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739A -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 - Google Patents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739A
KR20210027739A KR1020190108532A KR20190108532A KR20210027739A KR 20210027739 A KR20210027739 A KR 20210027739A KR 1020190108532 A KR1020190108532 A KR 1020190108532A KR 20190108532 A KR20190108532 A KR 20190108532A KR 20210027739 A KR20210027739 A KR 20210027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bubbles
ozone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5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2402B1 (en
Inventor
박찬규
여인설
김광구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시험원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to KR1020190108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402B1/en
Publication of KR20210027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7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4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02F1/52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using basic salts, e.g. of aluminium and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4Diffusers or nozzles for ozo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A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agulation tank installed in a ship; a flotation tank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coagulation tank; a first supply line supplying ballast water from a ballast water tank of the ship to the flotation tank; a second supply line supplying waste washing water generated from a scrubber installed in the ship to the coagulation tank; and a bubble supplier for supplying bubbles to the flotation tank. Moreover, when the ballast water is supplied to the flotation tank, the bubble supplier can supply ozone bubbles.

Description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Water treatment device using ozone bubbles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

본 발명은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s.

선박은 한번에 많은 양의 물건을 운송하는 수단으로 또는 군사용으로 널리 활용된다.Ships are widely used as a means of transporting large quantities of goods at once or for military purposes.

적재된 인원, 장비, 물건 등(이들을 통틀어 화물이라 함)이 많지 않을 경우 선박은 수중으로 충분히 가라앉지 않기 때문에 작은 파도에도 쉽게 흔들릴 수 있으며, 심지어는 추진기 및 방향타 등이 충분히 수중에 잠기지 않게 되어 이들이 효율적으로 작동되지 않게 된다.If there are not many people, equipment, and object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argo), the ship does not sink enough underwater, so it can easily shake even in small waves, and even propellers and rudders are not sufficiently submerged. It doesn't work efficiently.

이에, 화물을 하역한 선박은 균형 유지 및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밸라스트 탱크(ballast tank)에 해수, 즉 선박 평형수(밸라스트수: ballast water)를 담은 상태로 운항된다. 결과적으로 선박 평형수는 선박의 흘수(吃水)와 트림(trim)을 조정하는 중량물의 역할을 수행한다.Accordingly, the ship unloading cargo is operated in a state containing seawater, that is, ballast water (ballast water) in a ballast tank in order to maintain balance and increase stability. As a result, the ship's ballast water plays the role of a weight that adjusts the draft and trim of the ship.

선박 평형수는 선박의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해 선박의 저부 양측에 형성된 밸라스트 탱크의 내부에 채워진다. 선박은 출발지에서 밸라스트 탱크에 선박 평형수를 담은 후 운행하여 다른 지역이나 혹은 다른 나라의 항만에 도착하면, 도착지의 바다에 선박 평형수를 배출시켜 선박의 중량을 줄인 후에 화물을 다시 적재하게 된다.Ballast water is filled into the ballast tank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ship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ship. The ship is operated after loading the ballast tank in the ballast tank at the point of departure, and when it arrives at a port of another region or other country, the ship's ballast water is discharged to the sea at the destination to reduce the weight of the ship, and then the cargo is reloaded. .

선박 평형수에는 선박 평형수를 채운 지역의 담수나 해수에 포함된 병원성균 및 플랑크톤 등의 각종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므로, 이를 아무런 처리없이 타지역의 해안으로 배출시킬 경우 평형수로 인한 심각한 해양오염 및 생태계 파괴를 유발시킬 우려가 높게 된다. 서로 다른 생태계의 생물이 혼합되어 생태계가 교란될 뿐만 아니라 연안 산업이나 다른 상업적 활동 또는 자원에도 큰 피해를 유발하게 될 우려가 있다.In the ballast water of the ship, various organisms such as fresh water in the area filled with the ballast water or pathogens and plankton contained in the seawater are inhabited. Therefore, if the ballast water is discharged to the shore of another area without any treatment, serious marine pollution due to the ballast water and There is a high concern that it will cause the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There is a concern that organisms from different ecosystems are mixed, which not only disturbs the ecosystem, but also causes great damage to coastal industries or other commercial activities or resources.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를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me to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long study and trial and error for a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s.

본 발명의 목적은 폐세정수 및 밸라스트수를 배출 가능한 상태로 정화할 수 있는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s capable of purifying waste water and ballast water in a dischargeable state.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Still other objects, not specifie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dditionally considered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easily deduc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ffects thereof.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에 설치되는 응집조; 상기 응집조 후단에 마련되는 부상조; 상기 선박의 밸라스트수 탱크로부터 밸라스트수를 상기 부상조로 공급하는 제1 공급라인; 상기 선박에 설치된 스크러버로부터 발생한 폐세정수를 상기 응집조로 공급하는 제2 공급라인; 및 상기 부상조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공급기를 포함하고, 밸라스트수가 상기 부상조로 공급되면, 상기 기포공급기는 오존기포를 공급하는,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agulation tank installed on a ship; A floating tank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coagulation tank; A first supply line for supplying ballast water from the ballast water tank of the ship to the floating tank; A second supply line for supplying waste water generated from the scrubber installed on the ship to the coagulation tank; And a bubble supplier for supplying bubbles to the floating tank, and when ballast water is supplied to the floating tank, the bubble supplier supplies ozone bubble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s.

밸라스트수가 상기 부상조로 공급되면, 상기 제2 공급라인이 차단되고, 폐세정수가 상기 응집조로 공급되면, 상기 제1 공급라인은 차단될 수 있다.When ballast water is supplied to the floating tank, the second supply line is blocked, and when waste water is supplied to the coagulation tank, the first supply line may be blocked.

폐세정수가 상기 응집조로 공급되면, 상기 기포공급기는 공기기포를 공급할 수 있다. When waste water is supplied to the coagulation tank, the bubble supplier may supply air bubbles.

상기 기포공급기는 용해조를 포함하고, 상기 부상조로 밸라스트수가 유입되면, 상기 용해조로 오존이 공급되고, 상기 응집조로 폐세정수가 유입되면, 상기 용해조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The bubble supplier includes a dissolution tank, and when ballast water flows into the floating tank, ozone is supplied to the dissolution tank, and when wast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coagulation tank, air may be supplied to the dissolution tank.

상기 응집조와 상기 부상조 사이에 설치되는 수문을 더 포함하고, 폐세정수가 상기 응집조로 유입되면, 상기 수문이 개방되고, 밸라스트수가 상기 부상조로 유입되면, 상기 수문이 폐쇄될 수 있다.A sluice gate installed between the coagulation tank and the floating tank may be further included, and when wast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coagulation tank, the sluice gate is opened, and when ballast water flows into the floating tank, the sluice gate may be closed.

상기 부상조 내에 설치되는 여과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상조 내에 수용된 밸라스트수 또는 폐세정수는 상기 여과모듈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 filtr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floating tank may be further included, and ballast water or waste wash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floating tank may pass through the filtration module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기포공급기는 상기 여과모듈 측으로 기포를 공급할 수있다. The bubble supplier may supply bubbles to the filtration module s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폐세정수 및 밸라스트수를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terilize waste water and ballast water.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it is an effect not explicitly mentioned herein, it is added that the effect described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and its provisional effect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의 다양한 기포공급기를 나타낸 도면.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1 is a view showing a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views showing a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showing a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views showing a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are views showing various bubble feeders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emplified by reference for an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as matter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respect to known func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thus A redundant description of thi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1000)는 밸라스트수(B)를 처리한다. Referring to FIG. 1, a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using ozone bub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eats ballast water B.

즉, 수처리장치(1000)는 밸라스트수 탱크(4)와 연결되어 밸라스트수(B)를 공급받고, 오존을 이용하여 밸라스트수(B)를 처리한다. 여기서, 밸라스트수(B) 처리는 밸라스트수(B)를 살균하여 밸라스트수(B) 내 미생물 등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That is,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is connected to the ballast water tank 4 to receive the ballast water B, and treats the ballast water B using ozone. Here, the ballast water (B) treatment may be aimed at removing microorganisms in the ballast water (B) by sterilizing the ballast water (B).

밸라스트수(B)는 해수(SW)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밸라스트수 탱크(4)에는 해수라인(SL)이 연결되어, 해수라인(SL)을 통해 해수(SW)가 밸라스트수 탱크(4) 내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또한, 밸라스트수(B)가 밸라스트수 탱크(4)로부터 배출될 때는 공급라인(L1)을 통해 이동하여 수처리장치(1000)로 공급된다. 여기서, 밸라스트수 탱크(4)에서 수처리장치(1000)로 밸라스트수(B)가 공급되기 위한 공급라인을 '제1 공급라인(L1)'이라 칭할 수 있다. Ballast water (B) can be derived from sea water (SW). A seawater line SL is connected to the ballast water tank 4, and seawater SW is introduced into the ballast water tank 4 and stored through the seawater line SL. In addition, when the ballast water B is discharged from the ballast water tank 4, it moves through the supply line L1 and is supplied to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Here, a supply line for supplying the ballast water B from the ballast water tank 4 to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supply line L1”.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1000)는 선박(1)에 설치된 스크러버(3)에서 배출되는 폐세정수(A)를 처리한다. 즉, 수처리장치(1000)는 스크러버(3)와 연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using ozone bub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eats the waste water A discharged from the scrubber 3 installed on the ship 1. That is, the water treatment device 1000 may be connected to the scrubber 3.

스크러버(3)는 선박(1)의 엔진(2) 등에 배출되는 배가스(G1)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배가스(G1) 처리는 배가스(G1) 내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The scrubber 3 is a device that treats the exhaust gas G1 discharged from the engine 2 of the ship 1 or the like. Here, the treatment of the exhaust gas G1 may b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removing nitrogen oxides and sulfur oxides in the exhaust gas G1.

스크러버(3)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챔버(chamber)를 포함한다. 챔버는 하부로 갈수록 수평단면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챔버의 내부 공간에 배가스(G1)가 수용된다. 배가스는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등의 오염물질(유해물질)을 포함하는 가스로서, 선박(1)의 엔진(2), 발전기, 보일러 등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배가스(G1)는 배가스 라인(GL)을 통해 스크러버(3)로 유입될 수 있다. The scrubber 3 includes a chamber provided with a space therein. The chamber may have a truncated cone shape in which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ottom,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xhaust gas G1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hamber. The exhaust gas is a gas containing pollutants (hazardous substances) such as nitrogen oxides (NOx) and sulfur oxides (SOx), and may be discharged from the engine 2 of the ship 1, a generator, a boiler, or the like. The exhaust gas G1 may be introduced into the scrubber 3 through the exhaust gas line GL.

스크러버(3)에는 배가스 유입구, 가스 배출구가 마련된다. 배가스 유입구는 스크러버(3) 챔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가스(G1)가 스크러버 챔버 내부로 유입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즉, 배가스 유입구는 배가스 라인(GL)과 연결된다. 가스 배출구는 스크러버 챔버의 상부에 설치되어 처리된 가스(G2)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스크러버 챔버 내부로 유입된 배가스(G1)는 상승하면서 세정수(A0)와 접촉되고, 세정수(A0)에 의해 오염물질이 제거된 가스(G2)는 가스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배가스 유입구 및 가스 배출구는 배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crubber 3 is provided with an exhaust gas inlet and a gas outlet. The exhaust gas inlet is installed below the scrubber 3 chamber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exhaust gas G1 flows into the scrubber chamber. That is, the exhaust gas inlet is connected to the exhaust gas line GL. The gas outlet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scrubber chamber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processed gas G2 is discharged. The exhaust gas (G1) introduced into the scrubber chamber washing water (A 0) and is in contact, washing water (A 0) the gas (G2) to remove the contaminants by as rise may be through a gas discharge port discharged to the outside have. Meanwhile, the exhaust gas inlet and the gas outle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ipe.

스크러버(3) 내부에는 충전재가 마련되고, 배가스는 충전재를 통과하여 상승할 수 있다. 충전재는 스크러버(3) 챔버 내부의 적어도 일부를 충전하여 배가스(G1)의 체류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충전재는 복수의 알갱이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재는 소정의 두께의 층을 이루며,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층의 충전재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A filler is provided inside the scrubber 3, and exhaust gas may rise through the filler. The filler may increase the residence time of the exhaust gas G1 by filling at least a part of the interior of the scrubber 3 chamber. The fill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ains. The filler forms a layer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The plurality of layers of filler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스크러버(3) 내부의 상부에는 디미스터가 설치될 수 있다. 디미스터는 배가스로(G1)부터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디미스터는 복수의 그물코를 여러 겹으로 포갠 형태로서, 처리된 배가스(G1)의 수분을 제거하여 스크러버의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A demister may be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scrubber 3. The demister can remove moisture from the exhaust gas path G1. The demister i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meshes are stacked in multiple layers, and by removing moisture from the treated exhaust gas G1, corrosion of the scrubber can be minimized.

스크러버(3) 내부에는 세정수(A0)가 분사된다. 세정수(A0)는 해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러버(3) 내부에서, 세정수(A0)가 하강하고 배가스(G1)가 상승하면서 세정수(A0)와 배가스(G1)가 접촉하여, 배가스(G1)의 일부 성분이 세정수(A0)에 용해된다. 기능을 다 한 세정수(A0)는 스크러버 하부에 포집되며, 포집된 폐세정수(A)는 폐세정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Washing water A 0 is sprayed into the scrubber 3. Washing water (A 0 ) may include sea water. Inside the scrubber 3, as the washing water A 0 descends and the exhaust gas G1 rises, the washing water A 0 and the exhaust gas G1 contact each other, so that some components of the exhaust gas G1 become the washing water A Soluble in 0 ). Washing water (A 0 ) that has completed its function is collected under the scrubber, and the collected waste cleaning water (A)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ste cleaning water outlet.

배출된 폐세정수(A)는 처리될 필요가 있으며, 폐세정수(A)는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100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폐세정수(A)의 처리는 폐세정수(A)에 포함된 질소 및 황 성분을 함유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pH, 탁도 등을 조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The discharged waste cleaning water (A) needs to be treated, and the waste cleaning water (A) can be treated by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treatment of the waste water (A) may be aimed at removing pollutants containing nitrogen and sulfur components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A), and adjusting pH, turbidity, and the like.

폐세정수(A)는 폐세정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1000)로 공급된다. 스크러버(3)에서 수처리장치(1000)로 폐세정수(A)를 공급하는 공급라인을 '제2 공급라인(L2)'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제2 공급라인(L2) 상에는 폐세정수(A)가 저장되는 원수조가 마련될 수 있으나, 설계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공급라인(L1)과 제2 공급라인(L2)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공급라인(L1)이 수처리장치(1000)로 결합되는 지점과, 제2 공급라인(L2)이 수처리장치(1000)로 결합되는 지점이 서로 다를 수 있다.Waste water (A) is discharged through the waste water outlet and supplied to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ly line for supplying waste water A from the scrubber 3 to the water treatment device 1000 may be referred to as a'second supply line L2'. On the other hand, a raw water tank in which waste water A is stored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supply line L2, but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design. In addition, the first supply line L1 and the second supply line L2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this case, a point at which the first supply line L1 is coupled to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and a point at which the second supply line L2 is coupled to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1000)는, 스크러버(3)에서 배출된 폐세정수(A)도 처리하고, 밸라스트수(B)도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수처리장치(1000)는, 선박(1)이 운행 중일 때에는 엔진(2) 등이 가동됨 따라 배가스(G1)가 발생하므로 스크러버(3)를 가동시키고, 폐세정수(A)를 처리한다. 또한, 선박(1)이 운행하지 않을 때(정박 상태)에는 밸라스트수(B)를 처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1000)는, 폐세정수(A) 및 밸라스트수(B)를 선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using ozone bubb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treat waste water (A) discharged from the scrubber 3 and also treat ballast water (B). In particular, the water treatment device 1000 operates the scrubber 3 and treats the waste water (A) because the exhaust gas G1 is generated when the engine 2 is operated when the ship 1 is in operation. . In addition, ballast water B can be treated when the ship 1 is not in operation (at anchor). That is,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using ozone bubb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treat waste water (A) and ballast water (B).

한편, 본 발명의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1000)는, 밸라스트수(B)를 처리할 때에는 오존(O3)기포를 이용하며, 폐세정수(A)를 처리할 때에는 오존기포 및 공기기포를 이용하거나, 공기기포만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1000)는, 폐세정수(A) 및 밸라스트수(B)를 선택적으로 처리하면서, 기포의 종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Meanwhile,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using ozone bubble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ozone (O 3 ) bubbles when treating ballast water (B), and ozone bubbles and air when treating waste water (A). Air bubbles can be used, or only air bubbles can be used. That is,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using ozone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use the type of bubbles while selectively treating waste water (A) and ballast water (B).

수처리장치에 의해 정화된 처리수(TW)는, 상술한 스크러버(3)에 유입되는 세정수(A0)로 재사용되거나 기포공급에 사용되거나 해양으로 버려질 수 있다. 처리수(TW)는 처리수 라인(TL)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 처리수 라인(TL) 상에는 처리수조가 마련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처리수조는 생략될 수 있다. The treated water TW purified by the water treatment device may be reused as the washing water A 0 flowing into the scrubber 3 described above, used for bubble supply, or discarded into the ocean. The treated water TW may be moved through the treated water line TL. A treatment tank may be provided on the treated water line TL, but the treatment tank may be omitted if necessary.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2 to 4 are views showing a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는, 부상조(300), 기포공급기(500) 및 제1 공급라인(L1)을 포함하고, 응집조(200) 및 제2 공급라인(L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는 혼화기(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ating tank 300, a bubble supplier 500, and a first supply line L1, and a coagulation tank 200 And a second supply line L2. In additio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s may further include a blender 100.

폐세정수(A)는 스크러버에서 배출되어 제2 공급라인(L2) 상의 원수조(10)에 집수될 수 있으나, 원수조(10)는 생략될 수 있다. 제2 공급라인(L2) 상에는 펌프(P1)가 마련되고, 원수조(10)에 집수된 폐세정수(A)는 펌프(P1)에 의해 혼화기(100)로 이동될 수 있다. The waste cleaning water A may be discharged from the scrubber and collected in the raw water tank 10 on the second supply line L2, but the raw water tank 10 may be omitted. A pump P1 is provided on the second supply line L2, and the waste water A collected in the raw water tank 10 may be moved to the blender 100 by the pump P1.

혼화기(100)는 폐세정수(A)와 약품을 혼합하는 장치이다. 혼화기(100)는 폐세정수(A)가 이동하는 제2 공급라인(L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혼화기(100)는 급속혼화기로서 라인믹서(linemixer)일 수 있다. 약품은 PAC 등의 응집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약품은 약품탱크(TK)에 저장되었다가 약품펌프(P2)의 작동에 의해 혼화기(100)로 유입될 수 있다. The blender 100 is a device that mixes waste water (A) and chemicals. The blender 100 may be installed on the second supply line L2 through which the waste cleaning water A moves. The blender 100 is a rapid blender and may be a linemixer. The drug may contain a coagulant such as PAC. The chemicals may be stored in the chemical tank TK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admixture 100 by the operation of the chemical pump P2.

한편, 혼화기(100)는 혼화조로 대체될 수 있다. 혼화조는 공급된 원수와 약품을 혼합하는 수조이다. 약품은 약품탱크(TK)에 저장되었다가 약품펌프(P2)의 작동에 의해 혼화조로 유입될 수 있다. Meanwhile, the blender 100 may be replaced with a blender. The mixing tank is a tank that mixes the supplied raw water and chemicals. Chemicals can be stored in the chemical tank (TK)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mixing tank by the operation of the chemical pump (P2).

혼화조에는 교반기가 설치되어 원수와 약품을 효과적으로 혼화할 수 있다. 교반기는 패들형 교반기, 프로펠러형 교반기, 터빈형 교반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A stirrer is installed in the mixing tank so that raw water and chemicals can be effectively mixed. The stirrer may include a paddle-type stirrer, a propeller-type stirrer, a turbine-type stirrer, and the like.

응집조(200)는 혼화된 피처리수(설명의 편의 상 수처리장치 내에 수용된 폐세정수를 일컫으며, 이하 동일함)를 응집하여, 피처리수 내 오염물질을 플록(flock)화(덩어리화)하는 수조이다. 플록화는 미세기포와 충돌할 수 있을만큼 오염물질의 크기를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플록의 크기(직경)는 32㎛ 이상일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oagulation tank 200 agglomerates the mixed water to be treated (referring to the waste washed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reatment devic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ame hereinafter), and flocks the contaminants in the water to be treated. ) Is a tank. Flocking aims to increase the size of contaminants so that they can collide with microbubbles. The size (diameter) of the floc may be 32 μm or mo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술한 제2 공급라인(L2)은 응집조(200)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공급라인(L2)은 혼화기(100)를 경유하여 응집조(200)로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supply line L2 described above may be connected to the coagulation tank 200. Specifically, the second supply line L2 may be connected to the agglomeration tank 200 via the blender 100.

응집조(200)에는 교반기(210)가 설치될 수 있고, 교반기(210)는 패들형 교반기, 프로펠러형 교반기, 터빈형 교반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응집조(200)의 교반기(210)는 혼화조의 교반기와 다른 종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gitator 210 may be installed in the agglomeration tank 200, and the agitator 210 may include a paddle-type stirrer, a propeller-type stirrer, a turbine-type stirrer, and the like. The agitator 210 of the coagulation tank 200 may be formed of a different type from the stirrer of the mixing tank.

응집조(20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응집조(200)를 거치면서 오염물질의 플록은 점차 커질 수 있다. 응집조(200)를 통과한 피처리수는 부상조(300)의 전단으로 유입되는데, 피처리수는 특히 부상조(300)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coagulation tank 200 may be formed in plural. The floc of contaminants may gradually increase whil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coagulation tanks 200. The water to be treated passing through the coagulation tank 200 flows into the front end of the floating tank 300, and the water to be treated may particularly flow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loating tank 300.

부상조(300)는 응집조(200) 후단에 설치되어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하는 수조이며, 미세기포를 공급받아, 오염물질 플록(flock)을 미세기포로 부상시킨다. The flotation tank 300 is a tank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coagulation tank 200 to use the dissolved air flotation method, and receives micro-bubbles and floats the pollutant flock into micro-bubbles.

부상조(300)에는 밸라스트수 탱크(4)로부터 연장되는 제1 공급라인(L1)이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제1 공급라인(L1)은 부상조(300)(컨택조)의 전단 하부에 연결됨으로써, 밸라스트수(B)가 부상조(300)의 전단 하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supply line L1 extending from the ballast water tank 4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floating tank 300. The first supply line L1 is connected to the lower front end of the floating tank 300 (contact tank), so that the ballast water B may flow into the lower front end of the floating tank 300.

미세기포는 기체(오존, 공기, 산소 등)와 이를 둘러싼 막으로 이루어지고, 마이크로 크기의 기포로서 직경은 100u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나노 크기의 기포로서 직경은 900nm 이하일 수 있다.The microbubbles are composed of gases (ozone, air, oxygen, etc.) and a membrane surrounding them, and are micro-sized bubbles and may have a diameter of 100 um or less. In addition, the nano-sized bubbles may have a diameter of 900 nm or less.

부상조(300)는 컨택(contact)조와 분리(separation)조로 구획될 수 있으며, 컨택조와 분리조 사이에는 격벽(31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격벽(310)의 전단은 컨택조이고 격벽의 후단은 분리조일 수 있다. 격벽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피처리수의 흐름방향으로 50~70°경사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floating tank 300 may be divided into a contact tank and a separation tank, and a partition wall 310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tact tank and the separation tank.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partition wall 310 may be a contact tank and the rear end of the partition wall 310 may be a separation tank. The partition wall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an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by 50 to 70°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to be tre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컨택조는 미세기포를 공급받는 공간이며, 컨택조에서 피처리수가 미세기포를 만나 피처리수 내 플록과 미세기포가 충돌할 수 있고, 미세기포는 충돌한 플록에 결합하여 플록을 부상시킬 수 있다. 피처리수와 미세기포는 격벽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contact tank is a space to receive microbubbles, and in the contact tank, the water to be treated meets the microbubbles, so that the flocs and microbubbles in the water to be treated may collide, and the microbubbles can bind to the collided floc to float the floc. The water to be treated and microbubbles can move upward along the partition wall.

분리조에서는 미세기포에 의해 부상된 플록(플로트(float)라고도 함)(F)가 피처리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플로트(F)가 상층에 위치하고, 하층에 피처리수가 위치한다. 이러한 플로트(F)는 소정의 두께의 층을 이룰 수 있다. In the separation tank, flocs (also referred to as floats) (F) floated by microbubbles may be separated from the water to be treated. That is, the float F is located on the upper layer, and the water to be treated is located on the lower layer. This float (F) may form a layer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수면으로 부상된 플록(플로트)(F)은 스키머(skimmer)(320)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스키머(320)는 스크래퍼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스키머(320)에 의해 제거된 플록(슬러지)는 슬러지 저장조(SS)로 포집된다. 슬러지를 슬러지 저장조(SS)로 포집하기 위해 펌프(P3)가 가동될 수 있다. The floc (float) F floating to the water surface may be removed by a skimmer 320. The skimmer 32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scraper type. The floc (sludge) removed by the skimmer 320 is collected in a sludge storage tank (SS). The pump P3 may be operated to collect the sludge into the sludge storage tank SS.

분리조에는 여과모듈(40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과모듈(400)은 분리조 내에 설치되어 피처리수를 수용하고 피처리수를 최종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 피처리수는 여과모듈(400)을 통과하여 최종적인 처리수(TW)로서 유출된다. A filtration module 400 may be installed in the separation tank. The filtration module 400 may be installed in the separation tank to receive the water to be treated and finally filter the water to be treated. The water to be treated passes through the filtration module 400 and is discharged as final treated water TW.

여과모듈(400)은 피처리수에 침지되는 멤브레인(membrane) 구조체(430)를 포함할 수 있다. 멤브레인 구조체(430)는 여과를 위한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구조체로서, MBR일 수 있다. 멤브레인 구조체(430)는 중공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중공사는 PVDF, PTFE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피처리수는 멤브레인 구조체(430)의 멤브레인을 통과하면서, 피처리수 내 함유된 오염물질이 멤브레인에 부착되고, 멤브레인 구조체(430)에서는 오염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처리수(TW)가 배출될 수 있다. 멤브레인 구조체(430)는 원기둥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iltration module 400 may include a membrane structure 430 immersed in the water to be treated. The membrane structure 430 is a structure including a membrane for filtration, and may be an MBR. The membrane structure 43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ollow fiber. The hollow fiber can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VDF and PTFE. As the water to be treated passes through the membrane of the membrane structure 430,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treated water adhere to the membrane, and clean treated water (TW) from which the contaminants are removed can be discharged from the membrane structure 430. have. The membrane structure 430 may be implement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멤브레인 구조체(430)에는 처리수 라인(TL)이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처리수 라인(TL)에는 펌프(P6)가 설치되며, 펌프(P6)의 흡입작동에 의해 피처리수가 멤브레인 구조체(430)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The treated water line TL may be connected to the membrane structure 430. In particular, a pump P6 is installed in the treated water line TL, and water to be treated can pass through the membrane structure 430 by the suction operation of the pump P6.

기포공급기(500)는 부상조(300)로 기포를 공급하는 기기이다. 여기서, 기포는 오존기포, 공기기포, 산소기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포공급기(500)는 수처리 장치가 처리해야되는 피처리수의 종류에 따라 다른 기체의 기포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처리수가 폐세정수(A)인 경우에는 기포공급기(500)는 공기기포(또는 공기기포 및 오존기포)를 공급하고, 피처리수가 밸라스트수(B)인 경우에는 기포공급기(500)가 오존기포를 공급할 수 있다. The bubble supplier 500 is a device that supplies bubbles to the floating tank 300. Here, the bubbles may include ozone bubbles, air bubbles, oxygen bubbles, and the like. The bubble supplier 500 may supply bubbles of different gases according to the type of water to be treated by the water treatment device. For example, when the treated water is waste clean water (A), the bubble supplier 500 supplies air bubbles (or air bubbles and ozone bubbles), and when the treated water is ballast water (B), the bubble supplier 500 can supply ozone bubbles.

기포공급기(500)는 용해조(510)를 포함할 수 있다. 용해조(510)에는 처리수(TW)가 수용될 수 있고, 처리수(TW)는 펌프(P4)의 작동에 의해 용해조(5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펌프(P4)는 수처리장치 최후단과 용해조(510)를 연결하는 순환라인(CL)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용해조(510)에는 처리수(TW)를 대체하여 해수가 수용될 수 있고, 해수는 펌프의 작동에 의해 용해조(5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bubble supplier 500 may include a dissolution tank 510. The treated water TW may be accommodated in the dissolution tank 510, and the treated water TW may be introduced into the dissolution tank 510 by the operation of the pump P4. The pump P4 may be installed on a circulation line CL connecting the end of the water treatment device and the dissolution tank 510. Alternatively, seawater may be accommodated in the dissolution tank 510 by replacing the treated water TW, and sea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dissolution tank 510 by the operation of the pump.

기포공급기(500)는 기체제공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체제공부(520)는 공기 또는 오존을 용해조(510)로 공급할 수 있다. 기체제공부(520)는 고압의 기체를 용해조(510)로 공급할 수 있다. 기체제공부(520)는 컴프레셔(압축기) 및/또는 가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ubble supplier 500 may include a gas providing unit 520. The gas providing unit 520 may supply air or ozone to the dissolution tank 510. The gas providing unit 520 may supply a high-pressure gas to the dissolution tank 510. The gas providing unit 520 may include a compressor (compressor) and/or a pressurizer.

기포공급기(500)는 기포라인(530) 및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기포라인(530)은 용해조(510)로부터 연장되어 용해조(510) 내의 처리수(TW)(또는 해수) 및 기포를 부상조(3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노즐은 기포라인(530)의 단부에 설치되며, 부상조(300)의 전단, 특히 컨택조의 하부에서 기포가 포함된 처리수(TW)(또는 해수)를 분사한다. 여기서, 노즐은 제1 공급라인(L1)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bubble supplier 500 may include a bubble line 530 and a nozzle. The bubble line 530 may extend from the melting tank 510 to move the treated water (TW) (or seawater) and the bubbles in the melting tank 510 to the floating tank 300. The nozzle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bubble line 530, and sprays treated water (TW) (or sea water) containing bubbles from the front end of the floating tank 300, particularly the lower part of the contact tank. Here, the nozzle may be positioned above the first supply line L1.

기포라인(530)은 두 서브라인(531, 532)으로 나누어질 수 있고, 나누어진 한 서브라인(531)이 부상조(300)의 전단(컨택조) 하부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서브라인(532)은 부상조(300)의 분리조로 연결될 수 있다.The bubble line 530 may be divided into two sub-lines 531 and 532, and one divided sub-line 531 may be connected to a lower front end (contact tank) of the floating tank 300. The other sub-line 532 may b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tank of the floating tank 300.

분리조로 연결되는 서브라인(532)에 결합된 노즐은 여과모듈(400)(멤브레인 구조체(430))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서브라인(532)으로 배출되는 기포는 여과모듈(400)(멤브레인 구조체(430)) 측으로 분사될 수 있다. 한편, 서브라인(532)를 통해 배출되는 기포는 여과모듈(400)(멤브레인 구조체(430))의 역세에 이용될 수 있다.The nozzle coupled to the sub-line 532 connected to the separation tank may be installed under the filtration module 400 (membrane structure 430). Air bubbles discharged to the sub-line 532 may be sprayed toward the filtration module 400 (membrane structure 430). Meanwhile, the air bubbles discharged through the subline 532 may be used for backwashing of the filtration module 400 (membrane structure 430).

도 2에는 각각의 서브라인(531, 532)이 하나씩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서브라인(531, 532)의 적어도 하나는, 오존기포를 위한 라인, 공기기포를 위한 라인으로 분리되는 등 복수로 구현될 수도 있다. In FIG. 2, each of the sub-lines 531 and 532 is shown as one, but at least one of the sub-lines 531 and 532 is divided into a line for ozone bubbles and a line for air bubbles. May b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수처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3 and 4, the operation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3을 참조하면, 선박(1)이 운행 중이어서, 선박(1) 내에서 배가스(G1)가 발생하여, 배가스(G1)를 처리하기 위한 스크러버(3)가 작동한다. 이에 따라 스크러버(3)에서 배출된 폐세정수(A)는 제2 공급라인(L2)을 통해 혼화기(100)를 경유하여 응집조(200)로 공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since the ship 1 is in operation, the exhaust gas G1 is generated in the ship 1, and the scrubber 3 for processing the exhaust gas G1 is operated. Accordingly, the waste water A discharged from the scrubber 3 may be supplied to the coagulation tank 200 via the blender 100 through the second supply line L2.

반면, 밸라스트수(B)는 밸라스트수 탱크(4)에 저장되어 있거나, 밸라스트수 탱크(4)는 비어있을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밸라스트수(B) 처리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밸라스트수(B)는 부상조(300)로 공급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the ballast water B may be stored in the ballast water tank 4, or the ballast water tank 4 may be empty. In both cases, ballast water (B) treatment is unnecessary. Therefore, the ballast water (B) is not supplied to the floating tank (300).

즉, 응집조(200)로 폐세정수(A)가 공급되면, 부상조(300)로 밸라스트수(B)는 공급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서, 폐세정수(A)의 이동을 위한 제2 공급라인(L2)은 개방되되, 밸라스트수(B)의 이동을 위한 제1 공급라인(L1)은 차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공급라인(L2)의 밸브는 개방되고, 제1 공급라인(L1) 밸브는 폐쇄된다.That is, when the waste water (A) is supplied to the coagulation tank (200), the ballast water (B) is not supplied to the floating tank (300). To this end, the second supply line L2 for the movement of the waste cleaning water A is open, but the first supply line L1 for the movement of the ballast water B may be blocked. Specifically, the valve of the second supply line L2 is opened, and the valve of the first supply line L1 is closed.

결국, 수처리장치는 폐세정수(A)를 처리하되, 밸라스트수(B)는 처리하지 않는다. Eventually, the water treatment device treats waste water (A), but does not treat ballast water (B).

폐세정수(A)는 혼화기(100)에서 약품과 혼화되어 응집조(200)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공급라인(L2) 상에는 원수조(10)가 마련될 수 있으나, 이는 생략될 수 있다. 제2 공급라인(L2) 상에 원수조(10)가 마련되는 경우, 원수조(10)로부터 폐세정수(A)를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P1)가 구비되어 작동할 수 있다. The waste cleaning water (A) may be mixed with a chemical in the blender 100 and supplied to the agglomeration tank 200. The raw water tank 10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supply line L2, but this may be omitted. When the raw water tank 10 is provided on the second supply line L2, a pump P1 for moving the waste cleaning water A from the raw water tank 10 may be provided and operated.

응집조(200)로 공급된 폐세정수(A)는 부상조(300) 등을 거쳐 정화 처리될 수 있다. The waste water (A) supplied to the coagulation tank 200 may be purified through the flotation tank 300 or the like.

부상조(300)에는 공기기포가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용해조(510)에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용해조(510)에는 오존은 공급되지 않을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공기와 오존이 함께 공급될 수 있다. Air bubbles may be supplied to the floating tank 300. To this end, air may be supplied to the dissolution tank 510. In this case, ozone may not be supplied to the dissolution tank 5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ir and ozone may be supplied together.

따라서, 용해조(510)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밸브(Va)는 개방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 밸브(Vo)는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ir valve Va for supplying air to the dissolution tank 510 is opened. Further, if necessary, the ozone valve Vo for supplying ozone may be opened or closed.

부상조(300)의 분리조로 집수된 피처리수는 여과모듈(400)을 거쳐 최종적인 처리수(TW)로서 배출될 수 있다. 처리수(TW)는 처리수조(20)에 집수되거나 해양에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처리수(TW)의 일부는 기포공급기(500), 특히 용해조(510)로 순환될 수 있다. 이 때, 처리수(TW)는 순환라인(CL)을 통해 용해조(510)로 유입될 수 있다. The water to be treated collected in the separation tank of the floating tank 300 may be discharged as final treated water TW through the filtration module 400. The treated water TW may be collected in the treatment tank 20 or discharged to the sea. 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treated water TW may be circulated to the bubble feeder 500, particularly the dissolution tank 510. In this case, the treated water TW may be introduced into the dissolution tank 510 through the circulation line CL.

도 4를 참조하면, 선박(1)은 정박 중이어서, 선박(1) 내에서 배가스(G1)는 발생하지 않으며, 밸라스트수(B)는 해양으로 배출되기 전에 수처리장치를 거쳐 처리된다. 즉, 밸라스트수(B)는 제1 공급라인(L1)을 통해 부상조(300)로 공급된다. 중요한 것은, 밸라스트수(B)는 약품과 혼화, 응집될 필요가 없으므로 혼화기(100)나 응집조(200)를 경유하지 않으며, 부상조(300)로 직접 공급된다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4, since the ship 1 is at anchor, no flue gas G1 is generated in the ship 1, and the ballast water B is treated through a water treatment device before being discharged to the sea. That is, the ballast water B is supplied to the floating tank 300 through the first supply line L1.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ballast water (B) does not need to be mixed or agglomerated with the chemicals, so it does not pass through the blender 100 or the flocculation tank 200, and is supplied directly to the flotation tank 300.

반면, 선박(1) 내에서 배가스(G1)를 처리할 필요가 없어, 스크러버(3)도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크러버(3)에서 배출되는 폐세정수(A)가 없다. 또는, 스크러버(3)는 작동하되, 세정량이 적어, 폐세정수(A)의 양이 적어서 처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페세정수(A)는 응집조(200)로 공급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need to process the flue gas G1 in the vessel 1, and the scrubber 3 also does not operate. Therefore, there is no waste water (A) discharged from the scrubber (3). Alternatively, the scrubber 3 operates, but the cleaning amount is small, and the amount of waste cleaning water A is small, so there is no need to treat it. Therefore, the washed water (A) is not supplied to the coagulation tank (200).

즉, 부상조(300)로 밸라스트수(B)가 공급되면, 응집조(200)로 폐세정수(A)는 공급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서, 밸라스트수(B)의 이동을 위한 제1 공급라인(L1)은 개방되되, 폐세정수(A)의 이동을 위한 제2 공급라인(L2)은 차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공급라인(L1)의 밸브는 개방되고, 제2 공급라인(L2) 밸브는 폐쇄된다. 또한, 원수조(10)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원수조(10)로부터 폐세정수(A)를 유동시키는 펌프(P1)의 작동은 중지된다.That is, when the ballast water (B) is supplied to the floating tank (300), the waste cleaning water (A) is not supplied to the coagulation tank (200). To this end, the first supply line L1 for the movement of the ballast water B is open, but the second supply line L2 for the movement of the waste cleaning water A may be blocked. Specifically, the valve of the first supply line L1 is opened, and the valve of the second supply line L2 is closed. In addition, when the raw water tank 10 is provided, the operation of the pump P1 for flowing the waste water A from the raw water tank 10 is stopped.

밸라스트수(B)는 부상조(300)로 직접 공급된다. 밸라스트수(B)는 부상조(300) 등을 거쳐 살균 처리될 수 있다. Ballast water (B) is directly supplied to the floating tank (300). The ballast water B may be sterilized through the floating tank 300 or the like.

부상조(300)에는 오존기포가 공급될 수 있다. 즉, 용해조(510)에 오존이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용해조(510)에는 공기는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Ozone bubbles may be supplied to the floating tank 300. That is, ozone may be supplied to the dissolution tank 510. At this time, air may not be supplied to the dissolution tank 510.

따라서, 용해조(510)로 오존을 공급하기 위한 오존 밸브(Vo)는 개방된다. 또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밸브(Va)는 폐쇄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zone valve Vo for supplying ozone to the dissolution tank 510 is opened. In addition, the air valve Va for supplying air may be closed.

부상조(300)의 분리조로 집수된 피처리수는 여과모듈(400)을 거쳐 최종적인 처리수(TW)로서 배출될 수 있다. 처리수(TW)는 처리수조(20)에 집수되거나 해양에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처리수(TW)의 일부는 기포공급기(500), 특히 용해조(510)로 순환될 수 있다. 이 때, 처리수(TW)는 순환라인(CL)을 통해 용해조(510)로 유입될 수 있다. The water to be treated collected in the separation tank of the floating tank 300 may be discharged as final treated water TW through the filtration module 400. The treated water TW may be collected in the treatment tank 20 or discharged to the sea. 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treated water TW may be circulated to the bubble feeder 500, particularly the dissolution tank 510. In this case, the treated water TW may be introduced into the dissolution tank 510 through the circulation line CL.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의 다양한 기포공급기(500)를 나타낸 도면이다.9 to 11 are views showing various bubble feeders 500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기포공급기(500)는 용해조(510)와 기체제공부(520)를 포함하고, 기체제공부(520)는 컴프레셔(521a), 오존가압기(521b), 오존발생기(52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bubble supplier 500 includes a dissolution tank 510 and a gas supply unit 520, and the gas supply unit 520 includes a compressor 521a, an ozone pressurizer 521b, and an ozone generator 522. It may include.

도 9(a)를 참조하면, 공기 밸브(Va)가 개방되며, 컴프레셔(521a)가 작동하여 압축된 공기를 용해조(5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기포가 생성되어 부상조(3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는, 폐세정수(A)의 처리 시 이용될 수 있다. 오존 밸브(Vo)는 폐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함께 개방될 수도 있다. 오존 밸브(Vo) 개방에 대해서는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A, the air valve Va is opened, and the compressor 521a is operated to provide compressed air to the dissolution tank 510. In this case, air bubbles may be generated and supplied to the floating tank 300. This can be used in the treatment of waste water (A). The ozone valve Vo is shown as closed, but can also be opened together. The opening of the ozone valve Vo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B.

도 9(b)를 참조하면, 오존 밸브(Vo)가 개방되며, 오존발생기(522)에서 발생한 오존이 오존가압기(521b)에 의해 용해조(510)로 제공될 수 있다. 오존발생기(522)는 산소 또는 공기로부터 오존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존기포가 생성되어 부상조(3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는, 밸라스트수(B)의 처리 시 이용될 수 있다. 공기 밸브(Va)는 폐쇄되어 용해조(510)로 공기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B, the ozone valve Vo is opened, and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or 522 may be supplied to the dissolution tank 510 by the ozone pressurizer 521b. The ozone generator 522 may generate ozone from oxygen or air. Accordingly, ozone bubbles may be generated and supplied to the floating tank 300. This can be used in the treatment of ballast water (B). The air valve Va is closed so that air may not be provided to the dissolution tank 510.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에서의 컴프레셔(521a)와 오존가압기(521b)가 통합될 수 있다. 통합된 기기를 편의 상 컴프레셔(521c)라고 칭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compressor 521a and the ozone pressurizer 521b in FIG. 9 may be integrated. The integrated device will be referred to as a compressor 521c for convenience.

도 10(a)를 참조하면, 제1 밸브(V1)가 개방되고, 제2 밸브(V2)가 개방되면서, 컴프레셔(521c)가 가동되고 압축공기가 용해조(510)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제1 밸브(V1)와 제2 밸브(V2)가 모두 개방되어 오존발생기(522)에 의해 생성된 오존은 컴프레셔(521c)에 의해 용해조(510)로 제공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제1 밸브(V1)는 생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A, as the first valve V1 is opened and the second valve V2 is opened, the compressor 521c is operated and compressed air may be provided to the dissolution tank 510. Referring to FIG. 10(b), the first valve V1 and the second valve V2 are both open to provide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or 522 to the dissolution tank 510 by the compressor 521c. I can. If necessary, the first valve V1 may be omitted.

도 11을 참조하면, 기포공급기(500)는 용해조(510)와 미세기포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bubble supplier 500 may include a dissolution tank 510 and a microbubble pump.

도 11을 참조하면, 용해조(510)에 연결된 미세기포펌프(521d)는 처리수 순환라인(CL) 상에 설치되고, 처리수(TW)와 기체를 함께 제공받는다. 미세기포펌프(521d)는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여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a microbubble pump 521d connected to the dissolution tank 510 is installed on the treated water circulation line CL, and receives both treated water TW and gas. The microbubble pump 521d may generate microbubbles by forming a vortex therein.

도 11(a)를 참조하면, 미세기포펌프(521d)로 오존은 제공되지 않고, 공기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공기기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공기 밸브(Va)가 개방되고, 오존 밸브(Vo)는 폐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a), ozone is not provided to the microbubble pump 521d, but air is provided. Accordingly, air bubbles may be formed. At this time, the air valve Va is open and the ozone valve Vo may be closed.

도 11(b)를 참조하면, 미세기포펌프(521d)로 공기는 제공되지 않고, 오존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오존기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오존 밸브(Vo)가 개방되고, 공기 밸브(Va)는 폐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b), air is not provided to the microbubble pump 521d, but ozone is provided. Accordingly, ozone bubbles may be formed. At this time, the ozone valve Vo may be opened and the air valve Va may be closed.

도 11(c)를 참조하면, 처리수(TW)는 IA 입구를 통해 유입되고, 기체는 IB 입구를 통해 유입되며, 미세기포펌프(521d) 내에서 미세기포가 발생한다. 미세기포를 포함한 가압수는 OC 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c), the treated water TW flows in through the I A inlet, the gas flows in through the I B inlet, and micro-bubbles are generated in the micro-bubble pump 521d. Pressurized water including microbubbles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O C outlet.

이 밖에도, 기포공급기가 공기기포 및 오존기포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무엇이든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ny method in which the bubble supplier can selectively provide air bubbles and ozone bubbles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5 and 6 are views showing a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는 수문(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5 and 6,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s may further include a sluice gate 600.

수문(600)은 응집조(200)와 부상조(3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수문(600)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수문(600)의 상하 이동은 구동부(61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luice gate 60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locculation tank 200 and the flotation tank 300. The sluice gate 600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and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luice gate 600 may be performed by the driving unit 610.

수문(600)이 하강한 상태에 있으면 수문(600)은 폐쇄되어, 응집조(200)와 부상조(300) 사이의 피처리수 통로는 폐쇄된다. 수문(600)이 상승하면 수문(600)은 개방되어 응집조(200)와 부상조(300) 사이의 피처리수 통로는 개방된다. 이 경우, 응집조(200)에서 부상조(300)로 피처리수가 이동할 수 있다. When the sluice gate 600 is in a lowered state, the sluice gate 600 is closed, and the water passage between the coagulation tank 200 and the floating tank 300 is closed. When the sluice gate 600 rises, the sluice gate 600 is opened so that the water passage between the coagulation tank 200 and the floating tank 300 is opened. In this case, the water to be treated may move from the coagulation tank 200 to the floating tank 300.

도 5를 참조하면, 폐세정수(A)가 응집조(200)로 유입되며, 부상조(300) 등을 거쳐 정화처리되는데, 수문(600)은 개방된다. 따라서, 폐세정수(A)는 응집조(200)에서 응집된 후에 부상조(300)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기포가 사용되며, 오존기포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Referring to Figure 5, the waste water (A) is introduced into the coagulation tank 200, there is purification through the floating tank 300, etc., the sluice gate 600 is opened. Accordingly, the waste cleaning water (A) can be moved to the flotation tank 300 after agglomeration in the flocculation tank 200. Here, air bubbles are used, and ozone bubbles may not be used. This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6을 참조하면, 밸라스트수(B)가 부상조(300)로 유입되며, 부상조(300) 등을 거쳐 살균처리되는데, 수문(600)은 폐쇄된다. 따라서, 응집조(200)에서의 피처리수와 부상조(300)의 피처리수는 서로 격리되며, 부상조(300)로 공급된 밸라스트수(B)는 응집조(200)로 역류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오존기포가 사용되며, 공기기포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6, ballast water (B) is introduced into the floating tank 300, and sterilized through the floating tank 300, and the sluice gate 600 is closed. Therefore, the water to be treated in the flocculation tank 200 and the water to be treated in the flotation tank 300 are isolated from each other, and the ballast water B supplied to the flotation tank 300 does not flow back to the flocculation tank 200. I can't. Here, ozone bubbles are used, and air bubbles may not be used. This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한편, 상술한 밸브들, 펌프, 수문 등의 조작은 제어부를 통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above-described valves, pumps, sluice gates, etc. may be automatically op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7 and 8 are views showing a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에서는 멤브레인 구조체(430)의 역세가 이루어질 수 있다. 멤브레인 구조체(430)의 역세가 이루어지는 경우 펌프(P6)의 작동은 멈추고, 때문에 피처리수가 멤브레인 구조체(430)를 통과하지 않을 수 있다. In FIGS. 7 and 8, the membrane structure 430 may be backwashed. When backwashing of the membrane structure 430 is performed, the operation of the pump P6 is stopped, and therefore, water to be treated may not pass through the membrane structure 430.

한편, 용해조(510)로부터 연장되는 기포라인(530)의, 분리조로 연결되는 서브라인(532)으로는 공기기포 또는 오존기포(AB)가 이동하여 분리조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기포 또는 오존기포(AB)는 멤브레인 구조체(430)의 멤브레인과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멤브레인에 부착되어 있던 오염물질은 공기기포 또는 오존기포(AB)의 작용에 의해 멤브레인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즉, 멤브레인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브라인(532)의 노즐은 멤브레인 구조체(430)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Meanwhile, air bubbles or ozone bubbles AB of the bubble line 530 extending from the dissolution tank 510 may be moved to the sub-line 532 connected to the separation tank and discharged to the separation tank. Air bubbles or ozone bubbles AB may contact the membrane of the membrane structure 430. In this case,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membrane may be separated from the membrane by the action of air bubbles or ozone bubbles (AB). That is, the membrane can be washed. To this end, the nozzle of the subline 532 may be located under the membrane structure 430.

멤브레인 구조체(430)의 세척 결과 발생한 오염물질은 스키머(320)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기포 또는 오존기포가 서브라인(531)을 통해서도 배출될 수 있다. 단, 멤브레인 구조체(430)의 세척과, 스키머(320) 작동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제한은 없다. Contaminants generated as a result of washing the membrane structure 430 may be removed by the skimmer 320. For this, air bubbles or ozone bubbles may also be discharged through the sub-line 531. However, the washing of the membrane structure 430 and the operation of the skimmer 320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and there is no limitation thereto.

멤브레인 구조체(430)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동안, 폐세정수(A)와 밸라스트수(B)의 처리는 중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폐세정수(A)의 공급을 중단하기 위해 제2 공급라인(L2)이 폐쇄되고, 밸라스트수(B)의 공급을 중단하기 위해 제1 공급라인(L1)도 폐쇄될 수 있다. While the membrane structure 430 is being cleaned, the treatment of the waste cleaning water A and the ballast water B may be stopped. Referring to Figure 7, the second supply line (L2) is closed to stop the supply of waste water (A), the first supply line (L1) is also closed to stop the supply of ballast water (B). Can be.

도 7은 도 2 내지 도 4와 대응되며, 도 8은 도 5 및 도 6과 대응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It can be understood that FIG. 7 corresponds to FIGS. 2 to 4, and FIG. 8 corresponds to FIGS. 5 and 6.

즉, 도 8을 참조하면, 멤브레인 구조체(430)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동안 수문(600)이 폐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 7과 동일한 방식으로 멤브레인 구조체(430)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8, the sluice gate 600 may be closed while the membrane structure 430 is being washed. Even in this case, the membrane structure 430 may be clean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7.

한편, 멤브레인 구조체(430)의 세척은 공기기포 또는 오존기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도 7과 같이 공기기포와 오존기포가 함께 사용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공기기포만 사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mbrane structure 430 may be cleaned by air bubbles or ozone bubbles, but the air bubbles and ozone bubbles need not be used together as shown in FIG. 7. For example, only air bubbles may be used as shown in FIG. 8.

멤브레인 구조체(430)의 세척이 완료되면, 제1 공급라인(L1)과 제2 공급라인(L2)이 정상적으로 개방되어, 상술한 수처리 공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washing of the membrane structure 430 is completed, the first supply line L1 and the second supply line L2 are normally opened, so that the above-described water treatment process can be performed normally.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and expression of the embodiments explicitly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added once again tha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due to obvious changes or substitution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1: 선박
2: 엔진
3: 스크러버
4: 밸라스트수 탱크
L1: 제1 공급라인
L2: 제2 공급라인
GL: 배가스 라인
SL: 해수 라인
TL: 처리수 라인
10: 원수조
20: 처리수조
100: 혼화기
200: 응집조
300: 부상조
400: 여과모듈
500: 기포공급기
510: 용해조
520: 기체제공부
600: 수문
1: ship
2: engine
3: scrubber
4: ballast water tank
L1: first supply line
L2: 2nd supply line
GL: flue gas line
SL: seawater line
TL: treated water line
10: original water tank
20: treatment tank
100: blender
200: flocculation tank
300: Injury Team
400: filtration module
500: bubble feeder
510: melting tank
520: gas supply unit
600: sluice gate

Claims (7)

선박에 설치되는 응집조;
상기 응집조 후단에 마련되는 부상조;
상기 선박의 밸라스트수 탱크로부터 밸라스트수를 상기 부상조로 공급하는 제1 공급라인;
상기 선박에 설치된 스크러버로부터 발생한 폐세정수를 상기 응집조로 공급하는 제2 공급라인; 및
상기 부상조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공급기를 포함하고,
밸라스트수가 상기 부상조로 공급되면, 상기 기포공급기는 오존기포를 공급하는,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A flocculation tank installed on the ship;
A floating tank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coagulation tank;
A first supply line for supplying ballast water from the ballast water tank of the ship to the floating tank;
A second supply line for supplying waste water generated from the scrubber installed on the ship to the coagulation tank; And
It includes a bubble supplier for supplying bubbles to the floating tank,
When ballast water is supplied to the floating tank, the bubble supplier supplies ozone bubbles,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ozone bubbles.
제1항에 있어서,
밸라스트수가 상기 부상조로 공급되면,
상기 제2 공급라인이 차단되고,
폐세정수가 상기 응집조로 공급되면,
상기 제1 공급라인은 차단되는,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ballast water is supplied to the floating tank,
The second supply line is blocked,
When waste water is supplied to the coagulation tank,
The first supply line is blocked,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ozone bubbles.
제2항에 있어서,
폐세정수가 상기 응집조로 공급되면,
상기 기포공급기는 공기기포를 공급하는,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n waste water is supplied to the coagulation tank,
The bubble supplier supplies air bubbles,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ozone bubbl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공급기는 용해조를 포함하고,
상기 부상조로 밸라스트수가 유입되면, 상기 용해조로 오존이 공급되고,
상기 응집조로 폐세정수가 유입되면, 상기 용해조로 공기가 공급되는,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bubble supplier includes a dissolution tank,
When ballast water flows into the floating tank, ozone is supplied to the dissolution tank,
When wast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coagulation tank, air is supplied to the dissolution tank,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ozone bubbl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조와 상기 부상조 사이에 설치되는 수문을 더 포함하고,
폐세정수가 상기 응집조로 유입되면, 상기 수문이 개방되고,
밸라스트수가 상기 부상조로 유입되면, 상기 수문이 폐쇄되는,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sluice gate installed between the coagulation tank and the floating tank,
When wast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coagulation tank, the sluice gate is opened,
When ballast water flows into the floating tank, the sluice gate is closed,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ozone bubb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조 내에 설치되는 여과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상조 내에 수용된 밸라스트수 또는 폐세정수는 상기 여과모듈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ltr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floating tank,
Ballast water or waste wash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floating tank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ltration module,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ozone bubbl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공급기는 상기 여과모듈 측으로 기포를 공급하는,
오존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bubble feeder supplies bubbles to the filtration module side,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ozone bubbles.
KR1020190108532A 2019-09-03 2019-09-03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 KR1022924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532A KR102292402B1 (en) 2019-09-03 2019-09-03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532A KR102292402B1 (en) 2019-09-03 2019-09-03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739A true KR20210027739A (en) 2021-03-11
KR102292402B1 KR102292402B1 (en) 2021-08-20

Family

ID=75143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532A KR102292402B1 (en) 2019-09-03 2019-09-03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40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069A (en) * 2021-09-29 2023-04-05 현대제철 주식회사 Integrated water treatment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9847A (en) * 2006-04-25 2007-11-08 Fuso Kensetsu Kogyo Kk Raw tap water purification method and its apparatus
KR101339741B1 (en) * 2011-03-25 2013-12-11 (주)미시간기술 Water disposal apparatus and process for eliminating contaminating materials in wastewater.
KR102015090B1 (en) * 2016-03-08 2019-08-27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Drainage treatment method and drainage treatment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9847A (en) * 2006-04-25 2007-11-08 Fuso Kensetsu Kogyo Kk Raw tap water purification method and its apparatus
KR101339741B1 (en) * 2011-03-25 2013-12-11 (주)미시간기술 Water disposal apparatus and process for eliminating contaminating materials in wastewater.
KR102015090B1 (en) * 2016-03-08 2019-08-27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Drainage treatment method and drainage treatmen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069A (en) * 2021-09-29 2023-04-05 현대제철 주식회사 Integrated water treat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402B1 (en)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946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ballast water and ship mounted the same
KR100946544B1 (en) Appartus for treating ship ballast water
US7704390B2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JP5292474B2 (en) Antifouling system using ballast w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50236327A1 (en) Wastewater treatment
JP2014512995A (en) System for treating ballast water in ballast tanks
JP5537582B2 (en) Ballast water purification device, ship and ballast water purification method
JP4538404B2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water pollution organism recovery ship, and water pollution organism treatment method
KR101886649B1 (en) Movable Ship for Removing Algae Using the Microbubbles
CN108218047B (en) Ocean vessel ballast water treatment barge for harbor operation
KR101757766B1 (en) High efficiency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co2 and ozone micro-bubbles and treatment method thereof
KR101627642B1 (en) Highly water treatment system
KR20110070647A (en) Combined dissolved air flotation and submerged membrane device and method using waste air reuse and such device
KR102292402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ozone bubble
WO2005061388A1 (en)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KR20200003088A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Ship
WO2007119385A1 (en) Membrane treatment method and membrane treatment equipment employing membrane module
KR101842450B1 (en) Continuous circulating wastewater reusing system using ceramic membrane
KR20140105150A (en) Multipurpose prevention ship for marine pollution
KR20100062131A (en) Ballast water supplying apparatus and ship wiht the same
KR101050396B1 (en) Device for injecting ozone into ballast water for a ship
WO2005061396A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101148753B1 (en) Method of membrane treatment for ship ballast water
KR101639072B1 (en) Apparatus for removing pollutant in water using charged micro bubbles
CN103459246A (en) Ship and ballast water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