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219A -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219A
KR20210026219A KR1020190106686A KR20190106686A KR20210026219A KR 20210026219 A KR20210026219 A KR 20210026219A KR 1020190106686 A KR1020190106686 A KR 1020190106686A KR 20190106686 A KR20190106686 A KR 20190106686A KR 20210026219 A KR20210026219 A KR 20210026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ed
signboard
store
information
shared sign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근
조광수
남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라인
Priority to KR1020190106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219A/ko
Priority to PCT/KR2019/015282 priority patent/WO2020262769A1/ko
Priority to EP19935407.7A priority patent/EP3992887A4/en
Priority to CN201980098868.0A priority patent/CN114175081A/zh
Priority to JP2021576653A priority patent/JP7212415B2/ja
Priority to US17/623,157 priority patent/US20220292545A1/en
Publication of KR20210026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영역 분할을 통하여 복수의 점포가 공유하는 공유 간판부, 상기 복수의 점포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공유 간판부와 통신하여 상기 공유 간판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복수의 점포의 영업과 관련한 고유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복수의 점포 시스템, 상기 공유 간판부에 표시되는 제3자 광고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공유간판 부가정보 시스템 및 상기 공유 간판부를 시간 스케쥴링 정보 및 공간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점포의 고유 콘텐츠와 상기 제3자 광고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노출정보가 상기 시간 스케쥴링 정보 및 상기 공간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분할된 공유 간판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포 운영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관리되는 기존의 간판을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영역 분할이 가능한 공유간판으로 대체하여 복수의 점포 운영자가 하나 또는 복수의 공유간판들을 활용하여 자신의 콘텐츠를 표시하여 영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업자, 광고주 등의 광고를 복수의 공유간판들에 연동시켜 노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SHARED SIGNBOARD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점포 운영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관리되는 기존의 간판을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영역 분할이 가능한 공유간판으로 대체하여 복수의 점포 운영자가 하나 또는 복수의 공유간판들을 활용하여 자신의 콘텐츠를 표시하여 영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업자, 광고주 등의 광고를 복수의 공유간판들에 연동시켜 노출하도록 지원할 수 있고, 공유 간판을 필요에 따라 디지털 간판 모드, 디지털 광고매체 모드, 디지털 게시판 모드로 동작하도록 지원하여 점포주, 제3의 광고자, 공익 기관 등의 이익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규 창업을 하는 점포 운영자는 건물 벽면에 고가의 간판을 새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 부담을 느끼는 것이 현실이며, 기존 건물의 벽면에는 이미 매우 많은 수의 간판들이 무질서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신규 창업자가 자신의 간판을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기도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이러한 기존의 간판은 단순히 점포 운영자의 상호 등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이기 때문에, 간판의 기능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물에 무질서하게 설치된 간판들은 도시미관을 해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 등과 같은 관리기관을 간판 개선 작업에 상당한 인력과 비용을 투입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1506호(공개일자: 2015년 03월 25일, 명칭: 디지털 간판 및 광고판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4871호(공개일자: 2015년 09월 16일, 명칭: 위급 상황 표시 기능을 갖는 간판 시스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점포 운영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관리되는 기존의 간판을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영역 분할이 가능한 공유간판으로 대체하여 복수의 점포 운영자가 하나 또는 복수의 공유간판들을 활용하여 자신의 콘텐츠를 표시하여 영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업자, 광고주 등의 광고를 복수의 공유간판들에 연동시켜 노출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공유 간판을 필요에 따라 디지털 간판 모드, 디지털 광고매체 모드, 디지털 게시판 모드로 동작하도록 지원하여 점포주, 제3의 광고자, 공익 기관 등의 이익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공유간판 활용을 통하여 간판 설치 및 교체 비용 발생을 차단하여 점포 운영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공유간판에 점포의 상호, 브랜드 뿐만 아니라, 광고, 마케팅, 생활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점포 운영자가 공유간판을 다목적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건물주 또는 상가 소유자 등이 건물에 존재하는 기존의 간판 공간을 공유 간판 서비스 사업자에게 임대하여 수익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미입점 상태의 점포의 간판 공간도 수익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지방자치단체 등과 같은 관리기관에 의해 수행되는 도시미관을 해치는 무분별하게 설치된 간판들에 대한 개선 업무에 조력할 수 있는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공유간판들을 통해 사업자, 광고주 등의 광고를 집행함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은, 디지털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영역 분할을 통하여 복수의 점포가 공유하는 공유 간판부, 상기 복수의 점포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공유 간판부와 통신하여 상기 공유 간판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복수의 점포의 영업과 관련한 고유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복수의 점포 시스템, 상기 공유 간판부에 표시되는 제3자 광고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공유간판 부가정보 시스템 및 상기 공유 간판부를 시간 스케쥴링 정보 및 공간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점포의 고유 콘텐츠와 상기 제3자 광고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노출정보가 상기 시간 스케쥴링 정보 및 상기 공간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분할된 공유 간판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점포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복수의 점포의 고유 콘텐츠와 상기 공유간판 부가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부가정보가 상기 공유 간판부에 표시되는 표시영역과 표시시간을 할당하여 상기 시간 스케쥴링 정보 및 상기 공간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시간 스케쥴링 정보 및 상기 공간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복수의 점포 시스템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점포의 고유 콘텐츠와 상기 부가정보가 상기 시간 스케쥴링 정보 및 상기 공간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상기 공유 간판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포 운영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관리되는 기존의 간판을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영역 분할이 가능한 공유간판으로 대체하여 복수의 점포 운영자가 하나 또는 복수의 공유간판들을 활용하여 자신의 콘텐츠를 표시하여 영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업자, 광고주 등의 광고를 복수의 공유간판들에 연동시켜 노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공유 간판을 필요에 따라 디지털 간판 모드, 디지털 광고매체 모드, 디지털 게시판 모드로 동작하도록 지원하여 점포주, 제3의 광고자, 공익 기관 등의 이익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공유간판 활용을 통하여 간판 설치 및 교체 비용 발생을 차단하여 점포 운영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공유간판에 점포의 상호, 브랜드 뿐만 아니라, 광고, 마케팅, 생활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점포 운영자가 공유간판을 다목적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건물주 또는 상가 소유자 등이 건물에 존재하는 기존의 간판 공간을 공유 간판 서비스 사업자에게 임대하여 수익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미입점 상태의 점포의 간판 공간도 수익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등과 같은 관리기관에 의해 수행되는 도시미관을 해치는 무분별하게 설치된 간판들에 대한 개선 업무에 조력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공유간판들을 통해 사업자, 광고주 등의 광고를 집행함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점포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인 간판 공유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종래의 간판의 속성에 없던 디지털 광고매체의 속성을 새로이 부가하고 공유간판 개념, ICT 기술과 융합하여 새로운 개념의 공유 간판 서비스를 도출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노출되는 콘텐츠의 용도에 따라 공유 간판의 운영모드가 전환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공유 간판의 예시적인 구성으로서 가로 일체형 유닛과 가로/세로 복합 일체형 유닛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각 점포의 개별적인 고유 간판 콘텐츠를 지원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을 공유하는 하나 이상의 점포들이 자신에게 할당된 영역 이외에 다른 점포에 할당된 영역까지 사용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건물에 위치하는 점포의 운영자가 아닌 제3의 광고주에 의해 사용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생활/공공 디지털 게시판으로 활용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하나의 건물이 아닌 인접하는 복수의 건물에 구비된 공유 간판들을 연동시켜 공간 표시 능력을 확장시키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특정 지역 범위에 위치하는 공유 간판들을 동시에 사용하여 광고 및 마케팅을 수행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설치되어 있는 핫 플레이스(hot place)의 주변에 위치하는 소상공인들이 핫 플레이스에 설치된 공유 간판을 이용하여 자신을 광고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각 점포의 고유 간판 콘텐츠를 지원하는 하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각 점포의 고유 간판 콘텐츠를 지원하는 다른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각 점포의 자체 광고/마케팅을 지원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지역의 타 점포의 광고/마케팅을 지원하는 하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지역의 타 점포의 광고/마케팅을 지원하는 하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점포별 영업외 시간 간판 공유를 지원하는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점포별 영업외 시간 간판 공유를 지원하는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점포별 영업외 시간 간판 공유를 지원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점포별 영업외 시간 간판 공유를 지원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점포별 영업외 시간 간판 공유를 지원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지역, 점포의 할인, 마케팅 이벤트를 지원하는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지역, 점포의 할인, 마케팅 이벤트를 지원하는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지역, 점포의 할인, 마케팅 이벤트를 지원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광고주의 광고/마케팅을 지원하는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공공정보 디지털 게시판을 지원하는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생활정보 디지털 게시판을 지원하는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O2O(Online to Offline) 광고를 지원하는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점포 내부 광고와 점포 외부 광고를 연계하는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점포 내부 광고와 점포 외부 광고를 연계하는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특정 도시, 특정 지역에 설치된 공유 간판들을 공유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특정 도로구간, 특정 도로변에 설치된 공유 간판들을 공유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특정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공유 간판들을 공유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건물의 특정 면, 특정 층, 특정 간판을 공유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점포별 영업 시작/종료 시간, 휴무일 등과 같은 "점포별 영업 시간 차이"를 활용하여 간판 공유를 지원하는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간판 공유 과정에서 점포주의 고유 간판 콘텐츠가 상시 노출되도록 지원하는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고객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공유 간판의 휘도를 자동 제어하는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1)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점포 시스템(20)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1)은 공유 간판부(10), 점포 시스템(20), 공유간판 부가정보 시스템(30),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 자체 광고 시스템(50) 및 사용자 단말(60)을 포함한다.
공유 간판부(10)에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간판 고유의 콘텐츠, 광고 콘텐츠, 공공정보, 생활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공간영역 분할 및 시간영역 분할을 통하여 복수의 주체가 공유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특정 건물에 설치된 공유 간판부(10)를 공유하는 주체는, 해당 건물의 점포를 운영하는 점포주, 다른 건물의 점포주, 제3의 광고주, 각종 생활정보, 공공정보 등과 같은 공익정보를 제공하는 주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 간판 서비스를 운영하는 주체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공유 간판부(10)에는 점포 시스템(20)과의 통신 및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과의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킹 기능이 구비될 수 있으며, 공유 간판부(10)가 하나의 단일 건물에 설치된 하나 또는 복수의 공유간판들로 이루어지거나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공유간판들로 이루어진 경우, 이 공유간판들의 동작은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에 의해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유 간판부(10)의 예시적인 구성들은 점포 시스템(20) 및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의 동작과 연계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한다.
복수의 점포 시스템(20)은, 복수의 점포에 구비되어 있으며 공유 간판부(10)와 통신하여 공유 간판부(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복수의 점포의 영업과 관련한 고유 콘텐츠를 포함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점포의 고유 콘텐츠는, 복수의 점포의 식별 정보, 영업 정보, 자체 광고 정보, 자체 마케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포의 식별 정보는 상호 등과 같이 점포 운영자가 자신을 타 점포 운영자와 구분하기 위해 선택한 정보일 수 있고, 점포의 영업 정보는 점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지만, 예시적으로 점포의 영업시간, 휴무일,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자체 광고 정보와 자체 마케팅 정보는 점포 운영자에 의해 직접 선택되거나 제작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점포 시스템(20)은, 공유간판 단말기(210), 점포 관리 시스템(220) 및 공유간판 컨트롤러(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유간판 단말기(210)는 점포 운영자로부터 점포의 고유 콘텐츠를 입력받고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으로부터 스케쥴링 정보를 전달받아 공유간판 컨트롤러(230)를 제어한다.
점포 관리 시스템(220)은 점포 운영자로부터 점포의 운영 정보를 입력받아 공유간판 단말기(210)로 전달한다.
공유간판 컨트롤러(230)는 공유간판 단말기(210)로부터 전달받은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정보에 따라 공유 간판부(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점포 관리 시스템(220)을 보다 구체적이고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점포 관리 시스템(220)은 점포의 운영 데이터를 가지고 있고 이를 공유간판 단말기(210)를 통해 공유 간판부(10)에, 예를 들어, 대기 인원수, 잔여 좌석, 무인시스템의 가용 기기 수, 브레이크 타임(break time), 재고량 등과 같은 정보를 노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포 관리 시스템(220)은 점포에 구비된 운영 PC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이거나 또는 POS(Point Of Sale) 단말과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포 관리 시스템(220)에서 해당 점포만의 운영 데이터를 공유간판 단말기(210) 연동을 통해 공유 간판부(10)에 직접 노출할 수도 있고 프랜차이즈나 은행지점 같은 본사를 둔 점포는 본사와 연동된 공유간판 부가정보 시스템(30)으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간판 단말기(210)는 점포의 공유간판을 직접 컨트롤할 수 있으며, 점포 관리 시스템(220)의 데이터와 공유간판 부가정보 시스템(30)에서 제공된 데이터가 공유간판 컨트롤러(230)의 제어하에 공유간판에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점포 운영자는 공유간판 단말기(210)를 통해 점포의 마케팅 데이터 등을 등록할 수 있으며, 마케팅 데이터를 포함하여 공유간판에 표시되는 정보는 상점 이름, 세일 정보, 이벤트 정보, 전화번호, 운영시간, 홈페이지, SNS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유간판 부가정보 시스템(30)은, 공유 간판부(10)에 표시되는 부가정보를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으로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공유간판 부가정보 시스템(30)은, 외부정보 처리모듈(310) 및 광고정보 처리모듈(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부정보 처리모듈(310)은 공공 데이터 시스템(1000)과 통신하여 수집한 공공 데이터 및 제휴 데이터 시스템(2000)과 통신하여 수집한 제휴 데이터를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으로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공공 데이터는 국토교통부 CCTV, 기상청 날씨, 지하철 버스 운영 정보, 국가재난정보, 공공캠페인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휴 데이터는 공공 데이터 이외의 정보로서, 프랜차이즈나 은행의 지점 등의 본사와 연동된 데이터. 구체적으로는, 은행대기인수, 주유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광고정보 처리모듈(320)은 외부의 광고 대행사 시스템(3000)과 통신하여 전달받은 외부 광고 정보 및 자체 광고 시스템(50)으로부터 전달받은 자체 광고 정보를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으로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은, 복수의 점포 시스템(20)으로부터 전달받은 복수의 점포의 고유 콘텐츠, 공유간판 부가정보 시스템(30)으로부터 전달받은 부가정보가 공유 간판부(10)에 표시되는 표시영역과 표시시간을 할당하여 스케쥴링 정보(scheduling information)를 생성하고, 이 스케쥴링 정보를 복수의 점포 시스템(20)으로 전달함으로써, 복수의 점포의 고유 콘텐츠와 부가정보가 표시영역과 표시시간에 따라 공유 간판부(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스케쥴링 정보는 공유 간판부(10)에 표시되는 복수의 콘테츠가 공간 영역 및 시간 영역에서 상호 충돌하지 않도록 스케쥴링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공유간판 부가정보 시스템(30)으로부터 전달받아 공유 간판부(10)에 표시되는 부가정보에는, 자체 광고 시스템(50)으로부터 전달받은 자체 광고 정보, 외부의 광고 대행사 시스템(3000)으로부터 전달받은 외부 광고 정보, 지방자치단체, 국가기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주체로부터 전달받은 각종 생활정보, 공공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공익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은, 운영 관리 모듈(410) 및 스케쥴 관리 모듈(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운영 관리 모듈(410)은 점포 시스템(20)과 통신하여 점포에 의한 공유 간판부(10) 운영 현황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케쥴 관리 모듈(420)은 점포 시스템(20)으로부터 전달받은 고유 콘텐츠와 공유간판 부가정보 시스템(30)으로부터 전달받은 부가정보가 공유 간판부(10)에 표시되는 영역과 시간을 스케쥴링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자체 광고 시스템(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 간판 서비스을 운영하는 서비스 사업자가 공유 간판부(10)에 표시되는 자체 광고 정보를 생성하여 공유간판 부가정보 시스템(30)으로 전달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공유간판 부가정보 시스템(30)이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으로 전달하는 부가정보에는 광고주의 광고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은, 공유간판 부가정보 시스템(30)으로부터 전달받은 광고정보가 특정시간에 공유 간판부(10)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공유 간판부(10)는 단일 건물에 설치된 복수개의 공유 간판으로 이루어지고,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은, 복수의 점포 중에서 특정 점포의 고유 콘텐츠가 특정시간에 공유 간판부(1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공유 간판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공유 간판부(10)는 단일 건물에 설치된 복수개의 공유 간판으로 이루어지고,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은, 공유간판 부가정보 시스템(30)으로부터 전달받은 광고 정보가 특정시간에 공유 간판부(1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공유간판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공유 간판부(10)는 복수개의 건물에 설치된 복수개의 공유 간판으로 이루어지고,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은, 복수의 점포 중에서 특정 점포의 고유 콘텐츠가 특정시간에 공유 간판부(1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공유간판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인 간판 공유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종래의 간판의 속성에 없던 디지털 광고매체의 속성을 새로이 부가하고 공유간판 개념, ICT 기술과 융합하여 새로운 개념의 공유 간판 서비스를 도출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추가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여러 지역의 여러 건물들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특정 점포주의 상호와 같은 영업정보만 표시하는 단순한 기능을 수행하는 간판들을 대체하는 것으로서, 공유 간판이 설치된 건물에 위치하는 점포의 점포주, 동일 건물에 위치하는 타 점포의 점포주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해당 건물과 떨어져 원거리에 위치하는 건물의 타 점포을 운영하는 점포주, 제3의 광고주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복수의 주체가 공간분할 및 시간분할을 통해 공유 간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기존의 간판의 속성에 없던 디지털 광고매체의 속성을 공유 간판에 새롭게 부가하여 공유간판 개념을 도출하고, ICT 기술과 융합하여 새로운 개념의 공유 간판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노출되는 콘텐츠의 용도에 따라 공유 간판의 운영모드가 전환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추가로 참조하면, 예를 들어, 공유 간판은 디지털 간판 모드, 디지털 광고매체 모드, 디지털 게시판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디지털 간판 모드는 점포주, 소상공인, 자영업자 등을 포함하는 주체가 공유 간판을 이용하는 동작 모드로서, 이 동작 모드에서는 해당 주체의 상호, 영업시간, 휴무일, 연락처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가 공유 간판에 노출될 수 있다.
디지털 광고매체 모드는 광고주, 소상공인, 자영업자 등을 포함하는 광고 주체가 공유 간판을 이용하는 동작 모드로서, 이 동작 모드에서는 해당 주체의 광고 콘텐츠 및 광고 주체에게 공간분할 및 시간분할을 통해 공유 간판의 사용을 허여한 점포주의 상호가 공유 간판에 광고 콘텐츠와 함께 노출될 수 있다.
디지털 게시판 모드는 각종 생활정보, 공공정보, 재난정보 등을 포함하는 각종 공익정보를 제공하는 지방자치단체, 해당 유관기관 등을 포함하는 공익정보 제공 주체가 공유 간판을 이용하는 동작 모드로서, 이 동작 모드에서는 해당 공익정보 제공 주체의 공익 콘텐츠 및 공익정보 제공 주체에게 공간분할 및 시간분할을 통해 공유 간판의 사용을 허여한 점포주의 상호가 공유 간판에 공익 정보와 함께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평상 시에는 공유 간판이 개별 점포의 간판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간판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고,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제3의 광고주 등의 광고를 노출시키는 디지털 광고매체 모드로 동작하거나 공익정보 제공 주체가 제공하는 각종 공익 정보를 노출시키는 디지털 게시판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공유 간판의 예시적인 구성으로서 가로 일체형 유닛과 가로/세로 복합 일체형 유닛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예시된 가로 일체형 유닛과 가로/세로 복합 일체형 유닛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공유 간판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공유 간판은 특정 건물의 하나 이상의 벽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벽면에 특정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각 점포의 개별적인 고유 간판 콘텐츠를 지원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추가로 참조하면,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에 의해 각 점포의 크기에 따라 동적으로 공간분할된 영역에 각 점포의 고유 간판 콘텐츠가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된 각 점포의 간판 영역은 시간, 예를 들어, 오전, 오후, 야간 등과 같은 시간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그 위치 또는 크기가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을 공유하는 하나 이상의 점포들이 자신에게 할당된 영역 이외에 다른 점포에 할당된 영역까지 사용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추가로 참조하면, 특정 건물에 입점한 다수의 점포들은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에 의한 공간분할 및 시간분할을 통해 자신에게 할당된 영역 이외에도, 특정 시간대에는 다른 점포에 할당된 영역들에도 자신의 고유 간판 콘텐츠를 노출시킬 수 있으며, 특정 건물에 입점한 점포들 간의 이러한 간판 영역 공유는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이 제공하는 공간 및 시간 스케쥴링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즉,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은 각 점포들의 콘텐츠가 노출되는 시간범위 및 공간범위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공유 간판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건물에 위치하는 점포의 운영자가 아닌 제3의 광고주에 의해 사용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추가로 참조하면, 특정 건물에 설치된 공유 간판의 전체 또는 일부에 해당 건물에 입점한 점포가 아닌 제3의 광고주의 광고 콘텐츠가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이 광고주의 광고 콘텐츠가 노출되는 시간범위 및 공간범위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공유 간판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생활/공공 디지털 게시판으로 활용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추가로 참조하면, 특정 건물에 구비된 공유 간판은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에 의한 공간 및 시간 스케쥴링에 따라 선거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각종 공익 정보를 표시하는 디지털 게시판으로 활용될 수 있다. 공유 간판에 표시된 공익 정보는 선거 정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생활 편의 정보, 재난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하나의 건물이 아닌 인접하는 복수의 건물에 구비된 공유 간판들을 연동시켜 공간 표시 능력을 확장시키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추가로 참조하면,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은 공간적으로 인접하는 2개 이상의 건물 외벽에 설치된 공유 간판들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연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건물의 공유 간판들을 통해 하나의 광고 콘텐츠를 노출함으로써, 이를 바라보는 사용자들, 즉, 잠재 고객들의 광고 몰입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특정 지역 범위에 위치하는 공유 간판들을 동시에 사용하여 광고 및 마케팅을 수행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추가로 참조하면, 예를 들어,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역 사거리에서 논현역 방면", "강남대로 양 도로변", "모든 건물의 1층 공유 간판", "오후 7시부터 오후 7시 10분" 등과 같은 노출 조건은 광고주 등으로부터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 등에 저장한 상태에서, 해당 노출 조건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노출시킴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설치되어 있는 핫 플레이스(hot place)의 주변에 위치하는 소상공인들이 핫 플레이스에 설치된 공유 간판을 이용하여 자신을 광고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추가로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여러 지역에는 사람들이 몰려드는 핫 플레이스가 존재하며, 이 핫 플레이스의 주변에 위치하는 소상공인들은 핫 플레이스에 위치하는 건물들에 설치된 공유 간판들에 자신을 광고하는 콘텐츠를 노출시킴으로써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각 점포의 고유 간판 콘텐츠를 지원하는 구성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추가로 참조하면, 공유 간판이 표시하는 점포별 자체 고유 간판 콘텐츠는 각 점포의 상호 등과 같이 점포주가 자신을 식별시키기 위한 정보, 영업시간, 휴무일, 연락처, 점포 내부의 영업상황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포가 은행인 경우, 점포 내부의 영업상황정보는 은행업무별 대기인의 수 등과 같이 공유 간판 앞에 위치하는 고객이 은행 방문 여부 결정에 참고할 수 있는 정보, 환율, 주가, 금리 등과 같은 금융 참고용의 제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각 점포의 자체 광고/마케팅을 지원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추가로 참조하면, 공유 간판은 점포의 POS, CCTV, 점포 내부 시스템 등과의 연계를 통해 점포주 자체의 다양한 광고/마케팅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 간판에는 점포의 CCTV가 촬영하거나 점포주가 업로드한 동영상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지역의 타 점포의 광고/마케팅을 지원하는 하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추가로 참조하면, 공유 간판은 지역에 있는 타 점포들의 간판 콘텐츠를 노출, 광고/마케팅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타 점포들의 간판 공유를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공유 간판은 기존 점포주의 고유간판 콘텐츠가 정해진 영역에 항상 노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지역의 타 점포의 광고/마케팅을 지원하는 하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추가로 참조하면, 공유 간판은 지역 타 점포주의 공유 간판을 이용한 타 점포 고유 간판 콘텐츠 노출, 개점 이벤트 마케팅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때에도, 공유 간판은 기존 점포주의 고유간판 콘텐츠가 정해진 영역에 항상 노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점포별 영업외 시간 간판 공유를 지원하는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추가로 참조하면, 공유 간판은 각 점포의 영업시작/종료시간, 휴무일, 정기휴일 등 각 점포별 영업시간의 차이를 상호 연계하여 영업이 종료된 점포의 간판영역을 영업이 종료되지 않은 점포의 간판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간판 공유를 지원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점포별 영업외 시간 간판 공유를 지원하는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을 추가로 참조하면, 공유 간판은 영업외 시간에 해당하는 점포들의 간판영역을 지역 타점포의 간판 콘텐츠 노출, 개점 이벤트 노출 용도로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점포별 영업외 시간 간판 공유를 지원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를 추가로 참조하면, 공유 간판이 영업외 시간에 해당하는 점포들의 간판영역을 지역 타점포의 간판 콘텐츠 뿐만 아니라, 타 점포의 POS, CCTV와 연계된 정보를 노출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공유 간판에 노출되는 정보의 구체적인 예로, 타 점포의 대표메뉴에 대한 정보, 잔여좌석의 수, 대기인의 수 등에 대한 정보, 타 점포주가 제안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 타 점포의 영업과 관련하여 CCTV가 촬영한 동영상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점포별 영업외 시간 간판 공유를 지원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을 추가로 참조하면, 공유 간판은 영업외 시간에 해당하는 점포들의 간판영역을 지역 타점포의 간판 콘텐츠, 타 점포의 약도를 노출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점포별 영업외 시간 간판 공유를 지원하는 또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를 추가로 참조하면, 공유 간판은 영업외 시간에 해당하는 점포들의 간판영역을 지역 타점포의 간판 콘텐츠, 타 점포의 마케팅 정보를 노출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 점포의 마케팅 정보에는 타 점포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지역, 점포의 할인, 마케팅 이벤트를 지원하는 예시적인 구성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7을 추가로 참조하면, 공유 간판은 점포의 마감할인, 재고할인, 시간할인, 계절할인, 개점할인, 정리할인, 지역 연합 할인 이벤트 등을 지원하는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러한 구성은 특정 건물의 여러 점포들 중에서, 영업이 종료되지 않은 특정 점포가 영업이 종료된 여러 점포들의 간판영역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광고주의 광고/마케팅을 지원하는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을 추가로 참조하면, 공유 간판은 해당 건물의 점포주 등이 아닌 제3의 광고주의 광고, 마케팅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공유 간판은 간판영역을 제공한 점포주의 고유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점포주가 제공한 간판영역의 일부에 항상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은 영업 시간 또는 영업외 시간 동안 공유 간판을 제3의 광고주들에게 임대하는 경우, 광고주들의 광고 콘텐츠의 노출 시간, 노출 시간대, 노출 공간범위 등의 요소를 기준으로 광고요율을 도출하고 광고주들에 대하여 광고입찰을 진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공공정보 디지털 게시판을 지원하는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를 추가로 참조하면, 공유 간판은 공공, 재난 등과 관련된 공공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게시판으로 활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 간판은 공공정보 노출을 위해 자신의 간판영역을 제공한 점포주의 고유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점포주가 제공한 간판영역의 일부에 항상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생활정보 디지털 게시판을 지원하는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을 추가로 참조하면, 공유 간판은 공공데이터 등과 연계된 각종 생활 편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공유 간판은 생활정보 노출을 위해 자신의 간판영역을 제공한 점포주의 고유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점포주가 제공한 간판영역의 일부에 항상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공유 간판은 사진 콘테스트, 공연 등과 같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지역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지역 산업 활성화를 위해 과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쿠폰을 제공하고 쿠폰을 이용한 쿠폰 게임을 진행하는 매체로 활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O2O(Online to Offline) 광고를 지원하는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을 추가로 참조하면, 앱, 인터넷 등을 통해 모바일 폰, 일반적인 PC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60)에서 수행되는 온라인 광고와 점포 외부에 있는 공유 간판에서 수행되는 오프라인 광고를 연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공유 간판은 사용자 단말(60)과의 연동을 통해 각종 이벤트를 생성하는 광고판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공유 간판과 사용자 단말(60)과의 연동은 사용자 단말(60)에 설치된 전용 앱을 이용하거나 공유 간판에 노출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QR 코드 등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60)의 카메라로 촬영하는 방식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유 간판이 점포 내부 광고와 점포 외부 광고를 연계하는 예시적인 구성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 및 도 33을 추가로 참조하면, 점포 내부에 구비된 범용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별도의 전용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광고, 마케팅 등의 콘텐츠가 점포 외부에 구비된 공유 간판에 연계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특정 도시, 특정 지역에 설치된 공유 간판들을 공유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특정 도로구간, 특정 도로변에 설치된 공유 간판들을 공유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특정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공유 간판들을 공유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 내지 도 36을 추가로 참조하면, 특정 도시, 특정 지역에 위치한 여러 건물에 설치된 여러 공유 간판들, 특정 도로 구간, 특정 도로변에 위치하는 여러 공유 간판들, 핫 플레이스 등과 같은 특정 지역에 위치한 여러 건물에 설치된 공유 간판들의 동작을 연동시켜 광고 콘텐츠를 이 공유 간판들에 동시에 노출시킴으로써, 고객에 대한 광고, 마케팅을 집중적으로 수행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건물의 특정 면, 특정 층, 특정 간판을 공유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을 추가로 참조하면, 점포주, 제3의 광고주 등을 포함하는 주체가 건물의 특정 면, 특정 층의 외벽에 설치된 공유 간판들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공유하거나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여러 개별적인 공유 간판들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판을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점포별 영업 시작/종료 시간, 휴무일 등과 같은 "점포별 영업 시간 차이"를 활용하여 간판 공유를 지원하는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을 추가로 참조하면,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40)은 공유 간판부(10)를 공유하는 주체들의 영업시간, 휴무일 등에 대한 정보, 특정 점포가 영업외이거나 휴무인 경우 해당 점포의 간판 영역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주체의 콘텐츠 노출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 등에 사전 저장하고, 이 정보에 따라 간판 공유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간판 공유 과정에서 점포주의 고유 간판 콘텐츠가 상시 노출되도록 지원하는 예시적인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자신의 고유한 간판 영역을 타인이 특정 시간대에 사용하도록 공유한 점포주의 상호 등을 현재 타인이 사용중인 간판 영역의 하단 일부와 같은 영역에 노출시킴으로써, 공유 간판이 타인의 광고매체로 활용되도록 하는 동시에 점포주의 간판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고객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공유 간판의 휘도를 자동 제어하는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을 참조하면, 햇빛 등의 외부광이 강한 낮 시간대에는 공유 간판의 콘텐츠가 외부광으로 인해 사용자들에게 잘 시인되지 않기 때문에 휘도를 높이고, 역으로 저녁 시간대에는 휘도를 다소 낮추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조도 감지 센서를 추가로 설치하여 공유 간판 인근의 조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조도에 따라 공유 간판의 휘도를 조절하거나, 시간대별 휘도값을 미리 설정하고 이 설정값에 따라 공유 간판의 휘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공유 간판에 점포의 메뉴와 가격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노출하여, 공유 간판과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60)을 통해 실시간 주문, 자리예약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공유 간판의 내용이 시간대별, 계절별로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하나의 점포를 단일 또는 복수의 주체가 아침, 점심, 저녁, 계절 등에 따라 업종을 변경하고 변경된 업종에 부합하는 상호를 공유 간판에 노출함으로써 점포 사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소자본 창업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업종 변경 사실을 사용자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공유 간판에는 업종이 변경된 점포가 제공하는 메뉴, 공유 주방을 촬영한 동영상 정보 등이 추가로 노출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공유 간판에 QR 코드를 표시하고, 사용가 사용자 단말(60)을 이용해 이 QR 코드를 촬영해 해당 상점 홈페이지로 접속하도록 유도하는 등의 이벤트 마케팅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공유 간판이 공익캠페인, 날씨, 교통, 미아 찾기, 실시간 이슈 또는 실시간 뉴스 등을 노출하는 일종의 전자게시판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공유 간판이 자연풍경, 예술작품, 창작작품 등을 노출시키는 길거리 문화콘텐츠 제공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카메라와 동작감지센서 등을 이용하여 공유 간판 주변을 지나가는 행인을 감지하고, 감지된 행인의 사람 아바타, 캐릭터 등을 합성하여 공유 간판에 노출시키는 등과 같은 행인과의 인터랙티브한 광고 콘텐츠를 공유 간판에 노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공유 간판에 기부 캠페인, 실시간 기부금 카운팅 등에 대한 정보가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공유 간판에 특정 점포를 방문한 사용자들의 실시간 리뷰 및 평점 등에 대한 정보가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인접하는 복수의 공유 간판들에 건물과 건물을 통한 가로형 간판 연동에 적합한 광고, 구체적으로는, 경마, 자동차 레이싱, 스포츠 등과 같은 익사이트한 광고 콘텐츠가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공유 간판에 상점 상품에 대한 고객 사용후기 등을 활용한 이벤트, 옷매장 고객의 후기사진 콘테스트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가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공유 간판에 모르는 사람끼리 모여서 잔여좌석 채우기 할인 등과 같은 실시간 공동구매를 지원하는 콘텐츠가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예로, 공유 간판에 점포의 상호 등과 같은 공동구매 이벤트 제공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공동구매 대상의 공동구매가, 현재 공동구매 참여자의 수 등을 노출하여 공유 간판을 지나가는 사용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점포 운영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관리되는 기존의 간판을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영역 분할이 가능한 공유간판으로 대체하여 복수의 점포 운영자가 하나 또는 복수의 공유간판들을 활용하여 자신의 콘텐츠를 표시하여 영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업자, 광고주 등의 광고를 복수의 공유간판들에 연동시켜 노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공유 간판을 필요에 따라 디지털 간판 모드, 디지털 광고매체 모드, 디지털 게시판 모드로 동작하도록 지원하여 점포주, 제3의 광고자, 공익 기관 등의 이익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공유간판 활용을 통하여 간판 설치 및 교체 비용 발생을 차단하여 점포 운영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고, 공유간판에 점포의 상호, 브랜드 뿐만 아니라, 광고, 마케팅, 생활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점포 운영자가 공유간판을 다목적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건물주 또는 상가 소유자 등이 건물에 존재하는 기존의 간판 공간을 공유 간판 서비스 사업자에게 임대하여 수익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미입점 상태의 점포의 간판 공간도 수익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등과 같은 관리기관에 의해 수행되는 도시미관을 해치는 무분별하게 설치된 간판들에 대한 개선 업무에 조력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공유간판들을 통해 사업자, 광고주 등의 광고를 집행함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1: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
10: 공유 간판부
20: 점포 시스템
30: 공유간판 부가정보 시스템
40: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
50: 자체 광고 시스템
60: 사용자 단말
210: 공유간판 단말기
220: 점포 관리 시스템
230: 공유간판 컨트롤러
310: 외부정보 처리모듈
320: 광고정보 처리모듈
410: 운영 관리 모듈
420: 스케쥴 관리 모듈
1000: 공공 데이터 시스템
2000: 제휴 데이터 시스템
3000: 광고 대행사 시스템

Claims (2)

  1.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영역 분할을 통하여 복수의 점포가 공유하는 공유 간판부;
    상기 복수의 점포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공유 간판부와 통신하여 상기 공유 간판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복수의 점포의 영업과 관련한 고유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복수의 점포 시스템;
    상기 공유 간판부에 표시되는 제3자 광고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공유간판 부가정보 시스템; 및
    상기 공유 간판부를 시간 스케쥴링 정보 및 공간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점포의 고유 콘텐츠와 상기 제3자 광고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노출정보가 상기 시간 스케쥴링 정보 및 상기 공간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분할된 공유 간판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을 포함하는,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간판 운영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점포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복수의 점포의 고유 콘텐츠와 상기 공유간판 부가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부가정보가 상기 공유 간판부에 표시되는 표시영역과 표시시간을 할당하여 상기 시간 스케쥴링 정보 및 상기 공간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시간 스케쥴링 정보 및 상기 공간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복수의 점포 시스템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점포의 고유 콘텐츠와 상기 부가정보가 상기 시간 스케쥴링 정보 및 상기 공간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상기 공유 간판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
KR1020190106686A 2019-06-25 2019-08-29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 KR20210026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686A KR20210026219A (ko) 2019-08-29 2019-08-29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
PCT/KR2019/015282 WO2020262769A1 (ko) 2019-06-25 2019-11-11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EP19935407.7A EP3992887A4 (en) 2019-06-25 2019-11-11 COMMON SIGN SERVICE SYSTEM AND PROCEDURES FOR OPERATING THE SAME
CN201980098868.0A CN114175081A (zh) 2019-06-25 2019-11-11 共享牌匾服务系统及其运营方法
JP2021576653A JP7212415B2 (ja) 2019-06-25 2019-11-11 共有看板サービスシステム
US17/623,157 US20220292545A1 (en) 2019-06-25 2019-11-11 Shared signboard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686A KR20210026219A (ko) 2019-08-29 2019-08-29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219A true KR20210026219A (ko) 2021-03-10

Family

ID=75148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686A KR20210026219A (ko) 2019-06-25 2019-08-29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621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506A (ko) 2013-09-16 2015-03-25 김경중 디지털 간판 및 광고판 시스템
KR20150104871A (ko) 2014-03-06 2015-09-16 김홍민 위급 상황 표시 기능을 갖는 간판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506A (ko) 2013-09-16 2015-03-25 김경중 디지털 간판 및 광고판 시스템
KR20150104871A (ko) 2014-03-06 2015-09-16 김홍민 위급 상황 표시 기능을 갖는 간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8184B1 (ko)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ES2264945T3 (es) Sistema y metodo para la gestion de pantallas de publicidad e informacion en vehiculos basandose en un sitio de comercio electronico.
Alt et al. Designing shared public display networks–implications from today’s paper-based notice areas
KR102181462B1 (ko)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
US20160292713A1 (en) Measuring user engagement with smart billboards
KR101893466B1 (ko)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소규모 매장 광고관리시스템
KR102236285B1 (ko) 빅데이터 기반 디지털 옥외광고 및 사이니지를 이용한 통합 솔루션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000072615A (ko) 전광판을 이용한 인터넷 광고방법
KR102475759B1 (ko) 공유간판 서비스 시스템
JP7212415B2 (ja) 共有看板サービスシステム
JP2012098730A (ja) デジタル情報ディスプレイ装置
KR20210026219A (ko)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
CN103959316B (zh) 利用个人店铺创出收益的方法,系统以及计算机可读的记录媒体
US20020095334A1 (en) Method and system of posting electronic poster through public network
KR102541048B1 (ko)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
KR20230013897A (ko) 지역 상점 및 기업들의 광고 캠페인을 선별적으로 제공하는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
RU2420812C1 (ru) Способ отбора мест под наружную и внутреннюю рекламу для рекламодателей
KR20230057817A (ko) 로컬 타겟 마케팅을 위한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
KR102609185B1 (ko) 공유간판 가상화 장치 및 방법
KR100835900B1 (ko)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08732B1 (ko)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Meadows Digital Signage
KR20220165127A (ko) 공유 간판 서비스 시스템
JP3102437U (ja) 電子看板装置
Musyoka et al. Designing an Intelligent Adver tising Business Model in Seoul's Metro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