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646A -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646A
KR20210025646A KR1020217003192A KR20217003192A KR20210025646A KR 20210025646 A KR20210025646 A KR 20210025646A KR 1020217003192 A KR1020217003192 A KR 1020217003192A KR 20217003192 A KR20217003192 A KR 20217003192A KR 20210025646 A KR20210025646 A KR 20210025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glass
flow direction
glass
inle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사쿠 타마무라
야스히로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5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6Outlets, e.g. drains, siphons; Overflows, e.g. for supplying the float tank, twe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상태 조정조(7)에서 상태의 조정이 이루어진 용융 유리(Gm)를 성형체(8)에 공급하여 유리 리본(Gr)을 성형할 때에 상태 조정조(7)의 유입구(7a)에 유입관(11)이 접속되고, 용융 유리(Gm)의 흐름 방향 상류단이 되는 유입관(11)의 일단(11a)을 통과할 때의 용융 유리(Gm)의 흐름 방향을 기준 흐름 방향(d0)으로 하고, 유입관(11)의 타단(11b)으로부터 상태 조정조(7)의 내부로 유입할 때의 용융 유리(Gm)의 흐름 방향을 유입 시 흐름 방향(d1)으로 했을 때, 유입관(11)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유입 시 흐름 방향(d1)이 기준 흐름 방향(d0)에 대하여 좌우 중 어느 일방의 측을 향하도록 유입관(11)이 구부러져 있다.

Description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본 발명은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성형체에 이르는 용융 유리의 반송 경로를 개량함으로써 제조 라인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유리 롤이나 판 유리의 제조 라인은 용융 유리가 흐르는 용융 라인과, 유리 리본이 흐르는 가공 라인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용융 라인은 예를 들면,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용해조와, 청징조와, 교반조 등의 균질화조와, 상태 조정조와, 성형체를 구비함과 아울러, 이들 각 조와 성형체가 용융 유리의 공급관에 의해 접속된 구성을 이룬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또한, 유리 롤의 제조 라인에 있어서 유리 리본의 반송방향은 종방향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전환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를 참조). 이 때문에 가공 라인은 제조 라인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용융 라인의 종단(성형체)으로부터 용융 라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2016-88754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1-16705호 공보
이렇게 유리 롤의 제조 라인에 있어서는 용융 라인과 가공 라인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유리 롤의 제조 라인을 병렬로 배치하면, 가공 라인의 분만큼 용융 라인 간의 거리를 두지 않으면 안 되어서 설치 스페이스 상의 낭비가 생긴다. 또한, 용융 라인과 가공 라인이 직교하는 위치 관계밖에 채용될 수 없다면 제조 라인의 레이아웃이 제한되어 레이아웃을 유연하게 변경하는 것도 어렵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예를 들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레이아웃이 고려된다. 이 레이아웃에 있어서는 상태 조정조(101)는 도시하지 않은 균질화조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성형체(102)는 상태 조정조(101)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도 9를 참조). 그리고, 균질화조와 상태 조정조(101)가 소정 형상의 접속관(103)(도 10을 참조)에 의해 접속됨과 아울러, 상태 조정조(101)와 성형체(102)가 소정의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이루는 접속관(104)(도 9를 참조)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상태 조정조(101)의 유출구(101a)는 하방을 향하고 있으며(도 9를 참조), 이 유출구(101a)에 접속되는 접속관(104)이 이 접속관(104)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상태 조정조(101) 내로의 용융 유리(Gm)의 유입방향(d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도 10을 참조). 이렇게 접속관(104)을 구부린 구성으로 함으로써 유리 리본(Gr)의 이송방향(D0)과, 용융 유리(Gm)의 흐름 방향(상태 조정조(101) 내부로의 용융 유리(Gm)의 유입방향(d0))이 평행해지므로 용융 라인과 가공 라인을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9 및 도 10 중, 부호 101b는 상태 조정조(101)의 유입구, 부호 102a는 성형체(102)의 유입구, 부호 Gr1, Gr2는 성형되는 유리 리본(Gr)의 폭방향 양단부를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용융 라인을 구비한 제조 라인을 가동했을 경우, 성형체(102)에 이르기까지의 각 조(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균질화조(105)나 상태 조정조(101)) 내에 용융 유리(Gm)의 정체 영역(R1, R2)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들 정체 영역(R1, R2) 내의 용융 유리(Gm1', Gm2')는 정체 영역(R1, R2)을 통과하는 일 없이 성형체(102)에 이른 용융 유리(Gm)와 상이한 온도 이력을 거치고 있기 때문에 이질이 되기 쉽다. 종래 구성의 용융 라인이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체 영역(R1, R2) 내의 용융 유리(Gm1', Gm2')는 상태 조정조(101)의 하방으로부터 접속관(106)을 흘러서 성형체(102)의 유입구(102a)의 상부 또는 하부를 통과하여 성형품인 유리 리본(Gr)의 폭방향 양단부(Gr1, Gr2)가 된다. 유리 리본(Gr)의 폭방향 양단부(Gr1, Gr2)는 통상 그 후의 가공 라인에 있어서 절단 등에 의해 제거되기 때문에 이질적인 용융 유리(Gm1', Gm2')가 최종 제품 내에 남는 일도 없어 특별히 문제는 없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제안의 용융 라인(도 9 및 도 10을 참조)의 경우, 접속관(104)을 하방으로부터 상태 조정조(101)로의 용융 유리(Gm)의 유입방향(d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체 영역(R1, R2)의 용융 유리(Gm1', Gm2')는 접속관(104) 중 종래 구성의 용융 라인에 있어서 흐르는 부분(도 12)과는 상이한 부분을 흘러 성형체(102)의 유입구(102a) 중 상하방향의 중간부를 통과하여 성형체(8) 내로 유입한다. 그 때문에 이들 정체 영역(R1, R2)의 용융 유리(Gm1', Gm2')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리본(Gr)의 폭방향 양단부(Gr1, Gr2) 사이에 위치하는 제품 부분에 혼입하여 가공 후의 유리 리본(Gr)(즉, 제품으로서의 유리 롤이나 유리판)에 이질적인 용융 유리(Gm1', Gm2')가 남아 제품 불량을 발생시킨다.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용융 라인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이질적인 용융 유리가 유리 리본의 제품 부분에 남는 사태를 방지하면서 유리 물품의 제조 라인의 레이아웃에 관한 자유도를 높이는 것을 해결해야 할 기술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즉, 이 제조 방법은 용융 유리 생성 장치로 용융 유리를 생성하는 생성 공정과, 생성한 용융 유리의 상태를 상태 조정조에서 조정하는 상태 조정 공정과, 상태의 조정이 이루어진 용융 유리를 성형체에 공급해서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구비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태 조정조에 형성된 용융 유리의 유입구에, 용융 유리 생성 장치의 측으로부터 상태 조정조의 내부로 용융 유리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관이 접속되고, 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 상류측이 되는 유입관의 일단을 통과할 때의 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을 기준 흐름 방향으로 하고, 유입관의 타단으로부터 상태 조정조의 내부로 유입할 때의 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을 유입 시 흐름 방향으로 했을 때, 유입관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유입 시 흐름 방향이 기준 흐름 방향에 대하여 좌우 중 어느 일방의 측을 향하도록 유입관이 구부러져 있는 점을 가지고 특징지어진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한 제조 방법에서는 상태 조정조의 유입구에 접속되는 유입관의 형상에 착안하여 이 유입관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용융 유리의 유입 시 흐름 방향(상태 조정조의 내부로 유입할 때의 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이 기준 흐름 방향(유입관의 일단을 통과할 때의 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좌우 중 어느 일방의 측을 향하도록 당해 유입관을 구부리도록 했다. 이렇게 종래 직선 형상을 이루고 있던 유입관을 구부림으로써, 만일 상태 조정조보다도 상류측의 층(균질화조 등)에서 용융 유리의 정체 영역이 생겼다고 해도 이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는 유입관의 일단으로 유입했을 때의 위치(예를 들면, 유입관의 하부)를 가급적으로 유지하여 유입관의 타단, 즉 상태 조정조의 유입구에 이른다. 따라서, 상태 조정조와 성형체를 종래의 양태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접속관 내에서의 용융 유리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키는 일 없이 당해 용융 유리는 성형체의 유입구의 상부 또는 하부를 통과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가 흘러들어 왔다고 해도 당해 용융 유리를 성형체에 의해 성형되는 유리 리본의 폭방향 양단부가 되는 영역으로 흘러들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 직선 형상을 이루고 있던 유입관을 상술한 바와 같이 구부림으로써 유입관의 하류단과 접속되는 상태 조정조의 유입구의 방향은 용융 유리가 용융 유리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후, 상태 조정조에 이르는 동안의 흐름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이 된다. 따라서, 이 상태 조정조 내부로 유입할 때의 흐름 방향(유입 시 흐름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성형체의 유입구의 방향을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이질적인 용융 유리가 가공 후의 유리 리본에 남아 제품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는 사태를 가급적으로 방지하면서 제조 라인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상태 조정조의 유출구와 성형체의 유입구가 접속관에 의해 접속되고, 접속관은 상태 조정조의 유출구와 같은 방향으로부터 접속관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유입 시 흐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어도 좋다.
이렇게 유입 시 흐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구부러진 접속관에 의해 상태 조정조의 유출구와 성형체의 유입구를 접속함으로써 접속관 내에서의 용융 유리의 상대 위치를 유지하여 성형체의 유입구의 상부 또는 하부에 용융 유리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가 유입관을 통해 상태 조정조로 흘러들어 왔다고 해도 당해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는 유입관의 일단으로 유입했을 때의 위치(예를 들면, 유입관 내부 공간의 하부)를 유지하여 상태 조정조의 유입구에 이르고, 또한 접속관 내에서도 그 상대 위치를 유지한 채 성형체의 유입구(이 경우, 유입구의 하부)에 이른다. 이것에 의해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가 흘러들어 왔다고 해도 이 바람직하지 않은 용융 유리가 유리 리본의 제품 부분에 혼입하는 사태를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유입관은 유입관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유입관의 일단측으로부터 기준 흐름 방향에 대하여 좌우 타방의 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스트레이트부와, 스트레이트부의 하류단으로부터 유입 시 흐름 방향으로 구부러져서 상태 조정조의 유입구에 접속되는 굽힘부를 갖는 것이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관에 그 일단측으로부터 기준 흐름 방향에 대하여 좌우 타방의 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스트레이트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스트레이트부의 하류단으로부터 유입 시 흐름 방향으로 구부러져서 성형체의 유입구에 접속되는 굽힘부를 형성함으로써 기준 흐름 방향에 대한 굽힘부의 굽힘방향(좌우 일방의 측)과는 좌우 역방향으로 스트레이트부가 경사진 상태가 된다(후술하는 도 3 등을 참조). 따라서, 유입관의 일단측으로부터 굽힘부의 상류단까지의 관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성형체는 오버플로우 홈으로부터 넘쳐 나온 용융 유리를 양 측면을 따라 유하시킴으로써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것이며, 성형체의 유입구는 양 측면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형성되고, 또한 기준 흐름 방향과 유입 시 흐름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로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유리 물품은 유리 리본을 롤형상으로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유리 롤이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성형체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부린 형태를 이루는 유입관(또는 굽힘부)을 접속함으로써 기준 흐름 방향과, 성형체에 의해 성형되는 유리 리본의 주표면의 방향(법선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유리 롤의 제조 공정에서는 성형된 유리 리본은 하방으로 인출된 후, 커티너리를 개재하여 수평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반송되므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용융 라인과 가공 라인을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리 롤의 제조 라인을 그 폭방향(용융 라인에 있어서는 그 폭방향과 같은 방향을 말하고, 가공 라인에 있어서는 유리 리본의 폭방향을 말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동일)으로 좁힐 수 있으므로 유리 롤의 제조 라인을 병렬로 복수 배치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과제의 해결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즉, 이 제조 장치는 용융 유리를 생성하는 용융 유리 생성 장치와, 생성한 용융 유리의 상태를 조정하는 상태 조정조와, 상태의 조정이 이루어진 용융 유리를 유리 리본으로 성형하는 성형체를 구비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태 조정조에 형성된 용융 유리의 유입구에, 용융 유리 생성 장치의 측으로부터 상태 조정조의 내부로 용융 유리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관이 접속되고, 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 상류측이 되는 유입관의 일단을 통과할 때의 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을 기준 흐름 방향으로 하고, 유입관의 타단으로부터 상태 조정조의 내부로 유입할 때의 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을 유입 시 흐름 방향으로 했을 때, 유입관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유입 시 흐름 방향이 기준 흐름 방향에 대하여 좌우 중 어느 일방의 측을 향하도록 유입관이 구부러져 있는 점을 가지고 특징지어진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한 제조 장치에 있어서도 종래 직선 형상을 이루고 있던 유입관을 구부림으로써, 만일 상태 조정조보다도 상류측의 층에서 용융 유리의 정체 영역이 생겼다고 해도 이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는 유입관의 일단으로 유입했을 때의 위치를 가급적으로 유지하여 상태 조정조의 유입구에 이른다. 따라서, 상태 조정조와 성형체를 종래의 양태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접속관 내에서의 용융 유리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키는 일 없이 성형체에 공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가 흘러들어 왔다고 해도 성형체의 유입구의 하부 또는 상부를 통과하여 당해 용융 유리를 유리 리본의 폭방향 양단부가 되는 영역으로 흘러들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 직선 형상을 이루고 있던 유입관을 상술한 바와 같이 구부림으로써 유입관의 하류단과 접속되는 상태 조정조의 유입구의 방향은 용융 유리가 용융 유리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후, 상태 조정조에 이르는 동안의 흐름 방향과는 다른 방향이 된다. 따라서, 이 상태 조정조 내부로 유입할 때의 흐름 방향을 조정 함으로써 성형체의 유입구의 방향을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이질적인 용융 유리가 제품에 남아 제품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는 사태를 가급적으로 방지하면서 제조 라인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용융 라인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이질적인 용융 유리가 유리 리본의 제품 부분에 남는 사태를 방지하면서 유리 물품의 제조 라인의 레이아웃에 관한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의 요부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의 요부를 평면으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제 3 접속관 및 그 주변부를 평면으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제 3 접속관 및 그 주변부를 Y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제 3 접속관 및 그 주변부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가 성형체 내부에 이르기까지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그린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제 3 접속관 주위의 용융 유리의 흐름을 Y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의 요부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과의 비교에 사용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의 요부를 측면에서 본 도면으로서, 상태 조정조와 성형체를 접속하는 접속관을 Y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접속관 및 그 주변부를 평면으로 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접속관을 구비한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가 성형체 내부에 이르기까지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그린 정면도이다.
도 12는 종래 구성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가 성형체 내부에 이르기까지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그린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내는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의 흐름을 Y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 1~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1)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2는 같은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1)를 평면으로 본 도면이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조 장치(1)는 대별하여 용융 유리(Gm)가 흐르는 용융 라인(2)과, 용융 라인(2)에 의해 성형된 유리 리본(Gr)의 가공 라인(3)을 구비한다. 이 중, 용융 라인(2)은 최상류역에 배치된 용융 유리 생성 장치로서의 용해조(4)와, 용해조(4)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청징조(5)와, 청징조(5)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균질화조(6)와, 균질화조(6)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상태 조정조(7)와, 상태 조정조(7)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성형체(8)와, 각 조(4~7), 및 성형체(8) 간을 접속하는 접속관(9~12)을 구비한다.
또한, 유리 리본(Gr)의 가공 라인(3)은 예를 들면, 모두 도시는 생략하지만, 성형체(8)의 하방에 위치하고, 성형체(8)에 의해 성형한 유리 리본(Gr)에 서냉 처리를 실시하는 서냉 처리부와, 서냉 처리가 실시된 유리 리본(Gr)을 소정의 온도, 예를 들면 실온 부근으로까지 냉각하는 냉각부와, 냉각 후의 유리 리본(Gr)의 이송방향을 종방향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전환하는 방향 전환부와, 횡방향으로 반송되는 유리 리본(Gr)의 폭방향 양단부(귀부라고도 한다)를 유리 리본(Gr)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제 1 절단부와, 폭방향 양단부가 제거된 유리 리본(Gr)을 폭방향을 따라 절단하는 제 2 절단부와, 제 2 절단부를 통과한 유리 리본(Gr)을 롤형상으로 권취하는 권취부를 구비한다. 물론, 상술의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상술한 구성요소의 일부를 변경, 생략해도 좋고, 또는 상기 이외의 구성요소를 필요에 따라 추가해도 좋다. 이하, 용융 라인(2)에 대하여 균질화조(6)와 상태 조정조(7)의 접속 양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용해조(4)는 투입된 유리 원료를 용해해서 용융 유리(Gm)를 생성하는 생성 공정을 행하기 위한 용기이다. 용해조(4)는 제 1 접속관(9)에 의해 청징조(5)에 접속되어 있다.
청징조(5)는 제 1 접속관(9)을 개재하여 용해조(4)로부터 공급된 용융 유리(Gm)를 청징제 등의 작용에 의해 청징하는 청징 공정을 행하기 위한 용기이다. 청징조(5)는 제 2 접속관(10)에 의해 균질화조(6)에 접속되어 있다.
균질화조(6)는 청징된 용융 유리(Gm)를 교반하고, 균일화하는 균질화 공정을 행하기 위한 용기이다. 균질화조(6)는 제 3 접속관(11)에 의해 상태 조정조(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균질화조(6)는 도시와 같이 1개이어도 좋고, 2개 이상 배열하여 배치해도 좋다.
상태 조정조(7)는 용융 유리(Gm)를 성형에 적합한 상태로 조정하는 상태 조정 공정을 행하기 위한 용기이며, 예를 들면 성형체(8)에 공급하는 용융 유리(Gm)의 유량을 조정한다. 상태 조정조(7)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접속관(11)이 접속되고, 제 3 접속관(11)으로부터 용융 유리(Gm)가 유입하는 상부(7a)와, 상태의 조정이 이루어진 용융 유리(Gm)가 유출하는 하부(7b)와, 상부(7a)와 하부(7b)를 연결하는 중간부(7c)를 구비한다. 상부(7a)의 측면에는 용융 유리(Gm)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7d)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7b)의 하단에는 용융 유리(Gm)의 유출구(7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상태 조정조(7)는 제 4 접속관(12)에 의해 성형체(8)에 접속되어 있다.
성형체(8)는 용융 유리(Gm)를 소망의 형상으로 성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성형체(8)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용융 유리(Gm)를 띠 형상으로 성형한다. 상세하게는, 성형체(8)는 단면 형상이 대략 쐐기 형상을 이루고, 그 상부에 오버플로우 홈(8a)을 가짐과 아울러, 오버플로우 홈(8a)으로부터 넘쳐 나온 용융 유리(Gm)를 유하시키는 양 측면(8b, 8b)을 갖는다. 상기 구성에 의한 성형체(8)는 양 측면(8b, 8b)을 따라 유하시킨 용융 유리(Gm)를 양 측면(8b, 8b)의 하측 정상부에서 융합시켜 띠 형상의 유리 리본(Gr)으로 성형가능하게 하고 있다. 성형된 유리 리본(Gr)은 예를 들면, 두께가 0.01~2㎜(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이며,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유기 EL 조명, 태양 전지 등의 기판이나 보호 커버에 이용된다. 또한, 성형체(8)는 슬롯 다운드로우법 등의 다른 다운드로우법을 실행하는 것이어도 좋다.
제 1 접속관(9)~제 4 접속관(12)은 예를 들면, 백금 또는 백금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원통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용해조(4)로부터 하류측에 인접하는 각 조(5~7), 및 성형체(8)에 용융 유리(Gm)를 순차 반송한다.
도 3은 균질화조(6)와 상태 조정조(7)를 접속하는 제 3 접속관(11) 및 그 주변부를 평면으로 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접속관(11)은 소정의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제 3 접속관(11)이 본 발명에 의한 유입관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접속관(11)은 제 3 접속관(11)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스트레이트부(13)와, 스트레이트부(13)의 하류단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구부러져서 상태 조정조(7)의 유입구(7a)에 접속되는 제 1 굽힘부(14)와, 균질화조(6)의 유출구(6a)와 스트레이트부(13)의 상류단을 접속하는 제 2 굽힘부(15)를 갖는다.
또한, 제 3 접속관(11)의 상류단(11a)을 통과하는 용융 유리(Gm)의 흐름 방향(기준 흐름 방향(d0))과, 하류단(11b)을 통과하는 용융 유리(Gm)의 흐름 방향(유입 시 흐름 방향(d1))의 관계에서 말하면, 제 3 접속관(11)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접속관(11)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기준 흐름 방향(d0)에 대하여 유입 시 흐름 방향(d1)이 좌우 중 어느 일방의 측을 향하도록 제 3 접속관(11)이 구부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X방향 및 Y방향은 수평방향, Z방향은 연직방향이며, 기준 흐름 방향(d0)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직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는 Y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한, 유입 시 흐름 방향(d1)은 연직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는 X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상으로부터 기준 흐름 방향(d0)과 유입 시 흐름 방향(d1)은 수평면이 되는 XY평면 상에서 서로 직교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트레이트부(13)는 제 3 접속관(11)의 상류단(11a)측으로부터 기준 흐름 방향(d0)에 대하여 좌우 타방의 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스트레이트부(13)의 하류단과 접속되는 제 1 굽힘부(14)는 유입 시 흐름 방향(d1)이 기준 흐름 방향(d0)에 대하여 좌우 일방의 측을 향하도록 구부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말하면, 스트레이트부(13)가 기준 흐름 방향(d0)에 대하여 우방향(도 3에서 말하면 하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제 1 굽힘부(14)는 스트레이트부(13)의 연신방향으로부터 기준 흐름 방향(d0)에 대하여 우방향(도 3에서 말하면 하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것에 대하여 상태 조정조(7)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균질화조(6)의 유출구(6a)보다도 -X방향의 측(도 4에서 말하면 좌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있다. 또한, 스트레이트부(13)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단측(좌측)으로부터 하류단측(우측)을 향함에 따라 +Z방향으로 이행하도록 수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위쪽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제 1 굽힘부(14)는 제 2 굽힘부(15)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다.
제 4 접속관(12)은 상태 조정조(7)로부터 유출한 용융 유리(Gm)를 성형체(8)에 공급가능하도록 상태 조정조(7)와 성형체(8)를 접속하는 것이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조정조(7)의 유출구(7e)와 같은 방향으로부터 유입 시 흐름 방향(d1)과 같은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태 조정조(7)의 하부(7b)(유출구(7e))가 연직 하방을 향하고 있는 경우, 제 4 접속관(12)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방향(연직방향)으로부터 X방향(수평방향)으로 90° 구부러져 있다. 이 경우, 성형체(8) 내부로의 용융 유리(Gm)의 유입방향(d2)과 상태 조정조(7) 내부로의 유입방향(유입 시 흐름 방향(d1))은 서로 평행한 관계에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제조 장치(1)를 사용한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특히 균질화조(6)로부터 성형체(8)에 이르는 용융 유리(Gm)의 흐름 양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제조 장치(1)를 사용하여 유리 물품을 제조할 때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유리 원료를 용융 라인(2)의 최상류역에 위치하는 용해조(4)에 투입하여 유리 원료를 용해함으로써 용융 유리(Gm)를 생성한다. 다음에 용융 유리(Gm)를 제 1 접속관(9)을 개재하여 청징조(5)에 공급하고, 청징조(5)에서 청징한 용융 유리(Gm)를 제 2 접속관(10)을 개재하여 균질화조(6)에 공급한다. 균질화조(6)에 공급된 용융 유리(Gm)는 교반 등에 의해 균질화된 후, 제 3 접속관(11)을 통해 상태 조정조(7)에 공급된다. 상태 조정조(7) 내에서 예를 들면, 유량을 조정한 용융 유리(Gm)가 제 4 접속관(12)을 통해 성형체(8)에 공급된다. 성형체(8)에서는 예를 들면,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용융 유리(Gm)를 띠 형상의 유리 리본(Gr)으로 성형한다. 성형된 유리 리본(Gr)은 용융 라인(2)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공 라인(3) 위를 반송되고, 절단 등 상술한 적당한 가공 또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예를 들면, 유리 롤이 얻어진다. 이렇게 해서 유리 물품의 제조가 연속적으로 실시된다.
그런데, 상기 구성의 제조 장치(1)에서 유리 물품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경우,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균질화조(6)의 저부에 용융 유리(Gm)의 정체 영역(R1)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정체 영역(R1)의 용융 유리(Gm1')는 균질화조(6)의 유출구(6a)로부터 제 3 접속관(11)의 상류단(11a)의 하부로 유입한다. 또는, 마찬가지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조정조(7)의 정상부(상부(7a) 중 유입구(7d)보다도 상방의 영역)에 용융 유리(Gm)의 정체 영역(R2)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정체 영역(R2)의 용융 유리(Gm2')는 유출구(7e)의 성형체(8)에 가까운 측(XYZ 좌표계에서 말하면 +X방향의 측)을 통해 제 4 접속관(12)의 상류단으로 유입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제조 장치(1)에서는 제 3 접속관(11)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용융 유리(Gm)의 유입 시 흐름 방향(d1)이 기준 흐름 방향(d0)에 대하여 좌우 중 어느 일방의 측을 향하도록 유입관으로서의 제 3 접속관(11)을 구부리도록 했다(도 3을 참조). 이렇게 제 3 접속관(11)을 구부림으로써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균질화조(6)에서 용융 유리(Gm)의 정체 영역(R1)이 생겼다고 해도 이 정체 영역(R1)의 용융 유리(Gm1')는 제 3 접속관(11)의 상류단(11a)으로 유입했을 때의 위치를 가급적으로 유지하여(여기서는 상류단(11a)의 하부, 제 2 굽힘부(15)의 하부(15a), 스트레이트부(13)의 하부(13a), 제 1 굽힘부(14)의 하부(14a), 그리고 하류단(11b)의 하부를 통해) 상태 조정조(7)의 유입구(7d)에 이른다. 또한, 상태 조정조(7)와 성형체(8)를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부러진 형태의 제 4 접속관(12)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정체 영역(R1)의 용융 유리(Gm1')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조정조(7)의 유출구(7e) 중에서 성형체(8)로부터 먼 측(XYZ 좌표계에서 밀하면, -X방향의 측)으로부터 제 4 접속관(12)의 굽힘부의 외측(12a)을 통해 성형체(8)의 유입구(8c)의 하부를 통과한다. 또는, 상태 조정조(7)의 정상부에 용융 유리(Gm)의 정체 영역(R2)이 생겼다고 해도 이 정체 영역(R2)의 용융 유리(Gm2')는 상태 조정조(7)의 유출구(7e) 중에서 성형체(8)에 가까운 측(XYZ 좌표계에서 말하면, +X방향의 측)으로부터 제 4 접속관(12)의 굽힘부의 내측(12b)을 통해 성형체(8)의 유입구(8c)의 상부를 통과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성형체(8)의 유입구(8c)를 통과한 각 정체 영역(R1, R2)의 용융 유리(Gm1', Gm2')는 유리 리본(Gr)의 폭방향 양단부(Gr1, Gr2)가 되는 영역으로 흘러든다(도 7을 참조).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하면, 제 3 접속관(11) 내로 유입했을 때의 정체 영역(R1)의 용융 유리(Gm1')의 위치를 제 3 접속관(11)의 하부, 및 제 4 접속관(12)의 굽힘부의 외측(12a)에서 가급적으로 유지하여 성형체(8)의 유입구(8c)의 하부를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제 4 접속관(12) 내로 유입했을 때의 정체 영역(R2)의 용융 유리(Gm2')의 위치를 제 4 접속관(12)의 굽힘부의 내측(12b)에서 가급적으로 유지하여 성형체(8)의 유입구(8c)의 상부를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이질적인 용융 유리(Gm1', Gm2')가 가공 후의 유리 리본(Gr)에 남아 제품(가공 후의 유리 리본(Gr))의 품질이 저하하는 사태를 가급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3 접속관(11)의 굽힘방향에 대해서는 제 3 접속관(11)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기준 흐름 방향(d0)에 대하여 좌우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이면 좋기 때문에 굽힘 후의 방향, 즉 상태 조정조(7)의 유입구(7d)의 방향(유입 시 흐름 방향(d1))을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성형체(8)의 유입구(8c)의 방향, 나아가서는 성형체(8)에 의해 성형되는 유리 리본(Gr)의 이송방향(D0)(즉, 가공 라인(3)의 방향)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성형체(8)의 유입구(8c)를 상부의 오버플로우 홈(8a)으로부터 넘쳐 나온 용융 유리(Gm)를 유하시키는 양 측면(8b, 8b)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형성함과 아울러, 기준 흐름 방향(d0)과 유입 시 흐름 방향(d1)이 이루는 각도를 90°로 설정하고, 또한 제 4 접속관(12)의 굽힘방향(성형체(8) 내부로의 유입방향(d2))을 상태 조정조(7)의 유출구(7e)와 같은 방향으로부터 제 4 접속관(12)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유입 시 흐름 방향(d1)과 같은 방향으로 구부리도록 했다(도 3 및 도 4를 참조). 이렇게 제 3 접속관(11)의 굽힘방향과 제 4 접속관(12)의 굽힘방향을 성형체(8)의 유입구(8c)와의 관계에 의해 결정함으로써 기준 흐름 방향(d0)과, 성형체(8)에 의해 성형되는 유리 리본(Gr)의 주표면의 방향(즉, 유리 리본(Gr)의 이송방향(D0))을 일치시킬 수 있다. 성형된 유리 리본(Gr)은 하방으로 인출된 후, 커티너리를 개재하여 수평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반송되므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용융 라인(2)과 가공 라인(3)을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는 상기 실시형태에는 한정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접속관(11)의 굽힘방향(구부린 후의 방향이 되는 하류단(11b)의 방향)을 규정할 때의 기준이 되는 기준 흐름 방향(d0)을 수평방향으로 했을 경우를 예시(도 5를 참조)했지만, 기준 흐름 방향(d0)은 수평방향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유입 시 흐름 방향(d1)에 대해서도 수평방향에는 한정되는 일은 없고, 상술한 바와 같이 연직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기준 흐름 방향(d0)에 대하여 좌우 중 어느 일방의 측을 향하는 한에 있어서 유입 시 흐름 방향(d1)을 임의의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성형체(8) 내부로의 용융 유리(Gm)의 유입방향(d2)에 대해서도 도시의 방향(+X방향)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입방향(d2)을 +X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의 점에서 제 3 접속관(11)에 있어서의 굽힘 각도(제 3 접속관(11)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기준 흐름 방향(d0)과 유입 시 흐름 방향(d1)이 이루는 각도)는 90°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 4 접속관(12)에 있어서의 굽힘 각도(상태 조정조(7)의 유출구(7e)의 방향과 유입방향(d2)이 이루는 각도)도 90°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 있어서 임의의 각도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접속관(11)을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스트레이트부(13)와, 스트레이트부(13)와 상태 조정조(7)를 접속하는 제 1 굽힘부(14), 및 균질화조(6)와 스트레이트부(13)를 접속하는 제 2 굽힘부(15)로 구성했을 경우를 예시했지만, 물론 제 3 접속관(11)은 상기 이외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시는 생략하지만,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제 2 굽힘부(15)의 하류단에 -X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스트레이트부를 접속하고, 제 1 스트레이트부의 하류단에 제 3 굽힘부를 접속하고, 제 3 굽힘부의 하류단에 +Y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스트레이트부를 접속하고, 제 2 스트레이트부의 하류단에 제 1 굽힘부(14)를 접속하고, 제 1 굽힘부(14)의 하류단을 상태 조정조(7)의 유입구(7d)에 접속한 형태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외경 치수가 일정한 제 3 접속관(11)을 상태 조정조(7)에 직접 접속했을 경우를 예시했지만(도 3 및 도 4를 참조), 물론 이것 이외의 접속 형태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그 일례(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제 3 접속관(11)과 상태 조정조(7)의 접속 부분을 Y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접속관(11)은 그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 1 굽힘부(14)와, 제 1 굽힘부(14)와 상태 조정조(7)측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굽힘부(14)측으로부터 상태 조정조(7)측을 향해 횡단면적(길이방향과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의 면적, 이하, 단지 「단면적」이라고도 한다)이 점차 변화하는 단면적 변화부(16)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제 3 접속관(11)의 제 1 굽힘부(14)와 상태 조정조(7)가 단면적 변화부(16)를 개재하여 접속된다. 이 경우, 단면적 변화부(16)가 제 3 접속관(11)의 하류단(11b)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접속관(11)의 제 1 굽힘부(14)의 단면적을 S1, 상태 조정조(7)의 상부(7a)의 단면적을 S2라고 하면, 제 1 굽힘부(14)의 단면적(S1)은 상부(7a)의 단면적(S2)과 상이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굽힘부(14)의 단면적(S1)은 상부(7a)의 단면적(S2)보다 작다. 이 경우, 단면적 변화부(16)의 단면적이 제 1 굽힘부(14)측으로부터 상태 조정조(7)측을 향해 점차 증대하도록 단면적 변화부(16)의 내면(16a)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면적 변화부(16)의 내면(16a)의 종단면(길이방향을 따른 단면)의 형상이 원호 형상이다. 이 때문에 단면적 변화부(16)의 내면(16a)은 통 형상이며, 제 1 굽힘부(14)측으로부터 상태 조정조(7)측을 향해 확경되어 있다.
제 1 굽힘부(14)의 단면적(S1)은 상부(7a)의 단면적(S2)의 0.75배 이상이고 또한 1.25배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 1 굽힘부(14)의 단면적(S1)을 상부(7a)의 단면적(S2)보다 작게 하는 경우에는 제 1 굽힘부(14)의 단면적(S1)을 상부(7a)의 단면적(S2)의 0.75배 이상이고 또한 0.96배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제 1 굽힘부(14)의 내경은 150㎜ 이상이고 또한 300㎜ 이하로 설정할 수 있고, 단면적 변화부(16)의 내면(16a)의 곡률 반경은 10㎜ 이상이고 또한 50㎜ 이하로 설정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고 또한 40㎜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태 조정조(7)의 하부(7b)와, 제 4 접속관(12)의 상류단(12c)은 절연된 상태에서(상태 조정조(7)의 하부(7b)와 제 4 접속관(12)의 상류단(12c)이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융 유리(Gm)를 상태 조정조(7)측으로부터 제 4 접속관(12)측에 공급가능하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7b)를 제 4 접속관(12)의 상류단(12c) 내주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태 조정조(7)에서 상태의 조정이 이루어진 용융 유리(Gm)를 제 4 접속관(12)을 통해 성형체(8)에 공급가능하게 하고 있다.
여기서, 상태 조정조(7)의 하부(7b)의 단면적을 S3, 제 4 접속관(12)의 상류단(12c)의 단면적을 S4라고 했을 경우, 하부(7b)의 단면적(S3)을 상류단(12c)의 단면적(S4)의 0.75배 이상이고 또한 0.96배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제 3 접속관(11)이 상기 구성을 이루는 경우, 제 1 굽힘부(14)와 상태 조정조(7) 사이의 단면적 변화부(16)를 통과하는 용융 유리(Gm)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800Pa·s 이상으로 설정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Pa·s 이상으로 설정된다. 한편, 실투를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 단면적 변화부(16)를 통과하는 용융 유리(Gm)의 점도는 50000Pa·s 이하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접속관(11)이 제 1 굽힘부(14)와 상태 조정조(7) 사이에 제 1 굽힘부(14)측으로부터 상태 조정조(7)측을 향해 단면적이 점차 변화하는 단면적 변화부(16)를 갖도록 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3 접속관(11)으로부터 상태 조정조(7) 내부로 유입한 용융 유리(Gm)에 박리류가 발생하는 사태를 가급적으로 방지하여 균질화조(6)의 저부에 정체하는 용융 유리(Gm1')(도 6을 참조)를, 제 4 접속관(12)의 외측(12a)을 통과하여 성형체(8) 중 유리 리본(Gr)의 폭방향 일단부(Gr2)(도 7을 참조)가 되는 영역으로 확실하게 흘러들게 할 수 있다. 또한, 상태 조정조(7)의 상부(7a)에 정체하는 용융 유리(Gm2')를, 제 4 접속관(12)의 내측(12b)을 통과하여 성형체(8) 중 유리 리본(Gr)의 폭방향 타단부(Gr1)(도 7을 참조)가 되는 영역으로 보다 확실하게 흘러들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 의하면, 성형 불량의 원인이 되는 이질적인 용융 유리(Gm1'(Gm2'))가 가공 후의 유리 리본(Gr)에 남아 제품으로서의 유리 물품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는 사태를 가급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6)

  1. 용융 유리 생성 장치로 용융 유리를 생성하는 생성 공정과, 생성한 상기 용융 유리의 상태를 상태 조정조에서 조정하는 상태 조정 공정과, 상태의 조정이 이루어진 상기 용융 유리를 성형체에 공급해서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구비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태 조정조에 형성된 상기 용융 유리의 유입구에, 상기 용융 유리 생성 장치의 측으로부터 상기 상태 조정조의 내부로 상기 용융 유리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관이 접속되고,
    상기 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 상류측이 되는 상기 유입관의 일단을 통과할 때의 상기 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을 기준 흐름 방향으로 하고, 상기 유입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상태 조정조의 내부로 유입할 때의 상기 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을 유입 시 흐름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유입관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상기 유입 시 흐름 방향이 상기 기준 흐름 방향에 대하여 좌우 중 어느 일방의 측을 향하도록 상기 유입관이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조정조의 유출구와 상기 성형체의 유입구가 접속관으로 접속되고,
    상기 접속관은 상기 상태 조정조의 유출구와 같은 방향으로부터 상기 접속관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상기 유입 시 흐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상기 유입관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상기 유입관의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기준 흐름 방향에 대하여 좌우 타방의 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스트레이트부와, 상기 스트레이트부의 하류단으로부터 상기 유입 시 흐름 방향으로 구부러져서 상기 상태 조정조의 유입구에 접속되는 굽힘부를 갖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오버플로우 홈으로부터 넘쳐 나온 상기 용융 유리를 양 측면을 따라 유하시킴으로써 상기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것이고,
    상기 성형체의 유입구는 상기 양 측면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기준 흐름 방향과 상기 유입 시 흐름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로 설정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물품은 상기 유리 리본을 롤형상으로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유리 롤인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6. 용융 유리를 생성하는 용융 유리 생성 장치와, 생성한 상기 용융 유리의 상태를 조정하는 상태 조정조와, 상태의 조정이 이루어진 상기 용융 유리를 유하시켜서 상기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성형체를 구비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태 조정조에 형성된 상기 용융 유리의 유입구에, 상기 용융 유리 생성 장치의 측으로부터 상기 상태 조정조의 내부로 상기 용융 유리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관이 접속되고,
    상기 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 상류측이 되는 상기 유입관의 일단을 통과할 때의 상기 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을 기준 흐름 방향으로 하고, 상기 유입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상태 조정조의 내부로 유입할 때의 상기 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을 유입 시 흐름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유입관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상기 유입 시 흐름 방향이 상기 기준 흐름 방향에 대하여 좌우 중 어느 일방의 측을 향하도록 상기 유입관이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KR1020217003192A 2018-07-03 2019-06-04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202100256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26798A JP7104883B2 (ja) 2018-07-03 2018-07-03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JP-P-2018-126798 2018-07-03
PCT/JP2019/022208 WO2020008782A1 (ja) 2018-07-03 2019-06-04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646A true KR20210025646A (ko) 2021-03-09

Family

ID=69060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192A KR20210025646A (ko) 2018-07-03 2019-06-04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04883B2 (ko)
KR (1) KR20210025646A (ko)
CN (1) CN112368244B (ko)
WO (1) WO202000878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6705A (ja) 2009-07-10 2011-01-2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フィルム状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6088754A (ja) 2014-10-29 2016-05-2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製造装置及びガラス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7318B2 (ja) * 2005-11-29 2012-02-0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8196434B2 (en) 2007-08-08 2012-06-12 Corning Incorporated Molten glass delivery apparatus for optical quality glass
JP4990229B2 (ja) * 2008-06-16 2012-08-01 AvanStrate株式会社 板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板ガラス製造方法
US20100126224A1 (en) * 2008-11-26 2010-05-27 David Myron Lineman Mobilizing stagnant molten material
JP2016050148A (ja) * 2014-08-29 2016-04-11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板の製造装置
CN109415235A (zh) * 2016-06-23 2019-03-01 康宁股份有限公司 用于玻璃输送取向的设备和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6705A (ja) 2009-07-10 2011-01-2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フィルム状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6088754A (ja) 2014-10-29 2016-05-2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製造装置及びガラス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07169A (ja) 2020-01-16
CN112368244B (zh) 2023-01-03
WO2020008782A1 (ja) 2020-01-09
JP7104883B2 (ja) 2022-07-22
CN112368244A (zh) 2021-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48351B (zh) 平板玻璃制造装置以及平板玻璃制造方法
US1022108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cessing molten material
KR20180136498A (ko) 유리를 가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022671A (ko) 드로우 바닥부에서의 장력 조절을 갖는 유리 제조 장치를 위한 다중-상승 구동 장치
JP2019506357A (ja) 可撓性ガラスリボンの連続処理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12912348A (zh) 玻璃物品的制造方法
WO2019230340A1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2616991B1 (ko)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20210025646A (ko)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TW201827363A (zh) 板玻璃製造方法、澄清容器及板玻璃製造裝置
JP7138843B2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US10377654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glass articles
KR20190079410A (ko) 유리 제조 장치
WO2021261374A1 (ja) 成形装置
TW201410621A (zh) 薄板玻璃之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