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886A -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886A
KR20210026886A KR1020190108294A KR20190108294A KR20210026886A KR 20210026886 A KR20210026886 A KR 20210026886A KR 1020190108294 A KR1020190108294 A KR 1020190108294A KR 20190108294 A KR20190108294 A KR 20190108294A KR 20210026886 A KR20210026886 A KR 20210026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deaerator
hot water
economiz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6414B1 (ko
Inventor
우종인
Original Assignee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8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414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0Profiting from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2Profiting from waste heat of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0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 F22D1/02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with water tubes arranged in the boiler furnace, fire tubes, or flue 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0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 F22D1/5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incorporating thermal de-aeration of feed-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GSUPERHEATING OF STEAM
    • F22G1/00Steam superheating characterised by heating method
    • F22G1/02Steam superheating characterised by heating method with heat supply by hot flue gases from the furnace of the steam boi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이코노마이저에서 가열된 고온수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을 탈기기에 공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기가스의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탈기기에 항상 일정 온도 범위의 고온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탈기기의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탈기기로 공급되는 고온수의 온도에 따라 급수 유로를 흐르는 급수 중 일부를 고온수 공급 유로로 안내함으로써, 탈기기로 공급되는 고온수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Heat recovery boiler system}
본 발명은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탈기기(Deaerator)에 일정한 온도 범위의 고온수를 공급함으로써, 탈기기가 안정적으로 운전 가능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은, 소결 공장의 냉각 설비에서 발생된 고온의 배기가스를 보일러를 통과시켜 스팀 및 온수를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종래의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은, 상기 소결 공장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철광석 분진 등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와, 상기 보일러로 급수되는 물에 포함된 산소와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탈기기(Deaerator)를 포함한다.
종래의 탈기기는, 보일러에서 생산되는 고온의 증기를 투입하여, 물을 포화 상태의 온도로 상승시켜 탈기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탈기기로 투입되는 고온의 증기는 배기가스의 온도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상기 탈기기에 투입되는 증기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으므로 상기 탈기기가 안정적으로 운전되는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8-0090359호
본 발명의 목적은, 탈기기가 안정적으로 운전 가능하여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은, 급수 펌프와; 상기 급수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 펌프에서 펌핑된 저온의 급수(demiwater)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미리 설정된 제1설정 온도 범위의 고온수로 배출수하는 제1이코노마이저와;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로부터 공급된 고온수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가열하여, 상기 고온수에 포함된 용존 산소를 제거하고 상기 제1설정 온도 범위보다 높게 설정된 탈기기 배출온도 범위의 고온수로 배출하는 탈기기와; 상기 급수 펌프와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를 연결하여, 상기 급수 펌프로부터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로 상기 급수를 안내하는 급수 유로와;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와 상기 탈기기를 연결하여,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로부터 상기 탈기기로 상기 고온수를 안내하는 고온수 공급 유로와; 상기 탈기기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탈기기에서 용존 산소가 제거된 고온수를 배출하는 고온수 배출 유로와; 상기 탈기기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유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1이코노마이저에서 가열된 고온수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을 탈기기에 공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기가스의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탈기기에 항상 일정 온도 범위의 고온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탈기기의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탈기기로 공급되는 고온수의 온도에 따라 급수 유로를 흐르는 급수 중 일부를 고온수 공급 유로로 안내함으로써, 탈기기로 공급되는 고온수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ㄱ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은, 원심식 집진기(11), 과열기(20), 증발기(30), 제1이코노마이저(41), 제2이코노마이저(42), 탈기기(50), 급수 유로(60), 급수 펌프(62), 고온수 공급 유로(70), 고온수 배출 유로(71), 고온수 펌프(72), 스팀 공급 유로(51), 온도 센서(74), 온도 조절 유로(80) 및 온도 제어 밸브(82)를 포함한다.
상기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에서, 배기가스는 상기 원심식 집진기(11), 상기 과열기(20), 상기 증발기(30), 상기 제2이코노마이저(42) 및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41)를 차례대로 통과하면서 물과 열교환한다.
상기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에서, 물은 상기 급수 펌프(62),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41), 상기 탈기기(50), 고온수 저장탱크(52), 상기 고온수 펌프(72), 상기 제2이코노마이저(42), 상기 증발기(30) 및 상기 과열기(20)를 차례대로 통과하면서 상기 배기가스와 열교환한다.
상기 원심식 집진기(Cyclone)(11)는, 소결 공장나 발전소 등에서 나온 배기가스의 더스트(dust)를 제거하기 위한 집진 수단이다. 상기 원심식 집진기(11)는, 복수개가 병렬로 배치되어,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배기가스의 처리량이 증가하고 집진 효율도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심식 집진기(11)는 총 9개가 3행 3열로 배열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원심식 집진기(11)는 분리된 더스트가 낙하되어 모이는 호퍼(hopper)는 고 Mn강으로 형성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과열기(Superheater)(20)는, 상기 원심식 집진기(11)에서 나온 배기가스와 상기 증발기(30)에서 나온 스팀을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이다. 상기 과열기(20)는, 상기 배기가스의 열원을 이용하여 상기 증발기(30)에서 나온 스팀을 다시 가열하여 과열 스팀을 생산한다. 상기 과열기(20)에서 생산된 과열 스팀은 스팀 터빈 등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과열기(20)에는, 상기 증발기(30)에서 나온 포화 스팀을 공급받기 위한 과열기 공급유로(21)와, 상기 과열 스팀을 외부 또는 스팀 터빈 등으로 토출하기 위한 과열기 토출유로(22)가 연결된다.
상기 증발기(Evaporator)(30)는, 상기 과열기(20)에서 나온 배기가스와 상기 제2이코노마이저(42)에서 나온 고온수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이다. 상기 증발기(30)는, 상기 배기가스의 열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2이코노마이저(42)에서 나온 고온수를 가열하여 포화 스팀을 생산한다. 상기 증발기(30)에는 상기 제2이코노마이저(42)에서 나온 고온수를 공급받기 위한 증발기 공급유로(31)와, 상기 증발기(30)에서 생산된 포화 스팀을 상기 과열기(20)로 토출하기 위한 증발기 토출유로(32)가 연결된다. 상기 증발기 토출유로(32)는, 상기 과열기 공급유로(21)와 연결된다.
상기 제2이코노마이저(42)는, 상기 증발기(30)에서 나온 배기가스와 상기 탈기기(50)에서 나온 고온수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이다. 상기 제2이코노마이저(42)는, 상기 탈기기(50)에서 나와 상기 고온수 펌프(72)에 의해 가압된 고온수를 가열시키는 고압 이코노마이저(High pressure economizer)이다. 상기 제2이코노마이저(42)는, 미리 설정된 제2설정 온도 범위의 고온수를 생산한다. 여기서, 상기 제2설정 온도 범위는 후술하는 제1설정 온도 범위보다 높게 설정된다.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41)는, 상기 급수 펌프(62)에서 펌핑된 저온의 급수(demiwater)가 바로 유입된다.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41)는 상기 급수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배기가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이다.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41)는, 상기 제2이코노마이저(42)에서 나온 배기가스를 이용해 상기 저온의 급수를 가열한다.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41)는, 미리 설정된 제1설정 온도 범위의 고온수를 생성하여 배출한다. 상기 제1설정 온도 범위는, 상기 탈기기(50)로 유입되는 고온수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탈기기 공급온도 범위 내로 유지될 수 있는 범위로 설정된다.
상기 탈기기(Deaerator)(50)는,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41)와 연결되어,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41)에서 가열된 고온수를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가열하여, 상기 고온수에 포함된 용존 산소를 제거한다. 상기 탈기기(50)에는 상기 고온수 공급유로(70)가 연결되어, 상기 고온수 공급유로(70)를 통해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41)로부터 고온수를 공급받는다. 또한, 상기 탈기기(50)에는 상기 스팀 공급 유로(51)가 연결되어, 상기 스팀 공급 유로(51)를 통해 외부로부터 고온의 스팀을 공급받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탈기기(50)는 상기 보일러 시스템의 외부로부터 고온의 스팀을 공급받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과열기(20)나 상기 증발기(30)에서 나오는 스팀 중 일부를 공급받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급수 유로(60)는, 상기 급수 펌프(62)와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41)를 연결하는 유로이다. 상기 급수 유로(6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급수를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41)로 바로 안내한다.
상기 급수 펌프(62)는, 상기 급수 유로(60)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를 펌핑한다.
상기 고온수 공급 유로(70)는,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41)와 상기 탈기기(50)를 연결하는 유로이다. 상기 고온수 공급 유로(70)는,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41)에서 가열된 고온수를 상기 탈기기(50)로 안내한다.
상기 고온수 배출유로(71)는, 상기 탈기기(50)의 하부에 연결된 고온수 저장 탱크(53)와 상기 제2이코노마이저(42)를 연결하는 유로이다. 상기 고온수 배출유로(71)는, 상기 탈기기(50)에서 용존 산소가 제거된 고온수를 상기 제2이코노마이저(42)로 안내한다.
상기 고온수 펌프(72)는, 상기 고온수 배출유로(71)에 설치되어, 상기 탈기기(50)에서 나온 고온수를 펌핑하여 가압한다.
상기 스팀 공급 유로(51)는, 상기 탈기기(5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탈기기(50)로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유로이다.
상기 온도 센서(74)는, 상기 고온수 공급유로(70)에 설치되어, 상기 탈기기(50)로 공급되는 고온수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온도 센서(74)는, 상기 고온수 공급유로(70)에서 상기 탈기기(50)의 입구측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온도 조절 유로(80)는, 상기 급수 유로(60)와 상기 고온수 공급 유로(70)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유로이다. 상기 온도 조절 유로(80)는, 상기 급수 유로(60)를 통해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41)로 공급되는 급수 중 일부를 상기 고온수 공급 유로(70)로 안내하여, 상기 탈기기(50)로 공급되는 고온수의 온도를 상기 탈기기 공급 온도 범위로 조절하기 위한 유로이다.
상기 온도 제어 밸브(82)는, 상기 온도 조절 유로(80)에 설치되어, 상기 온도 센서(74)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개도가 제어되는 밸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온도 제어 밸브(82)는, 상기 온도 센서(74)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개도가 자동 제어되는 밸브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온도 제어 밸브(82)의 개도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급수(demiwater)는 상기 급수 펌프(62)에 의해 펌핑되어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41)로 공급된다.
상기 급수 펌프(62)에 의해 펌핑되는 급수의 온도는 약 15℃ 내지 20℃범위이다.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41)로 공급되는 급수는 배기가스와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되어 고온수로 배출된다.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41)에서 가열되어 배출되는 고온수의 온도는 상기 제1설정온도 범위이다. 여기서, 상기 제1설정온도 범위는 상기 탈기기 공급온도 범위인 것으로 설명하고, 약 90℃ 내지 95℃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41)에서 배출된 고온수는 상기 탈기기(50)로 공급된다.
이 때, 상기 온도 센서(74)가 상기 탈기기(50)로 공급되는 고온수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온도 제어 밸브(82)는, 상기 온도 센서(74)에서 측정된 상기 고온수의 온도가 상기 탈기기 공급 온도 범위 이내이도록 개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 센서(74)에서 측정된 상기 고온수의 온도가 상승하면, 상기 온도 제어 밸브(82)는 개도가 증가되어 상기 온도 조절 유로(80)를 통해 상기 고온수 공급 유로(70)로 유입되는 급수량을 증가시켜, 상기 탈기기(50)로 공급되는 고온수의 온도가 상기 탈기기 공급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센서(74)에서 측정된 상기 고온수의 온도가 하강하면, 상기 온도 제어 밸브(82)는 개도가 감소되어 상기 온도 조절 유로(80)를 통해 상기 고온수 공급 유로(70)로 유입되는 급수량을 감소시켜, 상기 탈기기(50)로 공급되는 고온수의 온도가 상기 탈기기 공급온도 범위 미만으로 하강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74)와 상기 온도 제어 밸브(82)에 의해 상기 탈기기(50)로 공급되는 고온수의 온도가 상기 탈기기 공급 온도 범위 이내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탈기기(50)에서는 상기 스팀 공급 유로(51)를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스팀에 의해 상기 고온수가 가열되어, 상기 고온수 내에 포함된 용존 산소나 기타 다른 기체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스팀 공급 유로(51)를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스팀은, 상기 탈기기(50)에서 배출되는 고온수의 온도가 상기 탈기기 배출온도 범위내가 되는 조건이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탈기기(50)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약 90℃ 내지 95℃ 범위로 고온이며,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팀 공급 유로(51)를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스팀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종래에 이코노마이저로부터 스팀을 직접 공급받는 탈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배기가스의 온도에 따라 이코노마이저에서 생산되는 스팀량이 불규칙적이기 때문에 탈기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불규칙적이더라도 상기 탈기기(50)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탈기기(50)가 항상 안정적으로 운전이 가능하고, 상기 탈기기(50)에서 배출되는 고온수의 온도도 상기 탈기기 배출온도 범위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탈기기(50)가 안정적으로 운전되면, 용존 산소의 제거효율이 향상되기 때문에, 설비의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탈기기(50)에서 용존 산소가 제거된 고온수는 상기 고온수 저장 탱크(53)에 일시 저장된 후, 상기 고온수 펌프(72)에 의해 상기 제2이코노마이저(42)로 공급된다.
상기 탈기기(50)에서 나오는 고온수의 온도는 상기 탈기기 배출온도 범위 내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탈기기 배출온도는 약 110℃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탈기기(50)에서 나온 고온수는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41)로 순환되지 않고, 전부 상기 제2이코노마이저(42)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보일러 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스팀량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은, 상기 과열기(20)와 상기 증발기(3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탈기기(50)에 공급하는 점이 상기 제1실시예와 상이하고,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사기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유사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탈기기(50)에는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 공급 유로(101)가 연결된다.
상기 스팀 공급 유로(101)는, 상기 증발기(30)에서 나온 스팀 중 일부를 상기 탈기기(50)로 공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상기 스팀 공급 유로(101)는, 상기 증발기 토출 유로(32)와 상기 과열기 공급 유로(21)를 연결하는 유로(100)에서 분기되어 상기 탈기기(50)로 연결되는 유로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스팀 공급 유로(101)는, 상기 과열기 토출 율(22)에 연결되어, 상기 과열기(20)에서 나온 스팀을 상기 탈기기(50)로 공급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스팀 공급 유로(101)에는 스팀 유량 제어 밸브(10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 유량 제어 밸브(102)는, 상기 탈기기(50)로 공급되는 스팀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팀 유량 제어 밸브(102)는, 상기 탈기기(50)의 내부 압력에 따라 개도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도 상기 급수는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41)로 바로 공급되어, 상기 탈기기(50)에는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41)에서 가열된 일정한 온도 범위의 고온수가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탈기기(50)의 운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집진기 20: 과열기
30: 증발기 41: 제1이코노마이저
42: 제2이코노마이저 50: 탈기기
51: 스팀 공급 유로 53; 고온수 저장 탱크
60: 급수 유로 62: 급수 펌프
70: 고온수 공급유로 71: 고온수 배출유로
72: 고온수 펌프 74: 온도 센서
80: 온도 조절 유로 82: 온도 제어 밸브

Claims (9)

  1. 급수 펌프와;
    상기 급수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 펌프에서 펌핑된 저온의 급수(demiwater)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미리 설정된 제1설정 온도 범위의 고온수로 배출수하는 제1이코노마이저와;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로부터 공급된 고온수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가열하여, 상기 고온수에 포함된 용존 산소를 제거하고 상기 제1설정 온도 범위보다 높게 설정된 탈기기 배출온도 범위의 고온수로 배출하는 탈기기와;
    상기 급수 펌프와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를 연결하여, 상기 급수 펌프로부터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로 상기 급수를 안내하는 급수 유로와;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와 상기 탈기기를 연결하여,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로부터 상기 탈기기로 상기 고온수를 안내하는 고온수 공급 유로와;
    상기 탈기기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탈기기에서 용존 산소가 제거된 고온수를 배출하는 고온수 배출 유로와;
    상기 탈기기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유로를 포함하는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온수 공급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탈기기로 공급되는 상기 고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급수 유로와 상기 고온수 공급 유로를 연결하여, 상기 급수 유로를 흐르는 급수 중 일부를 상기 고온수 공급 유로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온도 조절 유로와,
    상기 온도 조절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탈기기로 공급되는 상기 고온수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탈기기 공급온도 범위 이내로 유지되도록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온도 조절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 제어 밸브를 더 포함하는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온수 배출유로에 설치된 고온수 펌프와,
    상기 고온수 배출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탈기기에서 나와 상기 고온수 펌프에 의해 펌핑된 고압의 고온수를 상기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상기 제1설정 온도 범위보다 높게 설정된 제2설정 온도 범위의 고온수를 생산하는 제2이코노마이저를 더 포함하는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이코노마이저와 연결되어, 상기 제2이코노마이저에서 나온 고온수를 상기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스팀을 생산하는 증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팀 공급 유로는,
    상기 증발기와 상기 탈기기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스팀 중 일부를 상기 탈기기로 공급하는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어, 상기 증발기서 나온 스팀을 상기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다시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생산하는 과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팀 공급 유로는,
    상기 과열기와 상기 탈기기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과열기에서 생성된 과열스팀 중 일부를 상기 탈기기로 공급하는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팀 공급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탈기기로 공급되는 상기 스팀의 유량을 제어하는 스팀 유량 제어 밸브를 더 포함하는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온수 배출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탈기기에서 나온 고온수를 일시 저장하는 고온수 저장 탱크를 더 포함하는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의 더스트(dust)를 제거하는 집진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 수단은, 복수의 원심력 집진기를 포함하는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
  9. 급수 펌프와;
    상기 급수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 펌프에서 펌핑된 저온의 급수(demiwater)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미리 설정된 제1설정 온도 범위의 고온수로 배출수하는 제1이코노마이저와;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로부터 공급된 고온수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가열하여, 상기 고온수에 포함된 용존 산소를 제거하고 상기 제1설정 온도 범위보다 높게 설정된 탈기기 배출온도 범위의 고온수로 배출하는 탈기기와;
    상기 급수 펌프와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를 연결하여, 상기 급수 펌프로부터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로 상기 급수를 안내하는 급수 유로와;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와 상기 탈기기를 연결하여, 상기 제1이코노마이저로부터 상기 탈기기로 상기 고온수를 안내하는 고온수 공급 유로와;
    상기 탈기기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탈기기에서 용존 산소가 제거된 고온수를 배출하는 고온수 배출 유로와;
    상기 탈기기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유로와;
    상기 고온수 공급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탈기기로 공급되는 상기 고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급수 유로와 상기 고온수 공급 유로를 연결하여, 상기 급수 유로를 흐르는 급수 중 일부를 상기 고온수 공급 유로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온도 조절 유로와;
    상기 온도 조절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탈기기로 공급되는 상기 고온수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탈기기 공급온도 범위 이내로 유지되도록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온도 조절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 제어 밸브와;
    상기 고온의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유로와;
    상기 배기가스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더스트를 제거하는 복수의 원심력 집진기들을 포함하는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
KR1020190108294A 2019-09-02 2019-09-02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 KR102256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294A KR102256414B1 (ko) 2019-09-02 2019-09-02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294A KR102256414B1 (ko) 2019-09-02 2019-09-02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886A true KR20210026886A (ko) 2021-03-10
KR102256414B1 KR102256414B1 (ko) 2021-05-26

Family

ID=75148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294A KR102256414B1 (ko) 2019-09-02 2019-09-02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4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4269A (en) * 1994-04-08 1996-10-15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Steam injected gas turbine system with topping steam turbine
KR20080090359A (ko) 2008-07-21 2008-10-08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탈질율과 열효율이 향상되는 보일러 시스템
JP2015157253A (ja) * 2014-02-24 2015-09-03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排ガス処理システム及び排ガス処理方法
KR20180056148A (ko) * 2016-11-18 2018-05-2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화력발전시스템
KR20180101635A (ko) * 2015-02-10 2018-09-12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보일러 급수 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보일러, 보일러 급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4269A (en) * 1994-04-08 1996-10-15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Steam injected gas turbine system with topping steam turbine
KR20080090359A (ko) 2008-07-21 2008-10-08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탈질율과 열효율이 향상되는 보일러 시스템
JP2015157253A (ja) * 2014-02-24 2015-09-03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排ガス処理システム及び排ガス処理方法
KR20180101635A (ko) * 2015-02-10 2018-09-12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보일러 급수 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보일러, 보일러 급수 방법
KR20180056148A (ko) * 2016-11-18 2018-05-2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화력발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414B1 (ko)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34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afe drum water level determination in a combined cycle operation
JP5320423B2 (ja) 火力発電プラント,蒸気タービン設備、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2703609B1 (en) Steam turbine plant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353799B1 (ko) 저압 증기 터빈
US1016774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team generator and control circuit for a steam generator
CN101713339A (zh) 用燃气加热器的水排放来减小给水泵尺寸的蒸汽调温装置
JP6067173B1 (ja) 地熱交換器および地熱発電装置
WO2011104759A1 (ja) 火力発電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方法,火力発電システムの改造方法,火力発電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蒸気タービン設備,二酸化炭素分離回収装置,過熱低減器
KR20130139240A (ko) 폐열 증기 발생기
US20150345387A1 (en) Plant control apparatus and plant starting-up method
JP4794254B2 (ja) 蒸気タービンプラントおよびその運転方法
US8047162B2 (en) Black plant steam furnace injection
EP2911157B1 (en) Nuclear power plant and non-condensable gas extraction method therefor
JP2012102711A (ja) 減温器蒸気熱回収設備
KR102256414B1 (ko) 배열 회수 보일러 시스템
US10208630B2 (en) Method for operating a steam power plant and steam power plant for conducting said method
JP2007049821A (ja) 発電設備の発電量低減方法、及び発電設備運用方法
JP2001108201A (ja) 多重圧排熱ボイラ
JP2013234607A (ja) 太陽熱発電プラント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5355358B2 (ja) 二酸化炭素分離回収装置を備えた化石燃料焚き火力発電システム
JP2002213208A (ja)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設備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5895498B2 (ja) タービンバイパス装置およびタービンバイパス制御方法
CN112567110B (zh) 发电设备的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控制程序、发电设备
KR101421209B1 (ko)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
JP6415219B2 (ja) ボイラ、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プラント並びにボイラ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