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003A -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 - Google Patents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003A
KR20210026003A KR1020190106175A KR20190106175A KR20210026003A KR 20210026003 A KR20210026003 A KR 20210026003A KR 1020190106175 A KR1020190106175 A KR 1020190106175A KR 20190106175 A KR20190106175 A KR 20190106175A KR 20210026003 A KR20210026003 A KR 20210026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waist circumference
band
leggings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숙
Original Assignee
배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정숙 filed Critical 배정숙
Priority to KR1020190106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003A/ko
Publication of KR20210026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둘레표시창이 형성된 허리밴드의 옆구리 측에 허리둘레표시부가 형성된 허리둘레측정띠의 양단이 결합되어 중첩되게 배열됨에 따라 착용자의 허리둘레의 증감에 따른 허리밴드와 허리둘레측정띠의 탄성신축량의 차이로 인해 허리둘레측정띠에 형성된 허리둘레표시부가 허리밴드의 허리둘레표시창을 통해 노출되어 허리둘레가 간접적으로 측정될 수 있어 착용자로 하여금 허리둘레에 더 많은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는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는, 레깅스본체와, 상기 레깅스본체의 상단 허리둘레에 배열되고 일측에 허리둘레표시창이 형성되는 허리밴드와, 상기 허리밴드의 내측에 중첩되게 배열되되 양단은 상기 허리밴드의 옆구리 측에 고정되고 상기 허리둘레표시창을 통해 노출되는 허리둘레표시부가 표시되는 허리둘레측정띠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Leggings wih waist measurement function}
본 발명은 몸매 보정 또는 운동 등을 위해 하체에 착용하는 레깅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허리둘레표시창이 형성된 허리밴드의 옆구리 측에 허리둘레표시부가 형성된 허리둘레측정띠의 양단이 결합되어 중첩되게 배열됨에 따라 착용자의 허리둘레의 증감에 따른 허리밴드와 허리둘레측정띠의 탄성신축량의 차이로 인해 허리둘레측정띠에 형성된 허리둘레표시부가 허리밴드의 허리둘레표시창을 통해 노출되어 허리둘레가 간접적으로 측정될 수 있어 착용자로 하여금 허리둘레에 더 많은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는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깅스는 발 부분이 없는 스타킹 모양의 하의로, 주로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만들어진다. 레깅스는 발 부분이 아예 없거나 발에 거는 고리 형태로 되어 있는 긴 길이에서부터 반바지와 같은 짧은 길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길이로 만들어진다.
레깅스는 미용에 관한 관심의 증대로 하체의 체형을 보정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운동복 대용으로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레깅스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30643호(2006.11.10. 공고)에는 팬티부와 다리부로 이루어진 통상의 레깅스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하단에 외주연을 따라 내측과 외측을 번갈아 교차하여 결박되는 조임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깅스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127169호(2012.11.21. 공개)에는 신축성이 뛰어난 메인 겉감을 전면과 후면으로 나뉘어 바지 형태로 재단되어진 메인 겉감과, 상기 전면과 후면으로 나뉘어진 메인 겉감의 내측면의 아랫배와 허벅지의 측면과 엉덩이 부분의 부위에 따라서 중첩되게 봉재되어 지압하고 지지하는 지지원단과, 상기 전면과 후면으로 나뉘어진 메인 겉감의 내측면의 허벅지의 전,후면과 정강이와 종아리 부분에 중첩되게 봉재되는 지압밴드로 봉재되어 하체를 바르게 교정하면서 혈액순환을 잘 되도록 하는 기능성 레깅스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8-0002101호(2018.07.09. 공고)에는 신축성이 뛰어난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면과 후면으로 나뉘어 바지 형태로 재단되는 메인 겉감과, 상기 메인 겉감 내측면의 허벅지 측면과 엉덩이 밑 라인 부위를 따라서 덧대어 봉제되어 압박하고 지지하는 지지안감과, 상기 메인 겉감 내측면의 허벅지에서 발목까지 나선형으로 엇갈리도록 중첩되게 봉제되어 하체를 교정해주는 압박밴드와, 상기 메인 겉감 내측면의 골반부위에 봉제되어 골반을 강하게 압박하여 잡아주어 골반을 보정해주는 골반밴드와, 상기 메인 겉감 내측면의 허리부위 둘레를 따라 허리를 받쳐주어 지지해주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레깅스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레깅스의 경우에는 지압밴드나 지지부재 등의 배열로 인해 하체, 주로 다리의 체형을 보정하고 미려한 라인이 형성되도록 하는 미용적인 부분에만 촛점에 맞춰져 있을 뿐, 착용자로 하여금 허리둘레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30643호(2006.11.10. 공고)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127169호(2012.11.21. 공개) 3.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8-0002101호(2018.07.09.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허리둘레표시창이 형성된 허리밴드의 옆구리 측에 허리둘레표시부가 형성된 허리둘레측정띠의 양단이 결합되어 중첩되게 배열됨에 따라 착용자의 허리둘레의 증감에 따른 허리밴드와 허리둘레측정띠의 탄성신축량의 차이로 인해 허리둘레측정띠에 형성된 허리둘레표시부가 허리밴드의 허리둘레표시창을 통해 노출되어 허리둘레가 간접적으로 측정될 수 있어 착용자로 하여금 허리둘레에 더 많은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는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레깅스본체와, 상기 레깅스본체의 상단 허리둘레에 배열되고 일측에 허리둘레표시창이 형성되는 허리밴드와, 상기 허리밴드의 내측에 중첩되게 배열되되 양단은 상기 허리밴드의 옆구리 측에 고정되고 상기 허리둘레표시창을 통해 노출되는 허리둘레표시부가 표시되는 허리둘레측정띠를 포함하는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허리밴드의 허리둘레표시창의 둘레에는 비탄성심지판이 부착되거나, 또는 허리둘레표시창이 형성된 비탄성심지판에 탄성밴드가 일체로 직조연결되거나 재봉되어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허리밴드의 허리둘레표시창의 일측에는 허리둘레관리싸이트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큐알코드가 마킹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허리둘레측정띠는 허리둘레표시부가 인쇄된 비탄성띠와 신축가능한 탄성띠가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허리둘레표시부는 스캐닝을 통해 허리둘레 수치를 확인가능한 바코드 형태로 인쇄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는, 허리둘레표시창이 형성된 허리밴드의 옆구리 측에 허리둘레표시부가 형성된 허리둘레측정띠의 양단이 결합되어 중첩되게 배열됨에 따라, 착용자의 허리둘레의 증감에 따른 허리밴드와 허리둘레측정띠의 탄성신축량의 차이로 인해 허리둘레측정띠에 형성된 허리둘레표시부가 허리밴드의 허리둘레표시창을 통해 노출되어 허리둘레가 간접적으로 측정될 수 있어 착용자로 하여금 허리둘레에 더 많은 관심을 갖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허리둘레에 대한 측정데이터를 통해 착용자의 체형관리가 간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는, 허리밴드의 허리둘레표시창을 통해 노출되는 허리둘레측정띠의 허리둘레표시부가 스캐닝을 통해 허리둘레 수치를 확인가능한 바코드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 제3자에게 착용자의 허리둘레가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스캐닝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허리둘레에 대한 측정데이터가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에 았어서, 허리밴드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의 작동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에 았어서, 허리밴드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는, 레깅스본체와, 상기 레깅스본체의 상단 허리둘레에 배열되고 일측에 허리둘레표시창이 형성되는 허리밴드와, 상기 허리밴드의 내측에 중첩되게 배열되되 양단은 상기 허리밴드의 옆구리 측에 고정되고 상기 허리둘레표시창을 통해 노출되는 허리둘레표시부가 표시되는 허리둘레측정띠를 포함한다.
여기서부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1)의 구성요소들과 그 구성요소 간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크게 레깅스본체(10)와, 허리둘레표시창(21)이 형성되는 허리밴드(20)와, 허리둘레표시창(21)을 통해 노출되는 허리둘레표시부(31)가 표시되는 허리둘레측정띠(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레깅스본체(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1) 중에서 허리밴드(20)를 제외한 대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팬티부와 양 다리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레깅스본체(10)는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만들어지되, 발 부분이 없는 스타킹 모양의 하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발 부분이 아예 없거나 발에 거는 고리 형태로 되어 있는 긴 길이에서부터 반바지와 같은 짧은 길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전술한 레깅스본체(10)의 상단 허리둘레에는 허리밴드(20)가 배열된다. 허리밴드(20)는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탄력적으로 면접되어 레깅스본체(10)의 착용유지 및 탈의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일종의 폐곡선형 탄성밴드로 형성된다.
허리밴드(20)의 일측에는 허리둘레표시창(21)이 형성된다. 허리둘레표시창(21)은 차후에 설명될 허리둘레측정띠(30)의 허리둘레표시부(3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허리둘레표시부(31)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 가능한 개구부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가능하다
허리밴드(20)의 허리둘레표시창(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1)의 착용이나 탈의, 착용자의 허리둘레의 증감에도 불구하고 그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되는바와 같이 허리둘레표시창(21)의 둘레에는 비탄성심지판(23)이 부착되는 거이 바람직하다.
또한 허리밴드(20)는 허리둘레표시창(21)의 형샹 유지를 위한 다른 실시예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허리둘레표시창(21)이 형성된 비탄성심지판(23)에 탄성밴드(24)가 일체로 직조연결되거나 재봉되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허리밴드(20)의 허리둘레표시창(21)의 일측에는 큐알코드(25)가 마킹된다. 큐알코드(25)는 착용자가 거울에 비친 큐알코드(25)를 휴대단말기로 입력받을 경우 허리둘레관리싸이트로의 접속을 유도하거나,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허리둘레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작동되도록 한다.
전술한 허리밴드(20)의 내측에는 허리둘레측정띠(30)가 중첩되게 배열된다. 허리둘레측정띠(30)는 허리밴드(20)의 허리둘레표시창(21)을 통해 노출되는 허리둘레표시부(31)가 표시되는 부분으로, 허리밴드(20)의 옆구리 측에 양단이 고정되어 허리밴드(20)의 전반부 내측 둘레를 따라 중첩되게 배열된다.
허리둘레측정띠(3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허리둘레표시부(31)가 인쇄된 비탄성띠(30a)와 신축가능한 탄성띠(30b)가 연결형성됨에 따라, 허리밴드(20)의 신축시에 허리둘레표시부(31)가 인쇄된 비탄성띠(30a)는 그대로인 반면에 탄성띠(30b)는 허리밴드(20)의 전반부 신축량에 대응되게 신축된다.
허리둘레측정띠(30)의 탄성띠(30b)에만 국한된 신축 편향에 따라, 착용자의 허리둘레의 증감 시에 허리밴드(20)와 허리둘레측정띠(30)의 탄성신축량에 차이가 발생되면서 허리밴드(20)의 허리둘레표시창(21)을 통해 노출되는 허리둘레표시부(31)가 달라지게 된다.
허리둘레표시부(31)는 줄자 형상, 숫자, 기호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착용자의 허리둘레가 직접적으로 인지될 수 없도록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스캐닝을 통해 허리둘레 수치를 확인가능한 바코드 형태로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휴대단말기에는 스캐닝을 포함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고, 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허리둘레에 대한 측정데이터가 저장 및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1)의 전체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허리밴드(20)는 비탄성심지판(23)의 대응부분만 신축되지 않고 모든 부분이 신축 가능한 반면에, 허리둘레측정띠(30)는 허리둘레표시부(31)가 인쇄되는 비탄성띠(30a)는 신축되지 않고 탄성띠(30b)만 신축된다.
일측의 탄성띠(30b)에만 국한된 허리둘레측정띠(30)의 신축 편향에 따라, 착용자의 허리둘레의 증감 시에 허리밴드(20)와 허리둘레측정띠(30)의 탄성신축량에 차이가 발생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허리밴드(20)의 허리둘레표시창(21)에 대해 허리둘레표시부(31)가 인쇄되는 비탄성띠(30a)가 이동되면서 허리밴드(20)의 허리둘레표시창(21)을 통해 노출되는 허리둘레표시부(31)가 달라지게 된다.
착용자는 자신의 허리둘레의 증감에 따라 허리둘레표시창(21)을 통해 노출되는 부위가 달라지는 허리둘레표시부(31)의 형상을 자신의 휴대단말기로 스캐닝함으로써 자신의 허리둘레를 간접적으로 측정확인할 수 있고,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연계하에 자신의 허리둘레에 대한 측정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1)의 경우에는, 허리둘레표시창(21)이 형성된 허리밴드(20)의 옆구리 측에 허리둘레표시부(31)가 형성된 허리둘레측정띠(30)의 양단이 결합되어 중첩되게 배열됨에 따라, 착용자의 허리둘레의 증감에 따른 허리밴드(20)와 허리둘레측정띠(30)의 탄성신축량의 차이로 인해 허리둘레측정띠(30)에 형성된 허리둘레표시부(31)가 허리밴드(20)의 허리둘레표시창(21)을 통해 노출되어 허리둘레가 간접적으로 측정될 수 있어 착용자로 하여금 허리둘레에 더 많은 관심을 갖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허리둘레에 대한 측정데이터를 통해 착용자의 체형관리가 간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허리밴드(20)의 허리둘레표시창(21)을 통해 노출되는 허리둘레측정띠(30)의 허리둘레표시부(31)가 스캐닝을 통해 허리둘레 수치를 확인가능한 바코드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제3자에게 착용자의 허리둘레가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스캐닝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허리둘레에 대한 측정데이터가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
10 : 레깅스본체
20 : 허리밴드
21 : 허리둘레표시창
23 : 탄성심지판
24 : 탄성밴드
25 : 큐알코드
30 : 허리둘레측정띠
30a : 비탄성띠
30b : 탄성띠
31 : 허리둘레표시부

Claims (5)

  1. 레깅스본체(10);
    상기 레깅스본체(10)의 상단 허리둘레에 배열되고 일측에 허리둘레표시창(21)이 형성되는 허리밴드(20); 및
    상기 허리밴드(20)의 내측에 중첩되게 배열되되 양단은 상기 허리밴드(20)의 옆구리 측에 고정되고 상기 허리둘레표시창(21)을 통해 노출되는 허리둘레표시부(31)가 표시되는 허리둘레측정띠(30)를 포함하는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리밴드(20)의 허리둘레표시창(21)의 둘레에는 비탄성심지판(23)이 부착되거나, 또는 허리둘레표시창(21)이 형성된 비탄성심지판(23)에 탄성밴드(24)가 일체로 직조연결되거나 재봉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리밴드(20)의 허리둘레표시창(21)의 일측에는 허리둘레관리싸이트로의 접속을 유도하는 큐알코드(25)가 마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리둘레측정띠(30)는 허리둘레표시부(31)가 인쇄된 비탄성띠(30a)와 신축가능한 탄성띠(30b)가 연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리둘레표시부(31)는 스캐닝을 통해 허리둘레 수치를 확인가능한 바코드 형태로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
KR1020190106175A 2019-08-29 2019-08-29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 KR20210026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175A KR20210026003A (ko) 2019-08-29 2019-08-29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175A KR20210026003A (ko) 2019-08-29 2019-08-29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003A true KR20210026003A (ko) 2021-03-10

Family

ID=75147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175A KR20210026003A (ko) 2019-08-29 2019-08-29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600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643Y1 (ko) 2006-08-08 2006-11-10 유세환 레깅스
KR20120127169A (ko) 2011-10-25 2012-11-21 박희진 기능성 레깅스
KR20180002101U (ko) 2016-12-29 2018-07-09 오윤경 기능성 레깅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643Y1 (ko) 2006-08-08 2006-11-10 유세환 레깅스
KR20120127169A (ko) 2011-10-25 2012-11-21 박희진 기능성 레깅스
KR20180002101U (ko) 2016-12-29 2018-07-09 오윤경 기능성 레깅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0714A (en) Lower leg protection garment formed from materials having strong and weak straining forces
TW475887B (en) Leg portions supporting wear
RU2633207C2 (ru) Предмет спортивной одежды
US6688943B2 (en) Girdle
KR101287899B1 (ko) 하지 교정 피복
JPH0370558A (ja) 被覆装具とその製造方法
TWI330522B (en) A wear with crotch
BR102018003347A2 (pt) artigo de vestuário de compressão, uso de um artigo de vestuário de compressão e método para fabricar um artigo de vestuário de compressão
KR101766644B1 (ko)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
ES2328482T3 (es) Fabricacion de una prenda de vestir y dicha prenda de vestir.
CN107529836A (zh) 具有关节用支撑体部的衣物、及膝用支撑体
KR20170029852A (ko) 기능성 레깅스
JP2007107172A (ja) 機能性衣料品及びウエスト部サポート体
KR20210026003A (ko) 허리둘레 측정이 가능한 레깅스
JP2019081974A (ja) インナーウェア
KR101188159B1 (ko) 웨스트부를 갖는 의류
JP3222220U (ja) ガードル付きパンツ
RU192473U1 (ru) Бандаж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для поддержания органов брюшной полости
US11160678B2 (en) Medical, in particular orthopaedic, aid
KR102632080B1 (ko) 기능성 레깅스
US20200375266A1 (en) Containment band
RU164648U1 (ru) Жилет корригирующий
KR102631511B1 (ko) 자세교정용 의류
IT201900018596A1 (it) Maglietta posturale provvista di rinforzo vertebrale
JP5738247B2 (ja) 矯正用ガードル付きズボ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