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474A - 2개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2개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474A
KR20210026474A KR1020190107295A KR20190107295A KR20210026474A KR 20210026474 A KR20210026474 A KR 20210026474A KR 1020190107295 A KR1020190107295 A KR 1020190107295A KR 20190107295 A KR20190107295 A KR 20190107295A KR 20210026474 A KR20210026474 A KR 20210026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plate
wall
half space
spac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훈
Original Assignee
황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훈 filed Critical 황재훈
Priority to KR1020190107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474A/ko
Publication of KR20210026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02Partitions integral
    • B65D5/48004Squaring, i.e. at least four not aligne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26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 B65D5/665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the lid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self-locking integral flaps or tabs
    • B65D5/6655Local flaps or tabs provided at the lid edge opposite to the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장의 종이판을 재단하고 접어서 2개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하는 상자의 바닥판 일측에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하는 터널형 하프공간 형성부를 부착하고, 타측에 또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하는 상면판을 부착하도록 함으로써, 2개의 수납공간이 분리되거나 흔들림 없이 형성되어 포장상자를 기계에 의해서 자동으로 생산이 가능하게 하고, 포장상자의 내측에 형성되는 2개의 수납공간에 상품을 포장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장의 종이판으로 형성되는 상자본체(101)의 가운데 위치하는 바닥판(10)의 우측에 바닥판(10) 면적의 절반크기로 형성되는 하프공간 형성부(30)를 형성하되, 이 하프공간 형성부(30)는 바닥판(10)의 우측 접힘선(10b)에서부터 사각 터널형태로 접어져서 하프공간 형성부(30)의 우측단부에 형성되는 접착부(31)가 바닥판(10)의 상면에 부착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프공간 형성부(30)는 바닥판(10)의 우측 접힘선(10b)에서부터 소정의 높이로 외측벽을 형성하는 외측벽부(32)와, 바닥판(10)의 절반크기로 바닥판(10)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면판(33)과, 외측벽부(32)와 동일한 높이로 내측벽을 형성하는 내측벽부(34)와, 하프공간 형성부(30)를 바닥판(10)의 상면에 부착하는 접착부(31)를 차례로 형성하되, 각각의 부재(32,33,34,31)들의 사이에는 각각의 부재들이 직각으로 절곡되게 하는 접힘선(30a)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0)의 좌측에는 바닥판(10)의 좌측 접힘선(10a)에서부터 사각 터널형태로 절곡하여 좌측단부에 형성되는 측면접착부(21)를 하프공간 형성부(30)의 외측벽부(32) 외부면에 부착하는 상면덮개부(20)를 형성하되, 이 상면덮개부(20)는 바닥판(10)의 좌측 접힘선(10a)에서부터 외측벽부(32)와 동일한 높이로 외측벽을 형성하는 측면판(22)과, 바닥판(10)과 동일한 크기로 바닥판(10)의 상측에 간격을 형성하는 상면덮개판(23)과, 상면덮개부(20)를 하프공간 형성부(30)의 외측벽부(32) 외부면에 부착되게 하는 측면접착부(21)를 차례로 형성하되, 각각의 부재(22,23,21)들의 사이에는 각각의 부재들이 직각으로 절곡되게 하는 접힘선(20a)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10)의 전방에 전방뚜껑(11)과 끼움편(12)이 각각의 전방접힘선(102)에 의해 직각으로 접히게 형성되고, 각각의 측면판(22)과 측면접착부(21)의 전방에 각각의 전방접힘선(102)에 의해 직각으로 접히는 날개편(14)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10)과, 상면덮개판(23), 측면판(22), 측면접착부(21)의 후방에는 각각의 후방접힘선(103)에 의해 접히는 후방폐쇄부(13)가 각각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개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포장상자{Packaging box with two storage space}
본 발명은 2개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장의 종이판을 재단하고 접어서 2개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하는 상자의 바닥판 일측에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하는 터널형 하프공간 형성부를 부착하고, 타측에 또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하는 상면판을 부착하도록 함으로써, 2개의 수납공간이 분리되거나 흔들림 없이 형성되어 포장상자를 기계에 의해서 자동으로 생산이 가능하게 하고, 포장상자의 내측에 형성되는 2개의 수납공간에 상품을 포장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고안은 실용신안등록 제20-0300956호(고안의 명칭 : 포장상자)로 등록되어 실용신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고안은 도 7a 내지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크기를 갖는 한 장의 시트를 재단하고 접어 중앙부에 절첩부(3)가 되게 하고, 그 절첩부(3)의 양측으로는 각각의 제1,2상자부(1,2)를 형성시켜 그 제1,2상자부(1,2)를 필요에 따라 상호 겹치거나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고안은 한 장의 시트를 재단하고 접어서 2개의 상자가 연결되게 형성하는 것이나, 이를 쉽게 설명하면 2개 상자를 옆으로 맞댄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후방측 모서리부를 테이프와 같은 밴드지(절첩부)로 연결하여서 2개 상자가 연결되게 형성한 것임에 따라 서로가 연결된 2개의 상자를 옆으로 펼치거나, 또는 접어서 겹쳐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종래고안은 기계에 의해 자동으로 접을 수 없어서 수작업에 의해 상자를 접어야 하는 비생산적인 문제와, 종래고안의 상자에 상품을 수납하기 위하여 상자의 일측을 손으로 잡아들었을 때, 타측 상자부가 경첩형태의 절첩부(3)에 의해 하측으로 꺾이면서 흔들거림에 따라 수납공간에 상품을 수납하는 작업이 불편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300956호(고안의 명칭 : 포장상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장의 종이판을 재단하고 접어서 2개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하는 상자의 바닥판 일측에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하는 터널형 하프공간 형성부를 부착하고, 타측에 또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하는 상면판을 부착하도록 함으로써, 2개의 수납공간이 분리되거나 흔들림없이 형성되어 포장상자를 기계에 의해서 자동으로 생산이 가능하게 하고, 포장상자의 내측에 형성되는 2개의 수납공간에 상품을 포장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장의 종이판으로 형성되는 상자본체의 가운데 위치하는 바닥판의 우측에 바닥판 면적의 절반크기로 형성되는 하프공간 형성부를 형성하되, 이 하프공간 형성부는 바닥판의 우측 접힘선에서부터 사각 터널형태로 접어져서 하프공간 형성부의 우측단부에 형성되는 접착부가 바닥판의 상면에 부착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프공간 형성부는 바닥판의 우측 접힘선에서부터 소정의 높이로 외측벽을 형성하는 외측벽부와, 바닥판의 절반크기로 바닥판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면판과, 외측벽부와 동일한 높이로 내측벽을 형성하는 내측벽부와, 하프공간 형성부를 바닥판의 상면에 부착하는 접착부를 차례로 형성하되, 각각의 부재들의 사이에는 각각의 부재들이 직각으로 절곡되게 하는 접힘선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좌측에는 바닥판의 좌측 접힘선에서부터 사각 터널형태로 절곡하여 좌측단부에 형성되는 측면접착부를 하프공간 형성부의 외측벽부 외부면에 부착하는 상면덮개부를 형성하되, 이 상면덮개부는 바닥판의 좌측 접힘선에서부터 외측벽부와 동일한 높이로 외측벽을 형성하는 측면판과, 바닥판과 동일한 크기로 바닥판의 상측에 간격을 형성하는 상면덮개판과, 상면덮개부를 하프공간 형성부의 외측벽부 외부면에 부착되게 하는 측면접착부를 차례로 형성하되, 각각의 부재들의 사이에는 각각의 부재들이 직각으로 절곡되게 하는 접힘선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의 전방에 전방뚜껑과 끼움편이 각각의 전방접힘선에 의해 직각으로 접히게 형성되고, 각각의 측면판과 측면접착부의 전방에 각각의 전방접힘선에 의해 직각으로 접히는 날개편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과, 상면덮개판, 측면판, 측면접착부의 후방에는 각각의 후방접힘선에 의해 접히는 후방폐쇄부가 각각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한 장의 종이판을 재단하고 접어서 2개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하는 상자의 바닥판 일측에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하는 터널형 하프공간 형성부를 부착하고, 타측에 또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하는 상면판을 부착하도록 함으로써, 2개의 수납공간이 분리되거나 흔들림없이 형성되어 포장상자를 기계에 의해서 자동으로 생산이 가능하게 하고, 포장상자의 내측에 형성되는 2개의 수납공간에 상품을 포장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상자의 전개도.
도 2a 내지 도 2e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상자를 접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의한 포장상자의 전개도.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의한 포장상자를 접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이실시예의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종래고안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포장상자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상자(1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는데, 각 구성요소에 대한 위치 및 방향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1을 기준으로 전, 후, 좌, 우측으로 설명할 것임을 밝힌다.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상자(10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한 장의 종이판을 상자를 만들고자 하는 형태로 재단한 상자본체(101)의 가운데 위치하는 바닥판(10)의 우측에 바닥판(10) 면적의 절반크기로 형성되는 하프공간 형성부(30)를 형성하되, 이 하프공간 형성부(30)는 바닥판(10)의 우측 접힘선(10b)에서부터 사각 터널형태로 접어져서 하프공간 형성부(30)의 우측단부에 형성되는 접착부(31)가 바닥판(10)의 상면에 부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프공간 형성부(30)는 바닥판(10)의 우측 접힘선(10b)에서부터 소정의 높이로 외측벽을 형성하는 외측벽부(32)와, 바닥판(10)의 절반크기로 바닥판(10)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면판(33)과, 외측벽부(32)와 동일한 높이로 내측벽을 형성하는 내측벽부(34)와, 하프공간 형성부(30)를 바닥판(10)의 상면에 부착하는 접착부(31)를 차례로 형성하되, 각각의 부재(32,33,34,31)들의 사이에는 각각의 부재들이 직각으로 절곡되게 하는 접힘선(30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프공간 형성부(30)의 크기는 바닥판(10) 면적의 절반크기로 형성하였으나, 이 크기는 반드시 절반의 크기로 형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프공간 형성부(30)를 사각 터널형태로 절곡하여 하프공간 형성부(30)의 우측단부에 형성되는 접착부(31)를 바닥판(10)의 상면에 부착하여 사각 터널형태로 형성되는 공간을 제1수납공간(35)이라고 칭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0)의 좌측에는 바닥판(10)의 좌측 접힘선(10a)에서부터 사각 터널형태로 절곡하여 좌측단부에 형성되는 측면접착부(21)를 하프공간 형성부(30)의 외측벽부(32) 외부면에 부착하는 상면덮개부(20)를 형성하되, 이 상면덮개부(20)는 바닥판(10)의 좌측 접힘선(10a)에서부터 외측벽부(32)와 동일한 높이로 외측벽을 형성하는 측면판(22)과, 바닥판(10)과 동일한 크기로 바닥판(10)의 상측에 간격을 형성하는 상면덮개판(23)과, 상면덮개부(20)를 하프공간 형성부(30)의 외측벽부(32) 외부면에 부착되게 하는 측면접착부(21)를 차례로 형성하되, 각각의 부재(22,23,21)들의 사이에는 각각의 부재들이 직각으로 절곡되게 하는 접힘선(2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0)의 전방에 전방뚜껑(11)과 끼움편(12)이 각각의 전방접힘선(102)에 의해 직각으로 접히게 형성되고, 각각의 측면판(22)과 측면접착부(21)의 전방에 각각의 전방접힘선(102)에 의해 직각으로 접히는 날개편(14)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10)과, 상면덮개판(23), 그리고 각각의 측면판(22)과 측면접착부(21)의 후방에는 각각의 후방접힘선(103)에 의해 접히는 후방폐쇄부(13)가 각각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의한 포장상자(10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한 장의 종이판을 상자를 만들고자 하는 형태로 재단한 상자본체(101)의 가운데 위치하는 바닥판(10)의 우측에 바닥판(10) 면적의 절반크기로 형성되는 하프공간 형성부(30)를 형성하되, 이 하프공간 형성부(30)는 바닥판(10)의 우측 접힘선(10b)에서부터 사각 터널형태로 접어져서 하프공간 형성부(30)의 우측단부에 형성되는 접착부(31)가 바닥판(10)의 상면에 부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프공간 형성부(30)는 바닥판(10)의 우측 접힘선(10b)에서부터 소정의 높이로 외측벽을 형성하는 외측벽부(32)와, 바닥판(10)의 절반크기로 바닥판(10)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면판(33)과, 외측벽부(32)와 동일한 높이로 내측벽을 형성하는 내측벽부(34)와, 하프공간 형성부(30)를 바닥판(10)의 상면에 부착하는 접착부(31)를 차례로 형성하되, 각각의 부재(32,33,34,31)들의 사이에는 각각의 부재들이 직각으로 절곡되게 하는 접힘선(30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프공간 형성부(30)를 사각 터널형태로 절곡하여 하프공간 형성부(30)의 우측단부에 형성되는 접착부(31)를 바닥판(10)의 상면에 부착하여 사각 터널형태로 형성되는 공간을 제1수납공간(35)이라고 칭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0)의 좌측에는 바닥판(10)의 좌측 접힘선(10a)에서부터 사각 터널형태로 절곡하여 좌측단부에 형성되는 접착부(41)을 하프공간 형성부(30)의 내측벽부(34) 외부면에 부착하는 제2하프공간 형성부(40)를 형성하되, 이 제2하프공간 형성부(40)는 바닥판(10)의 좌측 접힘선(10a)에서부터 내외측벽부(34,32)와 동일한 높이로 외측벽을 형성하는 측면판(42)과, 상면판(33)과 동일한 크기로 바닥판(10) 상측에 간격을 형성하는 상면판(43)과, 제2하프공간 형성부(40)를 하프공간 형성부(30)의 내측벽부(34) 외부면에 부착하는 접착부(41)을 차례로 형성하되, 각각의 부재(42,43,41)들의 사이에는 각각의 부재들이 직각으로 절곡되게 하는 접힘선(4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0)과, 각각의 상면판(33,43)과 측면판(42) 및 외측벽부(32)의 전후방에는 각각의 전후방접힘선(102,103)에 의해 접히는 전후방뚜껑(104,105)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장의 종이판을 상자를 만들고자 하는 형태로 재단하여 상자본체(101)를 형성한 뒤에, 이렇게 재단 형성된 다수매의 상자본체(101)를 포장상자 제작기계에 투입하면 도 2a 내지 도 2e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자동으로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상자(100)가 자동으로 제작되게 된다.
먼저, 도 1 및 도 2a에서와 같이 전개된 상자본체(101)를 포장상자 제작기계에 투입하면, 제일 먼저,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면 상 바닥판(10)의 우측에 위치하는 하프공간 형성부(30)를 사각터널형태로 접되, 하프공간 형성부(30)의 우측 단부에 접힘선(30a)에 의해 접어지게 형성된 접착부(31)의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하프공간 형성부(30)를 사각 터널형태로 접으면서 하프공간 형성부(30)가 접착부(31)가 바닥판(10)의 상면을 덮도록 한다.
상기 하프공간 형성부(30)은 우측접힘선(10b)이 절곡 힌지부가 되어 바닥판(10)의 상측으로 힌지식으로 회전하면서 덮이게 되며, 우측 단부에 위치하던 접착부(31)가 바닥판(10)의 상면 중앙부에 접촉하면서 그 면접촉부를 압착함에 따라 사각 터널형태로 절곡된 하프공간 형성부(30)의 우측 접착부(31)가 바닥판(10) 상면중앙에 부착되면서 바닥판(10) 절반 크기의 제1수납공간(35)을 형성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 및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자본체(101)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면덮개부(20)를 사각 터널형태로 접으면서 사각 터널형태로 접어서 부착시킨 하프공간 형성부(30)와 바닥판(10)의 상측을 덮게 하는데, 이때에도 상면덮개부(20)의 좌측 단부에 위치하는 측면접착부(21)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로 상면덮개부(20)를 접어야 하며, 좌측접힘선(10a)을 직각으로 절곡하는 과정에서 상면덮개부(20)가 좌측접힘선(10a)을 힌지부로 하여 "b"와 같이 힌지식으로 접어지게 된다.
이렇게 힌지식으로 상면덮개부(20)가 하프공간 형성부(30)가 부착된 바닥판(10)의 상측을 덮도록 접어질 때, 상면덮개판(23)의 크기가 바닥판(10)의 면적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서 도 2e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판(10)의 상부와 하프공간 형성부(3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면판(33)를 덮게 되고, 상면덮개부(20)의 외측단에 위치하는 측면접착부(21)를 외측벽부(32)의 외측에 부착하면, 하프공간 형성부(30)에 의해 먼저 형성되었던 제1수납공간(35)의 옆에 또 하나의 제2수납공간(36)이 형성되게 된다.
이 상태는 상자본체(101)의 전후방이 개방된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 바닥판(10)과 상면덮개부(20)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폐쇄부(13)을 접어서 닫으면, 전방이 개방되고 내측에 2개의 수납공간, 즉 제1,2수납공간(35,36)이 형성된 포장상자(100)의 제작이 완료되게 된다.
이렇게 제작된 포장상자(100)의 제1,2수납공간(35,36)에 2종류의 상품을 한 개의 포장상자(100)에 수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막대과자를 포장할 때 제1수납공간(35)에는 매운 맛의 과자를 수납 포장하고, 제2수납공간(36)에는 순한 맛의 과자를 수납 포장할 수 있는 것이며, 제1,2수납공간(35,36)으로의 수납을 완료한 뒤에 끼움편(12)을 포함한 전방뚜껑(11)을 접으면서 전방의 개구된 공간을 닫아서 포장작업을 완료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는, 도 4 및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장의 종이판을 상자를 만들고자 하는 형태로 재단하여 상자본체(101)를 형성한 뒤에, 이렇게 재단 형성된 다수매의 상자본체(101)를 포장상자 제작기계에 투입하면 도 5a 내지 도 5e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자동으로 이실시예에 의한 포장상자(100)가 자동으로 제작되게 된다.
먼저, 도 4 및 도 5a에서와 같이 전개된 상자본체(101)를 포장상자 제작기계에 투입하면, 제일 먼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면 상 바닥판(10)의 우측에 위치하는 하프공간 형성부(30)를 사각터널형태로 접되, 하프공간 형성부(30)의 우측 단부에 접힘선(30a)에 의해 접어지게 형성된 접착부(31)의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하프공간 형성부(30)를 사각 터널형태로 접으면서 하프공간 형성부(30)가 접착부(31)가 바닥판(10)의 상면을 덮도록 한다.
상기 하프공간 형성부(30)은 우측접힘선(10b)이 절곡 힌지부가 되어 바닥판(10)의 상측으로 힌지식으로 회전하면서 덮이게 되며, 우측 단부에 위치하던 접착부(31)가 바닥판(10)의 상면 중앙부에 접촉하면서 그 면접촉부를 압착함에 따라 사각 터널형태로 절곡된 하프공간 형성부(30)의 우측 접착부(31)가 바닥판(10) 상면중앙에 부착되면서 바닥판(10) 절반 크기의 제1수납공간(35)을 형성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4 및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자본체(101)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2하프공간 형성부(40)를 사각 터널형태로 접으면서 사각 터널형태로 접어서 부착시킨 하프공간 형성부(30)를 바닥판(10)의 상면에 부착하고 남은 빈 공간을 덮게 하는데, 이때에도 제2하프공간 형성부(40)의 좌측 단부에 위치하는 접착부(41)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로 제2하프공간 형성부(40)를 접어야 하며, 좌측접힘선(10a)을 직각으로 절곡하는 과정에서 제2하프공간 형성부(40)가 좌측접힘선(10a)을 힌지부로 하여 "c"와 같이 힌지식으로 접어지게 된다.
이렇게 힌지식으로 제2하프공간 형성부(40)가 하프공간 형성부(30)가 부착되고 남은 바닥판(10) 상측의 빈공간을 덮도록 접어질 때, 상면판(43)의 크기가 바닥판(10)의 절반 크기로 형성되고, 먼저 부착된 하프공간 형성부(30)가 제2하프공간 형성부(40)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서 도 5e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판(10)의 상부에 하프공간 형성부(30)가 부착되고 남은 빈공간을 제2하프공간 형성부(40)가 덮게 되며, 제2하프공간 형성부(40)의 외측단에 위치하는 접착부(41)를 외측벽부(32)의 외측에 부착하면, 하프공간 형성부(30)에 의해 먼저 형성되었던 제1수납공간(35)의 옆에 또 하나의 제2수납공간(36)이 형성되게 된다.
이 상태는 상자본체(101)의 전후방이 개방된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 상자본체(101)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접힘선(103)을 접어서 닫으면 전방이 개방되고 내측에 2개의 수납공간, 즉 제1,2수납공간(35,36)이 형성된 포장상자(100)의 제작이 완료되게 된다.
이렇게 제작된 포장상자(100)의 제1,2수납공간(35,36)에 2종류의 상품을 한 개의 포장상자(100)에 수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막대과자를 포장할 때 제1수납공간(35)에는 매운 맛의 과자를 수납 포장하고, 제2수납공간(36)에는 순한 맛의 과자를 수납 포장할 수 있는 것이며, 제1,2수납공간(35,36)으로의 수납을 완료한 뒤에 전방접힘선(102)을 접어서 전방의 개구된 공간을 닫아서 포장작업을 완료하는 것이다.
10 : 바닥판 11 : 전방뚜껑 12 : 끼움편
13 : 후방폐쇄부 14 : 날개편 20 : 상면덮개부
21 : 측면접착부 22 : 측면판 23 : 상면덮개판
30 : 하프공간 형성부 31 : 접착부 32 : 외측벽부
33 : 상면판 34 : 내측벽부 35 : 제1수납공간
36 : 제2수납공간 40 : 제2하프공간 형성부
41 : 접착부 42 : 측면판 43 : 상면판
100 : 포장상자 101 : 상자본체 102 : 전방접힘선
103 : 후방접힘선 104 : 전방뚜껑 105 : 후방뚜껑

Claims (2)

  1. 한 장의 종이판으로 형성되는 상자본체(101)의 가운데 위치하는 바닥판(10)의 우측에 바닥판(10) 면적의 절반크기로 형성되는 하프공간 형성부(30)를 형성하되, 이 하프공간 형성부(30)는 바닥판(10)의 우측 접힘선(10b)에서부터 사각 터널형태로 접어져서 하프공간 형성부(30)의 우측단부에 형성되는 접착부(31)가 바닥판(10)의 상면에 부착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프공간 형성부(30)는 바닥판(10)의 우측 접힘선(10b)에서부터 소정의 높이로 외측벽을 형성하는 외측벽부(32)와, 바닥판(10)의 절반크기로 바닥판(10)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면판(33)과, 외측벽부(32)와 동일한 높이로 내측벽을 형성하는 내측벽부(34)와, 하프공간 형성부(30)를 바닥판(10)의 상면에 부착하는 접착부(31)를 차례로 형성하되, 각각의 부재(32,33,34,31)들의 사이에는 각각의 부재들이 직각으로 절곡되게 하는 접힘선(30a)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0)의 좌측에는 바닥판(10)의 좌측 접힘선(10a)에서부터 사각 터널형태로 절곡하여 좌측단부에 형성되는 측면접착부(21)를 하프공간 형성부(30)의 외측벽부(32) 외부면에 부착하는 상면덮개부(20)를 형성하되, 이 상면덮개부(20)는 바닥판(10)의 좌측 접힘선(10a)에서부터 외측벽부(32)와 동일한 높이로 외측벽을 형성하는 측면판(22)과, 바닥판(10)과 동일한 크기로 바닥판(10)의 상측에 간격을 형성하는 상면덮개판(23)과, 상면덮개부(20)를 하프공간 형성부(30)의 외측벽부(32) 외부면에 부착되게 하는 측면접착부(21)를 차례로 형성하되, 각각의 부재(22,23,21)들의 사이에는 각각의 부재들이 직각으로 절곡되게 하는 접힘선(20a)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10)의 전방에 전방뚜껑(11)과 끼움편(12)이 각각의 전방접힘선(102)에 의해 직각으로 접히게 형성되고, 각각의 측면판(22)과 측면접착부(21)의 전방에 각각의 전방접힘선(102)에 의해 직각으로 접히는 날개편(14)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10)과, 상면덮개판(23), 측면판(22), 측면접착부(21)의 후방에는 각각의 후방접힘선(103)에 의해 접히는 후방폐쇄부(13)가 각각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포장상자.
  2. 한 장의 종이판으로 형성되는 상자본체(101)의 가운데 위치하는 바닥판(10)의 우측에 바닥판(10) 면적의 절반크기로 형성되는 하프공간 형성부(30)를 형성하되, 이 하프공간 형성부(30)는 바닥판(10)의 우측 접힘선(10b)에서부터 사각 터널형태로 접어져서 하프공간 형성부(30)의 우측단부에 형성되는 접착부(31)가 바닥판(10)의 상면에 부착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프공간 형성부(30)는 바닥판(10)의 우측 접힘선(10b)에서부터 소정의 높이로 외측벽을 형성하는 외측벽부(32)와, 바닥판(10)의 절반크기로 바닥판(10)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면판(33)과, 외측벽부(32)와 동일한 높이로 내측벽을 형성하는 내측벽부(34)와, 하프공간 형성부(30)를 바닥판(10)의 상면에 부착하는 접착부(31)를 차례로 형성하되, 각각의 부재(32,33,34,31)들의 사이에는 각각의 부재들이 직각으로 절곡되게 하는 접힘선(30a)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0)의 좌측에는 바닥판(10)의 좌측 접힘선(10a)에서부터 사각 터널형태로 절곡하여 좌측단부에 형성되는 접착부(41)을 하프공간 형성부(30)의 내측벽부(34) 외부면에 부착하는 제2하프공간 형성부(40)를 형성하되, 이 제2하프공간 형성부(40)는 바닥판(10)의 좌측 접힘선(10a)에서부터 내측벽부(34)와 동일한 높이로 외측벽을 형성하는 측면판(42)과, 상면판(33)과 동일한 크기로 바닥판(10) 상측에 간격을 형성하는 상면판(43)과, 제2하프공간 형성부(40)를 내측벽부(34) 외부면에 부착하는 접착부(41)을 차례로 형성하되, 각각의 부재(42,43,41)들의 사이에는 각각의 부재들이 직각으로 절곡되게 하는 접힘선(40a)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0)과, 각각의 상면판(33,43)과 측면판(42) 및 외측벽부(32)의 전후방에는 각각의 전후방접힘선(102,103)에 의해 접히는 전후방뚜껑(104,105)이 각각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포장상자.
KR1020190107295A 2019-08-30 2019-08-30 2개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포장상자 KR20210026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295A KR20210026474A (ko) 2019-08-30 2019-08-30 2개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295A KR20210026474A (ko) 2019-08-30 2019-08-30 2개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474A true KR20210026474A (ko) 2021-03-10

Family

ID=75148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295A KR20210026474A (ko) 2019-08-30 2019-08-30 2개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64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1908A1 (ko) 2021-02-26 2022-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KR20240006271A (ko) 2022-07-06 2024-01-15 (주)페이퍼팩 3개의 포장공간이 분할구비된 포장박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6Y1 (ko) 2002-10-09 2003-01-15 정경호 포장상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6Y1 (ko) 2002-10-09 2003-01-15 정경호 포장상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1908A1 (ko) 2021-02-26 2022-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KR20240006271A (ko) 2022-07-06 2024-01-15 (주)페이퍼팩 3개의 포장공간이 분할구비된 포장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0078B2 (ja) 煙草物品のための堅固なヒンジ式蓋付きパッケージ
JP6711834B2 (ja) リッド持ち上げ部付きショルダーパック
US11661232B2 (en) Dual compartment dispensing box with lateral slide openings
CN107000886B (zh) 包装组件、坯件以及制造包装组件的方法
US20230331433A1 (en) Dual cell, efficient box with top slide openings and view windows
KR20210026474A (ko) 2개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포장상자
JP2018535152A (ja) 消費財用のパック
US1852527A (en) Carton
US20240124217A1 (en) Opening pack
KR200478202Y1 (ko) 포장용 상자
EA039458B1 (ru) Упаковка с шарнирной крышкой
KR101901274B1 (ko) 포장용 박스
JP7415591B2 (ja) タブレットケース
JP3789889B2 (ja) ワンタッチ組立式包装箱
US20110083980A1 (en) Snus foil pack in side opening hard pack
KR20140019180A (ko) 포장용 상자
JP2000142669A (ja) 箱 体
US20230010949A1 (en) Folded opening-resistant container
US20170275048A1 (en) Boxes
JPH0424808Y2 (ko)
JPH0415611Y2 (ko)
JP3089239U (ja) 包装容器
JPH0532423Y2 (ko)
GB2597796A (en) A container
JP2001151225A (ja) 蓋付き包装用紙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