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048A - 강선 집적이송부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 - Google Patents

강선 집적이송부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048A
KR20210023048A KR1020190102658A KR20190102658A KR20210023048A KR 20210023048 A KR20210023048 A KR 20210023048A KR 1020190102658 A KR1020190102658 A KR 1020190102658A KR 20190102658 A KR20190102658 A KR 20190102658A KR 20210023048 A KR20210023048 A KR 20210023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fixing
connecting rod
block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187B1 (ko
Inventor
조영철
Original Assignee
선진정공 주식회사
(주)지산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정공 주식회사, (주)지산개발 filed Critical 선진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2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18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선 집적이송부를 구비하여 강선이 한꺼번에 대량으로 이송되어 강선 연결 작업이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강선 절감부를 구비하여 콘크리트 제품의 길이에 따라 소요되는 강선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강선 집적이송부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강선 인장장치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면에 거푸집(A)이 배치되는 베드(10)와, 상기 베드(10)의 일측에 구비된 강선 고정부(20)와, 상기 베드(10)의 타측 전방으로 상기 강선 고정부(20)의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강선 인장부(30)와, 상기 강선 인장부(30)와 거푸집(A) 사이에 설치되는 강선 절감부(40)와, 상기 강선 절감부에 설치되는 강선 집적이송부(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선 집적이송부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STEEL WIRE PRE-TENSION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STRESSED CONCRETE PRODUCTS HAVING STEEL WIRE COLLECTING TRANSPORTING PART}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선 집적이송부를 구비하여 강선이 한꺼번에 대량으로 이송되어 강선 연결 작업이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강선 절감부를 구비하여 콘크리트 제품의 길이에 따라 소요되는 강선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강선 집적이송부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는, 외력에 의한 응력을 소정의 한도까지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인공적으로 그 응력의 분포와 크기를 정하여 응력을 준 콘크리트로 PC, PSC, PS 콘크리트라고도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구조물의 내구성과 수밀성이 우수하고, 변형, 처짐, 균열 등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고, 레디믹스 콘크리트에 비하여 소요자재가 절약되고 자중을 줄일 수 있는 장점으로 거더, 슬래브, 침목 등에 널리 사용된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응력을 주는 방법에는 PS강선을 미리 인장시켜 설치하고 긴장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프리텐션 방식(pre-tensioning system)과,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PS강선을 긴장시키는 포스트텐션 방식(post-tensioning system)이 있다.
상기 프리텐션 방식은 PS강선에 인장력을 준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의 경화(硬化) 후에 인장력을 해방시킴에 따라, PS강선과 콘크리트와의 부착을 중간에 개재시켜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식이다. 그리고 상기 프리텐션 방식에서는 PS강선을 인장시키는 강재 인장장치가 사용된다.
이에 종래의 프리텐션 방식에 사용되는 종래의 강선 인장장치를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강선 인장장치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베드(100)와, 상기 베드(100)의 일측에 구비된 강선 고정부(200)와, 상기 베드(100)의 타측 전방으로 상기 강선 고정부(200)의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강선 인장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베드(10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면에 거푸집(A)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거푸집(A)은 강선이 관통되고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되어 콘크리트 제품이 제작되는 것이다.
상기 강선 고정부(200)는 상기 베드(100)의 일단으로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포스트(201)와, 상기 제1 포스트(201)의 후면에 전면의 양측이 밀착되어 고정되게 배치되는 고정블록(202)과, 강선(W)의 일단이 통과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블록(202)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고정공(203)을 포함한다.
상기 강선 인장부(300)는 상기 베드(100)의 타단으로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제2 포스트(301)와, 상기 제2 포스트(301)의 전방에 전후 방향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302)와, 상기 유압실린더(302)의 전방에 후면의 양측이 장착되고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블록(303)과, 상기 이동블록(303)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구비되는 연결대(304)와, 상기 연결대(304)의 후단에 장착되는 인장블록(305)과, 강선(W)의 타단이 통과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인장블록(305)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2 고정공(306)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강선 인장장치는 강선을 한 가닥씩 풀어서 강선 고정부와 강선 인장부의 사이에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강선 연결 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강선 인장장치는 강선 고정부와 강선 인장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강선의 길이는 일정한 길이로 정해져 있는 상태에서 콘크리트 제품의 크기에 따라 불필요하게 강선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강선의 길이가 일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제품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콘크리트 제품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비부착 강선 부분이 많아지고, 이런 비부착 강선을 잘라서 제거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많은 강선이 제거되어 강선이 불필요하게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336370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강선 인장장치"(2013.11.2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선 집적이송부를 구비하여 강선이 한꺼번에 대량으로 이송되어 강선 연결 작업이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강선 절감부를 구비하여 콘크리트 제품의 길이에 따라 소요되는 강선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강선 집적이송부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집적이송부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면에 거푸집이 설치되는 베드와; 상기 베드의 일단으로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포스트와, 상기 제1 포스트의 후면에 전면의 양측이 밀착되어 고정되게 배치되는 고정블록과, 강선의 일단이 통과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블록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고정공을 포함하는 강선 고정부와; 상기 베드의 타단으로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제2 포스트와, 상기 제2 포스트의 전방에 전후 방향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전방에 후면의 양측이 장착되고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구비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후단에 장착되는 인장블록을 포함하는 강선 인장부와; 상기 인장블록에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거푸집에 근접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고정공과 거푸집을 지나는 강선이 연결되어 강선이 절감되도록 하는 강선 절감부와; 상기 강선 절감부에 설치되고, 상기 강선 고정부에서 상기 강선 절감부까지 다수의 강선을 한 번에 당길 수 있도록 하는 강선 집적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집적이송부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의 상기 강선 절감부는, 상기 인장블록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거푸집에 근접되게 배치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씩 상하로 구비되는 두 쌍의 연결봉과, 상기 베드의 상면으로 상기 연결봉의 중앙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봉을 지지하는 중앙지지부와, 상기 연결봉의 타단에 장착되고 강선의 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고정되는 강선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집적이송부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의 상기 장착부는, 상기 인장블록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상기 연결봉이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인장블록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에 일단이 너트로 연결되고 상기 인장블록의 외측면에 일단이 너트로 연결되어 상기 밀착부재를 상기 인장블록에 고정시키는 고정나사와, 상기 밀착부재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봉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밀착부재를 관통한 상기 연결봉을 상기 밀착부재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봉은, 각각이 2개로 분리되고 분리된 2개의 연결봉의 분리된 부위에 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의 나선이 상호 나선 결합되어 상기 분리된 연결봉이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나선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지지부는, 상기 베드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각각의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하면이 장착되고 측면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4개의 슬롯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와, 상기 슬롯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측면부재의 사이로 구비되고 상기 조절볼트의 내측단이 부착되며 상기 연결봉의 하면을 한 쌍씩 지지하는 내측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강선연결부는, 상기 베드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내측에 하단이 장착되는 사각블록과, 상기 연결봉이 관통되도록 상기 사각블록에 상하로 형성되는 4개의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연결봉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봉을 상기 사각블록의 외면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너트와, 상기 사각블록의 중앙 부위에 강선이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강선연결공과, 상기 강선연결공을 관통한 강선의 단부를 상기 사각블록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강선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집적이송부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의 상기 강선 집적이송부는, 상기 중앙지지부에 설치되는 설치대와, 상기 설치대의 상면에 설치되고 모터 구동되는 윈치와, 상기 윈치에 연결되어 상기 윈치에 감기거나 풀리고 상기 강선연결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연결선과, 상기 연결선의 단부에 장착되고 다수의 강선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에 상기 연결선이 연결되는 연결턱과, 상기 연결턱의 하면에 형성되는 보강판과, 상기 연결턱과 보강판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부와 후방이 개방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면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고정체와, 상기 함체의 개방된 후방을 향해 상기 단차고정체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강선이 끼워지는 다수의 강선끼움홈과, 상기 강선끼움공과 직교되게 연통되도록 상기 단차고정체의 단차진 상면에서 하부로 형성되고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다수의 수직나선공과, 상기 수직나선공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강선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강선 집적이송부를 구비하여 강선이 한꺼번에 대량으로 이송되어 강선 연결 작업이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강선 연결에 따른 시간과 인력이 현저히 절감되며, 강선 절감부를 구비하여 콘크리트 제품의 길이에 따라 소요되는 강선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비부착 강선 부분이 현저히 감소되면서 불필요하게 제거되는 강선이 최소화되고 강선의 불필요한 손실이 현저히 줄어드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인장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인장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평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인장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인장장치의 장착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인장장치의 중앙지지부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인장장치의 중앙지지부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인장장치의 강선연결부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인장장치의 강선연결부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인장장치의 연결부재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인장장치의 연결부재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인장장치의 연결부재를 보인 개략적인 배면도,
도 16은 종래의 강선 인장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7은 종래의 강선 인장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8은 종래의 강선 인장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인장장치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면에 거푸집(A)이 배치되는 베드(10)와, 상기 베드(10)의 일측에 구비된 강선 고정부(20)와, 상기 베드(10)의 타측 전방으로 상기 강선 고정부(20)의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강선 인장부(30)와, 상기 강선 인장부(30)와 거푸집(A) 사이에 설치되는 강선 절감부(40)와, 상기 강선 절감부에 설치되는 강선 집적이송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베드(1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면에 거푸집(A)이 설치되는 공지의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거푸집(A)은 강선(W)이 관통되고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되어 콘크리트 제품이 제작되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강선 고정부(20)는 상기 베드(10)의 일단으로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포스트(21)와, 상기 제1 포스트(21)의 후면에 전면의 양측이 밀착되어 고정되게 배치되는 고정블록(22)과, 강선(W)의 일단이 통과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블록(22)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고정공(23)을 포함한다.
상기 강선 고정부(20)는 상기 제1 포스트(21)에 상기 고정블록(22)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1 고정공(23)에 다수의 강선(W)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강선 인장부(30)는 상기 베드(10)의 타단으로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제2 포스트(31)와, 상기 제2 포스트(31)의 전방에 전후 방향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32)와, 상기 유압실린더(32)의 전방에 후면의 양측이 장착되고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블록(33)과, 상기 이동블록(33)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구비되는 연결대(34)와, 상기 연결대(34)의 후단에 장착되는 인장블록(35)을 포함한다.
상기 강선 인장부(30)는 상기 유압실린더(32)가 상기 제2 포트스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유압실린더(32)의 작동으로 상기 이동블록(33)이 전진되면서 상기 이동블록(33)과 상기 연결대(34)로 연결된 상기 인장블록(35)이 전진하면서 강선(W)을 인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강선 절감부(40)는 상기 인장블록(35)에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거푸집(A)에 근접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고정공(23)과 거푸집(A)을 지나는 강선(W)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인장블록(35)과 거푸집(A) 사이에 구비되어 추후에 절단되어 제거되는 강선(W)이 절감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강선 절감부(40)는 상기 인장블록(35)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41)와, 상기 장착부(41)에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거푸집(A)에 근접되게 배치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씩 상하로 구비되는 두 쌍의 연결봉(42)과, 상기 베드(10)의 상면으로 상기 연결봉(42)의 중앙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봉(42)을 지지하는 중앙지지부(43)와, 상기 연결봉(42)의 타단에 장착되고 강선(W)의 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고정되는 강선연결부(44)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41)는 상기 인장블록(35)에 상기 연결봉(42)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장착부(41)는 상기 인장블록(35)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상기 연결봉(42)이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인장블록(35)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밀착부재(411)와, 상기 밀착부재(411)에 일단이 너트로 연결되고 상기 인장블록(35)의 외측면에 일단이 너트로 연결되어 상기 밀착부재(411)를 상기 인장블록(35)에 고정시키는 고정나사(412)와, 상기 밀착부재(411)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봉(42)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밀착부재(411)를 관통한 상기 연결봉(42)을 상기 밀착부재(411)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너트(413)를 포함한다.
상기 밀착부재(411)는 상기 연결봉(42)의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인장블록(35)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고정나사(412)는 상기 밀착부재(411)가 상기 인장블록(35)에 손쉽게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제1 고정너트(413)는 상기 밀착부재(411)에 상기 연결봉(42)의 단부가 걸리어 분해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봉(42)은 상하 한 쌍씩 4개로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인장블록(35)에 관통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거푸집(A)에 근접하여 상기 장착부(41)와 강선연결부(44)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봉(42)은 각각이 2개로 분리되고 분리된 2개의 연결봉(42)의 분리된 부위에 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 부위에 나선결합부재(42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연결봉(42)의 나선이 상호 나선 결합되어 상기 2개로 분리된 연결봉(42)이 상기 나선결합부재(421)를 통해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거푸집(A)의 크기에 따라 상기 연결봉(4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앙지지부(43)는 상기 연결봉(42)의 중앙 부위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받쳐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중앙지지부(43)는 상기 베드(10)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지지대(431)와, 각각의 상기 지지대(431)의 상면에 하면이 장착되고 측면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4개의 슬롯(432a)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432)와, 상기 슬롯(432a)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절볼트(433)와, 상기 측면부재(432)의 사이로 구비되고 상기 조절볼트(433)의 내측단이 부착되며 상기 연결봉(42)의 하면을 한 쌍씩 지지하는 내측지지부재(43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431)는 상기 측면부재(432)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측면부재(432)는 그 사이에 상기 내측지지부재(434)가 상기 조절볼트(433)에 의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조절볼트(433)는 상기 측면부재(432)의 슬롯을 통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볼트에 의해 상기 측면부재(432)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내측지지부재(434)는 상기 연결봉(42)이 관통되도록 하면서 상기 연결봉(42)의 하면을 받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강선연결부(44)는 상기 연결봉(42)의 타단이 연결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강선(W)의 타단이 연결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강선연결부(44)는 상기 베드(10)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받침대(441)와, 상기 받침대(441)의 내측에 하단이 장착되는 사각블록(442)과, 상기 연결봉(42)이 관통되도록 상기 사각블록(442)에 상하로 형성되는 4개의 관통공(443)과, 상기 관통공(443)을 통과한 상기 연결봉(42)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봉(42)을 상기 사각블록(442)의 외면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너트(444)와, 상기 사각블록(442)의 중앙 부위에 강선(W)이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강선연결공(445)과, 상기 강선연결공(445)을 관통한 강선(W)의 단부를 상기 사각블록(442)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강선고정부재(446)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441)는 상기 베드(10)의 상면에서 상기 사각블록(442)을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사각블록(442)은 상기 연결봉(42)과 강선(W)이 결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관통공(443)은 상기 연결봉(42)이 상기 사각블록(442)을 관통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고정너트(444)는 상기 연결봉(42)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봉(42)이 상기 사각블록(44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강선연결공(445)은 강선(W)이 상기 사각블록(442)을 관통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강선고정부재(446)는 상기 강선(W)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강선(W)이 상기 사각블록(44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강선 집적이송부(50)는 상기 강선 절감부(4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강선 고정부(20)에서 상기 강선 절감부(40)까지 다수의 강선(W)을 한 번에 당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강선 집적이송부(50)는 상기 중앙지지부(43)에 설치되는 설치대(51)와, 상기 설치대(51)의 상면에 설치되고 모터 구동되는 윈치(52)와, 상기 윈치(52)에 연결되어 상기 윈치(52)에 감기거나 풀리고 상기 강선연결부(44)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연결선(53)과, 상기 연결선(53)의 단부에 장착되고 다수의 강선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54)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대(51)는 상기 중앙지지부(43)에 상기 윈치(52)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윈치(52)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드럼이 회전되면서 상기 드럼에 상기 연결선(53)을 감거나 풀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연결선(53)은 상기 윈치(52)와 연결부재(54)의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로써, 상기 윈치(52)에 감기면서 상기 연결부재(54)를 당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54)는 상기 연결선(53)이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에 다수의 강선(W)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강선(W)을 한꺼번에 당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부재(54)는 일측에 상기 연결선(53)이 연결되는 연결턱(541)과, 상기 연결턱(541)의 하면에 형성되는 보강판(542)과, 상기 연결턱(541)과 보강판(542)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부와 후방이 개방된 함체(543)와, 상기 함체(543)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면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고정체(544)와, 상기 함체(543)의 개방된 후방을 향해 상기 단차고정체(544)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강선이 끼워지는 다수의 강선끼움홈(545)과, 상기 강선끼움공과 직교되게 연통되도록 상기 단차고정체(544)의 단차진 상면에서 하부로 형성되고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다수의 수직나선공(546)과, 상기 수직나선공(546)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강선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47)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턱(541)은 이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 상기 연결선(53)이 연결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보강판(542)은 상기 연결턱(541)이 보강되도록 하며, 상기 함체(543)는 상기 단차고정체(544)가 장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강선끼움홈(545)은 다수의 강선(W)이 하나씩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수직나선공(546)은 상기 고정볼트(547)가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강선끼움홈(545)의 단부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고정볼트(547)는 상기 수직나선공(546)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강선끼움홈(545)으로 끼워진 상기 강선(W)의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단차고정체(544)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베드
20 : 강선 고정부
21 : 제1 포스트 22 : 고정블록
23 : 제1 고정공
30 : 강선 인장부
31 : 제2 포스트 32 : 유압실린더
33 : 이동블록 34 : 연결대
35 : 인장블록
40 : 강선 절감부
41 : 장착부
411 : 밀착부재 412 : 고정나사
413 : 제1 고정너트
42 : 연결봉
421 : 나선결합부재
43 : 중앙지지부
431 : 지지대
432 : 측면부재 432a : 슬롯
433 : 조절볼트 434 : 내측지지부재
44 : 강선연결부
441 : 받침대 442 : 사각블록
443 : 관통공 444 : 제2 고정너트
445 : 강선연결공 446 : 강선고정부재
50 : 강선 집적이송부
51 : 설치대 52 : 윈치
53 : 연결선
54 : 연결부재
541 : 연결턱 542 : 보강판
543 : 함체 544 : 단차고정체
545 : 강선끼움홈 546 : 수직나선공
547 : 고정볼트
W : 강선
A : 거푸집

Claims (4)

  1.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면에 거푸집이 설치되는 베드(10)와;
    상기 베드(10)의 일단으로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포스트(21)와, 상기 제1 포스트(21)의 후면에 전면의 양측이 밀착되어 고정되게 배치되는 고정블록(22)과, 강선의 일단이 통과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블록(22)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고정공(23)을 포함하는 강선 고정부(20)와;
    상기 베드(10)의 타단으로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제2 포스트(31)와, 상기 제2 포스트(31)의 전방에 전후 방향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32)와, 상기 유압실린더(32)의 전방에 후면의 양측이 장착되고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블록(33)과, 상기 이동블록(33)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구비되는 연결대(34)와, 상기 연결대(34)의 후단에 장착되는 인장블록(35)을 포함하는 강선 인장부(30)와;
    상기 인장블록(35)에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거푸집에 근접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고정공(23)과 거푸집을 지나는 강선이 연결되어 강선이 절감되도록 하는 강선 절감부(40)와;
    상기 강선 절감부(40)에 설치되고, 상기 강선 고정부(20)에서 상기 강선 절감부(40)까지 다수의 강선을 한 번에 당길 수 있도록 하는 강선 집적이송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집적이송부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 절감부(40)는,
    상기 인장블록(35)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41)와,
    상기 장착부(41)에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거푸집에 근접되게 배치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씩 상하로 구비되는 두 쌍의 연결봉(42)과,
    상기 베드(10)의 상면으로 상기 연결봉(42)의 중앙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봉(42)을 지지하는 중앙지지부(43)와,
    상기 연결봉(42)의 타단에 장착되고 강선의 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고정되는 강선연결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집적이송부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41)는,
    상기 인장블록(35)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상기 연결봉(42)이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인장블록(35)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밀착부재(411)와,
    상기 밀착부재(411)에 일단이 너트로 연결되고 상기 인장블록(35)의 외측면에 일단이 너트로 연결되어 상기 밀착부재(411)를 상기 인장블록(35)에 고정시키는 고정나사(412)와,
    상기 밀착부재(411)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봉(42)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밀착부재(411)를 관통한 상기 연결봉(42)을 상기 밀착부재(411)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너트(413)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봉(42)은,
    각각이 2개로 분리되고 분리된 2개의 연결봉(42)의 분리된 부위에 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42)의 나선이 상호 나선 결합되어 상기 분리된 연결봉(42)이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나선결합부재(421)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지지부(43)는,
    상기 베드(10)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지지대(431)와,
    각각의 상기 지지대(431)의 상면에 하면이 장착되고 측면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4개의 슬롯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432)와,
    상기 슬롯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절볼트(433)와,
    상기 측면부재(432)의 사이로 구비되고 상기 조절볼트(433)의 내측단이 부착되며 상기 연결봉(42)의 하면을 한 쌍씩 지지하는 내측지지부재(434)를, 포함하고,
    상기 강선연결부(44)는,
    상기 베드(10)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받침대(441)와,
    상기 받침대(441)의 내측에 하단이 장착되는 사각블록(442)과,
    상기 연결봉(42)이 관통되도록 상기 사각블록(442)에 상하로 형성되는 4개의 관통공(443)과,
    상기 관통공(443)을 통과한 상기 연결봉(42)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봉(42)을 상기 사각블록(442)의 외면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너트(444)와,
    상기 사각블록(442)의 중앙 부위에 강선이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강선연결공(445)과,
    상기 강선연결공(445)을 관통한 강선의 단부를 상기 사각블록(442)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다수의 강선고정부재(4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집적이송부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 집적이송부(50)는,
    상기 중앙지지부(43)에 설치되는 설치대(51)와,
    상기 설치대(51)의 상면에 설치되고 모터 구동되는 윈치(52)와,
    상기 윈치(52)에 연결되어 상기 윈치(52)에 감기거나 풀리고 상기 강선연결부(44)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연결선(53)과,
    상기 연결선(53)의 단부에 장착되고 다수의 강선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54)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54)는,
    일측에 상기 연결선(53)이 연결되는 연결턱(541)과,
    상기 연결턱(541)의 하면에 형성되는 보강판(542)과,
    상기 연결턱(541)과 보강판(542)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부와 후방이 개방된 함체(543)와,
    상기 함체(543)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면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고정체(544)와,
    상기 함체(543)의 개방된 후방을 향해 상기 단차고정체(544)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강선이 끼워지는 다수의 강선끼움홈(545)과,
    상기 강선끼움공과 직교되게 연통되도록 상기 단차고정체(544)의 단차진 상면에서 하부로 형성되고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다수의 수직나선공(546)과,
    상기 수직나선공(546)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강선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집적이송부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
KR1020190102658A 2019-08-21 2019-08-21 강선 집적이송부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 KR102245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658A KR102245187B1 (ko) 2019-08-21 2019-08-21 강선 집적이송부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658A KR102245187B1 (ko) 2019-08-21 2019-08-21 강선 집적이송부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048A true KR20210023048A (ko) 2021-03-04
KR102245187B1 KR102245187B1 (ko) 2021-04-27

Family

ID=7517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658A KR102245187B1 (ko) 2019-08-21 2019-08-21 강선 집적이송부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1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338B1 (ko) 2023-08-03 2024-02-15 성우파일 주식회사 강선 인장 설비 및 이를 사용한 강선 인장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100A (ko) * 2009-03-25 2010-10-05 (주)에스앤씨산업 프리스트레스트거더제작대와 이의 설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거더제작방법
KR101336370B1 (ko) 2012-10-09 2013-12-04 김삼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강선 인장장치
KR20140111793A (ko) * 2013-03-12 2014-09-22 이창남 강선지지구, 강선 긴장용 유압잭 및 유압잭을 이용한 휨 부재 가변지주 공법
KR20150071307A (ko) * 2013-12-18 2015-06-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피씨 구조물의 쉬스관 내부로의 긴장재 배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피씨 구조물의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100A (ko) * 2009-03-25 2010-10-05 (주)에스앤씨산업 프리스트레스트거더제작대와 이의 설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거더제작방법
KR101336370B1 (ko) 2012-10-09 2013-12-04 김삼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강선 인장장치
KR20140111793A (ko) * 2013-03-12 2014-09-22 이창남 강선지지구, 강선 긴장용 유압잭 및 유압잭을 이용한 휨 부재 가변지주 공법
KR20150071307A (ko) * 2013-12-18 2015-06-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피씨 구조물의 쉬스관 내부로의 긴장재 배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피씨 구조물의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187B1 (ko)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152236U (zh) 一种体外预应力加固装置
CN109235732B (zh) 一种预制空心梁板施工方法
US2005001740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ing of prestressed reinforced concrete railroad ties and the like
KR102245187B1 (ko) 강선 집적이송부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
CN207524882U (zh) 内卡式张拉千斤顶
CN107724258B (zh) 一种预应力碳纤维张拉装置
CN111663447A (zh) 一种先张法预制梁板的预应力弯起锚固装置及施工方法
CN112497477A (zh) 一种预应力混凝土钢筋桁架预制板生产设备和生产方法
CN106121268B (zh) 预应力钢丝绳综合加固梁板柱的系统及方法
CN110524675B (zh) 一种先张法预制工字梁及其施工方法
CN110344553B (zh) 一种楼梯吊装施工拼缝后浇带的支模结构及支模工艺
KR102245182B1 (ko) 강선 절감부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 제작용 강선 인장장치
KR100966313B1 (ko) 강선 가이드구조를 갖는 교량상판용 거푸집
CN114319719B (zh) 一种预应力梁结构及其施工方法
CN106149575A (zh) 预应力钢丝绳张拉系统及方法
CN215803213U (zh) 一种建筑混凝土施工模板夹具
CN115538697A (zh) 一种大跨度缓粘结预应力钢筋混凝土结构梁
CN214424517U (zh) 一种箱涵侧模移动机构
CN211113185U (zh) 一种先张法预制梁板的预应力弯起锚固装置
CN114277686A (zh) 一种大跨度钢板组合梁施工工艺
CN106436587A (zh) 环链式预应力钢丝绳自动同步张拉系统及方法
KR20140059940A (ko) 강봉을 이용하여 선행하중을 가할 수 있는 건축용 거더
CN214163463U (zh) 一种预应力混凝土钢筋桁架预制板生产设备
CN221168742U (zh) 一种先张梁的钢绞线铺设装置
CN215760638U (zh) 一种钢绞线预应力加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