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846A - 건강 검진 사후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건강 검진 사후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846A
KR20210025846A KR1020190105717A KR20190105717A KR20210025846A KR 20210025846 A KR20210025846 A KR 20210025846A KR 1020190105717 A KR1020190105717 A KR 1020190105717A KR 20190105717 A KR20190105717 A KR 20190105717A KR 20210025846 A KR20210025846 A KR 20210025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user
information
computing de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관
Original Assignee
조용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관 filed Critical 조용관
Priority to KR1020190105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5846A/ko
Publication of KR20210025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 검진 사후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제 1 운동 자세 및 제 1 신체 가동 범위(ROM; range of motion)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 정보, 상기 제 1 운동 자세 및 상기 제 1 신체 가동 범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운동 처방 정보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운동 처방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제 2 운동 자세 및 제 2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및 제 2 운동 자세들과 상기 제 1 및 제 2 신체 가동 범위들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운동 이력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 정보 및 상기 운동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교정된 운동 재처방 정보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강 검진 사후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METHOD, APPARATUS AND APPLICATION FOR PROVIDING HEALTH CARE FOLLOW-UP SOLUTIONS}
본 발명은 사용자에 대한 건강 검진 사후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형 등의 신체 정보에 따라 맞춤형 운동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의료 산업 및 정보 기술의 융합을 통한 건강 관리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으며, 정보와 IT 기기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유헬스(u-Health) 관련 기기나 시스템들에 대한 관심들이 고조되고 있다.
한편, 사용자의 평균 연령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며 운동 부족과 비만 증가로 인해 사용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운동 필요성에 따라, 보건 의료 서비스 분야에서는 인터넷 등의 IT 기술 결합, 온라인 상에서 전자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건강 관련 정보, 서비스, 제품 등을 제공하고 소비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유헬스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디바이스나 전문 소프트웨어, 사용자 운동 컨텐츠는 부족한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질병의 완화와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건강관리 분야에서는 RFID 태그를 활용한 환자 정보 시스템과의 상호 작용을 통한 가정 내 자동 환경 설정, 의료 텔레매틱스를 통한 방제 및 응급 진단 등이 있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건강 상태, 생활 패턴, 식습관, 운동 등을 모니터링 및 분석하여 이용자의 건강을 관리해주는 u-Fitness, u-Nutrition 등이 있으나 사용자의 건강 관리를 위한 것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보건 의료 서비스 분야에서, 사용자의 개인 스마트폰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를 통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는 맞춤형 운동을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발명되었으며,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본 발명은 컴퓨팅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정보,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ROM; range of motion)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고, 또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교정된 운동 재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제 1 운동 자세 및 제 1 신체 가동 범위(ROM; range of motion)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 정보, 상기 제 1 운동 자세 및 상기 제 1 신체 가동 범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운동 처방 정보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운동 처방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제 2 운동 자세 및 제 2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및 제 2 운동 자세들과 상기 제 1 및 제 2 신체 가동 범위들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운동 이력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 정보 및 상기 운동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교정된 운동 재처방 정보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신체 정보가 사용자의 연령, 신장, 체중, 혈압, 맥박수, 임신 주수, 사용자 및 태아의 건강 상태 및 진료 기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제 1 및 제 2 운동 자세들이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카메라에 의해 측정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신체 가동 범위들이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운동 처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교정된 운동 재처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가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운동 자세, 신체 가동 범위, 운동 횟수 및 운동 강도를 포함하는 운동 관련 정보가 전달되고, 상기 운동 횟수 및 상기 운동 강도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운동 관련 정보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팝업 창을 통해 특정 시간에 전달되고, 상기 특정 시간이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운동 처방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제 2 운동 자세 및 제 2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가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와 사용자의 현재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 사이의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사용자를 위한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한 이후에,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최종적으로 수행되는 사용자의 제 2 운동 자세 및 제 2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서버가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와 사용자의 현재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 사이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출력 신호의 세기가 커지며, 상기 출력 신호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소리 또는 진동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 정보 및 상기 운동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용자 관련 컨텐츠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관련 컨텐츠는 음식, 의복, 도서, 영화, 음악, 영양제 또는 화장품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사용자의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모듈;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사용자에 대한 운동 처방 정보 또는 운동 재처방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및 신호 발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운동 자세 및 상기 신체 가동 범위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운동 처방 정보 또는 상기 운동 재처방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 상기 운동 처방 정보는 상기 서버가 사용자의 신체 정보, 상기 운동 자세 및 상기 신체 가동 범위에 기초하여 처방하는 정보이고, 상기 운동 재처방 정보는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 정보, 상기 운동 자세 및 상기 신체 가동 범위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재처방하는 정보임 ―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신체 정보가 사용자의 연령, 신장, 체중, 혈압, 맥박수,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진료 기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측정 모듈이, 상기 운동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모듈, 자이로 센서 모듈 및 지자기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운동 처방 정보 또는 상기 운동 재처방 정보가 상기 서버가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운동 자세, 신체 가동 범위, 운동 횟수 및 운동 강도를 포함하는 운동 관련 정보이고, 상기 운동 횟수 및 상기 운동 강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에 의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운동 관련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팝업 창을 통해 특정 시간에 전달되고, 상기 특정 시간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에 의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서버가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와 사용자의 현재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 사이의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을 통해 사용자를 위한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한 이후에, 상기 측정 모듈을 통해, 최종적으로 수행되는 사용자의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신호 발생 모듈이 진동 발생 모듈 및 스피커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와 사용자의 현재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 사이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출력 신호의 세기가 커지며, 상기 출력 신호는 상기 진동 발생 모듈의 진동을 통해 전달되거나, 상기 스피커 모듈의 소리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용자 관련 컨텐츠를 추가로 수신하고 ― 상기 사용자 관련 컨텐츠는 상기 신체 정보, 상기 운동 자세 및 상기 신체 가동 범위의 이력 정보에 기초함 ―, 상기 사용자 관련 컨텐츠는 음식, 의복, 도서, 영화, 음악, 영양제 또는 화장품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제 1 운동 자세 및 제 1 신체 가동 범위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 정보, 상기 제 1 운동 자세 및 상기 제 1 신체 가동 범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운동 처방 정보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운동 처방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제 2 운동 자세 및 제 2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및 제 2 운동 자세들과 상기 제 1 및 제 2 신체 가동 범위들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운동 이력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 정보 및 상기 운동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교정된 운동 재처방 정보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팅 디바이스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제 1 운동 자세 및 제 1 신체 가동 범위(ROM; range of motion)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 정보, 상기 제 1 운동 자세 및 상기 제 1 신체 가동 범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운동 처방 정보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운동 처방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제 2 운동 자세 및 제 2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및 제 2 운동 자세들과 상기 제 1 및 제 2 신체 가동 범위들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운동 이력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 정보 및 상기 운동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교정된 운동 재처방 정보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개인 스마트폰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를 통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맞춤형 운동을 처방받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의료진, 연구원 및 운동 전문가들이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로 맞춤형 운동을 처방하는바, 사용자가 병원으로 통원(通院)할 필요없이 가정에서 안전하게 맞춤형 운동을 처방받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 내의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측정하고,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하는바, 사용자로 하여금 정확한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처방된 운동과 현재 측정되는 운동과의 차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요한 운동 자세, 운동량 등을 자세하게 재처방 받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의 이력을 서버에 저장하는바, 사용자가 그래프 등을 통해 운동 이력을 확인 및 조회하거나, 운동 이력에 따른 더 세밀한 운동 범위의 처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용자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의 건강 상황 및 임신 주수 등을 고려하여 현재 필요한 아이템 및 선호하는 종류의 추천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추후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기기(체성분계, 혈당계, 혈압계, 심박계 등)를 연동하여, 사용자의 건강 관리 및 운동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가 서버로부터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가 운동 처방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측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 화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가 운동 처방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검진 사후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한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교시들이 다양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되지만, 본 교시들이 그러한 실시예들로 한정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교시들은 다양한 대안들, 수정들, 및 동등물들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 안경, 시계 등), IoT 단말기, 개인 휴대 단말기(PDA), 태블릿 PC, 랩탑 컴퓨터 또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운반하거나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가 서버로부터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받는 특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서버(200)로부터 맞춤형 운동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러한 맞춤형 운동은 의료진, 연구원 및 운동 전문가들이 서버(200), 그리고 컴퓨팅 디바이스(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처방하는 운동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맞춤형 운동 정보를 수신한 컴퓨팅 디바이스(100)를 통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운동할 수 있으며, 맞춤형 운동은 의료진, 연구원 및 운동 전문가들이 처방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병원으로 통원하지 않고서도 이러한 맞춤형 운동을 신뢰하며 처방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진, 연구원 및 운동 전문가들은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들 즉, 회원들의 기본 신체 정보, 질병 이력, 체력 유형 등을 관리하고, 이러한 정보들에 기초하여 개인 맞춤형 운동을 처방하며, 사용자의 운동 처방 정보를 등록 및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운동을 일별로 처방하고, 누적된 운동 이력을 일별, 주간별 또는 월별 그래프 등으로 도식화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건강 관리 요소(예컨대, 목표 체중, 칼로리 소모량)의 변화를 체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운동 처방 정보를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100)에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또는 영유아에 관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팝업 창 등을 통해 일별 처방된 운동을 확인 및 조회하고, 처방에 의한 운동을 한 후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를 등록하며, 누적된 운동 이력을 일별, 주간별 또는 월별로 조회하며, 건강 관리 요소(예컨대, 목표 체중, 칼로리 소모량)의 변화를 체크하며,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2a 및 도 2b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예를 들어, 산모)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컴퓨팅 디바이스(10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제 1 운동 자세 및 제 1 신체 가동 범위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11). 여기서, 사용자의 신체 정보는 사용자의 연령, 신장, 체중, 혈압, 맥박수, 임신 주수,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진료 기록을 포함하고, 이러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는 사용자의 제 1 운동 자세 및 제 1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하기 이전에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운동 자세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카메라에 의해 측정되고, 사용자의 신체 가동 범위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 또는 사용자의 제 1 운동 자세 및 제 1 신체 가동 범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운동 처방 정보를 컴퓨팅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고(S12), 그 후에 컴퓨팅 디바이스(100)가 운동 처방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제 2 운동 자세 및 제 2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할 수 있다(S13). 이 때, 서버(200)가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와 사용자의 현재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 사이의 차이가 있는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를 위한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그 이후에, 최종적으로 수행하는 사용자의 제 2 운동 자세 및 제 2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가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와 사용자의 현재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 사이의 차이가 클수록, 출력 신호의 세기가 커지며, 이러한 출력 신호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소리 또는 진동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자 개인에게 요구되는 운동을 보다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제 1 및 제 2 운동 자세들과 사용자의 제 1 및 제 2 신체 가동 범위들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운동 이력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고(S14), 서버(200)가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운동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교정된 운동 재처방 정보를 컴퓨팅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다(S15). 즉, 사용자는 누적된 운동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교정된 운동을 계속하여 재처방 받으므로, 갈수록 더 세밀한 범위의 운동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상태 또는 건강 상태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여 처방받을 수 있다.
서버(200)가 운동 처방 정보 또는 운동 재처방 정보를 컴퓨팅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때,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운동 자세, 신체 가동 범위, 운동 횟수 및 운동 강도를 포함하는 운동 관련 정보가 전달되고, 이러한 운동 횟수 및 운동 강도는 컴퓨팅 디바이스(100)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운동 관련 정보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팝업 창을 통해 특정 시간에 전달되고, 이러한 특정 시간은 컴퓨팅 디바이스(100)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가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운동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용자 관련 컨텐츠를 컴퓨팅 디바이스(100)에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용자 관련 컨텐츠는 음식, 의복, 도서, 영화, 음악, 영양제 또는 화장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 관련 컨텐츠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운동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되는바, 사용자의 현재 상황, 건강 상태 및 임신 주수 등을 고려한 최적의 아이템 추천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관련 컨텐츠는 사용자들의 관심사, 성향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 SNS, 웹 로그 등을 수집한 빅데이터의 활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구체적으로, 수집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유사도가 높은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고, 유사 그룹 내에서 선호되는 아이템을 각 상황별, 시기별로 도출한 후에, 사용자의 현재 상황, 건강 상태 및 등을 고려하여 추천 아이템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아이템의 구매시, 특정 아이템을 구매한 유사 그룹 내의 타 사용자들이 추가적으로 구매한 아이템을 각 상황별, 시기별로 도출한 후에, 사용자의 현재 상황,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추천 아이템을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추천 아이템들은 아이템 적합성, 구매 평점, 클릭률 등의 항목들의 점수를 계산하여, 가장 높은 점수의 아이템일수록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화면 상단에 배치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아이템 정보 획득과 직관적인 정보 인식을 위해 아이템 이미지, 설명, 가격, 평점, 후기, 연관 제품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컴퓨팅 디바이스(100)를 통해 맞춤형 운동 정보를 제공받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정보, 개인 성향 등을 고려한 사용자 관련 컨텐츠를 제공받음으로써, 종합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가 운동 처방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측정하는 것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을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카메라의 동작 화면 상에 격자선, 또는 교차선 등을 이용하여 운동 처방 정보를 표시하고,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운동 자세가 정면 또는 측면으로 측정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 스텝 업(Step Up) 동작을 측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스쿼트(Squat) 동작을 정면 또는 측면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운동 처방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신체 부위(예컨대, 허리, 골반, 무릎 등)별 운동을 수행하고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도 4a 내지 도 4c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가 운동 처방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하는 것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운동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컴퓨팅 디바이스(100)를 부착하고,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가동 범위는 사용자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의 신체 각도를 나타내고, 예를 들어, 목(Neck), 어깨(Shoulder), 팔(Elbow), 엉덩이(Hip), 무릎(Knee), 발목(Ankle) 등의 신체 각 부위의 가동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신체 가동 범위는 크게 정상 범위(도 4a 참조), 경계 범위(도 4b 참조) 및 부족 또는 과도 범위(도 4c 참조)로 나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 내지 도 4c에서 각 화살표가 가리키는 값은 사용자의 현재 신체 가동 범위에 해당할 수 있고, 도 4a에서 정상 범위는 서버(200)가 컴퓨팅 디바이스(100)에 제공하는 사용자에 대한 운동 처방 정보의 범위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a에서와 같이 화살표가 정상 범위를 가리키는 경우, 사용자는 의료진, 연구원 및 운동 전문가들에 의해 처방된 정상 범위의 신체 가동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4b 및 도 4c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경계 범위, 또는 부족 또는 과도 범위의 신체 가동 범위를 갖는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를 위한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이 때, 출력 신호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소리 또는 진동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경계 범위, 나아가 부족 또는 과도 범위의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를 가질수록,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소리 또는 진동은 더 커질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들 측정들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기기를 컴퓨팅 디바이스(100)와 연동하여, 체성분, 혈당, 혈압, 심박수 등을 측정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의 건강 관리 및 운동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를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30), 측정 모듈(140), 디스플레이 모듈(150) 및 신호 발생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 모듈(140)은 카메라 모듈(140a), 가속도 센서 모듈(140b), 자이로 센서 모듈(140c) 및 지자기 센서 모듈(140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카메라는 카메라 모듈(140a)에 의해 작동할 수 있고, 상술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는 각각 가속도 센서 모듈(140b), 자이로 센서 모듈(140c) 및 지자기 센서 모듈(140d)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발생 모듈(160)은 진동 발생 모듈(160a) 및 스피커 모듈(160b)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소리 및 진동 신호는 각각 진동 발생 모듈(160a) 및 스피커 모듈(160b)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컴퓨팅 디바이스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140: 측정 모듈
140a: 카메라 모듈
140b: 가속도 센서 모듈
140c: 자이로 센서 모듈
140d: 지자기 센서 모듈
150: 디스플레이 모듈
160: 신호 발생 모듈
160a: 진동 발생 모듈
160b: 스피커 모듈
200: 서버

Claims (10)

  1.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제 1 운동 자세 및 제 1 신체 가동 범위(ROM; range of motion)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 정보, 상기 제 1 운동 자세 및 상기 제 1 신체 가동 범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운동 처방 정보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운동 처방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제 2 운동 자세 및 제 2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및 제 2 운동 자세들과 상기 제 1 및 제 2 신체 가동 범위들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운동 이력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 정보 및 상기 운동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교정된 운동 재처방 정보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정보는 사용자의 연령, 신장, 체중, 혈압, 맥박수,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진료 기록을 포함하는,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운동 자세들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카메라에 의해 측정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신체 가동 범위들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처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교정된 운동 재처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가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운동 자세, 신체 가동 범위, 운동 횟수 및 운동 강도를 포함하는 운동 관련 정보가 전달되고,
    상기 운동 횟수 및 상기 운동 강도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조절 가능한,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관련 정보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팝업 창을 통해 특정 시간에 전달되고,
    상기 특정 시간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조절 가능한,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처방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제 2 운동 자세 및 제 2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가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와 사용자의 현재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 사이의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를 위한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한 이후에,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최종적으로 수행되는 사용자의 제 2 운동 자세 및 제 2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하는,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와 사용자의 현재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 사이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출력 신호의 세기가 커지며,
    상기 출력 신호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소리 또는 진동을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 정보 및 상기 운동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용자 관련 컨텐츠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관련 컨텐츠는 음식, 의복, 도서, 영화, 음악, 영양제 또는 화장품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9.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사용자의 운동 자세 및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모듈;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사용자에 대한 운동 처방 정보 또는 운동 재처방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및 신호 발생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운동 자세 및 상기 신체 가동 범위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운동 처방 정보 또는 상기 운동 재처방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 상기 운동 처방 정보는 상기 서버가 사용자의 신체 정보, 상기 운동 자세 및 상기 신체 가동 범위에 기초하여 처방하는 정보이고, 상기 운동 재처방 정보는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 정보, 상기 운동 자세 및 상기 신체 가동 범위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재처방하는 정보임 ―,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10. 컴퓨팅 디바이스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제 1 운동 자세 및 제 1 신체 가동 범위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 정보, 상기 제 1 운동 자세 및 상기 제 1 신체 가동 범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운동 처방 정보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운동 처방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제 2 운동 자세 및 제 2 신체 가동 범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및 제 2 운동 자세들과 상기 제 1 및 제 2 신체 가동 범위들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운동 이력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 정보 및 상기 운동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교정된 운동 재처방 정보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20190105717A 2019-08-28 2019-08-28 건강 검진 사후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KR20210025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717A KR20210025846A (ko) 2019-08-28 2019-08-28 건강 검진 사후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717A KR20210025846A (ko) 2019-08-28 2019-08-28 건강 검진 사후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846A true KR20210025846A (ko) 2021-03-10

Family

ID=7514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717A KR20210025846A (ko) 2019-08-28 2019-08-28 건강 검진 사후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58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anki et al. Real-time tele-monitoring of patients with chronic heart-failure using a smartphone: lessons learned
US20130304493A1 (en) Disease management system
US20150227710A1 (en) Clinical support systems and methods
US20150088536A1 (en) Healthcare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personalized care plan of a user
Chatterjee et al. eHealth initiatives for the promotion of healthy lifestyle and allied implementation difficulties
Bajwa Emerging 21st century medical technologies
JP2016511890A (ja) 個人データマーケットの提供
KR101592021B1 (ko) 개인화된 임신, 출산, 산후조리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0013530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90267121A1 (en) Medical recommendation platform
KR102330705B1 (ko) 기록매체에 저장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US202204062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providing dynamic nutritional guidance
JP2016018224A (ja) 健康状態予測診断利用サービスシステム
KR20140053142A (ko) 건강관리 동기부여를 위한 자가 인지 리마인더를 제공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방법
WO2022151943A1 (zh) 健康管理方法、装置和系统
KR20190064268A (ko) 헬스 케어 솔루션 제공 방법
KR20170095086A (ko) 산모에 대한 맞춤형 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기록매체 및 애플리케이션
Lohnari et al. Use of mobile applications in healthcare: a review
KR20220085445A (ko) 자세교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6171542A1 (en) Lifestyle tracking system
McClung et al. A primer for the evaluation and integration of dietary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digital measurement tools into nutrition and dietetics practice
Guanoluisa et al. GY MEDIC: analysis and rehabilitation system for patients with facial paralysis
Chang et al. iBuffet: An AIoT-based intelligent calorie management system for eating buffet meals with calorie intake control
KR20210025846A (ko) 건강 검진 사후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Rey Wearable data revolution: Digital biomarkers are transforming research, promising a revolution in health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