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258A -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 - Google Patents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258A
KR20210025258A KR1020190105029A KR20190105029A KR20210025258A KR 20210025258 A KR20210025258 A KR 20210025258A KR 1020190105029 A KR1020190105029 A KR 1020190105029A KR 20190105029 A KR20190105029 A KR 20190105029A KR 20210025258 A KR20210025258 A KR 20210025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detailed
patient
clock
character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현진
Original Assignee
윤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현진 filed Critical 윤현진
Priority to KR1020190105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5258A/ko
Priority to JP2020141039A priority patent/JP7041976B2/ja
Publication of KR20210025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은 일어를 구성하는 문자과 숫자들이 여러 개의 분할 표시창에 소정의 개수로 분할되어 배치된 제1 전체 자판, 상기 분할 표시창에 포함된 알파벳 또는 숫자가 배치된 세부 글자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환자는 눈동자의 움직임을 통해서 제시되는 일문 입력자판에서 의도하는 정보가 나타난 창을 선택하고, 보호자는 선택된 문자들을 결합하여 환자와 의사소통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Japanese input keyboard for critically ill patients}
본 발명은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루게릭 병과 같이 정신활동은 가능하나 신체를 거의 움직일 수 없고 눈동자의 움직임은 가능한 환자가 사용할 수 있는 일문 입력자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사소통 장애인을 위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은 주로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기술이 많으며, 특히 운동 능력에 제한이 없는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근위축성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케네디병(Kennedy Disease: KD), 진행성 연수마비(Progressive Bulbar Palsy: PBP)과 같은 운동신경질환이 있는 성인환자들은 점차 운동 능력에 제한이 생기고, 언어를 사용한 의사소통이 매우 어려운 상황에 이르게 된다.
이들의 신체의 대부분은 점차 운동능력을 상실하고 최종적으로는 눈 응시 혹은 눈움직임만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해 말을 통한 의사소통은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 된다. 결국 이들에게는 눈 응시 및 눈움직임이 외부와의 소통을 위한 유일한 신호가 되지만, 종래 이들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관련 제품은 개발이 많이 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근래에는 사용자가 기기를 통해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두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와 같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는, 뇌의 활동과정에서 나오는 뇌파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키보드를 입력하게 하거나 특정 기기를 동작하게 하는 등 상용화에 성공한 사례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BCI 시스템은 비교적 고가이기에 일반 사용자가 접하기에 다소 부담스러운 점이 있으며, BCI 시스템을 사용한다 하여도 간단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항상 머리에 뇌파를 분석하는 장치를 쓰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일반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중증 환자와의 의사소통 제품이 개발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근위축성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bl Sclerosis: ALS), 케네디병(Kennedy Disease: KD), 진행성 연수마비(Progressive Bulbar Palsy: PBP)과 같이 신체의 대부분을 움직일 수 없는 운동신경질환을 앓고 있는 중증 환자와의 의사소통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매개 수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증 환자의 사고 언어가 일어인 경우 보호자와 좀 더 빠르고 편리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일문 입력자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은 일문에 사용되는 모든 히라가나 또는 가타가나, 아라비아 숫자들이 여러 개의 분할 1표시창에 소정의 개수로 분할되어 배치된 통합 제1 글자판; 상기 통합 제1 글자판에 포함된 일문과 숫자들이 여러 개의 세부 1창에 소정의 개수로 분할되어 배치된 세부 1글자판; 상기 세부 1글자판에 포함된 일문과 숫자들이 각각 한 개씩 섹터에 배치된 세부 연계 글자판; 환자의 눈동자에 의한 선택에 따라 상기 통합 제1 글자판, 세부 1글자판, 시부 연계 글자판이 환자에게 순차적으로 제시되고, 환자는 눈동자의 움직임을 통해 상기 통합 제1 글자판으로부터 의도하는 분할 1표시창을 선택하고, 상기 세부 1글자판으로부터 의도하는 일문 또는 숫자를 선택하며, 환자의 대화상대는 선택된 일문과 숫자를 결합하여 단어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통합 제1 글자판은 환자의 대화상대에 의해 환자가 선택한 일문 또는 숫자의 입력이 수행되는 문자 입력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할 표시창은 최대 5개의 일문과 5개의 숫자를 포함하며, 상기 분할 표시창은 상기 통합 글자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10시 방향에 위치한 제1 분할 1표시창, 2시 방향에 위치한 제2 분할 1표시창, 8시 방향에 위치한 제3 분할 1표시창, 4시 방향에 위치한 제4 분할 1표시창, 6시 방향에 위치한 제5 분할 1표시창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부 1글자판은 환자가 눈동자의 응시를 통해 전체 제1 글자판에서 선택한 분할 1표시창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세부 1글자판은 통합 제1 글자판에서 선택되는 제1 세부 1글자판, 제2 세부 1글자판, 제3 세부 1글자판, 세4 세부 1글자판, 제5 세부 1글자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세부 연계 글자판은, 상기 제1 세부 연계 글자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10시 방향에 위치한 제1 섹터, 2시 방향에 위치한 제2 섹터, 8시 방향에 위치한 제3 섹터, 4시 방향에 위치한 제4 섹터, 6시 방향에 위치한 제5 섹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은 신체움직임 중에서 눈의 움직임이 가능한 환자에 대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환자는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눈을 응시하여 원하는 바를 빠르고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문 입력자판은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폰 또는 패드에서 화면으로 보여지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화면이 여러개의 일문 입력자판으로 제공될 수도 있기 때문에 환자에게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여 의사표현이 가능하며, 환자가 이동중인 경우에도 의사표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문 입력자판은 사용자의 신체적 능력에 따라 자발적 사용 또는 대화 상대자의 보조에 의한 사용이 가능하고, 인지능력이 정상 수준에 해당하며 문해력이 있는 환자에게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에서 히라가나가 포함된 통합 제1 글자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에서 가타가나가 포함된 통합 제2 글자판을 나타낸 도면
도 3b ~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에서 히라가나의 일부가 포함된 세부 제1 글자판을 나타낸 도면
도 4b ~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에서 세부 제1 글자판에서 선택되는 세부 연계 글자판을 나타낸 도면
도 5b ~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의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체 움직임 중에서 유일하게 눈의 응시만이 가능한 퇴행성 의사소통 장애 환자가 사용할 수 있는 일문 입력자판으로, 스마트폰 또는 패드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문자판 세트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화면에서 본 일문 입력자판을 사용함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문 입력자판은 일문을 구성하는 히라가나와 가타가나를 기초로 한 타이핑 방법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에서 히라가나를 포함한 통합 제1 글자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합 제1 글자판(100)은 일문을 구성하는 히라가나와 아라비아 숫자를 포함하며 환자에게 처음 보여지는 일문 입력자판일 수 있다.
상기 통합 제1 글자판(100)은 복수개의 분할 1표시창(110, 120, 130, 140, 150, 160) 및 문자 입력창(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 1표시창(110, 120, 130, 140, 150, 160)은 환자가 눈동자의 응시를 통해 선택되는 창이며, 상기 문자 입력창(170)은 환자의 대화상대(보호자)에 의해 입력되는 창일 수 있다.
상기 분할 1표시창(110, 120, 130, 140, 150, 160)들은 상기 통합 제1 글자판(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할 1표시창(110, 120, 130, 140, 150, 160)은 상기 통합 제1 글자판(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10시 방향에 위치한 제1 분할 1표시창(110), 2시 방향에 위치한 제2 분할 1표시창(120), 8시 방향에 위치한 제3 분할 1표시창(130), 4시 방향에 위치한 제4 분할 1표시창(140), 6시 방향에 위치한 제5 분할 1표시창(150), 히라가나, 가타카나를 전환하는 전환표시창(16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환자의 눈의 응시가 6방향으로 구분되도록 6개로 이루어진 각각의 분할 1표시창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며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하였다.
일문의 히라가나는 총 46개이며, 탁음이 20개, 반 탁음이 5개, '아'행의 받침으로 사용되는 이중모음 5개, 10개의 숫자가 소정의 개수만큼 분할되어 각각의 분할 표시창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에서 가타가나가 포함된 통합 제2 글자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합 제2 글자판(200)은 일문을 구성하는 가타가나와 아라비아 숫자를 포함하며 환자에게 처음 보여지는 일문 입력자판일 수 있다.
상기 통합 제2 글자판(200)은 복수개의 분할 2표시창(210, 220, 230, 240, 250, 260) 및 문자 입력창(2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 2표시창(210, 220, 230, 240, 250, 260)은 환자가 눈동자의 응시를 통해 선택되는 창이며, 상기 문자 입력창(270)은 환자의 대화상대(보호자)에 의해 입력되는 창일 수 있다.
상기 분할 2표시창(210, 220, 230, 240, 250, 260)들은 상기 통합 제2 글자판(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할 2표시창(210, 220, 230, 240, 250, 260)은 상기 통합 제2 글자판(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10시 방향에 위치한 제1 분할 2표시창(210), 2시 방향에 위치한 제2 분할 2표시창(220), 8시 방향에 위치한 제3 분할 2표시창(230), 4시 방향에 위치한 제4 분할 2표시창(240), 6시 방향에 위치한 제5 분할 2표시창(250), 히라가나, 가타카나를 전환하는 전환표시창(260)을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제2 글자판(200)은 통합 제2 글자판(100)과 같이 6방향으로 구분되도록 6개로 이루어진 각각의 분할 2표시창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며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하였다.
상기 통합 제2 글자판(200)에는 히라가나와 대응되는 가타가나가 소정의 개수만큼 분할되어 각각의 분할 2표시창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에서 세부 1글자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세부 1글자판은 도 1에서 환자에 의해 선택되는 분할 1표시창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일문 입력자판이다.
상기 세부 1글자판(300, 400, 500, 600, 700)은 환자가 눈동자의 응시를 통해 전체 제1 글자판(100)에서 선택한 분할 제1표시창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문자 입력창(360, 460, 560, 660, 760)은 환자의 대화상대(보호자)에 의해 입력되는 창일 수 있다. 상기 세부 1글자판은 통합 제1 글자판(100)에서 선택되는 제1 세부 1글자판(300), 제2 세부 1글자판(400), 제3 세부 1글자판(500), 세4 세부 1글자판(600), 제5 세부 1글자판(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세부 1글자판(300)은 복수개의 세부 1창(310, 320, 330, 340), 히라가나, 가타카나 전환창(350)과 문자 입력창(3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부 1창(310, 320, 330, 340)은 환자가 눈동자의 응시를 통해 선택되는 창이며, 상기 문자 입력창(360)은 환자의 대화상대(보호자)에 의해 입력되는 창일 수 있다.
상기 세부 1창(310, 320, 330, 340)들은 상기 통합 글자판(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문의 히라가나의 “あ”행과 “か”행은 10개이며, 탁음”が”행이 5개, 'あ'행의 받침으로 사용되는 이중모음 5개중 대표의 발음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분할 표시창에 행별로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각각의 세부 1창이 최대 4개의 일문행렬과 숫자를 포함하도록 배치하였으며, 이에 도 3 세부 1글자판에는 총 5개의 분할 표시창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a에서 제1 세부 1글자판(300)은 (あ, か, あ, が)의 히라가나의 “あ”와”か”행과 이중모음” あ”행, 탁음” が”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1 세부 1창(310)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세부 1창(310)의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세부 연계 글자판(311)이 환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도 4a ~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에서 세부 연계 글자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 도 4e를 참조하면, 세부 연계 글자판은 도 1과 도 3에서 환자에 의해 선택되는 통합 제1 글자판, 세부 제1 글자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일문 입력자판이다. 도 4에서는 편의상 히라가나의 행 순서대로 정렬하여 각각의 분할 표시창에 표시되도록 하였으나, 히라가나는 총 46개, 탁음이 20개, 반 탁음이 5개, '아'행의 받침으로 사용되는 이중모음 5개, 숫자10개는 각 분할 표시창에 랜덤하게 섞여 있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 세부 연계 글자판(311)은, 상기 제1 세부 연계 글자판(311)의 중심을 기준으로 10시 방향에 위치한 제1 섹터(312), 2시 방향에 위치한 제2 섹터(313), 8시 방향에 위치한 제3 섹터(314), 4시 방향에 위치한 제4 섹터(315), 6시 방향에 위치한 제5 섹터(3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부 연계 글자판(311)은 (あ, い, う, え, お)의 일문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1 섹터(312)는 'あ', 제2 섹터(313)는 'い', 제3 섹터(314)는 'う', 제4 섹터(315)는 'え', 제2 섹터(316)는 'お'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세부 1창(320)에 포함된 문자 정보(か, き, く, け, こ)을 포함한 제2 세부 연계 글자판(321), 제3 세부 1창(330)에 포함된 문자 정보(あ, い, う, え, お)를 포함한 제3 세부 연계 글자판(331), 제4 세부 1창(340)에 포함된 문자 정보(が, ぎ, ぐ, げ, ご)를 포함한 제4 세부 연계 글자판(34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세부 1글자판(400)내지 제5 세부 1글자판(700)은 중심을 기준으로 10시 방향에 위치한 제1 세부 1창(410, 510, 610, 710), 2시 방향에 위치한 제2 세부 1창(420, 520, 620, 720), 8시 방향에 위치한 제3 세부 1창(430, 530, 630), 4시 방향에 위치한 제4 세부 1창(440, 540, 6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세부 1창과 제5 세부 1창의 세부 연계 표시창(625,725)에 표시된 “拗音”(“요음”)은 환자가 받침으로 사용하길 원할때 먼저 혹은 나중에 지시되면 받침으로 사용 할 수 있다.
제4 세부 1창의 세부 연계 표시창(646)의 '0'은 숫자 0과 안쪽으 '.'은 숫자 '0'또는 마침표'.' 또는 띄어쓰기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림 2의 가타카나의 경우도 히라가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히라가나 또는 숫자가 포함된 분할 1표시창을 5개로 배치하였고, 여기서 지시된 세부 제1 글자판을 4개를 4개씩, 1개를 2개로 분류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응되는 세부 글자판 또한 18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가타카나 역시 같게 마련될 수 있다.
도 5a ~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일문 입력자판을 사용하여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환자의 대화상대(보호자)는 환자와의 의사소통을 위해 환자가 일문 입력자판을 볼 수 있는 위치로 최초 일문 입력자판인 통합 제1 글자판(100)을 제시한다. 환자는 의도한 단어를 표현하기 위해 눈동자를 움직여 의도한 단어의 초성에 해당하는 일문 또는 숫자가 포함되어 있는 통합 제1 글자판(100) 내부의 분할 1표시창을 응시한다. 이 때, 보호자는 환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관찰하여 환자가 응시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분할 1표시창을 인식한다.
'ありがとう'라는 글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환자는'あ'이 포함된 10시 방향의 제1 분할 1표시창(110)을 응시할 것이며, 보호자는 해당 제1 분할 1표시창(110)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세부 1글자판(300)으로 전환하고, 다시 환자의 10시 방향 지시로 세부 정보를 포함한 제1 세부 연계 글자판(311)이 환자에게 제시되며, 환자는 다시 제1 세부 연계 글자판(311)에 'あ'이 위치한 10시 방향의 제1 섹터(312)를 응시할 것이며, 보호자는 환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보고 문자 입력부(318)에 'あ'를 기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하나의 히라가나에 대한 입력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다시 환자에게 통합 제1 글자판(100)이 제시될 수 있다. 환자는 눈동자를 움직여 통합 제1 글자판(100)에 배치된 여러 개의 분할 1표시창 중에서 'り' 가 속한 'ら'행의 6 시 방향의 제5 분할 1표시창(150)을 응시할 것이다. 환자가 제5 분할 1표시창(150)을 응시하였다고 판단되면, 보호자는 제5 분할 1표시창(150)의 문자 정보를 포함한 제5 세부 1글자판(700)을 환자에게 제시한다. 환자는 다시 제5 세부 1글자판(700)에서 'り'가 속한 'ら'(710)을 지시하면 보호자는 환자에게 세분화된 제5 세부 연계 글자판(711)을 제시되고, 환자가 다시 제2 섹터의 'り'를 지시하면 입력부(718)에 'り'를 기입하며 이전에 기입된 'あ'와 결합하여 'あり'가 기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が', 'と', 'う' 에 대해 동일하게 반복함으로써 'ありがとう'란 단어가 완성될 수 있다. 이후의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보호자는 환자가 선택하는 일문, 숫자를 조합하여 환자의 의도를 단어 또는 문장으로 표현함으로써 환자와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문 입력자판은 키보드의 입력방식에 기초하여 환자가 원하는 문자를 환자의 의도에 따라 보호자가 반응하여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문자를 보호자가 입력함으로써 환자가 의도하는 단어가 완성될 수 있으며, 이에 환자와 보호자 간의 빠른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는 일문 히라가나, 가타카나와 아라비아 숫자의 총합이 162개인 것을 고려하여, 환자의 눈동자 응시 방향을 보다 잘 인식할 수 있도록 일문 입력자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5방향에 선택할 수 있는 창이 배치되도록 하였다. 즉, 글자 수가 많아서 통합 글자판에 모두 담을 경우 혼동이 예상되어 중분류 글자판으로 한번 더 분류한 뒤 세부글자판으로 나누어서 이에 보호자는 환자의 눈동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쉽고, 환자가 의도하는 문자가 더욱 정확하게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는 보호자가 환자에게 일문 입력자판을 제시하고 환자에 의해 선택된 일문 또는 숫자창을 보호자가 인식하여 해당되는 일문 입력자판을 다시 환자에게 제시하는 방식이 사용되며, 환자에게 제시되는 일문 입력자판은 종이의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내구성을 위해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폰 또는 패드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의 형식으로 환자에게 통합 화면이 제시되며, 환자는 화면에서 의도하고자 하는 일문 또는 숫자가 포함된 분할 표시표시창을 터칭한다. 분할 표시창에는 해당되는 세부 글자판이 미리 저장되어 있어 선택된 세부 글자판이 포함하는 일문 또는 숫자가 화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화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환자가 눈동자의 움직임을 통해 의도하는 일문 또는 숫자를 응시하면, 환자의 대화상대가 해당되는 일문 또는 숫자를 터치함에 따라 화면의 하단 또는 특정 영역에 해당 문자가 나타난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환자가 응시하는 방향을 내장된 카메라로 인식하여, 통합 글자판과 세부 글자판을 통해 환자가 의도하는 문자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일문에 사용되는 모든 히라가나 또는 가타가나, 아라비아 숫자들이 여러 개의 분할 1표시창에 소정의 개수로 분할되어 배치된 통합 제1 글자판;
    상기 통합 제1 글자판에 포함된 일문과 숫자들이 여러 개의 세부 1창에 소정의 개수로 분할되어 배치된 세부 1글자판;
    상기 세부 1글자판에 포함된 일문과 숫자들이 각각 한 개씩 섹터에 배치된 세부 연계 글자판;
    환자의 눈동자에 의한 선택에 따라 상기 통합 제1 글자판, 세부 1글자판, 시부 연계 글자판이 환자에게 순차적으로 제시되고,
    환자는 눈동자의 움직임을 통해 상기 통합 제1 글자판으로부터 의도하는 분할 1표시창을 선택하고, 상기 세부 1글자판으로부터 의도하는 일문 또는 숫자를 선택하며, 환자의 대화상대는 선택된 일문과 숫자를 결합하여 단어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1 글자판은 환자의 대화상대에 의해 환자가 선택한 일문 또는 숫자의 입력이 수행되는 문자 입력창을 더 포함하는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표시창은 최대 5개의 일문과 5개의 숫자를 포함하며, 상기 분할 표시창은 상기 통합 글자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10시 방향에 위치한 제1 분할 1표시창, 2시 방향에 위치한 제2 분할 1표시창, 8시 방향에 위치한 제3 분할 1표시창, 4시 방향에 위치한 제4 분할 1표시창, 6시 방향에 위치한 제5 분할 1표시창을 포함하는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 1글자판은 환자가 눈동자의 응시를 통해 전체 제1 글자판에서 선택한 분할 1표시창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세부 1글자판은 통합 제1 글자판에서 선택되는 제1 세부 1글자판, 제2 세부 1글자판, 제3 세부 1글자판, 세4 세부 1글자판, 제5 세부 1글자판을 포함하는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부 연계 글자판은, 상기 제1 세부 연계 글자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10시 방향에 위치한 제1 섹터, 2시 방향에 위치한 제2 섹터, 8시 방향에 위치한 제3 섹터, 4시 방향에 위치한 제4 섹터, 6시 방향에 위치한 제5 섹터를 포함하는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
KR1020190105029A 2019-08-27 2019-08-27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 KR20210025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029A KR20210025258A (ko) 2019-08-27 2019-08-27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
JP2020141039A JP7041976B2 (ja) 2019-08-27 2020-08-24 重症患者のための日本語入力キーボー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029A KR20210025258A (ko) 2019-08-27 2019-08-27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258A true KR20210025258A (ko) 2021-03-09

Family

ID=7467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029A KR20210025258A (ko) 2019-08-27 2019-08-27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041976B2 (ko)
KR (1) KR20210025258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46B2 (ja) * 1987-03-30 1994-01-12 竹井機器工業株式会社 意志伝達装置
JP4278790B2 (ja) 1999-08-13 2009-06-17 任天堂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
JP2002268818A (ja) 2001-03-09 2002-09-20 Ergo Soft Corp 文字入力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文字入力装置
JP2014140236A (ja) 2014-03-26 2014-07-31 Hitachi Solutions Ltd 文字データ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33306A (ja) 2021-03-01
JP7041976B2 (ja)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ch Fager et al. New and emerging access technologies for adul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and severe motor impairments: State of the science
Flewitt et al. Touching the virtual, touching the real: iPads and enabling literacy for students experiencing disability
Urbina et al. Alternatives to single character entry and dwell time selection on eye typing
Fager et al. Patients' experiences with technology during inpatient rehabilitation: opportunities to support independence and therapeutic engagement
Istance et al. Providing motor impaired users with access to standard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oftware via eye-based interaction
Ruzic et al. Universal design mobile interface guidelines (UDMIG) for an aging population
Zdravkova The potenti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assistive technology in education
Meena et al. A novel multimodal gaze-controlled hindi virtual keyboard for disabled users
Myers et al. Using handhelds to help people with motor impairments
Yusril E-accessibility analysis in user experien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Zhong et al. Sensorimotor norms for Chinese noun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orthographic and semantic variables
Singh et al. HELF (Haptic Encoded Language Framework): a digital script for deaf-blind and visually impaired
Caporusso et al. Enabling touch-based communication in wearable devices for people with sensory and multisensory impairments
US9542099B1 (en) Touch-sensitive rectangular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aruso et al. My-world-in-my-tablet: an architecture for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
KR102018003B1 (ko)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
Cecotti et al. A multiscript gaze-based assistive virtual keyboard
KR20210025258A (ko) 중증 환자를 위한 일문 입력자판
Henzen et al. Adaptable virtual keyboard and mouse for people with special needs
DV et al. Eye gaze controlled adaptive virtual keyboard for users with SSMI
US20210042029A1 (en) English input keyboard for severe patient
WO2014146140A9 (en) A mnemonic relative position international keyboard system set on new focus field platform
Cholewa et al. Precise eye-tracking technology in medical communicator prototype
KR20190009105A (ko) 한글 입력용 안구인식 키보드
Nguyen et al. On-screen keyboard controlled by gaze for Vietnamese people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