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102A -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102A
KR20210023102A KR1020190102812A KR20190102812A KR20210023102A KR 20210023102 A KR20210023102 A KR 20210023102A KR 1020190102812 A KR1020190102812 A KR 1020190102812A KR 20190102812 A KR20190102812 A KR 20190102812A KR 20210023102 A KR20210023102 A KR 20210023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rowth
eyelashes
caffeine
eyel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은실
심민경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90102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3102A/ko
Publication of KR2021002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10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비율로 조합한 카페인과 니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함으로써 눈썹 또는 속눈썹의 성장을 촉진함과 아울러, 빠짐을 개선되고 두께 및 숱을 증가시키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moting the growth of eyebrow or eyelash}
본 발명은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비율로 조합한 카페인과 니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함으로써 눈썹 또는 속눈썹의 성장을 촉진함과 아울러, 빠짐을 개선되고 두께 및 숱을 증가시키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눈썹과 속눈썹은 성장기 및 휴지기 등의 측면에서, 두발 등 다른 부위의 모발과 현저한 차이를 나타낸다.
모발의 경우에는 i) 성장기가 약 3년 내지 4년간 지속되며, 휴지기는 3 내지 4개월간 지속되고, ii) 성장기의 비율이 전체 주기의 85 내지 93%를 차지하고, 휴지기의 비율이 전체 주기의 7 내지 15%를 차지하며, iii) 성장속도가 약 0.4 mm/day 정도이다(Am Acad Dermatol, 48: S106-S114 (2003), J Invest Dermatol, 54: 65-81 (1970), Disorders of Hair Growth, 2nd ed. 75-86 (2003)).
반면, 눈썹 또는 속눈썹의 경우에는 i) 성장기가 6 내지 10주이며, 휴지기는 4 내지 9개월 동안 유지되고, ii) 성장기의 비율이 전체 주기의 10 내지 20%를 차지하고, 휴지기의 비율이 전체 주기의 80 내지 90%를 차지하며, iii) 눈썹 또는 속눈썹의 성장속도가 약 80 내지 280 μm/day로, 모발의 성장속도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Ophthal Plast ReconstrSurg, 13: 21-25 (1997), Ophthalmology, 111: 1480-1488 (2004), Semin Dermatol, 4: 40-52 (1983) 및 British Dermatol, 155: 1170-1176 (2006)).
이와 같이, 눈썹 또는 속눈썹은 두발 등 다른 부위의 모발과 다른 성장기, 휴지기 및 성장 속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종래 모발 촉진을 위하여 사용되어 왔던 조성물 또는 약제를 눈썹 또는 속눈썹의 성장을 위해 적용하는 경우, 소망하는 정도의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한편, 탈모를 개선시키는 물질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이에 반해 눈썹 또는 속눈썹의 성장을 개선시키는 물질에 대한 연구는 그렇지 않으며, 탈모 개선에 효과적이라 하더라도 안자극 등과 같은 문제가 있어 활용에 제한이 있다.
이에 여러 가지 식물 추출물, 아미노산 등을 눈썹 또는 속눈썹의 성장을 촉진시키는데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사용자가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내는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촉진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1. 한국공개특허 제2017-0037381호(2017년 4월 4일 공개) 2. 한국공개특허 제2012-0045192호(2012년 5월 9일 공개)
이에 본 발명자들은 눈썹과 속눈썹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키는 물질에 대한 연구를 한 결과, 카페인과 니아신아마이드를 특정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안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눈썹 또는 속눈썹의 성장이 보다 빠르게 일어난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비율로 조합한 카페인과 니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함으로써 안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눈썹 또는 속눈썹에 대한 양모 효과가 우수한 눈썹 또는 속눈썹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카페인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눈썹 또는 속눈썹의 성장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빠짐 현상을 개선하고, 두께 및 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눈썹 또는 속눈썹용 양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유효성분으로서 카페인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양모”라 함은 모발이 잘 자라게 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모발의 길이 증가, 두께 증가와 더불어 모발의 탄력, 윤기, 숱, 성장 속도 등을 향상시키고, 모발의 빠짐 현상을 개선시키는 전반적인 모발 건강의 개선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양모”, “모발 성장 촉진” 및 “모발 상태 개선”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카페인과 니아신아마이드를 특정 비율로 조합하여 함유하며, 구체적으로는 카페인과 니아신아마이드를 중량비로 1:0.3 ~ 1:1.2, 바람직하게는 1:0.5 ~ 1:1의 비율로 함유한다. 카페인에 대한 니아신아마이드의 사용량이 상기 비율보다 작으면 조성물 내 카페인이 안정화되지 못하여 석출되며, 상기 비율보다 크더라도 카페인 안정화 정도에는 차이가 없고, 오히려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되어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카페인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2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니아신아마이드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2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손상된 모발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판테놀(비타민 B5) 및 비오틴(비타민 H) 중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판테놀은 DL-판테놀보다는 D-판테놀을 사용할 경우 더 우수한 효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판테놀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2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고, 비오틴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0.01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눈가 안정성 범위를 벗어나게 되어 안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모근의 흡수도를 높이기 위해서 저점도의 제형인 것이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BROOKFIELD Viscosmeter LV를 이용하여 63spindle, 12rpm에서 측정하였을 때, 점도가 1000~10000cps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점도가 1000~7000cps,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0~5000cps의 범위이다. 점도가 1000cps 미만이면 물의 장력에 의해 물이 모이면서 오히려 흡수가 안되고 증발하게 되므로, 조성물의 흡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점도가 10000cps를 초과하면 오히려 모근에서의 흡수율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눈썹 또는 속눈썹용 조성물은 이를 제형화하는데 있어서 그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액상, 스프레이, 겔, 페이스트 또는 유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아이 메이크업에 사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일 수 있으며, 눈썹 또는 속눈썹에 용이하게 도포하기 위하여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섀도우 또는 아이브로우 등의 아이메이크업 제품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5의 속눈썹 영양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 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탈이온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디소듐 EDTA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1,2-헥산디올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에틸 헥산디올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부틸렌 글리콜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판테놀 2.00 2.00 0.00 2.00 2.00 2.00 2.00 2.00
카페인 2.00 2.00 2.00 2.00 2.00 2.00 2.00 0.00
니아신아마이드 1.00 2.00 2.00 0.00 0.50 2.50 3.00 2.00
아르기닌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비오틴 0.01 0.01 0.00 0.01 0.01 0.01 0.01 0.01
갈근 추출물(PUERARIA LOBATA ROOT EXTRACT)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VP 코폴리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시험예 1] 제형 안정도 평가
조성물 내 카페인과 니아신아마이드의 함량비를 변화시켜서 제조한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5의 조성물에 있어서, 카페인의 석출 여부를 관찰함으로써 제형 안정도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성분의 용해 정도를 확인하면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5의 조성물을 제조한 후, 50g의 상기 조성물 각각에 0.005g의 카페인을 표면에 추가하고, 추가된 카페인이 석출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제조시 용해도 O O O X O O O
석출 테스트 안정 안정 안정 해당없음 석출 안정 안정 안정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3과 비교하여, 비교예 1은 조성물의 제조시 카페인의 용해도가 낮아 석출 테스트를 수행하지 않았고, 비교예 2는 석출 테스트시 카페인의 석출이 관찰되었다.한편, 실시예 1 및 2와 비교하여, 카페인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5는 성분의 용해나 석출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성분의 용해 또는 석출 관련 문제는 카페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2와 비교하여, 카페인에 대한 니아신아마이드의 비율이 1:1.2을 초과하는 비교예 3 및 4의 경우 조성물이 안정적이므로, 이로부터 니아신아마이드가 카페인의 안정화 역할을 하며, 카페인의 사용량에 대하여 그 이상 비율의 니아신아마이드는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카페인을 함유하는 속눈썹 영양제 조성물의 효능 평가
상기 표 1에 기재된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5의 조성물에 대하여 사용 후 효능을 평가하였다. 니아신아마이드는 포함하지 않고, 카페인만 포함하는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카페인의 용해도가 매우 낮아 안정적인 제형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본 평가에서는 제외하였다.
구체적으로, 22~39세 남녀 시험자 33명을 3그룹으로 나누고(단, 제1그룹은 13명, 제2그룹 및 제3그룹은 각각 10명), 제1그룹의 시험자의 한쪽 속눈썹에 실시예 2의 영양제 조성물을 각각 4주 동안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 반복하여 도포하도록 하고, 반대쪽 속눈썹에는 아무것도 도포하지 않도록 하였으며, 도포 방법은 영양제 조성물이 묻은 어플리케이션을 모근쪽에 도포하고, 남은 양은 속눈썹에 바르게 하였다. 또한, 제2그룹 및 제3그룹의 시험자에 대하여 실시예 3 및 비교예 5를 각각 제1그룹과 동일한 방법으로 속눈썹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제1그룹에 대해서는 도포 전 및 4주 후 속눈썹 길이 및 두께를 측정하여, 개선 정도를 영양제 조성물의 도포 전과 비교함으로써 효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길이변화   도포 전 4주 후 개선된 시험 대상자 비율(%)
실시예2 0.591 0.616 90.000%
무도포 0.609 0.607 60.000%
두께변화   0W 4W 개선된 시험 대상자 비율(%)
실시예2 0.07 0.081 90.909%
무도포 0.073 0.073 36.364%
상기 표 3을 보면, 카페인과 니아신아마이드를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2의 영양제 조성물을 4주 도포한 속눈썹은 영양제 조성물을 도포하지 않은 속눈썹에 비하여 속눈썹 길이 및 두께에 있어서 상당한 개선 정도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양제 조성물을 도포하지 않은 속눈썹의 경우 속눈썹의 길이 및 도표에 있어서 개선된 시험 대상자가 있기는 하지만, 개선 정도에 있어서는 아주 미미한 정도인 반면, 실시예 2의 영양제 조성물을 도포한 속눈썹의 경우 길이는 약 4%, 두께는 약 16%의 개선 결과를 보이며, 시험 대상자 중 개선 결과를 보인 비율은 90% 이상으로 대부분의 시험 대상자가 속눈썹 길이 및 두께 증가의 효과를 보였다.
또한, 실시예 2~3 및 비교예 5의 사용에 따른 효능 평가는 하기 표 4에 나타낸 항목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이루어졌으며, 각각의 항목에 대하여 표 5에 기재된 기준에 따라서 1 내지 9의 점수를 매기도록 하였다. 해당 설문 조사에 대한 응답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으며, 특히 개선이 있는 것으로 보는 평가 점수 6 내지 9에 대한 응답 정도를 긍정 응답률로 표시하였다.
설문항목 평가점수 실시예2 실시예 3 비교예5
명수 긍정 응답율 (6 to 9) 명수 긍정 응답율 (6 to 9) 명수 긍정 응답율 (6 to 9)
1. 속눈썹 굵기가 개선되었다 1 0 76.92% 0 70.00% 1 0.00%
2 0 0 2
3 0 0 3
4 0 0 4
5 3 3 0
6 1 4 0
7 7 3 0
8 2 0 0
9 0 0 0
2. 속눈썹 길이가 개선되었다 1 0 84.62% 0 80.00% 0 30.00%
2 0 0 1
3 0 0 3
4 0 0 2
5 2 0 1
6 3 2 1
7 4 2 1
8 4 6 1
9 0 0 0
3. 속눈썹 빠짐이 개선되었다 1 0 53.85% 0 80.00% 0 10.00%
2 0 0 1
3 0 0 1
4 0 0 5
5 6 2 2
6 2 6 1
7 4 1 0
8 1 1 0
9 0 0 0
4. 속눈썹 탄력이 개선되었다 1 0 61.54% 0 50.00% 0 50.00%
2 0 0 0
3 0 0 1
4 0 0 2
5 5 5 2
6 1 2 3
7 3 1 2
8 4 2 0
9 0 0 0
5. 속눈썹 윤기가 개선되었다 1 0 76.92% 0 50.00% 0 30.00%
2 0 0 0
3 0 0 0
4 0 1 2
5 3 4 5
6 3 2 2
7 4 3 1
8 3 0 0
9 0 0 0
6. 속눈썹 숱(개수)이 개선되었다. 1 0 69.23% 0 80.00% 0 20.00%
2 0 0 0
3 0 0 1
4 1 0 2
5 3 2 5
6 0 2 1
7 4 5 1
8 4 1 0
9 1 0 0
7. 속눈썹 성장속도가 개선되었다 1 0 69.23% 0 70.00% 0 10.00%
2 0 0 1
3 0 0 1
4 1 1 5
5 3 2 2
6 3 5 1
7 2 2 0
8 3 0 0
9 1 0 0
판정점수 평가 점수
1 1(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2 2(동의하지 않는다)
3 3(약간 동의하지 않는다)
4 4(동의하지 않는 것 같다)
5 5(보통이다)
6 6(동의하는 것 같다.)
7 7(약간 동의한다)
8 8(동의한다)
9 9(매우 동의한다)
상기 표 3을 보면, 실시예 2를 사용하는 경우, 속눈썹의 두께, 길이, 빠짐, 탄력, 윤기, 숱, 성장 속도 면에서 모두 상당한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참고예 2]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하기 표 6의 조성으로 실시예 2, 4~5 및 비교예 6~8의 속눈썹 영양제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해당 조성물에 대한 점도값을 측정하여 결과를 표 6에 기재하였다. 점도는 BROOKFIELD Viscosmeter LV를 이용하여 63spindle, 12rpm에서 측정하였다.
성분 실시예2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탈이온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디소듐 EDTA 0.05 0.05 0.05 0.05 0.05 0.05
1,2-헥산디올 1.00 1.00 1.00 1.00 1.00 1.00
에틸 헥산디올 1.00 1.00 1.00 1.00 1.00 1.00
부틸렌 글리콜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판테놀 2.00 2.00 2.00 2.00 2.00 2.00
카페인 2.00 2.00 2.00 2.00 2.00 2.00
니아신아마이드 2.00 2.00 0.50 0.00 2.50 3.00
아르기닌 0.10 0.10 0.10 0.10 0.10 0.10
비오틴 0.01 0.01 0.01 0.01 0.01 0.01
갈근 추출물 0.01 0.01 0.01 0.01 0.01 0.01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VP 코폴리머 1.00 0.50 0.50 0.10 1.00 1.00
리튬마그네슘소듐 실리케이트 - - 0.50 - 0.50 1.00
점도값 4980 1250 6590 측정불가(100~500) 10500 47800
저점도 O O O O 해당없음 해당없음
고점도 해당없음 해당없음 해당없음 해당없음 O O
[시험예 3] 조성물의 점도값에 따른 속눈썹 성장 효과 평가
점도가 상이한 상기 표 6의 실시예 2, 4~5 및 비교예 6~8 조성물의 속눈썹 성장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25~45세의 건강한 여성 시험자 15명을 5명씩 3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별로 실시예 2, 4~5 및 비교예 6~8의 조성물 중 2가지를 할당한 다음, 한쪽 속눈썹에 할당받은 조성물 중 1가지를, 다른쪽에 나머지 조성물을 각각 4주 동안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 반복하여 도포하도록 하였으며, 영양제 조성물이 묻은 어플리케이션을 모근쪽에 도포하고, 남은 양은 속눈썹에 바르게 하였다. 4주 후, 속눈썹의 길이 개선 정도를 영양제 조성물 도포 전과 비교하여 효능을 평가하였다.
효능 평가는 하기 표 7에 나타낸 항목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이루어졌으며, 각각의 항목에 대하여 표 8에 기재된 기준에 따라서 1 내지 5의 점수를 매기도록 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항목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 4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육안판정 4.2 3.8 3.4 3.1 3.1 2.3
자각증상 4.4 4.2 3.3 2.7 2.3 2.1
종합개선도 4.3 4 3.35 2.9 2.45 2.2
판정점수 육안판정 자각증상
1 악화되었음 악화되었음
2 변화없음 변화없음
3 조금 개선됨 조금 개선됨
4 많이 개선됨 많이 개선됨
5 현저하게 개선됨 현저하게 개선됨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인 실시예 2, 4~5는, 비교예 6~8에 비하여, 육안 판정 및 자각 증상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속눈썹 성장 개선 효과를 보였다.종합 판정 점수로 비교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인 실시예 2, 4~5의 조성물은 고점도인 비교예 7 및 8의 조성물 대비 약 135% 내지 약 195% 정도의 속눈썹 길이 성장 촉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종합 판정 점수로 비교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인 실시예 2, 4~5의 조성물은 저점도인 비교예 6의 조성물 대비 약 115% 내지 약 150% 정도의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패널 테스트 기간 동안 실시예 2, 4~5의 조성물을 사용한 대상자 전원에게서 어떠한 부작용도 발견되지 않아, 카페인과 니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인체에 안전한 조성물임을 알 수 있었다. 단, 실시예 4의 경우 점도가 낮아 내용물의 흡수가 빠르게 되지 않고 눈으로 흘러들어가서 자극감을 느꼈다고 한 응답자도 있었다.
이는 조성물의 점도가 1000cps 이하인 경우, 물의 장력에 의해 물이 모이면서 오히려 흡수가 안되고 증발하며, 흡수가 안된 순간에 눈으로 들어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인데, 이때 패널들은 자극감을 느낀다고 답하지만, 실제로는 눈에 대한 자극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7)

  1. 유효성분으로서 카페인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페인 및 니아신아마이드의 혼합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0.3 ~ 1:1.2인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페인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2중량%이고, 상기 니아신아마이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2중량%인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판테놀(비타민 B5) 및 비오틴(비타민 H) 중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테놀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2중량%이고, 상기 비오틴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0.01중량%인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점도가 1000~10000cps인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섀도우, 또는 아이브로우로 제형화되는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20190102812A 2019-08-22 2019-08-22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2100231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812A KR20210023102A (ko) 2019-08-22 2019-08-22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812A KR20210023102A (ko) 2019-08-22 2019-08-22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102A true KR20210023102A (ko) 2021-03-04

Family

ID=75174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812A KR20210023102A (ko) 2019-08-22 2019-08-22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310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5192A1 (en) 2006-12-01 2012-02-2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immersion scanner overlay performance
US20170037381A1 (en) 2014-04-15 2017-02-0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continuously inactivating a virus during manufacture of a biological produ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5192A1 (en) 2006-12-01 2012-02-2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immersion scanner overlay performance
US20170037381A1 (en) 2014-04-15 2017-02-0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continuously inactivating a virus during manufacture of a biological produ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01649A (zh) 化妆品组合物及其应用、应用其的产品及制备方法
CN102366395B (zh) 一种包含皮肤调理剂和水溶性硅蜡的化妆水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794555B1 (ko) 천연 세라마이드 및 로즈힙열매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N101283957B (zh) 强化毛发生长组合物及强化毛发生长方法
CN109044935A (zh) 一种温和清洁的胶束卸妆水及其生产工艺
KR20180109329A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3599310B (zh) 一种保湿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CN110251417A (zh) 控油修复妆前精华乳及其制备方法
CN110279626A (zh) 具有协同长效保湿效果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90166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084742B (zh) 用于皮肤屏障修复的非侵入式护肤组合物
CN112675108A (zh) 保湿舒缓抗皱眼霜及其制备方法
KR20210023102A (ko)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조성물
CN108451790B (zh) 一种含亲水性角蛋白的保湿精华液及其制备方法
CN107693386B (zh) 一种男士护肤品组合物及其应用
CN114732753B (zh) 蓝铜胜肽面霜及制备方法
JPS62175415A (ja) 皮膚化粧料
CN110074996A (zh) 一种具有液晶结构的保湿面膜及其制备方法
CN109939046A (zh) 一种带有猕猴桃提取物的精华液
JPH01117815A (ja) 皮膚外用剤
CN110840778A (zh) 一种乳液型面膜液及其制备方法
CN112089677A (zh) 一种保湿美白的护肤珍珠水及其制备方法
CN112353740A (zh) 一种护甲组合物、护甲护手霜及其制备方法
KR20210133795A (ko) 캡슐화된 쿨링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24091B1 (ko) 펌프식 분사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