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488A -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자연휴양림 야영장 안전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자연휴양림 야영장 안전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9488A
KR20210029488A KR1020190110776A KR20190110776A KR20210029488A KR 20210029488 A KR20210029488 A KR 20210029488A KR 1020190110776 A KR1020190110776 A KR 1020190110776A KR 20190110776 A KR20190110776 A KR 20190110776A KR 20210029488 A KR20210029488 A KR 20210029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psite
bollard
power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신
김상우
오병환
김정희
김동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온익스
대한민국(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온익스, 대한민국(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온익스
Priority to KR1020190110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9488A/ko
Publication of KR20210029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4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실시 예들은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자연휴양림 야영장 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실시 예에 따른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는 야영데크에 공급되는 전력을 안전하게 사용하고, 야영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전달하고, 폭우, 산불 등 야영장 사용자가 알수 없는 사항을 관리소에서 신속하게 전달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야영장환경 아울러 야간도착시 예약된 야영데크까지의 인도등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자연휴양림 야영장 안전관리시스템{Bollard type safety management apparatus, and campsite safety management system in natural recreation forest}
실시 예들은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이를 포함한 자연휴양림 야영장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휴양림은 국민의 보건 휴양에 폭넓게 이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지정하여 정비한 산림으로써, 이용객이 쉴 수 있도록 제공하는 객실 형태인 숲속의 집이라는 시설물과 이용객이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체험관과 같은 시설물을 구비하여 이용객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각 지역별로 위치한 각 자연휴양림 내의 시설물은 넓은 산악 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시설물이 자연과의 조화를 위해 목조 건물로 지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이용객이 시설물을 사용하기 위해 지불하는 이용비용은 자연휴양림의 유지비용 또는 더 나은 환경을 위한 운영 비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한편, 자연휴양림내에는 다양한 종류의 숙박시설들을 구비하고 있다. 야영장이 아닌 캐빈 및 휴양관등의 시설물은 화재 등의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설비가 구비되어 있으나, 노지에 설치되는 야영데크의 경우는 이러한 안전관련 설비가 없는 실정이다. 야영장의 특성상 외부 야간조명을 담당하는 볼라드 등 타입의 시설물에 야영객의 안전을 지킬수 있는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선행기술 1은 객실 등에 대한 안전관리 항목을 포함하고 있으나, 캠핑장등 야영장에 대한 안전관리에 대해서는 부족한 면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번호]
선행기술 1: 한국등록특허 제10-1001179호
실시 예들은 야영데크에 공급되는 전력을 안전하게 사용하고, 야영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전달하고, 폭우, 산불 등 야영장 사용자가 알 수 없는 사항을 관리소에서 신속하게 전달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야영장환경 아울러 야간도착시 예약된 야영데크까지의 인도 등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자연휴양림 야영장 안전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에 있어서, 야영데크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는 전력 관리부; 게이트웨이를 통해 야영장 관리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상기 야영데크의 주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관리하는 센서 관리부; 및 상기 전력 관리부, 상기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및 센서 관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관리부를 통해 상기 야영데크에 공급된 전력이 제1 임계 전력 이상,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야영데크로의 전력을 제2 시간 동안 차단한 후, 상기 제2 시간 이후에 상기 야영데크에 전력을 다시 공급하고, 상기 전력 관리부를 통해 상기 야영데크에 공급된 전력이 상기 제1 임계 전력보다 큰 제2 임계 전력 이상인 경우, 상기 야영데크로의 전력을 상기 제2 시간보다 긴 제3 시간 동안 차단한 후, 상기 제3 시간 이후에 상기 야영데크에 전력을 다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야영데크로의 전력을 차단하는 경우, 전력 차단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온도를 표시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 정보 및 야영장 공지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된 QR코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야영장 관리 서버로부터 야영장 관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야영장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볼라드 등의 점멸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야영장 관리 정보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경고 방송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야영장 안내데스크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야영장 예약 정보를 포함한 QR코드를 사용자 단말이 스캔한 경우, 상기 야영데크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야영장 예약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스캔한 경우, 상기 야영장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야영데크까지 길안내 정보에 따라 상기 볼라드 등이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볼라드 등을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는 외부 서지로부터 보호하는 서지 보호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는, 상기 게이트웨이와 424.7Mhz 대역의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야영데크에 공급된 전력이 제1 임계 전력 이상,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야영데크로의 전력을 제2 시간 동안 차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시간 이후에 상기 야영데크에 전력을 다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야영데크에 공급된 전력이 상기 제1 임계 전력보다 큰 제2 임계 전력 이상인 경우, 상기 야영데크로의 전력을 상기 제2 시간보다 긴 제3 시간 동안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시간 이후에 상기 야영데크에 전력을 다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야영데크로의 전력을 차단하는 경우, 전력 차단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의 제어 방법은 온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온도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온도 정보 및 야영장 공지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된 QR코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의 제어 방법은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야영장 관리 서버로부터 야영장 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야영장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볼라드 등의 점멸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야영장 관리 정보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경고 방송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의 제어 방법은 야영장 안내데스크에 구비되고, 야영장 예약 정보를 포함한 QR코드를 사용자 단말이 스캔한 경우, 상기 야영데크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야영장 예약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스캔한 경우, 상기 야영장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야영데크까지 길안내 정보에 따라 상기 볼라드 등이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볼라드 등을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연휴양림 야영장 안전관리시스템은 복수의 야영데크 각각에 인접하여 구비된, 상기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상기 각각의 안전관리제어 장치와 424.7Mhz 대역의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통신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와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야영장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실시 예들에 따른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자연휴양림 안전관리시스템은 야영데크에 공급되는 전력을 안전하게 사용하고, 야영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전달하고, 폭우, 산불 등 야영장 사용자가 알수 없는 사항을 관리소에서 신속하게 전달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야영장환경 아울러 야간도착시 예약된 야영데크까지의 인도등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연휴양림 야영장 안전관리시스템의 개략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양림 관리 서버(110)의 개략 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게이트웨이(130)의 개략 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140)의 개략 도이다.
도 5a 및 5b는 도 4에 도시된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140)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를 이용한 전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를 이용한 정보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를 이용한 정보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이다.
본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임의로 선정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실시 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또는“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하기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은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실시 예들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 볼라드등은 외부 공간의 조명기구를 의미하는 것으로, 자연휴양림에 야영데크, 산책로 등에 조명을 위한 설치된 장치를 의미한다. 볼라드(bollard)의 사전적 의미는 통행 주체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위험지역으로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 말뚝형으로 설치한 구조물들을 뜻하며, 볼라드등은 이러한 구조물상에 LED조명을 부가한 것을 의미한다. 조명의 경우 수명이 길고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LED 조명이 주로 사용되며 야간에 통행 주체들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동시에 경관을 고려한 야경을 연출할 수 있는 광색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연휴양림 야영장 안전관리시스템의 개략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연휴양림 야양장 안전관리시스템은 휴양림 관리 서버(110), 통신망(120), 게이트웨이(130)와, 게이트웨이(130)와 접속된 복수의 안전관리장치들(140)과 각각에 인접하여 배치된 복수의 야양데크들(150)을 포함한다.
휴양림관리서버(110)는 전국 각지에 산포해 있는 자연 휴양림 및 휴량림 내의 개별 시설물에 대한 관리, 운영, 유지보수 및 에너지 사용을 개별 자연휴양림의 관리 시스템 및 중앙의 통합 관리시스템에 의하여 통합 운영 제어한다. 또한, 각 지역별 자연휴양림의 시설물 사용 현황 및 예약 현황을 통합관리하고 객실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 내부 및 외부에 화재 센서와 같은 각종 인식 센서 및 카메라를 구비하여 대부분이 목재인 자연 휴양림 시설물의 화재, 외부인 침입, 산불 및 산사태를 감시 및 통제할 수 있다. 또한, 자연 휴양림은 낙뢰에 의한 피해가 빈번하므로 낙뢰로부터 관리 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낙뢰에 의한 관리 시스템의 피해를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다. 또한, 자연 휴양림 실내에는 취사기가 설치되어 있어 화재 센서의 오동작이 빈번하고 또한 화재 센서 자체의 오동작이 빈번하여 발생하는 화재경보를 처리 및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휴양림관리서버(110)는 각각의 휴양림을 관리하는 각각의 휴양림관리서버일 수도 있고, 모든 휴양림을 관리하는 통합 휴양림관리서버일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휴양림관리서버(110)는 통신망(120)을 통해 게이트웨이(130)와 접속하고, 게이트웨어(130)를 통해 복수의 안전관리장치(1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휴양림관리서버(110)는 안전관리망인 TCP/IP를 통해 게이트웨이(130)와 통신한다. 여기서, 게이트웨이(130)가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휴양림 내의 복수의 야영장, 예를 들면 A 야영장, B 야영장 등을 관리하는 각각의 게이트웨이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130)는 복수의 안전관리장치(140)와 접속하고, 복수의 안전관리장치(14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휴양림관리서버(110)에 전송하고, 휴양림관리서버(1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복수의 안전관리장치(140)에 전송한다. 게이트웨이(130)는 복수의 안전관리장치(140) 각각과 424.7Mhz의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통신한다.
안전관리장치(140)는 야영데크(150)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볼라드등 타입의 구조물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안전관리장치(140)는 본 시스템은 야영데크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한 사용에 대한 기능 모듈, 야영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전달하는 모듈, 폭우, 산불 등 야영장 사용자가 알수 없는 사항을 관리소에서 신속하게 전달하는 모듈,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야영장환경 아울러 야간도착시 예약된 야영데크까지의 인도등 편의와 관련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관리장치(140)는 각각의 야영데크(150)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으나, 그 개수 및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휴양림관리서버(110), 게이트웨이(130) 및 안전관리장치(1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양림관리서버(110)의 개략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양림관리서버(110)는 야영데크관리부(111), 제어부(112), QR코드 표시부(113)를 포함한다. 야영데크관리부(111)는 휴양림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야영데크 각각의 전력 제어, 경고 메시지 전송 등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야영데크관리부(111)는 문자메시지 방식의 표준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기술을 통해 원격지의 관리소와 산개되어 있는 데크간의 관리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전력관제 및 차단 및 자동복전기능을 사용하여 야영객이 전력과다사용으로 인한 사고등을 예방하고, 자동 정복전기능을 채택하여 운용자가 산개되어 있는 현장에 직접방문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제어부(112)는 휴양림관리서버(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운용자는 제어부(112)를 통해 전체시스템의 운용을 통제할 수 있다.
QR 코드 표시부(113)는 휴양림의 야영장 안내데스크 근처에 구비되고, 각각의 예약 사용자에 따른 예양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QR코드로 생성하여 표시한다. 야영장에 도착한 사용자의 기 등록된 휴대 단말로 QR 코드를 스캔한 경우, 야영데크의 위치 정보 등을 알려주고, 해당 안전관리장치(140)에 전송하여, 볼라드등의 점멸, 해당 야영데크까지의 길안내를 위한 복수의 볼라드등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QR코드를 사용하여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고 해당 데크의 정보를 스마트기기로 열람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클라우드 서비스기술을 구현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게이트웨이(130)의 개략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게이트웨이(130)는 관리서버 인터페이스(131), SNS 기반 처리 제어부(132) 및 안전관리장치 인터페이스(133)를 포함한다. 게이트웨이는 복수의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와 야영데크에 전력을 분배하는 중앙분전반기능을 수행한다. 게이트웨이(130)는 서지보호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휴양림 운용자는 게이트웨이(130)를 통해 휴양림의 복수의 야영데크를 원격관제할 수 있다.
관리서버 인터페이스(131)는 휴양림관리서버(110)와 TCP/IP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SNS 기반 처리 제어부(132)는 휴양림관리서버(110)로부터 제어명령을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에 전송하여 원격관제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종래에는 주장치와 서브기기간의 통신시 별도의 ID를 설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인해 설치 및 유지보수에 전문인력이 필요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른 SNS 기반 처리 제어를 통해 기기고장시 교체설치후 네트워크 연결 그리고 운용하는 방법이 국제표준의 메신저프로토콜 방식을 사용하므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신저 제어기술을 기본으로 하면 QR코드등의 이미지를 통해 얻어진 메세지를 웹기반 혹은 메신저툴을 이용하여 기기로 전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기기의 확장이 스크립트 기반으로 수행되므로 확장성이 용이하다.
안전관리장치 인터페이스(133)는 복수의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140)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140)의 개략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140)는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141), 전력관리부(142), 센서관리부(143) 및 비상운전관리부(144)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서,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140)는 야영데크에 공급된 전력이 제1 임계 전력 이상,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야영데크로의 전력을 제2 시간 동안 차단한 후, 제2 시간 이후에 상기 야영데크에 전력을 다시 공급한다. 계속해서, 야영데크에 공급된 전력이 제1 임계 전력보다 큰 제2 임계 전력 이상인 경우, 야영데크로의 전력을 제2 시간보다 긴 제3 시간 동안 차단한 후, 제3 시간 이후에 야영데크에 전력을 다시 공급한다. 또한, 안전관리장치(140)는 야영데크로의 전력을 차단하는 경우, 전력 차단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안전관리장치(140)는 복수의 센서들, 예를 들면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을 포함하여, 온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온도를 표시하고, 감지된 온도 정보 및 야영장 공지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된 QR코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140)는 문자메세지 방식의 표준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기술을 통해 원격지의 관리소와 산개되어 있는 데크간의 관리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전력관제 및 차단 및 자동복전기능을 사용하여 야영객이 전력과다사용으로 인한 사고등을 예방하고, 자동 정복전기능을 채택하여 운용자가 산개되어 있는 현장에 직접방문하는 수고를 덜어줄 수 있다.
또한, QR코드를 사용하여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고 해당 데크의 정보를 스마트기기로 열람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클라우드 서비스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도 4에 도시된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140)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140)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LED조명기구가 배치되고, 내부에 콘센트, 서지보호기, 온도센서, 도 5bdp 도시된 숫자표시부, 전력측정부, 차단부, 스피커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안전관리장치(140)는 볼라드 등타입으로 설치된 야영데크 안전제어기는 내부에 야영객이 사용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 메인분전반에서 분기되어 오는 전력선에 낙뢰등의 외부서지등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는 서지보호기, 야영장의 외기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 사용전력 및 외기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숫자표시부, 내장된 콘센트를 이용하여 과도한 전열기이용등을 방지하기 위한 실시간 전력측정부와 측정된 전력이 설정값이상으로 사용시 자동차단하는 차단부, 자동차단시 사용자가 설정값 이상을 사용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는 가청경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140)는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온도센서는 표시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QR코드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QR 코드를 이용객의 스마트기기로 읽어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고 직접 휴양림관리소의 앱페이지에 연결되어 실시산 온도정보 혹은 휴양림내 안전관리 사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북마크를 통해 이후에라도 야영장 현지의 온도 혹은 관련 공지사항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140)는 메인분전반에 설치된 주제어기인 게이트웨이(130)와 무선통신을 통해 운용자가 원격 관제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볼라드등의 야간점등 주간소등이 가능하다. 또한, 볼라드등의 점등 그리고 가청경보를 통해 폭우대피, 산불등의 대피상황이 발생시 가청 및 가시경보가 가능하다. 또한 본체에 별도의 통신포트를 장착하여 이후 안전과 관련한 기능의 기기추가시 기존 설치된 시설물과 연동이 가능하다.
실시 예에서, 중앙분전반 기능을 하는 게이트웨이(130)에 서지보호회로가 있으나,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140)는 확장된 선로를 통해 들어오는 서지를 최종사용단에서 보호하여 야영객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서지보호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야영객이 관리소에 출입신고시 관리소와 통신되는 분전반에 설치된 중앙제어기를 통해 전력사용이 가능하도록하여 도전을 방지하는 기능과 관리소의 안전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전력사용량을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 예에서, 야영객이 야간에 도착시 관리소에 설치된 QR코드 리더기를 스마트기기로 읽어 해당 웹페이지가 자동으로 뜨고 웹페이지 상에서 해당 야영데크의 위치를 표시하고 아울러 해당 데크에 설치된 볼라드등의 간헐적인 점멸을 통해 야영객이 사용데크를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를 이용한 전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야영객이 제공되는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열기 혹은 기타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설정 1단계, 예를 들면 기본값 600와트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가 일정시간, 예를 들면 10초간 유지되면 1분간 전원을 차단한다. 차단시 가청부를 통해 사용자가 이 상황을 인지 전력사용량을 줄이도록 유도할 수 있다.
차단된 1분이후 자동으로 복전되고 이후 600와트인 1차설정값 미만으로 측정되면 정상동작하고, 아닌 경우 위 사항을 반복하여 사용자가 전력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유도한다.
전력 사용량이 2차 설정값, 예를 들면 기본 2500와트이상인경우 즉시 차단하고 300초간 차단하고 전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이 경우, 운용자는 위의 1차 차단값 및 2차 차단값을 제어부의 설정버튼을 이용하여 변경이 가능하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를 이용한 정보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를 이용한 정보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야영객이 QR 코드 표시기, 예를 들면 키오스크 형태의 안내단말에 방문자 등록을 하면, 중앙관리시스템에 예약확인을 한다. 관리서버를 통해 인증한다. 중앙관리시스템은 QR 코드 표시기에 QR 코드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야영장제어기(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140))에 설정시간동안의 유도 점들을 수행한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야영객이 야간에 도착시 관리소에 설치된 QR코드 리더기를 스마트기기로 읽어 해당 웹페이지가 자동으로 뜨고 웹페이지 상에서 해당 야영데크의 위치를 표시하고 아울러 해당 데크에 설치된 볼라드등의 간헐적인 점멸을 통해 야영객이 사용데크를 손쉽게 찾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야영객의 스마트기기로 QR코드를 읽으며, 중앙관리시스템에 휴양림 야영데크 정보를 요청하면, 환경정보 및 안내정보를 야영객의 스마트기기로 전송한다. 실시 예에서, QR코드를 사용하여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고 해당 데크의 정보를 스마트기기로 열람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휴양림 안전관리시스템은 야영객의 안전, 편리성 및 기능성을 제공한다.
먼저, 안전성 측면에서, 중앙분전반에서 ELB를 설치하여 끌고가는 형태, 자체에 서지 보호기능을 내장하여 야영객의 안전을 보장하고, 실시간 전력 모니터링을 통해 과부하 차단하고, 안전관련 비상벨 스위치를 통해 메인분전반의 제품 상태를 통지하고, 관리소에 위급상황을 전파할 수 있다. 또한, 홍수피해 등 비가 많이 오는 경우 경보전파를 수행함에 있어서, 볼라드등을 점멸시키고 전원을 차단하여 위급상황을 야영객에게 쉽게 인지시킬 수 있다.
편리성 측면에서, 안전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야영데크의 위치를 찾는데 용이하며, QR코드를 이용하여, 캠핑장을 찾고자 하는 사람들이 현지의 기온을 원격에 앱으로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능성 측면에서, 볼라드등의 형태에 장착하여 실외 간접 조명기능을 포함하고 있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고, 전력 가설시 외부등과 별도로 설치하는 공사비 절감할 수 있으며, 메인 분전반 내부에 중앙제어기를 연결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현재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야영객에게 해당 지역에 불조심등을 통보할 수 있고, 캠핑장내 전력사용량을 측정하여 볼수 있는 상태, 재실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전력제어량을 용도에 맞도록 수정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른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자연휴양림 야영장 안전관리시스템 야영데크에 공급되는 전력을 안전하게 사용하고, 야영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전달하고, 폭우, 산불 등 야영장 사용자가 알수 없는 사항을 관리소에서 신속하게 전달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야영장환경 아울러 야간도착시 예약된 야영데크까지의 인도등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휴양림 관리 서버
130: 게이트웨이
140: 안전관리장치

Claims (15)

  1.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에 있어서,
    야영데크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는 전력 관리부;
    게이트웨이을 통해 야영장 관리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상기 야영데크의 주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관리하는 센서 관리부; 및
    상기 전력 관리부, 상기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및 센서 관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관리부를 통해 상기 야영데크에 공급된 전력이 제1 임계 전력 이상,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야영데크로의 전력을 제2 시간 동안 차단한 후, 상기 제2 시간 이후에 상기 야영데크에 전력을 다시 공급하고,
    상기 전력 관리부를 통해 상기 야영데크에 공급된 전력이 상기 제1 임계 전력보다 큰 제2 임계 전력 이상인 경우, 상기 야영데크로의 전력을 상기 제2 시간보다 긴 제3 시간 동안 차단한 후, 상기 제3 시간 이후에 상기 야영데크에 전력을 다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야영데크로의 전력을 차단하는 경우, 전력 차단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온도를 표시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 정보 및 야영장 공지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된 QR코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야영장 관리 서버로부터 야영장 관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야영장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볼라드 등의 점멸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야영장 관리 정보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경고 방송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야영장 안내데스크에 구비되고, 야영장 예약 정보를 포함한 QR코드를 사용자 단말이 스캔한 경우, 상기 야영데크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야영장 예약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스캔한 경우, 상기 야영장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야영데크까지 길안내 정보에 따라 상기 볼라드 등이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볼라드 등을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서지로부터 보호하는 서지 보호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는,
    상기 게이트웨이와 424.7Mhz 대역의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9.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야영데크에 공급된 전력이 제1 임계 전력 이상,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야영데크로의 전력을 제2 시간 동안 차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시간 이후에 상기 야영데크에 전력을 다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야영데크에 공급된 전력이 상기 제1 임계 전력보다 큰 제2 임계 전력 이상인 경우, 상기 야영데크로의 전력을 상기 제2 시간보다 긴 제3 시간 동안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시간 이후에 상기 야영데크에 전력을 다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야영데크로의 전력을 차단하는 경우, 전력 차단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온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온도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온도 정보 및 야영장 공지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된 QR코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야영장 관리 서버로부터 야영장 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야영장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볼라드 등의 점멸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야영장 관리 정보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경고 방송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야영장 안내데스크에 구비되고, 야영장 예약 정보를 포함한 QR코드를 사용자 단말이 스캔한 경우, 상기 야영데크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야영장 예약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스캔한 경우, 상기 야영장 관리 서버로부터 양상기 야영데크까지 길안내 정보에 따라 상기 볼라드 등이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볼라드 등을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5. 복수의 야영데크 각각에 인접하여 구비된, 상기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상기 각각의 안전관리장치와 424.7Mhz 대역의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통신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와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볼라드 등 타입의 안전관리제어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야영장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자연휴양림 야영장 안전관리시스템.
KR1020190110776A 2019-09-06 2019-09-06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자연휴양림 야영장 안전관리시스템 KR20210029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776A KR20210029488A (ko) 2019-09-06 2019-09-06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자연휴양림 야영장 안전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776A KR20210029488A (ko) 2019-09-06 2019-09-06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자연휴양림 야영장 안전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488A true KR20210029488A (ko) 2021-03-16

Family

ID=75224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776A KR20210029488A (ko) 2019-09-06 2019-09-06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자연휴양림 야영장 안전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94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3178A1 (en) * 2022-03-18 2023-09-21 Andrew Kahler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aler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3178A1 (en) * 2022-03-18 2023-09-21 Andrew Kahler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aler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733B1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278853B1 (ko) 화재경보 무선 송수신장치
KR101725802B1 (ko) 아이씨티 기반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2806B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88025B1 (ko) 재난 알림 전광판
CN103499965A (zh) 智能变电站物联网辅助监控系统
NZ538232A (en) Network of wireless,stand-alone alarm units
CN213789746U (zh) 基于物联网和gis技术的文物智慧消防平台
CN103824430B (zh) 无线互传联动火灾报警系统
KR102110146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감지장치 간의 통신 구성 방법
US20230351531A1 (en) Safety management and building operational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occupancy buildings
KR101604554B1 (ko) 국지적 재난 방송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439267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장치
KR20210029488A (ko) 볼라드등 타입의 안전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자연휴양림 야영장 안전관리시스템
KR20100129504A (ko) 원격 소방 관제 시스템
KR102031513B1 (ko) 소화전용 방송선로의 앰프 보호장치
KR101527725B1 (ko)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관리 방법
CN204522095U (zh) 一种基于消火栓箱的通信系统
CN109140585B (zh) 分布式空调系统及其空调室内机和消防方法
JP7158940B2 (ja) 位置情報システム
CN205881094U (zh) 一种火灾自动报警系统
KR20060000146A (ko) 인터넷을 이용한 터널 원격 관리 시스템
KR20110108038A (ko) 현장 설정 관리가 가능한 p형 수신기를 이용한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37270B1 (ko) 무선 화재 감지기 시스템
KR20210156957A (ko) 스마트폰 연동 화재 수신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