 같은 컴포넌트가 설치되고, 후면 커버는 중간 프레임을 덮는다. 일반적으로, 중간 프레임은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 구현에서, 전자기파 신호를 방사하기 위해 안테나가 사용하는 갭으로서 중간 프레임에 쓰루 홀이 배치된다. 이 구현에서, 비전도성 물질의 갭을 위해 배치되는, 후면 커버의 위치는 제4 부분의 중간 영역일 수 있거나, 제4 부분 및 제1 부분에 인접한 위치일 수 있고, 또는 제4 부분 및 제3 부분에 인접한 위치일 수 있다. 제1 부분은 예를 들어 금속 벽과 같이 중간 프레임과 통합된 판형 구조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금속 필름과 같이 배터리의 측벽에 부착된 전도성 층 구조일 수 있다.
구현예에서, 공동은 안테나의 주파수를 조정하거나 변경하기 위해 매개체로 채워진다. 이 매개체는 PC 재료의 수지(plastic) 또는 나노 주입 몰딩에 사용되는 주입 몰딩 재료일 수 있다. 매개체의 유전율이 높을수록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가 낮음을 나타낸다. 물론 매개체는 공기일 수도 있다. 매개체의 비유전율(relative permittivity) 범위는 진공에 대한 비유전율을 의미하는 1 ~ 4일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안테나는 전도성 부재(conductive member)를 더 포함하고, 이 전도성 부재는 공동 내에 배치되고 제2 부분과 제4 부분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도성 부재는 공동에서 인덕터 경로를 형성하여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한다.
일 구현에서, 전도성 지지체에는 슬롯이 제공되고, 이 슬롯은 제1 부분 또는 제2 부분에 배치되고, 공동의 중앙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슬롯은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구현에서, 측면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부분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부분은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이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는 측면 프레임의 위치까지 연장되고, 제3 부분은 디스플레이 부분의 일부이다. 이 구현은 곡면 화면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측면 프레임의 위치는 디스플레이의 곡면 부분이다.
일 구현에서, 2개 이상의 전도성 지지체가 있고, 이 전도성 지지체는 이동 단말기의 동일한 측면에 분포되어 있고, 하나의 급전부가 있고, 이 하나의 급전부는 2개 이상의 전도성 지지체를 동시에 여기시킨다. 이 구현에서, 급전부는 2개의 인접한 전도성 지지체의 제4 부분들 사이에 위치한다.
안테나는 2개 이상이며, 안테나는 이동 단말기의 긴 측면에 있는 측면 프레임과 배터리 사이에 분포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측면 프레임 및 후면 커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더 제공하고, 측면 프레임은 디스플레이와 후면 커버 사이에 연결되고, 배터리는 이동 단말기 내부에 배치되고, 이동 단말기는 전술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안테나는 배터리와 측면 프레임 사이에 위치한다.
이동 단말기는 한 쌍의 긴 측면과 한 쌍의 짧은 측면을 포함하고, 두 개 이상의 안테나가 있으며, 측면 프레임은 긴 측면에서의 측면 프레임 및 짧은 측면에서의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며, 안테나는 긴 측면에서의 측면 프레임과 배터리 사이에 분포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구현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구현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출원의 구현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적용된 안테나의 개략적인 프로파일도이다.
도 3b는 본 출원의 다른 구현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적용된 안테나의 개략적 인 프로파일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구현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적용된 안테나의 개략적인 3 차원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구현에 따른 안테나의 개략도로서, 전도성 지지체의 구조 만이 도시되고 급전부는 포함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출원의 구현에 따른 안테나의 개략도로서, 전도성 지지체의 구조 만이 도시되고 급전부는 포함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출원의 구현에 따른 안테나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구현에 따른 안테나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구현에 따른 안테나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구현에 따른 안테나의 개략적인 3차원 다이어그램이고, 주로 공동 외부로 급전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구현에 따른 안테나의 개략적인 프로파일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구현에 따른 안테나의 개략도로서, 전도성 지지체의 구조 만이 도시되고 급전부는 포함되지 않는다.
도 13은 본 출원의 구현에 따른 안테나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구현에 따른 안테나의 개략적인 부분적인 3차원 다이어그램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구현에 따른 안테나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구현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적용된 안테나의 개략도이고, 적어도 2개의 전도성 지지체가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특정 구현에서, 이동 단말기는 이동 전화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한 쌍의 긴 측면(101)과 한 쌍의 짧은 측면(102)을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한 쌍의 짧은 측면(102)은 각각 이동 단말기(100)의 상단부와 하단부이고, 이동 단말기(10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안테나를 배치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이며, 우수한 간격 환경을 갖는다. 그러나, 4G, Wi-Fi 및 GPS 안테나와 같은 안테나는 이미 이들 두 가지 최적의 레이아웃 공간, 즉 상단부와 하단부를 차지하고 있다. 4G 표준이 5G 표준으로 발전함에 따라, 새로운 MIMO 및 5G 안테나를 더 이상 상단부 및 하단부 공간에 배치할 수 없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안테나(10)는 이동 단말기(100)의 긴 측면(101)에 가깝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03), 측면 프레임(104) 및 후면 커버(105)를 포함하고, 측면 프레임(104)은 디스플레이(103)와 후면 커버(105) 사이에 연결되고, 배터리(106)는 이동 단말기(100) 내부에 배치되고, 배터리(106)는 후면 커버(105)의 내측에 배치되고,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안테나(10)는 긴 측면(101)의 측면 프레임(104)과 배터리(106) 사이에 배치된다. 서로 다른 무선 주파수 수신 및 송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나의 이동 단말기(100)에 2개 이상의 안테나(1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전도성 지지체(11)와 급전부(12)를 포함하는 안테나(10)를 제공한다. 전도성 지지체(11)는 공진 공동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급전부(12)는 전도성 지지체(11)에 급전하여 전자기파 신호를 방사한다. 구체적으로, 전도성 지지체(11)는, 모두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공동(110)(즉, 공진 공동)을 형성하도록 연합하여 배치되는 제1 부분(111), 제2 부분(112), 제3 부분(113) 및 제4 부분(114)을 포함한다. 제1 부분(111)과 제3 부분(113)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각각 제2 부분(112)의 머리 단부와 꼬리 단부에 연결되고, 제4 부분(114)과 제2 부분(112)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2 부분(112)은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03)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3 부분(113)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프레임(104)의 일부이고, 제4 부분(114)은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커버(105)의 외부에 위치하거나, 후면 커버(105)의 내측에 위치하거나, 또는 후면 커버(105)의 일부이다. 전도성 지지체(11)에는 갭(115)이 제공되고, 이 갭(115)은 전자기파 신호를 방사하도록 구성되고, 갭(115)은 제4 부분(114)과 제1 부분(111) 사이에 형성되거나(도 3a에 도시된 실시예), 제4 부분(114)과 제3 부분(113) 사이에 형성되거나(도 3b에 도시된 실시예), 또는 제4 부분(114)에 배치된다(도 12에 도시된 실시예). 제4 부분(114)과 제1 부분(111) 사이의 위치에 갭(115)이 형성되면, 안테나(10)의 전자기파 방사의 방향은 이동 단말기의 중앙을 향하게 된다. 제4 부분(114)과 제3 부분(113) 사이의 위치에 갭(115)이 형성되면, 안테나(10)의 전자기파 방사의 방향은 이동 단말기의 가장자리를 향한다. 갭(115)이 제4 부분(114)에 배치되면, 안테나(10)의 전자기파 방사의 방향은 제4 부분에 대응하는, 후면 커버이의 위치를 향한다. 급전부(12)는 도전성 지지체(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전자기파 신호를 공급하고 전도성 지지체(11)를 여기시켜 전류를 발생시키고 갭(115)에 강한 전기장을 형성하여, 전자기파 신호를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로 방사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안테나에서, 공동(110)은 전도성 지지체(11)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공동(110)은 갭(115)을 통해 외부 신호와 통신한다. "외부 신호와 통신하는"이란 전자기파 신호가 갭(115)을 통해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갭을 통해 단말기의 외부와 공동 사이에 전자기파 방사 경로가 형성된다. 급전부(12)는 전도성 지지체(11)에 급전하여 도전성 지지체(11)를 여기시켜 전류를 발생시키고, 갭(115)에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고, 갭(115)을 통해 전자기파 신호가 방사된다. 구체적으로, 급전부(12)와 전도성 지지체(11)는 전류 루프를 형성하고, 전류 루프는 자극을 형성하며, 근접장 결합의 형태로, 전도성 지지체(11)는 전류 루프의 방향과 반대되는 전류를 생성하도록 여기된다. 전류 루프는 인덕터(L)를 형성하고, 갭(115)에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고, 갭(115)에 분산형 커패시터가 형성되는데, 즉, 갭(115)은 커패시터(C)와 등가이다. 갭(115)에 의해 생성된 분산형 커패시터(C) 및 전도성 지지체(11)에 의해 형성된 전류 루프의 인덕터(L)는 LC 공진 공동과 등가이고, 그에 따라 공진 모드를 형성하여 전자기파 신호를 이동 단말기의 외부로 방사한다. 다시 말해, 갭(115)에서 강한 전기장이 발생되고, 갭(155)에서의 강한 전기장은 전자기파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안테나(10)에서, 전도성 지지체(11)로 둘러싸인 공동(110)은 급전부(12)와 협력하여 전자기파를 방사한다. 안테나(10)의 위치 배열은 간격 공간에 대해 요구사항을 적게 가지며, 그에 따라, 안테나(10)는 간격 조건이 좋지 않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간격 요구사항이 없는 이동 단말기 내부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이 사용된다. 안테나(10)는 휴대폰의 중간 위치(즉,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짧은 측면(102)에 대응하는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중간 영역)에 배치되어, 안테나(10)의 레이아웃 공간을 확장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의 안테나 레이아웃 공간을 보다 유연하게 만든다. 또한, 금속 측면 프레임을 갖는 휴대폰의 경우,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안테나(10)는, 금속 측면 프레임 상에 갭을 배치할 필요없이, 측면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어, 측면 프레임의 구조적 강도를 보장할 수 있고, 완전한 외관 표면에 대한 좋은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의 경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측면 프레임으로 확장 되어도 안테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안테나는 간격 조건이 좋지 않은 환경에서 사용될수 있으며, 디스플레이가 측면 프레임과 후면 커버의 일부를 덮더라도 안테나 성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안테나(10)를 이용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프레임이 좁아지고 화면이 커지는 추세를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현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중간 프레임(107)을 포함하고, 중간 프레임(107)은 디스플레이(103)를 장착하도록 구성되고, 제2 부분(112)은 중간 프레임(103)의 일부이며, 공동(110)은 중간 프레임, 측면 프레임 및 제4 부분(114)으로 둘러싸인다. 이 구현은 전면 장착형 적층 아키텍처의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되, 디스플레이(103)가 중간 프레임(107)의 전면에 설치되고, 회로 기판(109)과 배터리(106)는 중간 프레임(107)과 후면 커버 사이에 설치된다(후면 커버는 도 3a에는 도시되지 않았고, 제4 부분(114)의 외측 또는 내측 또는 제4 부분(114)의 위치는 후면 커버의 특정 위치이다). 제1 부분(111)과 중간 프레임(107)은 일체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부분(111)은 이동 단말기(100)에 형성된 배터리 고정 벽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면, 안테나(10)는 배터리(106), 중간 프레임(107), 측면 프레임(104) 및 후면 커버(105)로 둘러싸인 공간에 형성된다. 측면 프레임(104)은 이동 단말기의 긴 측면에서의 측면 프레임과 이동 단말기의 짧은 측면에서의 측면 프레임을 포함한다. 구현에서,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안테나는 긴 측면에서의 측면 프레임과 배터리 사이에 분포된다.
특정 구현에서, 후면 커버(105)는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부분(114)은 후면 커버(105)의 내부 표면에 배치된 전도성 층이다. 제4 부분(114)은 냉간 주입 기법, 레이저 직접 몰딩, 또는 인쇄 직접 몰딩 기법을 사용하여 후면 커버(105)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전도성 층이며, 제4 부분(114)은 대안적으로 후면 커버(105)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 전도성 필름 또는 FPC 가요성 보드일 수 있다.
후면 커버(105)의 내부 표면에 제4 부분(144)(금속 필름, 전도성 필름 또는 FPC)이 부착된 실시예에서, 제4 부분(144)의 크기 및 형상은 요구사항에 따라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커버(105)는 도 4에서 삭제되고, 제4 부분(114)은 직접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4 부분(114)이 금속 필름인 경우, 제4 부분(114)에 국부 전단(local shearing)을 수행하여 제4 부분(114)에 노치를 형성하여 제4 부분(144)의 크기 및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낮추기 위해 제4 부분(114)과 제3 부분(113) 간의 접합부에 노치(1141, 1142)가 형성된다. 노치(1141, 1142)가 배치된 위치는 전도성 지지체(11) 상의 전류를 차단할 수 있으며, 이 전류는 차단 경로 주위를 따라 흐르게 되어 전도성 지지체(11)상의 전류의 길이와 방향은 달라지고, 튜닝 기능이 달성된다. 노치는 제1 노치(1141) 및 제2 노치(1142)를 포함한다. 제4 부분(114)은 제3 부분(113)에 연결된 연결 부분(1143) 및 제3 부분(113)으로부터 떨어진 주요 부분(1144)을 포함한다. 제1 노치(1141) 및 제2 노치(1142)는 연결 부분(1143)의 양측에 대칭으로 분포하고, 제1 노치(1141)와 제2 노치(1142)가 대칭으로 분포된 경우, 제1 노치(1141)와 제2 노치(1142)는 모두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다. 물론, 제1 노치(1141) 및 제2 노치(1142)는 대안적으로 상이한 형상 및/또는 크기를 갖는 구조일 수 있으며, 제1 노치(1141) 및 제2 노치(1142)의 크기는 특정 튜닝 요구사항에 따라 별개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제1 노치(1141)와 제2 노치(1142)는 모두 직사각형이고, 이들 사이에 연결 부분(1143)이 형성되어 제4 부분(114)은 T자형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현에서, 제1 노치(1141) 및 제2 노치(1142)는 제4 부분(114)이 T자형이 되도록 배치되고, 안테나(10)의 동작 주파수 대역은 단일 안테나를 사용하여 N77+N79(3.3GHz 내지 5GHz)의 주파수 범위로 달성되고, 안테나(10)의 효율은 -5dB 이상을 달성한다. 이 구현에서, 노치를 배치하여 제4 부분의 형상을 변경하여,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고 안테나 방사 효율 및 대역폭에 대한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른 구현에서, 하나의 노치만이 배치될 수 있고, 노치의 위치는 제4 부분(114)과 제3 부분(113) 간의 접합부의 가장자리 위치 또는 중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주요 부분(1144)과 제1 부분(111) 사이에는 전자기파를 방사하도록 구성된 갭(115)이 형성되고, 주요 부분(1144)은 직사각형, 사다리꼴 또는 기타 불규칙한 형상일 수 있다.
연결 부분(1143)과 제3 부분(113) 사이의 접합부에서, 연결 부분(1133)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주요 부분(1144)의 가장자리(즉, 갭(115)을 형성하는 주요 부분의 위치)로의 방향으로서, 제4 부분(144)이 위치하는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은 제1 방향(A1)이다. 연결 부분(1143)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주요 부분(1144)의 가장자리는 방사 가장자리(1145)이고, 방사 가장자리(1145)의 연장 방향은 제2 방향(A2)이다. 제2 방향(A2)은 제1 방향(A1)과 수직할 수 있다. 제2 방향(A2)에서, 갭(115)이 연장되는 크기는 갭(115)의 길이이고, 제4 부분(114)과 제1 부분(111) 사이의 수직 거리는 갭(115)의 높이이고, 제4 부분(114)이 위치하는 평면으로의 제1 부분(111)의 수직 투영이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크기는 갭(115)의 폭이다. 갭(115)의 길이, 높이 및 폭의 변화는 모두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갭(115)은 분산형 커패시터의 부하를 형성하고, 커패시턴스는 면적에 비례하고, 거리에 반비례하며, 공진 주파수는 커패시턴스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갭(115)에 의해 형성된 커패시터의 투영 면적이 증가하면 커패시턴스가 증가하여 공진 주파수가 낮아진다. 투영 면적은 길이 및 폭과 관련이 있다. 구체적으로, 갭(115)의 길이와 폭의 크기는 공진 주파수에 반비례한다. 갭(115)의 높이가 증가하면 커패시턴스가 감소하여 공진 주파수가 증가하는데, 즉, 갭(115)의 높이의 크기는 공진 주파수에 비례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는 전도성 지지체(11)의 제1 부분(111), 제2 부분(112), 제3 부분(113) 및 제4 부분(114) 사이의 위치 관계를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후면 커버(105)와 디스플레이(105)는 가장자리 부분만을 도시한다. 특정 구현에서, 후면 커버(105)는 비전도성 재료로 제조되고, 제4 부분(114)은 후면 커버(105)의 외부 표면(디스플레이(103)에서 떨어져 있는 후면 커버(105)의 표면이면서 사용자에 의해 직접 터치될 수 있는 표면)에 부착된 기능성 층이고, 이 기능성 층은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터치에 사용되는 터치 층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막대형 디스플레이가 측면 프레임 근처에 있고 후면 커버(105)의 외부 표면에 있는 가장자리 위치에 기능성 층으로서 배치된다. 기능성 층, 측면 프레임, 중간 프레임 및 제1 부분(111)은 연합하여 안테나의 공진 공동(즉, 전술한 공동(110))을 형성한다. 물론, 기능성 층은 대안적으로 터치 층일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는 터치 층에서 사람의 손에 의해 수행되는 터치 동작에 의해 제어된다. 터치 층은 볼륨 조절을 위한 터치 키, 밝기 조절을 위한 터치 표면, 프로그램 시작 또는 종료를 위한 터치 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면 커버(105)의 외부 표면이 고르지 않은 구조물(uneven structure) 없이 완전한 표면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더 나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후면 커버(105)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된 기능성 층(즉, 제4 부분)과 후면 커버(105)의 외부 표면은 동일 평면(예를 들어 동일 평면 또는 곡면 상에서 동일면)에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면 커버(105)의 외부 표면의 가장자리에는 오목한 영역이 제공되고, 이 오목한 영역에는 제4 부분(114)이 장착되고, 제4 부분(114)의 외부 표면은 후면 커버(105)의 외부 표면과 동일 평면에 있다.
다른 구현에서, 제4 부분(114)이 후면 커버의 내부 표면에 배치된 전도성 층인 경우, 제4 부분(114)은 또한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를 위한 기능성 층으로서 배치될 수 있고, 제4 부분(114)의 외부 표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105)의 일부는 투명한 보호 층이다.
전술한 두 가지 구현에서의 후면 커버는 비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전도성 지지체(11)의 제4 부분(114)의 배치를 구현하기 위해, 전도성 층 또는 전도성 기능을 갖는 기능성 층이 후면 커버의 내부 표면 또는 외부 표면에 배치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전술한 두 가지 구현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른 구현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커버(105)는 서로 인접한 전도성 영역(1051)과 비전도성 영역(1052)을 포함하고, 제4 부분(114)은 전도성 영역(1051)에 형성되고, 전자기파 신호는 비전도성 영역(1052)을 통해 방사된다. 이 구현에서, 후면 커버(105)는 전도성 영역(1051) 및 비전도성 영역(1052)을 형성하기 위해 통합 몰딩 방식으로 형성된다. 전도성 영역(1051)은 후면 커버(105)의 가장자리 위치에 배치되고, 비전도성 영역(1052)과 측면 프레임 사이(즉, 제3 부분(113)이 위치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출원에서 급전부(12)의 구성은 급전부(12)가 공동(110) 내에 배치되기도 하고 급전부(12)가 공동(110) 외부에 배치되기도 하는 상이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구현에서, 도 3a,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부(12)는 공동(110) 내로 연장되고, 공동(110) 내의 급전부(12)와 전도성 지지체(11)는 연합하여 전류 루프(C1)를 형성한다. 전류 루프(C1)는 전도성 지지체(11)를 여기시켜 전류 루프(C1)의 전류 방향과 반대되는 전류를 생성하는데, 이를 지지 전류(C2)라고 한다.
특정 구현에서, 쓰루 홀이 제1 부분(111) 또는 제2 부분(112)에 배치되고(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쓰루 홀은 급전부(12)가 쓰루 홀을 통과하도록 제1 부분(111)에 배치되고, 유사한 방식으로, 쓰루 홀은 그와 달리 급전부(12)가 쓰루 홀을 통과하도록 제2 부분(112)에 배치될 수 있다), 급전부(12)는 제1 부분 또는 제 2 부분에서 쓰루 홀을 통과하여 공동(110) 내로 연장된다. 급전부(12)는 제1 부분(111) 또는 제2 부분(112)에 고정 연결된다. 급전부(12)는 동축 라인일 수 있고, 동축 라인의 외부 도체와 제2 부분(112)은 용접에 의해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110)로부터 떨어진 제1 부분(111)의 표면과 급전부(12) 사이의 접합부에서 용접이 수행된다. 물론, 용접을 통해 고정하는 방식은 이외에 전도성 접착 본딩과 같은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동축 라인의 내부 도체는 급전을 구현하기 위해 전도성 지지체(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110)에서, 급전부(12)의 일단은 제2 부분(112)에 연결되고, 급전부(12)의 타단은 제3 부분(113)에 연결되어, 급전부(12), 제2 부분(112)의 적어도 일부, 및 제3 부분(113)의 적어도 일부는 연합하여 전류 루프(C1)를 형성한다. 급전부(12)는 L자형 또는 C자형과 같이 구부러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구현에서, 공동(110)에서, 급전부(12)의 일단은 제2 부분(112)에 연결되고, 급전부(12)의 타단은 제4 부분(114)에 연결되어 급전부(12), 제4 부분(114)의 적어도 일부, 제3 부분(113), 및 제2 부분(112)의 적어도 일부는 연합하여 전류 루프(C1)를 형성한다. 급전부(12)는 직선 형상일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급전부(12)는 제1 부분(111)으로부터 공동(110)으로 연장되고, 공동(110)으로 연장되는 급전부(12)는 제2 부분(112), 제3 부분(113), 또는 제4 부분(114)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 루프를 형성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구현예서, 급전부(12)는 공동(110) 외부에 위치하며, 급전부(12)는 전도성 지지체(11)의 외부 표면으로 연장되어 이동 단말기의 측면 프레임(즉, 제3 부분(113)의 위치)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급전부(12)는 제4 부분(114)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즉, 제4 부분(114)이 위치하는 평면으로의 급전부(12)의 수직 투영은 제1 부분(111)의 일측 상에 있을 수 있다). 급전부(12)는 제4 부분(114)에 인접하거나, 제4 부분(114)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데, 즉, 제4 부분(114)이 위치하는 평면으로의 급전부(12)의 수직 투영은 제4 부분(114)과 겹치지 않는다. 확실히, 급전부(12)와 제4 부분(114)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는 영역이 있으며, 여기서 급전부(12)는 제2 부분(112)과 마주하는, 제4 부분(114)의 측면에 위치하며, 급전부(12)의 적어도 일부는 제4 부분(114)에 의해 덮여있다. 전도성 지지체(11)는 급전부(12)의 급전을 통해 여기되어 전류 루프를 형성한다. 이 전류 루프는 닫히지 않은 환형 전류 루프로 간주될 수 있으며, 갭(115)은 커패시터 구조와 등가이다. 제4 부분(114)과 급전부(12)가 나란히 배열되기 때문에, 제4 부분(114)은 도 11에 도시된 단면 위치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일 구현에서, 급전부(12)는 가요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급전 회로가 가요성 회로 기판에 배치되고, 가요성 회로는 측면 프레임(104)에 고정 연결되어 급전 회로는 전도성 지지체(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구현에서, 급전부(12)는 대안적으로 동축 라인 또는 다른 급전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면 프레임(104)의 내부 표면은 고정 플랫폼(1042)에 연결되고, 가요성 회로 기판(즉, 급전부(12))은 고정 플랫폼(1042)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이 구현에서, 가요성 회로 기판은 나사 고정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에 추가하여, 급전부(12)의 접지가 더 달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구현에서, 후면 장착형 적층 아키텍처의 이동 단말기(100)가 제공된다. 이동 단말기(100)는 중간 프레임(107)을 포함하고, 중간 프레임(107)은 후면 커버(105)의 내측에 위치한다. 배터리 및 회로 기판과 같은 부품은 중간 프레임(107)과 디스플레이(103) 사이에 설치되고, 후면 커버(105)는 중간 프레임(107)을 덮고, 중간 프레임(107)은 일반적으로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제4 부분(114)은 중간 프레임(107)의 일부이고, 공동(110)은 제2 부분(112), 측면 프레임(104) 및 중간 프레임(107)에 의해 둘러싸이고, 제2 부분(112)은 디스플레이 또는 이 디스플레이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전도성 시트일 수 있다. 중간 프레임(107)에는 쓰루 홀이 배치되어 갭(115)을 형성한다. 이 구현에서, 쓰루 홀은 안테나가 전자기파 신호를 방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갭(115)으로서 중간 프레임(107)에 배치되고, 후면 커버(105)는 비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전도성 지지체(11)의 제4 부분(114)은 중간 프레임(107)의 가장자리이며, 제1 부분(111)과 측면 프레임(104) 사이에 위치한다. 갭(115)을 통해 공동(110)과 이동 단말기 외부 사이에서 전자기파가 통과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는 조건 하에, 갭(115)의 배치 위치는 제4 부분(114)의 중간 영역일 수 있거나, 또는 제4 부분(114) 및 제1 부분(111)에 인접한 위치이거나, 또는 제4 부분(114) 및 제3 부분(113)에 인접한 위치일 수 있다(제3 부분(113)의 위치는 측면 프레임(104)의 위치임). 제1 부분(111)은 중간 프레임(107)과 일체화된 판형 구조, 예를 들어 금속 벽일 수 있고, 또는 배터리의 측벽에 부착된 전도성 층 구조, 예를 들어 금속 필름일 수 있다.
일 구현에서, 공동(110)은 안테나의 주파수를 조정하기 위해 매개체로 채워진다. 매개체는 PC 재료의 플라스틱 또는 나노 주입 몰딩에 사용되는 주입 몰딩 재료일 수 있다. 매개체의 유전율이 높을수록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가 낮음을 나타낸다. 물론, 매개체는 공기일 수도 있다. 매개체의 유전율 범위는 1 ~ 4일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구현에서, 안테나는 전도성 부재(117)를 더 포함하고, 전도성 부재(117)는 공동(110)에 배치되고, 제2 부분(112)과 제4 부분(114)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도성 부재(117)는 공동(110) 내부에 인덕터 경로를 형성하여,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한다. 전도성 부재(117)는 제2 부분(112) 또는 제4 부분(114)과 일체화된 금속 시트 또는 금속 기둥 구조일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구현에서, 전도성 지지체(11)에는 슬롯(1114)이 제공되고, 슬롯(1114)은 제1 부분(111) 또는 제2 부분(112)에 배치되고, 공동(110)의 중앙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슬롯(1114)은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구현에서, 측면 프레임(104)은 디스플레이 부분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부분은 디스플레이(103)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이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는 측면 프레임(104)의 위치로 연장되고, 제3 부분(113)은 디스플레이 부분의 일부이다. 이러한 구현은 곡면 화면 이동 단말기에 적용 가능하며, 측면 프레임(104)의 위치는 디스플레이(103)의 곡면 부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구현에서, 두 개 이상의 전도성 지지체(11)가 존재하고, 전도성 지지체가 이동 단말기(100)의 동일한 측면에 분포되어 있고, 하나의 급전부(12)가 있고, 이 하나의 급전부(12)는 둘 이상의 전도성 지지체(11)를 동시에 여기시킨다. 이 구현에서, 급전부(12)는 두 개의 인접한 전도성 지지체(11)의 제4 부분(114) 사이에 위치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에는 2개 이상의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으며, 안테나는 이동 단말기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중간 영역에 배치된다. 5.2 인치 휴대폰이 일 예로 사용된다. 휴대폰 중앙의 적용가능 영역의 길이는 약 80mm이다. 5G NR 주파수 대역 3.3GHz ~ 5GHz의 경우, 단일 측면의 80mm 공간은 2 ~ 3개의 안테나를 수용할 수 있고 양 측면의 80mm 공간은 4 ~ 6개의 안테나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안테나를 이용하면 이동 단말기의 5G 신규 대역 안테나 구현에 도움이 된다. 안테나 솔루션에서 추가 튜닝을 수행하면, 그 안테나는 1.7GHz ~ 2.7GHz로 튜닝될 수 있으며 또한 4G 안테나 또는 Wi-Fi/블루투스 안테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안테나는 이와 달리 5GHz 이상으로 튜닝될 수 있고 5G Wi-Fi 안테나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안테나는 비교적 넓은 동작 주파수 대역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안테나는 위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본 출원의 원리 및 실시예는 특정 예를 통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방법 및 핵심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된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아이디어에 따라 특정 실시예 및 적용 범위와 관련하여 본 출원을 변경 및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의 내용은 본 출원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22)

  1. 이동 단말기에서 구성되는 안테나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측면 프레임 및 후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면 커버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는 전도성 지지체와 급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도성 지지체는 모두가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고 공동(cavity)을 연합하여 둘러싸는 제1 부분, 제2 부분,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각각 상기 제2 부분의 머리 단부와 꼬리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4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일부이고,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후면 커버의 외측에 위치하거나 상기 후면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후면 커버의 일부이고, 상기 전도성 지지체는 갭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갭은 상기 제4 부분과 상기 제1 부분 사이에 형성되거나, 상기 제4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4 부분 내에 배치되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전도성 지지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도성 지지체를 여기시켜 전류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전자기파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전도성 지지체 내의 상기 공동 및 상기 갭의 구성에 의해 상기 전자기파 신호를 방사 가능한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중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장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중간 프레임의 일부이며, 상기 공동은 상기 중간 프레임, 상기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제4 부분으로 둘러싸여 있는
    안테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는 비전도성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후면 커버의 내부 표면에 배치된 전도성 층인
    안테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부분과 상기 제3 부분 사이의 접합부에 노치가 형성되는
    안테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는 비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후면 커버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기능성 층인
    안테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는 서로 인접한 전도성 영역 및 비전도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전도성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전자기파 신호는 상기 비전도성 영역을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상기 공동 내로 연장되고, 상기 급전부와 상기 전도성 지지체는 연합하여 상기 공동 내에 전류 루프를 형성하는
    안테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상기 제2 부분을 지나 상기 공동 내로 연장되는
    안테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의 일단은 상기 제2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급전부의 타단은 상기 제3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급전부,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3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연합하여 상기 전류 루프를 형성하는
    안테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의 일단은 상기 제2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급전부의 타단은 상기 제4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급전부, 상기 제4 부분의 적어도 일부, 상기 제3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연합하여 상기 전류 루프를 형성하는
    안테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상기 공동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기 측면 프레임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전도성 지지체는 상기 급전부의 급전을 통해 상기 전류 루프를 형성하도록 여기되는
    안테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가요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급전 회로가 상기 가요성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며, 가요성 회로는 상기 측면 프레임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급전 회로가 상기 전도성 지지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의 내부 표면은 고정 보스(fixed boss)에 연결되고, 상기 가요성 회로 기판은 상기 고정 보스에 고정 연결되는
    안테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중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프레임은 상기 후면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중간 프레임의 일부이고, 상기 공동은 상기 제2 부분, 상기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중간 프레임으로 둘러싸이고, 쓰루 홀이 상기 중간 프레임에 배치되어 갭을 형성하는
    안테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매개체(medium)로 채워진
    안테나.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전도성 부재(conductive memb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공동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4 부분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
  18.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지지체는 슬롯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롯은 상기 제1 부분 또는 상기 제2 부분에 배치되는
    안테나.
  19.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는 상기 측면 프레임의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부분의 일부인
    안테나.
  20.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전도성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지지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일한 측면에 분포되고, 하나의 급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급전부는 상기 2개 이상의 전도성 지지체를 동시에 여기시키는
    안테나.
  21. 디스플레이, 측면 프레임 및 후면 커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로서,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면 커버 사이에 연결되고, 배터리가 상기 이동 단말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한 쌍의 긴 측면과 한 쌍의 짧은 측면을 포함하고, 2개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긴 측면에서의 측면 프레임과 상기 짧은 측면에서의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긴 측면에서의 상기 측면 프레임과 상기 배터리 사이에 분포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217005997A 2018-09-07 2018-09-07 안테나 및 이동 단말기 KR202100304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104694 WO2020047867A1 (zh) 2018-09-07 2018-09-07 天线及移动终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474A true KR20210030474A (ko) 2021-03-17

Family

ID=69721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997A KR20210030474A (ko) 2018-09-07 2018-09-07 안테나 및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522296B2 (ko)
EP (1) EP3826107B1 (ko)
JP (1) JP2022501882A (ko)
KR (1) KR20210030474A (ko)
CN (1) CN112534641B (ko)
AU (1) AU2018440086B2 (ko)
BR (1) BR112021002344A2 (ko)
CA (1) CA3117664A1 (ko)
WO (1) WO20200478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1807A1 (en) 2019-01-22 2020-07-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lot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id slot antenna
CN113451740A (zh) * 2020-03-25 2021-09-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壳体
CN113677109A (zh) * 2020-05-13 2021-11-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壳体结构、移动终端和壳体结构的制作方法
CN115706309A (zh) * 2021-08-05 2023-02-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3964482A (zh) * 2021-10-20 2022-01-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294266Y (zh) * 2008-09-05 2009-08-1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内置式单极双频手机天线辐射片、手机天线及天线模组
US9246221B2 (en) * 2011-03-07 2016-01-26 Apple Inc. Tunable loop antennas
US9318793B2 (en) 2012-05-02 2016-04-19 Apple Inc. Corner bracket slot antennas
CN103457024B (zh) * 2013-09-05 2015-11-18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天线装置及移动终端
US20160294042A1 (en) * 2013-12-31 2016-10-06 Huawei Device Co., Ltd. Loop-shaped antenna and mobile terminal
CN104681977B (zh) * 2014-12-18 2017-12-15 东莞劲胜精密组件股份有限公司 一种多频段闭合金属环天线及设备
CN204905439U (zh) * 2015-07-10 2015-12-23 瑞声精密制造科技(常州)有限公司 天线系统
US10135117B2 (en) * 2016-03-30 2018-11-20 Motorola Mobility Ll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mode cavity antennas
US10283844B2 (en) * 2016-09-23 2019-05-07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housing-integrated distributed loop antennas
WO2018119946A1 (zh) * 2016-12-29 2018-07-05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多输入多输出天线系统及移动终端
CN107565209B (zh) * 2017-07-31 2020-10-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天线
CN107819193B (zh) * 2017-11-21 2024-04-30 深圳市欢太科技有限公司 终端
CN207782874U (zh) * 2017-12-28 2018-08-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7867A1 (zh) 2020-03-12
EP3826107A4 (en) 2021-08-04
AU2018440086A1 (en) 2021-03-04
CN112534641A (zh) 2021-03-19
CN112534641B (zh) 2022-04-22
EP3826107A1 (en) 2021-05-26
US11522296B2 (en) 2022-12-06
BR112021002344A2 (pt) 2021-05-04
AU2018440086B2 (en) 2022-02-24
US20210376477A1 (en) 2021-12-02
EP3826107B1 (en) 2023-07-26
CA3117664A1 (en) 2020-03-12
JP2022501882A (ja)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0474A (ko) 안테나 및 이동 단말기
EP2618423B1 (e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2276267B1 (ko) 안테나 및 이동 단말기
US9525762B2 (en) Mobile terminal having antenna
US11289797B2 (en) Electronic device
US20220006195A1 (en) Antenna device
JP2018117349A (ja) Mimoアンテナ装置及び移動通信装置
KR20140148006A (ko)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KR2016014030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68317B1 (ko)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안테나 방사 방법
WO2015029235A1 (ja) アンテナ装置
CN116130947A (zh) 天线装置和电子设备
TWI769878B (zh) 天線結構及具有該天線結構之電子設備
CN215342969U (zh) 天线装置及电子设备
CN112563749B (zh) 一种智能穿戴设备
CN116937131A (zh) 一种电子设备
KR20220161430A (ko) 안테나 어셈블리 및 단말 장치
CN117353051A (zh) 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