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608A -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608A
KR20210023608A KR1020190104048A KR20190104048A KR20210023608A KR 20210023608 A KR20210023608 A KR 20210023608A KR 1020190104048 A KR1020190104048 A KR 1020190104048A KR 20190104048 A KR20190104048 A KR 20190104048A KR 20210023608 A KR20210023608 A KR 20210023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application
server
present disclosure
applic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성
김성훈
이지철
한윤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4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3608A/ko
Priority to EP20859527.2A priority patent/EP4000241B1/en
Priority to JP2022512841A priority patent/JP2022545707A/ja
Priority to PCT/KR2020/011189 priority patent/WO2021040334A1/en
Priority to CN202080058939.7A priority patent/CN114270966A/zh
Priority to US17/001,104 priority patent/US11196840B2/en
Publication of KR20210023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608A/ko
Priority to US17/542,922 priority patent/US1157577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 H04L67/32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06F9/485Task life-cycle, e.g. stopping, restarting, resuming execution
    • G06F9/4856Task life-cycle, e.g. stopping, restarting, resuming execution resumption being on a different machine, e.g. task migration, virtual machine migration
    • G06F9/4862Task life-cycle, e.g. stopping, restarting, resuming execution resumption being on a different machine, e.g. task migration, virtual machine migration the task being a mobile agent, i.e. specifically designed to mig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2Alternate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31Controlling of the operation of servers by a load balancer, e.g. adding or removing servers that serve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38Load balancing arrangements to avoid a single path through a load balan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04W36/125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involving different types of service backb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04W36/32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by location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 장치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필요성 감지 및 수행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수행 시간 및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동작을 위해 사용자 장치에서 활용하는 정보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 단말 위치, 에지 컴퓨팅 서비스 품질,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중인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 의 이용 가능성(availabilit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HTOD FOR PROVIDING A DATA IN EDGE COMPUTING SYSTEM}
본 개시는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로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단말이 저지연 또는 광대역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자신의 위치와 가까운 위치에 있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Edge Data Network)로 데이터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단말은 해당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Edge Enabler Server)에서 운용되고 있는 에지 호스팅 환경(Edge Hosting Environment) 또는 에지 컴퓨팅 플랫폼(Edge Computing Platform)에서 구동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에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 접속하고자 하는 단말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인 경우일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은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Edge Data Network)에 접속할 수 있으며, 해당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Edge Enabler Server)에서 운용되고 있는 특정한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은 특별한 제약 없이 이동이 가능해야 하며, 서비스는 연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이동통신 단말은 제1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영역에서 제2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로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는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동통신 단말의 이동에 기인하여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가 변경되는 경우 서비스를 연속적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본 개시에서는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서비스 지속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서는 특히 이동통신 단말이 특정한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다른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이동하는 경우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로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할 시 네트워크의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이 특정한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다른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이동하더라도 끊김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엣지 컴퓨팅 시스템의 사용자 장치에서 제1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2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데이터 수신이 필요한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제2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포함된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컨텍스트 전송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엣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제1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로서, 상기 에지 컴퓨팅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1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계층;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2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데이터 수신이 필요한가를 식별하며, 상기 제2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포함된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전송하고, 및 상기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컨텍스트 전송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 및 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의 필요성을 인지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빠르게 서비스를 이양할 수 있으므로,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면, 3GPP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의 개입을 최소화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 후, 단말 예를 들어 단말의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Edge Enabler Client)는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Application Client)에서 발생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트래픽(Application data traffic)을 새로운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Edge Application Server)로 라우팅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 및 장치를 적용하면, 제 3자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Edge Application Server)가 직접 3GPP 시스템의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과 교섭하여 사용자 평면 패스 관리 이벤트 통지(user plane(UP) path management event notification) 서비스를 받기 위한 서비스 레빌 어그리먼트(Service Level Agreement)를 맺을 필요없이 어플리케이션 컨텐스트 재배치(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를 지원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에 따르면,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자(Edge Computing Service Provider) 또한 제 3자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Edge Application Server)의 부가적인 노력 없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3자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비지니스 수익을 거둘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3GPP 네트워크와 에지 컴퓨팅 시스템 네트워크의 연결 및 단말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치 내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와 통신 계층의 상호작용 및 3GPP 네트워크를 통해 에지 컴퓨팅 시스템과의 상호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에서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어플케이션 재배치 수행을 지시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 통지(Complete Notification)를 사용자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추가 신호 흐름도이다.
도 4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에서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수행하는 경우의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 첨부된 본 발명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된 형태 또는 배치 등에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다.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에 따라 정해져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객체(network entity) 및 에지 컴퓨팅(Edge Computing) 시스템의 객체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5G 시스템 규격에서 정의하는 용어와 명칭들을 사용하지만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에서는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Edge Application Server) 간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수행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단말 특히 이동통신 단말에게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Edge Application Server)의 변동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이 특정한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다른 데이터 네트워크로 이동하거나 또는 무선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이 특정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다른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해야 하는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원래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던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Source Edge Application Server)로부터 새롭게 서비스를 제공받아야 할 대상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Target Edge Application Server)에게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Application Context)를 전달하는 방법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또한 이처럼,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Edge Application Server)가 변경되는 경우 이러한 변동 필요성을 감지하는 방법과, 새로운 대상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Target Edge Application Server)를 선택하는 방법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하에서는 대상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선택에 기반하여 원래 서비스를 제공하던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대상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가 이루어지는 절차에 대하여도 설명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는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preserving service continuity)하기 위한 아래 내용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1) 서빙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트래픽을 다시 라우팅해야 하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How to detect the need to reroute traffic from the serving Edge Application Server instance to the target Edge Application Server?)
(2)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와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의 연결에 필요한 스위치를 활성화하는 방법(How to enable the required switch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Application Client and the Edge Application Server while preserving service continuity?)
(3)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내에서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에 필요한 컨텍스트 전송 방법(How to transfer any required context between Edge Application Servers within the Edge Data Network?)
(4) 위치에 무관하게 서빙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또는 서버)로 필요한 컨텍스트를 전송하는 방법: 동일한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다른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클라우드에서 전송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How to transfer any required context from the serving Edge Application Server to the target Edge Application Server (or Server) regardless of their location: In the same Edge Data Network, in a different Edge Data Network or in the Cloud?)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3GPP 네트워크와 에지 컴퓨팅 시스템 네트워크의 연결 및 단말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네트워크 사업자(Mobile Network Operator)의 서비스 영역(1)을 예시하였다. 이동 네트워크 사업자의 서비스 영역(1)에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전자 장치로 제공하기 위해 구분된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들은 전자 장치로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영역들(10, 20)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제1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10)에 제1기지국(111), 제2기지국(112), 제3기지국(113), 제4기지국(114)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였고, 제2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20)에는 제5기지국(211), 제6기지국(212)를 예시하였다.
도 1의 예시에서, 제1기지국(111) 내지 제4기지국(1114)을 포함하는 제1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10)에는 서로 다른 2개의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들(121, 122)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함께 예시하였다. 또한 제2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2)에는 하나의 사용자 평면 기능(221)만 갖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UPF를 가질 수 있다.
제1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10)은 하나의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Edge Enabler Server)(100)에 의해 설정된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제2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20)은 다른 하나의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에 의해 설정된 영역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들(10, 20)은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 200)에 의해 관리될 수 있는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들(100, 200)은 각각 서로 같거나 다른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들(101, 102, 201)과 연결되거나 또는 포함할 수 있다.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 201)과 제2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2)는 각각 서로 다른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10)에 위치한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과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20)에 위치한 제1어플리케이션 서버(201)는 서로 다른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 200)를 통해 전자 장치(50)로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10)에 위치한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는 제1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위치한 기지국들(111, 112, 113, 114)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에 접속된 전자 장치(50)로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2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2)는 제1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위치한 기지국들(111, 112, 113, 114)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에 접속된 전자 장치(50)로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50)는 본 개시에 따른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50)는 스마트 폰, 테블릿 컴퓨터, 스마트 워치, 게임기,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비행기, 선박 등과 같이 이동 가능한 다양한 전자 장치 및/또는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50)는 본 개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에지 컴퓨팅 서비스 어플리케이션(53)을 탑재할 수 있고, 본 개시에 따라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51) 예를 들어 통신 계층(communica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에지 컴퓨팅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다는 것은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전자 장치(50)의 메모리(도면에 미도시) 설치(또는 저장)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에지 컴퓨팅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다는 것은 전자 장치(5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로딩되어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전자 장치(50)의 메모리(도면에 미도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대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로딩되어 에지 컴퓨팅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필요로 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동 단말(51)은 특정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3GPP 통신 네트워크와 설정된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계층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및/또는 모뎀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로직과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50)는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로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 장치(50)의 내의 각 계층 또는 구성 요소들은 상호간 정보/데이터 등을 주고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기지국들(111, 112, 113, 1113, 114, 211, 212)은 사용자 장치와 설정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가진다. 예를 들어 설정된 무선 통신 방식이 3GPP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들(111, 112, 113, 1113, 114, 211, 212)은 3GPP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들이 될 수 있다.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들(121, 122, 221)은 사용자 장치가 송수신하는 패킷을 전달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UPF들(121, 122, 221)은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Edge Enabler Server)(100, 200)와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할 수 있다. , UPF들(121, 122, 221)와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 200) 간의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또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인터넷(Internet)을 거치지 않고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바로 전달하여 전송을 줄일 수 수 있다. 즉, 저지연 전송이 가능하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UPF들(121, 122, 221)은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들(100, 200)과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네트워크로도 연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컴퓨팅 시스템은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Edge Enabler Server)(100, 200),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Edge Data Network Configuration Server)(30) 및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Edge Enabler Client, EEC)(52)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들(100, 200)은 에지 호스팅 환경(Edge Hosting Environment) 또는 에지 컴퓨팅 플랫폼(Edge Computing Platform)를 구축할 수 있다. 에지 호스팅 환경(Edge Hosting Environment) 또는 에지 컴퓨팅 플랫폼(Edge Computing Platform)을 구축한다는 것은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와 적어도 하나의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의 컴퓨팅 플랫폼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구동되고 있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들(100, 200)은 에지 호스팅 환경 내에서 구동되고 있는 또는 에지 컴퓨팅 플랫폼 상에서 구동되고 있는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는 사용자 장치(50) 교섭하여 사용자 장치(50) 내에서 구동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52)와 에지 호스팅 환경 내의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을 연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컴퓨팅 시스템을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50)는 앞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를 내장 또는 탑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와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의 교섭은 사용자 장치(50) 내의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Edge Enabler Client)(52)와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 200) 간의 상호 연동을 통해서 진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교섭과 같은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와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 200) 상호 연동이 수행되는 계층(layer)을 에지 인에이블링 계층(Edge Enabling Layer라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Edge Data Network Configuration Server)(30)는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들(100, 200)의 배치(deployment) 정보를 알고 있으며,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사용자 장치(50)에게 전달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설정 정보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Edge Data Network connection) 정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Edge Data Network Service Area),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 연결(Edge Enabler Server connection)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 정보는 예를 들어, 데이터 네트워크 이름(Data Network Name), 단일-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지원 정보(Single-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S-NSSAI)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은, 예를 들어, 셀 리스트(Cell list), 트래킹 영역 리스트(List of Tracking Area), 사업자의 네트워크 식별자(PLMN ID) 중 적어도 하나가 되거나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 연결 정보는 예를 들어, 통합 자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가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30)로부터 특정 위치 예를 들어, 특정한 기지국 또는 특정한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특정한 물리적 위치 등의 정보에 기반하여 접속 가능한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 정보를 받아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30)가 특정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의 에지 호스팅 환경에서 구동 중인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면, 사용자 장치(50)도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를 통해서 해당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들(101, 102, 201)은 에지 컴퓨팅 시스템 내에서 구동되는 제3자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들(101, 102, 201)은 에지 호스팅 환경이 제공하는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위에서 구동되는 제3자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50)와 가까운 위치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초 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사용자 장치(50)로 제공하는 서비스의 상위 계층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Application Context)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시간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사용 시, 현재 게임 내 사용자가 보고 있는 화면 및 플레이 단계를 재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들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장치(50)가 다른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연결되어 기존 서비스를 끊김없이 이용하기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가 새로 연결될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재배치(Relocation)가 되어야 한다.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장치(50)의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Application Client)(53)에서 구동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는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이용 가능한 상태여야 한다.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내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이용가능 여부(Availability)는 에지 호스팅 환경 내 구동 여부 및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상태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 내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Application Client)(53),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53)와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연동해주는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는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51)이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의 어플리케이션은 제3자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특정 응용서비스를 위하여 사용자 장치(50) 내에서 구동되는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사용자 장치(50) 내에는 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은 다중 액세스 에지 컴퓨팅(Multi-access Edge Computing, MEC)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 내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사용자 장치(50) 내 동작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어떤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식별하고,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사용자 장치(50)의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의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연결해주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이동 단말(51)을 통해 기지국과 무선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무선 채널 설정은 이동 단말(51)의 통신 계층 예를 들어, 3GPP 통신 계층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51)의 통신 계층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연결을 수립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에 사용자 장치(50)를 등록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을 수립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서는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서비스 지속성을 위한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의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50)가 제1에지 데이터 네트워크(10)에 접속하여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로부터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있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 장치(50)가 제2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20)으로 이동하게 되면, 에이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변동이 필요하다. 이런 경우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타겟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전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변동 필요성을 감지하는 방법도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선택하는 방법과 이를 기반으로 소스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3GPP 시스템의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의 개입이 필요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가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이탈하는 경우 사용자 평면(User Plane, UP) 경로의 변화가 필요함을 SMF에서 감지하고 UP path management event notification을 해당하는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관련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경우, 사용자 장치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3GPP 시스템의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이하 "SMF"라 함)에 UP path management event notification 서비스에 대한 사전에 subscription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사용자 장치 내에서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이탈을 미리 감지할 수 있다. 하지만, 3GPP 네트워크의 SMF가 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관련 절차를 시작하는 방식은 SMF에서 이를 인지해야만 한다. 또한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SMF에서 통보 받기 전에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수행을 시작할 수 없어 지연시간이 발생할 수 있. 또한, 새로운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을 위해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추가 할 때마다 subscription을 해야하는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네트워크 운용 사업자 및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자(Edge Computing Service Provider)가 아닌 제3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자가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설치하고 구동하는 경우 서비스 레벨의 협약이 오버헤드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에서는 상기한 오버헤드 없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 장치 내에서 어플리케이션 재배치 필요성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 내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이탈 감지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가 새로 연결될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결정하고, 해당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 및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연결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치 내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와 통신 계층의 상호작용 및 3GPP 네트워크를 통해 에지 컴퓨팅 시스템과의 상호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수행 필요성을 판단하는 방법과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어플리케이션 서버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50)은 앞서 설명한 도 1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에지 데이터 네트워크(110)는 제1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와 제1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의 에지 컴퓨팅 플랫폼 상에서 구동되는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 제2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2), 제3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제1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3개의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구동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제1에지 데이터 네트워크(110)는 보다 많은 또는 단 하나만의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에지 데이터 네트워크(210)는 제2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와 제2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의 에지 컴퓨팅 플랫폼 상에서 구동되는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 및 제3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제2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2개의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구동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제2에지 데이터 네트워크(110)는 보다 많은 또는 단 하나만의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또한 제1에지 데이터 네트워크(110)의 에지 컴퓨팅 플랫폼 상에서 구동되는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와 제2에지 데이터 네트워크(210)의 에지 컴퓨팅 플랫폼 상에서 구동되는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에지 데이터 네트워크(110)의 에지 컴퓨팅 플랫폼 상에서 구동되는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가 제1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인 경우 제2에지 데이터 네트워크(210)의 에지 컴퓨팅 플랫폼 상에서 구동되는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 또한 제1서바스를 제공하기 위한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일 수 있다. 동일하게 제1에지 데이터 네트워크(110)의 에지 컴퓨팅 플랫폼 상에서 구동되는 제3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3)가 제3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인 경우 제2에지 데이터 네트워크(210)의 에지 컴퓨팅 플랫폼 상에서 구동되는 제3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3) 또한 제3서바스를 제공하기 위한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일 수 있다.
도 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3GPP 네트워크는 복수의 기지국들(5G-(R)AN)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 사용자 단말(50)과 채널을 설정할 수 있으며, UPF를 통해 사용자 평면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UPF를 통해 사용자 평면의 데이터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와 사용자 단말 간의 데이터 경로가 설정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도 사용자 장치(50)가 3GPP 네트워크(40)를 통해 제1에지 데이터 네트워크(110)에 연결된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제2에지 데이터 네트워크(210)는 제1에지 데이터 네트워크(110)과 대비할 때, 제2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처럼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들은 각각 동일한 기능의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에는 존재하지만 다른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에는 존재하지 않는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있을 수 있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들(100, 200)은 각각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30)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30)는 3GPP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장치(50)과 직접 연결(도 1 및 도 2에 미도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장치(50)의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내 이동 단말(51) 예를 들어3GPP 통신 계층의 UE 위치(Location) 정보 활용하여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을 이탈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다.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이러한 감지의 결과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의 필요성을 판단(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와 이동 단말(51)은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 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30) 에 저장되어 있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또는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들의 서비스 지역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내에 있는지 또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을 이탈하였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트리거(Trigger)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이탈 발생 전, 가능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어플리케이션 컨택스트의 재비채를 트리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이동 단말(51)의 사용자 장치 위치(UE location) 정보 활용만으로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 장치(50) 내 활용 가능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내에 있는지 또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을 이탈하였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서비스 지역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과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장치(50)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으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의 필요성을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서비스 지역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지역의 일부 지역에 한정된 경우,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서비스 지역 정보를 UE Location과 비교하여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의 재배치에 대한 필요성을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서비스 지역에 대한 정보는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 및/또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서비스 지역 정보는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가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30)로부터 초기 설정 정보로서 받아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서비스 지역 정보는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가필요한 경우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30)로부터 및/또는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에 요청을 통해서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의 이동 단말(51)로부터 또는 어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의 서비스 품질 정보 활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의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이동 단말(51)로부터 또는 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으로부터 서비스 품질 열화 발생을 감지하고 더 나은 서비스품질을 제공하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연결 및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의 필요성을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 내의 이동 단말(51)은 3GPP 네트워크와의 상호 연동을 통해서 현재 연결된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품질을 알 수 있다. 또한, 다른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연결 시 예상되는 서비스 품질도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 내의 이동 단말(51)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기능(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 등을 활용하여 예상 서비스 품질을 알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측정 가능한 에지 컴퓨팅 서비스 품질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레벨의 처리량(Application level throughput; Goodput)을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로 제공하여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에서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에서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가능성(Availability) 정보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의 필요성을 식별하고, 대상 서버를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에서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이용불가 상태가 되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가 전달될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에서 사용자 장치(50)의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는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에지 호스팅 환경에서 구동되고 있거나 구동될 수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위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가능성(Availability) 정보는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 또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3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도 2의 제2에지 데이터 네트워크(210)의 제2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는 제2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구동되고 있지 않은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장치(50)는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바로 수행할 수 없다. 제2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에서 제2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구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먼저 확인한 후 제2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가능성(Availability) 정보를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 또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치(50)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의 필요성을 감지하고 이를 수행하는 전체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수행 명령을 내리는 주체는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 또는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으로 서로 다른 2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에서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어플케이션 재배치 수행을 지시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50)의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300동작에서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의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트리거 주체는 아래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트리거하는 주체를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로 제한하지는 않는다.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과 UE location 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며, 에지 인에이블러 계층을 통해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와 연동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50) 내 모든 개체가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트리거할 수 있다. 가령,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53) 또는 이동 단말(51)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트기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 내의 에지 인에이블러클라이언트(52)에서 어플리케이션 재배치 필요성을 결정하는 방식은 아래와 같이 식별할 수 있다.
방법 (1):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와 UE Location 정보를 비교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을 이탈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트리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의 이탈이 발생하기 전, 이동 가능성을 미리 감지할 수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트리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장치가 제공받고 있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의 품질 (Quality of Service) 열화를 감지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의 필요성을 판단하고 트리거를 할 수 있다. 이처럼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트기러하는 것은 다른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현재 제공받고 있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서비스 받기 위함이다.
또 다른 예로, 단말(51)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구동 정지를 인지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트리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치(50)의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302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할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의 결정 주체는 단말(51)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51)이 에지 컴퓨팅 서비스 이용을 위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정보 (Configuration Data)에 포함되어 있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 예를 들어, 셀 리스트(Cell list), 트래킹 영역 리스트(List of Tracking Area), 사업자의 네트워크 식별자(PLMN I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정보는 사용자 장치(50)이 에지 컴퓨팅 서비스 이용을 위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에 최초 접속 시 받아온 초기 설정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는 도 3a의 302동작과 같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30)에 요청해서 설정 정보를 받아와서 활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 내 특정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의 에지 호스팅 환경에서 구동 중인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장치(50)는 내에서 이 단계를 통해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정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동작의 주체가 사용자 장치(50)의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50) 내 모든 객체가 상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의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전송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결정한 대상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게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에는 아래와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1) Application 정보 (예: Application ID): 사용자 장치(50)가 사용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서비스해줄 수 있는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 결정을 위한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외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결정에 사용될 수 있는 정보들이 해당 요청에 포함될 수 있다.
(2) 사용자 장치(50)가 기존에 연결되어 있었던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 (S-EAS) 정보 (예: FQDN 혹은 IP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3) UE 정보 (예: UE ID 혹은 UE IP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UE 정보는 에지 컴퓨팅 시스템 혹은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 내에서 UE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에지 컴퓨팅 시스템 내에서 별도로 정의하거나 할당한 식별자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UE 위치 정보를 같이 제공할 수 있다.
(4)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의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에 대한 등록 컨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등록에 활용될 수 있는 모든 정보가 등록 컨텍스트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는306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결정하고,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로 전달할 수 있다.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는 아래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대상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 (T-EAS)를 결정할 수 있다.
(1) Application ID
(2) 사용자 장치(50)의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할 수 있는 에지 어플리케이션의 에지 호스팅 환경 내 구동 여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가 사용자 장치(5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받았을 때, 해당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구동하지 않고 있었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가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구동하지 않고 있다는 것은 에지 컴퓨팅 플랫폼 내에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존재하지만, 구동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 지속성을 위해 관련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에지 호스팅 환경에서 구동하고 구동된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가 사용자 장치(50)로부터 요청 받은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구동하지 않은 상태이고, 향후 구동이 불가한 경우가 존재할 수 잇다. 이런 경우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가 불가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결정에 기반하여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는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아래의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 전송힐 수 있다.
(1) UE 정보
(2)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 정보, 예를 들어 기존 사용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던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는 308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그 응답을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는 컴퓨팅 리소스 및 향후 구동 지속 여부 등을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승인 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전송 받는데 필요한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정보 (예: FQDN 혹은 IP address) 및 승인 여부를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는 310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수행을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 및/또는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로 문의할 수 있다.
예컨대,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는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에게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수행과 관련된 질의(Query)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에게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프리즈(freeze)하고 재배치를 수행할 수 있는 준비단계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에 해당하는 UE를 특정하기 위한 UE 정보를 본 절차를 통해서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Application ID)를 제공함으로써 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 절차의 메시지는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에서 바로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로 전달될 수도 있고,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를 거쳐서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로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는 312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수행 문의에 대한 응답을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에에 따르면,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는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에게 재배치할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확인하고 전송을 위한 준비단계(예: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Freeze하고 사용자 장치(50)의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와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이 stateless한 특성으로 인해 재배치를 수행할 컨텍스트가 없는 경우,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는 이를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에게 전송하는 응답에 명시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수행 문의 및 응답을 수행하는 310동작 및 312동작의 주체 및 순서를 본 실시 예의 상황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가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결정 후, 직접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Query를 보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가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결정하기 전 Query를 보내서, Query에 대한 응답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결정에 반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310동작과 312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아래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명령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에지 이에이블러 서버(200)는 314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명령을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 및/또는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 정보를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로 전달하면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수행을 지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310동작을 통해서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로 UE 정보 혹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면, 314동작에서 두 정보를 명령(Command) 메시지에 포함시키고 전달하여 재배치 대상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명령은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를 거쳐서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게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는 316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응답을 사용자 장치(50)의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로 전송할 수 있다.서버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에게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수행 여부 및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 후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트래픽 라우팅에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는 318동작에서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는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에게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전송은 소스/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들(100, 200)을 거쳐 전송될 수도 있고, 바로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로 전송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전송은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가 수행하는 것에만 한정하지 않는다.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가 사용자 장치(50)에도 저장되어 있는 경우,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가 사용자 장치(50)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와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 간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전송이 불가한 경우,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가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 예의 경우,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가 사전에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 및 소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및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에 대한 등록 컨텍스트를 저장하거나 요청해서 받아오는 절차가 선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전송 성공에 대한 Acknowledgement를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에서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전송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컨텍스트 혹은 자원을 해제(Release)하기 위한 동작을 트리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는 320a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 통지(Complete Notification) 메시지를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는 320a동작에서 사용자 장치(50)에게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 사실을 전하고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트래픽을 리라우팅 (Rerouting)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와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 사이의 직접적인 기준 인터페이스(reference interface)가 없는 경우 해당 통지(Notification)의 전송은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를 거쳐서 전송될 수도 있다(동작 320a 및 320b).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에서 바로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로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320a 320b의 동작은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를 거쳐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를 통해서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로 전달될 수도 있다. 본 경우, 동작 316b의 동작은 322 동작 바로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의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322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트래픽의 리라우팅(Application Data Traffic Rerouting)을 수행할 수 있다.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에서 발생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트래픽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가 완료된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로의 라우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트래픽의 리라우팅은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가 아닌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가 직접 3GPP 시스템의 소정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을 이용해서 수행할 수 있다(예: AF influence on traffic routing). 이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 통지(Complete Notifica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320동작은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 통지(Complete Notification)를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가 AF influence on traffic routing 과 같은 방법으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트래픽 라우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에서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수행하는 경우의 신호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의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400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의 필요성을 결정(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 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트리거 주체를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에 한정하지 않는다.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과 UE location 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며, 에지 인에이블링 계층(Edge Enabling layer)을 통해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와 연동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50) 내 모든 개체가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트리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 내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필요성 결정 방식의 예를 설명하면 는 아래와 같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와 UE Location 정보를 비교하여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트리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이탈 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트리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이탈 발생 전, 가능성을 감지 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트리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에서 제공받고 있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의 품질(Quality of Service) 열화를 감지할 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트리거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트리거는 다른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함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가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구동 정지를 인지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트리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의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402동작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대상의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를 결정할 수 있다.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 이용을 위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정보 (Configuration Data)에 포함되어 있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 예를 들어, 셀 리스트(Cell list), 트래킹 영역 리스트(List of Tracking Area), 사업자의 네트워크 식별자PLMN ID 등을 이용하여 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에에 따르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정보는 사용자 장치(50)가 에지 컴퓨팅 서비스 이용을 위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30)에 최초 접속 시 받아온 초기 설정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30)에 요청해서 설정 정보를 받아와서 활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30) 내 특정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의 에지 호스팅 환경에서 구동 중인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장치(50) 내에서 이 단계를 통해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정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에에 따르면, 402동작의 주체는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50) 내의 모든 객체가 상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의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결정한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에게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해당 요청에는 아래와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1) Application 정보 (예: Application I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pplication 정보는 사용자 장치(50)가 사용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해줄 수 있는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 결정을 위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Application 정보 외에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 결정에 사용될 수 있는 정보들이 해당 요청에 포함될 수 있다.
(2) 단말이 기존에 연결되어 있었던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S-EAS) 정보(예: FQDN 혹은 IP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3) UE 정보 (예: UE ID 혹은 UE IP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컴퓨팅 시스템 혹은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 내에서 UE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 컴퓨팅 시스템 내에서 별도로 정의하거나 할당한 식별자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UE 위치정보를 같이 제공할 수 있다.
(4)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T-EES) 정보(예: URI와 같은 endpoint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에서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를 특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모든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에서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의 Endpoint Address를 제공해줄 수 없는 경우, 타겟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를 특정할 수 정보(예: Target Edge Data Network 식별자 및 UE 위치 정보 등)를 대신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에서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를 특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는 406동작에서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로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수행을 문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는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에게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수행과 관련된 질의(Query)를 보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질의(Query) 메시지는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에게 해당 UE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freeze하고 재배치를 수행할 수 있는 준비 단계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인이에블러 서버(100)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가 필요한 해당 UE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특정하기 위해 UE 정보를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인이에블러 서버(100)는 Application ID를 제공함으로써 406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에에 따르면,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는 408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수행 문의에 대한 응답을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에게 받고 재배치할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확인하고 전송을 위한 준비단계(예: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Freeze하고 사용자 장치(50)의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와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이 stateless한 특성으로 인해 재배치를 수행할 컨텍스트가 없는 경우, 이를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에게 전송되는 응답에 명시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수행 문의 및 응답을 수행하는 406동작 및 408동작의 주체 및 순서를 본 실시 예의 상황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가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결정 후, 직접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에게 질의(Query)를 보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가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결정하기 전 질의를 보내서, 질의에 대한 응답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결정에 반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406동작 및 408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아래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명령(Command)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410동작에서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410동작의 요청에는 아래와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1) Application 정보(예: Application ID)가 포함될 수 있다.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이 사용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해줄 수 있는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2) 사용자 장치(50)가 기존에 연결되어 있었던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S-EAS) 정보(예: FQDN 혹은 IP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3) UE 정보(예: UE ID 혹은 UE IP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4)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의 기존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에 대한 등록 컨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에 대한 등록에 활용될 수 있는 모든 정보가 등록 컨텍스트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는 412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할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결정하고,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해당하는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는 아래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재배치할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T-EAS)를 결정할 수 있다.
(1) Application ID를 포함할 수 있다.
(2) 사용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할 수 있는 에지 어플리케이션의 에지 호스팅 환경 내 구동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결정한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게 아래의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 전송할 수 있다.
(1) U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2)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 정보(기존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던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그 응답을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는 컴퓨팅 리소스 및 향후 구동 지속 여부 등을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승인 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전송 받는데 필요한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정보(예: FQDN 혹은 IP address) 및 승인 여부를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는 416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응답(Response)을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에게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수행 여부 및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는 418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명령(Command)을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 정보를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에게 전달하면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수행을 지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앞선 406동작의 절차를 통해서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에 UE 정보 또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면, 418동작에서 두 정보를 명령(Command)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달함으로써 재배치 대상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는 420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응답(Response)을 사용자 장치(50)의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는 422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전송은 /소스/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들을 거쳐갈 수도 있고, 바로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전송은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가 수행하는 것에만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가 사용자 장치(5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가 사용자 장치(50)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에게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다르면,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와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 간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전송이 불가한 경우,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들(100, 200)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가 사전에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 및 소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및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1)에 대한 등록 컨텍스트를 저장하거나 요청해서 받아오는 절차를 선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전송 성공에 대한 Acknowledgement를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에서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전송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컨텍스트 혹은 자원을 해제(Release)하기 위한 동작을 트리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 통지(Complete Notification)를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 및/또는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 통지(Complete Notification)를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 및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에게 전달할 수 있다(101 -> 100 -> 200). 이 경우를 도 3b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 통지(Complete Notification)를 사용자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추가 신호 흐름도이다.
도 3b를 참조하기에 앞서 도 3a와 도 3b는 도 3b에 예시된 점선 박스 부분인 340동작 내지 344동작에서 차이를 가진다. 도 3b를 참조하면, 9번 절차(도 3a의 동작 316)가 도 3a의 318 동작 직후에 어플리케이션 컨택스트 재배치 완료 통지와 합쳐져서 수행될 수 있다. 도 3b에서는 이러한 동작을 340동작과 342동작으로 구분하여 예시하였다. 이런 경우, 340동작(도 3a의 316 동작)에서 전달되는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어플리케이션 컨택스트 재배치 완료 통지와 같이 342동작(도 3a에서는 322동작)에 앞서 전달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와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 사이의 통신이 불가한 경우,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0) 및/또는 서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는 344동작과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컨택스트 재배치 완료 통지 및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 정보를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에게 간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 사실을 전하고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트래픽을 리라우팅 (Rerouting)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와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 사이의 직접적인 기준 인터페이스(reference interface)가 없는 경우 해당 통지(Notification)의 전송은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를 거쳐서 전송될 수도 있다(424a동작 및 424b동작). 또한, 424a 및 424b의 동작은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을 거쳐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을 통해서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로 전달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와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 사이의 직접적인 기준 인터페이스(reference interface)가 있는 경우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에서 바로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로 전달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의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는 426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트래픽을 리라우팅(Application Data Traffic Rerouting)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에서 발생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트래픽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가 완료된 타겟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201)로의 라우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트래픽 라우팅은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52)가 아닌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1)가 직접 3GPP 시스템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을 이용해서 수행할 수 있다(예: AF influence on traffic routing). 이 경우, 424동작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 통지(Complete Notification) 전송 단계는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 통지를 받은 소스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가 AF influence on traffic routing과 같은 방법으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트래픽 라우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에서 최종 결정 후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게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명령을 내리는 동작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본 개시에서는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게 최종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명령을 내리는 주체를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100)로 한정하지 않는다.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200)가 소스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게 직접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명령을 보내는 경우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이동 네트워크 사업자의 서비스 영역
10, 20: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
30: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 서버
40: 3GPP 네트워크
50: 사용자 장치(UE)
51: 이동단말(MT)
52: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
53: 에지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or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100, 200: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
101, 102, 103, 201, 203: 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
110, 120: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41, 111, 112, 113, 114, 211, 212: 기지국
42, 121, 122, 221: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

Claims (2)

  1. 엣지 컴퓨팅 시스템의 사용자 장치에서 제1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2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데이터 수신이 필요한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제2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포함된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컨텍스트 전송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엣지 컴퓨팅 시스템의 사용자 장치에서 제1어플리케이션의 컨텍스트 재배치 방법.
  2. 엣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제1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지 컴퓨팅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1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계층;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2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데이터 수신이 필요한가를 식별하며, 상기 제2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포함된 에지 인에이블러 서버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전송하고, 및 상기 제1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컨텍스트 전송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에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에지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엣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제1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
KR1020190104048A 2019-08-23 2019-08-23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023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048A KR20210023608A (ko) 2019-08-23 2019-08-23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EP20859527.2A EP4000241B1 (en) 2019-08-23 2020-08-2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in edge computing system
JP2022512841A JP2022545707A (ja) 2019-08-23 2020-08-21 エッジ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でデータ提供方法及び装置
PCT/KR2020/011189 WO2021040334A1 (en) 2019-08-23 2020-08-2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in edge computing system
CN202080058939.7A CN114270966A (zh) 2019-08-23 2020-08-21 在边缘计算系统中提供数据的方法和装置
US17/001,104 US11196840B2 (en) 2019-08-23 2020-08-24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in edge computing system
US17/542,922 US11575774B2 (en) 2019-08-23 2021-12-0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in edge compu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048A KR20210023608A (ko) 2019-08-23 2019-08-23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608A true KR20210023608A (ko) 2021-03-04

Family

ID=7464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048A KR20210023608A (ko) 2019-08-23 2019-08-23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196840B2 (ko)
EP (1) EP4000241B1 (ko)
JP (1) JP2022545707A (ko)
KR (1) KR20210023608A (ko)
CN (1) CN114270966A (ko)
WO (1) WO20210403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3560B2 (en) 2020-08-13 202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tinuity of edge computing service in mobile networ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53805A1 (en) * 2020-01-03 2023-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in edge computing system
WO2021204510A1 (en) * 2020-04-06 2021-10-14 Sony Group Corporation Relocation of application context to edge data network
US11838383B2 (en) * 2020-04-23 2023-12-05 Qualcomm Incorporated Edge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and replication
US11743808B2 (en) * 2020-07-13 2023-08-29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UE) triggered edge computing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CN116349320A (zh) * 2020-09-29 2023-06-27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边缘应用的网络节点、终端设备及其中的方法
US11956281B2 (en) * 2021-03-31 2024-04-09 Tencent Americ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dge application server discovery or instantiation by application provider to run media streaming and services on 5G networks
EP4302489A4 (en) * 2021-04-01 2024-04-17 Huawei Tech Co Ltd DEVICES AND METHODS FOR REPOSITIONING USER DEVICE APPLICATION CONTEXTS IN AN EDGE NETWORK
CN115396487A (zh) * 2021-05-25 2022-11-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服务器地址的处理方法及装置
US20220417813A1 (en) * 2021-06-25 2022-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service relocation for multimedia edge services
US20230135864A1 (en) * 2021-11-03 2023-05-04 Tencent America LLC Method for application context transfer between edge servers in 5g networks
WO2023078814A1 (en) * 2021-11-04 2023-05-11 Koninklijke Kpn N.V. Seamless roaming for edge computing with dual connectivity
WO2023141827A1 (en) * 2022-01-26 2023-08-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Area of interest-specific information for mulit-access edge computing
WO2023150609A2 (en) * 2022-02-03 2023-08-10 Apple Inc. Intelligent edge enabler client operation
CN116887354A (zh) * 2022-03-28 2023-10-13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WO2023185586A1 (en) * 2022-03-30 2023-10-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on edge application server selection in edge computin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2791B2 (en) * 2001-09-28 2013-04-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ffloading application components to edge servers
KR100883063B1 (ko) * 2002-02-16 2009-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맥 재할당 방법
NZ578058A (en) 2007-03-16 2012-06-29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pparatus for relocating a header compression contex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18863B2 (en) * 2008-09-09 2011-09-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Reducing CC message transmission in a provider network
WO2017066945A1 (zh) * 2015-10-21 2017-04-27 华为技术有限公司 Mec平台的切换方法、装置及系统
KR20170111175A (ko) 2016-03-25 2017-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베어러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2201676B1 (ko) 2016-05-10 2021-01-13 소니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Mec 애플리케이션의 재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WO2018068835A1 (en) * 2016-10-11 2018-04-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etwork functions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09891935B (zh) * 2016-10-14 2021-09-07 索尼移动通讯有限公司 重新定位方法、移动边缘控制节点、移动终端及移动边缘系统
US11589273B2 (en) * 2017-02-24 2023-0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ext placement in the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CN108574728B (zh) * 2017-03-08 2021-05-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移动边缘计算的流量路径改变检测的方法和装置
WO2019117793A1 (en) * 2017-12-12 2019-06-20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Edge computing relocation
US10517020B2 (en) * 2017-12-15 2019-12-2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obile edge platform servers and user equipment context migration management methods thereof
US10206094B1 (en) * 2017-12-15 2019-02-1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obile edge platform servers and UE context migration management methods thereof
WO2019138104A1 (en) * 2018-01-12 2019-07-18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Relocation of multi-user edge applications
US11412052B2 (en) * 2018-12-28 2022-08-09 Intel Corporation Quality of service (QoS) management in edge computing environments
CN112153098B (zh) * 2019-06-28 2023-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迁移方法及装置
US11638316B2 (en) * 2019-08-01 2023-04-25 Intel Corporation Multiconnectivity function in application cloud for 5G systems
US10841974B1 (en) * 2019-08-12 2020-11-1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session relocation at edge network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3560B2 (en) 2020-08-13 202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tinuity of edge computing service in mobile network
US11956859B2 (en) 2020-08-13 2024-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tinuity of edge computing service in mobile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270966A (zh) 2022-04-01
US20210058489A1 (en) 2021-02-25
US11196840B2 (en) 2021-12-07
EP4000241A4 (en) 2022-08-31
WO2021040334A1 (en) 2021-03-04
EP4000241B1 (en) 2024-05-01
US11575774B2 (en) 2023-02-07
JP2022545707A (ja) 2022-10-28
EP4000241A1 (en) 2022-05-25
US20220094764A1 (en)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3608A (ko)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9981316B (zh) 应用服务器的切换方法及会话管理网元、终端设备
CN112188444B (zh) 一种订阅服务的方法及装置
US20200323029A1 (en) Sess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580499B1 (ko)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US20230171618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210136761A (ko) 에지 컴퓨팅 서비스 관련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US117117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on between an edge computing system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providing edge computing service
US9198223B2 (en) Telecommunication network
US10924518B2 (en) UPF programming over enhanced N9 interface
EP3657762B1 (en) Network service system and network service method
JP7467669B2 (ja) 接続確立方法、通信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20230062452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ype in edge computing system
KR20200130043A (ko) 에지 컴퓨팅 서비스에서 단말의 식별자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200022195A1 (en) Association Management Method And Network Node
US20230262143A1 (en) Relocation of application context to edge data network
CN115053566A (zh) 用于边缘计算服务的方法和装置
US94178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ootstrapping gateway in device management system
KR20220021332A (ko)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에지 컴퓨팅 서비스 지속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2016558A1 (zh) 一种业务连续性事件的通知方法及装置
KR20210104522A (ko)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 타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047034A (ko) Me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388329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networks for an optimal application server selection and handover
KR20220001295A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N116582899A (zh) 一种网络重定向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