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789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789A
KR20210026789A KR1020190108069A KR20190108069A KR20210026789A KR 20210026789 A KR20210026789 A KR 20210026789A KR 1020190108069 A KR1020190108069 A KR 1020190108069A KR 20190108069 A KR20190108069 A KR 20190108069A KR 20210026789 A KR20210026789 A KR 20210026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cover
plate
display device
panel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3462B1 (ko
Inventor
황학모
김세은
하경보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8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462B1/ko
Priority to US16/997,140 priority patent/US11435790B2/en
Publication of KR20210026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9Power distribu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배면에 배치되는 이너 플레이트 및 상기 이너 플레이트 배면에 배치되는 백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백 커버는 상기 이너 플레이트 배면에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 커버를 결합하여 슬림한 평판 구조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해주는 영상 디스플레이는 정보 통신 시대의 핵심 기술로 더 얇고 더 가벼우며, 고 성능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음극선관(CRT)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로 광원으로부터 빛을 공급받아 영상을 구현하는 액정디스플레이와, 자발광이 가능하여 광원 유닛을 생략할 수 있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등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각 화소는 발광 소자와, 그 발광 소자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화소 구동 회로를 구비한다.
최근에는 얇고 가벼운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이 곡면으로 휘어지거나, 접었다 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도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를 작고 얇게 슬림화 하면서, 이에 대한 강성 확보를 위해 메탈이나 글라스 소재의 백 커버를 적용하면서 무게가 증가하고, 이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며, 무게 증가로 인해 취급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플라스틱 소재의 백 커버를 적용함으로써 무게를 줄일 수 있고, 또한 멀티 디스플레이로 확장이 용이하며, 가벼우면서도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배면에 배치되는 이너 플레이트 및 상기 이너 플레이트 배면에 배치되는 백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백 커버는 상기 이너 플레이트 배면에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백 커버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거나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보강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압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와 보강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서 'I', 'H', 'N', 'V', 'X' 또는 허니컴 구조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패턴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는 일 단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는 제1 백 커버와 제2 백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백 커버는 일 측 단부에 돌출되는 돌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백 커버는 상기 제1 백 커버의 일 측 단부와 마주하는 일 측 단부에 상기 돌부가 결합되는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는 제1 백 커버와 제2 백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백 커버는 배면 일 단부에 제1돌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백 커버는 상기 제1 백 커버의 일 단부와 마주하는 일 단부에 상기 제1돌부와 마주하는 제2돌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돌부와 제2돌부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백 커버의 외측 단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측 단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사이드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패널은 상기 백 커버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1패널과, 상기 제1패널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제2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패널은 상기 제1패널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 상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서 상기 고정홀 보다 크게 형성된 결합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연결부와 인접한 다른 연결부 사이에 형성된 중공홈에 구비되는 보강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회로부가 상기 제1플레이트의 배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플레이트와 연결부가 일부 제거된 회로부 설치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백 커버의 배면에서 상기 회로부 설치영역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커버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부는 상기 이너 플레이트의 배면에서 상기 제1플레이트를 관통한 체결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첫째, 플라스틱 압출 성형된 백 커버를 적용하여 경량 및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고,
둘째, 백 커버의 중공홈에 보강바를 구비할 수 있어 추가적인 강성 보강이 가능하며,
셋째, 백 커버 간에 체결 구조를 적용하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이 가능하고,
넷째, 사이드 패널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A-A' 영역에 대한 백 커버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A-A' 영역에 대한 백 커버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 커버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A-A' 영역에 대한 백 커버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A-A' 영역에 대한 백 커버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백 커버에 구비된 보강부의 형상 별 처짐량을 도시하는 시험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백 커버 상에 보강부가 구비된 위치 별로 처짐량을 도시하는 시험 그래프이다.
도 9a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 커버를 일부 절단하여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9b 및 도 9c는 도 9a에 나타낸 백 커버 배면에 회로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백 커버가 압출된 방향에 따른 특성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과 같은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display) 또는 차량(vehicle)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전장장치(equipment display),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장치(mobile electronic device)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device)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 배치되는 이너 플레이트(120) 및 백 커버(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패널 자체가 휘어지거나 벤딩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고, 패널 자체가 평판 상태로 외력에 의하여 잘 변형되지 않는 리지드(rigid)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 자체가 가요성을 가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전계 디스플레이(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또는 일렉트로 크로믹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픽셀에서의 광 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어레이 기판 및 상부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유기 전계 발광(OLED)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픽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어레이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OLED)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도록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 또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층은 무기 발광층(in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예를 들어 나노 사이즈의 물질층(nano-sized material layer) 또는 양자점(quantum do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유기전계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용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10)로써 전계발광 디스플레이의 퀀텀닷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무기전계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용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영역과 표시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부에는 터치필름(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터치필름은 접착층에 의해 부착되며, 접착층은 OCA(Optical Clearance Adhesive)와 갖은 점착식 접착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터치필름의 상부에는 커버 윈도우, 보호필름, 광학시트 등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 윈도우는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재질은 PI(Polyim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AR(polyarylate), PSF(polysulfone), COC(ciclic-olefin copolymer) 등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너 플레이트(120)는 메탈 재질의 얇은 판재 형상으로 마련되어 방열 성능을 증대시킨다. 예컨대 이너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너 플레이트(12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너 플레이트(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양면 테이프 또는 폼 테이프를 통해서 부착될 수 있고, 백 커버(130)와 양면 테이프 또는 본딩을 통해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이너 플레이트(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이 비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 배치되는 배선이나 전장 부품의 구조가 비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백 커버(130)는 기존에 메탈이나 글라스 재질로 구현한 것과 비교하여 무게가 현저히 가벼운 플라스틱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백 커버(130)는 대략 골판지 구조와 유사한 중공홈을 가진 플라스틱 압출로 제조될 수 있다. 백 커버(130)의 소재는 PCS(Plastic Composite Sheet)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서 거치하여 사용하는 TV를 일 예로 설명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세워질 수 있도록 하부에 지지수단(1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수단(10) 없이 벽걸이 방식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설명하지 않은 회로부 설치영역(20), 회로부(150) 및 커버 쉴드(160)는 후기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A-A' 영역에 대한 백 커버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전기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이너 플레이트(120) 및 백 커버(130)를 포함한다.
이때 백 커버(130)는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 및 연결부(133)를 포함한다.
제1플레이트(131)는 이너 플레이트(120)의 배면에 배치되고, 제2플레이트(132)는 제1플레이트(131)와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된다. 연결부(133)는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를 연결한다.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 및 연결부(133)는 백 커버(130)의 플라스틱 압출 성형 과정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게가 가볍고, 무게 대비 견고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백 커버(130)는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와 연결부(133) 사이에 중공홈(30)이 형성될 수 있다.
백 커버(130)는 압출 방향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방열 또는 강성에 대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가로 방향으로 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세로 방향으로 세워지는 TV구조인 경우, 가로 방향을 따라서 연결부(133)가 형성되도록 백 커버(130)를 압출하면 가로 방향 즉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세로 방향을 따라서 연결부(133)가 형성되도록 백 커버(130)를 압출하면 세로 방향을 따라서 열이 대류작용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방열 성능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시험 결과는 후기한다.
백 커버(130)는 일 단부에 연장부(134)를 포함한다. 연장부(134)는 연결부(133)와 나란하게 또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134)는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방향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연장부(134)는 별도의 가이드 패널과 같은 추가적인 구조물을 필요로 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 커버(130) 모서리 부분을 동시에 보호하면서 마감처리 기능도 할 수 있다. 연장부(134) 역시 백 커버(130)의 압출 과정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어, 조립 공정이 단순해지고,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A-A' 영역에 대한 백 커버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이너 플레이트(120) 및 백 커버(130)를 포함한다. 이때 백 커버(130)는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백 커버(130a)와 제2 백 커버(130b)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모서리부분이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제1 백 커버(130a)와 제2 백 커버(130b)를 결합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연결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현할 수 있다.
제1 백 커버(130a)는 제2 백 커버(130b)와 마주하는 일 측 단부에 돌부(135a)가 돌출되고, 제2백 커버(130b)는 제1 백 커버(130a)와 마주하는 일 측 단부에 요홈(135b)이 형성되어 돌부(135a)와 요홈(135b)이 결합되면서 제1 백 커버(130a)와 제2 백 커버(130b)가 결합되고, 이를 통해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구현된다. 예컨대 제1 백 커버(130a) 일 측에 제2 백 커버(130b)가 결합되고, 제1 백 커버(130a)와 제2 백 커버(130b) 각 하측에 서로 결합된 제3백 커버(미도시)와 제4 백 커버(미도시)가 결합되면, 4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연결 배치되면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서로 접촉 또는 인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베젤 영역이 최소화될 수 있어 일체감을 줄 수 있고, 또한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비용에 비하여 현저히 적은 비용으로 대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백 커버(130)는 제1 백 커버(130c)의 배면 일 단부에 제1돌부(136a)가 구비되고, 제2 백 커버(130d)의 배면 일 단부에 제1돌부(136a)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돌부(136b)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돌부(136a)와 제2돌부(136b)는 이들을 동시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37)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돌부(136a)와 제2돌부(136b)는 각 백 커버의 배면 모서리 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37)는 제1돌부(136a)와 제2돌부(136b)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복수개의 백 커버(130c, 130d) 배면에서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고정부(137)에 의해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돌부와 요홈의 결합구조 및 돌부와 고정부의 결합구조뿐만 아니라, 이들을 응용한 복수개의 백 커버 결합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4a는 백 커버의 연결부가 다른 구조로 적용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백 커버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 커버(130)는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와, 연결부(133)를 포함한다.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를 연결하는 연결부(133)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 사이를 가장 가깝게 연결하는 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니컴(Honey-comb)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허니컴 구조의 연결부(133)는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 사이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33)는 일 단면이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다른 형상의 다각형 구조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백 커버(130) 내부에는 제1연결부(133)와 별도로 제2연결부(138)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b는 백 커버 내부에 구비된 제2연결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백 커버(130) 내부에서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133) 외에 추가적으로 제2연결부(138)가 구비된다.
도 4b의 (a)는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 사이에 제1연결부(133)만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b)는 제1연결부(133)와 인접한 다른 제1연결부(133) 중심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138)를 도시한다. (c)는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 사이에서 제1연결부(133)와 동일하게 배치되는 제2연결부(138)를 도시한다. (d)는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 사이에서 제1연결부(133)의 일 측 모서리로부터 다른 제1연결부의 타 측 모서리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138)를 도시하고, (e)는 (d)의 구조와 유사하지만 서로 다른 방향의 대각선 방향으로 제2연결부(138)가 제1연결부(133)와 다른 제1연결부(133)를 연결한다. 마지막으로 (f)는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 사이에서 제1연결부(133)와 다른 제1연결부(133) 사이를 X자 형상으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138)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백 커버(130)는 제1연결부(133) 또는 제2연결부(138)가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 사이에서 'I', 'H', 'N', 'V', 'X' 또는 허니컴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의 구조를 갖는 패턴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백 커버(130)는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와 제1연결부(133) 및 제2연결부(138)가 일체로 압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앞서 언급한 다양한 제1연결부(133)와 제2연결부(138)의 구조 중 허니컴 구조의 제1연결부(133)가 적용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A-A' 영역에 대한 백 커버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이너 플레이트(120)와, 백 커버(130) 및 사이드 패널(140)을 포함한다.
이때 백 커버(130)는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 및 연결부(133)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 커버(130)의 단부에는 사이드 패널(140)이 배치된다. 사이드 패널(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 커버(130)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사각형인 경우, 사이드 패널(140)은 일체의 구조물로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 커버(130)의 네 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패널(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 커버(130)의 외측 단부를 커버하는 제1패널(141)과, 제1패널(141)로부터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 커버(130) 사이에 삽입되는 제2패널(142)을 포함한다.
사이드 패널(140)은 백 커버(130)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 올려져 양면 테이프(40)나 본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백 커버(130)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는 제2패널(142)의 배면이 결합된다. 또한 제2패널(142)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이 양면 테이프나 본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패널(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 커버(130)의 가장자리 부분을 보호함과 동시에 측면 마감을 제공하고, 백 커버(130) 상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반할 수 있다. 사이드 패널(140)은 플라스틱 또는 메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 디자인이나 색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A-A' 영역에 대한 백 커버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이너 플레이트(120)와, 백 커버(130) 및 사이드 패널(140)을 포함한다.
백 커버(130)는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 및 연결부(133)를 포함한다.
사이드 패널(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 커버(130)의 외측 단부를 커버하는 제1패널(141)과, 제1패널(142)로부터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 커버(130) 사이에 삽입되는 제2패널(142) 및 제1패널(141)로부터 돌출되어 연결부(133) 상에 형성된 고정홀(133a)에 삽입되는 결합부(14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이드 패널(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또는 백 커버(130)의 각 측면에 하나의 사이드 패널(140)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사각형인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네 측면에 각각 사이드 패널(140)이 결합되어 네 개의 사이드 패널이 결합될 수 있다.
백 커버(130)의 연결부(133) 상에는 연결부(133)를 관통하는 고정홀(133a)이 형성되고, 결합부(143)의 단부가 고정홀(133a)에 삽입되면서 사이드 패널(140)과 백 커버(13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부(143)의 단부는 고정홀(133a)에 삽입된 후 빠지지 않도록 결합부(143)의 단부 단면적이 고정홀(133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결합헤드(14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결합부(143)의 단부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143)가 고정홀(133a)에 삽입은 용이하나 탈거는 방지되거나 간섭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패널(140)의 제2패널(142)은 제1플레이트(131) 상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패널(142)의 상면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이 본딩이나 양면 테이프(4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패널(140)과 백 커버(130)를 결합하는 과정이 단순해져 조립성이 증대될 수 있다.
백 커버(130)의 내부에는 보강바(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강바(170)는 백 커버(130)가 압출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중공홈(20)에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백 커버(13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보강바(170)는 백 커버(130) 보다 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이나 메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바(170)의 형상은 단면이 중공의 사각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보강바(170)의 형상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는 단면이 'C'자 형상, 'H'자 형상, 'I'자 형상, 'W'자 형상 등으로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백 커버에 구비된 보강부의 형상 별 처짐량을 도시하는 시험 그래프이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먼저 도 7a는 백 커버(130)의 중공홈(20)에 보강바가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7b는 백 커버(130)의 중공홈(20)에 단면이 'H'자 형상의 보강바(170a)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7c는 백 커버(130)의 중공홈(20)에 단면이 사각형의 보강바(170b)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7d는 백 커버(130)의 중공홈(20)에 단면이 'C'자 형상의 보강바(170c)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시험결과에 따르면, 보강바가 없는 도 7a의 경우 백 커버(130)의 처짐량이 약 44.9mm이고, 'H'자 형상의 보강바(138a)가 삽입된 도 7b는 백 커버(130)의 처짐량이 22.9mm이며, 사각형의 보강바(138b)가 삽입된 도 7c는 백 커버(130)의 처짐량이 20.9mm이고, 'C'자 형상의 보강바(138c)가 삽입된 도 7d는 백 커버(130)의 처짐량이 25.9mm로 측정되었다. 즉 사각형의 보강바(170b)가 삽입된 백 커버(130) 구조의 처짐량이 가장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그 효과는 처짐량이 반 이상으로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백 커버 상에 보강부가 구비된 위치 별로 처짐량을 도시하는 시험 그래프이다. 본 시험에는 백 커버 내부에 중공의 사각형 단면을 갖는 보강바(170b)가 적용된 것을 일 예로 나타낸다.
도 8a는 백 커버(130)의 중심 영역에 보강바(도 7c 참조, 170b)가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도 8b는 백 커버(130)의 중심 영역에 두 개의 보강바(170b)가 구비된 것을 도시하며, 도 8c는 백 커버(130)의 상부, 중부, 하부영역에 각각 하나씩의 보강바(170b)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c에서는 도 7c에 나타낸 사각 단면 형상의 보강바(170b)가 구비된 상태를 일 예로 설명하며, 이외 다른 형상의 보강바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시험 결과로는 도 8a의 백 커버(130) 처짐량이 25.9mm이고, 도 8b의 백 커버(130) 처짐량이 23.2mm이며, 도 8c의 백 커버(130) 처짐량이 9.9mm로 나타났다.
예컨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TV 인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 커버가 결합되어 세워진 형태로 사용되므로, 백 커버(130)를 상, 중, 하로 나누고, 이 세 영역에 각 보강바(170b)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백 커버(130)의 상부에만 보강바(170b)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백 커버(130)의 배면 하부에 회로부(도 9 참조, 150) 또는 커버 쉴드(도 9 참조, 160)가 결합되어 추가적인 강성 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백 커버(130)의 상부 또는 중부 영역에 보강바(170b)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보강바(170b)가 하나만 구비된 경우는 백 커버(130)의 상부 영역에만 적용될 수 있고, 또는 보강바(170b)가 둘 또는 세 개가 구비된 경우는 백 커버(130)의 상부와 중부 또는 백 커버의 상부, 중부, 하부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9a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 커버를 일부 절단하여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9b 및 도 9c는 도 9a에 나타낸 백 커버 배면에 회로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백 커버(130)는 중공의 판재 형상으로 압출 성형되기 때문에 제1플레이트(131)와, 제2플레이트(132) 및 연결부(133)로 구성되며, 내부에 중공홈(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플레이트(131) 상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회로부(150)가 배치 또는 결합될 위치가 필요한데, 백 커버(130)의 배면에서 제2플레이트(132)와 연결부(133) 또는 제2플레이트(132)와 연결부(133)와 보강부(13)를 일부 제거하면 회로부(150)의 설치영역(20)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백 커버(130)의 전면(제1플레이트 상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이너 플레이트(120)를 결합하고, 백 커버(130)의 배면(제2플레이트 및 연결부가 일부 제거된 제1플레이트 배면)에는 회로부(150)가 배치된다. 그리고 백 커버(130)의 배면에서 회로부(150)가 설치된 영역에는 커버 쉴드(160)가 결합될 수 있다. 커버 쉴드(160)는 회로부(150)가 설치된 영역(20)을 커버하도록 백 커버(130)의 배면에 결합되며, 백 커버(130)의 강성 보강을 위해서 백 커버(130)보다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회로부(150)가 설치되는 영역(20)을 따라서 제거된 제2플레이트(132)의 일부를 재활용하여 커버 쉴드(160)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백 커버(130)의 배면에 회로부(150)가 결합되면서 별도의 장착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심플하면서도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에는 이너 플레이트(120)가 배치되고, 이너 플레이트(120) 배면에는 제1플레이트(131)가 배치된다. 이때 회로부(150) 설치영역(20)에 대응하여 제1플레이트(131) 배면에는 이너 플레이트(120)의 배면에 마련된 체결부(121)가 적어도 일부 돌출 또는 관통되도록 배치된다. 즉, 이너 플레이트(120) 배면에 구비된 체결부(121)가 제1플레이트(131)의 배면 상에 노출되고, 체결부(121)에는 회로부(15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플레이트(120)와 회로부(150)의 결합을 통해 백 커버(13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너 플레이트(120)와 회로부(150)가 결합되면서 방열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회로부 설치영역(20)에는 회로부(150)와 연결되는 PCB 기판이나, 이들을 연결하는 커넥터(151) 등이 수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백 커버가 압출된 방향에 따른 특성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백 커버(130)는 플라스틱 압출성형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때, 압출 방향과 백 커버(130)로 적용되는 방향에 따라서 백 커버의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TV와 같이 가로(x축)로 긴 디스플레이 장치에 x축 방향을 따라서 압출된 백 커버가 결합되는 경우, x축 방향을 따라서 백 커버(130) 내부에 연결부(133)가 형성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방향인 x축 방향으로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백 커버(130)의 압출 방향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방향으로 적용하면 처짐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도 10을 살펴보면, 가로 방향으로 압출된 백 커버(130)의 처짐량 해석 결과가 44.8mm로 세로방향으로 압출된 백 커버(130)의 처짐량이 47.4mm인 것에 비하여 적게 나타난다.
또한 반대로 x축과 수직한 y축 방향을 따라서 압출된 백 커버(130)를 가로(x축)로 긴 디스플레이 장치에 결합되는 경우, y축 방향을 따라서 백 커버 내부에 연결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방향인 y축 방향으로 방열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백 커버(130)의 압출 방향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 방향으로 적용하면 중공홈(도 2 참조, 30)을 통해 대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방열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도 10에서, 세로 방향으로 압출된 백 커버의 온도 해석 결과가 백 커버(130)와 디스플레이 패널만 결합된 경우에는 88.7℃로 가로 방향으로 압출된 백 커버(130)가 94.0℃인 것에 비하여 낮게 나타나고, 백 커버와 디스플레이 패널에 이너 플레이트까지 결합된 경우에도 세로 방향으로 압출된 백 커버가 51.1℃로 가로 방향으로 압출된 백 커버가 51.9℃인 것에 비하여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강성 증대에 보다 치중하여 가로 방향으로 압출된 백 커버를 적용한 것을 일 예로 설명하며, 방열 특성을 고려하여 세로 방향으로 압출된 백 커버를 적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플라스틱 압출 성형된 백 커버를 적용하여 경량 및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고, 백 커버의 중공홈에 보강바를 구비할 수 있어 추가적인 강성 보강이 가능하며, 백 커버 간에 체결 구조를 적용하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이 가능하고, 사이드 패널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된 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디스플레이 패널
120 : 이너 플레이트
130 : 백 커버
140 : 사이드 패널
150 : 회로부
160 : 커버 쉴드
170 : 보강바

Claims (13)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배면에 배치되는 이너 플레이트 및
    상기 이너 플레이트 배면에 배치되는 백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백 커버는,
    상기 이너 플레이트 배면에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거나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보강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압출 성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보강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서 'I', 'H', 'N', 'V', 'X' 또는 허니컴 구조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패턴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는,
    일 단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는 제1 백 커버와 제2 백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백 커버는 일 측 단부에 돌출되는 돌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백 커버는 상기 제1 백 커버의 일 측 단부와 마주하는 일 측 단부에 상기 돌부가 결합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는 제1 백 커버와 제2 백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백 커버는 배면 일 단부에 제1돌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백 커버는 상기 제1 백 커버의 일 단부와 마주하는 일 단부에 상기 제1돌부와 마주하는 제2돌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돌부와 제2돌부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의 외측 단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측 단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사이드 패널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패널은,
    상기 백 커버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1패널과,
    상기 제1패널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제2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패널은,
    상기 제1패널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 상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서 상기 고정홀 보다 크게 형성된 결합헤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연결부와 인접한 다른 연결부 사이에 형성된 중공홈에 구비되는 보강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회로부가 상기 제1플레이트의 배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플레이트와 연결부가 일부 제거된 회로부 설치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의 배면에서 상기 회로부 설치영역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커버쉴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이너 플레이트의 배면에서 상기 제1플레이트를 관통한 체결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108069A 2019-09-02 2019-09-02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93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069A KR102593462B1 (ko) 2019-09-02 2019-09-02 디스플레이 장치
US16/997,140 US11435790B2 (en) 2019-09-02 2020-08-1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069A KR102593462B1 (ko) 2019-09-02 2019-09-02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789A true KR20210026789A (ko) 2021-03-10
KR102593462B1 KR102593462B1 (ko) 2023-10-24

Family

ID=7467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069A KR102593462B1 (ko) 2019-09-02 2019-09-02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435790B2 (ko)
KR (1) KR1025934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7055A1 (ko) * 2022-03-17 2023-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67240B (zh) * 2022-08-02 2022-12-23 惠科股份有限公司 背光模组和显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8047A (ja) * 2007-05-17 2008-11-27 Sharp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KR20110077272A (ko) * 2009-12-30 201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30000902A (ko) * 2011-06-24 2013-01-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218117A (ja) * 2012-04-09 2013-10-24 Sony Corp 表示装置
KR20150019324A (ko) * 2013-08-13 2015-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50130210A (ko) * 2014-05-13 2015-1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592B1 (ko) 2015-10-30 2022-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1929934A (zh) * 2019-05-13 2020-11-13 鸿富泰精密电子(烟台)有限公司 液晶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8047A (ja) * 2007-05-17 2008-11-27 Sharp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KR20110077272A (ko) * 2009-12-30 201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30000902A (ko) * 2011-06-24 2013-01-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218117A (ja) * 2012-04-09 2013-10-24 Sony Corp 表示装置
KR20150019324A (ko) * 2013-08-13 2015-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50130210A (ko) * 2014-05-13 2015-1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7055A1 (ko) * 2022-03-17 2023-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462B1 (ko) 2023-10-24
US20210064100A1 (en) 2021-03-04
US11435790B2 (en)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6042B2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US11083054B2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803210B2 (en) Flexible display panel having bent non-display region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US10983564B2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US9285835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246228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9395571B2 (en)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apparatus
KR20130004085A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9346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10049B1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64376A (ko) 폴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24041B1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084791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42216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19392645U (zh) 一种显示面板、显示屏及电子设备
KR100278780B1 (ko) 노오트북 컴퓨터의 표시판넬 실장구조
KR102252342B1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60095B1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67205B1 (ko) 전자 부품 용 서포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