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4924A -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 Google Patents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924A
KR20210024924A KR1020190104741A KR20190104741A KR20210024924A KR 20210024924 A KR20210024924 A KR 20210024924A KR 1020190104741 A KR1020190104741 A KR 1020190104741A KR 20190104741 A KR20190104741 A KR 20190104741A KR 20210024924 A KR20210024924 A KR 20210024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machine room
under
space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균
김동석
동용원
이윤석
이충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4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4924A/ko
Priority to US16/992,905 priority patent/US11624543B2/en
Priority to EP20192579.9A priority patent/EP3786554B1/en
Priority to CN202010870221.XA priority patent/CN112432422B/zh
Publication of KR20210024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9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fluids through the insulating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에는 다수의 저장실의 독립적인 온도구현을 위한 2개 이상의 증발기가 제공되고, 기계실의 높이를 낮추어 저장실의 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Under counter type refrigerator}
본 발명은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최근 가구와 가전 기기가 결합된 제품이 등장하고 있으며,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는 주방에 위치하는 식탁 또는 싱크대에 설치되는 타입의 냉장고로서 소비자의 많은 선택을 받고 있다.
사용자는 식탁에서 식사를 하거나, 싱크대에서 조리를 하면서 근처에 위치한 냉장고에서 음료 또는 식재료를 꺼내어 활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언더 카운터형 내장고에 관한 선행기술에 관한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특허공개번호 (공개일자) : 일본 특개평8-180968호 (1996년 7월 12일)
2. 발명의 명칭 : 언더 카운터형의 냉장고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의 경우, 식탁 또는 싱크대의 높이 이하로 냉장고의 높이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냉장고의 크기가 한정될 수밖에 없다.
한편, 냉장고에는 냉기를 발생하기 위한 냉동 사이클의 부품, 즉 압축기, 열교환기 및 밸브장치등이 포함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부품이 설치되는 기계실의 용적에 의하여 냉장고의 저장실 용적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냉장고에 다수의 저장실이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저장실에 각각 다른 종류의 저장물이 저장될 때 독립적인 저장온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증발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증발기 설치공간 및 상기 기계실의 용적에 의하여 냉장고의 저장실 용적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저장실 중 어느 하나의 저장실이 냉동실로 구성되거나, 냉장 또는 냉동이 전환 가능한 컨버터블 저장실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저장실에는 냉동실용 증발기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는 상대적으로 큰 부피로 형성되므로,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 용적이 더 제한되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팩트한 기계실을 구현하여 저장실 용적을 확대할 수 있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기계실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냉장고의 높이를 줄이더라도 저장실의 용적이 크게 줄어들지 않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컴팩트한 기계실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계실의 전방 흡입 및 전방 토출이 가능한 기계실의 방열유로를 형성하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전방 흡입 및 전방 토출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계실의 가이드 벽을 기준으로 기계실이 좌우로 분리되고, 분리된 좌우 공간에 압축기 및 응축기가 각각 설치되어 부품의 공간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크게 형성되는 압축기가 위치하는 영역과, 응축기가 위치하는 영역의 기계실 높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저장실 용적을 확대할 수 있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는 냉장고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형성되는 흡입유로가 포함되고, 응축팬은 상기 전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되어 공기의 흡입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는 2개 이상의 증발기를 배치하여 저장실별 독립적인 온도구현이 가능하며, 특히 냉동실 구현까지 가능한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는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제상수를 기계실로 보내어 증발시킬 수 있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에는 다수의 저장실의 독립적인 온도구현을 위한 2개 이상의 증발기가 제공되고, 기계실의 높이를 낮추어 저장실의 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기계실에 구비되는 압축기와 응축기가 설치되는 각 공간의 사이에 가이드 벽을 마련하고, 응축기를 통과한 공기가 압축기를 지나도록 구성되어 방열유로의 형성이 용이하다.
특히, 기계실의 전방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후방으로 유동하는 흡입유로가 전후방으로 형성되고, 기계실의 후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가 전후방으로 형성되어, 흡입유로와 토출유로의 컴팩트한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응축팬은 기계실의 전면에 대하여 설정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되어 공기의 흡입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설정각도는 35°에서 55°사이에서 형성되어, 상기 흡입유로를 지난 공기는 상기 응축팬을 통과한 후 상기 토출유로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벽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벽에 의하여 흡입유로의 폭은 후방을 향하여 좁아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송풍팬으로 흡입되는 공기 유속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의 후방에는 트레이 배관이 구비되고, 트레이에 저장되는 제상수는 상기 트레이 배관을 유동하는 고온의 냉매에 의하여 용이하게 증발된다.
냉매 유동관점에서,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고온의 냉매는 상기 트레이 배관을 지난 후 상기 응축기로 유동함으로써, 상기 트레이 배관을 지나는 냉매의 발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는, 좌우 방향으로의 제 1 폭(W1)이 전후 방향으로의 제 2 폭(W2) 또는 상하 방향으로의 제 3 폭(W3)보다 크게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저장공간을 가지는 주방용 가구에 대하여, 상기 다수의 저장공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공간에 설치되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로서, 제 1,2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제 1,2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를 발생하는 제 1,2 증발기;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압축기 및 응축기가 구비되는 설치공간을 정의하는 기계실을 포함한다.
상기 기계실은, 상기 설치공간을 상기 응축기가 설치되는 제 1 공간 및 상기 압축기가 설치되는 제 2 공간으로 분리하는 가이드 벽; 상기 가이드 벽에 설치되는 응축팬; 상기 제 1 공간에 형성되는 상기 응축팬의 흡입유로; 및 상기 제 2 공간에 형성되는 상기 응축팬의 토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응축팬은 상기 흡입유로 또는 상기 토출유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전면부와 후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유로 및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전면부로부터 상기 후면부를 향하여 전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팬의 축선에 대한 수직방향의 연장선은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후면부에 대하여 설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정각도는 35~55°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정각도는 실질적으로 45°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팬은 축류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상기 본체의 전방부에 구비되며, 공기를 상기 기계실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본체의 전방부에 구비되어 상기 기계실 내부의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흡입부 및 상기 토출부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양측에 제공되는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공간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의하여 정의된다.
상기 응축팬의 축선은 상기 측면 플레이트와 만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2 공간은 상기 가이드 벽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벽은, 전후 방향으로 리니어 하게 연장되는 제 1 파트; 및 상기 제 1 파트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또는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2 파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공간의 전방부의 폭(C)은 상기 제 1 파트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로서 정의되고, 상기 제 1 공간의 후방부의 폭(D)은 상기 제 2 파트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로서 정의된다.
상기 제 1 공간의 전방부의 폭(C)은 상기 제 1 공간의 후방부의 폭(D)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놓여지며, 제상수를 저장하는 제상수 트레이; 및 상기 제상수 트레이에 구비되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동하는 트레이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상기 제 2 공간에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압축기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2 저장실의 내벽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 및 상기 이너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사이에 제공되는 단열재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재에는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유동하는 벽 컨덴서가 매립되고, 상기 벽 컨덴서는 상기 본체의 양 측벽에 배치되는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 컨덴서는,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제 1 응축부; 및 상기 제 1 응축부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다수 회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2,3 응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해결수단에 의하면, 컴팩트한 기계실을 구현하여 저장실 용적을 확대할 수 있다. 특히, 기계실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냉장고의 높이를 줄이더라도 저장실의 용적이 크게 줄어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컴팩트한 기계실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계실의 전방 흡입 및 전방 토출이 가능한 기계실의 방열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방 흡입 및 전방 토출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계실의 가이드 벽을 기준으로 기계실이 좌우로 분리되고, 분리된 좌우 공간에 압축기 및 응축기가 각각 설치되어 부품의 공간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크게 형성되는 압축기가 위치하는 영역과, 응축기가 위치하는 영역의 기계실 높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저장실 용적을 확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냉장고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형성되는 흡입유로가 포함되고, 응축팬은 상기 전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되어 공기의 흡입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는 2개 이상의 증발기를 배치하여 저장실별 독립적인 온도구현이 가능하며, 특히 냉동실 구현까지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제상수를 기계실로 보내어 증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가 주방용 가구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가 주방용 가구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 저장실 및 냉동 사이클 부품의 배치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5-5'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 모습을 보여주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의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실의 하부에 기계실이 제공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의 구성을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에서 공기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에서 응축팬의 경사진 배치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팬의 경사진 배치에 따라, 흡입유량이 달라지는 결과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의 전면부 및 측면부에 구비도는 벽 컨덴서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의 전면부 및 측면부에 구비되는 벽 컨덴서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벽 컨덴서가 설치되었을 때, 냉장고의 측벽 온도가 이슬점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가 주방용 가구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가 주방용 가구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는 주방용 가구(1)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주방용 가구(1)는 주방과 거실의 경계가 되는 영역에서, 벽(W)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식사 또는 음식의 조리를 할 수 있는 식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방용 가구(1)를 "아일랜드 식탁"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주방용 가구(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가구 본체(2) 및 상기 가구(1)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판(3)을 포함한다.
상기 가구 본체(2)의 하부에는, 상기 가구 본체(2)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어 걸레받이를 형성하는 함몰부(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6)에는 하부 커버(7)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 커버(7)는 냉장고의 하부 전면부를 덮는 커버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7)에는 상기 냉장고로 흡입되는 공기 또는 상기 냉장고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3)은 상기 가구 본체(2)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판(3)에는 주방용 편의시설 또는 가전제품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판(3)에는 정수기(4) 및 조리기기(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구(1)는 제 1 방향 폭(W1), 제 2 방향 폭(W2) 및 제 3 방향 폭(W3)에 의하여 그 치수가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방향은 벽(W)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방향이며, 상기 제 1 방향 폭(W1)은 상기 가구(1)의 가로(좌우)방향 길이를 정의하며, 주방 또는 거실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방향 폭(W2)은 상기 가구(1)의 전후방향 길이를 정의하며, 상기 제 3 방향 폭(W3)은 상기 가구(1)의 높이를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 1 방향 폭(W1)은 상기 제 2,3 방향 폭(W2,W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방향 폭(W3)은 상기 제 2 방향 폭(W2)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방향 폭(W1)은 약 1,000~2,500mm의 범위에서 결정되며, 상기 제 2 방향 폭(W2)은 약 500~700mm의 범위, 상기 제 3 방향 폭(W3)은 700~1,000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10,20,30)는 상기 가구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는 상기 가구 본체(2)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는 상기 가구 본체(2)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는 제 1 냉장고(10), 제 2 냉장고(20) 및 제 3 냉장고(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3 냉장고(10,20,30)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3 냉장고(10,20,30)는 서로 분리된 별도의 냉장고이며,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냉장고(10)는 음료수 또는 와인을 저장하는 냉장고일 수 있다. 상기 제 2 냉장고(20)는 저장실의 전환(냉장 또는 냉동)이 가능한 컨버터블 냉장고일 수 있다. 상기 제 3 냉장고(30)는 냉장실 전용 또는 냉동실 전용 냉장고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냉장고의 종류는 사용자 성향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의 종류는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는 제 1 냉장고(10), 제 2 냉장고(20) 및 제 3 냉장고(30)의 순서로 배열되나, 이와는 달리 제 1 냉장고(10)가 제 2,3 냉장고(20,30)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냉장고(10)의 전면에는 제 1 도어(15)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도어(15)는 냉장고 본체에 힌지 결합되며 전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냉장고(20)의 전면에는, 냉장고 본체에 힌지 결합되며 전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제 2 도어(25)가 구비된다.
상기 제 3 냉장고(30)는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3 도어(35)를 포함한다. 제 3 도어(35)의 후방에는 식품이 저장되는 바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냉장고 도어의 개폐방식, 즉 회전 타입 또는 슬라이딩 타입 여부는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즉, 제 1 냉장고(10) 및 제 2 냉장고(20)가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냉장고(30)가 회전 타입 도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냉장고 도어의 개폐방식은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주방용 가구(1)의 높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주방용 가구(1)의 높이는, 사용자가 상기 가구(1) 앞에 서서 조리를 하거나, 앉아서 식사를 할 때 불편함이 없을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에 접근하여 도어를 조작하거나 내부의 식품을 인출할 때 불편함이 없을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가구 본체(2)의 제 1 높이(H1)는 약 800~900mm의 범위에서 형성되며, 상판(3)의 제 2 높이(H2)는 약 40~60mm의 범위에서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6, 걸레받이)의 높이는 약 100~150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구 본체(2)에 구비되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10,20,30)의 높이는 제 1 높이(H1)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며, 각 냉장고(10,20,30)의 가로방향 폭(S1)은 약 550~600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10,20,30)는 일반적인 냉장고에 비하여 작은 치수로 설계되어야 하는 제한사항이 있다.
한편, 냉장고에는 냉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냉동 사이클 부품, 즉 압축기 및 응축기가 구비되는 기계실과, 저장실의 일측에 구비되는 증발기가 포함되어야 한다. 상기 기계실과 증발기기는 냉장고의 성능을 결정하는 주요 부품으로서 일정크기 이상으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특히, 냉장고에 냉동실이 형성될 경우, 냉장실만 구비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증발기가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냉장고 및 주요 부품의 크기에 관한 제한사항에 의하여, 냉장고의 저장실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기계실의 구성 및 증발기의 적절한 배치, 그리고 방열유로의 컴팩트 한 설계를 통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 저장실 및 냉동 사이클 부품의 배치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5-5'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 모습을 보여주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의 후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실의 하부에 기계실이 제공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100)는 저장실(121,122)을 형성하는 본체(1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외벽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11)와, 저장실(121,122)의 내벽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12)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와 상기 이너 케이스(112)의 사이에 제공되는 단열재(113)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고(100)는 상기 저장실(121,122)을 제 1 저장실(121)과 제 2 저장실(122)로 구획하는 배리어(125)를 더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제 1,2 저장실(121,122)은 상기 배리어(125)에 의하여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121)과 상기 제 2 저장실(122)은 독립적인 온도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저장실(121)과 상기 제 2 저장실(122)에 저장되는 식품의 종류는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2 저장실(121,122) 중 어느 하나는 냉장실로 구성되어 냉장 식품의 저장이 가능하고, 다른 하나는 냉동실로 구성되어 냉동 식품의 저장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2 저장실(121,122)의 온도범위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 1,2 저장실(121,122) 중 어느 하나는 와인 저장실로 구성되어 와인의 저장이 가능하고, 다른 하나는 음료 저장실로 구성되어 음료수의 저장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2 저장실(121,122)의 온도범위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2 저장실(121,122)은 동일한 온도범위로 형성되어, 동일한 종류의 식품이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냉장고(100)는 제 1,2 저장실(121,122)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동 사이클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장고(100)는 상기 제 1 저장실(121)의 후벽, 즉 이너 케이스(112)의 후방부 앞쪽에 설치되는 제 1 증발기(131) 및 제 1 증발팬(13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증발팬(135)은 상기 제 1 증발기(13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증발팬(135)이 구동되면, 상기 제 1 저장실(121)의 냉기는 상기 제 1 증발기(131)를 거쳐 냉각되고, 상기 제 1 증발팬(135)을 통하여 상기 제 1 저장실(121)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0)는 상기 제 2 저장실(122)의 후벽, 즉 이너 케이스(112)의 후방부 앞쪽에에 설치되는 제 2 증발기(141) 및 제 2 증발팬(14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증발팬(145)은 상기 제 2 증발기(14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증발팬(145)이 구동되면, 상기 제 2 저장실(122)의 냉기는 상기 제 2 증발기(141)를 거쳐 냉각되고, 상기 제 2 증발팬(145)을 통하여 상기 제 2 저장실(122)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 1 증발기(131)의 전방에는 상기 제 1 증발기(131)를 차폐하는 제 1 증발기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증발기(141)의 전방에는 상기 제 2 증발기(141)를 차폐하는 제 2 증발기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0)는 상기 본체(110)의 하측에 구비되며, 압축기(210) 및 응축기(240)가 설치되는 기계실(2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기계실(200)은 상기 냉장고(100)의 하부 전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저면부(115a,115b)는 상기 기계실(200)의 상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저면부(115a,115b)는, 상기 기계실(200)의 전방부 상단에 형성되는 제 1 저면부(115a) 및 상기 기계실(200)의 후방부 상단에 형성되는 제 2 저면부(115b)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저면부(115b)는 상기 제 1 저면부(115a)의 후방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저면부(115a)와 상기 기계실(200)의 하단부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방열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저면부(115b)와 상기 기계실(200)의 하단부 사이에는 압축기(2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210)는 하부 플레이트(221)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210)의 하부에는 지지 댐퍼(215)가 구비되어 압축기(2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하부 플레이트(221)로 전달되는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압축기(210)는 그 구조상, 일정 높이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 2 저면부(115b)와 상기 기계실(200)의 하단부 사이의 이격된 거리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기계실(200)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 2 저면부(115b) 사이의 높이(H5)는 상기 기계실(200)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 1 저면부(115a) 사이의 높이(H4)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저면부(115b)는 상기 제 1 저면부(115a)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저면부는, 상기 제 1 저면부(115a)로부터 상기 제 2 저면부(115b)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3 저면부(115c)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계실(200)의 전면부는 상기 냉장고(100)의 전방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는 상기 기계실(200)의 전방으로부터 흡입되어 방열유로를 거친 후, 상기 기계실(200)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0)의 전면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전면 그릴(201)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 그릴(201)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로서의 흡입 그릴(203) 및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로서의 토출 그릴(205)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 그릴(203)과 토출 그릴(205)는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그릴(201)의 전방에는, 도 3에서 설명한 하부 커버(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0)의 내부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품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10)와, 상기 압축기(210)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240) 및 상기 흡입 그릴(203)과 상기 토출 그릴(205)을 통한 냉매의 흡입 및 토출을 위하여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응축 팬(245)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부품은 상기 응축기(240)에서 응축된 냉매를 제 1 증발기(131) 및 제 2 증발기(141)로 분배하기 위한 밸브(2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밸브(260)는 3방변(three way valve)를 포함한다.
상기 기계실(200)의 내부 공간은 다수의 플레이트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기계실(200)의 저면을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부품을 설치하는 설치면을 제공하는 하부 플레이트(221)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21)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면 플레이트(223a,223b)를 더 포함한다. 상기 2개의 측면 플레이트(223a,223b)는 제 1 측면 플레이트(223a)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223b)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응축팬(245)의 상측에 제공되는 제 1 상부 플레이트(22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상부 플레이트(225)는 상기 응축팬(245)의 상단부보다 약간 높게 형성되어, 상기 응축팬(245)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상부 플레이트(225)는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상기 하부 플레이트(221)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압축기(210)의 상측에 제공되는 제 2 상부 플레이트(22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210)의 상단부 높이는 상기 응축팬(245)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상부 플레이트(226)는 상기 제 1 상부 플레이트(225)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상부 플레이트(226)는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상기 하부 플레이트(221)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부 플레이트(226)는 상기 본체(110)의 제 2 저면부(115b)에 대응되는 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221)로부터 상기 제 2 상부 플레이트(226)까지의 거리는 높이(H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상부 플레이트(225) 및 상기 제 2 상부 플레이트(226)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플레이트(227)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경사 플레이트(227)는 상기 본체(110)의 제 3 저면부(115c)에 대응되는 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경사 플레이트(227)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플레이트(22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방 플레이트(228)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21)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플레이트(228)는 상기 본체(110)의 제 1 저면부(115a)에 대응하는 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221)로부터 상기 전방 플레이트(228)까지의 거리는 높이(H4)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플레이트(221)로부터 상기 제 1 상부 플레이트(225)까지의 거리는 높이(H6)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높이(H6)는 상기 높이(H4)보다는 크고 상기 높이(H5)보다는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플레이트(225)는 상기 응축팬(245) 및 상기 밸브(260)의 상측을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226)는 상기 압축기(210)의 상측을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압축기(210)와 상기 응축팬(245)의 사이에는 응축된 냉매 중 수분 또는 이물을 제거하는 드라이어(25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0)에 배치되는 냉동 사이클의 부품, 즉 압축기(210), 응축기(240) 및 드라이어(250)는 냉매 배관(255)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냉매 배관(255)을 통하여 상기 부품에서의 냉매 순환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0)는 상기 증발기(131,141)에서 발생되는 제상수 또는 응축수를 기계실(200)의 내부로 가이드 하는 드레인 파이프(2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증발기(131,141)의 각 하측에는 상기 제상수 또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트레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레인 파이프(290)는 상기 트레이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파이프(290)는 상기 기계실(200)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파이프(290)는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 중 어느 일 부분을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드레인 파이프(290)는 상기 제 1 상부 플레이트(225)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드레인 파이프(290)의 관통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경사 플레이트(227) 또는 상기 전방 플레이트(228)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기계실(200)의 내부 공간은 가이드 벽(230)에 의하여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으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2 공간은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100)를 전방에서 바라 보았을 때, 상기 기계실(200)은 상기 가이드 벽(230)을 기준으로 좌우로 분리되며, 좌측의 제 1 공간에는 응축기(24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의 제 2 공간에는 컨트롤 박스(23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238)는 냉장고(100)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부품을 포함한다.
냉장고(100) 외부의 공기는 상기 냉장고(100)의 전방에서 상기 제 1 공간으로 유입되며, 상기 응축기(240)를 냉각한다. 그리고, 공기는 후방으로 유동하며 응축팬(245)을 거쳐 압축기(210)를 지나면서 상기 압축기(210)를 냉각할 수 있다.
이 후, 공기는 상기 압축기(210)의 전방에 위치한 컨트롤 박스(238)를 지나면서 상기 컨트롤 박스(238)를 냉각하고 냉장고(100)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응축팬(245)은 상기 가이드 벽(230)에 설치되며, 상기 응축기(240)는 제 1 공간에, 상기 압축기(210) 및 상기 컨트롤 박스(238)는 제 2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의 구성을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200)은 냉동 사이클 부품의 설치공간을 정의하는 하부 플레이트(221) 및 측면 플레이트(223a,223b)를 포함한다.
상기 기계실(200)은 상기 설치공간을 분리하는 가이드 벽(23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벽(230)은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는 기계실(200)의 전방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벽(230)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22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설치공간을 제 1 공간(235) 및 제 2 공간(236)으로 분리한다. 상기 제 1 공간(235)은 응축팬(245)의 흡입측 공간으로서 흡입유로(208a)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공간(236)은 응축팬(245)의 토출측 공간으로서 토출유로(208b)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공간(235)에는 응축기(240) 및 밸브(2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240)는 상기 제 1 공간(235)의 전방부에, 상기 밸브(260)는 상기 제 1 공간(235)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260)는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응축기(240)의 출구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236)에는 압축기(210) 및 컨트롤 박스(23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238)는 상기 제 2 공간(236)의 전방부에, 상기 압축기(210)는 상기 제 2 공간(236)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박스(238)는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압축기(210)의 출구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2 공간(235,236)이 좌우로 분리되어 냉장고(100)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 길게 형성되고 냉동 사이클 부품이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기계실(200)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줄어든 기계실(200)의 높이만큼 저장실(121,122)의 크기를 크게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저장실(121,122)의 후벽에 제공되는 증발기(131,141)의 크기를 크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냉동실을 구동하기 위한 증발기는 증발열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컴팩트 한 기계실(200)을 구현함으로써 냉동실 증발기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235)의 좌우 폭은 상기 기계실(200)의 후방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 벽(230)은 후방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또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벽(230)은 상기 기계실(200)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리니어 하게 연장되는 제 1 파트(231) 및 상기 제 1 파트(231)로부터 라운드지게 또는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 1 공간(235)의 좌우 폭을 감소시키는 제 2 파트(23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파트(231)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응축기(240)가 배치되며, 타측에는 컨트롤 박스(238)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파트(231)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공간(235)의 좌우 폭(C)은 상기 제 2 공간(236)의 좌우 폭(E)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파트(231)의 측방에 형성되는 제 1 공간(235)에는 상기 응축기(240)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파트(231)에 의하여, 상기 응축기(240)가 제공되는 제 1 공간(235)의 전방부의 좌우 폭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응축기(240)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냉동 사이클의 방열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231)를 기준으로 상기 응축기(240)의 반대편, 즉 상기 제 2 공간(236)의 전방부의 좌우 폭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폭을 줄여 제조하기에 용이한 컨트롤 박스(23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240)는 마이크로채널 플랫튜브 타입의 열교환기(MF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MF 열교환기는 컴팩트한 구성이 가능하며, 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제 2 파트(232)는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응축기(240)의 출구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232)의 라운드진 또는 경사진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 1 공간(235)의 후방부는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부(235)의 전방부의 폭, 즉 상기 제 1 파트(231)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공간(235)의 좌우 폭(C)은 후방부의 폭, 즉 제 2 파트(232)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공간(235)의 좌우 폭(D)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240)를 통과한 공기의 유속은 증가하여 응축팬(240)으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232)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 2 공간(236)의 후방부는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즉, 부품의 설치공간이 크게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236)의 후방부에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압축기(210)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235)의 하부에는 제상수 트레이(280)가 설치된다. 상기 제상수 트레이(280)에는, 상기 드레인 파이프(290)에서 배출된 물이 낙하하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상수 트레이(280)는 상기 가이드 벽(230)의 형상에 대응하여, 후방부의 단면적이 전방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상수 트레이(280)에는 제상수의 증발을 위하여 열량을 제공하는 트레이 배관(282)이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 배관(282)은 상기 제상수 트레이(280)의 상면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압축기(210)에서 압축된 고온의 냉매는 상기 트레이 배관(282)을 유동하여 제상수의 증발을 도와준다. 상기 트레이 배관(282)의 출구측에는 상기 응축기(240)가 제공되므로, 상기 트레이 배관(282)을 유동한 냉매는 상기 응축기(240)로 유입되어 응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벽(230)의 후방에는 팬 쉬라우드(246)가 제공된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팬 쉬라우드(246)는 상기 가이드 벽(230)의 후방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팬 쉬라우드(246)는 기계실의 전면 또는 후면에 대하여 설정각도 만큼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설정각도는 35°~55°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쉬라우드(246)에는 응축 팬(245)이 설치된다. 상기 응축 팬(245)은 상기 팬 쉬라우드(246)의 내측에서 회전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응축 팬(245)은 축류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팬 쉬라우드(246)의 경사진 배치에 의하여, 상기 응축 팬(245) 또한 상기 기게실의 전면 또는 후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235)의 후방부에는 워터 펌프(265) 및 워터 밸브(266)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0)는 아이스 메이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상기 저장실(121,122) 중 냉동실로 형성되는 저장실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펌프(265) 및 워터 밸브(266)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펌프(265) 및 상기 워터 밸브(266)는 제 1 측면 플레이트(223a)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260)는 상기 제 2 공간(236)의 후방부에 배치되며, 상기 밸브(260)는 상기 제상수 트레이(280)에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상수 트레이(280)의 상부에는 밸브 브라켓(26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 브라켓(263)은 상기 제상수 트레이(280)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밸브(2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응축팬(245)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221)로부터 설정 높이만큼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응축팬(245)의 하단부는 상기 제상수 트레이(280)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상수 트레이(280)에 존재하는 제상수에 의하여 공기 유동이 방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210)의 상하방향 제 1 중심과, 상기 응축팬(245)의 상하방향 제 2 중심은 동일한 높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중심과 상기 제 2 중심을 연결하는 연장선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221)와 평행할 수 잇따. 이러한 압축기(210)와 응축팬(245)의 배치에 의하여, 상기 응축팬(245)에서 토출된 공기는 압축기(210)의 냉각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에서 공기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기계실(200)을 유동하는 방열 유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응축팬(245)이 구동하면, 냉장고 외부의 공기는 전방으로부터 흡입그릴(203)을 통하여 제 1 공간(235)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 1 공간(235)으로 유입된 공기는 후방으로 유동하면서 응축기(240)를 통과하며 제상수 트레이(280)의 상측공간을 지나면서, 제상수의 증발에 도움을 준다.
공기는 상기 응축팬(245)로 흡입되며 제 1 공간(235)으로부터 제 2 공간(236)을 향하여 측방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응축팬(245)은, 상기 응축팬(245)의 축선이 기계실의 후면부와 측면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상기 제 1 공간(235)의 공기가 상기 응축팬(245)으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응축팬(245)에서 토출된 공기는 압축기(210)를 지나면서 상기 압축기(210)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210)를 거친 공기는 전방으로 방향 전환되고, 상기 압축기(210)의 전방에 위치한 컨트롤 박스(238)를 지나면서 상기 컨트롤 박스(238)를 냉각한다.
상기 컨트롤 박스(238)를 거친 공기는 전방으로 유동하며, 토출그릴(205)을 통하여 냉장고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냉매의 유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압축기(210)에서 압축된 고온의 냉매는 트레이 배관(282)을 유동하여, 제상수 트레이(280)에 저장된 제상수의 증발을 도와준다.
상기 트레이 배관(282)을 거친 냉매는 응축기(240)로 유입되어 응축되고, 이후 드라이어(250)를 지나면서 수분 또는 이물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어(250)를 거친 냉매는 상기 밸브(260)로 유입되고, 밸브(260)에서 분지되어 제 1,2 증발기(231,241)측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1,2 증발기(231,241)의 입구측에는 캐필러리(미도시)가 구비되며, 냉매는 상기 캐필러리에서 감압된 후 상기 제 1,2 증발기(231,241)로 유입하여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증발기(231,241)에서 증발된 냉매는 압축기(210)로 다시 흡입되며, 이상에서 설명한 순환을 반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에서 응축팬의 경사진 배치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팬의 경사진 배치에 따라, 흡입유량이 달라지는 결과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팬(245)은 기계실(200)의 전면부(200a) 또는 후면부(200b)에 대하여 설정각도(α1) 만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0)의 전면부(200a)와 후면부(200b)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응축팬(245)의 축선에 대한 수직방향의 중심선은 상기 기계실(200)의 전면부(200a) 또는 후면부(200b)에 대하여 설정각도(α1) 만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200) 내부에서의 흡입유로(208a)와 토출유로(208b)는 전후방을 향하여, 상기 응축팬(245)은 상기 흡입유로(208a) 또는 상기 토출유로(208b)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응축팬(245)의 축방향은 상기 전방 및 후방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팬(245)의 축선은 상기 기계실(200)의 후면부(200b) 및 측면부(측면 플레이트)를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응축팬(245)의 전면이 기계실(200)의 전단부를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흡입유로(208a)를 유동한 공기는 과도한 꺽임 없이 상기 응축팬(245)으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설정각도(α1)는 35°에서 55°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5개의 중심선(ℓo,ℓ1,ℓ2,ℓ3,ℓ4)은 응축팬(245)의 경사진 각도를 달리하였을 때를 각각 나타내는 중심선(축선에 대한 수직방향의 연장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세히, 경사지게 배치된 응축팬(245)의 축선에 대한 수직방향의 제 1 중심선(ℓo)은 기계실(200)의 전면부(200a) 또는 후면부(200b)에 대하여 45°를 이루는 중심선으로서 이해된다.
다른 예로서, 경사지게 배치된 응축팬(245)의 축선에 대한 수직방향의 제 2 중심선(ℓ1)은 기계실(200)의 전면부(200a) 또는 후면부(200b)에 대하여 25°를 이루는 중심선으로서 이해된다. 즉, 상기 제 2 중심선(ℓ1)은 상기 제 1 중심선(ℓo)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도 11 기준) 20°만큼(-20°) 회전된 중심선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경사지게 배치된 응축팬(245)의 축선에 대한 수직방향의 제 3 중심선(ℓ2)은 기계실(200)의 전면부(200a) 또는 후면부(200b)에 대하여 35°를 이루는 중심선으로서 이해된다. 즉, 상기 제 3 중심선(ℓ2)은 상기 제 1 중심선(ℓo)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도 11 기준) 10°만큼(-10°) 회전된 중심선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경사지게 배치된 응축팬(245)의 축선에 대한 수직방향의 제 4 중심선(ℓ3)은 기계실(200)의 전면부(200a) 또는 후면부(200b)에 대하여 55°를 이루는 중심선으로서 이해된다. 즉, 상기 제 4 중심선(ℓ3)은 상기 제 1 중심선(ℓo)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도 11 기준) 10°만큼(+10°) 회전된 중심선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경사지게 배치된 응축팬(245)의 축선에 대한 수직방향의 제 5 중심선(ℓ4)은 기계실(200)의 전면부(200a) 또는 후면부(200b)에 대하여 65°를 이루는 중심선으로서 이해된다. 즉, 상기 제 5 중심선(ℓ4)은 상기 제 1 중심선(ℓo)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도 11 기준) 20°만큼(+20°) 회전된 중심선일 수 있다.
도 12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응축팬(245)의 경사진 각도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상기 응축팬(245)의 경사진 각도에 따른 흡입유량의 변화를 보여준다.
응축팬 각도(°) 흡입유량 (CMM)
-20 (ℓ1) 0.568
-10 (ℓ2) 0.595
0 (ℓO) 0.6
10 (ℓ3) 0.593
20 (ℓ4) 0.566
위 [표 1]은 상기 5개의 중심선(ℓo,ℓ1,ℓ2,ℓ3,ℓ4)을 형성하도록 응축팬(245)이 경사지도록 배치될 때, 상기 응축팬(245)의 경사진 각도에 따라 측정되는 흡입유량의 변화값을 나타낸다.
상세히, 상기 응축팬(245)의 중심선이 상기 제 1 중심선(ℓo)을 지나도록, 상기 응축팬(245)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응축팬(245)은 상기 기계실(200)의 전면부(200a) 또는 후면부(200b)에 대하여 45°만큼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 때, 흡입유량은 0.6(CMM)을 나타낸다.
상기 응축팬(245)의 중심선이 상기 제 2 중심선(ℓ1)을 지나도록, 상기 응축팬(245)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응축팬(245)은 상기 기계실(200)의 전면부(200a) 또는 후면부(200b)에 대하여 25°만큼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 때, 흡입유량은 0.568(CMM)을 나타낸다.
상기 응축팬(245)의 중심선이 상기 제 3 중심선(ℓ2)을 지나도록, 상기 응축팬(245)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응축팬(245)은 상기 기계실(200)의 전면부(200a) 또는 후면부(200b)에 대하여 35°만큼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 때, 흡입유량은 0.595(CMM)을 나타낸다.
상기 응축팬(245)의 중심선이 상기 제 4 중심선(ℓ3)을 지나도록, 상기 응축팬(245)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응축팬(245)은 상기 기계실(200)의 전면부(200a) 또는 후면부(200b)에 대하여 55°만큼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 때, 흡입유량은 0.593(CMM)을 나타낸다.
상기 응축팬(245)의 중심선이 상기 제 5 중심선(ℓ4)을 지나도록, 상기 응축팬(245)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응축팬(245)은 상기 기계실(200)의 전면부(200a) 또는 후면부(200b)에 대하여 65°만큼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 때, 흡입유량은 0.566(CMM)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충분한 방열능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흡입유량은 0.590(CMM) 이상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응축팬의 각도는 제 1 중심선(ℓO)을 기준으로 제 3 중심선(ℓ3)과 제 4 중심선(ℓ3) 사이의 각도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응축팬(245)이 상기 기계실(200)의 전면부(200a) 또는 후면부(200b)에 대하여 경사지는 각도는 35~55°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사 각도범위에서 흡입유량의 증가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의 전면부 및 측면부에 구비도는 벽 컨덴서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의 전면부 및 측면부에 구비도는 벽 컨덴서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15는 상기 벽 컨덴서가 설치되었을 때, 냉장고의 측벽 온도가 이슬점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100)는 벽 컨덴서(300)를 더 포함한다. 다수의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100)는 가구(1)에 인접하여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인접한 냉장고의 영향으로 냉장고의 외벽온도가 이슬점 온도 이하의 저온으로 형성되는 경우, 냉장고의 표면에는 이슬이 맺힐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냉장고(100)의 측벽에 고온의 냉매가 유동하는 벽 컨덴서(300)를 설치하여, 냉장고의 표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벽 컨덴서(300)는 아우터 케이스(111)와 이너 케이스(112)의 사이, 단열재(113)에 매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240)에서 응축된 냉매가 상기 벽 컨덴서(300)로 유입되며, 상기 벽 컨덴서(300)를 거친 냉매는 상기 드라이어(250)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벽 컨덴서(300)는, 상기 본체(110)의 전면부 테두리에 구비되는 제 1 응축부(310)와, 상기 본체(110)의 일 측벽에 구비되는 제 2 응축부(320) 및 타 측벽에 구비되는 제 3 응축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응축부(310)는 냉장고 도어의 이면에 구비되는 가스켓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3 응축부(310,320,330)는 연결되어, 냉매의 연속적인 유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일례로, 냉매는 제 1 응축부(310), 제 2 응축부(320) 및 제 3 응축부(330)를 차례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응축부(320)는 상기 본체(110)의 측벽의 넓은 면적에 작용할 수 있도록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응축부(320)는 본체(110)의 후방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파트(321)와, 상기 제 1 파트(321)의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파트(322)와, 상기 제 2 파트(32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3 파트(323) 및 상기 제 3 파트(323)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4 파트(324)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제 1 파트(321)는 570~590mm, 상기 제 2 파트(322)는 390~410mm, 상기 제 3 파트(323)는 190~200mm, 상기 제 4 파트(324)는 350~370mm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4 파트(322,323,324)는 상기 제 1 파트(321)의 상하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4 파트(322,323,324)는 상기 제 2 응축부(3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3 응축부(330)는 상기 제 3 응축부(32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제 2 응축부(320)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벽 컨덴서(300)에 냉매가 유동하면 냉장고 본체(110)의 측벽은 이슬점 온도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체(110)의 측벽은 이슬점 온도 이상의 온도, 즉 붉은색, 노란색 및 녹색으로 표시된 온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 외벽에서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1 : 주방용 가구 2 : 가구 본체
10,20,30,100 :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110 : 본체
131,141 : 증발기 135,145 : 증발팬
200 : 기계실 203 : 흡입그릴
205 : 토출그릴 210 : 압축기
230 : 가이드 벽 238 : 컨트롤 박스
240 : 응축기 245 : 응축팬
250 : 드라이어 280 : 제상수 트레이
282 : 트레이 배관 290 : 드레인 파이프

Claims (15)

  1. 좌우 방향으로의 제 1 폭(W1)이 전후 방향으로의 제 2 폭(W2) 또는 상하 방향으로의 제 3 폭(W3)보다 크게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저장공간을 가지는 주방용 가구에 대하여,
    상기 다수의 저장공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공간에 설치되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로서,
    제 1,2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제 1,2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를 발생하는 제 1,2 증발기;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압축기 및 응축기가 구비되는 설치공간을 정의하는 기계실을 포함하며,
    상기 기계실은,
    상기 설치공간을 상기 응축기가 설치되는 제 1 공간 및 상기 압축기가 설치되는 제 2 공간으로 분리하는 가이드 벽;
    상기 가이드 벽에 설치되는 응축팬;
    상기 제 1 공간에 형성되는 상기 응축팬의 흡입유로; 및
    상기 제 2 공간에 형성되는 상기 응축팬의 토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응축팬은 상기 흡입유로 또는 상기 토출유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전면부와 후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유로 및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전면부로부터 상기 후면부를 향하여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팬의 축선에 대한 수직방향의 연장선은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후면부에 대하여 설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각도는 35~55°의 범위에서 형성되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각도는 실질적으로 45°에서 형성되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팬은 축류팬을 포함하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본체의 전방부에 구비되며, 공기를 상기 기계실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본체의 전방부에 구비되어 상기 기계실 내부의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흡입부 및 상기 토출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양측에 제공되는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공간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의하여 정의되고,
    상기 응축팬의 축선은 상기 측면 플레이트와 만나도록 형성되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2 공간은 상기 가이드 벽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전후 방향으로 리니어 하게 연장되는 제 1 파트; 및
    상기 제 1 파트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또는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2 파트를 포함하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의 전방부의 폭(C)은 상기 제 1 파트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로서 정의되고,
    상기 제 1 공간의 후방부의 폭(D)은 상기 제 2 파트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로서 정의되며,
    상기 제 1 공간의 전방부의 폭(C)은 상기 제 1 공간의 후방부의 폭(D)보다 크게 형성되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놓여지며, 제상수를 저장하는 제상수 트레이; 및
    상기 제상수 트레이에 구비되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동하는 트레이 배관을 더 포함하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제 2 공간에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압축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2 저장실의 내벽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 및 상기 이너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사이에 제공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재에는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유동하는 벽 컨덴서가 매립되고,
    상기 벽 컨덴서는 상기 본체의 양 측벽에 배치되는 일부분을 포함하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벽 컨덴서는,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제 1 응축부; 및
    상기 제 1 응축부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다수 회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2,3 응축부를 포함하는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KR1020190104741A 2019-08-26 2019-08-26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KR20210024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741A KR20210024924A (ko) 2019-08-26 2019-08-26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US16/992,905 US11624543B2 (en) 2019-08-26 2020-08-13 Under counter type refrigerator
EP20192579.9A EP3786554B1 (en) 2019-08-26 2020-08-25 Under counter type refrigerator
CN202010870221.XA CN112432422B (zh) 2019-08-26 2020-08-26 台下式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741A KR20210024924A (ko) 2019-08-26 2019-08-26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924A true KR20210024924A (ko) 2021-03-08

Family

ID=75185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741A KR20210024924A (ko) 2019-08-26 2019-08-26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49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8848B2 (en) Refrigerator
KR20210024925A (ko)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US20210063068A1 (en) Under counter type refrigerato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U2020346227B2 (en) Refrigerator
JP3904866B2 (ja) 冷蔵庫
JP2021076296A (ja) 冷蔵庫
JP2007071521A (ja) 冷蔵庫
JP6035510B2 (ja) 冷蔵庫
CN110375480A (zh) 具有利于散热的底部结构的冰箱
US11624543B2 (en) Under counter type refrigerator
JP3399880B2 (ja) 冷蔵庫
KR20210024924A (ko)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KR20220007292A (ko) 냉장고
JP2010071563A (ja) 冷蔵庫
EP3945270A1 (en) No-frost refrigerator appliance
JP2001349668A (ja) 冷蔵庫
JP6955348B2 (ja) 冷蔵庫
KR100567014B1 (ko) 양문형 냉장고의 냉기유로개선구조
KR20220010197A (ko) 냉장고
KR20000004607A (ko) 서랍식 냉장실을 구비한 씽크대
KR101713332B1 (ko) 냉장고
CN115682560A (zh) 冷藏冷冻装置及其控制方法
JP2001289551A (ja) 冷蔵庫
KR20100023352A (ko) 냉장고
CN111609630A (zh) 风机位于蒸发器中间的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