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098A - 트리거 기반의 다중 사용자 전송들에서 직접 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들 - Google Patents

트리거 기반의 다중 사용자 전송들에서 직접 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098A
KR20210025098A KR1020217003057A KR20217003057A KR20210025098A KR 20210025098 A KR20210025098 A KR 20210025098A KR 1020217003057 A KR1020217003057 A KR 1020217003057A KR 20217003057 A KR20217003057 A KR 20217003057A KR 20210025098 A KR20210025098 A KR 20210025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transmission
triggered
direct link
re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패트리체 네조우
스테판 바론
줄리엥 세빙
파스칼 비게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5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은 대체로 트리거되는 MU UL 전송과 동시에 비-UL 전송이 수행되는 것을 허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강화된 다중 사용자(MU) 업링크(UL) 프로토콜에 관한 것이다. 스테이션은, MU 전송의 자원 유닛에서, 비-UL 전송, 즉, 또 다른 스테이션으로의 전송을 허용하기 위해 적절한 시그널링으로 MU 전송을 트리거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비-UL 전송의 예는, 다운링크(DL) 전송뿐만 아니라 직접 링크 전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리거 기반의 다중 사용자 전송들에서 직접 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들
본 발명은 대체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의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배치된다. 이들 무선 네트워크는 가용 네트워크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의 예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네트워크,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네트워크,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네트워크, 직교 FDMA(OFDMA) 네트워크, 및 단일 캐리어 FDMA(SC-FDMA)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고밀도 환경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 필요한 대역폭 증가 및 레이턴시 요구량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일 액세스 포인트(AP)가 MU 전송, 즉, 무선 네트워크에서 비-AP 스테이션으로의 또는 이로부터의 다중 동시 전송을 스케쥴링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다중 사용자(MU)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MU 방식들 중 하나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 의해 802.11ax 표준에서 채택되었다.
MU 피처 덕분에, 스테이션은, 2개의 액세스 방식 : MU 방식과 기존의 강화된 분산형 채널 액세스-EDCA(단일 사용자) 방식을 통해 무선 매체에 액세스할 기회를 갖는다.
802.11ax 표준은 MU 다운링크(DL) 전송이 AP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허용하며, 여기서, AP는 소위 자원 유닛(RU; Resource Unit)을 통해 다양한 비-AP 스테이션으로 복수의 동시 기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예로서, 자원 유닛은, 예를 들어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무선 네트워크의 통신 채널을 분할한다.
802.11ax 표준은 또한, MU 업링크(UL) 전송이 AP에 의해 트리거되는 것을 허용하며, 여기서 다양한 비-AP 스테이션은 MU UL 전송을 형성하는 자원 유닛을 통해 AP에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비-AP 스테이션에 의한 MU UL 전송을 제어하기 위해, AP는 트리거 프레임(TF)이라고 알려진 제어 프레임을 전송하고, 이 제어 프레임에 의해, AP로의 등록시 비-AP 스테이션에 할당된 16 비트 AID(Association IDentifier)를 이용하여 및/또는 비-AP 스테이션 그룹을 지정하는 예약된 AID를 이용하여 자원 유닛을 비-AP 스테이션에 할당한다.
채택된 802.11 MU 전송 방식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통신 서비스, 예를 들어, 게임, 가상 현실,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 등의 비디오 기반의 서비스에 맞게 적합화되지 않는다. 이것은, 모든 통신이 AP를 통과하고, 이로써 전송을 위한 소요 시간뿐만 아니라, 매체 액세스 수(및 그에 따라 매체 액세스 시간)도 2배가 되기 때문이다.
802.11ax의 단일 사용자(SU) 방식은 직접 링크(DiL)가 수행되는 것을 허용하며, 여기서, 데이터 (MAC) 프레임은 목적지 스테이션의 48 비트 IEEE MAC 주소를 이용하여 어드레싱된다. 그러나, SU 및 MU 방식은 (MU 방식의 경우 AP에 의해, SU 방식의 경우 비-AP 스테이션에 의해) 무선 매체에 액세스하기 위해 서로 직접 경쟁한다. 고밀도 환경에서, 이러한 경쟁은 원하지 않는 많은 양의 충돌을 생성함으로써, 레이턴시 및 전반적인 유용한 데이터 처리량을 저하시킨다.
더 일반적으로, 802.11ax는 직접 링크 전송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며 MU 전송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는 것이 본 발명의 광범위한 목적이다.
고밀도 환경에서 AP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송 스케쥴링의 높은 이점을 활용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AP 스케쥴링의 전역적 정책에 직접 링크를 통합하는 것을 고려했다. 이것은 몇 가지 과제를 제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이들 과제 및 양태들 중 하나는 대체로 802.11ax MU 방식 내에 직접 링크를 통합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시그널링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본 개시내용의 소정 양태들은, 트리거링 스테이션, 대개 액세스 포인트(AP)에서,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
다중 사용자(MU) 전송을 트리거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트리거링 스테이션과는 상이한)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대개 비-AP 스테이션에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여기서, 트리거 프레임은,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과,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대개 목적지 비-AP 스테이션 사이의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MU 전송의 자원 유닛을 할당한다.
바람직한 구현은, 트리거링 스테이션이 AP이고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이 비-AP 스테이션(AP에 등록된 스테이션)인 때이다.
이 접근법은, 대개 MU UL 전송(즉, AP로의 전송)을 위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RU를 2개의 비-AP 스테이션들 사이의 DiL 전송에 전용시킴으로써, 비-AP 스테이션에 의한 경쟁 EDCA 경합이 없이 직접 링크를 제공하며, 이 경우, 자원 유닛은 적어도 2개의 트리거되는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된다. 이 접근법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충돌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AP-대-스테이션(즉, 다운링크-DL) 전송을 위해 다른 RU가 제공됨으로써 동일한 MU 전송 내에서 풀 듀플렉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 경우 자원 유닛은 트리거링 스테이션으로서 역할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의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된다.
새로 제안된 AP 스케쥴링 덕분에 DiL 및/또는 DL 전송은 동일한 MU 전송 내에서 UL 전송과 혼합된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의 이용이 개선된다.
DiL 또는 DL 전송에 대해 목적지 스테이션으로서 동작하는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부터, 본 발명의 대응하는 양태들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대개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서,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
트리거링 스테이션, 대개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다중 사용자(MU) 전송을 트리거하는 트리거 프레임 ―트리거 프레임은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과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사이의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MU 전송의 자원 유닛을 할당함― 을 수신하는 단계, 및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유닛을 통해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DiL 전송에 대해 소스 스테이션으로서 동작하는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부터, 본 발명의 대응하는 양태들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대개 비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에서,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
트리거링 스테이션, 대개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다중 사용자(MU) 전송을 트리거하는 트리거 프레임 ―트리거 프레임은 트리거링 스테이션과는 상이한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대개 목적지 비-AP 스테이션으로의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MU 전송의 자원 유닛을 할당함― 을 수신하는 단계, 및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유닛을 이용하여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 데이터 프레임을 직접 전송하는 단계.
본 발명의 양태들은 또한, 위에서 정의된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스테이션을 무선 네트워크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선택사항적 피처는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정의된다. 이들 피처들 중 일부는 한 방법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되지만, 이들은 본 발명에 따른 임의의 시스템 전용 시스템 피처 내에 바꾸어 넣을 수 있다.
직접 링크(DiL) 접근법과 관련하여, 트리거 프레임은,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의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트리거되는 스테이션들에 의해 경합을 통해 자원 유닛이 액세스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 접근법은, RU로의 액세스를 다수의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게 개방한다. 이것은, 트리거 프레임에서, 소스 비-AP 스테이션 특유의 AID 표시를 생략하거나(0 등의 예약된 AID가 소스 비-AP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필드에서 이용될 수 있음), 랜덤 DiL RU를 시그널링하기 위해 예약된 (예를 들어, 802.11ax AID12 필드 내의) 특정한 AID를 이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랜덤 DiL RU에 액세스하기 위해 (특정한 백오프 카운터의 추가를 포함한) 종래의 메커니즘이 이용될 수 있다.
한 변형에서, 트리거 프레임은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특정한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 자원 유닛을 할당한다. 이를 위해, 연관 동안에 특정한 소스 비-AP 스테이션에 할당되고 스테이션의 ID를 나타내는 AID가 트리거 프레임에 명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리거 프레임은,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이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한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을 선택함을 나타낸다. 이것은 TF가 목적지 비-AP 스테이션을 정의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어느 비-AP 스테이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를 원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DiL RU에 액세스하는 소스 비-AP 스테이션에 달려 있다. 다시 말하지만, 이것은, 트리거 프레임에서, 목적지 비-AP 스테이션 특유의 AID 표시를 생략하거나(목적지 비-AP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필드에서 예약된 AID가 이용될 수 있음) 명시된 목적지 비-AP 스테이션없이 이러한 DiL RU를 시그널링하기 위해 예약된 (예를 들어 AID12 필드 내의) 특정한 AID를 이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 변형에서, 트리거 프레임은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한 하나 이상의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을 식별한다. 이를 위해, 연관 동안에 특정한 목적지 비-AP 스테이션에 할당되고 스테이션의 ID를 나타내는 AID가 트리거 프레임에 명시될 수 있다.
다운링크(DL) 접근법과 관련하여, 트리거 프레임은 다른 자원 유닛에서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하나 이상의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관 동안에 특정한 목적지 비-AP 스테이션에 할당되고 스테이션의 ID를 나타내는 AID가 트리거 프레임에 명시될 수 있다.
물론, 동일한 트리거 프레임을 통해, 2개의 트리거되는 (비-AP)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 또는 트리거링 스테이션(AP)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타겟 비-AP 스테이션으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트리거링 스테이션에서, 다운링크 자원 유닛을 이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것은 다운링크 전송을 구현한다.
DiL 또는 DL 자원 유닛의 다양한 시그널링이 이후 고려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리거 프레임 내의 자원 유닛과 연관된 필드는, 자원 유닛이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의도된 것임을 시그널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필드는, 스테이션이, 트리거 프레임에 의해 트리거된 MU 전송에서 종래의 UL RU와 DiL 또는 DL RU를 쉽게 구별하는 것을 허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자원 유닛과 연관된 필드는, AP와의 연관 동안 특정한 비-AP 스테이션에 할당된 AID를 포함할 때, (트리거링 스테이션으로의) 업링크 전송을 위해 자원 유닛을 특정한 비-AP 스테이션에 할당하는 AID12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시그널링은, AID12 서브필드에서,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예약된 AID 값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약된 AID 값을 이용하는 것은,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는 스테이션이 어떤 RU가 DiL/DL 전송에 전용되고 어떤 RU가 통상적으로 업링크 MU 전송에 이용되는지를 신속하게 식별하는 것을 가능케한다.
바람직하게는, AID 값은 2008과 2044 사이에서 선택된다. 이것은, 등록시 AP에 의해 비-AP 스테이션에 할당된 AID와의 충돌을 피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그널링은 인에이블된 단일 비트를 포함한다. 이것은 비트를 절약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필드는 802.11ax v3.0에 따른 자원 유닛과 연관된 사용자 정보 필드이다. 이것은 802.11ax의 종래 구조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정보 필드의 트리거 의존 사용자 정보 서브필드는,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의 AID 또는 자원 유닛에서 전송하는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의 AID 또는 양쪽 모두를 포함한다. 이것은, 사용자 정보 필드의 종래 802.11ax 고정된 서브필드들에서 불충분한 필드 수를 극복하는 동시에 이 필드에 대한 종래 802.11ax 포멧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케한다.
특정한 피처에 따르면, 트리거 의존 사용자 정보 서브필드는 또한, 2개의 트리거되는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링크 전송 또는 트리거링 스테이션으로부터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의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자원 유닛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2진 플래그를 포함한다.
역시 다른 실시예에서, 이 필드는, 데이터 전송의 하나 이상의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식별자, 및 자원 유닛에서 전송을 위한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소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한 특정한 실시예에서, 이 필드는 식별자들 중 하나를 저장하기 위한 추가의 (고정 길이) 서브필드로 보충된 802.11ax v3.0에 따른 자원 유닛과 연관된 사용자 정보 필드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한 실시예에서, 이 필드는 DiL 비트(B39)를 포함하고, 이 비트는, 디스에이블될 때 802.11ax v3.0에 따라 자원 유닛과 연관된 사용자 정보 필드로서 이 필드를 정의하고 인에이블될 때 (크기-정의된 필드들의) 동일한 길이로 이 필드를 정의하고 소스 및 목적지 식별자들을 포함한다. DiL 비트는 802.11ax에 따라 사용자 정보 필드의 예약된 39번째 비트(B39)일 수 있다.
특히, 802.11ax v3.0에 따른 사용자 정보 필드의 UL FEC 코딩 타입, UL MCS, UL DCM 및 SS 할당/RA-RU 정보 필드는, DiL 비트가 인에이블될 때 이 필드 내의 소스 및 목적지 식별자들 중 하나를 저장하는 서브필드로 대체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는 유리하게는 802.11ax 하드웨어 파서가 수정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한 특정한 피처에 따르면, 식별자 또는 식별자들은 연관 동안에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스테이션에 할당된 AID이다.
이 명시적 시그널링과는 반대로, 묵시적 시그널링이 이용되어 비트를 절약할 수 있다. 이 경우, 이 방법은, 트리거링 스테이션에서,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과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사이에 확립된 직접 링크 세션에 대한 직접 링크(DiL) 세션 식별자를 정의하는 단계, 및 트리거 프레임에서, DiL 세션 식별자를 이용하여 소스 및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 유닛의 할당을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단일 AID 값이 DiL 목적과 DiL에 관여된 스테이션들 각각을 동시에 시그널링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것은, DiL 목적을 위한 별도의 표시와 함께 각각의 스테이션을 별개로 시그널링하는 것에 비해 분명히 비트를 절약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DiL 세션 식별자는, 802.11ax v3.0에 따라 트리거 프레임에서 자원 유닛과 연관된 사용자 정보 필드의 AID12 서브필드에 저장된다. 이것은, 사용자 정보 필드에 대한 수정되지 않은 802.11ax 포멧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DiL 세션 식별자는, 연관 동안 비-AP 스테이션에 할당되지 않은 AID들로부터 액세스 포인트(AP)에 의해 선택된다. 이것은 DiL 세션 식별자의 효율적이고 동적인 관리를 허용한다. 사실상, AP는, 무선 네트워크의, 특히 이미 할당된 AID들의 전체 뷰를 갖는다. 또한, 이 접근법은 AID들 사이의 충돌을 피한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DiL 세션 식별자는, 연관 동안 비-AP 스테이션에 AID를 할당하기 위해 AP에 의해 이용되는 AID 값의 범위와 구별되는 AID 값의 범위로부터 선택된다. 예를 들어, DiL 세션 식별자는, 범위 [2008, 2044]로부터 또는 그 서브세트로부터 선택된다. 이들 제공은 또한, AID들 사이의 충돌 감소에도 기여한다.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고 DiL RU를 통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 관한 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기 전에 트리거 프레임을 이용하여 비-AP 스테이션이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한 소스 비-AP 스테이션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위에서 소개한 임의의 시그널링 방식에 기초할 수 있다.
DiL RU가 랜덤 DiL RU인 한 변형에서, 스테이션은,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기 전에,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유닛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경쟁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고 DL/DiL RU를 통해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 관한 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에, 트리거 프레임을 이용하여,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이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위에서 소개한 임의의 시그널링 방식에 기초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 레벨에서 이용되는 시그널링 방식이 목적지 스테이션을 개방하는 경우,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은,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에 기초하여, 데이터 프레임이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디바이스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로 하여금 앞서 정의된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의 적어도 일부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완전히 하드웨어 실시예, (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한) 완전히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여기서는 "회로", "모듈" 또는 "시스템"이라고 일반적으로 모두 부를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양태를 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체에 구현된 컴퓨터 이용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표현의 임의의 유형 매체(tangible medium)로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임의의 적합한 캐리어 매체 상에서 프로그램가능한 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 캐리어 매체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디바이스 또는 고체 상태 메모리 디바이스 등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시적인 캐리어 매체는, 전기 신호, 전자 신호, 광 신호, 음향 신호, 자기 신호, 또는 전자기 신호,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또는 RF 신호 등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전형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802.11ax에 따른 종래의 트리거 기반(TB)의 MU UL OFDMA 전송을 나타낸다;
도 3은 MU UL OFDMA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802.11ax 표준의 섹션 9.3.1.23에 설명된 트리거 프레임의 포멧을 나타낸다;
도 4는 트리거링 스테이션으로의 종래의 MU UL 전송에 추가하여,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 향하는 MU 전송을 포함하는 트리거 기반(TB)의 다중 사용자(MU) 전송을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d는 트리거 프레임에서 DiL 및/또는 DL 자원 유닛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필드의 다양한 포멧을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링 스테이션, 예를 들어 AP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AP에 의한 DiL 니드 검색으로 보충된 전형적인 직접 링크(DiL) 셋업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8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예를 들어, 비-AP 스테이션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도 9는 DiL 자원 유닛을 정의하는 트리거 프레임(410)의 수신시 비-AP 스테이션에 의한 동작을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은 대체로 트리거되는 MU UL 전송과 동시에 비-UL 전송이 수행되는 것을 허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강화된 다중 사용자(MU) 업링크(UL) 프로토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테이션은, MU 전송의 자원 유닛에서, 비-UL 전송, 즉, 또 다른 스테이션으로의 전송을 허용하기 위해 적절한 시그널링으로 MU 전송을 트리거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비-UL 전송의 예는, 다운링크(DL) 전송뿐만 아니라 직접 링크 전송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은, 직교 멀티플렉싱 방식에 기초하는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다양한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의 예는, SDMA(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및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을 포함한다. SDMA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속하는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기 위해 충분히 상이한 방향들을 활용할 수 있다. TDMA 시스템은 전송 신호를 상이한 시간 슬롯들 또는 자원 유닛들로 분할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공유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시간 슬롯은 상이한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된다. OFDMA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복수의 직교 서브캐리어 또는 자원 유닛으로 분할하는 변조 기술인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을 이용한다. 이들 서브캐리어는 또한, 톤(tone), 빈(bin)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OFDM을 이용하면, 각각의 서브캐리어가 데이터와 함께 독립적으로 변조될 수 있다. SC-FDMA 시스템은, 인터리빙된 FDMA(IFDMA)를 이용하여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분산된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전송하거나, 로컬화된 FDMA(LFDMA)를 이용하여 한 블록의 인접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전송하거나, 강화된 FDMA(EFDMA)를 이용하여 복수 블록의 인접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교시는 다양한 장치(예를 들어, 스테이션)에 통합(예를 들어, 이들 내부에 구현되거나 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본 명세서의 교시에 따라 구현되는 무선 스테이션은, 액세스 포인트(소위 AP)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소위 비-AP 스테이션).
AP는, 노드 B,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진화된 노드 B(eNB), 기지국 제어기("BSC"),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기지국("BS"), 트랜시버 기능("TF"), 무선 라우터, 무선 트랜시버, 기본 서비스 세트("BSS"), 확장된 서비스 세트("ESS"), 무선 기지국("RBS") 또는 어떤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서 구현되거나, 이들로서 알려져 있다.
비-AP 스테이션은, 가입자 스테이션, 가입자 유닛, 모바일 스테이션(MS),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UT),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UE), 사용자 스테이션, 또는 어떤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서 구현되거나, 이들로서 알려져 있다. 일부 구현에서, 비-AP 스테이션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어시스턴트("PDA"), 무선 접속 능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어떤 다른 적절한 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교시되는 하나 이상의 양태는, 전화(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 또는 스마트폰), 컴퓨터(예를 들어, 랩탑), 태블릿, 휴대형 통신 디바이스, 휴대형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개인 데이터 어시스턴트),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음악 또는 비디오 디바이스, 또는 위성 라디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디바이스, 또는 무선 또는 유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기타 임의의 적절한 디바이스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비-AP 스테이션은 무선 노드일 수 있다. 이러한 무선 노드는,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등의 광역 네트워크)에 대한 또는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수개의 통신 스테이션(101-107, 110)이, 중앙 스테이션, 즉, 스테이션들이 등록된 액세스 포인트(AP)(110)의 관리하에,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의 무선 전송 채널(100)을 통해 데이터 프레임을 교환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한 변형에서, 스테이션간의 직접 통신은, (Ad-hoc 모드라고 알려진)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지 않고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전송 채널(100)은, 단일 채널 또는 복합 채널을 형성하는 복수의 채널로 구성된 동작 주파수 대역에 의해 정의된다.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는, 802.11ax 버전 3.0 표준(2018년 6월에 발표됨)에 따른 802.11 네트워크이다.
각각의 비-AP 스테이션(101-107)은 연관 절차 동안 AP(110)에 등록한다. 널리-알려진 연관 절차 동안, AP(110)는 요청측 비-AP 스테이션에 특정한 AID(Association IDentifier)를 할당한다. AID는 비-AP 스테이션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16 비트 값이다. IEEE 표준에 따르면, AID 값은 방향성 다중 기가비트 비-AP 스테이션에 대해 1 내지 2007의 범위에서 할당된다; AID의 5개 MSB가 예약되어 있다.
모든 스테이션(101-107, 110)은, 전송 기회(TXOP; transmission opportunity)를 부여받은 다음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경합을 이용하여 서로 경쟁하여 무선 매체에 액세스한다.
무선 네트워크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단일 스테이션, 대개 AP(110)가 MU 전송, 즉, 무선 네트워크에서 다른 스테이션들로의 또는 이들로부터의 다중 동시 전송을 스케쥴링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다중 사용자(MU) 방식이 이용가능하다. 이러한 MU 방식은, 802.11ax에서, 다중 사용자 업링크 및 다운링크 OFDMA(MU UL 및 DL OFDMA) 절차로서 채택되었다.
도 2a를 참조하면, 이러한 MU UL 전송을 실제로 수행하기 위해, 802.11ax 표준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OFDMA) 기술에 기초하여, 허용된 통신 채널을 복수의 스테이션에 의해 주파수 영역에서 공유되는 자원 유닛(201-204)(RU)들로 분할한다.
비-AP 스테이션(101-107)에 의한 MU UL 전송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AP(110)는, 채널이 RU들로 분할되는 방법 및 어떤 비-AP 스테이션이 각각의 RU를 통해 전송이 허용되는지를 정의하는 트리거 프레임(210)을 전송한다. 이 예에서, 트리거 프레임(210)은 RU 201을 STA1에, RU 202를 STA2에, RU 203을 STA3에, RU 204를 STA4에 할당한다. 이 할당은 비-AP 스테이션의 AID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트리거 프레임(210)의 수신시, 각각의 비-AP 스테이션은 그 자신의 AID 덕분에 그 할당된 RU를 결정하고 트리거 프레임(210) 이후 SIFS 기간 후에 할당된 RU를 통해 AP로의 (HE TB PPDU라고 알려진) MU 프레임(220)의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트리거링 메커니즘으로 인해, "트리거 기반의 MU UL 전송"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도 2b는 스테이션 관점에서 동일한 MU UL 전송을 나타낸다.
도 3은 MU UL OFDMA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802.11ax 표준, 초안 버전 3.0의 섹션 9.3.1.23에 설명된 트리거 프레임의 포멧을 나타낸다;
트리거 프레임(210)은 IEEE 표준 802.11ax에 정의된 수개의 필드를 포함하고, 특히 단일의 공통 정보 필드(300) 및 복수의 사용자 정보 필드(310)를 포함한다.
각각의 사용자 정보 필드(310)는 각각의 비-AP 스테이션(101-107)으로의 RU의 할당뿐만 아니라 AP와의 UL 통신에 관한 통신 파라미터를 정의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 RU 할당 서브필드(312)는 관련된 RU(중심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폭)를 식별하고, AID12 서브필드(311)는 RU가 할당된 비-AP 스테이션의 AID의 12개 LSB를 운반한다.
사용자 정보 필드(310)의 비트 B39(313)는 현재 이용되지 않는다. 트리거 의존 사용자 정보 서브필드(314)는 주로, 사용자 정보 필드(310)의 다른 서브필드들에 의해 정의된 통신 파라미터에 관한 상세사항을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트리거 의존 사용자 정보 서브필드(314)의 내용은 트리거 프레임의 타입에 의존한다. 도면에 도시된 포멧은, 기본 트리거 프레임의 트리거 의존 사용자 정보 서브필드(314)에 대응한다.
따라서 802.11ax에 정의된 사용자 정보 필드는, AID12 서브필드(311)에서 소스 비-AP 스테이션만이 식별되므로 UL 전송만을 인가한다.
고밀도 환경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 요구되는 대역폭 증가 및 레이턴시 요구량 감소 문제를 추가로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양태들은 트리거되는 MU 전송에서 허용되는 전송을 효율적으로 변경하려고 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향상된 트리거 프레임을 이용함으로써 MU 전송에서 직접 링크(DiL) 전송 및/또는 다운링크(DL) 전송이 스케쥴링되는 것을 허용하는 피처를 제공한다. 이 목적을 위해, 트리거링 스테이션(대개 AP)에 의해 다른 트리거되는 스테이션(대개 비-AP 스테이션)으로 전송되는 트리거 프레임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대개 목적지 비-AP 스테이션 중 하나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MU 전송의 자원 유닛을 할당하는 트리거 프레임으로 강화된다.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는 스테이션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이라고 지칭되고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하는 스테이션은 트리거링 스테이션이라고 지칭된다.
새로 제안된 트리거 프레임은, 업링크(UL) 능력에 추가하여, 트리거되는 MU 전송 내에서 직접 링크(DiL) 및/또는 다운링크(DL) 전송 능력을 제공한다.
업링크 MU 전송은 비-AP 스테이션으로부터 AP로의 MU 전송으로서 정의된다.
다운링크 MU 전송은 AP로부터 하나 이상의 (비-AP) 스테이션으로의 MU 전송으로서 정의된다.
DiL(Direct Link) MU 전송은 하나의 비-AP 스테이션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다른 비-AP 스테이션으로의 MU 전송으로서 정의된다.
트리거링 스테이션은 스테이션들(101-107, 110) 중 임의의 것일 수 있지만, 아래에 제공된 예는 주로 트리거링 스테이션으로서의 AP(110)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서의 비-AP 스테이션(101-107)에 집중한다. 물론 AP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이고 하나의 비-AP 스테이션이 트리거링 스테이션인 다른 구성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은 그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의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트리거 프레임에 의해 할당된 자원 유닛을 이용하여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 데이터 프레임을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DiL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관점에서, 트리거되는 MU 전송 동안에 제공되는 직접 링크(DiL) 능력을 구현한다.
또한, 또 다른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은, 그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유닛을 통해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이것은 DiL 목적지 스테이션 관점에서의 직접 링크 능력을 구현하거나 데이터 프레임이 AP로부터 나올 때 다운링크 능력을 구현한다.
이하에서, DiL RU란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유닛을 말한다; DL RU란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유닛을 말한다; 및 DiL/DL RU란 직접 링크 또는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유닛을 말한다.
도 4는, 트리거링 스테이션(AP)으로의 종래의 MU UL 전송에 추가하여, 트리거되는 스테이션(하나 이상의 비-AP 스테이션)으로 향하는 MU 전송을 포함하는 트리거 기반(TB)의 다중 사용자(MU) 전송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 트리거 프레임(410)에 의해 트리거된 MU 전송(420)은, RU(201)를 통한(비-AP STA1로부터 AP(110)로) 및 RU(204)를 통한(비-AP STA5로부터 AP(110)로) 종래의 업링크 MU 프레임(430, 460), DL RU(203)를 통한(AP(110)로부터 비-AP STA3으로) 다운링크(DL) MU 프레임(450) 및 DiL RU(202)를 통한(비-AP STA 2로부터 비-AP STA 4로) 직접 링크(DiL) MU 프레임(440)을 포함한다. 더 일반적으로, DL RU의 수뿐만 아니라 DiL RU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종래의 UL MU RU에 추가하여 DL RU만 있거나, 종래의 UL MU RU에 추가하여 DiL RU만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트리거 프레임(410)이 이러한 DiL/DL MU 자원 유닛의 시그널링을 운반한다는 것을 제공한다. 그 다음, 트리거 프레임의 수신시,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여기서는 비-AP 스테이션)은 DiL 또는 DL 전송을 위한 자원 유닛을 할당받았는지, 및 긍정시 전송 또는 수신을 위해 어느 자원 유닛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DiL 또는 DL RU의 시그널링의 다양한 구현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려된다.
이들 모든 구현에서, 트리거 프레임 내의 자원 유닛과 연관된 필드는, 그 자원 유닛이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대개 비-AP)으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의도된 것이라는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도 5a 및 도 5b는 DiL/DL RU에 대한 종래의 802.11ax 사용자 정보 필드(310)를 약간 수정하는 DiL/DL RU 시그널링을 나타낸다. 이것은, 아마도 DiL/DL 전송에 관여된 스테이션 중 하나를 나타내는 또 다른 서브필드를 추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도면에서, 이 필드는, 데이터 전송의 하나 이상의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식별자, 및 자원 유닛에서 전송을 위해 의도된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소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사실상, 식별자 또는 식별자들은 연관 동안에 AP에 의해 스테이션에 할당된 AID이다.
도 5a는 식별자들 중 하나를 저장하기 위한 추가 서브필드로 보충된 802.11ax v3.0에 따른 자원 유닛과 연관된 사용자 정보 필드인 사용자 정보 필드(500)의 새로운 포멧을 설명한다. 종래의 AID12 서브필드(501)는 예를 들어 소스 식별자 AID12_src를 저장하는데 이용된다(한 변형에서 이것은 목적지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음). AID12_dest(502)는 목적지(또는 한 변형에서는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이 명시되는 것을 허용하는 새로운 서브필드이다.
이 예에서, 새로운 서브필드(502)는 RU 할당 서브필드(312) 후에 비트 B20과 B31 사이에 삽입된다. 종래의 802.11ax 사용자 정보 필드(310)의 다른 서브필드들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변형에서, 새로운 서브필드(502)는 2개의 802.11ax 종래 서브필드들 사이의 다른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동일한 새로운 서브필드(502) 덕분에, 트리거 기반의 MU 전송을 위한 트리거 프레임에 의해 자원 유닛마다 임의의 종류의 전송이 정의될 수 있다. 사실상, 사용자 정보 필드(500)는, MU 프레임이 임의의 스테이션(AP 또는 비-AP 스테이션)으로부터 임의의 다른 스테이션(AP 또는 비-AP)으로 전송되는(즉, 다운링크 MU 전송, 업링크 MU 전송 또는 직접 링크 MU 전송) 자원 유닛을 명시할 수 있다.
도 5b는 예약된 비트 B39(313)가 인에이블될 때 구현되는 사용자 정보 필드(510)의 또 다른 포멧을 나타낸다. 유리하게는, B39가 디스에이블될 때(값 = 0), 802.11ax에 정의된 것과 동일한 사용자 정보 필드가 이용될 수 있다. 즉, 이 필드(510)는 DiL 비트(예약된 비트 B39)를 포함하고, 이 비트는, 디스에이블될 때 802.11ax v3.0에 따라 자원 유닛과 연관된 사용자 정보 필드로서 이 필드를 정의하고 인에이블될 때 (특히 크기-정의된 필드들의) 동일한 길이로 이 필드를 정의하고 소스 및 목적지 식별자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B39는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게 연관된 자원 유닛이 DiL(B39 = 0)에 할당되는 때를 통보한다.
사용자 정보 필드의 동일한 크기를 유지하는 이러한 접근법은 유익하게도, 동일한 802.11ax 하드웨어 파서가 이용되는 것을 허용한다.
802.11ax v3.0에 따른 사용자 정보 필드의 UL FEC 코딩 타입, UL MCS, UL DCM 및 SS 할당/RA-RU 정보 필드들은, AP에 의한 최적의 수신을 위해 AP에 의해 설정된 파라미터를 정의하므로, 이들은 직접 링크 전송에 할당된 자원 유닛에 대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그 결과, 이들 필드(B20으로부터 B31까지)는 바람직하게는, DiL 비트 B39가 인에이블될 때 이 필드 내의 소스 및 목적지 식별자들 중 하나를 저장하는 서브필드(502)로 대체된다.
도 5c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종래의 802.11ax 사용자 정보 필드(510)의 일련의 이용 구성을 나타낸다. 종래의 802.11ax 포멧은 수정되지 않고 대응하는 자원 유닛을 통한 DiL MU 전송 및 다운링크 MU 전송을 지원하도록 확장되었다. AID1 및 AID2는 (임의의 순서로) 소스 및 목적지 식별자를 나타낸다.
포멧 c1-c3 및 c11-c13은 종래의 AID12 서브필드(311)를 이용하여 DiL 또는 DL 목적을 시그널링한다. 즉, 자원 유닛과 연관된 사용자 정보 필드(510)는 AID12 서브필드(311)를 포함하며, 이 서브필드는, AP와의 연관 동안 특정한 비-AP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 할당된 AID를 포함할 때, (트리거링 스테이션, 대개 AP로의) 업링크 전송에 대해 특정한 비-AP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 자원 유닛을 할당하고, DiL/DL 시그널링은, AID12 서브필드에서,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예약된 AID 값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약된(또는 전용의) AID 값은, 미사용 AID 값, 즉, 대개 2008과 2044 사이 중에서 (AP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44. 다양한 값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AID12 = 2044인 사용자 정보 필드를 수신하는 각각의 비-AP 스테이션은, 대응하는 RU가 DiL/DL 전송을 위해 할당되었음을 직접 알고 있다.
예시적인 포멧 c1-c2 및 c11-c12에서, 예약된 AID 값은 DiL 및 DL 시그널링에 대해 공통이다. 이 상황에서, DiL과 DL을 구분하기 위해 추가 플래그가 설정된다. 포멧 c1 및 c11에서, 추가 플래그는 비트 B39이며, DL 전송의 경우 1로 설정되고 DiL 전송의 경우 0으로 설정된다(또는 그 반대 방식으로). 포멧 c2 및 c12에서, 이 추가 플래그는 트리거 의존 사용자 정보 서브필드(314)에 저장되며, 트리거 의존 사용자 정보 서브필드가 자원 유닛이 2개의 트리거되는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었는지 또는 트리거링 스테이션으로부터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의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었는지를 나타내는 2진 플래그를 역시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포멧 c3 및 c13에서, 상이한 예약된 AID 값들이 각각 DiL 및 DL 시그널링에 대해 이용된다. 다시 말하지만, 예약된 AID 값은 미사용 AID 값 중에서, 즉, 대개 2008과 2044 사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값 2044는 DL 전용이고 값 2043은 DiL 전용이다. DL 및 DiL 경우 양쪽 모두에서, 사용자 정보 필드의 트리거 의존 사용자 정보 서브필드(314)는, 있다면, 목적지 트리거되는(비-AP) 스테이션의 AID를 포함한다. DiL 특유의 경우, 트리거 의존 사용자 정보 서브필드는 또한, 있다면, 자원 유닛에서 전송하는 소스 트리거되는 (비-AP) 스테이션의 AID를 포함한다.
포멧 c4-c5 및 c14-c15는 예약된 비트 B39(313)를 이용하여 DiL 또는 DL 목적을 시그널링한다. 즉, 시그널링은 인에이블된 단일 비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의 AID12 서브필드(311)는, (DL을 위한 및 바람직하게는 DiL을 위한) 목적지 식별자 또는 (DiL을 위한) 소스 식별자를 저장하는데 이용된다. DiL에 대한 제2(소스 또는 목적지) 식별자는 트리거 의존 사용자 정보 서브필드(314)에 저장될 수 있다.
포멧 c4 및 c14는, 종래의 802.11ax에 추가하여, DiL 또는 DL 중 양쪽 모두가 아닌 어느 하나만이 구현될 때 적용된다. DiL없이 DL이 구현되면, 인에이블된 B39(313)는 DL RU를 시그널링하고(포멧 c4), DL없이 DiL이 구현되면 인에이블된 B39(313)는 DiL RU를 시그널링한다(포멧 c14).
DL 및 DiL에 대해 양쪽 모두가 구현되면(포멧 c5 및 c15), 이들 2개의 목적을 구분하기 위해 추가 플래그가 설정된다. 비트 B39가 더 이상 이용가능하지 않으므로, 이 추가 플래그는 트리거 의존 사용자 정보 서브필드(314)에 저장된다. 도시된 예에서, 이 추가 비트는 1로 설정되어 DL을 나타내거나(포멧 c5) 0으로 설정되어 DiL을 나타내며(포멧 c15), 이 경우 제2 (소스 또는 목적지) 식별자도 서브필드(314)에 명시된다.
포멧 c4-c5 및 c14-c15에 대한 한 변형은, 예약된 비트 B39(313)이 아니라 트리거 의존 사용자 정보 서브필드(314)에 DIL/DL 비트(또는 더 일반적으로는 2진 플래그)를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포멧 c6-c8 및 c16-c18에서, DiL/DL 시그널링은 공동으로(즉, 동일한 비트를 이용하여) 하나의 식별자 : 목적지 식별자(DL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DiL의 경우) 또는 소스 식별자(DiL의 경우)를 명시한다. 종래의 AID12(311) 서브필드가 이러한 목적에 이용될 수 있다. 이것은 (AID12 서브필드에 대한) 전용 AID 값 양쪽 모두가 다음을 시그널링함을 의미한다 :
- 특정한 목적지 스테이션과 함께 DL(포멧 c6). 예를 들어, AID=1955는 목적지 스테이션으로서 AID=50인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다운링크를 명시하기 위해 할당될 수 있다;
- 특정한 목적지 또는 소스 스테이션 중 어느 하나와 함께 DiL(포멧 c16). 이 경우, 트리거 의존 사용자 정보 서브필드(314)에 다른 스테이션이 명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ID=1283은 목적지(또는 소스) 스테이션으로서 AID=177인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직접 링크를 명시하기 위해 할당될 수 있다;
- 특정한 스테이션과 함께 DL 또는 DiL(c7, c8, c17, c18). 이 경우, 추가 플래그가 설정되어 DiL과 DL을 구분하며, 비트 B39(1은 DL 전송용이고 0은 DiL 전송용일 경우 c7 및 c17)에 의해 또는 트리거 의존 사용자 정보 서브필드 314(1은 DL 전송용이고 0은 DiL 전송용일 경우 c8 및 c18)에 의해 운반된다. DiL의 경우, 다른 스테이션 식별자가 트리거 의존 사용자 정보 서브필드(314)에 저장될 수 있다.
이들 전용 AID는, 스테이션들로부터 DL 또는 DiL 의도를 알고 있을 때 AP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도 5d는 도 5c의 포멧에 대해 이용되는 트리거 의존 사용자 정보 서브필드(314)의 예시적인 구현을 나타낸다.
서브필드 550-553은 802.11ax에 정의되어 있다. 트리거 의존 사용자 정보 서브필드(314)가 도 5c의 포멧에 대해 강화될 때, 추가 서브필드가 서브필드 550-553 뒤에 추가된다.
서브필드(554)는, 필요할 때, DiL과 DL을 구별하기 위해 추가 플래그 세트를 운반할 수 있다. 이것은 단일 비트일 수 있지만, 도시된 예는 4비트 서브필드를 제공하며, 그 2개의 가능한 값(여기서는 0과 1)이 각각 DL 및 DiL을 시그널링하는데 이용되고 다른 가능한 값은 향후의 이용을 위해 예약된다. 물론 서브필드(554)에 대한 또 다른 길이가 이용될 수 있다. 이 서브필드는, 포멧 c2, c5, c8, c12, c15 및 c18로 구현된다.
서브필드 555 및 556은, 요구될 경우, 소스 및 목적지 식별자들을 운반하는데 이용되는 12 비트 서브필드이다(포멧 c1-c3 및 c11-c18). 요구된다면 이들 2개의 서브필드 중 하나만이 제공될 수 있다(포멧 c1-c3 및 c14-c18).
서브필드(557)는 향후의 이용을 위해 추가 (예약된) 비트를 제공한다.
물론, 서브필드 550-557에 대한 임의의 다른 순서 및 위치가 고려될 수 있다.
포멧 c11-c18이 오직 DiL 전송과 관련하여 전술되었지만, DL 목적에 이용될 수도 있다. 이들 포멧은 하나의 소스 식별자와 하나의 목적지 식별자(AID1, AID2)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소스 식별자는, 연관 동안 비-AP 스테이션 할당되지 않은 예약된 AID, 예를 들어 0으로 설정되어, 자원 유닛이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의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었음을 시그널링한다. 이 상황에서, 소스 식별자의 값은, DiL과 DL 사이의 특정한 시그널링으로서 동작한다(예를 들어 특정한 비트 또는 플래그를 대체하여 -포멧 c11 및 c17의 경우 B39 또는 포멧 c12, c15 및 c18의 경우 필드(314)의 플래그).
도 5c로 돌아가서, 마지막 포멧 c19는 직접 링크(DiL) 세션 식별자 이용에 의존한다. 트리거링 스테이션, 즉, 대개 AP는 소스 트리거되는 (비-AP) 스테이션과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사이에 확립된 직접 링크 세션에 대한 직접 링크(DiL) 세션 식별자를 정의한다. 그 다음, 트리거링 스테이션은 DiL 세션 식별자를 이용하여 소스 및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 유닛 할당을 (트리거 프레임에서) 시그널링한다.
도시된 예에서, DiL 세션 식별자는 트리거 프레임 내의 자원 유닛과 연관된 종래의 802.11ax 사용자 정보 필드의 AID12 서브필드(311)에 저장된다. 이것은, 단일 AID 값이 DiL 목적과 DiL에 관여된 스테이션들 각각을 동시에 시그널링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DiL 세션 식별자는, DiL 세션을 알고 있을 때 AP에 의해 동적으로 제공되거나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DiL 세션 식별자는, 연관 동안 비-AP 스테이션에 할당되지 않은 AID들, 예를 들어, 연관 동안 AP에 의해 비-AP 스테이션에 AID를 할당하기 위해 이용되는 AID 값들의 범위와는 구별되는 AID 값들의 범위로부터, AP에 의해 선택된다. 한 예로서, DiL 세션 식별자는, 범위 [2008, 2044]로부터 또는 그 서브세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한 변형에서, 범위 [1, 2007] 범위 또는 그 서브세트에서 이용가능한 AID가 이용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포멧에서, 목적지 비-AP 스테이션의 하나의 목적지 식별자(AID)를 명시하고, 적절한 경우, 소스 식별자를 명시하는 것이 제안된다. 따라서, 트리거 프레임은 직접 링크 전송 또는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하나의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을 식별하고, 적절한 경우, 트리거 프레임은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특정한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 자원 유닛을 할당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리거 프레임은 하나보다 많은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이것은, 수개의 목적지 AID를 저장하는 수개의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AID는 단일 AID 서브필드에서 구현될 수 있다(AID가 복수의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을 명시함을 의미함).
그러나, 실시예들은 트리거 프레임이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을 나타내지 않음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소스 스테이션이 DiL 또는 DL 전송을 위한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을 선택함을 나타낸다. 이것은 트리거 프레임이 관심대상 RU의 목적지 스테이션을 정의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어느 비-AP 스테이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를 원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RU에 액세스하는 소스 스테이션에 달려 있다. 다시 말하지만, 이것은, 트리거 프레임에서, 목적지 비-AP 스테이션 특유의 AID 표시를 생략하거나(예약된 AID는 포멧 c1-c5, c11-c18의 AID목적지 또는 AID1 또는 AID2로서 이용될 수 있음), (포멧 c6-c8, c16-c19에 대해) 명시된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없이 일반 DL 또는 DiL RU를 시그널링하기 위해 예약된 (예를 들어, AID12 서브필드 내의) 특정한 AID를 이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목적지 식별에 대한 AID 서브필드는 비어 있을 수 있다. 이 상황에서,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또는 스테이션들의 식별은, 소스 스테이션에 의해 데이터에서 직접 이루어질 수 있다.
DiL 전송을 위한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 트리거 프레임은 소스 스테이션을 명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트리거 프레임은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의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 의한 경합을 통해 자원 유닛이 액세스가능함을 나타낸다. 이것은, 트리거 프레임에서, 소스 비-AP 스테이션 특유의 AID 표시를 생략하거나(0 등의 예약된 AID는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필드 AID1 또는 AID2에서 이용될 수 있다 - 포멧 c11-c15), 명시된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없이 일반 DiL RU를 시그널링하기 위해 예약된 (예를 들어, AID12 서브필드 내의) 특정한 AID를 이용하거나(포멧 c16-c19의 경우), 소스 식별자에 대한 AID 서브필드를 비워둠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결과 자원 유닛은 DiL 전송을 위한 랜덤 RU로서 간주된다.
실시예들에서, DiL RU는 소스 스테이션도 목적지 스테이션(들)도 명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제, 트리거링 스테이션과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대개 각각 AP 및 비-AP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으로 돌아가면, 도 6은, 트리거링(여기서는 AP)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일반적인 단계들을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단계 600에서, AP는, 다중 사용자(MU) 전송을 트리거하는 트리거 프레임(410)을 생성한다. 위에서 소개된 바와 같이, 트리거 프레임(410)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MU 전송의 자원 유닛을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대개 목적지 비-AP 스테이션에 할당한다. 전술된 임의의 시그널링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 MU 전송에서 이러한 DiL 또는 DL 자원 유닛을 포함하기로 결정하는 것은 AP에서의 다양한 기준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는, 비-AP 스테이션으로부터 직접 링크 니즈를 수신했을 수 있고, 이 수신에 응답하여 이들 스테이션에 대해 RU를 DiL에 할당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한 변형에서, (DL 또는 DiL 목적을 위한) RU는 주기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효율성 목적을 위해, DL RU, 및 UL 또는 DiL에 대한 스케쥴링된 RU(즉, 소스 스테이션이 알려진 것들)는 바람직하게는 UL 또는 DiL 전송에 대한 랜덤 RU(소스 스테이션이 알려지지 않음 - 스테이션들은 경합을 통해 이러한 RU에 액세스함) 전에 트리거 프레임에서 선언된다. 이것은, 비-AP 스테이션이 UL 또는 DiL 전송을 위한 랜덤 RU로의 액세스 경쟁을 시도하기 전에 자신에게 할당된 RU가 있는지를 아는 것을 허용한다.
RU 선언의 순서는 트리거 프레임에서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필드(310)의 순서임에 유의한다.
단계 610에서, 트리거 프레임(410)은, AP에 의해,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대개 비-AP 스테이션으로 전송된다.
도 6a는, DL 전송에 대해 트리거링(여기서는 AP)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일반적인 단계들을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단계 600 및 610은 도 6에서와 동일하게 유지되며, 여기서, 자원 유닛은 AP로부터 목적지 비-AP 스테이션으로의 다운링크(DL) 전송을 위해 할당된다. 도 5a, 5b의 임의의 시그널링 또는 시그널링 포멧 c1-c8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DL 전송의 결과는, MU 전송의 맥락에서 풀 듀플렉스가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단 RU가 트리거 프레임(410)을 통해 스테이션에 선언되고 나면, AP는 트리거-기반의 MU 전송에서 DL-할당 RU를 식별하고, 이 DL 할당된 자원 유닛을 이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목적지 비-AP 스테이션에 보낸다. 이것이 단계 620이다.
도 6b는, 직접 링크 전송에 대해 트리거링(여기서는 AP)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을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단계 600에서 트리거 프레임(410)을 구축하기 전에, AP는 DiL 요구 수집을 수행한다, 즉, 비-AP 스테이션이 직접 링크 전송에 관련하여 갖는 모든 요구를 수집한다. 이것이 단계 690이다.
이것은, AP가 비-AP 스테이션들에게 그들의 DiL 니즈를 제공하라는 요청을 보내는 단계 69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요청에 응답하여, 각각의 비-AP 스테이션은 단계 692에서 AP에 의해 수신된 DiL 니즈를 전송한다.
한 변형에서, 비-AP 스테이션은 그들의 DiL 니즈를 발생시에 단계 692에서 자발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iL 니즈는 직접 링크 세션 확립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도 7은 AP에 의한 DiL 니즈 검색으로 보충된 전형적인 직접 링크(DiL) 셋업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DiL 니즈는, 다른 비-AP 스테이션과 데이터 프레임을 교환하려는 비-AP 스테이션으로부터의 대역폭 요구량을 포함할 수 있다.
플로차트는 (도 4의 DiL 전송에 관여된) AP(110)와 비-AP 스테이션 STA2(102)과 STA4(104)사이의 교환을 설명한다. 비-AP 스테이션(102) 및 비-AP 스테이션(104)은, AP를 관여시키지 않고 서로 직접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라고 불리는 802.11 표준의 802.11z 개정판에 기초한다.
기본적으로, DiL 세션 확립의 단계(700)는 TDLS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DiL 세션을 확립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비-AP 스테이션 STA2(102)는 TDLS 셋업 요청 프레임(701)을 비-AP 스테이션 STA4(104)에 전송한다. 비-AP 스테이션 STA4(104)가 동의하면, TDLS 절차의 수락을 나타내는 TDLS 셋업 응답(702)을 전송한다. 긍정적인 TDLS 셋업 응답(비-AP 스테이션 STA4(104)에 의한 수락을 포함하는 응답)의 수신시, 비-AP 스테이션 STA2(102)는 TDLS 확인 프레임(703)을 비-AP 스테이션 STA4(104)에 다시 전송한다. 그 다음, 터널링된 직접 링크 통신이 확립된다. 교환된 메시지는, 2개의 비-AP 스테이션에 의해 DiL 전송에 이용할 전송 파라미터에 관해 동의하는데 이용된다.
이 스테이지에서, 비-AP 스테이션 STA2(102)와 비-AP 스테이션 STA4(104) 사이에는 DiL 세션이 확립된다. 그러나, AP(110)는 이러한 DiL 세션을 아직 인식하지 못한다(따라서 비-스테이션에 대한 관련 DiL 니즈를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DiL 요구(니즈) 수집의 단계(690)가 실행되고, 그 동안 AP(110)는 DiL 세션에 관여된 2개의 비-AP 스테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DiL 요구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 검색은 AP(110)에 의해 개시된다. 이를 위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계 691에서 AP(110)에 의해 요청이 비-AP 스테이션에 전송된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 이러한 요청에 대해, DiL 전송을 위한 버퍼 상태 리포트 폴링(DL-BSRP)에 대응하는 특정한 타입의 트리거 프레임이 정의될 수 있다. 더 정확하게는, DiL 전송을 위한 버퍼 상태 리포트 폴링(DL-BSRP)에 대응하는 8 내지 15의 주어진 값으로 설정된 단일 공통 정보 필드(300)의 802.11 트리거 타입 서브필드와 함께 트리거 프레임(500)이 생성된다. 일단 DL-BSRP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고 나면, 직접 링크를 통해 또 다른 비-AP 스테이션에 전송할 어떤 데이터 프레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비-AP 스테이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스테이션은, 예를 들어 또 다른 비-AP 스테이션에 직접 전송할 준비가 된 방출 버퍼에 보유된 데이터("DiL 데이터")의 양에 대응하는 버퍼 상태를 포함하는 DiL 리포트(692)를 전송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AP 스테이션은, AP(110)에 의해 요청되지 않고, 자발적으로 자신의 DiL 리포트(692)를 전송한다.
역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AP 스테이션들은 주기적으로 그들의 DiL 리포트들을 전송하거나 그들의 로컬 버퍼 내의 DiL 데이터의 양이 주어진 임계값을 초과할 때 리포트들을 전송한다.
이들 수집된 DiL 니즈에 기초하여, AP는 DiL 정책을 적용하여 다음 트리거 프레임(410)에서 DiL RU를 추가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DiL 요구 수집 단계(690)는, AP(110)가 스테이션의 DiL 요구와는 다른 기준에 기초하여 DiL 자원 유닛을 할당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선택사항이다.
DiL RU가 제공되어야 하는 경우, 단계 600 및 610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실행되며, 여기서 자원 유닛은 적어도 2개의 트리거되는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된다.
도 8 내지 도 8b는 트리거되는 (대개 비-AP) 스테이션에서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8은, DiL 또는 DL 전송의 목적지 스테이션으로 동작할 때 이러한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여기서는 비-AP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일반적인 단계들을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단계 800에서, 비-AP 스테이션은, 트리거링 스테이션, 대개 AP(110)로부터, 다중 사용자(MU) 전송을 트리거하는 트리거 프레임(410)을 수신하고, 여기서, 트리거 프레임은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MU 전송의 자원 유닛을 할당한다. 따라서 비-AP 스테이션은, 예를 들어 트리거 프레임(410)을 이용하여, 비-AP 스테이션이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인지를 결정한다, 즉, 트리거 프레임(410)에 의해 제공되는 RU들 중 하나에 관여되는지를 결정한다.
802.11ax에 따른 스케쥴링된 RU 할당은 여기서 설명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것은 종래 방식으로 처리된다.
하나의 DiL 또는 DL RU에 대한 비-AP 스테이션의 관여를 결정하는 것은, 그 AID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의 사용자 정보 필드에서 시그널링된 AID와 비교하거나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AID를 목적지 AID로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을 명시하지 않고 DiL/DL RU가 시그널링될 때,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자(들)가 데이터 프레임 자체에 포함될 수 있다(대개 맨 처음에). 이 경우, 비-AP 스테이션은 그에 따라 대응하는 RU를 청취하고 데이터 프레임에 기초하여 데이터 프레임이 비-AP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결정, 즉, 다음 단계(810)로 이동하기 전에 그 AID(또는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AID)의 검출을 기다린다.
결정이 긍정이면, 비-AP 스테이션은 그에 따라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결정된 DiL/DL 자원 유닛을 통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다. 이것이 단계 810이다. DL 전송의 경우, 데이터 프레임은 대개 AP로부터 수신되는 반면, DiL 전송의 경우 또 다른 (비-AP)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다.
도 8a는, DiL 전송의 목적지 스테이션으로서 동작할 때,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여기서는 비-AP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한 실시예를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이 플로차트에서, 프로세스 초기에, 비-AP 스테이션은 트리거링(AP) 스테이션에 DiL 니즈를 제공한다. 이것은 이미 전술된 단계 690에 대해 대칭인 단계 890이다. 이 단계는 선택사항이며(특히 목적지에 대한 DiL 니즈가 관련이 없기 때문), AP(110)로부터 DiL 요구 수집 요청을 수신하는 제1 선택사항적 하위단계(891) 및 DiL 리포트를 AP(110)에 전송하는 제2 하위단계(892)를 포함한다.
그 다음, 단계 800 및 81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도 8b는, DiL 전송을 위한 소스 스테이션으로 동작할 때,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여기서는 비-AP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일반적인 단계들을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선택사항적 단계(890)는 AP(110)에게 비-AP 스테이션의 DiL 니즈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다. 단계 890은 전술되었다.
그 다음, 단계 800이 전술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 비-AP 스테이션은, 트리거링 스테이션, 대개 AP(110)로부터, 다중 사용자(MU) 전송을 트리거하는 트리거 프레임(410)을 수신하고, 여기서, 트리거 프레임은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의 직접 링크(DiL) 전송에 대한 MU 전송의 자원 유닛을 할당한다. 또한, 비-AP 스테이션은, 예를 들어 트리거 프레임(410)을 이용하여, 트리거 프레임(410)에 의해 제공되는 RU들 중 하나에서 소스 스테이션으로서 관여되는지를 결정한다.
비-AP 스테이션은 도 5에 도시된 시그널링을 이용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비-AP 스테이션의 AID가 소스 식별자로서 명시되는 경우. 대안으로서, 할당된 DiL RU에 대해 어떠한 소스 식별자도 명시되지 않는다면, 비-AP 스테이션은 이러한 DiL RU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경쟁하고 액세스가 허용될 수 있다.
일단 DiL RU가 알려지고 나면, 비-AP 스테이션은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유닛을 이용하여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 데이터 프레임을 직접 전송한다. 이것이 단계 820이다.
바로 그 비-AP 스테이션이 DiL 전송을 위한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과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일 수 있기 때문에, 그 역할은 대개 트리거 프레임(410)에서 제공되는 시그널링에 의해 정의된다. 도 9는 예를 들어 도 5의 임의의 DiL 시그널링을 갖는 DiL 사용자 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트리거 프레임(410)을 수신할 때 이러한 비-AP 스테이션에 의한 동작을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단계 900에서 새로운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면, 비-AP 스테이션은 각각의 사용자 정보 필드 310/500/510을 차례로 분석하여 RU가 제공되었는지(단계 910), 있다면, DiL RU가 존재하는지를(단계 920) 결정한다. 이것은 단지, DiL 전송을 위한 자원 유닛을 스케쥴링하는 사용자 정보 필드를 식별하기 위해 도 5의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긍정일 경우, 비-AP 스테이션은 (관련 사용자 정보 필드에서) 소스 스테이션으로서 식별되는지(테스트 930), 또는 부정일 경우, 목적지 스테이션으로서 식별되는지를(테스트 940) 결정한다.
비-AP 스테이션이 DiL 전송을 위한 소스 스테이션으로 식별되면, 스테이션은 식별된 자원 유닛 내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단계 931). 그렇지 않고 비-AP 스테이션이 DiL 전송을 위한 목적지 스테이션으로서 식별되면, 스테이션은 대기하여 식별된 자원 유닛을 통해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다(단계 941). 비-AP 스테이션이 소스 스테이션으로서도 목적지 스테이션으로서도 식별되지 않는다면, 선언된 랜덤 DiL RU에 액세스하여 선언된 DiL RU(목적지 식별자 없음)에서 데이터 프레임들을 전송하거나(단계 931) 데이터 프레임들을 청취하여(단계 941) 그들 중 일부가 그것에 어드레싱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경쟁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전 조건들 중 어느 것도 충족되지 않으면, 비-AP 스테이션은 현재 분석된 RU와 관련이 없다. 그 다음, 다음 사용자 정보 필드의 디코딩을 계속한다(단계 910으로 되돌아감).
도 10a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100)의 비-AP 스테이션(101-107) 또는 액세스 포인트(110)인 통신 디바이스(10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통신 디바이스(1000)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또는 경량의 휴대형 디바이스 등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00)는 통신 버스(1013)를 포함하고, 통신 버스(1013)에는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접속된다 :
CPU로 표시된, 프로세서 등의, 중앙 처리 유닛(1001);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의 실행가능한 코드 또는 방법들의 단계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003)뿐만 아니라, 이 방법들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변수 및 파라미터를 기록하도록 적합화된 레지스터; 및
전송 및 수신 안테나(1004)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IEEE 802.11 패밀리 표준들 중 하나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1002).
바람직하게는, 통신 버스는 통신 디바이스(1000)에 포함되거나 그에 접속된 다양한 요소들 사이의 통신 및 상호운용성을 제공한다. 버스의 표현은 제한되지 않으며 특히 중앙 처리 유닛은, 통신 디바이스(1000)의 임의의 요소에 직접, 또는 통신 디바이스(1000)의 또 다른 요소에 의해, 명령어를 전달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실행가능한 코드는, 읽기 전용 메모리, 하드 디스크 또는 예를 들어 디스크 등의 착탈식 디지털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선택사항적인 변형에 따르면, 프로그램의 실행가능한 코드는, 실행되기 전에 통신 디바이스(1000)의 메모리에 저장되기 위해 인터페이스(1002)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프로그램가능한 장치이다. 그러나, 대안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 또는 ASI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b는, 본 발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하도록 적합화된 AP(110) 또는 스테이션들(101 내지 107) 중 하나인 통신 디바이스(1000)의 아키텍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0)는, 물리(PHY) 계층 블록(1023), MAC 계층 블록(1022),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 블록(1021)을 포함한다.
PHY 계층 블록(1023)(여기서는 802.11 표준화된 PHY 계층)은, 임의의 20MHz 채널 또는 복합 채널을 포멧팅, 이에 관해 변조 또는 이로부터 복조하여, 802.11 프레임, 예를 들어, 전송 슬롯을 예약하는 매체 액세스 트리거 프레임 TF(410)(도 4), 20MHz 폭에 기초하여 레거시 802.11 스테이션과 상호작용하는 MAC 데이터 및 관리 프레임뿐만 아니라, 무선 매체로의/로부터의 20MHz 레거시보다 작은(전형적으로는 2 또는 5 MHz) 폭을 갖는 OFDMA 타입의 MAC 데이터 프레임 등의 이용된 무선 매체(100)를 통해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작업을 갖는다.
MAC 계층 블록 또는 제어기(1022)는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802.11ax MAC 동작을 구현하는 MAC 802.11 계층(1024) 및 본 발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추가 블록(1025)을 포함한다. MAC 계층 블록(1022)은 선택사항으로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소프트웨어는 RAM(1003)에 로딩되고 CPU(1001)에 의해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OFDMA 자원 유닛(서브채널)을 통해 매체 액세스 트리거 프레임에 후속되는 트리거된 MU 전송을 위한 트리거되는 MU Tx 관리 모듈이라고 지칭되는 추가 블록(1025)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일부를 구현한다(스테이션 관점에서 또는 AP 관점에서).
전적인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스테이션(AP 또는 비-AP)에 대한 동작은, AP에서, DiL 또는 DL 전송을 위한 RU를 할당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생성하고 전송하는 것, DL RU를 이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것, 및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서, 이러한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 DL RU를 통해 AP로부터 이러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 할당된 DiL RU를 통해 또 다른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 할당된 DiL RU를 통해 또 다른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MAC 802.11 계층(1024), 트리거되는 MU Tx 관리 모듈(102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스테이션에 어드레싱된 OFDMA RU를 통한 통신을 정확히 처리하기 위해 서로 상호작용한다.
도면의 상단에서, 애플리케이션 계층 블록(1021)은, 데이터 패킷, 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림 등의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블록(1021)은 ISO 표준화에 따라 MAC 계층 위의 모든 스택 계층을 나타낸다.
이상, 본 발명이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수정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단지 예로서 제공되고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결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의도가 아닌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할 때 많은 추가 수정 및 변형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특히, 상이한 실시예들로부터의 상이한 피처들은 적절한 경우 상호교환될 수 있다.
청구항들에서, 용어 "포함하는"은 다른 요소나 단계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부정 관사 "한(a)" 또는 "하나의(an)"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이한 피처들이 서로 상이한 종속항들에서 인용된다는 단순한 사실이, 이들 피처들의 조합이 유익하게 이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Claims (24)

  1.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트리거링 스테이션에서 :
    다중 사용자(MU) 전송을 트리거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트리거되는 스테이션들에 상기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과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사이의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상기 MU 전송의 자원 유닛을 할당하는, 방법.
  2.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서 :
    트리거링 스테이션으로부터, 다중 사용자(MU) 전송을 트리거하는 트리거 프레임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과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사이의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상기 MU 전송의 자원 유닛을 할당함― 을 수신하는 단계, 및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된 상기 자원 유닛을 통해 상기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서 :
    트리거링 스테이션으로부터, 다중 사용자(MU) 전송을 트리거하는 트리거 프레임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상기 트리거링 스테이션과는 상이한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의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상기 MU 전송의 자원 유닛을 할당함― 을 수신하는 단계, 및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유닛을 이용하여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 데이터 프레임을 직접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상기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의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트리거되는 스테이션들에 의한 경합을 통해 상기 자원 유닛이 액세스가능함을 나타내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프레임들은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특정한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 상기 자원 유닛을 할당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상기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이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한 상기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을 선택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상기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한 하나 이상의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프레임 내의 상기 자원 유닛과 연관된 필드는 상기 자원 유닛이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의도된 것이라는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유닛과 연관된 상기 필드는, AP와의 연관 동안 특정한 비-AP 스테이션에 할당된 AID를 포함할 때, 업링크 전송을 위해 상기 자원 유닛을 상기 특정한 비-AP 스테이션에 할당하는 AID12 서브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은, 상기 AID12 서브필드에서,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 AID 값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ID 값은 2008과 2044 사이에서 선택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인에이블된 단일 비트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는 802.11ax v3.0에 따른 상기 자원 유닛과 연관된 사용자 정보 필드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필드의 트리거 의존 사용자 정보 서브필드는, 상기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의 AID 또는 상기 자원 유닛에서 전송하는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의 AID 또는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의존 사용자 정보 서브필드는 또한, 2개의 트리거되는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링크 전송 또는 상기 트리거링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의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상기 자원 유닛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2진 플래그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는, 상기 직접 링크 전송의 하나 이상의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식별자, 및 상기 자원 유닛에서 전송을 위해 의도된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소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 스테이션에서,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과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사이에 확립된 직접 링크 세션에 대한 직접 링크(DiL) 세션 식별자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트리거 프레임에서, 상기 DiL 세션 식별자를 이용하여 소스 및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들 사이의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 유닛의 할당을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트리거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이 상기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2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 어드레싱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기 전에, 상기 트리거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비-AP 스테이션이 상기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한 소스 비-AP 스테이션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기 전에,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된 상기 자원 유닛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경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스테이션으로서, 상기 단계들은 :
    다중 사용자(MU) 전송을 트리거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트리거되는 스테이션들에 상기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과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사이의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상기 MU 전송의 자원 유닛을 할당하는, 스테이션.
  22.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스테이션으로서, 상기 단계들은 :
    트리거링 스테이션으로부터, 다중 사용자(MU) 전송을 트리거하는 트리거 프레임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과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 사이의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상기 MU 전송의 자원 유닛을 할당함― 을 수신하는 단계, 및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된 상기 자원 유닛을 통해 상기 소스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23.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스테이션으로서, 상기 단계들은 :
    트리거링 스테이션으로부터, 다중 사용자(MU) 전송을 트리거하는 트리거 프레임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상기 트리거링 스테이션과는 상이한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으로의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상기 MU 전송의 자원 유닛을 할당함― 을 수신하는 단계, 및
    직접 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유닛을 이용하여 목적지 트리거되는 스테이션에 데이터 프레임을 직접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24.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디바이스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1020217003057A 2018-07-06 2019-07-05 트리거 기반의 다중 사용자 전송들에서 직접 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들 KR202100250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811176.5A GB2575330B (en) 2018-07-06 2018-07-06 Direct link and downlink transmissions in trigger-based multi-user transmissions
GB1811176.5 2018-07-06
PCT/EP2019/068139 WO2020008049A1 (en) 2018-07-06 2019-07-05 Direct link and downlink transmissions in trigger-based multi-user transmiss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098A true KR20210025098A (ko) 2021-03-08

Family

ID=6327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057A KR20210025098A (ko) 2018-07-06 2019-07-05 트리거 기반의 다중 사용자 전송들에서 직접 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68561A1 (ko)
EP (1) EP3818759A1 (ko)
JP (2) JP7142723B2 (ko)
KR (1) KR20210025098A (ko)
CN (1) CN112425236B (ko)
GB (1) GB2575330B (ko)
WO (1) WO20200080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47666A1 (en) * 2020-06-29 2023-08-03 Lg Electronics Inc. P2p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lan system
GB2601559B (en) * 2020-12-04 2023-07-19 Canon Kk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multi-user and direct link transmission with reduced interference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0751B2 (en) * 2014-08-10 2019-10-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enabling station to receiv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60119933A1 (en) * 2014-10-28 2016-04-28 Qualcomm Incorporated Null data packet frame stru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10327226B2 (en) * 2014-12-12 2019-06-18 Newra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for multiple user transmission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AN
US9844049B2 (en) * 2015-01-07 2017-12-12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initiating uplink multi-user medium access in high efficiency wireless local-area networks
KR20160102911A (ko) * 2015-02-23 2016-08-31 뉴라컴 인코포레이티드 고효율 무선랜에서 직접 링크를 위한 동적 채널 센싱 방법 및 장치
US11082167B2 (en) * 2015-04-29 2021-08-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Triggered transmission opportunity and multiple user ACK procedures in WLAN systems
WO2017030295A1 (ko) * 2015-08-19 2017-02-23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의 피드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TWI710272B (zh) * 2015-09-11 2020-11-11 美商內數位專利控股公司 無線區域網路(wlan)多使用者同時隨機存取方法及裝置
US9980233B2 (en) * 2015-12-17 2018-05-22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uplink transmissions
KR102445925B1 (ko) * 2016-03-04 2022-09-22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다른 베이직 서비스 세트와 중첩된 베이직 서비스 세트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GB2552200B (en) * 2016-07-13 2021-05-12 Canon Kk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quantity of data to be transmitted in a wireless network
GB2555455B (en) * 2016-10-28 2020-02-26 Canon Kk QoS management for multi-user EDCA transmission mode in 802.11ax networks
US10420120B2 (en) * 2016-12-15 2019-09-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frame in wireless LAN system and wireless device using the same
US20180184409A1 (en) * 2016-12-23 2018-06-28 Intel Corporation Methods of triggering simultaneous multi-user uplink and downlink ofdma transmissions for full- duplex communications
US11570816B2 (en) * 2017-01-06 2023-01-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apparatus,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0770595A (zh) * 2017-04-07 2020-02-07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测距测量
US10694407B2 (en) * 2017-07-10 2020-06-23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devices for secure measurement exchange
US11109278B2 (en) * 2017-10-20 2021-08-31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clients of different generations in trigger-based transmissions
US20190132724A1 (en) * 2017-10-26 2019-05-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for signaling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US11115104B2 (en) * 2018-05-25 2021-09-07 Intel Corporation Enhanced signaling and use of multiple transmission chains
US11700603B2 (en) * 2018-06-28 2023-07-11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ed uplink multi-user access with concurrent peer-to-peer communications
US20200014599A1 (en) * 2018-07-06 2020-01-0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narrower bandwidth channel to address communication link iss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75330B (en) 2021-02-24
EP3818759A1 (en) 2021-05-12
WO2020008049A1 (en) 2020-01-09
JP2021530127A (ja) 2021-11-04
CN112425236A (zh) 2021-02-26
JP7142723B2 (ja) 2022-09-27
JP2022174224A (ja) 2022-11-22
GB201811176D0 (en) 2018-08-29
GB2575330A (en) 2020-01-08
JP7316427B2 (ja) 2023-07-27
US20210368561A1 (en) 2021-11-25
CN112425236B (zh) 202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65451B2 (ja) トリガベースのマルチユーザ送信におけるダイレクトリンク及びダウンリンク送信に準拠した無線局のmac/phyインタフェース
JP7316427B2 (ja) トリガに基づくマルチユーザ送信における直接リンク及び下りリンク送信
JP7361880B2 (ja) マルチユーザ送信における送信パラメータ値を選択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230337050A1 (en) Buffer status report signaling both buffered uplink traffic and buffered direct link traffic
US2023004255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rioritized transmission opportunity (txop) sharing
WO2020008048A1 (en) Unique direct link session id to drive stations in a wireless network
US20230209531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timized multi-ap coordination
TW202106083A (zh) Wlan系統中有效率上鏈資源要求
JP7482239B2 (ja) マルチユーザダイレクトリンク送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1784775B2 (en) Acknowledgement of direct link and downlink transmissions in trigger-based multi-user transmissions
US20230413268A1 (en) Short feedback procedure for signalling multiple technologies in wireles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