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746A - 영농형 지지구조물,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및,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영농형 지지구조물,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및,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746A
KR20210026746A KR1020190107983A KR20190107983A KR20210026746A KR 20210026746 A KR20210026746 A KR 20210026746A KR 1020190107983 A KR1020190107983 A KR 1020190107983A KR 20190107983 A KR20190107983 A KR 20190107983A KR 20210026746 A KR20210026746 A KR 20210026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beam
post
support structure
underground
fa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1314B1 (ko
Inventor
하태휴
한규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07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314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에 매립되어 적어도 인발저항력을 제공하는 지중보부; 및, 상기 지중보부에 형성된 지주고정홀에 종방향인 제1 방향으로 삽입되고 횡방향인 제2 방향 이동되면서 상기 지중보부에 고정되고, 상부구조부의 설치부분을 형성하는 지주부;를 포함하는 영농형 지지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영농형 지지구조물,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및,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SUPPROT STRUCTURE FOR AGRICULTURE AND SOLAR POWER STRUCTURE FOR AGRICUL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UPPROT STRUCTURE FOR AGRICULTURE}
본 발명은 시공성이 향상된 영농형 지지구조물,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및,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환경부하 저감 및 에너지 안전성에 대한 이슈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수요는 전 세계적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태양광모듈(PV 모듈)을 활용한 태양광 발전의 경우 태양광모듈 생산성 제고와 더불어 단위 용량 발전단가가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시장도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태양광 발전을 위한 대형 부지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농업과 태양광 발전을 병행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이 새로운 대안 모델로 떠오르고 있다.
영농형 태양광 발전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태양광 지지구조물 하부 작물 재배 및 농기구 활용을 위해 비교적 높은 위치에 태양광모듈이 설치되게 되고, 지주 및 보 등의 부재는 원형강관이나 각형강관을 적용하게 된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의 기초구조는 회전관입기초(2)를 매립하고 상부 지주(1)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하게 된다.
파일형의 회전관입기초(2)는 설치과정에 암석 등과의 마찰로 인해 날개부가 손상되는 경우가 많아 좀 더 용이한 방법으로 지내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초시스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또한,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구조물의 경우 농업을 병행해야는 구조물의 특성상 콘크리트 블록 매립형 기초(3)를 적용하기 어렵고, 매립되는 구조물의 인체 유해성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7-0089357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작은 매립 깊이로도 충분한 인발저항력을 제공함으로써, 풍하중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영농형 지지구조물,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및,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지반에 매립되어 적어도 인발저항력을 제공하는 지중보부; 및, 상기 지중보부에 형성된 지주고정홀에 종방향인 제1 방향으로 삽입되고 횡방향인 제2 방향 이동되면서 상기 지중보부에 고정되고, 상부구조부의 설치부분을 형성하는 지주부;를 포함하는 영농형 지지구조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중보부는,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지주고정홀이 이격 형성되는 지중보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주고정홀은 상기 지중보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2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중보는 굴착저면에서 하부로 근입이 용이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중보는,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 개의 지주고정홀이 이격 형성되는 제1 수평판; 및, 상기 제1 수평판에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직판;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중보는,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 개의 지주고정홀이 이격 형성되는 제1 수평판; 상기 제1 수평판에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직판 제1 수직판; 상기 제1 수직판에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평판; 및, 상기 제2 수평판에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직판;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주부는, 하나의 상기 지중보에 복수 개의 지주가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주는, 종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단부분에 제2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지중보의 지주고정홀 주변의 제1 고정구간으로 삽입되는 지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중보부와 상기 지주부의 사이를 연결하거나, 상기 지중보부와 상기 상부구조부의 사이를 연결하여 보강하는 가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복수 개의 상기 지중보에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중보에 추가적인 인발저항력을 제공하는 추가저항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가저항체는, 제3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중보와의 연결부분에서 상기 추가저항체의 하부를 통해 상기 지중보가 삽입되는 지중보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주고정홀에서 상기 지주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지주고정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가 제2 방향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영농형 지지구조물; 및, 상기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지주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구조부를 형성하고, 태양광패널이 설치되는 태양광패널부;를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지반을 굴착하여 굴착공간을 형성하는 지반 굴착단계; 상기 굴착공간에 지중보부를 설치하는 지중보부 설치단계; 상기 지중보부의 지주고정홀에 지주부를 종방향으로 삽입하고, 삽입된 상기 지주부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하는 지주부 설치단계; 및, 상기 굴착공간을 되메우기하여 상기 지중보 및, 상기 지주부를 고정하는 지반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중보부 설치단계 이후에, 상기 굴착공간의 저면인 굴착저면에서 하부로 상기 지중보부의 적어도 일부를 관입시키는 지중보부 관입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은 매립 깊이로도 충분한 인발저항력을 제공함으로써, 풍하중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의 기초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지지구조물(영농형 태양광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지지구조물(영농형 태양광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지지구조물(영농형 태양광구조물)의 지중보부를 구성하는 지중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지지구조물(영농형 태양광구조물)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지지구조물(영농형 태양광구조물)의 지중보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지지구조물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지지구조물은 지중보부(100) 및, 지주부(2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가새부(400), 추가저항체부(500) 및, 고정스토퍼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영농형 지지구조물은 지반(G)에 매립되어 적어도 인발저항력을 제공하는 지중보부(100) 및, 상기 지중보부(100)에 형성된 지주고정홀(H1)에 종방향인 제1 방향(D1)으로 삽입되고 횡방향인 제2 방향(D2) 이동되면서 상기 지중보부(100)에 고정되고, 상부구조부(300)의 설치부분을 형성하는 지주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중보부(100)는 농경지등의 지반(G)에 매립되어 지중보부(100)에 고정된 지주부(200)를 고정하여 인발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지중보부(100)가 매립되는 지반(G)은 농작물 등의 재배를 위한 농경지로 구성될 수 있다.
지중보부(100)는 농경지에 매립되고, 횡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중보(100M)를 구비할 수 있다.
지중보부(100)는,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중보(100M)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농경지는 상면에서 농작물의 재배를 위한 뿌리 등의 생육을 위해 필요한 영역인 재배영역(G1)이 형성되고, 재배영역(G1)의 하측에 지중보(100M)가 매립되는 보매립영역(G2)이 형성될 수 있다.
지중보(100M)는 농경지의 농작물의 안정적인 생육을 위해, 재배영역(G1)의 하측에 형성되는 보매립영역(G2)에 매립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재배영역(G1)은 농경지에서 경작되는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재배영역(G1)의 깊이는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지중보(100M)는 농경지의 지면에서 적어도 1 m 이상의 깊이로 매립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지중보(100M)는 농경지의 지면에서 적어도 0.5 m 이상의 깊이로 매립될 수 있다.
지중보(100M)에는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 지주(200M)가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중보(100M)에 복수 개의 지주(200M)가 일체로 고정됨으로써, 태양광구조물에 충분한 인발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례로, 지중보(100M)는 농경지의 평면상에서 제2 방향(D2)으로 길이의 전체에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방향(D2)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200M)가 하나의 지중보(100M)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지중보(100M)는 농경지의 평면상에서 횡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 개의 지중보(100M)가 제2 방향(D2)과 교차되는 방향인 제3 방향(D3)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지중보부(100)는, 지반(G)을 굴착하여 형성된 굴착공간(S)의 저면인 굴착저면(T) 상에 상기 지중보(100M)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굴착저면(T)에서 하부로 상기 지중보부(100)의 적어도 일부를 관입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영농형 지지구조물은 지중보부(100)가 작은 매립 깊이로도 충분한 인발저항력을 제공함으로써, 지주부(200)에 설치되는 태양광구조부 등의 상부구조부(300)에 작용하는 풍하중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례로, 지중보(100M)는 농경지의 지면에서 적어도 0.5 m 이상의 매립깊이를 확보시, 지주부(200)에 설치되는 태양광구조부 등의 상부구조부(300)에 작용하는 풍하중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인발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주부(200)는 농경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200M)로 구성될 수 있다.
지주부(200)는 지중보부(100)를 따라 횡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복수 개의 지주(200M)가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고, 지중보부(100)에 의해 복수 개의 지주(200M)가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지주(200M)는 지주고정홀(H1)에 종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지주(200M)의 지주홈(J)이 지주고정홀(H1)의 주변에 걸리면서 지주(200M)가 지중보(100M)에서 상측방향으로 인발되지 않을 수 있다.
지중보부(100)와 지주부(200) 중 적어도 일부는 강재 등의 금속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지중보부(100)와 지주부(200) 각각 강재로 구성될 수 있고, 내식성의 향상을 위해 KSD 3030 등의 도금강재가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지중보부(100)와 지주부(200) 에서 지반(G)에 매립되는 부분은 내식성의 향상을 위해 KSD 3030 등의 도금강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지중보부(100)와 지주부(200) 중 적어도 일부의 제작에는 내식성이 우수한 3원계 합금이 적용될 수 있다.
지주(200M)는 내부가 중공된 원형강관 또는 사각강관 등의 강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상부구조부(300)는, 상기 지주부(200)에 연계되어 설치되고, 태양광패널(330)이 설치되는 태양광패널부(300-1)로 구성될 수 있다.
태양광패널부(300-1)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복수 개의 태양광패널(330) 및, 복수 개의 지주(200M)에 의해 지지되고 복수 개의 태양광패널(330)이 설치되는 패널프레임(31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중보부(100)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방향(D2)을 따라 복수 개의 지주고정홀(H1)이 이격 형성되는 지중보(100M)로 구성될 수 있다.
지주고정홀(H1)은 상기 지중보(100M)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2 방향(D2)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주고정홀(H1)은 상기 지중보(100M)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2 방향(D2)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a), (b)를 참조하면, 지주(200M)는 지주고정홀(H1)에서 사다리꼴의 장변에 가까운 부분에 종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지주(200M)는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사다리꼴의 단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지주(200M)는 지중보(100M)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중보(100M)는 굴착저면(T)에서 하부로 근입이 용이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의 (a), (b)를 참조하면, 지중보(100M)는,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하부가 개방된 'ㄷ자형'의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중보(100M)는, 'ㄷ자형'의 단면의 양측 선단부에 하부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선단압입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지중보(100M)는 굴착공간(S)의 하부면인 굴착저면(T)에 배치된 상태에서, 지주(200M)는 지중보(100M)의 지주고정홀(H1)에 종방향으로 삽입되고, 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지중보(100M)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중보(100M)에 지주(200M)가 고정된 상태에서, 지중보(100M)와 지주(200M)를 굴착저면(T)의 하부로 관입시켜 지중보(100M)와 지주(200M)를 고정할 수 있다.
도 6의 (a), (b)를 참조하면, 지중보(100M)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 개의 지주고정홀(H1)이 이격 형성되는 제1 수평판(110) 및, 상기 제1 수평판(110)에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직판(130)을 구비할 수 있다.
지중보(100M)는 1개의 제1 수평판(110), 제1 수평판(110)의 폭방향 양단부에 형성되는 2개의 제2 수직판(1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중보(100M)에 지주(200M)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수평판(110)과, 2개의 제1 수직판(130)으로 둘러싸이고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에 지주(200M)의 하단이 배치될 수 있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지중보(100M)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 개의 지주고정홀(H1)이 이격 형성되는 제1 수평판(110)과, 상기 제1 수평판(110)에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직판(130)과, 상기 제1 수직판(130)에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평판(150) 및, 상기 제2 수평판(150)에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직판(170)을 구비할 수 있다.
지중보(100M)에 지주(200M)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수평판(110)과, 2개의 제1 수직판(130)으로 둘러싸이고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에 지주(200M)의 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수평판(150)은 굴착저면(T)과 접촉되면서 제2 수직판(170)이 굴착저면(T)에 삽입되는 한계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제2 수평판(150)은 제1 수직판(130)과 제2 수직판(170)의 사이에 설치되고, 굴착저면(T)과 접촉되면서 제2 수직판(170)이 굴착저면(T)에 삽입되는 한계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제2 수직판(170)은 굴착저면(T)의 하부로 삽입되면서 지중보(100M)는 굴착공간(S) 상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주부(200)는, 하나의 상기 지중보(100M)에 복수 개의 지주(200M)가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지주부(200)는 지중보(100M)를 따라 제2 방향(D2)으로 복수 개의 지주(200M)가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주(200M)는, 종방향인 제1 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단부분에 제2 방향(D2)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지중보(100M)의 지주고정홀(H1) 주변의 제1 고정구간(I)으로 삽입되는 지주홈(J)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구간(I)은 지주고정홀(H1)의 주변에 형성되고, 지주홈(J)이 제1 고정구간(I)에 삽입되면서 걸리면서 지주(200M)가 지중보(100M)에서 상측방향으로 인발되지 않을 수 있다.
지주홈(J)은 지주(200M)의 하단부분에 형성되고, 지주(200M)의 외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인입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영농형 지지구조물은 지중보부(100)와 상기 지주부(200)의 사이를 연결하거나, 상기 지중보부(100)와 상기 상부구조부(300)의 사이를 연결하여 보강하는 가새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새부(400)는 지중보부(100)와 상기 지주부(200)의 사이를 연결하거나, 상기 지중보부(100)와 상기 상부구조부(300)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부구조부(300)에 작용하는 횡방향 저항을 안정적으로 보강하여 지지할 수 있다.
가새부(400)는 지중보부(100)와 지주부(200)의 사이 또는 지중보부(100)와 상부구조부(300) 사이에 설치되어 긴장력을 제공하는 긴장부재(410) 및, 긴장부재(410)가 고정되는 고정핀(430)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핀(430)은 아이볼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지중보(100M)에 형성된 가새고정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영농형 지지구조물은 복수 개의 상기 지중보(100M)에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중보(100M)에 추가적인 인발저항력을 제공하는 추가저항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저항체부(500)는 제3 방향(D3)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방향(D2)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추가저항체(500M)로 구성될 수 있다.
지중보(100M)는 횡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연장 형성되고, 추가저항체(500M)는 지중보(100M)와 교차되도록 제3 방향(D3)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추가저항체(500M)는 복수 개의 지중보(100M)와 교차되도록 설치되면서 복수 개의 지중보(100M)에 대해 일체로 인발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추가저항체(500M)는 복수 개의 지중보(100M)와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추가저항체(500M)는 지중보(100M)의 제2 방향(D2) 단부를 지지할 수 있고, 지중보(100M)의 제2 방향(D2) 양단부에 지지하도록 2개의 추가저항체(500M)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저항체(500M)가 지중보(100M)의 단부에 설치됨으로써, 추가저항체(500M)가 농작물의 재배영역(G1)의 외곽부분 또는 재배영역(G1)을 벗어난 영역에 배치되면서 추가저항체(500M)가 농작물의 재배영역(G1)과 간섭되면서 농작물의 성장이 방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추가저항체부(500)는 굴착공간(S)의 저면인 굴착저면(T)에서 하부로 근입이 용이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추가저항체부(500)는 하부가 개방된 'ㄷ자형'의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추가저항체(500M)는, 제3 방향(D3)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중보(100M)와의 연결부분에서 상기 추가저항체(500M)의 하부를 통해 상기 지중보(100M)가 삽입되는 지중보삽입홀(H3)이 형성될 수 있다.
지중보삽입홀(H3)은 하부가 추가저항체(500M)의 하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추가저항체(500M)의 하부가 개방된 지중보삽입홀(H3)을 통해 지중보(100M)가 삽입되면서 양자는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추가저항체(500M)는 지중보(100M)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상측으로 인발되는 지중보(100M)에 추가적인 인발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저항체(500M)는, 복수 개의 지중보(100M)와 교차되도록 제3 방향(D3)으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 개의 지중보(100M)의 상부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지중보(100M)가 상부로 인발되는 것에 일체로 저항할 수 있다.
추가저항체(500M)는 제3 방향(D3)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추가수평판(510) 및, 제1 추가수평판(510)에서 절곡된 방향으로 하향 연장 형성되고, 지중보(100M)가 삽입되는 지중보삽입홀(H3)이 형성되는 제1 추가수직판(530)을 구비할 수 있다.
지중보삽입홀(H3)은 제1 추가수직판(530) 부분이 절개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추가저항체(500M)는 지중보삽입홀(H3)이 형성되는 부분에서는 양측의 제1 추가수직판(530)이 모두 절개되고, 제1 추가수평판(510)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영농형 지지구조물은 지주고정홀(H1)에서 상기 지주(200M)가 제2 방향(D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지주고정홀(H1)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200M)가 제2 방향(D2)의 후방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스토퍼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주(200M)가 지주고정홀(H1)에 종방향인 제1 방향(D1)으로 삽입되고, 횡방향인 제2 방향(D2)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지주(200M)는 지중보(100M)에 고정될 수 있다.
지주(200M)가 지주고정홀(H1)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스토퍼부(600)는 지주고정홀(H1)의 후방의 잔여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스토퍼부(600)는 지주고정홀(H1)의 잔여공간에 삽입되는 삽입스토퍼(610)와, 삽입스토퍼(6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지주고정홀(H1)의 주변에 걸쳐지는 단턱스토퍼(630)를 구비할 수 있다.
지주고정홀(H1)이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구성될 경우, 삽입스토퍼(610)와 단턱스토퍼(630)는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단턱스토퍼(630)가 삽입스토퍼(61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삽입스토퍼(610)는 지주고정홀(H1)의 잔여공간에 삽입되면서 고정되고, 탄턱스토퍼는 지주고정홀(H1)의 잔여공간의 주변에 걸쳐질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구조물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구조물은 앞서 설명한 영농형 지지구조물, 태양광패널부(300-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영농형 태양광구조물은 영농형 지지구조물 및, 상기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지주부(200)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구조부(300)를 형성하고, 태양광패널(330)이 설치되는 태양광패널부(300-1)를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패널부(300-1)는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지주부(200)에 연계되어 설치되고,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상부구조부(300)를 형성할 수 있다.
태양광패널부(300-1)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복수 개의 태양광패널(330) 및, 복수 개의 지주(200M)에 의해 지지되고 복수 개의 태양광패널(330)이 설치되는 패널프레임(310)을 구비할 수 있다.
태양광패널(330)은 패널프레임(310)의 상부에 복수 개가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고, 태양광패널(330)은 패널프레임(310)에 회전축 등을 매개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태양광패널(330)이 설치된 상태에서, 이격된 2개의 태양광패널(330)의 사이에는 태양광이 인입될 수 있다.
패널프레임(310)에는 복수 개의 태양광패널(330)이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태양광패널(330)이 수평하에 각도조절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태양광패널(330)은 평면상에서 패널프레임(310)의 1/2 이하의 면적에만 배치될 수 있다.
즉, 평면상에서 패널프레임(310)의 1/2 정도의 면적은 태양광이 농경지로 인입되는 인입경로로 활용될 수 있다.
영농형 태양광구조물은 지반(G, 농경지)에 매립되어 인발저항력을 제공하고,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중보부(100)와, 상기 지중보부(100)에 형성된 지주고정홀(H1)에 종방향으로 삽입되고, 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지중보부(100)에 고정되는 지주부(200) 및, 상기 지주부(200)에 연계되어 설치되고, 태양광패널(330)이 설치되는 태양광패널부(30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농형 태양광구조물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영농형 태양광구조물에서 활용되는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지중보부(100), 지주부(200)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지반(G) 굴착단계, 지중보부(100) 설치단계, 지주부(200) 설치단계, 지반(G) 고정단계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지중보부(100) 관입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지반(G)을 굴착하여 굴착공간(S)을 형성하는 지반(G) 굴착단계와, 상기 굴착공간(S)에 지중보부(100)를 설치하는 지중보부(100) 설치단계와, 상기 지중보부(100)의 지주고정홀(H1)에 지주부(200)를 종방향으로 삽입하고, 삽입된 상기 지주부(200)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하는 지주부(200) 설치단계 및, 상기 굴착공간(S)을 되메우기하여 상기 지중보(100M) 및, 상기 지주부(200)를 고정하는 지반(G) 고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첫번째 단계로, 지반(G) 굴착단계는 지반(G)을 굴착하여 굴착공간(S) 형성할 수 있고, 굴착공간(S)에 지중보부(100)의 설치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굴착공간(S)의 저면에는 지중보부(100)가 거치되는 굴착저면(T)이 형성될 수 있다.
굴착저면(T)은 지중보부(100)가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수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두번째 단계로, 지중보부(100) 설치단계는 지반(G)이 굴착된 굴착공간(S)의 내부에 지중보부(100)를 설치할 수 있다.
일례로, 굴차공간의 굴착저면(T)에 지중보부(100)가 수평하게 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세번째 단계로, 지주부(200) 설치단계는 지중보부(100)의 지주고정홀(H1)에 지주부(200)를 종방향으로 삽입하고, 지주부(200)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중보부(100)에 고정할 수 있다.
지주부(200) 설치단계 이후에, 지주(200M)가 지주고정홀(H1)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스토퍼부(600)를 지주고정홀(H1)의 후방의 잔여공간에 삽입하는 고정스토퍼부(600) 설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상측 다섯번째 단계 또는 도 7의 하측의 4번째 단계로, 지반(G) 고정단계는 지반(G)이 굴착된 굴착공간(S)을 되메우기하여 상기 지중보(100M) 및, 지주부(200)를 고정할 수 있다.
지반(G) 고정단계는 굴착공간(S)에 굴착된 지반(G)이나 흙을 다시 채우는 되메우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굴착공간(S)에 지반(G)이나 흙을 다시 채우는 되메우기단계를 통해 지중보(100M) 및, 상기 지주부(200)가 지반(G)에 고정될 수 있다.
지반(G) 고정단계는 굴착공간(S)에 굴착된 지반(G)이나 흙을 다시 채우는 되메우기단계 및 되메우기된 지반(G)이나 흙을 다짐하여 지반(G)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다짐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상측 4번째 단계로,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지중보부(100) 설치단계 이후에, 상기 굴착공간(S)의 저면인 굴착저면(T)에서 하부로 상기 지중보부(100)의 적어도 일부를 관입시키는 지중보부(100) 관입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지중보부(100) 관입단계는 지주부(200) 설치단계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중보부(100) 관입단계는 지주부(200) 설치단계와, 지반(G) 고정단계의 사이에 실시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지중보(100M)의 하단부분이 굴착저면(T) 상에 거치된 상태에서 지주(200M)가 설치될 수 있다.
지중보(100M)의 하부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굴착저면(T)에서 하측으로 근입되면서 지중보(100M)는 지반(G)에 고정될 수 있다.
지중보(100M)는 굴착공간(S)의 하부면인 굴착저면(T)에 배치된 상태에서, 지주(200M)는 지중보(100M)의 지주고정홀(H1)에 종방향으로 삽입되고, 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지중보(100M)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중보(100M)에 지주(200M)가 고정된 상태에서, 지중보(100M)를 굴착저면(T)의 하부로 관입시켜 지중보(100M)를 고정할 수 있다.
이후, 굴착공간(S)을 되메우기하여 상기 지중보(100M) 및, 상기 지주부(200)를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지중보부(100) 관입단계는 지중보부(100) 설치단계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중보부(100) 관입단계는 지중보부(100) 설치단계와, 지주부(200) 설치단계의 사이에 실시될 수 있다.
도 6의 (b),(c)를 참조하면, 지중보부(100)의 일부가 굴착저면(T)에 관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지주부(2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중보부(100)가 굴착저면(T)에 관입된 상태에서, 지주부(200)가 지중보부(100)의 지주고정홀(H1)에 횡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지중보부(100)가 지반(G)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주부(200)가 고정되면서 지주부(200)의 설치과정에서 지중보부(100)가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후, 굴착공간(S)을 되메우기하여 상기 지중보(100M) 및, 상기 지주부(20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에서 활용되는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지중보부(100), 지주부(200)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지주 2: 회전관입기초
3: 매립형기초
100: 지중보부 100M: 지중보
110: 제1 수평판 130: 제1 수직판
150: 제2 수평판 170: 제2 수직판
200: 지주부 200M: 지주
300: 상부구조부 300-1: 태양광패널부
310: 패널프레임 330: 태양광패널
400: 가새부 400M: 가새
410: 긴장부재 430: 고정핀
500: 추가저항체부 500M: 추가저항체
510: 제1 추가수평판 530: 제1 추가수직판
600: 고정스토퍼부 610: 삽입스토퍼
630: 단턱스토퍼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D3: 제3 방향
G: 지반(농경지) G1: 재배영역
G2: 보매립영역 H1: 지주고정홀
H2: 가새고정홀 H3: 지중보삽입홀
I: 제1 고정구간 J: 지주홈
S: 굴착공간 T: 굴착저면

Claims (15)

  1. 지반에 매립되어 적어도 인발저항력을 제공하는 지중보부; 및,
    상기 지중보부에 형성된 지주고정홀에 종방향인 제1 방향으로 삽입되고 횡방향인 제2 방향 이동되면서 상기 지중보부에 고정되고, 상부구조부의 설치부분을 형성하는 지주부;를 포함하는 영농형 지지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보부는,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지주고정홀이 이격 형성되는 지중보로 구성되는 영농형 지지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고정홀은 상기 지중보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2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영농형 지지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보는 굴착저면에서 하부로 근입이 용이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는 영농형 지지구조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보는,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 개의 지주고정홀이 이격 형성되는 제1 수평판; 및,
    상기 제1 수평판에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직판;을 구비하는 영농형 지지구조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보는,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 개의 지주고정홀이 이격 형성되는 제1 수평판;
    상기 제1 수평판에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직판 제1 수직판;
    상기 제1 수직판에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평판; 및,
    상기 제2 수평판에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직판;을 구비하는 영농형 지지구조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는,
    하나의 상기 지중보에 복수 개의 지주가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농형 지지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종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단부분에 제2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지중보의 지주고정홀 주변의 제1 고정구간으로 삽입되는 지주홈이 형성되는 영농형 지지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보부와 상기 지주부의 사이를 연결하거나, 상기 지중보부와 상기 상부구조부의 사이를 연결하여 보강하는 가새부;를 더 포함하는 영농형 지지구조물.
  10. 제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지중보에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중보에 추가적인 인발저항력을 제공하는 추가저항체부;를 더 포함하는 영농형 지지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저항체는,
    제3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중보와의 연결부분에서 상기 추가저항체의 하부를 통해 상기 지중보가 삽입되는 지중보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농형 지지구조물.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고정홀에서 상기 지주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지주고정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지주가 제2 방향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영농형 지지구조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영농형 지지구조물; 및,
    상기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지주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구조부를 형성하고, 태양광패널이 설치되는 태양광패널부;를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구조물.
  14. 지반을 굴착하여 굴착공간을 형성하는 지반 굴착단계;
    상기 굴착공간에 지중보부를 설치하는 지중보부 설치단계;
    상기 지중보부의 지주고정홀에 지주부를 종방향으로 삽입하고, 삽입된 상기 지주부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하는 지주부 설치단계; 및,
    상기 굴착공간을 되메우기하여 상기 지중보 및, 상기 지주부를 고정하는 지반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보부 설치단계 이후에,
    상기 굴착공간의 저면인 굴착저면에서 하부로 상기 지중보부의 적어도 일부를 관입시키는 지중보부 관입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90107983A 2019-09-02 2019-09-02 영농형 지지구조물,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및,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321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983A KR102321314B1 (ko) 2019-09-02 2019-09-02 영농형 지지구조물,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및,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983A KR102321314B1 (ko) 2019-09-02 2019-09-02 영농형 지지구조물,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및,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746A true KR20210026746A (ko) 2021-03-10
KR102321314B1 KR102321314B1 (ko) 2021-11-02

Family

ID=7514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983A KR102321314B1 (ko) 2019-09-02 2019-09-02 영농형 지지구조물,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및,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3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931B1 (ko) * 2011-03-30 2011-12-27 주식회사 에너솔라 태양전지모듈 지지구조물
JP2015104245A (ja) * 2013-11-26 2015-06-04 株式会社サンレール 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
KR101572188B1 (ko) * 2015-02-27 2015-11-26 김창한 솔라 박스 및 솔라 박스 어레이
KR101609540B1 (ko) * 2015-10-12 2016-04-06 에스케이디앤디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KR20170089357A (ko) 2016-01-26 2017-08-03 정미옥 태양전지모듈용 지지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931B1 (ko) * 2011-03-30 2011-12-27 주식회사 에너솔라 태양전지모듈 지지구조물
JP2015104245A (ja) * 2013-11-26 2015-06-04 株式会社サンレール 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
KR101572188B1 (ko) * 2015-02-27 2015-11-26 김창한 솔라 박스 및 솔라 박스 어레이
KR101609540B1 (ko) * 2015-10-12 2016-04-06 에스케이디앤디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KR20170089357A (ko) 2016-01-26 2017-08-03 정미옥 태양전지모듈용 지지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314B1 (ko)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816271C2 (de) Vorrichtung zum Sichern von Böschungen und Hängen
US9611609B2 (en) Ground mounting assembly
JP6118487B2 (ja) スクリュー杭用浮沈防止パーツ、スクリュー杭、及びスクリュー杭を用いた基礎杭の施工方法
CN105464106B (zh) 桩连接器
US20160024739A1 (en) Ground mounting assembly
CN102959305B (zh) 面状体支承台架以及太阳能发电装置
US20130118113A1 (en) Solar system mounting assembly
KR102321314B1 (ko) 영농형 지지구조물,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 및, 영농형 지지구조물의 시공방법
CN212427127U (zh) 一种深路堑绿色防护结构及路堑防护系统
CN105935034A (zh) 一种防霜机立柱固定装置
KR101266112B1 (ko) 절삭견인방법을 이용한 비개착식 횡단구조물 시공방법
CN215835112U (zh) 防冲刷绿化带、防冲刷装置及其防冲刷板
CN213741133U (zh) 一种岩质边坡的绿化种植装置
KR100467234B1 (ko) 패널 삽입식 옹벽 및 옹벽시공방법
CN210017128U (zh) 土质陡边坡乔木种植坑结构
CN105133623B (zh) 一种利用预应力钢板桩支护结构进行支护的施工方法
CN204608803U (zh) 一种锚杆支护高陡边坡用植生槽结构
CN211340642U (zh) 一种永临结合的挂板式护岸结构
CN111119209A (zh) 一种深路堑绿色防护结构、路堑防护系统及其施工方法
CN214194593U (zh) 一种岩土工程边坡加固装置
KR200166932Y1 (ko) 강재지주의 매설지지대
KR100542141B1 (ko) 송전선 철탑의 산악형 기초 구조물
KR20140030370A (ko) 흙막이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시공방법
CN210641621U (zh) 一种农业大棚插根固定装置
CN219175135U (zh) 一种河道水土保持型护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