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950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950A
KR20210026950A KR1020190108449A KR20190108449A KR20210026950A KR 20210026950 A KR20210026950 A KR 20210026950A KR 1020190108449 A KR1020190108449 A KR 1020190108449A KR 20190108449 A KR20190108449 A KR 20190108449A KR 20210026950 A KR20210026950 A KR 20210026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bin
tray
maker
ice 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현
홍진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8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950A/ko
Priority to EP23210643.5A priority patent/EP4303509A2/en
Priority to EP23210642.7A priority patent/EP4300020A2/en
Priority to EP19209361.5A priority patent/EP3653968B1/en
Priority to US16/685,644 priority patent/US11204194B2/en
Publication of KR20210026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4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eep-frozen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동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에 구비되며, 구형의 얼음을 만들어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아이스 메이커;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낙하된 얼음이 수용되는 아이스 빈; 상기 아이스 빈의 내부에 구비되며, 얼음이 배치되는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아이스 빈의 바닥면과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고, 다수의 트레이 홀이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는 아이스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통상 냉장고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가 제공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급수원이나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트레이에 수용시켜 얼음이 만들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제빙 완료된 얼음을 히팅 방식 또는 트위스팅 방식으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이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자동으로 급수 및 이빙되는 아이스 메이커는 상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성형된 얼음을 퍼올린다.
이와 같은 구조의 아이스 메이커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은 초승달모양 또는 큐빅모양 등 적어도 일면이 평평한 면을 가진다.
한편, 얼음의 모양이 구형(球形)으로 형성될 경우 얼음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보다 편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색다른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빙된 얼음의 저장시에도 얼음끼리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얼음이 엉겨 붙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0918호에는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된다.
선행문헌의 아이스 메이커는 반구 형태의 다수의 상부 셀이 배열되고, 양 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링크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상부 트레이와, 반구 형태의 다수의 하부 셀이 배열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트레이와, 상기 하부 트레이와 상부 트레이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가 상기 상부 트레이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하부 트레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링크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 및 양 단부가 상기 링크 가이드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링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링크와 함께 승하강하는 이젝팅 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선행문헌의 경우, 구형의 얼음이 제빙 된 후 하방으로 낙하되면서 이빙된다. 그리고, 이빙된 얼음은 된 상태에서 하방에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수납된 얼음들은 이빙 과정 중 발생되는 얼음 부스러기 등이 부착될 경우 구형의 얼음 외관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구형의 얼음은 이빙 과정 중 구르면서 이동될 수 있으며, 냉장고 도어의 개폐시 유동되어 얼음간의 충격에 의해 얼음 부스러기가 더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 예는, 구형의 얼음의 저장시 얼음 부스러기에 의해 얼음의 외관이 저하 되는 것을 방지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아이스 빈 내부에서 구형의 얼음과 얼음 부스러기가 분리되어 저장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인출입되는 아이스 빈에서 얼음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얼음이 정렬 보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인출입되는 아이스 빈에서 구형의 얼음이유동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냉동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에 구비되며, 구형의 얼음을 만들어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아이스 메이커;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낙하된 얼음이 수용되는 아이스 빈; 상기 아이스 빈의 내부에 구비되며, 얼음이 배치되는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아이스 빈의 바닥면과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고, 다수의 트레이 홀이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는 아이스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은 전방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바닥면은 전방이 낮고 후방이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 공간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방에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서랍을 포함하며, 상기 아이스빈은 상기 서랍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서랍의 인출입시 함께 인출입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마주보는 상기 서랍의 바닥면에는 상기 아이스 빈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는 빈 장착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빈 장착 가이드는 상기 아이스 빈의 둘레면을 구속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의 네 모서리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레그가 형성되며, 상기 빈 장착 가이드는 상기 레그의 외측에서 상기 레그와 접하여 상기 아이스 빈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바닥면은 서랍이 인출되는 방향에서 서랍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점점 더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홀은 상기 구형의 얼음의 크기보다 더 작게 형성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바닥면 전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아이스 빈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상기 아이스 빈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아이스 빈의 후면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함몰된 빈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일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빈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커버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빈 개구에 안착되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와 마주보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단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아이스 빈의 벽면과 이격되는 손잡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바닥면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상기 아이스 빈의 바닥면과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바닥면 전단은 상기 아이스 빈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면부; 상기 바닥면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후면부; 및 상기 바닥부의 좌우 양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부의 높이가 상기 후면부의 높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가 상기 아이스 빈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면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아이스 빈의 단부에 안착되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후면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연방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의 후면 상단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빈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빈 개구에 안착되고,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빈 개구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상단 둘레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는 상기 아이스 빈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의 외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아이스 빈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손잡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구형의 얼음이 아이스 메이커로부터 이빙되어 하방으로 낙하되면 아이스 빈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이스 빈의 내부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아이스 트레이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구형의 얼음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구형의 얼음이 이빙되는 과정에서 얼음 부스러기들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얼음 부스러기들은 낙하되더라도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형성된 트레이 홀을 통과하여 상기 아이스 빈의 바닥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배치된 구형의 얼음은 상기 얼음 부스러기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즉, 상기 구형의 얼음은 저장되는 동안 상기 얼음 부스러기가 표면에 부착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표면이 매끄러운 구형의 얼음을 사용자에게 항상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의 내측에서 상기 구형의 얼음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 상에 위치되고, 상기 얼음 부스러기는 상기 아이스 빈의 내측에 배치되어 서로 분리 상태로 저장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구형의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꺼내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빈 내부의 얼음 부스러기는 상기 아이스 빈의 바닥에 저장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분리 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은 전방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형의 얼음이 낙하되어 상기 트레이의 전반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빈의 인출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저장된 얼음에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얼음을 쉽게 꺼낼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구형의 얼음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정렬 상태로 저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아이스 빈의 이동시에도 얼음이 아이스 트레이 내부에서 과도하게 구르거나 이동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형의 얼음의 서로 부딪혀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얼음 부스러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구형의 얼음 표면이 깨끗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이빙된 상기 구형의 얼음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낙하된 후 상기 아이스 트레이 전반부로 굴러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이웃하는 얼음 또는 아이스 트레이와 접촉되며, 상기 구형의 얼음 둘레의 버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형의 얼음은 보다 구형의 상태가 될 수 있으며, 버의 제거에 의해 발생되는 얼음 부스러기 또한 상기 트레이 홀을 통해 상기 아이스 빈 바닥으로 배출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네는 구형의 얼음만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가 장착된 상태의 부분 확대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동실의 내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동실 서랍 및 아이스 빈이 인입된 상태의 상기 냉동실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냉동실 서랍 및 아이스 빈이 인출된 상기 냉동실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아이스 빈에 아이스 트레이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아이스 빈과 아이스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아이스 빈에 아이스 트레이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구형의 얼음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이빙되어 아이스 빈내측에 정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상기 아이스 빈 내부에 얼음이 정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그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가 장착된 상태의 부분 확대도면이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방향을 정의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그와 반대되는 상기 캐비닛(2)의 높은 면을 향하는 방향을 상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5)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그리고 상기 도어(5)를 기준으로 캐비닛(2)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의되지 않는 방향을 이야기 하고자 할 때에는 각 도면을 기준으로 방향을 정의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2)은 베리어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냉장실(3)이 형성되고, 하부에 냉동실(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3)과 냉동실(4)의 내부에는 서랍, 선반, 바스켓 등의 수납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3)을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5)와, 상기 냉동실(4)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5)는 좌우측 한쌍의 도어로 구성되며, 회동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6)는 서랍식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장실(3)과 냉동실(4)의 배치 및 상기 도어의 형태는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동실(4)과 상기 냉장실(3)이 좌우로 배치거되나, 상기 냉동실(4)이 상기 냉장실(3)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양측의 상기 냉장실 도어(5) 중 일측의 냉장실 도어(5)에는 메인 아이스 메이커(81)가 수용되는 제빙실(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8)은 상기 캐비닛(2)에 구비되는 증발기(미도시)로부터 냉기를 공급받아 상기 메인 아이스 메이커(81)에서 제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3)과 단열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냉장고의 구조에 따라서 제빙실은 상기 냉장실 도어(5)가 아닌 냉장실(3) 내측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빙실의 내부에 메인 아이스 메이커(8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8)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 도어(5)의 일측에는 디스펜서(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7)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이 가능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81)에서 만들어진 얼음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빙실(8)과 연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동실(4)에는 아이스 메이커(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급수되는 물을 제빙하는 것으로, 구 형상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통상 상기 메인 아이스 메이커(81) 보다 제빙량 또는 사용 빈도가 작으므로 보조 아이스 메이커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냉동실(4)에는 상기 냉동실(100)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44)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에서 생성되어 상기 냉동실(4)로 공급되는 냉기 중 일부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 측으로 유동되어 간접 냉각 방식으로 얼음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방에는 제빙된 얼음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로부터 이빙된 후 저장되는 아이스 빈(5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500)은 상기 냉동실(4) 내부에서 인출되는 냉동실 서랍(41)에 구비되어 상기 냉동실 서랍(41)과 함께 인출입되어 사용자가 저장된 얼음을 꺼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와 상기 아이스 빈(50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냉동실 서랍(41)에 수용된 상태로 볼 수 있으며, 외부에서 볼 때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와 아이스 빈(500)의 대부분이 가려진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서랍(41)의 인출입에 의해 상기 아이스 빈(500)에 저장된 얼음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장착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동실의 내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동실 서랍 및 아이스 빈이 인입된 상태의 상기 냉동실의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냉동실 서랍 및 아이스 빈이 인출된 상기 냉동실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캐비닛(2) 내부의 저장 공간은 이너 케이스(2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21)는 상방과 하방으로 구획된 저장 공간 즉, 상기 냉장실(3)과 냉동실(4)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냉동실(4)의 상면 일부는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체에 마운팅 커버(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커버(43)는 상기 이너 케이스(21)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4)의 상면보다 더 상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배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운팅 커버(43)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고정 장착을 위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커버(43)에는 상방으로 더 함몰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 이젝터(300)가 수용될 수 있는 커버 함몰부(43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기 커버 함몰부(431)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 의해 손실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4)의 후벽면은 그릴 팬(42,grill pan)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팬(42)은 상기 이너 케이스(21)의 공간을 전후 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으며,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미도시) 및 상기 증발기의 냉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미도시)이 수용되는 공간을 상기 냉동실의 후방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그릴 팬(42)에는 냉기 토출부(421,422)와 냉기 흡입부(42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기 토출부(421,422)와 냉기 흡입부(423)를 통해 상기 냉동실(4)과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는 공간 사이의 공기 순환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냉동실(4)을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냉기 토출부(421,422)는 그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토출부(421)와 하부 토출부(422)를 통해서 상기 냉동실(4) 내부에 고르게 냉기 토출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부 토출부(421)는 상기 냉동실(4)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토출부(421)로부터 토출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상기 냉동실(4) 상부에 배치되는 아이스 메이커(100) 및 아이스 빈(500)을 냉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상부 토출부(421)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덕트(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44)는 상기 상부 토출부(421)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냉기 홀(134)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냉기 덕트(44)는 상기 냉동실(4)의 가로 방향 중간에 위치되는 상부 토출부(421)와 상기 냉동실(4)의 상부 일측단에 구비되는 아이스 메이커(100)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상부 토출부(421)에서 토출되는 냉기 중 일부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내측으로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냉동실 서랍(41)의 내부에는 상기 아이스 빈(50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500)은 상기 냉동실 서랍(41)이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방에 정확하게 위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동실 서랍(41)에는 상기 아이스 빈(500)의 장착 위치를 가이드 하는 빈 장착 가이드(4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빈 장착 가이드(411)는 상기 아이스 빈(500)의 하면 네 모서리에서 돌출되는 레그(514)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레그(514)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빈(500)은 상기 냉동실 서랍(4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 서랍(41)이 인출입되더라도 그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서랍(41)이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수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서 이빙되는 얼음이 상기 아이스 빈(500)의 내부로 낙하하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단은 상기 냉동실 서랍(41)이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빈(50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단은 상기 아이스 빈(500) 및 상기 냉동실 서랍(41)의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서 이빙되는 얼음은 낙하하여 상기 아이스 빈(500)에 저장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와 상기 아이스 빈(500)의 사이 공간을 최소화 함으로써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 및 아이스 빈(500) 배치로 인한 상기 냉동실(4) 내부의 용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단과 상기 아이스 빈(500)의 하면은 적절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적정량의 얼음이 보관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 서랍(41)은 도 6에서와 같이 인출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아이스 빈(500)과 상기 냉동실 서랍(41)의 후면은 적어도 일부가 개구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냉동실 서랍(41)과 아이스 빈(500)의 후면에는 서랍 개구(412) 및 빈 개구(51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 개구(412)와 빈 개구(518)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개구(412)와 빈 개구(518)는 상기 냉동실 서랍(41)의 상단과 상기 아이스 빈(500)의 상단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단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 서랍(41)을 인출하게 되더라도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상기 아이스 빈(500)과 냉동실 서랍(41)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가 이빙 동작되어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된 상태이거나, 만빙 감지 레버(700)가 만빙 감지를 위해 회전된 상태에서도 상기 냉동실 서랍(41) 또는 아이스 빈(500)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서랍 개구(412)와 빈 개구(518)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개구(412)의 둘레를 따라 후방으로 연장된 서랍 개구 가이드(412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빈 개구(518)의 둘레를 따라 후방으로 연장된 빈 개구 가이드(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빈 개구 가이드(516)에 의해서 함몰된 형상의 빈 개구(518)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상부 케이스(120) 후면에는 판상의 커버 플레이트(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는 상기 아이스 빈(500) 내부에 저장된 구형의 얼음이 상기 빈 개구(518)와 서랍 개구(412)를 통해 하방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상기 아이스 빈 개구(518)의 적어도 일부를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이스 빈(50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아이스 빈에 아이스 트레이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아이스 빈과 아이스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아이스 빈에 아이스 트레이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빈(500)은 상방으로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 공간(501)을 형성하여 얼음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500)의 개구된 상단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빈 테두리(51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빈 테두리(512) 중 상기 아이스 빈(500)의 후면과 대응하는 상단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빈 개구(51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빈 개구(518)는 빈 개구 가이드(51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500)의 하면의 네 모서리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레그(5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그(514)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500)이 상기 냉동실 서랍(41)에 장착될 때 상기 빈 장착 가이드(411)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아이스 빈(500)이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500)의 내부에는 아이스 트레이(5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는 상기 아이스 빈(50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서 낙하되는 얼음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의 바닥면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아이스 빈(500)의 바닥면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의 바닥면 전체에는 트레이 홀(52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홀(521a)은 상기 구형의 얼음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의 바닥면 전체에 걸쳐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트레이 홀(521a)은 길이가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예로,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의 바닥면은 얼음 부스러기가 통과될 수 있는 메쉬 또는 그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는 전체적으로,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521)와, 상기 바닥부(521)의 외측단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둘레면(5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둘레면(522)은 상기 바닥부(521)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면부(522c)와, 상기 바닥부(521)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후면부(522b) 그리고, 상기 바닥부(521)의 좌우 양측면에서 연장되는 측면부(52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는 상기 아이스 빈(5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동일한 상단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의 후면부(522b)의 길이(L1)는 상기 전면부(522c)의 길이(L2)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부(522c)의 하단은 상기 후면부(522b)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의 바닥면 즉, 상기 바닥부(521)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521)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521)는 상기 아이스 빈(500)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아이스 빈(500)의 바닥면과 멀어지게 된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가 상기 아이스 빈(500)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빈(500)의 바닥면과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의 바닥면 사이는 설정 각도(α,대략 7°~15°)를 유지하게 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의 전단은 상기 아이스 빈(500)의 바닥면과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의 후단은 상기 아이스 빈(500)의 바닥면으로부터 설정 높이(H)만큼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로부터 이빙되어 하방으로 낙하되는 상기 구형의 얼음은 상기 바닥부(521)를 따라서 굴러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521)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구형의 얼음은 상기 바닥부(521)의 전단에서부터 채워지게 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지속적인 제빙과 이빙을 통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의 전방에서부터 상기 구형의 얼음을 차례로 채우게 된다.
특히, 상기 바닥부(521)에는 다수의 상기 트레이 홀(521a)이 형성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이빙작업 중 또는 상기 구형의 얼음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얼음 부스러기들이 상기 트레이 홀(521a)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에는 상기 구형의 얼음이 깨끗한 상태로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면부(522a)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의 바닥면 좌우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522c)와 후면부(522b)를 연결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의 측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의 개구된 상단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트레이 테두리(5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테두리(523)는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아이스 빈(500)의 내측에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빈(50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가 상기 아이스 빈(50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가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테두리(523) 후단에는 손잡이(52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525)는 상기 후면부(522b)의 상단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525)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의 탈착시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525)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가 상기 아이스 빈(5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빈 개구(518)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525)는 적어도 상기 빈 개구(518)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좌우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빈 개구(518)를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빈 개구 가이드(5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빈 개구 가이드(516)는 상기 트레이 테두리(523)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 테두리(523)의 하단이 함몰되어 상기 빈 개구(518)를 형성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525)는 상기 후면부(522b)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525a)와, 상기 제 1 연장부(525a)의 연장된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525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525a)는 상기 빈 개구 가이드(516)의 폭과 같거나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장부(525a)는 상기 빈 개구(518)의 내측면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장부(525a)는 상기 제 1 연장부(525a)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빈 개구(518)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장부(525a)에 의해서 상기 손잡이(525)는 상기 빈 개구(518)에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가 유동되거나 탈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525a)는 상기 빈 개구(518)의 하방으로 더 연장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525)를 쥘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525)와 마주보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의 전단에는 손잡이 홈(5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홈(524)은 상기 전면부(522c)의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 테두리(523)의 전단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가 상기 아이스 빈(5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홈(524) 부분은 상기 아이스 빈(500)의 내측 벽면과 이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를 상기 아이스 빈(50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상기 손잡이(525)는 물론, 상기 손잡이 홈(524)에 손을 넣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를 들어올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부 어셈블리(110) 및 하부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일측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상부 어셈블리(1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 개폐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접하여 서로 닫혀진 상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함께 구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구 형태의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얼음 챔버(111)를 형성한다. 상기 얼음 챔버(111)는 실질적으로 구 형태의 챔버이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구획된 복수의 얼음 챔버(11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얼음 챔버(111)를 형성한 상태에서는 급수부(190)를 통해 상기 얼음 챔버(111)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얼음이 생성된 후에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 사이에 형성된 구 형태의 얼음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 및 하부 어셈블리(200)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빈(500)으로 낙하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구동 유닛(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180)은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로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기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유닛(180)에는 만빙 감지 레버(700)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동력 전달부에 의해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얼음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부 이젝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밀착되어 있는 얼음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이젝터 바디(310)와, 상기 이젝터 바디(310)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이젝팅 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젝팅 핀(320)은 상기 얼음 챔버(111)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얼음 챔버(111)에 생성된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다.
상기 이젝팅 핀(320)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를 관통하여 상기 얼음 챔버(111) 내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얼음 챔버(111) 내의 얼음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이젝팅 핀(320)에 의해서 가압된 얼음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 밀착된 얼음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하부 이젝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하부 이젝터 바디(410)와,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각각의 얼음 챔버(111)를 향하여 연장되는 하부 이젝팅 로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팅 로드(420)의 단부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범위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얼음 챔버(111)의 하단을 즉,상기 하부 트레이의 하면을 눌러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다.
한편, 이빙을 위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력이 상기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상기 상부 이젝터(300)를 연결하는 연결 유닛(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350)은 하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결 유닛(350)은, 한쌍의 로테이팅 암(352)과 링크(3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팅 암(352)은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함께 상기 구동 유닛(180)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팅 암(352)의 단부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탄성 부재(36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보다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링크(356)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상기 상부 이젝터(300)를 연결하여,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 시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링크(356)에 의해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어셈블리(110) 및 하부 어셈블리(2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는, 얼음 형성을 위한 얼음 챔버(111)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케이스(120) 및 상부 서포터(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수평 연장부(142)와 수직 연장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42)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장부(140)는 상기 수평 연장부(142)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둘레를 따라서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장부(140)는 상기 냉동실의 상면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측면 둘레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둘레부(143)는 상기 수평 연장부(142)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둘레부는(143)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면 둘레부(143)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 둘레부(143)가 형성하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내측에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둘레부(143)의 일측면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 측으로 공급되는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 홀(1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홀(134)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홀(134)의 양측단 사이에는 냉기 가이드(145)가 형성되며, 상기 냉기 가이드(145)에 의해 상기 냉기 홀(134)로 유입되는 냉기는 상기 트레이 개구(123)를 향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개구(123)를 통해 노출되는 상부 트레이(150)의 일부가 유동되는 냉기에 노출되어 직접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하측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위치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측에 상부 서포터(170)가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케이스(120), 상부 트레이(150) 및 상부 서포터(170)는 상하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되며, 체결 부재에 의해서 체결되어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물 또는 얼음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610)는 상부 트레이(150)의 온도를 감지하기 함으로써, 상기 얼음 챔버(111)의 물 또는 얼음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얼음 형성을 위한 상기 얼음 챔버(111)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트레이(2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 서포터(27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측을 커버하는 하부 케이스(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 하부 트레이(250) 및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하 차례로 배열될 수 있으며, 체결 부재가 체결되어 하나의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의 일측은 상기 구동 유닛(180)에 연결되며,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의 타측은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 유닛(18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700)는 상기 아이스 빈(500)의 내측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아이스 빈(500) 내부의 얼음을 감지하는 만빙 감지부(7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부(710)는 직선으로 연장되며, 상기 아이스 빈(500) 내부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가로지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만빙 감지부(710)의 양단이 절곡되어 일단은 상기 구동 유닛(18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구형의 얼음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이빙되어 아이스 빈내측에 정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아이스 빈 내부에 얼음이 정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급수부(190)에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의 상부 트레이(150)에 형성된 유입구(154)를 통해 제빙을 위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다수의 유입구(154)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유입된 물은 이웃하는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되며, 설정 높이까지 물이 채워진 후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가 완전히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4) 내부의 증발기에서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측으로 공급되어 상기 얼음 챔버(111) 내부의 물을 냉각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냉기 가이드(145)에 의해서 상기 냉기 홀(134)을 통과한 냉기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면에 집중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610)에 의해 상기 얼음 챔버(111) 내부의 물이 완전히 결빙되어 구형의 얼음이 완성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얼음 챔버(111)는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로테이팅 암(352)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이젝팅 핀(320)은 상기 유입구(154)를 통과하여 상기 얼음 챔버(111) 중 상기 상부 트레이(150)측에 위치된 상기 구형의 얼음(I)을 하방으로 밀어 이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더 회전되어 역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되면, 상기 하부 이젝터(400)의 하부 이젝팅 로드(420)가 상기 하부 트레이 개구(274)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하면의 볼록부(251b)를 누르게 된다. 즉,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 소재로 된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눌러서 상기 하부 챔버(250)측에 위치된 상기 구형의 얼음(I)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 외측으로 이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서 이빙되는 구형의 얼음(I)은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며, 상기 아이스 빈(500)에 장착되어 있는 아이스 트레이(520)의 바닥부(521)에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에 떨어진 구형의 얼음(I)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 바닥면의 경사를 따라서 전방으로 굴러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이빙 과정 중 또는 상기 구형의 얼음이 이동되는 과정 중에 발생되는 얼음 부스러기들은 상기 트레이 홀(521a)을 통과하여 상기 아이스 빈(500)의 바닥면으로 분리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 상에는 상기 구형의 얼음만이 상기 얼음 부스러기와 분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서 제빙과 이빙이 반복될수록 이빙된 상기 구형의 얼음(I)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의 전단에서 차례로 정렬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이스 빈(500)의 전반부에 상기 구형의 얼음(I)이 집중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구형의 얼음(I)을 사용하고 할 때 상기 냉동실 서랍(41)을 인출입하여 상기 아이스 빈(500)을 노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구형의 얼음(I)은 상기 아이스 빈(500)의 전반부부터 채워진 상태이므로, 상기 냉동실 서랍(41)을 완전히 인출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아이스 빈(500)의 전반부가 보이는 정도까지만 인출하게 되면 얼음을 꺼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4) 내부의 냉기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빈(500)의 얼음을 꺼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빈(500)에서 얼음을 꺼내게 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 내부의 상기 구형의 얼음(I)은 상기 바닥면의 경사를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다시 상기 아이스 빈(500)의 전반부를 채우도록 재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에서 이빙된 상기 구형의 얼음(I)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에서 전방으로 굴러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이웃하는 상기 구형의 얼음(I) 또는 아이스 트레이(520)와 접촉되며, 상기 구형의 얼음(I) 둘레의 버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형의 얼음(I)은 보다 구형의 상태가 될 수 있으며, 버의 제거에 의해 발생되는 얼음 부스러기 또한 상기 트레이 홀(512a)을 통해 상기 아이스 빈(500) 바닥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 서랍(41) 또는 상기 아이스 빈(500)이 인출입되는 과정에서도 상기 아이스 빈(500) 내부의 상기 구형의 얼음(I)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520)의 바닥면의 경사로 인해 상기 아이스 빈(500)의 전반부를 채운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냉동실 서랍(41)과 아이스 빈(500)에 다소의 유동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구형의 얼음(I)이 과도하게 유동되거나 배치된 위치를 이탈하지 않게 된다.

Claims (20)

  1. 냉동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에 구비되며, 구형의 얼음을 만들어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아이스 메이커;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낙하된 얼음이 수용되는 아이스 빈;
    상기 아이스 빈의 내부에 구비되며, 얼음이 배치되는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아이스 빈의 바닥면과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고, 다수의 트레이 홀이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는 아이스 트레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빈은 전방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바닥면은 전방이 낮고 후방이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공간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방에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서랍을 포함하며,
    상기 아이스빈은 상기 서랍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서랍의 인출입시 함께 인출입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와 마주보는 상기 서랍의 바닥면에는 상기 아이스 빈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는 빈 장착 가이드가 형성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빈 장착 가이드는 상기 아이스 빈의 둘레면을 구속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빈의 네 모서리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레그가 형성되며,
    상기 빈 장착 가이드는 상기 레그의 외측에서 상기 레그와 접하여 상기 아이스 빈을 구속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바닥면은 서랍이 인출되는 방향에서 서랍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점점 더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홀은 상기 구형의 얼음의 크기보다 더 작게 형성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바닥면 전체 영역에 배치되는 냉장고.
  9. 제 1 항 있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아이스 빈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상기 아이스 빈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아이스 빈의 후면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함몰된 빈 개구가 형성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일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빈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커버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냉장고.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빈 개구에 안착되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와 마주보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단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아이스 빈의 벽면과 이격되는 손잡이 홈이 형성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바닥면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상기 아이스 빈의 바닥면과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바닥면 전단은 상기 아이스 빈에 접하여 지지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면부;
    상기 바닥면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후면부; 및
    상기 바닥부의 좌우 양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부의 높이가 상기 후면부의 높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가 상기 아이스 빈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아이스 빈의 단부에 안착되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후면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연방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빈의 후면 상단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빈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빈 개구에 안착되고,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빈 개구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냉장고.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상단 둘레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는 상기 아이스 빈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의 외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아이스 빈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손잡이 홈이 형성되는 냉장고.
KR1020190108449A 2018-11-16 2019-09-02 냉장고 KR2021002695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449A KR20210026950A (ko) 2019-09-02 2019-09-02 냉장고
EP23210643.5A EP4303509A2 (en) 2018-11-16 2019-11-15 Home appliance with an ice maker
EP23210642.7A EP4300020A2 (en) 2018-11-16 2019-11-15 Home appliance with an ice maker
EP19209361.5A EP3653968B1 (en) 2018-11-16 2019-11-15 Home appliance with an ice maker
US16/685,644 US11204194B2 (en) 2018-11-16 2019-11-15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449A KR20210026950A (ko) 2019-09-02 2019-09-02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950A true KR20210026950A (ko) 2021-03-10

Family

ID=75148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449A KR20210026950A (ko) 2018-11-16 2019-09-02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69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806B1 (ko) 냉장고
KR101718995B1 (ko) 냉장고
KR101584805B1 (ko) 냉장고
KR102426182B1 (ko) 냉장고
KR101067219B1 (ko) 냉장고
KR20130028324A (ko) 냉장고
US20080001058A1 (en) Ice tray assembly for refrigerator
KR20160105218A (ko) 냉장고
KR20120007202A (ko) 냉장고
KR20090075911A (ko) 냉장고
KR101998570B1 (ko) 냉장고
KR20190103807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10046403A (ko) 냉장고
US11204194B2 (en) Refrigerator
KR20210026950A (ko) 냉장고
KR20110072393A (ko) 냉장고
JP5202207B2 (ja) 冷蔵庫
KR101871713B1 (ko) 제빙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29508A (ko) 아이스 메이커
US11859890B2 (en) Refrigerator
US11828514B2 (en) Refrigerator
KR101639444B1 (ko) 냉장고
KR20210026644A (ko)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KR20220099857A (ko) 냉장고
KR20170026425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