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233A - 국소 안구 전달 디바이스들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 Google Patents

국소 안구 전달 디바이스들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233A
KR20210028233A KR1020217003258A KR20217003258A KR20210028233A KR 20210028233 A KR20210028233 A KR 20210028233A KR 1020217003258 A KR1020217003258 A KR 1020217003258A KR 20217003258 A KR20217003258 A KR 20217003258A KR 20210028233 A KR20210028233 A KR 20210028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delivery device
fluid delivery
cases
electromagnetic trans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후드 이브리
Original Assignee
켄달리온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켄달리온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켄달리온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28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7/00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olid, liquid, or gaseous remedies or other materials into or onto the bodie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5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using 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6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dose siz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85Inhalators using 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8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of pulsating nature, e.g. delivering liquid in successive separate quantities ; Fluidic oscillators
    • B05B1/08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of pulsating nature, e.g. delivering liquid in successive separate quantities ; Fluidic oscillators the pulsating mechanism comprising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83Ti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9/00Local anaesthesia; Hypo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8Liquids non-physiolog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8Liquids non-physiological
    • A61M2202/048Anaesth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05Materials having antiseptic or antimicrobial properties, e.g. silver compounds, rubber with sterilis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06Optical meas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4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making noise when used correct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audib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7Ligh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6Packaging for specific medical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2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50/00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국소 안구 전달 디바이스들이 제공된다. 디바이스들의 양상들은 국소 안구 전달 동안 최소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방출된 스트림 속도를 제공하는 진폭 및 주파수에서 오실레이팅하도록 구성된 트랜스듀서를 포함한다. 또한, 예컨대, 국소 안구 전달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디바이스들을 사용하는 방법들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국소 안구 전달 디바이스들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35 U.S.C.§119(e)에 따른 본 출원은, 2018년 7월 3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일련 번호 제62/693,818호의 출원일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의 개시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예컨대, 안구 조건, 예컨대, 질병 조건의 치료를 위해, 불편함, 예컨대, 건성 안의 완화를 위해, 외관 예컨대, 충혈된 눈의 개선을 위해 그리고 진단 목적들을 위해, 안구 표면에 액제(liquid formulation)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한 다수의 상황들이 존재한다. 안구 표면 상의 액제들의 투여는 일반적으로 작은 용기 또는 병(예컨대, 종래의 점안기)으로부터 액제의 하나 이상의 방울들을 안구 표면 상에 직접 침착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액제의 방울들은 자가 투여되거나 의료인 또는 간병인과 같은 다른 사람에 의해 투여된다.
종래의 점안기는 볼륨이 약 30-50 μl인 단일 방울들을 분배한다. 그러나, 인간 눈은 통상적으로 각막 표면 상에 단지 약 7 μl의 유체만을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더 큰 침착된 볼륨들은 눈 표면으로부터 약물 대부분의 오버플로우 및 손실을 초래한다. 또한, 30 또는 50 μl와 같이 큰 볼륨의 단일 방울은 깜박임 반사작용을 야기하며, 이는 안구 표면으로부터 대부분의 액체를 제거하고 불편함 및 반사적인 눈물을 또한 야기한다.
이러한 팩터들은, 종래의 점안기들(자가 투여되든지 아니면 다른 사람에 의해 투여되든지 간에)로부터 점안액(eye drop)들의 투여가 문제가 될 수 있게 만든다. 예컨대, 종래의 점안기들의 경우에, 정확한 알려진 도즈의 액제 및 활성제를 눈에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또한, 종래의 점안기들을 사용하여 발생하는 실질적인 낭비가 존재한다. 또한, 종래의 점안기에 의한 투여는 환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액체들의 분무 및 분배를 위해 많은 유형들의 초음파 유체 배출 디바이스들이 개발되었다. 이들 분무기들은 밀폐된 챔버를 활용하는데, 이는 챔버의 전방 벽으로서 천공된 멤브레인 또는 핀홀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고 통상적으로 멤브레인의 에지에 부착된 압전 트랜스듀서에 의해 멤브레인을 진동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그 결과, 음압파(acoustic pressure wave)들이 액체에서 생성되어 개방 핀홀들을 통과하게 유체 액적들을 강제한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다음의 공보들: 미국 공개 특허 출원 공보 번호 제2014/0187969호 및 미국 특허 번호들 제3,812,854호, 제4,159,803호, 제4,300,546호, 제4,334,531호, 제4,465,234호, 제4,632,311호, 제4,338,576호 및 제4,850,534호에서 설명된다. 눈의 표면에 국소 용액들의 전달을 위해 구성된 초음파 유체 배출 디바이스들이 또한 개발되었다. 예컨대, 미국 공개 특허 출원 공보 번호들: 제2014/0336618호 및 제US2013/017283A1호뿐만 아니라, 미국 특허 번호들 제8,684,980호; 제8,733,935호; 및 제9,087,145호를 참조한다.
이를테면, 위에서 설명된 초음파 전달 디바이스들의 개발은 안과 유체들과 같은 유체들의 투여를 개선했지만, 이러한 초음파 디바이스들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는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며, 이는 전달 동안 안구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국소 안구 전달 디바이스들이 제공된다. 디바이스들의 양상들은 국소 안구 전달 동안 최소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방출된 스트림 속도를 제공하는 진폭 및 주파수에서 오실레이팅하도록 구성된 트랜스듀서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트랜스듀서는 초음파 유체 배출 디바이스들에 비해 더 높은 진폭 및 더 낮은 주파수로 오실레이팅하도록 구성되어서, 노즐로부터 방출된 유체 스트림의 속도는 초음파 디스펜서들로부터 방출된 것과 비교하면 실질적으로 더 낮다. 결과적으로, 눈에 대한 액체의 영향이 감소되고 국소 전달과 연관된 불편함이 크게 개선된다.
도 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200은 도 100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그의 전자 회로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300은 앰플과 자기 트랜스듀서를 별개로 도시하는 도 100 및 도 200의 실시예의 분해도를 예시한다.
도 40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전달 디바이스의 도면을 제공한다.
눈의 표면에 국소 안과 용액을 전달하기 위한 유체 배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상들은 눈의 표면에 대한 유체의 영향력이 감소되거나 최소화되도록 저속 스트림을 방출하게 구성된 트랜스듀서를 포함한다. 또한, 예컨대, 국소 안구 전달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디바이스들을 사용하는 방법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이 보다 상세히 설명되기 이전에, 본 발명은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이 물론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기 때문에,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값들의 범위가 제공되는 경우, 맥락이 달리 명확히 지시하지 않는 한, 그 범위의 상한과 하한 사이에서 하한의 단위 정수의 1/10까지의 각각의 개재 값, 및 그 언급된 범위 내의 임의의 다른 언급된 또는 개재 값은 본 발명 내에 포함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더 작은 범위들의 상한 및 하한들은 독립적으로 더 작은 범위들에 포함될 수 있고, 언급된 범위에서 임의의 구체적으로 배제된 제한을 전제로 하여 본 발명에 또한 포함된다. 언급된 범위가 제한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 그렇게 포함된 제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제외한 범위들이 본 발명에 또한 포함된다.
특정 범위들이 본원에서 제시되며, 수치 값들 앞에는 "약"이라는 용어가 선행된다. "약"이라는 용어는 그것에 뒤따르는 정확한 숫자뿐만 아니라, 용어에 뒤따르는 숫자에 가깝거나 그 숫자에 근사하는 숫자에 대한 문자 그대로의 뒷받침을 제공하도록 본원에서 사용된다. 숫자가 구체적으로 인용된 숫자에 가까운지 또는 구체적으로 인용된 숫자에 근사하는지를 결정함에 있어, 가까운 또는 근사하는 비인용 숫자는, 그것이 제시된 맥락에서 구체적으로 인용된 숫자의 상당한 등가물을 제공하는 숫자일 수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한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된 것들과 유사하거나 등가의 임의의 방법들 및 재료들이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거나 테스트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대표적 예시적인 방법들 및 재료들이 이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공보들 및 특허들은 각각의 개별 공보 또는 특허가 구체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인용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표시된 것처럼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되고 공보들이 인용한 방법들 및/또는 재료들을 개시 및 설명하도록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임의의 공보의 인용은 출원일 이전의 그의 개시내용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종래 발명에 의해 그러한 공보보다 앞설 자격을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공된 공개 날짜들은 실제 공개 날짜와 상이할 수 있으며, 이는 독립적으로 확인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본원에서 그리고 첨부된 청구항들에 이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들은, 맥락에서 명확히 다르게 지시하지 않으면 복수의 지시 대상들을 포함한다는 것에 주의한다. 이 청구항들이 임의의 선택적인 엘리먼트를 배제하도록 작성될 수 있다는 것에 추가로 주의한다. 따라서, 이런 서술은 청구항 엘리먼트들의 나열과 관련하여 "오로지", "오직" 등 같은 그런 배타적인 용어의 사용, 또는 "부정적" 제한의 사용을 위한 선행 기초로서 역할을 하도록 의도된다.
본 개시내용을 읽을 때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바와 같이, 본원에서 설명되고 예시된 개별 실시예들 각각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여러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의 특징들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거나 이들과 결합될 수 있는 이산 컴포넌트들 및 특징들을 갖는다는 것이 당업자들에 의해 인지될 것이다. 임의의 언급된 방법은 인용된 이벤트들의 순서로 또는 논리적으로 가능한 임의의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기능적 설명들과 함께 문법적 유동성을 위해 장치 및 방법이 설명되었거나 설명될 것이지만, 35 U.S.C.§112 하에서 명시적으로 규정되지 않는 한, 청구항들은 "수단" 또는 "단계들" 제한들의 구조에 의해 어떠한 방식으로도 반드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오히려 등가물들의 사법 원칙 하에서 청구항들에 의해 제공된 정의의 의미 및 등가물들의 전체 범위가 부여될 것이며, 청구항들이 35 U.S.C.§112 하에서 명시적으로 규정된 경우에, 35 U.S.C.§112 하의 전체 법정 등가물들이 부여될 것이란 점이 명시적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을 추가로 설명함에 있어서, 디바이스들의 실시예들이 먼저 설명되고 나서, 예컨대, 국소 안구 전달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디바이스들을 사용하는 방법들의 실시예들의 설명이 이어질 것이다.
유체 전달 디바이스들
위에서 요약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상들은 안과 제제를 대상의 눈의 타겟 위치, 즉 타겟 안구 위치 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유체 전달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유체 전달 디바이스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의 타겟 위치, 예컨대, 타겟 안구 위치로의 사용자에 의한 유체의 자가-투여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들의 디바이스들은, 건강 관리 전문가와 같은 다른 개인으로부터의 어떠한 보조 없이도 사용자가 사용자의 타겟 위치로의 유체의 볼륨을 투여할 수 있게 한다.
유체 전달 디바이스들의 성질들은 변동될 수 있지만, 일부 경우들에서, 디바이스들은 핸드헬드 디바이스들이다. 핸드헬드 디바이스라 함은, 디바이스가 평균 성인 인간 손으로 편안하게 잡힐 수 있도록 하는 무게를 갖고 치수가 정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핸드헬드 디바이스들의 일부 경우들에서, 디바이스는 10 내지 500 mm 이를테면, 20 내지 250 mm(50 내지 100 mm, 이를테면, 70 내지 85 mm를 포함함) 범위의 최장 치수들, 및 10 내지 1000 g 이를테면, 25 내지 500 g, 예컨대, 40 내지 100 g 범위의 무게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된 유체 전달 디바이스들은 저장소 및 구멍을 포함할 수 있는 유체 패키지, 및 구멍을 통해 저장소로부터 유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트랜스듀서(즉, 액추에이터)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인 컴포넌트들이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 각각이 이제 보다 상세히 검토된다.
유체 패키지
본 발명의 디바이스들의 유체 패키지 컴포넌트는, 예컨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정량의 유체를 보유하고 액추에이터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유체 용기이다. 용기는 임의의 편리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임의의 편리한 재료, 예컨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용기는 단일 전달 도즈량 또는 다중 전달 도즈량들을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여기서 용기는 다중 전달 도즈량들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액제(liquid formulation)의 볼륨을 포함하여서, 저장소는 다중-도즈 저장소가 된다. 따라서, 용기가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액제의 볼륨은 일부 경우들에서, 120 내지 800 μl를 포함해서, 100 μl 내지 10 ml, 이를테면, 100 내지 2000 μl 범위에서 변동될 수 있다.
용기는 예컨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일정 양의 유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저장소 컴포넌트, 및 저장소 컴포넌트로부터의 유체가 사용 동안 배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멍들을 포함한다. 주어진 유체 패키지가 갖는 구멍들의 수는 변동될 수 있지만, 일부 경우들에서, 구멍들의 수는 1개 내지 5개를 포함해서, 1개 내지 20개, 이를테면, 1개 내지 10개, 예컨대, 1개 내지 4개, 1개 내지 3개 및 1개 내지 2개의 범위에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유체 패키지는 단일 구멍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유체 패키지는 하나 초과의 구멍을 포함한다. 주어진 구멍의 치수들은 원하는 대로 변동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구멍들은, 10 내지 500 μm, 이를테면, 50 내지 450 μm, 예컨대, 75 내지 350 μm 범위의 최장 치수, 예컨대, 직경을 가지며, 여기서 일부 경우들에서, 구멍은 80 내지 120 μm(이를테면, 80 내지 100 μm), 또는 150 내지 350 μm(이를테면, 200 내지 350 μm, 예컨대, 250 내지 300 μm) 범위의 직경을 갖는다. 원하는 경우, 구멍은 밀봉된 구성에 있을 때 마개와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구멍의 내부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와 같이 구멍의 적어도 일부와 연관된 항균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존재할 수 있는 항균 재료들의 예들은 항균 금속들, 예컨대, 은, 구리 등, 항균 코팅들, 예컨대, 파릴렌 중합체들, 클로르헥시딘 및 프로타민 설페이트 조성물들 등을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한다.
용기는 임의의 편리한 구성을 가질 수 있지만, 일부 경우들에서, 용기는 저장소 및 목 부분을 포함하는, 예컨대, 액추에이터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구멍들을 포함하는 확장된, 예컨대, 벌브 부분(bulb portion)을 포함한다. 유체 패키지는 일부 경우들에서, 일회용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유체 패키지들은 WO 2018/136618로서 공개된 국제 출원 일련 번호 PCT/US2018/014211에서 추가로 설명되며, 그의 개시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유체 패키지에 존재하는 유체는 원하는 대로 변동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유체 전달 패키지에 존재하는 유체는 활성제의 액제이다. "작용제(agent)", "화합물" 및 "약물"이라는 용어들은 대상의 타겟 국소 위치로의 투여를 통해 대상과의 접촉 시에 생리적 효과를 갖는 분자 또는 분자 결합을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액제에 존재할 수 있는 활성제들의 예들은, 항감염제들(항생제들, 항 바이러스제들 등을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함), 항염증제들(스테로이드들 및 NSAIDS(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들 등을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함), 항-알레르기 제들(안티-히스타민제들 및 비만 세포 안정제들 등을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함), 항진균제들, 콜린제들, 장기 및 단기 작용제들을 포함한 항-콜린 제들(예컨대, 아트로핀, 트로핀아미드 등), 혈관수축제들, 생물제제들(예컨대, 단백질들, 엔지니어드 단백질(engineered protein)들 등), 소분자들, 마취제들, 진통제들, 안내압 강하제들(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들, ROK 억제제들, 베타 차단제들, 탄산탈수효소억제제들 및 알파 작용제들 등을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함), 윤활제들(식염수, 중합체 용액들, 프로테오글리칸들, 글리코사미노글리칸들, 탄수화물들 등을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함), 산동(동공 확장) 제들, 축소제(동공 수축제들), 요오드 유도체들, 항-염증제/면역-조절제/면역 억제제, 예컨대, 사이클로스포린, 이를테면, 사이클로스포린 A 및 그의 유도체들, FK-506, 라파마이신, 버스피론, 스피페론 및/또는 이들의 유도체들, 리피테그라스트 (Xiidra) 등; 및/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들을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한다. 설명된 디바이스들과 함께 활용될 수 있는 부가적인 약물들 및 작용제들은 미국 공보 제2017/0344714호 및 미국 특허 제9,087,145호에서 추가로 상세히 개시된 임의의 수의 작용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개시내용들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마이크로-도즈(micro-dose)의 주어진 액제에서 콜린제의 농도는 변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마이크로-도즈의 액제에서 콜린제의 농도는 50 ng/ml 내지 100mg/ml 범위에 있다.
활성제 외에도, 액제는 수액 전달 비히클, 예컨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수액 비히클을 포함할 수 있다. 물 외에도, 수액 전달 비히클은 소금들, 완충제들, 방부제들, 용해성 강화제들, 점도 조절제들, 착색제들 등을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수액 비히클들은 멸균 증류수 또는 정제수, 등장액들, 이를테면, 등장성 식염 용액 또는 붕산액,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프로필렌 글리콜 및 부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다른 적합한 비히클 구성 성분들은 페닐질산수은, 황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인산 나트륨 및 모노나트륨 인산염(monosodium phosphate)을 포함한다. 다른 적합한 비히클 성분들의 부가적인 예들은, 알코올들, 지방들 및 오일들, 중합체들, 계면 활성제들, 지방산들, 실리콘 오일들, 습윤제들, 보습제들, 점도 수정제(viscosity modifier)들, 유화제들 및 안정제들을 포함한다. 조성물들은 또한 보조 물질들, 예컨대, pH 조절제들 이를테면, 수산화 나트륨, 염산 또는 황산; 및 점도 증가제들 이를테면, 메틸셀룰로오스를 함유할 수 있다.
트랜스듀서
유체 패키지 외에도, 디바이스는 유체 패키지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유체 패키지의 저장소로부터 하나 이상의 구멍들을 통해 타겟 위치로 유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트랜스듀서(즉, 액추에이터) 컴포넌트를 더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트랜스듀서는 용기의 콘텐츠들에 진동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컴포넌트이며, 여기서 진동의 오실레이션 주파수는 변동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주파수는 가청 범위, 이를테면, 20 내지 20000 Hz, 예컨대, 50 내지 10000 Hz, 이를테면, 500 내지 3000 Hz와 같이 100 내지 3000 Hz를 포함하는 50 내지 5000 Hz 에 있으며, 여기서 일부 경우들에서, 주파수는 800 내지 1200 Hz 이를테면, 900 내지 1100 Hz의 범위에 있고, 예컨대, 1000 Hz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트랜스듀서는 원하는 유체 속도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오실레이션 진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오실레이션 진폭은 이를테면, 1.5 내지 4.5 μm 예컨대, 2 내지 3 μm를 포함하는 2 내지 4 μm와 같은 1 내지 5 μm를 포함해서, 1 내지 10 μm 이를테면, 2 내지 10 μm의 범위에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트랜스듀서는 낮은 강도의 사운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예컨대, 여기서 사운드의 강도는 50 dB 이하 이를테면, 20 dB 이하를 포함하는 25 dB와 같이 30 dB 이하를 포함하는 40 dB 이하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트랜스듀서는 구멍을 통해 저장소로부터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유체 패키지 내부의 유체에서 압력 변동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트랜스듀서는 유체 패키지의 외부 표면 상에서 유도된 변위에 의해 유체에서 압력 변동을 생성한다. 예컨대, 트랜스듀서에 의해 유체 패키지 상에 부여된 (이를테면, 위에서 설명된) 가청 주파수의 오실레이션들, 및 일부 경우들에서, 유체 패키지의 외부 표면은 유체 패키지에 의해 보유되는 유체에서 음압의 사이클들을 생성하여, 하나 이상의 구멍들로부터 유체가 배출되게 하다.
일부 경우들에서, 유체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스트림으로서 유체 패키지로부터 배출되며, 여기서 스트림은 액체의 연속 스트림(즉, 개별 액적들로 구성되지 않은 스트림) 또는 액체의 불연속 스트림 예컨대, 개별 액적들의 시준된 스트림, 일련의 스트림들 등일 수 있다. 연속적이든 아니면 불연속적이든 간에, 스트림이 시준될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에서, 액제는 더 많은 눈 표면에 걸쳐 확산하기 전에 눈의 외부 표면의 제한된 부분과 접촉하며, 여기서 일부 경우들에서, 제한된 접촉 부분은 눈의 외부 표면의 50 % 이하, 이를테면, 40 % 이하(30 % 이하를 포함함), 예컨대, 25 % 이하, 20 % 이하, 15 % 이하(10 % 이하를 포함함), 예컨대, 5 %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트림이 안구 표면의 원하는 위치에 정밀하게 투여되도록 정의된 위치로의 스트림의 정확한 전달을 제공한다. 스트림이 시준된 스트림으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들에서, 디바이스로부터 릴리즈된 액제의 전부는 아닐지라도 실질적으로 전부가 안구 표면에 전달된다(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된 모든 유체가 안구 표면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방출된 모든 유체 중 적어도 일부는 주위의 눈주위 표면들에 적용되는 미스트들 및 에어로졸들과 같은 다른 전달 방식들과 대조적임). 스트림이 액체의 연속 스트림인 경우, 스트림 직경은 변동될 수 있으며, 일부 경우들에서, 0.05 내지 0.50 mm 이를테면, 0.070 내지 0.130 mm의 범위에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스트림 직경은 스트림의 기점으로부터 국소 안구 위치까지 그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하여서, 일부 경우들에서, 직경의 임의의 크기 차이는 1 mm 이하, 이를테면, 0.5 mm 이하, 예컨대, 0.25 mm 이하가 된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스트림은 시준될 수 있어서, 스트림은 그것이 디바이스의 오리피스로부터 안구 표면으로 전파됨에 따라 (확산하더라도) 최소한으로 확산하게 된다. 스트림이 개별 액적들의 불연속 스트림인 경우, 개별 액적들의 볼륨은 일부 경우들에서, 50 내지 1500 pl, 이를테면, 100 내지 1000 pl의 범위에서 변동될 수 있다. 액적들이 투여되는 경우에, 주어진 액적의 직경은 일부 경우들에서, 100 내지 500 μm를 포함하여 20 내지 1000 μm 이를테면, 50 내지 750 μm 범위에서 변동될 수 있다. 주어진 투여 이벤트 동안 스트림 전달의 지속기간은 변동될 수 있고 예컨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원하는 전달 마이크로-도즈를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스트림 전달의 지속기간, 즉 투여의 지속기간은 20 내지 2000 msec 이를테면, 75 내지 500 msec를 포함하는 50 내지 1000 msec, 이를테면, 100 내지 150 msec를 포함하는 50 내지 200 msec의 범위에 있다. 전달되는 볼륨은 펄스 지속기간의 함수로서 변동될 수 있으며, 여기서 펄스 지속기간은 고정되거나 가변적일 수 있다.
위에 요약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는 투여 동안 사용자에게 (만약 있더라도) 최소한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속도로 유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투여된 스트림의 속도는 변동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예컨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트림을 투여하는 데 사용되는 디바이스의 구멍으로부터의 유체의 최소 유출 속도(minimum exit velocity)를 초과한다. "최소 유출 속도"는 Linblad 및 Scheider의 "Production of uniform-size liquid droplets," J. Scientific Instruments (1965) 42: 635.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내부에서 설명된 방정식 2 참조). 일부 경우들에서, 유출 속도가 최소 유출 속도보다 20 % 이상이고, 일부 경우들에서, 최소 유출 속도보다 300 % 이하이다. 예컨대, 150 미크론의 구멍 크기에 대해, 최소 유출 속도는 194 cm/sec이지만, 선택된 속도는 적어도 30 % 더 높을 것인데, 즉 적어도 252 cm/sec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속도는 10 내지 500 cm/sec, 이를테면, 20 내지 250 cm/sec(및 50 내지 150 cm/sec를 포함함) 범위에 있다.
트랜스듀서 컴포넌트의 성질은 변동될 수 있지만, 일부 경우들에서, 트랜스듀서 컴포넌트는 전자기 액추에이터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청 범위(예컨대, 20 내지 20,000 Hz) 내에 있는 저주파에서 오실레이션 진폭을 부여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오디오 주파수 범위에서 동작하지만, 일반적으로 30 dB 이하의 낮은 가청 톤을 생성한다. 동시에, 디바이스는 눈으로의 국소 전달과 연관된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충분히 낮은 속도로 충분히 큰 노즐로부터 유체를 방출한다.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변동될 수 있지만, 일부 경우들에서,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약물 패키지에 적용되는 오실레이션 힘(oscillation force)을 증폭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한 단부에서 제약되고 다른 단부에 포지셔닝되는 영구 자석을 갖는 캔틸레버 빔(cantilever beam)을 포함하며, 여기서 약물 패키지는 예컨대, 도면들에서 예시되고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약된 단부 가까이 부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구멍으로부터 방출되는 스트림의 형성을 위해 요구되는 최소 유체 속도는 구멍의 직경에 반비례한다(N R Lin dBlad 및 J M Schneider 1965 J. Sci. Instrum. 42 635 Production of uniform-sized liquid droplet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약 0.2mm의 노즐 직경은 미국 특허 번호들: 제5,630,793호; 제9,087,145호 및 제8,684,98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안과 전달 시스템들에 설명된 것보다 적어도 2배 더 크다. 눈의 표면에 영향을 미치는 유체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더 큰 직경의 노즐이 선택되었다. 더 낮은 속도에서 더 큰 직경의 스트림은 타겟 표면 상에 더 낮은 압력(단위 영역 당 힘)을 가하며, 이는 환자들에게 더 편안할 수 있다.
이러한 큰 노즐로부터 유체를 분배하는 데 요구되는 최소 오실레이션 진폭은 비교적 높은데, 약 3μm이다. 이러한 진폭은 예컨대, 20,000 Hz 초과의 초음파 주파수에서 생성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이는 더 낮은 주파수, 예컨대, 3,000 Hz 미만 또는 심지어 1,000 Hz에서 쉽게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디오 주파수 범위에서 동작하지만 일부 경우들에서, 30 dB 이하인 낮은 가청 톤을 생성하는 트랜스듀서 이를테면, 전자기 트랜스듀서(즉, 액추에이터)를 설명한다. 동시에, 디바이스는 눈으로의 국소 전달과 연관된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충분히 낮은 속도로 충분히 큰 노즐로부터 유체를 방출한다. 또한, 구멍의 큰 직경으로 인해, 디바이스는 더 짧은 시간 기간에 요구된 볼륨을 전달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본 발명의 디바이스들은 500 msec 내에 이를테면, 250 msec 내에 약 5-10 μl를 전달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구멍의 더 큰 직경으로 인해, 디바이스는 예컨대, 1-20 센티포이즈 범위의 점성 유체를 분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구멍의 직경은 일부 경우들에서 200 μm 이상이다. 위에서 인용된 논문을 다시 참조하면, 제트(jet)를 형성하는 데 요구되는 최소 유출 속도는 노즐 직경에 반비례한다. 최소 속도는 아래 방정식에서 정의된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V는 최소 유출 속도이고,
T는 25°C 에서 물의 표면 장력(T = 72 dyne/cm)이고,
D는 노즐 직경이고,
p는 물의 밀도이다(p = 1 gm/cm3).
따라서, 예컨대, 미국 특허 번호들: 제5,630,793호, 제9,087,145호 및 제8,684,980호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노즐 직경이 100 m일 때, 방정식 1에 기초한 최저 가능 속도는 약 1.82 m/sec이다. 그러나 노즐 직경이 200 μm일 때, 속도는 1.29 m/sec이고, 이에 따라 눈의 표면에 대한 유체의 충격 압력은 (1) 감소된 속도 및 (2) 제트의 4배 더 큰 영역으로 인해 비례적으로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00 내지 도 300에서 예시된다. 본 발명의 전자기 분배 디바이스(100)를 예시하는 도 100을 참조한다. 디바이스(100)는 분배될 유체를 포함하는 앰플(103)을 포함하고, 유체가 앰플의 하위 부분에 있는 구멍(116)을 통해 분배되도록 앰플을 오실레이팅하게 구성된 전자기 트랜스듀서(113)를 더 포함한다.
트랜스듀서(113)는 베이스 플레이트(101), 전자석(115) 및 영구 자석(109)을 포함한다. 전자석(115)은 강자성 코어 핀(110), 및 코어 핀 주위에 감기는 코일(108)을 포함한다. 영구 자석(109)은 전자석 코어 핀(110)에 아주 근접하게 포지셔닝되고, 자유 단부와 제약된 단부를 갖는 가요성 캔틸레버 빔(106)에 의해 매달려진다. 캔틸레버 빔(106)의 치수들은 변동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일부 경우들에서, 캔틸레버 빔은 4 내지 6 mm(예컨대, 5 mm)를 포함하는 2 내지 8 mm 이를테면, 3 내지 7 mm 범위의 폭, 및 16 내지 18 mm(예컨대, 17 mm)를 포함하는 15 내지 25 mm 이를테면, 15 내지 20 mm 범위의 길이를 가지며, 여기서, 일부 경우들에서, 빔의 치수들은 오실레이팅 진폭과 함께 선택되어, 예컨대, 30 dB 이하와 같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부드러운 사운드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코일(108)에 의해 생성된 교류 자기장은 영구 자석(109) 및 영구 자석을 지지하는 가요성 캔틸레버 빔(106)의 자기력 및 기계적 오실레이션들을 생성한다. 캔틸레버 빔은 캔틸레버 빔을 지지하고 캔틸레버 빔의 오실레이션을 앰플에 전달하는 앵커(107)를 포함한다. 제약된 단부 및 자유 단부를 갖는 캔틸레버 빔(106)은 전자기 트랜스듀서가 약물 패키지를 오실레이팅하기에 충분한 힘을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자석은 자유 단부에 부착되지만, 약물 패키지는 제약된 단부에 가깝게, 예컨대, 1 mm 이하를 포함하여 5 mm 이하 이를테면, 2mm 이하 내에 부착된다. 따라서, 약물 패키지에 적용되는 오실레이션 힘은 전자기 트랜스듀서가 약물 패키지 상에 충분한 힘을 부여할 수 있게 하는 캔틸레버 구성에 의해 제공되는 기계적 이점에 의해 증폭된다. 또한, 자유 단부에서 자석의 고진폭 오실레이션은 (자기장에 의해) 회로에 피드백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이러한 구성은 회로가 그의 고유 주파수에서 동작하게 한다. 이 구성은 매우 경제적이지만 눈의 표면에 약물을 전달하는 효과적인 접근법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디바이스는, 베이스 플레이트(101)로부터 연장되고 캔틸레버 빔(106)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는 스탠드오프 지지 핀(102)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구성들에서, 오실레이터 대부분은 그의 고유 주파수에서 동작하지 않는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영구 자석(109)은 캔틸레버 빔 지지부(102)로부터 (d2)의 거리에서 캔틸레버 빔의 자유 단부에 포지셔닝되는 반면, 앰플 지지 앵커(107)는 빔 지지부(102)로부터 (d1)의 거리에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계적 이점이 획득되고 앰플에 인가된 힘은 영구 자석에 인가된 힘에 대해 거리들 d2/d1의 비(ratio)로 증폭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앰플은 1 mL의 수용액을 함유하고 약 1 gm의 질량을 갖는다. 따라서, 약 20 내지 60 mm의 진폭에서 앰플을 오실레이팅하는 데 요구되는 힘은 약 0.2 N 내지 1 N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거리 d2는 13.5 mm이고 거리 d1은 1.35 mm이다. 비 d2/d1은 약 10이고 오실레이션 진폭은 입력 전압에 의존하여 20 μm 내지 60 μm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분배 구멍의 직경은 200 내지 350 μm 범위에 있고, 그러한 큰 구멍은 높은 오실레이션 진폭에서만 분배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강자성 코어(110), 베이스 플레이트(101) 및 지지 핀(102)은 연자성 재료 이를테면, 4750 합금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낮은 교정력 및 최소 자기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다른 합금들이 사용될 수 있다.
앰플(103)은 분배 노즐(116)이 캔틸레버 빔(106)의 오실레이션 진폭과 정렬되도록 배향된다. 오실레이션들은 앰플 내부의 압력 변동을 생성하고 유체는 화살표(105)로 예시된 바와 같이 노즐(116)로부터 배출된다.
영구 자석(109)은 희토류 자성 재료 이를테면, 네오디뮴 N35, N38, N42, 사마륨 코발트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비-희토류 합금 이를테면, 철, 니켈 및 코발트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200을 참조하면, 이 도면은 자기 트랜스듀서(100)를 도시하고, 배터리 셀과 같은 DC 소스로부터 교류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전기 회로의 도면을 더 포함한다. 전자기 트랜스듀서(100)는 영구 자석(109)을 오실레이팅하는 자기력을 생성하기 위해 코일(108)에 공급되는 교류를 생성하는 회로(100A)를 포함한다. 코일(108)은 2개의 별개의 자기 코일들을 정의하는데, 제1 코일은 1차 코일(드라이버 코일로서 지칭될 수 있음)(108A)이고 제2 코일은 검출 코일(센서 코일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음)(108B)이다. 코일들(108A 및 108B) 둘 모두는 철심(110) 주위에 감긴다. DC 전압이 1차 코일(108A)에 연결될 때, 전류가 흐르고 발현되는 전자기력이 영구 자석(109)을 철심(110)쪽으로 풀링(pulling)한다. 1차 코일(108A)의 전류가 일시적(transient)이고 시간-의존적 전자기 유도(이는 검출 코일(108B)에서 EMF(electromotive force) 및 전류를 유도함)를 생성하는 동시에, 전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에 공급되며, 이는 전류를 접지(130)로 풀링함으로써 1차 코일(108A)로부터 전류를 스위치 오프한다. 그 결과, 자기력이 0으로 리턴하고 자석(109)은 그의 보통 포지션으로 리턴한다. 후속적으로, 1차 코일(108A)이 재차 턴 온되고 자석을 역으로 풀링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교류 자기장은 DC 배터리로부터의 DC 입력 전압을 사용하여 생성된다. 트랜지스터(Tr)는 Fairchild 모델 2N3904와 같은 NPN 범용 증폭기이다. 회로는 전압을 조절하는 제너 다이오드(D1)를 더 포함한다. 자기 코일들(108A 및 108B)은 1-10 mH 범위에 있는 인덕턴스를 가지며 자기장을 생성하여 자석(109)을 오실레이팅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자석(109)의 질량은 관성 부하를 감소시키고 오실레이션 진폭을 증가시키기 위해 작다. 일 실시예에서, 영구 자석(109)의 질량은 0.075 gm이다. 빔(106)은 0.2 mm의 두께, 5 mm의 폭, 13.5 mm의 자유 길이를 갖는 스테인리스-강 합금(304)으로 만들어진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빔은 약 523 Hz의 고유 주파수를 갖는 반면, 자기 오실레이터의 구동 주파수는 약 1100 Hz이다.
도 200은 동축 1차(즉, 드라이버) 및 검출(즉, 센서) 코일들에 기초한 오실레이터를 예시하지만, 대안적인 구성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경우들에서, 1차 또는 구동 코일만이 존재하고 검출 또는 센서 코일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1차 코일에서의 전류의 방향은 원하는 오실레이션 주파수를 획득하기 위해 역전될 수 있다. 즉, 전류는 원하는 오실레이션을 획득하기 위해 원하는 주파수에서 양으로부터 음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1차 또는 구동 코일에서의 전류의 방향은 임의의 편리한 접근법을 사용하여 예컨대, 주파수 생성기, 오실레터리,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스위칭될 수 있으며, 이는 예컨대, 사각 브리지 회로 등으로 1차 또는 구동 코일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도 300은 앰플(103) 및 전자기 트랜스듀서(113)를 개별적으로 도시하는 분배 디바이스(100)의 분해된 투시도(exploded prospective view)를 예시한다. 앰플(103)은 꽉끼는 억지끼워 맞춤(tight interference fit)으로 앵커 부재(107)에 삽입되는 핀 부재(301)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랜스듀서에 의해 생성된 오실레이션들은 앰플로 전달된다.
원하는 경우, 유체 전달 디바이스들은 예컨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정렬 시스템
본원에서 설명된 유체 전달 디바이스의 실시예들은 또한, 유체 패키지의 하나 이상의 구멍들을 통해 배출된 유체를 타겟 위치 이를테면, (예컨대,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타겟 안구 위치와 정렬하도록 구성된 이미지-기반 정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정렬 시스템들은 유체가 투여될 대상과 같은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구멍들을 타겟 위치와 정렬할 수 있게 하여서, 디바이스의 작동 시에 배출된 유체가 타겟 위치로 전달되도록 하는 시스템들이다. 정렬 시스템은,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한 정렬 후, 예컨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프로토콜에 의해 디바이스로부터 유체를 자가-투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요약된 바와 같이, 정렬 시스템들은 이미지-기반 정렬 시스템들이다. "이미지-기반" 정렬 시스템이라 함은, 타겟 위치와의 전달 디바이스의 정렬이 사용자, 예컨대, 자가-투여 프로토콜 동안 유체가 전달되는 대상에 의한 이미지의 시각화, 예컨대, 사진 또는 반사상(reflection)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렌티큘러 프린트 이미지-기반 정렬 시스템
일부 경우들에서, 이미지-기반 정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렌티큘러 프린트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렌티큘러 프린트는 하나 이상의 프린트된 이미지들 및 이미지들을 오버레이하는 선형 렌즈들 또는 포커싱 엘리먼트들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들 또는 포커싱 엘리먼트들의 광학 특성으로 인해, 프린트된 이미지의 일부는 특정 각도로부터만 바람직한 합성 가시 이미지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전달 디바이스 및 렌티큘러 프린트는,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가시적일 때 전달 디바이스로부터의 스트림이 눈의 표면과 같은 타겟 위치에 도달하도록 포지셔닝된다. 정렬 시스템은 한 쌍의 선형 렌즈들이 제2 쌍의 선형 렌즈들에 대해 수직으로 포지셔닝된 렌티큘러 프린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눈의 광학 축 또는 시선에 수직인 2개의 축들에 대해 회전 또는 각도 정렬이 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정렬 시스템은 두 쌍들의 렌티큘러 프린트들을 포함한다. 한 쌍의 프린트들은 수직 선형 렌즈들의 어레이를 갖고 제2 쌍의 프린트들은 수평 선형 렌즈의 어레이를 갖는다. 수직 쌍의 프린트들은 서로 미리 결정된 거리에 배치되고 수평 쌍의 프린트들은 서로 미리 결정된 거리에 포지셔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하는 이미지는 특정 거리로부터만 그리고 한 배향에서만 사용자에게 가시적이다. 분배 디바이스 및 렌티큘러 프린트들은, 원하는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가시적일 때 분배 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된 스트림이 타겟 위치, 예컨대, 타겟 안구 위치에 도달하도록 서로에 대해 배치 관계의 포지션에 있을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원하는 이미지는, 전달 디바이스가 타겟 위치로부터 약 50 내지 100 mm에 배치될 때 가시적이다. 하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포커싱 엘리먼트 또는 렌즈는 포커싱 엘리먼트 또는 렌즈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며, 이미지-형성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들에 대해 미리 결정된 거리 및 배향으로부터만 특정 원하는 패턴 또는 이미지를 집합적으로 형성하도록 설계된 패턴 또는 어레이를 포함하거나 이로부터 형성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임의의 편리한 렌티큘러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렌티큘러 시스템들의 예들은 미국 특허 번호 제6,065,623호, 제8,144,399호뿐만 아니라 국제 특허 공보 번호 WO1994020875에 설명된 것들을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하며, 이 문헌들의 개시내용들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렌즈 어레이들의 시스템들은 공개된 미국 특허 공보 번호 제2015/0276994호, 제2015/0256730호, 제2015/0036219호 및 제2015/0035180호에 설명되며, 이 문헌들의 개시내용들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반사 표면 이미지-기반 정렬 시스템
본 발명의 유체 전달 디바이스들에 존재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이미지-기반 정렬 시스템은 반사 표면(즉, 거울) 이미지-기반 정렬 시스템이며, 여기서 이러한 시스템들은 하나 이상의 반사 표면들 또는 거울들을 포함하고, 일부 경우들에서, 단일 반사 표면 또는 거울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반사 표면은 초점을 정의하는, 즉 오목 거울을 포함하는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거울을 볼 때 눈의 가장 가시적인 부분들은 홍채, 결막, (결막을 통해) 공막 및 각막이다. 거울이 안구 조직으로부터 초점 거리(F)에 배치될 때 오목한 구면 거울의 초점면에 있는 그 안구 조직이 인 포커스로 나타날 것이다. 초점(P)은 초점면과 거울의 광학 축의 교차점이다. 타겟팅된 구역에 유체를 전달하는 하나의 방법은 일반적으로, 반사된 표면에서 눈의 상이 대상에게 포커싱될 때까지 눈의 표면 상에 로케이팅된 타겟팅된 구역과 근접하게 만곡된 형상을 갖는 반사 표면을 포지셔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반사 표면에 의해 정의된 초점면은 반사가 포커싱되게 나타날 때의 눈과 일치한다. 일단 포지셔닝되면, 방법은 유체가 눈 상의 타겟 위치로 전달되도록 하나 이상의 구멍들로부터 유체를 방출하기 위해 유체 전달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반사 표면은 자신을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을 정의한다. 이러한 시스템들에서, 시스템은 또한 하나 이상의 개구들과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들로부터 유체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유체 전달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개구들을 통해 그리고 초점을 향해 또는 초점 근처에 유체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유체 전달 조립체는 유체가 초점면을 향해 또는 초점면 근처에 그리고 타겟팅된 구역 상으로 지향되도록 반사 표면을 통해 정의된 하나 이상의 개구들과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들로부터 유체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변동에서, 대상의 눈 상의 타겟팅된 구역에 대해 유체 전달 조립체를 정렬하기 위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반사 표면을 갖는 오목 거울 ― 거울은 초점면 및 유체 전달을 위해 거울을 통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을 정의함 ― , 및 하나 이상의 개구들을 통해 그리고 초점면을 향해 또는 초점면 근처에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나 이상의 개구들과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들로부터 유체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유체 전달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 거울 대신에, 반사 이미징 조립체는 예컨대, 위에서 그리고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정렬을 제공하는, 적합한 렌즈에 커플링된 평면 거울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표면이 만곡되든 편평하든, 정렬 시스템은 자가-투여 프로토콜에서, 타겟 위치가 안구 표면인 경우, 사용자가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정렬할 때 타겟 위치를 포함하는 눈의 이미지에 포커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타겟 안구 위치를 포함하는 동일한 눈은 예컨대, 정렬 시스템의 거울에 눈을 포커싱 및 센터링함으로써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정렬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다.
이러한 이미지-기반 정렬 시스템의 반사 표면의 치수들은 원하는 대로 변동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반사 표면은 10 내지 30 mm 범위의 최장 치수, 예컨대, 직경을 갖는다. 일부 경우들에서, 치수들은 대상이 거울의 타겟 안구 위치를 포함하는 전체 눈을 보지 않도록 하는 그러한 치수들이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최장 치수, 예컨대, 직경은 10 mm, 11 mm, 12 mm, 13 mm, 14 mm 또는 15 mm와 같이 10 내지 15 m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하우징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체 전달 디바이스들은 예컨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이 연관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임의의 편리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일부 경우들에서, 50 내지 100 mm 이를테면, 70 내지 85 mm 범위의 최장 치수를 갖는다. 하우징은 임의의 편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관심 형상들은 디바이스의 준비된 취급 및 사용을 허용하는 형상들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하우징은 대략 직사각형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하우징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와 같은 임의의 편리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디바이스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이 임의의 편리한 방식으로 하우징 컴포넌트와 연관될 수 있지만, 일부 경우들에서, 유체 패키지 및 액추에이터 컴포넌트들은 하우징 내부에 존재하고, 이미지-기반 정렬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이미지-기반 정렬 시스템이 사용 동안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우징의 표면과 연관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하우징은 예컨대, 디바이스가 사용중이지 않을 때 구멍들 및/또는 정렬 시스템을 커버하는 이동 가능한 커버를 포함한다. 커버는 폐쇄 및 개방 포지션들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개방 포지션으로의 커버의 이동 시에, 디바이스는 그것이 유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구성으로 트랜지션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개방 포지션으로의 커버의 움직임은 디바이스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트랜지션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개방 포지션으로의 커버의 움직임은 액추에이터 컴포넌트가 활성화되게 할 수 있다.
조명원
일부 경우들에서,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조명원들을 포함한다. 임의의 편리한 조명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러한 조명원들은 LED(light emitting diode)들 등을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한다. 존재할 때, 조명원은 다양한 상이한 구성들을 취할 수 있다. 예컨대, 조명원은 정렬 시스템과 같은 디바이스의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와 구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명원은 디바이스의 다른 컴포넌트와 연관될 수 있다. 예컨대, 조명원은 디바이스의 정렬 시스템과 완전히 결합되지 않는 경우,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하는 것과 같이 디바이스의 정렬 시스템과 연관될 수 있다. 존재할 때, 조명원은 다양한 상이한 기능들, 이를테면, 정렬 시스템의 반사 표면의 타겟 위치를 조명하는 것, 디바이스가 타겟 위치와 정렬됨을 표시하는 것, 디바이스가 타겟 위치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음을 표시하는 것, 디바이스가 유체를 전달할 준비가 되었음을 표시하는 것, 유체 패키지 내의 유체의 양(예컨대, 가득참, 부분적으로 가득참, 텅 빔)을 표시하는 것 등을 수행한다.
거리 센서
일부 경우들에서,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거리 센서들을 포함한다. 거리 센서는 디바이스와 타겟 위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컴포넌트이다. 임의의 편리한 거리 센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러한 센서들은 IR(infra-red) 센서들, 레이더(radar) 센서들 등을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한다. 디바이스가 거리 센서를 포함하는 일부 경우들에서, 디바이스와 타겟 위치 사이의 결정된 거리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있을 때, 디바이스는 추가로, 청각 또는 시각 신호와 같은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가 거리 센서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타겟 위치의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있을 때, 디바이스는 예컨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명원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와 타겟 위치 사이의 결정된 거리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있을 때 활성화되도록 구성된다. 위의 실시예들에서, 미리 결정된 범위는 변동될 수 있고, 일부 경우들에서 1 mm 내지 250 mm 이를테면, 10 mm 내지 100 mm에 있다.
도 40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전달 디바이스의 도면을 제공한다. 도 4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400)는 슬라이딩 커버(420)를 갖는 하우징(410)을 포함한다. 예컨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유체 전달 패키지 및 트랜스듀서는 하우징 내에 존재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400)는 하우징의 상단의 액추에이터 버튼(430)을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또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오목-거울 이미지-기반 정렬 시스템(440)을 포함하며, 여기서 오목 거울(450)은 구멍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유체 전달 동안 유동할 수 있는 개구(460)를 포함한다. 원형 LED(470)가 오목 거울(450)을 둘러싸거나 그와 경계를 이룬다. IR 센서(480)가 또한 도시된다.
위의 컴포넌트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관한 추가 세부사항들은, 2016년 1월 11일 출원되고 미국 특허 공보 제2016/0199225호로서 공개된 미국 특허 출원 제14/992,975호; 2016년 4월 8일에 출원되고 미국 공보 제2016/0296367호로서 공개된 미국 특허 출원 제15/094,849호; 2018년 1월 18일에 출원되고 미국 공보 제2018/0207030호로서 공개된 미국 특허 출원 제15/874,377호; 2018년 12월 7일에 출원된 국제 출원 일련 번호 PCT/US2018/064529; 2018년 4월 12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번호 제62/656,552호; 및 2018년 7월 3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번호 제62/693,818호에서 제공되며, 이 출원들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방법들
위에서 요약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안과제의 액제를 대상의 눈의 국소 안구 위치에 투여하는 방법들을 포함한다. 국소 안구 위치라 함은 눈의 외부 표면의 구역(즉 영역 또는 도메인) 이를테면, 각막의 구역, 결막의 구역, 각막 및 결막 컴포넌트들 둘 모두를 포함하는 구역 등을 의미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국소 안구 위치는 눈의 광학 축에 대해 오프셋된 영역 또는 구역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국소 안구 위치는 안구 결막 또는 안검판선 결막 상에 또는 결막 원개에 있다. 다시 말해서, 국소 안구 위치는 동공의 중심 또는 홍채의 중심으로부터 변위된 위치이다. 오프셋/변위의 거리의 크기는 변동될 수 있지만, 일부 경우들에서, 크기는 5 내지 10 mm를 포함해서, 1 내지 30 mm, 이를테면, 2 내지 20 mm, 예컨대, 5 내지 15 mm 범위에 있다. 타겟 국소 안구 위치는 크기가 변동될 수 있지만, 일부 경우들에서, 타겟 국소 안구 구역의 크기는 2.5 내지 12, 이를테면, 3 내지 9 mm2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양상들은 국소 안구 위치의 눈물 막에 의해 완전히 수용될 수 있는 안과제의 액제의 도즈 또는 볼륨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안구 위치의 눈물 막은 국소 안구 위치와 연관된 막이다. 따라서, 눈물 막은, 예컨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국소 안구 위치가 로케이팅되는 눈 표면 상에 존재하는 눈물 액체의 막 또는 층이다. 액제의 전달된 볼륨은 국소 안구 위치의 눈물 막에 의해 완전히 수용될 수 있는 볼륨이기 때문에, 전달된 볼륨은 또한 국소 안구 위치를 포함하는 안구 표면에 의해 완전히 수용될 수 있는 볼륨일 수 있다. "안구 표면에 의해 완전히 수용되는"이라 함은, 전달 시에 전달된 볼륨은, 예컨대, 과잉 액체가 눈물들의 형태로 눈의 표면으로부터 그리고 눈꺼풀 위로 전혀 흘러나오지 않고, 그것이 투여되는 눈의 표면 상에 유지될 수 있는 볼륨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주어진 전달된 볼륨의 볼륨은 변동될 수 있지만, 일부 경우들에서, 볼륨은 5 내지 10 ㎕를 포함해서, 1 내지 15 ㎕, 이를테면, 3 내지 10 ㎕의 범위에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안구 표면에 투여되는 액제의 볼륨은 깜박임 반사작용을 초래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체의 볼륨의 전달은 반사적인 눈물, 안검 경련/깜박임을 초래하지 않으며, 이는 실시예들에서, 정밀한 알려진 양의 활성제가 국소 위치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이점은, 안구 표면에 정밀하게 투여되는 액제의 볼륨이 안구 표면 상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알려진 양의 안과제가 국소 안구 위치로 전달된다는 것이다. 위에서 검토된 바와 같이, 액제의 볼륨들은 액제의 반사적인 눈물들 및 볼륨 손실들을 제거하진 않더라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주어진 액제 투여에서, 투여된 유체 분취량(fluid aliquot)은 정확히 안구 표면 상에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들은 주어진 안과제의 정확한 알려진 양의 질량의 전달을 허용한다. 즉, 반사적임 깜박임 또는 눈물을 통한 손실, (예컨대, 미스트들 또는 에어로졸들의 전달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 도즈가 안구 표면에 도달하지 못함으로써의 손실 등 중 하나 이상으로 인해 정밀한 알려진 양이 전달되거나, 예측되거나 또는 측정될 수 없는 다른 투여 프로토콜들과 대조적으로, 정밀한 양의 안과제가 안구 표면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방법들에서, 안구 표면에 전달되는 안과제의 양(질량)은 투여된 액제에서 안과제의 농도와 투여된 볼륨을 곱한 것과 동일한 질량이다. 예컨대, 주어진 투여된 볼륨이 10 마이크로리터의 1 % 안과제 용액(10 mg/mL)인 경우, 안구 표면에 전달되는 안과제의 알려진 질량은 0.1 mg이다.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라 4 마이크로리터의 2 % 안과제 용액(20 mg/mL)을 전달할 때, 안구 표면에 전달되는 안과제의 알려진 질량은 0.08 mg이다. 국소 안구 표면에 전달되는 안과제의 질량을 알 수 있는 이러한 능력은 예컨대, 종래의 점안액 프로토콜들 또는 에어로졸/미스트 전달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국소 안구 위치들에 활성제들을 전달하는 다른 방법들과 비교할 때 뚜렷한 이점들을 표현한다. 예컨대, 40 마이크로리터의 볼륨을 갖는 종래의 점안액의 경우에, (1) 안구 표면은 그의 표면 상에 40 마이크로리터를 보유할 수 없고, (2) 점안액의 많은 부분이 눈꺼풀 가장자리 위로 넘치고, 티슈로 닦아내지고, (3) 눈물 기관(lacrimal system)을 통해 부가적인 방울 볼륨이 손실되고, (4) 큰 방울 볼륨의 결과로서 반사적인 눈물이 뒤따르고 약물 농도의 희석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실제로 얼마나 많은 활성제 또는 약물이 안구 표면 상에 전달되고 유지되는지 정확히 알지 못한다. 미스트/에어로졸 포멧으로 제제를 전달하는 디바이스들과 관련하여, 분배된 제제 전부가 주위의 눈주위 표면들이 아니라 각막 또는 안구 표면 상에 착지한다는 것이 보장되진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국소 안구 위치로 전달되는 주어진 안과 제제의 질량은 작용제의 성질, 치료될 조건, 대상의 연령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고려사항들에 의존하여 변동될 수 있지만, 일부 경우들에서, 전달된 질량은 0.00001 mg 내지 10 mg, 이를테면, 0.00005 mg 내지 5 mg(0.01 내지 1 mg 포함함), 이를테면, 0.05 내지 0.5 mg(0.75 내지 0.15 mg를 포함함)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양상들은 국소 안구 위치에 마이크로-도즈의 안과제를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전달된 마이크로-도즈는 타겟 국소 안구 위치의 눈물 막의 용량을 초과하는 볼륨을 갖는 기준 도즈량에 비견 가능한 효능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볼륨 외에도, 기준 도즈량은 전달된 도즈량의 것과 다른 점에서 동일하다. 따라서, 기준 도즈량에서 활성제의 농도는 전달된 도즈량에서 활성제의 농도와 동일하다. 기준 도즈량의 볼륨은 전달된 도즈량의 볼륨을, 예컨대, 2-배 이상, 이를테면, 3-배 이상 초과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기준 도즈량은 25 내지 60 ㎕ 이를테면, 30 내지 50 ㎕ 범위의 볼륨을 갖는다. 일부 경우들에서, 기준 도즈량은 표준 점안기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되는 도즈량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마이크로-도즈들은, 예컨대, 적어도 감소된 부작용들로, 그리고 일부 경우들에서, 실질적인 부작용들, 예컨대, 부작용들에 대응하기 위해 그렇지 않으면 부가적인 치료제를 요구했을 그리고/또는 감소된 환자 순응성을 초래했을 부작용들 없이, 마이크로-도즈들이 투여되는 안구 조건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마이크로-도즈들의 투여에 의해 야기되는 임의의 부작용들의 크기가 감소되고 일부 경우들에서, 충분히 최소여서, 부작용들을 개선하기 위해 개입 예컨대, 부작용들을 개선하는 부가적인 활성제의 투여가 필요하지 않다. 일부 경우들에서, 대상은 마이크로-도즈의 투여 후에 어떠한 부작용들도 경험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마이크로-도즈들은 이들이 실질적인 부작용들 없이 투여되는 안과 조건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일부 경우들에서, 안과제는 마이크로-도즈에 존재하는 활성제가 유일하여서, 마이크로-도즈는 그것이 투여되는 조건을 치료하는 안과제의 임의의 부작용들을 개선하는 작용제들을 포함하는 어떠한 다른 활성제들도 포함하지 않는다. 예컨대, 필로카르핀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마이크로-도즈로 투여되는 경우, 마이크로-도즈는 필로카르핀의 부작용들을 개선하는 어떠한 작용제들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여기서 이러한 작용제들은 옥시메타졸린, 나파졸린, 테트라하이드로졸린 및 알파 작용물질(alpha agonist)(예컨대, 브리모니딘) 등과 같은 혈관수축제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정밀한 알려진 양들을 전달하는 능력은 다양한 상이한 요법들을 사용하여 동일한 도즈량 또는 양의 활성제의 전달을 허용하며("요법(regimen)"이라는 용어는 도즈들 사이의 시간, 치료의 지속기간 및 매회 투여되는 양을 포함해서, 활성제의 도즈들의 스케줄을 지칭하기 위해 그의 통상적인 의미로 사용됨), 여기서 주어진 대상에 대해, 단일 요법이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주어진 치료 과정에 걸쳐 다수의 상이한 요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은 다수의 상이한 요법들에 의해 전달되는 동일한 도즈량의 활성제를 제공한다. 예컨대, 주어진 활성제 농도를 갖는 약물 제제의 주어진 볼륨이 투여되는 제1 마이크로-도즈에 대해, 약물 제제의 볼륨 및 제제에서 활성제의 농도가 변동되어 도즈량이 동일하지만 상이한 요법으로 투여하는 마이크로-도즈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마이크로-도즈와 비교하면, API의 마이크로그램, 밀리그램 또는 그램의 무게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투여되는 활성제의 정밀한 도즈가 제1 및 제2 요법들 간에 동일한 경우조차도, 전달되는 활성제 제제의 볼륨은 증가될 수 있고, 전달된 유체에서 활성제의 농도는 제2 요법의 내약성 및 효능이 제1 요법의 것보다 우수한 정도로 감소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호스트", "대상", "개인" 및 "환자"라는 용어들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며, 개시된 방법들에 따라 이러한 치료가 필요한 임의의 포유동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포유동물들은 예컨대, 인간들, 양과 동물들, 소과 동물들, 말과 동물들, 돼지과 동물들, 개과 동물들, 고양이과 동물들, 비-인간 영장류, 쥐과 동물들(mice 및 rats)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대상은 비-인간 포유동물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대상은 농장 동물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대상은 반려 동물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대상은 포유류이다. 특정한 경우들에서, 대상은 인간이다. 다른 대상들은 가정용 반려동물(예컨대, 개들 및 고양이들), 가축(예컨대, 소들, 돼지들, 염소들, 말들 등), 설치류(예컨대, 동물 질환 모델들에서와 같이, 예컨대, 쥐들, 기니피그들 및 큰쥐들)뿐만 아니라 비-인간 영장류(예컨대, 침팬지들 및 원숭이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들의 일부 양상들에서, 방법은 주어진 조건, 예컨대, 대상의 질환 조건의 효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이러한 경우들에서, 앞선 시간에, 예컨대, 2주 전, 1개월 전, 2개월 전, 3개월 전, 6개월 전, 1년 전, 2년 전, 5년 전 또는 10년 전 또는 그 이상 전에 동일한 개인에 대해 수행된 결과들에 대해 결과들을 비교함으로써 결정이 내려진다. 평가는 치료중인 조건의 성질에 의존하여 변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방법들은 주어진 조건을 갖는 개인을 진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유틸리티
본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은 치료 및 진단/검사 애플리케이션들 모두를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사용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치료하는" 또는 "치료"라는 용어들은 대상 또는 환자, 이를테면, 포유 동물(예컨대, 인간)의 질환 또는 질병(medical condition) 치료하는 것 또는 그의 치료를 의미하며, 여기서 이 용어는, (a) 대상의 예방적 치료와 같이 질환 또는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 (b) 환자의 질환 또는 질병을 제거 또는 그의 퇴행을 야기하는 것과 같이 질환 또는 질병을 개선하는 것; (c) 예컨대, 환자의 질환 또는 질병의 발달을 늦추거나 저지함으로써, 질환 또는 질병을 억제하는 것; 또는 (d) 환자의 질환 또는 질병의 증상을 완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들/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치료될 수 있는 조건의 예는 녹내장이다. 녹내장은 시신경 손상으로 인한 점진적인 시각 필드 손실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들의 집합이다. 이는 60세 이상 개인들 중 1-2 %에게 영향을 미치는, 미국에서 실명의 주된 원인이다. 녹내장의 발달과 연관된 많은 위험 팩터들(연령, 인종, 근시, 가족력 및 부상)이 존재하지만, 안구 고혈압으로서 또한 알려진 상승된 안내압은 성공적으로 조작되고 녹내장성 시신경 병의 감소와 상관되는 유일한 위험 팩터이다. 눈 압력의 상승과 연관된 녹내장에서, 유출에 대한 내성의 소스는 섬유주(trabecular meshwork)에 있다. 섬유주의 조직은 "수액(aqueous)"이 쉘렘관(Schlemm's canal)에 진입할 수 있게 하며, 이는 그 후, 쉘렘관의 후부 벽의 수액 수집기 채널들 내로 그리고 그 후 방수 정맥 내로 흘러들어간다. 수액 또는 수양액은 눈 전방의 각막과 렌즈 사이의 구역을 충전하는 투명 액체이다. 수양액은 렌즈 주위의 섬모체에 의해 지속적으로 분비되고, 따라서 섬모체로부터 눈의 전방 챔버로 수양액의 연속적 유동이 존재한다. 눈의 압력은 수액의 생산과 섬유주(주 루트) 또는 포도막 공막 유출(부 루트)을 통한 그의 유출 사이의 균형에 의해 결정된다. 섬유주는 홍채의 외부 테두리와 각막의 내부 주변부 사이에 로케이팅된다. 쉘렘관에 인접한 섬유주의 일부(쉴렘관연접부 섬유주(juxtacanilicular meshwork))는 수액 유출에 대한 내성 대부분 야기한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이 녹내장을 치료하는데 있어 사용되는 실시예들에서, 전달된 도즈량은 안내압 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압 조절제"는 약물을 포함할 수 있고, 다음의 것들: 베타-차단제, 이를테면, (예컨대, 미국 특허 번호 제4,952,581호에 설명된 바와 같은) 티모롤, 베타솔롤, 레보부놀롤, 아테놀롤을 포함하는 항녹내장 약물들을 포함해서, 항-녹내장 약물(예컨대, 아드레날린성 작용제들, 아드레날린성 대항제들(베타 차단제들), 탄산탈수효소억제제(CAI들, 전신 및 국소), 치료제(들) 이를테면, 프로스타그란딘들, 프로스타그란딘 전구체들; (예컨대, 미국 특허 번호 제5,811,443호에 설명된 바와 같은) 아프라클로니딘 또는 브리모니딘과 같은 클로니딘 유도체들을 포함하는 아드레날린성 작용제들; 및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들 이를테면, 비마토프로스트, 트라보프로스트, 타플루프로스트, 라타노프로스트 등 또는 이들의 등가물들, 유도체들 또는 유사체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치료제는 녹내장에 대해 이미 시판되고 있으며, 이들의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조합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치료제들은 탄산탈수효소억제제들, 이를테면, 아세타졸아미드, 도르졸아미드, 브린졸아 미드, 메탄졸아미드, 디클로르페나미드, 디아목스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들 및 디바이스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다른 질환 조건들은 미국 공보 제2017/0344714호 및 미국 특허 제9,087,145호에서 설명된 것을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하며, 이 문헌들의 개시내용들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진단/검사 애플리케이션들은 예컨대, 눈의 망막 및 다른 깊은 구조들의 검사를 허용하기 위해 동공이 확장되는 산동(mydriasis)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에 사용될 수 있는 산동제들은, 아트로핀, 아트로핀 설페이트, 아트로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아트로핀 메틸브로마이드, 아트로핀 메틸니트레이트, 아트로핀 하이퍼듀릭(atropine hyperduric), 아트로핀 N-옥사이드, 페닐에프린, 페닐에프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히드록시암페타민, 히드록시암페타민 히드로브로마이드, 히드록시암페타민 히드로클로라이드, 히드록시암페타민 요오다이드, 시클로펜톨레이트, 시클로펜톨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호마트로핀, 호마트로핀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호마트로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호마트로핀 메틸브로마이드, 스코폴라민, 스코폴라민 하이드로브로마이드, 스코폴라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스코폴라민 메틸브로마이드, 스코폴라민 메틸니트레이트, 스코폴라민 N-옥사이드, 트로픽아미드, 트로픽아미드 히드로브로마이드 및 트로픽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한다.
키트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들과 같은 방법들의 실시예들을 실시하는 데 사용되는 키트들이 또한 제공된다. "키트(kit)"라는 용어는 패키징된 전달 디바이스 또는 그의 컴포넌트, 예컨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앰플을 지칭한다. 위에서 언급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키트들은 예컨대, 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키트의 컴포넌트들을 사용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명령들은 일반적으로 적합한 레코딩 매체에 레코딩된다. 예컨대, 명령들은 기판 이를테면, 종이 또는 플라스틱 등 상에 인쇄될 수 있다. 따라서, 명령들은 (즉, 패키징 또는 서브-패키징과 연관된) 키트 또는 그의 컴포넌트들 등의 용기의 라벨링 시에 패키지 삽입물로서 키트들에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명령들은 적합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예컨대, CD-ROM, 디스켓, HDD(Hard Disk Drive), 휴대용 플래시 드라이브 등 상에 존재하는 전자 저장 데이터 파일로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실제 명령들은 키트에 존재하지 않지만, 예컨대, 인터넷을 통해 원격 소스로부터 명령들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이 실시예의 예는 명령들을 볼 수 있고 그리고/또는 명령들이 다운로드될 수 있는 웹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키트이다. 명령들과 마찬가지로, 명령들을 획득하기 위한 이러한 수단은 적합한 기판 상에 레코딩된다.
첨부된 청구항들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내용은 또한 다음 조항들에 의해 정의된다:
1. 유체 전달 디바이스로서,
(a) 유체 패키지 ― 유체 패키지는,
(i) 안과 제제(ophthalmic formulation)를 포함하는 저장소; 및
(ii) 구멍을 포함함 ― ; 및
(b) 국소 안구 전달 동안 최소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속도로 구멍을 통해 저장소로부터 유체를 배출하기에 충분한 주파수로 오실레이팅하도록 구성된 전자기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2. 제1 조항에 있어서,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구멍을 통해 저장소로부터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유체에서 압력 변동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3. 제2 조항에 있어서,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유체 패키지의 외부 표면 상에서 유도된 변위에 의해 유체에서 압력 변동들을 생성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4. 제1 조항 내지 제3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가청 주파수에서 오실레이팅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5. 제4 조항에 있어서,
가청 주파수는 50 내지 5,000 Hz 범위에 있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6. 제5 조항에 있어서,
가청 주파수는 800 내지 1200 Hz 범위에 있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7. 제1 조항 내지 제6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2 내지 3 μm 범위의 오실레이션 진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8. 제7 조항에 있어서,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서로 근접하여 동작하는 전자석 및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9. 제8 조항에 있어서,
영구 자석은 캔틸레버 빔의 제1 구역에 포지셔닝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10. 제9 조항에 있어서,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캔틸레버 빔의 제2 구역에 포지셔닝되고 오실레터리 변위력(oscillatory displacement force)을 약물 패키지의 외부 표면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앵커를 더 포함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11. 제1 조항 내지 제10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재사용 가능한, 유체 전달 디바이스.
12. 제1 조항 내지 제11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유체 패키지는 저장소를 포함하는 확장된 구역 및 구멍을 포함하는 목부 구역을 포함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13. 제1 조항 내지 제12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구멍은 200 내지 350 μm 범위의 직경을 갖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14. 제1 조항 내지 제13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저장소는 다중-도즈 저장소인, 유체 전달 디바이스.
15. 제1 조항 내지 제14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유체 패키지는 일회용인, 유체 전달 디바이스.
16. 제1 조항 내지 제15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유체를 50 내지 150 cm/s 범위의 속도를 갖는 스트림으로서 구멍을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17. 제1 조항 내지 제16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구멍을 통해 배출된 유체를 타겟 안구 위치와 정렬시키도록 구성된 이미지-기반 정렬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18. 제17 조항에 있어서,
이미지-기반 정렬 시스템은 반사 표면을 포함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19. 제1 조항 내지 제18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유체 패키지 및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하우징에 존재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20. 제19 조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하우징을 따라 포지셔닝된 커버를 포함하고, 커버는 하나 이상의 구멍들이 노출되는 개방 포지션과 하나 이상의 구멍들이 노출되지 않은 폐쇄 포지션 사이에서 구성 가능한, 유체 전달 디바이스.
21. 제20 조항에 있어서,
커버는 슬라이딩 커버 구조를 포함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22. 제21 조항에 있어서,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커버가 개방 포지션에 있을 때 활성화되도록 구성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23. 제22 조항에 있어서,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커버가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24. 제1 조항 내지 제23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조명원을 포함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25. 제1 조항 내지 제24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와 타겟 위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거리 센서를 더 포함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26.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A)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타겟 부위와 정렬하는 단계 ― 유체 전달 디바이스는,
(1) 유체 패키지 ― 유체 패키지는,
(a) 안과 제제를 포함하는 저장소; 및
(b) 구멍을 포함함 ― ; 및
(2) 국소 안구 전달 동안 최소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속도로 구멍을 통해 저장소로부터 유체를 배출하기에 충분한 주파수로 오실레이팅하도록 구성된 전자기 트랜스듀서를 포함함 ― ; 및
(B) 국소 안구 전달 동안 최소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속도로 저장소로부터 구멍을 통해 타겟 위치로 유체를 배출하도록 전자기 트랜스듀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27. 제26 조항에 있어서,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구멍을 통해 저장소로부터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유체에서 압력 변동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28. 제27 조항에 있어서,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유체 패키지의 외부 표면 상에서 유도된 변위에 의해 유체에서 압력 변동들을 생성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29. 제26 조항 내지 제28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가청 주파수에서 오실레이팅하도록 구성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30. 제29 조항에 있어서,
가청 주파수는 50 내지 5,000 Hz 범위에 있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31. 제30 조항에 있어서,
가청 주파수는 800 내지 1200 Hz 범위에 있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32. 제26 조항 내지 제31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2 내지 3 μm 범위의 오실레이션 진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33. 제26 조항 내지 제32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서로 근접하여 동작하는 전자석 및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34. 제33 조항에 있어서,
영구 자석은 캔틸레버 빔의 제1 구역에 포지셔닝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35. 제34 조항에 있어서,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캔틸레버 빔의 제2 구역에 포지셔닝고 오실레터리 변위력(oscillatory displacement force)을 약물 패키지의 외부 표면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앵커를 더 포함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36. 제26 조항 내지 제35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재사용 가능한,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37. 제26 조항 내지 제36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유체 패키지는 저장소를 포함하는 확장된 구역 및 구멍을 포함하는 목부 구역을 포함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38. 제26 조항 내지 제37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구멍은 200 내지 350 μm 범위의 직경을 갖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39. 제26 조항 내지 제38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저장소는 다중-도즈 저장소인,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40. 제26 조항 내지 제39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유체 패키지는 일회용인,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41. 제26 조항 내지 제40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유체를 50 내지 150 m/s 범위의 속도를 갖는 스트림으로서 구멍을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42. 제26 조항 내지 제41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구멍을 통해 배출된 유체를 타겟 안구 위치와 정렬시키도록 구성된 이미지-기반 정렬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43. 제42 조항에 있어서,
이미지-기반 정렬 시스템은 반사 표면을 포함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44. 제26 조항 내지 제43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유체 패키지 및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하우징에 존재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45. 제44 조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하우징을 따라 포지셔닝된 커버를 포함하고, 커버는 하나 이상의 구멍들이 노출되는 개방 포지션과 하나 이상의 구멍들이 노출되지 않은 폐쇄 포지션 사이에서 구성 가능한,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46. 제45 조항에 있어서,
커버는 슬라이딩 커버 구조를 포함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47. 제46 조항에 있어서,
트랜스듀서는 커버가 개방 포지션에 있을 때 활성화되도록 구성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48. 제47 조항에 있어서,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커버가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49. 제26 조항 내지 제48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조명원을 포함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50. 제26 조항 내지 제49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와 타겟 위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거리 센서를 더 포함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51. 제26 조항 내지 제50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타겟 위치는 안구 위치인,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52. 제51 조항에 있어서,
안구 위치는 각막/결막 위치를 포함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53. 제52 조항에 있어서,
안구 위치는 2.5 내지 12 μm2 범위의 영역을 포함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54. 제26 조항 내지 제53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방법은 대상에 의해 수행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55. 제26 조항 내지 제54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방법은 대상의 안구 조건을 치료하는 방법인,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56. 제1 조항 내지 제25 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따른 유체 전달 디바이스 및 그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키트.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에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은 그러한 대체가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하지 않은 경우 다른 실시예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청구된 청구 대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구조들에 대해 다양한 다른 생략들, 추가들 및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모든 이러한 수정들 및 변경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청구 대상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특히 첨부된 청구항들(예컨대, 첨부된 청구항들의 본문들)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개방" 용어들로서 의도된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예컨대, "포함하는"이란 용어는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하는"으로서 해석되어야 하고, "갖는"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갖는"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며, "포함한다"라는 용어는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한다"로서 해석되어야 하는 식임). 도입된 청구항 기재사항의 특정 수가 의도된 경우, 그러한 의도가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기재될 것이며, 그러한 기재사항이 없는 경우, 그러한 의도가 없다는 것이 당업자들에 의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의 첨부된 청구항들은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 등의 도입 구문의 사용을 포함하여 청구항 기재사항들을 도입(introduce)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구문들의 사용이, 부정관사 "하나"("a" 또는 "an")에 의한 청구항 기재사항의 도입이, 그러한 단 하나의 기재사항을 포함하는 실시예들로, 그러한 도입된 청구항 기재사항을 포함하는 임의의 특정 청구항을 제한함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동일한 청구항이 도입 구문들 "하나 이상" 또는 "적어도 하나" 및 "하나"("a" 또는 "an")와 같은 부정관사(예컨대, "하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함)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하고; 청구항 기재사항들을 도입하는 데 사용되는 정관사들의 사용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입된 청구항 기재사항의 특정 수가 명시적으로 기재되는 경우에도, 당업자라면 그러한 기재가 적어도 기재된 수(예컨대, 다른 수식어들 없이 "2개의 기재사항"을 단순히 기재한 것은, 적어도 2개의 기재사항들 또는 둘 이상의 기재사항들을 의미함)를 의미하도록 해석되어야 함을 인지할 것이다. 또한, "A, B 및 C 등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관례(convention)가 사용되는 경우들에서, 일반적으로 그러한 구조는 당업자가 그 관례를 이해하는 의미로 의도된다(예컨대,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 만, B 만, C 만, A 및 B를 함께, A 및 C를 함께, B 및 C를 함께, 및/또는 A, B 및 C를 함께 등을 갖는 시스템을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할 것임). "A, B 또는 C 등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관례가 사용되는 경우들에서, 일반적으로 그러한 구조는 당업자가 그 관례를 이해하는 의미로 의도된다(예컨대,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 만, B 만, C 만, A 및 B를 함께, A 및 C를 함께, B 및 C를 함께, 및/또는 A, B 및 C를 함께 등을 갖는 시스템을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할 것임). 사실상 임의의 이접 접속어(disjunctive word) 및/또는 둘 이상의 대안적인 용어들을 제시하는 구문은, 그것이 상세한 설명에 있든, 청구항들에 있든 또는 도면들에 있든지 간에, 그 용어들 중의 하나, 그 용어들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용어들 둘 모두를 포함하는 가능성들을 고려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A 또는 B"라는 구문은 "A" 또는 "B" 또는 "A 및 B"의 가능성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특징들 또는 양상들이 마쿠시(Markush) 그룹들의 관점에서 설명되는 경우, 당업자들은 본 개시내용이 마쿠시 그룹의 임의의 개별 멤버 또는 멤버들의 서브그룹의 관점에서 그 정도로 또한 설명됨을 인지할 것이다.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임의의 그리고 모든 목적들을 위해, 이를테면, 쓰여진 설명을 제공하는 관점에서, 본원에서 개시된 모든 범위들은 또한 임의의 그리고 모든 가능한 서브-범위들 및 그의 서브-범위들의 조합들을 포함한다. 임의의 나열된 범위는 동일한 범위가 적어도 균등한 절반들, 3 분의 1들, 4 분의 1들, 5 분의 1들, 10 분의 1들 등으로 분해되는 것을 충분히 설명하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쉽게 인지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본원에서 논의된 각각의 범위는 하위 1/3, 중간 1/3 및 상위 1/3 등으로 쉽게 분해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또한 이해될 바와 같이, "~까지", "적어도", "보다 큰", "보다 작은" 등과 같은 모든 언어는, 인용된 수를 포함하고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서브-범위들로 후속적으로 분해될 수 있는 범위들을 지칭한다. 마지막으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범위는 각각의 개별 멤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예컨대, 1-3개의 물품들을 갖는 그룹은 1, 2 또는 3개의 물품들을 갖는 그룹들을 지칭한다. 유사하게, 1-5개의 물품들을 갖는 그룹은 1, 2, 3, 4 또는 5개의 물품들을 갖는 그룹들을 지칭하는 식이다.
위의 발명이 이해의 명확성을 위해 예시 및 예로써 어느 정도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교시내용들에 비추어, 첨부된 청구항들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특정 변화들 및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너무나 명백하다.
따라서, 위에서는 단지 본 발명의 원리들을 예시한다. 본원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당업자들이 본 발명의 원리들을 구체화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들을 고안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 인지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 인용된 모든 예들 및 조건부 언어는 주로, 본 발명의 원리들 및 발명자들이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 개념들을 이해하는 데 있어 독자를 돕도록 의도되었고, 그러한 구체적으로 인용된 예들 및 조건들로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들, 양상들 및 실시예들은 물론, 그의 특정 실시예들을 인용하는 본원에서의 모든 언급들은 본 발명의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들을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부가적으로, 그러한 등가물들은 현재 알려진 등가물들 및 미래에 개발될 등가물들, 즉 구조에 관계없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개발된 임의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본원에서 개시된 어떠한 것도, 그와 같은 개시내용이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인용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공중에 전용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구체화된다. 청구항들에서, 35 U.S.C.§112(f) 또는 35 U.S.C.§112(6)는, 정확한 구문 "~를 위한 수단" 또는 정확한 구문 "~를 위한 단계"가 청구항들에서 그러한 한정의 선두에 인용될 때에만 청구항에서 한정을 위해 인보크되는 것으로 명시적으로 정의되고; 그러한 정확한 구문이 청구항의 한정에서 사용되지 않는 경우, 35 U.S.C.§112(f) 또는 35 U.S.C.§112(6)가 인보크되지 않는다.

Claims (15)

  1. 유체 전달 디바이스로서,
    (a) 유체 패키지 ― 상기 유체 패키지는,
    (i) 안과 제제(ophthalmic formulation)를 포함하는 저장소; 및
    (ii) 구멍(aperture)을 포함함 ― ; 및
    (b) 국소 안구 전달 동안 최소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속도로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저장소로부터 유체를 배출하기에 충분한 주파수로 오실레이팅하도록 구성된 전자기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저장소로부터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유체에서 압력 변동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상기 유체 패키지의 외부 표면 상에서 유도된 변위에 의해 상기 유체에서 압력 변동들을 생성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가청 주파수에서 오실레이팅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청 주파수는 800 내지 1200 Hz인,
    유체 전달 디바이스.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2 내지 3 μm 범위의 오실레이션 진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7.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서로 근접하여 동작하는 전자석 및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은 캔틸레버 빔의 제1 구역에 포지셔닝되고,
    상기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상기 캔틸레버 빔의 제2 구역에 포지셔닝되고 오실레터리 변위력(oscillatory displacement force)을 약물 패키지의 외부 표면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앵커를 더 포함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200 내지 350 μm 범위의 직경을 갖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유체를 50 내지 150 cm/s 범위의 속도를 갖는 스트림으로서 상기 구멍을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을 통해 배출된 유체를 타겟 안구 위치와 정렬시키도록 구성된 이미지-기반 정렬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패키지 및 전자기 트랜스듀서는 하우징에 존재하는,
    유체 전달 디바이스.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을 따라 포지셔닝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구멍들이 노출되는 개방 포지션과 상기 하나 이상의 구멍들이 노출되지 않은 폐쇄 포지션 사이에서 구성 가능한,
    유체 전달 디바이스.
  14.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a)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체 전달 디바이스를 타겟 부위와 정렬시키는 단계; 및
    (b) 국소 안구 전달 동안 최소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속도로 상기 저장소로부터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타겟 위치로 유체를 배출하도록 상기 전자기 트랜스듀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의 타겟 부위로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
  15.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조항에 따른 유체 전달 디바이스 및 상기 유체 전달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키트.
KR1020217003258A 2018-07-03 2019-07-02 국소 안구 전달 디바이스들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KR202100282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93818P 2018-07-03 2018-07-03
US62/693,818 2018-07-03
PCT/US2019/040354 WO2020010116A1 (en) 2018-07-03 2019-07-02 Topical ocular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233A true KR20210028233A (ko) 2021-03-11

Family

ID=6906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258A KR20210028233A (ko) 2018-07-03 2019-07-02 국소 안구 전달 디바이스들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220169A1 (ko)
EP (1) EP3817696A4 (ko)
JP (1) JP2021529598A (ko)
KR (1) KR20210028233A (ko)
CN (1) CN112334099A (ko)
AU (1) AU2019297326A1 (ko)
CA (1) CA3102410A1 (ko)
WO (1) WO20200101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06325B (zh) 2015-01-12 2021-05-25 科达莱昂治疗公司 微滴递送设备和方法
US11938056B2 (en) 2017-06-10 2024-03-26 Eyenovi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handling a fluid and delivering the fluid to the eye
US11679028B2 (en) 2019-03-06 2023-06-20 Novartis Ag Multi-dose ocular fluid delivery system
EP4054494A1 (en) * 2019-11-05 2022-09-14 Novartis AG Method for delivering the fluid formulation as a spray or a jet of droplets to a target area on an eye
FR3106747A1 (fr) 2020-02-04 2021-08-06 Laboratoires Thea Dispositif de distribution d’un produit ophtalmique
US11938057B2 (en) 2020-04-17 2024-03-26 Bausch + Lomb Ireland Limited Hydrodynamically actuated preservative free dispensing system
CA3180199A1 (en) 2020-04-17 2021-10-21 Yehuda Ivri Hydrodynamically actuated preservative free dispen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05952D0 (en) * 1994-03-25 1994-05-11 Zeneca Ltd Aqueous ophthalmic sprays
US6024717A (en) * 1996-10-24 2000-02-15 Vibrx,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onically enhanced drug delivery
DE102010003810A1 (de) * 2010-04-09 2011-10-13 Henkel Ag & Co. Kgaa Abgabevorrichtung mit piezo-elektrischem Element
US10154923B2 (en) * 2010-07-15 2018-12-18 Eyenovia, Inc. Drop generating device
US9068566B2 (en) * 2011-01-21 2015-06-30 Biodot, Inc. Piezoelectric dispenser with a longitudinal transducer and replaceable capillary tube
MX2014012313A (es) * 2012-04-10 2015-06-05 Corinthian Ophthalmic Inc Mecanismos y dispositivos eyectores de aspersion que proporcionan aislamiento de carga y carga controlable de gota, y administracion oftalmica con bajo volumen de dosificacion.
US20150018781A1 (en) * 2013-04-10 2015-01-15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opical drug delivery to the eye
CN107106325B (zh) * 2015-01-12 2021-05-25 科达莱昂治疗公司 微滴递送设备和方法
KR20170135862A (ko) * 2015-04-10 2017-12-08 켄달리온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교체 가능한 앰플을 갖는 압전 디스펜서
DK3607984T3 (da) * 2015-06-03 2022-03-07 Novopyxis Inc Fremgangsmåde til generering af en aerosoltåge
CN204813955U (zh) * 2015-07-22 2015-12-02 吉林大学 可调压力腔室体积的次声实验系统
US11938056B2 (en) * 2017-06-10 2024-03-26 Eyenovi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handling a fluid and delivering the fluid to the eye
CN109674576B (zh) * 2017-10-19 2024-02-27 深圳市启明医药科技有限公司 流体供应单元及微液滴喷射驱动装置、发生装置
AU2018380433A1 (en) * 2017-12-08 2020-06-11 Bausch + Lomb Ireland Limited Fluid delivery align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29598A (ja) 2021-11-04
EP3817696A4 (en) 2022-03-30
US20210220169A1 (en) 2021-07-22
AU2019297326A1 (en) 2021-01-07
CN112334099A (zh) 2021-02-05
EP3817696A1 (en) 2021-05-12
WO2020010116A1 (en) 2020-01-09
CA3102410A1 (en)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8233A (ko) 국소 안구 전달 디바이스들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US20220160542A1 (en) Fluid delivery alignment system
US11679028B2 (en) Multi-dose ocular fluid delivery system
US20190314197A1 (en) Topical Ocular Delivery Methods and Devices for Use in the Same
JP2004533304A (ja) 液体を目に塗布する噴霧器
JP2012533392A (ja) 眼科薬剤のミストを投与するための装置
KR102643995B1 (ko) 멀티도즈 안액 전달 시스템
AU2019209832C1 (en) Methods and devices for delivering atropine to the eye as a micro-dose stream of droplets
WO2019200121A1 (en) Topical ocular delivery methods and devices for use in the same
JPH01119249A (ja) 眼部処置物質自己投与装置
Herpin Aerosol loaded toroidal vortices for enhanced ocular drug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