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317A -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시스템,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시스템,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317A
KR20210030317A KR1020210028998A KR20210028998A KR20210030317A KR 20210030317 A KR20210030317 A KR 20210030317A KR 1020210028998 A KR1020210028998 A KR 1020210028998A KR 20210028998 A KR20210028998 A KR 20210028998A KR 20210030317 A KR20210030317 A KR 20210030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terface
displayed
pati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7867B1 (ko
Inventor
신지현
한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9620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2866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Publication of KR20210030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준일 이전의 환자의 의료 정보를 불러오는 단계, 상기 환자의 의료 정보로부터, 설정된 필드 항목에 따른 일자별 오브젝트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각각의 오브젝트를 별도의 섹션 형태로 해당 필드에 일자별로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시스템,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A SYSTEM FOR INQUIRYING AND INPUTTING A MEDICAL INFORMATION, A METHOD AND A PROGRAM FOR THAT}
본 발명은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독성 및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한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시스템, 조회 및 입력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환자의 의료 정보를 페이퍼에 기재하여 관리하였으나, 현재는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형태로 전산화가 이루어졌다. 병원에서는 이러한 전자의무기록을 조회, 기록 및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컴퓨터와 같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전자의무기록에 접근하여 이를 조회하고 기록한다.
다만, 기존의 전자의무기록을 조회 및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는 라이브러리 형태로 구성되어 원하는 기록에 접근하는 절차가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자별 또는 의료 정보의 종류에 따라 각각 별도의 창을 통해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기록의 시계열적 변화를 확인하고 이에 근거한 진료를 수행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전의 시스템 인터페이스는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전문성이 없는 환자와 같은 사용자가 접근하여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고, 태블릿 PC 및 핸드폰 모바일 등으로 다변화되는 사용자 단말에 적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의료 정보를 용이하게 조회할 수 있고, 환자의 병력 및 상태를 시계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시스템, 조회 및 입력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준일 이전의 환자의 의료 정보를 불러오는 단계, 상기 환자의 의료 정보로부터 설정된 필드 항목에 따른 일자별 오브젝트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 및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각각의 오브젝트를 별도의 섹션 형태로 해당 필드에 일자별로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 기준일 이전의 섹션을 이용하여, 기준일 또는 기준일 이후에 해당하는 필드의 내용을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단계는 해당 필드의 기 표시된 섹션을 선택하여 기준일 또는 기준일 이후의 위치로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이동시켜, 해당 위치에 새로운 섹션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 단계는, 입력하고자 하는 소정 필드의 기준일 이전의 섹션을 기준일 위치로 드래그하여 새로운 섹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일의 상기 소정 필드에 해당하는 의료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료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시 생성된 섹션을 선택하여 입력창을 호출하고, 상기 입력창을 통해 표시되는 기존 섹션의 의료 정보를 수정하여 기준일의 상기 소정 필드에 해당하는 의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의료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는, 사용자가 수정한 내용이 반영된 오브젝트를 재생성하고, 상기 재생성된 오브젝트를 상기 생성된 섹션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필드는 진단명 필드, 진료 기록 필드, 처방 필드 중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 방법은, 예약하고자 하는 소정 필드의 기준일 또는 기준일 이전의 섹션을 기준일 또는 기준일 이후의 위치로 드래그 하여 새로운 섹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일 이후에 상기 소정 필드에 해당하는 예약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예약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생성된 섹션을 선택하여 예약 일자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예약 정보를 처방 전달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필드는 검사 필드 또는 처방 필드 중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전달된 상기 환자의 의료 정보 중, 상기 예약된 정보에 해당하는 검사 결과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생성된 섹션을 통해 기 정의된 방식으로 해당 검사 결과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 섹션이 표시되지 않은 위치를 선택하면, 해당 일자의 해당 필드에 해당하는 입력창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한 내용에 상응하는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새로운 섹션이 상기 위치에 생성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상기 섹션을 선택하면, 상기 섹션에 해당하는 상세 정보가 별도의 상세표시창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필드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필드에 해당하는 의료 정보만이 추출되어 별도의 창을 통해 시계열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준일 이전의 환자의 의료 정보를 불러오는 단계, 상기 환자의 의료 정보로부터 설정된 시간축 정보 및 설정된 필드에 상응하는 각각의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오브젝트를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 별도의 섹션 형태로 해당 필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자 정보 및 필드 정보에 따라 각각 별도의 섹션 형태로 환자의 의료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환자의 의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되는 환자의 의료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가공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데이터베이스로와 환자의 의료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전달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된 환자의 의료 정보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섹션에 표시할 수 있도록 설정된 시간축 정보 및 설정된 필드에 상응하는 각각의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오브젝트 생성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처리하는 입력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하나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여러 일자의 의료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동시에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관련성 있는 정보들의 시간적 변화 추이 및 각 필드 정보간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방식은 기존의 페이퍼 형태의 진료 차트와 유사한 구조로서 사용자에게 친숙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각 필드별 정보를 용이하게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기존의 환자 의료 정보를 이용하여 신규 입력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정보 입력이 용이하고, 터치 스크린과 같은 다양한 디바이스 환경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일부 섹션의 세부 내용을 표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서 일부 검사 결과를 별도 창을 통해 시계열적으로 표시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는 도 1의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인터페이스에 제1 필드의 내용을 입력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인터페이스에 제1 필드의 내용을 입력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은 인터페이스에 제2 필드의 내용을 입력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는 각 필드 또는 서브 필드별 각 스케일에 따른 표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시간축 조정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2은 제1 조회 기간을 설정한 상태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제2 조회 기간을 설정한 상태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14은 제3 조회기간을 설정한 상태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사용자가 선택한 대푯값 관련 정보를 표시한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사용자가 선택한 대푯값 관련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시스템, 조회 및 입력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각 구성요소의 위치관계는 원칙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명의 구조를 단순화하거나 필요할 경우 과장하여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도 각종 장치를 부가하거나, 변경 또는 생략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는 각종 검사장치(10), 환자가 보유하고 있는 각종 단말(20), 외부 의료기관의 서버(30)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등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서버(100)는 내부에 각종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10)를 구비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환자의 각종 의료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 상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환자의 인적 사항 및 과거의 병력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료 기록, 수술 기록, 간호 기록, 마취 기록 등 의료인이 직접 기록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영상 검사, 기능 검사 등 다양한 검사에 대한 결과 정보, 그리고 과거 진료시 수행된 처치 사항, 처방 내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외부 의료기관으로부터 전달받은 환자의 의료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환자가 소지하고 있는 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각종 측정 결과 및 요청 사항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서버(100)가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개인 병원과 같은 소형 의료기관에서는 서버가 단수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에서는 서버와 사용자 단말이 별개의 장치를 구성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사용자 단말 자체가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하나의 장치로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을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서버는 의료 기관 내 구비되는 하드웨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사용자가 어디서든 인터넷을 통해 접근 가능하도록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200)은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사용자가 환자의 의료 정보를 조회하고, 의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은 데스트 톱, 노트북, 태블릿 PC, 핸드폰 모바일 등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의료인이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환자가 자신의 의료기록 정보를 조회하고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입력되는 환자의 의료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10) 상에 새롭게 저장 또는 업그레이드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처치 내용, 처방 내용, 예약 등의 오더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오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 정보를 서버(100)를 통해 처방 전달 시스템(3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처리부(210) 및 인터페이스(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처리부(210)는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요청되는 환자의 의료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에 요청하고, 데이터베이스(110)를 통해 제공되는 환자의 의료 정보를 인터페이스(220)에 표시할 수 있도록 가공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10)는 편의상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의 도면 부호를 이용하여 표시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의 다른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이거나 사용자 단말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도록 전송하며, 입력 정보 중 오더 사항은 처방 전달 시스템(300)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오더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인터페이스(220)는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의료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이다. 또한, 사용자는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진료 기록, 처치 내용, 처방 내용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키보드, 마우스, 입력 펜 등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방식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도 2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220)의 상단에는 환자의 이름, 성별, 나이 등의 환자 정보가 표시되며, 각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아이콘들이 배치된다. 그리고 하측에는 선택된 환자의 각종 의료 정보를 표시하거나 기록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환자의 의료 정보는 진단 기록, 검사 기록, 수술 기록, 입원 기록 등의 각종 병력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의료 정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시간축을 따라, 병력에 해당하는 각 이벤트가 발생한 일자별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환자의 병력을 시간 경과 순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시간축을 따라 환자의 병력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일자가 각각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시간축의 좌측으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기준일이 표시되며, 기준일의 좌측 방향으로 기준일 이전의 일자가 표시된다. 여기서, 기준일은 설정된 날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의료 정보를 조회하거나 입력하는 당일이다. 그리고, 각 일자의 하측 수직 방향으로 해당 일자의 의료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세로축은 의료 정보의 내용 및 특성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필드로 구분된다. 이러한 필드는 진단명 필드, 진료 기록 필드, 검사 필드, 처방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된 환자의 의료 정보는 인터페이스 상에 병력에 해당하는 일자별로, 정보의 성격에 따라 구분되어 해당 필드의 위치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해당 일자별 의료 정보를 세로 방향으로 스크롤하면서, 각 필드에 해당하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 3과 같이, 필드 중 일부 필드(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처방 필드)는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인터페이스의 하단에서 선택적으로 라이즈업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여기서, 필드라 함은, 각 서브 필드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상위 개념으로서 서브 필드와 구분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나, 정보의 특성에 따른 분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서브 필드 자체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할 수 있음).
종래의 시스템에 따른 인터페이스는 라이브러리 형태로 구성되어, 각각의 정보에 접근하는 절차가 번거로웠고, 정보가 개별적으로 관리되고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환자의 과거 의료 정보에 기초하여 종합적인 판단을 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사용자는 하나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여러 일자의 의료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동시에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환자의 의료 정보가 필드별로 구분되어 시계열적으로 표시되므로, 관련성 있는 정보들의 시간적 변화 추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필드에 해당하는 정보가 하나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므로, 각 필드의 정보간의 상관 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예를 들어, 처방 약제 변경에 따른 혈당 검사 수치 변화의 상관 관계).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의해 환자의 병력 및 처방 내역을 쉽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며, 환자의 상태 추이 및 기존 처방의 효용성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환자의 일자별 필드별 정보는 인터페이스 상에서 각각 섹션 형태로 제공된다. 여기서, 섹션 형태로 제공된다 함은, 각각이 별개의 개체로 형성되어, 인터페이스 상에서 그래픽적으로도 다른 일자별 필드별 정보와 구분될 수 있도록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섹션 단위로 상세 정보 내용을 열람할 수 있으며, 섹션 단위로 인터페이스 상에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일자별 필드별 정보는 인터페이스의 배경 상에 카드 형상을 갖는 섹션(221)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구조는 기존의 페이퍼 형태의 진료 차트와 유사한 구조로서 사용자에게 친숙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각 필드별 정보를 용이하게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섹션(221)은 해당 일자의 필드별로 하나의 섹션으로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필드에 복수의 서브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 서브 필드별로 별도의 섹션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검사 필드에서는 혈액 검사, 혈액 검사, X-ray 검사 등 검사의 종류에 따라 각각 별개의 섹션으로 표시될 수 있고, 처방 필드에서는 약물 처방, 처치 처방, 검사 처방, 재활치료 처방 등 처방의 종류에 따라 각각 별개의 섹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기본 화면은 일자별 필드별로 섹션이 정렬된 형태로 표시된다. 따라서, 특정 일자에는 일부 필드에 해당하는 정보가 없어 별도의 섹션이 생성되지 않고 공백으로 남겨진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페이스는 동일자의 섹션 사이에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측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기능을 선택하여, 일자별 기록을 조회함에 있어 세로 방향으로 화면을 스크롤하는 것을 최소화시키면서 환자의 의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일부 섹션의 세부 내용을 표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인터페이스(220) 상에 표시되는 각각의 섹션(221)은 해당 일자별 필드별 정보가 가공되어 표시된다. 사용자가 해당 섹션의 상세 정보를 조회를 요청하면, 별도의 상세조회창(222)을 통해 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요청은 사용자가 해당 섹션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이러질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은 마우스를 이용한 클릭 동작,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동작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조회창(2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의료 정보 일측에 생성되는 별도의 섹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별도의 화면 전환 동작 없이 기본 표시 화면상에 오버랩되어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의료 정보를 조회하는 동작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서 일부 검사 결과를 별도 창을 통해 시계열적으로 표시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인터페이스는 일자별 필드별로 의료 정보를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각 필드 정보에 대한 시간 경과에 따른 추이를 인터페이스의 기본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는 이러한 추이를 별도의 필드별 상세정보창(223)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일부 필드(예를 들어, X-ray 검사 결과 필드)를 선택(예를 들어, 필드명 클릭)하는 경우, 해당 필드에 해당하는 의료 정보를 별도의 상세조회창을 통해 시계열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기본 화면으로 조회하는 경우, 일부 일자별 정보에는 해당 검사가 진행되지 않았다면 일부가 공백으로 표시되는 부분이 있으나, 별도의 상세 조회창을 통해 표시되는 경우 이러한 공백 없이 해당 필드 정보를 집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세 조회창을 통해 각 섹션을 통해 표시되는 내용보다 상세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해당 정보가 수치에 관련된 것이면 시간 경과에 따른 추이를 그래프 또는 통계로서 가공하여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기본적인 표시 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일자의 개수, 표시 날짜 구간과 같은 시간축 정보 및 필드의 종류 등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처리부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부(210)는 데이터 전달부(211), 캐시 저장부(212), 오브젝트 생성부(213) 및 입력 처리부(2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전달부(211)는 각종 데이터베이스(사용자 단말, 서버, 별도의 검사 장치, 웹 상의 데이터베이스 등을 포함)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특정 환자의 의료 정보를 요청하면, 처리부(210)의 데이터 전달부(211)는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입력한 의료 정보를 다시 해당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도록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처방 오더를 입력하면, 해당 오더를 처방 전달 시스템(30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캐시 저장부(212)는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전송된 환자의 의료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처리부(210)는 캐시 저장부에 저장된 의료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상에서 설정된 내용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정보를 추출 및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의료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캐시 저장부에 저장된 의료 정보 상에 반영하고, 이를 캐시 저장부(212)에 저장된 의료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 상의 의료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오브젝트 생성부(213)는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전달되는 환자의 의료 정보 중 인터페이스(220)의 각 섹션(221)에 표시하기 위한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전달되는 환자의 의료 정보 중 인터페이스의 섹션에 표시되는 정보량은 그의 일부 이며, 표시 형식 또한 필드에 따라서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처리부(210)는 캐시 저장부(212)에 저장된 의료 정보 중 표시되는 일자별 정보 및 필드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오브젝트 생성부(213)는 필드별로 규정된 표시 방식에 따라 일자별 필드별 섹션에 표시되기 위한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필드 중 혈액 검사에 대한 결과는 상세조회창에 표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혈액 검사 항목에 해당하는 섹션에서는 상기 혈액검사 결과 중 주요한 4개 항목에 대해서만 규정된 패턴으로 표시하도록 규정된다. 따라서, 오브젝트 생성부(213)는 혈액검사 결과 정보 중 해당 정보만을 추출하여 규정된 패턴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오브젝트 생성부(213)에 의해 생성되는 오브젝트는 해당하는 필드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 검사, 기초대사프로파일 검사 등 검사의 종류에 따라 각각 정의된 차트 형태로 상이하게 표시되게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검사 결과 중 X-ray 촬영과 같은 결과는 섹션 상에 이미지 파일로 표시되도록 생성될 수 있으며, 초음파 검사와 같은 결과는 섹션 상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진단명 필드 및 진료 기록 필드는 텍스트 형태로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오브젝트 생성부는 각각의 필드마다, 그리고 후술하는 섹션의 스케일마다 다양한 형태로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입력 처리부(214)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는 내용을 처리하는 구성이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준일에 해당하는 진단명을 작성하거나, 진료기록을 작성하거나, 처방을 작성하는 등의 입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한 내용은, 입력처리부에 의해 인식되어 캐시 저장부(212)에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업데이트 될 수 있도록 처리되거나, 처방 전달시스템(30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처리된다. 그리고, 처리된 정보는 데이터 전달부(211)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또는 처방 전달 시스템을 비롯한 외부 구성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처리부(210)가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시스템상에서 수행하는 내용을 주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도 6는 도 1의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이하에서는 도 6를 참조하여 각각의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환자의 의료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10). 본 단계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220) 화면을 통해 환자의 이름 또는 아이디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처리부(210)는 요청된 환자의 의료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불러온다(S120).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10)는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고, 별도의 서버 장치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검사장치, 타 의료 기관, 환자가 보유한 장치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본 단계는 처리부의 데이터 전달부(211)를 통해 해당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수신된 의료 정보는 캐시 저장부(212)에 저장될 수 있다.
처리부(210)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전달받은 환자의 의료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상의 각 섹션에 표시할 수 있는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30). 본 단계에서 처리부는 설정된 값(예를 들어, 표시되는 일자 구간, 선택된 필드 정보 등)에 근거하여, 환자의 의료 정보 중 대상 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대상 정보에 포함된 내용들은 각 섹션에 해당하는 단위로, 일자별, 필드별(서브 필드가 있는 경우 서브필드 별로)로 분류될 수 있다. 오브젝트 생성부(213)는 분류된 각 섹션에 해당하는 정보들을 해당 필드 또는 해당 서브 필드에 따라 정의된 형태로 가공하여 각각의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이때, 정의된 형태는 필드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동일한 필드인 경우에도 사용자가 설정에 의한 스케일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처리부(210)에서 생성된 오브젝트들은 인터페이스(220)의 각각의 섹션을 통해 표시된다(S140).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섹션에 표시되는 내용은 필드 또는 서브 필드에 따라 텍스트 형태, 차트 형태, 이미지 형태, 영상 재생 형태로 다양하게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각의 일자별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동시에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정보의 성격에 따라 필드별로 구분하여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는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환자의 의료 정보를 조회하면서,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필요한 내용을 입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50). 입력되는 내용은, 진료 기록 내용을 입력하거나, 처방을 입력하거나, 진료 예약 또는 검사 예약에 대한 내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입력 방식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내용을 입력하면, 처리부(210)는 입력된 필드 및 내용에 따라 입력 정보를 처리한다(S160). 일 예로, 사용자가 진료 기록 등의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 처리부(214)는 캐시 저장부(212)에 저장된 환자의 기존의 의료 정보에 추가된 정보를 부가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처방 오더를 입력하거나, 예약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정보를 처방 전달 시스템(300)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명령을 생성한다. 이 이외에도, 처리부(2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성격에 따라 각각 정의된 방식으로 가공/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한 정보에 대한 가공 및 처리가 수행되면, 처리부(210)는 입력 내용을 저장하거나 다른 구성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70). 이러한 단계는 처리부(210)의 데이터 전달부(211)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단계는 입력된 내용이 반영된 환자의 의료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캐시 저장부의 내용을 환자의 기존의 의료 정보가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베이스에 전달하여 환자 의료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는, 처방 전달 시스템(300) 또는 입력 내용에 상응하는 장치로 입력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의료 정보 입력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는 정보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우선, 진단명 필드, 진료 기록 필드, 소견서 필드와 같이, 사용자의 판단, 소견 및 문진 내용 등을 입력하는 필드이다(이하에서는, 제1 필드라 함). 이는 일반적으로 텍스트 방식으로 입력이 이루어지며, 주로 기준일의 의료 정보로서 입력되는 경우가 많다. 다른 하나는, 검사 필드, 처방 필드와 같이, 사용자가 기준일 또는 기준일 이후에 검사 또는 재활치료 등을 예약하거나, 약물, 처치, 검사, 재활치료 등의 처방 오더 등을 입력하는 필드이다(이하에서는, 제2 필드라 함). 이하에서는, 이러한 필드의 성격에 따라 사용자가 내용을 입력하는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인터페이스에 제1 필드의 내용을 입력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제1 입력방식). 환자의 의료 정보를 조회하면 기준일 이전의 정보들은 섹션 형태로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나, 기준일 및 기준일 이후의 정보는 예약된 내용이 없는 한 공백 영역으로 존재한다. 이때, 사용자가 진료 중 기준 일자의 진료 기록을 입력하려면, 기준일 열(column)에서 해당 필드(진료 기록 필드)의 공백 위치를 선택하면, 빈 섹션(221a)이 해당 위치에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빈 섹션(221a)을 다시 선택하면, 전술한 상세조회창과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의 일측에 별도의 입력창(224)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창(224)을 통해 진료 기록 내용을 입력하고 입력창(224)을 닫으면, 처리부를 통해 기준일 진료 기록 필드에 해당하는 오브젝트가 생성되어, 해당 내용이 해당 섹션에 표시된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 공백 위치 선택시 빈 섹션이 생성되는 단계는 생략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공백 위치 선택시 섹션 추가를 의미하는 별도의 마크(예를 들어, '+'마크)가 표시되면서 바로 입력창이 표시되고 입력이 완료되면 해당 내용이 반영된 오브젝트가 생성되어 해당 필드 위치에 섹션이 생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환자가 특정 기간 동안 동일한 병변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환자의 증상 및 의사의 소견 또한 유사한 경우가 많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필드 입력시 모든 내용을 새로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 일자에 입력한 정보를 입력시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8은 인터페이스에 제1 필드의 내용을 입력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제2 입력방식). 기준일 이전의 의료 정보를 활용하여 기준일의 의료 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활용하고자 하는 기준일 이전의 섹션을 선택하여 기준일의 해당 필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종래의 드래그 앤 드랍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동작에 의해 기존의 섹션(221b)과 동일한 내용의 섹션(221c)이 기준일의 동일 필드에 생성된다. 이는 기준일의 해당 필드에 기존의 섹션과 동일한 내용이 입력된 상태이다(진단명이 동일한 경우 이와 같이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기준일에 생성된 섹션(221c)을 선택하면, 도 7과 같이 입력창(224)이 일측에 표시된다. 이때의 입력창(224)에는 기존의 섹션(221b)에 해당하는 의료 정보와 동일한 내용이 입력되어 있는 상태로, 사용자는 입력창(224)을 통해 기존의 내용을 수정(삭제, 교체 또는 추가)하는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창(224)을 닫으면 기준일 해당 필드에 해당하는 오브젝트가 재생성되어 해당 섹션(221c)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기존의 의료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섹션의 드래그 앤 드랍 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단말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오입력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러한 기존 섹션의 이동은 동일한 필드 내로 제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은 인터페이스에 제2 필드의 내용을 입력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검사 필드 또는 처방 필드 등의 제2 필드는 기준일 또는 기준일 이후에 각종 오더 및 예약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특히, 각종 처방 오더의 내용들은 기준일 이전에 수행된 처방과 유사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전술한 제2 입력 방식과 같이 기준일 이전의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은 처방 필드 창을 표시한 것으로, 인터페이스 하단에 일부 숨겨진 창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라이즈업 시킨 상태이다. 처방 필드는 약물 처방, 처치 처방, 검사 처방 등의 서브 처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처방 필드 창에, 전술한 제2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처방 오더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 처방 오더를 입력하고자 하면, 유사한 처방이 이루어지는 과거의 약물 처방 필드의 섹션(221d)을 선택하여 기준일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기준일 위치에 생성된 섹션(221e)을 선택하여, 세부 내용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처방 오더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처치 처방인 경우, 과거 동일한 처치 처방에 해당하는 섹션을 기준일 위치로 이동시켜 검사 처방 오더를 입력할 수 있다.
나아가, 예약 기능이 필요한 일부 서브 필드의 경우(예를 들어, 검사 처방, 재활치료 처방), 섹션의 이동 위치를 기준일이 아닌 기준일 이후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예약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 예약이 필요한 경우, 처방 필드 창에서 동일한 검사를 처방한 과거의 섹션(221f)을, 기준일 이후의 위치(기준일 열 기준 우측)로 이동시켜 해당 검사를 예약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서브 필드의 기준일 이후 위치에 새로운 섹션(221g)이 생성되며, 필요할 경우 예약 일자를 선택하는 기능까지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약에 상응하는 섹션이 생성된 위치의 시간축에는 예약 일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필드의 경우, 제2 입력 방식으로 기존의 섹션의 위치를 이동시켜 처방 오더를 입력하고, 예약 내용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에서는 처방 필드 창에서 입력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검사 필드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처방 오더 및 예약을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처방 필드 창이 라이즈업 되지 않은 상태에서, 검사 처방을 입력하거나 검사 예약을 하고자 하는 경우, 검사 필드 중 과거의 검사 결과를 표시하는 섹션 중 해당 검사에 대한 섹션을 기준일 또는 기준일 이후의 위치로 이동시켜 검사 처방 및 검사 예약을 입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입력 방식은 섹션의 이동이 동일한 필드 또는 동일한 서브 필드로 제한될 수 있으나, 검사와 관련된 필드에서는 예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사 필드 및 처방 필드의 검사 처방 필드는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특정 검사를 처방하거나 예약하면, 다른 하나에도 처방 또는 예약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섹션이 각각 생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할 경우, 사용자는 검사 필드를 통해 기존 검사 결과를 확인하면서, 처방 필드 창을 라이즈업 하지 않고, 추가 검사를 처방하거나 예약할 수 있다. 또한, 검사 처방 또는 예약에 의해 생성된 섹션은, 이에 상응하는 검사 결과 정보가 아직 존재하지 않으므로, 기존의 검사 결과를 표시하는 섹션과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일 이전에 수행된 초음파 검사 결과를 표시하는 섹션은 동영상을 재생하는 형태로 표시되나, 검사 처방 또는 검사 예약에 의해 생성되는 섹션에서는 빈 섹션 또는 검사 정보 없음을 표시하는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검사 필드에 표시된 섹션을 통해, 과거 진료시 기준일에 예약한 검사가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제2 필드에 대해 제2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처방 또는 예약 내용을 입력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제2 필드 입력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준일 및 기준일 이후의 위치에 빈 섹션을 생성하여 직접 입력하는 제1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기능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의료 정보 조회 구간 조정에 따른 표시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220)는 사용자가 시간축 정보를 설정 및 조절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축 정보는 환자의 의료 정보 중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는 일자 구간일 수도 있고, 표시되는 일별 정보의 수일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시간축 정보를 조절하여 환자의 병력을 미시적으로 조회하거나 거시적으로 조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인터페이스(220)에 표시되는 섹션(221)의 크기 및 섹션에 표시되는 오브젝트 또한 시간축 설정 정보에 따라 변경된다. 적은 수의 일별 정보가 요청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섹션을 통해 자세한 정보를 표시하는 반면, 많은 수의 일별 정보가 요청되면 섹션의 크기가 작아지고 섹션을 통해 표시되는 정보 또한 단순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섹션 및 섹션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내용은 설정된 시간축 정보에 따라서 상이한 스케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시간축 정보에 따라 섹션 및 섹션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는 제1 스케일, 제2 스케일, 제3 스케일로 나뉜다. 제1 스케일은 표시 일자 구간이 짧거나 표시 일자 수가 적은 경우에 표시되는 형태이고, 제2 스케일 및 제3 스케일로 갈수록 표시 일자 구간이 길거나 표시 일자 수가 많은 경우에 표시되는 형태이다. 우선, 섹션의 크기는 제1 스케일에서 가장 크고, 제2 스케일 및 제3 스케일로 가면 섹션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각 오브젝트는 제1 스케일에서 가장 상세하게 정보를 표시하고, 제2 스케일 및 제3 스케일로 가면 단순하고 적은 정보량만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처리부(210)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시간축 정보가 변경되면, 해당 시간축 정보에 따라 오브젝트의 스케일을 결정하고, 결정된 스케일로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섹션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의료 정보라고 하더라도 시간축 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 상에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처리부(210)는 각 필드 및 서브 필드에 따라 각 스케일에 따른 표시 형태를 정의할 수 있다. 시간축 설정 정보가 변화함에 따라, 각 섹션에 표시되는 내용의 변화는 각각의 필드 또는 서브 필드별로 상이할 수 있다.
도 10는 각 필드 또는 서브 필드별 각 스케일에 따른 표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는 진단명 필드, 도 10의 b는 혈액 검사 필드, 도 10의 c는 X-ray 검사 필드, 도 10의 d는 초음파 검사 필드, 도 10의 e는 진료 기록 필드를 예시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우선, 진단명 필드의 정보는 제1 스케일에서는 주 진단명 및 부 진단명을 모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케일 및 제3 스케일에서는 부 진단명은 생략하고 주 진단명만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혈액 검사 필드의 정보는, 제1 스케일에서는 차트 형태로 표시되어 4개의 주요 정보를 표시하고, 제2 스케일에서는 보다 우선권이 부여된 2개의 주요 정보만을 표시하며, 제3 스케일에서는 검사 결과에 따른 정상, 비정상 등의 판정 내용만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OCT 검사 필드는, 제1 스케일에서는 검사 이미지 전체를 표시하고, 제2 스케일에서는 전체 검사 정보 중 우선권이 부여된 일부 이미지 정보만을 표시하고, 제3 스케일에서는 해당 서브 필드에 대해 기 설정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초음파 검사 필드는, 제1 스케일에서는 섹션을 통해 동영상을 재생하도록 표시하고(도면상에서는 동영상 재생 내용을 표시하기 곤란하여 특정 슬라이드로 표시), 제2 스케일에서는 우선권이 부여된 특정 슬라이드 이미지를 표시하고, 제3 스케일에서는 해당 서브 필드에 대해 기 설정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일부 필드 또는 일부 서브 필드는 시간축 설정 정보에 따라 섹션의 크기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섹션을 통해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내용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료 기록과 같은 일부의 정보는 스케일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전체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도 10의 (e)와 같이, 진료 기록 필드를 비롯한 일부 필드는 스케일이 변화하여 섹션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우에도, 스크롤바 또는 창 펼침 기능 등을 이용하여 해당 섹션을 통해 동일한 내용이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처리부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시간축 정보에 근거하여 스케일을 결정하고, 필드 또는 서브필드에 따라 정의된 방식으로 섹션 및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3단계의 스케일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4단계 이상의 스케일로 변화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시간축 조정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고하여, 시간축 조정에 따른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인터페이스(220)의 초기 사용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10). 설정되는 초기 사용 환경에는 초기 시간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특정 환자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220).
환자 정보가 요청되면, 처리부(210)는 초기 시간축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된 환자의 의료 정보를 고려하여 인터페이스(220)에 표시되는 섹션 및 오브젝트의 스케일을 결정한다(S230). 일반적으로 제1 스케일로 결정할 수 있으나, 요청한 환자 의료 정보 중 표시해야하는 일자 정보가 많은 경우 제2 또는 제3 스케일로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처리부(210)에서 스케일이 결정되면, 결정된 스케일에 근거하여 섹션에 표시하기 위한 오브젝트를 생성한다(S240). 이때, 필드 또는 서브 필드 별로 각 스케일에 따른 오브젝트 형태가 정의되어 있으며, 처리부는 이에 따라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나아가, 처리부는 해당 필드에 대한 의료 정보 중 기 정의된 방식에 따라 특정 정보, 이미지, 또는 슬라이드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각 스케일에 따른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오브젝트는 해당 스케일에 따라 크기가 조정된 인터페이스의 섹션에 각각 표시된다(S250).
한편,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 일자 구간 또는 표시 일자 수 등의 시간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S260). 이러한 변경 요청이 있으면, 처리부(210)는 환자의 의료 정보 및 변경된 시간축 정보를 고려하여 스케일을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70). 그리고, 기 정의된 내용에 따라, 조정된 스케일로 각 필드별 오브젝트를 재생성하고(S280), 이를 인터페이스의 재조정된 각각의 섹션을 통해 이를 표시한다(S290).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시간축 변경 요청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시간축 변화에 따라 인터페이스에 구현되는 모습을 몇 가지 예를 통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는 환자의 의료 정보를 조회함에 있어, 조회하고자 하는 일자 구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1개월(제1 조회 구간), 6개월(제2 조회 구간), 3년(제3 조회 구간)의 세 구간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처리부(210)는 설정된 일자 구간의 종류에 따라, 섹션 및 오브젝트의 스케일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일자 구간이 제1 조회 구간이면 제1 스케일, 제2 조회구간이면 제2 스케일, 제3 조회구간이면 제3 스케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제2 조회 구간으로 설정하더라도, 지난 6개월 동안 의료기관 방문 및 처방 등의 해당 병력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경우, 표시되는 의료 정보는 제1 조회구간을 설정했을 때와 동일하면서 표시되는 스케일만 줄어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처리부(210)는 설정된 일자 구간의 종류에 따라 해당 조회 기간의 의료 정보를 추출하고,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어야하는 일별 정보의 수(표시되어야하는 일자의 수)에 근거하여 스케일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별 정보의 수가 n1개 미만이면 제1 스케일로 결정하고, n1개 이상 n2개 이하이면 제2 스케일로 결정하고, n2개를 초과하면 제3 스케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조회 기간을 늘리도록 조정하더라도, 실제로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환자의 일별 정보의 수에 따라 적합한 스케일로 인터페이스 상에 의료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은 제1 조회 기간을 설정한 상태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는 제2 조회 기간을 설정한 상태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며, 도 14은 제3 조회기간을 설정한 상태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회 기간을 설정한 경우, 사용자는 환자의 최근 의료 기록 정보를 보다 상세하게 조회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2 조회 기간 및 제3 조회 기간을 설정한 경우, 최근 뿐만 아니라 환자의 병력을 과거부터 시계열적으로 조회함으로서 거시적인 관점에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진단을 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만, 조회 기간이 길게 설정됨에 따라 표시되어야 하는 환자의 일별 정보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 및 제5 스케일을 추가하여 표시되는 정보 내용을 축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나, 지나치게 축소하는 경우 사용자가 식별하는 것 자체가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처리부는 설정된 최소 스케일(본 실시예의 경우 제3 스케일)로서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될 수 있는 일별 정보의 수에 기준값을 갖고, 해당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터페이스 창을 스크롤 바(226) 등을 이용하여 좌우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할 경우, 표시되어야하는 일별 정보 수가 많더라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형태로 모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옵션으로 제공되는 제1 내지 제3 조회 구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화면을 확대/축소하는 조작 방식(예를 들어, 마우스의 스크롤 업/다운)으로 시간축을 선형적으로 조절하여, 시간축상에 표시되는 일별 정보의 수를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조회 구간을 자유롭게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조회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선택 진단명 관련 정보 선택 조회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는 환자의 다양한 의료 정보 가운데, 사용자가 원하는 대푯값과 관련된 의료 정보만을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환자가 다양한 병변으로 의료 기관을 방문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환자의 의료 정보는 여러 가지 병변에 대한 진단, 검사 및 처방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진단명과 관련된 정보를 조회하고자 할 때 관련성 낮은 정보들이 혼재되어 있어 이를 선별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양이 제한되어 있어 조회의 효율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대푯값으로써 진단명을 선택하면, 해당 진단명과 관련된 의료 정보만을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회 편의성 및 조회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대푯값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사용자는 관심 있는 진단명을 표시된 진단명 필드의 섹션(221h)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대푯값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키워드 입력창을 통해 관심있는 진단명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대푯값을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대푯값으로서 진단명을 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약물 처방 항목, 처치 처방 항목, 검사 처방 항목 등 다른 내용을 대푯값으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처리부(210)에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각각의 대푯값에 대해 관련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대푯값을 선택하면, 캐시 저장부(212)에 저장된 환자의 의료 정보 중 관련성 판단 기준에 따라 관련 정보를 추출한다. 따라서, 오브젝트 생성부(213)는 관련성 낮은 정보들은 배제하고 추출된 정보에 대해서만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220) 상의 섹션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처리부(210)에서 추출되는 정보들은 특정 필드 또는 특정 서브 필드에 해당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망막 질환에 대한 진단명이 대푯값으로 선정되면, 처리부는 환자의 의료 정보 중 관련성 있는 안압 검사 필드, 안저 OCT 검사 필드, 혈액 검사 필드 등을 추출하고, 관련성 없는 폐기능 검사 필드, 초음파 검사 필드 등의 내용은 배제할 수 있다.
나아가, 처리부(210)는 특정 필드 또는 특정 서브필드를 추출할 뿐 아니라, 추출된 필드에 포함된 정보 중에서도 관련성이 높은 상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오브젝트 생성부(213)는 관련성 높은 상세 정보를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하도록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오브젝트 생성부(213)는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는 방식과 상이하게 정의된 방식으로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뇨병 질환에 대한 진단명이 대푯값으로 선정되면 혈액 검사 필드가 관련성 있는 필드로 추출되며, 혈액 검사 정보 중에서도 혈당 수치와 지질 수치 등이 섹션에 표시되도록 오브젝트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고려한 선택적인 표시 방식에 의할 경우,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일자 정보가, 사용자가 대푯값을 선택하기 전에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정보와 비교하여,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대푯값과 다른 질환으로 진료가 이루어진 일자의 정보는 관련성 있는 정보가 없어 배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표시되는 일자의 정보 중에서도 관련성 있는 필드만이 선택적으로 표시된다. 나아가, 동일한 필드에 해당하더라도 표시되는 내용이 관련성 있는 특정 정보 중심으로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15는 소정 대푯값을 선택한 경우 인터페이스의 표시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대푯값으로서 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대한 진단명을 선택한 경우이다.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의료 정보는 해당 환자의 전체 의료 정보 중 갑상선 항진증 진단을 받고 진료 및 처치를 수행한 날짜들만 추출되어 표시된다. 다만, 해당 일자의 진단명은 상이할지라도 대푯값과 관련성 높은 검사 정보를 포함하는 일자인 경우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일자 정보 중 갑상선 항진증과 관련성이 높은 필드를 중심으로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다. 다만, 해당 일자 정보 중 진단명 필드 및 진료기록 필드는 대푯값과의 관련도와 무관하게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상에는 검사 필드 중 갑상선 항진증과 관련성이 높은 혈압 검사, 혈액검사, 갑상선 기능 검사, 갑상선 초음파 검사 결과가 표시된다. 이 중, 혈액 검사 결과는 도 3 내지 도 5에 표시된 방식과 달리, 갑상선 항진증과 연관성 높은 CEA 수치를 중심으로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221i 참조).
도 16은 사용자가 선택한 대푯값 관련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전술한 대푯값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요청한 환자의 의료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받아, 이에 대한 정보를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10). 본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도 6의 S110 내지 S140으로 갈음한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심있는 대푯값을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20). 이때, 대푯값은 환자의 진단명일 수 있으며, 이 이외에도 처방된 특정 약물명, 처방된 처치명 등 관심있는 다양한 항목일 수 있다.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푯값을 설정하면, 처리부는 환자의 의료 정보 중 대푯값과 관련성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30).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부(210)는 각 대푯값에 대해 관련성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저장되어 있으며, 처리부(210)는 상기 기준에 근거하여 캐시 저장부(212)에 저장된 환자의 의료 정보 중 관련성 있는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필드를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340). 본 단계는 이전 단계에서 추출된 의료 정보 중 해당 필드에 대한 정보의 존부에 따라, 표시되는 필드 항목 및 이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추출된 의료 정보와 무관하게 선택된 대푯값에 따라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필드 배열이 기 정의되어 있어, 정의된 바와 같이 필드가 조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추출된 정보에 따라, 관련성 없는 정보들로 이루어진 일자별 정보는 배제하고, 관련성 있는 정보들을 포함하는 일자별 정보들을 표시하도록 시간축 표시 일자 또한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처리부는 이와 같이 조정된 필드 및 일자 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에 각각의 섹션을 구성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각 섹션은 조정된 필드 및 일자 정보에 따라 생성되되, 추출된 정보 중 해당 일자 해당 필드에 상응하는 정보가 존재하는 위치에 생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단계는 별도의 단계로서 필수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단계들의 수행 결과물로서 일자 정보 및 필드 정보가 자동적으로 조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브젝트 생성부(213)는 추출된 정보들을 인터페이스의 각 섹션에 표시하기 위한 오브젝트들을 재생성한다(S350). 이때, 선택된 대푯값에 따라 오브젝트 생성 방식이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필드에 대한 오브젝트를 생성하더도, 해당 필드에 대한 정보 중 대푯값과 관련성이 높은 상세 정보를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이하게 재생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혈액 검사 결과 중 관련성 높은 수치를 표시).
재생성된 오브젝트는 인터페이스의 각 섹션에 표시되며, 이로 인해 인터페이스 표시 내용이 조정될 수 있다(S360). 본 단계를 통해, 인터페이스 상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대푯값과 관련성 있는 정보들이 각각의 섹션형태로 구분되어 시계열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에에 의할 경우, 사용자가 특정 진단명과 같이 관심있는 대푯값과 관련된 정보들만 선별적으로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하여 조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방법은, 사용자 단말과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포함)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이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해, 단말의 연산장치가 읽어들일 수 있는 프로그램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단말의 연산장치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웹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밝혀둔다.
100 : 서버 110 : 데이터베이스
200 : 사용자 단말 210 : 처리부
213 : 오브젝트 생성부 220 : 인터페이스

Claims (10)

  1. 인터페이스 상에 환자의 의료 정보를 일자별 필드별로 구분하여 별도의 섹션 형태로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푯값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의료 정보로부터 상기 선택된 대푯값과 관련성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각 오브젝트를 재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성된 오브젝트를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기록 조회 및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푯값은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진단명, 약물 명칭, 처치 명칭, 검사 명칭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기록 조회 및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대푯값을 선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관심 있는 정보가 기재된 섹션을 선택하거나, 키워드 입력창에 대푯값을 입력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기록 조회 및 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처리부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대푯값에 대해 관련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저장하고,
    상기 관련성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상기 기준에 근거하여 상기 대푯값과의 관련성을 판단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기록 조회 및 입력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성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되어 상기 처리부의 캐시 저장부에 저장된 환자의 의료 정보 중에서 관련성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기록 조회 및 입력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되는 정보는 상기 환자의 의료 정보 중 관련성 있는 소정 필드에 대한 정보, 소정 서브 필드에 대한 정보, 또는 소정 필드 또는 소정 서브 필드의 정보 중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기록 조회 및 입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의료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별도의 섹션에 상응하는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를 재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적어도 일부가 상이한 방식으로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기록 조회 및 입력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성된 오브젝트를 상기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의료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단계에서 표시된 일자 정보보다, 적은 일자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기록 조회 및 입력 방법.
  9. 인터페이스 상에 환자의 의료 정보를 일자별 필드별로 구분하여 별도의 섹션 형태로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푯값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의료 정보로부터 상기 선택된 대푯값과 관련성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각 오브젝트를 재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성된 오브젝트를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의료 기록 조회 및 입력 프로그램
  10. 일자 정보 및 필드 정보에 따라 각각 별도의 섹션 형태로 환자의 의료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대푯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되는 환자의 의료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가공하고, 사용자가 대푯값을 선택하면 상기 환자의 의료 정보 중 상기 선택된 대푯값과 관련성 있는 정보만을 추출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하도록 가공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의료 기록 조회 및 입력 방법
KR1020210028998A 2018-07-27 2021-03-04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시스템,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KR102337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88179 2018-07-27
KR1020180088179 2018-07-27
KR1020180096205A KR102228661B1 (ko) 2018-07-27 2018-08-17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시스템,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205A Division KR102228661B1 (ko) 2018-07-27 2018-08-17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시스템,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317A true KR20210030317A (ko) 2021-03-17
KR102337867B1 KR102337867B1 (ko) 2021-12-10

Family

ID=69181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998A KR102337867B1 (ko) 2018-07-27 2021-03-04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시스템,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7417676B2 (ko)
KR (1) KR102337867B1 (ko)
WO (1) WO202002285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1431A (ko) * 2012-08-10 2014-02-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의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140095231A (ko) * 2013-01-24 2014-08-01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3971B2 (ja) 2005-03-18 2011-12-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7233841A (ja) 2006-03-02 2007-09-13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診断システム
JP5130061B2 (ja) * 2008-01-23 2013-01-30 株式会社エイアンドティー 医療情報処理方法、医療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医療情報処理装置
JP5542326B2 (ja) * 2008-12-02 2014-07-09 東芝医療情報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ドラッグドロップ表示装置、ドラッグドロップ表示制御方法およびドラッグドロップ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871629B2 (ja) 2012-01-20 2016-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34042B2 (ja) * 2013-04-12 2015-12-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診療情報表示制御装置および診療情報表示制御方法並びに診療情報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20160077276A (ko) * 2014-12-22 2016-07-04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진료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4630A (ko) * 2015-09-21 2017-03-29 주식회사 파다스 증례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1431A (ko) * 2012-08-10 2014-02-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의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140095231A (ko) * 2013-01-24 2014-08-01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36238A (ja) 2022-09-15
KR102337867B1 (ko) 2021-12-10
WO2020022854A1 (ko) 2020-01-30
JP7417676B2 (ja) 2024-01-18
JP2022141928A (ja)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6741B2 (en) Characterizing states of subject
US20140324469A1 (en) Customizable context and user-specific patient referenceable medical database
US20110270123A1 (en) Visually directed human-computer interaction for medical applications
CA3156976A1 (en) Methods, computer-readable mediums, and systems for creating, organizing, viewing and connecting annotations of documents within web browsers
US200701066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user actions within electronic workflow templates
US20190348156A1 (en) Customized presentation of data
KR102317596B1 (ko)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시스템,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US20140068489A1 (en) Interactive historical timeline of personal health record
US20080175460A1 (en) Pacs portal with automated data mining and software selection
McGrath et al. Optimizing radiologist productivity and efficiency: Work smarter, not harder
KR102337867B1 (ko)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시스템,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KR102589820B1 (ko)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시스템, 의료 정보 조회 및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US20190121945A1 (en) Electronic Medical Record Visual Recording and Display System
JP7457139B2 (ja) 医療情報照会及び入力システム、医療情報照会及び入力方法、並びにこれ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
US8532931B2 (en) Calculating sample size for clinical trial
JP6642173B2 (ja) 電子カルテ装置、電子カルテシステム、及び更新プログラム
WO2018201182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management of a clinical workflow
US11817191B1 (en) System and methods for displaying genomic and clinical information
JP2023161266A (ja) 電子カルテシステム及び電子カルテプログラム
JP2003233672A (ja) 病名管理装置における修飾語の入力方法
JP2003233669A (ja) 病名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