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580A -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580A
KR20210023580A KR1020190103967A KR20190103967A KR20210023580A KR 20210023580 A KR20210023580 A KR 20210023580A KR 1020190103967 A KR1020190103967 A KR 1020190103967A KR 20190103967 A KR20190103967 A KR 20190103967A KR 20210023580 A KR20210023580 A KR 20210023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chamber
exhaust
ai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5949B1 (ko
Inventor
김시환
황인수
손승길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90103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94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배기유입구를 가진 제1 배기실, 상기 제1 배기실과 연통되며 상기 제1 배기실을 경유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유출구를 가지고 배기팬이 내장된 제2 배기실,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급기유입구를 가진 제1 급기실, 상기 제1 급기실과 연통되며 상기 제1 급기실을 경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유출구를 가지고 급기팬이 내장된 제2 급기실, 및 상기 제1 급기실과 제2 급기실 사이와 상기 제1 배기실과 제2 배기실 사이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전열교환기를 구비하며, 상기 배기유입구가 주방과 인접한 거실 및 복수 개의 방과 배기덕트로 연결되고, 상기 급기유출구가 거실 및 복수 개의 방과 급기덕트로 연결된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방에 구비된 후드의 작동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배기실의 배기유출구를 폐쇄하는 배기차단모드, 외부의 실외공기를 상기 급기덕트를 통해 적어도 거실에 공급하는 급기모드, 및 급기된 실내공기를 천정에 설치된 급기송풍기를 통해 상기 후드 측으로 유도하는 송풍모드가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환기장치{VENTILATOR}
본 발명은 환기장치로서, 실내를 환기시키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가정 및 사무실 등에는 계절의 변화에 따른 실내 냉,난방을 수행하기 위해 냉,난방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냉,난방장치에는 실내의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하는 방식으로 냉,난방을 수행하는 에어컨, 보일러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냉,난방장치가 설치된 일반 가정 및 사무실 등의 실내는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밀폐된 상태로 유지되고, 밀폐된 실내공간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공기의 오염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악취가 발생하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유하게 된다.
한편, 실내에서 요리 시 후드가 작동되면 실내 기압이 점점 음압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상태로 일정시간 이상이 지속되면 실내 창문 틈새로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외기가 쉽게 유입되어 실내를 오염시키게 된다.
아울러, 실내가 과도하게 밀폐되어 있는 경우에는 오염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에게 심각한 건강 상의 우려를 줄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환기장치 등을 사용하여 실내에 급기를 하는데, 공기의 순환으로 인하여 외부가 춥거나 더울 때 사용자가 급기된 공기의 냉기(cold draft, 콜드 드래프트) 및 고온다습한 상태를 느낄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기에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538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후드 동작 시 사용자가 급기된 공기의 냉기 및 고온/다습한 상태를 느끼지 않도록 하는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배기유입구를 가진 제1 배기실, 상기 제1 배기실과 연통되며 상기 제1 배기실을 경유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유출구를 가지고 배기팬이 내장된 제2 배기실,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급기유입구를 가진 제1 급기실, 상기 제1 급기실과 연통되며 상기 제1 급기실을 경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유출구를 가지고 급기팬이 내장된 제2 급기실, 및 상기 제1 급기실과 제2 급기실 사이와 상기 제1 배기실과 제2 배기실 사이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전열교환기를 구비하며, 상기 배기유입구가 주방과 인접한 거실 및 복수 개의 방과 배기덕트로 연결되고, 상기 급기유출구가 거실 및 복수 개의 방과 급기덕트로 연결된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방에 구비된 후드의 작동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배기실의 배기유출구를 폐쇄하는 배기차단모드, 외부의 실외공기를 상기 급기덕트를 통해 적어도 거실에 공급하는 급기모드, 및 급기된 실내공기를 천정에 설치된 급기송풍기를 통해 상기 후드 측으로 유도하는 송풍모드가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모드에서, 상기 급기덕트에 인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거실로만 공급하도록, 복수 개의 방 각각에 구비된 상기 급기덕트의 방급기유출구에 장착된 유량조절부재를 폐쇄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모드에서, 상기 급기덕트에 인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거실로만 공급하도록, 거실에 구비된 상기 급기덕트의 거실급기유출구에 장착된 급기송풍기를 작동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기송풍기는 상기 거실급기유출구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외부의 실외공기 온도에 따라서, 상기 급기덕트를 통한 급기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급기팬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모드에서, 실내공기를 복수 개의 방에서만 상기 배기덕트로 유입시키도록, 거실에 구비된 상기 배기덕트의 거실배기유입구에 장착된 유량조절부재를 폐쇄제어하고, 복수 개의 방으로부터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상기 제1 배기실에 유입된 실내공기와 외부의 실외공기를 상기 전열교환기에서 열교환시킨 후 상기 급기덕트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례로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제2 배기실과 연통된 서브급기실;을 더 구비하며, 상기 서브급기실은, 상기 제2 배기실과 연통된 부위에 서브도어가 장착되고, 상기 급기덕트와 연결되는 서브유출구를 구비하고, 서브팬이 내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모드에서, 상기 제1 배기실의 실내공기를 상기 제2 배기실과 서브급기실을 통해 상기 급기덕트로 공급하도록, 상기 서브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서브팬을 작동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제2 배기실에서 상기 배기팬의 후단에 서브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유출구는 서브도어가 장착되고 상기 급기덕트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모드에서, 상기 제1 배기실의 실내공기를 상기 제2 배기실을 통해 상기 급기덕트로 공급하도록, 상기 서브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배기실의 배기팬을 작동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제2 배기실과 제1 급기실을 연통시키는 제1 바이패스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바이패스실은 제1 바이패스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모드에서, 상기 제1 배기실의 실내공기를 상기 제2 배기실과 제1 바이패스실을 거쳐 상기 제1 급기실로 유입시키도록, 상기 제1 바이패스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배기실의 배기팬을 작동제어하여, 상기 제1 급기실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함께 상기 제1 급기실과 제2 급기실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급기덕트로 공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배기유출구와 급기유입구를 연통시키는 제2 바이패스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바이패스실은 제2 바이패스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모드에서, 상기 제1 배기실의 실내공기를 상기 제2 배기실과 제2 바이패스실을 거쳐 상기 제1 급기실로 유입시키도록, 상기 제2 바이패스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배기실의 배기팬을 작동제어하여, 상기 제1 급기실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함께 상기 제1 급기실과 제2 급기실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급기덕트로 공급할 수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제1 배기실과 제1 급기실을 연통시키는 제3 바이패스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바이패스실은 제3 바이패스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모드에서, 실내공기를 복수 개의 방에서만 상기 배기덕트로 유입시키도록, 거실에 구비된 상기 배기덕트의 거실배기유입구에 장착된 유량조절부재를 폐쇄제어하고, 상기 제1 배기실의 실내공기를 상기 제3 바이패스실을 거쳐 상기 제1 급기실로 유입시키도록, 상기 제1 배기실에서 상기 제2 배기실과 연통된 부위에 설치된 배기실연계도어를 폐쇄제어하고 상기 제3 바이패스도어를 개방제어하여, 상기 제1 급기실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함께 상기 제1 급기실과 제2 급기실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급기덕트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배기유입구의 후단에 설치된 히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드의 작동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배기차단모드, 급기모드, 및 송풍모드가 일정시간 동안만 지속된 후 정지되도록 제어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제어부가 후드의 작동신호를 수신 후 배기차단모드, 급기모드, 및 송풍모드를 연동하여 작동시키는 제어구성을 취함으로써, 외기를 실내에 급기 시 급기된 공기를 주방으로 유도하면서 급기된 공기를 실내공기와 혼합되도록 함에 따라, 재실자가 냉기 및 고온다습한 상태를 느끼지 못하도록 하여 재실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와, 상기 환기장치에 연결된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환기장치에 의한 운전 프로세스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도 1의 환기장치에 의한 급기모드 및 송풍모드를 나타낸 여러가지 실시예이다.
도 10은 도 7 내지 도 9의 환기장치에서 설치된 히터에 의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기온변화를 나타낸 습도 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와, 상기 환기장치에 연결된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환기장치에 의한 운전 프로세스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며, 도 3 내지 도 9는 도 1의 환기장치에 의한 급기모드 및 송풍모드를 나타낸 여러가지 실시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장치본체(100)와 제어부(C)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장치본체(100)는 제1 배기실(110), 제2 배기실(120), 제1 급기실(130), 및 제2 급기실(140), 및 전열교환기(1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기실(110)은 실내공기를 유입하는, 즉 리턴 에어(RA, Return Air)가 유입되는 배기유입구(110a)를 가진다.
이러한 배기유입구(110a)는 배기덕트(10)와 연결되는데, 상기 배기덕트(10)는 거실 및 복수 개의 방으로 연장된 구조를 취한다.
아울러, 상기 배기덕트(10)는 거실 측 실내공기를 배기하기 위해 거실 측 단부에는 거실 측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거실배기유입구(10a)가 형성되고, 방 측 실내공기를 배기하기 위해 방 측 단부에 방 측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방배기유입구(10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거실배기유입구(10a)와 방배기유입구(10b) 각각에는 유량조절부재(11)가 장착될 수 있으며, 유량조절부재(11)의 개폐정도에 따라 거실배기유입구(10a)와 방배기유입구(10b)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거나 유입 자체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배기실(120)은 제1 배기실(110)과 연통되는 구조를 지니는데, 구체적으로 전열교환기(150)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제2 배기실(120)은 제1 배기실(110)을 경유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즉 익쏘스트 에어(EA, Exhaust Air)가 외부로 유출되는 배기유출구(120a)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2 배기실(120)은 내부에 배기팬(121)이 장착되는데, 배기팬(121)의 작동에 의해 실내공기가 배기덕트(10)와 제1 배기실(110)을 통해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급기실(130)은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즉 아웃도어 에어(OA, Outdoor Air)가 유입되는 급기유입구(130a)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2 급기실(140)은 제1 급기실(130)과 연통되는 구조를 지니는데, 구체적으로 전열교환기(150)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제2 급기실(140)은 제1 급기실(130)을 경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즉 서플라이 에어(SA, Supply Air)가 유출되는 급기유출구(140a)를 가진다.
이러한 급기유출구(140a)는 급기덕트(20)와 연결되는데, 상기 급기덕트(20)는 거실 및 복수 개의 방으로 연장된 구조를 취한다.
아울러, 상기 급기덕트(20)는 외부의 실외공기를 거실 측에 급기하기 위해 거실 측 단부에는 실외공기가 유출되는 거실급기유출구(20a)가 형성되고, 실외공기를 방 측에 급기하기 위해 방 측 단부에는 실외공기가 유출되는 방급기유출구(20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거실급기유출구(20a)와 방급기유출구(20b) 각각에는 유량조절부재(11)가 장착될 수 있으며, 유량조절부재(11)의 개폐정도에 따라 인하여 거실급기유출구(20a)와 방급기유출구(20b)로 유출되는 실외공기의 유출량을 조절하거나 유출 자체를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급기실(140)은 내부에 급기팬(141)이 장착되는데, 급기팬(141)의 작동에 의해 외부의 실외공기가 제1 급기실(130)을 통해 인입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C)는 장치본체(100)에 설치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운전, 청정운전, 및 요리운전 프로세스 중 하나의 프로세스로 선택작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환기운전은 실내공기를 배기시키면서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여 실내를 환기시키는 프로세스이고, 상기 청정운전은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지 않고 장치본체(100)를 통해 순환시키면서 필터링하여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프로세스이며, 상기 요리운전은 주방에서 요리 시 후드를 통하여 원활히 배기될 수 있도록 급기를 제공하는 프로세스이다. 본 발명에서는 요리운전 시에 사용자가 급기된 공기의 냉기(cold draft, 콜드 드래프트) 및 고온다습한 상태를 느끼지 않는 요리운전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C)는 주방에 구비된 후드(1)의 작동신호를 수신하면, 배기차단모드, 급기모드, 및 송풍모드가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C)는 후드(1)의 작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후드(1)의 작동모터가 작동되면 이러한 작동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기차단모드는 제어부(C)가 제2 배기실(120)의 배기유출구(120a)를 폐쇄하는 모드로서, 제어부(C)가 배기유출구(120a)에 장착된 배기유출구도어(미도시)를 폐쇄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기차단모드에서는, 만약 제2 배기실(120)의 배기팬(121)이 작동되는 경우에도 실내공기가 제2 배기실(12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참고로, 상기 배기차단모드에서의 배기차단은 실내공기를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것에 대한 차단을 의미하며, 후술되는 배기덕트(10)로의 실내공기 배기는 실내공기를 배기덕트(10)로 흡입하여 장치본체(100)로 유동시킬 뿐 외부로는 배출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상기 급기모드는 제어부(C)가 외부의 실외공기를 또는 외부의 실외공기와 순환공기를 급기덕트(20)를 통해 적어도 거실에, 즉 거실 또는 거실과 방에 공급하는 모드로서, 제어부(C)가 제2 급기실(140)의 급기팬(141)을 작동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송풍모드는 실내에 급기된 공기를 천정에 설치된 급기송풍기(30)를 통해 후드(1) 측으로 유도하는 모드로서, 거실 또는 방의 실내공기를 주방에 공급하여 주방의 실내공기가 후드(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아울러 이러한 주방의 환기과정에서 사용자가 냉기 및 고온다습한 상태를 느끼지 못하도록 한다.
즉, 상기 송풍모드는 주방에 외부의 실외공기를 직접적으로 급기하지 않고, 급기모드에서 거실 또는 방으로 급기된 실외공기가 거실 또는 방을 거쳐서 주방으로 간접적으로 급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방에는 외부의 실외공기보다 온도가 올라간 거실 또는 방의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사용자가 냉기 및 고온다습한 상태를 느끼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급기송풍기(30)는 천정에 설치됨으로써, 천정에 설치된 급기덕트(20)의 거실급기유출구(20a)와 방급기유출구(20b)를 통해 급기된 공기를, 천정에서 유도하여 원활하게 주방 측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C)를 통한 각종 기구 또는 장치의 제어는 제어부(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무선으로 해당 기구 또는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다른 중계 장치를 통하여 신호가 전달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C)는 후드(1)의 작동신호를 수신한 후, 배기차단모드, 급기모드, 및 송풍모드가 일정시간 동안만 지속된 후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C)는 타이머 제어기능이 구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서 사용자가 요리 시 후드를 작동시킨 후, 요리가 끝난 다음에도 후드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잊어서 후드의 작동이 너무 장시간 유지되는 경우, 이때 계속적으로 요리운전 프로세스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환기 또는 청정운전 프로세스로 작동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며, 여기에서 상기 급기모드와 관련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 도 2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C)는 급기모드에서, 급기덕트(20)로 공급된 실외공기를 거실로만 공급하도록, 복수 개의 방 각각에 구비된 급기덕트(20)의 방급기유출구(20b)에 장착된 유량조절부재(21)를 폐쇄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량조절부재(21)는 전동디퓨저, 댐퍼 등이 활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량조절부재(21)가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어 완전히 닫아짐으로써, 실외공기가 복수 개의 방으로는 급기가 전혀 되지 않고 거실로만 공급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C)는 급기모드에서, 상기 급기덕트(20)로 공급된 실외공기를 거실로만 공급하도록, 거실에 구비된 급기덕트(20)의 거실급기유출구(20a)에 장착된 송풍팬(22)을 작동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풍팬(22)은 써큘레이터 등이 활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송풍팬(22)이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어 작동됨으로써, 실외공기가 복수 개의 방으로는 급기되지 않고 거실로만 공급된다.
후드(1)가 설치된 주방이 방보다는 거실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된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어부(C)가 급기덕트(20)에 인입된 실외공기를 방으로 공급하지 않고 거실로만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주방 측으로의 급기작용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실외공기를 거실과 방에 나누어 공급하는 것보다 거실에만 모두 공급 시 거실의 기압이 더 높아짐에 따라, 거실과 인접한 주방에 대한 급기작용은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기송풍기(30)는 거실 측 천정인 거실급기유출구(20a)에 인접하여 설치됨으로써, 거실로만 공급된 공기가 거실과 인접한 주방으로 유도하는 유도작용이 보다 더 월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있으며, 설령 온도가 낮은 공기 또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급기송풍기(30)에 의해서 천정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유입된 공기는 바로 거실 사용자에게 가지 않아서 거실에 있는 사용자는 냉기 및 고온다습한 상태를 느끼지 않으며, 주방으로 이동되는 동안 자연스럽게 거실 내 공기와 혼합되어 주방에 있는 사용자도 냉기 및 고온다습한 상태를 느끼지 않을 수 있다.
참고로 공기의 유량비를 예를 들어 비교하면, 후드(1)를 통해 실내공기가 200만큼 배출되는 조건에서, 이의 반대급부로서 장치본체(100)에서 외부의 실외공기를 200만큼 흡입한 다음, 공급덕트를 통해 방1, 방2, 방3에는 공급하지 않고 거실에만 공급하여 거실1과 거실2 각각에 100을 급기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C)는 감지된 외부의 실외공기 온도에 따라서, 급기덕트(20)를 통한 급기량을 조절하도록 급기팬(141)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제어부(C)는 외부의 실외공기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 급기덕트(20)를 통한 급기량을 낮추도록 급기팬(141)을 제어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방에 냉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외부의 실외공기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 실외공기가 급기된 거실을 거쳐서 주방으로 가는 동안 열교환이 되어 온도가 일정 정도 올라가더라도 사용자가 냉기 현상을 느낄 수 있는 온도 범위이기 때문에, 제어부(C)가 실외공기 온도의 측정치에 따라 연동하여 실외공기의 흡입량을 줄이는 제어를 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C)는 급기모드에서, 실내공기를 복수 개의 방에서만 배기덕트(10)로 유입시키도록, 거실에 구비된 배기덕트(10)의 거실배기유입구(10a)에 장착된 유량조절부재(11)를 폐쇄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C)는 복수 개의 방으로부터 배기덕트(10)를 통해 제1 배기실(110)에 유입된 실내공기와 외부의 실외공기를 전열교환기(150)에서 열교환시킨 후 급기덕트(20)로 공급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기되는 복수 개 방의 실내공기를 급기에 활용함으로써, 외부의 실외공기에 더하여 일정 온도 이상의 방 실내공기가 함께 주방에 공급됨에 따라, 주방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올릴 수 있게 되어 냉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급기에 활용되는 실내공기는 거실을 빼고 복수 개의 방으로부터 배기되는 실내공기만이 이용하는데, 이는 주방과 인접한 거실의 따뜻한 실내공기는 그대로 유지한 채, 주방과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된 방의 실내공기만을 배기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주방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최대한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급기에 활용되는 실내공기를 전열교환기(150)에서 외부의 실외공기와 열교환함으로써, 외부에서 들어오는 실외공기의 온도를 높임에 따라, 주방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더욱 더 올릴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여기에서, 급기에 활용되는 실내공기가 복수 개의 방으로부터 배기되어 공급덕트로 공급되는 루트와 관련된 여러 가지 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일례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C)는 배기된 실내공기를 서브급기실(210)을 통해 공급덕트로 공급하는 제어구성을 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본체(100)는 제2 배기실(120)과 연통된 서브급기실(210)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급기실(210)은 서브도어(211)가 장착되고, 서브유출구(210a)를 구비하며, 서브팬(212)이 내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서브도어(211)는 제2 배기실(120)과 연통된 부위에 장착되는데, 개방 시 제2 배기실(120)과 통하게 되고 폐쇄 시 제2 배기실(120)과 통하지 않게 되며, 구체적인 구조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어떠한 개폐도어구조도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서브유출구(210a)는 급기덕트(20)와 연결되어 서브급기실(210)을 통한 공기가 유출되어 급기덕트(20)로 공급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급기덕트(20)와는 일례로서 연결덕트(23)를 통해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서브팬(212)은 서브급기실(210)의 내부에 장착되며, 제어부(C)의 작동제어에 따라 작동되면 제2 배기실(120)의 실내공기를 서브유출구(210a) 측으로 유동시킨다.
나아가, 상기 장치본체(100)는 배기유입구(110a)의 후단 또는 서브팬(212)의 전단에 필터(F)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필터(F)는 배기덕트(10)를 통해 배기된 실내공기를 필터링하여 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C)는 급기모드에서, 제1 배기실(110)의 실내공기를 제2 배기실(120)과 서브급기실(210)을 통해 급기덕트(20)로 공급하도록, 서브도어(211)를 개방하고 서브팬(212)을 작동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배기차단모드에서 제2 배기실(120)의 배기유출구(120a)가 닫혀 있기 때문에, 제2 배기실(120)의 배기유출구(120a)를 통해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른 일례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C)는 배기된 실내공기를 서브유출구(210a)를 통해 공급덕트로 공급하는 제어구성을 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본체(100)는 제2 배기실(120)에서 배기팬(121)의 후단에 서브유출구(210a)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유출구(210a)는 서브도어(211)가 장착되고 급기덕트(20)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서브유출구(210a)는 급기덕트(20)와 연결되어 제2 배기실(120)을 통한 공기가 유출되어 급기덕트(20)로 공급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일례로서 연결덕트(23)를 통해 급기덕트(20)와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도어(211)는 서브유출구(210a)에 장착되어, 개방 시 급기덕트(20)와 통하게 되고 폐쇄 시 급기덕트(20)와 통하지 않게 되며, 구체적인 구조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어떠한 개폐도어구조도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상기 장치본체(100)는 배기유입구(110a)의 후단 또는 서브유출구(210a)의 전단에 필터(F)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필터(F)는 배기덕트(10)를 통해 배기된 실내공기를 필터링하여 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C)는 급기모드에서, 제1 배기실(110)의 실내공기를 제2 배기실(120)을 통해 급기덕트(20)로 공급하도록, 서브도어(211)를 개방하고 제2 배기실(120)의 배기팬(121)을 작동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배기차단모드에서 제2 배기실(120)의 배기유출구(120a)가 닫혀 있기 때문에, 제2 배기실(120)의 배기유출구(120a)를 통해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일례로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C)는 배기된 실내공기를 제1 바이패스실(1B)을 통해 공급덕트로 공급하는 제어구성을 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본체(100)는 제2 배기실(120)과 제1 급기실(130)을 연통시키는 제1 바이패스실(1B)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바이패스실(1B)은 제1 바이패스도어(1D)를 구비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 바이패스실(1B)과 후술되는 제2 바이패스실(2B)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합쳐져서 장치본체(100)의 하부에 층공간으로서 형성된 하나의 바이패스 공간이 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바이패스도어(1D)는 개방 시 제2 배기실(120)과 제1 급기실(130)을 통하게 하고 폐쇄 시 제2 배기실(120)과 제1 급기실(130)을 통하지 않게 하며, 구체적인 구조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어떠한 개폐도어구조도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1 바이패스도어(1D)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이패스실(1B)과 제2 배기실(120)의 연결부위, 제1 바이패스실(1B)과 제1 급기실(130)의 연결부위 각각에 장착될 수 있고, 나아가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배기실(120)과 제1 급기실(130)의 연통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면 제1 바이패스실(1B) 내부의 어디에도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상기 제2 바이패스실(2B)에는 제2 배기실(120)의 실내공기를 제1 급기실(130)로 유동시키도록 바이패스팬(f)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바이패스팬(f)은 제2 배기실(120)로부터 제1 급기실(130)로의 실내공기 유동을 보다 더 원활하게 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C)는 급기모드에서, 제1 배기실(110)의 실내공기를 제2 배기실(120)과 제1 바이패스실(1B)을 거쳐 제1 급기실(130)로 유입시키도록, 제1 바이패스도어(1D)를 개방하고 제2 배기실(120)의 배기팬(121)을 작동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배기차단모드에서 제2 배기실(120)의 배기유출구(120a)가 닫혀 있기 때문에, 제2 배기실(120)의 배기유출구(120a)를 통해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C)는 제1 급기실(130)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함께 제1 급기실(130)과 제2 급기실(140)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급기덕트(20)로 공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C)는 배기된 실내공기를 제2 바이패스실(2B)을 통해 공급덕트로 공급하는 제어구성을 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본체(100)는 배기유출구(120a)와 급기유입구(130a)를 연통시키는 제2 바이패스실(2B)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바이패스실(2B)은 제2 바이패스도어(2D)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 바이패스도어(2D)는 개방 시 배기유출구(120a)와 급기유입구(130a)를 통하게 하고 폐쇄 시 배기유출구(120a)와 급기유입구(130a)를 통하지 않게 하며, 구체적인 구조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어떠한 개폐도어구조도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2 바이패스도어(2D)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이패스실(2B)과 배기유출구(120a)의 연결부위, 제2 바이패스실(2B)과 급기유입구(130a)의 연결부위 각각에 장착될 수 있고, 나아가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배기유출구(120a)와 급기유입구(130a)의 연통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면 제1 바이패스실(1B) 내부의 어디에도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C)는 급기모드에서, 제1 배기실(110)의 실내공기를 제2 배기실(120)과 제2 바이패스실(2B)을 거쳐 제1 급기실(130)로 유입시키도록, 제2 바이패스도어(2D)를 개방하고 제2 배기실(120)의 배기팬(121)을 작동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C)는 제1 급기실(130)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함께 제1 급기실(130)과 제2 급기실(140)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급기덕트(2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배기차단모드에서 제2 배기실(120)의 배기유출구(120a)가 닫혀 있기 때문에, 제2 배기실(120)의 배기유출구(120a)를 통해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서 제어부(C)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전열교환기(150)에서 열교환되도록 제어하였지만, 또 다른 실시예인 도 9에서 제어부(C)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전열교환기(150)에서 서로 교차하면서 열교환하지 않고, 실내공기가 제1 급기실(130)로 직접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구성을 취한다.
물론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부(C)는 급기모드에서 실내공기를 복수 개의 방에서만 배기덕트(10)로 유입시키도록, 거실에 구비된 배기덕트(10)의 거실배기유입구(10a)에 장착된 유량조절부재(11)를 폐쇄제어하는 구성을 지닌다.
그리고, 이러한 도 9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C)는 배기된 실내공기를 제3 바이패스실(3B)을 통해 공급덕트로 공급하는 제어구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본체(100)는 제1 배기실(110)과 제1 급기실(130)을 연통시키는 제3 바이패스실(3B)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바이패스실(3B)은 제3 바이패스도어(3D)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3 바이패스도어(3D)는 개방 시 제1 배기실(110)과 제1 급기실(130)을 통하게 하고 폐쇄 시 제1 배기실(110)과 제1 급기실(130)을 통하지 않게 하며, 구체적인 구조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어떠한 개폐도어구조도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3 바이패스도어(3D)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바이패스실(3B)과 제1 배기실(110)의 연결부위, 제3 바이패스실(3B)과 제1 배기실(110)의 연결부위 각각에 장착될 수 있고, 나아가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배기실(110)과 제1 급기실(130)의 연통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면 제3 바이패스실(3B) 내부의 어디에도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C)는 급기모드에서, 제1 배기실(110)의 실내공기를 제3 바이패스실(3B)을 거쳐 제1 급기실(130)로 유입시키도록, 제3 바이패스도어(3D)를 개방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C)는 제1 배기실(110)의 실내공기가 제2 배기실(120) 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1 배기실(110)에서 제2 배기실(120)과 연통된 부위에 설치된 배기실연계도어(미도시)를 폐쇄제어함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C)는 제1 급기실(130)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함께 제1 급기실(130)과 제2 급기실(140)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급기덕트(20)로 공급할 수 있다.
참고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기의 유량비를 예를 들어 비교하면, 후드(1)를 통해 실내공기가 200만큼 배출되는 조건에서, 이의 반대급부로서 장치본체(100)에서 외부의 실외공기를 200만큼 흡입한 다음, 공급덕트를 통해 방1, 방2 각각으로 30을, 방3으로 40을, 거실1, 거실2 각각으로 50을 급기한다.
이와 더불어, 장치본체(100)에서 배기덕트(10)를 통해 실내공기를 방1, 방2 각각으로부터 30을, 방3으로부터 40을 흡입하여 총 100을 더 흡입한 다음, 공급덕트를 통해 방1, 방2, 방3 각각으로 15를, 거실1, 거실2 각각으로 15를 추가로 급기한다.
이로 인하여, 최종적으로 급기된 공기유량은 방1, 방2 각각이 45, 방3이 60, 거실1, 거실 2 각각이 75가 된다.
나아가,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본체(100)는 배기유입구(110a)의 후단에 히터(H)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히터(H)는 배기덕트(10)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히터(H)가 배기덕트(10)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가열함으로써, 가열된 실내공기와 외부의 실외공기를 혼합함으로써, 특히 겨울철 온도가 낮은 실외공기에 의해 장치본체(100)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장치에서 설치된 히터에 의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기온변화를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에서, 실험조건으로서 장치본체에 유입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공기비는 2:1 이며, 외부의 실외공기의 온도는 도면의 OA지점에 표시된 바와 같이 -15℃이고, 실내공기의 온도는 도면의 RA지점에 표시된 바와 같이 20℃이다.
먼저 상기 히터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장치본체에 유입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혼합되면 혼합공기의 온도가 도면의 OA-2 지점에 표시된 바와 같이 -3.2℃가 되는데, 이러한 경우 이슬점에 도달하게 됨에 따라 장치본체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상기 히터가 사용되는 경우, 장치본체에 유입된 실내공기가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도면의 RA(heater) 지점에 표시된 바와 같이 35℃가 됨으로써, 이와 같이 가열된 실내공기와 장치본체에 유입된 실외공기가 혼합되면 혼합공기의 온도가 도면의 OA(heater) 지점에 표시된 바와 같이 1.8℃가 됨에 따라, 이슬점에 도 도달하지 않게 됨에 따라 장치본체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제어부(C)가 후드(1)의 작동신호를 수신 후 배기차단모드, 급기모드, 및 송풍모드를 연동하여 작동시키는 제어구성을 취함으로써, 외기를 실내에 급기 시 급기된 공기를 주방으로 유도하면서 급기된 공기를 실내공기와 혼합되도록 함에 따라, 재실자가 냉기 및 고온다습한 상태를 느끼지 못하도록 하여 재실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후드
10 : 배기덕트 10a : 거실배기유입구
10b : 방배기유입구 11 : 유량조절부재
20 : 급기덕트 20a : 거실급기유출구
20b : 방급기유출구 21 : 유량조절부재
22 : 송풍팬 23 : 연결덕트
30 : 급기송풍기
100 : 장치본체
110 : 제1 배기실 110a : 배기유입구
120 : 제2 배기실 120a : 배기유출구
121 : 배기팬
130 : 제1 급기실 130a : 급기유입구
140 : 제2 급기실 140a : 급기유출구
141 : 급기팬
150 : 전열교환기
F : 필터 H : 히터
210 : 서브급기실 210a : 서브유출구
211 : 서브도어 212 : 서브팬
1B : 제1 바이패스실 1D : 제1 바이패스도어
2B : 제2 바이패스실 2D : 제2 바이패스도어
f : 바이패스팬
3B : 제3 바이패스실 3D : 제3 바이패스도어
C : 제어부

Claims (13)

  1.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배기유입구를 가진 제1 배기실, 상기 제1 배기실과 연통되며 상기 제1 배기실을 경유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유출구를 가지고 배기팬이 내장된 제2 배기실,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급기유입구를 가진 제1 급기실, 상기 제1 급기실과 연통되며 상기 제1 급기실을 경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유출구를 가지고 급기팬이 내장된 제2 급기실, 및 상기 제1 급기실과 제2 급기실 사이와 상기 제1 배기실과 제2 배기실 사이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전열교환기를 구비하며, 상기 배기유입구가 주방과 인접한 거실 및 복수 개의 방과 배기덕트로 연결되고, 상기 급기유출구가 거실 및 복수 개의 방과 급기덕트로 연결된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방에 구비된 후드의 작동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배기실의 배기유출구를 폐쇄하는 배기차단모드,
    외부의 실외공기를 상기 급기덕트를 통해 적어도 거실에 공급하는 급기모드, 및
    급기된 실내공기를 천정에 설치된 급기송풍기를 통해 상기 후드 측으로 유도하는 송풍모드가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모드에서, 상기 급기덕트에 인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거실로만 공급하도록, 복수 개의 방 각각에 구비된 상기 급기덕트의 방급기유출구에 장착된 유량조절부재를 폐쇄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모드에서, 상기 급기덕트에 인입된 실외공기를 상기 거실로만 공급하도록, 거실에 구비된 상기 급기덕트의 거실급기유출구에 장착된 급기송풍기를 작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송풍기는 상기 거실급기유출구에 인접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외부의 실외공기 온도에 따라서, 상기 급기덕트를 통한 급기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급기팬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모드에서, 실내공기를 복수 개의 방에서만 상기 배기덕트로 유입시키도록, 거실에 구비된 상기 배기덕트의 거실배기유입구에 장착된 유량조절부재를 폐쇄제어하고,
    복수 개의 방으로부터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상기 제1 배기실에 유입된 실내공기와 외부의 실외공기를 상기 전열교환기에서 열교환시킨 후 상기 급기덕트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제2 배기실과 연통된 서브급기실;을 더 구비하며,
    상기 서브급기실은, 상기 제2 배기실과 연통된 부위에 서브도어가 장착되고, 상기 급기덕트와 연결되는 서브유출구를 구비하고, 서브팬이 내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모드에서, 상기 제1 배기실의 실내공기를 상기 제2 배기실과 서브급기실을 통해 상기 급기덕트로 공급하도록, 상기 서브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서브팬을 작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제2 배기실에서 상기 배기팬의 후단에 서브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유출구는 서브도어가 장착되고 상기 급기덕트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모드에서, 상기 제1 배기실의 실내공기를 상기 제2 배기실을 통해 상기 급기덕트로 공급하도록, 상기 서브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배기실의 배기팬을 작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제2 배기실과 제1 급기실을 연통시키는 제1 바이패스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바이패스실은 제1 바이패스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모드에서, 상기 제1 배기실의 실내공기를 상기 제2 배기실과 제1 바이패스실을 거쳐 상기 제1 급기실로 유입시키도록, 상기 제1 바이패스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배기실의 배기팬을 작동제어하여,
    상기 제1 급기실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함께 상기 제1 급기실과 제2 급기실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급기덕트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배기유출구와 급기유입구를 연통시키는 제2 바이패스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바이패스실은 제2 바이패스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모드에서, 상기 제1 배기실의 실내공기를 상기 제2 배기실과 제2 바이패스실을 거쳐 상기 제1 급기실로 유입시키도록, 상기 제2 바이패스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배기실의 배기팬을 작동제어하여,
    상기 제1 급기실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함께 상기 제1 급기실과 제2 급기실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급기덕트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제1 배기실과 제1 급기실을 연통시키는 제3 바이패스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바이패스실은 제3 바이패스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모드에서, 실내공기를 복수 개의 방에서만 상기 배기덕트로 유입시키도록, 거실에 구비된 상기 배기덕트의 거실배기유입구에 장착된 유량조절부재를 폐쇄제어하고,
    상기 제1 배기실의 실내공기를 상기 제3 바이패스실을 거쳐 상기 제1 급기실로 유입시키도록, 상기 제1 배기실에서 상기 제2 배기실과 연통된 부위에 설치된 배기실연계도어를 폐쇄제어하고 상기 제3 바이패스도어를 개방제어하여,
    상기 제1 급기실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함께 상기 제1 급기실과 제2 급기실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급기덕트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2. 제9항,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배기유입구의 후단에 설치된 히터;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드의 작동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배기차단모드, 급기모드, 및 송풍모드가 일정시간 동안만 지속된 후 정지되도록 제어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KR1020190103967A 2019-08-23 2019-08-23 환기장치 KR102645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967A KR102645949B1 (ko) 2019-08-23 2019-08-23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967A KR102645949B1 (ko) 2019-08-23 2019-08-23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580A true KR20210023580A (ko) 2021-03-04
KR102645949B1 KR102645949B1 (ko) 2024-03-12

Family

ID=7517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967A KR102645949B1 (ko) 2019-08-23 2019-08-23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9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6799A (ko) * 2009-06-19 2010-12-29 권현주 실내 환기 장치
KR20110032104A (ko) * 2009-09-22 2011-03-30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방 후드 연동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75385A (ko) 2015-12-23 2017-07-0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바이패스 및 재순환 기능을 겸비한 열교환형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6799A (ko) * 2009-06-19 2010-12-29 권현주 실내 환기 장치
KR20110032104A (ko) * 2009-09-22 2011-03-30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방 후드 연동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75385A (ko) 2015-12-23 2017-07-0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바이패스 및 재순환 기능을 겸비한 열교환형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949B1 (ko)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696B1 (ko) 바이패스 및 재순환 기능을 겸비한 열교환형 환기장치
KR101824148B1 (ko) 환기장치
CN110023686B (zh) 热交换型换气装置
KR101348786B1 (ko) 냉난방장치
US11300316B2 (en) Air blowing device and indoor air conveying system using same
US20190203971A1 (en) Heat exchange-type ventilation device
WO2019034056A1 (zh) 空调器室内机及其送风方法
KR20180080415A (ko) 환기장치
JP4801022B2 (ja) ミスト機能付き浴室空調装置
KR102645949B1 (ko) 환기장치
KR102645950B1 (ko) 환기장치
KR102645948B1 (ko) 환기장치
KR102371835B1 (ko) 퍼지모드를 갖는 환기장치
KR102645951B1 (ko) 환기장치
KR20210006608A (ko) 팬 분리형 렌지후드를 이용한 세대환기시스템
JP4675075B2 (ja)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H0781725B2 (ja) 換気空調装置
JP6814934B2 (ja) 浴室空気調和機
KR20050055105A (ko) 환기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및 그 운용 방법
JP2002089921A (ja) 換気装置
JP2005337634A (ja) 空調装置
JP2013155959A (ja) 加湿空気調和装置
KR102491181B1 (ko) 환기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7281616B2 (ja) 換気システム
JP7012217B2 (ja) 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