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914A -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914A
KR20210025914A KR1020190105927A KR20190105927A KR20210025914A KR 20210025914 A KR20210025914 A KR 20210025914A KR 1020190105927 A KR1020190105927 A KR 1020190105927A KR 20190105927 A KR20190105927 A KR 20190105927A KR 20210025914 A KR20210025914 A KR 20210025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scanning device
average value
safety managemen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5707B1 (ko
Inventor
김기성
지현준
Original Assignee
(주)오픈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픈웍스 filed Critical (주)오픈웍스
Priority to KR1020190105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70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5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6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distance between parent and child or surveyor and i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 G01S2201/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environments
    • G01S2201/02Indoor positioning, e.g. in covered car-parks, mining facilities, warehouses
    • G01S2201/025Indoor pedestrian positioning

Abstract

본 발명은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는, 신호 반사가 있는 작업 공간 내에 구비되는 제1 스캔장치 및 제2 스캔장치가 작업 공간 내 작업자의 착용장치와 통신하여 제공하는 지정 시간(t) 동안의 복수의 제1 스캔신호 및 복수의 제2 스캔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기)저장한 복수의 제1 스캔신호를 이용해 산출한 제1 평균값과 복수의 제2 스캔신호를 이용해 산출한 제2 평균값을 비교하여 제1 평균값이 클 때 제1 스캔장치를 기준으로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Work Safety of Workers within Arbitrary Spa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신호 반사가 있는 터널, 지하, 굴뚝이나 화로 등의 밀폐공간 내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들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터널, 지하, 굴뚝이나 화로 등과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 공사 또는 유지 관리시 그 내부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의 인원 및 작업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장치가 없어 작업자가 위험에 그대로 노출되고 있다. 특히, 공사 또는 유지시 필요한 경우 발파, 용접 등과 같은 작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이때 발생하는 각종 유해가스 중독 및 화재 등의 발생 우려가 매우 높다. 따라서 밀폐된 공간 내에서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해서는 산소, 이산화탄소, 메탄, 황화수소, 미세먼지 등을 감지하는 센서 및 온도센서(혹은 화염센서)를 통해 면밀하게 모니터링이 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작업자의 인원 및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비상시 그 위치에 해당하는 작업자들의 대피 명령 등과 같은 정보를 주어야 하는데, 가령 수신된 비콘의 신호세기(RSSI)값이 비콘과 스캐너의 거리에 비례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예: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물체에 의한 반사로 인해 RSSI값이 변경되기 때문에 RSSI값으로 가장 근접한 스캐너를 판정하게 되면 실제 위치와 다른 경우가 자주 발생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54937호(2011.08.01)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신호 반사가 있는 터널, 지하, 굴뚝이나 화로 등의 밀폐공간 내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들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는, 신호 반사가 있는 작업 공간 내에 구비되는 제1 스캔장치 및 제2 스캔장치가 상기 작업 공간 내 작업자의 착용장치와 통신하여 제공하는 지정 시간(t) 동안의 복수의 제1 스캔신호 및 복수의 제2 스캔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1 스캔신호를 이용해 산출한 제1 평균값과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2 스캔신호를 이용해 산출한 제2 평균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평균값이 클 때 상기 제1 스캔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스캔신호의 신호세기(RSSI)값을 이용해 상기 제1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스캔신호의 신호세기값을 이용해 상기 제2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자의 위치 판단을 위해 기저장한 상기 제1 스캔장치의 식별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캔장치와 상기 제2 스캔장치를 그룹으로 설정한 경우, 상기 위치 판단 이후에 계산되는 상기 제2 스캔장치의 제2 평균값을 참고하여 상기 그룹 내에서의 상기 작업자의 위치 이동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 스케줄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한 작업 이동 및 상기 작업 스케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작업자의 비정상 작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의 구동방법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신호 반사가 있는 작업 공간 내에 구비되는 제1 스캔장치 및 제2 스캔장치가 상기 작업 공간 내 작업자의 착용장치와 통신하여 제공하는 지정 시간(t) 동안의 복수의 제1 스캔신호 및 복수의 제2 스캔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1 스캔신호를 이용해 산출한 제1 평균값과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2 스캔신호를 이용해 산출한 제2 평균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평균값이 클 때 상기 제1 스캔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복수의 제1 스캔신호의 신호세기(RSSI)값을 이용해 상기 제1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스캔신호의 신호세기값을 이용해 상기 제2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의 위치 판단을 위해 기저장한 상기 제1 스캔장치의 식별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1 스캔장치와 상기 제2 스캔장치를 그룹으로 설정한 경우, 상기 위치 판단 이후에 계산되는 상기 제2 스캔장치의 제2 평균값을 참고하여 상기 그룹 내에서의 상기 작업자의 위치 이동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 스케줄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판단한 작업 이동 및 상기 작업 스케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작업자의 비정상 작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령 신호 반사가 일어나는 밀폐 공간의 작업자들에 대하여 위치를 정확히 파악해 작업 스케줄대로 작업이 이루어지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고, 또 작업자가 위험에 처할 수 있거나 작업이 스케줄대로 진행되지 않을 때 안전정보 혹은 관리정보 등을 전달함으로써 작업을 신속히 처리하고, 작업자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사고시에도 빠른 대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작업자 안전관리자장치의 그룹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도 3의 작업자위치판단부의 세부 동작을 예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작업자 안전관리자장치의 그룹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90)은 작업자 착용장치(100), 스캔장치(110), 통신망(120) 및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를 포함하며, 밀폐 공간인 작업 공간(95) 내의 스캔장치(110)와 외부 통신망(120)의 통신을 중계하는 신호중계장치 또는 현장설치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장설치장치는 카메라, 센서 및 액세스포인트 등을 포함한다.
작업자 착용장치(이하, 착용장치)(100)는 가령 터널, 지하, 굴뚝이나 화로와 같이 내부에서 신호의 반사가 이루어지는 밀폐 공간(95)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모, 안전복, 안전화, 허리 벨트 등에 설치되는 장치이거나 그에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장치, 나아가 국내 S사의 갤럭시*어와 같이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장치를 포함하며, 가급적 작업자가 공사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방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되는 장치가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착용장치는 작업자들이 별도로 휴대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착용장치(100)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안전모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착용장치(100)는 비콘(beacon) 통신 등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물론 블루투스, 와이파이나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엄격히 말해, 비콘 통신을 위한 통신장치는 근거리 통신모듈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통상적으로 비콘 통신은 일방향 통신을 수행하고, 와이파이나 블루투스의 경우에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므로, 비콘 통신은 작업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양방향 통신의 경우에는 특정 작업자에게 안전정보를 전송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장치(100)는 비콘 통신을 위한 제1 통신모듈 즉 비콘 송신기 및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장치(100)는 도면에 자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로부터 전송되는 안전정보 또는 관리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는 안전정보제공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안전정보제공장치는 간단하게는 LED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적(R), 녹(G), 청(B)의 LED 소자를 포함하도록 하고, 밀폐 공간(95)의 현재 작업환경이 좋지 않으면 적색의 LED를 발광시켜 벽면에 적색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작업환경에 따라 녹색이나 청색을 벽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LED 소자는 적외선 빔 등을 조사하는 LED 반도체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LED가 아닌 빔프로젝터와 같은 방식으로 지정된 문구의 안전정보가 벽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착용장치(100)는 밀폐 공간(95) 내에서 그 주변에 위치하는 현장설치장치로서 가령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비콘 수신기(혹은 비콘 스캐너)와 같은 스캔장치(110)로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알리기 위하여 장치(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물론 그 장치정보는 착용장치(100)에 대한 식별정보이며, 그 장치정보는 곧 작업자의 작업자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작업자들이 최초에 작업을 위해 밀폐 공간(95)으로 투입될 때,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는 작업자가 가령 스마트폰 등의 어플리케이션(이하, 어플) 등을 통해 사용자정보(예: 이름이나 착용장치의 고유번호 등) 등을 작업자정보로 입력하도록 하여 밀폐 공간(95)에 투입된 작업자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근거로 밀폐 공간(95) 내에서 이동하는 작업자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서는 안전모 등의 착용장치(100)에 비콘 송신기를 구비하여 밀폐공간(95) 내의 스캔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신호세기(RSSI)를 통해 작업자의 위치를 추적하려는 것이므로, 비콘 신호 이외에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신호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신호도 사용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콘 신호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비콘 신호로 설명한다.
스캔장치(110)는 주변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착용장치(100)로부터 가령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망(120)을 경유해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로 제공되도록 한다. 스캔장치(110)는 밀폐 공간(95)인 작업 공간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들의 착용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통신반경 내에 있는 모든 착용장치(100), 더 정확하게는 비콘 송신기와 통신하여 식별정보와, 또 신호세기값을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스캔장치(110)는 신호세기값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스캔장치(110)는 해당 신호들이 어느 방향에서 수신되었는지에 대한 방향정보도 생성하여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로 제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신호세기값을 이용해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특히 거리 계산의 경우는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작업 안전관리장치(130)는 고가이므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자원의 성능이 우수할 개연성이 높기 때문이다. 스캔장치(110)는 복수의 비콘 송신기로부터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처리한다는 점에서 스캔(scan)이라 명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용어의 사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스캔장치(110)는 밀폐 공간(95)의 출입구에 통신중계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해당 통신중계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통신망(120)을 통해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로 착용장치(100), 더 정확하게는 비콘 송신기의 식별정보와 신호세기값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와 같이 신호세기값을 계산하거나 거리를 측정하는 등의 동작은 통신중계장치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출입구의 통신중계장치가 밀폐 공간(95) 내의 착용장치(100)와도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통신중계장치가 위치 고정된 장치이므로, 착용장치(100)의 신호에 대한 위치 혹은 방향을 파악하는 데에 기준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중계장치는 작업자들의 방향을 예측하고, 그 예측된 방향에서 입사되는 신호는 모두 반사 신호로 판단하여 배제시키거나 착용장치(100)의 반사 신호를 판단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캔장치(110)에서 반사 신호를 포함하여 비콘 송신기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전제로 이하에서는 동작을 계속 설명한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5G 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통신사의 자원일 수 있지만, 작업 공간을 관리하는 업체의 자원일 수도 있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착용장치(100)나 스캔장치(11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착용장치(100)나 스캔장치(11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는 신호 반사가 있는 터널, 지하, 굴뚝이나 화로 내의 밀폐 공간(95)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에 위한 위치를 파악한다. 이러한 위치 파악을 통해 안전관리정보를 전송해 주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단순히 작업자의 작업 스케줄을 모니터링하여 작업자의 작업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다.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는 밀폐 공간(95) 내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자들에 대한 착용장치(100)의 식별정보를 DB(130a)에 저장하고, 또 해당 식별정보에 매칭하여 매일매일의 작업 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작업 시작 이후에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해당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이를 통해 작업 스케줄과 비교를 통해 작업자의 작업이 스케줄대로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는 작업 환경이 신호 반사가 있는 작업 공간임을 감안하여, 평균값 기반으로 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는 일정시간(예: 3500ms) 동안 다수의 스캐너 즉 스캔장치(110)에서 수신한 비콘 정보를 스캐너 기준으로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후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호세기값 평균을 구하고, 비콘 기준으로 신호세기 평균값 내림차순 정렬을 수행하여 가장 큰 값의 스캐너를 가장 근접한 스캐너로 판정한다. 물론 내림차순이나 올림차순의 정렬은 생략될 수도 있다. 밀폐 공간(95) 내의 스캔장치(110)는 공간 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설치시 위치정보(예: 좌표값)를 계산하여 DB(130a)에 저장하므로, 위의 가장 큰 값의 스캐너에 대한 위치정보를 작업자의 위치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작업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려는 것보다는 작업자가 작업 스케줄대로 진행하고 있는지를 단순히 파악하고 있는 것이라며, 스캔장치(110)의 식별정보를 위치정보로서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캔장치는 제1 영역의 작업 공간을 관할하고, 제2 스캔장치는 제2 영역의 작업 공간을 관할한다고 할 때, 평균값이 가장 큰 쪽의 스캔장치를 기준으로 어떠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는 위험 관리 등을 위해 더 정확한 측위가 필요한 경우, 스캔장치(110)의 위치정보를 작업자의 위치로 판단하는 경우, 기준값 이상일 경우에는 작업자가 스캔장치(110)와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스캐장치(110)의 위치로 판단하여도 크게 문제되지 않지만, 거리가 있는 경우에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는 신호세기값을 근거로 거리를 더 계산하고, 방향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방향정보와 거리를 근거로 새로운 위치정보를 계산하여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판단한다. 삼각 함수에서는 한 점의 위치정보를 알고 거리를 아는 경우, 새로운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공식이 있으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해당 계산 알고리즘을 작업 안전관리장치(130)에서 실행한다고 볼 수 있다.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에서 신호의 평균값을 이용하는 것은 예를 들어, 반사 신호는 일시적이라는 것에 기초한다. 따라서, 일정시간 동안 큰 값이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평균값이 커지게 되고, 따라서 평균값을 이용하면 일시적으로 반사 신호의 신호세기에 대한 값이 배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밀폐 공간(95)은 제1 스캔장치와 제2 스캔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제1 스캔장치와 제2 스캔장치는 작업자의 착용장치(100)와 주기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며, 따라서 일정 시간마다의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착용장치(100)에 대하여 제1 스캔장치에서 일정시간 동안의 비콘신호(혹은 복수의 제1 스캔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또 제2 스캔장치에서도 일정시간 동안의 비콘신호(혹은 복수의 제2 스캔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비콘신호들은 물론 동일 착용장치(100)의 신호들이다. 따라서, 제1 스캔장치에서 반사 신호를 배제한 제1 평균값을 구하고, 제2 스캔장치에서 반사 신호를 배제한 제2 평균값을 구한 후 서로 평균값을 비교하여 더 큰 쪽의 평균값을 작업자의 위치로 파악하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는 내림차순 또는 올림차순의 열거 없이 단순히 비교하는 것에 의해서도 최대값을 갖는 평균값을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는 작업 공간 즉 밀폐 공간(95) 내에 장애물, 또는 신호 방해물이 설치되는 관계로 작업자의 위치가 정확히 측정될 수 없는 것을 고려하여 그룹 기반의 위치 추적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그룹 기반의 위치 추적은 모니터링을 수월하게 하기 위한 과정일 수도 있다. 스캐너의 그룹을 지정하여 가장 근접한 스캐너의 그룹명을 기록하고, 다수의 스캐너가 하나의 그룹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하나의 스캐너로 판단하는 방식보다 비콘 위치 판단 신뢰도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누적된 스캐너 정보를 시나리오(혹은 패턴)와 비교하여 특정 장소로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작업 공간의 투입시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는 작업자의 작업 스케줄에 대한 정보를 기저장하고 있으므로, 작업자의 위치 추적이 정확히 이루어지게 되면, 해당 작업자가 스케줄대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모니터링이 수월해진다. 따라서, 스케줄대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는 해당 작업자의 착용장치(100)로 작업 스케줄대로 작업을 수행하라는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에서 그룹을 다양한 형태로 설정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의 (b) 및 (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룹을 설정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령 장애물 등을 통해 위치 판단이 어려울 때, 주변 스캔장치(110)의 위치정보를 작업자의 위치로 설정하거나, 또는 3개의 스캔장치(110)를 그룹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그룹 기반으로 삼각 측량을 수행하여 작업자의 정확한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무엇보다 이러한 그룹 설정 방식의 작업자 위치 판단은 작업자가 작업 스케줄대로 특정 작업 공간에서 제대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때 매우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작업자위치판단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3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작업자위치판단부(3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도 1의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밀폐 공간(95) 내의 스캔장치(110)에서 제공하는 착용장치(100)의 비콘 신호와 관련한 장치식별정보 및 신호세기값을 수신하여 제어부(310)에 제공할 수 있다. 비콘 신호는 일정 시간을 주기로 수신될 수 있으며, 예컨대 t1의 시점에서 3500ms 동안 비콘 신호를 각 스캔장치(110)에서 수신하고, 또 t1 이후의 t2의 시점에서 3500ms 동안 비콘 신호를 각 스캔장치(110)에서 수신하는 형태로 신호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t1 시점에 대한 복수의 제1 스캔신호와 복수의 제2 스캔신호를 수집하고, t2 시점에 대한 복수의 제1 스캔신호와 복수의 제2 스캔신호를 수집하는 것이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제어부(310)의 제어 하에 밀폐 공간(95) 내의 작업자가 착용하는 착용장치(100) 등으로 안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명확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착용장치(100)에 구비되는 R, G, B의 LED모듈 등을 통해 안전 상태를 알리거나, 작업 공간 내에 구비되는 다양한 장치(예: 스피커 등)를 통해 안전 정보를 통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부(310)는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작업자위치판단부(320) 및 저장부(3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지정 시간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되는 각 스캔장치(110)의 비콘 신호가 통신 인터페이스부(300)에서 제공되면 이를 스캔장치(110)의 장치식별정보를 근거로 분류하여 저장부(330)에 저장시킬 수 있고, 또 저장한 비콘신호의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신호세기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도록 작업자위치판단부(320)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작업자위치판단부(320)의 요청에 따라 작업자위치판단부(320)에서의 결과를 DB(130a)에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DB(130a)상에는 작업 공간의 스캔장치(110)들에 대한 식별정보, 또 그룹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룹별로 하여 각 스캔장치(110)와 관련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특정 시간(t1)에서 측정된 제1 평균값, 또 시간이 변화하여 t2의 시점에서 측정된 또 다른 제1 평균값과 같은 방식으로 시간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측정되는 평균값들을 DB(130a)에 저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310)는 작업자위치판단부(320)의 요청에 따라 가령 저장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안전정보를 선택하여 착용장치(100)로 제공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물론, 여기서의 착용장치(100)는 복수의 착용장치(100)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용장치(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위치판단부(320)는 밀폐 공간(95)의 작업자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가령,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특정 시간(t1)에 일정 시간동안 각 스캔장치(110)에서 수신되는 비콘신호들의 신호세기에 대한 평균값을 각 스캔장치(110)별로 계산하고, 계산한 평균값을 서로 비교하여 가장 큰 평균값을 갖는 스캔장치(110)를 선별한다. 그리고, 해당 스캔장치(110)의 위치정보를 작업자의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단순히 해당 스캔장치(110)의 식별정보가 될 수도 있다. 물론 이는 스캔장치(110)와 작업자의 위치가 근접하다고 판단될 때의 경우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단순히 작업 진행 상황만 파악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스캔장치(110)의 식별정보에 매칭하여 저장된 작업 정보를 통해 파악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작업자위치판단부(320)는 더 정확한 위치 판단을 위하여, 신호세기, 더 정확하게는 신호세기의 평균값을 근거로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측정한 거리값을 해당 스캔장치(110)의 위치정보 가령 좌표값에 반영하여 새로운 좌표값의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작업자의 실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스캔장치(110)로부터 각 비콘신호에 대한 방향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이를 더 이용하여 정확한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해 낼 수 있다. 방향의 기준은 앞서 언급한 대로 출입구에 설치되는 통신중계장치를 근거로 판단될 수도 있다.
나아가, 작업자위치판단부(320)는 작업자의 정확한 위치 판단을 위하여 복수의 스캔장치(110)에 그룹을 설정한 후 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설정한 그룹을 이용하는 경우는 가령 삼각 측량 등을 통해 더 정확한 작업자의 위치를 계산해 낼 수 있다. 또는 그룹을 공사의 진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활용하는 것이라면 그룹 내의 제1 스캔장치(110)에 작업자가 위치하는 경우 제1 스캔장치(110)에 설정되어 있는 작업이 진행 중이라 판단하는 것이고, 또 동일 그룹 내의 제2 스캔장치(110)에 작업자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스캔장치(110)에 설정되어 있는 작업이 진행 중이라 판단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특정 작업자가 작업 스케줄대로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파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업자의 정확한 현재 위치를 알기 위해서라기보다는 가장 근접하는 스캔장치(110)를 통해 특정 작업자가 어떠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단순히 스캔장치(110)가 활용된다고도 볼 수 있다. 만약, 더 정확한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해야 하는 경우라면 스캔장치(110)의 위치정보를 좌표값 등의 형태로 저장한 후, 거리 및 방향을 통해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여 이를 근거로 안전 정보를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 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데이터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 하에 통신 인터페이스부(300)에서 제공하는 스캔장치(110)의 식별정보 및 신호세기값을 저장한 후, 제어부(310)의 요청이 있을 때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이와 같이 데이터의 임시 저장에 활용될 수 있지만, 영구 저장을 위해 활용될 수도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의 제어부(31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CPU와 메모리는 원칩화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연산부는 2진비트정보의 연산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과 같이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한다. 메모리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결과, CPU는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의 초기 구동시 또는 동작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선택적으로 가령 도 3의 작업자위치판단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진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작업자위치판단부의 세부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3의 작업자위치판단부(320)는 도 4에서와 같이 변형된 형태의 작업자위치판단부(32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의 작업자위치판단부(320)는 수신부(400), 제1 연산부(410), 스케줄부(420), 제2 연산부(430) 및 데이터 전송 및 저장부(4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H/W), 소프트웨어(S/W) 및 이를 조합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산부(410), 스케줄부(420) 및 제2 연산부(430)는 제어부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수신부(40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제1 연산부(410)와 같은 구성요소가 제2 연산부(43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수신부(400)는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데이터 손실 여부를 확인하며, 수신한 데이터를 제1 연산부(410)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연산부(410)로 제공된 데이터는 임시 저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산부(410)는 수신 데이터의 유형(type)을 확인하고, 스캐너 즉 도 1의 스캔장치(110)의 맥(Mac) 주소 등을 기준으로 비콘 데이터를 구분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스케줄부(420)는 작업자의 스케줄과 관련한 데이터를 제2 연산부(43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연산부(430)는 각 스캔장치(110)별로 비콘신호의 수신신호세기값을 이용해, 또는 평균값을 제공받아 정렬한 후 이를 근거로 가장 평균값이 큰 스캔장치(110)를 선별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산부(430)는 데이터 전송 및 저장부(440)에 저장되어 있는 비콘 정보를 조회하여 어떠한 작업자가 어떠한 스캔장치(110)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작업자가 작업 시나리오대로 순차적으로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작업이 시나리오대로 진행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될 때, 제2 연산부(430)는 관련 정보를 작업자에게 통지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동작을 큰 틀에서 살펴보았지만, 세부 동작은 다소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대로 시나리오대로 작업 진행 여부를 판단할 때 그룹을 이용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도 4에서와 같은 구체적인 동작은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는 신호 반사가 있는 작업 공간 내에 구비되는 제1 스캔장치 및 제2 스캔장치가 작업 공간 내 작업자의 착용장치(100)와 통신하여 지정 시간(t) 동안 제공하는 복수의 제1 스캔신호 및 복수의 제2 스캔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500). 여기서, 복수의 제1 스캔신호는 특정 시점(t1)에서 시작하여 일정 시간 동안 제1 스캔장치에서 수신한 착용장치(100)의 신호이며, 복수의 제2 스캔신호는 특정 시점(t1)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제2 스캔장치에서 수신한 착용장치(100)의 신호를 나타낸다. 물론 해당 스캔신호들에는 반사 신호가 포함된다.
이어,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는 저장한 복수의 제1 스캔신호를 이용해 산출한 제1 평균값과 복수의 제2 스캔신호를 이용해 산출한 제2 평균값을 비교하여 제1 평균값이 클 때 제1 스캔장치를 기준으로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한다(S510). 예를 들어, 작업자가 작업 스케줄대로 작업을 진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라면, 제1 스캔장치의 식별정보를 단순히 판단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시 말해, 제1 스캔장치는 특정 작업에 대한 작업 공간을 관할하므로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는 작업 공간의 작업명과 제1 스캔장치의 식별정보를 매칭할 수 있으며, 평균값을 통해 판단된 제1 스캔장치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이에 매칭되어 있는 작업명을 확인하여 작업자의 작업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도 1의 밀폐 공간(95) 내에서도 작업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해야 하는 경우라면, 스캔장치의 위치정보를 좌표값의 형태로 저장한 후, 평균 신호세기값을 근거로 거리를 측정하여 좌표값과 거리를 근거로 새로운 위치정보를 생성하며, 새로 생성한 위치정보를 작업자의 정확한 위치정보로 파악한다. 만약, 이의 과정에서 평균 신호세기값과 관련한 방향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위치를 더욱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룹을 설정하여 활용하는 경우에는 그룹을 근거로 작업자의 작업 행태를 판단할 수도 있으므로, 작업을 판단하기에 좀더 용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작업자가 A 그룹에 속해 있는 경우, A1, A2, A3의 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고 있는지를 스캔장치(110)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A1은 제1 스캔장치가 관할하고, A2는 제2 스캔장치가 관할하는 경우,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해 가장 큰 평균값이 제1 스캔장치의 식별정보로 판단되면 작업자는 A1의 작업을 수행한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순서를 판단함으로써 스케줄대로 작업이 이루어지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서는 작업의 특성상 터널, 지하, 굴뚝이나 화로를 가정하였으므로, 작업자의 위치 판단을 위해 스캔장치의 식별정보를 활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위치정보를 이용해 작업자의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1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착용장치 110: 스캔장치(혹은 스캐너)
120: 통신망 130: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320': 작업자위치판단부 330: 저장부

Claims (10)

  1. 신호 반사가 있는 작업 공간 내에 구비되는 제1 스캔장치 및 제2 스캔장치가 상기 작업 공간 내 작업자의 착용장치와 통신하여 제공하는 지정 시간(t) 동안의 복수의 제1 스캔신호 및 복수의 제2 스캔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1 스캔신호를 이용해 산출한 제1 평균값과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2 스캔신호를 이용해 산출한 제2 평균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평균값이 클 때 상기 제1 스캔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스캔신호의 신호세기(RSSI)값을 이용해 상기 제1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스캔신호의 신호세기값을 이용해 상기 제2 평균값을 산출하는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자의 위치 판단을 위해 기저장한 상기 제1 스캔장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는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캔장치와 상기 제2 스캔장치를 그룹으로 설정한 경우, 상기 위치 판단 이후에 계산되는 상기 제2 스캔장치의 제2 평균값을 참고하여 상기 그룹 내에서의 상기 작업자의 위치 이동을 판단하는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 스케줄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한 작업 이동 및 상기 작업 스케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작업자의 비정상 작업 여부를 판단하는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6.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신호 반사가 있는 작업 공간 내에 구비되는 제1 스캔장치 및 제2 스캔장치가 상기 작업 공간 내 작업자의 착용장치와 통신하여 제공하는 지정 시간(t) 동안의 복수의 제1 스캔신호 및 복수의 제2 스캔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1 스캔신호를 이용해 산출한 제1 평균값과 상기 저장한 복수의 제2 스캔신호를 이용해 산출한 제2 평균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평균값이 클 때 상기 제1 스캔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의 구동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스캔신호의 신호세기(RSSI)값을 이용해 상기 제1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스캔신호의 신호세기값을 이용해 상기 제2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의 구동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의 위치 판단을 위해 기저장한 상기 제1 스캔장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는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의 구동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캔장치와 상기 제2 스캔장치를 그룹으로 설정한 경우, 상기 위치 판단 이후에 계산되는 상기 제2 스캔장치의 제2 평균값을 참고하여 상기 그룹 내에서의 상기 작업자의 위치 이동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의 구동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작업자의 작업 스케줄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판단한 작업 이동 및 상기 작업 스케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작업자의 비정상 작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90105927A 2019-08-28 2019-08-28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315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927A KR102315707B1 (ko) 2019-08-28 2019-08-28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927A KR102315707B1 (ko) 2019-08-28 2019-08-28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914A true KR20210025914A (ko) 2021-03-10
KR102315707B1 KR102315707B1 (ko) 2021-10-21

Family

ID=75148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927A KR102315707B1 (ko) 2019-08-28 2019-08-28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70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227A (ko) * 2007-05-04 2008-11-07 한국전기연구원 무선위치 인식 시스템 및 그 인식방법
KR101054937B1 (ko) 2010-08-03 2011-08-05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화력발전소에 구비되는 연돌 일체형 건물
KR20120008298A (ko) * 2010-07-16 2012-01-30 주식회사 레오테크 위험작업장에서의 위치추적 방법
KR20130120119A (ko) * 2012-04-25 2013-11-04 주식회사 마린디지텍 위치기반의 통합형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KR20160007351A (ko) * 2014-07-11 2016-01-20 한국정보공학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측위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1305A (ko) * 2014-12-11 2016-06-21 유기석 비콘을 이용한 실내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190063001A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오경컴텍 스마트펜스를 사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227A (ko) * 2007-05-04 2008-11-07 한국전기연구원 무선위치 인식 시스템 및 그 인식방법
KR20120008298A (ko) * 2010-07-16 2012-01-30 주식회사 레오테크 위험작업장에서의 위치추적 방법
KR101054937B1 (ko) 2010-08-03 2011-08-05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화력발전소에 구비되는 연돌 일체형 건물
KR20130120119A (ko) * 2012-04-25 2013-11-04 주식회사 마린디지텍 위치기반의 통합형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KR20160007351A (ko) * 2014-07-11 2016-01-20 한국정보공학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측위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1305A (ko) * 2014-12-11 2016-06-21 유기석 비콘을 이용한 실내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190063001A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오경컴텍 스마트펜스를 사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707B1 (ko)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9060B1 (en) Sensor communication testing
JP6901069B2 (ja) 距離算出方法
CN107409287A (zh) 基于感测到的信标无线电节点的移动选择性地利用信标无线电节点位置来确定用户设备位置
US1101959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086079B1 (ko) 이동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09812295B (zh) 一种隧道瓦斯智能监测方法和系统
KR102202807B1 (ko)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04485B1 (ko)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1890283B1 (ko) 실내외 측위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측위시스템
EP3663251B1 (en) A hoist system and methods for operating a hoist located at a work site
KR20200025666A (ko) 로라 네트워크 멀티 채널 구현방법
KR102084565B1 (ko) 현장맞춤형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Budina et al. Method of iBeacon optimal distribution for indoor localization
KR102315707B1 (ko) 임의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28165B1 (ko) 밀폐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66808B1 (ko) 공사현장의 분할영역 모니터링을 위한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376199B1 (ko) 작업공간 모니터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048668A (ko) 화로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7167157B2 (ja) 位置検出システム、算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位置検出方法
KR101946609B1 (ko) 맞춤형 화재인식 안내 시스템 및 방법
EP3664004A1 (en) A system and methods for changing display information provided to the workers at a work site
KR20240040276A (ko) 저전력 무선 가스 측정 및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184408B1 (ko) 로고라이트를 이용하는 공사현장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153874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20180081026A1 (en) Last mile position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