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925A -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925A
KR20210025925A KR1020190105958A KR20190105958A KR20210025925A KR 20210025925 A KR20210025925 A KR 20210025925A KR 1020190105958 A KR1020190105958 A KR 1020190105958A KR 20190105958 A KR20190105958 A KR 20190105958A KR 20210025925 A KR20210025925 A KR 20210025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ust
housing
vacuum cleaner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8528B1 (ko
Inventor
김근식
Original Assignee
김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식 filed Critical 김근식
Priority to KR1020190105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528B1/ko
Publication of KR20210025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유입구(11)가 측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1)과, 하우징 내측에 고정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브라켓(2)에 의해 지지되며 원통형태로 하우징과 동심원적으로 배치된 필터부(3), 상기 하우징(1)의 상단에 장착되고 배출구(41)가 형성된 커버(4), 상기 커버(4)내에 장착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해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5), 모터(6)에 의해 회전되면서 필터부(3)의 필터체(31)를 털어서 필터부재에 흡착된 먼지와 이물질 등을 털어내어 제거하는 먼지털이기(7)를 포함하는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3)는 양면에서 먼지를 흡착하도록 된 다수의 필터체(31)들과, 상기 필터체(31)들을 지지하도록 다수의 홀(321)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지지부재(32)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체(31)는 먼지를 흡착하는 파우치 형태로 된 필터(311)와, 상기 필터(311) 속에 제공되는 다공질체(3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보호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필터체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필터체의 양면에서 다공질체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의 양면에서 먼지 등을 흡착하므로 먼지 흡착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AN INDUSTRIAL VACUUM CLEANER HAVING DUST CLEANER}
본 발명은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산업용 진공청소기에서 필터에 집진된 먼지를 필터의 하부에 제공된 회전체에 의해 먼지를 털어내는 과정에서 필터를 손상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먼지를 털어내도록 개선된 구조의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에서 바닥에 떨어진 먼지나 이물질, 쓰레기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산업용 진공청소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산업용 진공청소기는 강력한 흡인력을 사용하여 바닥의 먼지나 이물질, 쓰레기 등을 강제 흡입하여 필터로 먼지 등을 여과한 후 공기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산업용 진공청소기는 보통 드럼형의 본체에 필터를 배치하고 팬으로 드럼본체 내부 공기를 외부로 흡기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산업용 진공청소기에서 사용후 먼지나 이물질 등이 필터에 과도하게 부착되는 경우 드럼 본체 내부에서 외부로의 공기 흡인작용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청소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없게 되므로, 필터에 붙은 먼지나 이물질등을 털어내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이 산업용 진공청소기의 필터에 흡착된 먼지를 털어 내는 작업을 수작업으로 하는 경우에, 위생적이지 못하고, 날카로운 이물질에 의해 부상을 입을 수 있고 불편하여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4170호(등록일자 2015년05월22일)에 상기 드럼본체 내측에 미세먼지를 여과하기 위해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에 설치되는 필터부와, 상기 상부체의 결합부재와 너트방식으로 결합되며, 필
터부의 내면을 타격하여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구비된 먼지털이장치와, 상기 드럼본체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본체를 이동하는 이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먼지털이장치는 송풍팬에 의해 강제로 흡입되는 먼지를 배출시기키 위해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구와, 상부체의 결합부재와 상호 대응되어, 결합부재가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중앙 저면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된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결합되는 타격부재를 더 포함하는 먼지털이장치가 장착된 산업진공청소기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기술의 먼지털이장치가 장착된 산업진공청소기에서는 타격부재가 회동하면서 필터부재의 내측면 타격함에 따라 필터부 보호를 위하여 보호클립을 장착해야 하고, 필터부재 하단에도 안착면을 형성해야 하는 구성으로 필터부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4170호(등록일자 2015년05월22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특허기술의 먼지털이장치가 장착된 산업진공청소기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타격부재가 필터부재의 하단을 타격하여 필터를 손상시키지 않고 필터에 흡착된 먼지와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D으며, 필터부재에 별도의 보호클립과 같은 부재를 사용하고도 필터부재를 손상시키지 않으며, 필터부재에 의한 먼지 등의 흡착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는, 유입구가 측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측에 고정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며 원통형태로 하우징과 동심원적으로 배치된 필터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장착되고 배출구가 형성된 커버, 상기 커버내에 장착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해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필터부의 필터체를 털어서 필터부재에 흡착된 먼지와 이물질 등을 털어내어 제거하는 먼지털이기를 포함하는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양면에서 먼지를 흡착하도록 된 다수의 필터체들과, 상기 필터체들을 지지하도록 다수의 홀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체는 먼지를 흡착하는 파우치 형태로 된 필터와, 상기 필터 속에 제공되는 다공질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부는 다수의 필터체들과, 상기 필터체들을 지지하도록 다수의 홀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필터체의 필터와 다공질체의 상단은 지지부재에 형성된 각각의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상기 먼지털이기는 지지부에 저면을 향해 고정된 모터의 하방으로 연장된 출력축의 하단에 장착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양단에 제공되고 필터부의 하단과 접촉되는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재는 모터의 출력축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의 필터부의 폭방향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양단에 롤러가 힌지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에 롤러에 의해 필터체의 하단부를 털어서 먼지를 제거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는 파우치 형태의 필터내에 다공질체가 내장된 필터체의 하단에서 회전부재의 롤러가 필터를 털어서 먼지를 제거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보호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필터체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필터체의 양면에서 다공질체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의 양면에서 먼지 등을 흡착하므로 먼지 흡착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필터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필터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는 유입구(11)가 측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1)과, 하우징 내측에 고정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브라켓(2)에 의해 지지되며 원통형태로 하우징과 동심원적으로 배치된 필터부(3), 상기 하우징(1)의 상단에 장착되고 배출구(41)가 형성된 커버(4), 상기 커버(4)내에 장착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해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5), 상기 필터부(3)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2)에 고정된 모터(6)에 의해 회전되면서 필터부(3)의 필터체(31)를 털어서 필터부재에 흡착된 먼지와 이물질 등을 털어내어 제거하는 먼지털이기(7)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에는 하부에 먼지털이기(7)에 의해 필터체(31)로 부터 제거된 먼지와 이물질 등을 수용하는 먼지 수용부(12)가 제공되며, 상기 먼지 수용부(12)는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필터부재에서 제거된 먼지등을 폐기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손잡이(13)를 구비하고 하단에 캐스터가 장착되어 이동편의성이 향상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1)의 유입구(11)에는 단부에 공기흡입구가 제공된 관형부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버(4) 내측에는 하우징의 상단에 고정되는 지지부재(51)에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5)이 장착되어서, 송풍팬(5)에 의해 유입구(11)를 통해 바닥의 먼지 등과 함께 공기를 흡입하여 후술하는 필터부(3)를 통해 먼지 등이 걸러진 다음 배출구(41)를 통해 배출한다. 상기 지지부재(51)에는 송풍팬(5)에 의해 하우징내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홀(52)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부(3)는 다수의 필터체(31)들과, 상기 필터체(31)들을 지지하도록 다수의 홀(321)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지지부재(32)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체(31)는 단면이 타원 형태로 재봉되어 먼지 등을 흡착하는 파우치 형태로 된 필터(311)와, 상기 필터(311) 속에 제공되는 다공질체(312)로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필터체(31)의 필터(311)와 다공질체(312)의 상단은 지지부재(32)의 각각의 홀(3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제로 접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다공질체(312)는 송풍팬의 동작시 공기가 필터(311)를 거쳐 다공질체(312)를 통해 배출구(41)로 배출될 수 있게 공기 유동을 허용한다.
이로써, 상기 다공질체(312)를 감싸는 필터(311)를 통해 공기가 다공질체로 유입되므로, 종래 필터의 일측면을 통해 먼지를 여과하는 것과 비교하여 다공질체의 양측에서 필터(311)의 양면을 통해 먼지 등을 흡착하여 여과하므로 먼지 흡착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먼지털이기(7)는 브라켓(2)의 저면에 고정된 지지부(62)에 저면을 향해 고정된 모터(6)의 하방으로 연장된 출력축(61)의 하단에 장착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71)와, 상기 회전부재(71)의 양단에 제공되고 필터부(3)의 하단과 접촉되는 롤러(7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71)는 모터(6)의 출력축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72)의 양측으로, 즉 필터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상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73)가 회전부재(71)의 양단에서 힌지핀(7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파우치 형태로 다공질체(312)를 수용하는 필터(311)를 포함한 필터체(31) 상단이 지지부재(32)의 각각의 홀(321)에 고정된 상태에서, 모터(6)의 작동시에 회전부재(71)가 회전되면서 롤러(73)가 필터부의 필터체(31) 하단에 부딪히면서 필터체(31)의 필터(311)의 양면에 묻은 먼지들을 털어내어 제거하며, 필터체에는 종래와 같이 별도로 회전부재가 접촉되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필터체(3)의 필터(311)의 양측면에서 먼지 등을 흡착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본 발명은 산업용 진공청소기에서 먼지 털이기로 필터에 흡착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자동으로 털어내어 제거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1 : 하우징 11 : 유입구
12 : (먼지) 수용부 2 : 브라켓
3 : 필터부 31 : 필터체
32 : 지지부재 311 : 필터
312 : 다공질체 321 : 홀
4 ; 커버 41 : 배출구
5 : 송풍팬 51 : 지지부재
52 : 홀 6 : 모터
61 : 출력축 62 : 지지부 (
7 : 먼지털이기 71 : 회전부재
72 : 연결부재 73 : 롤러

Claims (4)

  1. 유입구(11)가 측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1)과, 하우징 내측에 고정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브라켓(2)에 의해 지지되며 원통형태로 하우징과 동심원적으로 배치된 필터부(3), 상기 하우징(1)의 상단에 장착되고 배출구(41)가 형성된 커버(4), 상기 커버(4)내에 장착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해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5), 모터(6)에 의해 회전되면서 필터부(3)의 필터체(31)를 털어서 필터부재에 흡착된 먼지와 이물질 등을 털어내어 제거하는 먼지털이기(7)를 포함하는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3)는 양면에서 먼지를 흡착하도록 된 다수의 필터체(31)들과, 상기 필터체(31)들을 지지하도록 다수의 홀(321)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지지부재(32)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체(31)는 먼지를 흡착하는 파우치 형태로 된 필터(311)와, 상기 필터(311) 속에 제공되는 다공질체(3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3)는 다수의 필터체(31)들과, 상기 필터체(31)들을 지지하도록 다수의 홀(321)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지지부재(32)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필터체(31)의 필터(311)와 다공질체(312)의 상단은 지지부재(32)에 형성된 각각의 홀(321)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털이기(7)는 지지부(62)에 저면을 향해 고정된 모터(6)의 하방으로 연장된 출력축(61)의 하단에 장착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71)와, 상기 회전부재(71)의 양단에 제공되고 필터부(3)의 하단과 접촉되는 롤러(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71)는 모터(6)의 출력축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72)의 필터부의 폭방향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양단에 롤러(73)가 힌지핀(7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부재(71)의 회전시에 롤러(73)에 의해 필터체(31)의 하단부를 털어서 먼지를 제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KR1020190105958A 2019-08-28 2019-08-28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KR102258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958A KR102258528B1 (ko) 2019-08-28 2019-08-28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958A KR102258528B1 (ko) 2019-08-28 2019-08-28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925A true KR20210025925A (ko) 2021-03-10
KR102258528B1 KR102258528B1 (ko) 2021-05-31

Family

ID=75147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958A KR102258528B1 (ko) 2019-08-28 2019-08-28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5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565B1 (ko) 2021-09-16 2022-07-18 박성준 절전효과·스핀와류흡입효과·진공흡입업효과로 이루어진 쓰리이펙트형 항아리진공청소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3655A (ko) * 2011-12-07 2013-06-17 김근식 자동필터 구조를 갖는 산업진공청소기
KR101524170B1 (ko) 2013-05-21 2015-05-29 김근식 먼지털이장치가 장착된 산업진공청소기
KR20160133872A (ko) * 2015-05-13 2016-11-23 김현태 먼지떨이 기능이 구비된 산업용 진공 청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3655A (ko) * 2011-12-07 2013-06-17 김근식 자동필터 구조를 갖는 산업진공청소기
KR101524170B1 (ko) 2013-05-21 2015-05-29 김근식 먼지털이장치가 장착된 산업진공청소기
KR20160133872A (ko) * 2015-05-13 2016-11-23 김현태 먼지떨이 기능이 구비된 산업용 진공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528B1 (ko)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9761B1 (en)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KR100539762B1 (ko) 진공청소기의 필터 청소 장치
AU2002313986A1 (en) Cyclone-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KR101345222B1 (ko) 먼지털이장치가 구비된 산업진공청소기
KR20120004100A (ko) 진공 청소기
KR20140136814A (ko) 먼지털이장치가 장착된 산업진공청소기
JP2011188952A (ja) 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KR102258528B1 (ko) 먼지털이기를 구비한 산업용 진공청소기
KR20050019270A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
JP2003319897A (ja) 電気掃除機
KR20070021763A (ko) 무배기 로봇청소기
KR101792504B1 (ko) 진공청소기
JP2006006406A (ja) 電気掃除機用フィルタおよび電気掃除機
KR100504890B1 (ko) 업라이트 청소기의 취약부흡입장치
KR100598899B1 (ko) 핸디형 청소기의 필터 어셈블리
KR20090071234A (ko) 진공청소기
JP3468401B2 (ja) 電気掃除機
KR100587097B1 (ko) 싸이클론 방식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니트
KR200224326Y1 (ko) 진공 청소기
KR100832555B1 (ko) 먼지흡입기
KR200344457Y1 (ko) 차량용 먼지배출 진공청소기
KR200302720Y1 (ko) 진공청소기
KR200254527Y1 (ko) 산업용 진공청소기
JPH0719769Y2 (ja) 石材の粉塵除去装置
KR0115197Y1 (ko) 진공청소기의 비산먼지 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