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4313A -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313A
KR20210024313A KR1020190102542A KR20190102542A KR20210024313A KR 20210024313 A KR20210024313 A KR 20210024313A KR 1020190102542 A KR1020190102542 A KR 1020190102542A KR 20190102542 A KR20190102542 A KR 20190102542A KR 20210024313 A KR20210024313 A KR 20210024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ata blocks
parameter
correction system
screen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2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4313A/ko
Priority to US16/990,451 priority patent/US11348510B2/en
Publication of KR20210024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ject the image of a two-dimensional display, such as an array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or a C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 for genereting colour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화면 보정 시스템이 얼룩 보정하는 방법은, 표시면을 촬상하여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1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1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일 방향으로 인접하되 동일한 평균 계조 값을 갖는 상기 제1 데이터 블록들을 병합하여 생성된 제2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STAIN COMPENSATION METHOD FOR STAIN COMPENSATION SYSTEM}
본 발명은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 표시 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과 같은 평판 표시 장치가 주로 이용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화소는 복수의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캐패시터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화소들 사이의 편차(예를 들어,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의 산포)에 의해 화소들 간의 휘도의 차이가 발생하고, 휘도 차이가 얼룩으로 시인될 수 있다. 얼룩을 보정하기 위해 다양한 얼룩 보상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표시 영역을 동일한 넓이로 균일하게 분할하여 보상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보정을 진행하고 있다. 다만, 표시 영역의 크기가 증가함에도 기존과 동일한 메모리를 사용할 경우 분할해야 하는 단위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보상 효과가 감소하거나, 분할해야 하는 단위 면적을 축소할 경우 기존 보다 훨씬 많은 메모리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메모리 리소스 사용을 줄이면서도 보상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은, 표시면을 촬상하여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1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1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일 방향으로 인접하되 동일한 평균 계조 값을 갖는 상기 제1 데이터 블록들을 병합하여 생성된 제2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데이터 블록들은 서로 크기가 다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 블록들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개수의 상기 발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 블록들의 크기 또는 상기 제1 데이터 블록들에 포함된 상기 발광 영역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 블록들과 상기 발광 영역들은 행렬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각 제1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상기 발광 영역은 M*M(상기 M은 자연수) 행렬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M*N(상기 N은 M보다 큰 자연수) 행렬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일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제1 데이터 블록들의 평균 계조 값이 다른 경우, 비병합할 수 있다.
상기 일 방향은 제1 방향이고, 상기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인접한 방향으로 동일한 평균 계조 값을 갖는 상기 제1 데이터 블록들을 병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각 제1 데이터 블록들은 다이아몬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파라미터 데이터는, 상기 제1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1 서브 파라미터, 및 상기 제1 데이터 블록과 크기가 다른 제3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2 서브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일 방향으로 인접하고 동일한 계조 값을 갖는 상기 제3 데이터 블록들을 병합하여 제4 데이터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서브 파라미터를 둘러쌓을 수 있다.
상기 각 제3 데이터 블록에 포함되는 상기 발광 영역의 개수는 상기 각 제1 데이터 블록에 포함되는 발광 영역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상기 제1 파라미터 데이터는, 상기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얼룩을 보정하는 상기 각 단계들이 수행되지 않는 제3 서브 파라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면 보정 시스템은, 상기 표시면을 갖는 머리 착용 표시장치(HMD), 및 상기 머리 착용 표시장치의 상기 표시면을 촬상하는 흑백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기반으로 얼룩 보정을 수행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파라미터 데이터는 얼룩 보정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 블록의 상기 평균 계조 값은 0 내지 225 계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메모리 리소스 사용을 줄이면서도 얼룩 보상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정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얼룩 보정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정 시스템이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기준 파라미터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4개의 기준 데이터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얼룩 보정 전 표시면을 촬상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제1 파라미터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0의 변형예들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정 시스템이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4에 따른 화면 보정 시스템이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에서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표시장치의 표시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각각 도 18의 제5 내지 제7 데이터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정 시스템이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에서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정 시스템이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에서 제1 파라미터 데이터를 이용해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정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면 보정 시스템(1)은 표시장치(10), 및 얼룩 보정장치(20)를 포함한다.
표시장치(10)는 표시면(IS)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표시장치(10)로서 스마트폰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표시장치(10)가 텔레비전,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기기 등과 같이 일 면에 표시면(IS)이 적용된 전자장치라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표시장치(10)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발명의 사상을 변경하지 않는 한, 표시장치(10)는 양자점 유기발광(quantum-dot OLED) 표시장치,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마이크로 LED 표시장치(micro LED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MEMS 표시장치(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display device) 및 일렉트로웨팅 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표시면(IS)의 법선 방향으로 표시방향이 정의될 수 있다. 도면상 표시면(IS)은 표시장치의 전면에 놓인 면으로서 제1 방향(DR1) 및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평면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표시방향은 제3 방향(DR3)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표시장치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표시장치(10)는 표시면(IS)이 휘어진 형상을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이 경우 표시방향은 여러 방향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은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이하에서,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인 것으로 실시예를 설명한다.
표시면(IS)은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인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각각의 화소들에 의해 정의하며, 각각 정해진 색의 광을 발광하는 영역인 복수개의 발광 영역(EA)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DA)에는 센서, 카메라 등이 실장될 수도 있다. 표시 영역(DA)은 사각 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평면상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영역(DA)의 형상과 비표시 영역(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서로 구분되는 복수의 발광 영역(EA)들을 포함한다. 발광 영역(EA)은 표시 영역(DA)에서 광이 투과되어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각 발광 영역(EA)에 화소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발광 영역(EA)들은 행렬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일 발광 영역(EA)은 표시 가능한 계조 값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계조 값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조 값은 적색(RED) 패턴, 녹색(GREEN) 패턴, 청색(BLUE) 패턴, 또는 이들의 혼합 색상(Mixed color) 패턴, 또는 그레이(gray) 패턴을 기준으로 0 내지 225 계조 중 하나의 계조 값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그레이(gray) 패턴을 기준으로 0 내지 225 계조 중 하나의 계조 값을 가지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발광 영역(EA)은 상기 어느 하나의 계조 값에 대한 특정한 색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EA)의 집합은 후술하는 데이터 블록을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 등을 통해 후술된다.
얼룩 보정장치(20)는 표시장치(10)의 정면에 위치(표시면(IS)을 바라보는 위치)하여 표시 영역(DA)에 표시되는 영상을 영상 촬상 수단을 통해 촬상하고, 촬상된 표시부 데이터를 통해 얼룩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장치의 메모리(150)에 공급한다. 이러한 영상 촬상 수단은 디지털 카메라 또는 이미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촬상 수단은 흑백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를 결부하여 화면 보정 시스템(1)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얼룩 보정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표시장치(10)는 표시부(110), 주사 구동부(120), 데이터 구동부(130), 타이밍 제어부(140) 및 메모리(150)를 포함한다.
표시부(110)는 타이밍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기초로 하는 데이터 신호(DS)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부(110)는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표시부(110) 내 화소(PX)들은 발광 영역(EA, 도 1 참조)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여 행렬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화소(PX)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sw),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구동 트랜지스터(Tdr)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sw)는 데이터 라인(DL)에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DS)를 수신하는 제1 전극,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연결된 제2 전극, 및 주사 라인(SL)에 연결되어 주사 신호(SS)를 수신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sw)는 주사 구동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주사 신호(SS)에 응답하여 데이터 구동부(13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DS)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전송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고 전원 전압(ELVDD)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sw)를 통하여 전송된 데이터 신호(DS)의 전압을 저장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dr)는 고 전원 전압(ELVDD)에 연결된 제1 전극,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연결된 제2 전극,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dr)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데이터 신호(DS)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Tdr)에 연결된 애노드 전극, 및 저 전원 전압(ELVSS)에 연결된 캐소드 전극을 가질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Tdr)가 턴-온되는 동안, 고 전원 전압(ELVDD)으로부터 저 전원 전압(ELVSS)으로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발광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120)는 타이밍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수직 개시 신호(STV), 및 제1 클럭 신호(CLK1)에 응답하여 주사 신호(SS)를 주사 라인(SL)으로 출력한다.
타이밍 제어부(140)는 외부로부터 제1 영상 데이터(DATA1), 제2 영상 데이터(DATA2) 및 제어 신호(CON)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같은 전자 부품일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40)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 및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데이터 구동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4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구동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주사 구동부(120) 및 데이터 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CON)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 신호(CON)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클럭 신호(CLK)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40)는 수평 동기 신호(Hsync)를 이용하여 수평 개시 신호(STH)를 생성한 후 수평 개시 신호(STH)를 데이터 구동부(130)로 출력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40)는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이용하여 수직 개시 신호(STV)를 생성한 후 수직 개시 신호(STV)를 주사 구동부(120)로 출력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40)는 클럭 신호(CLK)를 이용하여 제1 클럭 신호(CLK1) 및 클럭 신호(CLK2)를 생성한 후, 제1 클럭 신호(CLK1)를 주사 구동부(120)로 출력하고, 제2 클럭 신호(CLK2)를 데이터 구동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COG(chip on glass) 또는 COP(chip on plastic) 방식으로 표시장치(10) 내 칩 실장 영역(미도시)에 실장될 수 있다. 메모리(150)는 타이밍 제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얼룩을 보정하기 위한 얼룩 보정 주소 정보를 타이밍 제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주소 정보는 후술하는 파라미터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얼룩을 보정한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타이밍 제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얼룩 보정장치(20)는 촬상부(210), 얼룩 보정 데이터 생성부(220) 및 얼룩 보정부(230)를 포함한다. 얼룩 보정장치(20)는 표시장치(10)에 표시되는 영상의 얼룩을 보정하여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출력한다. 따라서, 얼룩 보정장치(20)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에 얼룩 보정을 수행하여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출력한다. 얼룩 보정장치(20)는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메모리(150) 및 타이밍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타이밍 제어부(140)는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데이터 구동부(130)로 출력할 수 있고, 데이터 구동부(130)는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기초로 하여 데이터 신호(DS)를 생성할 수 있다.
촬상부(210)는 표시장치(10)에 표시되는 영상을 촬상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데이터(DPD)를 출력한다. 촬상부(210)는 상술한 영상 촬상 수단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얼룩 보정 데이터 생성부(220)는 디스플레이 패널 데이터(DPD) 및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기초로 하여 얼룩 보정 데이터(SCD)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얼룩 보정 데이터 생성부(22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 데이터(DPD)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EA)을 포함하도록 미리 정해진 크기의 복수의 제1 데이터 블록들로 정의된 제1 파라미터 데이터(ISD1)가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된다.
얼룩 보정부(230)는 얼룩 보정 데이터(SCD)가 반영된 제2 영상 데이터(DATA)를 생성하여 타이밍 제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얼룩 보정부(230)는 제2 파라미터 데이터(ISD2)를 제2 영상 데이터(DATA)의 주소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10을 결부해,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정 시스템(1)이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정 시스템이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기준 파라미터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4개의 기준 데이터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얼룩 보정 전 표시면을 촬상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제1 파라미터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0의 변형예들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화면 보정 시스템(1)이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은 제1 영상 데이터 수신 및 기준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00), 표시면 데이터를 생성 및 제1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200),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00), 메모리(150)에 저장하는 단계(S400),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순서도에 따라 각 단계가 차례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발명의 사상을 변경하지 않는 한, 연속하여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된 일부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되거나, 각 단계의 순서가 변경되거나,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각 단계 사이에 다른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먼저, 제1 영상 데이터 수신 및 기준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00)는 얼룩 보정장치(20)가 외부로부터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수신하고,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기준으로 기준 파라미터 데이터(PA_DATA)를 생성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기준 파라미터 데이터(PA_DATA)는 얼룩 보정에 대한 주소 정보의 기준이 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기준 파라미터 데이터(PA_DATA)는 데이터 블록들의 집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준 파라미터 데이터(PA_DATA)를 이루는 데이터 블록들은 기준 데이터 블록들(BLK_ref)로 명명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기준 파라미터 데이터(PA_DATA)는 J*K(각각의 J 및 K는 자연수)행렬로 배치된 기준 데이터 블록들(BLK_ref)을 포함한다. 각 기준 데이터 블록(BLK_ref)은 발광 영역(EA)들의 배치 형태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기준 데이터 블록(BLK_ref)의 형상은 사각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각 기준 데이터 블록(BLK_ref)의 크기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도 6에서 기준 파라미터 데이터(PA_DATA)는 26행 14열의 행렬 형태로 배치되고 크기가 동일한 364개의 기준 데이터 블록들(BLK_ref)을 갖는 것으로 예시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 기준 데이터 블록(BLK_ref)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EA)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각 기준 데이터 블록(BLK_ref)에 포함된 발광 영역(EA)은 행의 개수와 열의 개수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기준 데이터 블록(BLK_ref)에 포함된 발광 영역(EA)은 M*M(M은 J 및 K 중 작은 값 보다 작은 자연수) 행렬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의 기준 파라미터 내 예시적인 1행 1열의 기준 데이터 블록(BLK_ref(1, 1)), 1행 2열의 기준 데이터 블록(BLK_ref(1, 2)), 2행 1열의 기준 데이터 블록(BLK_ref(2, 1)), 및 2행 2열의 기준 데이터 블록(BLK_ref(2, 2))은 모두 4*4 행렬 형태로 배치된 16개의 발광 영역(EA)들이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기준 데이터 블록(BLK_ref) 내 16개의 발광 영역(EA)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기준 파라미터 데이터(PA_DATA) 내 기준 데이터 블록(BLK_ref)의 배치 형태와 개수, 및 기준 데이터 블록(BLK_ref) 별 포함되는 발광 영역(EA)들의 배치 형태와 개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데이터(DATA1)는 화소별(발광 영역(EA) 별) 기준 계조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얼룩 보정장치(20)는 수신된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가지고 화소들의 배치형태에 맞추어 기준 데이터 블록들(BLK_ref)의 형태 및 기준 파라미터 데이터(PA_DATA)의 형태를 지정할 수 있다.
얼룩 보정장치(20)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에 포함된 발광 영역(EA)들의 기준 계조 값 데이터를 이용해 각 기준 데이터 블록(BLK_ref)에 포함된 발광 영역(EA)들의 평균 기준 계조 값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얼룩 보정장치(20)가 생성한 기준 파라미터 데이터(PA_DATA) 내 각 26행 14열의 행렬 형태의 기준 데이터 블록들(BLK_ref)은 모두 풀-화이트(full white) 계조인 225의 평균 기준 계조 값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면 데이터를 생성 및 제1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200)는, 촬상부(210)가 표시면(IS)을 촬상하여 표시면 데이터(IS_picture)를 생성하고, 표시면 데이터(IS_picture)를 이용해 제1 파라미터 데이터(ISD1)를 생성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로, 표시면 데이터(IS_picture)는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패널 데이터(DPD)에 포함될 수 있다.
촬상부(210)는 표시장치(10)의 표시면(IS)에 표시되는 영상을 촬상하여 표시면 데이터(IS_picture)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면 데이터(IS_picture)는 각 발광 영역(EA)에서 출력되는 계조 값을 인지하여 생성된 출력 계조 값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얼룩 보정장치(20)는 표시면 데이터(IS_picture)를 이용해 기준 파라미터 데이터(PA_DATA) 및 기준 데이터 블록(BLK_ref)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한 제1 파라미터 데이터(ISD1) 및 제1 데이터 블록(BLK1)을 생성할 수 있다. 기준 파라미터 데이터(PA_DATA) 및 기준 데이터 블록(BLK_ref)과 마찬가지로, 제1 파라미터 데이터(ISD1)는 J*K행렬로 배치된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을 포함하고, 각 제1 데이터 블록(BLK1)은 M*M 행렬 형태로 배치된 발광 영역(E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제1 파라미터 데이터(ISD1)는 기준 파라미터 데이터(PA_DATA)와 동일하게 26행 14열의 행렬 형태로 배치되고 크기가 동일한 346개의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각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의 평균 계조 값은 대응되는 위치의 기준 데이터 블록들(BLK)의 평균 계조 값과 다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00)는 얼룩 보정장치(20)가 제1 파라미터 데이터(ISD1)를 변형하여 제2 파라미터 데이터(ISD2)를 생성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로, 얼룩 보정장치(20)는 제1 파라미터 데이터(ISD1)의 제1 데이터 블록들(BLK1) 중 적어도 일부를 병합하여 생성된 제2 데이터 블록들(BLK2)을 포함하는 제2 파라미터 데이터(ISD2)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데이터 블록들(BLK2)은 M*N(N은 M보다 크거나 같고, J 및 K 중 작은 값 보다 작은 자연수) 행렬 형태로 배치된 발광 영역(EA)을 포함할 수 있다. 인접하여 배치된 제1 데이터 블록(BLK1) 중 제1 방향(DR1)으로 같은 평균 계조 값을 갖는 경우 병합하고, 다른 평균 계조 값을 갖는 경우 병합하지 않은 방식으로 제2 데이터 블록들(BLK2)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파라미터 데이터(ISD2)는 크기가 다른 제2 데이터 블록들(BLK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DR1)은 도면상 우측 방향인 것을 예시하나, 도시된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과 같이, 제1 파라미터 데이터(ISD1) 내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 1행 1열 내지 1행 6열의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은 217의 평균 계조 값을 갖고, 1행 7열의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은 219의 평균 계조 값, 및 1행 8열의 제1 데이터 블록들은 218의 평균 계조 값을 가진다고 가정하면, 도 10과 같이, 제1 방향(DR1)으로 같은 평균 계조 값을 갖는 1행 1열 내지 1행 6열의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을 병합하여 하나의 제2 데이터 블록(BLK2)을 생성하고, 제1 방향(DR1)으로 다른 평균 계조 값을 갖는 1행 7열 및 1행 8열의 제1 데이터 블록(BLK1)들은 병합하지 않는 방식으로 다른 제2 데이터 블록들(BLK2)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을 각 행에 적용할 수 있고, 여러 크기를 갖는 제2 데이터 블록들(BLK2)을 포함하는 제2 파라미터 데이터(ISD2)가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에 의해, 제1 파라미터 데이터(ISD1)에 포함된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의 개수보다 제2 파라미터 데이터(ISD2)에 포함된 제2 데이터 블록들(BLK2)의 개수는 같거나 적을 수 있다.
1행 1열 내지 1행 6열의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을 병합하여 생성된 하나의 제2 데이터 블록(BLK2)은 기존의 6개의 제1 데이터 블록들(BLK1)로 이루어진 경우 보다 메모리(150)의 리소스를 상대적으로 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개수가 적은 제2 데이터 블록들(BLK2)로 이루어진 제2 파라미터 데이터(ISD2)가 메모리(150)에 저장되는 경우, 제1 파라미터 데이터(ISD1)가 메모리(150)에 저장되는 경우 대비 메모리(150)의 리소스가 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파라미터 데이터(ISD2)를 생성하는 단계(S300)는 앞서 설명한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 것을 기준으로 제1 데이터 블록을 병합 또는 비병합 하는 것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1과 같이, 인접하여 배치된 제1 데이터 블록 중 제1 방향(DR1)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DR4)으로 같은 평균 계조 값을 갖는 경우 병합하고, 다른 평균 계조 값을 갖는 경우 병합하지 않은 방식으로 제2 파라미터 데이터(ISD2_1)가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라미터 데이터(ISD1) 내 제4 방향(DR4)으로 인접한 5행 14열 내지 5행 6열의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은 225의 평균 계조 값을 갖고, 5행 5열의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은 224의 평균 계조 값, 5행 4열의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은 223의 평균 계조 값을 가진다고 가정하면, 제4 방향(DR4)으로 같은 평균 계조 값을 갖는 5행 14열 내지 5행 6열의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을 병합하고, 제4 방향(DR4)으로 다른 평균 계조 값을 갖는 5행 5열 및 5행 4열의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은 병합하지 않는 방식으로 제2 데이터 블록들(BLK2)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을 각 행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인접하여 배치된 제1 데이터 블록 중 제2 방향(DR2)으로 같은 평균 계조 값을 갖는 경우 병합하고, 다른 평균 계조 값을 갖는 경우 병합하지 않은 방식으로 제2 파라미터 데이터(ISD2_2)가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라미터 데이터(ISD1) 내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한 1행 1열 내지 4행 1열의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은 217의 평균 계조 값을 갖고, 5행 1열 내지 18행 1열의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은 218 내지 224의 인접한 제1 데이터 블록 간 서로 다른 평균 계조 값을 갖고, 19행 1열 내지 21행 1열의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은 225의 평균 계조 값을 갖고, 22행 1열 내지 24행 1열의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은 222 내지 224의 인접한 제1 데이터 블록 간 서로 다른 평균 계조 값을 갖고, 25행 1열 및 26행 1열의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은 219의 평균 계조 값을 가진다고 가정하면, 제2 방향(DR2)으로 같은 평균 계조 값을 갖는 1행 1열 내지 4행 1열의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을 병합하고, 제2 방향(DR2)으로 같은 평균 계조 값을 갖는 19행 1열 내지 21행 1열의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을 병합하고, 제2 방향으로 같은 평균 계조 값을 갖는 25행 1열 및 26행 1열의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을 병합하고, 제2 방향(DR2)으로 다른 평균 계조 값을 갖는 나머지 제1 데이터 블록들(BLK1)은 병합하지 않는 방식으로 제2 데이터 블록들(BLK2)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을 각 열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3과 같이, 인접하여 배치된 제1 데이터 블록 중 제2 방향(DR2)과 반대방향인 제5 방향(DR5)으로 같은 평균 계조 값을 갖는 경우 병합하고, 다른 평균 계조 값을 갖는 경우 병합하지 않은 방식으로 제2 파라미터 데이터(ISD2_3)가 생성될 수도 있다.
제1 방향 내지 제5 방향(DR1 내지 DR5)은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상대적인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행방향인 제1 방향(DR1)과 제4 방향(DR4)으로 인접한 제1 데이터 블록(BLK1)을 기준으로 병합 또는 비병합의 결과에 의해 생성된 제2 데이터 블록(BLK2)의 개수는 같고, 열방향인 제2 방향(DR2)과 제5 방향(DR5)으로 인접한 제1 데이터 블록(BLK1)을 기준으로 병합 또는 비병합의 결과에 의해 생성된 제2 데이터 블록(BLK2)의 개수는 같다. 다만, 행방향을 기준으로 병합 또는 비병합의 결과에 의해 생성된 제2 데이터 블록(BLK2)의 개수와 열방향을 기준으로 병합 또는 비병합의 결과에 의해 생성된 제2 데이터 블록(BLK2)의 개수는 다를 수 있다. 즉, 인접한 제1 데이터 블록(BLK1)의 병합 방향이 행방향 기준인지 열방향 기준인지에 따라, 메모리(150)의 리소스의 사용량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파라미터 데이터(ISD2)를 생성하는 단계(S300)는 행방향과 열방향 중 어느 방향을 기준으로 제1 파라미터 데이터(ISD1)의 제1 블록 데이터(BLK1)들을 병합 또는 비병합을 수행할지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400)는 얼룩 보정장치(20)가 생성한 제2 파라미터 데이터(ISD2)를 메모리(150)에 저장되는 단계에 해당한다.
얼룩 보정 데이터 생성부(220)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기준으로 얼룩 보정 데이터(SCD)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얼룩 보정 데이터 생성부(220)는 제2 영상 데이터(DATA2)의 주소 정보가 되는 제2 파라미터 데이터(ISD2)를 메모리(150)에 전송하고, 메모리(150)는 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500)는 얼룩 보정장치(20)가 얼룩 보정을 수행하여 생성한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메모리(150)를 통해 타이밍 제어부(140)로 전송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얼룩 보상 효과를 증가시키고, 메모리(150)의 리소스 필요량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정 시스템이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과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정 시스템이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4에 따른 화면 보정 시스템이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에서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정 시스템이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은 도 5,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 대비, 제1 파라미터 데이터(ISD1_1)가 각각 크기가 다른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파라미터(AA1, AA2)를 가지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제1 영상 데이터 수신 및 기준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00),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00), 메모리(150)에 저장하는 단계(S400),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500)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과정이 이루어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면 데이터를 생성 및 제1 파라미터 데이터(ISD1_1)를 생성하는 단계(S201)는, 촬상부가 표시면을 촬상하여 표시면 데이터를 생성하고, 표시면 데이터를 이용해 복수의 서브 파라미터(AA1, AA2)를 포함하는 제1 파라미터 데이터(ISD1_1)를 생성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표시면 데이터를 생성 및 제1 파라미터 데이터(ISD1_1)를 생성하는 단계(S201)는 표시면 데이터를 이용해 복수의 서브 파라미터(AA1, AA2)로 구분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라미터 데이터(ISD1_1)는 제1 데이터 블록들(BLK1_1)로 이루어진 제1 서브 파라미터(AA1)와 제3 데이터 블록들(BLK1_2)로 이루어진 제2 서브 파라미터(AA2)를 포함한다. 제1 데이터 블록(BLK1_1)과 제3 데이터 블록(BLK1_2)은 서로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즉, 제1 데이터 블록(BLK1_1)과 제3 데이터 블록(BLK1_2)은 서로 포함하는 발광 영역의 개수 및 형태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블록들(BLK1_1)은 4*4 행렬 형태의 발광 영역들을 포함하고, 제3 데이터 블록들(BLK1_2)은 8*8 행렬 형태의 발광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라미터 데이터(ISD1_1)내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 제1 데이터 블록들(BLK1_1)을 병합 또는 비병합하고,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 제3 데이터 블록들(BLK1_2)을 병합 또는 비병합하여, 제2 파라미터 데이터(ISD2_4)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파라미터 데이터(ISD2_4)는 제1 데이터 블록들(BLK1_1)을 병합 또는 비병합하여 생성된 제2 데이터 블록들(BLK2_1)과 제3 데이터 블록들(BLK1_2)을 병합 또는 비병합하여 생성된 제4 데이터 블록들(BLK2_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병합 방향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표시장치의 표시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각각 도 18의 제5 내지 제7 데이터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1)는 웨어러블 기기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11)는 머리 착용 표시장치(이하 HMD, Head Mounted Display)일 수 있다.
한편, 표시장치(11)가 HMD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표시면(IS_1)에 중첩되도록 렌즈(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 머리의 이동반경, 안구 각도 및 산포도에 의해, 위치에 따른 화질의 중요성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영역(DA_1)의 위치에 따라 보상 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파라미터 데이터가 각각 크기가 다른 데이터 블록(BLK1_3, BLK1_4, BLK1_5)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과 정면으로 중첩되는 부분에 두개의 제1 서브 파라미터(AA1_1)가 배치될 수 있다. 각 제1 서브 파라미터(AA1_1)를 둘러싸는 두개의 제2 서브 파라미터(AA2_1)가 배치될 수 있다. 두개의 제1 서브 파라미터(AA1_1) 및 두개의 제2 서브 파라미터(AA2_1)를 둘러싸는 제3 서브 파라미터(AA3)가 배치되고, 표시 영역(DA_1)과 비표시 영역(NDA_1)의 경계면에 인접한 나머지 영역에 제4 서브 파라미터(AA4)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각 서브 파라미터(예, AA1_1, AA2_1, AA3)는 데이터 블록(BLK1_3, BLK1_4, BLK1_5)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서브 파라미터(예, AA4)는 데이터 블록을 불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일부 서브 파라미터(예, AA4)의 경우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파라미터(AA1_1)는 제5 데이터 블록들(BLK1_3)을 포함하고, 각 제5 데이터 블록(BLK1_3)은 1*1 행렬 형태의 발광 영역(E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파라미터(AA2_1)는 제6 데이터 블록들(BLK1_4)을 포함하고, 각 제6 데이터 블록(BLK1_4)은 2*2 행렬 형태의 발광 영역(E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서브 파라미터(AA3)는 제7 데이터 블록들(BLK1_5)을 포함하고, 각 제3 데이터 블록(BLK1_5)은 4*4 행렬 형태의 발광 영역(E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서브 파라미터(AA4)는 데이터 블록을 불포함할 수 있다.
각 서브 파라미터 데이터(AA1_1, AA2_1, AA3, AA4)별 각 데이터 블록(BLK1_3, BLK1_4, BLK1_5)의 평균 계조 값에 따라 일 방향으로 병합 또는 비병합하여, 제2 파라미터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이후의 과정들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과정을 거쳐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정 시스템이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에서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의 과정 대비,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한 제1 데이터 블록들을 병합 또는 비병합하여 생성된 제2 데이터 블록들(BLK2_3)을 포함하는 제2 파라미터 데이터(ISD2_4)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의 과정들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과정을 거쳐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3 및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정 시스템이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에서 제1 파라미터 데이터를 이용해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 및 도 10의 과정대비, 기준 데이터 블록들(미도시) 및 제1 데이터 블록들(BLK1_6)이 다이아몬드(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파라미터 데이터(ISD1_2)는 그물 형태로 배열된 제1 데이터 블록들(BLK1_6)을 포함할 수 있다. 제6 방향(DR6)으로 인접한 제1 데이터 블록들(BLK1_6)을 병합 또는 비병합하여 제2 데이터 블록들(BLK2_4)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6 방향(DR6)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경사진 방향일 수 있다.
제1 데이터 블록들(BLK1_6)의 병합 방향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6 방향(DR6)과 다른 제7 방향(DR7)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화소(발광 영역)의 배치 형태가 그물형으로 형성된 경우,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화면 보정 시스템
10, 11: 표시장치
20: 얼룩 보정장치
110: 표시부
120: 주사 구동부
130: 데이터 구동부
140: 타이밍 제어부
150: 메모리
210: 촬상부
220: 얼룩 보정 데이터 생성부
230: 얼룩 보정부
AA1, AA2: 제1 및 제2 서브 파라미터
BLK1: 제1 데이터 블록
BLK2: 제2 데이터 블록
EA: 발광 영역
ISD1: 제1 파라미터 데이터
ISD2: 제2 파라미터 데이터
IS_picture: 표시면 데이터
PA_DATA: 기준 파라미터 데이터

Claims (20)

  1. 표시면을 촬상하여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1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1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일 방향으로 인접하되 동일한 평균 계조 값을 갖는 상기 제1 데이터 블록들을 병합하여 생성된 제2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블록들은 서로 크기가 다른 것을 포함하는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블록들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개수의 상기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블록들의 크기 또는 상기 제1 데이터 블록들에 포함된 상기 발광 영역의 개수는 동일한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블록들과 상기 발광 영역들은 행렬 형태로 배열된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상기 발광 영역은 M*M(상기 M은 자연수) 행렬 형태로 배열된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M*N(상기 N은 M보다 큰 자연수) 행렬 형태로 배열된 상기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일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제1 데이터 블록들의 평균 계조 값이 다른 경우, 비병합하는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은 제1 방향이고,
    상기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인접한 방향으로 동일한 평균 계조 값을 갖는 상기 제1 데이터 블록들을 병합하는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인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 데이터 블록들은 다이아몬드 형상인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데이터는,
    상기 제1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1 서브 파라미터; 및
    상기 제1 데이터 블록과 크기가 다른 제3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2 서브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일 방향으로 인접하고 동일한 계조 값을 갖는 상기 제3 데이터 블록들을 병합하여 제4 데이터 블록들을 생성하는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서브 파라미터를 둘러쌓는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3 데이터 블록에 포함되는 상기 발광 영역의 개수는 상기 각 제1 데이터 블록에 포함되는 발광 영역의 개수보다 적은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데이터는, 상기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얼룩을 보정하는 상기 각 단계들이 수행되지 않는 제3 서브 파라미터를 더 포함하는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보정 시스템은,
    상기 표시면을 갖는 머리 착용 표시장치(HMD); 및
    상기 머리 착용 표시장치의 상기 표시면을 촬상하는 흑백 카메라를 포함하는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데이터를 기반으로 얼룩 보정을 수행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데이터는 얼룩 보정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블록의 상기 평균 계조 값은 0 내지 225 계조 중에서 선택되는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 보정하는 방법.
KR1020190102542A 2019-08-21 2019-08-21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 KR20210024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542A KR20210024313A (ko) 2019-08-21 2019-08-21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
US16/990,451 US11348510B2 (en) 2019-08-21 2020-08-11 Stain compensation method using screen calibr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542A KR20210024313A (ko) 2019-08-21 2019-08-21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313A true KR20210024313A (ko) 2021-03-05

Family

ID=74645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542A KR20210024313A (ko) 2019-08-21 2019-08-21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348510B2 (ko)
KR (1) KR20210024313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9971B1 (en) * 2003-12-08 2012-05-15 G&H Nevada-Tek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data compression
KR101929001B1 (ko) 2012-02-03 2018-1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얼룩 보상 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2465008B1 (ko) 2016-01-20 2022-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얼룩 보정 장치, 이 얼룩 보정 장치를 이용한 얼룩 보정 방법, 및 이 얼룩 보정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10176210B (zh) * 2018-07-27 2021-04-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驱动、压缩解压缩方法及装置、显示装置、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48510B2 (en) 2022-05-31
US20210056888A1 (en)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14891B (zh) 显示基板及其驱动方法和显示装置
US1036084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30765B1 (ko) 표시장치, 구동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US2018032283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KR102023184B1 (ko) 표시장치, 데이터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2218606B1 (ko) 표시 패널 모듈, 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20180151106A1 (en) Distributive-driving of display panel
US993472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160081581A (ko) 열화 보상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열화 보상 방법
US1004343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with pixel shifting compensation data
US1136173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01599243B (zh) 用于补偿视频显示器中的显示缺陷的电路和方法
KR102366198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70033963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20160006360A (ko)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표시 장치
JP2018060200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KR102037517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581719B1 (ko) 얼룩 특성에 기초하여 휘도 보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및 휘도 보상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074758A (ko)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표시 장치
KR102388478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N110738954B (zh) 显示装置及校正显示装置中的色差的方法
KR102079616B1 (ko) 자발광 어레이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US20140240366A1 (en) Display device for reducing dynamic false contour
KR20210024313A (ko) 화면 보정 시스템의 얼룩을 보정하는 방법
US11257412B2 (en) Display device performing peak luminance driving, and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