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4154A -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154A
KR20210024154A KR1020217002896A KR20217002896A KR20210024154A KR 20210024154 A KR20210024154 A KR 20210024154A KR 1020217002896 A KR1020217002896 A KR 1020217002896A KR 20217002896 A KR20217002896 A KR 20217002896A KR 20210024154 A KR20210024154 A KR 20210024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ype
terminal device
location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판 수에
지안 왕
유 카이
샤오쿠이 리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24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1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한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Description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제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다운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블라인드 검출에서 상이한 DCI 포맷을 사용하여 신호를 디코딩할 필요가 있으며, 블라인드 검출에 사용될 필요가 있는 DCI 포맷이 많을수록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가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필요가 있는 신호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신호 모니터링의 복잡성과 전력 소비도 증가한다.
본 출원은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신호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신호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되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할 때 제 2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와 제 2 유형의 신호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모니터링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에 모니터링되는 신호의 유형이 감소되어,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 1 양태를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제 1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포함하며, 본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 또는 제 2 유형의 신호임 - 를 더 포함한다.
제 1 양태의 제 1 구현을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제 2 구현에서, 제 1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 것을 표시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시간 도메인 길이 이후의 위치부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의 제 1 구현을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제 3 구현에서, 제 1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시간 도메인 길이 이후의 위치부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의 제 1 구현을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제 4 구현에서, 본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이고,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가 슬롯 구조 또는 업링크-다운링크 구성과 상충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 이후의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상충 시나리오에서 솔루션을 제공하여 모니터링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제 1 양태의 제 1 구현을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제 5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유형의 신호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 제 1 위치는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이고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포함하며, 본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3 위치부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 - 제 3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검출하지 못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위치 이후에 제 2 유형의 신호를 즉시 모니터링할 수 있어, 신호의 검출 누락을 방지하여 통신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제 1 양태를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제 6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의 제 6 구현을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제 7 구현에서, 본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임 - 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1 양태의 제 6 구현을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제 8 구현에서, 본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함 - 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더 포함한다.
제 1 양태의 제 6 구현을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제 9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유형의 신호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임 - 를 포함하고, 본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3 위치부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 - 제 3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더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전술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제 10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전에, 본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유형의 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영역 리소스 길이에서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제 2 유형의 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영역 리소스 길이에서 검출되지 않을 때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제 2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 개시를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추가로 송신할 필요가 없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전술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제 11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전에, 본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 개시를 표시함 - 와,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1 양태의 제 11 구현을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제 12 구현에서, 제 2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 MAC CE, 및 DCI 중 어느 하나로 반송된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전술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제 13 구현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과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전술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제 14 구현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DCI, 시퀀스, 및 참조 신호 중 어느 하나이며, 또는 제 2 유형의 신호는 DCI이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신호 송신 방법이 제공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 다운링크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제 1 유형의 신호 또는 제 2 유형의 신호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제 1 유형의 신호와 제 2 유형의 신호 중 하나만 송신하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를 참조하면, 제 2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다운링크 신호는 제 1 신호를 포함하고,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이고, 제 1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 또는 제 2 유형의 신호이다.
제 2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 2 양태의 제 2 가능한 구현에서, 본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의 위치이고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위치이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더 포함한다.
제 2 양태를 참조하면, 제 2 양태의 제 3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의 제 3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 2 양태의 제 4 가능한 구현에서, 본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위치임 - 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 제 2 위치는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에 위치함 - 를 더 포함한다.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전술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2 양태의 제 5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본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제 1 내지 제 4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2 양태의 제 6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본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함 - 를 더 포함한다.
제 3 양태에 따르면, 신호 모니터링 방법에 제공되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위치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포함한다.
제 3 양태를 참조하면, 제 3 양태의 가능한 제 1 구현에서,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에 위치한다.
제 3 양태를 참조하면, 제 3 양태의 제 2 가능한 구현에서, 본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다음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의 위치가 제 1 위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4 양태에 따르면, 신호 송신 방법이 제공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의 미리 결정된 위치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포함한다.
제 4 양태를 참조하면, 제 4 양태의 가능한 제 1 구현에서,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위치이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에 위치한다.
제 4 양태를 참조하면, 제 4 양태의 제 2 가능한 구현에서, 다운링크 신호는 제 1 신호를 포함하고,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이고, 제 1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위치가 제 1 위치인 것으로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제 5 양태에 따르면, 신호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되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6 양태에 따르면, 신호 송신 방법이 제공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위치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7 양태에 따르면, 신호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되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유형의 신호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위치임 - 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3 위치부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 -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제 3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포함한다.
제 7 양태를 참조하면, 제 7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다.
제 7 양태를 참조하면, 제 7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포함하며, 본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다음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의 위치가 제 1 위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8 양태에 따르면, 신호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되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유형의 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영역 리소스 길이에서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제 2 유형의 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영역 리소스 길이에서 검출되지 않을 때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 -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를 포함한다.
제 8 양태를 참조하면, 제 8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제 9 양태에 따르면, 신호 송신 방법이 제공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 -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를 포함한다.
제 9 양태를 참조하면, 제 9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제 1 유형의 신호와 제 2 유형의 신호 중 하나만을 송신한다.
제 10 양태에 따르면, 신호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되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 -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를 포함한다.
제 10 양태를 참조하면, 제 10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제 2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 MAC CE, 및 DCI 중 어느 하나로 반송된다.
제 11 양태에 따르면, 신호 송신 방법이 제공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표시 정보를 송신한 후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 -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제 1 유형의 신호와 제 2 유형의 신호 중 하나만 송신함 - 를 포함한다.
제 11 양태를 참조하면, 제 11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제 2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 MAC CE, 및 DCI 중 어느 하나로 반송된다.
제 12 양태에 따르면, 신호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되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2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 제 2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신호 및 제 1 유형의 신호와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meanings) 사이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제 2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2 양태를 참조하면, 제 12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다.
제 12 양태를 참조하면, 제 12 양태의 제 2 가능한 구현에서, 본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3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 3 표시 정보는 매핑 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됨 - 를 더 포함한다.
제 12 양태 또는 제 12 양태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12 양태의 제 3 가능한 구현에서, 제 3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으로 반송된다.
제 12 양태 또는 제 12 양태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1 유형의 신호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시퀀스, 및 참조 신호 중 어느 하나이다.
제 12 양태 또는 제 12 양태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과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 12 양태 또는 제 12 양태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또는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는 하나 이상의 슬롯,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하나 이상의 밀리초, 및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 중 어느 하나이다.
제 13 양태에 따르면, 신호 송신 방법이 제공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3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유형의 신호와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 사이의 매핑 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제 2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포함한다.
제 13 양태를 참조하면, 제 13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제 3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으로 반송된다.
제 13 양태 또는 제 13 양태의 가능한 제 1 구현을 참조하면, 제 13 양태의 제 2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DCI, 시퀀스, 및 참조 신호 중 어느 하나이다.
제 13 양태 또는 제 13 양태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13 양태의 제 3 가능한 구현에서,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과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 13 양태 또는 제 13 양태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13 양태의 제 4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또는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는 하나 이상의 슬롯,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하나 이상의 밀리초, 및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 중 어느 하나이다.
제 14 양태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메모리와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명령어가 실행될 때,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 14 양태를 참조하면, 제 14 양태의 제 1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제 1 신호 -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검출하도록 특별히 구성되며, 프로세서는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 -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 또는 제 2 유형의 신호임 - 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14 양태의 제 1 구현을 참조하면, 제 14 양태의 제 2 구현에서, 제 1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며, 프로세서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의 위치부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특별히 구성된다.
제 14 양태의 제 1 구현을 참조하면, 제 14 양태의 제 3 구현에서, 제 1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며, 프로세서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의 위치부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특별히 구성된다.
제 14 양태의 제 1 구현을 참조하면, 제 14 양태의 제 4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1 표시 정보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이고,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에서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14 양태의 제 1 구현을 참조하면, 제 14 양태의 제 5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제 1 유형의 신호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 - 제 1 위치는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이고,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도록 특별히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3 위치 - 제 3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부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14 양태를 참조하면, 제 14 양태의 제 6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특별히 구성된다.
제 14 양태의 제 6 구현을 참조하면, 제 14 양태의 제 7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제 1 표시 정보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임 - 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14 양태의 제 6 구현을 참조하면, 제 14 양태의 제 8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제 1 표시 정보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함 - 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에서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14 양태의 제 6 구현을 참조하면, 제 14 양태의 제 9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제 1 유형의 신호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 -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함 - 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도록 특별히 구성되고, 그리고 프로세서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3 위치 - 제 3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부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14 양태 또는 제 14 양태의 전술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14 양태의 제 10 구현에서,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전에, 프로세서는 제 2 유형의 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제 2 유형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14 양태 또는 제 14 양태의 전술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14 양태의 제 11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전에,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2 표시 정보 -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함 - 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14 양태의 제 11 구현을 참조하면, 제 14 양태의 제 12 구현에서, 제 2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 MAC CE, 및 DCI 중 어느 하나로 반송된다.
제 14 양태 또는 제 14 양태의 전술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14 양태의 제 13 구현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과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 14 양태 또는 제 14 양태의 전술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14 양태의 제 14 구현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DCI, 시퀀스, 및 참조 신호 중 하나이고, 또는 제 2 유형의 신호는 DCI이다.
제 15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메모리와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명령어가 실행될 때,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 다운링크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제 1 유형의 신호 또는 제 2 유형의 신호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제 1 유형의 신호와 제 2 유형의 신호 중 하나만 송신하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 15 양태를 참조하면, 제 15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다운링크 신호는 제 1 신호를 포함하고,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이고, 제 1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 또는 제 2 유형의 신호이다.
제 15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 15 양태의 제 2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1 표시 정보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의 위치이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위치이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송신하도록, 그리고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위치 -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15 양태를 참조하면, 제 15 양태의 제 3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특별히 구성된다.
제 15 양태의 제 3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 15 양태의 제 4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1 표시 정보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위치임 - 를 송신하도록,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위치 - 제 2 위치는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에 위치함 - 에서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15 양태 또는 제 15 양태의 전술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15 양태의 제 5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2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15 양태 또는 제 15 양태의 제 1 내지 제 4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15 양태의 제 6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2 표시 정보 -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함 - 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16 양태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메모리와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명령어가 실행될 때,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위치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 16 양태를 참조하면, 제 16 양태의 가능한 제 1 구현에서,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에 위치한다.
제 16 양태를 참조하면, 제 16 양태의 제 2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제 1 신호 -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검출하도록, 그리고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다음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의 위치가 제 1 위치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17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메모리와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명령어가 실행될 때,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의 미리 결정된 위치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 17 양태를 참조하면, 제 17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위치이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에 위치한다.
제 17 양태를 참조하면, 제 17 양태의 제 2 가능한 구현에서, 다운링크 신호는 제 1 신호를 포함하고,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이고, 제 1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위치가 제 1 위치인 것으로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제 18 양태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메모리와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명령어가 실행될 때,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 19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메모리와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명령어가 실행될 때,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위치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 20 양태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메모리와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명령어가 실행될 때,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제 1 유형의 신호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위치임 - 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3 위치부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 -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제 3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 20 양태를 참조하면, 제 20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다.
제 20 양태를 참조하면, 제 20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신호 -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검출하도록 특별히 구성되며, 프로세서는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다음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의 위치가 제 1 위치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21 양태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메모리와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명령어가 실행될 때, 제 2 유형의 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영역 리소스 길이에서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제 2 유형의 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영역 리소스 길이에서 검출되지 않을 때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 -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 21 양태를 참조하면, 제 21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제 22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메모리와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명령어가 실행될 때,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2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 -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 22 양태를 참조하면, 제 22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제 1 유형의 신호와 제 2 유형의 신호 중 하나만 송신한다.
제 23 양태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메모리와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명령어가 실행될 때,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 -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 23 양태를 참조하면, 제 23 양태의 가능한 제 1 구현에서, 제 2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 MAC CE, 및 DCI 중 어느 하나로 반송된다.
제 24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메모리와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명령어가 실행될 때,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2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2 표시 정보를 송신한 후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 -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제 1 유형의 신호와 제 2 유형의 신호 중 하나만 송신함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 24 양태를 참조하면, 제 24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제 2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 MAC CE, 및 DCI 중 어느 하나로 반송된다.
제 25 양태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메모리와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명령어가 실행될 때,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2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 제 2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제 2 신호 및 제 1 유형의 신호와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 사이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제 2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 12 양태를 참조하면, 제 25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다.
제 25 양태를 참조하면, 제 25 양태의 제 2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제 3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 3 표시 정보는 매핑 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25 양태 또는 제 25 양태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25 양태의 제 3 가능한 구현에서, 제 3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으로 반송된다.
제 25 양태 또는 제 25 양태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1 유형의 신호는 DCI, 시퀀스, 및 참조 신호 중 어느 하나이다.
제 25 양태 또는 제 25 양태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과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 25 양태 또는 제 25 양태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또는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는 하나 이상의 슬롯,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하나 이상의 밀리초, 및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 중 어느 하나이다.
제 26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메모리와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명령어가 실행될 때,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3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유형의 신호와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 사이의 매핑 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제 2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 26 양태를 참조하면, 제 26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제 3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으로 반송된다.
제 26 양태 또는 제 26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 26 양태의 제 2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DCI, 시퀀스, 및 참조 신호 중 하나이다.
제 26 양태 또는 제 26 양태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26 양태의 제 3 가능한 구현에서,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과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 26 양태 또는 제 26 양태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26 양태의 제 4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또는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는 하나 이상의 슬롯,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하나 이상의 밀리초, 및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 중 어느 하나이다.
제 27 양태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유닛 -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을 포함한다.
제 27 양태를 참조하면, 제 27 양태의 제 1 구현에서, 모니터링 유닛은 제 1 신호를 검출하도록 특별히 구성되며, 여기서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이며, 모니터링 유닛은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 또는 제 2 유형의 신호이다.
제 27 양태의 제 1 구현을 참조하면, 제 27 양태의 제 2 구현에서, 제 1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고, 모니터링 유닛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의 위치부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특별히 구성된다.
제 27 양태의 제 1 구현을 참조하면, 제 27 양태의 제 3 구현에서, 제 1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고, 모니터링 유닛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의 위치부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특별히 구성된다.
제 27 양태의 제 1 구현을 참조하면, 제 27 양태의 제 4 구현에서, 수신 유닛은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이고,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이며, 모니터링 유닛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한다.
제 27 양태의 제 1 구현을 참조하면, 제 27 양태의 제 5 구현에서, 모니터링 유닛은 제 1 유형의 신호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도록 특별히 구성되고, 여기서 제 1 위치는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이고,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이고, 모니터링 유닛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3 위치부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 3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한다.
제 27 양태를 참조하면, 제 27 양태의 제 6 구현에서, 모니터링 유닛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특별히 구성된다.
제 27 양태의 제 6 구현을 참조하면, 제 27 양태의 제 7 구현에서, 수신 유닛은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고, 모니터링 유닛은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제 27 양태의 제 6 구현을 참조하면, 제 27 양태의 제 8 구현에서, 수신 유닛은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모니터링 유닛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위치이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한다.
제 27 양태의 제 6 구현을 참조하면, 제 27 양태의 제 9 구현에서, 모니터링 유닛은 제 1 유형의 신호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도록 특별히 구성되고, 여기서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고, 모니터링 유닛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3 위치부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 3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한다.
제 27 양태 또는 제 27 양태의 전술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27 양태의 제 10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전에, 모니터링 유닛은 제 2 유형의 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모니터링 유닛은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영역 리소스 길이에서 제 2 유형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때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한다.
제 27 양태 또는 제 27 양태의 전술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27 양태의 제 11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전에, 수신 유닛은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고, 모니터링 유닛은 제 2 표시 정보가 수신된 후에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27 양태의 제 11 구현을 참조하면, 제 27 양태의 제 12 구현에서, 제 2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 MAC CE, 및 DCI 중 어느 하나로 반송된다.
제 27 양태 또는 제 27 양태의 전술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27 양태의 제 13 구현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과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27 양태 또는 제 27 양태의 전술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27 양태의 제 14 구현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DCI, 시퀀스, 및 참조 신호 중 하나이고, 또는 제 2 유형의 신호는 DCI이다.
제 28 양태에 따르면, 신호 송신 방법이 제공되며,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 - 다운링크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제 1 유형의 신호 또는 제 2 유형의 신호를 포함하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 송신 유닛은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제 1 유형의 신호와 제 2 유형의 신호 중 하나만 송신함 - 을 포함한다.
제 28 양태를 참조하면, 제 28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다운링크 신호는 제 1 신호를 포함하고,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이고, 제 1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 또는 제 2 유형의 신호이다.
제 28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 28 양태의 제 2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유닛은 제 1 표시 정보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의 위치이며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위치이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송신하도록, 그리고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위치 -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28 양태를 참조하면, 제 28 양태의 제 3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유닛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특별히 구성된다.
제 28 양태의 제 3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 28 양태의 제 4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유닛은 제 1 표시 정보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위치임 - 를 송신하도록, 그리고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위치 - 제 2 위치는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에 위치함 - 에서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28 양태 또는 제 28 양태의 전술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28 양태의 제 5 가능한 구현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송신 유닛은 제 2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그리고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28 양태 또는 제 28 양태의 제 1 내지 제 4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28 양태의 제 6 가능한 구현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송신 유닛은 제 2 표시 정보 -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함 - 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29 양태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위치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유닛 -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을 포함한다.
제 29 양태를 참조하면, 제 29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에 위치한다.
제 29 양태를 참조하면, 제 29 양태의 제 2 가능한 구현에서, 모니터링 유닛은 제 1 신호 -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검출하도록, 그리고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다음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의 위치가 제 1 위치라고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30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송신 유닛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의 미리 결정된 위치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 2 송신 유닛 -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을 포함한다.
제 30 양태를 참조하면, 제 30 양태의 가능한 제 1 구현에서,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위치이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에 위치한다.
제 30 양태를 참조하면, 제 30 양태의 제 2 가능한 구현에서, 다운링크 신호는 제 1 신호를 포함하고,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이고, 제 1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위치가 제 1 위치라고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제 31 양태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한다.
제 32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위치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제 33 양태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유닛 -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제 1 유형의 신호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위치임 - 을 포함하고, 모니터링 유닛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3 위치부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고,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제 3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한다.
제 33 양태를 참조하면, 제 33 양태의 가능한 제 1 구현에서,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다.
제 33 양태를 참조하면, 제 33 양태의 가능한 제 1 구현에서, 모니터링 유닛은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신호를 검출하도록 특별히 구성되고, 여기서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이며, 처리 유닛은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다음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의 위치가 제 1 위치라고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34 양태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제 2 유형의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제 2 유형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때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유닛 -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을 포함한다.
제 34 양태를 참조하면, 제 34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모니터링 유닛은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제 35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제 2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송신 유닛 -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제 2 송신 유닛 -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을 포함한다.
제 35 양태를 참조하면, 제 35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제 1 유형의 신호와 제 2 유형의 신호 중 하나만을 송신한다.
제 36 양태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제 2 표시 정보가 수신된 후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유닛 - 모니터링 유닛은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으며,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을 포함한다.
제 36 양태를 참조하면, 제 36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제 2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 MAC CE, 및 DCI 중 어느 하나로 반송된다.
제 37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제 2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송신 유닛 -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제 2 표시 정보가 송신된 후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제 2 송신 유닛 - 제 2 송신 유닛은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제 1 유형의 신호와 제 2 유형의 신호 중 하나만 송신함 - 을 포함한다.
제 37 양태를 참조하면, 제 37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제 2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 MAC CE, 및 DCI 중 어느 하나로 반송된다.
제 38 양태에 따르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2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유닛 - 제 2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제 2 신호 및 제 1 유형의 신호와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 사이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제 2 신호에 의해 표시된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제 12 양태를 참조하면, 제 38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다.
제 38 양태를 참조하면, 제 38 양태의 제 2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3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 3 표시 정보는 매핑 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38 양태 또는 제 38 양태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38 양태의 제 3 가능한 구현에서, 제 3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으로 반송된다.
제 38 양태 또는 제 38 양태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1 유형의 신호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시퀀스, 및 참조 신호 중 어느 하나이다.
제 38 양태 또는 제 38 양태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과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 38 양태 또는 제 38 양태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또는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는 하나 이상의 슬롯,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하나 이상의 밀리초, 및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 중 어느 하나이다.
제 39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제 3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송신 유닛 -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유형의 신호와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 사이의 매핑 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제 2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 2 송신 유닛 - 제 2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을 포함한다.
제 39 양태를 참조하면, 제 39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에서, 제 3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으로 반송된다.
제 39 양태 또는 제 39 양태의 가능한 제 1 구현을 참조하면, 제 39 양태의 제 2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DCI, 시퀀스, 및 참조 신호 중 어느 하나이다.
제 39 양태 또는 제 39 양태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3 양태의 제 3 가능한 구현에서,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과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 39 양태 또는 제 39 양태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39 양태의 제 4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또는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는 하나 이상의 슬롯,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하나 이상의 밀리초, 및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 중 어느 하나이다.
제 40 양태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며, 제 14 양태 또는 제 14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 및 제 15 양태 또는 제 15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제 16 양태 또는 제 16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 및 제 17 양태 또는 제 17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제 18 양태의 단말 디바이스 및 제 19 양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제 21 양태 또는 제 21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 및 제 22 양태 또는 제 22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제 23 양태 또는 제 23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 및 제 24 양태 또는 제 24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제 25 양태 또는 제 25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 및 제 26 양태 또는 제 26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제 27 양태 또는 제 27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 및 제 28 양태 또는 제 28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제 29 양태 또는 제 29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 및 제 30 양태 또는 제 30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제 31 양태의 단말 디바이스 및 제 32 양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제 34 양태 또는 제 34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 및 제 35 양태 또는 제 35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제 36 양태 또는 제 36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 및 제 37 양태 또는 제 37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제 38 양태 또는 제 38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 및 제 39 양태 또는 제 39 양태의 가능한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 41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되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전술한 양태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된다.
제 42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되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전술한 양태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된다.
제 4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칩 시스템을 제공한다. 칩 시스템은 전술한 양태 각각의 방법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기능, 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에서의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수신 또는 처리하는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칩 시스템은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프로그램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칩 시스템은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칩 및 다른 개별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칩 시스템을 제공한다. 칩 시스템은 전술한 양태 각각의 방법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기능, 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에서의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수신 또는 처리하는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칩 시스템은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프로그램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칩 시스템은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칩 및 다른 개별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전술한 양태 각각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포함한다.
제 46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전술한 양태 각각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환경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의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유형의 신호를 비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의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의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의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유형의 신호를 비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의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모니터링 방법의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9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0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1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CCH 모니터링 상황의 개략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을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은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전세계 상호 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미래의 5 세대(5th generation, 5G) 시스템 또는 뉴 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 가입자 유닛, 가입자 스테이션, 이동국, 모바일 콘솔,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대안으로 휴대폰, 무선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기,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이 있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디바이스,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의 단말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형 공중 지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의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또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의 기지국 트랜시버(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거나,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의 NodeB(NodeB, NB)이거나, LTE 시스템의 진화형 NodeB(evolved NodeB, eNB 또는 eNodeB)이거나, 클라우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의 라디오 컨트롤러일 수 있다. 대안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미래 5G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미래 진화형 PLMN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계층, 하드웨어 계층 위에서 실행되는 운영 체제 계층, 및 운영 체제 계층 위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한다. 하드웨어 계층은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메모리 관리 유닛(Memory Management Unit, MMU), 및 메모리(메인 메모리라고도 함)와 같은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운영 체제는 프로세스(Process)를 사용하여 서비스 처리를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운영 체제, 예를 들어, Linux 운영 체제, Unix 운영 체제, Android 운영 체제, iOS 운영 체제, 또는 Windows 운영 체제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브라우저, 주소록, 워드 프로세싱 소프트웨어, 및 인스턴트 통신 소프트웨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또한, 실행 본체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도록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의 코드를 기록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으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의 실행 본체의 특정 구조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의 실행 본체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능 모듈일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몇몇 개념을 설명한다.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복수의 포맷(format)을 가지며, 상이한 제어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표준에는 다음과 같이 여러 유형의 DCI가 정의되어 있다.
DCI 포맷 0_0 :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됨;
DCI 포맷 0_1 : 단말 디바이스의 업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됨;
DCI 포맷 1_0 : 단말 디바이스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됨;
DCI 포맷 1_1 : 단말 디바이스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됨;
DCI 포맷 2_0 : 슬롯 포맷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DCI 포맷 2_1 : 선점 표시(pre-emption indication)라고도 하는 중단된 송신(interrupted transmission)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DCI 포맷 2_2 : PUCCH 또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의 송신 전력 제어(Transmit Power Control, TPC) 명령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그리고
DCI 포맷 2_3 :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의 TPC 명령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여기서 DCI 포맷 2_x는 그룹 공통(group common)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에서 반송될 수 있다.
슬립 상태(Sleep state) : 단말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있을 때, 일부 회로가 꺼져,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있을 때,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즉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슬립 상태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절전 신호, 즉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절전 신호에 기초하여 슬립 상태를 유지할 지를 결정, 즉 정상 작동 상태로 전환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정상 작동 상태 : 단말 디바이스가 정상 작동 상태에 있을 때,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고, 즉,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정상 작동 상태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스케줄링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절전 신호(power saving signal) : 절전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이다. 절전 신호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절전 신호는 일반적으로 2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하나는 웨이크 업 신호(wake-up signal)이고, 웨이크 업 신호의 기능은 단말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있을 때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하여 정상 데이터 수신 및 송신을 수행하기까지의 시간의 기간을 단말 디바이스에 통지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고 투 슬립 신호(go-to-sleep signal)이고, 고 투 슬립 신호의 기능은 단말 디바이스가 정상 작동 상태(즉, 비 슬립 상태)에 있을 때, 단말 디바이스가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슬립 상태에 진입할 수 있는 시간의 기간을 단말 디바이스에 통지하는 것이다. 절전 신호는 2 개의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방식에서, 절전 신호는 DCI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 1 방식의 장점은 신뢰성이 높고 누락 검출/오 검출의 확률이 낮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출원에서, 절전 신호를 표시하는 DCI는 DCI 포맷 3이라고 할 수 있다. 제 2 방식에서, 절전 신호는 시퀀스(sequence) 또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 2 방식의 장점은 DCI를 설계할 필요가 없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DCI를 블라인드 검출하는 복잡성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슬롯 구조: 슬롯 구조는 다운링크(DownLink, DL), 업링크(UpLink, UL), 플렉서블(flexible, X)의 3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구조가 DL로 표시된 시간 내에만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구조가 UL로 표시된 시간 내에만 업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구조가 X로 표시된 시간 내에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업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슬롯 구조는 2 개의 방법을 사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제 1 방법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반 정적 슬롯 구조를 구성한다. 슬롯 구조의 유효 시간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길고, 즉, 슬롯 구조는 단시간에 다른 구성으로 변경되지 않고, 주기적일 수 있다. 제 2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동적 슬롯 구조를 표시한다. 슬롯 구조의 유효 시간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짧고, 즉, 슬롯 구조는 2_0 포맷의 다른 DCI 조각을 사용하여 짧은 시간에 다른 슬롯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적 슬롯 구조는 DCI 포맷 2_0을 사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블라인드 검출(Blind Detect, BD) :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된 DCI를 수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된 PDCCH를 다운링크 제어 영역에서 블라인드 검출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많은 PDCCH 후보(PDCCH candidate)를 리슨(listen)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PDCCH 후보가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DCI를 블라인드 검출하는 과정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상이한 DCI 포맷을 블라인드 검출한다. 상이한 DCI 포맷의 길이가 상이하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는 복수회 디코딩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블라인드 검출될 필요가 있는 DCI 포맷은 20 비트(bit)이고, 블라인드 검출될 필요가 있는 다른 DCI 포맷은 30 비트이다. 동일한 입력 정보에 대해, 단말 디바이스는 20 비트의 출력 결과 길이를 사용하여 1 회 디코딩을 수행한 후, 30 비트의 출력 결과 길이를 사용하여 1 회 디코딩을 수행한다. 2 개의 DCI 포맷의 길이가 동일하면, 2 개의 DCI 포맷은 일반적으로 상이한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를 사용하여 스크램블(scramble)된다. 이 경우에, 상이한 DCI 포맷을 블라인드 검출하는 과정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상이한 포맷을 별도로 디스크램블(descramble)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동작으로 인해, 더 많은 DCI 포맷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블라인드 검출되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필요가 있는 디코딩/디스크램블링 동작이 더 많아지고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가 더 높아진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모바일 단말일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라디오 링크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모니터링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의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의 칩과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방법이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예는 아래에서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 도 2의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S201. 단말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다운링크 신호는 다운링크 채널, 예를 들어 PDCCH일 수 있다. 대안으로, 다운링크 신호는 다른 유형, 예를 들어 참조 신호 또는 시퀀스일 수 있다.
S202. 단말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며, 여기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으며,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일한 간격으로 제 1 유형의 신호와 제 2 유형의 신호 중 하나만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력 소비 감소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진입할 때 또는 단말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서 웨이크 업할 때 또는 슬립 상태와 관련된 다른 제어 시그널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의 표시 내용에 기초하여 슬립 상태와 관련된 활동 또는 슬립 상태와 정상 작동 상태 사이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술한 절전 신호일 수 있다. 제 1 유형의 신호는 DCI, 시퀀스, 또는 참조 신호일 수 있다.
전력 소비 감소 정보는 복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소비 감소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단말 디바이스가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예를 들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또는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의 단위는 예를 들어 슬롯, 서브프레임, 또는 밀리초(ms)일 수 있거나, 다른 시간 단위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및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는 각각 하나 이상의 슬롯,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또는 하나 이상의 밀리초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는 대안으로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사이클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RX는 RRC 연결(RRC_connected) 모드에서 단말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PDCCH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지 않지만, 온 지속 시간(on duration)에 PDCCH를 모니터링하고 DRX 기회(opportunity for DRX)에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아, 단말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온 지속 시간과 하나의 DRX 기회는 하나의 DRX 사이클을 구성한다.
전력 소비 감소 정보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직접 표시할 수 있으며, 즉,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와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의 단위는 각각 DRX 사이클 또는 DRX 온 지속 시간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예를 들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또는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의 단위는 대안으로 다운링크 제어 채널 모니터링 상황(PDCCH monitoring occasion)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소비 감소 정보가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데이터 스케줄링이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소비 감소 정보는 하나 이상의 PDCCH 모니터링 상황에서 데이터 스케줄링이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PDCCH 모니터링 상황에서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다른 예에 있어서, 전력 소비 감소 정보는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데이터 스케줄링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전력 소비 감소 정보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하나 이상의 PDCCH 모니터링 상황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이 경우에,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PDCCH 모니터링 상황 이후에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한다.
PDCCH 모니터링 상황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하나 이상의 검색 공간(search space)을 구성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검색 공간의 구성 상태에 기초하여 PDCCH 모니터링 상황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2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CCH 모니터링 상황의 개략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하나의 검색 공간만 구성하고 검색 공간은 검색 공간 0 또는 검색 공간 1일 수 있다고 가정한다. 검색 공간 0의 모니터링 기간은 2 개의 슬롯이다. 단말 디바이스가 후속의 2 개의 PDCCH 모니터링 상황에서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력 소비 감소 정보가 표시하면, 이는 단말 디바이스가 4 개의 슬롯에서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과 동일하다. 검색 공간 1의 모니터링 기간은 1 개의 슬롯이다. 단말 디바이스가 후속의 2 개의 PDCCH 모니터링 상황에서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력 소비 감소 정보가 표시하면, 이는 단말 디바이스가 2 개의 슬롯에서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는 것과 동일하다.
다른 예로서, 여전히 도 2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검색 공간 0과 검색 공간 1인 2 개의 검색 공간을 구성한다고 가정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공간 0의 모니터링 기간은 2 개의 슬롯이고, 검색 공간 1의 모니터링 기간은 1 개의 슬롯이다. 이 경우에,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표시는 상이한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와 동일한 이해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는 동일한 이해 방식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신호를 모니터링하는데 동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모니터링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특정 이해 방식을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표시 정보는 명시적(explicit) 표시 정보 또는 암시적(implicit) 표시 정보일 수 있다. 표시 정보는 미리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있거나, 전력 소비 감소 정보로 반송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으로, 사용되는 다음과 같은 특정 이해 방식이 통신 표준에 명시될 수 있다.
제 1 이해 방식에서, PDCCH 모니터링 상황은 모든 검색 공간의 PDCCH 모니터링 상황을 표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PDCCH 모니터링 상황은 모든 검색 공간의 PDCCH 모니터링 상황의 조합 세트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여전히 도 22를 참조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0 내지 슬롯 8 각각에서 검색 공간 0 또는 검색 공간 1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슬롯 0 내지 슬롯 8 각각은 하나의 PDCCH 모니터링 상황을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후속의 2 개의 PDCCH 모니터링 상황에서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력 소비 감소 정보가 표시하면,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2 개의 슬롯에서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는 것과 동일하다.
제 2 이해 방식에서, PDCCH 모니터링 상황은 특정 검색 공간에 대한 PDCCH 모니터링 상황이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CH 모니터링 상황은 검색 공간 0에 대한 것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매 2 개의 슬롯에 1 회의 PDCCH 모니터링 상황이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후속의 2 개의 PDCCH 모니터링 상황에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력 소비 감소 정보가 표시하면, 이는 단말 디바이스가 4 개의 슬롯에서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는 것과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PDCCH 모니터링 상황은 검색 공간 1에 대한 것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각 슬롯에 하나의 PDCCH 모니터링 상황이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후속의 2 개의 PDCCH 모니터링 상황에서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력 소비 감소 정보가 표시하면, 이는 단말 디바이스가 2 개의 슬롯에서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는 것과 동일하다.
전술한 2 개의 구현에서, 2 개의 검색 공간의 구성에 기초하여 동일한 PDCCH 모니터링 상황을 얻을 수 있다면, 2 개의 방법의 결과는 동일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제 2 구현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거나 모니터링하지 않을 때, 단말 디바이스는 특정 검색 공간에서만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거나 모니터링하지 않을 수 있거나, 모든 검색 공간에서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거나 모니터링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전히 도 22를 참조하면, PDCCH 모니터링 상황이 검색 공간 0에 대한 것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후속의 2 개의 PDCCH 모니터링 상황에서 제 2 유형의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한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후속의 4 개 슬롯에서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 여기에는 2 개의 구현이 있다. 제 1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4 개의 슬롯의 검색 공간 0에서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제 2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4 개의 슬롯의 검색 공간에서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다른 의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유형의 신호가 DCI이면, DCI에 할당된 상이한 값은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다른 의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표 1은 DCI에 할당된 값과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 간의 매핑 관계를 보여준다.
DCI에서의 비트 정보 의미
00 3 개의 슬롯에서 수행되는 스케줄링이 없다
01 2 개의 슬롯에서 수행되는 스케줄링이 없다
10 1 개의 슬롯 이후에 스케줄링이 수행된다
11 2 개의 슬롯 이후에 스케줄링이 수행된다
대안으로, 제 1 유형의 신호가 시퀀스이면,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상이한 의미가 상이한 시퀀스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표 2는 상이한 시퀀스와 시퀀스에 의해 표시되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 간의 매핑 관계를 보여준다.
시퀀스 의미
시퀀스 1 3 개의 슬롯에서 수행되는 스케줄링이 없다
시퀀스 2 2 개의 슬롯에서 수행되는 스케줄링이 없다
시퀀스 3 1 개의 슬롯 이후에 스케줄링이 수행된다
시퀀스 4 2 개의 슬롯 이후에 스케줄링이 수행된다
대안으로, 제 1 유형의 신호가 참조 신호이면,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다른 의미는 상이한 참조 신호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표 3은 상이한 참조 신호와 참조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 간의 매핑 관계를 보여준다.
참조 신호 의미
참조 신호 1 3 개의 슬롯에서 수행되는 스케줄링이 없다
참조 신호 2 2 개의 슬롯에서 수행되는 스케줄링이 없다
참조 신호 3 1 개의 슬롯 이후에 스케줄링이 수행된다
참조 신호 4 2 개의 슬롯 이후에 스케줄링이 수행된다
표 1 내지 표 3에 열거된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는 예시일 뿐이고, 전력 소비 감소 정보는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것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표 1 내지 표 3의 제 1 신호 유형과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 간의 매핑 관계도 예시일 뿐이며, 제 1 유형의 신호와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 간의 다른 매핑 관계가 있을 수 있다.선택적으로,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되거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3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3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제 3 표시 정보는 매핑 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 3 표시 정보는 반 정적 표시 정보이거나 동적 표시 정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시그널링일 수 있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유형의 신호의 표시 내용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다. 제 2 유형의 신호는 일반적으로 DCI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유형의 신호는 위에서 설명한 DCI 포맷 0_0, DCI 포맷 0_1, DCI 포맷 1_0, 또는 DCI 포맷 1_1일 수 있다.
제 1 유형의 신호가 DCI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블라인드 검출을 통해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 1 유형의 신호가 시퀀스 또는 참조 신호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상관 검출 등을 통해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관 검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시퀀스 또는 참조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슬립 상태에 진입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유형의 신호만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지만,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필요는 없다. 단말 디바이스가 정상 작동 상태에 있을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고, 제 2 유형의 신호만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할 때 제 2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와 제 2 유형의 신호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모니터링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에 모니터링되는 신호의 유형이 감소되어,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다음은 단말 디바이스가 정상 작동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2 개의 방식으로 전술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방식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영역 리소스 길이에서 제 2 유형의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여기서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영역 리소스 길이에서 제 2 유형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때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고, 여기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2 유형의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 내의 위치부터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유형의 신호를 수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유형의 신호 이후의 제 3 시간 영역 리소스 길이에서 새로운 제 2 유형의 신호가 검출될 수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새로운 제 2 유형의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이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즉시 모니터링을 개시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 2 유형의 신호를 송신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를 대기한 후,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제 2 유형의 신호를 검출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유형의 신호를 계속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제 1 유형의 신호는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제 2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때, 이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추가로 송신할 필요가 없어, 신호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특정 개략도이다. 도 3에서,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영역 리소스 길이는 3 개의 시간 영역 리소스 단위이고, 시간 영역 리소스 단위는 슬롯 또는 밀리초(ms)이거나, 다른 시간 단위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설명을 위해 제 1 유형의 신호가 DCI인 예가 사용된다. 그러나, 도 3의 예는 제 1 유형의 신호가 시퀀스 또는 참조 신호인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단말 디바이스가 정상 상태의 연속된 3 개의 시간 영역 리소스 단위에서 제 2 유형의 신호, 예를 들어, 데이터 스케줄링을 위한 DCI를 검출하지 못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정상 작동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주기적으로 제 1 유형의 신호를 블라인드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 DCI일 수 있다. 모니터링 기간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를 먼저 모니터링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0에서 제 2 유형의 신호, 예를 들어 데이터 스케줄링을 위한 DCI를 검출한 후, 다음 3 개의 연속 슬롯(슬롯 1 내지 슬롯 3)에서 제 2 유형의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다. 슬롯 4에서 시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중지하고, 제 1 유형의 신호, 예를 들어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 DCI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한다.
제 2 방식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라디오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Media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 MAC CE), 및 DCI 중 어느 하나로 반송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방식이 제공되어, 통신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된 시간 기간 이후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시간 기간은 몇몇 슬롯, 몇몇 밀리초, 또는 몇몇 DRX 사이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K 슬롯 이후에 정상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하고, 여기서 K는 0보다 큰 정수이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K 슬롯 이전에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지만, K 슬롯 이후에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이는 단말 디바이스가 신호를 수신한 후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어 유효 정보를 추출하고, 유효 정보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가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학습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미리 설정된 시간 기간, 예를 들어, K의 값은 통신 표준에서 미리 정의될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구성될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의 처리 능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의 처리 능력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미리 보고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된 시간 기간 이후에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즉시 모니터링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슬롯 3에서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기간이 8(K = 8) 슬롯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11에서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면, 예를 들어, 모니터링 기간이 5 개의 슬롯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11 및 슬롯 16과 같은 슬롯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현재의 제 1 유형의 신호에 기초하여 다음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를 결정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11에서 검출된 제 1 유형의 신호에 기초하여 슬롯 11 이후에, 다음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슬롯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주기적인 모니터링의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모니터링을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 기간 이후에 제 1 주기적 가용 값을 더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기간이 5 개의 슬롯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시퀀스 번호가 5n인 슬롯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즉, 슬롯 0, 슬롯 5, 슬롯 10과 같은 슬롯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단말 디바이스가 슬롯 3에서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기간이 8 (K = 8) 슬롯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11부터 주기적 가용 값에 대한 검색을 개시하고 그 다음 슬롯 15에서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한다.
일부 예에서, 대안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슬롯 3에서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슬롯 13에서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13부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할 수 있다.
다음은 단말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서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제 1 유형의 신호를 비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거나, 제 1 유형의 신호를 비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의 표시에 따라,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계속할 것인지 또는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슬립 상태를 유지할 것인지 또는 정상 작동 상태로 전환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N 기간 또는 제 1 시간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으며, N은 0보다 큰 정수이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N 기간 이후의 제 1 기간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거나, 제 1 시간 리소스 길이 이후의 제 1 기간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다른 예로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신호를 모니터링한다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M 기간 또는 제 2 시간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M 기간 이후에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거나, 제 2 시간 리소스 길이 이후에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한다.
제 1 시간 리소스 길이 또는 제 2 시간 리소스 길이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슬롯,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하나 이상의 밀리초, 또는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일 수 있거나, 다른 시간 단위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전히 도 3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모니터링 기간은 3 개의 슬롯이고 단말 디바이스는 3 개의 슬롯을 하나의 기간으로서 사용하여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한다고 가정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4에서 제 2 유형의 신호를 검출하며, 여기서 제 2 유형의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슬롯 이전에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한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유형의 신호, 예를 들어 데이터 스케줄링을 위한 DCI를 수신하지 못하며, 즉,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슬롯 이전에 슬립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5와 슬롯 6에서 제 1 유형의 신호와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 그러면, 단말 디바이스는 주기적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다음 위치, 즉 슬롯 7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슬롯 4에서와 동일한 표시가 슬롯 7에서 수신되면,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8과 슬롯 9에서 제 1 유형의 신호와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그 후,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10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검출하며, 여기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가 2 개의 슬롯 이후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2 개의 슬롯(즉, 슬롯 12) 이후에 제 2 유형의 신호를 다시 모니터링하고,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중지할 수 있다.
제 1 유형의 신호가 비주기적으로 송신될 때,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위치는 현재의 제 1 유형의 신호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다운링크 신호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신호를 검출한다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 또는 제 2 유형의 신호이다.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는 제 1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신호가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데이터 스케줄링이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의 위치에서 다음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의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한다.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신호의 위치가 제 1 위치라고 가정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의 제 1 위치 이후의 위치에서 다음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신호가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의 위치에서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시간 영역 리소스의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의 위치에서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한다.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신호의 위치가 제 1 위치라고 가정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의 제 1 위치 이후의 위치에서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비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특정 개략도이다. 단말 디바이스가 정상 작동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하는 도 4의 방식은 도 3의 방식과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정상 작동 상태에서 연속된 3 개의 슬롯에서 제 2 유형의 신호, 예를 들어, 데이터 스케줄링을 위한 DCI를 검출하지 못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정상 작동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4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검출하고, 여기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가 현재의 슬롯을 포함한 다음 2 개의 슬롯에서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한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유형의 신호, 예를 들어 데이터 스케줄링을 위한 DCI를 수신하지 못하며, 즉 단말 디바이스는 현재의 슬롯을 포함한 다음 2 개의 슬롯에서 슬립 상태에 있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5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그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6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검출하고, 여기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가 현재의 슬롯을 포함한 다음 5 개의 슬롯에서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7, 슬롯 8, 슬롯 9, 및 슬롯 10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그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11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검출하고, 여기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가 하나의 슬롯 이후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12에서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한다.
다음은 시스템에서 충돌 또는 예외가 발생했을 때 단말 디바이스가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프로세스를 계속 설명한다. 시스템에서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이다는 것을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지만, 제 1 위치는 다음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에 사용되는 미리 결정된 위치이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없다. 시스템에서 예외가 발생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를 검출하지 못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어떤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주기적으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면,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제 1 위치가 슬롯 구조 또는 업링크-다운링크 구성과 충돌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위치 이후의 하나의 기간에 데이터 스케줄링이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한다고 기본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위치 이후의 하나의 기간 내에 데이터 스케줄링이 수행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제 1 위치를 업링크 위치로서 구성하여, 데이터 스케줄링이 하나의 기간에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단말 디바이스에 암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는 계속 슬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며,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이다는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대안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도 제 2 유형의 신호도 모니터링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의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단말 디바이스가 정상 작동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하는 도 5의 방식은 도 3의 방식과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정상 작동 상태에서 연속된 3 개의 슬롯에서 제 2 유형의 신호, 예를 들어, 데이터 스케줄링을 위한 DCI를 검출하지 못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정상 작동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한다. 도 5의 예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위치가 슬롯 구조 또는 업링크-다운링크 구성과 충돌하는 경우를 주로 다룬다.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에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행할 것을 표시하지 않는다는 것, 즉,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슬롯 이전에 항상 슬립 상태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기본적으로 고려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슬롯 이전에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는 3 개의 슬롯을 하나의 기간으로서 사용하여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한다고 가정한다. 슬롯 4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위치이고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슬롯 4 내의 위치가 업링크 위치이다는 것을 표시한다고 가정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4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없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즉, 슬롯 7) 이전에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슬롯 7 이전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하지 않는다고 고려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5와 슬롯 6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슬롯 7에서야 비로소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가 슬롯 4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도 동일한 규칙을 따르고, 슬롯 7에서야 비로소 제 1 유형의 신호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다른 방식으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제 1 위치가 슬롯 구조 또는 업링크-다운링크 구성과 충돌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위치 이후에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위치 이후에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이다는 것과, 제 1 위치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위치이다는 것을 표시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송신하며, 여기서 제 2 위치는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에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위치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가 검출될 때까지 또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가 검출될 때까지 제 1 위치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순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를 비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이다는 것과, 제 1 위치는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이다는 것과,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이다는 것을 표시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고, 여기서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위치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가 검출될 때까지 제 1 위치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순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 1 표시 정보는 시스템의 슬롯 구조 및/또는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시그널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정보는 제 1 위치가 업링크 슬롯인 것을 표시하거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한다. 제 1 표시 정보는 반 정적으로 구성된 시그널링 또는 슬롯 구조를 동적으로 나타내는 시그널링일 수 있다.
제 2 위치는 다운링크 위치 또는 플렉서블 위치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가 검출될 때까지 제 1 위치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계속 모니터링하고,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 시간이 길수록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가 더 많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가능한 한 많이 제 1 위치에 가장 가까운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단말 디바이스는 가능한 한 빨리 제 1 유형의 신호를 검출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단말 디바이스가 정상 작동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하는 도 6(a) 및 도 6(b)의 방식은 도 3의 방식과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정상 상태에서 연속된 3 개의 슬롯에서 제 2 유형의 신호, 예를 들어, 데이터 스케줄링을 위한 DCI를 검출하지 못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정상 작동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한다. 도 6(a) 및 도 6(b)의 예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가 슬롯 구조 또는 업링크-다운링크 구성과 충돌하는 경우에도 중점을 둔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이전에 충돌되지 않는 제 2 위치를 역방향으로 검색하고,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블라인드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위치는 충돌하는 위치 이후에 가장 가까운 다운링크 또는 플렉서블 슬롯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유형의 신호는 3 개의 슬롯을 하나의 기간으로서 사용하여 모니터링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슬롯 4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위치이고, 제 1 표시 정보가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슬롯 4에서의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한다고 가정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4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없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이전에 반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동적으로 표시된 슬롯 구조와 충돌하지 않는 가장 가까운 슬롯을 역방향으로 검색하고 그 슬롯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블라인드 검출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5의 슬롯 구조는 반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동적으로 표시된 슬롯 구조와는 충돌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5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블라인드 검출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로서 작용하는 DCI가 슬롯 4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없다는 것을 또한 알고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도 동일한 규칙을 따르고 제 1 유형의 신호로서 작용하는 DCI를 슬롯 5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다른 예를 들어, 도 7(a) 및 도 7(b)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유형의 신호를 비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단말 디바이스가 정상 작동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하는 도 7(a) 및 도 7(b)의 방식은 도 3의 방식과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정상 상태의 연속된 3 개의 슬롯에서 제 2 유형의 신호, 예를 들어,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를 검출하지 못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정상 작동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도 4의 예와 유사하게,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의 표시에 따라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를 결정한다. 도 7(a) 및 도 7(b)의 예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가 슬롯 구조 또는 업링크-다운링크 구성과 충돌하는 경우에 주로 중점을 둔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충돌되지 않는 제 2 위치를 역방향으로 검색하고,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블라인드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위치는 충돌하는 위치 이후의 가장 가까운 다운링크 또는 플렉서블 슬롯일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서, 슬롯 4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위치이고, 제 1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슬롯 4에서의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한다고 가정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4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없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반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동적으로 표시된 슬롯 구조와는 충돌하지 않는 가장 가까운 슬롯을 역방향으로 검색하고 그 슬롯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블라인드 검출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5의 슬롯 구조는 반 정적으로 구성되거나 동적으로 표시된 슬롯 구조와는 충돌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5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블라인드 검출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로서 작용하는 DCI가 슬롯 4의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없다는 것을 또한 알고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도 동일한 규칙을 따르고 제 1 유형의 신호로서 작용하는 DCI를 슬롯 5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검출할 때, 제 2 위치에 있는 제 1 신호 유형의 의미는 2 개의 이해 방법을 사용하여 이해된다. 제 1 이해 방법에서는, 제 1 유형의 신호가 검출된 위치가 참조로서 사용된다. 도 6(a) 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5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제 1 유형의 신호는 "스케줄링이 2 개의 슬롯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를 표시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현재의 슬롯 5를 참조로서 사용하여 슬롯 7에서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한다. 제 2 이해 방법에서는, 제 1 유형의 신호가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제 1 위치가 참조로서 사용된다. 도 6(b) 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5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제 1 유형의 신호는 "스케줄링이 3 개의 슬롯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를 표시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4를 참조로서 사용하여 슬롯 7에서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한다.
다음은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검출하지 않을 때, 단말 디바이스는 슬립 상태에서 정상 작동 상태로 즉시 전환하여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며, 여기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며, 여기서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위치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3 위치에서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며, 여기서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제 3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한다.
제 1 유형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거나, 제 1 유형의 신호를 비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현재의 수신된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다음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의 위치가 제 1 위치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검출하지 못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위치 이후에 제 2 유형의 신호를 즉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즉, 슬립 상태에서 정상 작동 상태로 즉시 전환할 수 있어, 신호의 검출 누락을 방지하여 통신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8의 예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시나리오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제 1 유형의 신호를 비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시나리오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정상 작동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하는 도 8의 방식은 도 3의 방식과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정상 상태에서 연속된 3 개의 슬롯에서 제 2 유형의 신호, 예를 들어, 데이터 스케줄링을 위한 DCI를 검출하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정상 작동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한다. 도 8의 예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에 주로 중점을 둔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정상 작동 상태로 즉시 전환하고,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여, 신호의 검출 누락을 피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4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검출하고, 단말 디바이스가 현재의 슬롯을 포함한 다음 3 개의 슬롯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되지 않는다는 것을 통지 받는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면, 하나의 기간은 3 개의 슬롯으로서 구성되고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는 슬롯 7이라고 가정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를 비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4에서 제 1 유형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는 슬롯 7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슬롯 5 및 슬롯 6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슬롯 7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슬롯 7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다음 슬롯(즉, 슬롯 8)에서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고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중지한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슬립 상태에서 정상 작동 상태로 전환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미리 정해진 모니터링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는 이유는 채널 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지만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올바르게 수신하지 못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예상하는지 여부를 단말 디바이스가 결정할 수 없다. 스케줄링 데이터에 대한 가능한 정보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즉시 개시할 필요가 있다.
다음은 도 9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거나, 본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의 칩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본 방법이 수행되는 예는 설명을 위해 아래의 예로서 사용된다. 도 9의 방법에 있고 상기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해당 내용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신호 모니터링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901. 단말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2 신호를 검출하고,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신호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여기서 제 2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S902.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신호 및 제 1 신호 유형과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 사이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제 2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를 결정한다.
제 1 유형의 신호는 DCI, 시퀀스, 또는 참조 신호일 수 있다.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다른 의미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유형의 신호와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다른 의미 사이에는 매핑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표 1 내지 표 3은 제 1 유형의 신호와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 간의 매핑 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 1 유형의 신호가 DCI이면, DCI에 할당된 상이한 값은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다른 의미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 1 유형의 신호가 시퀀스이면,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상이한 의미는 상이한 시퀀스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제 1 유형의 신호가 참조 신호이면,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상이한 의미는 상이한 참조 신호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과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 1 신호 유형에 대한 다른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전술한 관련 내용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다.
선택적으로,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또는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는 하나 이상의 슬롯,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하나 이상의 밀리초, 및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 중 어느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되거나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3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3 표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3 표시 정보는 매핑 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3 표시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유형의 신호와 의미 간의 매핑 관계를 단말 디바이스에 미리 표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매핑 관계를 명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거나 매핑 관계를 암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표시 정보는 반 정적 표시 정보이거나 동적 표시 정보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와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검출된 제 2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의미를 결정하여, 통신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의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하나 이상의 의미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신호를 모니터링하거나 상이한 의미에 기초하여 상이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 1 유형의 신호는 더 많은 정보 내용을 표시할 수 있어 통신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3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에서 반송될 수 있다.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모니터링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의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가 정상 작동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진입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10의 방법에 있고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해당 내용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S1001. 단말 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제 2 유형의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여기서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S1002. 단말 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제 2 유형의 신호를 검출하지 못할 때,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고, 여기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2 유형의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위치부터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유형의 신호를 수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유형의 신호 이후의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새로운 제 2 유형의 신호가 검출될 수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새로운 제 2 유형의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이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즉시 모니터링을 개시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2 유형의 신호를 송신한 후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를 대기할 수 있다. 그 다음,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제 2 유형의 신호를 검출할 때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제 2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때, 이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추가로 송신할 필요가 없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모니터링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1의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가 정상 작동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진입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간략화를 위해,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 11의 내용 또는 개념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1101.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2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고, 제 1 유형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S1102.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며,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제 2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 MAC CE, 및 DCI 중 어느 하나로 반송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방식이 제공되어, 통신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도 12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모니터링 방법을 도시한다. 도 12의 방법은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가 슬롯 구조 또는 업링크-다운링크 구성과 충돌할 때의 신호 모니터링 방법이다. 간략화를 위해,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 12의 내용 또는 개념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S1201.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고,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위치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S1202. 단말 디바이스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한다.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거나, 제 1 유형의 신호를 비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주기적 모니터링의 경우,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에 위치한다.
일부 다른 예에서, 비주기적 모니터링의 경우, 도 12의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와,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음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의 위치가 제 1 위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가 슬롯 구조 또는 업링크-다운링크 구성과 충돌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 이후의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충돌 시나리오에서의 솔루션을 제공하여 모니터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모니터링 방법을 도시한다. 도 13의 방법은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위치가 슬롯 구조 또는 업링크-다운링크 구성과 충돌할 때의 신호 모니터링 방법이다. 간략화를 위해,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 13의 내용 또는 개념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S1301.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고,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위치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S1302.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가 슬롯 구조 또는 업링크-다운링크 구성과 충돌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 이후의 위치에서 제 2 유형의 데이터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할 수 있어, 신호의 검출 누락을 방지하여 모니터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모니터링 방법을 도시한다. 도 14의 방법은 제 1 유형의 신호가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검출되지 않을 때의 신호 모니터링 방법이다. 간략화를 위해,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 14의 내용 또는 개념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S1401. 단말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며, 여기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S1402. 단말 디바이스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하고, 여기서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위치이다.
S1403. 단말 디바이스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3 위치에서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한다.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며, 제 3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검출하지 않을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위치 이후에 제 2 유형의 신호를 즉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즉, 슬립 상태에서 정상 작동 상태로 즉시 전환할 수 있어, 신호의 검출 누락을 방지하여 통신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신호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한다. 다음은 도 15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장치를 설명한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15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단말 디바이스(1500)는 본 출원의 방법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도 2, 도 11, 도 12, 및 도 13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500)는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단말 디바이스에 적용된 칩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500)는 수신 유닛(1510) 및 모니터링 유닛(1520)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1510)은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모니터링 유닛(1520)은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대안으로, 수신 유닛(151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모니터링 유닛(1520)은 제 2 표시 정보가 수신된 후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모니터링 유닛(1520)은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으며, 여기서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대안으로, 수신 유닛(1510)은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위치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모니터링 유닛(1520)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한다.
대안으로, 수신 유닛(1510)은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위치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모니터링 유닛(1520)은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16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단말 디바이스(1600)는 본 출원의 방법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도 9, 도 10, 및 도 14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600)는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단말 디바이스에 적용된 칩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600)는 모니터링 유닛(1610) 및 처리 유닛(1620)을 포함한다.
모니터링 유닛(1610)은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2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 2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처리 유닛(1620)은 제 2 신호 및 제 1 유형의 신호와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제 2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전력 소모 감소 정보의 의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으로, 처리 유닛(1620)은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제 2 유형의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모니터링 유닛(1610)은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제 2 유형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때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대안으로, 모니터링 유닛(1610)은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처리 유닛(1620)은 제 1 유형의 신호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에서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위치이다. 모니터링 유닛(1610)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3 위치부터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며,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제 3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한다.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17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700)는 본 출원의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7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된 칩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700)는 제 1 송신 유닛(1710) 및 제 2 송신 유닛(1720)을 포함한다.
제 1 송신 유닛(1710)은 제 3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유형의 신호와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 간의 매핑 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제 2 송신 유닛(1720)은 제 2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2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이다.
대안으로, 제 1 송신 유닛(1710)은 제 2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제 2 송신 유닛(1720)은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대안으로, 제 1 송신 유닛(1710)은 제 2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제 2 송신 유닛(1720)은 제 2 표시 정보가 송신된 후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2 송신 유닛(1720)은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제 1 유형의 신호와 제 2 유형의 신호 중 하나만을 송신한다.
대안으로, 제 1 송신 유닛(1710)은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의 미리 결정된 위치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제 2 송신 유닛(1720)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한다.
도 1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18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800)는 본 출원의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도 13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8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된 칩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800)는 송신 유닛(1810) 및 처리 유닛(1820)을 포함한다.
송신 유닛(1810)은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위치이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처리 유닛(1820)은 제 1 위치와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19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900)는 본 출원의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도 2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9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된 칩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900)는 생성 유닛(1910) 및 송신 유닛(1920)을 포함한다. 생성 유닛(1910)은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다운링크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제 1 유형의 신호 또는 제 2 유형의 신호를 포함하고,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다. 송신 유닛(1920)은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송신 유닛은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제 1 유형의 신호와 제 2 유형의 신호 중 하나만 송신한다.
도 2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2000)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2000)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2010),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2020),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030)는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202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메모리(2010)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2030)는 메모리(201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단말 디바이스는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절차 및/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2000)는 도 2 및 도 9 내지 도 14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해,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2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21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2100)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2110),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2120),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1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30)는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212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메모리(2110)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2130)는 메모리(211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네트워크 디바이스(2100)는 본 출원의 통신 방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절차 및/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2100)는 도 2 및 도 9 내지 도 13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해,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예들과 결합하여,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기술적 솔루션의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다르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당업자라면 편리하고 간단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업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고,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몇몇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일 뿐이다. 예를 들어, 유닛 분할은 단순히 논리적 기능 분할이며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 요소는 다른 시스템에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이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간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자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부분으로 기술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고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 표시되는 부분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고, 하나의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일부 또는 모든 유닛은 실시예의 솔루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건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거나, 각각의 유닛은 물리적으로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2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어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기능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본질적인 기술적 솔루션, 또는 선행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솔루션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는) 컴퓨터 디바이스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몇몇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이동식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이,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은 본 출원의 특정 구현일 뿐이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파악되는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에 따라야 한다.

Claims (152)

  1.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를 포함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 또는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임 - 를 더 포함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시간 도메인 길이 이후의 위치부터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상기 제 2 시간 도메인 길이 이후의 위치부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이고, 상기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더 포함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가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이고, 상기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3 위치부터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 - 상기 제 3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더 포함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임 - 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함 - 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더 포함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임 - 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3 위치부터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 - 상기 제 3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더 포함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11. 통신 인터페이스와,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명령어가 실행될 때,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신호 - 상기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검출하도록 특별히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 - 상기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 또는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임 - 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의 위치부터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특별히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의 위치부터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특별히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1 표시 정보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이고, 상기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가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 -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이고, 상기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임 - 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도록 특별히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3 위치 - 상기 제 3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부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특별히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1 표시 정보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임 - 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1 표시 정보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함 - 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 상기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 -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함 - 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도록 특별히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3 위치 - 상기 제 3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부터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21.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22.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실행될 때,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3. 칩 시스템으로서,
    상기 칩 시스템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 시스템.
  24.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위치이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포함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임 - 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다음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의 위치가 제 1 위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27.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의 미리 결정된 위치이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위치이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신호 송신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신호는 제 1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이고,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위치가 제 1 위치인 것으로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신호 송신 방법.
  30.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3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위치이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32.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위치임 - 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3 위치부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 -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상기 제 3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포함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인,
    신호 모니터링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다음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의 위치가 제 1 위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35.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유형의 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영역 리소스 길이에서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영역 리소스 길이에서 검출되지 않을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 -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를 포함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37.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 -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를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와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 중 하나만을 송신하는,
    신호 송신 방법.
  39.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 -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를 포함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 MAC CE, 및 DCI 중 어느 하나로 반송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4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표시 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 -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와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 중 하나만 송신함 -
    를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 MAC CE, 및 DCI 중 어느 하나로 반송되는,
    신호 송신 방법.
  43.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2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제 2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이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와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meanings) 사이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45. 제 43 항 또는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3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3 표시 정보는 상기 매핑 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됨 - 를 더 포함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46. 제 43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 3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3 표시 정보는 상기 매핑 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됨 - 를 더 포함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47. 제 43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으로 반송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48. 제 43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시퀀스, 및 참조 신호 중 어느 하나인,
    신호 모니터링 방법.
  49. 제 43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과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 모니터링 방법.
  50. 제 43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또는 상기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는 하나 이상의 슬롯,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하나 이상의 밀리초, 및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 중 어느 하나인,
    신호 모니터링 방법.
  5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3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유형의 신호와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 사이의 매핑 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으로 반송되는,
    신호 송신 방법.
  53. 제 51 항 또는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시퀀스, 및 참조 신호 중 어느 하나인,
    신호 송신 방법.
  54. 제 51 항 내지 제 5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과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55. 제 51 항 내지 제 5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또는 상기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는 하나 이상의 슬롯,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하나 이상의 밀리초, 및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 중 어느 하나인,
    신호 송신 방법.
  56.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제 1 유형의 신호 또는 제 2 유형의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와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 중 하나만 송신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제 1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이고,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 또는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인,
    신호 송신 방법.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의 위치이며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위치이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임 - 와,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59.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위치임 - 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에 위치함 -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61. 제 56 항 내지 제 6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62. 제 56 항 내지 제 6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함 -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63.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명령어가 실행될 때,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제 1 유형의 신호 또는 제 2 유형의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와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 중 하나만 송신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제 1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이고,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 또는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인,
    네트워크 디바이스.
  65.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1 표시 정보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의 위치이며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위치이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송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위치 -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6.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특별히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7.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1 표시 정보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위치임 - 를 송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위치 -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에 위치함 - 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8. 제 66 항 또는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9. 제 66 항 또는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2 표시 정보 -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함 - 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0.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명령어가 실행될 때,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위치이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71.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단말 디바이스.
  72.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신호 - 상기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검출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다음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의 위치가 제 1 위치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73.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명령어가 실행될 때,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의 미리 결정된 위치이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4.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위치이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5. 제 73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신호는 제 1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이고,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위치가 상기 제 1 위치인 것으로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6.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명령어가 실행될 때,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77.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명령어가 실행될 때,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위치이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8.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명령어가 실행될 때,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위치임 - 와,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3 위치부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 -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상기 제 3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79.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인,
    단말 디바이스.
  80.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신호 -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검출하도록 특별히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다음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의 위치가 상기 제 1 위치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81.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명령어가 실행될 때, 제 2 유형의 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영역 리소스 길이에서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영역 리소스 길이에서 검출되지 않을 때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 -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82. 제 8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단말 디바이스.
  83.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명령어가 실행될 때,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2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 -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84. 제 8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와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 중 하나만 송신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85. 단말 디바이스로서,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명령어가 실행될 때,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계 -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86. 제 8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 MAC CE, 및 DCI 중 어느 하나로 반송되는,
    단말 디바이스.
  87.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명령어가 실행될 때,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2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표시 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 -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와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 중 하나만 송신함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88.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 MAC CE, 및 DCI 중 어느 하나로 반송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89.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명령어가 실행될 때,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2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제 2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이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와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 사이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90. 제 89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되는,
    단말 디바이스.
  91. 제 8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 3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3 표시 정보는 상기 매핑 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단말 디바이스.
  92. 제 89 항 내지 제 9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으로 반송되는,
    단말 디바이스.
  93. 제 89 항 내지 제 9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DCI, 시퀀스, 및 참조 신호 중 어느 하나인,
    단말 디바이스.
  94. 제 89 항 내지 제 9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과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95. 제 89 항 내지 제 9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또는 상기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는 하나 이상의 슬롯,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하나 이상의 밀리초, 및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 중 어느 하나인,
    단말 디바이스.
  96. 통신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명령어가 실행될 때,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3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유형의 신호와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 사이의 매핑 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제 2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97. 제 9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으로 반송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98. 제 96 항 또는 제 9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DCI, 시퀀스, 및 참조 신호 중 하나인,
    네트워크 디바이스.
  99. 제 96 항 내지 제 9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과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00. 제 96 항 내지 제 9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또는 상기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는 하나 이상의 슬롯,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하나 이상의 밀리초, 및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 중 어느 하나인,
    네트워크 디바이스.
  101. 단말 디바이스로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상기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유닛 -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을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102. 제 10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제 1 신호 - 상기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검출하도록 특별히 구성되며,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 - 상기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 또는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임 - 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103. 제 10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의 위치부터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특별히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104. 제 10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의 위치부터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특별히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105. 제 10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제 1 표시 정보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이고, 상기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106. 제 10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제 1 유형의 신호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 - 상기 제 1 위치는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의 위치이고, 상기 다음 모니터링될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임 - 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도록 특별히 구성되고,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3 위치 - 상기 제 3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부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107. 제 10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특별히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108. 제 10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제 1 표시 정보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임 - 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말 디바이스.
  109. 제 10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제 1 표시 정보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함 - 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위치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하는,
    단말 디바이스.
  110. 제 10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 -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임 - 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도록 특별히 구성되고,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3 위치 - 상기 제 3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부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111. 제 101 항 내지 제 1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전에,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영역 리소스 길이에서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때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단말 디바이스.
  112. 제 101 항 내지 제 1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전에, 상기 수신 유닛은 제 2 표시 정보 -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함 - 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제 2 표시 정보가 수신된 후에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113. 제 1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 MAC CE, 및 DCI 중 어느 하나로 반송되는,
    단말 디바이스.
  114. 제 101 항 내지 제 1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과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단말 디바이스.
  115. 제 101 항 내지 제 1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DCI, 시퀀스, 및 참조 신호 중 어느 하나이고, 또는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는 DCI인,
    단말 디바이스.
  116.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 -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제 1 유형의 신호 또는 제 2 유형의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 상기 송신 유닛은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와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 중 하나만 송신함 -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17. 제 1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제 1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이고,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 또는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인,
    네트워크 디바이스.
  118. 제 11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제 1 표시 정보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의 위치이며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위치이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송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위치 -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19. 제 11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특별히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20. 제 11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제 1 표시 정보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위치임 - 를 송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위치 -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에 위치함 - 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21. 제 116 항 내지 제 1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그리고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22. 제 116 항 내지 제 1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송신 유닛은 제 2 표시 정보 -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함 - 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23.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위치이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유닛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을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124. 제 1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단말 디바이스.
  125. 제 12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제 1 신호 -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검출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다음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의 위치가 상기 제 1 위치라고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126.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송신 유닛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의 미리 결정된 위치이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 2 송신 유닛 - 상기 제 2 위치는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함 -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27. 제 1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위치이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28. 제 126 항에 있어서,
    다운링크 신호는 제 1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이고,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다음 신호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에서의 위치가 제 1 위치라고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29. 제 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이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130. 제 1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 상기 제 1 표시 정보는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가 업링크 위치인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위치는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위치이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다음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31.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유닛 -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가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1 위치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위치임 - 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시간 도메인 리소스의 제 3 위치부터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고,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이고, 상기 제 3 위치는 상기 제 1 위치 이후에 위치하는,
    단말 디바이스.
  132. 제 1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위치인,
    단말 디바이스.
  133. 제 13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1 신호 - 상기 제 1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를 검출하도록 특별히 구성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다음 모니터링될 제 1 유형의 신호의 위치가 상기 제 1 위치라고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134.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제 2 유형의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상기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때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유닛 -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을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135. 제 13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단말 디바이스.
  136. 제 2 유형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송신 유닛 -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제 2 송신 유닛 -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37. 제 13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와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 중 하나만을 송신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38.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2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상기 제 2 표시 정보가 수신된 후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유닛 -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제 2 유형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지 않으며,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을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139. 제 1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 MAC CE, 및 DCI 중 어느 하나로 반송되는,
    단말 디바이스.
  140. 제 2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송신 유닛 -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상기 제 2 표시 정보가 송신된 후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제 2 송신 유닛 - 상기 제 2 송신 유닛은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와 상기 제 2 유형의 신호 중 하나만 송신함 -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41. 제 1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 MAC CE, 및 DCI 중 어느 하나로 반송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42. 다운링크 신호 내의 제 2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유닛 - 상기 제 2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이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와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 사이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신호에 의해 표시된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143. 제 142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되는,
    단말 디바이스.
  144. 제 14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제 3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상기 제 3 표시 정보는 매핑 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됨 - 을 더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145. 제 142 항 내지 제 1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으로 반송되는,
    단말 디바이스.
  146. 제 142 항 내지 제 1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시퀀스, 및 참조 신호 중 어느 하나인,
    단말 디바이스.
  147. 제 142 항 내지 제 1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과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
  148. 제 142 항 내지 제 1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또는 상기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는 하나 이상의 슬롯,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하나 이상의 밀리초, 및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 중 어느 하나인,
    단말 디바이스.
  149. 제 3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 1 송신 유닛 - 상기 제 3 표시 정보는 제 1 유형의 신호와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 사이의 매핑 관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전력 소비 감소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신호임 - 과, 상기 제 2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 2 송신 유닛 - 상기 제 2 신호는 제 1 유형의 신호임 -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50. 제 14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신호는 DCI, 시퀀스, 및 참조 신호 중 어느 하나인,
    네트워크 디바이스.
  151. 제 149 항 또는 제 15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소비 감소 정보의 의미는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에서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과 데이터 스케줄링이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52. 제 149 항 내지 제 15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 또는 상기 제 2 시간 도메인 리소스 길이는 하나 이상의 슬롯,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하나 이상의 밀리초, 및 하나 이상의 DRX 사이클 중 어느 하나인,
    네트워크 디바이스.
KR1020217002896A 2018-08-10 2019-08-09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2100241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911876.X 2018-08-10
CN201810911876 2018-08-10
CN201810939005.9 2018-08-17
CN201810939005.9A CN109257823B (zh) 2018-08-10 2018-08-17 监测信号的方法和装置
PCT/CN2019/099954 WO2020030098A1 (zh) 2018-08-10 2019-08-09 监测信号的方法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154A true KR20210024154A (ko) 2021-03-04

Family

ID=65049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896A KR20210024154A (ko) 2018-08-10 2019-08-09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910317B2 (ko)
EP (2) EP3809778B1 (ko)
JP (1) JP7241857B2 (ko)
KR (1) KR20210024154A (ko)
CN (4) CN113473582B (ko)
WO (1) WO20200300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3582B (zh) * 2018-08-10 2023-04-07 华为技术有限公司 监测信号的方法和装置
US11864111B2 (en) * 2018-12-05 2024-01-0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Downlink channel monitoring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1757438B (zh) * 2019-03-29 2023-10-27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节能指示方法、网络侧设备及用户设备
CN111865536B (zh) * 2019-04-30 2021-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搜索空间的监测、配置方法及装置
CN110392994B (zh) * 2019-06-10 2022-04-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Harq反馈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EP3993534A4 (en) * 2019-06-27 2023-03-2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US20220279490A1 (en) * 2019-08-02 2022-09-01 Datang Mobile Communications Equipment Co., Ltd. Method, apparatus, and device of processing terminal capability
CN112584468B (zh) * 2019-09-27 2022-07-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传输方法和装置
CN112584469A (zh) * 2019-09-29 2021-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监测信号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7745B2 (en) * 2007-12-13 2014-04-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blind decoding
WO2012149319A1 (en) * 2011-04-29 2012-11-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Receiving messages in connection with lte wakeup
US10154483B2 (en) * 2012-09-12 2018-12-11 Qualcomm Incorporated Coverage enhancement techniques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CN103686955B (zh) 2012-09-24 2018-10-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电能优化方法及系统
CN107295687B (zh) * 2016-04-11 2020-08-04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下行控制信息dci调度控制方法及装置
CN108307495B (zh) * 2016-08-11 2020-12-04 华为技术有限公司 低功耗模式下的ue的跟踪处理方法和设备
CN107889268A (zh) * 2016-09-30 2018-04-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下行调度资源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0432378B2 (en) * 2016-09-30 2019-10-01 Qualcomm Incorporated Use of reference signals to improve user equipment (UE) warm-up before transitioning from an OFF duration of the UE to an on duration of the UE with respect to a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WO2018169649A1 (en) 2017-03-17 2018-09-2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control channel monitoring using a wakeup signal
EP3639573B1 (en) * 2017-08-11 2022-10-26 Sony Group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ommunication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infrastructure
CN115314978B (zh) 2018-08-09 2023-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信息的传输方法及设备
CN113473582B (zh) * 2018-08-10 2023-04-07 华为技术有限公司 监测信号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73582A (zh) 2021-10-01
EP3809778A1 (en) 2021-04-21
EP3809778A4 (en) 2021-09-15
US20230397113A1 (en) 2023-12-07
JP2021534645A (ja) 2021-12-09
JP7241857B2 (ja) 2023-03-17
WO2020030098A1 (zh) 2020-02-13
US11910317B2 (en) 2024-02-20
CN109257823A (zh) 2019-01-22
CN114928875B (zh) 2023-04-04
CN113473582B (zh) 2023-04-07
EP3809778B1 (en) 2024-02-14
EP4358602A2 (en) 2024-04-24
US20210314864A1 (en) 2021-10-07
CN109257823B (zh) 2021-06-15
CN113473581A (zh) 2021-10-01
CN114928875A (zh) 2022-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4154A (ko)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582378B1 (ko) 자원 구성 방법, 자원 획득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CN111294902B (zh) 唤醒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US20220232478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EP4102756A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20220060986A1 (en) Terminal device wakeup method and apparatus,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EP3963953A1 (en) Determining pdcch monitoring during on-duration when in power saving mode
US11665685B2 (en) Method for data processing, user equipment, and network-side device
EP3996427B1 (en) Wake-up signal (wus)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EP3621399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random access response message,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random access response message
CN114073132A (zh) 唤醒信号监测指示
EP4102896A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EP4369819A1 (en) Method for acquiring initial bandwidth part configuration,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EP42710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monitoring, and medium
CN114885406B (zh) 一种节电信号配置和传输方法及装置
CN112312524B (zh) 一种节电信号配置和传输方法及装置
WO2024017322A1 (zh) 传输处理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CN114846855B (zh) 通信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EP4319292A1 (en)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20230040865A1 (en) Network assistance to resolve wake-up signal conflicts
KR20240071409A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