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289A -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시스템에 사용 가능한 유체 유동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시스템에 사용 가능한 유체 유동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289A
KR20210027289A KR1020207037654A KR20207037654A KR20210027289A KR 20210027289 A KR20210027289 A KR 20210027289A KR 1020207037654 A KR1020207037654 A KR 1020207037654A KR 20207037654 A KR20207037654 A KR 20207037654A KR 20210027289 A KR20210027289 A KR 20210027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valve
movable
filled container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0272B1 (ko
Inventor
아론 비 위스트
티모시 피 홉킨스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to KR1020237024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3836A/ko
Publication of KR20210027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6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tubes or pipes or tubular shaped cushion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8Resilient uppers, e.g. shock absorbing
    • A43B23/029Pneumatic upper, e.g. gas filled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풋웨어 물품(1000, 2000, 3000, 4000, 5000)을 위한 발 지지 시스템(100, 6000)은, 제1 풋웨어 구성요소(1002, 1004, 1010); 제1 풋웨어 구성요소와 맞물리는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102)로서, 제1 압력의 가스를 포함하는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제1 풋웨어 구성요소 또는 제2 풋웨어 구성요소(1002, 1004, 1010)와 맞물리는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104)로서, 제2 압력의 가스를 포함하는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및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102)를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104)와 유체 연통하도록 배치하는 제1 유체 이송 라인(106)을 포함한다. 밸브(140, 540)는 제1 유체 이송 라인(106)에 위치하거나 연결되고, 이러한 밸브(140, 540)는, (i)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144, 560S)을 포함하는 고정 밸브부(142, 560), 및 (ii)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144, 560S)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가동 밸브부(146, 580)를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160, 500, 550)은 밸브(140, 540)를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변경하도록 구성되며, 그에 따라 제2 압력이 제1 압력보다 높을 때, 제어 시스템(160, 500, 550)은, (a) 밸브(140, 540)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가스가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104)로부터 제1 유체 이송 라인(106) 및 밸브(140, 540)를 통해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102) 내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거나, (b) 밸브(140, 540)를 개방 상태로 이동시키고, 유체가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104)로부터 제1 유체 이송 라인(106) 및 밸브(140, 540)를 통해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102) 내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하다. 또한, 제1 압력이 제2 압력보다 적어도 제1 사전결정된 양만큼 높을 때,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102)로부터의 가스는, (a) 가동 밸브부(146, 580)가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144, 560S)과 비접촉하도록 이동하게 하고, (b)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102)로부터 밸브(140, 540) 및 제1 유체 이송 라인(106)을 통해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104) 내로 이동한다.

Description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시스템에 사용 가능한 유체 유동 제어 장치
관련 출원 데이터
본 출원은 2018년 5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678,635호에 기초한 우선권 이익을 주장한다.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678,635호는 전체적으로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 및 특징은 2017년 2월 2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59호; 2017년 2월 2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92호; 및 2017년 8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547,941호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59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92호 및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547,941호 각각은 전체적으로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풋웨어 또는 다른 발-수용 장치 분야의 발 지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양태는 발 지지 부분의 경도(hardness) 또는 견고도(firmness)를 변경하기 위한 시스템 및/또는 발 지지 시스템/풋웨어의 다양한 부분들 사이에서 유체(가스)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풋웨어 물품을 위한 발 지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밸브(예를 들어, 체크 밸브)의 크랙 압력(crack pressure)을 변경 및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및/또는 2개의 상이한 밑창 구조체(예를 들어, 한 쌍의 상이한 신발 밑창, 동일한 사용자를 위한 나중에 제조된 신발 쌍(이전 쌍과 일치하는 지지 특징부를 가짐) 등)에서 발 지지 압력 특징부를 일치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운동용 풋웨어 물품은 2개의 주요 요소, 즉 갑피(upper) 및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갑피는 밑창 구조체에 대해 발을 고정적으로 수용하여 위치시키는, 발을 위한 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갑피는 발을 보호하고 환기를 제공하고, 이에 의해 발을 냉각시키고 땀을 제거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밑창 구조체는 갑피의 하부면에 고정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발과 임의의 접촉면 사이에 위치한다. 지면 반력을 감쇠시키고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에 부가하여, 밑창 구조체는 트랙션(traction)을 제공하고, 과회내(over pronation)와 같은 잠재적으로 유해한 발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갑피는 발을 수용하기 위해 풋웨어의 내부에 공동(void)을 형성한다. 공동은 발의 일반적인 형상을 가지며, 공동에 대한 접근이 발목 개구(ankle opening)에서 제공된다. 따라서, 갑피는 발의 발등 및 발가락 영역 위로, 발의 내측부 및 외측부를 따라, 발의 뒤꿈치 영역 주위로 연장된다. 끈 시스템(lacing system)은 종종 갑피에 합체되어, 사용자가 발목 개구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변경하게 하고, 사용자가 갑피의 특정 치수, 특히 둘레치수(girth)를 변경하여 다양한 비율을 갖는 발을 수용하게 한다. 또한, 갑피는 풋웨어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예를 들어, 끈에 의해 발에 인가되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끈 시스템 아래로 연장되는 텅(tongue)을 포함할 수 있고, 갑피는 또한 뒤꿈치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힐 카운터(heel counter)를 포함할 수 있다.
"풋웨어"는, 그러한 용어가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발을 위한 임의의 유형의 의복(wearing apparel)을 의미하며, 이러한 용어는 모든 유형의 신발, 부츠, 스니커즈, 샌들, 쏭(thongs), 플립-플롭(flip-flops), 뮬(mules), 스커프(scuffs), 슬리퍼, 스포츠-특정 신발(예컨대, 골프화, 테니스화, 야구화(baseball cleats), 축구화(soccer cleats) 또는 풋볼화(football cleats), 스키 부츠, 농구화, 크로스 트레이닝화(cross training shoes) 등)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수용 장치"는, 그러한 용어가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발의 적어도 일부분을 배치하는 임의의 장치를 의미한다. 모든 유형의 "풋웨어"에 부가하여, 발-수용 장치는 스노우 스키, 크로스 컨트리 스키, 수상 스키, 스노우보드 등에 발을 고정시키기 위한 바인딩(binding) 및 다른 장치; 자전거, 운동 장비 등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페달에 발을 고정시키기 위한 바인딩, 클립(clip) 또는 다른 장치; 비디오 게임 또는 다른 게임의 플레이 동안에 발을 수용하기 위한 바인딩, 클립 또는 다른 장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수용 장치"는 다른 구성요소 또는 구조체에 대해 발을 위치시키는 것을 돕는 하나 이상의 "발 커버 부재"(예를 들어, 풋웨어 갑피 구성요소와 유사), 및 사용자 발의 발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분(들)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발-지지 부재"(예를 들어, 풋웨어 밑창 구조체 구성요소와 유사)를 포함할 수 있다. "발-지지 부재"는 풋웨어 물품을 위한 중창(midsole) 및/또는 겉창(outsole)으로서 기능하는 구성요소 및/또는 이를 위한 구성요소(또는 비풋웨어 유형의 발-수용 장치에서 대응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명의 내용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부의 일반적인 개념을 단순화된 형태로 소개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발명의 내용은 본 발명의 주요 특징 또는 본질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양태는, 예를 들어 하기에서 설명되고/되거나 청구된 유형, 및/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유형의 발 지지 시스템, 풋웨어 물품, 및/또는 다른 발-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발 지지 시스템, 풋웨어 물품 및/또는 다른 발-수용 장치는 하기에서 설명되고/되거나 청구된 예 및/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예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구조체, 부품, 특징, 특성, 및/또는 구조체, 부품, 특징 및/또는 특성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밸브(예를 들어, 체크 밸브)의 크랙 압력을 변경 및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및/또는 2개의 상이한 밑창 구조체(예를 들어, 한 쌍의 상이한 신발 밑창, 동일한 사용자를 위한 나중에 제조된 신발 쌍(이전 쌍과 일치하는 지지 특징부를 가짐) 등)에서 발 지지 압력 특징부를 일치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발 지지 시스템 및 이들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의 측면에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이와 같은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발 지지 시스템 및/또는 풋웨어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또는 이와 같은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발 지지 시스템 및/또는 풋웨어 물품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명의 내용뿐만 아니라, 하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 도면과 함께 고려될 때 보다 잘 이해될 것이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해당 참조 번호가 나타나는 모든 다양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예에 따른, 유체 용기(예를 들어, 유체-충전식 블래더), 및 풋웨어 물품 내 유체 용기들 사이에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체 유동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예에 따른, 다양한 유체 용기들 사이에서 유체를 이동시키는 풋웨어 물품을 위한 발 지지 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3a 내지 도 3d는 다양한 작동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른 유체 유동 제어기 및 밸브 구조체를 도시하고;
도 4a 내지 도 4d는 다양한 작동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유체 유동 제어기 및 밸브 구조체를 도시하고;
도 5a 내지 도 7b는 다양한 작동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부 예 및 양태에 따른 유체 유동 제어기, 밸브 구조체, 및/또는 가변 및/또는 조정 가능한 밸브 구조체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풋웨어 구조체 및 구성요소의 다양한 예에 대한 하기의 설명에서,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본 발명의 양태가 실시될 수 있는 다양한 예시적인 구조체 및 환경을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이 참조된다. 다른 구조체 및 환경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구체적으로 설명된 구조체 및 방법에 대한 구조적 및 기능적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I. 본 발명의 양태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태는, 예를 들어 하기에서 설명되고/되거나 청구된 유형, 및/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유형의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발 지지 시스템, 풋웨어 물품, 및/또는 다른 발-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발 지지 시스템, 풋웨어 물품 및/또는 다른 발-수용 장치는 하기에서 설명되고/되거나 청구된 예 및/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예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구조체, 부품, 특징, 특성, 및/또는 구조체, 부품, 특징 및/또는 특성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 따른 풋웨어 물품 내의 발 지지 시스템은 발 지지 부분의 경도 또는 견고도를 변경하기 위한 시스템 및/또는 발 지지 시스템의 다양한 부분들 사이에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발 지지 시스템은 유체 유동 조절기 및/또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유체 유동 조절기 및/또는 밸브는, (a) 발 지지 시스템/풋웨어 물품에서 제1 유체 용기와 제2 유체 용기 사이의 유체 이송을 정지시키는 정지 밸브(stop valve)로서 작동할 수 있고, (b) 제2 유체 용기로부터 제1 유체 용기로의 유체 이송을 허용하도록 제어된 방식으로 개방될 수 있고, (c) 제1 및 제2 유체 용기 내의 압력을 균등화하도록 개방될 수 있으며, (d) 제1 용기 내의 가스 압력이 사전결정된 양만큼 제2 용기 내의 가스 압력을 초과할 때/초과하는 경우 제1 유체 용기로부터 제2 유체 용기로의 유체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체크 밸브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예시적인 발 지지 시스템 및/또는 풋웨어 물품은, (a) 제1 풋웨어 구성요소; (b) 제1 풋웨어 구성요소와 맞물리는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서, 제1 압력의 가스를 포함하는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c) 제1 풋웨어 구성요소 또는 제2 풋웨어 구성요소와 맞물리는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서, 제2 압력의 가스를 포함하는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d)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를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와 유체 연통하도록 배치하는 제1 유체 이송 라인; (e) 제1 유체 이송 라인에 위치하거나 연결된 밸브로서, 밸브는,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을 포함하는 고정 밸브부, 및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가동 밸브부를 포함하는, 밸브; 및
(f) 밸브를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변경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제2 압력이 제1 압력보다 높을 때, 제어 시스템은, (a) 밸브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가스가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부터 제1 유체 이송 라인 및 밸브를 통해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내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거나, (b) 밸브를 개방 상태로 이동시키고, 유체가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부터 제1 유체 이송 라인 및 밸브를 통해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내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하다. 제1 압력이 제2 압력보다 적어도 제1 사전결정된 양만큼 높을 때,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부터의 가스는, (a) 가동 밸브부가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과 비접촉하도록 이동하게 하고, (b)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부터 밸브 및 제1 유체 이송 라인을 통해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내로 이동한다. 제1 유체 이송 라인은 1개, 2개, 또는 그 초과의 구성요소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예시적인 발 지지 시스템 및/또는 풋웨어 물품은, (a) 제1 풋웨어 구성요소; (b) 제1 풋웨어 구성요소와 맞물리는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c) 제1 풋웨어 구성요소 또는 제2 풋웨어 구성요소와 맞물리는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d)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를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와 유체 연통하도록 배치하는 제1 유체 이송 라인; (e) 제1 유체 이송 라인에 위치하거나 연결된 밸브로서, 밸브는, (i) 유체가 밸브 및 제1 유체 이송 라인을 통해 유동하는 개방 상태와, (ii) 제1 유체 이송 라인을 통한 유체 유동이 밸브에 의해 정지되는 폐쇄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고, 밸브는,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을 포함하는 고정 밸브부, 및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가동 밸브부를 포함하는, 밸브; 및
(f) 밸브를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변경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할 것이다. 제어 시스템은 전술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a) 제1 단부 및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갖는 유체 라인으로서, 유체 라인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부면을 한정하고, 내부면은 유체가 관통 유동할 내부 챔버를 한정하는, 유체 라인; (b) 유체 라인의 내부면과 밀봉식으로 맞물리는 고정 밸브부로서,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을 포함하는 고정 밸브부; (c)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가동 밸브부로서, 적어도 자기 흡인성 재료로 제조된 부분을 포함하는 가동 밸브부; (d) 유체 라인의 내부 챔버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자석; 및 (e) (예를 들어, 자석과 가동 밸브부 사이의 물리적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 전자석의 전류 설정을 변경하는 것, 자석을 변경하는 것 등에 의해) 가동 밸브부에 입사되는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밸브(적어도 고정 밸브부 및 가동 밸브부에 의해 형성됨)의 크랙 압력이 수정, 변경 및/또는 제어되게 할 수 있다.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풋웨어 물품(예를 들어, 풋웨어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갑피 및/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합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양태는 체크 밸브의 크랙 압력을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a) 제1 단부 및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갖는 유체 라인으로서, 유체 라인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부면을 한정하고, 내부면은 유체가 관통 유동할 내부 챔버를 한정하는, 유체 라인; (b) 유체 라인의 내부면과 밀봉식으로 맞물리는 고정 밸브부로서,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을 포함하는 고정 밸브부; (c)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가동 밸브부로서, 적어도 자기 흡인성 재료로 제조된 부분을 포함하는 가동 밸브부; 및 (d)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동 밸브부에 편향력을 인가하는 편향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체크 밸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성에서, 체크 밸브의 가동 밸브부는 가동 밸브부가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으로부터 안착 해제되고 유체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유동하게 할 제1 크랙 압력을 설정하기 위해 제1 자기장 강도에 노출된다. 다음에, 제1 구성은 제1 자기장 강도가 제1 자기장 강도와는 상이한 제2 자기장 강도로 변경되는 제2 구성으로 변경된다. 이러한 변경은 가동 밸브부를 제2 자기장 강도에 노출시키고, 체크 밸브 크랙 압력을 제1 크랙 압력으로부터, 가동 밸브부가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으로부터 안착 해제되고 유체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유동하게 할 제2 크랙 압력으로 변경하며, 제2 크랙 압력은 제1 크랙 압력과 상이할 것이다. 자기장 강도에 대한 다른 변경이 추가적인 상이한 크랙 압력 레벨을 설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자기장 강도는, 예를 들어 가동 밸브부에 대한 자석(예를 들어, 영구 자석)의 물리적 위치를 변경하는 것(예를 들어, 자석을 트랙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 다이얼로 자석을 회전시키는 것 등); 하나의 자석을 상이한 자기장 강도의 상이한 자석으로 교체하는 것; 자석과 가동 밸브부 사이에 위치하는 실드 재료의 양(예를 들어, 두께) 또는 유형을 변경하는 것; 전자석에 대한 전류를 변경하는 것 등을 포함하여,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 양태는 신발 밑창에 대한 발 지지 압력을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1) 한 쌍의 신발 밑창 중 제1 밑창의 제1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의 제1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2) 한 쌍의 신발 밑창 중 제2 밑창의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는 조정 가능한 밸브를 통해 유체 공급원에 연결되고, 조정 가능한 밸브는, (a)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을 포함하는 고정 밸브부, 및 (b)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가동 밸브부를 가지며, 가동 밸브부는 적어도 자기 흡인성 재료로 제조된 부분을 포함하는, 단계;
(3) 자기장 강도, 가동 밸브부에 대한 자석의 물리적 위치, 또는 제1 압력으로부터 사전결정된 범위 내에 있는 제2 압력으로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의 발 지지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조정 가능한 밸브의 크랙 압력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들 양태는 한 쌍의 신발 밑창에 대한 발 지지 압력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1) 한 쌍의 신발 밑창 중 제1 밑창의 제1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의 제1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제1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는 제1 조정 가능한 밸브를 통해 제1 유체 공급원에 연결되고, 제1 조정 가능한 밸브는, (a) 제1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고정 밸브부, 및 (b) 제1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제1 가동 밸브부를 가지며, 제1 가동 밸브부는 자기 흡인성 재료로 제조된 제1 부분을 포함하는, 단계;
(2) 한 쌍의 신발 밑창 중 제2 밑창의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의 제2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는 제2 조정 가능한 밸브를 통해 제2 유체 공급원에 연결되고, 제2 조정 가능한 밸브는, (a) 제2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을 포함하는 제2 고정 밸브부, 및 (b) 제2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 가동 밸브부를 가지며, 제2 가동 밸브부는 자기 흡인성 재료로 제조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단계;
(3) 제1 자기장 강도, 제1 가동 밸브부에 대한 제1 자석의 물리적 위치, 또는 제1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를 제1 발 지지 압력의 제1 사전결정된 범위 내에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제1 조정 가능한 밸브의 제1 크랙 압력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제1 전자석에 공급되는 제1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및
(4) 제2 자기장 강도, 제2 가동 밸브부에 대한 제2 자석의 물리적 위치, 또는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를 제2 사전결정된 범위 내에, 선택적으로 제1 발 지지 압력의 제2 사전결정된 범위 내에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제2 조정 가능한 밸브의 제2 크랙 압력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제2 전자석에 공급되는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 제공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 따른 특징, 양태, 구조체, 프로세스 및 배열의 일반적인 설명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특정의 예시적인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발 지지 구조체, 풋웨어 물품 및 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이 후술된다.
II.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풋웨어 물품, 발 지지 시스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및 다른 구성요소/특징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
도면 및 하기의 논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유체 유동 제어 장치 및 발 지지 시스템의 다양한 예가 설명된다. 본 발명의 양태는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59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92호 및/또는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547,941호에 설명된 발 지지 시스템, 풋웨어 물품(또는 다른 발-수용 장치) 및/또는 방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일부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본원에 설명된 유형의 유체 유동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59호 및/또는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92호에 설명된 바와 같은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108), 제어 밸브/스위치(108S, 108A), 정지부(108B, 108M) 및/또는 입력 시스템(108I)중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547,941호에 설명된 밸브 중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59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92호 및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547,941호 각각, 및 특히 전술한 다양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체적으로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예에 따른 풋웨어 물품(1000 내지 5000)을 위한 발 지지 시스템(100)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풋웨어 물품(1000 내지 5000)은 예를 들어 풋웨어 분야에서 공지 및 사용되는 바와 같은 종래의 풋웨어 갑피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부분으로 제조된 갑피(1002)를 포함할 수 있다. 갑피(1002)는 또한, 풋웨어 분야에서 공지 및 사용되는 바와 같은 종래의 풋웨어 밑창 구조체 부분(예를 들어, 중창, 겉창 등)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부분으로 제조될 수 있는 밑창 구조체(1004)와 맞물릴 수 있다. 풋웨어 갑피(1002), 풋웨어 밑창 구조체(1004), 그의 구성요소 부분, 및/또는 풋웨어 물품의 구성요소 부분의 임의의 조합은 본원에서 "풋웨어 구성요소"로 지칭되고 참조 번호 1010으로 식별될 수 있다.
도 1a는 풋웨어 물품(1000)을 위한 풋웨어 구성요소(1010)와 맞물리는 발 지지 시스템(100)을 갖는 풋웨어 물품(10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예의 발 지지 시스템(100)은 제1 풋웨어 구성요소(1010)와 맞물리는 제1 유체 용기(102)(예를 들어, 유체-충전식 블래더 또는 다른 용기)를 포함한다. 착용자 발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유체-충전식 블래더를 구성할 수 있는 이러한 제1 유체 용기(102)는 제1 압력의 가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의 발 지지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동일한 풋웨어 구성요소(1010) 또는 상이한 풋웨어 구성요소와 맞물리는 제2 유체 용기(104)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제2 유체 용기(104)는 선택적으로 착용자 발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기 위한 유체-충전식 블래더를 구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2 유체 용기(104)는, 제1 유체 용기(102)에 가스를 공급하고 제1 유체 용기(102)로부터 가스를 받아들여 제1 유체 용기(102)(및 제2 유체 용기(104)) 내의 압력의 변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리저버(reservoir) 또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유체 용기(104)는 제2 압력의 가스를 포함하고, 이러한 제2 압력은 제1 압력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1 유체 이송 라인(106)은 제1 유체 용기(102)를 제2 유체 용기(104)와 유체 연통하도록 배치한다. 이러한 제1 유체 이송 라인(106)은 예를 들어 유체 용기(102) 및/또는 유체 용기(104)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와 맞물리거나 일체로 형성된 플라스틱 튜브를 구성할 수 있다. 유동 조절기(120)가 제1 유체 이송 라인(106)에 제공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유동 조절기(120)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140)를 포함한다. 유동 조절기(120) 및 밸브(140)는, (a) 유체가 유동 조절기(120)/밸브(140)를 통해, 그리고 제1 유체 이송 라인(106)을 통해 유동하는 개방 상태와, (b) 제1 유체 이송 라인(106)을 통한 유체 유동이 유동 조절기(120)/밸브(140)에 의해 정지되는 폐쇄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유동 조절기(120)/밸브(140) 구조체 및 작동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예 및 세부사항은 도 3a 내지 도 4c와 관련하여 하기에서 설명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풋웨어 물품(1000)은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유동 조절기(120)/밸브(140)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160)을 더 포함한다. 다른 옵션이 가능하지만, 이러한 도시된 예시적인 풋웨어 물품(1000)에서, 제어 시스템(160)은 제1 위치(164)(본원에서는 "활성화 위치"로도 불림)로부터 제2 위치(166)(파선으로 도시되고, 본원에서는 "비활성화 위치"로도 불림)로 이동 가능한 자석(162)을 포함한다. 자석(162)은 제1 위치(164)와 제2 위치(166) 사이에서 자석(162)을 이동시키는 가동(예를 들어, 회전 가능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이동 가능한) 베이스(168) 상에 장착될 수 있다. 가동 베이스(168)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스위치(예를 들어, 회전 다이얼 유형 스위치 등) 또는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장치(휴대 전화 앱 또는 다른 전자 장치와 같은 전자 입력 시스템(170)에 의해 전송된 명령 하에서 이동 가능함)일 수 있다.
제1 위치(164)에 있을 때, 자석(162)은 유동 조절기(120) 및/또는 밸브(140)의 일부와 상호 작용하여, 예를 들어 유동 조절기(120) 및/또는 밸브(140)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 상태를 생성 및/또는 유지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제2 위치(166)에 있을 때, 자석(162)은 유동 조절기(120) 및/또는 밸브(140)가 (예를 들어, 유동 조절기(120) 및/또는 밸브(140)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편향력에 응답하여) 폐쇄 상태에 배치 및 유지되게 하도록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유동 조절기(120) 및/또는 밸브(140)의 부분으로부터 충분히 제거될 수 있다.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유동 조절기(120) 및/또는 밸브(140)를 변경하는 예는 도 3a 내지 도 4c와 관련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적어도 일부의 예시적인 시스템 및 방법에서, 제2 압력(제2 유체 용기(104))이 (제1 유체 용기(102) 내의) 제1 압력보다 높을 때, 제어 시스템(160)은, (a) 유동 조절기(120)/밸브(140)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가스가 제2 유체 용기(104)로부터 제1 유체 이송 라인(106) 및 유동 조절기(120)/밸브(140)를 통해 제1 유체 용기(102) 내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거나(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 자석(162)은 유체 유동을 정지시키도록 비활성화 위치(166)에 있을 수 있음), (b) 유동 조절기(120)/밸브(140)를 개방 상태로 이동시키고, 유체가 제2 유체 용기(104)로부터 제1 유체 이송 라인(106) 및 유동 조절기(120)/밸브(140)를 통해 제1 유체 용기(102) 내로 이동하게 하도록(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 자석(162)은 이러한 유체 유동이 일어나게 하도록 활성화 위치(164)에 있을 수 있음)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하다. 제어 시스템(160)이 유동 조절기(120) 및/또는 밸브(140)를 충분한 기간 동안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예를 들어, 자석(162)이 활성화 위치(164)에 있는 경우), 압력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서 제1 유체 용기(102)와 제2 유체 용기(104)에서 균등화될 수 있다(즉, 제1 압력은 제2 압력과 동일할 수 있음). 제1 유체 용기(102) 내의 제1 압력이 제2 유체 용기(104) 내의 제2 압력보다 적어도 제1 사전결정된 양만큼 높을 때, 유동 조절기(120) 및/또는 밸브(140)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체가 유동 조절기(120)/밸브(140) 및 유체 이송 라인(106)을 통해 제1 유체 용기(102)로부터 제2 유체 용기(104)로 유동하게 하는 체크 밸브로서 작동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른 풋웨어 물품(2000)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도시된 예에서, 제1 유체 용기(102)는 풋웨어 물품(2000)의 밑창 구조체(1004)와 맞물리거나 그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유체-충전식 블래더 발 지지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발 지지 블래더(및 후술하는 발 지지 블래더)는 착용자 발의 발바닥면의 모든 또는 임의의 원하는 부분(들)을 지지할 수 있다. 유체-충전식 블래더일 수도 있는(반드시 그런 것은 아님) 제2 유체 용기(104)는 풋웨어 물품(2000)의 갑피(1002)와 맞물리거나 그의 일부로서 제공된다. 유동 조절기(120)/밸브(140)가 본 개략도에서 갑피(1002)와 맞물리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원하는 경우, 유동 조절기(120) 및/또는 밸브(140)의 전부 또는 일부분은 밑창 구조체(1004)와 맞물릴 수 있다. 제어 시스템(16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이러한 도시된 예에서 갑피(1002) 및/또는 밑창 구조체(1004)와 맞물릴 수 있다. 도 1b의 시스템은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59호 및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92호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물리적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풋웨어 물품(3000) 구성이 도 1c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풋웨어(3000) 구조체에서, 제1 유체 용기(102)는 풋웨어 물품(3000)의 밑창 구조체(1004)와 맞물리거나 그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유체-충전식 블래더 발 지지부를 구성한다. 유체-충전식 블래더일 수도 있는(반드시 그런 것은 아님) 제2 유체 용기(104)는 풋웨어 물품(3000)의 갑피(1002)와 맞물리거나 그의 일부로서 제공된다. 유동 조절기(120)/밸브(140)는 본 개략도에서 밑창 구조체(1004)와 맞물리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그렇지만, 원하는 경우, 그것의 전부 또는 일부분이 갑피(1002)와 맞물릴 수 있음). 이러한 예의 제어 시스템(160)의 전부 또는 일부는 밑창 구조체(1004)와 맞물린다.
도 1d에 도시된 예시적인 풋웨어 물품(4000) 구조체는, (a) 제1 유체 용기(102)가 풋웨어 물품(4000)의 밑창 구조체(1004)와 맞물리거나 그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유체-충전식 블래더 발 지지부를 구성하고, (b) 유체-충전식 블래더일 수도 있는(반드시 그런 것은 아님) 제2 유체 용기(104)가 풋웨어 물품(4000)의 갑피(1002)와 맞물리거나 그의 일부로서 제공된다는 점에서, 도 1b 및 도 1c와 유사하다. 그러나, 이러한 예시적인 풋웨어(4000) 구조체에서, 유동 조절기(120)/밸브(140) 및/또는 제어 시스템(160) 구조체는 제1 유체 용기(102) 및 제2 유체 용기(104)가 맞물리는 것과는 상이한 풋웨어 구성요소(1010) 상에 제공된다. 일례로서, 원하는 경우, 유동 조절기(120)/밸브(140) 및/또는 제어 시스템(160) 구조체의 전부 또는 일부분(들)은 풋웨어 물품(4000)을 위한 텅 구성요소(tongue component)(갑피(1002)의 일부이지만, 제2 유체 용기(104)가 맞물리는 부분과는 상이한 부분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음)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e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풋웨어 물품(5000)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도시된 예에서, 제1 유체 용기(102)는 풋웨어 물품(5000)의 밑창 구조체(1004)와 맞물리거나 그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유체-충전식 블래더 발 지지부를 구성한다. 유체-충전식 블래더일 수도 있는(반드시 그런 것은 아님) 제2 유체 용기(104) 또한, 풋웨어 물품(5000)의 밑창 구조체(1004)와 맞물리거나 그의 일부로서 제공된다. 이러한 예의 유동 조절기(120)/밸브(140) 및/또는 제어 시스템(160)은 풋웨어 물품(5000)을 위한 갑피(1002) 및/또는 상이한 밑창 구조체 구성요소를 구성할 수 있는 다른 풋웨어 구성요소(1010)와 맞물리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e의 시스템은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59호 및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92호의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것과 같은 물리적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60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 리저버/어큐뮬레이터 유체 용기(또한 유체-충전식 블래더일 수 있음(반드시 그런 것은 아님))(104), 유체 이송 라인(106), 유동 조절기(120), 밸브(140), 제어 시스템(160) 및 입력 시스템(170)은 전술한 바와 같은(그리고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은) 이들 부분에 대한 임의의 구조체, 특징, 특성 및 옵션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통적으로 도시된 부분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의 대부분은 이러한 도 2의 설명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발 지지 시스템(6000)에서,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는 유체 이송 라인(112)을 통해, 발-활성화식 펌프(110)(착용자의 뒤꿈치 또는 발가락(들)에 의해 활성화됨)일 수 있는 펌프(110)와 맞물린다. 유체 이송 라인(112) 내의 밸브(114)(예를 들어, 일방향 밸브)는 유체가 유체 이송 라인(112)을 통해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로부터 펌프(110)로 이송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밸브(114)는 유체가 유체 이송 라인(112)을 통해 펌프(110)로부터 발 지지 블래더(102)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펌프(110)는 유체 이송 라인(116)을 통해 유체 용기(104)(예를 들어, 유체 리저버 또는 어큐뮬레이터로서 역할을 하는 유체-충전식 블래더)와 유체 연통한다. 라인(116) 내의 다른 밸브(118)(예를 들어, 일방향 밸브)는 유체가 유체 이송 라인(116)을 통해 펌프(110)로부터 제2 유체 용기(104)로 이송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밸브(118)는 유체가 유체 이송 라인(116)을 통해 제2 유체 용기(104)로부터 펌프(110)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유체 이송 라인(106)은 유체 유동 조절기(120)/밸브(140), 제어 시스템(160), 및/또는 입력 시스템(170))을 통해 및/또는 이들의 제어 하에서 유체 용기(104)와 유체-충전식 블래더 지지부(102) 사이에서의 유체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2에 도시된 발 지지 시스템(6000)은 폐쇄형 시스템이다(즉, 폐쇄형 시스템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새로운 가스를 흡입하도록 구성되지 않고 외부 환경으로 가스를 방출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만, 폐쇄형 시스템이 본 발명의 모든 예에서 필요하지는 않음). 유체는 유체 용기(104) 및 발 지지 블래더(102)의 내외로 이동되어, 발 지지 블래더(102) 내의 압력 및 착용자에 대한 발밑 느낌을 변경시킨다. 발 지지 시스템(6000)은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59호 및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92호의 도 3a 내지 도 4c와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다양한 구조체 및/또는 작동을 취할 수 있다.
사용 시에, 펌프(110)(발-압축성 "벌브(bulb)"형 펌프일 수 있음)는 착용자의 걸음에 응답하여 유체를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로부터 리저버 블래더(104)로 이동시킨다. 밸브(114, 118); 유체 유동 조절기(120)/밸브(140); 제어 시스템(160); 및/또는 입력 시스템(170)의 특성, 특징 및/또는 설정에 따라, 유체는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와 유체 용기(104) 사이에서 이동되어,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 내의 가스 압력을 원하는 레벨로 설정 및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예의 유체 유동 조절기(120)/밸브(140)는,
(a) 라인(106)을 통한 리저버 유체-충전식 용기(104)와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 사이의 유체 이송을 정지시키는 정지 밸브로서 작동할 수 있고,
(b)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 내의 압력을 변경하기 위해 라인(106)을 통한 리저버 유체-충전식 용기(104)로부터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로의 유체 이송을 허용하도록 제어된 방식으로(제어 시스템(160) 및/또는 입력 시스템(170)을 통해) 개방될 수 있고,
(c) 리저버 유체-충전식 용기(104) 및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 내의 압력을 균등화하도록 개방될 수 있고,
(d) 예를 들어,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 내의 가스 압력이, 예를 들어 제1 사전결정된 압력차 양만큼, 리저버 유체-충전식 용기(104) 내의 가스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예를 들어,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 내의 제1 압력이 유체-충전식 용기(104) 내의 제2 압력보다 5 psi 이상인 경우),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로부터 리저버 유체-충전식 용기(104)로의 유체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체크 밸브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유체 유동 조절기(120)/밸브(140) 구조체는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59호 및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92호(예를 들어, 이들 문헌의 도 3a 내지 도 3f에 주목)에 도시된 다양한 실시형태 및 예시적인 구조체에서 발 지지부(102)와 리저버 어큐뮬레이터(104) 사이의 유체 이송 라인(들)에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원하는 경우, 이러한 유형의 유체 유동 조절기(120)/밸브(140) 구조체(선택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제어 시스템(160) 및/또는 입력 장치(170)와 함께)는 도 2의 라인(112) 내의 밸브(114) 및/또는 라인(116) 내의 밸브(118)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 또는 대안적인 특징으로서, 이러한 유형의 유체 유동 조절기(120)/밸브(140) 구조체(선택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제어 시스템(160) 및/또는 입력 장치(170)와 함께)는 도 2의 위치 "B"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펌프(110)와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 사이에 제공된 유체 이송 라인(2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유체 유동 조절기(120) 및/또는 밸브(140)의 다양한 예의 구조 및 작동 특징이 도 3a 내지 도 4c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밸브(140)를 갖는 제1 예시적인 유체 유동 제어기(120)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되어 있다. 도 3a는 유체가 유체 이송 라인(106)을 통해 제2 유체 용기(104)로부터 제1 유체 용기(102)(예를 들어,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로 유동하는 개방 상태에 있는 유체 유동 제어기(120)/밸브(140)를 도시한다. 도 3b는 제2 유체 용기(104)로부터 제1 유체 용기(102)로의 유체 이송 라인(106)을 통한 유체 유동이 정지되는 폐쇄 상태에 있는 유체 유동 제어기(120)/밸브(140)를 도시한다. 도 3c는 (예를 들어, 제1 유체 용기(102) 내의 압력이 제1 사전결정된 압력차 양(예를 들어, 5 psi)만큼 제2 유체 용기(104) 내의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제1 유체 용기(102)로부터 제2 유체 용기(104)로의 유체 이송 라인(106)을 통한 유체 유동이 일어나는 "체크 밸브" 구성에서의 개방 상태에 있는 유체 유동 제어기(120)/밸브(140)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유체 유동 제어기(120) 및 밸브(140)의 구조 및 작동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도시된 예에서, 밸브(140) 구성요소는 플라스틱 튜브(예를 들어, 내부 유체 유동 채널을 한정하는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의 형태일 수 있는 유체 이송 라인(106)의 튜브 벽(106W) 내에 장착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원하는 경우, 유체 유동 조절기(120)/밸브(140)는 유체 이송 라인(106)과는 별개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동 조절기(120)/밸브(140)의 일 단부 또는 양 단부는 유체 이송 라인(106)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튜브 또는 다른 구조체의 단부에 연결되는 커넥터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옵션 또는 대안으로서, 유체 유동 조절기(120) 및/또는 밸브(140)는 접착제 또는 시멘트에 의해, 하나 이상의 기계적 커넥터에 의해, 융합 기법 등에 의해 유체 이송 라인(106)과 다른 방식으로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도시된 예의 밸브(140)는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144)을 갖는 고정 밸브부(142)를 포함한다. 고정 밸브부(142)는, 예를 들어 시멘트 또는 접착제, 기계적 커넥터 등에 의해, 튜브 벽(106W)의 내부면에, 그리고 튜브 내부 채널 내에 고정될 수 있다(또는 밸브(140)의 구성요소 부분 내에 고정될 수 있음). 튜브 벽(106W)의 내부면과 접촉하는 고정 밸브부(142)의 측부 에지(들)(142E)는 유체가 측부 에지(들)(142E)와 튜브 벽(106W)의 내부면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밀봉된 구조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고정 밸브부(142)는 정지면을 형성하는 제1 단부(144A)를 포함하고, 이러한 제1 단부/정지면의 적어도 일부는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144)을 형성한다(예를 들어, 제1 단부(144A) 표면은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144)을 제공함). 밸브 안착 영역(144)을 갖는 제1 단부(144A)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고정 밸브부(142)의 제2 단부(144B)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포트(144P)를 포함한다. 유체 채널(144C)은 고정 밸브부(142)를 통해 제1 유체 포트(144P)로부터, 고정 밸브부(142)의 외부면에 위치하는 제2 유체 포트(144R)로 연장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고정 밸브부(142)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2 유체 포트(144R)를 도시하지만, 유체 포트(144P/144R)는 고정 밸브부(142)의 임의의 원하는 표면 및/또는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으며, 유체 채널(144C)은 (원하는 기능이 지원될 수 있다면) 임의의 원하는 방향 또는 경로로 고정 밸브부(142)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경우, 하나 초과의 유체 채널(144C), 하나 초과의 유입구 포트 및/또는 하나 초과의 유출구 포트가 고정 밸브부(142)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가동 밸브부(146)("셔틀(shuttle)"로도 불림)도 튜브 벽(106W) 내에(또는 밸브(140)의 구성요소 부분 내에) 제공된다. 이러한 가동 밸브부(146)는 도 3a 및 도 3c와 도 3b의 비교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그리고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고정 밸브부(142)의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144)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부분(148)(예를 들어, 단부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의 가동 밸브부(146)의 측부 에지(들)(146E)는 튜브 벽(106W)의 내부면과 접촉하도록 크기결정 및 형상화되며, 측부 에지(들)(146E)와 튜브 벽(106W) 사이의 밀봉 연결을 유지하면서, 튜브 벽(106W)의 내부면에 대해 슬라이딩식으로 배치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가동부(146) 주위에 또는 가동부(146)를 지나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시일이 예를 들어 튜브 벽(106W) 내측에 그리고 가동 밸브부(146)와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필요하거나 원하는 경우, 가동 밸브부(146)의 측부 에지(들)(146E) 및/또는 튜브 벽(106W)의 내부면의 대향면/접촉면은 원하는 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윤활성 재료(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재료)로 형성되거나 처리될 수 있고/있거나, 슬라이딩 및 밀봉 맞물림을 지원하거나 촉진시키기 위한 재료(들)로 형성되거나 처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원하는 경우, 밸브 안착 영역(144) 및/또는 밸브 안착 영역(144)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하는 가동 밸브부(146)의 부분(148)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밸브 안착 영역(144)과 가동 밸브부(146)의 부분(148) 사이의 밀봉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료(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고무화된 밀봉면을 포함하거나, 연질/압축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 밸브부(146)의 적어도 일부분(선택적으로 모두)은, 예를 들어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이유로, 자석, 자화 가능한 재료, 강자성 재료, 철 등과 같은 자기적으로 흡인 가능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예의 가동 밸브부(146)는, (a)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144)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부분(148)을 형성하는 자유 단부면, 및 (b) 대향 단부면(150)을 포함한다. 개방 채널(150C)은 자유 단부면(148)에 위치하는 하나의 포트(150P) 또는 개구 및 가동 밸브부(146)의 다른 단부면(150)에 위치하는 다른 포트(150R)로부터 가동 밸브부(146)를 통해 연장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가동 밸브부(146)의 중앙 종축(및 중앙의 축방향 채널(150C))을 따라 위치하는 2개의 유체 포트(150P 및 150R)를 도시하지만, 유체 포트(150P/150R)는 가동 밸브부(146)의 임의의 원하는 표면 및/또는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으며, 유체 채널(150C)은 가동 밸브부(146)를 통해 임의의 원하는 방향 또는 경로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경우, 하나 초과의 유체 채널(150C), 하나 초과의 유입구 포트 및/또는 하나 초과의 유출구 포트가 가동 밸브부(146)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도시된 예의 유체 유동 제어기(120)/밸브(140)는, 다른 외력이 가동 밸브부(146)에 작용하지 않을 때 밸브(140)/유체 유동 제어기(120)가 개방 상태(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음) 또는 폐쇄 상태(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음) 중 하나를 유지하도록 "디폴트(default)" 위치에 가동 밸브부(146)를 유지하기 위한 편향 구성요소(180)를 더 포함한다. 도 3a 내지 도 3c의 실시형태에서, 편향 구성요소(180)는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144)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하는 부분(148)을 포함하는 단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가동 밸브부(146)의 단부(150)에 위치하는 스프링(182)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의 스프링(182)은 튜브 벽(106W)에 의해 형성된 내부 챔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고정 부재(184) 또는 다른 고정 연결부와 가동 밸브부(146)의 단부면(150) 사이에서 연장된다. 스프링(182)(또는 다른 편향 구성요소)의 중심축은 포트(150R) 및 가동 밸브부(146)에 도달하도록 유체가 관통 유동할 수 있는 개방 채널(182C)을 포함할 수 있다.
외력의 부재 시에, 이러한 도시된 예시적인 유체 유동 제어기(120)/밸브(140)의 편향 구성요소(180)는,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배열에서, 가동 밸브부(146)를 고정 밸브부(142)에 맞닿게 밀착 가압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다. 스프링(182)의 편향력은 도 3b에서 힘 화살표(192)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동 밸브부(146)의 자유 단부(148)는 고정 밸브부(142)의 정지면 및 밸브 안착 영역(144)과 접촉하도록 이동된다. 필요하거나 원하는 경우, 고정 밸브부(142)의 밸브 안착 영역(144) 및/또는 가동 밸브부(146)의 자유 단부(148)는 이들 부분이 서로 접촉할 때 밀봉 효과를 향상시키는 재료로 제조되고/되거나, 밀봉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또는 폐쇄 구성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동 제어기(120)/밸브(140)를 통한 유체 경로를 폐쇄하고 포트(150P)/밸브 안착 영역(144) 위치에서 유체 유동을 정지시킨다.
도 3b의 이러한 구성에서, 자석(162)은 도 3b에(그리고 도 1a 내지 도 1e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166)(비활성화 위치)에, 그리고 유체 유동 제어기(120)/밸브(140)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자석(162)과 가동 밸브부(146) 사이의 임의의 자기 흡인력이 스프링(182)(또는 다른 편향 구성요소)의 편향력(192)에 의해 극복되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자석(162)을 가동 밸브부(146)(자석 또는 자석에 흡인되는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됨)로부터 멀리 회전시키도록 다이얼 베이스(168)를 돌림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자석(162)이 영구 자석 대신 전자석인 경우, 도 3b의 폐쇄 구성에서, 전자석은 전원 꺼짐(또는 다른 저전력)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일부 유형의 개재된 실드 재료가 자석(162)과 가동 밸브부(146) 사이에 위치 가능하여(예를 들어, 베이스(168)에 의해/베이스(168)와 함께 이동되어) 이들 부분 사이의 자기 흡인을 정지/감쇠시킬 수 있다.
발 지지 블래더(102)(또는 다른 유체 용기) 내의 압력을 변경하기 위해, 도 3b에 도시된 폐쇄 구성의 유체 유동 조절기(120)/밸브(140)로 시작하여, 먼저 제어 시스템(160)이 자석(162)을 활성화 위치(164)로 이동시켜서 가동 밸브부(146)에 보다 강한 자기 흡인력을 인가하도록 제어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다이얼을 회전시키는 것(예를 들어, 또는 베이스(168)를 다른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것), 개재된 실드를 이동시키는 것, 입력을 전자 입력 장치(170)(예를 들어, 휴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입력하는 것, (수동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전자석의 전원을 켜는 것(또는 전자석으로의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자석(162)이 활성화 위치(164)에 있을 때, 자석(162)과 가동 밸브부(146) 사이의 자기 흡인은 편향 구성요소(180)(예를 들어, 스프링(182))의 편향력(192)을 극복하여, 가동 밸브부(146)의 단부(148)를 고정 밸브부(142)의 밸브 안착 영역(144)으로부터 멀리 당긴다. 가동 밸브부(146)에 대한 이러한 당김력(pulling force)은 도 3a에서 힘 화살표(190)로 도시되어 있다. 자기장/자기력(190)은 스프링(182)의 힘(192)을 극복하여 밸브(140)/유동 제어기(120)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한다. 제2 유체 용기(104)(예를 들어, 유체 리저버 블래더) 내의 가스 압력이 제1 유체 용기(102)(예를 들어, 발 지지 블래더) 내의 압력보다 높을 때, 유체는 스프링(182) 채널(182C)을 통해, 가동 밸브부(146) 내의 채널(150C)을 통해, 포트(150P) 밖으로, 가동 밸브부(146)와 고정 밸브부(142) 사이에서 유체 포트(144R)로, 고정 밸브부(142)를 통해, 포트(144P)를 통해, 그리고 유체 이송 라인(106)을 통해서 제1 용기(102)(예를 들어, 발 지지 블래더)로 유동할 것이다. 유체 유동 제어기(120) 및/또는 밸브(140)가 충분한 기간 동안 도 3a의 이러한 개방 구성으로 유지되는 경우, 제1 유체 용기(102)(예를 들어, 발 지지 블래더) 내의 가스 압력은 제2 유체 용기(104)(예를 들어, 리저버 블래더) 내의 가스 압력과 동일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유체 유동 제어기(120) 및/또는 밸브(140)는 발 지지 시스템(100)에서, 본원의 도 2에 도시되고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59호 및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92호에 설명된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도시된 발 지지 블래더(102)와 리저버 어큐뮬레이터(예를 들어, 블래더)(104) 사이의 압력을 균등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예의 가동 밸브부(146) 자체는 베이스 레벨의 자기량(magnetic charge) 또는 자기 바이어스(magnetic bias)를 포함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원하는 경우, 가동 밸브부(146)는, 예를 들어 제조업자가 편향 시스템(180)(예를 들어, 스프링(182))의 힘과 조합하여 밸브(140)를 하나의 위치 또는 다른 위치로 편향시키고/시키거나 밸브(140)를 개방/폐쇄하는 데 필요한 (예를 들어, 자석(162)으로부터의) 외부 자기장을 변경/제어할 수 있게 하는 원하는 레벨로 자화될 수 있다.
제1 용기(102)(예를 들어, 발 지지 블래더)에서 유체 압력이 원하는 레벨(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됨)로 증가될 때, 자석(162)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활성화 위치(166)로 복귀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자석(162)을 이동시키는 것(예를 들어, 다이얼 및/또는 베이스(168)를 회전시키거나 다른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것), 전자석의 전원을 끄는 것, 자석(162)과 가동 밸브부(146) 사이의 실드를 이동시키는 것, 입력을 전자 입력 장치(170)에 입력하는 것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단 비활성화 위치(166)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있으면, 편향 구성요소(180)(예를 들어, 스프링(182))의 편향력(192)은 다시 자석(162)과 가동 밸브부(146) 사이의 자기 흡인력(190)을 극복하여, 가동 밸브부(146)를 고정 밸브부(142)에 맞닿게 이동시키고 유지하며, 밸브(140)/유체 유동 제어기(120)를 폐쇄/밀봉할 것이다(예를 들어, 고정 밸브부(142)의 밸브 안착면(144)에 맞닿게 가동 밸브부(146)의 표면(148) 및 포트(150P)를 안착시킴).
도 3c는 체크 밸브 구성의 이러한 예시적인 구조의 유체 유동 제어기(120)/밸브(140)를 도시한다. 이러한 체크 밸브 구성 및 작동에서, 발 지지 블래더(102) 내의 가스 압력이 언제든 제2 유체 용기(104)(예를 들어, 리저버 또는 어큐뮬레이터 블래더) 내의 가스 압력보다 적어도 사전결정된 제1 압력차(예를 들어, 5 psi)만큼 증가하면, 유체 이송 라인(106)을 통한 가스에 의해 인가된 힘은 (예를 들어, 스프링 상수 k에 따라) 스프링(182)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가동 밸브부(146)를 강제할 정도로 충분히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스는 발 지지 블래더(102)로부터 고정 밸브부(142) 내의 채널(144C)을 통해 이동하고, 가동 밸브부(146)에 힘(예를 들어, 힘 화살표(194)로 도시된 바와 같음)을 인가할 것이다. 힘(194)이 충분하다면, 고정 밸브부(142)의 밸브 안착면(144)으로부터 가동 밸브부(146)의 표면(148)을 안착 해제시키고, 이에 의해 밸브 안착 영역(144)으로부터 포트(150P)를 분리하고 가동 밸브부(146)를 통해 개방 채널(150C)을 개방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는 발 지지 블래더(102) 내의 가스 압력으로부터의 힘(194)이 스프링(182)의 편향력(192)을 극복하기에 불충분할 때까지 가동 밸브부(146)의 채널(150C)을 통해 제2 유체 용기(104)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유체 유동 제어기(120)/밸브(140)는 도 3b의 구성으로 복귀할 것이다. 스프링(182)에 대한 적절한 스프링 상수 k를 선택함으로써, 밸브(140)를 이러한 개방된 체크 밸브 구성으로 "크래킹(crack)"하기에 충분한 제1 유체 용기(102)와 제2 유체 용기(104) 사이의 압력차가 제어될 수 있다.
임의의 원하는 유형의 스프링(들)(182) 및/또는 다른 편향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 리프 스프링; 폼 재료와 같은 탄성 구성요소 등)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편향 시스템(180)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원하는 경우, 다양한 부분(예를 들어, 고정 밸브부(142), 가동 밸브부(146), 채널(144C), 채널(150C) 등)의 형상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도 3d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유체 유동 제어기(120)를 도시하지만, 이러한 예에서, 유체 유동 제어기(120)는 보다 일반적으로 "유체 공급원"과 맞물리는 것으로 도시된 유체 이송 라인(106)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의 일부 예에서, 이러한 유체 유동 제어기(120)는, (a) 유체 이송 라인(106)의 제1 단부(예를 들어, 도 3d의 좌측, 밸브(140)의 제1 단부)에서 용기(104)(예를 들어, 풋웨어 물품을 위한 풋웨어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와 맞물리는 리저버 용기 또는 블래더)와 연결되고/유체 연통하고, (b) 유체 이송 라인(106)의 대향 단부(예를 들어, 도 3d의 우측, 밸브(140)의 제2 (대향) 단부)에서 용기(102)(예를 들어, 풋웨어 밑창 구조체 내의 발 지지 블래더)와 연결되고/유체 연통한다. 이러한 배열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서 유리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착용자 발과 발 지지 블래더(102) 사이의 충격력이 압력 증가(또는 지면 접촉으로 인한 압력 임펄스 힘(impulse force) 또는 스파이크(spike))를 유발하여 밸브 안착 영역(144)에 맞닿게 가동 밸브부(146)를 보다 강력하게 안착시키는 것을 도울 것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유체 압력으로부터의 추가된 힘(196) 또는 힘 임펄스(force impulse)가 가동 밸브부(146)의 단부면(150)에 대해 가압하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유체 압력 힘(196)은 전술한 바와 같이, 편향 시스템(180)으로부터의 힘(192)에 부가하여, 밸브 안착 영역(144)과 가동 밸브부(146)를 훨씬 더 안전하게 안착시키도록 작용한다. 발 지지 블래더(102)에 대한 발 착지 임펄스 압력(impulse pressure)의 결과로서 이러한 증대된 밸브(140) 안착 특징은 발 착지(foot strike) 이벤트 전체에 걸쳐 발 지지 블래더(102)로부터의 압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밸브(140)가 밀봉 및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3d의 유체 유동 제어기(120)는 조합된 이퀄라이저 밸브(equalizer valve) 및 체크 밸브로서 작동하여, 도 3a 내지 도 3c와 관련하여 전술한 일반적인 방식으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밸브(140)를 갖는 다른 예시적인 유체 유동 제어기(120)가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유체가 유체 이송 라인(106)을 통해 제2 유체 용기(104)로부터 제1 유체 용기(102)(예를 들어,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로 유동하는 개방 상태에 있는 유체 유동 제어기(120)/밸브(140)를 도시한다. 도 4b는 제2 유체 용기(104)로부터 제1 유체 용기(102)로의 유체 이송 라인(106)을 통한 유체 유동이 정지되는 폐쇄 상태에 있는 유체 유동 제어기(120)/밸브(140)를 도시한다. 도 4c는 (예를 들어, 제1 유체 용기(102) 내의 압력이 제1 사전결정된 압력차 양(예를 들어, 5 psi)만큼 제2 유체 용기(104) 내의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제1 유체 용기(102)로부터 제2 유체 용기(104)로의 유체 이송 라인(106)을 통한 유체 유동이 일어나는 "체크 밸브" 구성에서의 개방 상태에 있는 유체 유동 제어기(120)/밸브(140)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유체 유동 제어기(120)/밸브(140)의 구조 및 작동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도시된 예에서, 밸브(140) 구성요소는 플라스틱 튜브(예를 들어, 내부 유체 유동 채널을 한정하는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의 형태일 수 있는 유체 이송 라인(106)의 튜브 벽(106W) 내에 장착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원하는 경우, 유체 유동 조절기(120)/밸브(140)는 유체 이송 라인(106)과는 별개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동 조절기(120)/밸브(140)의 일 단부 또는 양 단부는 유체 이송 라인(106)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튜브 또는 다른 구조체의 단부에 연결되는 커넥터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유체 유동 조절기(120) 및/또는 밸브(140)는, 예컨대 접착제 또는 시멘트에 의해, 기계적 커넥터(들)에 의해, 융합 기법 등에 의해, 유체 이송 라인(106)과 다른 방식으로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도시된 예의 밸브(140)는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144)을 갖는 고정 밸브부(142)를 포함한다. 고정 밸브부(142)는, 예를 들어 시멘트 또는 접착제, 기계적 커넥터 등에 의해, 튜브 벽(106W)의 내부면에, 그리고 튜브 내부 채널 내에 고정될 수 있다(또는 밸브(140)의 구성요소 부분 내에 고정될 수 있음). 튜브 벽(106W)의 내부면과 접촉하는 고정 밸브부(142)의 측부 에지(들)(142E)는 유체가 측부 에지(142E)와 튜브 벽(106W)의 내부면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밀봉된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고정 밸브부(142)는 정지면을 형성하는 제1 단부(144A)를 포함하고, 이러한 제1 단부/정지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는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144)을 형성한다(예를 들어, 이러한 도시된 예에서 고정 밸브부(142)의 경사진 단부면(244)은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144)을 제공함). 밸브 안착 영역(144)을 갖는 제1 단부(144A)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고정 밸브부(142)의 제2 단부(242)는 유체 유동을 허용하도록 개방된다(그리고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유체 포트(144R)를 형성함). 유체 채널(144C)은 고정 밸브부(142)를 통해 제1 유체 포트(144R)로부터, 밸브 안착 영역(144)에 인접하여 경사진 단부들(244)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유체 포트(144P)로 연장된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예의 고정 밸브부(142)는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144)을 형성하는 경사진 단부면(244)을 갖는 대체로 관형인 구조체를 가질 수 있다.
가동 밸브부(146)도 튜브 벽(106W) 내에(또는 밸브(140)의 구성요소 부분 내에) 제공된다. 이러한 예시된 예에서, 이러한 가동 밸브부(146)는 고정 밸브부(142)의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144)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볼(예를 들어, 금속 볼(146B) 또는 볼 베어링 유형 구조체)을 구성한다. 이것의 이동은,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c와 도 4b를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다(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됨). 이러한 예의 가동 밸브부(146)의 볼(146B)의 바깥쪽 표면은 포트(144P)를 폐쇄하기 위해 밸브 안착 영역(144)에서 경사진 단부면(244)의 내부면(들)에 맞닿게 밀착 끼워맞춰지도록 크기결정 및 형상화된다. 필요하거나 원하는 경우, 고정 밸브부(142)의 경사진 단부(244) 및/또는 가동 밸브부(146)의 볼(146B)의 대향면은 볼(146B)과 경사진 단부면(들)(244)의 내부 벽 사이의 밀봉 연결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료(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고무화된 밀봉면을 포함하거나, 연질/압축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 등)로 형성되거나 처리될 수 있다. 가동 밸브부(146)(예를 들어, 볼(146B))의 적어도 일부분(선택적으로 모두)은, 예를 들어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이유로, 자석, 자화 가능한 재료, 강자성 재료, 철 등과 같은 자기적으로 흡인 가능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도시된 예의 유체 유동 제어기(120)/밸브(140)는, 다른 외력이 가동 밸브부(146)에 작용하지 않을 때 밸브(140)/유체 유동 제어기(120)가 개방 상태(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음) 또는 폐쇄 상태(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음) 중 하나를 유지하도록 "디폴트" 위치에 가동 밸브부(146)(예를 들어, 볼(146B))를 유지하기 위한 편향 구성요소(180)를 더 포함한다. 도 4a 내지 도 4c의 실시형태에서, 편향 구성요소(180)는 가동 밸브부(146)의 볼(146B)과 맞물리는 일 단부(186A), 및 베이스(280)와 맞물리는 대향 단부(186B)를 갖는 스프링(182)을 포함한다. 베이스(280)는 그것을 통한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28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사진 단부(244)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고정 밸브부(142)의 단부(242)에 고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원하는 경우, 베이스(280)는 튜브 벽(106A)의 내부면, 또는 예를 들어 유체 유동 제어기(120) 및/또는 밸브(140)의 다른 구조체와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도시된 예에서, 스프링(18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이러한 예에서는 완전히), 튜브 벽(106W)에 의해 형성된 내부 챔버 및 고정 밸브부(142)에 의해 형성된 내부 챔버 또는 채널(144C) 내에 위치한다. 임의의 원하는 유형의 스프링(182) 및/또는 다른 편향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 리프 스프링; 폼 재료와 같은 탄성 구성요소 등)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외력의 부재 시에, 이러한 도시된 예시적인 유체 유동 제어기(120)/밸브(140)의 편향 구성요소(180)는,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배열에서, 가동 밸브부(146)의 볼(146B)을 고정 밸브부(142)의 경사진 단부면(들)(244)에 맞닿게 밀착 가압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다. 스프링(182)의 편향력은 도 4b에서 힘 화살표(192)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볼(146B)의 바깥쪽 표면은 고정 밸브부(142)의 정지면 및 밸브 안착 영역(144)과 접촉하도록 이동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필요하거나 원하는 경우, 고정 밸브부(142)의 밸브 안착 영역(144) 및/또는 볼(146B)의 바깥쪽 표면은 이들 부분이 서로 접촉할 때 밀봉 효과를 향상시키는 재료로 제조되고/되거나, 밀봉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또는 폐쇄 구성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동 제어기(120)/밸브(140)를 통한 유체 경로를 폐쇄하고 볼(146B)/밸브 안착 영역(144) 위치에서 유체 유동을 정지시킨다.
도 4b의 이러한 구성에서, 자석(162)은 도 4b에(그리고 도 1a 내지 도 1e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166)(비활성화 위치)에, 그리고 유체 유동 제어기(120)/밸브(140)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자석(162)과 볼(146B) 사이의 임의의 자기 흡인력이 스프링(182)(또는 다른 편향 구성요소)의 편향력(192)에 의해 극복되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자석(162)을 가동 밸브부(142)의 볼(146B)로부터 멀리 회전(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동)시키도록 다이얼 베이스(168)를 돌림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자석(162)이 영구 자석 대신 전자석인 경우, 도 4b의 폐쇄 구성에서, 전자석은 전원 꺼짐(또는 다른 저전력)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일부 유형의 개재된 실드 재료가 자석(162)과 가동 밸브부(146)의 볼(146B) 사이에 위치 가능하여(예를 들어, 베이스(168)에 의해/베이스(168)와 함께 이동 가능하여) 이들 부분 사이의 자기 흡인을 정지/감쇠시킬 수 있다.
발 지지 블래더(102)(또는 다른 유체 용기) 내의 압력을 변경하기 위해, 도 4b에 도시된 폐쇄 구성의 유체 유동 조절기(120)/밸브(140)로 시작하여, 먼저 제어 시스템(160)이 자석(162)을 활성화 위치(164)로 이동시켜서 가동 밸브부(146)의 볼(146B)에 보다 강한 자기 흡인력을 인가하도록 제어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다이얼을 회전시키는 것(예를 들어, 또는 베이스(168)를 다른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것), 개재된 실드를 이동시키는 것, 입력을 전자 입력 장치(170)(예를 들어, 휴대 전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입력하는 것, (수동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전자석의 전원을 켜는 것(또는 전자석으로의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자석(162)이 활성화 위치(164)에 있을 때, 자석(162)과 볼(146B) 사이의 자기 흡인은 편향 구성요소(180)(예를 들어, 스프링(182))의 편향력(192)을 극복하여, 볼(146B)을 고정 밸브부(142)의 밸브 안착 영역(144)으로부터 멀리 당긴다. 볼(146B)에 대한 이러한 당김력은 도 4a에서 힘 화살표(190)로 도시되어 있다. 자기장/자기력(190)은 스프링(182)의 힘(192)을 극복하여 밸브(140)/유동 제어기(120)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한다. 제2 유체 용기(104)(예를 들어, 유체 리저버 블래더) 내의 가스 압력이 제1 유체 용기(102)(예를 들어, 발 지지 블래더) 내의 가스 압력보다 높을 때, 유체는 베이스(280)(예를 들어, 개구(282)를 통해, 고정 밸브부(142)를 통해, 스프링(182) 주위로/스프링(182)을 통해, 가동 볼(146B) 주위로, 고정 밸브부(142)의 유체 포트(144P)로, 그리고 제1 이송 라인(106)을 통한 제1 유체 용기(102)(예를 들어, 발 지지 블래더)로 유동할 것이다. 유체 유동 제어기(120) 및/또는 밸브(140)가 충분한 기간 동안 이러한 개방 구성으로 유지되는 경우, 제1 유체 용기(102)(예를 들어, 발 지지 블래더) 내의 가스 압력은 제2 유체 용기(104)(예를 들어, 리저버 블래더) 내의 가스 압력과 동일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유체 유동 제어기(120) 및/또는 밸브(140)는 발 지지 시스템(100)에서, 본원의 도 2에 도시되고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59호 및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892호에 설명된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도시된 발 지지 블래더(102)와 리저버 어큐뮬레이터(예를 들어, 블래더)(104) 사이의 압력을 균등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예의 가동 밸브부(146)(예를 들어, 볼(146B)) 자체는 베이스 레벨의 자기량 또는 자기 바이어스를 포함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원하는 경우, 가동 밸브부(146)/볼(146B)은, 예를 들어 제조업자가 편향 시스템(180)(예를 들어, 스프링(182))의 힘과 조합하여 밸브(140)를 하나의 위치 또는 다른 위치로 편향시키고/시키거나 밸브(140)를 개방/폐쇄하는 데 필요한 (예를 들어, 자석(162)으로부터의) 외부 자기장을 변경/제어할 수 있게 하는 원하는 레벨로 자화될 수 있다.
제1 용기(102)(예를 들어, 발 지지 블래더)에서 유체 압력이 원하는 레벨(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됨)로 증가될 때, 자석(162)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활성화 위치(166)로 복귀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자석(162)을 이동시키는 것(예를 들어, 다이얼 및/또는 베이스(168)를 회전시키거나 다른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것), 전자석의 전원을 끄는 것, 자석(162)과 가동 밸브부(146) 사이의 실드를 이동시키는 것, 입력을 전자 입력 장치(170)에 입력하는 것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단 비활성화 위치(166)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있으면, 편향 구성요소(180)(예를 들어, 스프링(182))의 편향력(192)은 다시 자석(162)과 가동 밸브부(146)의 볼(146B) 사이의 자기 흡인력(190)을 극복하여, 볼(146B)을 고정 밸브부(142)에 맞닿게 이동시키고 유지하며, 밸브(140)/유체 유동 제어기(120)를 폐쇄/밀봉할 것이다(예를 들어, 경사진 단부면(들)(244) 내의 밸브 안착면(144)에 맞닿게 볼(146B)의 바깥쪽 표면을 안착시키고 포트(144P)를 폐쇄함).
도 4c는 체크 밸브 구성의 이러한 예시적인 구조의 유체 유동 제어기(120)/밸브(140)를 도시한다. 이러한 체크 밸브 구성 및 작동에서, 발 지지 블래더(102) 내의 가스 압력이 언제든 제2 유체 용기(104)(예를 들어, 리저버 또는 어큐뮬레이터 블래더) 내의 가스 압력보다 적어도 사전결정된 제1 압력차(예를 들어, 5 psi)만큼 증가하면, 유체 이송 라인(106)을 통한 가스에 의해 인가된 힘은 (예를 들어, 스프링 상수 k에 따라) 스프링(182)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가동 밸브부(146)의 볼(146B)을 강제할 정도로 충분히 높아질 수 있다. 볼(146B)에 대한 이러한 힘은 화살표(194)로 도시되어 있다. 힘(194)이 충분하다면, 경사진 단부(244)에 있는 고정 밸브부(142)의 밸브 안착면(144)으로부터 볼(246B)의 표면을 안착 해제시키고, 이에 의해 포트(144P) 및 고정 밸브부(142)를 통한 채널(144C)을 개방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스는 발 지지 블래더(102)로부터, 고정 밸브부(142) 내의 채널(144C)을 통해, 볼(146B) 주위로, 스프링(182) 주위로 및/또는 스프링(182)을 통해, 베이스(280) 내의 개구(들)(282)를 통해, 그리고 제2 유체 용기(104) 내로 이동할 것이다. 유체는 발 지지 블래더(102) 내의 가스로부터의 힘(194)이 스프링(182)의 편향력(192)을 극복하기에 불충분할 때까지 고정 밸브부(142)를 통해, 그리고 가동 밸브부(146) 주위로, 그리고 제2 유체 용기(104)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유체 유동 제어기(120)/밸브(140)는 도 4b의 구성으로 복귀할 것이다. 스프링(182)에 대한 적절한 스프링 상수 k를 선택함으로써, 밸브(140)를 이러한 체크 밸브 구성으로 "크래킹(crack)"하기에 충분한 제1 유체 용기(102)와 제2 유체 용기(104) 사이의 압력차가 제어될 수 있다.
도 4d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유체 유동 제어기(120)를 도시하지만, 이러한 예에서, 유체 유동 제어기(120)는 보다 일반적으로 "유체 공급원"과 맞물리는 것으로 도시된 유체 이송 라인(106)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부 예에서, 이러한 유체 유동 제어기(120)는, (a) 유체 이송 라인(106)의 제1 단부(예를 들어, 도 4d의 좌측, 밸브(140)의 제1 단부)에서 용기(104)(예를 들어, 풋웨어 물품을 위한 풋웨어 밑창 구조체 및/또는 갑피와 맞물리는 리저버 용기 또는 블래더)와 연결되고/유체 연통하고, (b) 유체 이송 라인(106)의 대향 단부(예를 들어, 도 4d의 우측, 밸브(140)의 제2 (대향) 단부)에서 용기(102)(예를 들어, 풋웨어 밑창 구조체 내의 발 지지 블래더)와 연결되고/유체 연통한다. 이러한 배열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서 유리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착용자 발과 발 지지 블래더(102) 사이의 충격력이 압력 증가(또는 지면 접촉으로 인한 압력 임펄스 힘 또는 스파이크)를 유발하여 밸브 안착 영역(144)에 맞닿게 가동 밸브부(146)(볼(146B))를 보다 강력하게 안착시키는 것을 도울 것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유체 압력으로부터의 추가된 힘(196) 또는 임펄스 힘이 가동 밸브부(146)의 볼(146B) 표면에 대해 가압하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유체 압력 힘(196)은 전술한 바와 같이, 편향 시스템(180)으로부터의 힘(192)에 부가하여, 밸브 안착 영역(144)과 가동 밸브부(146)를 훨씬 더 안전하게 안착시키도록 작용한다. 발 지지 블래더(102)에 대한 발 착지 임펄스 압력의 결과로서 이러한 증대된 밸브(140) 안착 특징은 발 착지 이벤트 전체에 걸쳐 발 지지 블래더(102)로부터의 압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밸브(140)가 밀봉 및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4d의 유체 유동 제어기(120)는 조합된 이퀄라이저 밸브 및 체크 밸브로서 작동하여, 도 4a 내지 도 4c와 관련하여 전술한 일반적인 방식으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분들의 다양한 상이한 구조체 및/또는 배열을 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조체에서, 유동 조절기(120)는 밸브(140)로 본질적으로 구성되거나, 밸브(140)로 구성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시스템에서, 제어 시스템(160)(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음)은 유동 조절기(120)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또 다른 옵션 또는 대안으로서, 편향 시스템 및/또는 편향 구성요소(180)는 유동 조절기(120) 및/또는 밸브(140)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양태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도 5a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 또는 양태에 대응하고/하거나 사용될 수 있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또는 유체 유동 조절기)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 이들 시스템 및 방법은 자기장 강도를 사용하여 밸브(예를 들어, 체크 밸브)의 크랙 압력의 선택적인 제어, 조정 및/또는 수정을 가능하게 하는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의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500) 및 방법은 제1 단부(502A) 및 제1 단부(502A)에 대향하는 제2 단부(502B)를 갖는 유체 라인(502)을 포함한다. 유체 라인(502)은 제1 단부(502A)와 제2 단부(502B)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부면(502I)을 한정하고, 이러한 내부면(502I)은 (예를 들어,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상태 하에서) 유체가 관통 유동할 수 있는 내부 챔버를 한정한다. 조정 가능한 밸브(540)(예를 들어, 조정 가능한 크랙 압력을 가짐)가 이러한 유체 라인(502) 내에 제공된다. 조정 가능한 밸브(540)는 유체 라인(502)의 내부면(502I)과 밀봉식으로 맞물리는 고정 밸브부(560), 및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560S)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정 가능한 밸브(540)는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560S)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가동 밸브부(580)를 더 포함하고, 이러한 가동 밸브부(580)는 적어도 자기 흡인성 재료로 제조된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도시된 예에서, 가동 밸브부(580) 전체가 자기 흡인성 재료로 제조되지만, 원하는 경우, 전체보다 적은 가동 밸브부(580)가 이와 같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자기적으로 흡인 가능한 재료"는 자석, 자화 가능한 재료, 또는 자기력에 의해 자석에 흡인되는 재료(예컨대, 철과 같은 강자성 재료)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의 조정 가능한 밸브(540)는 도 3a 내지 도 3d의 구조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임의의 구조, 특징 및/또는 옵션을 가질 수 있으며, 도 3a 내지 도 3d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와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도 5a 내지 도 5d에 사용되는 경우, 이들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지칭하도록 의도되고,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의 대부분은 생략된다.
이러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500)의 일부로서, 자석(562)이 유체 라인(502)의 내부 챔버 외측에 위치한다. 시스템(500)은 "가동 밸브부(580)에 입사되는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570)"을 더 포함하고, 이의 예 및 예시적인 구조가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5a의 배열에서, 자석(562)은 그의 자기장이 가동 밸브부(580)에 상당한 자기력을 인가하지 않도록 가동 밸브부(580)로부터 충분히 멀리 동떨어진 원격 위치에 위치한다. 도 5a의 배열(자석(562)이 멀리 동떨어진 상태)에서, 편향 시스템(180)으로부터의 힘(192)(및 잠재적으로 제2 단부(502B)를 통해 존재하는 임의의 유체 힘(196))은 가동 밸브부(580) 상의 제1 단부(502A)로부터의 유체 힘(194)을 극복하여, 가동 밸브부(580)가 고정 밸브부(560)의 밸브 안착 영역(560S) 상에 안착(및 밀봉)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예시적인 시스템(500)에 있어서, 도 5a에 도시된 배열에서, (a) 제1 단부(502A) 방향으로부터의 가동 밸브부(580)에 대한 힘은 제1 단부(502A)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공급원(존재하는 경우)(예를 들어 전술한 풋웨어 구조체 내의, 예를 들어 유체-충전식 블래더(102) 또는 용기)으로부터의 유체 압력 힘(194)을 포함하고, (b) 제2 단부(502B) 방향으로부터의 가동 밸브부(580)에 대한 힘은 제2 단부(502B)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공급원(존재하는 경우)(예를 들어 전술한 풋웨어 구조체 내의, 예를 들어 유체-충전식 블래더 또는 용기(104))으로부터의 유체 압력 힘(196) 및 편향 시스템(180)(예를 들어, 스프링(182))으로부터의 힘(192)을 포함한다. 제2 단부(502B) 방향으로부터의 조합된 힘(F192 + F196)이 제1 단부(502A) 방향으로부터의 힘(F194)보다 큰 경우, 밸브(540)는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구성에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그러나, 자석(562) 및 가동 밸브부(580)에 입사되는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570)은 조정 가능한 밸브(540)가 제1 단부(502A) 방향으로부터 제2 단부(502B) 방향으로의 유체 유동을 허용하도록 "크래킹"(예를 들어, 도 5b 내지 도 5d에 도시된 구성으로 개방)될 제1 단부(502A)로부터 유체 압력을 수정, 조정 및/또는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밸브(540)의 크랙 압력은 원하는 범위 내에서 제어 및/또는 유지될 수 있다.
도 5b는, 이제 자기력(힘 화살표(562F)로 도시됨)이 가동 밸브부(580)에 입사되는(그리고 가동 밸브부(580)를 이동시키도록 힘을 인가하는) 제1 위치(572A)에 자석(562)이 제공된 것을 제외하고, 도 5a의 시스템(500)을 도시한다. 따라서, 이러한 배열에서, 가동 밸브부(580)는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 유체가 포트(150P)를 통해, 채널(150C)을 통해, 그리고 유체 라인(502)의 제1 단부(502A)로부터 제2 단부(502B)로 유동하게 할 수 있다. 조정 가능한 밸브(540)는,
(a) (i) 제1 단부(502A) 방향으로부터의 유체 압력 힘(194)과, (ii) 자석(562)으로부터의 자기력(562F)으로 인한 가동 밸브부(580)에 대한 조합된 힘이,
(b) (i) 제2 단부(502B) 방향으로부터의 유체 압력 힘(196)과, (ii) 편향 시스템(180)(예를 들어, 스프링(182))으로부터의 힘(192)으로 인한 가동 밸브부(580)에 대한 조합된 힘을 극복하는 경우(그리고 이 조합된 힘 보다 큰 경우), 도 5b에 도시된 이러한 개방 구성으로 변환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조정 가능한 밸브(540)는 상기 (a) 부분의 힘이 (b) 부분의 힘을 극복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구성으로) 개방 "크래킹"될 것이다(F194 + F562F가 F192 + F196보다 큰 경우 밸브(540)가 개방되며, 여기서 F194는 제1 단부(502A)로부터의 가동 밸브부(580)에 대한 유체 압력 힘(194)이고, F562F는 가동 밸브부(580)에 대한 자기장 힘(562F)이고, F192는 가동 밸브부(580)에 대한 편향 시스템(180)의 힘(192)이며, F196은 제2 단부(502B)로부터의 가동 밸브부(580)에 대한 유체 압력 힘(196)임). 상기 (a) 부분의 힘(즉, 자기장 힘(562F) + 제1 단부(502A) 방향으로부터의 유체 힘(194))이 상기 (b) 부분의 힘(즉, 편향력(192) + 제2 송부(502B) 방향으로부터의 유체 힘(196))을 극복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조정 가능한 밸브(540)는 폐쇄된 상태(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구성)로 유지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조정 가능한 밸브(540)는 F194 + F562F가 F192 + F196보다 작은 경우 폐쇄되거나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5b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성에서, 자석(562)은 가동 밸브부(580)에 대한 제1 위치(572A)에 배향된다. 그러나, 자기력 및 자기장 강도는, 예를 들어 자석이 작용하는 구성요소(예를 들어, 가동 밸브부(580))로부터 자석(예를 들어, 562)의 거리에 따라 변경된다. 도 5c는 도 5a 및 도 5b와 동일한 유체 유동 시스템(500)을 도시하지만, 도 5c의 예에서, 자석(562)은 가동 밸브부(580)로부터 더 먼 거리에(제2 위치(572B)에) 위치한다. 이러한 증가된 거리는 자석(562)에 의해 가동 밸브부(580)에 인가되는 힘(562F)을 감소시킨다(도 5b와 비교하여, 도 5c에 더 짧은 힘 화살표(562F)로 도시된 바와 같음). 따라서, (i) 제1 단부(502A) 방향으로부터의 유체 압력 힘(194)과, (ii) 자석(562)으로부터의 자기력(562F)으로 인한 가동 밸브부(580)에 대한 조합된 힘은 도 5b의 배열과 비교하여 도 5c의 배열에서 더 작다. (i) 제2 단부(502B) 방향으로부터의 유체 압력 힘(196)과, (ii) 편향 시스템(180)(예를 들어, 스프링(182))으로부터의 힘(192)으로 인한 가동 밸브부(580)에 대한 조합된 힘이 도 5b와 도 5c에서 동일하게 유지되면, 도 5b의 배열과 비교하여 도 5c의 배열에서 감소된 자기력(F562F)으로 인해, 조정 가능한 밸브(540)를 (도 5a의) 폐쇄 상태로부터 도 5b의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제1 단부(502A) 방향으로부터의 유체 압력 힘(F194)과 비교하여, 제1 단부(502A) 방향으로부터의 더 큰 유체 압력 힘(F194)이, 조정 가능한 밸브(540)를 (도 5a의) 폐쇄 상태로부터 도 5c의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데 필요할 것이다. 가동 밸브부(580)(자기 흡인성 재료를 포함함)에 대한 자석(562)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밸브(540)를 개방 구성으로 "크래킹"하는 데 필요한 제1 단부(502A) 방향으로부터의 유체 압력(F194)이 수정, 조정 및/또는 제어될 수 있다.
도 5d는 도 5a 내지 도 5c와 동일한 유체 유동 시스템(500)을 도시하지만, 도 5d의 예에서, 자석(562)은 가동 밸브부(580)로부터 훨씬 더 먼 거리에(제3 위치(572C)에) 위치한다. 이러한 더욱 증가된 거리는 자석(562)에 의해 가동 밸브부(580)에 인가되는 힘(562F)을 더욱 감소시킨다(도 5c와 비교하여, 도 5d에 더 짧은 힘 화살표(562F)로 도시된 바와 같음). 따라서, (i) 제1 단부(502A) 방향으로부터의 유체 압력 힘(194)과, (ii) 자석(562)으로부터의 자기력(562F)으로 인한 가동 밸브부(580)에 대한 조합된 힘은 도 5c의 배열과 비교하여 도 5d의 배열에서 더 작다. (i) 제2 단부(502B) 방향으로부터의 유체 압력 힘(196)과, (ii) 편향 시스템(180)(예를 들어, 스프링(182))으로부터의 힘(192)으로 인한 가동 밸브부(580)에 대한 조합된 힘이 도 5c와 도 5d에서 동일하게 유지되면, 도 5c의 배열과 비교하여 도 5d의 배열에서 감소된 자기력(F562F)으로 인해, 조정 가능한 밸브(540)를 (도 5a의) 폐쇄 상태로부터 도 5c 또는 도 5b의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제1 단부(502A) 방향으로부터의 유체 압력 힘(F194)과 비교하여, 제1 단부(502A) 방향으로부터의 더 큰 유체 압력 힘(F194)이, 조정 가능한 밸브(540)를 (도 5a의) 폐쇄 상태로부터 도 5d의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데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추가 예는 가동 밸브부(580)(자기 흡인성 재료를 포함함)에 대한 자석(562)의 위치가 밸브(540)를 개방 구성으로 "크래킹"하는 데 필요한 제1 단부(502A)로부터의 유체 압력(F194)을 수정, 변경 및/또는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방식을 추가로 도시한다.
가동 밸브부(580)에 입사되는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570)은 임의의 원하는 구조 및/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이러한 수단(570)은 자석(562)이 가동 밸브부(580)의 위치에 대한 2개 이상의 상이한 위치에서 물리적으로 이동하고/하거나 유지되게 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체 또는 시스템(자석(562)을 가동 밸브부(580)를 향해 및/또는 그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기 위한 임의의 구조체 또는 시스템)을 구성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570)은 가동 밸브부(580)에 입사되는 자기장 강도를 적어도 제1 자기장 강도와 제1 자기장 강도보다 작은 제2 자기장 강도 사이에서 변경하며, 선택적으로, (도 5b 내지 도 5d의 예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상이한 강도 사이, 또는 (도 5a 내지 도 5d의 예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훨씬 더 많은 상이한 자기장 강도 사이에서 자기장 강도를 변경한다.
도 5a 내지 도 5d의 예에서,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570)은 트랙(track)(574)(예를 들어, 곡선형 또는 선형 트랙)을 포함하며, 자석(562)은 자석(562)과 가동 밸브부(580) 사이의 물리적 거리를 변경하도록 트랙(574)을 통해 이동 가능하다(예를 들어, 도 5b 내지 도 5d의 예에서 3개의 개별 위치(572A, 572B 및 572C) 사이에서 이동 가능함). 트랙(574)은 풋웨어 물품을 위한 갑피 또는 밑창 구조체 상에(임의의 원하는 풋웨어 구성요소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자석(562)은, 예를 들어 세트 스크류(set screw), 후크-앤-루프 파스너(hook-and-loop fastener), 다른 기계적 파스너, 스프링-부하식 파스너 구성요소 등을 사용하여, 트랙(574)을 따라 개별 위치(572A, 572B 및 572C) 및/또는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자석(562)은 트랙(574)을 따라 수동으로 이동(그리고 트랙에 대해 수동으로 고정)되거나,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장치 하에서 이동될 수 있는(휴대 전화 앱 또는 다른 전자 장치와 같은 전자 입력 시스템(170)에 의해 전송된 명령 하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 캐리지(movable carriage)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옵션 또는 대안으로서, 자석(562)은 자기적 흡인력을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트랙(574) 또는 풋웨어 구성요소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추가적인 또는 다른 대안으로서, 구성요소(168)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a 내지 도 5d의 예의 자석(562)은 2개 이상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예를 들어, 회전)하여(선택적으로 이들 위치에 고정될 수 있음) 가동 밸브부(580)로부터의 물리적 거리(및 이에 의해 가동 밸브부(580)에 작용하는 자기장 강도 및 자기력)를 변화시키고 변경하는 회전 가능한 다이얼 또는 디스크와 같은 가동(예를 들어, 회전 가능한) 베이스(168) 상에 장착될 수 있다. 가동 베이스(168)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스위치(예를 들어, 회전 다이얼 유형 스위치 등) 또는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장치(휴대 전화 앱 또는 다른 전자 장치와 같은 전자 입력 시스템(170)에 의해 전송된 명령 하에서 이동 가능함)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570)은 다이얼, 및/또는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다이얼의 이동 및 고정을 지원하는 임의의 관련 구조체를 포함한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570)은 가동 밸브부(580) 근처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포켓 및/또는 장착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켓 및/또는 장착 구조체는 사용자가 포켓 또는 장착 구조체로부터 자석(562)을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제거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대안의 일부 예에서, 자석(562)은 가동 밸브부(580)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위치하는 2개 이상의 상이한 포켓 또는 장착 구조체를 갖는 베이스 상에 장착될 수 있다(이에 의해 가동 밸브부(580)에 작용하는 자기장 강도/자기력이 변화하게 함).
또 다른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특징으로서,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570)은 가동 밸브부(580)와 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자석 세트(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자석, 선택적으로 2개 내지 4개의 자석)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 세트는 유체 라인(502)의 내부 챔버 외측에 위치하는 2개 이상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세트로부터 원하는 자석을 선택할 수 있고/있거나, 세트로부터의 자석 중 하나를 가동 밸브부(580)에 대한 제1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 및/또는 유지하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회전 다이얼 또는 트랙 상에 장착된 상이한 자기장 강도의 다수의 자석의 경우,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570)은, 예를 들어 트랙, 다이얼 또는 전술한 임의의 고정/장착 구조체를 사용하여, 가동 밸브부(580)에 대한 제1 위치에 자석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세트의 자석 중 하나는 또한, 예를 들어 풋웨어 구성요소 상에 제공된 포켓 또는 다른 장착 구조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의 상기 예는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른 시스템(500) 및 방법에서 영구 자석(562)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5e는 전자석(552)이 자기력을 가동 밸브부(580)에 인가하는 데 사용되는 유사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550)을 도시한다. 전자석(552)은 유체 튜브(502) 주위를 감싸는 하나 이상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가동 밸브부(580)에 입사되는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570)은 전자석(562)에 공급되는 전류를 변경하는 제어기(576)를 포함한다. 전자석(562)에 대한 전류 변경의 결과로서 가동 밸브부(580)에 인가된 자기력의 변경은 도 5e에서 다양한 크기의 힘 화살표(562A(최대 전류 및 최대 자기장/자기력), 562B(중간 전류 및 중간 자기장/자기력) 및 562C(최소 전류 및 최소 자기장/자기력))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전자석(552)에 대한 전류(및 그에 따라 가동 밸브부(580)에 입사되는 자기장 강도 및 자기력)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정 가능한 밸브(540)의 크랙 압력은, 예를 들어 도 5a 내지 도 5d와 관련하여 전술한 방식으로, 변화하고 제어될 수 있다. 전류 설정을 선택적으로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수동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입력됨)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예를 들어 도 4a 내지 도 4d에 관하여 전술한 유형의 볼 밸브 구성에 적용된 도 5a 내지 도 5e와 관련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양태의 조정 가능한 밸브(540) 및/또는 가변 크랙 압력 특징부를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유체 유동 시스템(600)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5e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도 6에 사용되는 경우,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이 참조되며, 반복적인 설명의 대부분은 생략된다. 이러한 예의 조정 가능한 밸브(540)는 도 4a 내지 도 4d의 구조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임의의 구조, 특징 및/또는 옵션을 가질 수 있으며, 도 4a 내지 도 5e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일반적인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도 6의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600) 및 방법은 제1 단부(502A) 및 제1 단부(502A)에 대향하는 제2 단부(502B)를 갖는 유체 라인(502)을 포함한다. 유체 라인(502)은 제1 단부(502A)와 제2 단부(502B)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부면(502I)을 한정하고, 이러한 내부면(502I)은 (예를 들어, 전술한 상태 하에서) 유체가 관통 유동할 수 있는 내부 챔버를 한정한다. 조정 가능한 밸브(540)(예를 들어, 조정 가능한 크랙 압력을 가짐)가 이러한 유체 라인(502) 내에 제공된다. 조정 가능한 밸브(540)는 유체 라인(502)의 내부면(502I)과 밀봉식으로 맞물리는 고정 밸브부(560), 및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560S)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정 가능한 밸브(540)는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560S)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가동 밸브부(580)(이러한 예에서는 볼)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예의 가동 밸브부(580)는 또한 적어도 자기 흡인성 재료로 제조된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도시된 예에서, 가동 밸브부(580) 전체의 볼이 자기 흡인성 재료로 제조되지만, 원하는 경우, 전체보다 적은 가동 밸브부(580)의 볼이 이와 같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6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원하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동 밸브부(580)에 입사되는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잠재적인 "수단"(570)을 추가로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6은 트랙(574)을 도시하며, 자석(562)과 가동 밸브부(580)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도록(그에 따라 가동 밸브부(580)에 인가되는 자기력(562A, 562B, 562C)을 변화시킴) 자석(562)이 트랙(574)을 따라 2개 이상의 위치로 이동되고/되거나 이들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트랙(574)은 도 5a 내지 도 5d의 유사한 부분에 대해 전술한 임의의 특징부를 작동시키고/시키거나 가질 수 있다. 가동 밸브부(580)에 입사되는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수단"(570)으로서, 도 6은 가동 밸브부(580)에 인가되는 자기력(562A, 562B, 562C)을 변화시키도록 전자석(552)에 공급되는 전류를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기(576)를 포함하는, 도 5e의 전자석(552) 특징부를 도시한다. 전자석(552) 및/또는 제어기(576)는 도 5e의 유사한 부분에 대해 전술한 임의의 특징부를 작동시키고/시키거나 가질 수 있다. 도 6은 하나 이상의 자석(도 6에는 M1 내지 M4가 도시됨)이 제공되는 회전 다이얼(168)을 추가로 도시한다. 다이얼(168) 상에 하나의 자석(M1)이 존재하는 경우, 회전 다이얼(168)을 (도 6의 화살표(590)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또는 전자/자동 제어 하에서 돌림으로써, 자석(M1)과 가동 밸브부(580) 사이의 거리는 가동 밸브부(580)에 작용하는 자기장/자기력의 변동을 허용하도록 변화하고 제어될 수 있다. 회전 다이얼(168) 상에 상이한 자기장 강도를 갖는 다수의 자석(예를 들어, M1 내지 M4)이 존재하는 경우, 가동 밸브부(580)에 입사되는 자기장/자기력은 가동 밸브부(580)와 상호 작용하는 위치(592)에 위치하는 특정 자석(M1 내지 M4)을 변경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다른 잠재적인 옵션 또는 대안으로서, 자석 또는 자석 세트가 포켓 또는 다른 장착 구조체에 (예를 들어, 위치(592)에) 제공되고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가동 밸브부(580)에 대한 자기장 강도 및/또는 자기력을 변경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 5a 내지 도 5e와 관련하여 전술한 방식으로, 밸브(540)의 크랙 압력을 제어 및/또는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추가적인 예로서, 가동 밸브부에 입사되는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570)은 가동 밸브부에 인가되는 자기력을 변경하거나 감쇠시키도록 자석과 가동 밸브부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가동 실드(movable shield)를 구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의 적어도 일부 예에서, 실드 재료의 양(예를 들어, 실드 재료(예를 들어, 웨지(wedge)로서 제공됨)의 두께), (예를 들어, 적층된 배열에서) 실드의 수, 또는 실드 재료의 유형은 가동 밸브부에 보다 크거나 보다 작은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게 하도록 변화할 수 있다. 가동 실드(들)는 자석을 물리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술한 임의의 방식(예를 들어, 트랙, 다이얼, 포켓 내에서의 배치 등)을 포함하여,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가동 밸브부(146, 580)가 노출되는 자기장을 변경함으로써, 밸브(140, 540)의 크랙 압력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되고/되거나 수정되고/되거나 변화하게 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석, 자기장 강도, 가동 밸브부에 대한 자석의 물리적 위치, 전체 시스템 또는 방법에서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류, 또는 자석(들)과 가동 밸브부(146) 사이에 제공된 실드 재료의 양 등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함으로써 가동 밸브부(146, 580)에 인가되는 자기력을 변경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원하는 경우, 가동 밸브부(146, 580) 자체는, 대략 0이 아닌 베이스 레벨의 자기량 또는 0이 아닌 자기 바이어스(예를 들어, 자화될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 밸브부(146, 580)의 이러한 0이 아닌 베이스 레벨의 자기량 또는 0이 아닌 자기 바이어스는, 예를 들어 전술한 다양한 방식으로, 폐쇄 구성과 개방 구성 사이에서 가동 밸브부(146, 580)를 이동시키도록 자석(162, 562, 552)으로부터의 자기력과 조합되는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유체 라인(502)은 임의의 원하는 크기, 형상 및/또는 특성을 가질 수 있고, 그의 단부(502A/502B)가 적어도 하나의 단부 상의 주변 환경을 포함하여, 임의의 원하는 유체 공급원(들)과 맞물릴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서, 유체 라인(502)은 조정 가능한 밸브(540) 부분(들)이 장착될 수 있는(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시멘트에 의해 고정되는, 제자리에 크림핑(crimping)되는 등)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의 보다 구체적인 예에서, 유체 라인(502)은 50 mm 미만, 일부 예에서는 35 mm 미만, 25 mm 미만, 18 mm 미만, 15 mm 미만, 12.5 mm 미만, 10 mm 미만, 8 mm 미만, 또는 심지어 6 mm 미만의 내경(D1)(도 5a 참조)(또는 원형이 아닌 경우, 하나의 방향으로 최대 내부 치수)을 갖는 플라스틱 튜브(예를 들어, 가요성 튜브)를 구성할 수 있다. 유체 라인(502)은 그 대향 단부(502A/502B)가 유체 용기, 유체-충전식 블래더(예를 들어, 풋웨어 및/또는 발 지지부용), 유체 리저버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원하는 유체 공급원과 유체 연통하고/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유체 라인(106, 502)은, 예를 들어 풋웨어 밑창 구조체를 위한 유체-충전식 블래더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유형의, 플라스틱 재료(예를 들어,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2개의 영역 또는 시트를 결합하기 위해 열 및 압력에 의해 또는 용접 기법(예를 들어, RF 용접, UV 용접,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열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4d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일부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5a 내지 도 6의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은 밑창 구조체, 갑피 및/또는 풋웨어 물품(임의의 원하는 풋웨어 구성요소)에 합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풋웨어 예는, (a)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102)(예를 들어, 풋웨어 밑창 구조체에 포함됨); (b)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104)(예를 들어, 풋웨어 밑창 구조체 및/또는 풋웨어 갑피에 포함함); 및 예를 들어 도 5a 내지 도 6에 도시되고 전술한 유형의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500, 550, 60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 라인(502)의 제1 단부(502A)는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102)와 유체 연통할 수 있고, 유체 라인(502)의 제2 단부(502B)는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104)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또는 그와 반대로, 유체 라인(502)의 제1 단부(502A)는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104)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라인(502)의 제2 단부(502B)는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104)와 유체 연통함). 도 5a 내지 도 6의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500, 550, 600)은,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1e와 관련하여 전술한 임의의 방식으로, 풋웨어 물품의 임의의 밑창 구조체, 갑피 및/또는 다른 구성요소 부분과 맞물리거나 그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유동 조절기(120), 밸브(140) 및/또는 유체 유동 제어기(500, 550, 600)(조정 가능한 밸브(540)를 가짐)의 일 단부가 발 지지 블래더(102)에 연결되는 풋웨어 구조체에 합체되는 경우, 유동 조절기(120), 밸브(140) 및/또는 유체 유동 제어기(500, 550, 600)(조정 가능한 밸브(540)를 가짐)는 착용자 발과 발 지지 블래더(102) 사이의 충격력이 압력 증가(또는 지면 접촉으로 인한 압력 임펄스 힘 또는 스파이크)를 유발하여 밸브 안착 영역(144, 560S)에 가동 밸브부(예를 들어, 148, 580)를 보다 강력하게 안착시키는 것을 돕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도 5a 내지 도 6에 도시된 힘(196)이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로부터의 압력인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유사한 특징이 도 3d 및 도 4d와 관련하여 전술되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 및/또는 장점이 도 5a 내지 도 6의 예에서 실현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6에 대한 상기 논의는 일반적으로, 조정 가능한 밸브(540)의 크랙 압력이 변화하고 제어될 수 있는 방식을 설명한다. 이와 같은 특징은, 예를 들어 발 지지 블래더 내의 압력을 변화시키거나 제어하고/하거나, 유체-충전식 블래더 내의 과도한 압력 축적을 방지하고/하거나, 조합된 압력 이퀄라이저 및 체크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해, 풋웨어 물품의 최종 사용자에게 유용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상기에 설명되어 있다. 밸브(540)의 크랙 압력을 변화시키고 제어하는 능력은 또한 다른 용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500, 550, 600) 및/또는 밸브(540)의 조정 가능한 및/또는 가변 크랙 압력의 양태는 풋웨어 이외의 기술에(예를 들어, 체크 밸브를 이용하는 환경과 같은 임의의 원하는 유체 유동 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5a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양태는, 예를 들어 하나의 신발에서의 하나 이상의 발 지지 압력 설정 레벨을 다른 신발(예를 들어, 한 쌍 중 반대측 신발, 동일한 사용자를 위한 나중에 제조된 제2 신발 쌍 등)에서의 하나 이상의 발 지지 압력 설정 레벨과 일치시키기 위해, 풋웨어 및/또는 풋웨어 밑창 구조체의 제조 동안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신발 밑창의 압력 설정(들) 및/또는 체크 밸브의 크랙 압력을 다른 신발의 신발 밑창 압력 설정(들) 및/또는 체크 밸브의 크랙 압력과 일치시키기 위해) 신발 밑창에 대한 발 지지 압력을 설정하기 위한 이와 같은 시스템 및 방법은, (a) 한 쌍의 신발 밑창 중 제1 밑창(1004)의 제1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의 제1 압력을 측정하는 것; (b) 한 쌍의 신발 밑창 중 제2 밑창(1004)의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는 조정 가능한 밸브(540)를 통해 유체 공급원(104)에 연결되고, 조정 가능한 밸브(540)는, (i)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560S)을 포함하는 고정 밸브부(560), 및 (ii)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560S)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가동 밸브부(580)를 가지며, 가동 밸브부(580)는 적어도 자기 흡인성 재료로 제조된 부분을 포함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 및 (c) 자기장 강도, 가동 밸브부(580)에 대한 자석(562)의 물리적 위치, 또는 제1 압력으로부터 사전결정된 범위 내에 있는 제2 압력(제2 신발 밑창(1004)에 대한 제2 압력은 제1 신발 밑창(1004)에 대한 제1 압력과 정확히 동일할 수 있음)으로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의 발 지지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조정 가능한 밸브(540)의 크랙 압력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전자석(552)에 공급되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 쌍의 두 신발에 대한 압력 설정 및/또는 크랙 압력은 (예를 들어, 자석(562)의 위치를 변경하고/하거나 전자석(552)의 전류 레벨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제조업자에 의해 비교적 신속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일치될 수 있다.
전자석(552)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 및 방법은 전자석(552)(제2 밑창(1004)과, 또는 제2 밑창(1004)이 맞물리는 신발(1000 내지 5000)의 구성요소, 예컨대 갑피(1002)와 맞물릴 수 있음)과 전자 통신하는 제어기(576)에 입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데이터는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를 제2 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조정 가능한 밸브(540)의 크랙 압력을 설정하기 위해 전자석(552)에 공급될 전류를 식별하는 전류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압력 설정을 취할 수 있는 풋웨어 물품(1000) 및/또는 밑창 구조체(1004)에 대해,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를 (a) 제2 압력과는 상이한 제3 압력에 대응하는 제1 압력 설정으로부터 (b) 제2 압력에 대응하는 제2 압력 설정으로 전환하는 것; 및 제2 발 지지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를 제2 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제2 밑창(1004)의 조정 가능한 밸브(540)의 크랙 압력을 설정하기 위해 전자석(552)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제2 밑창(1004) 또는 제2 밑창(1004)이 맞물리는 신발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갑피(1002)) 상에는,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를 제2 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조정 가능한 밸브(540)의 크랙 압력을 설정하도록 가동 밸브부(580)에 대한 자석(562)의 물리적 위치를 마킹하기 위한 표시기(indicator)가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이것은 도 5a 내지 도 5d의 시스템에서, 가동 밸브부(580)에 대한 상이한 자기장 강도/자기력을 제공하는 트랙(574)의 정지 위치(572A, 572B 및/또는 572C) 중 하나 이상에 있는 신발 밑창(1004), 갑피(1002) 또는 다른 풋웨어 구성요소(1010) 상에 표시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기는 트랙(574) 상의 원하는 위치(들)에서 자석(562)을 정지시키는 시각적 표시기 또는 마킹(610) 또는 지정된 정지 위치(예컨대, 트랙(574) 내의 디텐트(detent) 또는 다른 구조체)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러한 표시기는,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회전 위치(들)에서 회전 다이얼(168)을 정지시키는 시각적 표시기 또는 마킹(610) 또는 지정된 정지 위치(예를 들어, 디텐트 또는 다른 구조체)일 수 있다. 표시기(610)에 대한 위치는, 일단 결정되면, 조정 가능한 밸브(540)에 대한 원하는 크랙 압력을 달성하기 위한 위치를 신뢰성 있게, 그리고 반복적으로 찾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조정 가능한 밸브(540)의 발 지지 압력 및/또는 크랙 압력을 설정하는 것은 한 쌍의 두 신발(1000 내지 5000) 모두에서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 및 방법은,
한 쌍의 신발 밑창(1004) 중 제1 밑창(1004)의 제1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의 제1 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제1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는 제1 조정 가능한 밸브(540)를 통해 제1 유체 공급원(104)에 연결되고, 제1 조정 가능한 밸브(540)는, (i) 제1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560S)을 포함하는 제1 고정 밸브부(560), 및 (ii) 제1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560S)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제1 가동 밸브부(580)를 가지며, 제1 가동 밸브(580)부는 자기 흡인성 재료로 제조된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압력을 측정하는 것;
한 쌍의 신발 밑창(1004) 중 제2 밑창(1004)의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의 제2 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는 제2 조정 가능한 밸브(540)를 통해 제2 유체 공급원(104)에 연결되고, 제2 조정 가능한 밸브(540)는, (i) 제2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560S)을 포함하는 제2 고정 밸브부(560), 및 (ii) 제2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560S)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 가동 밸브부(580)를 가지며, 제2 가동 밸브부(580)는 자기 흡인성 재료로 제조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압력을 측정하는 것;
제1 자기장 강도, 제1 가동 밸브부(580)에 대한 제1 자석(562)의 물리적 위치, 또는 제1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를 제1 발 지지 압력의 제1 사전결정된 범위(예를 들어, ±2 psi) 내에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제1 조정 가능한 밸브(540)의 제1 크랙 압력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제1 전자석(552)에 공급되는 제1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 및
제2 자기장 강도, 제2 가동 밸브부(580)에 대한 제2 자석(562)의 물리적 위치, 또는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를 제1 발 지지 압력 또는 다른 원하는 발 지지 압력의 제2 사전결정된 범위(예를 들어, ±2 psi) 내에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제2 조정 가능한 밸브(580)의 제2 크랙 압력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제2 전자석(552)에 공급되는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전결정된 범위는 제2 사전결정된 범위와 동일할 수 있거나, 이들 사전결정된 범위는 상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원하는 경우, 신발 밑창(1004), 갑피(1002) 또는 다른 풋웨어 구성요소(1010) 상에는, 제1 밑창 구조체(1004)에 대한 원하는 제1 크랙 압력을 설정하도록 제1 자석(562)의 위치를 마킹하고/하거나 제2 밑창 구조체(1004)에 대한 원하는 제2 크랙 압력을 설정하도록 제2 자석(562)의 위치를 마킹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표시기(610)가 제공될 수 있다.
전자석(552)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 및 방법은 제1 전자석(552)(제1 밑창(1004)과, 또는 제1 밑창(1004)이 맞물리는 제1 신발(1000 내지 5000)의 구성요소와 맞물릴 수 있음)과 전자 통신하는 제어기(576)에 제1 입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입력 데이터는 제1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를 제1 사전결정된 범위 내에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제1 조정 가능한 밸브(540)의 제1 크랙 압력을 설정하기 위해 제1 전자석(552)에 공급될 제1 전류를 식별하는 제1 전류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및 방법은 제2 전자석(552)(제2 밑창(1004)과, 또는 제2 밑창(1004)이 맞물리는 제2 신발(1000 내지 5000)의 구성요소와 맞물릴 수 있음)과 전자 통신하는 제1 제어기(576) 또는 제2 제어기(576)에 제2 입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입력 데이터는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102)를 제2 사전결정된 범위 내에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제2 조정 가능한 밸브(540)의 제2 크랙 압력을 설정하기 위해 제2 전자석(552)에 공급될 제2 전류를 식별하는 제2 전류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하나 이상의 신발에서 밸브(140, 540)의 크랙 압력을 제어하는 추가된 능력은 제조업체가 한 쌍의 신발에서의 압력 설정을 보다 용이하게 일치시키게 한다(이에 의해 2개의 신발의 지지 압력 또는 압력 설정의 임의의 차이가 매우 작아지게 함(예를 들어, 일부 예에서는 ±2 psi 미만, 그리고 일부 예에서는 ±1 psi 미만, 또는 심지어 ±0.5 psi 또는 ±0.25 psi 미만)). 상이한 자석, 자기장 강도, 자석 위치 및/또는 전자석에 대한 전류를 사용하여 신발 또는 밑창의 제조 후에 밸브(140, 540)의 크랙 압력을 튜닝(tuning)하거나 조정하는 능력은 신발, 밑창 및/또는 유체 유동 시스템이 보다 느슨한 공차 하에서 제조되게 한다. 한 쌍의 두 신발에 대한 압력 설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기적 조정에 의해 신발/밑창 제조 동안 또는 이후에 튜닝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전술한 유형의 밸브(140, 540)(예를 들어, 조합 이퀄라이저 및 체크 밸브, 가변/조정 가능한 크랙 압력 특징부를 갖는 밸브 등)를 포함하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및/또는 유체 라인(106, 502)의 다른 예시적인 구조의 종단면도를 제공한다. 도 1a 내지 도 6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도 7a 및 도 7b에 사용되는 경우,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이 참조되며, 반복적인 설명의 대부분은 생략된다. 도 7a 및 도 7b의 밸브(140, 540) 구조체는 도 1a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전술한 임의의 예시적인 배열, 구성, 방법, 풋웨어 물품, 및/또는 밑창 구조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구조에서, 밸브(140, 540)는 고정 밸브부(142, 560)를 형성하는 바깥쪽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 밸브부(142, 540)의 바깥쪽 림(142E)은 유체 라인(106, 502)의 내부 벽(들)(106W)과 맞물려 유체 유동을 위해 유체 라인(106, 502)을 밀봉한다. 따라서, 이러한 라인(106, 502)을 통한 모든 유체 유동은 밸브(140, 540)를 통해 하나의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통과해야 한다. 이러한 예의 밸브 안착 영역(144, 560S)은 고정 밸브부(142, 560)를 통한 채널(144C)에 대한 유입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예의 하우징/고정 밸브부(142, 560)는 자기 흡인성 재료가 아닌 재료(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에서 가동 밸브부(146, 580)는, 예를 들어 전술한 임의의 유형의 자기 흡인성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된다. 가동 밸브부(146, 580)는 고정 밸브부(142, 560)의 측벽(들)(142W) 내부에,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레일 또는 다른 보유 장치 상에 슬라이딩식으로 장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체는 가동 밸브부(146, 580)의 외부 측면(들)(580S) 주위로 유동할 수 있다. 도 7a는 가동 밸브부(146, 580)의 단부(580E)가 편향 시스템 스프링(192)의 힘(및/또는 단부(502B) 방향으로부터의 유체 압력) 하에서 밸브 안착 영역(144, 560S)에 맞닿게 안착 및 밀봉됨에 따라, 밸브(140, 540)를 통한 유체 유동을 방지하는 배열(예를 들어, 폐쇄 구성)에 있는 가동 밸브부(146, 580)를 도시한다. 밸브 안착 영역(144, 560S) 및/또는 단부(580E)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밀봉 특징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료(예를 들어, 고무화된 재료, 연질 재료 등)로 제조되고/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유체는 단부(502B)로부터 하우징/고정 밸브 구성요소(142, 560) 내로 유동할 수 있지만, 밸브(140, 540) 주위 및/또는 밸브(140, 540)를 통한 유체 유동은 밸브 안착 영역(144, 560S) 상에 안착된 가동 밸브 구성요소(146, 580) 및 밀봉된 바깥쪽 림(142E)에 의해 정지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밸브(140, 540)는 밸브 안착 영역(144, 560S) 및/또는 채널(144C)로부터의 고정 밸브 구성요소(142, 560)의 대향 단부와 맞물리는(예를 들어, 마찰 끼워맞춤되는, 접착식으로 맞물리는, 기계적으로 맞물리는 등) 단부 부분(702)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단부 부분(702)은 편향 시스템(예를 들어, 스프링(192))에 대한 지지/백스톱(backstop)을 제공할 수 있다. 단부 부분(702)은, 그 자체가 고정 밸브부(142, 560)에 대해 제자리에 고정되는 동안, 예를 들어 자석(162, 552, 562)으로부터의 자기력을 가동 밸브 구성요소(146, 580)로 전달 및/또는 이송할 수 있게 하는 자화 가능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채널(702C)은 단부 부분(702)을 통해 하우징/고정 밸브부(142, 560)의 측벽(들)(142W) 내에 위치하는 고정 밸브부(142, 560)의 체적부(즉, 고정 밸브부의 내부 체적부) 내로의 유체 유동을 허용한다. 또한, 하우징/고정 밸브부(142, 560)의 측벽(142W)을 통한 하나 이상의 포트(704)는 측벽(142W) 외측의 유체 라인(106, 502) 내의 위치로부터 하우징/고정 밸브부(142, 560) 내로의 유체 유동을 허용한다.
도 7b는 개방 구성의 이러한 예시적인 밸브(140, 540)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1 단부(502A) 방향으로부터의 추가 유체 압력 및/또는 자석(162, 562, 552)으로부터의 추가 힘은 편향 시스템(예를 들어, 스프링(192)) 및/또는 제2 단부(502B) 방향으로부터의 유체 압력의 조합된 힘(들)을 극복하여 밸브(140, 540)를 "크래킹"한다. 이러한 "크래킹"은 밸브 안착 영역(144, 560S)으로부터 가동 밸브부(146, 580)의 단부(580E)를 안착 해제시키고, 채널(144C)을 개방한다. 그 후, 유체는 단부(502A) 방향으로부터 채널(144C)을 통해, 가동 밸브부(146, 580) 주위로(예를 들어, 가동 밸브부(146, 580)의 바깥쪽 측벽(들)(580S)과 하우징/고정 밸브부(142, 560)의 내부 측벽(들)(142W) 사이로), 단부 부분(702)을 통해 채널(702C) 내로 및/또는 하우징/고정 밸브부 포트(704)로부터 유체 라인(106, 502)의 단부(502B)를 향해(선택적으로 이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III. 결론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상기 및 첨부 도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개시에 의해 제공된 목적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과 관련된 다양한 특징 및 개념의 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수많은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의심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본 출원은 적어도 다음의 번호가 매겨진 항목에 설명된 주제를 포함한다:
항목 1. 풋웨어 물품을 위한 발 지지 시스템으로서,
제1 풋웨어 구성요소;
상기 제1 풋웨어 구성요소와 맞물리는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서, 제1 압력의 가스를 포함하는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상기 제1 풋웨어 구성요소 또는 제2 풋웨어 구성요소와 맞물리는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서, 제2 압력의 가스를 포함하는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를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와 유체 연통하도록 배치하는 제1 유체 이송 라인;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에 위치하거나 연결된 밸브로서, 상기 밸브는, (a)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을 포함하는 고정 밸브부, 및 (b)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가동 밸브부를 포함하는, 밸브; 및
상기 밸브를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변경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압력이 상기 제1 압력보다 높을 때, 상기 제어 시스템은, (a) 상기 밸브를 상기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가스가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 및 밸브를 통해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내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거나, (b) 상기 밸브를 상기 개방 상태로 이동시키고, 유체가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 및 밸브를 통해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내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하며,
상기 제1 압력이 상기 제2 압력보다 적어도 제1 사전결정된 양만큼 높을 때,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부터의 가스는, (a) 상기 가동 밸브부가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과 비접촉하도록 이동하게 하고, (b)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부터 상기 밸브 및 제1 유체 이송 라인을 통해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내로 이동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 풋웨어 물품을 위한 발 지지 시스템으로서,
제1 풋웨어 구성요소;
상기 제1 풋웨어 구성요소와 맞물리는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상기 제1 풋웨어 구성요소 또는 제2 풋웨어 구성요소와 맞물리는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를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와 유체 연통하도록 배치하는 제1 유체 이송 라인;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에 위치하거나 연결된 밸브로서, 상기 밸브는, (a) 유체가 상기 밸브 및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을 통해 유동하는 개방 상태와, (b)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을 통한 유체 유동이 상기 밸브에 의해 정지되는 폐쇄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고, 상기 밸브는, (i)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을 포함하는 고정 밸브부, 및 (ii)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가동 밸브부를 포함하는, 밸브; 및
상기 밸브를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 사이에서 변경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3. 항목 1 또는 항목 2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은 내부 채널을 갖는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의 내부 채널 내에 위치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4. 항목 1, 항목 2, 또는 항목 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밸브가 상기 개방 상태 또는 상기 폐쇄 상태 중 하나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동 밸브부를 유지하기 위한 편향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5. 항목 4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밸브부는, (i)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로서 정지면을 형성하는 제1 단부, (ii) 제1 유체 포트를 갖는 제2 단부, 및 (iii) 상기 고정 밸브부를 통해 상기 제1 유체 포트로부터, 상기 고정 밸브부의 외부면에 위치하는 제2 유체 포트로 연장되는 유체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밸브부는 자유 단부면 및 상기 가동 밸브부를 통해 연장되는 개방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 채널로의 제1 개구는 상기 가동 밸브부의 자유 단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편향 구성요소는 상기 자유 단부면을 상기 정지면을 향해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밸브부에 힘을 인가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6. 항목 4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은 내부 채널을 한정하는 내부 벽을 갖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밸브부는, (i)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로서 정지면을 형성하는 제1 단부, (ii) 제1 유체 포트를 갖는,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 (iii)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서, 상기 측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튜브의 내부 벽에 고정되는, 측벽, 및 (iv) 상기 고정 밸브부를 통해 상기 제1 유체 포트로부터,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제2 단부 또는 측벽에 위치하는 제2 유체 포트로 연장되는 유체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밸브부는, (i) 자유 단부면, (ii) 상기 자유 단부면에 대향하는 제2 단부로서,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튜브의 내부 벽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제2 단부, 및 (iii) 상기 가동 밸브부를 통해 연장되는 개방 채널로서, 상기 개방 채널로의 제1 개구는 상기 자유 단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개방 채널의 제2 개구는 상기 가동 밸브부의 제2 단부에 위치하는, 개방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편향 구성요소는 상기 튜브의 내부 벽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자유 단부면을 상기 정지면을 향해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밸브부에 힘을 인가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7. 항목 5 또는 항목 6에 있어서,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편향 구성요소의 편향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하고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정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가동 밸브부의 자유 단부면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힘을 상기 가동 밸브부에 인가하고,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편향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가동 밸브부에 인가된 편향력은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정지면에 맞닿게 상기 가동 밸브부의 자유 단부면 및 제1 개구를 배치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8. 항목 4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밸브부는, (i) 제1 유체 포트 및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로서 정지면을 형성하는 제1 단부, (ii) 제2 유체 포트를 갖는 제2 단부, 및 (iii) 상기 고정 밸브부를 통해 상기 제1 유체 포트로부터 상기 제2 유체 포트로 연장되는 유체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밸브부는 가동 볼을 포함하고;
상기 편향 구성요소는 상기 정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볼에 힘을 인가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9. 항목 8에 있어서,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편향 구성요소의 편향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하고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정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가동 볼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힘을 상기 가동 볼에 인가하고,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편향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가동 볼에 인가된 편향력은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정지면에 맞닿게 상기 가동 볼을 배치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0. 항목 8 또는 항목 9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은 내부 채널을 한정하는 내부 벽을 갖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편향 구성요소는 상기 튜브의 내부 벽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정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볼에 힘을 인가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1. 항목 8 또는 항목 9에 있어서, 상기 편향 구성요소는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한정된 내부 챔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2. 항목 4 내지 항목 1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편향 구성요소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3. 항목 1 또는 항목 2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은 내부 채널을 한정하는 내부 벽을 갖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밸브부는, (i)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로서 정지면을 형성하는 제1 단부, (ii) 제1 유체 포트를 갖는,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 (iii)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서, 상기 측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튜브의 내부 벽에 고정되는, 측벽, 및 (iv) 상기 고정 밸브부를 통해 상기 제1 유체 포트로부터,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제2 단부 또는 측벽에 위치하는 제2 유체 포트로 연장되는 유체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밸브부는, (i) 자유 단부면, (ii) 상기 자유 단부면에 대향하는 제2 단부로서,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튜브의 내부 벽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제2 단부, 및 (iii) 상기 가동 밸브부를 통해 연장되는 개방 채널로서, 상기 개방 채널로의 제1 개구는 상기 자유 단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개방 채널의 제2 개구는 상기 가동 밸브부의 제2 단부에 위치하는, 개방 채널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4. 항목 1 또는 항목 2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밸브부는, (i) 제1 유체 포트 및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로서 정지면을 형성하는 제1 단부, (ii) 제2 유체 포트를 갖는 제2 단부, 및 (iii) 상기 고정 밸브부를 통해 상기 제1 유체 포트로부터 상기 제2 유체 포트로 연장되는 유체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밸브부는 상기 밸브를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변경하도록 이동하는 가동 볼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5. 항목 14에 있어서,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정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가동 볼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힘을 상기 가동 볼에 인가하고,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가동 볼은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정지면에 맞닿게 유지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6. 항목 1 내지 항목 1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밸브부는 자석 및/또는 적어도 자석에 흡인되는 재료로 제조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밸브를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 사이에서 변경하도록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7. 항목 1 내지 항목 1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밸브부는 자석 및/또는 적어도 자석에 흡인되는 재료로 제조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밸브를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 사이에서 변경하도록 전력 공급 상태와 전력 비공급 상태 또는 전력 감소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전자석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8. 항목 1 내지 항목 1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를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를 더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19. 항목 1 내지 항목 1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를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를 상기 펌프에 연결하는 제2 유체 이송 라인;
상기 제2 유체 이송 라인을 통해,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부터 상기 펌프로의 유체 유동을 허용하지만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의 유체 유동을 저지하는 상기 제2 유체 이송 라인 내의 제1 일방향 밸브;
상기 펌프를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에 연결하는 제3 유체 이송 라인; 및
상기 제3 유체 이송 라인을 통해,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의 유체 유동을 허용하지만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부터 상기 펌프로의 유체 유동을 저지하는 상기 제3 유체 이송 라인 내의 제2 일방향 밸브를 더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0. 항목 1 내지 항목 1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제1 풋웨어 구성요소는 밑창 구조체이고,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는 상기 풋웨어 물품에서 착용자 발의 발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배향된 표면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1. 항목 1 내지 항목 2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는 상기 제2 풋웨어 구성요소와 맞물리고, 상기 제2 풋웨어 구성요소는 상기 풋웨어 물품을 위한 갑피를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2. 항목 1 내지 항목 2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는 상기 제1 풋웨어 구성요소와 맞물리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3. 항목 1 내지 항목 2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풋웨어 구성요소 또는 상기 제2 풋웨어 구성요소와 맞물리는, 발 지지 시스템.
항목 24. 풋웨어 갑피;
상기 풋웨어 갑피와 맞물리는 밑창 구조체; 및
항목 1 내지 항목 23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는 상기 밑창 구조체와 맞물리는, 풋웨어 물품.
항목 25. 갑피;
상기 갑피와 맞물리는 밑창 구조체;
상기 밑창 구조체와 맞물리고, 착용자 발의 발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을 포함하는 유체-충전식 블래더 지지부로서, 제1 압력의 가스를 포함하는 유체-충전식 블래더 지지부;
상기 갑피 및 상기 밑창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와 맞물리는 유체-충전식 블래더 리저버로서, 제2 압력의 가스를 포함하는 유체-충전식 블래더 리저버;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지지부를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리저버와 유체 연통하도록 배치하는 제1 유체 이송 라인;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에 위치하거나 연결된 밸브로서, 상기 밸브는, (a) 유체가 상기 밸브 및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을 통해 유동하는 개방 상태와, (b)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을 통한 유체 유동이 상기 밸브에 의해 정지되는 폐쇄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고, 상기 밸브는, (i)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을 포함하는 고정 밸브부, 및 (ii)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가동 밸브부를 포함하는, 밸브; 및
상기 밸브를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 사이에서 변경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압력이 상기 제1 압력보다 높을 때, 상기 제어 시스템은, (a) 상기 밸브를 상기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가스가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리저버로부터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 및 밸브를 통해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지지부 내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거나, (b) 상기 밸브를 상기 개방 상태로 이동시키고, 유체가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리저버로부터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 및 밸브를 통해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지지부 내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하며,
상기 제1 압력이 상기 제2 압력보다 적어도 제1 사전결정된 양만큼 높을 때,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지지부로부터의 가스는, (a) 상기 가동 밸브부가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과 비접촉하도록 이동하게 하고, (b)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지지부로부터 상기 밸브 및 제1 유체 이송 라인을 통해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리저버 내로 이동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26. 갑피;
상기 갑피와 맞물리는 밑창 구조체;
상기 밑창 구조체와 맞물리고, 착용자 발의 발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을 포함하는 유체-충전식 블래더 지지부;
상기 갑피 및 상기 밑창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와 맞물리는 유체-충전식 블래더 리저버;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지지부를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리저버와 유체 연통하도록 배치하는 제1 유체 이송 라인;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에 위치하거나 연결된 밸브로서, 상기 밸브는, (a) 유체가 상기 밸브 및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을 통해 유동하는 개방 상태와, (b)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을 통한 유체 유동이 상기 밸브에 의해 정지되는 폐쇄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고, 상기 밸브는, (i)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을 포함하는 고정 밸브부, 및 (ii)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가동 밸브부를 포함하는, 밸브; 및
상기 밸브를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 사이에서 변경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27. 항목 25 또는 항목 26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은 내부 채널을 갖는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의 내부 채널 내에 위치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28. 항목 25, 항목 26, 또는 항목 2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밸브가 상기 개방 상태 또는 상기 폐쇄 상태 중 하나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동 밸브부를 유지하기 위한 편향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29. 항목 28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밸브부는, (i)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로서 정지면을 형성하는 제1 단부, (ii) 제1 유체 포트를 갖는 제2 단부, 및 (iii) 상기 고정 밸브부를 통해 상기 제1 유체 포트로부터, 상기 고정 밸브부의 외부면에 위치하는 제2 유체 포트로 연장되는 유체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밸브부는 자유 단부면 및 상기 가동 밸브부를 통해 연장되는 개방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 채널로의 제1 개구는 상기 가동 밸브부의 자유 단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편향 구성요소는 상기 자유 단부면을 상기 정지면을 향해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밸브부에 힘을 인가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30. 항목 28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은 내부 채널을 한정하는 내부 벽을 갖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밸브부는, (i)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로서 정지면을 형성하는 제1 단부, (ii) 제1 유체 포트를 갖는,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 (iii)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서, 상기 측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튜브의 내부 벽에 고정되는, 측벽, 및 (iv) 상기 고정 밸브부를 통해 상기 제1 유체 포트로부터,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제2 단부 또는 측벽에 위치하는 제2 유체 포트로 연장되는 유체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밸브부는, (i) 자유 단부면, (ii) 상기 자유 단부면에 대향하는 제2 단부로서,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튜브의 내부 벽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제2 단부, 및 (iii) 상기 가동 밸브부를 통해 연장되는 개방 채널로서, 상기 개방 채널로의 제1 개구는 상기 자유 단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개방 채널의 제2 개구는 상기 가동 밸브부의 제2 단부에 위치하는, 개방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편향 구성요소는 상기 튜브의 내부 벽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자유 단부면을 상기 정지면을 향해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밸브부에 힘을 인가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31. 항목 29 또는 항목 30에 있어서,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편향 구성요소의 편향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하고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정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가동 밸브부의 자유 단부면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힘을 상기 가동 밸브부에 인가하고,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편향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가동 밸브부에 인가된 편향력은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정지면에 맞닿게 상기 가동 밸브부의 자유 단부면 및 제1 개구를 배치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32. 항목 28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밸브부는, (i) 제1 유체 포트 및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로서 정지면을 형성하는 제1 단부, (ii) 제2 유체 포트를 갖는 제2 단부, 및 (iii) 상기 고정 밸브부를 통해 상기 제1 유체 포트로부터 상기 제2 유체 포트로 연장되는 유체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밸브부는 가동 볼을 포함하고;
상기 편향 구성요소는 상기 정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볼에 힘을 인가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33. 항목 32에 있어서,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편향 구성요소의 편향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하고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정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가동 볼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힘을 상기 가동 볼에 인가하고,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편향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가동 볼에 인가된 편향력은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정지면에 맞닿게 상기 가동 볼을 배치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34. 항목 32 또는 항목 33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은 내부 채널을 한정하는 내부 벽을 갖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편향 구성요소는 상기 튜브의 내부 벽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정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볼에 힘을 인가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35. 항목 32 또는 항목 33에 있어서, 상기 편향 구성요소는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한정된 내부 챔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36. 항목 28 내지 항목 3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편향 구성요소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37. 항목 25 또는 항목 26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은 내부 채널을 한정하는 내부 벽을 갖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밸브부는, (i)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로서 정지면을 형성하는 제1 단부, (b) 제1 유체 포트를 갖는,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 (iii)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서, 상기 측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튜브의 내부 벽에 고정되는, 측벽, 및 (iv) 상기 고정 밸브부를 통해 상기 제1 유체 포트로부터,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제2 단부 또는 측벽에 위치하는 제2 유체 포트로 연장되는 유체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밸브부는, (i) 자유 단부면, (ii) 상기 자유 단부면에 대향하는 제2 단부로서,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튜브의 내부 벽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제2 단부, 및 (iii) 상기 가동 밸브부를 통해 연장되는 개방 채널로서, 상기 개방 채널로의 제1 개구는 상기 자유 단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개방 채널의 제2 개구는 상기 가동 밸브부의 제2 단부에 위치하는, 개방 채널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38. 항목 25 또는 항목 26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밸브부는, (i) 제1 유체 포트 및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로서 정지면을 형성하는 제1 단부, (ii) 제2 유체 포트를 갖는 제2 단부, 및 (iii) 상기 고정 밸브부를 통해 상기 제1 유체 포트로부터 상기 제2 유체 포트로 연장되는 유체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밸브부는 상기 밸브를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변경하도록 이동하는 가동 볼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39. 항목 38에 있어서,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정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가동 볼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힘을 상기 가동 볼에 인가하고,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가동 볼은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정지면에 맞닿게 유지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40. 항목 25 내지 항목 3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밸브부는 자석 및/또는 적어도 자석에 흡인되는 재료로 제조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밸브를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 사이에서 변경하도록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41. 항목 25 내지 항목 3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밸브부는 자석 및/또는 적어도 자석에 흡인되는 재료로 제조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밸브를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 사이에서 변경하도록 전력 공급 상태와 전력 비공급 상태 또는 전력 감소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전자석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42. 항목 25 내지 항목 4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를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지지부로부터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리저버로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를 더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43. 항목 25 내지 항목 4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를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지지부로부터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리저버로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지지부를 상기 펌프에 연결하는 제2 유체 이송 라인;
상기 제2 유체 이송 라인을 통해,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지지부로부터 상기 펌프로의 유체 유동을 허용하지만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지지부로의 유체 유동을 저지하는 상기 제2 유체 이송 라인 내의 제1 일방향 밸브;
상기 펌프를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리저버에 연결하는 제3 유체 이송 라인; 및
상기 제3 유체 이송 라인을 통해,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리저버로의 유체 유동을 허용하지만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리저버로부터 상기 펌프로의 유체 유동을 저지하는 상기 제3 유체 이송 라인 내의 제2 일방향 밸브를 더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44. 항목 25 내지 항목 4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지지부의 지지면은 착용자 발의 발바닥면 전체를 지지하도록 치수결정되는, 풋웨어 물품.
항목 45. 항목 25 내지 항목 4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리저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갑피와 맞물리는, 풋웨어 물품.
항목 46. 항목 25 내지 항목 4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유체-충전식 블래더 리저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밑창 구조체와 맞물리는, 풋웨어 물품.
항목 47. 항목 25 내지 항목 4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갑피 또는 상기 밑창 구조체와 맞물리는, 풋웨어 물품.
항목 48.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갖는 유체 라인으로서, 상기 유체 라인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부면을 한정하고, 상기 내부면은 유체가 관통 유동할 내부 챔버를 한정하는, 유체 라인;
상기 유체 라인의 내부면과 밀봉식으로 맞물리는 고정 밸브부로서,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을 포함하는 고정 밸브부;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가동 밸브부로서, 적어도 자기 흡인성 재료로 제조된 부분을 포함하는 가동 밸브부;
상기 유체 라인의 내부 챔버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자석; 및
상기 가동 밸브부에 입사되는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49. 항목 48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가동 밸브부에 입사되는 자기장의 강도를 제1 자기장 강도와 상기 제1 자기장 강도보다 작은 제2 자기장 강도 사이에서 변경하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50. 항목 48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가동 밸브부에 입사되는 자기장의 강도를 적어도 3개의 상이한 자기장 강도 사이에서 변경하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51. 항목 48 내지 항목 5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자석을 상기 가동 밸브부를 향해 및/또는 그로부터 멀리 물리적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52. 항목 48 내지 항목 5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은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가동 밸브부 사이의 물리적 거리를 변경하도록 상기 트랙을 통해 이동 가능한,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53. 항목 48 내지 항목 5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은 다이얼을 포함하며, 상기 다이얼의 회전은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가동 밸브부 사이의 물리적 거리를 변경하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54. 항목 48 내지 항목 5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유체 라인의 내부 챔버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자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석은 제1 자기장 강도를 갖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1 자기장 강도와는 상이한 제2 자기장 강도를 가지며, 상기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자석을 상기 가동 밸브부에 대한 제1 위치에, 또는 상기 제2 자석을 상기 제1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55. 항목 48 내지 항목 5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유체 라인의 내부 챔버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자석 및 상기 유체 라인의 내부 챔버 외측에 위치하는 제3 자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석은 제1 자기장 강도를 갖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1 자기장 강도와는 상이한 제2 자기장 강도를 갖고, 상기 제3 자석은 상기 제1 자기장 강도 및 상기 제2 자기장 강도와는 상이한 제3 자기장 강도를 가지며, 상기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자석, 상기 제2 자석 또는 상기 제3 자석 중 하나를 상기 가동 밸브부에 대한 제1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56. 항목 48 내지 항목 5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유체 라인의 내부 챔버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추가 자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복수의 추가 자석 각각은 상이한 자기장 강도를 가지며, 상기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자석 또는 상기 복수의 추가 자석 중 하나의 자석 중 하나를 상기 가동 밸브부에 대한 제1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57. 항목 48 내지 항목 5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각각의 자석은 영구 자석인,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58. 항목 48 내지 항목 5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은 영구 자석인,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59. 항목 48 내지 항목 5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은 전자석이고, 상기 자기장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류를 변경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60. 항목 48 내지 항목 5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유체 라인은 12.5 mm 미만의 내경을 갖는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인,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61. 항목 48 내지 항목 6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밸브부에 편향력을 인가하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62. 항목 61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밸브부에 입사되는 자기장이 제1 값을 초과할 때, 상기 가동 밸브부에 대한 힘은 상기 스프링의 편향력을 극복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63. 항목 48 내지 항목 6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밸브부는 볼을 포함하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64. 항목 48 내지 항목 6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밸브부는 슬라이딩 밸브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65. 항목 48 내지 항목 6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유체 라인의 제1 단부와 유체 연통하는 발 지지 블래더를 더 포함하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66. 항목 48 내지 항목 6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유체 라인의 제2 단부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저장 용기를 더 포함하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67. 항목 66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저장 용기는 유체-충전식 블래더인,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68. 항목 48 내지 항목 6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유체 라인, 상기 고정 밸브부 및 상기 가동 밸브부는 함께 연결되어 체크 밸브를 형성하는,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
항목 69. 풋웨어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로서,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및
항목 48 내지 항목 64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 라인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와 유체 연통하고, 상기 유체 라인의 제2 단부는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와 유체 연통하는, 밑창 구조체.
항목 70.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및
항목 48 내지 항목 64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유체 유동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 라인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와 유체 연통하고, 상기 유체 라인의 제2 단부는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와 유체 연통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71. 신발 밑창에 대한 발 지지 압력을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한 쌍의 신발 밑창 중 제1 밑창의 제1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의 제1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신발 밑창 중 제2 밑창의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는 조정 가능한 밸브를 통해 유체 공급원에 연결되고, 상기 조정 가능한 밸브는, (a)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을 포함하는 고정 밸브부, 및 (b)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가동 밸브부를 가지며, 상기 가동 밸브부는 적어도 자기 흡인성 재료로 제조된 부분을 포함하는, 단계;
자기장 강도, 상기 가동 밸브부에 대한 자석의 물리적 위치, 또는 상기 제1 압력으로부터 사전결정된 범위 내에 있는 제2 압력으로 상기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의 발 지지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상기 조정 가능한 밸브의 크랙 압력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72. 항목 71에 있어서, 상기 제2 밑창 또는 상기 제2 밑창이 맞물리는 신발의 구성요소와 맞물리는 전자석과 전자 통신하는 제어기에 입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 데이터는 전류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설정 정보는 상기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를 상기 제2 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상기 조정 가능한 밸브의 크랙 압력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전자석에 공급될 전류를 식별하는, 방법.
항목 73. 항목 71에 있어서,
상기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를 (a) 상기 제2 압력과는 상이한 제3 압력에 대응하는 제1 압력 설정으로부터 (b) 상기 제2 압력에 대응하는 제2 압력 설정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를 상기 제2 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상기 조정 가능한 밸브의 크랙 압력을 설정하도록 상기 전자석에 대한 전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74. 항목 71에 있어서, 상기 제2 밑창 또는 상기 제2 밑창이 맞물리는 신발의 구성요소 상에, 상기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를 상기 제2 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상기 조정 가능한 밸브의 크랙 압력을 설정하도록 상기 가동 밸브부에 대한 상기 자석의 물리적 위치를 마킹하기 위한 표시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75. 한 쌍의 신발 밑창에 대한 발 지지 압력을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한 쌍의 신발 밑창 중 제1 밑창의 제1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의 제1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는 제1 조정 가능한 밸브를 통해 제1 유체 공급원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조정 가능한 밸브는, (a) 제1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고정 밸브부, 및 (b) 상기 제1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제1 가동 밸브부를 가지며, 상기 제1 가동 밸브부는 자기 흡인성 재료로 제조된 제1 부분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신발 밑창 중 제2 밑창의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의 제2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는 제2 조정 가능한 밸브를 통해 제2 유체 공급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조정 가능한 밸브는, (a) 제2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을 포함하는 제2 고정 밸브부, 및 (b) 상기 제2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 가동 밸브부를 가지며, 상기 제2 가동 밸브부는 자기 흡인성 재료로 제조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단계;
제1 자기장 강도, 상기 제1 가동 밸브부에 대한 제1 자석의 물리적 위치, 또는 상기 제1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를 제1 발 지지 압력의 제1 사전결정된 범위 내에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상기 제1 조정 가능한 밸브의 제1 크랙 압력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제1 전자석에 공급되는 제1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2 자기장 강도, 상기 제2 가동 밸브부에 대한 제2 자석의 물리적 위치, 또는 상기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를 상기 제1 발 지지 압력의 제2 사전결정된 범위 내에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상기 제2 조정 가능한 밸브의 제2 크랙 압력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제2 전자석에 공급되는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76. 항목 75에 있어서,
상기 제1 밑창, 또는 상기 제1 밑창이 맞물리는 제1 신발의 구성요소와 맞물리는 상기 제1 전자석과 전자 통신하는 제1 제어기에 제1 입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입력 데이터는 제1 전류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류 설정 정보는 상기 제1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를 상기 제1 사전결정된 범위 내에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상기 제1 조정 가능한 밸브의 제1 크랙 압력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전자석에 공급될 상기 제1 전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밑창, 또는 상기 제2 밑창이 맞물리는 제2 신발의 구성요소와 맞물리는 제2 전자석과 전자 통신하는 상기 제1 제어기 또는 제2 제어기에 제2 입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입력 데이터는 제2 전류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류 설정 정보는 상기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를 상기 제2 사전결정된 범위 내에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상기 제2 조정 가능한 밸브의 제2 크랙 압력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전자석에 공급될 상기 제2 전류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77. 항목 75에 있어서,
상기 제1 밑창 또는 상기 제1 밑창이 맞물리는 제1 신발의 구성요소 상에, 상기 제1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를 상기 제1 사전결정된 범위 내에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상기 제1 조정 가능한 밸브의 제1 크랙 압력을 설정하도록 상기 제1 가동 밸브부에 대한 상기 제1 자석의 물리적 위치를 마킹하기 위한 제1 표시기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밑창 또는 상기 제2 밑창이 맞물리는 제2 신발의 구성요소 상에, 상기 제2 발 지지 유체-충전식 블래더를 상기 제2 사전결정된 범위 내에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상기 제2 조정 가능한 밸브의 제2 크랙 압력을 설정하도록 상기 제2 가동 밸브부에 대한 상기 제2 자석의 물리적 위치를 마킹하기 위한 제2 표시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항목 78. 체크 밸브의 크랙 압력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a)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갖는 유체 라인으로서, 상기 유체 라인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부면을 한정하고, 상기 내부면은 유체가 관통 유동할 내부 챔버를 한정하는, 유체 라인; (b) 상기 유체 라인의 내부면과 밀봉식으로 맞물리는 고정 밸브부로서,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을 포함하는 고정 밸브부; (c)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가동 밸브부로서, 적어도 자기 흡인성 재료로 제조된 부분을 포함하는 가동 밸브부; 및 (d)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밸브부에 편향력을 인가하는 편향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체크 밸브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동 밸브부가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으로부터 안착 해제되고 유체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로 유동하게 할 제1 크랙 압력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가동 밸브부를 제1 자기장 강도에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자기장 강도로부터 상기 제1 자기장 강도와는 상이한 제2 자기장 강도로 변경하는 단계로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가동 밸브부를 상기 제2 자기장 강도에 노출시키고, 상기 체크 밸브 크랙 압력을 상기 제1 크랙 압력으로부터, 상기 가동 밸브부가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으로부터 안착 해제되고 유체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로 유동하게 할 제2 크랙 압력으로 변경하며, 상기 제2 크랙 압력은 상기 제1 크랙 압력과 상이한,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79. 항목 78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자기장 강도는 상기 제2 자기장 강도보다 크고, 이에 의해 상기 제2 크랙 압력이 상기 제1 크랙 압력보다 높아지게 하는, 방법.
항목 80. 항목 78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자기장 강도는 상기 제2 자기장 강도보다 작고, 이에 의해 상기 제2 크랙 압력이 상기 제1 크랙 압력보다 작아지게 하는, 방법.
항목 81. 항목 78 내지 항목 8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장 강도 또는 상기 제2 자기장 강도를 상기 제1 자기장 강도 및 상기 제2 자기장 강도와는 상이한 제3 자기장 강도로 변경하여, 이에 의해 상기 가동 밸브부를 상기 제3 자기장 강도에 노출시키고, 상기 체크 밸브 크랙 압력을 상기 제1 크랙 압력 또는 상기 제2 크랙 압력으로부터, 상기 가동 밸브부가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으로부터 안착 해제되고 유체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로 유동하게 할 제3 크랙 압력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크랙 압력은 상기 제1 크랙 압력 및 상기 제2 크랙 압력과 상이한, 방법.
항목 82. 항목 78 내지 항목 8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제1 자석을 상기 가동 밸브부를 향해 및/또는 그로부터 멀리 물리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83. 항목 78 내지 항목 8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제1 자석을 트랙을 따라 상이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84. 항목 78 내지 항목 8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제1 자석을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와는 상이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다이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85. 항목 78 내지 항목 8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제1 자석을 제2 자석으로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86. 항목 78 내지 항목 8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류 레벨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87. 항목 78 내지 항목 8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자석과 상기 가동 밸브부 사이에 위치하는 실드 재료의 두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Claims (23)

  1. 풋웨어 물품을 위한 발 지지 시스템으로서,
    제1 풋웨어 구성요소;
    상기 제1 풋웨어 구성요소와 맞물리는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서, 제1 압력의 가스를 포함하는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상기 제1 풋웨어 구성요소 또는 제2 풋웨어 구성요소와 맞물리는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서, 제2 압력의 가스를 포함하는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를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와 유체 연통하도록 배치하는 제1 유체 이송 라인;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에 위치하거나 연결된 밸브로서, 상기 밸브는,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을 포함하는 고정 밸브부, 및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과 접촉 및 비접촉하도록 이동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가동 밸브부를 포함하는, 밸브; 및
    상기 밸브를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변경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압력이 상기 제1 압력보다 높을 때, 상기 제어 시스템은, (a) 상기 밸브를 상기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가스가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 및 밸브를 통해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내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거나, (b) 상기 밸브를 상기 개방 상태로 이동시키고, 유체가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 및 밸브를 통해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내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하며,
    상기 제1 압력이 상기 제2 압력보다 적어도 제1 사전결정된 양만큼 높을 때,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부터의 가스는, (a) 상기 가동 밸브부가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과 비접촉하도록 이동하게 하고, (b)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부터 상기 밸브 및 제1 유체 이송 라인을 통해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 내로 이동하는, 발 지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은 내부 채널을 갖는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의 내부 채널 내에 위치하는, 발 지지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밸브가 상기 개방 상태 또는 상기 폐쇄 상태 중 하나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동 밸브부를 유지하기 위한 편향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밸브부는,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로서 정지면을 형성하는 제1 단부,
    제1 유체 포트를 갖는 제2 단부, 및
    상기 고정 밸브부를 통해 상기 제1 유체 포트로부터, 상기 고정 밸브부의 외부면에 위치하는 제2 유체 포트로 연장되는 유체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밸브부는 자유 단부면 및 상기 가동 밸브부를 통해 연장되는 개방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 채널로의 제1 개구는 상기 가동 밸브부의 자유 단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편향 구성요소는 상기 자유 단부면을 상기 정지면을 향해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밸브부에 힘을 인가하는, 발 지지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은 내부 채널을 한정하는 내부 벽을 갖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밸브부는,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로서 정지면을 형성하는 제1 단부,
    제1 유체 포트를 갖는,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서, 상기 측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튜브의 내부 벽에 고정되는, 측벽, 및
    상기 고정 밸브부를 통해 상기 제1 유체 포트로부터,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제2 단부 또는 측벽에 위치하는 제2 유체 포트로 연장되는 유체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밸브부는,
    자유 단부면,
    상기 자유 단부면에 대향하는 제2 단부로서,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튜브의 내부 벽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제2 단부, 및
    상기 가동 밸브부를 통해 연장되는 개방 채널로서, 상기 개방 채널로의 제1 개구는 상기 자유 단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개방 채널의 제2 개구는 상기 가동 밸브부의 제2 단부에 위치하는, 개방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편향 구성요소는 상기 튜브의 내부 벽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자유 단부면을 상기 정지면을 향해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밸브부에 힘을 인가하는, 발 지지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편향 구성요소의 편향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하고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정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가동 밸브부의 자유 단부면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힘을 상기 가동 밸브부에 인가하고,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편향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가동 밸브부에 인가된 편향력은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정지면에 맞닿게 상기 가동 밸브부의 자유 단부면 및 제1 개구를 배치하는, 발 지지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밸브부는,
    제1 유체 포트 및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로서 정지면을 형성하는 제1 단부,
    제2 유체 포트를 갖는 제2 단부, 및
    상기 고정 밸브부를 통해 상기 제1 유체 포트로부터 상기 제2 유체 포트로 연장되는 유체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밸브부는 가동 볼을 포함하고;
    상기 편향 구성요소는 상기 정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볼에 힘을 인가하는, 발 지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편향 구성요소의 편향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하고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정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가동 볼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힘을 상기 가동 볼에 인가하고,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편향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가동 볼에 인가된 편향력은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정지면에 맞닿게 상기 가동 볼을 배치하는, 발 지지 시스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은 내부 채널을 한정하는 내부 벽을 갖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편향 구성요소는 상기 튜브의 내부 벽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정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볼에 힘을 인가하는, 발 지지 시스템.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구성요소는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한정된 내부 챔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발 지지 시스템.
  11.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구성요소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이송 라인은 내부 채널을 한정하는 내부 벽을 갖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밸브부는,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로서 정지면을 형성하는 제1 단부,
    제1 유체 포트를 갖는,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서, 상기 측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튜브의 내부 벽에 고정되는, 측벽, 및
    상기 고정 밸브부를 통해 상기 제1 유체 포트로부터,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제2 단부 또는 측벽에 위치하는 제2 유체 포트로 연장되는 유체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밸브부는,
    자유 단부면,
    상기 자유 단부면에 대향하는 제2 단부로서,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튜브의 내부 벽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제2 단부, 및
    상기 가동 밸브부를 통해 연장되는 개방 채널로서, 상기 개방 채널로의 제1 개구는 상기 자유 단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개방 채널의 제2 개구는 상기 가동 밸브부의 제2 단부에 위치하는, 개방 채널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밸브부는,
    제1 유체 포트 및 상기 밸브 구성요소 안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로서 정지면을 형성하는 제1 단부,
    제2 유체 포트를 갖는 제2 단부, 및
    상기 고정 밸브부를 통해 상기 제1 유체 포트로부터 상기 제2 유체 포트로 연장되는 유체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밸브부는 상기 밸브를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변경하도록 이동하는 가동 볼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정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가동 볼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힘을 상기 가동 볼에 인가하고,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가동 볼은 상기 고정 밸브부의 정지면에 맞닿게 유지되는, 발 지지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밸브부는 자석 및/또는 적어도 자석에 흡인되는 재료로 제조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밸브를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 사이에서 변경하도록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밸브부는 자석 및/또는 적어도 자석에 흡인되는 재료로 제조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밸브를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 사이에서 변경하도록 전력 공급 상태와 전력 비공급 상태 또는 전력 감소 상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전자석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를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를 더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18.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를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를 상기 펌프에 연결하는 제2 유체 이송 라인;
    상기 제2 유체 이송 라인을 통해,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부터 상기 펌프로의 유체 유동을 허용하지만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의 유체 유동을 저지하는 상기 제2 유체 이송 라인 내의 제1 일방향 밸브;
    상기 펌프를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에 연결하는 제3 유체 이송 라인; 및
    상기 제3 유체 이송 라인을 통해,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의 유체 유동을 허용하지만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로부터 상기 펌프로의 유체 유동을 저지하는 상기 제3 유체 이송 라인 내의 제2 일방향 밸브를 더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풋웨어 구성요소는 밑창 구조체이고,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는 상기 풋웨어 물품에서 착용자 발의 발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배향된 표면을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는 상기 제2 풋웨어 구성요소와 맞물리고, 상기 제2 풋웨어 구성요소는 상기 풋웨어 물품을 위한 갑피(upper)를 포함하는, 발 지지 시스템.
  21.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는 상기 제1 풋웨어 구성요소와 맞물리는, 발 지지 시스템.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풋웨어 구성요소 또는 상기 제2 풋웨어 구성요소와 맞물리는, 발 지지 시스템.
  23. 풋웨어 갑피;
    상기 풋웨어 갑피와 맞물리는 밑창 구조체; 및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체-충전식 용기 또는 블래더 지지부는 상기 밑창 구조체와 맞물리는, 풋웨어 물품.
KR1020207037654A 2018-05-31 2019-05-29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시스템에 사용 가능한 유체 유동 제어 장치 KR102560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24656A KR20230113836A (ko) 2018-05-31 2019-05-29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시스템에 사용 가능한 유체 유동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78635P 2018-05-31 2018-05-31
US62/678,635 2018-05-31
PCT/US2019/034278 WO2019231970A1 (en) 2018-05-31 2019-05-29 Fluid flow control devices usable in adjustable foot support system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4656A Division KR20230113836A (ko) 2018-05-31 2019-05-29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시스템에 사용 가능한 유체 유동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289A true KR20210027289A (ko) 2021-03-10
KR102560272B1 KR102560272B1 (ko) 2023-07-26

Family

ID=668678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654A KR102560272B1 (ko) 2018-05-31 2019-05-29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시스템에 사용 가능한 유체 유동 제어 장치
KR1020237024656A KR20230113836A (ko) 2018-05-31 2019-05-29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시스템에 사용 가능한 유체 유동제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4656A KR20230113836A (ko) 2018-05-31 2019-05-29 조정 가능한 발 지지 시스템에 사용 가능한 유체 유동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147342B2 (ko)
EP (2) EP3801110B1 (ko)
KR (2) KR102560272B1 (ko)
CN (2) CN114532663A (ko)
TW (2) TWI827973B (ko)
WO (1) WO20192319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76853A (zh) * 2020-05-28 2023-03-10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包括流体移动控制器和可调节足部支撑压力的足部支撑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6447A (ja) * 2010-07-07 2012-01-26 Toyota Motor Corp 足底機構
US20140165427A1 (en) 2012-12-17 2014-06-19 Nike, Inc. Electronically Controlled Bladder Assembly
DE102015225209A1 (de) * 2015-12-15 2017-06-22 VPAM Holding GmbH Vorrichtung mit einem veränderlichen Kammer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6719A (en) * 1991-11-01 1995-04-18 Nike, Inc. Shoe having adjustable cushioning system
US5771606A (en) * 1994-10-14 1998-06-30 Reebok International Ltd. Support and cush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TW286269B (ko) 1994-11-28 1996-09-21 Marion Frank Rudy
US6125556A (en) * 1997-06-20 2000-10-03 Peckler; Stephen N. Golf shoe with high liquid pressure spike ejection
CN1108328C (zh) 1997-10-06 2003-05-14 中国人民解放军总装备部后勤部军事医学研究所 聚对苯乙炔共聚物及其衍生物和制备方法及其应用
US6402879B1 (en) * 2000-03-16 2002-06-11 Nike, Inc. Method of making bladder with inverted edge seam
US6571490B2 (en) 2000-03-16 2003-06-03 Nike, Inc. Bladder with multi-stage regionalized cushioning
US6457262B1 (en) 2000-03-16 2002-10-0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motion control device
US6785985B2 (en) * 2002-07-02 2004-09-07 Reebok International Ltd. Shoe having an inflatable bladder
US6889451B2 (en) * 2003-04-23 2005-05-10 Mike, Inc. Fluid system with internal filter
US7448150B1 (en) * 2004-02-26 2008-11-11 Reebok International Ltd. Insert with variable cushioning and support and article of footwear containing same
US20070069172A1 (en) 2005-04-26 2007-03-29 Parker-Hannifin Corporation Magnetic repulsion actuator and method
WO2008051164A1 (en) * 2006-10-27 2008-05-02 Osim International Ltd A valve body and massaging system using the same
US10070680B2 (en) * 2008-06-13 2018-09-11 Nike, Inc. Footwear having sensor system
US8800167B2 (en) * 2009-09-19 2014-08-12 Harold S. Doyle Pneumatic inflating device contained entirely within shoe sole
US9060564B2 (en) * 2011-04-06 2015-06-23 Nike, Inc. Adjustable multi-bladder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KR101226783B1 (ko) 2011-08-19 2013-02-07 최현수 신발용 충격흡수 조절장치
US9529966B2 (en) * 2012-01-19 2016-12-27 Nike, Inc. Energy expenditure
US9259047B2 (en) 2012-09-13 2016-02-16 Thomas Nikita Krupenkin Apparatus for footwear-embedded mechanical energy harvesting system based on dual-loop channel
US9198478B2 (en) 2013-03-05 2015-12-01 Nike, Inc. Support members with variable viscosity fluid for footwear
US9687044B2 (en) 2014-07-24 2017-06-27 Nike, Inc. Footwear with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lobed fluid-filled chamber with protruding end wall por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6447A (ja) * 2010-07-07 2012-01-26 Toyota Motor Corp 足底機構
US20140165427A1 (en) 2012-12-17 2014-06-19 Nike, Inc. Electronically Controlled Bladder Assembly
DE102015225209A1 (de) * 2015-12-15 2017-06-22 VPAM Holding GmbH Vorrichtung mit einem veränderlichen Kammer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45922A (zh) 2021-12-16
US20220007786A1 (en) 2022-01-13
KR102560272B1 (ko) 2023-07-26
TWI741303B (zh) 2021-10-01
TWI827973B (zh) 2024-01-01
EP4305997A3 (en) 2024-04-03
US20190365041A1 (en) 2019-12-05
EP3801110A1 (en) 2021-04-14
CN112512366A (zh) 2021-03-16
WO2019231970A1 (en) 2019-12-05
EP3801110B1 (en) 2024-01-24
EP4305997A2 (en) 2024-01-17
CN114532663A (zh) 2022-05-27
US11147342B2 (en) 2021-10-19
KR20230113836A (ko) 2023-08-01
CN112512366B (zh) 2022-03-18
TW202002834A (zh)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0458B2 (en)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fluid filled bladders with movement of fluid between bladders
US20210137212A1 (en) Easy Access Articles of Footwear
US20220007786A1 (en) Fluid Flow Control Devices Usable In Adjustable Foot Support Systems
KR101713681B1 (ko) 에어 펌핑 기능을 갖는 스프링 쿠션 신발
US11825905B2 (en)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fluid movement controllers and adjustable foot support pressure
US20230157410A1 (en)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Fluid Movement Controllers and Adjustable Foot Support Pressure
TW202412657A (zh) 鞋類物品及用於鞋類物品的足部支撐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