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943A - 단말의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의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943A
KR20210025943A KR1020190106010A KR20190106010A KR20210025943A KR 20210025943 A KR20210025943 A KR 20210025943A KR 1020190106010 A KR1020190106010 A KR 1020190106010A KR 20190106010 A KR20190106010 A KR 20190106010A KR 20210025943 A KR20210025943 A KR 20210025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content
messenger
input
conver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5336B1 (ko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엘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엘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엘랜드
Priority to KR1020190106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336B1/ko
Publication of KR20210025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4Opti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단말의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단말의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은 (a) 메신저 대화창에 특정 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특정 키의 입력 직전에 입력된 대화 내용을 광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대화 내용의 토픽 모델부 적용 결과 도출된 주제어에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받는 단계; 및 (c)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상기 메신저의 스킨(skin) 또는 상기 대화창의 배경 이미지로 적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광고 서버는 광고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반응을 분석하여 상기 토픽 모델부에 피드백하여 상기 주제어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의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그 장치{Messenger based advertis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단말의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망의 보급으로 인하여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광고를 제공하고, 이러한 광고를 통해 마케팅을 시행하는 인터넷 비즈니스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인터넷 사용자들은 메신저를 이용하여 특정 상대를 대화의 상대로 지정하게 됨으로써 상호간에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기존의 광고 업체는 메신저 창에 배너 형태의 광고를 삽입시키거나 또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지만 광고업체가 일방적으로 메신저 창에 특정 광고를 띄우는 형태로 광고를 제공하여 광고 효과를 떨어뜨리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메신저를 통해 대화를 나누는 사이에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대화 내용에 해당하는 광고를 메신저 상에 제공하였다.
하지만, 사용자는 메신저의 대화 내용을 누군가 엿듣는다는 느낌을 받아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점 때문에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97073호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신저의 대화내용을 분석하여 특정주제에 대해 긍정적인 대화가 진행되는 경우 관련 광고를 대화창에 배경으로 표시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인용발명은 사용자의 대화내용을 자동으로 분석해서 광고를 표시해주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의 문제점과 같이 메신저의 대화내용을 누군가 엿듣는 느낌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97073호
본 발명은 단말의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토픽 모델링을 통해 사용자의 대화 내용과 관련된 광고를 메신저상에 제공할 수 있는 메신저 기반 광고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반응을 피드백하여 최적화된 토픽 모델링에 따른 광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메신저 기반 광고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의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메신저 대화창에 특정 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특정 키의 입력 직전에 입력된 대화 내용을 광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대화 내용의 토픽 모델부 적용 결과 도출된 주제어에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받는 단계; 및 (c)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상기 메신저의 스킨(skin) 또는 상기 대화창의 배경 이미지로 적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광고 서버는 광고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반응을 분석하여 상기 토픽 모델부에 피드백하여 상기 주제어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광고 콘텐츠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광고 콘텐츠를 하나의 콘텐츠로 합성한 후 상기 메신저의 스킨 또는 상기 대화창의 배경 이미지로 적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광고 콘텐츠가 복수인 경우, 가중치에 따라 노출 조건을 다르게 적용하여 상기 메신저의 스킨 또는 상기 대화창의 적어도 일부에 노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메신저를 이용한 기반 광고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토픽 모델링을 통해 사용자의 대화 내용과 관련된 광고를 메신저상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반응을 피드백하여 최적화된 토픽 모델링에 따른 광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출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광고 콘텐츠"는 영상, 동영상, 텍스트, 오디오를 포함하는 콘텐츠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영상은 2D 영상일 수 있으며, 이모티콘, 플래시, 포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콘텐츠는 해당 광고와 관련된 페이지(예를 들어,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정보(예를 들어, 링크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콘텐츠는 해당 광고와 관련된 상세 설명을 포함하는 페이지이거나 광고 콘텐츠에 연관된 상품을 판매하는 사이트로의 접속 정보일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100)은 복수의 단말(110) 및 광고 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메신저상에서 특정 대화방을 개설하여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도중 특정 대화방의 대화창을 통해 대화 내용을 주고 받는 도중 특정 키가 입력되는 경우 특정 키 입력 직전의 대화 내용을 단말(110)로부터 제공받아 토픽 모델링을 통해 대화 내용과 연관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키는 "enter", "shift + enter" 등과 같이 설정된 특정 키일 수 있다. 특정 키는 대화 내용 입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적어도 복수의 키 조합일 수도 있다.
각각의 단말(110)은 대화 어플리케이션(이하에서는 편의상 "메신저"라 칭하기로 함)과 광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단말(110)은 사용자가 소지한 장치로, 메시징 서버(미도시)로부터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받는 주체이며, 동시에 광고 서버(120)로부터 대화 내용과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받는 주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광고 콘텐츠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광고 콘텐츠 이외에도 경품 콘텐츠와 같은 이벤트 정보일 수도 있다.
단말(110)의 유형으로는 이동 단말, 스마트폰, 노트북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110)을 통해 메신저상의 특정 대화방에서 다른 사용자와 대화하는 도중 대화 내용 중 특정 키가 입력되면, 해당 특정 키 입력 직전의 대화 내용과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키가 "shift+enter"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신저의 입력 UI상에 대화 내용을 입력한 후 shift+enter를 입력하면, 입력 UI상에 입력된 대화 내용이 대화창의 출력 화면에 출력됨과 동시에, 광고 서버(120)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110)은 광고 서버(120)로 특정 키 입력 직전의 대화 내용을 전송한 후 광고 서버(120)로부터 해당 대화 내용과 연관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받아 메신저 스킨으로 설정하거나 대화창의 배경 화면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말(110)은 광고 서버(120)로부터 복수의 광고 콘텐츠가 제공되는 경우, 각 광고 콘텐츠에 상응하는 가중치에 따라 노출 조건을 달리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광고 서버(120)는 모바일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광고 서버(120)는 메신저 또는 SNS상의 대화 내용에 연관된 광고를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서버(120)는 메신저상에서 특정 키가 입력되면, 특정 키 입력 직전에 입력된 대화 내용을 단말(110)로부터 제공받고, 해당 대화 내용을 토픽 모델링하여 연관된 광고 콘텐츠를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광고 서버(120)는 각 키워드(주제어)별 광고 콘텐츠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광고 서버(120)는 주제어(키워드)에 매핑된 광고 콘텐츠를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서버(120)는 선택된 대화 내용에 상응하는 대화방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의 단말로 광고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광고 서버(120)는 특정 사용자의 단말로만 광고 콘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광고 서버(120)는 수신된 대화 내용을 토픽 모델부에 적용한 결과 도출된 주제어가 복수인 경우, 가중치가 높은 순으로 광고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제공하거나 동시에 모든 광고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주제어가 도출된 경우, 광고 서버(120)는 주제어의 가중치에 따라 광고 콘텐츠의 노출 시간을 다르게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서버(120)는 가중치가 높은 주제어에 관련된 광고 콘텐츠의 노출 시간을 길게 설정하고 가중치가 낮을수록 해당 광고 콘텐츠의 노출 시간을 작게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서버(120)는 단말(110)에서 메신저상에서 특정 키 입력 직전 입력 UI를 통해 입력된 대화 내용이 'KFC 치킨 패밀리팩'과 같은 상품명이나, '콜라'와 같은 고유명사가 포함될 경우, 해당 상품명이나 고유명사에 대응하는 지정된 이모티콘 이미지 또는 플래시 이미지를 대화창에 출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서버(120)는 사용자 반응 정보를 토픽 모델부에 피드백 적용함으로써, 토픽 모델부의 토픽 모델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서버(120)는 사용자 반응 정보를 토픽 모델부에 피드백 적용하여 각 주제어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공된 광고 컨텐츠를 클릭한 경우, 대화 내용에 대한 토핑 모델링 적용 결과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며, 반대로 광고 콘텐츠를 클릭하지 않은 경우, 토픽 모델링 적용 결과가 적절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 서버(120)는 사용자 반응 정보가 무반응인 경우, 토픽 모델부에 피드백 적용하여 해당 키워드의 가중치를 최하위로 설정하거나 무의미한 키워드로 설정 분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반응 정보가 긍정인 경우, 광고 서버(120)는 해당 대화 내용에 대한 토픽 모델부 적용 결과가 잘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광고 콘텐츠에 대한 주제어의 가중치가 높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고 서버(120)는 추후 동일한 내용에 관한 토픽 모델링시 해당 주제어 도출 결과가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반응 정보가 부정인 경우, 광고 서버(120)는 해당 대화 내용에 대한 토픽 모델부의 적용 결과 제공된 광고 콘텐츠에 대한 주제어의 가중치를 낮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고 서버(120)는 해당 대화 내용에 대한 토픽 모델부의 적용 결과에 따라 제공된 광고 콘텐츠에 대한 주제어의 가중치를 낮춤으로써 향후 동일 내용에 관한 토픽 모델링시 해당 주제어의 도출 결과가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신저 대화 내용 중 선택된 대화 내용이 "저녁 뭐 먹지?"였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로 인해, 해당 대화 내용에 상응하여 광고 서버(120)에서의 토픽 모델부의 적용 결과 도출된 주제어가 "배달"이였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로 인해, 광고 서버(120)에 의해 단말(110)로 배달앱 광고 콘텐츠가 제공된 후 사용자가 제공된 배달앱 광고 콘텐츠를 클릭(선택)하거나, 긍정적인 단어를 포함하는 대화 내용들이 포함되는 경우, 광고 서버(120)는 사용자 반응 정보가 긍정 반응인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동일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동일한 문장 "저녁 뭐 먹지?"가 입력되는 경우, 광고 서버(120)는 해당 대화 내용에 상응하여 배달앱 광고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도록 "배달" 주제어에 대한 가중치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추출된 주제어 "배달"에 연관된 배달앱 광고 콘텐츠를 단말(110)로 제공한 후 사용자 반응 정보가 무반응이거나 "별로"와 같은 부정적 단어가 포함된 대화 내용들이 분석되는 경우, 광고 서버(120)는 동일한 문장 "저녁 뭐 먹지?"가 입력되는 경우, 주제어로서 배달이 도출될 가능성을 낮추도록 해당 "배달"주제어에 대한 가중치를 낮추며, 상대적으로 차순위 가중치를 가진 주제어들의 가중치를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추후 동일한 문장 "저녁 뭐 먹지?"가 입력되는 경우, 광고 서버(120)는 배달 주제어를 제외한 다른 주제어들(예를 들어, 맛집, 레스토랑 등)이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버(120)는 통신부(210), 토픽 모델부(215), 광고 제공부(220), 메모리(225)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210)를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단말(1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통신부(210)는 단말(110)로부터 선택된 영역에 포함된 대화 내용 및 선택 영역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토픽 모델부(215)는 대화 내용을 상관 분석하여 토픽 모델링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토픽 모델부(215)는 대화 내용을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여 유의미한 단어를 각각 추출하며, 추출된 유의미한 단어들간의 상관 분석을 통해 주제어를 추출할 수 있다. 유의미한 단어들을 추출함에 있어 토픽 모델부(215)는 자체 구현한 단어 사전을 이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토픽 모델부(215)는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또는 HDP(Hierachical dirichlet process) 베이지안 기반 토픽 모델링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토픽 모델링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토픽 모델부(215)는 대화 내용을 토픽 모델링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제어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대화 내용에 대한 토픽 모델링 결과 도출되는 주제어는 복수일 수도 있다. 각각의 주제어에는 가중치가 부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토픽 모델부(215)는 선택된 대화 내용의 터치 횟수(선택 횟수)에 해당하는 주제어를 도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횟수가 3회인 경우, 가중치가 높은 순으로 정렬되는 주제어 중 3번째로 높은 가중치를 가지는 주제어를 도출할 수도 있다.
또한, 토픽 모델부(215)는 프로세서(23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반응 정보를 피드백 받아 각 주제어에 대한 가중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광고 제공부(220)는 토픽 모델부(215)에서 추출된 주제어와 연관된 광고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후 이를 단말(11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광고 제공부(220)는 토픽 모델부(215)에서 추출된 주제어가 복수인 경우, 해당 주제어에 상응하여 설정된 가중치가 높은 순으로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여 단말(110)로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광고 제공부(220)는 복수의 주제어에 대한 광고 콘텐츠를 모두 추출한 후 이를 모두 단말(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메모리(2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기반 광고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들(프로그램 코드들), 이 과정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프로세서(2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버(12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210), 토픽 모델부(215), 광고 제공부(220), 메모리(225)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광고 제공부(220)에 의해 광고가 제공된 이후, 메신저 상의 대화 내용을 수집하여 사용자 반응 정보를 분석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분석된 사용자 반응 정보는 토픽 모델부(215)로 피드백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10)은 통신부(310), 입력부(315), 디스플레이부(320), 메모리(325) 및 프로세서(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3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광고 서버(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프로세서(330)의 제어에 따라 대화 내용을 포함하는 광고 요청을 광고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315)는 사용자로부터 단말(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들, 다양한 데이터 등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315)는 적어도 하나의 키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0)는 단말(110)에 저장되거나 입력된 데이터를 시각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20)는 액정화면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입력부(315)와 디스플레이부(320)가 각각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입력부(315)와 디스플레이부(320)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하나의 구성일 수도 있다.
메모리(325)는 단말의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명령어들, 이 과정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프로세서(3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1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310), 입력부(315), 디스플레이부(320), 메모리(325)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메신저 대화창의 입력 UI에 대화 내용이 입력된 후 특정 키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특정 키 입력 직전에 입력된 대화 내용을 광고 서버(1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330)는 통신부(310)를 통해 광고 서버(120)로부터 광고 콘텐츠가 수신되면, 해당 광고 콘텐츠를 메신저의 스킨(skin)으로 설정하거나 대화창의 배경 이미지로 출력되도록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광고 콘텐츠가 복수개 수신되는 경우, 광고 콘텐츠를 하나의 콘텐츠로 합성하여 메신저의 스킨으로 설정하거나 대화창의 배경 이미지로 적용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복수의 광고 콘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광고 콘텐츠를 순서대로 변경하며, 메신저의 스킨으로 적용하거나 대화창의 배경 이미지로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복수의 광고 콘텐츠가 수신되는 순서에 따라 광고 콘텐츠의 노출 시간을 다르게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고 콘텐츠가 수신된 경우, 가장 먼저 수신된 광고 콘텐츠는 n시간(또는 분) 노출되도록 하며, 그 다음에 수신된 광고 콘텐츠는 n/2 시간(또는 분)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복수의 광고 콘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복수의 광고 콘텐츠 중 어느 하나는 대화창의 출력 화면의 배경 이미지로 적용하며, 다른 하나는 입력 UI의 배경 이미지로 적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410에서 단말(110)은 메신저 대화창의 입력 UI상에 특정 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특정 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단계 410에서 대기한다.
그러나 만일 특정 키가 입력된 경우, 단계 415에서 단말(110)은 대화창의 입력 UI상에 특정 키가 입력되기 직전에 입력된 대화 내용을 포함하는 광고 요청을 광고 서버(120)로 전송한다.
단계 420에서 단말(110)은 광고 서버(120)로부터 대화 내용과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광고 서버(120)는 대화 내용을 토픽 모델부를 통해 토픽 모델링하여 주제어(키워드)를 도출한 후 해당 주제어(키워드)에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단계 425에서 단말(110)은 광고 콘텐츠를 메신저의 스킨 또는 대화창의 배경 이미지로 적용한다. 이때, 단말(110)은 광고 콘텐츠가 복수개인 경우, 해당 광고 콘텐츠를 합성하여 하나의 콘텐츠를 생성한 후 메신저 스킨 또는 대화창의 배경 이미지로 적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110)은 광고 콘텐츠가 복수개인 경우, 메신저의 대화창의 서로 다른 영역에 광고 콘텐츠를 노출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화창에 광고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고, 입력 UI에 광고 콘텐츠 중 다른 하나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110)은 복수의 광고 콘텐츠의 노출 조건을 다르게 적용하여 메신저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단계 430에서 단말(110)은 광고 콘텐츠가 출력된 이후 일정 시간 동안의 대화 내용을 광고 서버(120)에 피드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광고 서버(120)는 해당 피드백된 대화 내용을 토대로 사용자 반응을 분석하여 토픽 모델부에 피드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콘텐츠를 제공한 이후 사용자 반응을 분석하여 사용자 반응을 토픽 모델부(215)에 피드백하여 토픽 모델링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광고 콘텐츠가 클릭된 경우, 대화내용 분석이 적절했다고 볼 수 있고 반대로 광고를 클릭하지 않은 경우는 대화내용 분석이 적절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 서버(120)는 반응 및 무반응 중 적어도 하나를 토픽 모델부(215)에 피드백하여 주제어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광고 서버(120)는 광고 콘텐츠 클릭 후 대화 내용이 긍정인지 부정인지 여부에 따라 토픽 모델부(215)에 피드백하여 주제어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녁 뭐 먹지"라는 문장을 분석하여 주제어로 "배달"이 추출된 경우, 광고 서버(120)가 배달앱 광고 콘텐츠를 단말(110)로 전송하였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배달앱 광고 콘텐츠 전송 이후 배달앱 광고 콘텐츠를 클릭하거나 "좋아요"와 같은 긍정 반응이 분석되는 경우 광고 서버(120)는 해당 "배달" 주제어에 대한 가중치를 높이도록 토픽 모델부(215)에 피드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녁 뭐 먹지"라는 문장이 다시 입력되는 경우 주제어가 "배달"로 추출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반면, 배달앱 광고 콘텐츠를 단말(110)로 전송한 이후 사용자가 해당 배달앱 광고 콘텐츠를 클릭하지 않거나 "별로"와 같은 부정 반응이 분석되는 경우, 광고 서버(120)는 "배달" 주제어의 가중치를 낮춰서 "저녁 뭐 먹지"라는 문장이 다시 입력되는 경우 배달 주제어가 도출될 가능성을 낮추고 다른 주제어 맛집 또는 레스토랑과 같은 주제어가 도출될 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메신저 대화창의 입력 UI를 통해 "Fancy pizza tonight?"이 입력된 후 특정 키(예를 들어, enter 또는 shift enter 등)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단말(110)는 특정 키 입력 직전에 대화창의 입력 UI를 통해 입력된 "Fancy pizza tonight?"를 광고 서버(120)로 전송한 후 "Pizza Hut" 광고 콘텐츠를 광고 서버(120)로부터 제공받아 대화창의 배경 이미지(510)로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주도에 대한 여행관련 대화를 나누는 경우는 경우를 가정하면, 제주도의 여행정보 안내사이트, 제주도 맛집 등에 대한 광고 콘텐츠가 단말(110)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음식에 대한 대화를 나누는 경우, 광고 서버(120)는 토픽 모델링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 주변의 맛집, 맛집할인쿠폰 또는 약속을 하는 경우 약속장소 주변의 맛집 등에 대한 광고 콘텐츠를 단말(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영화에 대한 대화를 나누는 경우, 광고 서버(120)는 토픽 모델링을 통해 최신영화소개 사이트, 주변영화관 안내, 영화할인쿠폰 등에 대한 광고이미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광고 시스템
110: 단말
120: 광고 서버

Claims (3)

  1. (a) 메신저 대화창에 특정 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특정 키의 입력 직전에 입력된 대화 내용을 광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대화 내용의 토픽 모델부 적용 결과 도출된 주제어에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받는 단계; 및
    (c)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상기 메신저의 스킨(skin) 또는 상기 대화창의 배경 이미지로 적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광고 서버는 광고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반응을 분석하여 상기 토픽 모델부에 피드백하여 상기 주제어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광고 콘텐츠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광고 콘텐츠를 하나의 콘텐츠로 합성한 후 상기 메신저의 스킨 또는 상기 대화창의 배경 이미지로 적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광고 콘텐츠가 복수인 경우, 가중치에 따라 노출 조건을 다르게 적용하여 상기 메신저의 스킨 또는 상기 대화창의 적어도 일부에 노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20190106010A 2019-08-28 2019-08-28 단말의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그 장치 KR102275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010A KR102275336B1 (ko) 2019-08-28 2019-08-28 단말의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010A KR102275336B1 (ko) 2019-08-28 2019-08-28 단말의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943A true KR20210025943A (ko) 2021-03-10
KR102275336B1 KR102275336B1 (ko) 2021-07-09

Family

ID=75147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010A KR102275336B1 (ko) 2019-08-28 2019-08-28 단말의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3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8198A (zh) * 2021-04-23 2021-07-16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反馈信息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8275A (ja) * 2005-09-13 2009-02-26 ヤフ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短期及び長期ユーザ行動的関心度の組合せに基づいてネットワーク上で広告を選択して配信するためのフレームワーク
KR20100097073A (ko) 2009-02-24 2010-09-02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후면 조명 이미지 센서를 위한 패드 설계
KR20140076469A (ko) * 2012-12-11 2014-06-20 김용환 배경 화면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56887A (ko) * 2013-11-15 2015-05-28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광고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60083757A (ko) * 2015-01-02 2016-07-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타겟팅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88145A (ko) * 2015-01-15 2016-07-25 최어진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광고 서버
KR20170055726A (ko) * 2015-11-12 2017-05-22 주식회사 랩식스케이 사용자 정보 보호가 가능한 맞춤형 광고를 위한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8275A (ja) * 2005-09-13 2009-02-26 ヤフ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短期及び長期ユーザ行動的関心度の組合せに基づいてネットワーク上で広告を選択して配信するためのフレームワーク
KR20100097073A (ko) 2009-02-24 2010-09-02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후면 조명 이미지 센서를 위한 패드 설계
KR20140076469A (ko) * 2012-12-11 2014-06-20 김용환 배경 화면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56887A (ko) * 2013-11-15 2015-05-28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광고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60083757A (ko) * 2015-01-02 2016-07-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타겟팅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88145A (ko) * 2015-01-15 2016-07-25 최어진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광고 서버
KR20170055726A (ko) * 2015-11-12 2017-05-22 주식회사 랩식스케이 사용자 정보 보호가 가능한 맞춤형 광고를 위한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8198A (zh) * 2021-04-23 2021-07-16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反馈信息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336B1 (ko) 202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6462B2 (ja) 会議能力を有する自動アシスタント
US115997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automated chatting
US10332506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formatted transcription of multimedia content
JP6305033B2 (ja) マルチユーザメッセンジャー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40122618A1 (en) User-aided learning chatbot system and method
US20210217413A1 (en) Voice activated interactive audio system and method
CN108108998A (zh) 广告展现方法和装置、服务器、存储介质
US20020052913A1 (en) User support apparatus and system using agents
US111022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re appropriate question/answer responses based upon profiles
US20190324779A1 (en) Using salience rankings of entities and tasks to aid computer interpretation of natural language input
CN117573248A (zh) 在通信会话期间促进用户设备和/或代理设备动作
KR20160055930A (ko) 연속적인 소셜 커뮤니케이션에 사용되는 콘텐츠를 능동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3005445A (ja) VoIP基盤音声通話時の音声認識を用いた広告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8052449A (ja) 対話型エージェント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649393B1 (ko)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기반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시스템
EP413490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content,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ranking model,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0922359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entity information from text communications and displaying content based therefrom
US9811594B2 (en) Automatic explanation of presented abbreviations
CN113474768A (zh) 意图驱动的联系中心
KR102275336B1 (ko) 단말의 메신저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그 장치
CN107783650A (zh) 一种基于虚拟机器人的人机交互方法及装置
KR20180117506A (ko)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메시지 서비스의 개인 맞춤형 문장마디 제시 방법과 시스템
JP2018529149A (ja) 情報をプッシュ配信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246387B1 (ko) 마케팅을 위한 인플루언서 분석 솔루션 제공 방법
KR20220105335A (ko) 챗봇에 기반한 사용자의 스케줄 추천 및 자동 등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