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762A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762A
KR20210025762A KR1020190105317A KR20190105317A KR20210025762A KR 20210025762 A KR20210025762 A KR 20210025762A KR 1020190105317 A KR1020190105317 A KR 1020190105317A KR 20190105317 A KR20190105317 A KR 20190105317A KR 20210025762 A KR20210025762 A KR 20210025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display unit
main body
dispos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렬
정승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5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5762A/ko
Publication of KR20210025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26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condition of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6Proximity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he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bo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후측에 결합된 핸들;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핸들 사이에 배치되며 현재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 상기 유로 상에 배치되어 유로 내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 모듈; 상기 팬 모듈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며, 대기모드에서 전방에 존재하는 사물의 유무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온오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청소기를 충전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턴오프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고, 디스플레이를 이루는 액정표시장치의 burn in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기에 대한 것이다.
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27088호(등록일 2012.03.08.)에는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가 개시된다.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는, 흡입관과 기류 생성기, 원심 분리장치, 원심 분리장치에서 분리된 먼지를 수집하는 먼지통, 전원 및 핸들을 포함한다.
한편, 이와 같은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는 핸들에 현재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영역은 주로 액정표시장치로서 구현가능하며, 액정표시장치를 이루는 액정의 열화에 의해 장시간 동안 동일한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 잔상이나 얼룩이 남는 Burn in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청소기의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를 턴 오프하여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청소기를 충전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를 턴오프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고, 디스플레이를 이루는 액정표시장치의 액정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과제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여, 주기적으로 전면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온오프함으로써 사용자가 근거리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를 턴온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후측에 결합된 핸들;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핸들 사이에 배치되며 현재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 상기 유로 상에 배치되어 유로 내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 모듈; 상기 팬 모듈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며, 대기모드에서 전방에 존재하는 사물의 유무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온오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바디 및 상기 핸들 사이를 연결하는 핸들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핸들 연장부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모드가 시작되면, 소정 시간동안 상기 표시부를 턴온한 뒤 턴오프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에 움직이는 사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센서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움직임 센서는 상기 메인 바디의 커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센서는, 커버에 부착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배치되어 전방으로 초음파를 방출하는 초음파 발생부, 그리고 상기 기판의 제1면에 상기 초음파 발생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전방의 사물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득하는 초음파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상기 움직임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득하고, 상기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전방에 사물이 존재하면 상기 표시부를 턴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턴온한 후, 임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움직임 센서로부터 다시 감지 신호를 수득하고, 전방에 상기 사물이 연속하여 존재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턴온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사물이 없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턴오프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센서는 전방에 적외선 신호를 발송하고, 반사되는 광을 광전변환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충전 정보, 통신 정보, 충전 레벨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청소기가 충전 중인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청소기가 청소 동작을 진행하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후측에 결합된 핸들 및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핸들 사이에 배치되며 현재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청소를 진행하는 청소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대기모드가 시작되면, 상기 표시부를 턴온하여 소정 시간 동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턴오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대기모드에서 전방에 존재하는 사물의 유무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턴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청소기는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에 움직이는 사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센서는 상기 메인 바디의 커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에 부착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배치되어 전방으로 초음파를 방출하는 초음파 발생부, 그리고 상기 기판의 제1면에 상기 초음파 발생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전방의 사물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득하는 초음파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를 턴온하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상기 움직임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득하고, 상기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전방에 사물이 존재하면 상기 표시부를 턴온할 수 있다.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표시부를 턴온한 후, 임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움직임 센서로부터 다시 감지 신호를 수득하고, 전방에 상기 사물이 연속하여 존재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턴온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사물이 없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턴오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이고,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청소기가 충전 중인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기의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를 턴 오프하여 디스플레이를 이루는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소자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를 충전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턴오프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고, 디스플레이를 이루는 액정표시장치의 burn in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여, 주기적으로 전면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온오프함으로써 사용자가 근거리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를 턴온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입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노즐 모듈을 탈거시킨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청소기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청소기의 상측 입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청소기의 제어부 및 제어부와 연관되는 기능부의 연결돤계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움직임 센서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1의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제어 방법에 따른 표시부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를 구분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로서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의 도면 참고부호의 뒤에는 콤마(')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각 축방향(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Y)/후(-Y)/좌(+X)/우(-X)/상(+Z)/하(-Z)”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XYZ 좌표축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 1, 제 2, 제 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수동 청소기 또는 로봇 청소기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핸디형 수동 청소기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이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유로(P)를 형성하는 메인 바디(10)를 포함한다.
상기 청소기(1)는 상기 유로(P) 상에 배치되어 공기 중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청소기(1)는 메인 바디(10)의 후측에 결합된 핸들(30)을 포함한다.
상기 청소기(1)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t)와 상기 배터리(Bt)가 수용되는 배터리 하우징(40)을 포함한다.
상기 청소기(1)는, 상기 유로(P) 상에 배치되어 유로 내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청소기(1)는 상기 먼지 분리부(20) 외에도 상기 유로(P) 상에 배치되어 공기 중 먼지를 분리시키는 필터들을 포함한다.
상기 청소기(1)는 메인 바디(10)의 흡입부(11)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노즐 모듈(70)을 포함한다.
청소기(1)의 메인바디(10)에는 사용자가 청소기(1)의 On/Off나 흡입 모드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3)와, 사용자에게 청소기(1)의 각종 상태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인 출력부(4)를 포함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노즐 모듈(70)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된 노즐부(71)와, 노즐부(71)에서 길게 연장되는 연장관(73)을 포함한다. 연장관(73)은 노즐부(71)와 흡입부(11)를 연결한다. 연장관(73)은 노즐부(71)에서 흡입된 공기가 흡입 유로(P1) 내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연장관(73)의 일측 단부는 메인 바디(10)의 흡입부(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노즐부(71)를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핸들(30)을 잡고 노즐부(71)를 이동시키면서 청소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메인 바디(10)는, 청소기(1)의 외관을 형성한다. 메인 바디(10)는 전체적으로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10)의 내부에 먼지 분리부(20)가 수용된다. 메인 바디(10)의 내부에 팬 모듈(도시하지 않음)이 수용된다. 메인 바디(10)의 후측에 핸들(30)이 결합된다. 메인 바디(10)의 후측에 배터리 하우징(40)이 결합된다.
메인 바디(10)는, 메인 바디(10) 내로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부(11)를 포함한다. 흡입부(11)는 흡입 유로(P1)를 형성한다. 흡입부(11)는 메인 바디(1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메인 바디(10)는 배기구(10a, 10a')를 형성하는 배출 커버(12)를 포함한다. 배출 커버(12)는 소리 방출구(도시하지 않음)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배출 커버(12)는 메인 바디(10)의 상측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배출 커버(12)는 팬 모듈 하우징(14)의 상측부를 덮어준다.
메인 바디(10)는 먼지 분리부(2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기 위한 먼지 수집부(13)를 포함한다. 먼지 수집부(13) 내에 먼지 분리부(2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먼지 수집부(1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지 수집부(13)는 팬 모듈 하우징(14)의 하측에 배치된다. 먼지 수집부(13)의 내부에 먼지의 저장 공간이 형성된다. 먼지 수집부(13)와 먼지 유동 가이드(24) 사이에 제 1저장 공간이 형성된다. 먼지 유동 가이드(24)의 내부에 제 2저장 공간이 형성된다.
메인 바디(10)는 내부에 팬 모듈을 수용하는 팬 모듈 하우징(14)을 포함한다. 팬 모듈 하우징(14)은 먼지 수집부(13)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팬 모듈 하우징(14)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팬 모듈 하우징(14)의 후측에 핸들(30)의 연장부(31)가 배치된다.
메인 바디(10)는 먼지 수집부(13)를 개폐하도록 구비된 먼지 커버(15)를 포함한다. 먼지 커버(15)는 먼지 수집부(13)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먼지 커버(15)는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먼지 수집부(13)의 하측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먼지 커버(15)는 회전을 위한 힌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먼지 수집부(1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먼지 커버(15)는 상기 제 1저장 공간와 상기 제 2저장 공간를 함께 개폐할 수 있다.
메인 바디(10)는, 상기 유로 내의 공기가 메인 바디(10)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10a)를 형성한다. 배기구(10a)는 배출 커버(12)에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10a)는 메인 바디(10)의 상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기구(10a)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서 청소기 주변의 먼지가 비산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배기구(10a)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사용자에게 직접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배기구(10a)는 특정 방향(예를 들어, 상측 방향)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배기구(10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 방향(Ae)은 상기 특정 방향이 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 소정의 축(O)은, 메인 바디(10)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며 상기 특정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을 의미한다. '원심 방향'은 상기 축(O)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원심 반대 방향'은 상기 축(O)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원주 방향'은 상기 축(O)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또는 회전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원주 방향은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공기의 배출 방향(Ae)은 상기 특정 방향과 상기 원심 방향의 사이 방향일 수 있다. 상기 공기의 배출 방향(Ae)은 상기 특정 방향과 원주 방향의 사이 방향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의 배출 방향(Ae)은 상기 특정 방향과 상기 반시계 방향의 사이 방향일 수 있다. 상기 공기의 배출 방향(Ae)은, 상기 특정 방향과 상기 원심 방향과 상기 원주 방향이 3차원적으로 합성된 방향일 수도 있다.
배기구(10a)는 상기 축(O)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기구(10a)는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거나 연장될 수 있다. 배기구(10a)는, 소정의 축(O)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중심각 180도를 초과하여 연장된 소정의 주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와 같이 주변 영역은 상기 축(O)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중심각 360도로 연장된다. 즉, 주변 영역은 상기 축(O)의 둘레를 완전히 에워싼다.
배기구(10a)는, 주변 영역에서, ⅰ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거나 ⅱ복수 개로 분할되어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와 같이 복수 개의 배기구(10a)가 주변 영역을 따라 배열된다. 복수의 배기 가이드(12a)에 의해 복수 개의 배기구(10a)가 상기 원주 방향으로 서로 분할된다. 복수 개의 배기구(10a)는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메인 바디(10)는, 배기구(10a)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축(O)을 기준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배기 가이드(12a)를 포함한다. 배기 가이드(12a)는 상기 축(O)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배출 커버(12)는 배기구(10a)를 복수 개로 분할시키는 배기 가이드(12a)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커버(12)는 배기구(10a)를 복수 개로 분할시키는 복수의 배기 가이드(12a)를 포함한다. 복수의 배기 가이드(12a)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된다. 각각의 배기 가이드(12a)는 상기 원주 방향 및 상기 원심 방향의 사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인접하는 2개의 배기구(10a)를 분할시킨다. 인접한 2개의 배기 가이드(12a)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배기구(10a)가 된다. 배기 가이드(12a)는, 공기가 상기 특정 방향과 상기 원심 방향과 상기 원주 방향이 3차원적으로 합성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한다.
핸들(30)은 메인 바디(10)에 결합된다. 핸들(30)은 메인 바디(10)의 후측에 결합될 수 있다. 핸들(30)은 배터리 하우징(4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핸들(30)은 메인 바디(10)에서 후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연장부(31)를 포함한다. 연장부(31)는 추가 연장부(32)의 상측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3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핸들(3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추가 연장부(32)를 포함한다. 추가 연장부(32)는 메인 바디(10)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추가 연장부(32)를 쥐고 청소기(1)를 이용할 수 있다. 추가 연장부(32)의 상단은 연장부(31)의 후단에 연결된다. 추가 연장부(32)의 하단은 배터리 하우징(40)에 연결된다.
상기 추가 연장부(32)에는, 사용자가 상기 추가 연장부(32)를 잡은 상태에서 손이 상기 추가 연장부(32)의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제한부(3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제한부(32a)는 상기 추가 연장부(32)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제한부(32a)는 상기 연장부(31)와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사용자는 추가 연장부(32)를 쥔 상태에서, 사용자의 쥔 손의 일부 손가락은 상기 이동 제한부(32a)의 상방에 위치되고, 나머지 손가락은 상기 이동 제한부(32a)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핸들(30)은 상측과 후방의 사이 방향을 바라보는 경사면(33)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33)은 연장부(31)의 후면을 위치할 수 있다. 경사면(33)에 입력부(3)가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Bt)는 팬 모듈(50, 5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Bt)는 상기 소음 제어 모듈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Bt)는 배터리 하우징(4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40)은 메인 바디(10)의 후측에 결합된다. 배터리 하우징(40)은 핸들(30)의 하측에 배치된다. 배터리 하우징(40)의 내부에 상기 배터리(Bt)가 수용된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40)에는 상기 배터리(Bt)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방열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청소기(1)는 흡입 모터의 제어를 위한 피씨비(PCB)(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피씨비는 흡입 모터와 먼지 분리부(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청소기(1)는 흡입 모터로 공기가 흡입되기 전에 공기를 필터링하는 프리 필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 필터는 임펠러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팬 모듈 유로 상의 공기는 프리 필터를 통과하여 임펠러에 도달하게 된다. 프리 필터는 메인 바디(10)의 내부에 배치된다. 프리 필터는 배출 커버(12)의 하방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배출 커버(12)를 청소기(1)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프리 필터를 메인 바디(10)의 내부에서 인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부(3)는 핸들(30)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 제한부(32a)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입력부(3)는 상기 경사면(33)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4)는 연장부(31)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출력부(4)는 연장부(31)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4)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액정표시장치(LCD),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또는 LED로 구현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화면이 액정표시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 화면은 피씨비에 구비되어 있는 기능블럭들에 의해 전원 및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며, 특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 가능하다.
이때, 디스플레이 화면은 가로*세로가 소정 크기를 가지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출력부(4)는 피씨비에 구비되어 있는 기능블럭에 따라 특정 상황에서만 전원이 인가되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선택적 전원 인가를 위해 본 발명의 청소기(1)는 배출 커버(12)에 움직임 센서(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센서(15)는 전방에 이동하는 물체, 일 예로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센서, 이미지 센서 등의 센서 소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기능 블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청소기의 피씨비는 대기모드에서 메인바디(10)의 전방에서 움직이는 사물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센서(15)를 더 포함한다. 움직임 센서(15)가 초음파 센서인 경우, 도 6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초음파 센서는 기판(20) 위에 초음파 송신부(21) 및 초음파 수신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송신부(21) 및 초음파 수신부(22)는 기판(20)의 동일 면 위에 배치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렌즈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송신부(21)는 메인바디(10)의 정면으로 주기적으로 초음파를 발송하여 전방에 위치하는 사물을 감지하며, 초음파 수신부(22)는 전방에 위치하는 사물에 부딪혀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상기 사물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움직임 센서(15)가 이미지 센서인 경우, 특정 파장의 적외선을 방출하는 적외선 발생기 및 상기 적외선 발생기가 상기 사물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빛을 수신하는 광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카메라를 포함하여, 전방의 사물을 연속하여 촬영하고, 해당 이미지로부터 사물의 특징을 추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배터리(Bt)로부터의 전원을 표시부(4) 등의 기능블럭에 전달하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제어부(100)는 모터를 회전하기 위한 전류를 전송하고, 설정되어 있는 주기에 따라 상기 모터의 출력 전류를 읽어 들여 동작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청소 동작을 수행하지 않은 대기 모드에서 상기 표시부(4)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움직임 센서(15)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수득하여 상기 표시부(4)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소한의 영상만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저장부(18)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여 표시부 및 움직임 센서(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00)는 설정되어 있는 주기에 따라 움직임 센서(15)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수득하고, 수신된 감지 신호로부터 전방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방에 물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대기 모드에서 상기 표시부(4)에 전원을 인가하여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영상은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편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간단한 로직만을 추가함으로써 대기 모드에서 움직임 센서(15)의 출력값을 읽어 최소한의 시간 동안만 표시부(4)를 턴온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음향 출력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른 결과 또는 반응에 대한 응답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1)는 통신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부(16)를 통하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제어부(100)의 판단 결과에 따른 알람 또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4)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대기 모드는 해당 청소기(1)가 충전 중 이거나 충전 중이 아닌 상태에서도 청소 중이 아닌 상태, 즉 모터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1)는 충전대에 결합되어 충전대로부터 전력을 받아 배터리(Bt)에 충전을 진행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벽 등에 기대어진 생태로 청소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대기 모드가 시작되면, 제어부(100)는 소정 시간 동안 표시부(4)에 전원을 인가하고, 표시부(4)는 전원을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전달한다(S10).
이때, 전달되는 정보는 도 8a와 같이 무선 통신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 충전 레벨을 나타내는 아이콘, 청소의 진행 경과를 나타내는 아이콘 또는 청소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충전 레벨만을 나타내는 아이콘만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표시부(4)가 전원을 수신하고, 해당 정보를 표시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00)는 상기 표시부(4)에 전원을 오프하고, 표시부(4)를 도 8b와 같은 상태로 변경한다.
따라서, 표시부(4)가 액정표시장치인 경우, 해당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소자들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함으로써 장시간 동안 동일한 표시를 나타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부(4)가 오프된 이후, 제어부(100)는 설정되어 있는 주기에 따라 해당 주기에 움직임 센서(15)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한다(S20).
즉, 움직임 센서(15)가 초음파 센서인 경우, 초음파 송신부(21)가 주기적으로 초음파를 전방에 방출하고, 초음파 수신부(22)가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득하고 그에 따른 감지 신호를 제어부(100)로 전송한다.
제어부(100)는 해당 주기에 수신되는 감지 신호를 판독하고, 판독된 감지 신호로부터 전방에 사물, 일 예로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30), 다시 표시부(4)에 전원을 인가한다.
따라서 표시부(4)는 해당 주기에 사물이 전방에 존재하면 다시 턴온되어 도 8a와 같은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0).
따라서, 사용자가 근접하였을 때, 표시부(4)가 턴온되어 해당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전방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부(4)의 턴오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표시부(4)의 전력 소모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한편 표시부(4)가 턴온된 상태로, 임계 시간이 경과하면(S50), 제어부(100)는 상기 움직임 센서(15)로부터 다시 감지 신호를 수득하고 이를 판독하여 전방에 사용자가 계속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한다(S60).
사용자가 청소기(1)의 전방에 연속하여 존재하는 경우에는 표시부(4)의 전원을 턴온된 상태로 계속적으로 유지하고, 전방에 사용자가 없는 경우에는 표시부(4)의 전원을 오프하여 도 8b와 같은 상태로 가변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00)는 청소를 진행하지 않는 대기 모드에서 전방에 주기적으로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 즉 사용자가 전방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감지하고 그에 따라 소정 시간 동안만 표시부(4)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표시부(4)의 턴온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4)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고, 표시부(4)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동일한 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액정 열화에 따른 burn in 현상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메인 바디 10a: 배기구
11: 흡입부 12: 배출 커버
20: 먼지 분리부 30: 핸들
31: 연장부 32: 추가 연장부 100: 제어부 15: 움직임 센서
4 : 표시부

Claims (20)

  1.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후측에 결합된 핸들;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핸들 사이에 배치되며 현재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
    상기 유로 상에 배치되어 유로 내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 모듈;
    상기 팬 모듈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며, 대기모드에서 전방에 존재하는 사물의 유무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온오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 및 상기 핸들 사이를 연결하는 핸들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핸들 연장부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모드가 시작되면, 소정 시간동안 상기 표시부를 턴온한 뒤 턴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는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에 움직이는 사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센서는 초음파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센서는 상기 메인 바디의 커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센서는,
    커버에 부착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배치되어 전방으로 초음파를 방출하는 초음파 발생부, 그리고
    상기 기판의 제1면에 상기 초음파 발생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전방의 사물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득하는 초음파 수신부
    를 포함하는, 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상기 움직임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득하고, 상기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전방에 사물이 존재하면 상기 표시부를 턴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턴온한 후, 임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움직임 센서로부터 다시 감지 신호를 수득하고, 전방에 상기 사물이 연속하여 존재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턴온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사물이 없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턴오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센서는
    전방에 적외선 신호를 발송하고, 반사되는 광을 광전변환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충전 정보, 통신 정보, 충전 레벨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청소기가 충전 중인 상태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청소기가 청소 동작을 진행하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5.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후측에 결합된 핸들 및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핸들 사이에 배치되며 현재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청소를 진행하는 청소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대기모드가 시작되면, 상기 표시부를 턴온하여 소정 시간 동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턴오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대기모드에서 전방에 존재하는 사물의 유무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턴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청소기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는 상기 메인 바디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에 움직이는 사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센서는 상기 메인 바디의 커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에 부착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배치되어 전방으로 초음파를 방출하는 초음파 발생부, 그리고
    상기 기판의 제1면에 상기 초음파 발생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전방의 사물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득하는 초음파 수신부
    를 포함하는, 청소기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를 턴온하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상기 움직임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득하고, 상기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전방에 사물이 존재하면 상기 표시부를 턴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표시부를 턴온한 후, 임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움직임 센서로부터 다시 감지 신호를 수득하고, 전방에 상기 사물이 연속하여 존재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턴온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사물이 없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턴오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이고,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청소기가 충전 중인 상태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제어 방법.
KR1020190105317A 2019-08-27 2019-08-27 청소기 KR20210025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317A KR20210025762A (ko) 2019-08-27 2019-08-27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317A KR20210025762A (ko) 2019-08-27 2019-08-27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762A true KR20210025762A (ko) 2021-03-10

Family

ID=75147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317A KR20210025762A (ko) 2019-08-27 2019-08-27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57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0101B2 (en) Robot cleaner and self testing method of the same
US9928459B2 (en) Robotic cleaner and self testing method of the same
US9723962B2 (en) Dust inflow sensing unit and robot cleaner having the same
KR101689133B1 (ko)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771869B1 (ko) 주행체 장치
KR101822942B1 (ko)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864699B2 (en) Cleaning device
WO2015137564A1 (ko)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7044533A (ja) ダストタンク分離感知機能を有するロボット掃除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50102365A (ko) 로봇청소기
KR20160040746A (ko) 먼지 센서, 먼지 측정 장치, 로봇 청소기 및 그들의 제어 방법
JP2014180501A (ja) 自走式掃除機
RU2552763C2 (ru) Электропылесос
KR20210029583A (ko) 청소기 및 청소기의 제어 방법
KR20140083402A (ko) 자동 청소기
CN114938927A (zh) 自动清洁设备、控制方法及存储介质
EP3861913B1 (en) Cleaner with a dust sensor
KR20210025762A (ko) 청소기
US20230117115A1 (en) Clean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17365667U (zh) 自动清洁设备
JP2022163754A (ja) 掃除機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101812A (ja) 自律走行型掃除機
JP2020099461A (ja) 自律走行型掃除機
KR20150137643A (ko)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32241B1 (ko) 청소 로봇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