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4512A - 구강 세정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구강 세정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512A
KR20210024512A KR1020210022549A KR20210022549A KR20210024512A KR 20210024512 A KR20210024512 A KR 20210024512A KR 1020210022549 A KR1020210022549 A KR 1020210022549A KR 20210022549 A KR20210022549 A KR 20210022549A KR 20210024512 A KR20210024512 A KR 20210024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tip
unit
oral cavit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7555B1 (ko
KR102267555B9 (ko
Inventor
박지환
박정욱
Original Assignee
제이티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6400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80393A/ko
Application filed by 제이티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티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2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555B1/ko
Publication of KR20210024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555B1/ko
Publication of KR10226755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55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8Illuminating devices or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3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using pressurised tap-water, e.g. rin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connected to the main wate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강에 대한 세정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된 팁부, 상기 팁부내에 상기 세정수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세정수 관통부, 상기 팁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팁부를 이용하여 상기 세정수 관통부를 통과한 세정수를 이용하여 구강에 대한 세정 시 상기 구강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도록 형성된 영상 취득부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구강 세정 디바이스{Oral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구강 세정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에 구강 세정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섭취 후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찌꺼기, 플라그, 치석 등을 제거하기 위해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루에 여러 번 칫솔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구강 세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칫솔 이외에 치실 등의 보조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한편,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러한 칫솔을 통한 구강 세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인 또는 중증환자들도 편하게 구강을 세정할 수 있는 진동 모터를 구비하는 전동 칫솔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칫솔을 사용하는 경우 칫솔 자체의 오염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칫솔의 형태에 따라 구강 내의 잇몸 및 치아의 원하는 영역을 효율적으로 세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들이 구강 내의 영역을 세정하는데 편의성 및 세정의 정밀성을 향상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구강 세정 장치와 관련된 내용은 국제공개공보 WO2017/148261등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구강 세정 특성을 향상하는 구강 세정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강에 대한 세정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된 팁부, 상기 팁부내에 상기 세정수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세정수 관통부, 상기 팁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팁부를 이용하여 상기 세정수 관통부를 통과한 세정수를 이용하여 구강에 대한 세정 시 상기 구강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도록 형성된 영상 취득부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 취득부를 통하여 확보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팁부 또는 본체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도록 형성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강에 대한 세정 시 상기 구강에 대하여 광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광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구강 세정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구강 세정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강 세정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의 팁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팁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팁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관한 구강 세정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의 팁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일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팁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팁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관한 구강 세정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의 팁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의 팁부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의 팁부를 일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의 팁부를 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3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의 팁부를 K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구강 세정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의 팁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100)는 팁부(120), 세정수 관통부(도 1에는 미도시, 후술할 도 2에 도시), 본체부(110) 및 영상 취득부(도 1에는 미도시, 후술함)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100)는 세정수 탱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정수 탱크부(미도시)는 구강 세정 디바이스(100)의 팁부(120)를 통하여 구강으로 분사될 세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세정수 탱크부(미도시)와 팁부(120)의 사이에 연결관(130)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관(130)은 세정수가 통과하도록 내부가 빈 형태의 관일 수 있고, 구강 세정 과정을 용이하게 진행하도록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세정수 탱크부(미도시)를 이동하지 않고서도 팁부(120)를 다양한 각도와 다양한 위치로 이동 및 운동하면서 구강 세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관(130)은 본체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110)는 일 영역에 세정수가 통과하는 영역, 예를들면 관이 형성되고 이를 통하여 연결관(130)으로부터 팁부(120)로 세정수가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세정수 탱크부(미도시)를 소형으로 형성하여 이동이 간편하도록 하고 구강 세정시 본체부(110)와 부착된 채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관(130)을 생략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디스플레이 장치(DU)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디스플레이 장치(DU)는 태블릿 모듈(PDV) 또는 휴대용 전화기(HDV)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DU)는 노트북, 데스크탑 등의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구비하는 다양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DU)는 구강 세정 디바이스(100)를 통하여 취득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강 세정 디바이스(100)의 영상 취득부를 통하여 취득한 구강 세정시의 구강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에 대한 후술할 영상 취득부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체부(110)는 팁부(120)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110)는 전술한 대로 팁부(120)와 연결관(130)의 사이에 배치되어 팁부(120)와 연결관(130)을 연결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110)는 팁부(120)를 통한 세정수의 분사를 제어하도록 하나 이상의 제어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제어 버튼을 눌러서 팁부(120)를 통한 세정수의 분사 개시, 분사 종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110)는 팁부(120)를 통한 세정수의 분사 압력을 선택 및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110)의 제어 버튼을 통하여 영상 취득부(후술)를 통한 영상의 취득의 개시 및 종료를 제어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110)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DU)와 통신하도록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블루투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 파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기타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팁부(120)에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부(11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팁부(120)보다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본체부(110)를 파지한 채 구강 세정 과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일단에 팁부(120)를 용이하게 끼우도록 형성될 수 있고, 팁부(120)를 본체부(110)에 용이하게 부착하거나 본체부(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110)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도록 캡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팁부(120)는 구강에 대한 세정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팁부(120)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의 팁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의 팁부를 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팁부(12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폭보다 큰 값을 갖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110)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작아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구강에 대한 팁부(120)의 정밀한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팁부(120)의 일단에는 연결부(126)가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126)는 주변보다 돌출된 플랜지 형태일 수 있고, 연결부(126)를 통하여 팁부(120)를 본체부(110)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본체부(110)로부터 팁부(120)가 용이하게 분리하도록 한다.
하나 이상의 세정수 관통부(121)가 팁부(1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세정수 관통부(121)는 팁부(12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영상 취득부(140)는 상기 팁부(120)를 이용하여 세정수 관통부(121)를 통과한 세정수를 이용하여 구강에 대한 세정 시 상기 구강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영상 취득부(140)가 확보한 영상은 전술한 대로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DU)에 전달될 수 있고,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는데,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영상을 저장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취득부(140)에서 취득한 영상 정보를 본체부(110)의 통신 모듈을 통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DU)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취득부(140)는 촬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영상을 획득하는 획득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획득한 정보를 팁부(120)와 인접하도록 배치된 이미지 센서(미도시)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영상 취득부(140)는 하나 이상의 렌즈 및 이와 연결된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광섬유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취득부(140)는 팁부(120)의 영역 중 세정수 관통부(121)의 단부가 형성되는 영역과 상이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가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팁부(120)의 세정수 관통부(121)의 단부(121a)와 인접하고 단부(121a)와 이격되도록 영상 취득부(140)가 구강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강 세정 시 세정수 관통부(121)를 통하여 분사되는 세정수에 대한 방해를 감소하거나 방지하면서 구강에 대한 영상을 효과적으로 취득할 수 있고, 사용자가 구강에 대한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구강 세정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팁부(120)의 단부의 일 영역에 영상 취득부(140)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의 팁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팁부(12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세정수 관통부(121')가 형성될 수 있고, 세정수 관통부(121')를 통과한 세정수는 단부(121a')를 통하여 구강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취득부(140')는 획득부(141'), 전달부(142') 및 이미지 센서(143')을 포함할 수 있다. 획득부(141')는 구강에 대한 세정 시 원시적 데이터를 획득하고, 전달부(142')는 이러한 원시적 데이터를 이미지 센서(143')에 전달하고, 이미지 센서(143')는 이러한 원시적 데이터, 예를들면 빛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으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구체적 예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센서는 본체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획득부(141')는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고, 전달부(142')는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섬유를 이용하여 획득부(141') 및 전달부(142')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획득부(141')는 광섬유의 단부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취득부(140')의 획득부(141')는 팁부(120)의 영역 중 세정수 관통부(121')의 단부(121a)가 형성되는 영역과 상이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강 세정 시 세정수 관통부(121')를 통하여 분사되는 세정수에 대한 방해를 감소하거나 방지하면서 구강에 대한 영상을 효과적으로 취득할 수 있고, 사용자가 구강에 대한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구강 세정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팁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팁부(12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세정수 관통부(121")가 형성될 수 있고, 세정수 관통부(121")를 통과한 세정수는 단부(121a")를 통하여 구강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취득부(140")의 적어도 일 영역은 팁부(120")의 영역 중 세정수 관통부(121")의 단부가 배치되는 영역이 아닌, 팁부(120")의 측면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영상 취득부(140")의 적어도 일 영역은 사용자의 아랫니를 포함한 구강 세정 시 팁부(120")의 하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강 세정을 진행하면서 세정수의 분사 방향과 상이한 각도로 구강을 향하도록 영상 취득부(140")가 배치될 수 있어 구강 영상을 효율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팁부(120")의 측면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것은 영상 취득부(140")의 전체일 수 있고, 또는 일부, 예를들면 전술한 선택적 실시예에서의 획득부 또는 전달부의 적어도 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관한 구강 세정 디바이스는 팁부에 배치된 세정수 관통부를 통하여 세정수가 구강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 때, 강한 압력을 제공하도록 하여 구강에 대한 세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는 영상 취득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영상 취득부는 구강 세정중 구강에 대한 영상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예를들면 팁부의 일 영역에 획득부를 형성하고 이미지 센서를 통하여 영상을 구현하고, 이러한 영상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면서 구강에 대한 세정을 구강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구강의 상태를 보면서 세정 과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고, 영상을 저장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취득부를 배치 시 세정수 관통부의 단부와 이격되고 인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어 구강 세정시의 영상 취득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취득부가 획득부 및 전달부를 포함하고, 이와연결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여, 이미지 센서는 팁부와 별도로 팁부의 외부, 예를들면 본체부에 배치하여 팁부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팁부의 탈착과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취득부의 단부, 즉 획득부를 팁부의 일면에 세정수 관통부의 단부와 상이한 영역에 배치하고, 예를들면 팁부의 단부가 아닌 외측면의 일 영역, 구체적으로 하면의 일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강 세정시의 세정수로 인하여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하면서 깨끗한 영상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원하는 위치에서 구강 내의 잇몸이나 치아에 대한 정밀한 세정을 진행할 수 있고, 세정 상태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를 실시간으로 또는 저장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세정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관한 구강 세정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의 팁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일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200)는 팁부(220), 세정수 관통부(도 6에는 미도시, 후술할 도 7등에 도시), 본체부(210) 및 영상 취득부(도 6에는 미도시, 후술함)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200)는 세정수 탱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정수 탱크부(미도시)는 구강 세정 디바이스(200)의 팁부(220)를 통하여 구강으로 분사될 세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세정수 탱크부(미도시)와 팁부(220)의 사이에 연결관(230)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관(230)은 세정수가 통과하도록 내부가 빈 형태의 관일 수 있고, 구강 세정 과정을 용이하게 진행하도록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세정수 탱크부(미도시)를 이동하지 않고서도 팁부(220)를 다양한 각도와 다양한 위치로 이동 및 운동하면서 구강 세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관(230)은 본체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210)는 일 영역에 세정수가 통과하는 영역, 예를들면 관이 형성되고 이를 통하여 연결관(230)으로부터 팁부(220)로 세정수가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디스플레이 장치(DU)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디스플레이 장치(DU)는 태블릿 모듈(PDV) 또는 휴대용 전화기(HDV)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DU)는 노트북, 데스크탑 등의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구비하는 다양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DU)는 구강 세정 디바이스(200)를 통하여 취득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강 세정 디바이스(200)의 영상 취득부를 통하여 취득한 구강 세정시의 구강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에 대한 후술할 영상 취득부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체부(210)는 팁부(220)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210)는 전술한 대로 팁부(220)와 연결관(230)의 사이에 배치되어 팁부(220)와 연결관(230)을 연결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210)는 팁부(220)를 통한 세정수의 분사를 제어하도록 하나 이상의 제어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제어 버튼을 눌러서 팁부(220)를 통한 세정수의 분사 개시, 분사 종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210)의 제어 버튼을 통하여 영상 취득부(후술)를 통한 영상의 취득의 개시 및 종료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210)는 팁부(220)를 통한 세정수의 분사 압력을 선택 및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210)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DU)와 통신하도록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21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블루투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 파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기타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팁부(220)에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부(21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팁부(220)보다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본체부(210)를 파지한 채 구강 세정 과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10)의 일단에 팁부(220)를 용이하게 끼우도록 형성될 수 있고, 팁부(220)를 본체부(210)에 용이하게 부착하거나 본체부(2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210)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도록 캡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팁부(220)는 구강에 대한 세정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팁부(220)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6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의 팁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일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예를들면 도 7의 좌측에서 본 팁부의 단부를 도시한 것일 수 있다.
팁부(22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폭보다 큰 값을 갖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210)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작아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구강에 대한 팁부(220)의 정밀한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팁부(220)의 일단에는 연결부(226)가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226)는 주변보다 돌출된 플랜지 형태일 수 있고, 연결부(226)를 통하여 팁부(220)를 본체부(210)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본체부(210)로부터 팁부(220)가 용이하게 분리하도록 한다.
하나 이상의 세정수 관통부(221)가 팁부(2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세정수 관통부(221)는 팁부(22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영상 취득부(240)는 상기 팁부(220)를 이용하여 세정수 관통부(221)를 통과한 세정수를 이용하여 구강에 대한 세정 시 상기 구강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영상 취득부(240)가 확보한 영상은 전술한 대로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DU)에 전달될 수 있고,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는데,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영상을 저장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취득부(240)에서 취득한 영상 정보를 본체부(210)의 통신 모듈을 통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DU)에 전달될 수 있다.
영상 취득부(240)는 상기 팁부(220)를 이용하여 세정수 관통부(221)를 통과한 세정수를 이용하여 구강에 대한 세정 시 상기 구강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영상 취득부(240)가 확보한 영상은 전술한 대로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DU)에 전달될 수 있고,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는데,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영상을 저장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취득부(240)에서 취득한 영상 정보를 본체부(210)의 통신 모듈을 통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DU)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취득부(240)는 촬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영상을 획득하는 획득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획득한 정보를 팁부(220)와 인접하도록 배치된 이미지 센서(미도시)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영상 취득부(240)는 하나 이상의 렌즈 및 이와 연결된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광섬유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취득부(240)는 팁부(220)의 영역 중 세정수 관통부(221)의 단부가 형성되는 영역과 상이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가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팁부(220)의 세정수 관통부(221)의 단부(221a)와 인접하고 단부(221a)와 이격되도록 영상 취득부(240)가 구강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강 세정 시 세정수 관통부(221)를 통하여 분사되는 세정수에 대한 방해를 감소하거나 방지하면서 구강에 대한 영상을 효과적으로 취득할 수 있고, 사용자가 구강에 대한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구강 세정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팁부(220)의 단부의 일 영역에 영상 취득부(240)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구강 세정 시 세정수 관통부(221)를 통하여 분사되는 세정수에 대한 방해를 감소하거나 방지하면서 구강에 대한 영상을 효과적으로 취득할 수 있고, 사용자가 구강에 대한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구강 세정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원부(25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250)를 통하여 구강 세정 디바이스(200)를 통하여 구강 세정 시 구강에 대한 광을 제공하여 구강 세정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광원부(250)를 통하여 구강에 대한 광을 제공하여 구강 세정 시의 영상 취득부(240)를 통한 영상의 화질을 향상하고 영상을 통한 구강의 위치, 구강 세정 과정의 정밀한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구강 세정 시 입안의 구조로 인하여 영상 취득부(240)를 통한 영상이 어두워서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DU)를 통한 이미지의 확인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구강에 대한 광원부(250)를 통한 광을 제공으로 화질이 향상된 이미지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광원부(250)는 다양한 종류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소형의 LED(light emitting modul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부(250)는 팁부(2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팁부(2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본체부(21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는 도 8의 팁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팁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팁부(22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세정수 관통부(221')가 형성될 수 있고, 세정수 관통부(221')를 통과한 세정수는 단부를 통하여 구강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취득부(240')는 획득부(241'), 전달부(242') 및 이미지 센서(243')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부(241')는 구강에 대한 세정 시 원시적 데이터를 획득하고, 전달부(242')는 이러한 원시적 데이터를 이미지 센서(243')에 전달하고, 이미지 센서(243')는 이러한 원시적 데이터, 예를들면 빛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으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구체적 예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센서는 본체부(210)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획득부(241')는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고, 전달부(242')는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섬유를 이용하여 획득부(241') 및 전달부(242')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획득부(241')는 광섬유의 단부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취득부(240')의 획득부(241')는 팁부(220)의 영역 중 세정수 관통부(221')의 단부(221a)가 형성되는 영역과 상이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강 세정 시 세정수 관통부(221')를 통하여 분사되는 세정수에 대한 방해를 감소하거나 방지하면서 구강에 대한 영상을 효과적으로 취득할 수 있고, 사용자가 구강에 대한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구강 세정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취득부(240')의 획득부(241')는 팁부(220')의 영역 중 세정수 관통부(221')의 단부가 형성되는 영역과 상이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가 사용자의 아랫니를 포함한 구강 세정 시를 기준으로 팁부(220')의 하면의 일 영역에 획득부(241')가 형성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팁부(220')의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전달부(242')는 굴곡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팁부(220')의 외부에서 이미지 센서(243')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강 세정 시 세정수 관통부(221')를 통하여 분사되는 세정수에 대한 방해를 감소하거나 방지하면서 구강에 대한 영상을 효과적으로 취득할 수 있고, 사용자가 구강에 대한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구강 세정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팁부(220')의 일 영역이, 사용자의 아랫니를 포함한 구강 세정 시 하면을 향하도록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획득부(241')를 굴곡진 하면의 일 영역에 용이하게 배치하고, 영상을 효율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광원부(251')는 팁부(2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팁부(2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본체부(21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팁부(220')를 경량화 및 박형화할 수 있고, 광원부(251')의 교체 없이도 팁부(220')의 교체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전달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광전달부(252')는 광원부(251')에서 발생한 광을 구강에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광전달부(252')는 팁부(220')의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광전달부(252')는 팁부(220')의 내부에 세정수 관통부(221')과 이격되도록 형성된 관통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광전달부(252')는 광원부(251')로부터 받은 광을 제공하여 구강 세정이 진행되는 영역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광을 제공할 수 있어서 영상 취득부(240')를 통한 영상의 화질 향상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전달부(252')는 팁부(220')의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에 대응될 수 있고, 이러한 관통 영역의 표면에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전달부(252')는 팁부(220')의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에 대응될 수 있고, 이러한 관통 영역의 내부에 광전달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광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전달부(252')의 단부, 즉 광이 구강으로 조사되는 영역에 커버 부재(253')를 더 배치할 수도 있다. 커버 부재(253')는 외부의 이물 등으로 인하여 광전달부(252')가 오염되어 광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 부재(253')는 렌즈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광전달부(252')를 통한 광의 집중이나 증폭 등을 진행하여 광효율을 향상하고 구강 세정 시 획득한 영상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변형예로서 팁부(220")는 세정수 관통부(221")의 단부(221a")의 양측에 광전달부(미도시)를 형성하고, 각각에 커버 부재(253a", 253b")를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영상 취득부(240")를 통한 영상 취득 시 화질 향상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관한 구강 세정 디바이스는 팁부에 배치된 세정수 관통부를 통하여 세정수가 구강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 때, 강한 압력을 제공하도록 하여 구강에 대한 세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는 영상 취득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영상 취득부는 구강 세정중 구강에 대한 영상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예를들면 팁부의 일 영역에 획득부를 형성하고 이미지 센서를 통하여 영상을 구현하고, 이러한 영상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면서 구강에 대한 세정을 구강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구강의 상태를 보면서 세정 과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고, 영상을 저장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취득부를 배치 시 세정수 관통부의 단부와 이격되고 인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어 구강 세정시의 영상 취득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취득부가 획득부 및 전달부를 포함하고, 이와연결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여, 이미지 센서는 팁부와 별도로 팁부의 외부, 예를들면 본체부에 배치하여 팁부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팁부의 탈착과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취득부의 단부, 즉 획득부를 팁부의 일면에 세정수 관통부의 단부와 상이한 영역에 배치하고, 예를들면 팁부의 단부가 아닌 외측면의 일 영역, 구체적으로 하면의 일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강 세정시의 세정수로 인하여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하면서 깨끗한 영상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는 광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광원부는 영상 취득부를 통한 구강의 영상 취득 시 구강에 대하여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강 세정 시 실질적으로 어두운 입안을 밝게 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원부로부터 광을 전달받는 광전달부를 형성하고, 광전달부의 일 영역이 팁부의 단부에 세정수 관통부와 유사하게 구강을 향하도록 하여 세정이 진행되는 구강에 대한 집중적인 광조사가 가능하고, 세정중인 치아의 영역에 대한 정밀한 영상 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원하는 위치에서 구강 내의 잇몸이나 치아에 대한 정밀한 세정을 진행할 수 있고, 세정 상태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를 실시간으로 또는 저장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세정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관한 구강 세정 디바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300)는 팁부(320), 세정수 관통부(도 11에는 미도시, 후술할 도 12에 도시), 본체부(310) 및 영상 취득부(도 11에는 미도시, 후술함)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300)는 세정수 탱크부(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정수 탱크부(390)는 구강 세정 디바이스(300)의 팁부(320)를 통하여 구강으로 분사될 세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세정수 탱크부(390)는 수용 본체(391)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커버부(39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세정수 탱크부(390)의 커버부(392)는 광투과용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손잡이부가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세정수 탱크부(390)는 조절 부재(H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 부재(HD)는 세정수 탱크부(390)내의 세정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일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조절을 위한 가열 부재(미도시)가 세정수 탱크부(390)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조절 부재(HD)는 팁부(320)로 공급되는 세정수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일 수 있다. 이러한 수압 조절을 위한 압력 제어 부재(미도시)가 세정수 탱크부(390)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세정수 탱크부(390)와 팁부(320)의 사이에 연결관(330)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관(330)은 세정수가 통과하도록 내부가 빈 형태의 관일 수 있고, 구강 세정 과정을 용이하게 진행하도록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세정수 탱크부(390)를 이동하지 않고서도 팁부(320)를 다양한 각도와 다양한 위치로 이동 및 운동하면서 구강 세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관(330)은 본체부(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310)는 일 영역에 세정수가 통과하는 영역, 예를들면 관이 형성되고 이를 통하여 연결관(330)으로부터 팁부(320)로 세정수가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3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디스플레이 장치(DU)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디스플레이 장치(DU)는 태블릿 모듈(PDV) 또는 휴대용 전화기(HDV)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DU)는 노트북, 데스크탑 등의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구비하는 다양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DU)는 구강 세정 디바이스(300)를 통하여 취득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들면 구강 세정 디바이스(300)의 영상 취득부를 통하여 취득한 구강 세정시의 구강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에 대한 후술할 영상 취득부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체부(310)는 팁부(320)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310)는 전술한 대로 팁부(320)와 연결관(330)의 사이에 배치되어 팁부(320)와 연결관(330)을 연결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310)는 팁부(320)를 통한 세정수의 분사를 제어하도록 하나 이상의 제어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제어 버튼을 눌러서 팁부(320)를 통한 세정수의 분사 개시, 분사 종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310)의 제어 버튼을 통하여 영상 취득부(후술)를 통한 영상의 취득의 개시 및 종료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310)는 팁부(320)를 통한 세정수의 분사 압력을 선택 및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310)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DU)와 통신하도록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31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블루투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 파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기타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팁부(320)에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부(31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팁부(320)보다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본체부(310)를 파지한 채 구강 세정 과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310)의 일단에 팁부(320)를 용이하게 끼우도록 형성될 수 있고, 팁부(320)를 본체부(310)에 용이하게 부착하거나 본체부(3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310)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도록 캡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팁부(320)는 구강에 대한 세정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서 팁부(320)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12는 도 11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의 팁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의 팁부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의 팁부를 일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의 팁부를 A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 16은 도 13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의 팁부를 K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팁부(32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폭보다 큰 값을 갖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310)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작아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구강에 대한 팁부(320)의 정밀한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팁부(320)의 일단에는 연결부(326)가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326)는 주변보다 돌출된 플랜지 형태일 수 있고, 연결부(326)를 통하여 팁부(320)를 본체부(310)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본체부(310)로부터 팁부(320)가 용이하게 분리하도록 한다.
하나 이상의 세정수 관통부(321)가 팁부(3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세정수 관통부(321)는 팁부(32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영상 취득부(340)는 상기 팁부(320)를 이용하여 세정수 관통부(321)를 통과한 세정수를 이용하여 구강에 대한 세정 시 상기 구강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영상 취득부(340)가 확보한 영상은 전술한 대로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DU)에 전달될 수 있고,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는데,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영상을 저장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취득부(340)에서 취득한 영상 정보를 본체부(310)의 통신 모듈을 통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DU)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취득부(340)는 획득부(341), 전달부(342) 및 이미지 센서(343)을 포함할 수 있다. 획득부(341)는 구강에 대한 세정 시 원시적 데이터를 획득하고, 전달부(342)는 이러한 원시적 데이터를 이미지 센서(343)에 전달하고, 이미지 센서(343)는 이러한 원시적 데이터, 예를들면 빛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으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구체적 예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획득부(341)는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고, 전달부(342)는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섬유를 이용하여 획득부(341) 및 전달부(342)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획득부(341)는 광섬유의 단부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취득부(340)의 획득부(341)는 팁부(320)의 영역 중 세정수 관통부(321)의 단부가 형성되는 영역과 상이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가 사용자의 아랫니를 포함한 구강 세정 시를 기준으로 팁부(320)의 하면의 일 영역에 획득부(341)가 형성될 수 있고, 팁부(320)의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구강 세정 시 세정수 관통부(321)를 통하여 분사되는 세정수에 대한 방해를 감소하거나 방지하면서 구강에 대한 영상을 효과적으로 취득할 수 있고, 사용자가 구강에 대한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구강 세정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팁부(320)의 일 영역이, 사용자의 아랫니를 포함한 구강 세정 시 하면을 향하도록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획득부(341)를 굴곡진 하면의 일 영역에 용이하게 배치하고, 영상을 효율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팁부(320)의 내부에는 세정수 관통부(321)와 이격되도록 수용 영역(342a)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수용 영역(342a)에 전달부(342)가 배치될 수 있다. 수용 영역(342a)은 가늘고 긴 형태의 관일 수 있고, 도 12의 전달부(342)의 형태대로 수용 영역(342a)도 굴곡진 형태로 관통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단부는 팁부(320)의 하면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343)는 팁부(3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팁부(3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본체부(31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팁부(320)를 경량화 및 박형화할 수 있고, 이미지 센서(343)의 교체 없이도 팁부(320)의 교체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원부(35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350)를 통하여 구강 세정 디바이스(300)를 통하여 구강 세정 시 구강에 대한 광을 제공하여 구강 세정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광원부(350)를 통하여 구강에 대한 광을 제공하여 구강 세정 시의 영상 취득부(340)를 통한 영상의 화질을 향상하고 영상을 통한 구강의 위치, 구강 세정 과정의 정밀한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구강 세정 시 입안의 구조로 인하여 영상 취득부(340)를 통한 영상이 어두워서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DU)를 통한 이미지의 확인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구강에 대한 광원부(350)를 통한 광을 제공으로 화질이 향상된 이미지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광원부(350)는 다양한 종류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소형의 LED(light emitting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부(350)는 팁부(3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팁부(3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본체부(31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팁부(320)를 경량화 및 박형화할 수 있고, 광원부(350)의 교체 없이도 팁부(320)의 교체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전달부(353a, 353b)를 포함할 수 있다. 광전달부(353a, 353b)는 광원부(350)에서 발생한 광을 구강에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광전달부(353a, 353b)는 팁부(320)의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광전달부(353a, 353b)는 팁부(320)의 내부에 세정수 관통부(321)의 양측에 형성된 두 개의 관통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광전달부(353a, 353b)는 세정수 관통부(321)의 단부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세정수가 분사되는 영역의 양측에서 광을 제공하여 구강 세정이 진행되는 영역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광을 제공할 수 있어서 영상 취득부(340)를 통한 영상의 화질 향상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전달부(353a, 353b)는 팁부(320)의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에 대응될 수 있고, 이러한 관통 영역의 표면에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전달부(353a, 353b)는 팁부(320)의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에 대응될 수 있고, 이러한 관통 영역의 내부에 광전달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광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광전달부(353a, 353b)는 하나 이상, 즉 2개의 서로 이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광원부(350)는 광전달부(353a, 353b)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제1 광원 부재(351) 및 제2 광원 부재(35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원부(350)는 광전달부(353a, 353b)의 각각에 사이의 배치되도록 한 개의 형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광전달부(353a, 353b)는 광원부(350)를 향하는 영역의 폭보다 그 반대 영역의 폭이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광원부(350)로부터 광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고, 구강에 대한 세정 과정이 진행되는 영역에 대한 집중적 광조사를 통하여 정밀한 영상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전달부(353a, 353b)의 단부, 즉 광이 구강으로 조사되는 영역에 커버 부재(353a', 353b')를 더 배치할 수도 있다.
커버 부재(353a', 353b')는 외부의 이물 등으로 인하여 광전달부(353a, 353b)가 오염되어 광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 부재(353a', 353b')는 렌즈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광전달부(353a, 353b)를 통한 광의 집중이나 증폭 등을 진행하여 광효율을 향상하고 구강 세정 시 획득한 영상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관한 구강 세정 디바이스는 팁부에 배치된 세정수 관통부를 통하여 세정수가 구강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 때, 강한 압력을 제공하도록 하여 구강에 대한 세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는 영상 취득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영상 취득부는 구강 세정중 구강에 대한 영상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예를들면 팁부의 일 영역에 획득부를 형성하고 이미지 센서를 통하여 영상을 구현하고, 이러한 영상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면서 구강에 대한 세정을 구강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구강의 상태를 보면서 세정 과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고, 영상을 저장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취득부의 획득부 및 전달부를 팁부에 배치하고, 이미지 센서는 팁부와 별도로 팁부의 외부, 예를들면 본체부에 배치하여 팁부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탈착과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취득부의 단부, 즉 획득부를 팁부의 일면에 세정수 관통부의 단부와 상이한 영역에 배치하고, 예를들면 팁부의 단부가 아닌 외측면의 일 영역, 구체적으로 하면의 일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강 세정시의 세정수로 인하여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하면서 깨끗한 영상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강 세정 디바이스는 광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광원부는 영상 취득부를 통한 구강의 영상 취득 시 구강에 대하여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강 세정 시 실질적으로 어두운 입안을 밝게 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원부로부터 광을 전달받는 광전달부를 형성하고, 광전달부의 일 영역이 팁부의 단부에 세정수 관통부와 유사하게 구강을 향하도록 하여 세정이 진행되는 구강에 대한 집중적인 광조사가 가능하고, 세정중인 치아의 영역에 대한 정밀한 영상 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원하는 위치에서 구강 내의 잇몸이나 치아에 대한 정밀한 세정을 진행할 수 있고, 세정 상태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를 실시간으로 또는 저장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세정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방법들, 소프트웨어, 상기 방법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300: 구강 세정 디바이스
110, 210, 310: 본체부
120, 220, 320: 팁부

Claims (6)

  1. 구강에 대한 세정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된 팁부;
    상기 팁부내에 상기 세정수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세정수 관통부;
    상기 팁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팁부를 이용하여 상기 세정수 관통부를 통과한 세정수를 이용하여 구강에 대한 세정 시 상기 구강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도록 형성된 영상 취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수 관통부는 상기 팁부의 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세정수 관통부의 단부는 상기 팁부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영상 취득부는 획득부, 전달부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취득부의 영상을 획득하는 획득부는 상기 팁부의 영역 중 상기 세정부 관통부의 단부가 형성된 일면과 상이한 면인 상기 팁부의 측면에 형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팁부의 내부에는 상기 세정수 관통부와 이격되도록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부는 상기 팁부의 외부를 향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는 상기 획득부로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로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팁부의 수용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획득부의 영역 중 상기 팁부의 외부를 향하는 영역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취득부를 통하여 확보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강 세정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팁부 또는 본체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도록 형성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 디바이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에 대한 세정 시 상기 구강에 대하여 광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광원부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디바이스.
  5. 구강에 대한 세정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된 팁부;
    상기 팁부내에 상기 세정수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세정수 관통부;
    상기 팁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본체부;
    상기 팁부를 이용하여 상기 세정수 관통부를 통과한 세정수를 이용하여 구강에 대한 세정 시 상기 구강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도록 형성된 영상 취득부; 및
    상기 구강에 대한 세정 시 상기 구강에 대하여 광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팁부의 내부에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받은 광을 상기 팁부의 단부에까지 전달하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갖는 광전달부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팁부의 내부에 상기 세정수 관통부와 구별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전달부는 상기 관통 영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팁부의 단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광전달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팁부의 영역 중 상기 본체부를 향하는 일면에 상기 영상 취득부를 향하는 수용 영역의 입구, 상기 세정수 관통부의 입구 및 상기 관통 영역의 입구가 상기 본체부를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 디바이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팁부가 구강을 향하는 경우에 상기 본체부는 일 영역이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된 영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 디바이스.
KR1020210022549A 2018-12-18 2021-02-19 구강 세정 디바이스 KR102267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549A KR102267555B1 (ko) 2018-12-18 2021-02-19 구강 세정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005A KR20200080393A (ko) 2018-12-18 2018-12-18 구강 세정 디바이스
KR1020210022549A KR102267555B1 (ko) 2018-12-18 2021-02-19 구강 세정 디바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005A Division KR20200080393A (ko) 2018-12-18 2018-12-18 구강 세정 디바이스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512A true KR20210024512A (ko) 2021-03-05
KR102267555B1 KR102267555B1 (ko) 2021-06-22
KR102267555B9 KR102267555B9 (ko) 2023-03-23

Family

ID=7516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549A KR102267555B1 (ko) 2018-12-18 2021-02-19 구강 세정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5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9916B2 (ja) * 2011-06-17 2015-03-04 正樹 神原 歯科治療装置
KR101528610B1 (ko) * 2014-02-14 2015-06-12 한국광기술원 치아 충치 및 불소증 진단을 위한 광섬유 조명기기
CN205612576U (zh) * 2016-02-29 2016-10-05 深圳市古安泰自动化技术有限公司 可视化洗牙器
WO2017148261A1 (zh) * 2016-02-29 2017-09-08 深圳市古安泰自动化技术有限公司 可视化洗牙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9916B2 (ja) * 2011-06-17 2015-03-04 正樹 神原 歯科治療装置
KR101528610B1 (ko) * 2014-02-14 2015-06-12 한국광기술원 치아 충치 및 불소증 진단을 위한 광섬유 조명기기
CN205612576U (zh) * 2016-02-29 2016-10-05 深圳市古安泰自动化技术有限公司 可视化洗牙器
WO2017148261A1 (zh) * 2016-02-29 2017-09-08 深圳市古安泰自动化技术有限公司 可视化洗牙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555B1 (ko) 2021-06-22
KR102267555B9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5036B1 (ja) 統合されたカメラを有する歯科ミラーおよび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
US11937996B2 (en) Face capture and intraoral scanner and methods of use
US11064957B2 (en) Dental imager and method for recording photographic impressions
KR102050547B1 (ko) 치은연하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80263483A1 (en) Dental Mirror Device with Affixed Camera
KR102665958B1 (ko) 구강 내 스캐닝 장치, 상기 장치 및 스캐너 시스템의 작동 방법
JP7184816B2 (ja) 歯間空間に基づいて口腔ケアルーチンを動的に調整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30330684A1 (en) Multifunction wand for an intra-oral imaging system
US20160183776A1 (en) Wireless transmission unit for dental instrument with built-in camera, and dental instrument with built-in camera
JP2015136615A (ja) 口腔内の固定型3次元口腔スキャナー
JP2017514639A (ja) 歯科用機器カメラ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WO2014083211A1 (es) Dispositivo de escaneado dental
US10980410B1 (en) Video toothbrush
JP2013169256A (ja) 歯科ハンドピース用の映像取得機器、歯科ハンドピース用撮像装置、歯科ハンドピース、及び歯科ハンドピースシステム
KR20170111848A (ko)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KR20200080393A (ko) 구강 세정 디바이스
KR20210024512A (ko) 구강 세정 디바이스
JP7257340B2 (ja) 早期う蝕検出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997401B1 (ko) 치과 진료용 구강 카메라
JP6774365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筺体から着脱可能である先端部材
JP2007181577A (ja) 歯牙固定カメラ
WO2020244417A1 (zh) 可安装在牙科器械上的微型内窥镜
JP2005080759A (ja) カメラ付光重合器
WO2023012792A1 (en) Intraoral scanning
WO2024046800A1 (en) An intraoral scanning device with a hygienic implementation of le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